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40741B1 -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 - Google Patents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741B1
KR101940741B1 KR1020170067404A KR20170067404A KR101940741B1 KR 101940741 B1 KR101940741 B1 KR 101940741B1 KR 1020170067404 A KR1020170067404 A KR 1020170067404A KR 20170067404 A KR20170067404 A KR 20170067404A KR 101940741 B1 KR101940741 B1 KR 1019407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oth
bite
supported
adhesive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67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30994A (ko
Inventor
김진철
김진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오
Priority to KR1020170067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741B1/ko
Publication of KR201801309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09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7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7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7/00Orthodontics, i.e. obtaining or maintaining the desired position of teeth, e.g. by straightening, evening, regulating, separating, or by correcting malocclusions
    • A61C7/36Devices acting between upper and lower tee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치아교정시 사용 편의성 및 결합 안정성이 개선되도록, 본 발명은 기설정된 지지대상치아의 저작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치열교정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대해 획득된 3차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면부에 상기 저작면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갖는 접착유도면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상치아에 접착되는 접합지지부; 및 상기 치열교정대상자의 교정대상치아 및 그에 대향되는 교정대합치아 사이의 교정간극 유지를 위해 상기 접합지지부의 상면부에 돌설되어 상기 지지대상치아에 대향되는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을 지지하되, 상기 지지대상치아로부터 분리시 상기 접합지지부의 변형이 유도되도록 상면부에 변형유도홈이 함몰 형성된 바이트몸체부를 포함하는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orthodontic bite guide}
본 발명은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치아교정시 사용 편의성 및 결합 안정성이 개선되는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정교합이란 치아의 배열이 가지런하지 않거나 상하악의 맞물림 상태가 정상 위치를 벗어나 기능적, 심미적으로 문제가 되는 부정확한 교합관계를 의미한다.
한편, 부정교합이 발생하면, 치아나 턱 관절의 손상, 잇몸 질환 등을 유발할 우려가 높으므로 상기 부정교합을 치료하기 위한 치열교정치료가 수행된다.
상세히, 상기 치열교정치료는 치아가 외력을 받으면 이동하는 성질을 이용하는 것으로, 위아래 턱뼈의 발육을 억제하거나 증진시키는 장치, 치아를 원하는 위치로 서서히 이동시키는 장치 등이 사용되고 있다.
현재,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는 것은 브라켓이라는 장치를 치아에 부착하고 교정용 철사 내지 고무줄 등의 와이어의 장력을 이용해 치아를 이동시키는 고정식 치료법으로, 다양한 종류의 치열 교정치료에 흔히 사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브라켓은 교정대상 치아의 표면에 각각 견고하게 부착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브라켓을 상호 연결하도록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장력을 조정하여 상기 와이어에 가해지는 힘의 방향 및 크기를 다양하게 조절함으로써 교정대상이 되는 치아를 서서히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교정대상 치아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에 의해 그 위치 및 자세가 변경되고 치아가 조금씩 이동하면서 치열 교정치료가 이루어진다.
이때, 상악의 전치부 또는 하악의 전치부가 대향되는 악궁의 전치부를 정상보다 깊게 덮인 상태로 물리는 과개교합의 경우, 대상악궁의 전치부에 부착된 브라켓이 그에 대향되는 대합악궁의 전치부와 부딪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저작시 브라켓이 전치부로부터 분리되는 경우가 많았으며, 구강 내부의 연조직에 상처를 입히거나, 음식물과 함께 삼켜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대상악궁 및 대합악궁의 전치부가 상호 맞물림된 상태에서는 와이어 등의 탄성부재를 통해 가해지는 압력이 교정대상치아에 정확하게 전달되기 힘들었으며, 교정에 소요되는 시간이 늘어날 뿐만 아니라 치아의 각도 또는 위치에 대한 정확한 조절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대상악궁과 대합악궁 사이의 간격 유지를 위해, 구치부의 저작면에 레진을 도포하는 방법이 고안된 바 있으나, 점성 유체 상태의 레진은 대상악궁 및 대합악궁 간의 간격 방향으로 충분한 두께를 유지하도록 도포되는 것이 힘든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도포된 레진은 대상 구치부에 대한 결합력이 낮을 뿐만 아니라, 표면부가 라운드진 형태로 형성되어 대합 구치부를 통한 가압압력이 접착면의 수선방향과 어긋난 방향으로 부하되므로 저작시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함께, 상기 레진에 접촉된 대합 구치부가 라운드진 표면부을 따라 미끌어지는 경우에는, 대상악궁과 대합악궁이 정상적인 물림위치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의 압력이 발생되므로 저작시 이물감이 크고, 턱관절에 부담을 주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상기 레진은 대합 구치부 또는 대상 구치부의 손상이 방지되도록 치아의 강도 미만으로 구비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대합 구치부의 저작 마찰시 쉽게 마모됨에 따라 대상악궁 및 대합악궁 사이의 안정적인 간격 유지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9058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치아교정시 사용 편의성 및 결합 안정성이 개선되는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제공하는 것을 해결과제로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기설정된 지지대상치아의 저작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치열교정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대해 획득된 3차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면부에 상기 저작면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갖는 접착유도면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상치아에 접착되는 접합지지부; 및 상기 치열교정대상자의 교정대상치아 및 그에 대향되는 교정대합치아 사이의 교정간극 유지를 위해 상기 접합지지부의 상면부에 돌설되어 상기 지지대상치아에 대향되는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을 지지하되, 상기 지지대상치아로부터 분리시 상기 접합지지부의 변형이 유도되도록 상면부에 변형유도홈이 함몰 형성된 바이트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변형유도홈은 상기 지지대상치아 및 상기 지지대상치아에 인접한 인접치아를 연결하는 치열궁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바이트몸체부의 외주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축소유도슬릿과, 상기 축소유도슬릿과 교차되도록 상기 치열궁의 접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단부에 치과용 그립장치에 의해 가압되는 폐쇄단부가 형성된 확장유도슬릿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확장유도슬릿에는 상기 축소유도슬릿과 교차되는 중앙부에 상기 치열궁 방향으로 확장된 확장유도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삭제
또한, 상기 바이트몸체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3차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형합지지면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착유도면에는 치과용 접착제가 도포되되, 상기 도포된 치과용 접착제에 대한 분리저항력이 증가되도록 요철엠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지지부에는 상기 접착제의 초과분이 배출되도록 상기 변형유도홈과 연통되는 배출유도홀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상기 접합지지부는 저작면을 감싸 밀착되며 지지대상치아에 안정적으로 결합되면서도, 상면부에 돌설된 바이트몸체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되어 치열궁 방향으로 개구된 축소유도슬릿 내의 여유공간을 통해 오므라들면 그에 연동하여 지지대상치아의 표면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변형되어 손쉽게 분리되므로 제품의 결합 안정성 및 사용 편의성이 동시에 개선될 수 있다.
둘째, 상기 축소유도슬릿에 교차 배치된 확장유도슬릿의 양단부를 가압하기만 하면, 가압방향 및 축소유도슬릿의 축소방향이 정렬되어 손쉬운 일차 변형이 가능하되 확장유도면을 통해 이차적인 확장유도슬릿의 확장 변형이 유도되므로 동일 방향의 연속 가압으로 접합지지부의 테두리 부분 및 중앙부가 순차적으로 완전 분리되어 제품이 사용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셋째, 상기 바이트몸체부의 상면부에 구비된 형합지지면이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을 형합 지지하여 안정감 있는 저작감도를 제공하므로 이물감이 저감되되, 저작시 미끄러짐으로 인한 경사방향의 압력 발생 및 그에 따른 접착층의 분리, 턱관절의 부담이 감소되므로 제품의 결합안정성 및 사용 만족도가 개선될 수 있다.
넷째, 상기 접합지지부 및 지지대상치아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가 요철엠보부에 내삽되어 접합지지부의 변형시 접착유도면에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며 지지대상치아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지지대상치아의 표면측 잔여 접착제가 최소화될 수 있으며, 잔여 접착제의 제거작업 및 그에 따른 치아 손상이 저감되어 제품의 사용 편의성 및 만족도가 개선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나타낸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나타낸 저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개략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의 장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100)는 접합지지부(10) 및 바이트몸체부(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바이트가이드(100)는 교정대상치아(2a) 및 교정대상치아(2a)에 대향 배치되어 맞물림되는 교정대합치아(2f) 사이에 충분한 교정간극을 유지하기 위해 치열교정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설치되는 장치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교정대상치아(2a)는 상악 또는 하악 중 교정대상이 되는 대상악궁의 전체 치아 중에서 치열 변형 또는 부정교합으로 치열교정이 요구되는 치아를 의미하며, 치열교정을 위한 브라켓 등의 교정보철물(3)이 실질적으로 설치되는 치아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교정간극은 저작시 교정대상치아(2a)에 설치된 교정보철물(3)이 교정대합치아(2f)의 간섭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교정대상치아(2a)가 교정보철물(3)을 통한 압력에 따라 목표된 위치 및 각도로 변형될 수 있는 공간이 확보되도록 교정대상치아(2a) 및 교정대합치아(2f) 간의 현재 교합상태를 반영하여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바이트가이드(100)는 상기 교정대상치아(2a)의 치열 교정시 변형이 없거나 적은 지지대상치아(2b)에 설치된다. 여기서, 상기 지지대상치아(2b)는 교정대상치아(2a)를 포함하는 대상악궁이나 교정대합치아(2f)를 포함하는 대합악궁 중 하나에 포함된 치아로 설정될 수 있으며, 교정대상치아(2a)인 전치부로부터 이격 배치되어 치열 교정시 변형 가능성이 낮으면서도 넓고 평탄한 형태의 저작면을 갖는 구치(molar) 부분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접합지지부(10)는 상기 지지대상치아(2b)의 저작면을 감싸는 크기의 라운드진 판형상으로 구비되고, 하면부에 상기 저작면에 대응되는 프로파일의 접착유도면(11)이 형성되어 레진 등의 치과용 접착제를 통해 상기 지지대상치아(2b)에 접착된다. 여기서, 상기 접합지지부(10)의 크기 및 외형, 접착유도면(11)의 프로파일은 치열교정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대해 획득된 3차원 이미지(1)를 기반으로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3차원 이미지(1)는 치열교정대상자의 구강 내부를 나타내는 3차원 외형 데이터를 의미하며, 대상악궁과 대합악궁에 대한 오랄스캔 이미지로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오랄스캔 이미지는 치열교정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대한 직접 촬상으로 획득되거나 상기 치열교정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대해 채득된 인상모형을 간접 촬상하여 획득될 수 있다.
이때, 상기 3차원 이미지(1)에는 대상악궁 및 대합악궁에 포함된 모든 치아의 외형정보가 표시되며, 상기 획득된 3차원 이미지(1)를 기반으로 치열교정대상자에게 적합한 치열교정계획이 수립될 수 있으며, 수립된 치열교정계획에 따라 교정보철물(3)이 설계되어 상기 3차원 이미지(1) 내에 가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교정보철물(3)이 가상 배치된다는 말은 상기 교정보철물(3)이 상기 교정대상치아(2a)에 설치된 상태에서 3차원 좌표가 산출된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교정보철물(3)의 3차원 외형정보가 이미지화되어 상기 3차원 이미지(1) 상에 표시되는 것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3차원 이미지(1)는 오랄스캔 이미지만으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치열교정계획 수립 및 교정보철물(3)의 설계시 치근, 치조골 밀도, 신경 등의 내부조직에 대한 정보가 반영되도록 CT 이미지 및 오랄스캔 이미지의 정합을 통한 정합 이미지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3차원 이미지(1)에 표시된 교정보철물(3)과 상기 교정대합치아(2f)의 위치 및 각도를 고려하여 교정간극이 설정될 수 있으며, 상기 3차원 이미지(1)의 대상악궁 및 대합악궁이 상기 교정간극에 따라 가상 거상된 상태에서 교정간극 유지에 적합한 지지대상치아(2b)가 선택되고, 접합지지부(10) 및 바이트가이드(20)의 제반 설계 과정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합지지부(10)는 설정된 지지대상치아(2b)의 저작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구비되되, 상기 저작면의 중앙부와, 상기 저작면의 설측(lingual) 및 순측(labial) 테두리를 감싸도록 더욱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접합지지부(10)의 양단부는 상기 저작면의 설측 및 순측 테두리를 따라 라운드지게 휘어져 상기 지지대상치아(2b)의 설측 내면 및 순측 외면을 감싸도록 연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3차원 이미지(1) 상에 설정된 지지대상치아(2b)의 3차원 외형 정보를 이용하여, 저작면 및 상기 저작면에 연결된 측면부를 감싸는 형상의 접합지지부(10)가 정확하게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대상치아(2b) 및 상기 접합지지부(10) 간의 접촉지지면적이 증가되되, 상기 접합지지부(10)의 양단부가 지지대상치아(2b)에 걸림 지지되므로 제품의 결합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즉, 상기 접합지지부(10)에 가해지는 설측 및 순측 방향의 압력이, 상기 접합지지부(10) 및 상기 지지대상치아(2b) 사이에 얇게 형성된 접착층으로 집중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지지대상치아(2b)의 내면 및 외면에 걸림 지지된 상기 접합지지부(10)의 양단부로 분산되므로 상기 접합지지부(10) 및 상기 지지대상치아(2b)가 접착층 방향으로 슬립 분리되는 현상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일반적인 저작 과정에서 발생되는 상하방향의 외력뿐만 아니라, 칫솔질이나 수면 중 이갈이 등의 과정에서 발생되는 수평방향의 외력에 대해서도 안정적인 지지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접착유도면(11)은 상기 저작면에 대응되는 프로파일로 구비된다. 즉, 상기 접착유도면(11)은 상기 저작면과 유사한 표면 구배를 갖도록 구비되되, 상기 저작면에 형합되도록 지지대상치아(2b)의 저작면 표면 프로파일이 반전된 프로파일로 형성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대상치아(2b)가 구치인 경우, 중앙부가 함몰되고 라운드지 테두리 부분이 돌출된 형태의 라운드진 요철표면을 갖는 저작면에 대응되도록, 상기 접착유도면(11)은 중앙부가 하향 돌출되고 테두리부분이 상향 함몰된 표면 프로파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3차원 이미지(1) 상에 설정된 지지대상치아(2b)의 3차원 외형 정보를 이용하여, 저작면의 표면 형상과 마모 상태에 정밀하게 매칭되어 형합되는 접착유도면(11)이 설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대상치아(2b)의 표면과 상기 접합지지부(11) 사이의 접착면적이 극대화되되, 상기 지지대상치아(2b)와 접합지지부(11) 사이에 도포된 치과용 접착제가 저작면 및 접착유도면(11) 각각에 대응되는 프로파일을 유지하며 제품의 결합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상기 접착유도면(11)이 저작면에 반전 형합되는 프로파일로 구비되므로, 저작면의 돌출부가 내삽되도록 함몰된 부분과, 저작면의 함몰부에 삽입되도록 돌출된 부분을 통해 횡방향의 걸림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접착층 방향의 수선방향 및 수평방향 분리 저항력이 동시에 증가될 수 있어 제품의 결합 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바이트몸체부(20)는 상기 치열교정대상자의 교정대상치아(2a) 및 그에 대향되는 교정대합치아(2f) 사이의 교정간극 유지를 위해, 상기 접합지지부(10)의 상면부에 돌설되어 상기 지지대상치아(2b)에 대향되는 지지대합치아(2e)의 저작면을 지지한다.
물론, 치열교정대상자의 치열 형태에 따라서 하나의 지지대상치아(2b)에 대합악궁의 치아 중 하나 이상이 접촉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은 대합악궁의 전체 치아에 대한 저작면 중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상면부에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바이트몸체부(20)는 치열교정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대해 획득된 3차원 이미지(1)를 기반으로 설계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치열교정계획 및 교정보철물(3)의 설계에 사용되는 3차원 이미지(1)에는 교정대상치아(2a)를 포함하는 대상악궁 및 교합대상치아(2f)를 포함하는 대합악궁의 모든 치아에 대한 외형정보 및 치아 간 교합관계가 표시된다.
또한, 상기 3차원 이미지(1)에는 교정보철물(3)과 상기 교정대합치아(2f)의 위치 및 각도를 고려하여 설정된 교정간극에 따라 대상악궁 및 대합악궁이 가상 거상되어 표시된다. 이때, 상기 교정간극 유지에 적합한 지지대상치아(2b)가 선택되면, 상기 지지대상치아(2b)의 표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접합지지부(10)가 설계되고, 설계된 접합지지부(10)의 3차원 외형정보가 상기 3차원 이미지(1) 상에 가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접합지지부(10)가 가상 배치된다는 말은, 상기 접합유도면(11)이 상기 지지대상치아(2b)의 표면에 형합된 상태에서 상기 접합지지부(10)의 3차원 좌표가 산출된다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며, 상기 접합지지부(10)의 3차원 외형정보가 이미지화되어 상기 3차원 이미지(1) 상에 표시되는 것을 포괄하는 의미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접합지지부(10)가 가상 배치되면, 상기 접합지지부(1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상기 교정간극에 따라 가상 거상된 지지대합치아(2e)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높이가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접합지지부(1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가상 거상된 지지대합치아(2e)의 저작면까지의 간격에 따라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상면부 높이가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상면부에 상기 지지대합치아(2e)의 저작면이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교정간극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교정대합치아(2f)의 간섭으로 인한 교정보철물(3)의 분리가 방지되고, 교정대상치아(2a)가 충분한 교정간극 내에서 안정적으로 원활하게 이동되어 교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바이트몸체부(20)는 상기 접합지지부(10) 중 상기 저작면을 커버하는 상면 중앙부에 돌설되되 상면부(26)가 평탄한 원형단면으로 구비되며, 상기 접합지지부(10)의 상면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최대 직경을 갖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3차원 이미지(1) 상에서 교정간극에 따라 가상 거상된 지지대합치아(2e) 저작면과, 상기 지지대상치아(2b)에 가상 배치된 접합지지부(10)를 기반으로,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돌설 방향 및 상면부(26) 위치가 설계되므로 상기 지지대합치아(2e)의 저작면에 대한 지지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즉, 상기 접합지지부(10)가 상기 지지대상치아(2b)에 설치된 상태에서, 저작시 바이트몸체부(20)의 상면부(26)가 지지대합치아(2e)의 저작면과 평행하게 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으므로 저작시 압력이 바이트몸체부(20)의 상면부(26)에 수선방향으로 부하될 수 있으며 접합지지부(10) 및 지지대상치아(2b) 사이에 구비된 접착층에 안정적으로 분산 지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종래에 레진을 이용한 교합 거상시 지지대합치아(2e)의 저작 압력이 대각선 또는 경사진 방향으로 레진 및 지지대상치아(2b) 간 접착층의 일부분에 집중되는 것과 달리, 상기 접합지지부(10) 및 지지대상치아(2b) 사이에 구비된 접착층의 면적방향으로 분산되어 결합 안정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지지부(10)의 접착유도면(11)이 상기 지지대상치아(2b)의 저작면에 형합되는 형상으로, 결합 및 장착 방향을 안내할 수 있으므로, 상기 바이트몸체부(20)가 3차원 이미지(1)를 기반으로 최초 설계된 방향으로 정확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외주에는 장착 위치가 안내되도록 상기 지지대상치아(2b)에 대응되는 기준치식이 표시되는 표식부(25)가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기준치식은 치아를 구분하기 위해 치아의 위치 및 악궁별로 부여된 번호를 의미한다.
즉, 상기 표식부(25)는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외주면에 함몰된 홈 또는 돌출된 돌기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기준치식은 상기 3차원 이미지(1)를 통한 설계시 설정된 지지대상치아(2b)에 따라 설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합지지부(10)가 기설정된 지지대상치아(2b)에 정확하게 설치될 수 있으며, 접착유도면(11)과 지지대상치아(2b)의 형합 과정에서 결합 및 장착 방향이 안내될 수 있다. 즉, 상기 바이트몸체부(20)가 지지대합치아(2e)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도록 정확한 위치 및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므로, 교정간극이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으며, 제품의 설치 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치과용 접착제는 광경화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바이트몸체부(20) 및 상기 접합지지부(10)는 상기 접착제의 경화광이 투과되는 광투과성 재질로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접착제의 경화 품질이 개선됨과 더불어 외부에서 시인성이 감소되어 착용시 심미감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상면부(26)에는 상기 지지대상치아(2b)로부터 분리시 상기 접합지지부(10)의 변형이 유도되도록 변형유도홈(21)이 함몰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변형유도홈(21)은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상면부(26)로부터 하측으로 함몰되되, 바이트몸체부(20)의 직경 방향을 따라 연장된 직선형 슬릿형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외주가 크라운 리무버 등을 통해 그립되어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되면, 변형유도홈(21)의 내부 공간이 축소되며 바이트몸체부(20)의 상단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므려지고, 바이트몸체부(20)에 연결된 접합지지부(10)가 변형된다. 즉, 상기 접합지지부(10)의 중앙부가 지지대상치아(2b)의 중앙부 표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접합지지부(10)의 양단부가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변형 방향을 따라 경사지게 들려, 상기 지지대상치아(2b)의 테두리측 표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합지지부(10)의 변형 압력이 상기 접착층의 테두리 부분에 집중되므로 상기 접합유도면(11)이 상기 지지대상치아(2b)의 표면으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또한, 치과용 일자 드라이버 등을 상기 변형유도홈(21)의 내부공간으로 삽입하여 벌리면,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상단부가 반경방향 외측으로 확장 변형되고, 상기 바이트몸체부(20)에 연결된 접합지지부(10)가 변형된다.
즉, 접합지지부(10)의 테두리가 지지대상치아(2b)의 테두리측 표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접합지지부(10)의 중앙부가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변형 방향을 따라 상승되어 지지대상치아(2b)의 중앙부 표면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접합지지부(10)의 변형 압력이 상기 접착층의 중앙부에 집중되므로 상기 접합유도면(11)이 상기 지지대상치아(2b)의 표면으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접합지지부(10)가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하면서도,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반경방향 가압시 변형되며 손쉽게 분리될 수 있으므로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변형유도홈(21)은 축소유도슬릿(21a)과 확장유도슬릿(21b)을 포함하여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세히, 상기 축소유도슬릿(21a)은 상기 지지대상치아(2b) 및 상기 지지대상치아(2b)에 인접한 인접치아(2c,2d)를 연결하는 치열궁(t) 방향을 따라 형성되되, 양단부가 상기 바이트몸체부(20)의 외주와 연통되도록 개구(23)되어 형성된다.
즉, 상기 축소유도슬릿(21a)은 치열궁 방향의 양단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반경방향 내측을 향한 가압시 손쉽게 축소 변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트몸체부(20)가 치열궁(t)의 접선(t1)과 직교하는 방향(w)으로 가압되면, 축소유도슬릿(21a) 내의 여유공간을 통해 바이트몸체부(20)의 상단부가 반경방향 내측으로 오므라들고, 바이트몸체부(20)의 하단에 연결된 접합지지부(10)가 상기 지지대상치아(2b)로부터 이격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즉, 축소유도슬릿(21a)에 의해 분할된 바이트몸체부(20)의 양측이 축소유도슬릿(21a)의 여유공간을 통해 상호 경사지게 밀착되며, 상기 접합지지부(10)의 변형을 유도할 수 있다. 이때, 축소유도슬릿(21a)에 대응되는 접합지지부(10)의 중앙측이 지지대상치아(2b)의 표면에 지지된 상태에서, 분할된 바이트몸체부(20)의 양측에 연결된 접합지지부(10)의 양단측이 지지대상치아(2b)의 표면으로부터 상승되어 접착제를 통한 결합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축소유도슬릿(21a)은 접합지지부(10)의 장착 방향을 안내할 수 있다. 즉, 상기 표식부(25)를 통해 지지대상치아(2b)가 안내되며, 상기 축소유도슬릿(21a)의 양단 개구(23)를 인접치아(2c,2d) 방향으로 배치하여 상기 접합지지부(10)가 정확한 방향으로 설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합유도면(11) 및 저작면 간 형합 결합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확장유도슬릿(21b)은 상기 축소유도슬릿(21a)과 교차되도록 상기 치열궁(t)의 접선(t1)과 직교하는 방향(w)으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확장유도슬릿(21b)의 양단부에는 치과용 그립장치에 의해 가압되는 폐쇄단부(24)가 형성된다. 즉, 상기 확장유도슬릿(21b)은 상기 축소유도슬릿(21a)과 교차하되 양단부가 폐쇄된 형상으로 구비되며, 폐쇄된 양단부가 크라운 리무버 등과 같은 핀셋 형태의 치과용 그립장치에 의해 가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폐쇄단부(24)를 통해 상기 축소유도슬릿(21a)의 축소 방향 및 치과용 그립장치의 그립 방향이 안내될 수 있다. 즉, 상기 축소유도슬릿(21a)과 수직 교차하는 방향으로 형성된 확장유도슬릿(21b)의 단부측 폐쇄단부(24)를 가압하면, 축소유도슬릿(21a)의 축소 방향과 치과용 그립장치를 통한 가압 방향이 정렬된 상태에서 상기 축소유도슬릿(21a)의 용이한 수축 변형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확장유도슬릿(21b)은 치과용 일자 드라이버 등을 통한 확장 변형에 사용될 수 있다. 즉, 치과용 일자 드라이버가 삽입되면 양단부가 폐쇄된 확장유도슬릿(21b)의 내부에서 이탈되지 않으므로 벌림 방향의 압력이 바이트몸체부(20)로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폐쇄단부(24)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면 접합지지부(10)의 테두리 부분이 분리되고, 상기 확장유도슬릿(21b)의 내부를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하면 접합지지부(10)의 중앙 부분이 분리되며, 두번의 동작으로 접합지지부(10)가 완전하게 분리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장유도슬릿(21b)에는 상기 축소유도슬릿(21a)과 교차되는 중앙부에 상기 치열궁 방향으로 확장된 확장유도면(24a)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확장유도면(24a)은 상기 확장유도슬릿(21b) 및 상기 축소유도슬릿(21a)이 교차되는 부분에 형성되되, 교차되는 부분이 라운드지게 연결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교차되는 부분이 경사지게 테이퍼 가공되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물론, 상기 확장유도슬릿(21b)이 중앙측으로 갈수록 치열궁의 외곽 방향으로 확장됨에 따라 상기 확장유도슬릿(21b)의 내면 전체에 상기 확장유도면(24a)이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상기 확장유도면(24a)은 상기 축소유도슬릿(21a)의 내면 간 접촉시 라운드 또는 경사진 형태로 인해 상기 축소유도슬릿(21a)의 수축방향에서 상호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며 폐쇄단부(24)를 통해 축소유도슬릿(21a)의 수축방향으로 가해지는 추가 외력을 치열궁(t) 외곽 방향으로 전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폐쇄단부(24)를 반경방향 내측으로 가압하기만 하면, 축소유도슬릿(21a)이 1차 수축 변형되되, 축소유도슬릿(21a)의 내면 간 밀착시 상기 확장유도면(24a)을 통해 확장유도슬릿(21b)이 치열궁(t) 방향으로 2차 확장 변형될 수 있다.
즉, 동일한 방향의 연속적인 가압으로 접합지지부(10)의 테두리 부분 및 중앙부가 순차적으로 분리될 수 있으므로 제품이 사용편의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종래에 지지대상치아(2b)에 대한 소정의 접착력을 가지면서도 지지대합치아(2e)의 지지력을 제공하기 위한 소정의 강도를 갖도록 치과용 레진 등으로 소재가 제한되는 것과 달리, 바이트가이드(100)의 소재와 지지대상치아(2b)에 대한 고정력을 제공하는 치과용 접착제가 상이한 소재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보다 안정적인 접착력을 가지면서도 지지대합치아(2e)에 대한 지지력이 개선되는 고품질의 교정 보조 도구를 제공할 수 있는 기반 기술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를 나타낸 저면도이다. 본 다른 실시예에서는 바이트몸체부(220)의 상면부 형상과 접합지지부(210)의 하면부 형상을 제외한 기본적인 구성이 상술한 일실시예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도 5 내지 도 6에 보는 바와 같이, 상기 바이트몸체부(220)의 상단부에는 상기 3차원 이미지(1)를 기반으로 상기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형합지지면(226)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3차원 이미지(1)에 표시된 대상악궁 및 대합악궁이 교정간극에 따라 가상 거상된 상태에서 지지대상치아에 접합지지부(210)가 가상 배치되면, 상기 접합지지부(210)의 상부 표면으로부터 거상된 지지대합치아 사이의 공간에 대응되도록 상기 바이트몸체부(220)의 높이가 설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바이트몸체부(220)의 상면부에는 그에 대향 배치되어 저작시 접촉되는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 프로파일과 유사한 표면 구배를 갖도록 형합지지면(226)이 형성된다. 물론, 상기 형합지지면(226)은 상기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 프로파일에 형합되는 표면 프로파일을 갖도록 구비됨이 더욱 바람직하다.
여기서, 치열교정대상자의 치열 형태에 따라서 하나의 지지대상치아에 하나 이상의 대합악궁측 치아가 접촉될 수 있으므로, 상기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 프로파일은 대합악궁의 전체 치아에 대한 저작면 프로파일 중 상기 바이트몸체부(220)의 상면부에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함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상기 형합지지면(226)이 상기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과 형합된 상태에서, 미끄러짐 없이 상기 지지대합치아의 저작 압력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저작감도를 제공하여 이물감이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지지대합치아가 바이트몸체부(220)의 상면부로부터 미끌어짐에 따라 저작시 압력이 접합지지부(210)에 경사 방향으로 부하되어 접착층이 분리되거나 치열교정대상자의 턱관절에 부담을 주는 등의 불편함이 최소화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착유도면(211)에는 상기 도포된 치과용 접착제에 대한 분리저항력이 증가되도록 요철엠보부(21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요철엠보부(212)는 상기 접착유도면(211)으로부터 상향 함몰된 미소한 면적의 홈 형태로 구비되며, 상기 접착유도면(211)의 전체면적에 분산 배치되도록 복수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접합지지부(210) 및 상기 지지대상치아 사이에 도포된 접착제가 요철엠보부(212)에 내삽되며 접착유도면(211)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 및 접착유도면(211) 간의 결합력이 접착제 및 지지대상치아 간의 결합력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접합지지부(210)의 변형시 요철엠보부(212)를 통한 접착력 편차에 따라 접착제가 접착유도면(211)에 결합된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한 상태로 지지대상치아의 표면으로부터 분리되며, 지지대상치아의 표면에 잔존하는 접착제량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접합지지부(210)의 분리 후 버(bur) 등을 이용하여 잔여 접착제를 긁어내는 후속 작업이 최소화되어 제품의 사용편의성이 개선되되, 버를 통한 접착제 제거 작업에 따른 불편함 및 치아 손상 우려가 저감되므로 제품의 사용 만족도가 개선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접합지지부(210)에는 상기 접착제의 초과분이 배출되도록 상기 변형유도홈과 연통되는 배출유도홀(213)이 관통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배출유도홀(213)은 상기 요철엠보부(212) 중 상기 변형유도홈과 대향 배치된 일부가 관통되어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며, 요철엠보부(212)와 구분되는 별도의 홀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배출유도홀(213)이 상기 변형유도홈과 유사한 형상으로 상호 교차되는 한 쌍의 슬릿형으로 구비된 것을 예로써 도시 및 설명한다.
이때, 상기 접합지지부(210)의 하면부에 상기 접착제가 도포된 상태에서 상기 지지대상치아의 표면측으로 밀착되면, 상기 지지대상치아의 표면에 의해 가압된 접착제가 자연스럽게 상기 배출유도홀(213)로 배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과도한 접착제로 인한 이격이나 장착 방향의 어긋남이 최소화되고, 상기 접합지지부(210) 및 상기 지지대상치아가 더욱 안정적으로 밀착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합지지부(210) 및 지지대상치아 사이에 배치된 접착제와, 상기 배출유도홀(213)의 내부를 따라 유동된 접착제가 연결되어 일체로 경화되므로 접합지지부(210) 및 지지대상치아 간 결합 안정성이 더욱 개선될 수 있다.
이와 함께, 상기 변형유도홈을 통한 바이트몸체부(210)의 변형시, 상기 변형유도홈에 대응되는 배출유도홀(213)을 통해 상기 접합지지부(210)의 연동 변형량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접합지지부(210) 및 지지대상치아의 원활한 분리가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각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항에서 청구하는 범위를 벗어남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변형 실시되는 것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예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 : 3차원 이미지 100,200: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
10,210: 접합지지부 11: 접착유도면
20,220: 바이트몸체부 21: 변형유도홈

Claims (5)

  1. 기설정된 지지대상치아의 저작면을 감싸도록 구비되되, 치열교정대상자의 구강 내부에 대해 획득된 3차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하면부에 상기 저작면에 대응되는 내면 프로파일을 갖는 접착유도면이 형성되어 상기 지지대상치아에 접착되는 접합지지부; 및
    상기 치열교정대상자의 교정대상치아 및 그에 대향되는 교정대합치아 사이의 교정간극 유지를 위해 상기 접합지지부의 상면부에 돌설되어 상기 지지대상치아에 대향되는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을 지지하되, 상기 지지대상치아로부터 분리시 상기 접합지지부의 변형이 유도되도록 상면부에 변형유도홈이 함몰 형성된 바이트몸체부를 포함하되,
    상기 변형유도홈은 상기 지지대상치아 및 상기 지지대상치아에 인접한 인접치아를 연결하는 치열궁 방향을 따라 형성되어 양단부가 상기 바이트몸체부의 외주와 연통되도록 개구된 축소유도슬릿과, 상기 축소유도슬릿과 교차되도록 상기 치열궁의 접선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양단부에 치과용 그립장치에 의해 가압되는 폐쇄단부가 형성된 확장유도슬릿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유도슬릿에는 상기 축소유도슬릿과 교차되는 중앙부에 상기 치열궁 방향으로 확장된 확장유도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이트몸체부의 상단부에는 상기 3차원 이미지를 기반으로 상기 지지대합치아의 저작면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형합지지면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유도면에는 치과용 접착제가 도포되되, 상기 도포된 치과용 접착제에 대한 분리저항력이 증가되도록 요철엠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접합지지부에는 상기 접착제의 초과분이 배출되도록 상기 변형유도홈과 연통되는 배출유도홀이 관통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
KR1020170067404A 2017-05-31 2017-05-31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 KR1019407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404A KR101940741B1 (ko) 2017-05-31 2017-05-31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67404A KR101940741B1 (ko) 2017-05-31 2017-05-31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994A KR20180130994A (ko) 2018-12-10
KR101940741B1 true KR101940741B1 (ko) 2019-01-21

Family

ID=646707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67404A KR101940741B1 (ko) 2017-05-31 2017-05-31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74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74308B1 (ko) * 2020-09-01 2021-07-06 이노범 바이트 블록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치아 교정용 브라켓 간접 부착 지그, 그 제조방법 및 사용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2384B2 (ja) 1993-02-22 2001-08-2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の駆動回路
KR101631261B1 (ko) 2015-03-09 2016-06-16 주식회사 디오 개구부를 가지는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57892B1 (en) * 1997-10-28 2001-07-10 Flexible Dimensions, Llc Shells for temporary and provisional crowns with an hourglass shaped occlusal profile
US6652276B2 (en) * 2001-11-01 2003-11-25 Ultradent Products, Inc. Customizable dental bite blocks and methods for forming customized dental bite blocks
KR200269058Y1 (ko) 2001-12-07 2002-03-20 배성민 다수의 훅을 이용한 치열 고정 장치
GB201216224D0 (en) * 2012-09-12 2012-10-24 Nobel Biocare Services Ag An improved virtual splint
JP3202384U (ja) * 2015-09-30 2016-02-04 盧 育華 智歯の牽引支持具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2384B2 (ja) 1993-02-22 2001-08-2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の駆動回路
KR101631261B1 (ko) 2015-03-09 2016-06-16 주식회사 디오 개구부를 가지는 치과 임플란트용 서지컬 가이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0994A (ko) 2018-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27092B2 (ja) 再位置決め顎エレメントを有する歯科器具
US10898296B2 (en) Masticatory orthodontic correction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US1038370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rthodontic attachment fabrication and placement
JP4870677B2 (ja) 患者の歯に組成物を適用するための歯科矯正方法および装置
JP6325096B2 (ja) 歯科用トランスファーテンプレート
US20100279245A1 (en) Removable Orthodontic Appliance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WO1996041584A1 (en) Orthopedic incline appliance and method
JP5635575B2 (ja) 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及び、歯列矯正用ブラケットの作成方法
US20110250563A1 (en) Interdental device
JPS6312623B2 (ko)
KR101804991B1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부착을 위한 몰드형 지그 제작 방법 및 그 몰드형 지그
KR20070108020A (ko) 치열 교정 브라켓 및 이를 이용한 치열 교정 시스템
KR101940741B1 (ko) 치아교정용 바이트가이드
EP3348225B1 (en) Orthodontic apparatus
US20160256247A1 (en) Dental transfer template
US4834656A (en) Adjustable composite dental crown and associated procedure
EP3482714B1 (en) Orthodontic appliance for dentistry
KR20230151790A (ko) 수직고경 측정용 바이트가이드
CA2923708A1 (en) Dental transfer template
CN115137505A (zh) 基于数字化技术的标准牙颌固位导板的制作工艺
KR19990022757A (ko) 혀내밈 구강습관 훈련장치
US20160157972A1 (en) Dental transfer template
JP6174829B1 (ja) 採得器具
KR102500317B1 (ko) 수직고경 측정 범용 부분 바이트가이드
KR20130120038A (ko) 치아의 극소형 교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