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52662B1 - 차량용 에어 벤트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 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52662B1
KR101952662B1 KR1020170086525A KR20170086525A KR101952662B1 KR 101952662 B1 KR101952662 B1 KR 101952662B1 KR 1020170086525 A KR1020170086525 A KR 1020170086525A KR 20170086525 A KR20170086525 A KR 20170086525A KR 101952662 B1 KR101952662 B1 KR 101952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it
housing
lever
duct
dam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65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05611A (ko
Inventor
김춘하
김경노
Original Assignee
한국아이티더블유 유한책임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아이티더블유 유한책임회사 filed Critical 한국아이티더블유 유한책임회사
Priority to KR10201700865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52662B1/ko
Publication of KR20190005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561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52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5266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5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with parallel simultaneously tiltable lamella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60H2001/3478Details of actuators acting on additional damper do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덕트와 연통되는 덕트 하우징, 상기 덕트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덕트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회동되는 레버 부재를 구비하는 레버 하우징, 상기 레버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레버 부재의 타단에 치합되는 중간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기어와 치합되어 피벗 회전되는 수평 배플, 일단이 상기 레버 하우징과 고정되어 일체로 이동되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 로드, 상기 제1 연장 로드의 연장되는 단부에 형성되는 기어치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1 구동 기어, 상기 제1 구동 기어의 동축 상에 일체로 회전되되, 상기 동축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2 구동 기어와 제3 구동 기어, 상기 제2 구동 기어와 치합되어 이동되는 제2 연장 로드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수직 배플 및 상기 제3 구동 기어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됨으로써 상기 덕트 하우징을 개폐하는 편심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 벤트{AIR VENT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 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에어 벤트의 장착 사이즈를 최소화함과 동시에 공기의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 벤트에 관한 것이다.
차량에는 냉난방을 위해 온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하거나 외부환경에 관계없이 차량 내부를 상시 쾌적한 상태로 유지시키는 공조 장치가 설치된다.
이러한 공조장치는 우천시나 동절기와 같이 외부온도가 낮은 경우에 윈드실드 글라스(windshield glass) 및 차량 유리에 생성되는 서리나 성에 등을 제거하여 안전 운전을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된다.
통상적으로 공조 장치는, 외부 공기 또는 내부 공기를 흡입하여 공조케이스로 공급하는 내외기 및 내부에 증발기 및 히터 코어 등이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공기를 가열 또는 냉각시킨 후 차량 내부로 공급하는 공조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공조 장치에 의해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는 공조 케이스와 연통되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통해 차량 내부로 공급되고, 이에 따라 차량 내부가 냉·난방된다.
일반적인 차량용 에어 벤트의 구조는, 내부로 냉각 또는 가열된 공기가 유동되는 일정한 형태의 덕트 하우징, 상기 덕트 하우징의 전방에 횡방향 및 종방향으로 배치되어 덕트 하우징을 통해 배출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복수의 수평 및 수직 배플 부재로 이루어진다.
그런데, 각각의 수평 배플과 수직 배플이 서로 교차하도록 복수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전체적인 사이즈가 길어져, 넓은 설치 공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아울러, 사이즈 및 전후 방향의 길이가 길어짐으로써, 공기 조화 장치에서 공급되는 공기의 에너지가 소실됨으로써 공기조화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일본등록특허 제3684414호(2005.06.10.)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즈를 축소함과 동시에 공기에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덕트와 연통되는 덕트 하우징, 상기 덕트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덕트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회동되는 레버 부재를 구비하는 레버 하우징, 상기 레버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레버 부재의 타단에 치합되는 중간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기어와 치합되어 피벗 회전되는 수평 배플, 일단이 상기 레버 하우징과 고정되어 일체로 이동되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 로드, 상기 제1 연장 로드의 연장되는 단부에 형성되는 기어치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1 구동 기어, 상기 제1 구동 기어의 동축 상에 일체로 회전되되, 상기 동축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2 구동 기어와 제3 구동 기어, 상기 제2 구동 기어와 치합되어 이동되는 제2 연장 로드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수직 배플 및 상기 제3 구동 기어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됨으로써 상기 덕트 하우징을 개폐하는 편심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를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덕트 하우징의 외표면에 고정되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너 윙이 구비되고, 상기 레버 하우징은 상기 이너 윙의 외표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이너 윙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이너 윙의 중간 부분에 상호 평행한 한 쌍의 제1, 2 축이 상기 이너 윙의 길이 방향을 따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버 하우징은 상기 제1, 2축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레버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중간 기어와 치합되되, 상기 제1 축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1 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기어는 상기 제2 축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제2 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배플은 상기 덕트 하우징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되, 상기 각각의 수직 배플은 일체로 회동되도록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는 링크 부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수직 배플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연장 로드에 의해 회동되면 상기 모든 수직 배플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 기어와 치합되는 댐퍼 구동 기어, 상기 댐퍼 구동 기어의 회전축을 편심축으로 하여 회동되는 편심 부재, 상기 편심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되,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슬릿, 상기 제1 슬릿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 슬릿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호 형상을 형성하는 제2 슬릿 및 상기 제1 슬릿 및 제2 슬릿에 끼워진 상태로 제1 회전 및 제2 회전 위치로 회동되도록 상기 덕트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댐퍼 안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 안내 부재의 안내 돌기가 상기 제1 슬릿 및 제2 슬릿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에어 덕트의 내부를 개폐하는 댐퍼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안내 돌기가 상기 제1 슬릿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댐퍼 부재가 덕트 하우징의 내부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안내 돌기가 상기 제2 슬릿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댐퍼 부재가 점진적으로 상기 덕트 하우징의 내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에어 벤트의 사이즈를 축소함으로써 공기의 에너지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나의 레버 부재의 구동만으로 수평 배플, 수직 배플 및 댐퍼 부재를 제어할 수 있으므로 슬림한 구조의 설계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벤트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벤트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레버 부재, 중간 기어 및 수평 배플이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벤트의 편심 부재 부분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벤트의 레버 부재가 슬라이딩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벤트가 차량에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100)는 차량의 내부(1)에서 운전자 및 동승자의 전측 패널(10; 인스트루먼트 패널 또는 센터페시아)에 위치하고, 후방을 향하도록 배치되며, 온기 또는 냉기를 발생시켜 실내로 공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운전자 또는 동승자가 레버 부재(101)를 직접 파지하여 상하좌우로 조작하여 에어 벤트(100)의 풍향을 조절함으로써 차량의 실내로 공급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 및 좌우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벤트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레버 부재, 중간 기어 및 수평 배플이 회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것이며, 도 4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벤트의 편심 부재 부분이 나타나도록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는 덕트 하우징(12), 레버 하우징(102), 수평 배플(120), 제1 연장 로드(130), 제1 구동 기어(131), 제2 구동 기어(132), 제3 구동 기어(133), 수직 배플(113) 및 편심 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 하우징(12)은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덕트(11)와 연통될 수 있다.
에어 덕트(11)는 내부 공간을 통해 공조된 공기를 차량 내부로 공급할 수 있도록 횡단면이 대략 사각 또는 다각형 형태의 중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시하지 않은 블로어 유니트(blower unit)에 의해 유입된 공기를, 냉매가 흐르는 증발기 또는 차량 엔진의 냉각수가 흐르는 히터 코어(heater core)로 선택적으로 통과시켜 열교환시킨 후, 차량 실내의 각 부위와 연통된 에어 벤트(air vent)를 통하여 냉기 또는 온기 상태로 차량 실내의 여러 방향으로 분배함으로써 차량 실내를 냉방 또는 난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냉난방 사이클은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에어 덕트(11)를 통해 흡입되는 공기는 에어 덕트(11)의 단부에 장착되는 덕트 하우징(12)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레버 하우징(102)은 덕트 하우징(12)에 결합된 상태로 일단이 덕트 하우징(12)으로부터 외부를 향하도록 회동되는 레버 부재(101)를 구비할 수 있다.
도면 부호를 명기하지 않았으나, 레버 부재(101)의 외부로 노출된 표면에는 사용자의 손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복수의 돌기 또는 별도의 미끄럼 방지 부재 등이 적용될 수 있다.
레버 부재(101)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하우징(102)으로부터 일단이 외측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상하로 회동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레버 하우징(102)이 수평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횡방향의 길이를 갖는 이너 윙(103)이 설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이너 윙(103)은 레버 하우징(102)보다 얇은 두께를 갖는 상하의 평평한 면을 갖도록 형성되고, 레버 하우징(102)이 이너 윙(103)의 외표면을 감싸도록 설치됨으로써 슬라이딩을 안내하게 된다.
또한, 이너 윙(103)의 중간 부분에는 상호 평행한 한 쌍의 제1 축(102a) 및 제2 축(102b)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축(102a)은 레버 부재(101)의 회전 중심을 이루며 회전을 지지하고, 제2 축(102b)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중간 기어(111)의 회전 중심을 이루며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레버 부재(101)의 타단은 레버 하우징(102)의 내부에 위치하되, 일부분에 기어치가 형성되고, 이러한 기어치가 중간 기어(111)와 치합될 수 있다.
중간 기어(111)는 레버 하우징(102)의 내부에 관통되는 제2 축(102b)에 대하여 회전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중간 기어(111)의 레버 부재(101)와 치합되는 부분의 반대측에는 중간 기어(111)와 치합되는 수평 배플(120)이 배치될 수 있다.
수평 배플(120)은 중간 기어(111)와 접촉하는 일부분에 기어치가 형성되고, 중간 기어(111)와 치합되는 부분의 반대측은 수평 방향의 판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중간 기어(111)의 회전력에 의해 상하로 회동되는 과정에서 덕트 하우징(12)의 공기 유동 방향을 상하로 조정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즉, 수평 배플(120)은 덕트 하우징(12)으로부터 공급되는 공기의 진행 방향을 제어할 수 있도록 소정 면적을 갖는 판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장변 및 단변을 갖는 대략 사다리꼴의 종단면을 갖는 형상으로 도시되고 있으나, 덕트 하우징(12) 내의 공기 흐름을 다양한 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는 어떠한 형상이든 가능하므로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수평 배플(120)은 중간 기어(111)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공기의 유동 방향을 상하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이하, 수평 배플(120)의 공기 배출 방향을 따른 하류측을 덕트 하우징(12) 내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으로 정의하고, 반대 방향을 상류측으로 정의한다.
또한, 수평 배플(120)의 상류측에는 수평 배플(120)의 회전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는 보조 배플(122)이 형성될 수도 있다.
보조 배플(122)은 수평 배플(120)의 회전과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별도의 링크 부재(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으며, 이러한 링크 부재에 의해 상기 보조 배플이 수평 배플(120)과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됨으로써 덕트 하우징(12)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이 상측인 경우에 발생되는 와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제1 연장 로드(130)는 레버 하우징(102)과 일체로 이동되도록 제1 연장 로드(130)의 일단이 고정될 수 있다.
제1 연장 로드(13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접촉부(130a)가 레버 하우징(102)의 일부분과 결합됨으로써 레버 하우징(102)이 이너 윙(10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면 레버 하우징(102)과 제1 연장 로드(130)가 일체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제1 연장 로드(130)의 타단에는 후술하는 제1 구동 기어(131)와 치합되기 위한 복수의 기어치를 구비할 수 있다.
즉, 제1 연장 로드(130)가 슬라이딩되면 제1구동 기어(131)가 회전되도록 치합될 수 있다.
제1 구동 기어(131)와 동축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2 구동 기어(132) 및 제3 구동 기어(133)가 구비될 수 있다.
제2 구동 기어(132)는 후술하는 수직 배플(113)을 좌우로 회동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수직 배플(113)은 이너 윙(103)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호 평행하게 복수개 구비되되, 이너 윙(103)과 교차되는 방향으로 오버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수직 배플(113)은 덕트 하우징(12)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을 제어하도록 회동될 수 있으며, 일 예로 이너 윙(103)의 길이 방향을 따른 양방향으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수직 배플(113)은 상호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될 수 있도록 별도의 링크 부재(미도시)가 각각의 수직 배플(113)의 일단을 연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3 구동 기어(133)는 전술한 바와 같은 제1 구동 기어(131) 및 제2 구동 기어(132)와 일체로 회전되되, 후술하는 편심 부재(150)의 댐퍼 구동 기어(151)와 치합되어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댐퍼 구동 기어(151)는 제3 구동 기어(133)와 치합되며, 편심 부재(150), 제1 슬릿(152), 제2 슬릿(153), 댐퍼 안내 부재(160)가 구비될 수 있다.
댐퍼 구동 기어(151)는 편심 부재(150)와 일체로 회동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댐퍼 구동 기어(151)가 제3 구동 기어(133)와 치합되어 회전됨으로써 편심 부재(150)를 회동시킬 수 있도록 한다.
편심 부재(150)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되, 각각의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슬릿(152) 및 제2 슬릿(153)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심 부재(150)는 덕트 하우징(12)의 측면에 평행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되, 소정 곡률로 만곡되는 제1 슬릿(152) 및 제1 슬릿(152)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소정 각도로 절곡되는 제2 슬릿(153)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편심 부재(150)는 댐퍼 구동 기어(151)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되, 댐퍼 구동 기어(151)가 편심 부재(150)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므로 편심 부재(150)가 편심 회전을 할 수 있도록 한다.
편심 부재(150)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제1 슬릿(152) 및 제2 슬릿(153)은 각각 일정 곡률로 만곡되되, 제1 슬릿(152) 및 제2 슬릿(153)에 댐퍼 안내 부재(160)의 안내 돌기(161)가 삽입되어 상대 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안내 돌기(161)는 댐퍼 안내 부재(160)로부터 편심 부재(150) 측으로 돌출되어 제1 슬릿(152) 및 제2 슬릿(153)에 삽입됨으로써, 편심 부재(150)가 회동함에 따라 안내 돌기(161)가 제1 슬릿(152) 및 제2 슬릿(153)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한다.
아울러, 댐퍼 안내 부재(160)의 회전에 따라 일체로 회전되는 댐퍼 부재(162)가 덕트 하우징(12)의 내부를 개폐하도록 한다.
댐퍼 부재(162)는 덕트 하우징(12)의 폭 방향으로 힌지 결합되고, 전술한 댐퍼 안내 부재(16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됨으로써 덕트 하우징(12)의 내부의 공기 유동을 원활하게 진행되도록 개방하거나, 공기 유동이 발생되지 않도록 폐쇄할 수도 있게 된다.
구체적으로, 안내 돌기(161)가 제1 슬릿(152)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태에서는 댐퍼 부재(162)가 개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고, 안내 돌기(161)가 제2 슬릿(153)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태에서는 댐퍼 부재(162)가 점진적으로 덕트 하우징(12)의 내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도록 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 벤트의 작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벤트의 레버 부재가 슬라이딩하는 작동 상태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7의 (a), (b), (c)에 도시한 바와 같은 상태를 초기 위치로 정의하는 경우, 댐퍼 안내 부재(160)의 안내 돌기(161)가 편심 부재(150)의 제1 슬릿(152)의 좌측 단부에 위치하는 상태이므로 댐퍼 부재(162)가 덕트 하우징(12)의 내부의 공기 유동을 간섭하지 않도록 위치하게 된다.
다시 말해, 댐퍼 부재(162)의 평평한 면이 덕트 하우징(12)의 내부를 유동하는 공기의 흐름에 간섭되지 않도록 공기 유동 방향과 평행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부재(101)가 도 7의 상태에서 우측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딩되면 레버 하우징(102)과 연결된 제1 연장 로드(130)가 도면상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도 8의 (b)를 참조하면 제1 연장 로드(130)의 기어치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1 구동 기어(131)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구동 기어(131)의 회전력은 제2 구동 기어(132)를 경유하여 제2 연장 로드(140)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제2 연장 로드(140)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제2 연장 로드(140)와 힌지 결합되는 힌지 브래킷(141)과 연동되어 회동되는 복수의 수직 배플(113)이 회동되므로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 상단으로부터 좌측 상단으로 기울어지는 형상으로 제어되어 덕트 하우징(12)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이 도면상 좌측으로 편향되어 배출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도 8의 (c)를 참조하면 편심 부재(150)가 댐퍼 구동 기어(151)의 회전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안내 돌기(161)가 제1 슬릿(15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 댐퍼 부재(162)가 회동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한편,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레버 부재(101)가 도 7의 상태에서 좌측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딩되면 접촉부(130a)를 통해 레버 하우징(102)과 연결된 제1 연장 로드(130)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1 연장 로드(130)의 기어치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1 구동 기어(13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구동 기어(131)의 회전력은 제2 구동 기어(132)를 경유하여 제2 연장 로드(140)로 전달된다.
이로 인해, 제2 연장 로드(140)가 도면 상 우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제2 연장 로드(140)와 연동되어 회동되는 복수의 수직 배플(113)이 회동되므로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좌측 상단으로부터 우측 하단으로 기울어지는 형상으로 제어되어 덕트 하우징(12) 내부의 공기 유동 방향이 도면상 우측으로 편향되어 배출되도록 제어된다.
또한, 도 9의 (C)를 참조하면 편심 부재(150)가 댐퍼 구동 기어(151)의 회전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과정에서 안내 돌기(161)가 제1 슬릿(152)을 따라 제1 슬릿(152)의 우측 단부까지 슬라이딩되어도 도 8의 댐퍼 부재(162)의 상태와 같이 댐퍼 부재(162)가 회동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이후, 도 10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버 부재(101)가 도 9의 상태로부터 더욱 좌측으로 이동하여 슬라이딩되면 접촉부(130a)를 통해 레버 하우징(102)과 연결된 제1 연장 로드(130)가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한다. 이때, 레버 부재(101)의 좌측으로의 이동 거리는 제1 축(102a) 및 제2 축(102b)의 최좌측단까지의 거리로 제한될 수 있다.
이때, 제1 연장 로드(130)의 기어치와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1 구동 기어(13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제1 구동 기어(131)의 회전력은 제2 구동 기어(132)를 경유하여 제2 연장 로드(140)로 전달된다.
제2 연장 로드(140)가 도면 상 우측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제2 연장 로드(140)와 연동되어 회동되는 힌지 브래킷(141)은 수직 배플(113)이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현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
구체적으로, 힌지 브래킷(141)은 덕트 하우징(12)에 의해 회전 지지되는 회전축(142)을 중심으로 회전되되, 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는 안내공(141a)에 제2 연장 로드(140)가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안내공(141a)은 힌지 브래킷(141)이 회전축(142)을 중심으로 회전되며 복수의 수직 배플(113) 중 어느 하나를 일측 방향으로 회동시키되,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일측 방향으로의 이동이 지속되는 동안 수직 배플이 더 이상 회동되지 않도록 유지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안내공(141a)은 힌지 브래킷(141)의 두께 방향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되, 소정 각도로 절곡되는 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연장 로드(140)와 힌지 결합된 부분이 안내공(141a)의 절곡된 부분을 통과하여 슬라이딩되는 동안(도 9 의 상태에서 도 10의 상태로 진행되는 동안) 수직 배플의 회동을 중지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도 10의 (c)를 도 10의 (c)와 함께 참조하면 수직 배플(113)의 회동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유지되지만, 안내 돌기(161)가 편심 부재(150)의 제2 슬릿(153)을 따라 이동되는 상태이므로 댐퍼 부재(162)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구동됨으로써 덕트 하우징(12)의 내부의 공기 유동을 폐쇄하게 된다.
즉, 사용자로 공급되는 공기가 필요치 않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레버 부재(101)를 최좌측단으로 슬라이딩작동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 벤트에 의하면 수평 배플(120), 수직 배플(113) 및 댐퍼 부재(162)가 덕트 하우징(12) 내부에 위치하므로 전체적인 사이즈가 축소되어 공기의 에너지 손실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레버 부재(101)의 조작만으로 덕트 하우징(12) 내부에 위치하는 각각의 부품을 제어할 수 있으므로 외관적으로 슬림한 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2: 덕트 하우징
102: 레버 하우징
113: 수직 배플
120: 수평 배플
130: 제1 연장 로드
131: 제1 구동 기어
132: 제2 구동 기어
133: 제3 구동 기어
140: 제2 연장 로드
150: 편심 부재

Claims (7)

  1.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 덕트와 연통되는 덕트 하우징;
    상기 덕트 하우징에 결합된 상태로 일단이 상기 덕트 하우징으로부터 외부를 향하도록 배치되어 회동되는 레버 부재를 구비하는 레버 하우징;
    상기 레버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되, 상기 레버 부재의 타단에 치합되는 중간 기어를 구비하고, 상기 중간 기어와 치합되어 피벗 회전되는 수평 배플;
    일단이 상기 레버 하우징과 고정되어 일체로 이동되되,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연장 로드;
    상기 제1 연장 로드의 연장되는 단부에 형성되는 기어치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제1 구동 기어;
    상기 제1 구동 기어의 동축 상에 일체로 회전되되, 상기 동축 상에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2 구동 기어와 제3 구동 기어;
    상기 제2 구동 기어와 치합되어 이동되는 제2 연장 로드의 타단에 힌지 결합되어 회동되는 수직 배플; 및
    상기 제3 구동 기어와 힌지 결합되어 회동됨으로써 상기 덕트 하우징을 개폐하는 편심 부재를 포함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덕트 하우징의 외표면에 고정되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너 윙이 구비되고,
    상기 레버 하우징은 상기 이너 윙의 외표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되, 상기 이너 윙의 길이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 윙의 중간 부분에 상호 평행한 한 쌍의 제1, 2 축이 상기 이너 윙의 길이 방향을 따른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레버 하우징은 상기 제1, 2축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슬라이딩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레버 하우징의 내부에는 상기 중간 기어와 치합되되, 상기 제1 축에 의해 관통된 상태로 상기 제1 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하는 구동 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중간 기어는 상기 제2 축에 의해 관통되고, 상기 제2 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배플은 상기 덕트 하우징의 폭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되, 상기 각각의 수직 배플은 일체로 회동되도록 각각의 단부에 연결되는 링크 부재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복수의 수직 배플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2 연장 로드에 의해 회동되면 상기 모든 수직 배플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구동 기어와 치합되는 댐퍼 구동 기어;
    상기 댐퍼 구동 기어의 회전축을 편심축으로 하여 회동되는 편심 부재;
    상기 편심 부재의 두께 방향으로 관통되되, 호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1 슬릿;
    상기 제1 슬릿의 일단으로부터 연장되되, 상기 제1 슬릿으로부터 소정 각도로 절곡되어 호 형상을 형성하는 제2 슬릿; 및
    상기 제1 슬릿 및 제2 슬릿에 끼워진 상태로 제1 회전 및 제2 회전 위치로 회동되도록 상기 덕트 하우징의 폭 방향으로 돌출되는 댐퍼 안내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댐퍼 안내 부재의 안내 돌기가 상기 제1 슬릿 및 제2 슬릿을 따라 슬라이딩됨으로써 상기 에어 덕트의 내부를 개폐하는 댐퍼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 돌기가 상기 제1 슬릿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댐퍼 부재가 덕트 하우징의 내부를 개방된 상태로 유지시키고, 상기 안내 돌기가 상기 제2 슬릿을 따라 슬라이딩되는 상태에서는 상기 댐퍼 부재가 점진적으로 상기 덕트 하우징의 내부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 벤트.
KR1020170086525A 2017-07-07 2017-07-07 차량용 에어 벤트 KR101952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525A KR101952662B1 (ko) 2017-07-07 2017-07-07 차량용 에어 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6525A KR101952662B1 (ko) 2017-07-07 2017-07-07 차량용 에어 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611A KR20190005611A (ko) 2019-01-16
KR101952662B1 true KR101952662B1 (ko) 2019-05-23

Family

ID=652808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6525A KR101952662B1 (ko) 2017-07-07 2017-07-07 차량용 에어 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526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5658A (zh) * 2019-12-17 2020-04-24 宁波均胜群英汽车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出风控制机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07370A (ko) * 2020-02-24 2021-09-0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에어벤트 장치
CN111731069B (zh) * 2020-07-13 2021-09-07 武汉均胜汽车零部件有限公司 一种风门结构及使用其的汽车空调出风口
CN113715584B (zh) * 2021-11-01 2022-06-21 宁波均胜群英汽车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传动机构及使用其的汽车空调出风口
CN117329626B (zh) * 2023-11-14 2024-03-15 安徽珍昊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循环式高效率风管负压平衡系统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6014A (ja) 2003-02-26 2004-09-16 Howa Kasei Kk レジスタ
JP2004299461A (ja) 2003-03-28 2004-10-28 Toyoda Gosei Co Ltd 空調用レジスタおよび操作装置
JP2013241110A (ja) 2012-05-21 2013-12-05 Howa Kasei Kk レジスタ
KR101526809B1 (ko) 2014-07-23 2015-06-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634B1 (ko) 2002-04-18 2004-04-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벤트 그릴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56014A (ja) 2003-02-26 2004-09-16 Howa Kasei Kk レジスタ
JP2004299461A (ja) 2003-03-28 2004-10-28 Toyoda Gosei Co Ltd 空調用レジスタおよび操作装置
JP2013241110A (ja) 2012-05-21 2013-12-05 Howa Kasei Kk レジスタ
KR101526809B1 (ko) 2014-07-23 2015-06-08 주식회사 니프코코리아 자동차의 에어벤트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55658A (zh) * 2019-12-17 2020-04-24 宁波均胜群英汽车系统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空调出风控制机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5611A (ko) 2019-0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2662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KR101878965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JP2001058511A (ja) 自動車用空気調和装置
KR101240601B1 (ko) 자동차의 풍향 및 풍량 조절장치
JP6341114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950312B1 (ko) 다단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KR102412025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WO2018030022A1 (ja) 空気吹出装置
JP2009090873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7171125A (ja) 車両用空調装置
KR101950311B1 (ko) 조절 노브를 구비하는 에어 벤트
KR102027412B1 (ko) 차량용 에어 벤트
JP2017013733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7253689A (ja) 車両用空調装置
JP6054191B2 (ja) 空調ユニット用ドア構造および空調ユニット
JP6565739B2 (ja) 車両用空気吹き出し装置
KR20130090659A (ko) 자동차의 에어벤트
JP6540542B2 (ja) 車両用空気吹き出し装置
JP3997959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40139742A (ko) 윙 노브 조립체
JP2018114778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7149299A (ja) 車両用空気吹き出し装置
JP2014198487A (ja) 車両用空調装置
KR930007604Y1 (ko) 자동차 공기조화제어기의 콘트롤레버 결합구조
JP6223710B2 (ja) 車両用空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