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56695B1 - 탈거가 용이한 내부몰드가 구비된 fslm 거더용 몰드 - Google Patents
탈거가 용이한 내부몰드가 구비된 fslm 거더용 몰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56695B1 KR101956695B1 KR1020160165132A KR20160165132A KR101956695B1 KR 101956695 B1 KR101956695 B1 KR 101956695B1 KR 1020160165132 A KR1020160165132 A KR 1020160165132A KR 20160165132 A KR20160165132 A KR 20160165132A KR 101956695 B1 KR101956695 B1 KR 10195669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ld
- inner mold
- girder
- panel
- suppor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00—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 E01D2/04—Bridges characterised by the cross-section of their bearing spanning structure of the box-girder type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 Moulds, Cores, Or Mand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량을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거더를 제작하는데 이용되는 FSLM 거더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 시공공법의 일종인 FSLM 공법(FSLM:FULL SPAN LAUNCHING METHOD)에 사용되는 거더를 제작하는 탈거가 용이한 내부몰드가 구비된 FSLM 거더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 박스형 거더를 제작하는 몰드에 있어서, 거더의 하부면이 형성되도록 바닥부에 구비되는 베이스몰드와; 상기 거더의 몸체부 외벽 및 캔틸레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몰드 양측에 결합되는 외부몰드와; 상기 거더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몰드와 상기 외부몰드가 결합시 형성된 공간에 구비되는 내부몰드; 그리고 상기 거더의 단부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몰드의 양측단부에 결합되는 단부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부몰드는 상기 내부몰드의 외측 상면 및 측면을 구성하는 판넬모듈과; 상기 판넬모듈을 지지하는 박스형태의 내부몰드박스; 그리고 상기 내부몰드박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몰드박스를 지지하는 상기 내부몰드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내부몰드 탈형시, 내부몰드박스 하부에 구비된 휠을 이용하여 내부몰드 탈형이 용이하면서, 내부몰드 탈형시, 내부몰드가 탈형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교량을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거더를 제작하는데 이용되는 FSLM 거더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 시공공법의 일종인 FSLM 공법(FSLM:FULL SPAN LAUNCHING METHOD)에 사용되는 거더를 제작하는 탈거가 용이한 내부몰드가 구비된 FSLM 거더용 몰드에 관한 것이다.
교량 시공공법의 일종인 FSLM 공법은 교량의 경간(SPAN)을 연결하도록 경간단위로 설계된 박스 거더를 교량시공현장에 별도의 제작장에서 제작하고, 이를 교량시공현장으로 운반한 후에 가설장치를 이용하여 거더를 설치하여 교각 상부를 완성하는 공법이다.
여기서, 상기 FSLM 공법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거더는 박스형 거더는 역사다리꼴의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 상단 양측으로부터 외측으로 일정한 길이의 캔틸레버부로 형성되고, 상기 몸체부의 내부가 비어있는 구조로 경간 단위로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FSLM 공법은 경간 단위로 설계된 거더를 제작시, 몰드를 탈형하여 재사용가능하다.
이에 따라, 거더의 균일한 품질확보와 공기단축 그리고 시공비 절감 등의 장점이 있다.
한편, 박스 거더를 제작하기 위한 거푸집에 관한 내용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 10-1103001호에는 이동형 내부 거푸집의 판넬장치에 관한 기술이 개시된 바 있다.
상술한 선행기술에서는 거푸집 탈형시, 거더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탈형하기 위하여 거푸집 판넬을 지지하는 유압실린더를 이용하여 서포트트러스를 승강시킨 뒤 눕힌 상태로 런칭다이 내부 하방에 구비된 런칭휠을 탈형위치로 세워 세팅한다.
이후, 상기 서포트트러스를 다시 하강하여 상기 런칭휠 상단에 위치시킨 후 내부거푸집판넬을 접은 뒤 탈형한다.
이러한 선행기술에서는 상기 탈형공정이 복잡하여 공정시간이 늘어나거나, 탈형공정에서 서포트트러스를 거푸집 판넬이 지지하므로, 상기 거푸집 또는 상기 거더가 손상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거푸집이 서포트트러스를 승강 및 하강 하는 단계에서 상기 서포트트러스가 탈형위치에서 이탈하여, 탈형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FSLM 거더 제작시 몰드 탈형에 있어, 탈거가 용이한 내부몰드가 구비된 FSLM 거더용 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몰드의 신속한 탈형과 탈형위치의 이탈방지를 위하여 인출 및 인입 가능한 휠이 구비된 탈거가 용이한 내부몰드가 구비된 FSLM 거더용 몰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박스형 거더를 제작하는 몰드에 있어서, 거더의 하부면이 형성되도록 바닥부에 구비되는 베이스몰드와; 상기 거더의 몸체부 외벽 및 캔틸레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몰드 양측에 결합되는 외부몰드와; 상기 거더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몰드와 상기 외부몰드가 결합시 형성된 공간에 구비되는 내부몰드; 그리고 상기 거더의 단부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몰드의 양측단부에 결합되는 단부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부몰드는 상기 내부몰드의 외측 상면 및 측면을 구성하는 판넬모듈과; 상기 판넬모듈을 지지하는 박스형태의 내부몰드박스; 그리고 상기 내부몰드박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몰드박스를 지지하는 상기 내부몰드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판넬모듈은 상기 판넬모듈은 상기 거더의 내부면 중 상부면이 형성되도록 상단부에 구비되는 메인판넬과; 상기 메인판넬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거더의 내부면 중 상부면 일부와 모서리면 그리고 측면의 일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코너판넬과; 상기 코너판넬과 결합되어 상기 거더의 내부면 중 측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측벽판넬; 그리고 상기 측벽판넬과 결합되어 상기 거더의 내부면 중 측면의 일부와 바닥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하부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판넬모듈은 상기 메인판넬, 상기 코너판넬, 상기 측벽판넬 그리고 상기 하부판넬이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결합에 의해 타설 또는 탈형을 위한 위치로 회동한다.
상기 내부몰드박스 상단부에는 상기 판넬모듈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모듈은 상부에 상기 메인판넬이 위치되는 판형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부몰드박스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그리고 상기 지지판 및 상기 지지프레임이 상승 또는 하강하도록 상기 지지판 하단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메인잭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부몰드박스 양측면에는 상기 판넬모듈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부지지바 및 하부지지바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몰드박스 양측면에는, 상기 상부지지바 및 상기 하부지지가 결합되도록 복수의 결합판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판 상단부에는 상기 코너판넬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지지바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판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판넬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지지바가 결합된다.
상기 내부몰드박스 하단부에는 상기 내부몰드박스를 지지하는 복수의 내부몰드베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몰드베이스 상단부에는 상기 내부몰드박스가 이동이 가능하도록 롤러가 구비된다.
상기 내부몰드박스는 상기 내부몰드박스 하단부로부터 돌출 또는 인입되는 롤러휠과; 상기 롤러휠이 상기 내부몰드박스 하단부로 돌출 또는 인입되도록 승강 또는 하강 시키는 승하강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부몰드베이스 상단부에는 상기 롤러휠이 탈형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이 구비된다.
상기 롤러휠 양측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형성된다.
상기 롤러휠은 상기 내부몰드박스 양측에 한쌍이 구비된다.
상기 승하강잭은 상기 메인잭이 상기 지지판을 하강시킬 때, 상기 롤러휠이 인출되도록 연동하여 구동된다.
상기 지지프레임 하단부에는 상기 메인잭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이 승강 및 하강시, 상기 내부몰드박스 하단부로 돌출 및 인입되도록 롤러가 구비된다.
상기 내부몰드베이스 중앙부 상단에는 상기 내부몰드베이스의 수직방향으로 베이스레일이 구비되고; 상기 베이스레일에는 상기 내부몰드 탈형시, 상기 롤러가 안착된다.
한편, 상기 바닥몰드는 상기 거더 단부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외력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한 가변모듈이 구비된다.
상기 가변모듈은 상기 바닥몰드 단부에 구비되는 쐐기형의 하부쐐기편과; 상기 하부쐐기편 상단부와 접하여 상기 하부쐐기편 상단에 구비되는 상부쐐기편; 그리고 상기 상부쐐기편 상부에 구비되어 상기 거더를 지지하는 바닥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하부쐐기편은 하부면이 상기 바닥몰드 단부 상단에 고정되고, 상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쐐기편은 상기 하부쐐기편 마주하여 접하는 하부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상면이 상기 거더를 지지한다.
상기 하부쐐기편 및 상기 상부쐐기편의 경사면은 상기 바닥몰드 내측상방에서 외측하방으로 낮아지는 경사면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쐐기편은 수평방향이동이 가능하되, 수직방향으로 고정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상부쐐기편은 수직방향이동이 가능하되, 수평방향으로 고정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하부쐐기편 일측에는 상기 하부쐐기편의 수평방향이동에 대한 외력을 제공하도록 유압잭이 구비된다.
상기 유압잭은 인장재의 디텐션 전에 상기 하부쐐기편을 내측으로 이동되도록 구동된다.
상기 바닥판은 디텐션 후 상기 거더 하부 콘크리트에 가해지는 압축력에 의해, 상기 거더 단부가 하방향으로 변형시, 상기 거더 단부가 파손되지 않도록 상기 거더 단부와 함께 하강한다.
한편, 상기 상부지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결합판 상단부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코너판넬의 저면부와 결합하여 상기 코너판넬을 지지하고; 상기 하부지지부재는 일단이 상기 결합판 하단부와 결합하고, 타단이 상기 하부판넬과 결합하여 상기 하부판넬을 지지하며; 상기 코너판넬 저면부에는 상기 코너판넬과 상기 측벽판넬을 지지하는 상부잭이 구비되고; 상기 측벽판넬에는 상기 측벽판넬과 상기 하부판넬을 지지하는 하부잭이 구비된다.
상기 내부몰드박스 하단부에는 상기 내부몰드박스를 지지하는 복수의 내부몰드베이스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몰드베이스 상단부에는 상기 내부몰드박스가 거치시, 이동이 가능하도록 롤러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지지부재는 일측단부가 고정부재의 너트결합 또는 핀결합에 의해 상기 결합판에 결합된다.
상기 내부몰드는 상기 내부몰드박스 양측면에 상기 상부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지지부재의 일측이 너트결합 또는 핀결합되어, 타측이 회동하도록 하는 복수의 회전힌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힌지는 상기 내부몰드박스 측면과 결합되는 회전플레이트와; 상기 회전플레이트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상부지지부재의 일측이 체결되는 체결판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내부몰드박스 양측면에는 상기 상부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지지부재가 거지되도록 상기 상부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지지부재를 지지하는 거치대가 구비된다.
상기 거치대는 상단부가 개방되고, 측면부 및 하단부가 폐쇄된 채널형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상부지지부재 및 상기 하부지지부재가 거치된다.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탈거가 용이한 내부몰드가 구비된 FSLM 거더용 몰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내부몰드 탈형시, 내부몰드박스 하부에 구비된 휠을 이용하여 내부몰드 탈형이 용이하면서, 내부몰드 탈형시, 내부몰드가 탈형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내부몰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내부몰드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부몰드의 정면에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를 세팅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 후 내부몰드를 탈형위치로 위치시킨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 탈형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 이동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 이동을 위한 내부몰드박스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 이동을 위한 내부몰드박스 작동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 이동을 위한 내부몰드박스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 이동을 위한 내부몰드박스 작동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내부몰드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내부몰드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부몰드의 정면에서 도시한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를 세팅한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 후 내부몰드를 탈형위치로 위치시킨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 탈형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 이동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 이동을 위한 내부몰드박스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 이동을 위한 내부몰드박스 작동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 이동을 위한 내부몰드박스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 이동을 위한 내부몰드박스 작동 예를 도시한 예시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구성을 살펴보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내부몰드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내부몰드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부몰드의 정면에서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를 세팅한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 후 내부몰드를 탈형위치로 위치시킨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 탈형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 이동구조는 경간 단위 FSLM 거더를 제작함에 있어서, 역사다리꼴 형태의 몸체부(11)와 상기 몸체부(11) 상단 양측으로 캔틸레버부(12)가 돌출되어 형성된 박스형 거더(10)를 제작하기 위해 사용된다.
여기서, 상기 거더(10)에는 인장재를 인장 시킨 상태로 가설되고, 상기 거더(10)는 하술할 FSLM 거더(10)용 몰드를 이용하여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여 제작한다.
상술한 상기 거더(10)를 제작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는 도 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더(10)의 하부면을 형성하도록 바닥부에 구비되는 베이스몰드(100)와 상기 베이스몰드(100) 양측에 결합되는 외부몰드(200)와 상기 외부몰드(200)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되는 내부몰드(300)와 상기 외부몰드(200)의 양측단부에 결합되는 단부몰드(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몰드(100)는 거더(10)의 하부면이 형성되되, 탈형이 용이하도록 평면 또는 소정의 곡면의 형상을 갖는 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몰드(200)는 상기 거더(10)의 몸체부(11) 외벽 및 캔틸레버부(12)가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몰드(100) 양측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몰드(300)는 상기 거더(10)의 내부공간을 형성하도록 상기 베이스몰드(100)와 상기 외부몰드(200)가 결합시 내측에 형성된 공간에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단부몰드(400)는 상기 거더(10)의 단부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외부몰드(200)의 양측단부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몰드(30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더(10)의 내부면 중 상부면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메인판넬(311)과 상기 메인판넬(311)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거더(10)의 내부면중 상부면 일부와 모서리면 그리고 측면의 일부가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코너판넬(312)과 상기 코너판넬(312)과 결합되어 상기 거더(10)의 내부면 중 측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측벽판넬(313)과 상기 측벽판넬(313)과 결합되어 상기 거더(10)의 내부면 중 측면의 일부와 바닥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하부판넬(314)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판넬모듈(310)과 상기 판넬모듈(310)을 지지하는 박스형태의 내부몰드박스(340)와 상기 내부몰드박스(34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몰드박스(340)를 지지하는 상기 내부몰드베이스(3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판넬모듈(310)은 상기 메인판넬(311), 상기 코너판넬(312), 상기 측벽판넬(313) 그리고 상기 하부판넬(314)이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결합에 의해 상기 내부몰드(300)는 타설 또는 탈형을 위한 위치로 회동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은 판넬모듈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기 판넬모듈(310)을 지지하기 위한 구성으로 상기 내부몰드박스(340) 상단부에 지지모듈(320)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모듈(320)은 지지프레임(322), 지지판(323) 그리고 메인잭(3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지지프레임(322)은 하단부가 상기 내부몰드박스(340) 내측에 구비되고, 상단부에 상기 지지판(323)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판(323)은 상기 판넬모듈(310)을 지지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지지판(323) 하단부에는 상기 지지프레임(322)을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구동되는 하나 이상의 메인잭(321)이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메인잭(321)은 상기 지지프레임(322) 양측에 한쌍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메인잭(321)은 유압실린더가 이용되고, 상기 유압실린더를 제어하는 별도의 제어장치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몰드박스(340) 측면 상단부에는 상기 코너판넬(312)을 지지하도록 상부지지바(324)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몰드박스(340) 측면 하단부는 상기 하부판넬(314)을 지지하도록 하부지지바(325)가 구비된다.
이때, 상기 내부몰드(300)박스 양측면에는 상기 상부지지바(324) 및 상기 하부지지바(325)가 결합되도록 결합판(341)이 돌출되어 형성 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지지바(324)는 일단이 상기 결합판(341) 상단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코너판넬(312)의 저면부와 결합되어 상기 코너판넬(312)을 지지한다.
또한, 상기 하부지지바(325)는 일단이 상기 결합판(341) 하단부와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하부판넬(314)의 상단부와 결합되어 상기 하부판넬(314)을 지지한다.
그리고 상기 측벽판넬(313)에는 상기 측벽판넬(313)과 상기 코너판넬(312)을 지지하는 상부잭(326)이 구비된다.
또한, 상기 측벽판넬(313)에는 상기 측벽판넬(313)과 상기 하부판넬(314)을 지지하는 하부잭(327)이 구비된다.
한편, 상기 상부잭(326) 및 상기 하부잭(327)은 각 판넬에 돌출된 고정판(315)와 고정부재의 너트결합 또는 핀결합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술한 바와 같은 내부몰드박스(340) 하단부에는 상기 내부몰드박스(340)를 지지하는 내부몰드베이스(35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몰드베이스(350) 상단부에는 상기 내부몰드박스(340) 거치시, 이동이 가능하도록 롤러(328)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FSLM 거더용 몰드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설위치에 판넬 및 인장재 세팅을 완료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다.
이하에서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내부몰드 탈형에 대해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FSLM 거더용 몰드를 타설 위치에 설치한 뒤 인장재를 배근하고, 콘크리트를 타설 및 양생하면 거더(10)가 완성된다.
여기서, 상기 내부몰드(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판넬모듈(310)을 접어 탈형 할 수 있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몰드(300)는 상기 거더(10)로부터 탈형하기 위해 상기 상부지지바(324), 상기 하부지지바(325), 상기 상부잭(326) 그리고 하부잭(327)을 탈거한다.
그리고 상기 내부몰드(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거더(10)로부터 탈형한다.
한편, 상기 내부몰드(300)는 가설장비를 이용하여 상기 내부몰드(300)를 거더(10) 내측에서 외측으로 탈형한다.
여기서, 상기 내부몰드베이스(350) 상단부에는 상기 내부몰드(300)를 탈형시, 상기 거더(10)로부터 용이하게 탈형이 가능하도록 롤러(328)가 구비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은 탈형 방법은 내부몰드(300) 탈형시, 탈형 위치로부터 이탈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내부몰드 이동구조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 이동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 이동을 위한 내부몰드박스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 이동을 위한 내부몰드박스 작동 예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내부몰드 이동 구조는 이동모듈(360)이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모듈(360)은 상기 내부몰드(300)가 이동하도록 상기 내부몰드박스(340) 하단부로부터 돌출 또는 인입되는 복수의 롤러휠(362)과 상기 롤러휠(362)이 상기 내부몰드박스(340) 하단부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승강 또는 하강 시키는 승하강잭(36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몰드베이스(350) 상단에는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352)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롤러휠(362)은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부몰드(300)가 탈형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레일(352)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양측에 지지플레이트(363)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롤러휠(362)은 상기 내부몰드박스(340) 양측에 한 쌍으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승하강잭(361)은 상기 메인잭(321)에 의해 상기 지지프레임(322)이 하강되면, 상기 롤러휠(362)이 상기 내부몰드박스(340) 하단부로부터 인출되도록 연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내부몰드(3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모듈(360)에 의해 상기 롤러휠(362)과 상기 레일(352)이 맞물려 상기 레일(352)을 따라 탈형되고, 상기 이동모듈(360)은 상기 내부몰드(300)가 탈형 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기 승하강잭(361)을 구비하여 상기 롤러휠(362)을 승하강시켜, 상기 내부몰드(300)를 탈형하는 것으로, 탈형위치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으나, 복수의 승하강잭(361)을 추가로 제작 및 설치해야하므로, 제작비가 증가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내부몰드(300) 탈형에 있어서, 추가적인 승하강잭(361)을 설치하지 않고 상기 내부몰드가 탈형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탈형이 용이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탈거가 용이한 내부몰드가 구비된 FSLM 거더용 몰드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 이동을 위한 내부몰드박스 구조를 도시한 예시도이고,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 이동을 위한 내부몰드박스 작동 예를 도시한 예시도.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 이동구조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지프레임(322) 하단부에 탈형휠(328)이 구비된다.
이때, 상기 탈형휠(328)은 상기 FSLM 거더용 몰드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위해 상기 지지판(323) 및 상기 지지프레임(322)을 상기 메인잭(321)을 이용하여 타설 위치로 승강시킨 경우, 상기 내부몰드박스(340) 내측으로 인입되고, 상기 지지판(323) 및 상기 지지프레임(322)을 상기 메인잭(321)을 이용하여 탈형 위치로 하강시킨 경우, 상기 내부몰드박스(340) 하단부 외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상기 내부몰드베이스(350)에는 상기 내부몰드(300) 탈형시, 상기 내부몰드(300)가 탈형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고, 용이하게 상기 내부몰드를 이동하기 위하여 상기 탈형휠(328)이 안착되어 회동하는 레일(352)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의한 FSLM 거더용 몰드의 내부몰드 이동구조에서는 상기 내부몰드(300)가 상술한 이동모듈(360)을 구비하지 않아도 상기 탈형휠(328)이 상기 레일(352)을 따라 회동하여, 탈형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으면서도 탈형이 용이하다.
한편, 본 발명의 권리는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본 발명은 장치에 교량을 시공하는데 사용되는 거더를 제작하는데 이용되는 FSLM 거더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교량 시공공법의 일종인 FSLM 공법(FSLM:FULL SPAN LAUNCHING METHOD)에 사용되는 거더를 제작하는 탈거가 용이한 내부몰드가 구비된 FSLM 거더용 몰드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은 내부몰드 탈형시, 내부몰드박스 하부에 구비된 휠을 이용하여 내부몰드 탈형이 용이하면서, 내부몰드 탈형시, 내부몰드가 탈형위치로부터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10 : 거더 11 : 몸체부
12 : 캔틸레버부 20 : 교각
30 : FSLM 거더용 몰드 100 : 베이스몰드
200 : 외부몰드 300 : 내부몰드
310 : 판넬모듈 311 : 메인판넬
312 : 코너판넬 313 : 측벽판넬
314 : 하부판넬 315 : 고정판
320 : 지지모듈 321 : 메인잭
322 : 지지프레임 323 : 지지판
324 : 상부지지바 325 : 하부지지바
326 : 상부잭 327 : 하부잭
328 : 탈형휠 340 : 내부몰드박스
341 : 결합판 350 : 내부몰드베이스
351 : 롤러 352 : 레일
360 : 이동모듈 361 : 승하강잭
362 : 롤러휠 363 : 지지플레이트
400 : 단부몰드
12 : 캔틸레버부 20 : 교각
30 : FSLM 거더용 몰드 100 : 베이스몰드
200 : 외부몰드 300 : 내부몰드
310 : 판넬모듈 311 : 메인판넬
312 : 코너판넬 313 : 측벽판넬
314 : 하부판넬 315 : 고정판
320 : 지지모듈 321 : 메인잭
322 : 지지프레임 323 : 지지판
324 : 상부지지바 325 : 하부지지바
326 : 상부잭 327 : 하부잭
328 : 탈형휠 340 : 내부몰드박스
341 : 결합판 350 : 내부몰드베이스
351 : 롤러 352 : 레일
360 : 이동모듈 361 : 승하강잭
362 : 롤러휠 363 : 지지플레이트
400 : 단부몰드
Claims (10)
- 박스형 거더를 제작하는 몰드에 있어서,
거더의 하부면이 형성되도록 바닥부에 구비되는 베이스몰드와;
상기 거더의 몸체부 외벽 및 캔틸레버부가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몰드 양측에 결합되는 외부몰드와;
상기 거더의 내부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베이스몰드와 상기 외부몰드가 결합시 형성된 공간에 구비되는 내부몰드; 그리고
상기 거더의 단부면이 형성되도록 상기 외부몰드의 양측단부에 결합되는 단부몰드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부몰드는,
상기 내부몰드의 외측 상면 및 측면을 구성하는 판넬모듈과;
상기 판넬모듈을 지지하는 박스형태의 내부몰드박스; 그리고
상기 내부몰드박스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부몰드박스를 지지하는 내부몰드베이스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판넬모듈은,
상기 거더의 내부면 중 상부면이 형성되도록 상단부에 구비되는 메인판넬과;
상기 메인판넬 양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거더의 내부면 중 상부면 일부와 모서리면 그리고 측면의 일부가 형성되도록 하는 코너판넬과;
상기 코너판넬과 결합되어 상기 거더의 내부면 중 측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측벽판넬; 그리고
상기 측벽판넬과 결합되어 상기 거더의 내부면 중 측면의 일부와 바닥면이 형성되도록 하는 하부판넬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판넬모듈은,
상기 메인판넬, 상기 코너판넬, 상기 측벽판넬 그리고 상기 하부판넬이 각각 힌지 결합되고, 상기 힌지 결합에 의해 타설 또는 탈형을 위한 위치로 회동하고:
상기 내부몰드박스 상단부에는,
상기 판넬모듈을 지지하기 위하여, 지지모듈이 구비되고:
상기 지지모듈은,
상부에 상기 메인판넬이 위치되는 판형의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 하단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내부몰드박스를 관통하여 구비되는 지지프레임; 그리고
상기 지지판 및 상기 지지프레임이 승강 또는 하강하도록 상기 지지판 하단부에 구비되는 하나 이상의 메인잭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내부몰드박스는,
상기 내부몰드박스 하단부로부터 인출 또는 인입되는 롤러휠과;
상기 롤러휠이 상기 내부몰드박스 하단부로 인출 또는 인입되도록 승강 또는 하강 시키는 승하강잭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이동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내부몰드베이스 상단부에는,
상기 롤러휠이 탈형 위치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수직방향으로 구비되는 레일이 구비되며:
상기 롤러휠은 상기 내부몰드박스 양측에 한 쌍이 구비되되, 양측에는 상기 레일을 따라 회동할 수 있도록 상기 레일을 지지하는 지지플레이트가 형성되고:
상기 승하강잭과 상기 메인잭은,
상기 메인잭이 상기 지지판을 하강시킴과 동시에 상기 승하강잭이 상기 롤러휠을 인출되도록 연동하여 구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거가 용이한 내부몰드가 구비된 FSLM 거더용 몰드.
- 삭제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몰드박스 양측면에는,
상기 판넬모듈을 지지하기 위하여, 상부지지바 및 하부지지바가 구비되고;
상기 내부몰드박스 양측면에는, 상기 상부지지바 및 상기 하부지지바가 결합되도록 복수의 결합판이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결합판 상단부에는,
상기 코너판넬을 지지하도록 상기 상부지지바가 결합되고;
상기 결합판 하단부에는,
상기 하부판넬을 지지하도록 상기 하부지지바가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탈거가 용이한 내부몰드가 구비된 FSLM 거더용 몰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5132A KR101956695B1 (ko) | 2016-12-06 | 2016-12-06 | 탈거가 용이한 내부몰드가 구비된 fslm 거더용 몰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5132A KR101956695B1 (ko) | 2016-12-06 | 2016-12-06 | 탈거가 용이한 내부몰드가 구비된 fslm 거더용 몰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4806A KR20180064806A (ko) | 2018-06-15 |
KR101956695B1 true KR101956695B1 (ko) | 2019-06-19 |
Family
ID=626287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5132A KR101956695B1 (ko) | 2016-12-06 | 2016-12-06 | 탈거가 용이한 내부몰드가 구비된 fslm 거더용 몰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56695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36779A (zh) * | 2020-01-13 | 2020-05-12 | 山东博远重工有限公司 | 一种方便脱模的内模结构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0067210B (zh) * | 2019-06-12 | 2024-04-05 | 中交第四公路工程局有限公司 | 桥梁翼缘板的施工系统及施工方法 |
CN111287094A (zh) * | 2020-03-23 | 2020-06-16 | 山东博远重工有限公司 | 一种省时省力的挂篮内模脱模结构 |
CN112936522A (zh) * | 2021-01-26 | 2021-06-11 | 中铁二十二局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 一种整体式自行液压内模安装的工艺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3001B1 (ko) * | 2010-05-18 | 2012-01-05 | 동도산업 주식회사 | 피에스엠 공법의 피에스씨 박스거더 제작용 내부 거푸집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448221B1 (ko) * | 2001-11-12 | 2004-09-10 | 주식회사 토암건설 | 암거 제작용 이동식 철재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암거의 증기촉진양생 연속시공방법 |
-
2016
- 2016-12-06 KR KR1020160165132A patent/KR101956695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03001B1 (ko) * | 2010-05-18 | 2012-01-05 | 동도산업 주식회사 | 피에스엠 공법의 피에스씨 박스거더 제작용 내부 거푸집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1136779A (zh) * | 2020-01-13 | 2020-05-12 | 山东博远重工有限公司 | 一种方便脱模的内模结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4806A (ko) | 2018-06-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56695B1 (ko) | 탈거가 용이한 내부몰드가 구비된 fslm 거더용 몰드 | |
KR101539447B1 (ko) | 탈형이 용이한 보 거푸집 및 이를 이용한 보 시공 방법 | |
KR101103001B1 (ko) | 피에스엠 공법의 피에스씨 박스거더 제작용 내부 거푸집 | |
KR101081791B1 (ko) | 측면거푸집 잭장치와 단부거푸집 회전설치장치를 이용한 빔 제작장치 | |
CN105909278A (zh) | 一种组合式自动控制的模架及使用方法 | |
KR101540406B1 (ko) | 암거제작용 거푸집장치 | |
JP3561833B2 (ja) | プレストレスを導入し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セグメントの製造方法 | |
CN111809536A (zh) | 一种整体移动式箱涵模板及其施工方法 | |
KR100239913B1 (ko) | 거푸집 자동 상승장치 | |
JP5221474B2 (ja) | 押し出し桁の後方支持装置及び押し出し架設方法 | |
KR100448221B1 (ko) | 암거 제작용 이동식 철재 거푸집장치 및 이를 이용한암거의 증기촉진양생 연속시공방법 | |
KR20020035038A (ko) | 아이엘엠용 박스거더 동시타설형 거푸집장치와 이를이용한 동시타설식 박스거더 제작 방법 | |
CN205935678U (zh) | 装配式楼梯模具拆装装置 | |
KR101956696B1 (ko) | 가변형 바닥몰드를 구비한 fslm 거더용 몰드 | |
KR101647783B1 (ko) | 고 교각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 |
KR200231051Y1 (ko) |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 교량의 박스거더 시공용 이동형내부 거푸집 | |
KR102124031B1 (ko) | 유압식 코어 탈형 장치 | |
KR101978689B1 (ko) | 일체형 내부몰드 베이스를 구비한 fslm 거더용 몰드 | |
KR101124692B1 (ko) | 조립식 반력프레임을 이용한 빔 제작장치 및 이를 이용한 빔 제작방법 | |
KR101956698B1 (ko) | 내부 몰드 고정용 지지부재를 구비한 fslm 거더용 몰드 | |
CN109629437A (zh) | 一种箱梁移动式整孔现浇设备及其使用方法 | |
KR101542045B1 (ko) | 교각 시공방법 및 그에 따른 장치 | |
KR20040102272A (ko) | 연속압출공법을 적용한 프리스트레스트 콘크리트더블-티이 교량 상판 및 그 거푸집 | |
KR102086134B1 (ko) | 끼움돌기로 지붕과 벽체를 연결하는 크기 조절형 강재 거푸집 | |
KR100846831B1 (ko) | 건축용 가설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