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65385B1 - 융합형 3dtv에서 컨텐츠 스트림에 접근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융합형 3dtv에서 컨텐츠 스트림에 접근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65385B1 KR101965385B1 KR1020120087603A KR20120087603A KR101965385B1 KR 101965385 B1 KR101965385 B1 KR 101965385B1 KR 1020120087603 A KR1020120087603 A KR 1020120087603A KR 20120087603 A KR20120087603 A KR 20120087603A KR 101965385 B1 KR101965385 B1 KR 10196538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stream
- image
- descriptor
- content
- additio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42—Synchronization processes, e.g. processing of PCR [Program Clock Referen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04N21/4351—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involving reassembling additional data, e.g. rebuilding an executable program from recovered modul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62—Content or additional data management, e.g. creating a master electronic program guide from data received from the Internet and a Head-end, controlling the complexity of a video stream by scaling the resolution or bit-rate based on the client capabilities
- H04N21/4622—Retrieving content or additional data from different sources, e.g. from a broadcast channel and the Interne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12—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errestrial transmission, e.g. DVB-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3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a mobile phone network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6—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special video data, e.g 3D video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sting, Inspecting, Measuring Of Stereoscopic Televisions And Televisions (AREA)
Abstract
융합형 3DTV에서 컨텐츠 스트림에 접근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컨텐츠 제공 장치는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스트림 및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제2 컨텐츠 스트림을 생성하는 컨텐츠 스트림 생성부;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과 관련된 디스크립터를 생성하는 디스크립터 생성부; 및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제2 컨텐츠 스트림 및 디스크립터를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기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과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으로 표현되는 융합형 3DTV과 관련된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종의 방송 방식에 따라 독립적으로 전송되는 컨텐츠 스트림에 접근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시한다.
ATSC A/153(Mobile Handheld) 규격은 RF 6MHz 한 채널내에서 기존의 고정형 DTV를 위한 메인 서비스 스트림과 함께 시분할 방식의 모바일 스트림을 삽입/전송함으로써 지상파 mobile DTV(MDTV) 방송 서비스를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in-band mobile TV 서비스) 북미 지상파 방송규격 이다. 이때 MDTV 서비스는 ATSC 데이터 전송률인 19.39 Mbps 대역폭의 일부를 사용하고, IP 데이터그램(datagram) 기반의 전송 기술을 활용하여 이동/휴대용 TV 시청자들에게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TSC 메인 방송 스트림 (MPEG-2 TS) 패킷과 MDTV 모바일 스트림 패킷 (IP datagram)으로 약 19.39Mbps에 해당되는 전체 방송의 프레임을 시분할하여 전송함으로써 2개의 방송 서비스를 독립적인 형태로 동시 제공이 가능하다. 이와 같은 방송 환경에서 3DTV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으로 ATSC 메인 방송 스트림 (MPEG-2 TS)의 패킷에 스테레오 영상 합성에 필요한 기준영상(고정형 2D 서비스 시 이용되는 영상) 스트림과 부가영상(기준영상과 함께 3D 영상 합성을 위해 이용되는 영상) 스트림을 각각 독립된 스트림으로 전송하는 여러 제안 방식이 존재한다. 그러나 상기 제안 방식은 기존 고정 2D 방송과의 역방향 호환성을 보장하기 위해 기준영상을 ATSC 메인 방송 스트림을 통해 전송하더라도 부가영상 스트림 전송을 위해서 추가적인 대역 할당이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각각의 2차원 화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의 전송량을 감소시킬 수 밖에 없어서 결과적으로 기존의 2D 방송 서비스 품질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위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3D 영상합성을 위한 부가영상을 별도로 전송하지 않고, 2D 모바일 서비스 스트림을 이용하여 부가영상을 전송하는 고정 및 이동 융합형 3DTV 기술은 부가영상 전송을 위한 추가 대역폭 할당 없이 3DTV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TSC 메인 기준영상과 M/H 부가영상을 이용한 3DTV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해서 수신기는 기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과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을 각각 ATSC 메인 채널과 M/H 채널에서 수신하여야 한다. 그러나 종래의 ATSC 메인 방송 및 M/H 방송은 독립된 이종의 방송 방식이므로, 각각의 방송스트림 내 기준영상과 부가영상 스트림에 대한 식별 및 접근 방법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융합형 3DTV를 위한 기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과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에 접근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고정형 방송과 모바일 방송이 결합된 융합형 3DTV에서 시그널링을 통해 기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과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에 접근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는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스트림 및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제2 컨텐츠 스트림을 생성하는 컨텐츠 스트림 생성부;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과 관련된 디스크립터를 생성하는 디스크립터 생성부; 및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제2 컨텐츠 스트림 및 디스크립터를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장치는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스트림,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제2 컨텐츠 스트림 및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과 관련된 디스크립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및 상기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및 제2 컨텐츠 스트림에 기초한 2D 방송 서비스 또는 3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제공 방법은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스트림 및 부가 영상에 제2 컨텐츠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과 관련된 디스크립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제2 컨텐츠 스트림 및 디스크립터를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트 재생 방법은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스트림,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제2 컨텐츠 스트림 및 디스크립터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및 제2 컨텐츠 스트림에 기초한 2D 방송 서비스 또는 3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융합형 3DTV를 위한 기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과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에 접근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고정형 방송과 모바일 방송이 결합된 융합형 3DTV에서 시그널링을 통해 기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과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에 접근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트림의 접근을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제 구현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와 컨텐츠 재생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립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립터의 실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디스크립터의 실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제 구현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와 컨텐츠 재생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립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립터의 실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디스크립터의 실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이전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에 대해 간단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ATSC-M/H(Mobile/Handheld)는 북미 차세대 모바일 DTV 규격(A/153)으로 6MHz 대역폭을 통해 총 19.39Mbps의 전송률을 지원할 수 있는 ATSC 시스템에서 HD 콘텐츠 전송 시 생성되는 여유 공간에 모바일 콘텐츠를 추가하여 전송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그리고, ATSC 메인 방송은 북미 고정형 DTV 송출 방식인 ATSC A/53 고화질 DTV 송수신 규격을 통칭한다.
AU (Access Unit: 액세스 유닛)는 기본 스트림(Elementary Stream)의 오디오/비디오 인코딩 기본 단위이며, 주로 오디오 및 비디오의 경우 프레임 단위로 구성된다.
RTP(Realtime Transport Protocol: 실시간 전송 프로토콜)는 IP망을 통해 오디오/비디오 데이터를 전송하기 위한 규격을 의미한다.
RTCP(RTP Control Protocol: RTP 제어 프로토콜)는 RTP 전송을 위해 전송망의 상태나 오디오/비디오 스트림의 동기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규격을 의미한다.
RTCP_SR(RTCP Sender Report: RTCP 송신기 리포트)는 송신자가 수신자에게 주기적으로 전송된 전송망 상태 및 타이밍 정보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하는 RTCP 전송 패킷 타입을 의미한다.
NTP(Network Time Protocol: 네트워크 타임 프로토콜)는 네트웍으로 연결되어 있는 컴퓨터들끼리 클록 시각을 동기화시키는데 사용되는 프로토콜이다. 그리고, NTP는 컴퓨터 클록 시간을 1/1000 초 이하까지 동기화시키기 위해 협정 세계시각(UTC)을 사용한다.
PTS(Presentation Timestamp: 프리젠테이션 타임 스탬프)는 ATSC 8-VSB 고정 방송망에서 오디오/비디오 AU의 프리젠테이션(Presentation) 시간에 대한 동기를 수행하기 위해 PES 헤더에 실어 전송하는 33-bit 타임 스탬프를 의미한다.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패킷화된 기본 스트림)는 ATSC 메인 방송망에서 오디오/비디오 ES(Elementary Stream)의 전송을 위해 각 ES를 특정 길이로 분할한 패킷을 의미한다. 이때, PES의 헤더는 PTS를 포함한다.
8-VSB & M/H 융합형 3DTV 시스템은 ATSC A/153 M/H규격 기반으로 기존 방송 시스템과 역호환성을 유지하면서 주파수 효율성을 극대화한 방식으로 고화질 3D방송/고화질 2D 방송/모바일 방송 서비스를 6MHz 한 채널 대역폭 내에 동시에 제공할 수 있는 8-VSB 및 M/H 융합형 3DTV 기술을 구향할 수 있다. 기준영상 전송을 위해 8-VSB 방송 규격을 이용하고 부가영상 전송을 위해 기존 M/H 방송 규격을 이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스트림의 접근을 위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컨텐츠 제공 장치(101)와 컨텐츠 재생 장치(102)가 도시된다. 컨텐츠 제공 장치(101)는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스트림 및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제2 컨텐츠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3DTV 방송을 위해 기준 영상은 좌영상으로 표현되고, 부가 영상은 우영상으로 표현될 수 있다.
일례로, 컨텐츠 제공 장치(101)는 고정형 방송(stationary broadcast)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스트림 및 모바일 방송(mobile broadcast)에 대응하는 제2 컨텐츠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즉, 기준 영상은 고정형 방송 규격으로 전송될 수 있고, 부가 영상은 모바일 방송 규격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일례로, 고정형 방송은 ATSC 메인 방송 규격을 따르는 컨텐츠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고, 모바일 방송은 M/H 방송 규격을 따르는 컨텐츠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좌영상과 우영상은 서로 변경될 수도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장치(101)는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과 관련된 디스크립터를 생성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101)는 제1 컨텐츠 스트림, 제2 컨텐츠 스트림 및 디스크립터를 컨텐츠 재생 장치(102)에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컨텐츠 제공 장치(101)는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을 컨텐츠 재생 장치(102)에 전송할 수 있다. 그러면, 컨텐츠 재생 장치(102)는 전송된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을 이용하여 2D 방송 서비스 또는 3D 방송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재생 장치(102)는 기준 영상만을 이용하여 2D 방송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또는, 컨텐츠 재생 장치(102)는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을 모두 이용하여 3D 방송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다. 이 때,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이 서로 다른 방송 규격에 따라 전송되고 이에 따라 서로 다른 타이밍 정보를 나타낸다면, 컨텐츠 제공 장치(101)는 3D 방송을 위해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 간에 동기 시점을 기준으로 재생할 수 있도록 동기 정보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실제 구현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고하면, ATSC & M/H 융합형 3DTV 시스템이 도시된다. 시스템은 2D 방송 서비스와 3D 방송 서비스를 함께 제공할 수 있다. 고정형 방송 규격을 통해 전송되는 제1 컨텐츠 스트림은 기준 영상에 해당하고, 모바일 방송 규격을 통해 전송되는 제2 컨텐츠 스트림은 부가 영상에 해당한다.
구성 요소(201)는 2D 프로그램과 3D 프로그램이 공유된 프로그램을 식별할 수 있다. 여기서, 2D HD 프로그램을 위한 기준 영상 컨텐츠는 구성 요소(202)를 통해 MPEG-2로 인코딩될 수 있다. 그리고, 2D 모바일/핸드헬드 프로그램을 위한 부가 영상 컨텐츠는 구성 요소(203)를 통해 H.264로 인코딩될 수 있다.
구성 요소(202)에서 MPEG-2로 인코딩된 기준 영상 컨텐츠는 구성 요소(204)를 통해 MPEG-TS 패킷으로 패킷화될 수 있다. 그리고, 구성 요소(205)에서 H.264로 인코딩된 부가 영상 컨텐츠는 구성 요소(205)를 통해 IP 패킷으로 패킷화될 수 있다. 패킷화된 기준 영상 컨텐츠 및 부가 영상 컨텐츠는 구성 요소(206)를 통해 다중화될 수 있다.
다중화된 기준 영상 컨텐츠 및 부가 영상 컨텐츠는 구성 요소(207)를 통해 역다중화될 수 있다. 그러면, 구성 요소(208)에서는 ATSC 메인 방송 규격에 대응하는 기준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구성 요소(211)인 2D HD 디스플레이로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구성 요소(209)에서는 M/H 방송 규격에 대응하는 부가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구성 요소(212)인 모바일 2D 디스플레이로 재생할 수 있다.
한편, 구성 요소(210)에서는 ATSC 메인 방송 규격에 대응하는 기준 영상 컨텐츠와 M/H 방송 규격에 대응하는 부가 영상 컨텐츠를 수신하여 구성 요소(213)인 3D 디스플레이로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3D 방송이 가능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장치와 컨텐츠 재생 장치의 세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을 참고하면, 컨텐츠 제공 장치(301)는 컨텐츠 스트림 생성부(303), 디스크립터 생성부(304) 및 데이터 전송부(305)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스트림 생성부(303)는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스트림 및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제2 컨텐츠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준 영상은 고정형 방송 규격을 통해 전송될 수 있고, 부가 영상은 모바일 방송 규격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기준 영상은 좌영상에 해당하고, 부가 영상은 우영상에 해당한다. 일례로, 고정형 방송은 ATSC 메인 방송 규격을 따르는 컨텐츠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고, 모바일 방송은 M/H 방송 규격을 따르는 컨텐츠 스트림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크립터 생성부(304)는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과 관련된 디스크립터(descriptor)를 생성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크립터 생성부(304)는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크립터 생성부(304)는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립터 생성부(304)는 제1 컨텐츠 스트림 또는 제2 컨텐츠 스트림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크립터 생성부(304)는 제1 컨텐츠 스트림 또는 제2 컨텐츠 스트림에 포함된 영상이 크롭되었는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생성할 수 있다. 디스크립터에 대해서는 도 4 및 도 5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 전송부(305)는 제1 컨텐츠 스트림, 제2 컨텐츠 스트림 및 디스크립터를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크립터를 제1 컨텐츠 스트림 또는 상기 제2 컨텐츠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재생 장치(302)는 데이터 수신부(306) 및 서비스 제공부(307)를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 수신부(306)는 컨텐츠 제공 장치(301)로부터 제1 컨텐츠 스트림, 제2 컨텐츠 스트림 및 디스크립터를 수신할 수 있다.
서비스 제공부(307)는 컨텐츠 제공 장치(301)로부터 수신한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제1 컨텐츠 스트림 및 제2 컨텐츠 스트림에 기초한 2D 방송 서비스 또는 3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제1 컨텐츠 스트림은 기준 영상에 대응하고, 제2 컨텐츠 스트림은 부가 영상에 대응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립터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디스크립터(400)는 기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 또는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40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컨텐츠 재생 장치(302)가 기준 영상 또는 부가 영상 중 어느 한쪽 영상의 컨텐츠 스트림의 식별 정보를 알고 있는 경우, 컨텐츠 제공 장치(301)는 디스크립터에 이미 알고 있는 식별 정보를 생략할 수 있다. 일례로, ATSC 메인 방송 스트림 내 MPEG-2 TS의 PMT 또는 ATSC A/65의 TVCT와 같은 테이블의 디스크립터 형태로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의 스트림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기준 영상은 해당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비디오 스트림이 되고, 상기 디스크립터는 M/H 방송망의 부가 영상 스트림의 식별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M/H 방송 스트림 내 SMT나 SLT와 같은 테이블의 디스크립터를 통해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의 스트림 식별정보를 전송하는 경우, 부가 영상은 해당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서비스의 비디오 스트림이 되고, 상기 디스크립터는 ATSC 메인 방송망의 기준 영상 스트림의 식별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크립터(400)는 기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 및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 정보(4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동기 정보는 (i) NTP 동기 방식, (ii) 타임 스탬프 패어링 방식 및 (iii) 타임 스탬프 오프셋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동기 정보에 대해서는 도 6 내지 도 8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디스크립터(400)는 기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 또는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부가 정보(403)를 포함할 수 있다. 컨텐츠 스트림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부가 정보(403)는 사항에 따라서 포함되거나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한편, 디스크립터(400)는 기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 또는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에 포함된 영상이 크롭되었는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크립터의 실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디스크립터를 정의한 신택스(syntax)를 나타낸다.
먼저, MH_Hybrid_Stereoscopic_Video_Descriptor는 해당 프로그램이 2D (모노스코픽)서비스인지 또는 M/H 융합형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인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은 이종의 방송 규격에 따라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을 제공함으로써 3D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한다. 그리고, MH_Hybrid_Stereoscopic_Video_Descriptor는 어떤 종류의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인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해당 프로그램이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일 경우, MH_Hybrid_Stereoscopic_Video_Descriptor는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의 식별 및 3D 영상 합성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한다. 또한, MH_Hybrid_Stereoscopic_Video_Descriptor는 선택적으로 M/H 영상의 화질 개선을 위한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MH_Hybrid_Stereoscopic_Video_Descriptor는 TVCT, PMT, EIT 등의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전송될 수 있다. 만약, MH_Hybrid_Stereoscopic_Video_Descriptor가 없는 프로그램일 경우, 해당 프로그램은 M/H 융합형 3DTV 서비스가 아닌 것으로 간주된다.
Stereoscopic_service_type는 해당 M/H용 Service가 모노스코픽 서비스인지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인지 여부 및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의 종류를 구분하는 정보이다. Stereoscopic_service_type는 하기 표 1에 의해 구체화될 수 있다.
<표 1>
Values Description
000 Reserved
001 M/H Hybrid Stereoscopic service
010 ~ 111 Reserved
신택스(501)는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 스트림 또는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 스트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나타낸다.
PID(Program ID)는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컨텐츠 스트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다. 일례로, 기준 영상이 고정형 방송 규격으로 전송되는 경우, PID는 고정형 방송에 대응하는 컨텐츠 스트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다. 여기서, 고정형 방송은 ATSC 메인 방송일 수 있다. PID는 MPEG-2 TS 패킷의 식별자일 수 있다.
Stereoscopic_service_id, IP_version_flag,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 및 component_destination_UDP_port_num는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다. 일례로, 부가 영상이 모바일 방송 규격으로 전송되는 경우, Stereoscopic_service_id, IP_version_flag,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 및 component_destination_UDP_port_num는 모바일 방송에 대응하는 컨텐츠 스트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다. 여기서, 모바일 방송은 M/H일 수 있다.
Stereoscopic_service_id는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를 위한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이 전송되는 M/H Service id를 나타낸다.
IP_version_flag는 ‘0’으로 셋팅되면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 필드가 IPv4임을 의미한다. 그리고, IP_version_flag는 ‘1’로 설정되면 A/153 Part 3 규격에서 IPv6 형식의 IP 주소가 사용될 경우를 의미한다.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는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의 component destination IP 주소이다. 이 때,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은 모바일 방송 규격에 따라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는 component_destination_UDP_port_num 필드와 함께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을 식별할 때 사용된다.
component_destination_UDP_port_num는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의 component destination UDP port 번호이다.
신택스(501)에서 경우에 따라 PID나 또는 M/H 비디오 스트림 식별정보를 생략할 수 있다. 일례로, ATSC 메인 방송 스트림 내 MPEG-2 TS의 PMT 또는 ATSC A/65의 TVCT와 같은 테이블 내에 디스크립터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경우, 기준 영상은 해당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의 비디오 스트림이 되고, 상기 디스크립터는 M/H 방송망의 부가 영상 스트림의 식별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M/H 방송 스트림 내 SMT나 SLT와 같은 테이블 내에 디스크립터를 삽입하여 전송하는 경우, 부가 영상은 해당 디스크립터를 포함하는 서비스의 비디오 스트림이 되고, 상기 디스크립터는 ATSC 메인 방송망의 기준 영상 스트림의 식별 정보만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신택스(501)에서 M/H 부가영상 비디오 스트림 식별을 위해 IP_version_flag, component_flag,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 component_destination_UDP_port_num을 생략한 stereoscopic_service_id 만을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stereoscopic_service_id에 대응하는 M/H 서비스에 속한 영상 스트림을 이용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PID나 또는 M/H 비디오 스트림 식별정보를 생략하는 과정의 일례로, 디스크립터가 ATSC 메인 방송망의 PMT 또는 TVCT 테이블에 포함되어 전달되고, M/H 비디오 스트림 식별을 위해 stereoscopic_service_id만 명시하는 경우, 도 5의 디스크립터에는 신택스(501) 내에 stereoscopic_service_id만을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신택스(501)에 따라 컨텐츠 재생 장치(102)는 3D 영상합성에 이용할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을 식별할 수 있다. 그러면, 컨텐츠 재생 장치(102)는 식별정보에 따라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을 추출하고 해당 스트림을 디코딩 한 후, 디코딩 된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 간의 동기화를 수행하여 3D 영상을 합성/출력할 수 있다.
신택스(502)는 부가 영상이 크롭되었는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M/H 규격은 16:9 비율의 영상 해상도를 지원하지만, 규격상 실제 디스플레이 화면의 비율은 16:9와 조금 다를 수 있다. 현재 M/H 규격은 15.6:9 비율의 해상도도 지원한다. 이와 같이 16:9와 조금 다른 해상도의 M/H 영상을 수신하는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가 3D 영상의 합성을 수행할 수 있도록 15.6:9 영상이 포함하고 있는 영역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할 필요가 있다.
일례로, 인코딩된 M/H 영상이 정확히 16:9 영상이 아닌 경우, additional_view_cropped_flag 필드를 통해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된 부가 영상이 크롭되었는 지 여부가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된 부가 영상이 원본 영상에서 좌우 가장자리 크롭 후 인코딩된 영상인지, 아니면 원본 영상의 수직-수평 비율을 미세하게 왜곡하여 원래 영상을 그대로 포함하는 영상인지를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즉, additional_view_cropped_flag는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된 부가 영상과 관련하여, 원본 영상의 일부가 제외된 것인지 또는 원본 영상을 그대로 축소한 것인지 여부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additional_view_cropped_flag가 “1”일 경우 M/H 영상의 인코딩 이전에 좌우 가장자리 크롭이 이루어졌음을 의미하며, “0” 일 경우 인코딩된 M/H 영상이 축소되어 원래 영상의 정보를 모두 포함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leftview_flag는 1일 경우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ATSC 메인 방송의 비디오 스트림을 좌영상, 0일 경우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M/H 비디오 스트림을 좌영상으로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신택스(503)는 기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 및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의 동기화를 위한 동기 정보를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은 서로 다른 방송 규격으로 전송되어 서로 다른 타이밍 정보를 가지고 있다. 그래서, 부가 영상의 재생 시간은 기준 영상과 관련하여 서로 동기화되지 않은 재생 시간을 나타낼 수 있다. 이와 같이,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을 이용하여 3D 방송 서비스를 구현할 수 있도록, 신택스(503)에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을 액세스 유닛인 프레임 단위로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동기 정보는 다음과 같은 3가지의 경우로 표현될 수 있다.
(i) 타임 스탬프 페어링 방식
타임 스탬프 페어링 방식의 경우, 신택스(503)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타임 스탬프 페어링 방식은 3DTV 서비스를 위해 임의의 동일 시점에 출력해야 하는 기준 영상의 액세스 유닛에 대응하는 타임 스탬프와 부가 영상의 액세스 유닛에 대응하는 타임 스탬프로 구성된 타임 스탬프 페어를 동기 정보로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 간의 동기화는 임의의 동기화 시점에서 동기 정보로 제공되는 기준 영상의 타임 스탬프와 부가 영상의 타임 스탬프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동기화는 기준 영상의 기준 클럭 또는 부가 영상의 기준 클럭에 기초하여 정확하게 보정될 수 있다.
그리고, 타임 스탬프 페어링 방식은 좌우영상의 AU의 타임 스탬프를 동기 정보로 이용하고, 복원할 때 동기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타임 스탬프를 기준 클럭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 때, 3D 재생을 위한 복원 기준 클럭을 MDTV의 NTP clock으로 설정하는 경우, 좌영상(ATSC-Main) PTS를 NTP Timestamp 형태로 변환한다. 그리고, 복원 기준 클럭을 PCR clock으로 설정하는 경우, 우영상(MDTV)의 RTP timestamp를 PTS 형태로 변환한다.
(ii) 타임 스탬프 오프셋 방식
타임 스탬프 오프셋 방식의 경우, 신택스(503)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메인 컨텐츠 스트림과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 스트림의 프레임 레이트가 같고 MPEG-2 시스템 PTS와 MDTV 시스템 RTP timestamp의 클럭 레이트가 같다.
이에 따라, 타임 스탬프 오프셋 방식은 3DTV 서비스를 위해 임의의 동일 시점에 출력해야 하는 기준 영상 및 부가 영상의 액세스 유닛에 대응하는 타임 스탬프의 오프셋을 동기 정보로 이용한다. 기준 영상의 타임 스탬프는 PTS이고, 부가 영상의 타임 스탬프는 RTP Timestamp이다. 그리고, 타임 스탬프 오프셋 방식은 복원할 때 동기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하고자 하는 컨텐츠의 타임 스탬프를 기준 클럭에 적합한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여기서, 타임 스탬프는 기준 영상인 경우 PTS이고, 부가 영상인 경우 RTP Timestamp이다.
컨텐츠 재생 장치는 3D 재생을 위한 복원 기준 클럭을 MDTV의 NTP clock을 이용할 경우 기준 영상(ATSC-Main)의 PTS를 NTP Timestamp 형태로 변환할 수 있다. 반대로, 복원 기준 클럭을 PCR clock을 이용할 경우, 컨텐츠 재생 장치는 부가 영상(MDTV)의 RTP timestamp를 PTS 형태로 변환한다.
(iii) NTP 동기 방식
NTP 동기 방식은 ATSC 메인 방송 규격에 대응하는 메인 컨텐츠 스트림의 PTS와 MDTV 방송 규격에 대응하는 부가 컨텐츠 스트림의 RTP Timestamp 이외에, 메인 컨텐츠 스트림과 부가 컨텐츠 스트림의 동기화를 위해서 별도로 생성된 NTP Timestamp를 추가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NTP 동기 방식의 경우, 신택스(503)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NTP 동기 방식은 8-VSB 방송 규격에 대응하는 기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의 PTS와 M/H 방송 규격에 대응하는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의 RTP Timestamp 이외에, 기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 및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의 동기화를 위해서 별도로 생성된 NTP Timestamp를 추가적으로 전송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또한, 신택스(504)는 기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 또는 부가 영상과 관련된 컨텐츠 스트림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부가 정보를 의미한다.
M/H 융합형 3DTV의 경우 기준 영상과 부가 영상의 방송망이 다르기 때문에 좌우 영상 간의 해상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해상도 차이가 클 경우, 시청에 방해가 될 수 있으며 이를 극복하기 위해 낮은 해상도의 영상 화질을 개선하기 위해 부가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부가 정보는 영상을 시청하는 사용자의 좌안과 우안에 대응하는 영상 간의 양안시차 정보, 수신기의 후처리를 위한 메타데이터, 또는 Scalable Video Coding을 이용한 Enhancement Lay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화질 개선용 부가 정보의 일례로 양안시차 정보는 다음과 같다. 스테레오스코픽 입체영상은 같은 시간에 특정 거리의 차이를 가지고 배치된 두 대의 카메라를 통해 촬영되기 때문에 기준 영상과 부가 두 영상은 서로 매우 큰 상관도를 가진다. 이 때, 기준영상과 부가영상 사이의 높은 상관성을 이용하여 시차 보상된 기준 영상으로부터 3DTV용 부가 영상의 화질이 개선될 수 있다.
컨텐츠 제공 장치에서 기준영상과 부가영상의 양안 시차 벡터에 대한 정보를 같은 해상도 크기로 스케일링된 좌우 영상으로 계산/추정하고, 이를 부가 정보의 형태로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달할 수 있다. 컨텐츠 재생 장치는 전송된 부가정보를 이용하여 저해상도의 부가 영상의 화질을 8-VSB 기준 영상의 화질에 가깝게 향상시킬 수 있다.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부가 정보가 신택스(504)로 정의될 수 있다. 화질개선용 부가 정보는 PID가 부여된 8-VSB MPEG-TS를 통해 전송되고, 시그널링 디스크립터를 통해 PID를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달될 수 있다.
VEI_flag는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부가 정보의 유무를 나타낸다. VEI_PID는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VEI를 전송하는 MPEG-TS의 PID를 나타낸다. 이상에서, 설명된 신택스에 따른 서비스 시나리오의 일례는 다음과 같다.
(i) 8-VSB 단말기에서 채널을 변경할 경우 PAT를 통해 변경하고자 하는 Service id와 PMT의 PID를 구한다.
(ii) PAT를 통해 구해진 PMT의 PID를 이용하여 해당 PMT를 찾는다. 그런 다음, Main stream의 Video와 Audio PID를 구해 디코더에 전달한다.
(iii) TVCT에서 PMT의 Service id를 갖는 Channel 또는 PMT에서 전송되는 MH_Hybrid_Stereoscopic_Video_Descriptor를 찾아 해당 channel이 M/H Hybrid Stereoscopic service인지 확인한다. 그리고, 부가 영상이 M/H의 어느 Service로 오는지 알기 위해 해당 M/H의 Service id를 구한다.
(iv) M/H 단말기에서 FIC를 Parsing하여 위에서 찾은 Service가 전송되는 Ensemble을 찾고, 해당 Ensemble로 Tuning하여 해당 Service의SMT를 (최대 delay time = 1936ms ) 통해 부가 영상의 Video 정보를 구해 해당 Decoder에 전달한다.
(v) MH_Hybrid_Stereoscopic_Video_Descriptor의 VEI_flag가 True일 경우, VEI_PID를 VEI Decoder에 전달한다.
(vi) MH_Hybrid_Stereoscopic_Video_Descriptor의 VEI_flag가 False일 경우, 8-VSB의 MPEG-2 Video 스트림과, M/H의 AVC Video스트림을 각각 해당 Decoder에 넣어 처리한 후의 출력을 3D Video Formatter에 입력하고 3D Video를 생성하여 화면에 출력하며, 출력 영상의 좌우 선택은 leftview_flag에 따른다.
(vii) MH_Hybrid_Stereoscopic_Video_Descriptor의 VEI_flag가 True일 경우, 8-VSB의 MPEG-2 Video 스트림과, M/H의 AVC Video스트림을 각각 해당 Decoder에 넣어 처리하고, AVC 디코더의 출력 영상과 VEI를 VEI 디코더에 입력하여 화질개선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후, MPEG-2 디코더의 출력영상과 VEI 디코더의 출력 영상을 3D Video Formatter에 입력하고 3D Video를 생성하여 화면에 출력하며, 출력 영상의 좌우 선택은 leftview_flag에 따른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디스크립터의 실제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신택스에 비해 보다 간단한 정보를 포함하는 신택스를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신택스에 기재된 각 설명은 도 5를 참고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컨텐츠 제공 장치는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스트림 및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제2 컨텐츠 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701).
그리고, 컨텐츠 제공 장치는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과 관련된 디스크립터를 생성할 수 있다(702). 일례로, 컨텐츠 제공 장치는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장치는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제1 컨텐츠 스트림 또는 제2 컨텐츠 스트림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제공 장치는 제1 컨텐츠 스트림 또는 제2 컨텐츠 스트림에 포함된 영상이 크롭되었는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제공 장치는 제1 컨텐츠 스트림, 제2 컨텐츠 스트림 및 디스크립터를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703). 일례로, 컨텐츠 제공 장치는 디스크립터를 제1 컨텐츠 스트림 또는 제2 컨텐츠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시켜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도 7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도 1 내지 도 6의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재생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을 참고하면, 컨텐츠 재생 장치는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제1 컨텐츠 스트림, 제2 컨텐츠 스트림 및 디스크립터를 수신할 수 있다(801). 이 때, 디스크립터는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립터는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크립터는 제1 컨텐츠 스트림 또는 제2 컨텐츠 스트림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부가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크립터는 제1 컨텐츠 스트림 또는 제2 컨텐츠 스트림에 포함된 영상이 크롭되었는 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컨텐츠 재생 장치는 디스크립터에 포함된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및 제2 컨텐츠 스트림에 기초한 2D 방송 서비스 또는 3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802).
도 8에서 설명되지 않은 부분은 도 1 내지 도 6의 설명을 참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1: 컨텐츠 제공 장치
102: 컨텐츠 재생 장치
102: 컨텐츠 재생 장치
Claims (25)
-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스트림 및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제2 컨텐츠 스트림을 생성하는 컨텐츠 스트림 생성부;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과 관련된 디스크립터를 생성하는 디스크립터 생성부;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제2 컨텐츠 스트림 및 디스크립터를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데이터 전송부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립터는,
(i)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를 위한 부가 영상과 관련된 M/H service id;
(ii) 기준 영상 또는 부가 영상 중 어느 것이 좌영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leftview_flag; 및
(iii) 타임스탬프의 오프셋과 관련된 offset_sign_bit 및 timestamp_offset, 상기 기준 영상의 타임 스탬프는 PTS이고, 부가 영상의 타임 스탬프는 RTP Timestamp인 컨텐츠 제공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 생성부는,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 생성부는,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 생성부는,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또는 제2 컨텐츠 스트림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 생성부는,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또는 제2 컨텐츠 스트림에 포함된 영상이 크롭되었는 지 여부를 나타내는 크롭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전송부는,
상기 디스크립터를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또는 상기 제2 컨텐츠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은, 고정형 방송 규격으로 전송되고, 상기 부가 영상은 모바일 방송 규격으로 전송되는 컨텐츠 제공 장치. -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스트림,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제2 컨텐츠 스트림 및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과 관련된 디스크립터를 수신하는 데이터 수신부;
상기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및 제2 컨텐츠 스트림에 기초한 2D 방송 서비스 또는 3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부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립터는,
(i)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를 위한 부가 영상과 관련된 M/H service id;
(ii) 기준 영상 또는 부가 영상 중 어느 것이 좌영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leftview_flag; 및
(iii) 타임스탬프의 오프셋과 관련된 offset_sign_bit 및 timestamp_offset, 상기 기준 영상의 타임 스탬프는 PTS이고, 부가 영상의 타임 스탬프는 RTP Timestamp인 컨텐츠 재생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는,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는,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는,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또는 제2 컨텐츠 스트림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는,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또는 제2 컨텐츠 스트림에 포함된 영상이 크롭되었는 지 여부를 나타내는 크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장치.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은, 고정형 방송 규격으로 전송되고, 상기 부가 영상은 모바일 방송 규격으로 전송되는 컨텐츠 재생 장치. -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스트림 및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제2 컨텐츠 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과 관련된 디스크립터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제2 컨텐츠 스트림 및 디스크립터를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립터는,
(i)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를 위한 부가 영상과 관련된 M/H service id;
(ii) 기준 영상 또는 부가 영상 중 어느 것이 좌영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leftview_flag; 및
(iii) 타임스탬프의 오프셋과 관련된 offset_sign_bit 및 timestamp_offset, 상기 기준 영상의 타임 스탬프는 PTS이고, 부가 영상의 타임 스탬프는 RTP Timestamp인 컨텐츠 제공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또는 제2 컨텐츠 스트림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또는 제2 컨텐츠 스트림에 포함된 영상이 크롭되었는 지 여부를 나타내는 크롭 정보를 포함하는 디스크립터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제2 컨텐츠 스트림 및 디스크립터를 컨텐츠 재생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스크립터를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또는 상기 제2 컨텐츠 스트림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시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제공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준 영상은, 고정형 방송 규격으로 전송되고, 상기 부가 영상은 모바일 방송 규격으로 전송되는 컨텐츠 제공 방법. - 컨텐츠 제공 장치로부터 기준 영상에 대응하는 제1 컨텐츠 스트림, 부가 영상에 대응하는 제2 컨텐츠 스트림 및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및 제2 컨텐츠 스트림과 관련된 디스크립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스크립터를 이용하여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및 제2 컨텐츠 스트림에 기초한 2D 방송 서비스 또는 3D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디스크립터는,
(i) 스테레오스코픽 서비스를 위한 부가 영상과 관련된 M/H service id;
(ii) 기준 영상 또는 부가 영상 중 어느 것이 좌영상인지 여부를 나타내는 leftview_flag; 및
(iii) 타임스탬프의 오프셋과 관련된 offset_sign_bit 및 timestamp_offset, 상기 기준 영상의 타임 스탬프는 PTS이고, 부가 영상의 타임 스탬프는 RTP Timestamp인 컨텐츠 재생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는,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는,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과 제2 컨텐츠 스트림을 동기화하기 위한 동기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는,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또는 제2 컨텐츠 스트림의 화질을 개선하기 위한 부가 정보를 포함하는 컨텐츠 재생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크립터는,
상기 제1 컨텐츠 스트림 또는 제2 컨텐츠 스트림에 포함된 영상이 크롭되었는 지 여부를 나타내는 크롭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재생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14/351,109 US9615143B2 (en) | 2011-10-10 | 2012-08-23 | Device and method for providing content by accessing content stream in hybrid 3D TV, and device and method for reproducing content |
PCT/KR2012/006694 WO2013055032A1 (ko) | 2011-10-10 | 2012-08-23 | 융합형 3dtv에서 컨텐츠 스트림에 접근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03262 | 2011-10-10 | ||
KR20110103262 | 2011-10-10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38792A KR20130038792A (ko) | 2013-04-18 |
KR101965385B1 true KR101965385B1 (ko) | 2019-04-03 |
Family
ID=484392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87603A KR101965385B1 (ko) | 2011-10-10 | 2012-08-10 | 융합형 3dtv에서 컨텐츠 스트림에 접근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615143B2 (ko) |
KR (1) | KR101965385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616064B2 (ja) | 2013-07-25 | 2019-12-04 | パナソニック インテレクチュアル プロパティ コーポレーション オブ アメリカ | 送信方法および受信方法 |
KR102120155B1 (ko) * | 2013-10-04 | 2020-06-0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모바일 융합형 3dtv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KR20150057149A (ko) * | 2013-11-18 | 2015-05-28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재전송망에 기초한 3d 방송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WO2015160137A1 (ko) | 2014-04-18 | 2015-10-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
KR102440395B1 (ko) * | 2014-11-25 | 2022-09-05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3dtv 방송 송수신 장치 및 방법 |
US10469856B2 (en) * | 2014-11-25 | 2019-11-05 | Electronics And Telel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3DTV broadcasting |
KR102387881B1 (ko) | 2015-04-17 | 2022-04-18 | 삼성전자주식회사 | 방송 서비스를 구성하는 콘텐츠 관련 정보들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29384B1 (ko) | 2005-11-16 | 2007-06-15 | 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 산악용 모터바이크 시트의 밸런스 조절장치 |
US8935420B2 (en) * | 2007-03-09 | 2015-01-13 | Nokia Corporation |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notification messages |
US20100257188A1 (en) * | 2007-12-14 | 2010-10-07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receiving stereoscopic image data download service in digital broadcasting system |
KR100938283B1 (ko) * | 2007-12-18 | 2010-01-22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영상정보의 분리 전송을 이용한 3차원 입체방송 송수신장치 및 그 방법 |
KR101506219B1 (ko) | 2008-03-25 | 2015-03-27 | 삼성전자주식회사 | 3차원 영상 컨텐츠 제공 방법, 재생 방법, 그 장치 및 그기록매체 |
KR101500440B1 (ko) | 2008-10-17 | 2015-03-09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영상처리장치 및 영상처리방법 |
US8520057B2 (en) | 2008-11-04 | 2013-08-27 |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receiving 3-dimensional broadcasting service |
EP2373042A4 (en) * | 2008-12-30 | 2012-09-12 | Lg Electronics Inc | DIGITAL RADIO RECEPTION PROCEDURE WITH 2D AND 3D IMAGE INTEGRATION SERVICE AND DIGITAL RADIO RECEPTION DEVICE THEREWITH |
JP5627860B2 (ja) * | 2009-04-27 | 2014-11-19 | 三菱電機株式会社 | 立体映像配信システム、立体映像配信方法、立体映像配信装置、立体映像視聴システム、立体映像視聴方法、立体映像視聴装置 |
KR101148486B1 (ko) | 2009-08-06 | 2012-05-25 | 한국방송공사 | 입체방송을 위한 계층적 방송 시스템 및 방법 |
JP5428697B2 (ja) * | 2009-09-16 | 2014-02-26 | ソニー株式会社 | 受信装置、受信方法、送信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KR101676037B1 (ko) | 2009-12-04 | 2016-11-14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모바일 방송이 결합된 방송 시스템에서 3차원 방송서비스 장치 및 방법 |
KR20110088334A (ko) * | 2010-01-28 | 2011-08-03 | 삼성전자주식회사 | 3차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스트림 생성 방법 및 장치, 3차원 멀티미디어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데이터스트림 수신 방법 및 장치 |
KR101850723B1 (ko) * | 2010-08-17 | 2018-04-2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및 방법 |
WO2012057564A2 (ko) * | 2010-10-28 | 2012-05-03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모바일 환경에서 3차원 방송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장치 및 방법 |
-
2012
- 2012-08-10 KR KR1020120087603A patent/KR10196538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08-23 US US14/351,109 patent/US9615143B2/en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615143B2 (en) | 2017-04-04 |
KR20130038792A (ko) | 2013-04-18 |
US20140245371A1 (en) | 2014-08-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628771B2 (en) | Transmitter and receiver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content, and reproduction method therefor | |
KR101965385B1 (ko) | 융합형 3dtv에서 컨텐츠 스트림에 접근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 |
US8917314B2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stereoscopic image,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stereoscopic image based on the same | |
US921035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ption and transmission | |
US20130293677A1 (en) | Reception device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real-time transfer streams, transmission device for transmitting same, and method for playing multimedia content | |
EP2744214A2 (en) |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and transceiving method thereof | |
US9516086B2 (en) | Transmitting device, receiving device, and transceiving method thereof | |
US9288467B2 (en) | Method for providing and recognizing transmission mode in digital broadcasting | |
Kim et al. | A study on feasibility of dual‐channel 3DTV service via ATSC‐M/H | |
US20130276046A1 (en) |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signals through different paths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s thereof | |
US9635344B2 (en) | Method for service compatibility-type transmitting in digital broadcast | |
WO2012105376A1 (ja) | 画像データ送信装置、画像データ送信方法、画像データ受信装置および画像データ受信方法 | |
US20150138317A1 (en)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three-dimensional (3d) broadcast service based on retransmission networks | |
WO2013055032A1 (ko) | 융합형 3dtv에서 컨텐츠 스트림에 접근하는 컨텐츠 제공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컨텐츠 재생 장치 및 방법 | |
KR20130056829A (ko) | 3dtv 방송을 위한 송수신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10068821A (ko) | 송, 수신 장치 및 송, 수신 방법 | |
Lee et al. | Delivery system and receiver for service-compatible 3DTV broadcasting | |
KR20130046404A (ko) | 디지털 단말에서의 2d 모드 재생을 위한 송신 장치, 디지털 단말에서의 2d 모드 재생 장치 및 그 방법들 | |
KR20160092362A (ko) | 3d 방송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3d 방송 제공 장치 | |
KR20120121831A (ko) | 스테레오스코픽 비디오 송수신 방법 및 그 장치 | |
KR20120139643A (ko) | 3차원 방송을 위한 데이터 코덱 방법 및 장치 | |
KR20120087869A (ko) | 3차원 방송을 위한 데이터 코덱 방법 및 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