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87289B1 - 차량용 램프 - Google Patents

차량용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7289B1
KR101987289B1 KR1020170184330A KR20170184330A KR101987289B1 KR 101987289 B1 KR101987289 B1 KR 101987289B1 KR 1020170184330 A KR1020170184330 A KR 1020170184330A KR 20170184330 A KR20170184330 A KR 20170184330A KR 101987289 B1 KR101987289 B1 KR 101987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zel
unit
lens unit
fastening
refl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규
Original Assignee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84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7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7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7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3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lectors
    • F21S41/3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1/0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 F21S41/20Illumin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headlamps characterised by refractors, transparent cover plates, light guides or filters
    • F21S41/29Attachment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02/00Exterior vehicle lighting devices for illuminating purpo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면을 통해 발광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렌즈 유닛과, 렌즈 유닛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며 상기 렌즈 유닛을 고정하는 베젤 유닛 및 렌즈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플렉터 유닛을 포함하고, 베젤 유닛은 렌즈 유닛의 외측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 둘레면에서 렌즈 유닛의 제1 면과 다른 방향을 가지며 비노출되는 제2 면에 실장되며 리플렉터 유닛과 결합되는 체결형 베젤부를 구비하며, 체결형 베젤부와 리플렉터 유닛의 결합에 따라 상기 렌즈 유닛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용 램프 {Lamp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용 램프의 베젤들이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는 차량용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은 야간 주행 시에 차량 주변에 위치한 대상물을 용이하게 확인하기 위한 조명 기능 및 다른 차량이나 도로 이용자들에게 차량의 주행 상태를 알리기 위한 신호 기능을 가지는 다양한 종류의 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예를 들어, 주로 조명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헤드 램프(Head lamp) 및 포그 램프(Fog lamp)와, 신호 기능을 목적으로 하는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테일 램프(Tail lamp), 브레이크 램프(Brake lamp), 사이드 마커(Side Marker) 등을 구비하고 있으며, 이러한 차량용 램프는 각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도록 그 설치 기준과 규격에 대해서 법규로 규정되어 있다.
헤드 램프는, 반대 방향으로 주행하는 대향 차량의 운전자 또는 선행 차량 운전자에게 눈부심 유발을 예방하도록 평상 시에는 주로 로우 빔 패턴을 유지하고, 고속 주행 시 또는 주변 밝기가 어두운 곳을 운행하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여 안전운전을 도모하도록 하고 있다.
차량용 램프 중 야간 주행 시 운전자의 전방 시야가 확보되도록 로우 빔 패턴이나 하이 빔 패턴을 형성하는 헤드 램프는 안전 운행을 하는데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또한, 리어 램프는, 테일 램프(Tail lamp), 테일-브레이크 램프(Tail-Brake lamp), 턴 시그널 램프(Turn signal lamp) 및 백업 램프(Back up lam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중에서, 테일-브레이크 램프는 야간 주행 시 후방 차량에서 자기 차량의 위치를 알리는 기능을 하는 후미등(Tail light)과, 후방 차량에게 자기 차량이 감속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정지등(Stop light)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또한, 턴 시그널 램프는 자기 차량이 주행하고자 하는 진로의 방향을 바꾸고자 운전자가 방향 지시 레버를 조작하는 경우, 점멸됨에 따라 후방 차량에게 주행 방향의 변경을 인지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백업 램프는 후진을 위하여 변속 단을 후진으로 하는 경우, 점등됨에 따라 차량이 후진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후진등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렇게 여러 기능을 수행하는 램프들은 렌즈부의 주변 둘레에는 베젤부가 렌즈부를 커버하면서 이웃한 렌즈부와 연결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베젤부가 렌즈부의 주변둘레를 따라 배치됨에 따라 베젤부는 차량의 외부로 노출될 수 밖에 없어 외관 디자인 상 심미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부의 둘레로 베젤부가 구비됨에 따라 렌즈부와 인접한 렌즈부 사이는 베젤부에 의해 단절되고, 렌즈부에서 발광되는 광은 베젤부에 의해 끊김이 발생되고 배광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등록특허공보 제10-0796698호 (2008.01.21. 공고)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배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차량용 램프의 구성들을 안정적으로 고정 지지할 수 있으면서, 연결 부분에 베젤이 비 노출되어 배광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차량용 램프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제1 면을 통해 발광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렌즈 유닛; 상기 렌즈 유닛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며 상기 렌즈 유닛을 고정하는 베젤 유닛; 및 상기 렌즈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플렉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 유닛은 상기 렌즈 유닛의 외측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 둘레면에서 상기 렌즈 유닛의 상기 제1 면과 다른 방향을 가지며 비노출되는 제2 면에 실장되며 상기 리플렉터 유닛과 결합되는 체결형 베젤부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형 베젤부와 상기 리플렉터 유닛의 결합에 따라 상기 렌즈 유닛이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의 상기 일부 둘레면은 상기 베젤 유닛이 비 노출되어 상기 렌즈 유닛의 단부까지 점등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젤 유닛은, 상기 제1 면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 유닛을 하나의 점등 영역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메인 베젤부; 및 상기 메인 베젤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면에 실장되어 상기 리플렉터 유닛과 결합되는 상기 체결형 베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형 베젤부는 'ㄷ'자 형상의 결합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비노출면에 배치된 상기 리플렉터 유닛의 제1 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안착되며 상기 결합 돌기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 유닛은, 상기 노출면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메인 베젤부; 상기 메인 베젤부 사이로 상기 노출면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유닛의 노출면을 두 개의 점등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 베젤부; 및 상기 메인 베젤부의 단부 및 상기 구획 베젤부의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비노출면에 구비되어 상기 리플렉터 유닛과 결합되는 상기 체결형 베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형 베젤부는, 상기 메인 베젤부의 단부를 연결하며 형성되는 제1 체결베젤과, 상기 구획 베젤부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체결베젤의 소정 위치와 연결되는 제2 체결베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체결베젤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체결베젤의 일측에는 제1 체결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체결베젤의 타측에는 상기 제1 체결영역과 이웃하여 제2 체결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비노출면에 배치된 상기 리플렉터 유닛의 제1 면은 상기 제1 체결 영역 및 상기 제2 체결영역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형 베젤부는 'E'자 형상의 결합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비노출면에 배치된 상기 리플렉터 유닛의 제1 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안착되며 상기 결합 돌기가 걸려 고정되는 'E' 자 형상의 걸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 유닛은, 상기 노출면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메인 베젤부; 상기 메인 베젤부 사이로 상기 노출면에 두 줄로 배치되어 상기 렌즈 유닛의 노출면을 세 개의 점등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 베젤부; 및 상기 메인 베젤부의 단부 및 상기 구획 베젤부의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비노출면에 구비되어 상기 리플렉터 유닛과 결합되는 상기 체결형 베젤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결형 베젤부는, 상기 메인 베젤부의 단부를 연결하며 형성되는 제1 체결베젤과, 상기 구획 베젤부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체결베젤 내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베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베젤과 상기 제2 체결베젤 사이로 상기 제1 체결베젤을 통한 제1 체결 영역과, 상기 제2 체결베젤을 통한 제2 체결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비노출면에 배치된 상기 리플렉터 유닛의 제1 면은 상기 제1 체결 영역 및 상기 제2 체결 영역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베젤은 'ㄷ'자 형상의 외측 결합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베젤은 'ㄷ'자 형상으로 외측 결합돌기의 내측으로 소정 이격되는 내측 결합돌기로 형성되며, 비노출면에 배치된 상기 리플렉터 유닛의 제1 면에는 상기 외측 결합돌기가 안착되며 상기 외측 결합돌기를 걸어 고정하는 'ㄷ'자 형상의 외측 걸림 홈과, 상기 내측 결합돌기가 안착되며 상기 내측 결합돌기를 걸어 고정하는 'ㄷ'자 형상의 내측 걸림 홈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램프 유닛의 측면으로 베젤 유닛의 배치를 배제하여 램프 유닛과 이웃한 램프 유닛의 결합 시 베젤 유닛에 의해 배광이 차폐되는 영역이 발생되는 것을 제한 할 수 있다.
또한, 램프 유닛과 램프 유닛 사이의 베젤 유닛이 비노출됨에 따라 차량용 램프의 디자인의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고급스러움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램프 유닛의 측면으로 베젤 유닛을 제한하여도 베젤 유닛, 리플렉터 유닛 및 램프 유닛과의 결합 구조에 따라 베젤 유닛은 형태의 틀어짐 등의 변화 없이 램프 유닛의 고정 및 지지 형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베젤 유닛, 리플렉터 유닛 및 램프 유닛과의 결합 구조를 통해 이들 구성은 별도의 체결 구조 없이 체결될 수 있어 조립의 심플함을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 조립을 간소화시킬 수 있고, 조립의 시간이나 부품의 수도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렌즈 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비노출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비노출면을 나타내는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A-A'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비노출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비노출면을 나타내는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A-A'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렌즈 유닛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비노출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의 비노출면을 나타내는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A-A'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공정 단계들, 잘 알려진 구조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의미로 사용한다. 그리고, "및/또는"은 언급된 아이템들의 각각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개략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따라서,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 도시된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은 설명의 편의를 고려하여 다소 확대 또는 축소되어 도시된 것일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차량용 램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에서 렌즈 유닛(1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의 비노출면(A2)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의 비노출면(A2)을 나타내는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A-A'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렌즈 유닛(110), 베젤 유닛(120) 및 리플렉터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용 램프(100)는 차량의 후방 양측에 각각 설치되는 리어 램프의 용도로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차량에 실장되는 리어 램프는 차량의 트렁크 측에 위치되는 렌즈 유닛(이하 '제1 렌즈 유닛'이라함.)과, 차량의 리어 외측에 제공되는 렌즈 유닛(이하 '제2 렌즈 유닛'이라 함.)이 분리된, 상태로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 렌즈 유닛(110)과 상기 제2 렌즈 유닛(110)은 그 연결되는 부분(대면되는 부분과 같은 의미임.)의 베젤 유닛(120)을 비노출되는 면에 실장시킨다. 이로 인해, 분리된 두 개 이상의 렌즈 유닛(110)이 연결되게 실장하는 경우, 각각의 렌즈 유닛(110)의 연결부분에서는 베젤 유닛(120)이 노출되지 않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렌즈 유닛(110)과 이웃한 렌즈 유닛(110) 사이의 연결부분은 베젤 유닛(120)이 노출되지 않아, 서로 다른 렌즈 유닛(110)에서 광을 조사하여도 렌즈 유닛(110)의 연결부분에서 베젤 유닛(120)에 의한 광의 단절 현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램프의 실장 시, 차량의 설계 위치에 따라 하나의 구성이지만 서로 분리되어 실장될 수 밖에 없는 경우, 렌즈 유닛(110)의 연결부분으로 베젤 유닛(120)을 배제하여 마치 하나의 구성이 실장된 것과 같은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의 실장위치는 리어 램프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헤드 램프, 포그 램프, 주간 주행 램프, 턴 시그널 램프, 포지션 램프, 백업 램프 등과 같이 차량에 설치되는 각종 램프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110)은 차량용 램프(100)의 내측에 실장되는 광원부에서 발광되는 광을 투과시켜 차량용 램프(100)의 일면으로 조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광원부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의 용도에 적합한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을 발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는 기판과, 광원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은 광원 어레이가 설치되는 면이 전방을 향하도록 위치하여 광원 어레이로부터 발생된 광이 전방으로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광원 어레이가 설치되는 면이 전방을 향한다는 것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로부터 광이 조사되는 방향을 향한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가 설치되는 위치나 방향 등에 따라 전방이 의미하는 방향은 달라질 수 있다. 기판에는 광원 어레이뿐만 아니라 광원 어레이의 전원 공급이나 제어 등을 위하여 외부 전원이나 컨트롤러 등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커넥터 등과 같은 각종 부품이 함께 설치될 수 있다.
광원 어레이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에 적합한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이 발생되는 복수의 광원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복수의 광원으로 LED(Light Emitting Diode), LD(Laser Diode) 등과 같은 반도체 발광 소자가 사용되는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복수의 광원은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100)에 의해 형성되는 빔 패턴의 형상이나 크기 등에 따라 배열 방향이나 개수 등이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110)은 외부로 노출되는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과,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을 가지는 복수개의 제2 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면은 외부로 노출되는 노출면(A1)으로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제2 면은 상기 제1 면의 둘레로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 비노출면(A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 상기 제1 면은 노출면(A1)이라고 하며, 제2 면은 비노출면(A2)이라고 한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상기 노출면(A1)은 상기 렌즈 유닛(110)에서 전면을 향하게 형성되어, 광원에서 발광된 광이 외부로 조사되는 부분을 지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노출면(A2)은 상기 노출면(A1)과 다른 방향에 형성되어 차폐되는 부분을 지시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노출면(A1)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 둘레면(상술한 연결 부분에 대응되는 면이며 이하 '제1 둘레면'이라 함.)을 제외한 둘레면(상술한 연결 부분 이외에 대응되는 면이며, 이하 '제2 둘레면'이라 함.)은 후술하는 베젤 유닛(120)에 의해 차폐되는 차폐면을 형성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렌즈 유닛(110)의 노출면(A1)은 4개의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노출면(A1)의 4개의 둘레 중 3 개의 둘레(상기의 '제2 둘레면'에 해당됨)에는 차폐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출면(A1)의 나머지 1 개 둘레(상기의 '제1 둘레면'에 해당됨.)에는 차폐면이 없이 노출면(A1)으로만 구비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렌즈 유닛(110)에는 상기 노출면(A1)의 둘레면('제2 둘레면')으로만 후술하는 베젤 유닛(120)이 구비됨에 따라 하나의 점등영역(L1)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서 하나의 점등 영역(L1)은 노출면(A1)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출면(A1)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면, 즉 제1 둘레면에는 베젤 유닛(120)이 비노출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노출면(A1)의 일단부까지 점등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노출면(A1)의 제2 둘레면, 예컨대 3면에는 상기 베젤 유닛(120)을 안착할 수 있도록 베젤 장착홈(1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 장착홈(111)은 노출면(A1)에서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베젤 장착홈(111)은 상기 베젤 유닛(120)을 장착할 수 있도록 노출면(A1)의 둘레에서 인입된 형상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베젤 유닛(120)이 노출면(A1)에서 돌출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베젤 유닛(120)의 둘레면이 'ㄷ'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렌즈 유닛(110)이 베젤 유닛(120)의 'ㄷ'자 형상의 내측으로 끼워지는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렌즈 유닛(110)과 베젤 유닛(120)의 맞물림 위치나 결합 구조는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플렉터 유닛(130)은 상기 렌즈 유닛(1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 유닛(130)은 상기 광원부에서 반사된 광을 전측으로 반사하기 위해 반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 유닛(130)의 제1 면(130a)은 렌즈 유닛(110)의 비노출면(A2)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 유닛(130)의 제1 면(130a)에는 상기 베젤 유닛(120), 예컨대 후술하는 상기 체결형 베젤부(122)가 인입되어 스냅핏(snap-fit) 결합될 수 있도록 걸림핀(132)을 형성한 걸림홈(131)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걸림핀(132)은 상기 걸림홈(131)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형 베젤부(122)가 상기 걸림홈(131)에 안착되면 상기 체결형 베젤부(122)는 상기 걸림핀(132)에 걸려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체결형 베젤부(122)가 상기 걸림핀(132)에 걸리면서 상기 걸림홈(131)에서 이탈되지 않고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걸림홈(131)은 후술하는 상기 체결형 베젤부(122)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체결형 베젤부(122)가 걸려 결합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형 베젤부(122)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걸림홈(131)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걸림홈(13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체결형 베젤부(122)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얼마든지 형상이나 형태는 변경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리플렉터 유닛(130)의 제1 면(130a)으로 상기 걸림핀(132)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핀(132)의 주변으로 상기 체결형 베젤부(122)가 걸림에 따라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베젤 유닛(120)은 상기 렌즈 유닛(110)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베젤 유닛(120)은 상기 렌즈 유닛(110)을 고정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젤 유닛(120)은 상기 렌즈 유닛(110)을 지지하면서 외측 테두리 부분에서 불필요한 광원의 광이 조사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렌즈 유닛(110)의 외측 테두리 부분에서 반사된 광이 불필요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젤 유닛(120)은 상기 렌즈 유닛(110)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면서 실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베젤 유닛(120)은 상기 렌즈 유닛(110)의 외측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 둘레면(상술한 연결 부분 및 제1 둘레면에 해당됨.)에는 비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노출면(A1)의 삼면의 둘레면에는 상기 베젤 유닛(120)이 배치되고, 나머지 일면의 둘레면에는 노출면(A1)이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나머지 일면의 둘레면에는 베젤 유닛(120)이 비노출되게 측면 측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노출되는 부분으로 구비되는 베젤 유닛(120)은 상기 리플렉터 유닛(130)과 결합됨에 따라 상기 렌즈 유닛(110)을 지지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베젤 유닛(120)은 메인 베젤부(121)와 체결형 베젤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인 베젤부(121)는 상기 노출면(A1)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 유닛(110)을 하나의 점등영역(L1)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베젤부(121)는 상기 노출면(A1)의 둘레에 구비되되, 상기 노출면(A1)의 둘레 중 적어도 소정의 둘레면을 제외하고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형 베젤부(122)는 상기 메인 베젤부(121)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비노출면(A2)에 실장되어 상기 리플렉터 유닛(130)과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형 베젤부(122)는 'ㄷ'자 형상의 결합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형 베젤부(122)는 상기 메인 베젤부(121)의 단부와 연결되되, 노출면(A1)의 메인 베젤부(121)에서 밴딩되어 비노출면(A2)에 'ㄷ' 또는 'U'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젤 유닛(120)의 형상을 보면, 상기 노출면(A1)에서 'ㄷ'자 형상의 메인 베젤부(121)와, 상기 메인 베젤부(121)의 'ㄷ'자 형상의 단부에 연결되어 비노출면(A2)에서 'ㄷ'자 형상을 가지는 체결형 베젤부(122)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노출면(A1)과 상기 비노출면(A2)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는 별도의 베젤 유닛(120)이 형성되지 않고, 렌즈 유닛(110)의 노출면(A1)이 차폐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렌즈 유닛(110)의 부분이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광원부에서 발광되는 광은 상기 노출면(A1) 및 비노출면(A2) 사이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서도 발광 될 수 있다. 또한, 노출면(A1) 및 비노출면(A2) 사이에 베젤 유닛(120)이 구비되지 않아도, 비노출면(A2)에서 베젤 유닛(120), 구체적으로 체결형 베젤부(122)가 형성됨에 따라, 베젤 유닛(120)의 형태 변형의 발생되지 않으며, 렌즈 유닛(110)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노출면(A2)에 배치된 상기 리플렉터 유닛(130)의 제1 면(130a)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안착되며 상기 결합 돌기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홈(131)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의 결합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10)의 제1 둘레면(삼면)으로 상기 베젤 유닛(120), 구체적으로 메인 베젤부(121)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베젤 유닛(120)은 상기 렌즈 유닛(110)에 'ㄱ'자 단면을 가지면서 상기 렌즈 유닛(110)의 상기 노출면(A1) 및 상기 비노출면(A2)으로 안착될 수 있다. 즉, 상기 베젤 유닛(120)은 상기 렌즈 유닛(110)의 적어도 일면에서 밴딩되어 상기 렌즈 유닛(110)의 노출면(A1) 및 비노출면(A2)의 테두리를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베젤부(121)는 상기 렌즈 유닛(110)의 제1 방향을 향하는 제1 면에 'ㄷ' 자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체결형 베젤부(122)는 상기 노출면(A1)과 인접하며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향하는 비노출면(A2)에 'ㄷ'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110)의 비노출면(A2)에는 상기 리플렉터 유닛(130)의 제1 면(130a)이 놓여진다. 상기 체결형 베젤부(122)는 상기 리플렉터 유닛(130)의 제1 면(130a) 위에 실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형 베젤부(122)는 상기 리플렉터 유닛(130)의 제1 면(130a)을 따라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 끼워지면서 상기 걸림홈(131)에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체결형 베젤부(122)가 걸림홈(131)에 안착되면, 상기 베젤 유닛(120)과 상기 리플렉터 유닛(130) 사이에 상기 렌즈 유닛(110)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 중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는, 상기 렌즈 유닛(110)의 노출면(A1)의 삼면이 베젤 유닛(120)에 의해 차폐됨에 따라 상기 렌즈 유닛(110)의 삼면의 내측으로 하나의 점등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00)를 설명할 수 있다. 또한,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나 구조, 기능 등의 설명은 상술한 설명을 준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차이점이 있는 구성이나 차이점을 나타내기 위해 필요로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00)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00)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00)의 렌즈 유닛(2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00)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00)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00)의 비노출면(A2)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00)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00)의 비노출면(A2)을 나타내는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00)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00)에서, 제2 실시예에 따른 A-A'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00)는 렌즈 유닛(210), 베젤 유닛(220) 및 리플렉터 유닛(2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00)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00)와 베젤 유닛(220)의 형상에서 차이점이 있다. 예컨대 제1 실시예에 따른 베젤 유닛(220)은 렌즈 유닛(210)의 둘레면, 구체적으로 삼면으로만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제1 실시예의 상기 렌즈 유닛(210)은 하나의 점등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젤 유닛(220)은 렌즈 유닛(210)의 둘레면, 구체적으로 삼면 및 상기 렌즈 유닛(210)의 둘레면 사이로 상기 렌즈 유닛(210)을 구획하는 베젤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렌즈 유닛(210)의 노출면(A1)이 베젤 유닛(220)에 의해 구획되어 두 개의 점등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나 구조는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실시예의 구조와 차이점이 있는 구성이나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210)은 차량용 램프(200)의 내측에 실장되는 광원부에서 발광되는 광을 투과시켜 차량용 램프(200)의 일면으로 조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광원부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200)의 용도에 적합한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을 발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의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210)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상기 렌즈 유닛(120)과 거의 유사하나, 점등영역 및 베젤 유닛(220)의 형상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을 준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렌즈 유닛(210)의 노출면(A1)은 4개의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노출면(A1)의 4개의 둘레 중 3개의 둘레(상기의 '제2 둘레면'에 해당됨)에는 차폐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출면(A1)의 나머지 1개 둘레 (상기의 제1 둘레면에 해당됨.)에는 차폐면 없이 노출면(A1)으로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출면(A1)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베젤 유닛(220)의 일부(후술하는 '제2 베젤부'에 해당됨)가 배치되어 상기 노출면(A1)을 구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노출면(A1)은 상기 베젤 유닛(220)의 일부에 의해 상, 하로 제1 점등영역(L1) 및 제2 점등영역(L2)의 두 개의 점등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출면(A1)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면, 즉 제1 둘레면에는 베젤 유닛(220)이 비노출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노출면(A1)의 일단부까지 점등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점등영역(L1)의 주변으로 베젤 유닛(220)이 형성되나 적어도 일면은 오픈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점등영역(L2)의 주변으로 베젤 유닛(220)이 형성되나 적어도 일면은 오픈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노출면(A1)의 제2 둘레면, 예컨대 3면에는 상기 베젤 유닛(220)을 안착할 수 있도록 베젤 장착홈(2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 장착홈(211)은 상기 노출면(A1)에서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젤 장착홈(211)은 렌즈 유닛(210)의 둘레의 3면에 형성된 제1 베젤 장착홈(211a)과, 3면 사이로 렌즈 유닛(210)의 노출면(A1) 상에 형성되는 제2 베젤 장착홈(211b)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젤 장착홈(211)은 베젤 유닛(220)이 장착될 수 있도록 노출면(A1)의 둘레 및 노출면(A1)의 소정 위치 상에 인입된 형상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베젤 유닛(220)이 노출면(A1)에서 돌출되게 'E'자 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210)과 상기 베젤 유닛(220)의 맞물림 위치나 결합 구조는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플렉터 유닛(230)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을 준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플렉터 유닛(230)은 상기 베젤 유닛(220)과 결합되는 제1 면(230a)의 형상에서 차이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차이점 만을 이하에서 설명할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 유닛(230)의 제1 면(230a)에는 상기 베젤 유닛(220), 예컨대 후술하는 상기 체결형 베젤부(222)가 인입되어 스냅핏(snap-fit) 결합될 수 있는 걸림핀(232a, 232b)을 형성한 걸림홈(231)이 구비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걸림홈(231)은 후술하는 상기 체결형 베젤부(222)의 형상에 의해 'E'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핀(232a, 232b)은 서로 이웃하여 'E'자 형상의 내측으로 두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형 베젤부(222)가 상기 걸림홈(231)에 안착되면 상기 체결형 베젤부(222)는 상기 걸림핀(232a, 232b)에 의해 상기 걸림홈(231)에서 이탈되지 않고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하였으나, 상기 걸림홈(231)은 후술하는 체결형 베젤부(222)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체결형 베젤부(222)가 걸려 결합 고정될 수 있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형 베젤부(222)가 'E'자 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걸림홈(231)은 'E'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걸림홈(23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체결형 베젤부(222)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얼마든지 형상이나 형태는 변경 가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상기 리플렉터 유닛(230)의 제1 면(230a)으로 두 개의 걸림핀(232a, 232b)이 서로 이웃하여 돌출 형성되어, 상기 걸림핀(232a, 232b)의 주변으로 상기 체결형 베젤부(222)가 걸림에 따라 결합 고정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젤 유닛(220)의 구성도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동일한 설명들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을 준용할 수 잇다. 다만,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젤 유닛(220)은 상기 렌즈 유닛(210)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렌즈 유닛(210)의 노출면(A1) 상에 한줄의 띠처럼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렌즈 유닛(210)의 노출면(A1) 상에서 'E'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베젤 유닛(220)은 렌즈 유닛(210)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면서 실장됨과 아울러 상기 노출면(A1) 외측으로 한 줄 구비되되, 상기 렌즈 유닛(210)의 외측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 둘레면(상술한 연결 부분 및 제1 둘레면에 해당됨.)에는 비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노출면(A1)의 삼면의 둘레면 및 상면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베젤 유닛(220)이 배치되고, 나머지 일면의 테두리는 노출면(A1)을 그대로 노출되면서 상기 베젤 유닛(220)을 비노출되게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비노출면(A2)에 구비되는 베젤 유닛(220)은 상기 리플렉터 유닛(230)과 결합됨에 따라 상기 렌즈 유닛(210)을 지지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베젤 유닛(220)은 메인 베젤부(221a)와 구획 베젤부(221b) 및 체결형 베젤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인 베젤부(221a)는 상기 노출면(A1)의 둘레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베젤부(221a)는 상기 제1 면의 둘레에 구비되되, 상기 제1 면의 둘레 중 적어도 소정의 둘레면을 제외하고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베젤부(221a)는 노출면(A1)의 제1 둘레면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둘레면, 예컨대 상술하였던 연결 부분을 제외한 둘레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베젤부(221b)는 상기 메인 베젤부(221a) 사이로 상기 노출면(A1)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유닛(210)의 노출면(A1)을 두 개의 점등영역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베젤 유닛(220)은 'E'자 형태로 상기 노출면(A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ㄷ'자 형태의 메인 베젤부(221a) 사이로 'ㅡ' 자 형태의 구획 베젤부(221b)가 노출면(A1)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형 베젤부(222)는 상기 메인 베젤부(221a)의 단부 및 상기 구획 베젤부(221b)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체결형 베젤부(222)는 상기 비노출면(A2)에 실장되어 상기 리플렉터 유닛(230)과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체결형 베젤부(222)는 상기 메인 베젤부(221a)의 단부를 연결하며 형성되는 제1 체결베젤(222a)과, 상기 구획 베젤부(221b)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체결베젤(222a)의 소정 위치와 연결되는 제2 체결베젤(222b)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체결베젤(222a)은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체결베젤(222b)은 'ㄷ'자 형상의 제1 체결베젤(222a) 사이로 'ㅡ'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체결형 베젤부(222)는 상기 메인 베젤부(221a)의 단부 및 상기 구획 베젤부(221b)의 단부와 연결되되, 노출면(A1)의 메인 베젤부(221a)에서 밴딩되어 비노출면(A2)에 'E' 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체결형 베젤부(222)는 'E'자 형상의 결합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2 체결베젤(222b)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체결베젤(222b)의 일측에는 제1 체결영역이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2 체결베젤(222b)의 타측에는 상기 제1 체결영역과 이웃하여 제2 체결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제2 실시예에 따른 베젤 유닛(220)의 형상을 보면 노출면(A1)에서 'E'자 형상으로 메인 베젤부(221a)와 구획 베젤부(221b)가 배치되며, 상기 메인 베젤부(221a)와 구획 베젤부(221b)에 따른 'E'자 형상의 단부에 연결되어 비노출면(A2)에서 'E'자 형상의 체결형 베젤부(222)로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노출면(A1)과 상기 비노출면(A2)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는 별도의 베젤 유닛(220)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렌즈 유닛(210)의 노출면(A1)이 차폐되지 않고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광원부에서 발광되는 광은 상기 노출면(A1)과 비노출면(A2) 사이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서도 발광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출면(A1)과 비노출면(A2) 사이에 베젤 유닛(220)이 구비되지 않아도, 비노출면(A2)에서 베젤 유닛(220), 구체적으로 체결형 베젤부(222)가 형성됨에 따라 베젤 유닛(220)의 형태 변형의 발생되지 않으며, 렌즈 유닛(210)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노출면(A2)에 배치된 상기 리플렉터 유닛(230)의 제1 면(230a)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안착되며 상기 결합 돌기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홈(23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홈(231)은 'E'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노출면(A2)에 배치된 상기 리플렉터 유닛(230)의 제1 면(230a)에는 상기 제1 체결영역에 대응되는 위치와 상기 제2 체결영역에 대응되는 위치로 각각 걸림핀(232a, 232b)이 돌출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00)의 결합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210)의 제2 둘레면(상술한 연결부분 이외의 둘레 부분에 해당됨) 및 제2 둘레면 사이로 상기 베젤 유닛(220), 구체적으로 메인 베젤부(221a) 및 구획 베젤부(221b)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베젤 유닛(220)은 상기 렌즈 유닛(210)에 'ㄱ'자 단면을 가지면서 상기 렌즈 유닛(210)의 노출면(A1) 및 비노출면(A2)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베젤 유닛(220)은 상기 렌즈 유닛(210)의 적어도 일면에서 밴딩되어 상기 렌즈 유닛(210)의 노출면(A1) 및 비노출면(A2)의 테두리와 소정 위치를 구획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베젤부(221a) 및 구획 베젤부(221b)는 상기 렌즈 유닛(210)의 제1 방향을 향하는 상기 노출면(A1)에 'E' 자로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체결형 베젤부(222)는 상기 노출면(A1)과 인접하며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향하는 상기 비노출면(A2)에 'E'자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210)의 비노출면(A2)에는 상기 리플렉터 유닛(230)의 제1 면(230a)이 놓여진다. 상기 체결형 베젤부(222)는 상기 리플렉터 유닛(230)의 제1 면(230a) 위에 실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체결형 베젤부(222)는 상기 리플렉터 유닛(230)의 제1 면(230a)을 따라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 끼워지면서 상기 걸림홈(231)에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체결형 베젤부(222)가 걸림홈(231)에 안착되면, 상기 베젤 유닛(220)과 상기 리플렉터 유닛(230) 사이에 상기 렌즈 유닛(210)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 중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200)는, 상기 렌즈 유닛(210)의 노출면(A1)의 삼면이 메인 베젤부(221a)에 의해 차폐됨과 아울러 구획 베젤부(221b)에 의해 노출면(A1)의 상면이 한줄로 차폐됨에 따라 상기 렌즈 유닛(210)은 두 개의 점등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 중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00)를 설명할 수 있다. 제2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상술한 제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이나 구조, 기능 등의 설명은 상술한 설명을 준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차이점이 있는 구성이나 차이점을 나타내기 위해 필요로한 내용을 중심으로 설명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00)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00)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00)의 렌즈 유닛(310)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00)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00)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00)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00)의 비노출면(A2)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00)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00)의 비노출면(A2)을 나타내는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00)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A-A'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00)에서, 제3 실시예에 따른 A-A'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다른 방향 사시도이다.
도 15 내지 도 2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00)는 렌즈 유닛(310), 베젤 유닛(320) 및 리플렉터 유닛(3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00)는 상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00)와 베젤 유닛(320)의 형상에서 차이점이 있다. 예컨대 제1 실시예에 따른 베젤 유닛(320)은 렌즈 유닛(310)의 둘레면, 구체적으로 삼면으로만 형성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제2 실시예에 따른 베젤 유닛(320)은 렌즈 유닛(310)의 둘레면 및 렌즈 유닛(310)의 노출면(A1) 상에 한줄로 구비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이에 따라 제1 실시예의 상기 렌즈 유닛(310)은 하나의 점등 영역을 형성할 수 있고, 제2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310)은 두 개의 점등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젤 유닛(320)은 렌즈 유닛(310)의 둘레면, 구체적으로 삼면 및 상기 렌즈 유닛(310)의 둘레면 사이로 상기 렌즈 유닛(310)을 구획하는 두 개의 베젤을 구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렌즈 유닛(310)의 노출면(A1)이 베젤 유닛(320)에 의해 구획되어 세 개의 점등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한 구성이나 구조는 상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310)은 차량용 램프(300)의 내측에 실장되는 광원부에서 발광되는 광을 투과시켜 차량용 램프(300)의 일면으로 조사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시되진 않았으나, 광원부는 본 발명의 차량용 램프(300)의 용도에 적합한 빔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광을 발광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광원부의 설명은 제1 실시예의 설명을 준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렌즈 유닛(310)은 상술한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의 상기 렌즈 유닛(110, 210)과 거의 유사하나, 점등영역 및 베젤 유닛의 형상에서 차이점이 있다. 따라서 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제1 실시예의 구성을 준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렌즈 유닛(310)의 노출면(A1)은 4개의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노출면(A1)의 4개의 둘레 중 3개의 둘레(상기의 '제2 둘레면'에 해당됨)에는 차폐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출면(A1)의 나머지 1개의 둘레(상기의 '제1 둘레면'에 해당됨.)에는 차폐면 없이 노출면(A1)으로만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출면(A1)의 소정 위치에는 상기 베젤 유닛(320)의 일부(후술하는 '제2 베젤부'에 해당됨)가 배치되어 상기 노출면(A1)을 구획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노출면(A1)은 상기 베젤 유닛(320)의 일부에 의해 상, 하로 제1 점등 영역, 제2 점등 영역 및 제3 점등 영역으로 세 개의 점등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출면(A1)의 둘레면 중 적어도 일면, 즉 제1 둘레면에는 베젤 유닛(320)이 비노출되도록 구비됨에 따라 노출면(A1)의 일단부까지 점등 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점등 영역의 주변으로 베젤 유닛(320)이 형성되나 적어도 일면은 오픈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점등 영역의 주변으로 베젤 유닛(320)이 형성되나 적어도 일면은 오픈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점등 영역의 주변으로 베젤 유닛(320)이 형성되나 적어도 일면은 오픈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출면(A1)의 3면 및 노출면(A1)의 일면에는 상기 베젤 유닛(320)을 안착할 수 있도록 베젤 장착홈(31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 장착홈(311)은 상기 노출면(A1)에서 내측으로 인입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젤 장착홈(311)은 상기 렌즈 유닛(310)의 둘레의 3면에 형성된 제1 베젤 장착홈(311a)과, 3면 사이로 렌즈 유닛(310)의 노출면(A1) 상에 형성되는 두 개의 제2 베젤 장착홈(311b) 및 제3 베젤 장착홈(311c)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베젤 장착홈(311)은 베젤 유닛(320)을 장착할 수 있도록 노출면(A1)의 둘레 및 노출면(A1)의 소정 위치 상에 인입된 형상을 예를 들어 설명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베젤 장착홈(311)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젤 장착홈(311)은 상기 노출면(A1)과 동일 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베젤 유닛(320)은 상기 베젤 장착홈(311)에 안착되면서 상기 노출면(A1)에서 돌출되는 형태로 실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렌즈 유닛(310)과 상기 베젤 유닛(320)의 맞물림 위치나 결합 구조는 얼마든지 변경이나 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플렉터 유닛(330)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상술한 내용을 준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리플렉터 유닛(330)은 상기 베젤 유닛(320)과 결합되는 제1 면(330a)의 형상에서 차이점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차이점 만을 이하에서 설명할 수 있다. 렌즈 유닛(310)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 유닛(330)은 상기 광원부에서 반사된 광을 전측으로 반사하기 위해 반사면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 유닛(330)의 제1 면(330a)은 렌즈 유닛(310)의 비노출면(A2)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플렉터 유닛(330)의 제1 면(330a)에는 상기 베젤 유닛(320), 예컨대 상기 체결형 베젤부(322)가 인입되어 스냅핏(snap-fit) 결합될 수 있는 걸림핀(332a, 332b)을 형성한 걸림홈(331a, 331b)이 구비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걸림홈(331a, 331b)은 후술하는 상기 체결형 베젤부(322)의 형상에 의해 큰 'ㄷ'자 형상의 내측으로 작은 'ㄷ'자 형상이 내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핀(332a, 332b)은 큰 'ㄷ'자 형상과 작은 'ㄷ'자 형상 사이 및 작은 'ㄷ'자 형상의 내측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형 베젤부(322)가 상기 걸림홈(331a, 331b)에 안착되면 상기 체결형 베젤부(322)는 상기 걸림핀(332a, 332b)에 의해 상기 걸림홈(331a, 331b)에서 이탈되지 않고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술하였으나, 상기 걸림홈(331a, 331b)은 후술하는 체결형 베젤부(322)의 형상과 동일하거나 또는 상기 체결형 베젤부(322)가 걸려 결합고정될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체결형 베젤부(322)가 큰 'ㄷ'자 형상의 내측으로 작은 'ㄷ'자 형상이 내포된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걸림홈(331a, 331b)도 상기 체결형 베젤부(322)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걸림홈(331a, 331b)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체결형 베젤부(322)가 걸려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형상이라면 얼마든지 형상이나 형태는 변경 가능할 것이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젤 유닛(220)의 구성도 상술한 제1 실시예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동일한 설명들은 상술한 제1 실시예의 설명을 준용할 수 잇다. 다만, 제2 실시예에 따른 상기 베젤 유닛(320)은 상기 렌즈 유닛(310)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도록 구비됨과 아울러 상기 렌즈 유닛(310)의 노출면(A1) 상에 두줄의 띠처럼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메인 베젤부(321a)는 상기 렌즈 유닛(310)의 노출면(A1) 상에서 사지창(four-pronged spear)형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젤 유닛(320)은 상기 렌즈 유닛(310)을 지지하면서 외측 테두리 부분에서 불필요한 광원의 광이 조사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으며, 또한, 렌즈 유닛(310)의 외측 테두리 부분에서 반사된 광이 불필요한 방향으로 진행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제3 실시예에 따른 베젤 유닛(320)은 렌즈 유닛(310)의 외측 테두리를 감싸면서 실장됨과 아울러 상기 노출면(A1) 외측으로 한 줄 구비되되, 상기 렌즈 유닛(310)의 외측 테두리 중 적어도 일부 둘레면(에: 제1 둘레면)에는 비노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노출면(A1)의 삼면의 상측 둘레면 및 상면의 소정위치에는 상기 베젤 유닛(320)이 배치되고, 나머지 일면의 상측 테두리는 노출면(A1)을 그대로 노출되면서 상기 베젤 유닛(320)이 비노출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노출되는 부분으로 구비되는 베젤 유닛(320)은 상기 리플렉터 유닛(330)과 결합됨에 따라 상기 렌즈 유닛(310)을 지지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베젤 유닛(320)은 메인 베젤부(321a)와 구획 베젤부(321b) 및 체결형 베젤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메인 베젤부(321a)는 상기 노출면(A1)의 둘레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인 베젤부(321a)는 상기 노출면(A1)의 둘레에 구비되되, 상기 노출면(A1)의 둘레 중 적어도 소정의 둘레면을 제외하고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 베젤부(321a)는 노출면(A1)의 제1 둘레면을 제외한 나머지 제2 둘레면(예: 삼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획 베젤부(321b)는 상기 메인 베젤부(321a) 사이로 두 줄로 상기 노출면(A1)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유닛(310)의 노출면(A1)을 세 개의 점등영역(L1, L2, L3)으로 구획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베젤 유닛(320)은 사지창 형태로 상기 노출면(A1)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즉, 'ㄷ'자 형태의 메인 베젤부(321a) 사이로 '=' 자 형태의 구획 베젤부(321b)가 노출면(A1)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체결형 베젤부(322)는 상기 메인 베젤부(321a)의 단부 및 상기 구획 베젤부(321b)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고, 상기 제2 면에 실장되어 상기 리플렉터 유닛(330)과 결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베젤부(321a)의 단부를 연결하며 'ㄷ'자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체결베젤(322a)과, 상기 구획 베젤부(321b)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ㄷ'자 형태의 상기 제1 체결베젤(322a)의 내측으로 작은 'ㄷ'자 형태의 제2 체결베젤(322b)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체결베젤(322a)은 상대적으로 큰 'ㄷ'자 형상의 외측 걸림돌기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체결베젤(322b)은 큰 'ㄷ'자 형상의 제1 체결베젤(322a)의 내측으로 'ㄷ'자 형태의 내측 결합돌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 체결베젤(322a)과 상기 제2 체결베젤(322b) 사이로 상기 제1 체결베젤(322a)을 통한 제1 체결 영역과, 상기 제2 체결베젤(322b)을 통한 제2 체결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제3 실시예에 따른 베젤 유닛(320)의 형상을 보면 상기 노출면(A1)에서 사지창 형상으로 상기 메인 베젤부(321a)와, 상기 구획 베젤부(321b)가 배치되며, 상기 비노출면(A2)에서 상기 메인 베젤부(321a)와 상기 구획 베젤부(321b)의 단부와 각각 연결되어 두 개의 'ㄷ'자 형태가 서로 포개지는 형태로 사익 체결형 베젤부(3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노출면(A1)과 상기 비노출면(A2) 사이의 모서리 부분에는 별도의 상기 베젤 유닛(320)이 형성되지 않으며, 상기 렌즈 유닛(310)의 노출면(A1)이 차폐되지 않고 그대로 노출됨에 따라 상기 광원부에서 발광되는 광은 상기 노출면(A1)과 상기 비노출면(A2) 사이의 모서리 부분을 통해서도 발광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노출면(A1)과 상기 비노출면(A2) 사이에 상기 베젤 유닛(320)이 구비되지 않아도, 상기 비노출면(A2)에서 베젤 유닛(320), 구체적으로 상기 체결형 베젤부(322)가 형성됨에 따라 베젤 유닛(320)의 형태 변형의 발생되지 않으며, 상기 렌즈 유닛(310)을 감싸도록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비노출면(A2)에 배치된 상기 리플렉터 유닛(330)의 제1 면(330a)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안착되며 상기 결합 돌기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홈(331a, 331b)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걸림홈(331a, 331b)은 상기 제1 체결베젤(322a)과 상기 제2 체결베젤(322b)에 대응되는 위치에 제1 및 제2 체결베젤(322a, 322b)과 대응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체결베젤(322a)과 제2 체결베젤 사이의 제1 체결 영역으로 걸림핀(332a, 332b)이 돌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제2 체결 베젤을 통한 제2 체결 영역으로 다른 걸림핀(332a, 332b)이 돌출되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술한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00)의 결합동작을 설명할 수 있다. 상기 렌즈 유닛(310)의 제2 둘레면(상술한 연결부분 이외의 둘레 부분에 해당됨.) 및 제2 둘레면 사이로 상기 베젤 유닛(320), 구체적으로 메인 베젤부(321a) 및 구획 베젤부(321b)가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베젤 유닛(320)은 상기 렌즈 유닛(310)에 'ㄱ'자 단면을 가지면서 상기 렌즈 유닛(310)의 노출면(A1) 및 비노출면(A2)으로 안착될 수 있다. 상기 베젤 유닛(320)은 상기 렌즈 유닛(310)의 적어도 일면에서 밴딩되어 상기 렌즈 유닛(310)의 노출면(A1) 및 비노출면(A2)의 테두리와 소정 위치를 구획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메인 베젤부(321a) 및 구획 베젤부(321b)는 상기 렌즈 유닛(310)의 제1 방향을 향하는 상기 노출면(A1)에 사지창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체결형 베젤부(322)는 상기 노출면(A1)과 인접하며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제2 방향을 향하는 상기 비노출면(A2)으로 서로 다른 크기의 'ㄷ'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체결형 베젤부(322)는 상기 렌즈 유닛(310)의 비노출면(A2)에 위치되는 상기 리플렉터 유닛(330)의 제1 면(330a)이 놓여진다. 상기 체결형 베젤부(322)는 상기 리플렉터 유닛(330)의 제1 면(330a)을 따라 소정의 탄성력에 의해 밀려 끼워지면서 상기 걸림홈(331a, 331b)에 맞물릴 수 있다. 상기 체결형 베젤부(322)가 걸림홈(331a, 331b)에 안착되면, 상기 베젤 유닛(320)과 상기 리플렉터 유닛(330) 사이에 상기 렌즈 유닛(310)이 결합 고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 중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300)는, 상기 렌즈 유닛(310)의 노출면(A1)의 삼면이 메인 베젤부(321a)에 의해 차폐됨과 아울러 구획 베젤부(321b)에 의해 노출면(A1)의 상면이 두 줄로 차폐됨에 따라 상기 렌즈 유닛(310)은 세 개의 점등 영역이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하였듯이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 200, 300)는, 비노출면(A2)으로 베젤 유닛(120, 220, 320)을 실장하고 비노출면(A2)에서 상기 리플렉터 유닛(130, 230, 330)과 결합됨에 따라 베젤 유닛(120, 220, 320)이 렌즈 유닛(110, 210, 310)의 전체 둘레면에 형성되지 않아도 각 구성간의 결합 신뢰도는 물론 이들의 형태나 형상의 변형에 대한 신뢰도도 향상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 유닛(110, 210, 310)의 나머지 일면은 차폐되지 않고 노출됨에 따라 광원부에서 발광되는 광이 렌즈 유닛(110, 210, 310)의 일면에서 차폐되지 않고 발광될 수 있다. 예컨대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100, 200, 300)가 서로 인접하게 두 개가 연결되는 구조를 가지는 경우, 두 개의 차량용 램프(100, 200, 300)는 일측의 렌즈 유닛(310)의 노출면(A1)과, 다른 측의 렌즈 유닛(110, 210, 310)의 노출면(A1)이 연결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광원부에서 광이 조사되어도 마치 일체형의 광원부에서 광이 조사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차량용 램프(100, 200, 300)의 연결되는 부분에서 베젤 유닛(120, 220, 320)이 제외됨에 따라 시각적으로 일체형의 차량용 램프(100, 200, 300)로 보일 수 있어 심미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급스러움을 지향할 수 있다.
상기 제1 실시예 내지 제3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램프는 측면, 즉 비노출면으로 베젤 유닛이 리플렉터 유닛이 체결되면서 별도의 체결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호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부품 수가 감소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조립성이 향상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300: 차량용 램프
110, 210, 310: 렌즈 유닛
120, 220, 320: 베젤 유닛
130, 230, 330: 리플렉터 유닛
130a, 230a, 330a: 리플렉터 유닛의 제1 면
A1: 노출면
A2: 비노출면

Claims (12)

  1. 제1 면을 통해 발광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렌즈 유닛;
    상기 렌즈 유닛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며 상기 렌즈 유닛을 고정하는 베젤 유닛; 및
    상기 렌즈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플렉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 유닛은 상기 렌즈 유닛의 외측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 둘레면에서 상기 렌즈 유닛의 상기 제1 면과 다른 방향을 가지며 비노출되는 제2 면에 실장되며 상기 리플렉터 유닛과 결합되는 체결형 베젤부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형 베젤부와 상기 리플렉터 유닛의 결합에 따라 상기 렌즈 유닛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렌즈 유닛의 상기 일부 둘레면은 상기 베젤 유닛이 비 노출되어 상기 렌즈 유닛의 단부까지 점등영역을 형성하는 차량용 램프.
  2. 삭제
  3. 제1 면을 통해 발광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렌즈 유닛;
    상기 렌즈 유닛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며 상기 렌즈 유닛을 고정하는 베젤 유닛; 및
    상기 렌즈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플렉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 유닛은 상기 렌즈 유닛의 외측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 둘레면에서 상기 렌즈 유닛의 상기 제1 면과 다른 방향을 가지며 비노출되는 제2 면에 실장되며 상기 리플렉터 유닛과 결합되는 체결형 베젤부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형 베젤부와 상기 리플렉터 유닛의 결합에 따라 상기 렌즈 유닛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베젤 유닛은,
    상기 제1 면의 둘레에 구비되어 상기 렌즈 유닛을 하나의 점등 영역을 가지도록 구비되는 메인 베젤부; 및
    상기 메인 베젤부와 연결되며 상기 제2 면에 실장되어 상기 리플렉터 유닛과 결합되는 상기 체결형 베젤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형 베젤부는 'ㄷ'자 형상의 결합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비노출면에 배치된 상기 리플렉터 유닛의 제1 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안착되며 상기 결합 돌기가 걸려 고정되는 걸림 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5. 제1 면을 통해 발광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렌즈 유닛;
    상기 렌즈 유닛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며 상기 렌즈 유닛을 고정하는 베젤 유닛; 및
    상기 렌즈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플렉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 유닛은 상기 렌즈 유닛의 외측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 둘레면에서 상기 렌즈 유닛의 상기 제1 면과 다른 방향을 가지며 비노출되는 제2 면에 실장되며 상기 리플렉터 유닛과 결합되는 체결형 베젤부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형 베젤부와 상기 리플렉터 유닛의 결합에 따라 상기 렌즈 유닛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베젤 유닛은,
    상기 노출면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메인 베젤부;
    상기 메인 베젤부 사이로 상기 노출면에 배치되어 상기 렌즈 유닛의 노출면을 두 개의 점등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 베젤부; 및
    상기 메인 베젤부의 단부 및 상기 구획 베젤부의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비노출면에 구비되어 상기 리플렉터 유닛과 결합되는 상기 체결형 베젤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형 베젤부는,
    상기 메인 베젤부의 단부를 연결하며 형성되는 제1 체결베젤과,
    상기 구획 베젤부의 단부에서 연장되며 상기 제1 체결베젤의 소정 위치와 연결되는 제2 체결베젤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결베젤을 중심으로 상기 제2 체결베젤의 일측에는 제1 체결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제2 체결베젤의 타측에는 상기 제1 체결영역과 이웃하여 제2 체결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비노출면에 배치된 상기 리플렉터 유닛의 제1 면은 상기 제1 체결 영역 및 상기 제2 체결영역에 걸려 고정되는 차량용 램프.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형 베젤부는 'E'자 형상의 결합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비노출면에 배치된 상기 리플렉터 유닛의 제1 면에는 상기 결합 돌기가 안착되며 상기 결합 돌기가 걸려 고정되는 'E' 자 형상의 걸림 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9. 제1 면을 통해 발광되는 광을 투과시키는 렌즈 유닛;
    상기 렌즈 유닛의 외측 둘레면을 감싸며 상기 렌즈 유닛을 고정하는 베젤 유닛; 및
    상기 렌즈 유닛의 후방에 배치되는 리플렉터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베젤 유닛은 상기 렌즈 유닛의 외측 둘레면 중 적어도 일부 둘레면에서 상기 렌즈 유닛의 상기 제1 면과 다른 방향을 가지며 비노출되는 제2 면에 실장되며 상기 리플렉터 유닛과 결합되는 체결형 베젤부를 구비하며,
    상기 체결형 베젤부와 상기 리플렉터 유닛의 결합에 따라 상기 렌즈 유닛이 고정 결합되고,
    상기 베젤 유닛은,
    상기 노출면의 둘레면에 구비되는 메인 베젤부;
    상기 메인 베젤부 사이로 상기 노출면에 두 줄로 배치되어 상기 렌즈 유닛의 노출면을 세 개의 점등영역으로 구획하는 구획 베젤부; 및
    상기 메인 베젤부의 단부 및 상기 구획 베젤부의 단부와 연결되며 상기 비노출면에 구비되어 상기 리플렉터 유닛과 결합되는 상기 체결형 베젤부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형 베젤부는,
    상기 메인 베젤부의 단부를 연결하며 형성되는 제1 체결베젤과,
    상기 구획 베젤부의 단부를 연결하며 상기 제1 체결베젤 내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베젤을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베젤과 상기 제2 체결베젤 사이로 상기 제1 체결베젤을 통한 제1 체결 영역과, 상기 제2 체결베젤을 통한 제2 체결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비노출면에 배치된 상기 리플렉터 유닛의 제1 면은 상기 제1 체결 영역 및 상기 제2 체결 영역에 걸려 고정되는 차량용 램프.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결베젤은 'ㄷ'자 형상의 외측 결합돌기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체결베젤은 'ㄷ'자 형상으로 외측 결합돌기의 내측으로 소정 이격되는 내측 결합돌기로 형성되며,
    비노출면에 배치된 상기 리플렉터 유닛의 제1 면에는 상기 외측 결합돌기가 안착되며 상기 외측 결합돌기를 걸어 고정하는 'ㄷ'자 형상의 외측 걸림 홈과, 상기 내측 결합돌기가 안착되며 상기 내측 결합돌기를 걸어 고정하는 'ㄷ'자 형상의 내측 걸림 홈이 형성되는 차량용 램프.
KR1020170184330A 2017-12-29 2017-12-29 차량용 램프 KR101987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330A KR101987289B1 (ko) 2017-12-29 2017-12-29 차량용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4330A KR101987289B1 (ko) 2017-12-29 2017-12-29 차량용 램프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7289B1 true KR101987289B1 (ko) 2019-06-11

Family

ID=668471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330A KR101987289B1 (ko) 2017-12-29 2017-12-29 차량용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7289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698B1 (ko) 2001-12-10 2008-01-21 젠텍스 코포레이션 조명, 전조등, 제어가능한 전조등, 및 차량용 외부등을 제어하는 장치 및 전방 조명 제어 방법
KR20140133063A (ko) * 2013-05-09 2014-11-1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170001109U (ko) * 2015-09-16 2017-03-2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6698B1 (ko) 2001-12-10 2008-01-21 젠텍스 코포레이션 조명, 전조등, 제어가능한 전조등, 및 차량용 외부등을 제어하는 장치 및 전방 조명 제어 방법
KR20140133063A (ko) * 2013-05-09 2014-11-19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170001109U (ko) * 2015-09-16 2017-03-24 에스엘 주식회사 차량용 램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11035B2 (en) Vehicle lighting fixture
US7572041B2 (en) Vehicle lamp
KR20190068808A (ko) 차량의 루프 간접조명 구조
KR20150131787A (ko) 차량용 램프
KR101987289B1 (ko) 차량용 램프
CN220338283U (zh) 车辆用灯具
KR101555858B1 (ko) 차량용 헤드 램프
KR101959804B1 (ko) 차량용 램프
KR20140133063A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101863787B1 (ko) 차량용 램프
KR20230125567A (ko) 램프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차량용 램프
KR101917209B1 (ko) 차량용 램프
KR200482941Y1 (ko) 차량용 램프 어셈블리
KR200481980Y1 (ko) 차량용 램프
KR20160148354A (ko) 차량용 램프
KR200494307Y1 (ko) 차량용 램프
KR200483319Y1 (ko) 차량용 램프
CN112443813B (zh) 车辆用标识灯
KR20190081726A (ko) 차량용 램프
JP2019139932A (ja) 車両用灯具
CZ2017385A3 (cs) Signální svítilna pro motorová vozidla
KR200483557Y1 (ko) 차량용 램프
KR20180136313A (ko) 차량용 램프
US20050018442A1 (en) Vehicle lamp with a shield having a double directional illumination structure
KR20180056952A (ko) 차량용 램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