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5863B1 - 오존수 농도 제어기를 구비한 오존수 발생 시스템 - Google Patents
오존수 농도 제어기를 구비한 오존수 발생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35863B1 KR101935863B1 KR1020180077020A KR20180077020A KR101935863B1 KR 101935863 B1 KR101935863 B1 KR 101935863B1 KR 1020180077020 A KR1020180077020 A KR 1020180077020A KR 20180077020 A KR20180077020 A KR 20180077020A KR 101935863 B1 KR101935863 B1 KR 1019358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zone
- discharge tube
- water
- raw water
- dissolution tank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2—Ozone generato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78—Details relating to ozone treatment devices
- C02F2201/784—Diffusers or nozzles for ozona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수 및 산소를 이용하여 방전관 및 오존 용해조에서 생성된 후 배출되는 오존수의 오존 농도를 항상 일정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오존수 농도 제어기를 구비한 오존수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산소발생기로부터의 산소가 방전관에서 오존으로 변환된 후 오존용해조로 공급되는 동시에 원수공급부로부터의 원수가 오존용해조로 공급된 다음, 오존용해조에서 원수에 오존이 함입된 오존수가 발생시켜 배출시킬 때, 오존농도센서에서 오존수의 오존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오존수의 오존 농도를 기반으로 오존컨트롤러 및 인버터에서 방전관의 오존 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존용해조로부터 발생되어 배출되는 오존수의 오존 농도를 항상 일정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오존수 농도 제어기를 구비한 오존수 발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산소발생기로부터의 산소가 방전관에서 오존으로 변환된 후 오존용해조로 공급되는 동시에 원수공급부로부터의 원수가 오존용해조로 공급된 다음, 오존용해조에서 원수에 오존이 함입된 오존수가 발생시켜 배출시킬 때, 오존농도센서에서 오존수의 오존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오존수의 오존 농도를 기반으로 오존컨트롤러 및 인버터에서 방전관의 오존 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존용해조로부터 발생되어 배출되는 오존수의 오존 농도를 항상 일정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오존수 농도 제어기를 구비한 오존수 발생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존수 농도 제어기를 구비한 오존수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수 및 산소를 이용하여 방전관 및 오존 용해조에서 생성된 후 배출되는 오존수의 오존 농도를 항상 일정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오존수 농도 제어기를 구비한 오존수 발생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존은 강한 산화력으로 살균이나 소독 및 탈색, 탈취, 표백 등의 용도, 인체에 유해한 농약류나 중금속 등을 산화 또는 중화시키는 용도, 그리고 폐수의 정수처리 등의 용도로 유용하게 이용되고 있다.
또한, 상기 오존의 강한 산화력은 각종 소독, 표백, 산화 등의 목적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오존가스를 물에 용해시킨 오존수는 각종 물질을 세정, 살균 후 수중에 잔류하는 유독성분이 없기 때문에 식품제조분야나 의료분야등 여러 분야에서 널이 사용되고 있고, 인체의 피부에 존재하는 각종 세균의 살균과, 채소 및 야채에 잔존하는 농약성분을 분해하기 위한 목적으로도 사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오존을 사용하기 위한 각 사용처에서 별도의 오존수 발생 장치가 사용되고 있으며, 이 오존수 발생 장치는 원수(water)에 오존(O3)을 일정 비율 함입시켜 오존수를 발생시키는 장치를 말한다.
상기 오존수 발생 장치는 식당 등에서 살균 및 탈취를 목적으로 배치하거나, 농작물에 유해 병균을 살균시키기 위하여 사용하거나, 폐수 처리 설비의 일 구성으로서 폐수를 처리하는데 사용되는 등 생활 및 산업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오존수 발생 장치에 대한 일례로서 주로 공기나 산소에 물리적, 화학적인 자극으로 에너지를 가하는 무성 방전법과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화학 반응법 등에 의해 오존을 발생시키는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종래의 다른 예에 따르면, 산소 발생기에서 발생된 산소를 오존으로 변환시키는 방전관과, 방전관에서 변환된 오존을 원수(water)에 함입시켜 오존수를 만들어주는 오존 용해조 등을 포함하는 오존수 발생 장치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오존수 발생 장치는 별도의 오존 농도 조절을 위한 자동화 설비 부족 및 방전관 부품의 노후에 따른 정밀도 저하 등으로 인하여, 원수에 오존이 과다하게 함입되거나 원수에 오존이 모자라게 함입되어 오존수에 함유된 오존 농도가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즉, 오존 발생 장치에서 사용처로 배출되는 오존수의 오존 농도가 각 사용처(식당, 농작물, 폐수 처리설비 등)에 알맞은 수준으로 유지되어야 하지만, 오존 농도 조절을 위한 자동화 설비 부족 및 방전관 부품의 노후에 따른 정밀도 저하 등으로 인하여 원수에 오존이 과다하게 함입되거나 원수에 오존이 모자라게 함입되어, 결국 오존수의 오존 농도가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지 않게 되고, 그에 따라 사용처에 알맞은 오존 농도를 갖는 오존수를 제공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따르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산소발생기로부터의 산소가 방전관에서 오존으로 변환된 후 오존용해조로 공급되는 동시에 원수공급부로부터의 원수가 오존용해조로 공급된 다음, 오존용해조에서 원수에 오존이 함입된 오존수가 발생시켜 배출시킬 때, 오존농도센서에서 오존수의 오존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오존수의 오존 농도를 기반으로 오존컨트롤러 및 인버터에서 방전관의 오존 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존용해조로부터 발생되어 배출되는 오존수의 오존 농도를 항상 일정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오존수 농도 제어기를 구비한 오존수 발생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산소를 발생시켜 방전관에 공급하는 산소 발생기; 원수를 가압펌프를 이용하여 오존용해조에 공급하는 원수공급부; 상기 산소 발생기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아 오존으로 변환시키는 방전관; 상기 방전관으로부터 오존을 공급받는 동시에 원수공급부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원수에 오존을 함입시켜 오존수를 발생시키는 오존용해조; 상기 오존용해조의 오존수 배출라인에 장착되어 오존수의 오존농도를 측정하는 오존농도센서; 상기 오존농도센서의 측정값을 임계치와 비교한 후, 비교신호를 기반으로 인버터에 방전관을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명령하는 오존컨트롤러; 및 상기 오존컨트롤러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방전관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을 선형 또는 듀티 제어로 조절하는 인버터;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수 농도 제어기를 구비한 오존수 발생 시스템을 제공한다.
특히, 상기 오존컨트롤러는 오존농도센서의 측정값이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인버터에 대하여 방전관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을 감소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방전관에 의한 오존 생성량이 감소 조절되고, 오존농도센서의 측정값이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인버터에 대하여 방전관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을 증가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방전관에 의한 오존 생성량이 증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존용해조의 상단부에는 오존용해조에서 발생하는 과오존을 분리시키는 기액분리기가 장착되고, 기액분리기의 출구에는 방전관과 오존용해조 간에 연결된 오존공급라인으로 과오존을 리턴시키는 리턴라인이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오존농도센서는 오존수 배출라인에 장착된 "T"자형의 연결배관 내에 수밀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되, 오존수의 흐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원수공급부와 오존용해조 간에 연결된 원수공급라인에는 방전관의 냉각을 위하여 원수의 일부를 방전관의 냉각경로로 순환시키는 냉각라인이 분기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첫째, 방전관에서 생성된 오존과 원수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오존용해조로 공급된 다음, 오존용해조에서 원수에 오존이 함입된 오존수가 발생시켜 배출시킬 때, 오존농도센서에서 오존수의 오존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된 오존수의 오존 농도를 기반으로 오존컨트롤러 및 인버터의 제어에 의하여 방전관에 대한 출력 전압을 자동으로 가감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오존수의 오존 농도를 항상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킬 수 있다.
둘째, 오존용해조에 오존이 과다하게 공급되는 경우, 기액분리기에서 과오존(=배오존)을 분리하여 방전관과 오존용해조 간의 오존공급라인으로 다시 리턴시킴으로써, 오존이 낭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리턴되는 오존만큼을 방전관에서 생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방전관의 오존 생성 작동에 대한 과부하를 줄여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존수 농도 제어기를 구비한 오존수 발생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존수 농도 제어기를 구비한 오존수 발생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수 발생 시스템의 구성 중 오존농도센서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수 발생 시스템의 구성 중 인버터에서 방전관에 인가되는 출력전압 제어 예를 도시한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오존수 농도 제어기를 구비한 오존수 발생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존수 발생 시스템의 구성 중 오존농도센서의 설치 구조를 도시한 요부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오존수 발생 시스템의 구성 중 인버터에서 방전관에 인가되는 출력전압 제어 예를 도시한 그래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존수 농도 제어기를 구비한 오존수 발생 시스템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존을 생성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산소 발생기(20)와 방전관(30)이 필요하고, 오존수를 발생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원수공급부(10)와 오존용해조(40)가 필수적으로 포함된다.
상기 산소 발생기(20)는 산소를 발생시켜 방전관(30)에 공급하고, 산소 발생기(20)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은 방전관(30)은 산소를 오존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통상, 상기 방전관(30)은 케이스 내에 내부전극과 외부전극 그리고 유전체 등이 장착된 구조로 구비되고, 소정의 전압을 인가받아서 오존가스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원수공급부(10)는 원수(water)를 가압펌프(12)를 이용하여 오존용해조(40)에 공급한다.
따라서, 상기 오존용해조(40)는 방전관(30)으로부터 오존을 공급받는 동시에 원수공급부(10)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원수에 오존을 함입시켜 오존수를 발생시키는 바, 통상 용해조 내에는 다단의 구획판이 교번으로 배치되어 원수가 구획판을 따라 차례로 이동될 때 오존이 함입되어 오존수로 생성된다.
이에, 상기 오존용해조(40)의 하단 출구에 연결된 오존수 배출라인(42)을 통해 오존수가 사용처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오존수 배출라인(42)을 통해 사용처로 배출되는 오존수의 오존 농도는 사용처에 알맞은 일정 수준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기존에는 오존 농도 조절을 위한 자동화 설비 부족 및 방전관 부품의 노후에 따른 오존 생성 정밀도 저하 등으로 인하여, 원수에 오존이 과다하게 함입되거나 원수에 오존이 모자라게 함입되어 오존수에 함유된 오존 농도가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오존수 배출라인(42)을 통해 배출되는 오존수의 오존 농도를 항상 일정한 수준으로 유지시키기 위하여, 오존농도센서(50)에서 오존수 농도를 측정하고, 측정한 신호를 기반으로 오존컨트롤러(60) 및 인버터(70)에서 방전관(30)의 오존 발생량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오존용해조(40)로부터 배출되는 오존수의 오존 농도를 항상 일정한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 점에 주안점이 있다.
상기 오존농도센서(50)는 오존용해조(40)의 오존수 배출라인(42)에 장착되어 오존수의 오존농도를 측정하고, 그 측정된 신호를 오존컨트롤러(60)에 전송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오존농도센서(50)는 오존수 배출라인(42)에 "T"자형의 연결배관(48)을 장착한 상태에서 "T"자형의 연결배관(48)에 수밀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존수의 흐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장착하여, 오존수의 흐름 저항을 덜 받도록 한다.
다음으로, 상기 오존컨트롤러(60)에서 오존농도센서(50)로부터 측정된 오존농도 측정값을 임계치와 비교하고, 그 비교신호를 기반으로 인버터(70)에 방전관(30)을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명령한다.
이에, 상기 오존컨트롤러(6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상기 인버터(70)는 방전관(30)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을 선형 또는 듀티 제어로 조절하게 된다.
이때, 상기 오존농도 측정값과 임계치 간의 차이가 기준치 이상으로 많이 나는 경우에는 도 4의 위쪽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버터(70)에서 방전관(30)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을 선형으로 조절한다.
반면, 상기 오존농도 측정값과 임계치 간의 차이가 기준치 미만으로 적게 나는 경우에는 인버터(70)에서 방전관(30)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을 듀티 제어하여 도 4의 아래쪽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전관의 출력이 시간에 따라 10개로 구분되는 출력되도록 함으로써, 방전관(30)의 과부하에 따른 내구 손상이 방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오존컨트롤러(60)는 오존농도센서(50)의 측정값이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인버터(70)에 대하여 방전관(30)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을 감소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방전관(30)의 작동에 의한 오존 생성량이 감소 조절될 수 있다.
반면, 상기 오존컨트롤러(60)는 오존농도센서(50)의 측정값이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인버터(70)에 대하여 방전관(30)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을 증가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방전관(30)에 의한 오존 생성량이 증가 조절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오존농도센서(50)에서 측정된 오존수의 오존 농도를 기반으로, 상기 오존컨트롤러(60) 및 인버터(70)의 제어에 의하여 방전관(30)에 대한 출력 전압을 자동으로 가감 조절되도록 함으로써, 방전관(30)에서 생성되어 오존용해조(40)로 공급되는 오존량이 가감 조절되는 동시에 오존용해조(40)에서 배출되는 오존수의 오존 농도가 임계치 범위로 자동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첨부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오존용해조(40)의 상단부에 기액분리기(44)가 더 장착되고, 이 기액분리기(44)의 출구는 리턴라인(46)을 매개로 상기 방전관(30)과 오존용해조(40) 간에 연결된 오존공급라인(32)에 연결된다.
따라서, 상기 방전관(30)으로부터 오존용해조(40)로 오존이 과다하게 공급되는 경우, 상기 기액분리기(44)에서 오존용해조(40)에서 발생하는 과오존(=배오존)을 분리시켜 저장한 후, 기액분리기(44)의 출구에 연결된 리턴라인(46)을 통해 방전관(30)과 오존용해조(40) 간에 연결된 오존공급라인(32)으로 과오존을 리턴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기액분리기(44)에서 과오존(=배오존)을 분리하여 방전관(30)과 오존용해조(40) 간의 오존공급라인(32)으로 다시 리턴시킴으로써, 오존이 낭비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리턴되는 오존만큼을 방전관(30)에서 생성하지 않아도 되므로, 방전관(30)의 오존 생성 작동에 대한 과부하를 줄여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원수공급부(10)와 오존용해조(40) 간에 연결된 원수공급라인(14)에는 방전관(30)의 냉각을 위하여 원수의 일부를 방전관(30) 내의 냉각경로(미도시됨)로 순환시키는 냉각라인(16)이 분기 연결됨으로써, 원수의 일부가 냉각라인(16)을 통해 방전관(30) 내의 냉각경로를 순환하여 방전관(30)의 원활한 작동을 위한 냉각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가압펌프(12)에는 금속표면의 부식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부식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이 부식방지도포층의 도포재료는 토일트리아졸 20중량%, 벤즈이미다졸 15중량%, 트리옥틸아민 10중량%, 하프늄 15중량%, 산화알루미늄40중량%로 구성되며, 코팅두께는 8㎛로 구성된다.
토일트리아졸, 벤즈이미자졸 및 트리옥틸아민은 부식방지 및 변색방지 등의 역할을 한다.
하프늄은 내부식성이 있는 전이 금속원소로 뛰어난 방수성, 내식성 등을 갖도록 역할을 한다.
산화알루미늄은 내화도 및 화학적 안정성 등을 목적으로 첨가된다.
상기 구성 성분의 비율 및 코팅두께를 상기와 같이 수치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자가 수차례시험결과를 통해 분석한 결과, 상기 비율에서 최적의 부식방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오존농도센서(50)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카놀아마이드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가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알카놀아마이드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알카놀아마이드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알카놀아마이드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기재 상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기재 상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 Å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 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카놀아마이드 0.1 몰 및 암포프로피오네이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오존용해조(40)의 둘레에는 호흡기계 질환치료 등의 기능을 가진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작업자의 피로회복, 건강증진 등에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비율은 방향제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탄저린 오일(Tangerine oil) 50중량%, 팔미토레익산 오일(Palmitoleic acid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기능성 오일 중 탄저린 오일(Tangerine oil)은 주 화학성분으로는 citronellol, linalool, cital 등을 들 수 있으며 방부, 진경, 진정작용 등을 하여 스트레스 완화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팔미토레익산 오일(Palmitoleic acid oil) 오일은 항산화작용을 하며 건조하거나 노화된 피부에 좋으며 세포 재생, 살균, 피부 염증 치료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오존용해조(40)의 둘레에 코팅됨에 따라, 사용자의 피로회복, 건강증진 등에 기여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인버터(70)의 케이스 외면에는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는 변색부가 도포될 수 있다. 이 변색부는,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이 변하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이 인버터(70)의 케이스 표면에 도포되어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됨으로써 단계적인 온도 변화를 판단할 수 있고, 변색부 위에는 변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막층이 도포된다.
여기서, 변색부는, 각각 40℃ 이상 및 60℃ 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변색부는 인버터(70)의 케이스 온도에 따라 색이 변화하여 도료의 온도 변화를 감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변색부는 소정의 온도 이상이 되었을 때 색깔이 변하는 온도변색물질이 인버터(70)의 케이스 표면에 도포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일반적으로 1~10㎛의 마이크로캡슐 구조로 구성되어 있고, 마이크로캡슐 내에 전자 공여체와 전자 수용체의 온도에 따른 결합 및 분리현상으로 인해 유색 및 투명색을 나타내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온도변색물질은 색의 변화가 빠르고, 40℃, 60℃, 70℃, 80℃, 등의 다양한 변색온도를 가질 수 있으며, 이러한 변색온도는 여러 방법으로 쉽게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온도변색물질은 유기화합물의 분자 재배열, 원자단의 공간 재배치 등의 원리에 의한 다양한 종류의 온도변색물질이 이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변색부는 서로 다른 변색 온도를 가지는 두 가지 이상의 온도변색물질을 도포하여 온도 변화에 따라 두 개 이상의 구간으로 분리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온도변색층은 상대적으로 저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과 상대적으로 고온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이상 및 60℃이상의 변색온도를 갖는 온도변색물질을 사용하여 변색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인버터(70)의 온도 변화를 단계적으로 확인할 수 있어 도료의 온도변화를 감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인버터(70)를 최적의 상태에서 운용할 수 있으며, 과열에 의한 인버터(70)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다.
또한, 보호막층은 변색부 위에 도포되어서 외부의 충격으로 인해 변색부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며, 변색부의 변색 여부를 쉽게 확인함과 동시에 온도변색물질이 열에 약한 것을 고려하여 단열 효과를 가지는 투명 도포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 원수공급부
12 : 가압펌프
14 : 원수공급라인
16 : 냉각라인
20 : 산소 발생기
30 : 방전관
32 : 오존공급라인
40 : 오존용해조
42 : 오존수 배출라인
44 : 기액분리기
46 : 리턴라인
48 : 연결배관
50 : 오존농도센서
60 : 오존컨트롤러
70 : 인버터
12 : 가압펌프
14 : 원수공급라인
16 : 냉각라인
20 : 산소 발생기
30 : 방전관
32 : 오존공급라인
40 : 오존용해조
42 : 오존수 배출라인
44 : 기액분리기
46 : 리턴라인
48 : 연결배관
50 : 오존농도센서
60 : 오존컨트롤러
70 : 인버터
Claims (3)
- 산소를 발생시켜 방전관(30)에 공급하는 산소 발생기(20);
원수를 가압펌프(12)를 이용하여 오존용해조(40)에 공급하는 원수공급부(10);
상기 산소 발생기(20)로부터 산소를 공급받아 오존으로 변환시키는 방전관(30);
상기 방전관(30)으로부터 오존을 공급받는 동시에 원수공급부(10)로부터 원수를 공급받아, 원수에 오존을 함입시켜 오존수를 발생시키는 오존용해조(40);
상기 오존용해조(40)의 오존수 배출라인(42)에 장착되어 오존수의 오존농도를 측정하는 오존농도센서(50);
상기 오존농도센서(50)의 측정값을 임계치와 비교한 후, 그 비교신호를 기반으로 인버터(70)에 방전관(30)을 작동시키는 제어신호를 명령하는 오존컨트롤러(60); 및
상기 오존컨트롤러(60)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방전관(30)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을 선형 또는 듀티 제어로 조절하는 인버터(7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오존컨트롤러(60)는 오존농도센서(50)의 측정값이 임계치보다 크면 상기 인버터(70)에 대하여 방전관(30)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을 감소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방전관(30)에 의한 오존 생성량이 감소 조절되고, 오존농도센서(50)의 측정값이 임계치보다 작으면 상기 인버터(70)에 대하여 방전관(30)에 인가되는 출력 전압을 증가시키는 제어신호를 전송하여 방전관(30)에 의한 오존 생성량이 증가 조절되며;
상기 오존용해조(40)의 상단부에는 오존용해조(40)에서 발생하는 과오존을 분리시키는 기액분리기(44)가 장착되고, 기액분리기(44)의 출구에는 방전관(30)과 오존용해조(40) 간에 연결된 오존공급라인(32)으로 과오존을 리턴시키는 리턴라인(46)이 연결되고;
상기 오존농도센서(50)는 오존수 배출라인(42)에 별도로 장착되는 "T"자형의 연결배관(48) 내에 수밀 가능하게 삽입 장착되되, 오존수의 흐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경사지게 장착되며;
상기 원수공급부(10)와 오존용해조(40) 간에 연결된 원수공급라인(14)에는 방전관(30)의 냉각을 위하여 원수의 일부를 방전관(30)의 냉각경로로 순환시키는 냉각라인(16)이 분기 연결되고;
원수공급부(10)와 오존용해조(40) 간에 연결된 원수공급라인(14)에는 방전관(30)의 냉각을 위하여 원수의 일부를 방전관(30) 내의 냉각경로로 순환시키는 냉각라인(16)이 분기 연결됨으로써, 원수의 일부가 냉각라인(16)을 통해 방전관(30) 내의 냉각경로를 순환하여 방전관(30)의 작동을 위한 냉각이 이루어지며;
오존용해조(40)의 상단부에 기액분리기(44)가 더 장착되고, 기액분리기(44)의 출구는 리턴라인(46)을 매개로 상기 방전관(30)과 오존용해조(40) 간에 연결된 오존공급라인(32)에 연결되며, 상기 방전관(30)으로부터 오존용해조(40)로 오존이 과다하게 공급되는 경우, 상기 기액분리기(44)에서 오존용해조(40)에서 발생하는 과오존을 분리시켜 저장한 후, 기액분리기(44)의 출구에 연결된 리턴라인(46)을 통해 방전관(30)과 오존용해조(40) 간에 연결된 오존공급라인(32)으로 과오존을 리턴시키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존수 농도 제어기를 구비한 오존수 발생 시스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7020A KR101935863B1 (ko) | 2018-07-03 | 2018-07-03 | 오존수 농도 제어기를 구비한 오존수 발생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77020A KR101935863B1 (ko) | 2018-07-03 | 2018-07-03 | 오존수 농도 제어기를 구비한 오존수 발생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5863B1 true KR101935863B1 (ko) | 2019-01-07 |
Family
ID=650170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77020A KR101935863B1 (ko) | 2018-07-03 | 2018-07-03 | 오존수 농도 제어기를 구비한 오존수 발생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5863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51162A (ko) | 2019-10-30 | 2021-05-10 | 천승환 | 고농도 오존수 생성 및 공급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1211770A (ja) * | 2000-02-01 | 2001-08-07 | Fujisaki Denki Kk | 農業用潅水の製造装置 |
KR100384668B1 (ko) * | 1998-11-05 | 2003-05-22 |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 수처리 방법 |
KR101712995B1 (ko) * | 2016-01-26 | 2017-03-07 | 이면규 | 오존수 공급장치 |
-
2018
- 2018-07-03 KR KR1020180077020A patent/KR10193586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384668B1 (ko) * | 1998-11-05 | 2003-05-22 |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 수처리 방법 |
JP2001211770A (ja) * | 2000-02-01 | 2001-08-07 | Fujisaki Denki Kk | 農業用潅水の製造装置 |
KR101712995B1 (ko) * | 2016-01-26 | 2017-03-07 | 이면규 | 오존수 공급장치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051162A (ko) | 2019-10-30 | 2021-05-10 | 천승환 | 고농도 오존수 생성 및 공급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845270B2 (ja) | ゲル組成物を作成する方法 | |
AU2015286615B2 (en) | System and method for sterilizing a fluid | |
US8663705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tabilized antimicrobial non-toxic electrolyzed saline solution exhibiting potential as a therapeutic | |
KR20140008329A (ko) | 안정한 이산화염소 수용액의 제조 방법 | |
US2009011074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tabilized antimicrobial non-toxic electrolyzed saline solution exhibiting potential as a therapeutic | |
US9255336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stabilized antimicrobial non-toxic electrolyzed saline solution exhibiting potential as a therapeutic | |
US20050196462A1 (en) | Topical formulation containing oxidative reductive potential water solution and method for using same | |
US20150118180A1 (en) | Redox signaling gel formulation | |
US20020130091A1 (en) | System for preparation of a solution and use of the solution | |
Schwabedissen et al. | PlasmaLabel–a new method to disinfect goods inside a closed package using dielectric barrier discharges | |
KR101935863B1 (ko) | 오존수 농도 제어기를 구비한 오존수 발생 시스템 | |
US10499648B2 (en) | Sterilization method, formulation for sterilization use, and device for producing sterilizing liquid | |
KR100643591B1 (ko) | 전해 살균수 제조장치 및 그 제조방법 | |
WO2011018528A1 (de) | ANKOPPLUNGS- UND UMSCHALTEINHEIT FÜR LEiTUNGEN ZUM TRANSPORT VON FLUIDEN | |
DE4330465A1 (de)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Peroxycarbonsäuren | |
CN208802946U (zh) | 一种复合型紫外线杀菌消毒装置 | |
CN106241963A (zh) | 液体处理方法、对象物处理方法、液体处理装置及等离子体处理液 | |
CN109526982A (zh) | 一种低pH的抗微生物溶液及其应用 | |
US20190262112A1 (en) | Administration of oral care antimicrobials | |
WO2019045275A1 (ko) | 살균제 또는 세정제를 생성할 수 있는 전기분해 장치 및 그것을 위한 전기분해 방법 | |
CN85105856A (zh) | 消毒器 | |
KR20150106541A (ko) | 약물 검출 장치를 이용한 약물 검출 방법 | |
Lozina et al. | Low-temperature ozone sterilizer based on reactor with electrolityc cell | |
SG187535A1 (en) | Electrochemically activated water-based solution and use of the solution | |
JP3101502U (ja) | 安定化二酸化塩素液に紫外線殺菌燈を照射し、二酸化塩素液に改質して温水循環回路に注入し、殺菌浄化防臭防腐蝕効果を得る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