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08693B1 - non membrane type hydrogen water generating module and apparatus include the module - Google Patents
non membrane type hydrogen water generating module and apparatus include the modu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08693B1 KR101908693B1 KR1020160153140A KR20160153140A KR101908693B1 KR 101908693 B1 KR101908693 B1 KR 101908693B1 KR 1020160153140 A KR1020160153140 A KR 1020160153140A KR 20160153140 A KR20160153140 A KR 20160153140A KR 101908693 B1 KR101908693 B1 KR 1019086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lectrode
- hydrogen
- water
- mounting
- contact terminal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2—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 C25B11/03—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shape or form perforated or foraminous
-
- C25B11/0473—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4—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25B11/051—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 C25B11/055—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or carrier material
- C25B11/057—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or carrier material consisting of a single element or compound
- C25B11/061—Metal or alloy
- C25B11/063—Valve metal, e.g. titan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4—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25B11/051—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 C25B11/055—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or carrier material
- C25B11/069—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characterised by the substrate or carrier material consisting of at least one single element and at least one compound; consisting of two or more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1/00—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25B11/04—Electrodes; Manufacture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25B11/051—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 C25B11/073—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atalyst material
- C25B11/075—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atalyst material consisting of a single catalytic element or catalytic compound
- C25B11/081—Electrodes formed of electrocatalysts on a substrate or carrier characterised by the electrocatalyst material consisting of a single catalytic element or catalytic compound the element being a noble metal
-
- C25B11/12—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33—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C02F2001/46138—Electrodes comprising a substrate and a coat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09—Electrodes
- C02F2001/4615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form
- C02F2001/46157—Perforated or foraminous electro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05—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 C02F2209/008—Processes using a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 [PLC] comprising telecommunication features, e.g. modems or antenna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 Y02E60/36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lur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Electrodes For Compound Or Non-Metal Manufa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극에 연결됨과 더불어 티타늄의 표면에 백금을 코팅하여 이루어진 수소 발생전극; +극에 연결됨과 더불어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을 주성분으로 하면서 탄소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플라스틱 탄소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이 제공되며, 이를 통해 유해 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물속의 수소 용존을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hydrogen generating electrode comprising a platinum coating on the surface of titanium, And a plastic carbon electrode which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and is made of polyethylene (PE: PolyEthylene) as a main component and contains carbon, and is provided with a diaphragm-free water producing module, Minimizing water contamination and preventing hydrogen from dissolving in water for a long time.
Description
본 발명은 수소수를 생성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수소수의 생성 중 유해 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물속의 수소 용존을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 및 이를 적용하여 이루어진 무격막 수소수 생성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pparatus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which is capable of minimizing the generation of harmful substances during the generation of hydrogen peroxide, preventing water contamination, and sustaining hydrogen dissolution in water for a long time And a non-diaphragm water-containing water generating device using the same.
일반적으로, 수소수는 수소가 용해된 물로써 인체 내의 활성산소인 하이드록실 레디칼을 제거하는 항산화작용을 한다는 연구 결과로 인해 많은 관심을 받고 있다.In general, hydrogen peroxide has been attracting much attention as a result of research showing that hydrogen is an antioxidant that removes hydroxyl radicals, the active oxygen in the human body, as dissolved water.
최근에는 상기 수소수를 생성하여 바로 음용할 수 있도록 하는 다양한 형태의 수소수 생성 장치가 제공되고 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특허 제10-2015-0092822호, 공개특허 제10-2016-0125104호, 등록특허 제10-1643129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6-000575호, 등록특허 제10-1648121호 등 다양하게 제시되고 있다.In recent years, there have been provided various types of water generating apparatuses capable of generating and directly drinking the above-mentioned hydrogenated water. In connection with this,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s. 10-2015-0092822, 10-2016-0125104,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10-1643129, Laid-Open Utility Model No. 20-2016-000575, and Registration No. 10-1648121.
하지만,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일반적인 수소수 생성 장치는 양극에서 발생하는 산소 및 염소와 음극에서 발생하는 수소를 서로 분리하기 위해 고분자 기체분리막(기체분리막 혹은, 이온막)을 사용함에 따라 이 고분자 기체분리막의 제공으로 인해 전체적인 설치 구조가 복잡하게 이루어질 수밖에 없다는 단점이 있다.However, since the conventional hydrogen gener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related art uses a polymer gas separation membrane (a gas separation membrane or an ion membrane) for separating oxygen generated from the anode and hydrogen generated in the cathode from each other, But the disadvantage is that the overall installation structure is complicated due to the provision of the separator.
또한, 종래에는 수소수의 제조를 위한 두 전극 모두가 금속 재질의 전극이 사용됨을 고려할 때 이러한 금속 전극만을 이용하여 물을 전기분해하면 수소와 산소 이외에도 미량의 유해한 성분(예컨대, 염소, 트리할로메탄, 오존 등)이 다량 발생됨으로써 사실상 음용하기에 부적합한 수소수가 됨에 따라 수소수가 인체에 유익하다는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인체에 유해한 성분의 발생을 억제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수소수에 대한 음용의 신뢰도가 높지 않았다.Considering that both electrodes for producing hydrogenated water use metal electrodes in the past, when electrolysis of water using only such a metal electrode, a very small amount of harmful components (for example, chlorine, trihalo Methane, ozone, etc.), the hydrogen is inadequate to drink effectively, and despite the research result that hydrogen is beneficial to the human body, it can not inhibit the generation of harmful components in the human body. I did.
본 발명은 전술된 종래 기술에 따른 각종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수소수의 생성 중 유해 물질의 발생을 최소화함과 더불어 물의 오염을 방지하고, 물속의 수소 용존을 오랫동안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에 따른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 및 이를 적용하여 이루어진 무격막 수소수 생성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minimize the generation of harmful substances during the production of hydrogen water and to prevent contamination of water and to prevent hydrogen dissolution in water. And a non-diaphragm water fraction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에 따르면 -극에 연결됨과 더불어 티타늄의 표면에 백금을 코팅하여 이루어진 수소 발생전극; +극에 연결됨과 더불어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을 주성분으로 하면서 탄소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플라스틱 탄소전극;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hydrogen-free electrode formed by coating platinum on the surface of titanium, And a plastic carbon electrode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and made of polyethylene (PE: PolyEthylene) as a main component and containing carbon.
여기서, 상기 수소 발생전극과 플라스틱 탄소전극은 서로 마주보면서 적층되게 배치됨과 더불어 서로 간의 사이에는 절연부재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Here, the hydrogen generating electrode and the plastic carbon electrode are stacked while facing each other, and an insulat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between the hydrogen generating electrode and the plastic carbon electrode.
또한, 서로 적층된 수소 발생전극과 절연부재 및 플라스틱 탄소전극을 일괄적으로 파지하여 단일의 모듈로 제공되도록 하는 전극보호용 가이드가 더 구비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The apparatus further comprises an electrode protection guide for holding the hydrogen generating electrode, the insulating member, and the plastic carbon electrode, which are stacked on each other, collectively and provided as a single module.
또한, 상기 전극보호용 가이드는 물이 통과되도록 격자형 혹은, 방사형의 보강살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고, 상기 수소 발생전극은 메쉬형 구조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electrode protection guide may have a grid-like or radial reinforcing structure to allow water to pass therethrough, and the hydrogen generating electrode may have a mesh-like structure.
그리고,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무격막 수소수 생성장치에 따르면 상면에 장착 영역을 제공하는 장착단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장착단에는 +전극 및 -전극이 각각 상부로 일부 돌출되게 설치되며, 내부에는 상기 각 전극으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제어용 회로기판이 구비되어 이루어진 본체케이스; 저면에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장착단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짐과 더불어 내부에는 수소수의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물 및 생성된 수소수가 저장되도록 이루어지면서 상기 본체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소수 용기; 상기 수소수 용기 내의 장착부에 위치되며, 상기 -전극에 접속됨과 더불어 티타늄의 표면에 백금을 코팅하여 이루어진 수소 발생전극과, 상기 +전극에 접속됨과 더불어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을 주성분으로 하면서 탄소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플라스틱 탄소전극과, 상기 수소 발생진극 및 플라스틱 탄소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부재와, 상기 수소 발생전극과 절연부재 및 플라스틱 탄소전극을 일괄적으로 파지하는 전극보호용 가이드가 단일의 모듈로 제공되도록 이루어진 수소수 생성모듈;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non-diaphragm water producing apparatus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mounting end for providing a mounting area is formed on an upper surface, and a + electrode and a - A body case having a control circuit board for supplying power to the electrodes; A water receptacl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case, the main body case having a mounting portion to be mounted on a mounting end of the main body case, the water being used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and the generated hydrogen water being stored therein; A hydrogen generating electrode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and coated with platinum on the surface of the titanium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wherein the positive electrode is made of polyethylene (PE) An insulat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hydrogen generating positive electrode and the plastic carbon electrode, and an electrode protecting guide collectively holding the hydrogen generating electrode, the insulating member and the plastic carbon electrode are provided as a single module And a hydrogen generation module configured to generate the hydrogen generation signal.
여기서, 상기 수소수 생성모듈을 이루는 플라스틱 탄소전극에는 +전극에의 접속을 위한 제1접촉단자가 장착 고정되는 제1장착공 및 -전극에의 접속을 위한 제2접촉단자가 통과하는 제1통과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절연부재에는 상기 제1통과공과 일치되게 위치되면서 제2접촉단자가 통과하는 제2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소수 생성모듈을 이루는 수소 발생전극에는 상기 제2통과공과 일치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제2접촉단자가 장착 고정되는 제2장착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In this case, the plastic carbon electrode forming the hydrogen-water generating module is provided with a first mounting hole through which a first contact terminal for mounting to the + electrode is fixedly mounted, and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a second contact terminal for connection to the electrode is passed. And a second passage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contact terminal passes is formed in the insulating member so as to be coincident with the first passage hole, and the hydrogen generating electrode forming the hydrogen-water generating module is provided with a hole And a second mounting hole in which the second contact terminal is mounted and fixed.
또한, 상기 본체케이스의 장착단에는 상기 수소수 용기의 장착부가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장착 확인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장착 확인부는 상기 제어용 회로기판과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한다.In addition, the mounting end of the main body case may further include a mounting confirmation part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mounting part of the water-containing container is mounted, and the mounting confirmation par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board so as to transmit signals.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 및 이를 적용하여 이루어진 무격막 수소수 생성장치는 수소수의 생성을 위한 두 전극을 티타늄의 표면에 백금을 코팅하여 이루어진 수소 발생전극 및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을 주성분으로 하면서 C폴리에스테르 및 탄소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플라스틱 탄소전극으로 구성함으로써 복잡한 구조의 기체분리막이나 이온막을 사용하지 않는 무격막 방식으로도 2가 이온을 분해하지 않아 유해 성분의 발생이 방지되어 음용 가능한 수소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As described above, the moisture-free water generat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on-diaphragm water producing device using the same have two electrodes for producing hydrogen water, a hydrogen generating electrode formed by coating platinum on the surface of titanium, and a polyethylene (PE : PolyEthylene) as a main component, and a plastic carbon electrode containing C polyester and carbon, so that the bivalent ions are not decomposed even in a gas-free membrane type system that does not use a complicated gas separation membrane or ion membrane, It is possible to provide drinking water that can be prevented from being consumed.
또한, 본 발명의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 및 이를 적용하여 이루어진 무격막 수소수 생성장치는 수소 발생전극에서 발생되는 수소 기체는 메쉬형으로 이루어진 수소 발생전극의 형상적 특징으로 인해 미세하면서도 다량이 발생됨으로써 높은 용존율을 얻을 수 있게 된 효과를 가진다.In addition, since the hydrogen-free electrode generated by the hydrogen-free electrod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mesh shape, the hydrogen-free electrode generates a fine and large amount of hydrogen And thus a high dissolution rate can be obtain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분해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결합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 중 수소 발생전극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저면에서 본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 중 플라스틱 탄소전극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저면에서 본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 중 절연부재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저면에서 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 중 전극보호용 가이드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해 저면에서 본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이 적용된 수소수 생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분해하여 나타낸 상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이 적용된 수소수 생성장치를 설명하기 위해 결합하여 나타낸 상태도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1 is a block diagram of a zero-diaphragm water-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2 is a diagram illustrating a state diagram of a non-diaphragm water fraction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hydrogen-generating electrode of a non-diaphragm hydrogen-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plastic carbon electrode in a moisture-free water-free wat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view illustrating a state of the insulating member of the non-diaphragm water producing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n electrode protecting guide of a non-diaphragm water produc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tate diagram of the hydrogen-free wat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state diagram of a hydrogen-free water generating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 및 이를 적용하여 이루어진 무격막 수소수 생성장치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Hereinafter,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non-diaphragm water producing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non-diaphragm water producing device using the sam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우선,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분해하여 나타낸 상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을 설명하기 위해 결합하여 나타낸 상태도이다.FIG. 2 is a block diagram for explaining a non-diaphragm water facto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of a non-diaphragm water facto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100)은 크게 수소 발생전극(110) 및 플라스틱 탄소전극(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고분자 기체분리막을 사용하지 않고도 물속에 녹아있는 2가 이온분리를 억제하여 유해성분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these drawings, the non-diaphragm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is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below for each configuration.
먼저, 상기 수소 발생전극(110)은 -극에 연결되면서 전기 분해에 의해 수소를 발생하도록 이루어진 전극이다.First, the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소 발생전극(110)이 박판으로 이루어진 티타늄의 표면에 백금을 코팅하여 형성됨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전기 분해시 상기 수소 발생전극(110)에서 수소가 발생될 수 있도록 한다.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suggested that the
이때, 상기 수소 발생전극(110)의 전기 분해시 해당 전극(110)에서 발생되는 기체에 대한 화학식은 아래의 [화학식 1]과 같다.The formula for the gas generated from the
특히 상기한 수소 발생전극(110)은 메쉬형 구조로 형성함으로써 수중에서의 전기 분해시 각 그물코 사이에서 기체 발생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여 더욱 미세하면서도 다량의 수소 기체에 대한 발생을 유도하고, 이로써 더욱 높은 용존율의 수소수를 얻을 수 있도록 한다.In particular, when the
다음으로, 상기 플라스틱 탄소전극(120)은 +극에 연결되면서 전기 분해에 의해 산소를 발생하도록 이루어진 전극이다.Next, the
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플라스틱 탄소전극(120)이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을 주성분으로 하면서 C폴리에스테르 및 탄소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탄소전극으로 구성되며, 이로써 비금속 전극을 사용함으로 인해 전기 분해시 2가 이온분리를 억제하여 염소 및 유해가스의 발생을 없애고, 초미량의 산소와 과산화수소를 만들어 물의 오염을 방지함과 더불어 음극의 수소 발생양 만을 유지시켜 물속의 수소 용존을 오래동안 지속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 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Particularly,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이때, 상기 플라스틱 탄소전극(120)의 전기 분해시 해당 전극(120)에서 발생되는 기체에 대한 화학식은 아래의 [화학식 2]과 같다. The chemical formula of the gas generated from the
상기한 플라스틱 탄소전극(120)은 블럭체로 형성됨과 더불어 평면의 구조는 상기 수소 발생전극(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수소 발생전극(110)과의 적층시 단일의 모듈을 이룰 수 있게 된다.The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상기 수소 발생전극(110)과 플라스틱 탄소전극(120)은 서로 마주보면서 적층되게 배치됨과 더불어 서로 간의 사이에는 절연부재(130)가 더 구비되고, 상기 서로 적층된 수소 발생전극(110)과 절연부재(130) 및 플라스틱 탄소전극(120)은 전극보호용 가이드(140)를 이용하여 일괄적으로 파지될 수 있도록 구성됨을 추가적인 특징으로 제시한다.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즉, 상기한 절연부재(130)와 전극보호용 가이드(140)의 추가 제공을 통해 수소 발생전극(110)과 플라스틱 탄소전극(120)을 포함하는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100)이 만들어질 수 있도록 하여 필요한 기기 혹은, 필요한 부위에 해당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100)만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용도의 수소수 생성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That is, by providing the
여기서, 상기 절연부재(130)는 적층된 수소 발생전극(110)과 플라스틱 탄소전극(120)을 서로 절연시키는 구조이며, 박막으로 형성된다.Here, the
또한, 상기 전극보호용 가이드(140)는 상기 수소 발생전극(110)과 절연부재(130) 및 플라스틱 탄소전극(120)을 일괄적으로 구속하여 고정하는 구조이며, 원형 링의 형상으로 이루어짐과 더불어 내측으로는 격자형이나 방사형 혹은, 링형의 보강살(141a)을 갖는 구조로 형성되는 몸체단(141)과, 상기 몸체단(141)의 둘레면으로부터 하향 돌출되면서 그 저부 끝단은 상기 플라스틱 탄소전극(120)의 저면을 파지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된 복수의 걸림후크(142)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이때, 상기 플라스틱 탄소전극(120)의 저면 둘레에는 상기 걸림후크(142)가 걸릴 수 있도록 걸림턱(121)이 요입 형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 hooking
특히, 상기 플라스틱 탄소전극(120)에는 +전극에의 접속을 위한 제1접촉단자(151)가 장착 고정되는 제1장착공(122) 및 -전극에의 접속을 위한 제2접촉단자(152)가 통과하는 제1통과공(123)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절연부재(130)에는 상기 제1통과공(123)과 일치되게 위치되면서 제2접촉단자(152)가 통과하는 제2통과공(133)이 형성되며, 상기 수소 발생전극(110)에는 상기 제2통과공(133)과 일치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제2접촉단자(152)가 장착 고정되는 제2장착공(112)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전극보호용 가이드(140)의 몸체단(141)에 형성되는 보강살(141a)에는 상기 각 접촉단자(151,152)의 체결 고정을 위한 체결나사(153,154)가 통과되는 피난구(142a)가 각각 형성되어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the
이와 함께, 상기 플라스틱 탄소전극(120)의 상면에는 상기 제1장착공(122) 내로 수용된 제1접촉단자(151)의 고정을 위한 체결나사(153)가 안착되는 안착홈(124)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다.A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100)은 소형화를 이루면서 격막(membrane)을 사용하지 않고도 음용 가능한 수소수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As a result, the non-diaphragm
하기에서는, 전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이 적용된 무격막 수소수 생성장치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the non-diaphragm water-sparse water generating apparatus to which the non-diaphragm water-sparse water generating module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먼저, 상기 무격막 수소수 생성장치는 크게 본체케이스(200)와 수소수 용기(300) 및 수소수 생성모듈(1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rst, the non-diaphragm water producing apparatus includes a
여기서, 상기 본체케이스(200)는 무격막 수소수 생성장치의 외관을 형성함과 더불어 그 내부에 각종 전장 부품이 내장되는 부위이며, 내부가 빈 통체로 형성되면서 상면에는 장착 영역을 제공하는 장착단(210)이 요입 형성되어 이루어진다.Here, the
이와 함께, 상기 장착단(210)에는 +전극(211) 및 -전극(212)이 각각 상부로 일부 돌출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케이스(200)의 내부 공간에는 제어용 회로기판(220)이 구비되면서 상기 각 전극(211,212)으로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이루어진다.The
또한, 상기 본체케이스(200)의 장착단(210) 내에는 수소수 용기의 장착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장착 확인부(213)가 더 구비되고, 상기 장착 확인부(213)는 상기 제어용 회로기판과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되어 이루어진다.The
이때, 상기 장착 확인부(213)는 광센서가 될 수도 있고, 스위치가 될 수도 있는 등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다음으로, 상기 수소수 용기(300)는 수소수의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물 혹은, 상기 물을 전기분해하여 생성된 수소수가 저장되는 용기이다.Next, the
이와 같은 수소수 용기(300)는 그 저면에 장착부(310)를 가지는 상부가 개방된 통체로 형성되며, 이때 상기 장착부(310)는 상기 본체케이스(200)의 장착단(210)에 장착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부위이다.The
특히, 상기 수소수 용기(300)의 개방된 상면은 용기덮개(320)가 구비되어 선택적인 개폐가 가능하도록 구성되면서 상기 본체케이스(200)에 필요에 따라 분리 혹은, 장착하여 사용된다.In particular, the open upper surface of the water-containing
다음으로, 상기 수소수 생성모듈(100)은 전술된 실시예를 통해 소개된 바와 동일하며, 상기 수소수 용기(300)의 장착부 내에 장착 고정된다.Next, the
이때, 상기 수소수 생성모듈(100)을 이루는 제1접촉단자(151) 및 제2접촉단자(152)의 저면은 상기 장착부(310)의 저면을 관통하여 장착단(210) 내로 노출되면서 상기 장착단(210) 내에 위치된 각 전극(211,212)에 각각 접촉되도록 설치된다.The bottom surfaces of the
이와 함께, 상기 수소수 용기(300)를 이루는 장착부(310) 내의 중앙측에는 상향 돌출되게 형성된 체결볼트(311)가 구비됨과 더불어 상기 수소수 생성모듈(100)을 이루는 수소 발생전극(110)과 플라스틱 탄소전극(120)과 절연부재(!30) 및 전극보호용 가이드(140)의 중앙으로는 상기 체결볼트(311)가 관통되는 장착공(115,125,135,145)이 각각 형성되도록 구성하여, 상기 수소수 생성모듈(100)이 상기 체결볼트(311)에 장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체결볼트(311)에 상기 수소수 생성모듈(100)을 장착한 상태에서는 체결너트(도시는 생략됨)를 이용하여 상기 수소수 생성모듈(100)을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함이 더욱 바람직하다.In addition, a
한편, 미설명부호 116,126,136,146은 체결나사(153)의 통과를 위해 형성되는 통과공이다.
전술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소수 생성장치는 수소수 용기(300) 내에 물을 채운 상태에서 제어용 회로기판(220)의 동작 제어에 의해 +전극(211) 및 -전극(212)으로 전원 공급이 이루어지면 이렇게 공급된 전원은 각 접촉단자(151,152)를 통해 수소수 생성모듈(100)의 수소 발생전극(110) 및 플라스틱 탄소전극(120)에 전원을 각각 공급함에 따라 상기 두 전극(110,120)의 전기 분해가 이루어지면서 다량의 산소 기체 및 수소 기체가 각각 발생된다.The apparatus for generating hydrogen in accordance with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ncludes a
즉, 수소 발생전극(110)의 전기 분해에 의해 다량의 수소 기체가 발생됨과 더불어 플라스틱 탄소전극(120)의 전기 분해에 의해 다량의 산소가 발생되는 것이다. 물론, 상기 물은 여타의 철분이나 염소와 같은 성분들이 혼합되지 않는 정수된 물로 사용함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하지는 않는다.That is, a large amount of hydrogen gas is generated by the electrolysis of the
특히, 상기 수소 발생전극(110)에서 발생되는 수소 기체는 메쉬형으로 이루어진 수소 발생전극(110)의 형상적 특징으로 인해 미세하면서도 다량이 발생됨으로써 높은 용존율을 얻을 수 있게 된다.In particular, the hydrogen gas generated from the
이와 함께, 상기 산소를 발생시키는 플라스틱 탄소전극(120)의 경우는 PE와 C폴리에스테르 및 탄소로 이루어짐에 따라 2가 이온 분리를 억제함으로써 염소 및 유해가스의 발생을 없애고, 오히려 초미량의 산소와 과산화수소를 만들어 물의 오염을 방지함과 더불어 음극의 수소 발생양 만을 유지시킴에 따라 물속의 수소 용존을 오래동안 지속할 수 있는 형태로 만들어주어 상기 수소수 용기(300) 내에 생성된 수소수는 음용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in the case of the
즉, 복잡한 구조의 기체분리막이나 이온막을 사용하지 않는 무격막 방식으로도 2가 이온을 분해하지 않아 유해 성분의 발생이 방지됨으로써 음용 가능한 수소수를 제공할 수 있게 된 것이다.That is, even in a non-diaphragm system that does not use a gas separation membrane or an ion membrane having a complicated structure, bivalent ions are not decomposed to prevent the generation of harmful components, thereby providing drinking water that can be consumed.
100. 무격막 수소수 생성모듈 110. 수소 발생전극
112. 제2장착공 120. 플라스틱 탄소전극
121. 걸림턱 122. 제1장착공
123. 제1통과공 124. 안착홈
130. 절연부재 133. 제2통과공
140. 전극보호용 가이드 141. 몸체단
141a. 보강살 142. 걸림후크
115,125,135,145. 장착공 151. 제1접촉단자
152. 제2접촉단자 153,154. 체결나사
200. 본체케이스 210. 장착단
211. +전극 212. -전극
213. 장착확인부 220. 제어용 회로기판
300. 수소수 용기 310. 장착부
311. 체결볼트 320. 용기덮개100. Hydrogen-free
112. Second mounting
121.
123. First through
130.
140.
141a. Reinforced
115, 125, 135, 145. Mounting
152.
200.
211. +
213. Mounting
300.
311.
Claims (7)
저면에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장착단에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짐과 더불어 내부에는 수소수의 생성을 위해 사용되는 물 및 생성된 수소수가 저장되도록 이루어지면서 상기 본체케이스에 분리 가능하게 설치되는 수소수 용기;
상기 수소수 용기 내의 장착부에 위치되며, 상기 -전극에 접속됨과 더불어 티타늄의 표면에 백금을 코팅하여 이루어지는 수소 발생전극과, 상기 +전극에 접속됨과 더불어 폴리에틸렌(PE:PolyEthylene)에 탄소를 함유하여 이루어진 플라스틱 탄소전극과, 상기 수소 발생전극 및 플라스틱 탄소전극 사이에 개재되는 절연부재와, 상기 수소 발생전극과 절연부재 및 플라스틱 탄소전극을 일괄적으로 파지하는 전극보호용 가이드가 단일의 모듈로 제공되도록 이루어진 수소수 생성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수소수 생성모듈을 이루는 플라스틱 탄소전극에는 체결나사에 의해 제1접촉단자가 분리 가능하게 설치됨과 더불어 상기 수소 발생전극에는 체결나사에 의해 제2접촉단자가 고정 설치되어, 상기 본체케이스에 수소수 용기를 장착할 경우 상기 제1접촉단자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전극에 접속됨과 더불어 상기 제2접촉단자는 상기 본체케이스의 -전극에 접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격막 수소수 생성장치.A positive electrode and a negative electrode are provided so as to protrude from the upper part of the mounting end, and a control circuit board for supplying power to each of the electrodes is provided inside the mounting end, ;
A water receptacle detachably installed in the main body case, the main body case having a mounting portion to be mounted on a mounting end of the main body case, the water being used for generating hydrogen water and the generated hydrogen water being stored therein;
A hydrogen generating electrode which is located at a mounting portion in the hydrogen-containing container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 electrode and is coated with platinum on the surface of titanium, and a hydrogen generating electrode which is connected to the + electrode and contains carbon in polyethylene (PE) An insulating member interposed between the hydrogen generating electrode and the plastic carbon electrode and an electrode protecting guide for collectively holding the hydrogen generating electrode and the insulating member and the plastic carbon electrode are provided as a single module. A prime number generation module,
Wherein the first contact terminal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plastic carbon electrode constituting the hydrogen generating module by a fastening screw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is fixed to the hydrogen generating electrode by a fastening screw, Wherein when the container is mounted, the first contac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positive electrode of the main body case, and the second contact terminal is connected to the negative electrode of the main body case.
상기 수소수 생성모듈을 이루는 플라스틱 탄소전극에는 상기 제1접촉단자가 장착 고정되는 제1장착공 및 제2접촉단자가 통과하는 제1통과공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절연부재에는 상기 제1통과공과 일치되게 위치되면서 제2접촉단자가 통과하는 제2통과공이 형성되며,
상기 수소수 생성모듈을 이루는 수소 발생전극에는 상기 제2통과공과 일치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제2접촉단자가 장착 고정되는 제2장착공이 형성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무격막 수소수 생성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A first mounting hole through which the first contact terminal is mounted and a first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contact terminal passes are formed in the plastic carbon electrode forming the hydrogen-
A second through hole through which the second contact terminal passes is formed in the insulating member so as to be coincident with the first through hole,
Wherein the hydrogen generating electrode constituting the hydrogen-generating module is formed with a second mounting hole in which the second contact terminal is mounted and fixed while being positioned coincident with the second passage hole.
상기 본체케이스의 장착단에는 상기 수소수 용기의 장착부가 장착되었는지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장착 확인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장착 확인부는 상기 제어용 회로기판과 신호 전달 가능하게 연결됨을 특징으로 하는 무격막 수소수 생성장치.6. The method of claim 5,
Wherein the mounting end of the main body case is further provided with a mounting confirmation part for confirming whether or not the mounting part of the water-
Wherein the mounting confirmation uni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circuit board in a signal-transferable manner.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3140A KR101908693B1 (en) | 2016-11-17 | 2016-11-17 | non membrane type hydrogen water generating module and apparatus include the modu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3140A KR101908693B1 (en) | 2016-11-17 | 2016-11-17 | non membrane type hydrogen water generating module and apparatus include the module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5360A KR20180055360A (en) | 2018-05-25 |
KR101908693B1 true KR101908693B1 (en) | 2018-12-18 |
Family
ID=622994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3140A KR101908693B1 (en) | 2016-11-17 | 2016-11-17 | non membrane type hydrogen water generating module and apparatus include the modu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08693B1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9998B1 (en) * | 2014-12-26 | 2016-05-11 | (주)기성 | Bottle connecting type portable hydrogen water generating apparatus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BRPI0920161A2 (en) * | 2008-10-30 | 2020-08-11 | Emefcy Limited | electrodes for use in, bacterial fuel cells and bacterial electrolysis cells and bacterial fuel cells and bacterial electrolysis cells employing such electrodes |
KR101648121B1 (en) * | 2014-09-25 | 2016-08-29 |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 Manufacturing device of hydrogen water |
KR20160041546A (en) * | 2014-10-08 | 2016-04-18 | 수소비전 주식회사 | A hydrogen water production device in water or indoor air |
-
2016
- 2016-11-17 KR KR1020160153140A patent/KR101908693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19998B1 (en) * | 2014-12-26 | 2016-05-11 | (주)기성 | Bottle connecting type portable hydrogen water generating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55360A (en) | 2018-05-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5736037B2 (en) | Portable hydrogen-rich water production equipment | |
KR100981585B1 (en) | Structure for multi type electrolytic cell | |
JP5210455B1 (en) | Wash water generator | |
KR101280595B1 (en) | Apparatus for producing acid-ion water | |
KR101908693B1 (en) | non membrane type hydrogen water generating module and apparatus include the module | |
KR102559708B1 (en) | Electrolytic apparatus | |
KR20150145354A (en) | Water purifier type hydrogen water producing apparatus | |
KR101935568B1 (en) | Apparatus for providing cosmetic liquid including and method therefor | |
JP3198341U (en) | Simple electrolytic hydrogen water generator | |
JPH111790A (en) | Electrode for electrolysis of water | |
JPH10259490A (en) | Apparatus for production of gaseous hydrogen and oxygen added water | |
JP6216967B2 (en) | Electrode and gas generator | |
JP2017110279A (en) | Hydrogen peroxide production device | |
KR101919571B1 (en) | Electrode structure and hydrogen enriched water producing apparatus for enriching hydrogen concentration in freshwater or tap water, and wireless hydrogen enriched water producing apparatus for the same | |
CN210262025U (en) | Electrolytic ozone water module device | |
US6368474B1 (en) | Chlorine generator | |
KR100803966B1 (en) | Apparatus of generation oxygen/hydrogen gas | |
KR200305722Y1 (en) | Electrolytic bath for producing sterilizing water | |
CN210529074U (en) | Portable hydrolysis ozone generator | |
KR101010330B1 (en) | Electrolyzor for generating ion water | |
JP2013086031A (en) | Electrode for water treatment and water treatment apparatus | |
KR100523982B1 (en) | Electrolytic disinfectants generator | |
CN212770988U (en) | Hypochlorous acid generator for disinfecting atomizer | |
CN212770987U (en) | Electrolytic tank for disinfection atomizer | |
KR200411757Y1 (en) | apparatus of generation oxygen/hydrogen ga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