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98799B1 - 가요성이 우수한 헤드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 - Google Patents

가요성이 우수한 헤드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98799B1
KR101898799B1 KR1020170009065A KR20170009065A KR101898799B1 KR 101898799 B1 KR101898799 B1 KR 101898799B1 KR 1020170009065 A KR1020170009065 A KR 1020170009065A KR 20170009065 A KR20170009065 A KR 20170009065A KR 101898799 B1 KR101898799 B1 KR 101898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p
hole
head cradle
fastening
c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90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85484A (ko
Inventor
문정철
최경선
김종태
박인규
Original Assignee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filed Critical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Priority to KR10201700090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8799B1/ko
Priority to PCT/IB2018/050323 priority patent/WO2018134767A1/en
Priority to US16/477,994 priority patent/US11517058B2/en
Priority to EP18741682.1A priority patent/EP3570694A4/en
Priority to CN201880007723.0A priority patent/CN110234245B/zh
Publication of KR20180085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85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8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8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11Protective face masks, e.g. for surgical use, or for use in foul atmospheres
    • A41D13/1161Means for fastening to the user's head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8/00Breathing masks or helmets, e.g.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chemical agents or for use at high altitudes or incorporating a pump or compressor for reducing the inhalation effort
    • A62B18/08Component parts for gas-masks or gas-helmets, e.g. windows, straps, speech transmitters, signal-devices
    • A62B18/084Means for fastening gas-masks to heads or helmet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1/00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 A44B11/02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 A44B11/06Buckles; Similar fasteners for interconnecting straps or the like, e.g. for safety belts frictionally engaging surface of straps with clamp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9/00Component parts for respiratory or breathing apparatus
    • A62B9/04Couplings; Supporting fram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Respiratory Apparatuses And Protective Means (AREA)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요성이 우수한 헤드 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호 체결된 두 개의 헤드 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밴드 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일 단부에 형성되고,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제 1 체결부; 상기 지지 부재의 타 단부에 형성되는 제 2 체결부; 및 상기 제 1 체결부 또는 상기 제 2 체결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마스크 본체와 연결된 스트랩이 연결되는 스트랩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홀이 형성된 홀부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가요성이 우수한 헤드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HEAD CRADLE INCLUDING A HEAD BAND MEMBER HAVING EXCELLENT FLEXIBILITY }
본 발명은 가요성이 우수한 헤드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에 관한 것이다.
호흡기는 착용자가 주변 환경에 존재하는 오염물을 흡인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장치로서, 청정 공기가 존재하는 마스크의 내부로부터 오염된 주변 공기를 분리하기 위하여 착용자의 코와 입 위에 밀착되어 착용된다. 이때, 상기 마스크는 이를 통과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호흡기는 건설, 제조, 자동 도장 및 수리, 의약품 제조, 수술 등을 포함하는 많은 산업에서 사용된다.
이러한 호흡기는 상기 마스크의 양 단에 연결된 스트랩이 착용자의 머리 상에 착용되도록 제공되는 헤드 크래들에 연결되며, 헤드 크래들에 의해 마스크가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된 채로 유지될 수 있다.
이러한 호흡기를 착용하는데 사용되는 종래의 헤드 크래들의 일 예가 특허문헌 1에 개시된다.
특허문헌 1에서 개시되는 헤드 크래들은 제 1 및 제 2 측방향 연장 부재를 포함하여, 착용자가 호흡기를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머리에 상기 제 1 및 제 2 측방향 연장 부재가 안착되어 지지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제 1 및 제 2 측방향 연장부재는 피봇 지점에서 서로에 대해 회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착용자가 마스크를 목에 걸 때 제 1 및 제 2 측방향 연장부재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접은 상태로 변형시킬 수 있다. 이로써, 마스크 본체가 착용자의 가슴 전방에서의 안면을 가리지 않는 보관 위치로 배치될 수 있게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49180호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헤드 크래들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헤드 크래들에서 작업자의 머리를 둘러싸는 헤드 밴드부는 벤딩되지 않은 플랫형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헤드 밴드부는 헤드 크래들이 작업자의 머리에 착용될 때 작업자의 머리 크기에 맞게 벤딩되게 된다. 따라서, 헤드 크래들의 헤드 밴드부는 착용시의 벤딩에 필요한 가요성(flexibility)을 충분히 확보하지 못하면, 착용에 따른 벤딩이 반복됨에 따라 크랙이 발생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헤드 크래들을 구성하는 제 1 측방향 연장부재와 제 2 측방향 연장부재는 서로 다른 형상을 가져서 각각 다른 공정을 거쳐서 제작되어야 하므로, 제작 공정이 간단하지 않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 1 측방향 연장부재와 제 2 측방향 연장부재가 상호 피봇되어 머리에 착용될 때, 래치 수단에 의해 두 부재의 상대적인 위치가 상호 고정되는데, 래치 수단에 의해 제 2 측방향 연장부재가 제 1 측방향 연장부재의 래치 외측으로 벗어나는 것만이 방지될 뿐, 래치 내측으로의 움직임을 방지할 수단이 없어서, 두 부재가 서로 완전히 고정되지 못하고 덜걱거리는 느낌을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 2 측방향 연장부재가 래치에 체결될 때, 제 2 측방향 연장부재가 래치 외측에 정지된 상태에서 착용자가 제 2 측방향 연장부재를 래치 내측으로 계속 밀어넣으면 급작스럽게 래치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체결되므로, 헤드 크래들의 착용시 부드러운 클릭감을 제공하지 못하며, 헤드 크래들을 목에 걸기 위해 접을 때에도 마찬가지로 클릭감이 부드럽지 못하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반복되는 벤딩을 견딜 수 있도록 우수한 가요성을 가지는 헤드 크래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제작 공정이 간단하고, 마스크를 안면에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느낌을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마스크를 머리에 착용하거나 목에 걸기 위해 접거나 펼 때 부드러운 클릭감을 전달할 수 있는 헤드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호 체결된 두 개의 헤드 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밴드 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일 단부에 형성되고,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제 1 체결부; 상기 지지 부재의 타 단부에 형성되는 제 2 체결부; 및 상기 제 1 체결부 또는 상기 제 2 체결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마스크 본체와 연결된 스트랩이 연결되는 스트랩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홀이 형성된 홀부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가요성이 우수하고 착용이 반복되더라도 파손되지 않는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작 공정이 간단하고, 마스크를 안면에 착용하였을 때 착용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느낌을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으며, 마스크를 머리에 착용하거나 목에 걸기 위해 접거나 펼 때 부드러운 클릭감을 전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한번 체결된 후에는 긴 시간 동안 사용되더라도 쉽게 분리되지 않아서 제품의 사용 연한이 종래에 비하여 연장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 크래들이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상태롤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헤드 크래들이 접혀서 착용자의 목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헤드 크래들이 접힌 모습과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1의 헤드 밴드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5의 헤드 밴드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헤드 밴드 부재의 제 1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1의 헤드 밴드 부재의 제 2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의 스트랩 연결부의 고정편에 형성되는 스트랩 파지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의 스트랩 연결부의 단부를 확대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1의 스트랩이 연결된 스트랩 연결부를 절단한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헤드 밴드 부재 두 개가 체결되어 헤드 크래들을 형성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헤드 크래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헤드 크래들의 두 헤드 밴드 부재 중 일방의 제 1 체결부와 타방의 제 2 체결부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호 회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 크래들이 스트랩 연결용 버클과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도 15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여기서,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일정한 비율로 그려지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헤드 크래들이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된 상태롤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헤드 크래들이 접혀서 착용자의 목에 걸린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도 1의 헤드 크래들이 접힌 모습과 펼쳐진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크래들(10)은 착용자의 코와 입 위에 밀착되어 주변 환경에 존재하는 오염물을 착용자가 흡인하지 않도록 보호하는 장치인 호흡기 마스크(1)의 착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호흡기 마스크(1)는 착용 시 착용자의 안면과 접촉하여 호흡기로 유입되는 이물질을 차단하는 마스크 본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마스크 본체(20)는 착용자의 입과 코를 가리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착용자가 불편함을 느끼지 않도록 돌출된 부위를 포함할 수 있다고, 마스크 본체(20)의 양측에는 스트랩(30)이 연결되며, 스트랩(30)을 통해 헤드 크래들(10)과 연결된다.
또한, 마스크 본체(20)는 착용자가 들이마시는 공기를 여과할 수 있는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크 본체(20)는 하나 이상의 여과층을 포함한 여과 구조물과, 상기 여과 구조물을 지지하며 모양을 유지하기 위한 지지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여과 구조물은 시트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밖의 다양한 형상 및 구성을 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 구조물은 착용자가 숨을 들이쉬거나 내쉴 때 공기가 통과할 수 있는 유체 투과성 표면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여과 구조물은 입자 포획 필터 또는 기체 및 증기 필터일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마스크 본체(20)는 상기 여과 구조물에 연결되어 착용자가 내쉰 공기를 마스크의 내부로부터 신속하게 제거할 수 있는 호기 밸브(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호기 밸브는 마스크 본체(20)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스트랩(30)은 일 단이 마스크 본체(20)의 측부에 연결되며, 타 단이 헤드 크래들(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스트랩(30)은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 총 길이의 2배 넘게 신장될 수 있고, 외력이 사라지면 이완된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탄성을 가질 수 있다.
마스크 본체(20)의 양측의 스트랩(30)은 각각 소정 길이 연장되며 착용자의 머리 양 측에서 헤드 크래들(1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 때 탄성을 갖는 스트랩(30)의 복원력에 의해 스트랩(30)에 장력이 발생하고, 이 같은 스트랩(30)의 장력에 의해 마스크 본체(20)가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랩(30)은 길이가 약 25 내지 60 ㎝이고, 폭이 5 내지 10 ㎜이며, 두께가 0.9 내지 2.0 ㎜일 수 있다.
또한, 스트랩(30)은 다양한 재료, 예컨대 열경화성 고무, 열가소성 탄성중합체, 편조된(braided) 또는 편직된(knitted) 얀(yarn)/고무 조합, 비탄성의 편조된 구성요소 등으로부터 제조될 수 있다.
한편, 헤드 크래들(10)은 두 개의 헤드 밴드 부재(100)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두 개의 헤드 밴드 부재(100)는 단부에 형성된 제 1 체결부(110) 및 제 2 체결부(120)를 통해 상호 체결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어느 하나의 헤어 밴드 부재(100)에 구비되는 제 1 체결부(110)가 다른 하나의 헤어 밴드 부재(100)에 구비되는 제 2 체결부(120)에 결합하고, 어느 하나의 헤어 밴드 부재(100)에 구비되는 제 2 체결부(120)가 다른 하나의 헤어 밴드 부재(100)에 구비되는 제 1 체결부(110)에 결합할 수 있다. 두 개의 헤드 밴드 부재(100)는 제 1 및 제 2 체결부(110, 120)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피봇되어 펼쳐지거나 접히는 것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헤드 크래들(10)을 구성하는 두 헤드 밴드 부재(100)가 펼쳐진 상태에서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호흡기 마스크(1)가 착용자의 안면에 고정될 수 있고, 착용자가 헤드 크래들(10)의 착용 상태를 해제하고 호흡기 마스크(1)를 벗어서 목에 걸고자 할 경우에는 두 헤드 밴드 부재(100)를 접어서 목에 걸기 편하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헤드 밴드 부재(10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4는 도 1의 헤드 밴드 부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5의 헤드 밴드 부재의 평면도이며, 도 6은 도 1의 헤드 밴드 부재의 제 1 체결 단부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7은 도 1의 헤드 밴드 부재의 제 2 체결부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헤드 밴드 부재(100)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130), 지지 부재(130)의 일 단부에 형성되는 제 1 체결부(110), 지지 부재(130)의 타 단부에 형성되는 제 2 체결부(120), 및 제 1 체결부(110) 또는 상기 제 2 체결부(120)의 단부에 형성되고, 스트랩(30)이 연결되는 스트랩 연결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헤드 밴드 부재(100)는 가요성을 갖는 재질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일 예로 가요성을 갖는 폴리머 계열의 플라스틱 소재로부터 제조될 수 있으며, 서로 반대되는 두 면을 갖는 납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체결부(110)는 일측 면에서 타측 면으로 관통되는 원형의 삽입홀(116)이 형성되며, 삽입홀(116)의 내주면으로부터 클릭 돌기(112) 및 스토퍼(114)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클릭 돌기(112)와 스토퍼(114)는 삽입홀(116)의 지름 방향 양 끝에서 돌출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에 불과하며, 스토퍼(114)와 삽입홀(116)의 형성되는 위치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클릭 돌기(112)는 표면으로부터 삽입홀(116)의 지름 방향으로 계합홈(118)이 요입 형성된다. 계합홈(118)은 제 2 체결부(120)의 가요성 링(124)에 돌출 형성되는 계합 돌기(128)가 수용 가능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클릭 돌기(112)와 스토퍼(114)는 삽입홀(116)의 중심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을 가지도록 일면이 경사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클릭 돌기(112) 및 스토퍼(114)에 형성된 상기 경사면은 제 2 체결부(120)의 캡(122)이 제 1 체결부(110)의 삽입홀(116)에 삽입될 때 부드럽게 진입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삽입홀(116) 및 캡(122)은 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고, 제 2 체결부(120)의 캡(122)은 삽입홀(116)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두 개의 헤드 밴드 부재(100)가 양 단부에서 서로 체결되었을 때 서로 피봇되어 접히거나 펼쳐지는 것이 가능하다. 이때, 두 헤드 밴드 부재(100)는 일 예로 대략 45°의 각도 범위 내에서 펼쳐질 수 있으나,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 2 체결부(120)는 제 1 체결부(110)의 삽입홀(116)에 삽입 가능한 캡(122) 및 이러한 2)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가요성 링(124)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2 체결부(120)의 양 면을 관통하는 원형 홀(121)에 가요성 링(124)이 수용되고, 가요성 링(124)은 원형 홀(121)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의 연결 돌기(126)를 통해 원형 홀(121)의 내주면과 연결된다.
캡(122)의 가요성 링(124)이 형성된 면의 반대측 면은 중앙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곡면 형상을 갖는다. 상기 곡면은 캡(122)이 삽입홀(116)에 삽입될 때 스토퍼(114)와 계합 돌기(128)의 경사면에 접촉하여 상기 경사면을 타고 슬라이딩되면서 제 1 체결부(110)와 제 2 체결부(120)가 부드럽게 체결되는 것이 가능하다.
가요성 링(124)은 원형 홀(121)의 내주면에 연결 돌기(126)를 통해 연결된 링 형상의 부재로서, 캡(122)과 원형 홀(121)의 내주면을 연결해주는 부재이다. 또한, 가요성 링(124)은 링 형상으로서 지름 방향 양 단에서 연결 돌기(126)를 통해 원형 홀(121)의 내주면과 연결되는 형상일 수 있다.
또한, 가요성 링(124)은 외주면의 일 지점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계합 돌기(128)를 포함하고, 연결 돌기(126)에서 지름 방향으로 요입홈(129)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 1 체결부(110)와 제 2 체결부(120)가 서로 체결된 상태에서 피봇될 때, 계합 돌기(128)가 클릭 돌기(112)를 타고 넘어가게 되고, 이때 클릭 돌기(112)와 계합 돌기(128)의 간섭에 의해 가요성 링(124)이 탄성 변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요성 재질로 이루어진 가요성 링(124)은 연결 돌기(126)와 연결되지 않은 부분에서는 일정 수준 이상의 자유도를 가지면서 지름 방향으로 신축되는 것이 가능하다. 나아가, 가요성 링(124)이 수축될 때 연결 돌기(126)에 형성된 요입홈(129)이 좁아지면서 가요성 링(124)의 수축이 보다 더 자유로워지고, 계합 돌기(128)가 클릭 돌기(112)를 타고 넘을 때 가요성 링(124)이 지름 방향으로 수축될 수 있다.
이렇게 수축된 가요성 링(124)은 계합 돌기(128)가 계합홈(118)에 수용되면 다시 복원될 수 있다.
또한, 계합 돌기(128)는 가요성 링(124)의 지름 방향 양 단에 형성된 연결 돌기(126) 중 어느 하나의 근방에 형성될 수 있으며, 클릭 돌기(112)가 원형 홀(121)에 수용되서 연결 돌기(126) 중 하나에 밀착되었을 때 계합홈(118)이 위치하게 되는 위치에 계합 돌기(128)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 크래들(10)을 구성하는 두 헤드 밴드 부재(100)가 상호 피봇될 때 스토퍼(114) 및 클릭 돌기(112)가 제 2 체결부(120)의 연결 돌기(126)에 밀착될 때까지 피봇되고, 피봇이 완료되었을 때 계합 돌기(128)가 계합홈(118)에 수용될 수 있다.
한편, 지지 부재(130)는 제 1 체결부(110)에서 제 2 체결부(120)를 향해 연장되는 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130)는 헤드 크래들(10)이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었을 때, 착용자의 머리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지지 부재(130)는 슬릿홀(134)이 형성된 홀부(133)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슬릿홀(134)로 인해 가요성이 더욱 우수해 질 수 있다.
슬릿홀(134)은 지지 부재(130)의 메인면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홀거나, 메인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요입 형성된 홀일 수 있다. 여기서, 메인면은 착용자의 머리에 대향하는 면을 의미한다. 이러한 슬릿홀(134)은 길게 연장되는 슬릿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 개의 슬릿홀(134)은 지지 부재(13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으나, 지지 부재(130)의 중앙부에는 형성되지 않는다. 다시 말해, 슬릿홀(134)이 형성된 홀부(133)는 지지 부재(130)의 제 1 체결부(110) 측과 제 2 체결부(120) 측에 형성된다. 이에 따라, 헤드 밴드 부재(100)가 몰드를 이용하는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경우, 지지 부재(130)의 중앙부에 슬릿홀(134)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헤드 밴드 부재(100)의 중앙부에 몰드의 주입구가 위치할 수 있다.
만약, 몰드의 주입구가 헤드 밴드 부재(100)의 양측 단부에 형성될 경우, 양쪽에서 주입되는 성형재료가 헤드 밴드 부재(100)의 중앙부에서 몰드라인을 형성하게 되어 크랙의 발생 위험이 높아지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와 같이 헤드 밴드 부재(100)의 중앙부에 몰드의 주입구가 구비될 경우, 헤드 밴드 부재(100)의 중앙부에서 양측 단부를 향하여 성형재료가 흘러 들어가기 때문에 몰드라인이 형성되지 않아 크랙의 발생 위험이 낮아진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슬릿홀(134)은 지지 부재(130)의 일 두께면(131)과 타 두께면(13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 밴드 부재(100)가 몰드를 이용하는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경우, 몰드 내에서 슬릿홀(134)과 지지 부재(130)의 일 두께면(131) 사이의 공간 및 슬릿홀(134)과 지지 부재(130)의 타 두께면(132) 사이의 공간 중 어느 한쪽이 막히더라도 다른 쪽 공간으로 성형재료가 흘러들어갈 수 있다. 여기서, 지지 부재(130)의 일 두께면(131)과 타 두께면(132)은 상기 지지 부재(130)의 메인면에 인접하는 면으로 정의된다.
이러한 슬릿홀(134)은 지지 부재(130)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슬릿홀(134)은 서로 다른 기울기를 가지는 제 1 슬릿홀(135)과 제 2 슬릿홀(136)을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제 1 슬릿홀(135)이 제 1 체결부(110) 측의 단부가 지지 부재(130)의 일 두께면(131)을 향하고 제 2 체결부(120) 측의 단부가 지지 부재(130)의 상기 일면의 반대면인 타 두께면(132)을 향하도록 기울어진 경우, 제 2 슬릿홀(136)은 제 1 체결부(110) 측의 단부가 지지 부재(130)의 타면(132)을 향하고, 제 2 체결부(120) 측의 단부가 지지 부재(130)의 일 두께면(131)을 향하도록 기울어질 수 있다.
또한, 제 1 슬릿홀(135)과 제 2 슬릿홀(136)은 대칭인 각도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슬릿홀(135)가 제 1 체결부(110)로부터 제 2 체결부(120)를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a1)가 대략 45°인 경우, 제 2 슬릿홀(136)가 제 1 체결부(110)로부터 제 2 체결부(120)를 향하여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기울어진 각도(a2)는 대략 135°정도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제 1 슬릿홀(135)과 제 2 슬릿홀(136)은 서로 교번하여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헤드 밴드 부재(100)가 몰드를 이용하는 사출 성형으로 제조될 경우, 성형재료가 와류를 발생시키거나 기공을 형성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흘러들어갈 수 있다.
한편, 스트랩 연결부(140)는 제 1 체결부(110) 및 제 2 체결부(120)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랩 연결부(140)는 제 1 체결부(110) 또는 제 2 체결부(120)의 외주연부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체결부(110) 측에 스트랩 연결부(140)가 형성되는 구성을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로써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스트랩 연결부(140)는 마스크 본체(20)와 연결된 스트랩(30)이 연결되는 부분으로서, 스트랩(30)과의 연결 뿐만 아니라, 스트랩(30)의 길이 조절도 가능하도록 제공된다. 이하, 이러한 스트랩 연결부(140)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0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8은 도 1의 스트랩 연결부의 고정편에 형성되는 스트랩 파지 돌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1의 스트랩 연결부의 단부를 확대한 도면이며, 도 10은 도 1의 스트랩이 연결된 스트랩 연결부를 절단한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스트랩 연결부(140)에는 직사각형 형상의 스트랩 연결용 홀(141)이 형성되며, 스트랩 연결용 홀(141)을 형성하는 일측 벽과 힌지(146)를 통해 연결되는 단면이 직사각형 형상인 고정편(1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랩 연결용 홀(141)의 타측 벽에는 고정편(142)의 단부(145)가 선택적으로 맞닿는 단차부(143)가 홀의 내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고정편(142)은 단차부(143)의 단차면(149)에 단부(145)가 맞닿아 있는 상태에서 힌지(146)를 중심으로 피봇됨으로써 스트랩 연결용 홀(14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가 스트랩(30)의 단부를 스트랩 연결용 홀(141)로 통과시키기 위해, 고정편(142)을 피봇시켜서 고정편(142)과 단차부(143)의 사이에 틈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착용자가 상기 틈으로 스트랩(30)의 단부를 밀어넣어서 스트랩(30)을 스트랩 연결용 홀(141)에 통과시킴으로써 스트랩 연결부(140)에 스트랩(3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이렇게 통과된 스트랩(30)은 고정편(142)의 단부(145)와 단차부(143)에 의해 물려서 헤드 밴드 부재(100)에 대한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며, 더욱 상세하게는 고정편(142)의 단부(145)에서 돌출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스트랩 파지 돌기(144)가 단차부(143)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스트랩 파지용 홈(147)에 삽입되려는 압력에 의해 물려서 파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차부(143)에는 스트랩 파지 돌기(144)에 대응되는 위치에 스트랩 파지용 홈(147)이 스트랩 연결용 홀(141)의 내측으로 향하는 면으로부터 요입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트랩 파지 돌기(144)는 스트랩 파지용 홈(147)의 너비에 대응되는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스트랩(30)을 파지하는 압력은 힌지(146)에서 발생되는 복원력(토크)이 고정편(142)의 단부(145)로 전달됨으로써 스트랩(30)에 작용할 수 있다.
또한, 스트랩 파지 돌기(144)는 단차부(143)의 단차면(149)에 대향하는 고정편(142)의 면에 대하여 하측으로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형상으로 인해, 스트랩(30)이 파지될 때 스트랩(30)을 파지하는 압력이 스트랩(30)에 잘 전달되어 스트랩(30)이 스트랩 파지 돌기(144)와 스트랩 파지용 홈(147)에 의해 꽉 물릴 수 있으므로, 스트랩(30)의 파지되는 위치가 잘 유지될 수 있다.
더불어, 착용자가 스트랩(30)의 길이를 조절하고자 할 때, 스트랩(30)의 일부 중 스트랩 파지 돌기(144)가 돌출된 방향의 반대쪽 방향으로 통과된 부분을 잡아당김으로써 스트랩(30)이 스트랩 파지 돌기(144)의 경사면을 타고 미끄러져서, 스트랩(30)에 작용하는 파지 압력에도 불구하고 스트랩(30)의 길이를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착용자는 스트랩 연결부(140)의 단부(148)를 손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손쉽게 스트랩(30)을 잡아당길 수 있다.
또한, 착용자가 스트랩(30)의 길이를 반대 방향으로 조절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으로 고정편(142)을 피봇시켜서 고정편(142)의 단부(145)와 단차부(143) 사이의 틈을 형성시킨 상태로 스트랩(30)을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겨서 조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 밴드 부재(100) 및 헤드 크래들(10)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1은 도 1의 헤드 밴드 부재 두 개가 체결되어 헤드 크래들을 형성한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2는 도 11의 헤드 크래들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13은 도 11의 A-A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14는 도 1의 헤드 크래들의 두 헤드 밴드 부재 중 일방의 제 1 체결부와 타방의 제 2 체결부가 체결된 상태에서 상호 회전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헤드 크래들(10)은 두 개의 헤드 밴드 부재(100)가 서로 체결됨으로써 구성되며, 이때 두 헤드 밴드 부재(100) 중 일방의 제 1 체결부(110)가 타방의 제 2 체결부(120)에 체결되고, 타방의 제 1 체결부(110)가 일방의 제 2 체결부(120)에 체결될 수 있다.
제 1 체결부(110)와 제 2 체결부(120)가 체결될 때, 제 2 체결부(120)의 캡(122)이 제 1 체결부(110)의 삽입홀(116)에 삽입될 수 있다. 이때, 캡(122)이 삽입홀(116)에 진입되기 시작하면서 캡(122)의 일 면이 제 1 체결부(110)의 클릭 돌기(112) 및 스토퍼(114)에 의해 일부 간섭되는데, 진입 방향으로 지속적으로 힘을 받으면 가요성의 캡(122)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클릭 돌기(112) 및 스토퍼(114)와 접촉되는 캡(122)의 면이 클릭 돌기(112)와 스토퍼(114)에 형성된 경사면을 타고 슬라이딩 되면서 넘어가게 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캡(122)의 삽입이 완료되면, 캡(122)은 클릭 돌기(112) 및 스토퍼(114)에 걸린 상태가 유지되면서 삽입홀(116)에 대한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캡(122)이 빠져나오는 것이 방지되며, 이로써 제 1 체결부(110)와 제 2 체결부(120)의 체결이 완료될 수 있다.
또한, 제 1 체결부(110)와 제 2 체결부(120)의 체결이 완료된 상태에서 캡(122)의 적어도 일부는 삽입홀(116)의 내부에 수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캡(122)이 삽입홀(116)의 내부에서 회전될 때 삽입홀(116)의 내주면에 의해 캡(122)의 회전이 가이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체결된 두 헤드 밴드 부재(100)가 상호 피봇됨으로써 헤드 크래들(10)이 펼쳐지거나 접히는 과정을 설명하겠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22)이 삽입홀(116)에 수용된 상태에서 헤드 크래들(10)이 접힌 상태에서는 가요성 링(124)의 계합 돌기(128)가 계합홈(118)에 수용되지 않은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헤드 크래들(10)이 접힌 상태에서 펼쳐질 때는 제 1 체결부(110)와 제 2 체결부(120)가 상호 피봇되면서 가요성 링(124)이 제 1 체결부(110)의 삽입홀(116)의 내부에서 회전을 하게 된다.
가요성 링(124)이 계속 회전되어 계합 돌기(128)가 클릭 돌기(112)에 접촉되면 가요성 링(124)의 회전이 방해되는데, 이때 지속적으로 회전력이 가해지면 가요성 링(124)이 지름 방향으로 수축하면서 계합 돌기(128)가 클릭 돌기(112)를 타고 넘어가서 계합홈(118)에 수용된다. 이 과정에서 계합 돌기(128)가 클릭 돌기(112)를 타고 넘어가다가 갑작스럽게 계합홈(118)으로 수용되면서 클릭 돌기(112)와 충돌하게 되고, 충돌과 함께 딸깍하는 소리가 발생되면서 착용자에게 클릭감을 전달하게 된다.
계합 돌기(128)가 계합홈(118)에 수용되면 스토퍼(114) 및 클릭 돌기(112)가 제 2 체결부(120)의 연결 돌기(126)에 의해 간섭되면서 가요성 링(124)이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막는다.
이러한 과정을 거쳐 착용자는 헤드 크래들(10)을 쉽게 펼 수 있으며, 클릭감을 전달받음으로써 펼쳐지는 것이 완료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헤드 크래들(10)이 펼쳐진 상태에서는 계합 돌기(128)가 계합홈(118)에 수용됨으로써 펼쳐진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스트랩 연결부(140)는 지지 부재(130)의 연장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랩 연결부(140)는 지지 부재(130)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그 각도는 대략 45°또는 135° 만큼 틀어져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헤드 크래들(10)이 펼쳐졌을 때 스트랩 연결부(140)와 두 지지 부재(130)가 대칭인 형상으로 펼쳐질 수 있다. 또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 크래들(10)이 최대로 펼쳐졌을 때 스트랩 연결부(140)의 가상의 중심선에 대하여 두 지지 부재(130)가 서로 대칭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 크래들(10)이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었을 때, 스트랩 연결부(140)가 마스크 본체(20)를 향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스트랩(30)이 스트랩 연결부(140)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마스크 본체(20)에 연결되는 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로써, 착용자가 스트랩(30)의 길이를 조절하려 할 때, 스트랩(30)의 연장 방향과 스트랩 연결부(140)의 연장 방향을 얼라인(align) 시키려는 노력을 기울일 필요가 없어진다.
헤드 크래들(10)이 접힌 상태에서는 두 헤드 밴드 부재(100)의 지지 부재(130)가 서로 대략적으로 수평인 상태로 유지되다가, 헤드 크래들(10)이 펼쳐지면서 지지 부재(130)의 중앙 부분이 서로 멀어짐과 동시에 지지 부재(130)의 각 체결부(110, 120)가 위치된 양 단부가 서로 가까워지면서 지지 부재(130)가 일 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때, 지지 부재(130)는 항상 일정한 방향으로만 휘어지도록 유도될 수 있는데, 이는 지지 부재(130)가 두 체결부(110, 120)와 연결되는 지점에서 동일한 면에 형성되는 보강부(132)에 의해 가능하다.
구체적으로, 보강부(132)는 제 1 및 제 2 체결부(110, 120)와 지지 부재(130)가 연결되는 지점에서 형성되며, 제 1 및 제 2 체결부(110, 120)로부터 지지 부재(130)를 향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얇아지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보강부(132)는 캡(122)이 돌출되는 면의 반대측 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헤드 크래들(10)이 펼쳐질 때, 보강부(132)가 형성된 면이 서로 마주보도록 헤드 밴드 부재(100)가 휘어질 수 있고, 캡(122)이 돌출된 방향이 바깥쪽을 향하도록 헤드 크래들(10)이 펼쳐질 수 있다.
이렇게 펼쳐진 헤드 크래들(10)은 스트랩(30)을 통해 마스크 본체(20)와 연결된 상태로 착용자의 머리에 착용되어 마스크 본체(20)가 착용자의 안면에 고정되도록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착용자가 호흡기 마스크(1)를 목에 걸기 위해 헤드 크래들(10)을 접을 수 있다. 이 경우, 착용자가 두 헤드 밴드 부재(100)를 펼쳤을 경우와는 반대 방향으로 피봇시켜서 접을 수 있다. 이때, 계합홈(118)에 수용되어 있던 계합 돌기(128)가 다시 클릭 돌기(112)를 타고 넘어가서 클릭감을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실시예의 헤드 밴드 부재(100) 및 헤드 크래들(10)에 의하면, 동일한 형상을 갖는 헤드 밴드 부재(100)를 두 개씩 체결하여 헤드 크래들(10)을 만들 수 있으므로, 서로 다른 형상의 두 부재를 포함하는 종래의 헤드 크래들에 비하여 제작 공정이 간단하고, 마스크 본체(20)를 안면에 착용하였을 때 헤드 크래들(10)이 소정 각도로 펼쳐진 상태에서 지지 부재(130)가 휘어지므로, 착용자의 머리에 안정적으로 고정된 느낌을 착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마스크를 머리에 착용하거나 목에 걸기 위해 접거나 펼 때 클릭 돌기(112) 및 계합 돌기(128)의 상호 작용에 의해 부드러운 클릭감을 전달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헤드 크래들이 사용자에게 덜걱거리는 느낌을 전달하면서 착용시 부드러운 클릭감을 주지 못하였던 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또한, 두 헤드 밴드 부재(100)가 한번 체결된 후에는 긴 시간 동안 접혔다 펴졌다를 반복하여 사용되더라도, 캡(122)이 삽입홀(116)에 수용된 상태에서 스토퍼(114)와 클릭 돌기(112)에 의해 걸린 상태가 유지되어 쉽게 분리되지 않으므로, 제품의 사용 연한이 종래에 비하여 연장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한편, 위험한 작업 현장 등 호흡기 마스크(1)와 헬멧을 동시에 착용해야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럴 경우,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헤드 크래들(10)에 스트랩(30)이 바로 연결되는 구성을 가지므로, 착용자가 헤드 크래들(10)을 머리에 착용한 상태에서 그 위에 헬멧을 얹어서 착용할 수 밖에 없었다. 이에 따라, 헤드 크래들(10)과 헬멧이 중첩적으로 착용되어, 사용자의 두부를 필요 이상으로 압박하게 되고, 이로 인해 착용자는 불편함을 느낄 수밖에 없다. 나아가, 착용자의 머리에 헬멧이 밀착되지 못함에 따라 머리에 충격이 가해졌을 때 제대로 된 완충 작용을 하지 못할 수도 있다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후술하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가 제안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 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에 관하여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설명하겠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 크래들이 스트랩 연결용 버클과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16는 도 15의 B-B 단면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헤드 밴드 부재(200)는 스트랩 연결부(240)의 형상이 상술한 실시예와 다른 형상을 가지면서 별도로 제공되는 버클(40)을 매개로 하여 스트랩(30)과 연결되는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하, 이와 같은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며, 동일한 설명 및 도면부호는 상술한 실시예를 원용하겠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헤드 밴드 부재(200)로 구성된 헤드 크래들(10)은 착용자의 머리에 밀착되어 버클(40) 및 스트랩(30)을 통해 연결된 마스크 본체(20)를 착용자의 안면에 밀착되도록 유지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스트랩 연결부(240)는 버클(40)과 체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 스트랩 연결부(240)는 일 면으로부터 버클(40)의 체결홈(426)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면서 대응되는 위치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 부재(2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돌출 부재(242)는 스트랩 연결부(240)의 상기 일 면 상에서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체결홈(426)의 너비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버클(40)의 계합부(420)에 형성되는 2 개의 체결홈(426)에 맞춰서 돌출 부재(242)는 2 개가 형성될 수 있고, 2 개의 돌출 부재(242)의 사이 공간에 계합부(420)의 중앙 계합 부재(422)가 인입될 수 있다. 즉, 버클(40)이 계합부(420)에 체결될 때 돌출 부재(242)가 체결홈(426)에 삽입됨으로써 버클(40)의 스트랩 연결부(240)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스트랩 연결부(240)에는 버클(40)이 체결되었을 때 중앙 계합 부재(422)의 하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걸림 돌기(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는 걸이용 홀(244)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스트랩 연결부(240)에 버클(40)이 체결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버클(40)이 착용자에 의해 파지된 상태에서 스트랩 연결부(240)를 향해 접근하면, 버클(40)의 상기 걸림 돌기가 스트랩 연결부(240)의 일 면에 접촉된 상태로 전진되기 시작하고, 버클(40)의 가요성으로 인해 버클(40)의 개구가 넓어지면서 중앙 계합 부재(422)가 돌출 부재(242)의 사이 공간으로 진입될 수 있다.
이렇게 버클(40)이 스트랩 연결부(240)를 향해 계속 전진되어 상기 걸림 돌기가 걸이용 홀(244)로 수용되면, 버클(40)의 개구가 벌어지도록 휘어졌던 버클(40)의 걸이부(410)가 다시 복원되면서 상기 걸림 돌기가 걸이용 홀(244)을 구성하는 측벽에 걸리게 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걸림 돌기가 걸이용 홀(244)에 수용되면서 걸이용 홀(244)의 측벽에 상기 걸림 돌기의 내측벽이 접촉된다.
이로써, 버클(40)이 스트랩 연결부(240)에 체결되는 과정이 완료될 수 있으며, 돌출 부재(242)가 체결홈(426)에 수용됨과 동시에 상기 걸림 돌기가 걸이용 홀(244)에 수용됨으로써 버클(40)의 스트랩 연결부(240)에 대한 체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착용자가 버클(40)을 단순히 스트랩 연결부(240)를 향해 진입시키기만 하면 체결이 가능하므로, 스트랩 연결부(240)를 머리에 쓴 상태에서도 손쉽게 버클(40)을 체결시켜서 마스크 본체(20)를 안면에 착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헤드 크래들(10)을 벗기 위해 버클(40)과의 체결을 해제하는 경우에도, 걸이부(410)를 당겨서 버클(40)의 개구를 인위적으로 넓힌 상태로 버클(40)을 체결시와는 반대 방향으로 전진시킴으로써 손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착용자가 헤드 크래들(10)을 착용한 상태에서 이를 헬멧으로 교체하고자 하는 경우, 버클(40)을 먼저 분리하여 헤드 크래들(10)을 벗은 다음 헬멧을 머리에 착용하고 다시 버클(40)을 헬멧에 체결함으로써 마스크 본체(20)를 헬멧에 연결할 수 있으므로, 헤드 크래들(10)에서 헬멧으로 손쉽게 교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하기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나열이다.
항목 1은 상호 체결된 두 개의 헤드 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 밴드 부재는,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일 단부에 형성되고,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제 1 체결부; 상기 지지 부재의 타 단부에 형성되는 제 2 체결부; 및 상기 제 1 체결부 또는 상기 제 2 체결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마스크 본체와 연결된 스트랩이 연결되는 스트랩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홀이 형성된 홀부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이다.
항목 2는 상기 슬릿홀은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헤드 크래들이다.
항목 3은 상기 슬릿홀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 개의 상기 슬릿홀 중 제 1 슬릿홀은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복수 개의 상기 슬릿홀 중 제 2 슬릿홀은 상기 제 1 슬릿홀과 다른 각도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헤드 크래들이다.
항목 4는 상기 제 1 슬릿홀과 상기 제 2 슬릿홀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여 배열되는, 헤드 크래들이다.
항목 5는 상기 홀부는 상기 제 1 체결부 측과 상기 제 2 체결부 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중앙부에는 상기 홀부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슬릿홀과 상기 제 2 슬릿홀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이 형성되는, 헤드 크래들이다.
항목 6은 상기 제 1 슬릿홀과 상기 제 2 슬릿홀은 서로 대칭되는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헤드 크래들이다.
항목 7은 상기 두 개의 헤드 밴드 부재 중 일방의 상기 제 2 체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타방의 상기 제 1 체결부의 상기 삽입홀에 삽입됨으로써 체결되고, 상기 타방의 상기 제 2 체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일방의 상기 제 1 체결부의 상기 삽입홀에 삽입됨으로써 체결되고, 상기 두 개의 헤드 밴드 부재는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상호 피봇되어 펼쳐지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다시 접히는 것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헤드 크래들이다.
항목 8은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클릭 돌기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이다.
항목 9는 상기 제 2 체결부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는 캡; 및 상기 캡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부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원형 홀에 수용되고, 상기 원형 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 돌기를 통해 상기 원형 홀의 내주면과 연결되는 가요성 링을 포함하고, 상기 캡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2 체결부가 체결되는, 헤드 크래들이다.
항목 10은 상기 캡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캡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2 체결부가 상기 제 1 체결부에 대하여 회전될 때 상기 캡이 상기 삽입홀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회전되는, 헤드 크래들이다.
항목 11은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클릭 돌기의 지름 방향 반대쪽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가요성 링이 형성된 면의 반대측 면이 중앙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릭 돌기 및 상기 스토퍼는, 상기 캡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될 때, 상기 제 2 면이 타고 넘어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이다.
항목 12는 상기 캡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클릭 돌기 및 상기 스토퍼에 의해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헤드 크래들이다.
항목 13은 상기 가요성 링은, 상기 가요성 링의 외주면의 일 지점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계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클릭 돌기에는 상기 계합 돌기가 수용 가능한 계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돌기에 지름 방향으로 요입홈이 형성되는, 헤드 크래들이다.
항목 14는 상기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스트랩 연결용 홀의 일측 벽에 연결되는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 연결용 홀의 타측 벽에는, 상기 고정편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맞닿는 단차부가 돌출 형성되는, 헤드 크래들이다.
항목 15는 상기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단차부에 하나 이상의 스트랩 파지용 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단차면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상기 스트랩 파지용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스트랩 파지 돌기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이다.
항목 16은 상기 스트랩 파지 돌기는, 상기 고정편의 상기 단차면에 대향하는 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헤드 크래들이다.
항목 17은 상기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지지 부재의 연장 방향과 소정 각도만큼 틀어져서 형성되어, 최대로 펼쳐졌을 때 상기 스트랩 연결부의 가상의 중심선에 대하여 체결된 두 지지 부재가 서로 대칭이 되는, 헤드 크래들이다.
항목 18은 상기 스트랩 연결부는, 일 측에 상기 스트랩이 연결된 버클을 통해 상기 스트랩과 연결되는, 헤드 크래들이다.
항목 19는 상기 스트랩 연결부는, 일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클에는 상기 돌출 부재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에 상기 돌출 부재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버클에 상기 스트랩 연결부가 체결되는, 헤드 크래들이다.
이상 본 발명의 가요성이 우수한 헤드 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호흡기 마스크 10: 헤드 크래들
20: 마스크 본체 30: 스트랩
100: 헤드 밴드 부재 110: 제 1 체결부
120: 제 2 체결부 130: 지지 부재
140: 스트랩 연결부

Claims (19)

  1. 상호 체결된 두 개의 헤드 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헤드 밴드 부재는 각각,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 부재;
    상기 지지 부재의 일 단부에 형성되고, 삽입홀이 관통 형성되는 제 1 체결부;
    상기 지지 부재의 타 단부에 형성되는 제 2 체결부; 및
    상기 제 1 체결부 또는 상기 제 2 체결부의 단부에 형성되고, 마스크 본체와 연결된 스트랩이 연결되는 스트랩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헤드 밴드 부재 각각에 포함된 상기 지지 부재들은,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슬릿홀이 형성된 홀부를 포함하고,
    상기 두 개의 헤드 밴드 부재 중 일방의 상기 제 2 체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타방의 상기 제 1 체결부의 상기 삽입홀에 삽입됨으로써 체결되고, 상기 타방의 상기 제 2 체결부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일방의 상기 제 1 체결부의 상기 삽입홀에 삽입됨으로써 체결되고,
    상기 두 개의 헤드 밴드 부재는 상기 제 1 체결부 및 상기 제 2 체결부를 중심으로 소정 각도만큼 상호 피봇되어 펼쳐지거나, 펼쳐진 상태에서 다시 접히는 것이 가능하게 제공되는,
    헤드 크래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홀은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어긋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헤드 크래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홀은 복수 개로 제공되고,
    복수 개의 상기 슬릿홀 중 제 1 슬릿홀은 상기 일 방향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고,
    복수 개의 상기 슬릿홀 중 제 2 슬릿홀은 상기 제 1 슬릿홀과 다른 각도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는,
    헤드 크래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릿홀과 상기 제 2 슬릿홀은 상기 일 방향을 따라 서로 교번하여 배열되는,
    헤드 크래들.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홀부는 상기 제 1 체결부 측과 상기 제 2 체결부 측에 구비되고,
    상기 지지 부재의 중앙부에는 상기 홀부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슬릿홀과 상기 제 2 슬릿홀이 형성되지 않는 영역이 형성되는,
    헤드 크래들.
  6.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슬릿홀과 상기 제 2 슬릿홀은 서로 대칭되는 각도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헤드 크래들.
  7. 삭제
  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삽입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클릭 돌기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체결부는,
    상기 삽입홀에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는 캡; 및
    상기 캡의 일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 2 체결부에 관통하여 형성되는 원형 홀에 수용되고, 상기 원형 홀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연결 돌기를 통해 상기 원형 홀의 내주면과 연결되는 가요성 링을 포함하고,
    상기 캡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 1 체결부와 상기 제 2 체결부가 체결되는,
    헤드 크래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캡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삽입홀의 내부에 위치되어, 상기 제 2 체결부가 상기 제 1 체결부에 대하여 회전될 때 상기 캡이 상기 삽입홀에 의해 가이드 되면서 회전되는,
    헤드 크래들.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체결부는,
    상기 클릭 돌기의 지름 방향 반대쪽 내주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캡은,
    상기 가요성 링이 형성된 면의 반대측 면이 중앙으로 갈수록 높아지는 곡면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클릭 돌기 및 상기 스토퍼는,
    상기 캡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될 때, 상기 캡이 타고 넘어가는 경사면을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캡이 상기 삽입홀에 삽입되었을 때, 상기 클릭 돌기 및 상기 스토퍼에 의해 삽입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이 방지되는,
    헤드 크래들.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링은,
    상기 가요성 링의 외주면의 일 지점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계합 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클릭 돌기에는 상기 계합 돌기가 수용 가능한 계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 돌기에 지름 방향으로 요입홈이 형성되는,
    헤드 크래들.
  14.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연결부에는 스트랩 연결용 홀이 형성되고,
    상기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스트랩 연결용 홀의 일측 벽에 연결되는 고정편을 포함하고,
    상기 스트랩 연결용 홀의 타측 벽에는, 상기 고정편의 단부가 선택적으로 맞닿는 단차부가 돌출 형성되는,
    헤드 크래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부에 하나 이상의 스트랩 파지용 홈이 요입 형성되고,
    상기 고정편은,
    상기 단차부의 단차면에 대향하는 면으로부터 상기 스트랩 파지용 홈에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 형성되는 스트랩 파지 돌기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파지 돌기는,
    상기 고정편의 상기 단차면에 대향하는 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헤드 크래들.
  1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연결부는 상기 지지 부재의 연장 방향과 소정 각도만큼 틀어져서 형성되어, 최대로 펼쳐졌을 때 상기 스트랩 연결부의 가상의 중심선에 대하여 체결된 두 지지 부재가 서로 대칭이 되는,
    헤드 크래들.
  18.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연결부는,
    일 측에 상기 스트랩이 연결된 버클을 통해 상기 스트랩과 연결되는,
    헤드 크래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스트랩 연결부는,
    일 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는 돌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클에는 상기 돌출 부재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는 체결홈이 형성되어, 상기 체결홈에 상기 돌출 부재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버클에 상기 스트랩 연결부가 체결되는,
    헤드 크래들.
KR1020170009065A 2017-01-19 2017-01-19 가요성이 우수한 헤드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 KR1018987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065A KR101898799B1 (ko) 2017-01-19 2017-01-19 가요성이 우수한 헤드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
PCT/IB2018/050323 WO2018134767A1 (en) 2017-01-19 2018-01-18 Head cradle including a head band member having excellent flexibility
US16/477,994 US11517058B2 (en) 2017-01-19 2018-01-18 Head cradle including a head band member having excellent flexibility
EP18741682.1A EP3570694A4 (en) 2017-01-19 2018-01-18 HEADREST WITH A HEADBAND ELEMENT WITH EXCELLENT FLEXIBILITY
CN201880007723.0A CN110234245B (zh) 2017-01-19 2018-01-18 包括具有优异柔韧性的头部带构件的头部支架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9065A KR101898799B1 (ko) 2017-01-19 2017-01-19 가요성이 우수한 헤드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85484A KR20180085484A (ko) 2018-07-27
KR101898799B1 true KR101898799B1 (ko) 2018-09-13

Family

ID=62907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9065A KR101898799B1 (ko) 2017-01-19 2017-01-19 가요성이 우수한 헤드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517058B2 (ko)
EP (1) EP3570694A4 (ko)
KR (1) KR101898799B1 (ko)
CN (1) CN110234245B (ko)
WO (1) WO201813476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60867A (ko) 2015-03-31 2024-05-08 피셔 앤 페이켈 핼스케어 리미티드 기도에 가스를 공급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및 시스템
KR102073783B1 (ko) * 2015-08-20 2020-02-0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호흡기 마스크의 착용을 위한 해드 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
WO2017062507A1 (en) 2015-10-05 2017-04-13 Tactile Systems Technology, Inc. Adjustable compression garment
SG10202101375QA (en) 2016-08-11 2021-03-30 Fisher & Paykel Healthcare Ltd A collapsible conduit, patient interface and headgear connector
USD839484S1 (en) * 2017-02-28 2019-01-29 Tactile Systems Technology, Inc. Head Garment
WO2021054844A1 (en) * 2019-09-16 2021-03-25 Fisher & Paykel Healthcare Limited Knitted headgear for respiratory interface
WO2021058536A1 (en) * 2019-09-27 2021-04-01 Koninklijke Philips N.V. Selectively altering deformation characteristics of a synthetic fabric material
KR102188594B1 (ko) * 2020-04-21 2020-12-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머리장착용 탄성밴드가 구비된 전자 마스크
KR102188598B1 (ko) * 2020-04-21 2020-12-08 충북대학교 산학협력단 에어쉴드 기능을 갖는 기능성 마스크
USD970125S1 (en) * 2020-06-09 2022-11-15 Lg Electronics Inc. Air purifier mask body
US20220015469A1 (en) * 2020-07-15 2022-01-20 Valerie Markarian Mask Leash
USD955652S1 (en) * 2020-11-03 2022-06-21 Atmos Life Science Inc. Transparent protective face mask
US12121087B2 (en) * 2020-11-16 2024-10-22 Shane Intihar Head worn and swing arm mounted mask
USD1002983S1 (en) * 2021-05-19 2023-10-24 Hector Gonzalez Mask holder
CN117980025A (zh) * 2021-07-07 2024-05-03 瑞思迈亚洲私人有限公司 患者接口和用于患者接口的定位和稳定结构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3220B2 (ja) * 2008-02-26 2012-12-19 株式会社谷沢製作所 ヘルメットにおけるフェイスシールド装着装置
KR101250425B1 (ko) 2011-07-28 2013-04-08 심규성 타인 보호용 위생마스크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922956A (en) 1969-08-19 1973-03-20 M. Carreira Leonard Transfer imaging
US4454880A (en) * 1982-05-12 1984-06-19 Rudolph Muto Nasal hood with open-bottom mixing chamber
DE3721662A1 (de) * 1987-06-26 1989-01-12 Auergesellschaft Gmbh Schutzhelm mit einer baenderlosen atemschutzmaske
US5464010A (en) * 1993-09-15 1995-11-07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Convenient "drop-down" respirator harness structure and method of use
US6070579A (en) * 1996-03-08 2000-06-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Elastomeric composite headband
US6328031B1 (en) * 1997-03-20 2001-12-11 Michael Scott Tischer Firefighting hood and face mask assembly
US6119693A (en) 1998-01-16 2000-09-19 Resmed Limited Forehead support for facial mask
US6318369B1 (en) * 1998-03-05 2001-11-20 Kenneth M. Gregory Eye ear and respiration protection apparatus
DE10064471B4 (de) * 2000-12-15 2004-09-02 Auergesellschaft Gmbh Bänderung für eine Atemschutz-Vollmaske
US7743767B2 (en) * 2002-04-23 2010-06-29 Resmed Limited Ergonomic and adjustable respiratory mask assembly with frame
AUPS192602A0 (en) 2002-04-23 2002-05-30 Resmed Limited Nasal mask
USD532511S1 (en) 2005-01-03 2006-11-21 Resmed Limited Headgear for respiratory mask assembly
US7178528B2 (en) * 2005-03-01 2007-02-20 Lau Greg Y Headgear for noninvasive ventilation interface
WO2007022562A1 (en) 2005-08-22 2007-03-01 Compumedics Limited Mask assembly
US8826909B2 (en) * 2007-06-01 2014-09-09 Ramses Nashed Respiratory face mask and headstrap assembly
CN201135159Y (zh) * 2008-01-09 2008-10-22 3M创新有限公司 连接面罩和头盔的连接装置和具有该连接装置的组合帽
US9084863B2 (en) * 2008-08-25 2015-07-21 Koninklijke Philips N.V. Respiratory patient interfaces
US8839785B2 (en) * 2010-03-10 2014-09-23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 harness having collapsible head cradle
US20120030912A1 (en) * 2010-08-05 2012-02-09 Moldex-Metric, Inc. Adjustable buckle for a respriator mask
NZ607879A (en) * 2010-09-30 2014-11-28 Resmed Ltd Mask system
WO2012104756A1 (en) 2011-02-03 2012-08-09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Patient interface device having selectively positionable multi-band headgear
US9149669B2 (en) 2013-02-01 2015-10-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Respiratory protection device harness assembly
US20140238401A1 (en) * 2013-02-22 2014-08-28 Walter Jent Paschall Cpap system
KR101594146B1 (ko) * 2014-05-15 2016-02-15 주식회사 오토스윙 헤드 밴드용 기능성/다용도 헤드 쿠션
TWM511888U (zh) * 2015-03-04 2015-11-11 Hui-Yu Chang 多功能綁帶
KR102073783B1 (ko) * 2015-08-20 2020-02-05 쓰리엠 이노베이티브 프로퍼티즈 캄파니 호흡기 마스크의 착용을 위한 해드 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103220B2 (ja) * 2008-02-26 2012-12-19 株式会社谷沢製作所 ヘルメットにおけるフェイスシールド装着装置
KR101250425B1 (ko) 2011-07-28 2013-04-08 심규성 타인 보호용 위생마스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17058B2 (en) 2022-12-06
EP3570694A4 (en) 2020-11-04
WO2018134767A1 (en) 2018-07-26
EP3570694A1 (en) 2019-11-27
KR20180085484A (ko) 2018-07-27
CN110234245B (zh) 2021-05-18
CN110234245A (zh) 2019-09-13
US20200221796A1 (en) 2020-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8799B1 (ko) 가요성이 우수한 헤드 밴드 부재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
KR20170022385A (ko) 호흡기 마스크의 착용을 위한 해드 밴드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헤드 크래들
KR101922285B1 (ko) 스트랩 연결용 버클 및 이를 포함하는 호흡기 하니스
EP3456388B1 (en) Mask
AU765478B2 (en) Respirator headpiece and release mechanism
JP2023101518A (ja) ロールする鼻梁部を有するインタフェース
CN106659864B (zh) 头戴具夹扣装置
KR101858442B1 (ko) 황사 마스크
JPH0160563B2 (ko)
CN105363143A (zh) 呼吸防护罩-保持件
JP6234844B2 (ja) 防護マスク用のシール具
US10918894B2 (en) Face seal for respirator mask
WO2018094009A1 (en) Mask respirator with filter cartridge
KR101723421B1 (ko) 반면형 마스크
WO2024015118A1 (en) Dual chambered protective mask and articulating frame insert for forming same
BR102012018245A2 (pt) Dispositivo e sistema de retenção de filtro de partículas para máscaras de respiração e máscara de respiração
KR101729961B1 (ko) 반면형 마스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