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857B1 - 분말용기의 밀봉캡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분말용기의 밀봉캡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6857B1 KR101956857B1 KR1020180100528A KR20180100528A KR101956857B1 KR 101956857 B1 KR101956857 B1 KR 101956857B1 KR 1020180100528 A KR1020180100528 A KR 1020180100528A KR 20180100528 A KR20180100528 A KR 20180100528A KR 101956857 B1 KR101956857 B1 KR 1019568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lling
- opening
- rim
- seating groove
- sea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preformed openings, e.g. tearable strips or plastic plugs
- B65D17/501—Flexible tape or foil-like material
- B65D17/502—Flexible tape or foil-like material applied to the external part of the container wall only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01—Machines characterised by incorporation of means for making the closures before apply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17/00—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piercing or tearing of wall portions, e.g. preserving cans or tins
- B65D2517/50—Non-integral frangible members applied to, or inserted in, a preformed opening
- B65D2517/5002—Details of flexible tape or foil-like material
- B65D2517/5037—Unusual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은, 분말용기의 상측에 결합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 및 덮개부의 상면에 부착되며 개구부를 덮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바디가 형성되고, 밀폐바디의 외측 테두리의 일 지점에서 당김부가 연장 형성되며, 당김부는 밀폐바디의 상면을 향해 절곡되어 접힘으로써 밀폐바디와 중첩되고, 밀폐바디에서 당김부가 중첩되는 지점에는 분말용기의 내부공간을 향해 함입된 안착홈이 형성되며, 당김부는 접힘시 안착홈의 바닥면에 중첩됨으로써 밀폐바디의 상면보다 하방에 위치되는 밀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분말용기의 밀봉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분말이 충진된 분말용기를 안정적으로 밀봉하며, 분말용기를 밀봉하고 이송하는 과정에서 외부 장치 등에 의해 밀봉캡의 탭이 뜯기거나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분유 등의 분말상태의 내용물을 일정량 담아 보관하는 종래의 분말용기는, 분말용기의 상측에 결합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 덮개부의 상면에 부착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부, 밀폐부의 일단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되 밀페부의 일단을 기준으로 밀폐부의 타측으로 절곡시켜 밀페부의 상면에 중첩되도록 형성된 당김부(탭)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한편, 종래에는 분말용기에 분말을 충진하고 분말용기를 조립 및 이송하는 과정에서 컨베이어 벨트가 이용되었는데, 분말용기의 밀폐부의 상면으로 절곡되어 중첩되어서 형성된 당김부가 안정적으로 밀폐부의 상면에 고정되지 않고, 조립 및 이송 과정에서 절곡된 부분이 들리거나 외부 장치 등에 걸려서 뜯기고 당겨짐에 따라 밀폐부로부터 분리되어 개구부를 개방시켜 분말용기 내의 분말이 유출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당김부를 밀폐부의 상면에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착시키는 방법이 소개되었으나, 이와 같은 경우 접착제 등을 사용하여 접착시키는 추가 공정이 필요하였으며 접착제 사용으로 인한 재료비 상승의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분말용기에 분말을 충진하고 조립 및 이송하는 과정에서 당김부가 밀폐부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은, 분말용기의 상측에 결합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 및 덮개부의 상면에 부착되며 개구부를 덮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바디가 형성되고, 밀폐바디의 외측 테두리의 일 지점에서 당김부가 연장 형성되며, 당김부는 밀폐바디의 상면을 향해 절곡되어 접힘으로써 밀폐바디와 중첩되고, 밀폐바디에서 당김부가 중첩되는 지점에는 분말용기의 내부공간을 향해 함입된 안착홈이 형성되며, 당김부는 접힘시 안착홈의 바닥면에 중첩됨으로써 밀폐바디의 상면보다 하방에 위치되는 밀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안착홈은 개방된 상면, 측면 및 바닥면으로 구성되며 바닥면의 형상은 당김부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안착홈은 개구부의 테두리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분말용기의 내부공간을 향해 함입되어 형성되며, 개구부의 테두리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함입되는 깊이가 깊어질 수 있다.
밀폐부는 개구부의 테두리 일단에서 밀폐바디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턱을 포함하며, 안착홈은 턱의 하측단부에서 개구부의 테두리 타단으로 분말용기의 내부공간을 향해 함입되어 형성되고, 개구부의 테두리 타단을 향해 갈수록 함입 깊이가 깊어질 수 있다.
당김부는 밀폐바디의 상면을 향해 절곡될 시, 턱이 형성된 지점에서 턱에 밀착되어 턱을 따라 절곡되며 안착홈에 밀착되어 안착될 수 있다.
밀폐부는 안착홈에 안착된 당김부가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탈방지부는 안착홈의 측면 상에서 안착홈의 내부를 향해서 돌출된 언더컷 형상의 돌기일 수 있다.
당김부는 파지홀이 형성된 고리 형상이며, 이탈방지부는 파지홀 지점에서 안착홈의 측면을 향해 돌출된 언더컷 형상의 돌기일 수 있다.
당김부는 안착홈에 엠보 결합을 통해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개구부의 테두리 지점으로부터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1 마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마감부는 개구부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하향부 및 하향부의 하단부에서 개구부의 외측으로 절곡된 지지부로 구성되며, 지지부는 복수의 밀봉캡의 적층시 하방에 위치되는 밀봉캡의 밀폐바디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밀폐바디는 테두리 부분의 하면이 덮개부 중 개구부의 주변에 부착되고 상면이 밀봉캡의 적층시 상방에 위치되는 밀봉캡의 지지부에 접촉될 수 있다.
제1 마감부의 높이는 안착홈의 높이 이상일 수 있다.
덮개부의 테두리 지점으로부터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 마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마감부의 높이는 안착홈의 높이 이상일 수 있다.
상술한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 제조 방법은, 분말용기의 상측에 결합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마련하는 단계; 덮개부의 상면에 부착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바디 및 밀폐바디의 외측 테두리의 일 지점에서 연장 형성된 당김부를 포함하는 밀폐부를 마련하는 단계; 당김부가 밀폐바디의 상면을 향해 절곡되어 접힐 시 밀폐바디와 중첩되는 지점에 안착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당김부를 밀폐바디의 상면을 향해 절곡시켜 안착홈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마련하는 단계 이후에,
개구부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하향부 및 하향부의 하단부에서 개구부의 외측으로 절곡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마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마련하는 단계 이후에,
덮개부의 테두리 지점으로부터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 마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당김부를 안착홈에 안착시킨 이후에,
당김부를 안착홈에 엠보 결합을 통해 물리적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당김부를 안착홈에 엠보 결합을 통해 물리적으로 결합시킨 이후에,
당김부가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당김부를 안착홈에 안착시킨 이후에,
당김부가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 제조 방법은 분말용기의 상측에 결합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마련하는 단계; 덮개부의 상면에 부착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바디 및 밀폐바디의 외측 테두리의 일 지점에서 연장 형성된 당김부를 포함하는 밀폐부를 마련하는 단계; 당김부를 밀폐바디의 상면을 향해 절곡시켜 밀폐바디와 중첩시키는 단계; 및 당김부가 밀폐바디와 중첩되는 지점에 안착홈을 형성하여 당김부를 안착홈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마련하는 단계 이후에,
개구부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하향부 및 하향부의 하단부에서 개구부의 외측으로 절곡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마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마련하는 단계 이후에,
덮개부의 테두리 지점으로부터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 마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당김부를 안착홈에 안착시킨 이후에,
당김부를 안착홈에 엠보 결합을 통해 물리적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당김부를 안착홈에 안착시킨 이후에,
당김부가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분말용기의 상측에 결합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의 상면에 부착되는 밀페부에서, 당김부가 중첩되는 밀페바디 지점에 분말용기의 내부공간을 향해 함입된 안착홈을 형성하고, 해당 안착홈에 당김부를 안착시켜 당김부가 밀폐바디의 상면보다 하방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분말용기에 분말을 충전, 조립 및 이송하는 과정에서 당김부가 외부 장치 등에 의해 걸리거나 뜯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김부를 안착홈에 안착시킨 이후에 당김부와 안착홈을 엠보 결합을 통해 결합시킴으로써, 당김부가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홈에 안착되어 분말용기에 분말을 충전, 조립 및 이송하는 과정에서 당김부가 외부 장치 등에 의해 걸리거나 뜯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안착홈의 측면 상에 안착홈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언더컷 돌기 형상의 이탈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당김부를 안착홈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을 상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을 하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을 상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을 상명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을 A-A'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를 B-B'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을 C-C'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를 D-D'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들을 적층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들을 적층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 제조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 제조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을 하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을 상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을 상명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1을 A-A'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를 B-B'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을 C-C'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5를 D-D'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들을 적층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들을 적층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 제조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 제조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 및 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을 상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을 하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을 측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을 상면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을 상명에서 바라본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1을 A-A'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7은 도 4를 B-B'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8은 도 1을 C-C'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9는 도 5를 D-D'로 자른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들을 적층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들을 적층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은 분말용기(미도시)의 상측에 결합되며 개구부(110)가 형성된 덮개부(100) 및 덮개부(100)의 상면에 부착되며 개구부(110)를 덮어 개구부(110)를 밀폐시키는 밀폐바디(210), 밀폐바디(210)의 외측 테두리의 일 지점에서 연장 형성된 당김부(220) 및 밀페바디(210)에서 당김부(220)가 중첩되는 지점에 분말용기의 내부공간을 향해 함입되어 형성된 안착홈(230)을 포함하는 밀폐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밀폐부(200)의 세부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바디(210)는 덮개부(100)의 상면에 부착되며 개구부를 덮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역할을 한다. 실시예에 따라, 밀폐바디(210)는 알루미늄 시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개구부의 테두리를 따라 덮개부(100)의 상면에 접착제 등을 통해 부착될 수 있다. 아울러, 밀폐바디(210)는 테두리 부분의 하면이 덮개부(100) 중 개구부(110)의 주변에 부착되고, 상면이 밀봉캡의 적층시상방에 위치되는 밀봉캡의 지지부(124)에 접촉될 수 있다.
또한, 당김부(220)는 밀폐바디(210)의 외측 테두리의 일 지점에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며, 밀폐바디(210)의 상면을 향해 절곡되어 접힘으로써 밀폐바디(210)와 중첩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당김부(220)는 밀폐바디(210)와 일체물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밀폐바디(210)와 같이 알루미늄 시트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아울러, 안착홈(230)은 당김부(220)를 밀폐바디(210)의 상면을 향해 절곡시켜 접음으로써 밀폐바디(210)에 중첩시킬 때, 밀폐바디(210)에서 당김부(220)가 중첩되는 지점에 분말용기의 내부공간을 향해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안착홈(230)은 개방된 상면, 측면 및 바닥면으로 구성될 수 있는데, 바닥면의 형상은 당김부(220)의 형상에 대응될 수 있다. 이처럼, 안착홈(230)의 바닥면의 형상을 당김부(220)의 형상에 대응되게 형성함으로써, 당김부(220)가 안착홈(230)의 바닥면에 보당 안정적으로 중첩되어 안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착홈(230)은 개구부(110)의 테두리 일단에서 타단으로 분말용기의 내부공간을 향해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개구부(110)의 테두리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함입되는 깊이가 깊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덮개부(100)의 상면에 부착된 밀폐바디(210)를 개구부(110)의 테두리 일단에서 분말용기의 내부공간을 향해 함입시킴으로써 밀페바디(210)의 일부분이 신장되어 안착홈(230)이 형성되는데, 개구부(110) 테두리 일단의 함입 깊이를 가장 얕게 함으로써, 안착홈(230)이 형성되면서 개구부(110)의 테두리 일단에서 밀페바디(210)가 파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에서, 밀폐부(200)는 개구부(110)의 테두리 일단에서 밀폐바디(210)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턱(240)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경우 안착홈(230)은 턱(240)의 하측단부에서 개구부의 테두리 타단으로 분말용기의 내부공간을 향해 함입되어 형성되고, 개구부의 테두리 타단을 향해 갈수록 함입깊이가 깊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당김부(230)는 밀폐바디(210)의 상면을 향해 절곡될 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턱(240)이 형성된 지점에서 턱(240)에 밀착되어 턱(240)을 따라 절곡되며, 나머지 당김부(230)는 턱(240)의 하측단부로부터 하향경사지게 형성된 안착홈(230)에 밀착되어 안착될 수 있다. 이처럼, 개구부의 테두리 일단에 턱을 형성하고, 당김부를 안착홈에 안착시키는 과정에서 턱이 형성된 지점에서 턱에 밀착되어 턱을 따라 절곡시킨 후, 안착홈에 안착시킴으로써, 당김부가 분말용기에 분말을 충진하거나 조립 및 이송 과정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 장치 등에 의해 걸리거나 뜯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밀폐부(200)는 안착홈(230)에 안착된 당김부(220)가 안착홈(2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25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이탈방지부(250)는 안착홈(230)의 측면 상에서 안착홈(230)의 내부를 향해서 돌출될 언더컷 형상의 돌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서는 당김부(220)를 안착홈(230)의 바닥면에 중첩시켜 안착시킴으로써 당김부(220)가 밀페바디(210)의 상면보다 하방에 위치되도록 하고, 안착홈(230)의 측면 상에 안착홈(230)의 내부를 향해 돌출된 언더컷 형상의 돌기인 이탈방지부(250)를 형성함으로써, 당김부(220)가 안착홈(2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보다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당김부가 분말용기에 분말을 충진하거나 조립 및 이송 과정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 장치 등에 의해 걸리거나 뜯기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에 따라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당김부(230)가 파지홀이 형성된 고리형상일 때, 이탈방지부(250)는 파지홀 지점에서 안착홈(230)의 측면을 향해 돌출될 언더컷 형상의 돌기일 수 있다. 다시 말해, 파지홀이 형성된 당김부(230)를 안착홈(230)의 바닥면에 중첩시켜 안착시킴으로써 당김부(220)가 밀폐바디(210)의 상면보다 하방에 위치되도록 하고, 파지홀 지점에서 안착홈(230)의 측면을 향해 언더컷 형상의 돌기인 이탈방지부(250)를 형성함으로써, 당김부(220)가 안착홈(230)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보다 안전하게 방지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당김부가 분말용기에 분말을 충진하거나 조립 및 이송 과정에서 외부로 돌출되어 외부 장치 등에 의해 걸리거나 뜯기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폐부(200)에 엠보 형상의 포밍 처리를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당김부(220)는 안착홈(230)에 엠보 결합을 통해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당김부를 안착홈의 바닥면에 중첩시켜 당김부가 밀폐바디의 상면보다 하방에 위치되도록하고, 당김부를 안착홈에 엠보 결합을 통해 물리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당김부가 분말용기에 분말을 충진하거나 조립 및 이송 과정에서 안착홈 외부로 돌출되어외부 장치 등에 의해 걸리거나 뜯기는 문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덮개부(100)는 개구부(110)의 테두리 지점으로부터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1 마감부(1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제1 마감부(120)의 높이는 안착홈(230)의 높이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마감부(120)는 개구부(110)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하향부(122) 및 하향부(122)의 하단부에서 개구부(110)의 외측으로 절곡된 지지부(124)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지지부(124)는 복수의 밀봉캡의 적층시 하방에 위치되는 밀봉캡의 밀폐바디(210)에 접촉되어 지지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마감부(120)의 높이가 안착홈(230)의 높이 이상으로 형성되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밀봉캡을 적층하였을 시, 상방에 위치하는 밀봉캡의 지지부(124)가 하방에 위치되는 밀봉캡의 밀폐바디(210)에 접촉되어 지지됨으로써, 상방에 위치한 밀봉캡의 안착홈(230)의 바닥면이 하방에 위치한 밀봉캡의 밀폐바디(210)의 상면과 이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복수의 밀봉캡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안착홈의 높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덮개부(100)는 덮개부(100)의 테두리 지점으로부터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 마감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이때 제2 마감부(130)의 높이는 안착홈(230)의 높이 이상일 수 있다. 이처럼, 제2 마감부(130)의 높이가 안착홈(230)의 높이 이상으로 형성됨으로써,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밀봉캡들을 적층하였을 시, 상측에 위치한 밀봉캡의 안착홈(230)의 바닥면이 하측에 위치한 밀봉캡의 밀폐바디(210)의 상면과 이격될 수 있고, 그에 따라 복수의 밀봉캡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안착홈의 높이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 제조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 제조 방법은, 분말용기의 상측에 결합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마련하는 단계, 덮개부의 상면에 부착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바디 및 밀폐바디의 외측 테두리의 일 지점에서 연장 형성된 당김부를 포함하는 밀폐부를 마련하는 단계, 당김부가 밀폐바디의 상면을 향해 절곡되어 접힐 시 밀폐바디와 중첩되는 지점에 안착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당김부를 밀폐바디의 상면을 향해 절곡시켜 안착홈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마련하는 단계 이후에, 개구부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하향부 및 하향부의 하단부에서 개구부의 외측으로 절곡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마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마련하는 단계 이후에, 덮개부의 테두리 지점으로부터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 마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김부를 안착홈에 안착시킨 이후에, 당김부를 안착홈에 엠보 결합을 통해 물리적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당김부를 안착홈에 엠보 결합을 통해 물리적으로 결합시킨 이후에, 당김부가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당김부를 안착홈에 안착시킨 이후에 당김부가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 제조 방법의 흐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분말용기의 밀봉캡 제조 방법은, 분말용기의 상측에 결합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마련하는 단계, 덮개부의 상면에 부착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바디 및 밀폐바디의 외측 테두리의 일 지점에서 연장 형성된 당김부를 포함하는 밀폐부를 마련하는 단계, 당김부를 밀폐바디의 상면을 향해 절곡시켜 밀폐바디와 중첩시키는 단계, 및 당김부가 밀폐바디와 중첩되는 지점에 안착홈을 형성하여 당김부를 안착홈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마련하는 단계 이후에, 개구부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하향부 및 하향부의 하단부에서 개구부의 외측으로 절곡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마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마련하는 단계 이후에, 덮개부의 테두리 지점으로부터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 마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당김부를 안착홈에 안착시킨 이후에, 당김부를 안착홈에 엠보 결합을 통해 물리적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 당김부를 안착홈에 엠보 결합을 통해 물리적으로 결합시킨 이후에, 당김부가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는 당김부를 안착홈에 안착시킨 이후에 당김부가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분말용기의 상측에 결합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의 상면에 부착되는 밀페부에서, 당김부가 중첩되는 밀페바디 지점에 분말용기의 내부공간을 향해 함입된 안착홈을 형성하고, 해당 안착홈에 당김부를 안착시켜 당김부가 밀폐바디의 상면보다 하방에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분말용기에 분말을 충전, 조립 및 이송하는 과정에서 당김부가 외부 장치 등에 의해 걸리거나 뜯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당김부를 안착홈에 안착시킨 이후에 당김부와 안착홈을 엠보 결합을 통해 결합시킴으로써, 당김부가 보다 안정적으로 안착홈에 안착되어 분말용기에 분말을 충전, 조립 및 이송하는 과정에서 당김부가 외부 장치 등에 의해 걸리거나 뜯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안착홈의 측면 상에 안착홈의 내부를 향해 돌출되는 언더컷 돌기 형상의 이탈방지부를 형성함으로써, 당김부를 안착홈에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고, 그에 따라 분말용기에 분말을 충전, 조립 및 이송하는 과정에서 당김부가 외부 장치 등에 의해 걸리거나 뜯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100: 덮개부 110: 개구부
120: 제1 마감부 122: 하향부
124: 지지부
130: 제2 마감부
200: 밀폐부 210: 밀폐바디
220: 당김부 230: 안착홈
240: 턱 250: 이탈방지부
120: 제1 마감부 122: 하향부
124: 지지부
130: 제2 마감부
200: 밀폐부 210: 밀폐바디
220: 당김부 230: 안착홈
240: 턱 250: 이탈방지부
Claims (26)
- 분말용기의 상측에 결합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 및
덮개부의 상면에 부착되며 개구부를 덮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바디가 형성되고, 밀폐바디의 외측 테두리의 일 지점에서 당김부가 연장 형성되며, 당김부는 밀폐바디의 상면을 향해 절곡되어 접힘으로써 밀폐바디와 중첩되고, 밀폐바디에서 당김부가 중첩되는 지점에는 분말용기의 내부공간을 향해 함입된 안착홈이 형성되며, 당김부는 접힘시 안착홈의 바닥면에 중첩됨으로써 밀폐바디의 상면보다 하방에 위치되는 밀폐부;를 포함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 청구항 1에 있어서,
안착홈은 개방된 상면, 측면 및 바닥면으로 구성되며 바닥면의 형상은 당김부의 형상에 대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 청구항 1에 있어서,
안착홈은 개구부의 테두리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분말용기의 내부공간을 향해 함입되어 형성되며, 개구부의 테두리의 일단에서 타단으로 갈수록 함입되는 깊이가 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 청구항 1에 있어서,
밀폐부는 개구부의 테두리 일단에서 밀폐바디가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턱을 포함하며,
안착홈은 턱의 하측단부에서 개구부의 테두리 타단으로 분말용기의 내부공간을 향해 함입되어 형성되고, 개구부의 테두리 타단을 향해 갈수록 함입 깊이가 깊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 청구항 4에 있어서,
당김부는 밀폐바디의 상면을 향해 절곡될 시, 턱이 형성된 지점에서 턱에 밀착되어 턱을 따라 절곡되며 안착홈에 밀착되어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 청구항 1에 있어서,
밀폐부는 안착홈에 안착된 당김부가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 청구항 6에 있어서,
이탈방지부는 안착홈의 측면 상에서 안착홈의 내부를 향해서 돌출된 언더컷 형상의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 청구항 6에 있어서,
당김부는 파지홀이 형성된 고리 형상이며, 이탈방지부는 파지홀 지점에서 안착홈의 측면을 향해 돌출된 언더컷 형상의 돌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 청구항 1에 있어서,
당김부는 안착홈에 엠보 결합을 통해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 청구항 1에 있어서,
개구부의 테두리 지점으로부터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1 마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1마감부는 개구부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하향부 및 하향부의 하단부에서 개구부의 외측으로 절곡된 지지부로 구성되며, 지지부는 복수의 밀봉캡의 적층시 하방에 위치되는 밀봉캡의 밀폐바디에 접촉되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 청구항 11에 있어서,
밀폐바디는 테두리 부분의 하면이 덮개부 중 개구부의 주변에 부착되고 상면이 밀봉캡의 적층시 상방에 위치되는 밀봉캡의 지지부에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 청구항 10에 있어서,
제1 마감부의 높이는 안착홈의 높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 청구항 1에 있어서,
덮개부의 테두리 지점으로부터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 마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 청구항 14에 있어서,
제2 마감부의 높이는 안착홈의 높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 청구항 1의 분말용기의 밀봉캡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분말용기의 상측에 결합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마련하는 단계;
덮개부의 상면에 부착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바디 및 밀폐바디의 외측 테두리의 일 지점에서 연장 형성된 당김부를 포함하는 밀폐부를 마련하는 단계;
당김부가 밀폐바디의 상면을 향해 절곡되어 접힐 시 밀폐바디와 중첩되는 지점에 안착홈을 형성하는 단계; 및
당김부를 밀폐바디의 상면을 향해 절곡시켜 안착홈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제조 방법. - 청구항 16에 있어서,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마련하는 단계 이후에,
개구부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하향부 및 하향부의 하단부에서 개구부의 외측으로 절곡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마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제조 방법. - 청구항 16에 있어서,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마련하는 단계 이후에,
덮개부의 테두리 지점으로부터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 마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제조 방법. - 청구항 16에 있어서,
당김부를 안착홈에 안착시킨 이후에,
당김부를 안착홈에 엠보 결합을 통해 물리적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제조 방법. - 청구항 19에 있어서,
당김부를 안착홈에 엠보 결합을 통해 물리적으로 결합시킨 이후에,
당김부가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제조 방법. - 청구항 16에 있어서,
당김부를 안착홈에 안착시킨 이후에,
당김부가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제조 방법. - 청구항 1의 분말용기의 밀봉캡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분말용기의 상측에 결합되며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마련하는 단계;
덮개부의 상면에 부착되어 개구부를 밀폐시키는 밀폐바디 및 밀폐바디의 외측 테두리의 일 지점에서 연장 형성된 당김부를 포함하는 밀폐부를 마련하는 단계;
당김부를 밀폐바디의 상면을 향해 절곡시켜 밀폐바디와 중첩시키는 단계; 및
당김부가 밀폐바디와 중첩되는 지점에 안착홈을 형성하여 당김부를 안착홈에 안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제조 방법. - 청구항 22에 있어서,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마련하는 단계 이후에,
개구부의 테두리로부터 하방으로 절곡된 하향부 및 하향부의 하단부에서 개구부의 외측으로 절곡된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마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제조 방법. - 청구항 22에 있어서,
개구부가 형성된 덮개부를 마련하는 단계 이후에,
덮개부의 테두리 지점으로부터 테두리를 따라 하방으로 절곡되어 형성된 제2 마감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제조 방법. - 청구항 22에 있어서,
당김부를 안착홈에 안착시킨 이후에,
당김부를 안착홈에 엠보 결합을 통해 물리적으로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제조 방법. - 청구항 22에 있어서,
당김부를 안착홈에 안착시킨 이후에,
당김부가 안착홈으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분말용기의 밀봉캡 제조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0528A KR101956857B1 (ko) | 2018-08-27 | 2018-08-27 | 분말용기의 밀봉캡 및 그 제조방법 |
NZ752541A NZ752541B (en) | 2018-08-27 | 2019-04-10 | Sealing cap of powder container |
CN201910304384.9A CN109941564A (zh) | 2018-08-27 | 2019-04-16 | 粉末容器的密封盖 |
CN201920519797.4U CN210734995U (zh) | 2018-08-27 | 2019-04-16 | 粉末容器的密封盖 |
EP19170736.3A EP3617092B1 (en) | 2018-08-27 | 2019-04-24 | Sealing cap of powder container |
US16/395,362 US10974873B2 (en) | 2018-08-27 | 2019-04-26 | Sealing cap of powder container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100528A KR101956857B1 (ko) | 2018-08-27 | 2018-08-27 | 분말용기의 밀봉캡 및 그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56857B1 true KR101956857B1 (ko) | 2019-03-13 |
Family
ID=65761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100528A KR101956857B1 (ko) | 2018-08-27 | 2018-08-27 | 분말용기의 밀봉캡 및 그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6857B1 (ko) |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4600B1 (ko) * | 1984-05-17 | 1990-06-30 | 배리안 어소시에이츠, 인코포레이티드 | 마그네트론 스퍼터 장치용 타깃 및 타깃 세트 |
JPH02191172A (ja) * | 1988-09-02 | 1990-07-27 | General Foods Corp | 真空パックされた缶入りの製品及び端部の薄膜蓋体を用いる方法 |
KR20040064608A (ko) * | 2001-12-20 | 2004-07-19 | 임프레스 그룹 비브이 | 고정수단이 있는 밀봉호일을 갖춘 뚜껑 |
JP2008137711A (ja) * | 2006-12-04 | 2008-06-19 | Hokkai Can Co Ltd | 缶蓋 |
KR20100072291A (ko) * | 2007-10-25 | 2010-06-30 | 임프레스 그룹 비.브이. | 뚜껑 성형 방법 및 그 접합가능한 뚜껑 |
KR20120115988A (ko) * | 2009-12-31 | 2012-10-19 | 아르다 엠피 그룹 네덜란드 비.브이. | 용기의 개방부를 밀폐하기 위한 포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 |
KR20130077809A (ko) * | 2010-03-18 | 2013-07-09 | 아르다 엠피 그룹 네덜란드 비.브이. | 개방이 용이한 용기용 폐쇄부재와 이러한 폐쇄부재가 구비된 용기 |
KR101791410B1 (ko) | 2017-01-12 | 2017-11-01 | 주식회사 옥봉 | 스푼이 설치된 안전 밀폐형 분유통 뚜껑 |
-
2018
- 2018-08-27 KR KR1020180100528A patent/KR101956857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900004600B1 (ko) * | 1984-05-17 | 1990-06-30 | 배리안 어소시에이츠, 인코포레이티드 | 마그네트론 스퍼터 장치용 타깃 및 타깃 세트 |
JPH02191172A (ja) * | 1988-09-02 | 1990-07-27 | General Foods Corp | 真空パックされた缶入りの製品及び端部の薄膜蓋体を用いる方法 |
KR20040064608A (ko) * | 2001-12-20 | 2004-07-19 | 임프레스 그룹 비브이 | 고정수단이 있는 밀봉호일을 갖춘 뚜껑 |
JP2008137711A (ja) * | 2006-12-04 | 2008-06-19 | Hokkai Can Co Ltd | 缶蓋 |
KR20100072291A (ko) * | 2007-10-25 | 2010-06-30 | 임프레스 그룹 비.브이. | 뚜껑 성형 방법 및 그 접합가능한 뚜껑 |
KR20120115988A (ko) * | 2009-12-31 | 2012-10-19 | 아르다 엠피 그룹 네덜란드 비.브이. | 용기의 개방부를 밀폐하기 위한 포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장치 |
KR20130077809A (ko) * | 2010-03-18 | 2013-07-09 | 아르다 엠피 그룹 네덜란드 비.브이. | 개방이 용이한 용기용 폐쇄부재와 이러한 폐쇄부재가 구비된 용기 |
KR101791410B1 (ko) | 2017-01-12 | 2017-11-01 | 주식회사 옥봉 | 스푼이 설치된 안전 밀폐형 분유통 뚜껑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991913B1 (en) | Container closure | |
JP5504005B2 (ja) | 包装用容器 | |
US20190055053A1 (en) | Resealable can lid | |
JP6598767B2 (ja) | 陽圧飲料用の密閉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 |
ES2664141T3 (es) | Recipiente | |
US9630762B2 (en) | Package with peelable closure | |
JP2009012862A (ja) | 圧力変化に適合するように改良された食品容器および製造方法 | |
US20050133508A1 (en) | Tamper evident lid welded to a container | |
CN115246512B (zh) | 金属罐端件 | |
JP5012335B2 (ja) | 液体容器用キャップ | |
KR101956857B1 (ko) | 분말용기의 밀봉캡 및 그 제조방법 | |
JP6831267B2 (ja) | 詰め替え容器 | |
JP2018503563A (ja) | 容器キャップ組立体 | |
JP5306783B2 (ja) | スパウト閉栓キャップ | |
JP6645034B2 (ja) | 注出口組合体、注出口組合体付容器、及び充填体 | |
JP3925768B2 (ja) | 合成樹脂製蓋付き容器 | |
KR102027137B1 (ko) | 분말용기의 밀봉캡 | |
JPS6258982B2 (ko) | ||
CN210734995U (zh) | 粉末容器的密封盖 | |
JP2015048087A (ja) | 蓋付きカップ容器 | |
JP7123753B2 (ja) | ヒンジキャップ | |
JPWO2019193808A1 (ja) | 容器組立体とその製造方法および容器 | |
KR101994795B1 (ko) | 저장용기용 마개 | |
JP6429594B2 (ja) | 不正開封防止機構付き容器 | |
JP2021075329A (ja) | ヒンジキャップ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