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3635B1 - Reinforcing method and reinforcing structure of Waling - Google Patents
Reinforcing method and reinforcing structure of Waling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3635B1 KR101933635B1 KR1020170001229A KR20170001229A KR101933635B1 KR 101933635 B1 KR101933635 B1 KR 101933635B1 KR 1020170001229 A KR1020170001229 A KR 1020170001229A KR 20170001229 A KR20170001229 A KR 20170001229A KR 101933635 B1 KR101933635 B1 KR 10193363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ange
- steel plate
- reinforcing
- wale
- flanges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2—Foundation pits
- E02D17/04—Bordering surfac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foundation pit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7/00—Excavations; Bordering of excavations; Making embankments
- E02D17/06—Foundation trenches ditches or narrow shafts
- E02D17/08—Bordering or stiffening the sides of ditches trenches or narrow shafts for found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Joining Of Building Structures In Genera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띠장의 보강방법 및 띠장의 보강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일정간격 이격된 제2플랜지 및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띠장을 준비하는 단계, 상면과, 상기 상면의 양측에 연결된 양측면과, 상기 양측면에 연결된 하면과, 상기 상면, 양측면 및 하면에 의해 내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각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각관을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에 삽입하여 상기 상면, 양측면 및 하면의 끝단면들이 상기 제1플랜지, 제2플랜지에 접촉되어 상기 각관이 세워지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기존기술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철판 대신에 각관을 적용하여 용접을 하지 않거나 점용접만 하여 쉽고 빠르게 시공할 수 있으며, 각관에 의해 띠장의 강성이 기존보다 크게 증가되는 띠장의 보강방법 및 띠장의 보강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또한, 토압이 크게 작용하거나 흙막이벽체의 수평변위를 충분히 억제시키기 위해서 버팀대 선행하중을 가할 때 띠장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 사이 내면에 보강철판을 설치하여 띠장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는 띠장의 보강방법 및 띠장의 보강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reinforcing a band and a structure for reinforcing a band, comprising a first flange, a second flang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lange, and a web connecting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 step of preparing a welt, a step of preparing a square tube comprising an upper surface, both side surface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upper surface, a lower surface connected to the both side surfaces, and an empty space formed inside by the upper surface, both side surfaces and lower surface, Wherein each tube is inserted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such that the end faces of the top face, both side faces, and bottom fac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It is possible to easily and quickly construct the steel pipe by using only the spot welding instead of the steel pipe which is commonly used in the steel pipe, And a reinforcement structure of a belt, wherein the strength of the belt is greatly increased.
Also, in order to prevent the deformation of the strap when applying a preload tensile load in order to suppress the horizontal displacement of the retaining wall sufficiently or to increase the earth pressure, a reinforcing steel plate is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to increase the stiffne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ment method of a belt and a reinforcing structure of a belt.
Description
본 발명은 띠장의 보강방법 및 띠장의 보강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존에 반드시 용접하여 사용하던 철판보다 강성이 훨씬 큰 각관을 사용하여 용접을 하지 않고 설치하거나 점용접만 하는 방법으로 쉽고 빠르게 설치하여 띠장의 강성을 보강하는 띠장의 보강방법 및 띠장의 보강구조체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inforcement method of a belt and a reinforcing structure of a belt, and more particularly, to a belt reinforcement structure using a steel pipe having a much greater stiffness than that of a steel plate used for welding, To a reinforcing method of a belt zone reinforcing the rigidity of the belt zone and to a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belt zone.
지반굴착시 흙막이벽체(10)의 안정성을 위해 흙막이벽체(10)를 지지하는 공법은 다음의 두 가지로 대별할 수 있다.The method of supporting the
첫째, 굴착단계별로 버팀대(20)를 설치하고 잭(40)으로 하중을 가하여 흙막이벽체(10)를 지지하는 공법이 있고, 둘째, 굴착단계별로 Earth Anchor를 설치하고 인장하여 흙막이벽체(10)를 지지하는 공법이 있다.First, there is a method of installing a
상기의 두 가지 지지공법은 모두 흙막이벽체(10)의 안정성을 유지시키기 위해 굴착단계별로 흙막이벽체(10)에 띠장(50)을 설치한 후에 버팀대(20)나 Earth Anchor를 띠장(50) 전면에 시공하여 흙막이벽체(10)를 지지시키는 공법이다.In both of the above-mentioned supporting methods, a
한편, 띠장(50)은 흙막이벽체(10) 배면에 작용하는 토압과 버팀대(20)나 Earth Anchor의 축력을 고르게 분포시키는 역할을 하는 매우 중요한 구조물이다.On the other hand, the
띠장(50)에서 최대 부재력(모멘트와 전단력)은 대부분 버팀대(20)와 Earth Anchor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발생하며, 버팀대(20)와 Earth Anchor가 설치된 위치에서 띠장(50)의 부재력이 허용범위를 초과하여 띠장(50)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띠장(50)의 플랜지 내면을 철판(30)으로 보강하여 띠장(50)의 강성을 증가시킨다. The maximum member force (moment and shearing force) in the
철판(30)은 양단면이 띠장(50)의 양측 플랜지 내면에 각각 연결되고, 띠장(50)에 설치된 버팀대(20)의 양단에 대응되게 설치되며, 양단면이 띠장(50)의 플랜지 내면과 수직이 되도록 설치한 후에 플랜지에 맞닿은 면을 용접(W)하여 고정시킨다. The
한편, 미세한 변형이 있는 중고강재를 띠장(50)으로 사용하는 경우, 공장에서 제작되는 철판(30)은 띠장(50)의 제1,2플랜지 내면과 미세한 이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중고강재의 변형 정도에 비례적으로 띠장(50)용 H형강의 허용응력은 신강재보다 감소된다. 따라서 기존에는 띠장(50)의 제1,2플랜지 내면 상, 하측 모두를 공장에서 동일한 규격으로 제작한 철판(30)(스티프너)을 띠장(50)의 제1,2플랜지 내면과 철판(30)의 양단면 폭이 맞닿는 양쪽 구간을 버팀대나 Earth Anchor가 설치되는 위치에 모두 용접하여 고정시켰다.(W)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the pre-cast steel having fine deformation as the
띠장(50) 보강용 철판(30)은 보통 공장에서 제작한 두께 14mm의 철판(30)을 사용한다. 철판(30)의 설치위치는 띠장(50)에 설치되는 버팀대(20) 양 끝이 위치하는 띠장(50) 내부이며, 설치 개소는 띠장의 제1,2플랜지 내면에 상부 2개, 하부 2개 총 4개소이며, 철판(30) 1개당 용접(W)구간은 4군데이다. 따라서 버팀대(20) 한 개당 4개의 철판(30)을 부착하여 총 16개소를 용접시켜야 하므로 용접시간이 많이 소요됐다.The reinforcing
철판(30)을 제작할 때 띠장(50)의 제1,2플랜지 사이의 간격을 고려하여 미세하게 크게 제작하면 망치 등으로 타격을 가하여 띠장(50)의 제1,2플랜지 사이에 끼워지도록 시공할 수 있지만, 철판(30)과 띠장(50) 플랜지 내부의 접촉면적이 작기 때문에 철판(30)이 띠장(50)의 제1,2플랜지에 수직으로 설치되지 않을 경우, 버팀대(20) 축력에 의한 편심이 발생하여 철판(30)이 띠장(50)으로부터 분리되면 보강효과가 없어진다. 따라서 외력에 의해 발생되는 응력이 띠장(50)의 허용응력을 초과하면 띠장(50)의 제1,2플랜지와 웨브에 변형이 발생되면서 전단파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끼워진 철판(30)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2플랜지 내면과 철판(30)이 접촉된 양면을 용접하여 고정시킨다. When the
또한, 철판(30)을 띠장(50) 보강재로 사용하는 경우, 작업자가 철판(30)을 손으로 붙잡은 상태에서 철판(30)이 띠장(50)의 플랜지 내면과 접촉되는 부분을 용접한다. When the
한편, 철판(30)이 아닌 부재를 이용한 띠장(50)의 보강방법이 이하에 설명된 것과 같이 특허기술로 몇 가지 제시되어 있지만 자재비가 비싸고, 시공방법이 철판(30)을 용접시키는 방법보다 복잡하기 때문에 실제 사용되는 것을 거의 본 적이 없으며, 현장에서는 주로 철판(30)으로 보강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some methods of reinforcing the
또 다른 띠장의 보강방법으로, 한국공개번호 제10-2015-0104063호(이하, '특허문헌 1'이라 한다.)에는 'T형 보강장치를 이용한 H형강의 좌굴 및 변형 방지방법 및 방지구조'에 관한 기술이 게재되어 있다.As another method of reinforcing a belt,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10406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method of preventing buckling and deformation of an H-shaped beam using a T- Is described.
'특허문헌 1'의 T형 보강장치는, 보강 본체와 쐐기(wedge)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보강 본체는 H형강의 웨브와 나란하게 배치되는 지지축과, 웨브의 측면에 밀착되게 설치되며, 지지축의 위치가 변하는 것을 방지하는 쐐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보강 본체에는 쐐기가 박힐 때 지지축이 종방향으로 움직이지 못하게 하는 플레이트가 더 구비될 수 있다.The T-type reinforcement device of Patent Document 1 includes a reinforcing main body and a wedge. The reinforcing main body includes a support shaft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web of the H-shaped steel, and a wedge which is installed in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web and prevents the position of the support shaft from changing. The reinforcing main body may further include a plate for preventing the support shaft from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hen the wedge is stuck.
구체적으로 지지축은 H형강의 제1,2플랜지 사이에서 웨브와 나란하게 배치된다. 이때 지지축의 일측 단부면은 제2플랜지의 내면에 밀착된다.Specifically, the support shaft is disposed in parallel with the web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of the H-shaped steel. At this time, one end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second flange.
이러한 '특허문헌 1'의 설치방법은, 우선 작업자가 받침대의 외측 자유단의 단부면을 웨브의 측면에 밀착시키고 지지축의 일측 단부면을 제2플랜지에 밀착시켜서 지지축을 제1 및 제2플랜지 사이에 연직하게 세우게 된다. 이 상태에서 하향 경사면으로 이루어진 지지축의 타측 단부면과 제1플랜지 사이에는 간격이 존재하는데, 이러한 지지축 타측의 하향 경사진 단부면과 제1플랜지 사이 간격에 쐐기를 타격하여 끼우면 보강장치가 제1 및 제2플랜지 사이에 고정된다. In this method, a worker firstly brings the end surface of the outer free end of the pedestal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web, and one end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second flange so that the support shaft is sandwich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 In this state, there is a gap between the other end surface of the support shaft made of the downwardly inclined surface and the first flange. When the wedge is inserted into the gap between the downwardly inclined end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support shaft and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이러한 '특허문헌 1'과 같은 종래의 기술은 T형 보강장치와 쐐기를 별도로 제작해야 하고, 작업자가 보강본체를 H형강에 설치한 후 보강본체를 붙잡은 상태에서 쐐기를 끼우고, 쐐기를 타격하여 보강본체와 H형강 사이에 박히게 하는 작업을 해야 하기 때문에 작업이 번거로웠다. 또한 보강장치는 보강 본체, 쐐기, 플레이트 및 쐐기와 보강 본체를 연결하는 결속선재로 이루어져 제작이 복잡하고 비용이 많이 들게 된다.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such as Patent Document 1, the T-shaped reinforcement device and the wedge must be separately manufactured. After the operator attaches the reinforcing main body to the H-shaped steel, the wedge is inserted while holding the reinforcing main body, Reinforcement The work must be done between the main body and the H-beam. Also, the reinforcing device is composed of a reinforcing body, a wedge, a plate, and a binding wire connecting the wedge and the reinforcing main body, thereby complicating fabrication and increasing the cost.
한국등록특허 제10-0259394호(이하, '특허문헌 2'이라 한다.)에는 '나사식 띠장 보강장치를 이용한 흙막이벽 띠장의 보강방법'에 관한 기술이 게재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10-025939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technique relating to a method of reinforcing a retaining wall band using a threaded band reinforcing apparatus.
'특허문헌 2'의 보강장치는 1개의 수체와 2개의 암체로 구성된다. The reinforcing device of Patent Document 2 is composed of one water body and two arm bodies.
암체는 중공 원통형으로 각각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있다. 수체의 양쪽 끝 부분에는 각각 왼나사와 오른나사로 수나사가 형성되어 있고, 중앙부에는 죔기구용 구멍이 일정간격으로 뚫려 있다. The female body is hollow cylinder type, and the internal threads are formed inside the left and right threads respectively. Both ends of the water body are formed with male threads with left and right threads, respectively, and holes for fastening tools are drilled in the center at regular intervals.
수체의 수나사는 암체에 형성된 암나사와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수체의 직경은 암체의 직경보다 작다. 수체의 중앙부에 형성한 구멍은 본 발명의 나사식 보강장치를 고정시키기 위하여 수체를 회전시키기 쉽도록 마련한 것이므로, 추가로 구비되는 죔기구를 구멍에 끼우고 회전시키면 수체와 암체의 전체길이가 늘어나거나 줄어들면서 띠장에 설치 또는 해체된다.The male thread of the waterbody is formed to be engaged with the female thread formed on the female body. Therefore, the diameter of the water body is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rock body. Since the hole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water body is provided so as to facilitate rotation of the water body for fixing the screw type reinforc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if the additional fastening mechanism is inserted into the hole and rotated, the entire length of the water body and the arm body is increased It is installed or disassembled in the wrist strap.
그러나, '특허문헌 2'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암체와 수체를 따로 제작하여 조립하고, 나사식 보강장치의 길이를 조절하기 위한 죔기구를 따로 구비해야 하며, 길이 조절을 위해 작업자가 보강장치의 구멍위치에 맞춰 죔기구를 설치하고 여러 회 반복하여 돌려야 한다. 따라서 용접은 없어지지만 보강장치 제작비용이 많이 들고, 현장에서 보강체 설치 후 일일이 죔기구로 설치 및 해체해야 하므로 사용이 불편하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such as Patent Document 2, the clamping mechanism for adjusting the length of the screw type reinforcing apparatus must be separately provided by separately fabricating the arm body and the water body, and in order to adjust the length, The fastening mechanism should be installed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the hole and rotated several times. Therefore, although the welding is eliminated, the cost of manufacturing the reinforcing device is high, and it is inconvenient to use the reinforcing body in the field because it is necessary to install and disassemble it by a fastening mechanism.
한국등록실용 제20-0313194호(이하, '특허문헌 3'이라 한다.)에는 '띠장 보강용 부재'에 관한 기술이 게재되어 있다.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20-031319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3) discloses a technique relating to a member for reinforcing a wale.
'특허문헌 3'에 따른 띠장 보강용 부재는 가설 흙막이 공사에서 굴착시 배면토사가 붕괴되지 않도록 토류벽을 지지하기 위해 설치되는 H형강과, 상기 H형강의 공간 내에 설치되는 부재로 구성되는 띠장에 있어서, 상기 부재는 내부에 콘크리트가 채워진 파이프와, 상기 파이프의 일단부 또는 양단부에 띠장의 제1,2플랜지에 씌울 수 있는 캡으로 구성된다.In the wale band reinforcing member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3, there is provided a wale band reinforcing member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3, which is composed of an H-shaped steel which is installed to support a toe wall so as not to collapse the backside gravel upon excavation in a temporary earth retaining work, , The member is composed of a pipe filled with concrete in the interior thereof and a cap which can be attached to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of the band zone at one end or both ends of the pipe.
띠장 보강용 부재는 파이프 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양생한 후, 파이프의 양측에 캡을 씌워서 보강부재를 완성하며, 이어서 상기 보강부재를 띠장 플랜지에 설치하여 사용한다.The wale band reinforcing member is cured by pouring concrete in the pipe and then covering the cap on both sides of the pipe to complete the reinforcing member, and then the reinforcing member is installed on the wale flange.
그러나, '특허문헌 3'과 같은 종래의 기술은, 파이프를 별도로 마련하고 그 내부에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때문에 제작과정이 복잡하므로 시간 및 비용이 많이 소모되며, 콘크리트를 양생시켜야 하며, 보강재로 사용된 콘크리트가 양생된 파이프 내부의 콘크리트가 쉽게 깨질 수 있고, 다시 사용하기 위해서는 콘크리트를 충진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ology such as Patent Document 3, since a pipe is separately provided and concrete is placed in the pipe, the manufacturing process is complicated, so that it takes a lot of time and cost, the concrete must be cured, The concrete inside the pipe in which the concrete is cured can easily be broken, and the concrete is filled in order to be used again.
한국등록특허 제10-1284514호(이하, '특허문헌 4'이라 한다.)에는 '에이치형강의 플랜지 좌굴 방지를 위한 스티프너'에 관한 기술이 게재되어 있다.Korean Patent No. 10-1284514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4") discloses a technique relating to "Stiffener for preventing flange buckling of H-section steel".
'특허문헌 4'의 스티프너는 버팀강관과, 버팀강관의 양단에 연결되어 스티프너를 H형강에서 부착과 탈착이 가능하게 하는 강관 지지클립으로 구성되어 있다.The stiffener of Patent Document 4 is composed of a supported steel pipe and a steel pipe supporting clip which is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supported steel pipe and enables the stiffener to be attached and detached from the H-shaped steel.
버팀강관은 H형강의 서로 마주하는 양쪽 플랜지의 사이에 위치하여 버팀대의 축력에 저항되게 설치된다. 원형관인 버팀강관은 내부에 길이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는 중공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강관 지지클립은 버팀강관을 H형강에 탈부착 시키는 역할을 한다. The supported steel pipe is located between the flanges facing each other of the H-shaped steel and is installed to resist the axial force of the braces. The support pipe of the circular tube has a hollow shape penetrat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side thereof, and the steel pipe supporting clip removes and attaches the supported steel pipe to the H-shaped steel pipe.
그러나, '특허문헌 4'와 같은 종래의 기술은, 스티프너를 H형강에 설치할 때 파손되어 버팀강관과 지지클립이 분리되면 사용할 수 없고, 양측의 지지클립이 동시에 H형강의 플랜지에 끼워져야 역할을 한다. 또한 길이를 H형강의 길이에 맞춰 조절할 수 없으므로 규격이 바뀔 때마다 다시 제작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technique such as Patent Document 4, when the stiffener is broken on the H-shaped steel, the supporting steel tube and the supporting clip can not be used when they are separated, and the supporting clips on both sides must be fitted to the flange of the H- do. In addition, since the length can not be adjusted to the length of the H-shaped steel, there is a problem that it must be re-manufactured every time the standard is changed.
위에 설명한 네가지 기술(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4)이 사용성이 양호했다면 모든 현장에 적용돼야 했었지만 실제 현장에서는 철판 보강을 사용하는 것으로 보아 실용성이 작다고 볼 수 있다.Although the above-described four technologies (Patent Documents 1 to 4) should have been applied to all sites if the usability was good, it is considered that practicality is low considering that steel plate reinforcement is used in actual sites.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 즉, 기존의 띠장 보강장치의 제작 및 설치방법 등에 따른 문제를 해결하고, 간단한 설치방법으로 띠장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주로 사용하는 철판 대신에 각관을 사용하여 용접을 하지 않고 타격하여 끼우거나 점용접만 하여 쉽고 빠르게 띠장의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띠장의 보강방법 및 띠장의 보강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at is, a problem caused by the conventional method of manufacturing and installing a wale band reinforcing device, and in order to increase rigidity of a band by a simple installation method, Which can easily and quickly reinforce the stiffness of the strip by simply striking the staple or by spot welding, and to provide a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strip.
또한, 각관을 띠장에 보다 확실하게 삽입하거나 고정시키기 위한 띠장의 보강방법 및 띠장의 보강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It is also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reinforcing method of a belt and a reinforcing structure of a belt for more reliably inserting or fixing each tube into a wale.
또한, 띠장의 플랜지 사이에 각관을 설치하여 띠장의 강성을 증가시키는 띠장의 보강방법 및 띠장의 보강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 목적이다.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of reinforcing a band zone and a reinforcing structure of a band zone by providing respective tubes between flanges of the band zone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band zon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띠장의 강성 보강방법 및 띠장의 보강구조체는, 제1플랜지와, 상기 제1플랜지와 일정간격 이격된 제2플랜지 및 상기 제1플랜지와 제2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띠장을 준비하는 단계; 상면과, 상기 상면의 양측에 연결된 양측면과, 상기 양측면에 연결된 하면과, 상기 상면, 양측면 및 하면 내부의 빈 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각관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각관을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에 삽입하여 상기 상면, 양측면 및 하면의 끝단면들이 상기 제1플랜지, 제2플랜지에 접촉되어 상기 각관이 세워지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tiffening structure for a stiffened belt and a belt-shaped stiffening structure including a first flange, a second flange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lang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second flange Comprising: providing a welt comprising a web to be worn; Preparing a plurality of tubes each including a top surface, both side surface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top surface, a bottom surface connected to the both side surfaces, and an empty space inside the top surface, both side surfaces and the bottom surface; And inserting each of the tubes into a space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so that the end faces of the upper face, the side face, and the lower face ar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respectively.
또한, 상기 각관이 세워진 후, 상기 각관의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상기 각관에 점용접을 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nd performing spot welding on each of the tubes so that the positions of the tubes are not changed after the tubes are erected.
또한, 흙막이벽체와 연결되는 제1플랜지; 버팀대가 연결되며, 상기 제1플랜지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2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에 설치되며, 상면과, 상기 상면의 양측에 연결된 양측면과, 상기 양측면에 연결된 하면과, 상기 상면, 양측면 및 하면에 의해 내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각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관은 상면, 양측면 및 하면들의 끝단면이 상기 제1플랜지 또는 상기 제2플랜지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first flange connected to the earth retaining wall; A second flange to which a brace is connected, the second flang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lange; A web connecting said first flange and said second flange; And an empty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nd formed by the top surface, both side surface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top surface, the bottom surface connected to the both side surfaces, and the top surface, Wherein each of the tubes has an upper surface, an opposite end surface, and an end surface of the lower surfaces contacted with the first flange or the second flange.
또한, 토압이 크거나 버팀대 선행하중이 클 경우의 띠장의 강성을 각관만 설치했을 때보다 더 증가시키기 위해서 상기 각관과 상기 제1플랜지 사이 또는 상기 각관과 상기 제2플랜지 사이에 설치되는 보강철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urther,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stiffness of the belt zone in the case where the earth pressure is large or the shear preload is large, the reinforcing steel plate provided between the respective pipes and the first flange or between the pipes and the second flange .
본 발명의 띠장의 보강방법 및 띠장의 보강구조체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The reinforcing method of the band zone and th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band zon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본 발명은 신강재의 띠장을 사용할 경우 각관을 띠장 플랜지 간격보다 미세하게 길게 절단하여 각관을 삽입시키거나 망치 등으로 때려 넣어서 띠장의 제1,2플랜지 사이에 억지끼움되게 하면 각관이 띠장 플랜지 내면에 접촉되는 면적이 넓기 때문에 용접 없이 간단하게 흔들림 없이 설치가 가능하다.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wristband of a new material is used, each tube is cut finer than the wale flange interval and inserted into each tube, or a hammer or the like is used to push it in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of the band shaft so that each tube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surface of the wale flange Because of the large area, it is possible to install without shaking easily without welding.
또한, 본 발명은 각관의 설치위치 즉, 버팀대가 설치되는 위치에 설치되는 각관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몇 군데에만 점용접을 하면 각관을 띠장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어 시공이 매우 편리하고, 시공속도가 매우 빠르다. 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easily fix each tube to the wale by performing spot welding only at a few places within the range where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each tube, that is, the position of each tube installed at the position where the brace is installed, , The construction speed is very fast.
또한, 본 발명은 단면적이 훨씬 큰 각관을 사용하므로 철판보다 띠장의 강성을 대폭 증가시킬 수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tube having a much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e rigidity of the strip can be 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e steel plate.
또한, 본 발명은 각관과 띠장 플랜지 사이에 미세한 이격이 있더라도 굴착단계별로 지반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토압이나 버팀대에 가하는 선행하중에 의해 버팀대 축력과 배면 토압에 의해 띠장이 탄성압축되어 띠장의 제1,2플랜지와 각관 사이의 미세한 이격이 완전히 밀착되므로 절대 빠지지 않는다.Also, even if there is a minute gap between each pipe and the flange of the wal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s the earth excavation progresses according to the excavation step, the earth pressure increases due to the earth pressure or the preceding load applied to the brace, 1,2 The fine gap between the flange and each tube is completely tight, so it never comes off.
또한, 본 발명은 각관과 제1,2플랜지 내면의 접촉 면적이 철판보다 훨씬 넓기 때문에 미세하게 경사지게 설치되어도 버팀대 축력에 의한 편심에 의해 각관이 띠장에서 분리될 염려가 없어 철판처럼 접합부분 전체를 용접할 필요가 없을 뿐만 아니라 각관의 단면적이 철판의 단면적보다 넓어 띠장의 허용전단력이 대폭 증가되기 때문에 띠장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대폭 증가된다. Further, since the contact area between each tube and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is much wider than that of the steel plate, the present invention is free from the fear that the tubes are separated from the wale by the eccentricity due to the axial force of the braces, And the sectional area of each pipe is wid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teel plate, so that the allowable shear force of the band is greatly increased, so that the structural stability of the band is greatly increased.
또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각관은 기성품을 구입하여 현장에서 절단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시공성이 정밀해지고 시공비와 시공기간이 감소된다. 그리고 망치 등으로 타격하여 삽입시키거나 몇 군데 점용접만 하면 되므로 철판을 용접하여 시공하는 것에 비해 용접길이 및 용접시공량이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각관은 안정성, 경제성, 시공성에서 철판보다 훨씬 유리하다. In addition, each pip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urchased by purchasing an off-the-shelf product and cutting it at the site, so that the workability is precise and the construction cost and the construction period are reduced. It can be seen that there is almost no welding length and welding amount compared to welding by iron plate because it can be inserted by hitting with a hammer or the like or welding at only a few points. Therefore, each tube used in the present invention is much more advantageous than steel plate in terms of stability, economy, and workability.
또한, 본 발명은 띠장을 해체시킬 때 각관을 일부러 해체할 필요가 없으며, 각관이 설치된 상태 그대로 다음 시공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은 버팀대의 설치위치가 기존위치와 맞지 않더라도 각관이 보강된 만큼 띠장의 강성이 증가하므로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한다. 그러나 각관은 1회용이 아니므로 해체하여 여러 회 사용하는 것이 훨씬 경제성에서 유리하다. 설치시 타격하여 삽입시키거나 점용접만 했으므로 타격한 경우는 타격하여 제거할 수 있고, 점용접한 경우는 점용접 부분만 산소로 불어내어 해체하면 된다. 참고로 철판은 용접부분을 산소로 절단하여 재사용이 불가능하므로 1회용이며, 고철로 처리한다. Further,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deliberately dismantle each tube when dismantling the wrist band, and can be used at the next construction site in the state where each tube is installed. That i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brace is not matched with the existing position, the stiffness of the brace is increased as each tube is reinforced, so that the resistance against the external force increases. However, since each tube is not a disposable tube, it is much more economical to disassemble it and use it several times. Since it is stuck or inserted only by spot welding, it can be removed by striking if it is struck. In case of spot welding, only spot welding part should be blown off with oxygen. For reference, steel plate is disposable and treated with scrap iron because it can not be reused by cutting the welding part with oxygen.
또한, 본 발명은 토압이 증가하거나 버팀대 선행하중을 크게 가할 때 띠장의 강성을 더욱 증가시키기 위해서 보강철판을 띠장 플랜지 내면에 먼저 설치한 후 그 사이에 각관을 설치하면 띠장의 강성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Further, in order to further increase the stiffness of the belt zone when the earth pressure is increased or the pre-load is increased largely, the stiffness of the belt zone can be further increased by installing the reinforcing steel plate on the inner surface of the wale flange first, have.
또한, 본 발명은 띠장 플랜지 내면에 부착되는 보강철판도 점용접으로 시공할 수 있어 해체시 점용접 부분만 산소로 불어내면 여러 회 사용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the reinforced steel plate attach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wale flange by spot welding, so that it can be used many times if only the spot welding portion is blown with oxygen at the time of disassembly.
도 1a 내지 1e는 철판을 띠장의 보강재로 사용한 종래기술.
도 2a 내지 2f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를 통해 만들어진 띠장.
도 3은 본 실시 예에 적용된 각관의 사시도.
도 4a, 4b는 본 발명의 제2실시 예를 통해 만들어진 띠장.
도 5, 도 6은 제1실시 예의 중고강재를 적용한 띠장의 보강방법의 순서도.
도 7은 제2실시 예의 띠장 구조체를 만드는 순서도.Figs. 1A to 1E show a prior art in which an iron plate is used as a stiffener of a belt.
Figs. 2A to 2F show a wale made through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quare tube applied to this embodiment. Fig.
Figs. 4A and 4B show a wale made through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s. 5 and 6 are flowcharts of a method of reinforcing a band zone to which a middle steel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s applied. Fig.
Fig. 7 is a flow chart for creating a wale structur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
이하에서 설명될 본 발명의 구성들 중 종래기술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전술한 종래기술을 참조하기로 하고 별도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same components as those of the conventional ar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related art, and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국내에서는 띠장에 버팀대나 Earth Anchor가 설치되는 위치 즉, 전단력이 최대가 되는 위치가 전단파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띠장의 제1,2플랜지 사이에 보강재인 일반적으로 철판을 설치 하는 것이 일반적인 시공방법이다. 그러나 본 발명처럼 보강재로 각관(200,200b)을 이용하여 간단하고 쉽게 시공하여 띠장(100)의 강성을 증가시킨 예는 없다.In Korea, it is a common construction method to install a reinforcing steel plate between the 1st and 2nd flanges of the belt to prevent shear failure at the position where the brace or earth anchor is installed, that is, the position where the maximum shearing force is maximum . However, there is no example in which the rigidity of the wale band 100 is increased by simple and easy construction using the
이하에 설명될 실시 예들의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의 띠장(100)의 보강구조체는, 흙막이벽체(10)와 연결되는 제1플랜지(122,122b), 버팀대(20)가 연결되며, 제1플랜지(122,122b)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2플랜지(124,124b), 제1플랜지(122,122b)와 제2플랜지(124,124b)를 연결하는 웨브(110,110b), 제1플랜지(122,122b)와 제2플랜지(124,124b) 사이에 설치되며, 상면(210,210b)과, 상면(210,210b)의 양측에 연결된 양측면(222,222b,224,224b)과, 양측면(222,222b,224,224b)에 연결된 하면(230,230b)과, 상면(210,210b), 양측면(222,222b,224,224b)및 하면(230,230b)에 의해 내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240,24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각관(200,20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한다. 또한, 띠장(100)에는 제1플랜지(122,122b)와 제2플랜지(124,124b) 및 웨브(110,110b)로 둘러싸이고 상측 또는 하측이 개방된 공간인 보강재 설치부(130)가 형성된다.Th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wale band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structed such that
각관(200,200b)의 단면은 정사각형 혹은 직사각형인 것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H-300x300의 띠장(100)을 사용할 경우, 각관(200,200b)은 높이 150mm 이하의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을 모두 적용할 수 있으며, 띠장(100)용 H형강의 규격에 따라 각관(200,200b)의 규격과 길이를 결정할 수 있다. 따라서 각관(200,200b)은 상면(210,210b), 양측면(222,222b,224,224b) 및 하면(230,230b)의 양단의 길이가 서로 동일하거나 길게 형성될 수 있다. The cross section of each of the
또한, 각관(200,200b)은 전후측이 관통되어 있어 상면(210,210b), 양측면(222,222b,224,224b) 및 하면(230,230b)에 둘러싸여 형성된 빈 공간(240,240b)의 전후측이 각관(200,200b)의 외부 공간과 연통된다.The front and rear sides of the
한편, 도 2a는 제1실시 예의 각관(200)이 설치된 띠장(100) 및 버팀대(20)의 평면도이고, 도 2b는 제1실시 예 중 신강재로 된 띠장(100) 및 버팀대(20)를 후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2c는 제1실시 예 중 중고강재로 된 띠장(100) 및 버팀대(20)를 후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2d는 도 2a의 부분 확대도이고, 도 2e는 각관(200)이 설치된 띠장(100)의 사시도이고, 도 2f는 각관(200)이 띠장(100)에 삽입 완료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3은 각관(200)의 사시도이고, 도 4a는 각관(200b)과 제1,2플랜지(120b) 사이에 보강철판(400)을 삽입한 정면도이고, 도 4b는 도 4a를 후측에서 바라본 정면도이고, 도 5는 제1실시 예의 신강재를 적용한 띠장(100)의 보강방법의 순서서이고, 도 6은 제1실시 예의 중고강재를 적용한 띠장(100)의 보강방법의 순서도이고, 도 7은 제2실시 예의 띠장(100)의 보강구조체를 만드는 순서도이다.2A is a plan view of a wristband 100 and a
==================== 제1실시 예 ======================================== Example 1 ====================
이하에서는 도 2a 내지 도 3, 도 5 및 도 6을 토대로 띠장(100)의 보강방법의 제1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first embodiment of the reinforcing method of the wale band 100 will be described based on Figs. 2A to 3, 5, and 6. Fig.
제1실시 예의 띠장(100)의 보강방법은 제1플랜지(122)와, 제1플랜지(122)와 일정간격 이격된 제2플랜지(124) 및 제1플랜지(122)와 제2플랜지(124)를 연결하는 웨브(1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띠장(100)을 준비하는 단계(S110), 상면(210)과, 상면(210)의 양측에 연결된 양측면(222,224)과, 양측면(222,224)에 연결된 하면(230)과, 상면(210), 양측면(222,224) 및 하면(230)에 의해 내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2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각관(200)을 준비하는 단계(S120), 각관(200)을 제1플랜지(122)와 제2플랜지(124) 사이에 삽입하여 상면(210), 양측면(222,224) 및 하면(230)의 끝단면들이 제1플랜지(122), 제2플랜지(124)에 접촉되어 각관(200)이 세워지는 단계(S13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reinforcing method of the wale band 100 of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각관(200)이 세워지는 단계(S130)에서 각관(200)의 전후측 끝단면 전부가 제1플랜지(122) 또는 제2플랜지(124)와 접촉된다. 즉 띠장(100)에 각관(200)을 망치 등으로 삽입시키기만 하면 각관(200) 전체가 띠장(100)의 보강재 설치부(130)에 삽입되어 세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따라서 각관(200)이 띠장(100)에 삽입되면 각관(200)은 띠장(100)의 제1,2플랜지(120) 사이에 전부 삽입되어 띠장(100)에 설치되므로 시공이 쉽고 빠르며, 각관(200)의 단면적이 철판의 단면적보다 크기 때문에 띠장(100)의 강성이 충분히 보강된다.All the front and rear end surfaces of the
본 실시 예는 사용된 적 없는 새 제품의 신강재를 띠장(100)으로 사용할 경우, 현장에서 제1,2플랜지(120) 사이의 직선거리에 맞춰 기성품인 각관(200)을 띠장(100)의 제1,2플랜지(120) 사이의 직선거리보다 미세하게 길게 절단시켜 띠장(100)의 제1,2플랜지(120) 사이에 억지끼움 되게 삽입시킴으로써 띠장(100)에 고정되어 띠장(100)의 강성이 보강된다. 따라서 본 실시 예는 종래기술과 다르게 보강재를 별도로 공장제작하거나 각관(200)과 띠장(100)의 제1,2플랜지(120) 내면이 접촉된 구간을 용접할 필요가 없으므로 작업이 훨씬 단순해진다. In this embodiment, when a new product of a new product that has not been used is used as the wale 100, the
한편, 미세한 변형이 있는 중고강재를 띠장(100)으로 사용하는 경우, 기존처럼 공장에서 제작된 철판은 띠장(100)의 제1,2플랜지(120) 내면과 미세한 이격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중고강재를 사용하는 띠장(100)의 허용응력은 중고강재의 변형 정도에 비례하여 신강재보다 감소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pre-cast steel having fine deformation is used as the wale band 100, the iron plate manufactured at the factory as before can be slightly spac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nd
기존기술은 띠장이 신강재나 중고강재일 때 모두 제1,2플랜지 사이의 직선길이보다 약간 작고, 항상 동일한 규격으로 공장에서 제작한 철판(스티프너)을 띠장의 제1,2플랜지 사이 상, 하면에 설치시키고, 제1,2플랜지와 접한 철판의 양쪽 구간을 모두 용접하여 설치시킴으로써 강성을 증가시켰다.The existing technique is to install steel plate (stiffener) manufactured by the factory at the same size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between the 1st and 2nd flanges of the belt, when the band is new steel or high-grade steel, slightly smaller than the straight line length between the 1st and 2nd flanges. , And both sections of the steel plate contacting with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are welded to provide rigidity Respectively.
그러나 각관(200)을 사용하는 본 기술은 띠장(100)의 플랜지(120)에 변형이 있는 중고강재를 사용할 경우에 신강재처럼 띠장(100)의 플랜지(120) 사이의 직선거리보다 미세하게 길게 각관(200)을 절단하여 사용하지 않고, 띠장(100)을 준비하고(S210), 현장에서 각관(200)이 보강될 위치의 띠장(100)의 제1,2플랜지(120) 사이의 직선거리를 측정하여 측정길이보다 미세하게 짧게 절단하여 준비하고(S220), 띠장(100)의 제1,2플랜지(120) 사이 공간인 보강재 설치부(130)에 완전히 삽입시키고(S230),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몇 군데에 점용접(SW)만 하여도(S240) 충분히 띠장(100)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본 실시 예는 띠장(100)이 중고강재일 경우, 각관(200)이 세워진 후, 각관(200)의 위치가 변하지 않도록 각관(200)에 점용접(SW)을 하는 단계(S24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즉 도 2c와 같이 각관(200)의 양측면(222,224) 각각의 중앙에 한 곳씩 총 두 곳에 점용접(SW)을 하여 각관(200)이 띠장(100)에 고정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띠장(100)에 기존의 철판처럼 각관(200)이 약간 경사지게 설치되더라도 각관(200)은 철판보다 제1,2플랜지(120)와의 접촉면적이 훨씬 넓기 때문에 버팀대(20) 축력의 편심에 의해 각관(200)이 분리될 염려가 없다.However, in the present technique using the
이와 같이 설명된 제1실시 예의 띠장(100)의 보강방법은, 흙막이벽체(10)에 설치된 띠장(100)의 제1플랜지(122)와 제2플랜지(124) 사이의 직선길이를 현장에서 직접 측정하고, 기성품의 각관(200)을 띠장(100)의 규격에 관계없이 제1플랜지(122)와 제2플랜지(124)의 사이 길이를 기준으로 절단한 뒤(S120), 절단된 각관(200)을 띠장(100) 제1,2플랜지(120)의 내부 공간인 보강재 설치부(130) 내에 완전히 삽입시킨다(S130). 이때 띠장(100)은 제1,2플랜지(120)와 웨브(110)의 연결부인 모서리가 모서리측으로 갈수록 제1,2플랜지(120) 사이의 직선길이가 짧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모서리에 걸린 각관(200)의 하면(230) 또는 상면(210)은 띠장(100)의 웨브(110)와 일정간격 이격된다. 본 실시 예에서 모서리는 사선, 즉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각관(200)의 상면(210) 또는 하면(230)은 각각 제1,2플랜지(120)의 상단 또는 하단과 일정간격 이격된다. 또한 각관(200)이 웨브(110)의 상하측에 각각 설치되면 상측의 각관(200)과 하측의 각관(200)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다. 즉, 상.하면 플랜지(120)의 내면에 설치되면 된다.The reinforcing method of the wale band 100 of the first embodiment described abov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traight length between the
또한, 각관(200)의 높이, 즉 길이는 제1,2플랜지(120)의 상단부터 웨브(110)까지의 길이보다 짧다. 즉 각관(200)의 상하길이는 띠장(100)의 상하길이의 절반보다 짧다. The height, that is, the length of each
이러한 각관(200)은 띠장(100)의 제1플랜지(122)에 설치되는 버팀대(20)의 양측과 대응되는 곳에 설치된다. 각관(200)은 제1,2플랜지(120) 사이에 웨브(110)를 기준으로 상부 2개, 하부 2개가 설치되어 1개의 버팀대(20)당 총 4개가 설치된다. 보다 자세하게, 버팀대(20)의 플랜지(24) 양단은 각관(200)의 양측면(222,224) 사이에 위치되며, 버팀대(20)의 플랜지(24) 양단은 각관(200)의 외측면(224)보다 내측면(222)에 더 가깝다. 여기서 각관(200)의 내측면(222)은 버팀대(20)의 양단에 각각 설치된 2개의 각관(200) 중 각 각관(200)의 서로 마주보는 측면을 말한다. Each of the
한편, 2개의 각관(200) 사이에는 버팀대(20)와 제1플랜지(122)를 연결시키는 볼트(B)가 각 각관(200)의 내측면(222)에 근접하게 1개씩, 웨브(110)를 기준으로 상부, 하부에 2개씩 설치된다. 즉 1개의 버팀대(20)당 볼트(B)가 총 4개 설치된다. Between the two
볼트(B)는 버팀대(20)의 웨브(22)보다 각관(200)의 내측면(222)과 더 가까운 곳에 위치된다. 보다 자세하게 상부의 볼트(B)는 띠장(100)의 웨브(110)와 제1,2플랜지(120)의 상단의 중앙에, 하부의 볼트(B)는 띠장(100)의 웨브(110)와 제1,2플랜지(120)의 하단의 중앙에 위치된다. 즉, 볼트(B)는 버팀대(20) 한 개당 설치되는 네 개의 각관(200) 사이의 중앙에 위치된다.The bolt B is positioned closer to the
이와 같이 본 기술은 띠장(100)에 사용된 강재의 규격에 관계없이 띠장(100)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보강재를 사용할 경우 용접을 거의 하지 않거나 몇 군데에 점용접(SW)만 해도 되기 때문에 띠장(100)의 강성을 쉽게 증가시키면서 시공이 간편하여 공사비와 공사기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stiffener is used to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wale band 100 regardless of the standard of the steel used for the wale band 100, the present technique can be performed only with few welding or spot welding (SW) It is possible to easily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hinge 100 and reduce the construction cost and construction time.
==================== 제2실시 예 ====================Second Embodiment ==================
한편, 굴착심도가 깊거나 배면지반이 연약한 토사인 경우 또는 지하수위가 굴착심도보다 훨씬 높을 경우에는 흙막이벽체(10)에 작용하는 토압이 대폭 증가하기 때문에 버팀대(20)의 축력도 비례적으로 커진다. 또한 흙막이벽체(10)에 수평변위를 충분히 억제시키기 위해서 버팀대(20)에 큰 선행하중을 가하게 되면 띠장(100)과 버팀대(20)가 연결되는 위치에서 전단력이 증가하여 띠장(100)에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excavation depth is deep or the back ground is weak soil or the groundwater level is much higher than the excavation depth, the earth pressure acting on the
이하에서는 이와 같은 상황에 적용할 수 있는 제2실시 예의 띠장(100)의 보강구조체를 도 3, 도 4a, 도 4b 및 도 7을 토대로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wristband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which can be applied to such a situa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4A, 4B and 7.
본 실시 예의 띠장(100)의 보강구조체는, 흙막이 벽체(10)와 연결되는 제1플랜지(122b), 버팀대(20)가 연결되며, 제1플랜지(122b)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2플랜지(124b), 제1플랜지(122b)와 제2플랜지(124b)를 연결하는 웨브(110b), 제1플랜지(122b)와 제2플랜지(124b) 사이에 설치되며, 상면(210b)과, 상면(210b)의 양측에 연결된 양측면(222b,224b)과, 양측면(222b,224b)에 연결된 하면(230b)과, 상면(210b), 양측면(222b,224b) 및 하면(230b)에 의해 내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24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각관(200b)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wale band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각관(200b)은 상면(210b), 양측면(222b,224b) 및 하면(230b)들의 끝단면이 제1플랜지(122b) 또는 제2플랜지(124b)와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Each
또한, 본 실시 예는 각관(200b)과 제1플랜지(122b) 사이 또는 각관(200b)과 제2플랜지(124b)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보강철판(400)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present embodiment further includes a reinforcing
띠장(100)에 버팀대(20)가 연결되는 위치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대책으로 띠장(100)의 제1,2플랜지(120b)의 내면 상,하측에 보강철판(400)을 먼저 설치시키고, 그 후에 보강철판(400)에 수직으로 각관(200b)을 설치하여 띠장(100)의 강성을 더 증가시키면 강성이 증가된 만큼 큰 하중(토압 혹은 버팀대 선행하중)에 대한 띠장(100)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다.The reinforcing
보강철판(400)은 띠장(100)의 제1,2플랜지(120b)와 맞닿은 전구간을 용접시킬 필요 없이 두 군데 정도에 점용접(SW)한 후 각관(200b)을 설치시키면 토압이나 버팀대(20)의 선행하중에 의해 띠장(100)이 탄성압축되어 밀착되므로 보강철판(400)의 위치가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다.The reinforcing
보강철판(400)은 직육면체이며, 상하길이가 각관(200b)의 상하길이와 동일하거나 약간 크고, 양단의 길이가 버팀대(20) 양단의 길이의 약 2배이다. 따라서 양측의 각관(200b)과 제1플랜지(122b), 양측의 각관(200b)과 제2플랜지(124b) 사이에 각각 보강철판(400)이 삽입되어 띠장(100)이 보강된다. 이때 한 개의 버팀대(20)당 네 개의 각관(200b), 네 개의 보강철판(400)이 설치된다.The reinforcing
이와 같이 설명된 제2실시 예의 띠장(100)의 보강구조체는, 띠장(100)을 준비하고(S410), 띠장(100)에 버팀대(20)가 연결되는 위치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대책으로 띠장(100)의 제1,2플랜지(120b) 내면에 보강철판(400)을 먼저 설치시키고(S405), 흙막이벽체(10)에 설치된 띠장(100)에 설치된 양측의 보강철판(400) 사이의 직선길이를 현장에서 직접 측정하고, 기성품의 각관(200b)을 보강철판(400) 사이의 직선길이보다 미세하게 긴 길이로 절단한 뒤(S420), 절단된 각관(200b)이 보강철판(400) 및 제1,2플랜지(120b)와 수직을 이루도록 하면(230b) 또는 상면(210b)부터 띠장(100)의 보강재 설치부(130)에 삽입시켜 각관(200b)의 전후끝단면이 보강재 설치부(130) 내에 완전히 삽입되어 세워지면(S430) 띠장(100)의 보강이 완료된다. 이때 띠장(100)은 제1,2플랜지(120b)와 웨브(110b)의 연결부인 모서리가 사선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모서리에 걸린 보강철판(400)의 하면 또는 상면은 띠장(100)의 웨브(110b)와 일정간격 이격된다. 이때 제1,2플랜지(120b)의 상단, 하단은 보강철판(400)의 상,하면 및 각관(200b)의 상면(210b),하면(230b)과 서로 나란하다. 이때 보강철판(400)의 상,하면은 각관(200b)의 상면(210b), 하면(230b)과 서로 일직선을 이룬다.The reinforcement structure of the wale band 100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described above prepares the wale band 100 (S410), and as a countermeasure for increasing the rigidity of the position where the
또한 상,하측 각관(200b) 및 보강철판(400)의 중앙에는 띠장(100)의 웨브(110b)가 위치된다. 또한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강철판(400)의 양단은 양측의 각관(200b)보다 외측에 위치된다. The
또한 각관(200b) 및 보강철판(400)이 웨브(110b)의 상,하측에 설치되면 상측의 각관(200b) 및 보강철판(400), 하측의 각관(200b) 및 보강철판(400)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된다When the
보강철판(400)은 각관(200b)과 제1,2플랜지(120b) 사이에 설치되어 강성이 증가된 만큼 큰 하중에 대한 띠장(100)의 변형을 방지한다. 또한 보강철판(400)은 띠장(100)의 제1,2플랜지(120b) 내면과 맞닿은 전구간을 용접시킬 필요 없이 몇 군데 점용접(SW)을 한 후, 그 사이에 각관(200b)을 설치시키면 띠장(100)의 강성이 증가하며, 토압이나 버팀대(20)의 선행하중에 의해 띠장(100)과 탄성압축되어 밀착되므로 미세한 이격이 있더라도 위치가 이동되지 않고 고정된다.The reinforcing
또한 보강철판(400) 설치 후 각관(200b)은 제1실시 예와 같이 보강철판(400)과 각관(200b) 사이에 미세하게 이격이 있으면 점용접으로 설치할 수 있다.Further, each of the
이외에 설명되지 않은 구성 및 효과는 제1실시 예의 구성 및 효과와 동일하다.Other configurations and effects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 본 발명의 구조적 안정 ===================== Structural stability of the present invention ==============
띠장(100) 보강재로써 철판과 각관(200)을 비교하면, 각관(200)은 철판보다 허용전단력이 훨씬 더 크다. 따라서 본 발명은 띠장(100)의 제1,2플랜지(120)의 내면 상,하측에 각관(200)이 설치되면 기존기술처럼 철판만 설치될 때보다 띠장(100)의 전단면적과 강성이 증가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된 띠장(100)과 철판이 적용된 띠장(100)의 허용전단응력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When the steel plate 100 and the
아래의 [표 1]은 강재의 연구 허용응력을 나타낸 것이다. 단위는 이다.[Table 1] shows the allowable stresses of the steel. The unit is to be.
띠장(100)용 H형강은 일반적으로 H-300x300x10x15 크기를 사용하며, 띠장(100)의 전단응력은 로 검토할 수 있다. 여기서 S는 띠장(100)에 작용하는 전단력이고, A는 H형강 웨브(110)의 단면적, 즉 전단력과 일직선 상에 놓여 있는 강재의 단면적이다. 따라서 흙막이는 영구구조물이 아니고 가시설 구조물이이므로 영구응력 x 1.5를 사용한다. 여기서 허용전단응력은 1.5배인 =800 x 1.5 = 1200 을 적용한다. The H-section steel for the wale 100 generally uses H-300x300x10x15 size, and the shear stress of the wale 100 is . Where S is the shear force acting on the wristband 100 and A is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shaped
아래에서는 [표 1]을 바탕으로 허용전단응력식을 역산하여 띠장(100)에 철판이 보강되지 않는 경우와 보강되는 경우의 최대 허용전단력을 계산하였다.The maximum permissible shear force is calculated for the case where the steel plate is not reinforced in the wale band 100 and the case where it is reinforced by backing the allowable shear stress formula based on [Table 1].
사용 띠장(100)의 규격은 H-300x300x10x15이다. The standard of the used wale band 100 is H-300x300x10x15.
첫째, 띠장(100)에 철판 보강이 없는 경우는 단면적 A = 30.0cm x 1.0cm = 30이고, 1200 = S/30이므로, 1200 x 30 = 36000 kg가 되어 허용전단력은 S=36.0ton이 된다. 반면 기존기술인 14mm(두께) x 140mm(길이)의 철판을 사용한 경우는 단면적 A = (30.0cm x 1.0cm)+((1.4cm x 30cm) x 2개) = 114.0이고, 1200 = S/114 이므로, 1200 x 114 = 136800 kg 가 되어 허용전단력은 S=136.8ton이 된다.First, when there is no steel plate reinforcement in the wristband 100, the cross-sectional area A = 30.0 cm x 1.0 cm = 30 , 1200 = S / 30 Therefore, 1200 x 30 = 36000 kg and the allowable shear force becomes S = 36.0 ton.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a conventional steel plate of 14 mm (thickness) x 140 mm (length), the cross sectional area A = (30.0 cm x 1.0 cm) + ((1.4 cm x 30 cm) x 2) = 114.0 , 1200 = S / 114 Therefore, 1200 x 114 = 136800 kg and the allowable shear force becomes S = 136.8ton.
둘째, 본 발명과 같이 125mm(가로) x 125mm(세로) x 5mm(두께)의 각관(200)을 사용할 경우 중 띠장(100)에 각관(200) 보강이 없는 경우는 단면적 A = 30.0cm x 1.0cm = 30이고, 1200 = S/30이므로, 1200 x 30 = 36000 kg가 되어 허용전단력은 S=36.0ton이 된다. 반면 띠장(100)을 각관(200)으로 보강한 경우는 단면적 A = (30.0cm x 1.0cm)+(1.25cm x 30cm) x 4개 = 180.0이고, 1200 = S/180이므로, 1200 x 180 = 216000 kg가 되어 허용전단력은 S=216.0ton이 된다.Secondly, when a
이와 같은 계산을 통해 띠장(100)의 허용전단력은 철판으로 보강했을 때보다 각관(200)으로 보강했을 때 1.58배 증가한다. 따라서 각관(200) 보강이 철판 보강보다 구조적으로 훨씬 유리해지는 것을 알 수 있다.With this calculation, the allowable shear force of the wale band 100 is increased by 1.58 times when reinforced by the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된 띠장(100)과 철판이 적용된 띠장(100)의 강성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the rigidity of the wale band 100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and the wale band 100 to which an iron plate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강성의 계산식은 이며, 철판과 각관(200)은 탄성계수가 서로 동일하기 때문에 이차모멘트 를 비교하였다. 버팀대(20)는 띠장(100)의 전면에 설치되므로 철판과 각관(200)은 띠장(100)의 제1,2플랜지(120) 내면을 기준으로 이차모멘트를 산정하였다. 실제로 철판과 각관(200)은 띠장(100) 상,하부에 각각 두 개씩 총 네 개가 설치되지만, 본 설명에서는 간단히 강성 증가를 비교하기 위해서 기존기술에 사용되는 철판 한 개를 설치한 경우와 본 발명에 사용되는 각관(200) 한 개를 설치한 경우의 이차모멘트를 계산하여 비교하였다.The equation of stiffness is Since the steel plate and the
기존기술과 같이 14mm(두께) x 140mm(길이)의 철판을 사용하면 이차모멘트는 =이며, 여기서 b는 철판의 폭이고, h는 철판의 길이이므로, ===320이고, 본 발명과 같이 125mm(가로) x 125mm(세로) x 5mm(두께)의 각관(200)을 사용하면 =553이다. 이 값은 강재표를 참고한 것이다.If you use a steel plate of 14mm (thickness) x 140mm (length) like the conventional technique, the second moment = , Where b is the width of the steel plate and h is the length of the steel plate, = = = 320 , And each
상기 계산 결과, 철판과 각관(200)의 강성을 비교하면 각관(200)으로 보강했을 때의 이차모멘트가 철판으로 보강했을 때의 이차모멘트보다 1.73배 더 크다. As a result of the calculation, when the rigidity of the steel plate and the
철판이나 각관(200)이 설치되지 않은 H-300x300x10x15 띠장(100)의 이차모멘트는 동일하게 적용되므로 제외시킨다.The second moments of the H-300x300x10x15 wale 100 without the steel plate or
한편, 띠장(100)의 강성을 더 증가시킬 필요가 있는 경우의 제2실시 예의 띠장(100)의 보강방법은 보강철판(400)을 띠장(100)의 제1,2플랜지(120b) 내면에 점용접(SW)하여 설치한 후 각관(200b)을 전후측의 보강철판(400) 사이에 설치하고 몇 군데 점용접(SW)하면 쉽게 띠장(100)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where it is necessary to further increase the rigidity of the wale band 100, the method for reinforcing the wale band 100 of the second embodiment is such that the reinforcing
======================= 본 발명의 효과 ==============================================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
이하에서는 본 발명과 같이 철판 대신 각관(200,200b)을 띠장(100) 보강용으로 사용했을 때의 장점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merits 200 and 200b for reinforcing a wale band 100 instead of an iron plate as in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첫째, 기존기술은 띠장의 제1,2플랜지 내면과 철판의 접촉면적이 작아 철판이 띠장의 제1,2플랜지 내면에 수직으로 시공되지 않을 경우, 버팀대 축력에 의해 편심되어 철판이 띠장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시키기 위해 띠장의 제1,2플랜지 내면과 철판이 접촉되는 구간을 용접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신강재의 띠장(100)을 사용할 경우 각관(200)을 삽입시키거나 망치 등으로 때려 넣어서 띠장(100)의 제1,2플랜지(120) 사이에 억지끼움되게 하면 간단하게 설치가 가능하다.First, when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of the belt is small and the steel plate is not vertically installed on the inn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of the belt, the steel plate is separated from the wale by eccentricity due to the axial force Weld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of the belt and the section in contact with the steel plate. Howev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wristband 100 of the new steel material is used, it can be installed simply by inserting the
한편 중고강재의 띠장(100)을 사용하는 경우, 현장에서 띠장(100)의 제1,2플랜지(120)간에 거리를 측정하여 거리에 맞게 절단한 각관(200)을 사용하므로 오차가 거의 없고, 시공의 정밀도를 높일 수 있으며, 미소한 오차에 의해 각관(200)과 띠장(100)간에 이격이 발생하더라도 각관(200)의 단면적이 철판보다 훨씬 크기 때문에 철판처럼 띠장(100)의 제1,2플랜지(120)와 접촉되는 양쪽 구간을 모두 용접할 필요 없이 각관(200)의 위치가 변경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몇 군데에만 점용접(SW)을 하면 각관(200)을 띠장(100)에 쉽게 고정시킬 수 있어 시공이 매우 편리하고, 시공속도가 매우 빨라진다.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using the wale band 100 of the high-grade steel, since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또한, 각관(200)의 보강위치가 띠장(100)으로부터 변경되지 않으므로 충분히 띠장(100)의 강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Further, since the reinforcing position of each
둘째, 버팀대(20)를 굴착단계별로 지반굴착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토압이나 버팀대(20)에 가하는 선행하중에 의해 버팀대(20)와 띠장(100)이 탄성압축되어 띠장(100)의 제1,2플랜지(120)와 절단한 각관(200) 사이의 미세한 이격이 줄어들어 제1,2플랜지(120)와 각관(200)이 서로 밀착되므로 각관(200)은 띠장(100)에서 절대 빠지지 않는다.The
셋째, 각관(200)과 제1,2플랜지(120) 내면의 접촉 면적이 기존의 철판 두께 14mm보다 훨씬 크다. 즉, 제1,2플랜지(120)와의 접촉 폭이 125~150mm로 매우 넓으므로 버팀대(20) 축력에 의한 편심이 작용하더라도 각관(200)이 띠장(100)에서 분리될 염려가 없어 구조적으로 훨씬 유리하며, 띠장(100)의 허용전단력이 대폭 증가되므로 띠장(100)의 구조적인 안정성이 대폭 증가된다.Third,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each
또한, 띠장(100)과 각관(200)간에 접촉면적이 매우 넓어 각관(200)이 띠장(100)에 미세하게 경사지게 설치되더라도 버팀대(20) 축력에 의한 편심에 의해 철판처럼 띠장(100)에서 분리될 염려가 없으므로 띠장(100)의 강성을 충분히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로 27cm x 세로 14cm x 두께 1.4cm의 철판을 사용했을 때, 철판과 제1,2플랜지간에 접촉면적은 14cm x 1.4cm = 19.6이고, 가로 12.5cm x 세로 12.5cm x 두께 0.5cm의 각관(200)을 사용했을 때, 각관(200)과 제1,2플랜지(120) 간에 접촉면적은 12.5cm x 0.5cm x 4 = 25.0이다. 따라서 각관(200)과 띠장(100)간에 접촉면적은 철판과 띠장(100)간에 접촉면적의 약 1.3배 크다. 이는 단순히 면적만으로 비교한 것이지만 실제 각관(200)의 사각형을 전체 단면적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각관(200)의 접촉면적은 훨씬 더 넓어진다. Even if the angle of contact between the wristband 100 and the
넷째, 각관(200,200b)은 철판처럼 공장에서 제작한 규격품을 사용하지 않고 기성품을 구입하여 현장에서 절단하여 사용하면 되므로 시공비와 시공기간이 감소되고, 현장에서 띠장(100)의 제1,2플랜지(120a,120b)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여 시공하므로 적용성에서 종래의 철판보다 경제성, 시공성에서 훨씬 유리하다. Fourth, since each of the
다섯째, 굴착완료 후 띠장(100)을 해체시킬 때 각관(200,200b)을 해체시킬 필요가 없으며, 설치된 그대로 다음 시공현장에서 사용될 수 있다. 즉, 버팀대(20)의 설치위치가 기존에 설치한 위치와 맞으면 각관(200,200b)을 새로 시공할 필요 없이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버팀대(20)의 설치위치가 기존위치와 맞지 않더라도 각관(200,200b)이 보강된 만큼 띠장(100)의 강성이 증가하므로 토압이나 버팀대(20)의 선행하중과 같은 외력에 대한 저항력이 증가한다. 그러나 각관(200,200b)은 1회용이 아니므로 해체하여 사용하는 것이 더 유리하므로 망치 등으로 억지끼움 한 경우는 타격하여 해체할 수 있고, 점용접(SW)만 한 경우는 점용접(SW)된 부분만 산소로 불어내면 쉽게 해체되므로 여러 회 사용이 가능하여 1회용인 철판보다 훨씬 경제적이다.Fifth, when the wale band 100 is dismantled after completion of the excavation, it is not necessary to dismantle the
여섯째, 띠장(100)의 제1,2플랜지(120b) 내면 상,하측에 보강철판(400)을 설치시키면 띠장(100)의 강성이 더 증가되므로 토압이 증가하거나 버팀대(20)에 큰 선행하중을 가하더라도 띠장(100)의 변형이 더 감소되므로 안정적이다. 만약 보강철판(400)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는 띠장(100)의 규격을 증가시켜야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공사금액이 증가하여 비경제적이 된다.Sixth, if the reinforcing
일곱째, 보강철판(400)을 설치시키는 경우, 기존기술처럼 띠장(100)의 플랜지(120b) 내면에 접촉되는 모든 부위를 용접할 필요 없이 몇 군데 점용접(SW)만 해도 띠장(100)의 플랜지(120b) 내면에 접촉되는 단면적이 넓어 띠장(100)에서 위치가 이탈되지 않으므로 용접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Seventhly, when the reinforcing
여덟째, 각관(200b)이나 보강철판(400)은 점용접(SW)을 하여 띠장(100)에 고정시키므로 해체가 훨씬 편하기 때문에 기존기술의 철판처럼 1회용이 아니라 여러 회 사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Eighth, since each
아홉째, 보강철판(400)에 각관(200b)을 설치시키는 경우는 보강철판(400)과 각관(200b)을 1개의 일체형 제품으로 만들어 띠장(100)의 제1,2플랜지(120b) 사이에 끼울 수 있어 시공이 간편하고 사용횟수도 증가하므로 경제적으로 유리하다.Ninthly, when the
============================================================================================================= =========
한편, 흙막이벽체(10)에 보걸이(40)가 설치된 후에 띠장(100)을 흙막이벽체(10)에 설치할 때 설치완료 후 각관(200,200b)을 설치할 수 있으며, 특히 띠장(100)의 웨브(110,110b) 하측에 각관(200,200b)을 설치하는 것이 웨브(100,110b)의 상측에 설치하는 것보다 어렵기 때문에, 이 경우는 띠장(100)을 흙막이벽체(10)에 설치하기 전에 지면이나 별도의 강재 가공장소에서 각관(200,200b)을 미리 설치시킨 후에 띠장(100)을 흙막이벽체(10)에 설치시킨다.When the wale 100 is installed on the
한편, 띠장(100)의 플랜지(120,120b)나 제1,2플랜지(120),(120b)는 도면에서 부호 122나 122b 또는 124나 124b를 말한다.The
한편, 도 2c를 제외한 도면에서는 점용접을 한 부분이 있더라도 생략하였다.On the other hand, the parts other than the part shown in Fig.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following claims Or modification of the invention.
10 : 흙막이벽체 20 : 버팀대
100 : 띠장 110,110b : 웨브
120,120b : 플랜지 122,122b : 제1플랜지
124,124b : 제2플랜지 130 : 보강재 설치부
200,200b : 각관 210,210b : 상면
222,222b : 내측면 224,224b : 외측면
230,230b : 하면 240,240b : 공간
400 : 보강철판 B : 볼트
SW : 점용접10: retaining wall 20: brace
100:
120, 120b:
124, 124b: second flange 130: stiffener mounting portion
200, 200b: each
222, 222b:
230, 230b:
400: Reinforced steel plate B: Bolt
SW: Spot welding
Claims (4)
버팀대가 연결되며, 상기 제1플랜지와 일정간격 이격되는 제2플랜지;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를 연결하는 웨브;
상기 제1플랜지와 상기 제2플랜지 사이에 설치되며, 상면과, 상기 상면의 양측에 연결된 양측면과, 상기 양측면에 연결된 하면과, 상기 상면, 양측면 및 하면에 의해 내부에 형성되는 빈 공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각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각관은 상면, 양측면 및 하면들의 끝단면이 상기 제1플랜지 또는 상기 제2플랜지와 맞닿고,
상기 각관과 상기 제1플랜지 사이 또는 상기 각관과 상기 제2플랜지 사이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설치되는 보강철판;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보강철판은 상기 제1,2플랜지의 내면과 상기 각관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보강철판의 상하길이가 상기 각관의 상하길이와 동일하거나 상기 각관의 상하길이보다 크고,
상기 보강철판의 양단은 상기 양측의 각관보다 외측에 위치되며,
상기 상,하측 각관 및 상기 보강철판의 중앙에는 상기 웨브가 위치되고,
상기 상측의 각관 및 보강철판과 상기 하측의 각관 및 보강철판은 서로 일정 간격 이격되며,
토압이나 상기 버팀대의 선행하중에 의해 탄성압축되어 밀착되므로 상기 보강철판과 상기 각관 사이에 미세한 이격이 있더라도 용접 없이 상기 보강철판의 위치가 이동되지 않고 고정되고,
상기 보강철판이 설치되어 상기 버팀대가 연결되는 위치의 강성이 더 증가되므로 토압이 증가하거나 버팀대에 선행하중을 가하더라도 변형이 더 감소되므로 안정적인 띠장의 보강구조체
A first flange connected to the earth retaining wall;
A second flange to which a brace is connected, the second flange being spaced apart from the first flange;
A web connecting said first flange and said second flange;
And an empty space formed between the first flange and the second flange and formed by the top surface, both side surfaces connected to both sides of the top surface, the bottom surface connected to the both side surfaces, and the top surface, And a plurality of pipes,
Wherein each of the tubes has an upper surface, both side surfaces and an end surface of the lower surfaces abutting the first flange or the second flange,
And a reinforcing steel plate installed at least either between the respective pipes and between the first flanges or between the pipes and the second flanges,
Wherein the reinforcing steel plate is installed between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and second flanges and the respective pipes,
Wherein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reinforcing steel plate are the same as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respective tubes or larger than the upper and lower lengths of the tubes,
Wherein both ends of the reinforcing steel plate are located on the outer sides of the respective pipes on both sides,
The web is positioned at the center of the upper and lower tubes and the reinforcing steel plate,
Wherein the upper and lower corrugated pipes and the reinforcing steel plate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steel plate is fixed without being moved without welding even if there is a small gap between the reinforcing steel plate and the respective pipes because the pressure is elastically compressed and adhered by the earth pressure or the preceding load of the brace.
Since the rigidity of the position where the brace is connected is further increased by the reinforcing steel plate, the deformation is further reduced even when the earth pressure is increased or the brace is subjected to the preceding load,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1229A KR101933635B1 (en) | 2017-01-04 | 2017-01-04 | Reinforcing method and reinforcing structure of Waling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1229A KR101933635B1 (en) | 2017-01-04 | 2017-01-04 | Reinforcing method and reinforcing structure of Waling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0470A KR20180080470A (en) | 2018-07-12 |
KR101933635B1 true KR101933635B1 (en) | 2018-12-28 |
Family
ID=629199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1229A KR101933635B1 (en) | 2017-01-04 | 2017-01-04 | Reinforcing method and reinforcing structure of Waling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3635B1 (en)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4455B1 (en) | 2022-05-26 | 2022-12-06 | (주)보운이피씨 | Reinforcing structure of wale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3194Y1 (en) * | 2003-02-12 | 2003-05-16 | 최춘식 | member for wale reforcement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346520A (en) * | 1993-06-08 | 1994-12-20 | Daiwa House Ind Co Ltd | Connecting structure of beam middle part of adjacent unit boxes |
KR20020096596A (en) * | 2001-06-21 | 2002-12-31 | 황문삼 | construction method for defending earth using prestressed wale used therefor |
KR101308575B1 (en) * | 2011-08-31 | 2013-09-17 | 주식회사 비앤비엠스틸 | Integral segment of steel strip and steel strut |
-
2017
- 2017-01-04 KR KR1020170001229A patent/KR101933635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313194Y1 (en) * | 2003-02-12 | 2003-05-16 | 최춘식 | member for wale reforcement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74455B1 (en) | 2022-05-26 | 2022-12-06 | (주)보운이피씨 | Reinforcing structure of wal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80470A (en) | 2018-07-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910987B1 (en) | Backfilling Apparatus for Wale | |
KR100675985B1 (en) | A bracing for reinforcing support | |
KR102172692B1 (en) | Stiffener of wale for earth retaining | |
KR101767845B1 (en) | Bridge bearing replacement method for preventing drop of upper structure | |
KR102425060B1 (en) | Pre-loading jack with support surface correction for retaining wall | |
KR100916546B1 (en) | Underground temporary structure and constructing method thereof | |
KR101933635B1 (en) | Reinforcing method and reinforcing structure of Waling | |
KR20120090502A (en) | The soil-nailing apparatus | |
KR100648409B1 (en) | A method of construction for temporary retaining wall | |
JP5834376B1 (en) | Construction method of wooden ramen structure | |
KR100714434B1 (en) | A bracing for reinforcing support | |
KR101127475B1 (en) | Device for connecting wales | |
JP3491116B2 (en) | Pillar and pile joints | |
JPH09291545A (en) | Joining method of column and pile | |
US20090217616A1 (en) | Beam stabilizer | |
KR200414056Y1 (en) | Connecting Structure of Steel Pipe Strut | |
KR101863300B1 (en) | Method for constructing retaining wall panel using reinforcement block | |
KR102008991B1 (en) | supporting system for strut using wale girders with plural row | |
KR102420849B1 (en) | Safety rope fixing mechanism for coupling a clamp | |
KR101545330B1 (en) | Prefab type land-side protection wall device | |
JP6429239B2 (en) | Wooden ramen structure and reinforcing metal fitting for the wooden ramen structure | |
JPH08170366A (en) | Temporary stopper for column/beam joint member | |
KR200436405Y1 (en) | Structure for constructing bracing for reinforcing support | |
JP7365518B1 (en) | Panel support material and formwork structure using it | |
KR20200002362U (en) | Concrete penetration membrane structur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