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901261B1 -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구현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구현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01261B1
KR101901261B1 KR1020170164959A KR20170164959A KR101901261B1 KR 101901261 B1 KR101901261 B1 KR 101901261B1 KR 1020170164959 A KR1020170164959 A KR 1020170164959A KR 20170164959 A KR20170164959 A KR 20170164959A KR 101901261 B1 KR101901261 B1 KR 101901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user
virtual reality
information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4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수
주학중
이태화
Original Assignee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1649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0126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01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0126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1/02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for inducing sleep or relaxation, e.g. by direct nerve stimulation, hypnosis, analgesia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7Head mount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1/00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 A61M2021/0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 A61M2021/0044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 A61M2021/005Other devices or methods to cause a change in the state of consciousness;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by mechanical, optical, or acoustical means, e.g. for hypnosis by the use of a particular sense, or stimulus by the sight sense images, e.g. video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05/0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 A61M2205/50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apparatus with microprocessors or computers
    • A61M2205/502User interfaces, e.g. screens or keyboards
    • A61M2205/507Head Mounted Displays [HM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4Heartbeat characteristics, e.g. ECG, blood pressure modulation
    • A61M2230/06Heartbeat rate on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08Other bio-electrical signals
    • A61M2230/10Electroencephalographic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230/00Measuring parameters of the user
    • A61M2230/63Motion, e.g. physical activity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4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haracterised by the informative content of the displa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Psych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mat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가상현실시스템은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자로부터 생체반응정보 및 체험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는 VR시스템부; 상기 VR시스템부로부터 실행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입력받아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상기 VR시스템부에 입력하는, HMD모듈; 및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자가 상기 HMD모듈을 착용하고, 상기 VR시스템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가상현실컨텐츠를 체험하는 체험공간;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구현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Method, Device, and Computer-Readable Medium for Virtual-Reality}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몰입형컨텐츠, 활동형컨텐츠, 및 통합형컨텐츠로 구분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고, 이러한 가상현실 컨텐츠의 종료 시 회귀컨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현실 적응을 돕는,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가상현실 시스템에 연결된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가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컨텐츠를 체험하면서, 마치 현실에서 체험하는 것과 같은 높은 몰입도와 체험도를 얻을 수 있었다.
다만, 이와 같은 가상현실 시스템을 사용하여 단순히 제공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체험하는 것뿐만이 아닌, 사용자의 정서적인 안정이나 정신적 장애에 대한 치료효과를 얻기 위한 목적의 연구가 진행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몰입형컨텐츠, 활동형컨텐츠, 및 통합형컨텐츠로 구분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하고, 이러한 가상현실 컨텐츠의 종료 시 회귀컨텐츠를 제공하여 사용자의 현실 적응을 돕는,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으로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자로부터 생체반응정보 및 체험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는 VR시스템부; 상기 VR시스템부로부터 상기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상기 VR시스템부에 입력하는 HMD모듈; 및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자가 상기 HMD모듈을 착용하고, 상기 VR시스템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가상현실컨텐츠를 체험하는 체험공간;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도, 상기 센서부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화상센서모듈;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는 위치센서모듈; 상기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모듈; 상기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동작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도, 상기 센서부는 복수의 상기 화상센서모듈, 및 복수의 상기 위치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센서모듈은 상기 체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센서모듈은 상기 체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위치에 대한 좌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도, 상기 복수의 위치센서모듈은, 각각의 위치센서모듈이 상기 체험공간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위치센서 모듈로부터 측정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위치에 대한 좌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도, 상기 VR시스템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입력 받는 센싱정보수집부;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하는 컨텐츠선별부; 및 선별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실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도, 상기 컨텐츠선별부는,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상태를 판별하여 사용자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상태판별부; 및 생성된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상호전환에 대한 기설정된 전환요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하는 컨텐츠전환판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도,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몰입형컨텐츠;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가상현실 컨텐츠 내의 활동을 유도하는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들의 상호관계를 유도하는 통합형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실행부는,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에서 선별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에서 상기 몰입형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를 실행하는 몰입형컨텐츠실행부;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에서 상기 활동형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실행하는 활동형컨텐츠실행부; 및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에서 상기 통합형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실행하는 통합형컨텐츠실행부;를 포함할 수 잇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도,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현실복귀 적응을 돕는 회귀컨텐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실행부는,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에 의하여 상기 회귀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회귀컨텐츠를 실행하는 회귀컨텐츠실행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도, 상기 기설정된 전환요건은,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에 대한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기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는 것을 요건으로 하는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상기 체험정보에 대한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활동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요건으로 하는 통합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실행 중에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에 대한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사용자가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것을 요건으로 하는 회귀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도,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 중에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판별부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판별하여 사용자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하고,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회귀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실행부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의 생체반응정보 중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을 기초로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가상현실 공간 상의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의 위치를 변경하고, 이펙트음향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도,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 중에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판별부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판별하여 사용자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합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통합형컨텐츠전환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하고,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회귀컨텐츠를 상기 VR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하고, 상기 통합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활동형컨텐츠실행부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의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가상현실 공간 상의 상기 아바타오브젝트의 위치 및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도, 상기 통합형컨텐츠의 실행 중에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판별부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판별하여 사용자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귀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종료하고 상기 회귀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하고,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통합형컨텐츠실행부는 서버에 접속한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가상환경에 상기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통합형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합형컨텐츠의 가상현실 공간상의 상기 아바타오브젝트의 위치 및 동작을 변경하고, 상기 HMD모듈을 통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통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와 상호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도,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는,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는 중에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종료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회귀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도, 상기 회귀컨텐츠는, 실행이 종료되는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중 어느 하나의 장면을 재생하고, 상기 실행이 종료되는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의 가상공간 상의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를 상기 화상센서 모듈로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으로 단계적으로 천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가상현실 제공방법으로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은 센서부, VR시스템부, HMD모듈, 및 체험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자로부터 생체반응정보 및 체험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단계;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상기 센서단계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는 VR시스템단계; 및 상기 HMD모듈에서, 상기 VR시스템단계로부터 상기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상기 VR시스템부에 입력하는 HMD단계; 및 상기 체험공간에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자가 상기 HMD모듈을 착용하고, 상기 VR시스템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가상현실컨텐츠를 체험하는 체험단계;를 포함하는 가상현실 제공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도, 상기 센서단계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화상센서단계;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는 위치센서단계; 상기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단계;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동작센서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몇 실시예에서도, 상기 VR시스템단계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입력 받는 센싱정보수집단계;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하는 컨텐츠선별단계; 및 선별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실행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가상현실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은 센서부, VR시스템부, 및 HMD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구성요소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자로부터 생체반응정보 및 체험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단계;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상기 센서단계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는 VR시스템단계; 및 상기 HMD모듈에서, 상기 VR시스템단계로부터 상기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상기 VR시스템부에 입력하는 HMD단계; 및 상기 체험공간에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자가 상기 HMD모듈을 착용하고, 상기 VR시스템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가상현실컨텐츠를 체험하는 체험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가능매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현실 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정서적 안정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신적 장애를 가진 사용자에게 치료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상태정보를 기초로 몰입형컨텐츠, 활동형컨텐츠, 및 통합형컨텐츠로 구분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단계적으로 제공함으로써 정신적 장애를 가진 사용자에게 효율적으로 치료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가상현실 시스템 종료 시 회귀컨텐츠를 제공함으로써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현실적응을 도울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센서부를 구성하는 모듈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스템의 체험공간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스템 체험공간을 구성하는 위치센서에 의한 사용자의 위치측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시스템의 내부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가상현실 컨텐츠의 제공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입형컨텐츠의 실행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입형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가 공중부양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동형컨텐츠의 실행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동형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의 활동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컨텐츠의 실행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컨텐츠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연결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귀컨텐츠 실행의 세부단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의 가상공간 상의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로부터 사용자의 영상으로 단계적으로 천이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구현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이하에서는, 다양한 실시예들 및/또는 양상들이 이제 도면들을 참조하여 개시된다. 하기 설명에서는 설명을 목적으로, 하나이상의 양상들의 전반적 이해를 돕기 위해 다수의 구체적인 세부사항들이 개시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상(들)은 이러한 구체적인 세부사항들 없이도 실행될 수 있다는 점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이후의 기재 및 첨부된 도면들은 하나 이상의 양상들의 특정한 예시적인 양상들을 상세하게 기술한다. 하지만, 이러한 양상들은 예시적인 것이고 다양한 양상들의 원리들에서의 다양한 방법들 중 일부가 이용될 수 있으며, 기술되는 설명들은 그러한 양상들 및 그들의 균등물들을 모두 포함하고자 하는 의도이다.
또한, 다양한 양상들 및 특징들이 다수의 디바이스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는 시스템에 의하여 제시될 것이다. 다양한 시스템들이, 추가적인 장치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모듈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또는 도면들과 관련하여 논의된 장치들, 컴포넌트들, 모듈들 등 전부를 포함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점 또한 이해되고 인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실시예", "예", "양상", "예시" 등은 기술되는 임의의 양상 또는 설계가 다른 양상 또는 설계들보다 양호하다거나, 이점이 있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을 수도 있다. 아래에서 사용되는 용어들 '~부', '컴포넌트', '모듈', '시스템', '인터페이스' 등은 일반적으로 컴퓨터 관련 엔티티(computer-related entity)를 의미하며, 예를 들어,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소프트웨어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포함한다" 및/또는 "포함하는"이라는 용어는, 해당 특징 및/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지만, 하나이상의 다른 특징, 구성요소 및/또는 이들의 그룹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별도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시스템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으로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자로부터 생체반응정보 및 체험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2000); 상기 센서부(200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는 VR시스템부(1000); 및 상기 VR시스템부(1000)으로부터 상기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상기 VR시스템부(1000)에 입력하는 HMD모듈(3000); 및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자가 상기 HMD모듈을 착용하고, 상기 VR시스템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가상현실컨텐츠를 체험하는 체험공간;을 포함하는, 가상현실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은 상기 센서부(2000), 상기 VR시스템부(1000) 및 상기 HMD모듈(3000)로 구성되어,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자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가상공간에서의 체험을 통하여 정서적인 안정을 얻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 공황장애, 경도인지장애, 및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ADHD) 등과 같은 정신적 장애를 가진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가상공간에서의 체험을 통하여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정신적 장애는 외상후스트레스장애(PTSD)와 같은 상술한 정신적 장애의 종류에 한정되지 않고, 경미한 정신적 장애로부터 중증 정신적 장애에 이르기까지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가상공간에서의 체험을 통하여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정신적 장애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가상공간을 체험하기 위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은 상기 가상공간과 구분되는 체험공간을 필요로 한다. 즉, 상기 가상공간은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통하여 만들어 진 실제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상기 사용자가 실제로 체험하는 것과 같이 느낄 수 있도록 제공되는 허구의 공간이고, 상기 체험공간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상기 가상공간을 체험하기 위하여 상기 사용자가 실제로 움직이고, 이러한 사용자의 움직임이 입력되어 상기 가상공간에서의 동작을 입력할 할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한다.
상기 센서부(2000)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자로부터 생체반응정보 및 체험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생체반응정보는 뇌파, 맥박, 및 심전도 등과 같이, 상기 센서부(2000)를 구성하는 모듈들의 일부가 상기 가상현실시스템의 사용자의 신체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시스템을 사용하는 동안 상기 사용자의 신체로부터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생체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체험정보는 상기 사용자가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가상공간에서의 체험을 하기 위하여 실제로 동작하는 체험공간에서 움직인 거리, 방향, 및 동작 등과 같이, 상기 센서부(2000)를 구성하는 모듈들의 일부를 이용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시스템을 사용하는 동안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움직임으로부터 측정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정보를 의미한다.
상기 VR시스템부(1000)은 상기 센서부(2000)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가상현실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VR시스템부(1000)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컨텐츠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의 정서적 안정의 목적을 위하여 제공되거나, 혹은 상기 사용자의 정신적 장애의 치료 목적을 위하여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VR시스템부(1000)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컨텐츠를 사용함으로써 얻는 경험을 통하여 정서적 안정을 얻거나 혹은 정신적 장애의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HMD(Head Mounted Display)모듈은 상기 VR시스템부(1000)으로부터 상기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상기 VR시스템부(1000)에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을 사용하기 위하여 안경을 착용하는 방식으로 상기 HMD모듈(3000)을 착용하고, 상기 HMD모듈(3000)을 통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제공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제로 체험하는 것과 같은 높은 체험도를 얻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신체에 착용되는 센서부를 구성하는 모듈들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2000)는 상기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모듈(2300); 상기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모듈(2400);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동작센서모듈(250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뇌파측정모듈(2300)은 상기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뇌파측정모듈(2300)은 상기 생체반응정보 중의 하나인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뇌파측정모듈(2300)은 상기 생체반응정보 중의 하나인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뇌파는 상기 VR시스템부(1000)에 입력되어, 상기 사용자의 정서적인 안정상태를 예측하고,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결정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맥박측정모듈(2400)은 상기 사용자의 손목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할 수 있다. 즉, 상기 맥박측정모듈(2400)은 상기 생체반응정보 중의 하나인 상기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맥박측정모듈(2400)은 상기 생체반응정보 중의 하나인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할 수 있고, 이와 같이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맥박은 상기 VR시스템부(1000)에 입력되어, 상기 사용자의 정서적인 안정상태를 예측하고,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결정하는데 기초가 될 수 있다.
상기 동작센서모듈(2500)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움직임을 측정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동작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상기 동작센서모듈(2500)은 상기 체험정보 중의 하나인 상기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동작정보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측정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동작정보는 상기 VR시스템부(1000)에 입력되어,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결정하는데 기초가 되거나, 상기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제공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체험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동작센서모듈(2500)은 가속도센서, 혹은 자이로센서 등과 같이 사용자의 몸에 부착되거나 혹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소지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는 센서모듈을 포함하고, 혹은 적외선 센서 혹은 캠코더 등과 같이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움직임을 영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센서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센서부(2000)를 구성하는 상기 뇌파측정모듈(2300), 및 상기 맥박측정모듈(2400)로 측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뇌파 및 상기 맥박을 포함하는 상기 생체반응정보가 상기 VR시스템부(1000)에 입력되고, 상기 센서부(2000)를 구성하는 상기 동작센서모듈(2500)로 측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움직임을 포함하는 상기 체험정보가 상기 VR시스템부(1000)에 입력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스템의 체험공간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부(2000)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화상센서모듈(2100);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는 위치센서모듈(22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상센서모듈(2100) 및 상기 위치센서모듈(2200)은 상기 체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동작센서모듈(2500)과 함께 상기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움직임을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움직임이 상기 VR시스템부(1000)에 입력되어 상기 사용자의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가상공간에서의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화상센서모듈(2100)은 상기 체험공간에서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화상센서모듈(2100)은 상기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화상정보를 얻기 위한 카메라, 및 캠코더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영상기록장치를 의미한다.
또한 상기 위치센서모듈(2200)은 상기 체험공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위치센서모듈(2200)은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저전력 블루투스를 통한 Beacon, 및 적외선 센서 등을 포함하는 모든 종류의 거리 혹은 위치 측정 센서를 의미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체험공간은 복수의 상기 화상센서모듈(2100), 및 복수의 상기 위치센서모듈(2200)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센서모듈(2100)은 상기 체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센서모듈(2200)은 상기 체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위치에 대한 좌표를 얻을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상기 화상센서모듈(2100) 및 복수의 상기 위치센서모듈(2200)을 상기 체험공간에 배치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센서모듈(2100)은 상기 체험공간에 배치되어 여러 각도에서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영상을 촬영하여 얻은 상기 사용자의 화상정보를 상기 VR시스템부(1000)에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위치센서모듈(2200)은 상기 체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위치센서모듈(2200)로부터 상기 사용자까지의 거리를 측정하여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상기 사용자의 위치좌표를 얻고,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상기 사용자의 위치정보를 상기 VR시스템부(1000)에 입력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센서부(2000)를 구성하는 상기 화상센서모듈(2100), 및 상기 위치센서모듈(2200), 및 상기 동작센서모듈(2500)로 측정되는 상기 사용자의 체험공간에서의 화상정보, 위치정보, 및 동작정보가 상기 VR시스템부(1000)에 입력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스템 체험공간을 구성하는 위치센서에 의한 사용자의 위치측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복수의 위치센서모듈(2200)은, 각각의 위치센서모듈(2200)이 상기 체험공간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위치센서 모듈로부터 측정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위치에 대한 좌표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위치센서 모듈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험공간의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다.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된 상기 복수의 위치센서 모듈 각각은 상기 체험공간 내의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센서모듈(2200) 각각으로부터 측정된 상기 체험공간 내의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 내의 위치에 대한 좌표를 얻을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VR 시스템의 내부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상기 VR시스템부(1000)은 프로세서(100), 버스(프로세서, 메모리, 네트워크인터페이스부 사이의 양방향 화살표에 해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00) 및 메모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00)는 OS(310), 사용자정보 (320), 프로그램실행코드(33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0)는 센싱정보수집부(110), 컨텐츠선별부(120), 사용자정보관리부, 및 컨텐츠실행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상기 VR시스템부(1000)은 도 5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300)는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및 디스크 드라이브와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기록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에는 상기 운영체제(310), 상기 사용자정보(320), 및 상기 프로그램 실행코드(330)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드라이브 메커니즘(drive mechanism, 미도시)을 이용하여 상기 메모리(30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아닌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0) 를 통해 상기 메모리(30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상기 버스는 상기 VR시스템부(1000)의 구성요소들간의 통신 및 데이터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기 버스는 고속 시리얼 버스(high-speed serial bus), 병렬 버스(parallel bus), SAN(Storage Area Network) 및/또는 다른 적절한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0)는 상기 VR시스템부(1000)을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하기 위한 컴퓨터 하드웨어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B)는 상기 VR시스템부(1000)을 무선 또는 유선 커넥션을 통해 상기 컴퓨터 네트워크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0)를 통하여 상기 VR시스템부(1000)이 다른 전자장치 등에 무선적 혹은 유선적으로 접속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압축 패키지 파일에 대한 이미지 최적화 방법의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상기 메모리(300) 또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00)에 의해, 그리고 상기 버스를 통해 상기 프로세서(100)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100)는 상기 센싱정보수집부(110), 상기 컨텐츠선별부(120), 상기 사용자정보관리부 및 상기 컨텐츠실행부(140)를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메모리(30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센싱정보수집부(110), 상기 컨텐츠선별부(120), 상기 사용자정보관리부 및 상기 컨텐츠실행부(140)는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상기 VR시스템부(1000)을 구현하기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프로세서(100)는 상기 VR시스템부(1000)의 구현하는 방법에 따라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가 더 포함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가 결합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상기 VR시스템부(1000)은 바람직하게는 개인용 컴퓨터 혹은 서버에 해당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스마트 폰(smart phone)과, 태블릿(tablet)과, 이동 전화기와, 화상 전화기와, 전자책 리더(e-book reader)와, 데스크 탑(desktop) PC와, 랩탑(laptop) PC와, 넷북(netbook) PC와, 개인용 복합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이하 'PDA'라 칭하기로 한다)와, 휴대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이하 'PMP'라 칭하기로 한다)와, 엠피3 플레이어(mp3 player)와, 이동 의료 디바이스와, 카메라와,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와, 전자 의류와, 전자 팔찌와, 전자 목걸이와,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와, 전자 문신, 혹은 스마트 워치(smart watch) 등에 해당할 수 있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VR시스템부(1000)은, 상기 센서부(2000)로부터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입력 받는 센싱정보수집부(110);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VR시스템부(1000)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하는 컨텐츠선별부(120); 및 선별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실행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센싱정보수집부(110)는 상기 센서부(2000)로부터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입력받고, 이와 같이 입력된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상기 VR시스템부(1000)을 구성하는 모듈 중 상기 생체반응정보 혹은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연산을 하거나 동작을 수행하는 모듈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선별부(120)는 상기 센싱정보수집부(110)로부터 입력된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VR시스템부(1000)에서 실행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한다.
즉,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태를 판별하고, 상태가 판별된 상기 사용자에 적합한 컨텐츠를 선별함으로써,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정서적인 안정 혹은 정신적 치료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실행부(140)는 상기 선별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한다. 즉, 상기 컨텐츠실행부(140)는 상기 컨텐츠선별부(120)에서 상기 사용자의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선별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컨텐츠실행부(140)에 의하여 실행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정보 및 음향정보는 상기 HMD모듈(3000)에 입력되고, 상기 HMD모듈(3000)에 입력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정보 및 음향정보는 상기 HMD모듈(3000)의 디스플레이장치 및 스피커장치에서 영상 및 음향으로 변환되어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선별부(120)는,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상태를 판별하여 사용자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상태판별부(121); 및 생성된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상호전환에 대한 기설정된 전환요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VR시스템부(1000)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하는 컨텐츠전환판별부(1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컨텐츠선별부(120)는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생성된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VR시스템부(1000)에서 실행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상호 전환에 대한 기설정된 전환요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VR시스템부(1000)에서 실행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상태판별부(121)는 상기 사용자의 뇌파 및 맥박을 포함하는 상기 생체반응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정서적 안정상태 및 상기 사용자의 정신적 장애상태를 판별하거나, 상기 사용자의 화상정보, 위치정보, 및 동작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가상공간 상의 활동을 판별하여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는 상기 사용자상태판별부(121)로부터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입력받고,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VR시스템부(1000)에서 실행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상호전환에 대한 기설정된 전환요건을 충족하는지 여부를 판별하고, 이를 기초로, 실행되고 있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다른 종류의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로 전환하거나, 혹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선별되어 실행되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정보 및 음향정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HMD모듈(3000)로 입력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가상현실 컨텐츠의 제공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몰입형컨텐츠;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가상현실 컨텐츠 내의 활동을 유도하는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들의 상호관계를 유도하는 통합형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실행부(140)는,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에 의하여 상기 몰입형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를 실행하는 몰입형컨텐츠실행부(141); 상기 활동형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실행하는 활동형컨텐츠실행부(142);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실행하는 통합형컨텐츠실행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몰입형컨텐츠는 상기 사용자의 정서적인 안정을 유도하는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서, 상기 컨텐츠선별부(120)에 의하여 선별될 수 있다.
즉, 상기 사용자의 뇌파 및 맥박을 포함하는 상기 생체반응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가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있어서 정서적으로 안정될 필요가 있는 경우에 상기 컨텐츠선별부(120)에 의하여 선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몰입형컨텐츠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는 정서적으로 안정될 수 있다.
상기 활동형컨텐츠는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나 공황장애와 같이 특정상황의 자극에 노출되어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는 정신적 장애가 있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서, 상기 컨텐츠선별부(120)에 의하여 선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활동형컨텐츠는 상기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 혹은 공황장애와 같은 정신적 장애가 있는 사용자의 치료효과를 얻기 위하여 노출되어야 하는 특정상황에 따라 구현되고, 결과적으로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통하여 상기 정신적 장애가 있는 사용자의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가상공간에서의 활동을 유도함으로써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통합형컨텐츠는 대인기피증과 같이 사회에서 사람들과의 관계를 형성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서, 상기 컨텐츠선별부(120)에 의하여 선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합형컨텐츠는 상기 사용자가 상기 통합형컨텐츠의 가상공간에서 다른 사용자와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구현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의 상기 통합형컨텐츠의 가상공간에서의 활동을 유도함으로써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상기 컨텐츠실행부(140)는 상기 몰입형컨텐츠실행부(141), 상기 활동형컨텐츠실행부(142),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실행부(143)를 포함하고,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 컨텐츠 중에서 상기 컨텐츠선별부(120)에 의하여 선별된 어느 하나를 실행할 수 있다.
즉, 상기 몰입형컨텐츠실행부(141)는 상기 컨텐츠선별부(120)에 의하여 상기 몰입형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를 실행한다.
상기 활동형컨텐츠실행부(142)는 상기 컨텐츠선별부(120)에 의하여 상기 활동형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실행한다.
상기 통합형컨텐츠실행부(143)는 상기 컨텐츠선별부(120)에 의하여 상기 통합형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실행한다.
이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컨텐츠선별부(120)에 의하여 선별된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가 상기 컨텐츠실행부(140)에서 실행될 수도 있지만,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가 단계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실행부(140)는,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에 의하여 상기 몰입형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를 실행하는 몰입형컨텐츠실행부(141);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에 의하여 상기 활동형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실행하는 활동형컨텐츠실행부(142); 및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에 의하여 상기 통합형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실행하는 통합형컨텐츠실행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위와 같은 방식으로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단계적으로 실행함으로써, 상기 몰입형컨텐츠를 통하여 정서적인 안정을 얻은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사용함으로써 정신적 장애에 대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사용자가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사용하여 정서적 안정감을 얻거나 혹은 정신적 장애의 치료효과를 얻을 수도 있지만, 반대로 정서적으로 불안정해지거나 혹은 정서적으로 불안정해짐으로써 상기 사용자의 정신적인 장애가 악화될 수 있다.
따라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현실복귀 적응을 돕는 회귀컨텐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실행부(140)는,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에 의하여 상기 회귀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회귀컨텐츠를 실행하는 상기 회귀컨텐츠실행부(1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회귀컨텐츠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현실복귀 적응을 돕기 위하여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서,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에 의하여 선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기설정된 전환요건은,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에 대한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기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는 것을 요건으로 하는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체험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활동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요건으로 하는 통합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실행 중에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에 대한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사용자가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것을 요건으로 하는 회귀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가 단계적으로 실행되는 경우, 충족여부를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는 상기 몰입형컨텐츠로부터 상기 활동형컨텐츠로의 전환에 대한 상기 기설정된 전환요건인 상기 활동현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활동형컨텐츠로부터 상기 통합형컨텐츠로의 전환에 대한 상기 기설정된 전환요건인 상기 통합형컨텐츠전환요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가 단계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은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를 통하여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사용자의 뇌파 및 맥박에 대한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사용자가 정서적으로 안정상태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선별함으로써, 상기 활동형컨텐츠실행부(142)는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실행한다. 즉,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사용자가 정서적으로 안정상태에 도달했음을 판별할 수 있는 기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는 경우를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으로 설정할 수 있다.
상기 통합형컨텐츠전환요건은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를 통하여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사용자의 상기 체험정보에 대한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사용자가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활동목표를 달성하는 경우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선별함으로써, 상기 통합형컨텐츠실행부(143)는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실행한다.
즉, 이와 같은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를 통하여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전환요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함으로써,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단계적으로 선별하고, 각각의 컨텐츠실행부(140)에서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단계적으로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귀조건은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를 통하여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실행 중에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뇌파 및 맥박에 대한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사용자가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회귀컨텐츠를 선별함으로써, 상기 회귀컨텐츠실행부(144)는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실행 중인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종료하고 상기 회귀 컨텐츠를 실행한다.
즉,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 중 어느 하나가 실행 중이더라도 상기 회귀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실행 중인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 중 어느 하나를 종료하고 상기 회귀컨텐츠를 실행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현실복귀 적응을 도울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입형컨텐츠의 실행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상태정보판별부는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판별하여 사용자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하고,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회귀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실행부(141)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의 생체반응정보 중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을 기초로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가상현실 공간 상의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의 위치를 변경하고, 이펙트음향정보를 재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몰입형컨텐츠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선별부(120)를 구성하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판별부는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뇌파 및 맥박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판별하여 사용자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컨텐츠선별부(120)를 구성하는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뇌파 및 맥박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를 통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뇌파 및 맥박에 대한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기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는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정서적으로 안정상태에 도달하였음을 알 수 있고, 다음 단계인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함으로써,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체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를 통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뇌파 및 맥박에 대한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도달함을 나타내는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회귀컨텐ㅊ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함으로써,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을 종료하고 현실에 복귀하여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몰입형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가 공중부양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반면에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를 통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뇌파 및 맥박에 대한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실행부(141)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의 생체반응정보 중 뇌파 및 맥박을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가상현실 공간 상의 아바타오브젝트의 위치를 변경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뇌파 및 맥박에 대한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란,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몰입형컨텐츠를 사용하여 정서적으로 안정상태에 도달하여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실행하기 전의 단계를 의미한다. 즉, 상기 가상현시사용자의 뇌파 및 맥박에 대한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기설정된 임계치에 도달되기 전의 상태를 의미한다.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이와 같은 상태에 있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몰입형컨텐츠에 투영된 상기 몰입형컨텐츠에 존재하는 가상공간 상의 인격인 상기 아바타오브젝트를 통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정서적인 상태를 표현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뇌파 및 맥박이 정서적인 안정상태에 도달함에 따라,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가상현실 공간상의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의 위치가 점점 상승하는 공중부양의 형태로 상기 몰입형컨텐츠를 실행할 수 있다.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는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가상현실 공간상의 상기 아바타오브젝트의 위치가 점점 상승함으로써 더 깊은 정서적인 안정상태에 도달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새소리, 물소리 등과 같은 자연으로부터 들을 수 있는 소리를 포함하는 상기 이펙트음향정보를 상기 몰입형컨텐츠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몰입형컨텐츠를 사용하는 상기 사용자가 정서적인 안정상태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도움을 줄 수 있다. 즉, 상기 이펙트음향정보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청취함으로써 정서적인 안정상태에 도달하도록 도움을 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음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가상현실 공간상의 상기 아바타오브젝트의 위치가 점점 상승함으로써 더 깊은 정서적인 안정상태에 도달하여 상기 임계치에 도달하는 경우,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을 만족하여,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할 수 있다.
도 9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동형컨텐츠의 실행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상태정보판별부는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판별하여 사용자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합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통합형컨텐츠전환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하고,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회귀컨텐츠를 상기 VR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하고, 상기 통합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활동형컨텐츠실행부(142)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의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가상현실 공간 상의 아바타오브젝트의 위치 및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활동형컨텐츠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선별부(120)를 구성하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판별부는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뇌파 및 맥박을 포함하는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판별하여 사용자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컨텐츠선별부(120)를 구성하는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는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합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한다.
먼저,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를 통하여 상기 체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활동목표를 달성하는 경우에는, 다음 단계인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함으로써,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체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를 통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뇌파 및 맥박에 대한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도달함을 나타내는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회귀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함으로써,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을 종료하고 현실에 복귀하여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동형컨텐츠를 이용한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의 활동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반면에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통합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활동형컨텐츠실행부(142)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의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가상현실 공간 상의 상기 아바타오브젝트의 위치 및 동작을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통합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란,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사용하여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활동목표를 달성하지 못하고,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는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빠지지도 않은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이와 같은 상태에 있는 경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는 상기 활동형컨텐츠에 투영된 상기 활동형컨텐츠에 존재하는 가상공간 상의 인격인 상기 아바타오브젝트를 통하여 상기 활동형컨텐츠에 구현된 특정상황을 체험할 수 있다.
즉,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체험정보를 기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가상현실 공간 상의 상기 아바타오브젝트의 위치 및 동작을 변경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체험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달성할 수 있는 목표를 달성하도록 유도하여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체험하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정신적인 장애 상태에 대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컨텐츠의 실행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사용자상태정보판별부는 상기 통합형컨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판별하여 사용자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귀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종료하고 상기 회귀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하고,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통합형컨텐츠실행부(143)는 서버(4000)에 접속한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가상환경에 상기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를 포함하는 통합형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4000)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상태정보의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가상현실 공간 상의 아바타오브젝트의 위치 및 동작을 변경하고, 상기 HMD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통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와 상호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통합형컨텐츠가 실행되는 경우, 상기 컨텐츠선별부(120)를 구성하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판별부는 상기 통합형컨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뇌파 및 맥박을 포함하는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판별하여 사용자상태정보를 생성한다.
상기 컨텐츠선별부(120)를 구성하는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뇌파 및 맥박을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귀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를 통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뇌파 및 맥박에 대한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도달함을 나타내는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회귀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함으로써,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을 종료하고 현실에 복귀하여 적응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형컨텐츠를 이용하여 다수의 사용자가 연결되는 방법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반면에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122)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통합형컨텐츠실행부(143)는 서버(4000)에 접속한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가상환경에 상기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통합형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4000)로 송신하고, 상기 사용자상태정보의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합형컨텐츠의 가상현실 공간 상의 아바타오브젝트의 위치 및 동작을 변경하고, 상기 HMD모듈을 통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통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와 상호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란,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사용하여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는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빠지지 않은 경우를 의미한다.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이와 같은 상태에 있는 경우, 도 12에 도시된 바와 상기 통합형컨텐츠실행부(143)는 상기 서버(4000)에 접속한 모든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를 포함하는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가상현실 공간 상의 위치 및 동작을 변경하고, 상기 통합형컨텐츠 내에 포함된 모든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와 상기 HMD모듈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통하여 대화하는 방식으로 상호관계를 쌓을 수 있다.
즉,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합형컨텐츠의 가상현실 공간 상의 상기 아바타오브젝트의 위치 및 동작을 변경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체험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상기 통합컨텐츠를 이용하여 상기 서버(4000)에 접속한 상기 다른 사용자와의 상호관계를 유도함으로써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체험하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정신적인 장애 상태에 대한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는,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는 중에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종료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회귀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할 수 있다.
즉,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는 상기 회귀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회귀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할 수 있지만, 이에 더하여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종료신호가 입력되는 경우에도,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회귀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회귀컨텐츠를 통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사용을 종료하고 현실 복귀에 쉽게 적응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귀컨텐츠 실행의 세부단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회귀컨텐츠는, 실행이 종료되는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중 어느 하나의 장면을 재생하고, 상기 실행이 종료되는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의 가상공간 상의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를 상기 화상센서 모듈로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으로 단계적으로 천이할 수 있다.
즉, 이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자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을 종료 후에도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가상공간 상의 상기 아바타오브젝트에 상기 사용자의 영상이 천이되게 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상황에서 실제 현실로 적응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상현실 컨텐츠의 가상공간 상의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로부터 사용자의 영상으로 단계적으로 천이되는 모습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에 따르면, 도 9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처음에는 상기 회귀컨텐츠를 실행하는 경우,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가상공간 상의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가 100%로 실행된다. 하지만 상기 회귀컨텐츠의 실행방법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영상으로 단계적으로 천이됨에 따라, 도 9의 (B)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의 안면부분을 단계적으로 천이하는 방식으로 겹치게 하여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가 80%로 실행되고, 상기 사용자의 영상이 20%로 실행되고, 도 9의 (C)에서는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가 40%로 실행되고, 상기 사용자의 영상이 60%로 실행되고, 최종적으로 도 9의 (D)에서는 촬영한 상기 사용자 영상이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를 100% 대체하여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가상공간으로부터 빠져 나와 현실에 쉽게 적응하도록 도울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구현방법을 실행하는 컴퓨팅 장치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에 의하여 구현되는 가상현실 제공방법은 도 15에 도시된 컴퓨팅 장치(11000)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도 1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컴퓨팅 장치(11000)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11100), 메모리(memory)(11200), 주변장치 인터페이스(peripheral interface)(11300), 입/출력 서브시스템(I/Osubsystem)(11400), 전력 회로(11500) 및 통신 회로(11600)를 적어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컴퓨팅 장치(11000)는 상기 센서부(2000), VR시스템부(1000), 및 HMD모듈(3000)을 포함하거나, 상기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에 의하여 상기 센서부(2000), VR시스템부(1000), 및 HMD모듈(3000)에 연결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일례로 고속 랜덤 액세스 메모리(high-speed random access memory), 자기 디스크, 에스램(SRAM), 디램(DRAM), 롬(ROM), 플래시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12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동작에 필요한 소프트웨어 모듈, 명령어 집합 또는 그밖에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1100)나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 등의 다른 컴포넌트에서 메모리(11200)에 액세스하는 것은 프로세서(1110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입력 및/또는 출력 주변장치를 프로세서(11100) 및 메모리 (112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11100)는 메모리(11200)에 저장된 소프트웨어 모듈 또는 명령어 집합을 실행하여 컴퓨팅 장치(11000)을 위한 다양한 기능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다양한 입/출력 주변장치들을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은 모니터나 키보드, 마우스, 프린터 또는 필요에 따라 터치스크린이나 센서등의 주변장치를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시키기 위한 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르면, 입/출력 주변장치들은 입/출력 서브시스템(11400)을 거치지 않고 주변장치 인터페이스(11300)에 결합될 수도 있다.
전력 회로(11500)는 단말기의 컴포넌트의 전부 또는 일부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회로(11500)는 전력 관리 시스템, 배터리나 교류(AC)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전원, 충전 시스템, 전력 실패 감지 회로(power failure detection circuit), 전력 변환기나 인버터, 전력 상태 표시자 또는 전력 생성, 관리, 분배를 위한 임의의 다른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회로(1160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포트를 이용하여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통신 회로(11600)는 RF 회로를 포함하여 전자기 신호(electromagnetic signal)라고도 알려진 RF 신호를 송수신함으로써, 다른 컴퓨팅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도 15의 실시예는, 컴퓨팅 장치(11000)의 일례일 뿐이고, 컴퓨팅 장치(11000)은 도 15에 도시된 일부 컴포넌트가 생략되거나, 도 19에 도시되지 않은 추가의 컴포넌트를 더 구비하거나, 2개 이상의 컴포넌트를 결합시키는 구성 또는 배치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환경의 통신 단말을 위한 컴퓨팅 장치는 도 15에도시된 컴포넌트들 외에도, 터치스크린이나 센서 등을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통신 회로(1160)에 다양한 통신방식(WiFi, 3G, LTE, Bluetooth, NFC, Zigbee 등)의 RF 통신을 위한 회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1000)에 포함 가능한 컴포넌트들은 하나 이상의 신호 처리 또는 어플리케이션에 특화된 집적 회로를 포함하는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다양한 컴퓨팅 장치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instruction)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PC 기반의 프로그램 또는 모바일 단말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은 파일 배포 시스템이 제공하는 파일을 통해 이용자 단말에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일 배포 시스템은 이용자 단말이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파일을 전송하는 파일 전송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장치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장치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 (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팅 장치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8)

  1.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으로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자로부터 생체반응정보 및 체험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는 VR시스템부;
    상기 VR시스템부로부터 상기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상기 VR시스템부에 입력하는 HMD모듈; 및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자가 상기 HMD모듈을 착용하고, 상기 VR시스템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가상현실컨텐츠를 체험하는 체험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화상센서모듈;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는 위치센서모듈;
    상기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모듈;
    상기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부착되어 상기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모듈; 및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동작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VR시스템부는,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입력 받는 센싱정보수집부;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하는 컨텐츠선별부; 및
    선별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선별부는,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상태를 판별하여 사용자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상태판별부; 및
    생성된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상호전환에 대한 기설정된 전환요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하는 컨텐츠전환판별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몰입형컨텐츠;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가상현실 컨텐츠 내의 활동을 유도하는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들의 상호관계를 유도하는 통합형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실행부는,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에서 선별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에서 상기 몰입형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를 실행하는 몰입형컨텐츠실행부;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에서 상기 활동형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실행하는 활동형컨텐츠실행부; 및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에서 상기 통합형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실행하는 통합형컨텐츠실행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현실복귀 적응을 돕는 회귀컨텐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실행부는,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에 의하여 상기 회귀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회귀컨텐츠를 실행하는 회귀컨텐츠실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전환요건은,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에 대한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기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는 것을 요건으로 하는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상기 체험정보에 대한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활동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요건으로 하는 통합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실행 중에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에 대한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사용자가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것을 요건으로 하는 회귀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 중에는,
    상기 사용자상태판별부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판별하여 사용자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하고,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회귀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실행부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의 생체반응정보 중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을 기초로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가상현실 공간 상의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의 위치를 변경하고, 이펙트음향정보를 재생하고,
    상기 회귀컨텐츠는,
    실행이 종료되는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중 어느 하나의 장면을 재생하고,
    상기 실행이 종료되는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의 가상공간 상의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를 상기 화상센서 모듈로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으로 단계적으로 천이하는, 가상현실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는 복수의 상기 화상센서모듈, 및 복수의 상기 위치센서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화상센서모듈은 상기 체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고,
    상기 복수의 위치센서모듈은 상기 체험공간에 배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위치에 대한 좌표를 얻는, 가상현실 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위치센서모듈은,
    각각의 위치센서모듈이 상기 체험공간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고, 상기 각각의 위치센서 모듈로부터 측정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를 기초로 상기 사용자의 상기 체험공간에서의 위치에 대한 좌표를 얻는, 가상현실 시스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 중에는,
    상기 사용자상태판별부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판별하여 사용자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합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통합형컨텐츠전환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하고,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회귀컨텐츠를 상기 VR 시스템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하고,
    상기 통합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활동형컨텐츠실행부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의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가상현실 공간 상의 아바타오브젝트의 위치 및 동작을 변경하는, 가상현실시스템.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통합형컨텐츠의 실행 중에는,
    상기 사용자상태판별부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판별하여 사용자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회귀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종료하고 상기 회귀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하고,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통합형컨텐츠실행부는 서버에 접속한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가상환경에 상기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를 포함하는 통합형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에 대한 정보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고,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통합형컨텐츠의 가상현실 공간상의 상기 아바타오브젝트의 위치 및 동작을 변경하고, 상기 HMD모듈을 통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정보를 통하여 상기 다른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와 상호관계를 형성하는, 가상현실 시스템.
  1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부는,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 중 어느 하나가 실행되는 중에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종료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상기 회귀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하는, 가상현실 시스템.
  14. 삭제
  15.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가상현실 제공방법으로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은 센서부, VR시스템부, HMD모듈, 및 체험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자로부터 생체반응정보 및 체험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단계;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상기 센서단계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는 VR시스템단계; 및
    상기 HMD모듈에서, 상기 VR시스템단계로부터 상기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상기 VR시스템부에 입력하는 HMD단계; 및
    상기 체험공간에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자가 상기 HMD모듈을 착용하고, 상기 VR시스템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가상현실컨텐츠를 체험하는 체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단계는,
    화상센서모듈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화상센서단계;
    위치센서모듈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는 위치센서단계;
    상기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부착되는 뇌파측정모듈로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부착되는 맥박측정모듈로 상기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단계; 및
    동작센서모듈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동작센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VR시스템단계는,
    상기 센서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입력 받는 센싱정보수집단계;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하는 컨텐츠선별단계; 및
    선별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선별단계는,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상태를 판별하여 사용자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상태판별단계; 및
    생성된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상호전환에 대한 기설정된 전환요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하는 컨텐츠전환판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몰입형컨텐츠;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가상현실 컨텐츠 내의 활동을 유도하는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들의 상호관계를 유도하는 통합형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실행단계는,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단계에서 선별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단계에서 상기 몰입형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를 실행하는 몰입형컨텐츠실행단계;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단계에서 상기 활동형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실행하는 활동형컨텐츠실행단계; 및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단계에서 상기 통합형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실행하는 통합형컨텐츠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현실복귀 적응을 돕는 회귀컨텐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실행단계는,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단계에서 상기 회귀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회귀컨텐츠를 실행하는 회귀컨텐츠실행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전환요건은,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에 대한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기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는 것을 요건으로 하는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상기 체험정보에 대한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활동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요건으로 하는 통합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실행 중에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에 대한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사용자가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것을 요건으로 하는 회귀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 중에는,
    상기 사용자상태판별단계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판별하여 사용자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단계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하고,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회귀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실행단계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의 생체반응정보 중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을 기초로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가상현실 공간 상의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의 위치를 변경하고, 이펙트음향정보를 재생하고,
    상기 회귀컨텐츠는,
    실행이 종료되는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중 어느 하나의 장면을 재생하고,
    상기 실행이 종료되는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의 가상공간 상의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를 상기 화상센서 모듈로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으로 단계적으로 천이하는, 가상현실 제공방법.

  16. 삭제
  17. 삭제
  18.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에서 구현되는 가상현실 제공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은 센서부, VR시스템부, 및 HMD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구성요소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며, 상기 단계들은:
    상기 센서부에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자로부터 생체반응정보 및 체험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단계;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상기 센서단계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는 VR시스템단계; 및
    상기 HMD모듈에서, 상기 VR시스템단계로부터 상기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의 영상 및 음향정보를 입력 받아 상기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상기 사용자의 음성정보를 상기 VR시스템부에 입력하는 HMD단계; 및
    체험공간에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의 사용자가 상기 HMD모듈을 착용하고, 상기 VR시스템부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가상현실컨텐츠를 체험하는 체험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단계는,
    화상센서모듈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영상을 촬영하는 화상센서단계;
    위치센서모듈로 상기 사용자로부터의 거리를 측정하는 위치센서단계;
    상기 사용자의 두부(頭部)에 부착되는 뇌파측정모듈로 상기 사용자의 뇌파를 측정하는 뇌파측정단계;
    상기 사용자의 손목부위에 부착되는 맥박측정모듈로 상기 사용자의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측정단계; 및
    동작센서모듈로 상기 사용자의 움직임을 측정하는 동작센서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VR시스템단계는,
    상기 센서단계에서 측정된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입력 받는 센싱정보수집단계;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하는 컨텐츠선별단계; 및
    선별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는 컨텐츠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선별단계는,
    상기 생체반응정보 및 상기 체험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상태를 판별하여 사용자상태정보를 생성하는 사용자상태판별단계; 및
    생성된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의 상호전환에 대한 기설정된 전환요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하여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를 선별하는 컨텐츠전환판별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몰입형컨텐츠;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가상현실 컨텐츠 내의 활동을 유도하는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 접속한 다수의 사용자들의 상호관계를 유도하는 통합형컨텐츠;를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실행단계는,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단계에서 선별된 가상현실 컨텐츠를 실행하고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단계에서 상기 몰입형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를 실행하는 몰입형컨텐츠실행단계;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단계에서 상기 활동형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실행하는 활동형컨텐츠실행단계; 및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단계에서 상기 통합형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실행하는 통합형컨텐츠실행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가상현실 컨텐츠는,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에 접속한 사용자의 현실복귀 적응을 돕는 회귀컨텐츠;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컨텐츠실행단계는,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단계에서 상기 회귀컨텐츠가 선별되는 경우, 컨텐츠의 전환에 의하여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회귀컨텐츠를 실행하는 회귀컨텐츠실행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기설정된 전환요건은,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에 대한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기설정된 임계치에 도달하는 것을 요건으로 하는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실행 중에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상기 체험정보에 대한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가 상기 활동형컨텐츠의 활동목표를 달성하는 것을 요건으로 하는 통합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 중 어느 하나의 실행 중에 상기 가상현실 시스템 사용자의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에 대한 사용자상태정보를 판별하여 상기 사용자가 정서적으로 불안정한 상태에 있는 것을 요건으로 하는 회귀조건;을 포함하고,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 중에는,
    상기 사용자상태판별단계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실시간으로 판별하여 사용자상태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컨텐츠전환판별단계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를 기초로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의 충족여부를 판별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하고,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실행을 종료하고 상기 회귀컨텐츠를 상기 VR시스템부에서 실행되는 가상현실 컨텐츠로 선별하고,
    상기 활동형컨텐츠전환요건 및 상기 회귀조건을 충족하지 않는 경우, 상기 몰입형컨텐츠실행단계는 상기 사용자상태정보의 생체반응정보 중 상기 뇌파 및 상기 맥박을 기초로 상기 몰입형컨텐츠의 가상현실 공간 상의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의 위치를 변경하고, 이펙트음향정보를 재생하고,
    상기 회귀컨텐츠는,
    실행이 종료되는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를 중 어느 하나의 장면을 재생하고,
    상기 실행이 종료되는 상기 몰입형컨텐츠, 상기 활동형컨텐츠, 및 상기 통합형컨텐츠의 가상공간 상의 상기 사용자의 아바타오브젝트를 상기 화상센서 모듈로 촬영된 상기 사용자의 영상으로 단계적으로 천이하는, 컴퓨터-판독가능매체


KR1020170164959A 2017-12-04 2017-12-04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구현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KR1019012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959A KR101901261B1 (ko) 2017-12-04 2017-12-04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구현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4959A KR101901261B1 (ko) 2017-12-04 2017-12-04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구현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01261B1 true KR101901261B1 (ko) 2018-09-21

Family

ID=63720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4959A KR101901261B1 (ko) 2017-12-04 2017-12-04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구현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01261B1 (ko)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85229A (zh) * 2019-04-29 2019-08-02 珠海景秀光电科技有限公司 智能虚拟外教信息交互方法及装置
WO2020175759A1 (ko) * 2019-02-25 2020-09-03 주식회사 룩시드랩스 생체 신호 센서 탑재 hmd 기기를 활용한 사용자의 스트레스 분석 및 개인 정신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236219B1 (ko) * 2020-11-06 2021-04-06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가상현실을 이용한 심리질환 케어 시스템
CN112870521A (zh) * 2021-01-11 2021-06-01 西安中盛凯新技术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沉浸式运动心理康复训练系统
KR20220064040A (ko) * 2020-11-11 2022-05-18 모성환 가상 현실 기반 명상 및 심리 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425479B1 (ko) * 2022-03-03 2022-07-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정보로 아바타를 생성하여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에 제공하고 사용자 맞춤형 디지털치료제를 추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445133B1 (ko) * 2022-03-03 2022-09-1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바타를 생성하여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에 제공하고 아바타를 업데이트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445134B1 (ko) * 2022-03-03 2022-09-1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아바타를 생성하고, 아바타에 대한 nft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445135B1 (ko) * 2022-03-03 2022-09-2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버스플랫폼에서 아바타 생성을 위한 아바타의 정보에 대한 위변조 검증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5815A (ja) * 2014-08-26 2016-04-04 泰章 岩井 仮想現実提示システム、仮想現実提示装置、仮想現実提示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45815A (ja) * 2014-08-26 2016-04-04 泰章 岩井 仮想現実提示システム、仮想現実提示装置、仮想現実提示方法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5759A1 (ko) * 2019-02-25 2020-09-03 주식회사 룩시드랩스 생체 신호 센서 탑재 hmd 기기를 활용한 사용자의 스트레스 분석 및 개인 정신건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0085229A (zh) * 2019-04-29 2019-08-02 珠海景秀光电科技有限公司 智能虚拟外教信息交互方法及装置
KR102236219B1 (ko) * 2020-11-06 2021-04-06 주식회사 엠쓰리솔루션 가상현실을 이용한 심리질환 케어 시스템
KR20220064040A (ko) * 2020-11-11 2022-05-18 모성환 가상 현실 기반 명상 및 심리 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568366B1 (ko) * 2020-11-11 2023-08-18 모성환 가상 현실 기반 명상 및 심리 치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CN112870521A (zh) * 2021-01-11 2021-06-01 西安中盛凯新技术发展有限责任公司 一种沉浸式运动心理康复训练系统
KR102425479B1 (ko) * 2022-03-03 2022-07-26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정보로 아바타를 생성하여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에 제공하고 사용자 맞춤형 디지털치료제를 추천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445133B1 (ko) * 2022-03-03 2022-09-1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아바타를 생성하여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에 제공하고 아바타를 업데이트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445134B1 (ko) * 2022-03-03 2022-09-19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사용자의 정보를 기반으로 아바타를 생성하고, 아바타에 대한 nft를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2445135B1 (ko) * 2022-03-03 2022-09-20 가천대학교 산학협력단 메타버스플랫폼에서 아바타 생성을 위한 아바타의 정보에 대한 위변조 검증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1261B1 (ko)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구현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KR101901258B1 (ko) 사용자의 정서안정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구현방법, 및 컴퓨터-판독가능매체
US11894122B2 (en) Exercise feedback provision apparatus and method
KR102023024B1 (ko) 사용자의 상태정보에 따라 피드백을 제공하는 사용자의 정서 증진 및 심리파악을 위한 가상현실 시스템
US11435826B2 (en) Electronic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Rawassizadeh et al. Wearables: Has the age of smartwatches finally arrived?
CN110192248A (zh) 语音输入处理方法和用于支持该方法的电子设备
US984879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media play device
US11157832B2 (en) Machine learning system for predicting optimal interruptions based on biometric data collected using wearable devices
CN107997767A (zh) 用于识别用户活动的方法及其电子设备
US10397350B2 (en) Tracking wearables or other devices for emoji stories
US11747902B2 (en) Machine learning configurations modeled using contextual categorical labels for biosignals
KR102426902B1 (ko) 인지재활을 위한 인공지능 기반의 맞춤형 훈련 시스템
KR102216899B1 (ko) 실시간 영상 및 음성 맵핑을 통해 개인화된 상담이 가능한 심리 상담 방법
US12068080B1 (en) Virtual sidekick in a health management platform user interface
WO2024169267A1 (zh) 脑电信号分析模型的训练方法、装置、计算机设备、计算机可读存储介质及计算机程序产品
JP2023109741A (ja) 生体リズム最適化によるディープラーニング睡眠アシスタントシステム
KR102445133B1 (ko) 아바타를 생성하여 외부의 메타버스플랫폼에 제공하고 아바타를 업데이트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20190119900A (ko) 심장재활운동을 위한 웨어러블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심장재활운동 방법
Li et al. GazeTrak: Exploring Acoustic-based Eye Tracking on a Glass Frame
JP2019053676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102429627B1 (ko) 가상현실에서 아바타를 생성하고 복수의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
Artífice et al. Improvement of student attention monitoring supported by precision sensing in learning management systems
KR102216904B1 (ko) 개인화된 영상 제공을 통해 심리 변화 추적이 가능한 심리 상담 방법
Sartori et al. An infrastructure for wearable environments acquisition and represent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