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69138B1 -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69138B1
KR101969138B1 KR1020170180122A KR20170180122A KR101969138B1 KR 101969138 B1 KR101969138 B1 KR 101969138B1 KR 1020170180122 A KR1020170180122 A KR 1020170180122A KR 20170180122 A KR20170180122 A KR 20170180122A KR 101969138 B1 KR101969138 B1 KR 1019691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e
bundle
drone
opening
w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01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염길동
Original Assignee
염길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염길동 filed Critical 염길동
Priority to KR10201701801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691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691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691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installing, maintaining, repairing or dismantling electric cables or lines for overhead lin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39/00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39/02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 B64C39/024Aircraft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pecial use of the remote controlled vehicle type, i.e. RPV
    • B64C2201/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UUNMANNED AERIAL VEHICLES [UAV]; EQUIPMENT THEREFOR
    • B64U2101/00UAV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or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시스템은 일단에 하강추가 부착된 선로를 일정 길이 감아 고정하는 개폐식 묶음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드론, 상기 선로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드론에 상기 선로를 공급하는 선로공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방법 및 시스템{System and Method for arraying a live wire using Drone}
본 발명은 드론을 이용한 전선 가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배전선로 및 통신선로에 대한 가선이나 교체를 위한 가선방법으로는 선로작업 구간 내의 각 전주 및 통신주마다 작업자들이 지상과 주상에 각각 배치된 상태에서 지상작업자가 교체전선을 주상작업자가 갖고 있는 로프(rope)에 묶어주면 주상작업자가 이 로프를 끌어올린 후에 완금에 설치된 애자에 고정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작업자들이 전주(통신주)단위로 지상과 주상에 각각 배치되어야 하고 상기한 작업을 전주(통신주)에 설치된 배전선로 및 통신선로들 마다 반복 실시해야 할 뿐만 아니라, 지상의 교체전선을 주상으로 일일이 끌어올리고 전주(통신주)와 전주(통신주) 사이에 설치된 교체전선이 팽팽한 상태를 유지하도록 큰 힘으로 당겨주어야 하는 등 모든 작업을 대부분 인력에 의존해야 하므로 다수의 작업인력이 요구됨은 물론 작업성 및 안전성이 매우 취약한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개선방안으로, 전력신기술 9호의 다기능 다가선공법이 제안되었다. 전력신기술 9호의 다기능 다가선공법은 배전공사시 가선장치를 이용하여 배전선(통신케이블)의 2~4선 동시가선(연선 및 긴선) 및 동시 교체가 가능한 장치 및 공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전력신기술 9호의 다기능 다가선공법을 이용하는 경우에도 작업자들이 견인용 로프를 바닥에 펴고, 다시 작업자들이 로프를 전주로 올려 장주에 거치해야 하는 문제점과 특고압 전선을 가선하기 위해 요구되는 준비 로프 가선시간이 긴 문제점이 여전히 있다.
KR10-1443255B1
본 발명에서는 배전선로 및 통신선로에 대한 가선이나 교체를 위해 작업자들이 로프를 바닥에 펴고 전주로 올리는 수고를 줄이고, 또한 특고압 전선을 가선하기 위해 요구되는 준비 로프 가선시간을 줄이고자 한다. 또한, 작업자들이 로프를 설비함으로써 발생하던 안전 사고의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시스템은 일단에 하강추가 부착된 선로를 일정 길이 감아 고정하는 개폐식 묶음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드론; 상기 선로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드론에 상기 선로를 공급하는 선로공급부; 상기 선로공급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식 걸이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식 걸이 각각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식 묶음부가 각각 대응되도록 선로가 연결되어, 상기 선로의 일단은 상기 개폐식 묶음부에 연결되고 상기 선로의 타단은 상기 회전식 걸이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드론은 전주 사이를 비행하며, 상기 전주의 완금에 상기 선로를 거치할 때 상기 회전식 걸이가 회전되어 선로가 풀리면서 상기 드론의 비행방향으로 상기 선로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드론이 기설정된 위치에 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전주의 완금에 상기 선로를 거치하는 작업을 종료하면, 상기 드론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식 묶음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오픈하여 각각의 개폐식 묶음부에 감겨 있던 상기 일정 길이의 선로를 풀어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하강추는 하향풍에 저항이 가능한 무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상기 개폐식 묶음부에 감겨있는 상기 일정 길이의 선로는 상기 전주의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시스템은 상기 드론이 이륙할 수 있는 이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방법은 드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식 묶음부에서 일단에 하강추가 부착된 선로를 일정 길이 감아 고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식 묶음부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식 걸이에 상기 선로의 타단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드론이 이륙부에서 이륙하여 전주 사이를 비행하며, 상기 전주의 완금에 상기 선로를 거치하는 단계; 상기 회전식 걸이가 회전되어 선로가 풀리면서 상기 드론의 비행방향으로 상기 선로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단계;및 기설정된 위치에 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전주의 완금에 상기 선로를 거치하는 작업을 종료하면, 상기 드론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식 묶음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오픈하여 각각의 개폐식 묶음부에 감겨 있던 상기 일정 길이의 선로를 풀어내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식 묶음부에 감겨 있던 상기 일정 길이의 선로는 끝부분에 하강추가 부착되어 하향풍에 저항하며 자유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드론을 이용하여 작업자가 직접 선로를 이송하여 지상으로 선로를 가설하는 경우 발생하는 인건비와 오랜 작업 시간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또한, 작업자가 직접 선로를 이송할 때 지형지물에 의해 선로를 가설할 수 없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드론을 이용하여 전주간 배선 작업을 수행함으로써 작업 시간을 단축하고, 지형지물에 관계없이 설치가 가능하며, 원하는 시간에 언제든지 작업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의 내부 구성도 및 드론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 내지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에서 이용하는 지지대에 개폐식 묶음부가 부착된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 내지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을 이용하여 전선을 가선하는 시스템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주향 경사 측정용 드론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단지 예시로 제시하는 것이며, 본 기술 사상을 통해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예가 있을 수 있다.
도 1 내지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의 내부 구성도 및 드론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도 1 내지 2를 참고하면 드론(100, 200)은 비행 가능한 비행 본체(110, 210), 비행 본체(110, 210)에 탑재되어 주변을 촬영하는 영상촬영장치(120, 220), 비행 본체에 탑재된 통신 모듈(130, 230),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식 묶음부(140),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식 묶음부(140)가 부착되는 지지대(270) 그리고 비행 본체의 비행 동작을 제어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식 묶음부(140) 각각의 동작을 개별적 또는 집합적으로 제어하며, 영상촬영장치에서 촬영한 영상을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전송하는 제어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드론은 비행 본체의 기울어짐 등을 감지할 수 있는 라이더 센서 등을 포함하는 센서부(150, 250), GPS를 획득하는 GPS부(160, 260)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구성 요소의 기능은 아래와 같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영상촬영장치(120, 220)는 드론의 배선 과정을 촬영하며, 특히 드론에서 전주의 완금에 준비로프를 거치할 때 거치 과정을 촬영하여 제어부(170)를 통해 촬영 영상을 사용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영상촬영장치(120, 220)는 비행본체(110, 210)의 프로펠러에 부착되거나 또는 비행본체의 본체 하부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 외에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위치에 부착이 가능하다. 비행본체(110, 210)에 복수 개의 영상촬영장치가 부착된 경우, 각각의 영상촬영장치의 촬영 각도 등을 상이하게 설정이 가능하다.
통신모듈(130, 230)은 사용자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고, 또한 드론 비행 중 획득하는 GPS 데이터, 센서 데이터, 영상 데이터 등을 사용자에게 송수신하도록 구현된다. 통신모듈(130, 230)은 RF통신, 초단파(VHF) 모뎀, 무선 인터넷 포로토콜(WiFi), 인공위성통신 모뎀 등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은 개폐식 묶음부(140)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으며, 또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식 묶음부가 배치되는 지지대(2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대(270)는 지지대부착부(271)를 통해 비행본체(210)에 부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지지대(270)는 도 3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고정된 형태로 고정된 길이이거나 또는 도 4 에 도시된 일 예와 같이 지지대의 길이를 늘이고 줄일 수 있는 형태(411, 412)일 수 있다. 상세 내용은 도 3 내지 4를 참고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센서부(150, 250)는 라이더센서, 적외선 센서, 초음파 센서 그 외 다양한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센서부(150, 250)에서는 라이더 센서 등을 이용하여 드론의 기울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부(150, 250)는 드론이 지지대(도 2, 270)를 부착한 채 이동하는 경우, 비행본체 또는 지지대(도 2, 270)가 장애물에 걸리거나 또는 지지대에 장착된 로프 무게의 불균형 등으로 인해 드론의 비행 본체(110, 210)가 기울어져 로프를 완금에 제대로 거치하기 어려운 경우 또는 비행이 어려운 경우 등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150, 250)는 초음파 센서 내지 적외선 센서 등을 이용하여 물체로부터 반사되는 거리를 측정할 수 있고, 물체의 움직임 방향을 인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드론이 전주의 완금에 준비로프를 거치하고자 할 때, 주변에 물체가 검출되는 경우 센서부(150, 250)에서는 물체의 움직임 방향을 인지하여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GPS부(160, 260)는 드론(100,200)의 GPS 위치를 검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100, 200)은 강, 바다, 산, 재난 발생 지역 등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도 전주와 전주 사이에 배전선을 배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5에 개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드론(100, 200)을 직접 비행하거나 또는 드론(100, 200)의 비행경로를 사전에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드론(100, 200)의 비행경로를 사전에 설정하는 경우, 사용자는 드론(100, 200)이 착지해야할 전주의 위치, 드론(100, 200)이 비행하여야 하는 경로의 GPS 위치 등을 사전에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또한 GPS부(160,260)로부터 파악되는 드론(100,200)의 GPS 위치를 기초로 드론의 비행경로가 적합한지 확인할 수 있다.
도 3 내지 4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개폐식 묶음부가 부착되는 지지대를 도시한다. 도 3 은 고정 길이의 지지대를, 도 4 는 가변 길이의 지지대를 각각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지지대(300, 400)는 개폐식 묶음부(320, 330, 420, 430, 440)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할 수 있다. 도 3 의 일 예를 참고하면, 개폐식 묶음부(320)는 일단에 하강추(321)가 부착된 선로를 일정 길이 감아 고정한다. 개폐식 묶음부(320)는 전주 길이를 초과하는 만큼 선로를 감아 묶어놓을 수 있다. 개폐식 묶음부(320)에 묶여 있는 선로의 타단(도 5, 522 참고)은 선로식공급부의 회전식 걸이에 연결되며, 드론의 비행방향을 따라 선로를 공급한다.
드론은 전주와 전주 사이를 비행하며 배선작업을 모두 수행한 후, 기설정된 위치 또는 마지막 전주의 위치에서 개폐식 묶음부(320)를 오픈하여 개폐식 묶음부에 묶여 있던 기설정된 길이의 선로(322)를 낙하시킨다. 개폐식 묶음부(320)는 모터를 구비하여 일정 길이만큼 감겨 있던 선로(322)를 풀어낼 수 있다. 선로의 끝부분에 있는 하강추(321)는 하향풍에 저항하며 선로가 자유낙하하도록 구현된다. 하강추(321)는 탄성도를 지닌 재질, 고무 등의 소재로 제작이 가능하며, 하향풍에 저항이 가능한 무게로 제작된다.
도 3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개폐식 묶음부가 부착되는 고정 길이의 지지대(300)의 일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고정 길이의 지지대(300)는 개폐식 묶음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할 수 있다
지지대(300)는 중앙점을 기준으로 지지대 부착부(310)를 통해 드론에 부착된다. 지지대 부착부(310)는 드론의 무게 중심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어느 위치에든 부착되도록 변형인 가능하다.
지지대(300)는 지지대부착부(310)를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에 탈착부(300a, 300b, 300c, 300d, 310a, 310b, 310d, 310e)를 더 구비할 수 있다. 탈착부(300a, 300b, 300c, 300d, 310a, 310b, 310d, 310e)는 지지대(300) 내에 개폐식 묶음부를 부착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개폐식 묶음부가 배치되어야 할 자리를 안내하는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탈착부탈착부(300a, 300b, 300c, 300d, 310a, 310b, 310d, 310e)는 전주의 완금 간격에 대응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 에는 2개의 개폐식 묶음부가 지지대(300)에 부착된 일 예를 도시되어 있다. 제 1 개폐식 묶음부(320)는 지지대(300)의 좌측 자리에 배치되고, 제 2 개폐식 묶음부(330)는 지지대(300)의 우측 자리에 배치되어 있다. 제 1 개폐식 묶음부(320)와 제 2 개폐식 묶음부(330) 간의 간격 내지 각 개폐식 묶음부의 위치는 전주의 완금의 간격 내지 위치에 따라 상이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4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적어도 하나의 개폐식 묶음부가 부착되는 가변형 길이의 지지대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 에 도시된 지지대(400)는 가변형의 길이를 갖는다. 지지대(400)는 중앙점(410a)을 기준으로 지지대 부착부(410)를 통해 드론에 부착된다. 지지대 부착부(410)는 드론의 무게 중심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드론의 어느 위치에든 부착되도록 변형이 가능하다.
도 4 에 도시된 가변형 길이의 지지대(400)는 알루미늄 등의 소재로 제작되어 길이를 늘이거나 줄일 수 있도록(411, 412) 구현된다. 도 4를 참고하면, 우측에 개폐식 묶음부가 2 개(430, 440) 배치되고, 좌측에 개폐식 묶음부가 1 개(420)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개폐식 묶음부에 묶여 있는 로프의 무게 등으로 인하여 지지대(400)의 좌측과 우측의 균형이 잡히지 않을 수 있으며, 드론의 무게가 가벼운 경우 지지대(400)의 불균형으로 인해 비행이 어려운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는, 드론에 배치되는 개폐식 묶음부의 무게를 반영하여 지지대의 좌측과 지지대의 우측이 균형이 잡히도록 지지대(400) 좌측(412)과 지지대(400) 우측(411)의 길이를 각각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지지대(400)의 길이를 조정하는 것 외에 지지대(400)에 배치되는 탈착부(미 도시)의 위치를 추가로 조정하여 지지대(400)의 균형을 맞출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을 이용하여 전선을 가선하는 시스템도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시스템(500)은 드론(530)과 선로공급부(510a,510b,510c)를 포함한다. 또한, 드론이 이륙할 수 있는 이륙부(520)를 더 포함한다.
드론(530)을 이용하여 전선을 가선하는 시스템(500)은 드론을 이륙부(520)에 위치시키고, 드론(530)의 지지대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개폐식묶음부 각각(580a, 580b, 580c)과 선로공급부를 구성하는 회전식 걸이(511a, 511b, 511c) 각각이 대응하도록 연결한다.
도 5 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하면, 드론에 3개의 개폐식묶음부(580a, 580b, 580c)가 부착되어 있다. 이 경우, 제 1 개폐식묶음부(580a)에 묶여있는 선로의 일단은 제1 회전식걸이(511a)에 연결되고, 제 2 개폐식묶음부(580b)에 묶여있는 선로의 일단은 제2 회전식걸이(511b)에 연결되며, 제 3 개폐식묶음부(580c)에 묶여있는 선로의 일단은 제3 회전식걸이(511c)에 연결되도록 구현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회전식 걸이(511a, 511b, 511c) 각각은 폭 760mm, 외경800~1600mm규격의 드럼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고, 회전롤러를 이용하여 선로를 감거나 풀어낼 수 있으며, 회전롤러는 써포트 실린더에 의해 좌우 이동 및 상,하 작동되며, 회전롤러의 구동부는 유압모터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회전롤러의 전선장력이 1.5ton을 초과하면 회전식 걸이의 구동이 정지하도록 설계가 가능하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일 뿐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함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을 이용하여 배선을 수행하는 사용자는 개폐식 묶음부(580a, 580b, 580c)가 부착된 드론을 비행하여, 각 전주(550a, 550b, 550c)의 완금에 선로가 거치되도록 드론을 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드론에서 전선의 배치를 완료하거나 또는 기설정된 위치에 도달한 경우, 개폐식 묶음부(580a, 580b, 580c)를 오픈하여 개폐식 묶음부(580a, 580b, 580c)에 감겨 있던 전주 길이 이상의 선로를 아래로 자유낙하시킨다. 이 경우, 개폐식 묶음부(580a, 580b, 580c)는 개폐식 묶음부(580a, 580b, 580c)를 오픈하며 개폐식 묶음부(580a, 580b, 580c) 각각에 부착된 하강추(590a, 590b, 590c)를 하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을 이용하여 배선을 수행하는 사용자는 개폐식 묶음부(580a, 580b, 580c)가 부착된 드론을 사용자가 기입력한 또는 기설정된 비행경로를 따라 자율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드론에 전주(550a, 550b, 550c)의 GPS위치를 입력한다. 특히, 전주와 전주 사이가 500m 이상으로 먼 경우, 전주와 전주 사이에 강, 바다, 다리, 재난 지형 등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 이용될 수 있다.
도 6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로서, 드론을 이용하여 전주(550a)의 장주(560a, 561a, 562a) 위에 준비로프를 배선한 일 예를 도시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200 드론
210 비행 본체
220 영상촬영장치
270, 300, 400 지지대
271 지지대부착부
540, 542, 546 개폐식 묶음부
541, 543, 545 하강추

Claims (9)

  1. 일단에 하강추가 부착된 선로를 일정 길이 감아 고정하는 개폐식 묶음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는 드론;
    상기 선로의 타단에 연결되고, 상기 드론에 상기 선로를 공급하는 선로공급부;
    상기 선로공급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식 걸이를 구비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식 걸이 각각과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식 묶음부가 각각 대응되도록 선로가 연결되어, 상기 선로의 일단은 상기 개폐식 묶음부에 연결되고 상기 선로의 타단은 상기 회전식 걸이에 연결되며,
    상기 개폐식 묶음부에 감겨있는 상기 일정 길이의 선로는 상기 전주의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은 전주 사이를 비행하며, 상기 전주의 완금에 상기 선로를 거치할 때 상기 회전식 걸이가 회전되어 선로가 풀리면서 상기 드론의 비행방향으로 상기 선로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상기 드론이 기설정된 위치에 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전주의 완금에 상기 선로를 거치하는 작업을 종료하면, 상기 드론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식 묶음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오픈하여 각각의 개폐식 묶음부에 감겨 있던 상기 일정 길이의 선로를 풀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식 묶음부에 감겨 있던 상기 일정 길이의 선로는 끝부분에 하강추가 부착되어 하향풍에 저항하며 자유낙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시스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강추는 하향풍에 저항이 가능한 무게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시스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드론이 이륙할 수 있는 이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시스템.
  7. 드론에 구비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식 묶음부에서 일단에 하강추가 부착된 선로를 일정 길이 감아 고정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식 묶음부에 각각 대응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회전식 걸이에 상기 선로의 타단을 연결하는 단계;
    상기 드론이 이륙부에서 이륙하여 전주 사이를 비행하며, 상기 전주의 완금에 상기 선로를 거치하는 단계;
    상기 회전식 걸이가 회전되어 선로가 풀리면서 상기 드론의 비행방향으로 상기 선로의 공급이 이루어지는 단계;및
    기설정된 위치에 도달하거나 또는 상기 전주의 완금에 상기 선로를 거치하는 작업을 종료하면, 상기 드론은 상기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개폐식 묶음부를 적어도 하나 이상 오픈하여 각각의 개폐식 묶음부에 감겨 있던 상기 일정 길이의 선로를 풀어내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개폐식 묶음부에 감겨 있던 상기 일정 길이의 선로는 끝부분에 하강추가 부착되어 하향풍에 저항하며 자유낙하하며, 상기 개폐식 묶음부에 감겨있는 상기 일정 길이의 선로는 상기 전주의 길이를 초과하는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식 묶음부와 상기 회전식 걸이가 복수 개 배치되어, 상기 드론이 비행시 동시에 복수 개의 선로를 배치하도록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방법.
  9. 제 7 항에 있어,
    상기 전주는 복수개이며, 이 중 임의의 전주와 전주는 강, 건물, 다리 중 적어도 하나를 끼고 이격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방법.
KR1020170180122A 2017-12-26 2017-12-26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방법 및 시스템 KR1019691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122A KR101969138B1 (ko) 2017-12-26 2017-12-26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80122A KR101969138B1 (ko) 2017-12-26 2017-12-26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69138B1 true KR101969138B1 (ko) 2019-04-15

Family

ID=661049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0122A KR101969138B1 (ko) 2017-12-26 2017-12-26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691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6406A (zh) * 2019-12-18 2020-04-24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安庆供电公司 一种柔性轨道电梯及其应用方法
KR102231478B1 (ko) * 2020-11-05 2021-03-24 주식회사 양양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
KR102277658B1 (ko) * 2020-09-22 2021-07-15 주식회사 양양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 시스템
US12119626B1 (en) 2024-03-09 2024-10-15 Henry Hardy Perritt, Jr. System and method for lifting lines over a support using a dro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3628A (ja) * 1993-11-20 1995-06-02 Sato Kensetsu Kogyo Kk 無人ヘリコプターによる延線工法及び装置
JP2008236953A (ja) * 2007-03-22 2008-10-0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自律制御飛行体を用いた延線ロープの張設方法
KR101443255B1 (ko) 2012-10-30 2014-09-22 이재걸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43628A (ja) * 1993-11-20 1995-06-02 Sato Kensetsu Kogyo Kk 無人ヘリコプターによる延線工法及び装置
JP2008236953A (ja) * 2007-03-22 2008-10-02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自律制御飛行体を用いた延線ロープの張設方法
KR101443255B1 (ko) 2012-10-30 2014-09-22 이재걸 전선의 당김 및 풀림기능이 통합된 가선장치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6406A (zh) * 2019-12-18 2020-04-24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安庆供电公司 一种柔性轨道电梯及其应用方法
CN111056406B (zh) * 2019-12-18 2024-04-19 国网安徽省电力有限公司安庆供电公司 一种柔性轨道电梯及其应用方法
KR102277658B1 (ko) * 2020-09-22 2021-07-15 주식회사 양양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전선 보호 시스템
KR102231478B1 (ko) * 2020-11-05 2021-03-24 주식회사 양양엔지니어링 배전선로의 케이블 전선 교체 보호 방법
US12119626B1 (en) 2024-03-09 2024-10-15 Henry Hardy Perritt, Jr. System and method for lifting lines over a support using a dro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69138B1 (ko) 드론을 이용한 전선가선방법 및 시스템
JP6406784B2 (ja) パイロットロープの延線方法、最終ロープの撤去方法、および、これに用いる無人マルチコプタ
US6260656B1 (en) Land seismic data acquisition method and seismic cable and cable spool vehicle therefor
KR20150087782A (ko) 배전설비 활선작업 방법
JP4841478B2 (ja) 自律制御飛行体を用いた延線ロープの張設方法
US11274948B2 (en) Remote facade inspection gantry
JP5812325B2 (ja) 電線張力低減装置及び電線張力低減工法
WO2016134483A1 (en) Electromagnetic survey system having tow assembly with attitude adjustment
CN110601083A (zh) 一种基于无人机的线缆架设系统及其工作方法
JP4889533B2 (ja) 延線ロープの張設方法
KR101311873B1 (ko) 타워크레인 후크 하방 모니터링 카메라 시스템
US4487395A (en) Apparatus for stringing power lines across supporting towers
US20140332636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Chain Installation
KR20190045537A (ko) 초경량 무인비행장치를 이용한 가선장치 및 가선방법
JP6354852B2 (ja) 防護材設置方法及び防護材設置装置
JP6852885B2 (ja) 集材機構
JP4562194B2 (ja) 架空ケーブルの布設工法
CN210111475U (zh) 一种绕线装置和迪尼玛绳绕线系统
KR100987530B1 (ko) 현수 애자 장치 긴선 작업 전선 인상용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긴선 작업 공정
JP7138893B2 (ja) 集材装置
US3973680A (en) Devices for erecting a building from prefabricated sections
CN115042972B (zh) 竹林无人机采伐运输方法及系统
US438675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tringing power lines across supporting towers
JP6277058B2 (ja) タワーヤーダ及びタワーヤーダによる集材方法
US6151774A (en) System of conveying and assembling logging too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