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33301B1 - 도어용 프레임 - Google Patents

도어용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3301B1
KR101933301B1 KR1020170035275A KR20170035275A KR101933301B1 KR 101933301 B1 KR101933301 B1 KR 101933301B1 KR 1020170035275 A KR1020170035275 A KR 1020170035275A KR 20170035275 A KR20170035275 A KR 20170035275A KR 101933301 B1 KR101933301 B1 KR 1019333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file
vertical
horizontal
door
insulating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35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06635A (ko
Inventor
차윤신
곽현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도어코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도어코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도어코코리아
Priority to KR1020170035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3301B1/ko
Publication of KR201801066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066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33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33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52Frames specially adapted for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04Frames for doors, windows, or the like to be fixed in openings
    • E06B1/32Frames composed of part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1/00Border constructions of openings in walls, floors, or ceilings; Frames to be rigidly mounted in such openings
    • E06B1/70Sills; Thresholds
    • E06B2001/707Thresholds with special provision for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어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도어의 바닥틀을 형성하는 바닥 프로파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 프로파일은, 상기 도어가 설치되는 바닥 측에 배치되는 제1단열재; 상기 제1단열재에 적층됨으로써 그 제1단열재와 단차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도어의 일면이 걸리게 하여 그 도어의 개폐범위를 한정할 수 있도록, 상기 단차에 의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걸림면을 구비하는 제2단열재; 및 일측은 상기 제1단열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단열재에 연결되어서, 그 제1단열재와 제2단열재의 강도를 보강시키는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도어용 프레임{Frame for door}
본 발명은 도어용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단열성능을 높일 수 있고 도어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도어용 프레임에 관한 것임.
건물의 내부와 외부를 이동하거나, 그 내부와 외부를 서로 소통 또는 차단시키기 위해서는 도어가 필요하다. 도어는 창문, 출입문, 유리문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지고, 건물 벽체에 설치된 도어 프레임과 결합된다. 도어 프레임은 한쌍의 수직 프로파일과 그 수직 프로파일을 연결하는 수평 프로파일로 이루어진다. 도어 프레임은 수직 프로파일과 수평 프로파일의 결합에 의해 도어 배치 공간을 형성한다.
일반적인 도어 프레임은 대부분 알루미늄 혹은 합성수지와 같은 단일 소재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도어 프레임은 도어와 결합하기 위해 벽체에 설치되고 도어를 통해 실, 내외 측 간의 열전도 경로를 차단하며 외부로의 열손실을 줄일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일반적인 도어 프레임은 건물의 바닥에서 전달되는 냉기를 차단하기 어려워 단열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을 가진다. 아울러, 일반적인 도어 프레임은 각 프로파일 간의 결합력이 낮고 내구성이 약하며 도어를 안정되게 지지하기 어려운 문제점을 가진다.
종래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1682124호 「도어프레임」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물의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냉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도어용 프레임을 형성하는 각 프로파일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강도와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도어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도어용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도어용 프레임은, 도어의 바닥틀을 형성하는 바닥 프로파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 프로파일은, 상기 도어가 설치되는 바닥 측에 배치되는 제1단열재; 상기 제1단열재에 적층됨으로써 그 제1단열재와 단차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도어의 일면이 걸리게 하여 그 도어의 개폐범위를 한정할 수 있도록, 상기 단차에 의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걸림면을 구비하는 제2단열재; 및 일측은 상기 제1단열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단열재에 연결되어서, 그 제1단열재와 제2단열재의 강도를 보강시키는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세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진 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를 따라 내부에 수직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 플레이트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 프로파일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단열재는, 상기 수직 프로파일들 사이를 가로 지르는 횡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 금속 플레이트와 접하는 상기 외면에 상기 횡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단열재는, 상기 횡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면에 형성된 인입홈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리브와, 상기 제1단열재와의 위치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리브와, 상기 도어와의 기밀력을 증가시키게 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인입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실링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단열재는, 상기 제1단열재와 접하는 하측의 접촉면에 복수의 결속홈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는, 상기 제2단열재와의 결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결속홈에 끼워지는 결속리브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수직 프로파일 간에 사이 간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양측이 상기 수직 프로파일의 상측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 수평 공간을 형성하는 수평 프로파일;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 프로파일과 수평 프로파일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프로파일과 수평 프로파일이 접함으로써 형성된 모서리를 감싸며 상기 수직 프로파일과 상기 수평 프로파일에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수직 프로파일과 상기 수평 프로파일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 공간과 상기 수평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과 체결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수직 프로파일과 상기 수평 프로파일은, 상기 수직 공간과 상기 수평 공간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멈춤리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수직 공간과 상기 수평 공간 측으로 삽입시 삽입 범위를 한정하며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부재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멈춤리브가 끼워지는 위치결정슬릿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도어용 프레임은, 수직 프로파일의 상측에 수평 프로파일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바닥 프로파일이 바닥측에 설치되고 그 바닥 프로파일의 양 단부가 수직 프로파일의 하측에 결합되어 도어의 배치공간을 형성하고, 그 바닥 프로파일이 제1단열재의 상측에 제2단열재가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금속 플레이트가 그 제1단열재와 제2단열재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건물의 바닥에서 전달되는 냉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며 도어 프레임 바닥틀의 강도를 보강하는 효과를 가진다.
아울러 본 발명은 수직 프로파일과 수평 프로파일의 수직 공간 및 수평 공간에 보강부재가 삽입되고, 그 수직 프로파일과 수평 프로파일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을 브라켓이 감싸며 보강부재와 체결됨에 따라 수직 프로파일과 수평 프로파일을 결합시킴으로써, 도어용 프레임을 형성하는 각 프로파일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안정되게 도어를 지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바닥 프로파일의 각 구성들이 분리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바닥 프로파일의 각 구성들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바닥 프로파일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수직 프로파일 및 수평 프로파일과 보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수직 프로파일과 수평 프로파일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에 채용된 보강부재의 위치결정슬릿, 수직 프로파일 및 수평 프로파일의 멈춤리브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8은 도 7의 Ⅷ-Ⅷ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에 채용된 제2단열재와 금속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바닥 프로파일의 각 구성들이 분리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바닥 프로파일의 각 구성들이 결합된 상태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바닥 프로파일의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은 수직 프로파일(100), 수평 프로파일(200), 바닥 프로파일(A)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은 세로 방향을 따라 길이를 가지는 바(bar)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은 내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수직 공간(101)(도 5 참조)을 형성하고 한쌍으로 이루어진다. 한쌍으로 이루어진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은 사이 간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다.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은 도어용 프레임의 높이를 형성하고,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내부에 분할된 추가 공간들을 형성한다.
상기 수평 프로파일(200)은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의 상측에 양단부가 각각 결합된다. 상기 수평 프로파일(200)은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과 결합됨으로써, 한쌍의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간의 사이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수평 프로파일(200)은 그 사이공간을 따라 내부에 수평 공간(201)(도 5 참조)을 형성한다. 상기 수평 프로파일(200)은 도어용 프레임의 넓이를 형성하고, 형태를 형성하기 위해 내부에 분할된 추가 공간들을 형성한다.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과 수평 프로파일(200)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과 수평 프로파일(200)은, 상기 도어(D)와의 기밀성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탄성소재로 이루어진 실링부재(60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과 수평 프로파일(200)은 상기 실링부재(600)를 구비할 수 있도록 실링부재 인입홈(미도시)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과 수평 프로파일(200)의 결합 시 그 수평 프로파일(200)의 단차진 구조를 따라 수직 프로파일(100)의 단부가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의 일 단부는 상기 수평 프로파일(200)의 단차진 구조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수직 프로파일(100)의 타 단부는 바닥 프로파일(A)의 단차진 구조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 프로파일(A)은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의 하측에 양측이 각각 결합됨으로써, 그 수직 프로파일(100)의 사이 간격을 유지하며 도어(D)의 배치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바닥 프로파일(A)은 제1단열재(300), 제2단열재(400) 및 금속 플레이트(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 프로파일(A)은 바닥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단열재(300), 제2단열재(400) 및 금속 플레이트(500)의 결합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바닥 프로파일(A)의 상기 제1단열재(300)는, 바닥에 배치되고 수직 프로파일(100)의 사이 간격을 따라 길이를 형성한다. 상기 제1단열재(300)는 단열성능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기 제1단열재(30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닥으로부터 전달되는 냉기를 차단하는 기능을 가진다. 제1단열재(300)는 바닥면과의 위치 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바닥면과의 접촉면에 요철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바닥 프로파일(A)의 상기 제2단열재(400)는, 상기 제1단열재(300)의 상측에 적층되어 그 제1단열재(300)와 단차를 형성하게 되고 도어의 일면이 걸리게 되는 걸림면(401)을 형성한다. 상기 제2단열재(400)는 상기 걸림면(401)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도어(D)가 폐쇄동작될 때 그 도어(D)가 걸림면(401)에 걸리도록 하여 도어(D)의 구동범위를 한정한다. 상기 제2단열재(400)는 상기 제1단열재(300)와 동일한 소재로 이루어져 바닥으로부터의 냉기를 차단하여, 실내의 단열 효과를 높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단열재(400)는 제1단열재(300)와 상이한 단열 소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상기 바닥 프로파일(A)의 금속 플레이트(500)는 일측이 상기 제1단열재(300)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2단열재(400)에 연결되어서, 상기 제1단열재(300)의 외부면과 상기 제2단열재(400)에 의한 걸림면(401)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500)는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500)는 상기 제1단열재(300)와 제2단열재(400)를 서로 체결시켜주며, 상기 바닥 프로파일(A)의 강도를 보강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은 수직 프로파일(100)의 상측에 수평 프로파일(200)의 양단부가 각각 결합되고, 바닥 프로파일(A)이 바닥측에 설치되고 그 바닥 프로파일(A)의 양단부가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의 하측에 결합되어 도어(W)의 배치공간을 형성하고, 그 바닥 프로파일(A)이 제1단열재(300)의 상측에 제2단열재(400)가 적층된 형태로 이루어지며 금속 플레이트(500)가 그 제1단열재(300)와 제2단열재(400)를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건물의 바닥에서 전달되는 냉기를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단열성능을 향상시키며, 도어의 바닥틀인 바닥 프로파일(A)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고 도어용 프레임의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를 도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바닥 프로파일(A)은, 상기 제1단열재(300)의 상측 일 구간에 상기 제2단열재(400)가 적층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1단열재(300)는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들 사이를 가로 지르는 횡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끼움홈(301)을 구비한다. 아울러, 상기 제1단열재(300)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500)와 접하는 상측의 외면에 상기 횡방향을 따라 삽입홈(302)을 구비한다.
상기 제1단열재(300)의 상기 끼움홈(301)에는 금속 플레이트(500)의 끼움리브(501)가 끼워진다. 또한 제1단열재(300)의 상기 삽입홈(302)에는, 상기 금속 플레이트(500)의 위치고정리브(502)가 삽입된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1단열재(300)의 끼움홈(301)에 상기 끼움리브(501)가 끼워지고, 상기 삽입홈(302)에 상기 위치고정리브(502)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금속 플레이트(500)는 상기 제1단열재(300)의 외부에 안정되게 설치될 수 있고 상기 바닥 프로파일(A)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금속 플레이트(500)는 도어(D)의 개폐 동작 시 그 도어(D)와 접촉되더라도, 상기 제1단열재(300)에서 위치 이동되지 않고 그 제1단열재(300)와 결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2단열재(400)는 상기 제1단열재(300) 상에 배치되어 단차에 의한 걸림면(401)을 형성하고, 그 걸림면의 측면에 인입홈(402)을 형성한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500)는 상기 인입홈(402)과 대응되는 위치에 실링홈(503)을 형성한다. 상기 제2단열재(400)의 인입홈(402)은 상기 실링홈(503)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공간이다. 상기 제2단열재(400)의 인입홈(402)에 의해 형성된 상기 금속 플레이트(500)의 실링홈(503)에는 실링부재(600)가 구비된다.
상기 제2단열재(400)는 상기 인입홈(402)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 플레이트(500)의 실링홈(503)이 그 인입홈(402)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실링부재(600)가 그 실링홈(503)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도어(D)의 폐쇄 동작 시 그 도어(D)와 걸림면(401) 사이의 공극을 제거할 수 있고 그 공극을 통해 전달되는 냉기를 차단하여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단열재(400)는 상기 제1단열재(300)와 접하는 하측의 접촉면에 상기 인입홈(40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결속홈(403)을 형성한다. 상기 결속홈(403)에는 금속 플레이트(500)의 결속리브(504)가 끼워짐으로써, 상기 금속 플레이트(500)와 제2단열재(400)가 서로 체결된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500)의 결속리브(504)는, 상기 제1단열재(300)와 제2단열재(400)가 서로 접하는 접촉면에 끼워지고 상기 결속홈(400)에 인입될 수 있는 절곡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단열재(400)는 제1단열재(300)와 접촉하는 하측의 접촉면에 결속홈(403)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 플레이트(500)의 결속리브(504)가 그 결속홈(403)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2단열재(400)와 금속 플레이트(500) 간의 결속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500)는 끝부가 절곡되어 상기 끼움리브(501)를 형성하고 그 끼움리브가 상기 제1단열재(300)의 끼움홈(301)에 끼워지며, 바닥측으로 연장 형성된 상기 위치고정리브(502)가 상기 제1단열재(300)의 삽입홈(302)에 삽입되고, 상기 실링홈(503)이 제2단열재(400)의 인입홈(402)에 배치되며 상기 결속리브(504)가 제2단열재(400)의 상기 결속홈(403)에 끼워짐으로써, 상기 제1단열재(300)와 제2단열재(400)를 서로 체결시킴과 동시에 그 제1단열재(300)와 제2단열재(400)에 위치 고정될 수 있고 그 제1단열재(300) 및 제2단열재(400)를 통과한 냉기를 추가로 차단하여 단열성능을 극대화하며 상기 바닥 프로파일(A)의 강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500)의 위치고정리브(502)는, 삽입홈(302)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접촉부가 평면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금속 플레이트(500)에 전해지는 하중에 대한 강도를 증가시킨다. 한편 상기 위치고정리브(502)는 일 구간에 외부로 돌출형성된 체결부(도면 부호 미도시)를 구비하여, 그 위치고정리브(502)의 강도를 보강함과 동시에 수직 프로파일(100)과의 볼트 체결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수직 프로파일 및 수평 프로파일과 보강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 일실시예에 채용된 수직 프로파일과 수평 프로파일의 결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브라켓(700)과 보강부재(8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브라켓(700)은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과 수평 프로파일(200)이 결합됨으로써 형성된 모서리를 감싸며 그 수직 프로파일(100)과 수평 프로파일(200)에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700)은 ‘┏’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과 수평 프로파일(200)에 양쪽부분이 각각 체결됨으로써, 그 수직 프로파일(100)과 수평 프로파일(200)을 결합시킨다.
상기 브라켓(700)은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으로 이루어져 볼트 결합방식에 의해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 및 수평 프로파일(200)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브라켓(700)은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과 상기 바닥 프로파일(A)을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브라켓(700)은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과 바닥 프로파일(A)이 서로 접하는 모서리부분을 감싸며,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 및 바닥 프로파일(A)에 각각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과 상기 바닥 프로파일(A)을 결합시킨다.
상기 보강부재(800)는,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의 수직 공간(101)과 상기 수평 프로파일(200)의 수평 공간(201)에 각각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재(800)는 상기 수직 공간(101)과 수평 공간(201)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브라켓(700)과 체결됨으로써,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과 수평 프로파일(200)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킨다. 상기 보강부재(800)는 합성수지, 나무 등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보강부재(800)는 상기 수직 공간(101)과 수평 공간(201)과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며, 그 수직 공간(101)과 수평 공간(201)에 삽입된다. 한편, 상기 보강부재(800)는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과 수평 프로파일(200)의 양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과 수평 프로파일(200)의 수직 공간(101) 및 수평 공간(201)에 보강부재(800)가 삽입되고, 그 수직 프로파일(100)과 수평 프로파일(200)이 접하는 모서리 부분을 브라켓(700)이 감싸며 상기 보강부재(800)와 체결됨에 따라 수직 프로파일(100)과 수평 프로파일(200)을 결합시킴으로써, 도어용 프레임을 형성하는 각 프로파일 간의 결합력을 높일 수 있고 안정되게 도어를 지지할 수 있으며 내구성을 높이는 효과를 가진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에 채용된 보강부재의 위치결정슬릿, 수직 프로파일 및 수평 프로파일의 멈춤리브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Ⅷ-Ⅷ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보강부재(800)와 수직 프로파일(100)의 수직 공간(101) 및 수평 프로파일(200)의 수평 공간(201)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상기 수직 프로파일(100)과 수평 프로파일(200)은 상기 수직 공간(101)과 수평 공간(201)에 내부를 향해 돌출 형성된 멈춤리브(S)를 구비한다. 상기 멈춤리브(S)는 하나 또는 복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보강부재(800)는, 상기 수직 공간(101) 및 수평 공간(201)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한다. 상기 보강부재(800)는 상기 멈춤리브(S)가 끼워지는 위치결정슬릿(H)을 형성한다. 상기 위치결정슬릿(H)은, 상기 보강부재(800)가 상기 수직 공간(101) 또는 상기 수평 공간(201)에 삽입될 때 삽입 범위를 한정하고 그 보강부재(800)가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위치결정슬릿(H)은 상기 보강부재(800)의 외면에 복수로 형성되고 그 보강부재(800)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위치결정슬릿(H)은 보강부재(800)의 끝단에서부터 형성되어 소정의 길이를 가진다. 이때 그 길이는 상기 보강부재(800)가 상기 수직 공간(101) 및 상기 수평 공간(201)에 삽입될 수 있는 삽입범위와 대응된다. 상기 멈춤리브(S)는 상기 보강부재(800)가 상기 수직 공간(101) 및 상기 수평 공간(201)에 삽입될 때 위치결정슬릿(H)에 인입된다.
이때 멈춤리브(S)는 상기 보강부재(800)의 슬라이딩 이동을 가이드하고, 그 보강부재(800)의 이동을 멈추도록 함으로써, 상기 보강부재(800)가 상기 수직 공간(101) 및 상기 수평 공간(201)으로 밀려 들어가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그 수직 프로파일(100) 및 수평 프로파일(200)의 양측에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도어용 프레임에 채용된 제2단열재와 금속 플레이트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제2단열재(400)와 금속 플레이트(500)의 구조에 있어서 차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2단열재(400)는 걸림면(401)에 라운드진 형태의 인입홈(402)을 구비한다. 또한 상기 금속 플레이트(500)는 상기 인입홈(402)에 배치되고 라운드진 형태의 실링홈(503)을 구비한다. 상기 금속 플레이트(500)는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금속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탄성으로 인해 상기 실링홈(503)이 상기 인입홈(402)에 끼워질 수 있다.
상기 인입홈(402)과 상기 실링홈(503)은 입구 측의 넓이보다 중심부 측의 넓이가 더 넓게 형성됨으로써, 인입홈(402)에 실링홈(503)이 배치된 경우 상기 금속 플레이트(500)와 제2단열재(400)간의 체결력을 증가시키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실링홈(503)의 구조가 상기 인입홈(402)의 구조와 대응됨으로써, 실링부재(600)와 그 실링홈(503) 간의 체결력이 증가되어 상기 실링부재(600)가 실링홈(503)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100: 수직 프로파일 200: 수평 프로파일
300: 제1단열재 400: 제2단열재
500: 금속 플레이트 600: 실링부재
700: 브라켓 800: 보강부재

Claims (5)

  1. 도어의 바닥틀을 형성하는 바닥 프로파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바닥 프로파일은,
    상기 도어가 설치되는 바닥 측에 배치되는 제1단열재;
    상기 제1단열재에 적층됨으로써 그 제1단열재와 단차를 형성하게 되고, 상기 도어의 일면이 걸리게 하여 그 도어의 개폐범위를 한정할 수 있도록, 상기 단차에 의해 상대적으로 돌출된 걸림면을 구비하는 제2단열재; 및
    일측은 상기 제1단열재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제2단열재에 연결되어서, 그 제1단열재와 제2단열재의 강도를 보강시키는 금속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세로 방향으로 길이를 가진 바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길이를 따라 내부에 수직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바닥 프로파일에 결합되는 한 쌍의 수직 프로파일들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단열재는, 상기 수직 프로파일들 사이를 가로 지르는 횡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된 끼움홈과, 상기 금속 플레이트와 접하는 외면에 상기 횡방향을 따라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단열재는, 상기 횡방향을 따라 상기 걸림면에 형성된 인입홈을 구비하며,
    상기 금속 플레이트는, 상기 끼움홈에 끼워지는 끼움리브와, 상기 제1단열재와의 위치고정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에 삽입되는 위치고정리브와, 상기 도어와의 기밀력을 증가시키게 하기 위한 실링부재가 끼워질 수 있도록, 상기 인입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된 실링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단열재는, 상기 제1단열재와 접하는 하측의 접촉면에 복수의 결속홈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 플레이트는, 상기 제2단열재와의 결속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결속홈에 끼워지는 결속리브를 구비하며,
    상기 위치고정리브는, 금속 플레이트에 전해지는 하중에 대한 강도를 증가시키고 수직 프로파일과의 볼트 체결이 가능할 수 있도록, 삽입홈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평면 구조의 접촉부와, 일구간에 외부로 돌출 형성된 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로파일 간에 사이 간격을 형성할 수 있도록, 양측이 상기 수직 프로파일의 상측에 각각 결합되며 내부에 수평 공간을 형성하는 수평 프로파일;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수직 프로파일과 수평 프로파일이 결합될 수 있도록, 상기 수직 프로파일과 수평 프로파일이 접함으로써 형성된 모서리를 감싸며 상기 수직 프로파일과 상기 수평 프로파일에 결합되는 브라켓;
    상기 수직 프로파일과 상기 수평 프로파일 간의 결합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상기 수직 공간과 상기 수평 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브라켓과 체결되는 보강부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프레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 프로파일과 상기 수평 프로파일은, 상기 수직 공간과 상기 수평 공간에 내측으로 돌출 형성된 멈춤리브를 구비하고,
    상기 보강부재는, 상기 수직 공간과 상기 수평 공간 측으로 삽입시 삽입 범위를 한정하며 위치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보강부재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길이를 가지며 상기 멈춤리브가 끼워지는 위치결정슬릿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어용 프레임.
KR1020170035275A 2017-03-21 2017-03-21 도어용 프레임 KR1019333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275A KR101933301B1 (ko) 2017-03-21 2017-03-21 도어용 프레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35275A KR101933301B1 (ko) 2017-03-21 2017-03-21 도어용 프레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635A KR20180106635A (ko) 2018-10-01
KR101933301B1 true KR101933301B1 (ko) 2019-04-05

Family

ID=63877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35275A KR101933301B1 (ko) 2017-03-21 2017-03-21 도어용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330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0755B2 (ja) * 1992-05-28 2000-10-23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縦型mos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KR200423362Y1 (ko) * 2006-05-26 2006-08-07 이봉학 창틀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장치
KR100989505B1 (ko) * 2008-11-25 2010-10-22 남궁홍균 도어 프레임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173487U (ko) * 1986-04-24 1987-11-04
JP3100755U (ja) * 2003-09-29 2004-05-27 南亜塑膠工業股▲ふん▼有限公司 ドアの敷居構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00755B2 (ja) * 1992-05-28 2000-10-23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縦型mos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KR200423362Y1 (ko) * 2006-05-26 2006-08-07 이봉학 창틀 프레임의 모서리 결합장치
KR100989505B1 (ko) * 2008-11-25 2010-10-22 남궁홍균 도어 프레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06635A (ko)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78753B2 (ja) スイッチキャビネットのフレーム構造のためのフレーム成形材
KR101470536B1 (ko) 단열효과가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862134B1 (ko) 단열 및 기밀 성능을 갖는 커튼월
KR101734011B1 (ko) 단열성과 기밀성이 향상된 창호
KR101847524B1 (ko) 외부패널의 횡방향 조립에 의한 모듈러 건축물의 외벽, 및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모듈러 건축물
KR101878820B1 (ko) 단열용 커튼 월
US9834941B1 (en) Thermal break system for wall panels secured to an existing wall
KR101847525B1 (ko) 외부패널의 연직방향 조립에 의한 모듈러 건축물의 외벽, 및 이를 이용하여 구축되는 모듈러 건축물
KR20160040413A (ko) 알루미늄-합성수지 단열 복합창호
KR101543761B1 (ko) 기밀형 창호 구조물
KR200473063Y1 (ko) 창호용 세로 단열프레임
KR101859718B1 (ko) 복합 단열구조를 갖는 커튼월
KR200474465Y1 (ko)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456675B1 (ko) 단열구조물의 코너연결구
KR101933301B1 (ko) 도어용 프레임
KR101484723B1 (ko) 단열성 및 기밀성이 우수한 창호용 프레임
KR101750695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1877759B1 (ko) 가변형 창호 시스템
KR101763158B1 (ko) 커튼월 어셈블리
KR102183697B1 (ko) 조립식 결로방지패드를 포함하는 창호브라켓
KR101795622B1 (ko) 방화문
KR101750692B1 (ko) 커튼월 어셈블리
TWI544134B (zh) Facing retaining members and doors and windows
KR200474464Y1 (ko) 창호용 단열프레임
KR101571541B1 (ko) 창틀프레임의 설치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