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9754B1 - 차량 운전석용 휠체어 탑승장치 - Google Patents
차량 운전석용 휠체어 탑승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9754B1 KR101889754B1 KR1020160159120A KR20160159120A KR101889754B1 KR 101889754 B1 KR101889754 B1 KR 101889754B1 KR 1020160159120 A KR1020160159120 A KR 1020160159120A KR 20160159120 A KR20160159120 A KR 20160159120A KR 101889754 B1 KR101889754 B1 KR 1018897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heelchair
- turntable
- vehicle
- seat
- drive system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028 elev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37237 body shap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125000002066 L-histidyl group Chemical group [H]N1C([H])=NC(C([H])([H])[C@](C(=O)[*])([H])N([H])[H])=C1[H]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6—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for carrying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02—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with parallel up-and-down movement of load supporting or containing ele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1/00—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 B60P1/36—Vehicles predominantly for transporting loads and modified to facilitate loading, consolidating the load, or unloading using endless chains or belts there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7/00—Lifting frames, e.g. for lifting vehicles; Platform lifts
- B66F7/28—Constructional details, e.g. end stops, pivoting supporting members, sliding runners adjustable to load dimens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9/00—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 F16H19/02—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 F16H19/04—Gearings comprising essentially only toothed gears or friction members and not capable of conveying indefinitely-continuing rotary motion for interconverting rotary or oscillating motion and reciprocating motion comprising a rack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7/00—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 F16H7/06—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by endless flexible members with chai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80—Other vehicles not covered by groups B60Y2200/10 - B60Y2200/60
- B60Y2200/84—Wheelchai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장애인이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차량의 운전석으로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탑승한 후 운전을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차량의 운전석 바닥면에 구비되는 승강공간; 상기 승강공간 상에서 승강수단에 의해 도로 또는 지면으로부터 승강되는 승강 프레임; 및 상기 승강 프레임의 상면에 회전수단에 의해 휠체어가 탑승한 상태에서 운전대 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턴테이블;을 포함하는 차량 운전석용 휠체어 탑승장치를 제공한다.
그에 따라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제3자의 도움없이도 차량으로의 탑승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차량 내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탑승장치로 인한 간섭이나 별도의 설치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활용성 또한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에 따라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제3자의 도움없이도 차량으로의 탑승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차량 내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탑승장치로 인한 간섭이나 별도의 설치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활용성 또한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장애인이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차량의 운전석으로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탑승한 후 운전을 바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운전석용 휠체어 탑승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휠체어는 다리에 불편함은 갖는 장애인이 이동할 때 사용하는 이동수단으로,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는 차량으로 직접 탈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그에 따라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는 차량으로 직접 탑승할 수 없는 상당히 번거롭고 불편한 단점을 가진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7536호(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차량의 승차 높이까지 휠체어를 이송시는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와 같은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1은 차량에 구비된 것으로, 휠체어를 리프팅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이 상당히 복잡하고 사용 또한 상당히 번거로운 단점을 가진다.
또한, 선행기술문헌 1은 상기한 리프트가 구비되지 않은 차량에는 휠체어를 탄 상태로서는 탑승할 수 없는 단점을 가진다.
한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종래에도 장애인차량이 제공된바, 이러한 장애인차량에는 장애인이 제3자의 도움없이 자가용을 직접 운전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편의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러한 차량에는 휠체어를 겸하는 운전석시트가 갖추어져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59615호(이하 '선행기술문헌 2'라 한다)에 게시된 바와 같이 장애인을 위한 차량에서 기존의 리프트장치가 가지고 있는 공간적인 제약과 구조가 크고 복잡하다는 문제를 해결하는 새로운 타입의 리프트장치로서, 전후이송용 레일 및 좌우이송용 레일, 리트터 및 상기 리프터를 회전시키는 회전장치로 구성되는 기술이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문헌 2는 휠체어를 직접 리프팅 하는 것이 아니라 휠체어로부터 장애인을 운전석 시트로 다시 옮겨야 하는 불편한 단점은 물론 운전석 시트를 이송하기 위한 기술적 구성 또한 복잡한 단점을 가진다.
더욱이, 차량의 협소한 공간 내에 구비되는 리프트장치와 탑승자 간에 여러 간섭이 발생하는 단점도 가진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주된 해결과제는 장애인이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차량의 운전석으로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탑승한 후 운전을 바로 행할 수 있도록 한 차량 운전석용 휠체어 탑승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해결과제는 차량의 운전대와 휠체어 간의 간격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해결과제는 휠체어가 운전석으로 유동성 없이 안정적으로 탑승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 후 휠체어가 전후로의 유동성도 없도록 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해결수단은 차량의 운전석으로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직접 탑승이 이루어질 수 있는 휠체어 탑승장치로서, 상기 휠체어 탑승장치는 차량의 운전석 바닥면에 구비되는 승강공간; 상기 승강공간 상에서 승강수단에 의해 도로 또는 지면으로부터 승강되는 승강 프레임; 및 상기 승강 프레임의 상면에 회전수단에 의해 휠체어가 탑승한 상태에서 운전대 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턴테이블;을 포함한다.
상기 승강수단은 기어 구동방식, 실린더 구동방식, 스프로킷과 체인 구동방식 중의 어느 하나이다.
상기 회전수단은 기어 구동방식, 스프로킷과 체인 구동방식, 풀리와 벨트 구동방식 중의 어느 하나이다.
상기 승강 프레임과 턴테이블에는 턴테이블을 운전대 측으로 전후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을 더 포함한다.
상기 이동수단은 턴테이블의 전방 승강 프레임에 형성되는 이동공간홈, 상기 턴테이블과 승강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턴테이블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승강 프레임 또는 차량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턴테이블에는 휠체어의 바퀴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동방지부는 턴테이블에 휠체어 각 바퀴가 안내되는 각각 안내홈, 상기 안내홈 상에서 승강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한다.
상기 안내홈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장애인이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차량의 운전석으로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탑승한 후 운전을 바로 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제3자의 도움없이도 차량으로의 탑승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와 함께 차량 내의 협소한 공간에서도 탑승장치로 인한 간섭이나 별도의 설치공간이 요구되지 않아 활용성 또한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차량의 운전대와 휠체어 간의 간격 조절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휠체어에 탄 장애인의 체형에 따라 운전대와의 적정 거리를 유지할 수 있어, 운전 또한 불편함 없이 편리하게 운전할 수 있는 효과도 가진다.
또, 휠체어가 운전석으로 유동성 없이 안정적으로 탑승이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 후 휠체어가 전후로의 유동성도 없도록 함으로써, 차량으로의 탑승이 더욱더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차량의 운행 또한 더욱더 안전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 또한 가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명하기 위한 측면 개념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평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개념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평면 개념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개념도,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개념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으며, 본 발명이 실시 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명하기 위한 측면 개념도이며, 도 2는 도 1에 따른 평면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휠체어 탑승장치(1)는 차량(100)의 운전석으로 휠체어(W)를 탄 상태에서 휠체어의 이동만으로도 직접 탑승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술적 구성을 가진다.
본 발명은 장애인이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차량의 운전석으로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탑승한 후 운전을 바로 행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휠체어 탑승장치(1)는 차량(100)의 운전석 바닥면에 구비되는 승강공간(10)과; 상기 승강공간(10) 상에서 승강수단(22)에 의해 도로 또는 지면으로부터 승강되는 승강 프레임(20); 및 상기 승강 프레임(20)의 상면에 회전수단(32)에 의해 휠체어(W)가 탑승한 상태에서 운전대 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턴테이블(30);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차량의 운전석으로 탑승하고자 할 때, 먼저 승강수단에 의해 승강 프레임을 도로나 바닥면으로 하강시켜 휠체어의 이동만으로도 탑승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렇게, 승강 프레임이 도로 또는 바닥면으로 하강 되면 휠체어를 이동시켜 승강 프레임에 구비되는 턴테이블 측으로 이동하여 탑승한 후, 승강수단에 의해 하강 되었던 승강 프레임을 차량의 바닥면과 동일면을 이루도록 상승시킨다. 이때, 휠체어는 보조 운전석 측을 향한 상태이다.
그런 다음 보조 운전석 측을 향하고 있는 휠체어를 회전수단에 의해 턴테이블을 회전시켜, 운전대 위치로 위치하도록 한다.
그로 인해 휠체어에 탄 상태에서 차량의 운전석으로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탑승할 수 있다. 더욱이, 탑승 후에는 운전대 측으로 휠체어를 회전시킴으로써, 운행 또한 즉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편리성도 제공한다.
더욱이, 종래 장애인차량에 별도의 운전석 시트를 구비함으로 인해 휠체어에 익숙한 상태에서 운전석 시트로 자리를 옮김으로 인해 불편하였던 문제점 또한 본인이 타고 있던 휠체어를 그대로 탄 상태에서 운전석으로 탑승하여 바로 운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의 편리성과 함께 안정적으로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조건도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의 휠체어 탑승장치는 차량의 바닥면에서 승강되는 기술적 구성을 가짐에 따라 차량의 구조변경을 극소화할 수 있는 조건과 함께 다른 좌석이나 탑승자로 하여금 간섭 등과 같은 문제점 또한 전혀 발생하지 않는 조건을 가질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은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도 제3자의 도움없이도 번거롭거나 불편함 없이 차량의 운전석으로 간단하고 편리하게 탑승과 함께 바로 운전 또한 즉시 수행할 수 있는 편리성과 편의성을 제공한다.
승강수단(22)은 통상적인 방식이 적용하는 것으로, 승강 프레임과 차량의 바닥면 또는 차체에 공지된 방식에 의해 장착된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랙과 피니언 등과 같은 기어 구동방식, 실린더 구동방식 또는 스프로킷과 체인 구동방식 중의 어느 하나이다.
다시 말해서, 통상적인 모터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연동(連動)되는 기어 구동방식이나 스프로킷과 체인 구동방식은 물론 통상의 실린더 등에 의해 승강 프레임을 승강시키는 구조이면 족하다. 이러한 구동방식 이외에 차량의 바닥면 또는 차체와 승강 프레임에 연결되어 승강되는 공지된 어떠한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회전수단(32) 또한 통상적인 방식이 적용되는 것으로, 승강 프레임 상에서 공지된 방식에 의해 턴테이블을 회전시킬 수 있는 어떠한 방식을 적용하여도 무방하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턴테이블의 외측면에 기어를 마련하고, 상기 기어와 맞물려 회전시키도록 모터에 연결되는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기어 구동방식은 물론 도시하지 않은 통상적인 스프로킷과 체인 구동방식, 풀리와 벨트 구동방식 중의 어느 하나의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즉, 턴테이블과 모터의 마련되는 각 스프로킷에 체인을 연결하나, 또는 턴테이블과 모터에 구비되는 풀리와 벨트를 연결하는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턴테이블로 탑승한 후 운전대 측으로 회전된 상태에서 휠테어에 앉아 있는 장애인 또한 체형이 다 다른 관계로, 체형에 따라 운전대와의 거리를 조절할 수 있는 수단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항을 고려한 기술적 구성 또한 제공한다.
승강 프레임(20)과 턴테이블(30)에는 그 턴테이블(30)을 운전대 측으로 전후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40)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수단(40)은 턴테이블(30)의 전방 승강 프레임(20)에 턴테이블(30)이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이동공간홈(42)과, 상기 턴테이블(30)과 승강 프레임(20) 사이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재(44) 및 상기 턴테이블(30)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승강 프레임(20) 또는 차량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통상적인 실린더 등과 같은 이동부재(46)를 포함한다.
가이드부재는 통상적인 기술적 구성을 가지는 것으로, 가이드 레일과 그 가이드 레일 상에서 이동되는 가이드구로 구성되어, 상기 턴테이블의 밑면과 승강 프레임의 상면 사이에 통상적인 방식에 의해 개재되어, 이동부재에 의해 전후로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그에 따라 턴테이블로 탑승하여 운전대 측으로 휠체어가 위치하였을 때, 상기 휠체어에 탄 장애인의 체형에 따라 이동부재를 구동하여 턴테이블과 운전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함으로써, 휠체어에 탄 장애인 또한 최상의 조건에서 원활하게 운전할 수 있는 조건도 구비한다. 그로 인해 차량의 운행 또한 더욱더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한 측면 개념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구성에서, 턴테이블로 휠체어가 탑승하는 과정에서 더욱더 안정적으로 탑승할 수 있도록 함과 아울러 차량의 운행시에도 움직임 없이 안전하고 안정적으로 운전할 수 있는 기술적 구성 또한 제시한다.
턴테이블(30)에는 휠체어(W)의 바퀴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부(50)를 더 포함하되, 상기 유동방지부(50)는 턴테이블(30)에 휠체어(W) 각 바퀴가 안내되는 각각 안내홈(52)과, 상기 안내홈(52) 상에서 승강되는 스토퍼(54)를 더 포함한다.
다시 말해서, 턴테이블로 휠체어가 탑승할 때, 불특정한 위치로 탑승하는 것이 아니라 안내홈에 의해 일정한 위치로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탑승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실현 가능하다 할 것이다. 이때, 상기 안내홈의 경우, 휠체어 또는 휠체어 바퀴는 크기나 용도에 따라 다양한 폭으로 형성될 수 있는 것이므로 어떠한 휠체어에도 호환 가능하게 상기 안내홈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안내홈을 따라 안정적으로 탑승이 이루어진 후에는 그 안내홈에 홈에 구비되는 스토퍼에 의해 휠체어 바퀴가 이동되지 않도록 지지한다.
스토퍼는 안내홈 상에서 승강되는 통상적인 구조로, 실린더의 로드 끝단에 고정구 등을 마련하여 승강시킬 수 있음은 물론 고정구의 일측을 회전 가능하게 구비한 후 기어방식 혹은 실린더 등에 의해 타측을 가압함에 따라 세워지고 눕혀질 수 있는 구조를 적용하여 무방하다.
또한, 상기 고정구의 밑면에 스프링 등과 같은 탄성체를 개재하여 휠체어가 통과할 때는 눌러지고 통과 후에는 올라와 휠체어 바퀴를 지지하는 통상적인 구조 또한 적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턴테이블로의 휠체어를 탑승시 안전하면서 안정적으로 탑승이 이루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탑승 후에도 움직임 없이 지지함으로써, 차량을 안전하게 운전할 수 있는 조건과 함께 안전 운행이 이루어질 수 있는 조건도 구비한다.
1 : 휠체어 탑승장치
10 : 승강공간 20 : 승강 프레임
22 : 승강수단 30 : 턴테이블
32 : 회전수단 40 : 이동수단
42 : 이동공간홈 44 : 가이드부재
46 : 이동부재 50 : 유동방지부
52 : 안내홈 54 : 스토퍼
100 : 차량
10 : 승강공간 20 : 승강 프레임
22 : 승강수단 30 : 턴테이블
32 : 회전수단 40 : 이동수단
42 : 이동공간홈 44 : 가이드부재
46 : 이동부재 50 : 유동방지부
52 : 안내홈 54 : 스토퍼
100 : 차량
Claims (8)
- 차량의 운전석으로 휠체어를 탄 상태에서 직접 탑승이 이루어질 수 있는 휠체어 탑승장치로서,
상기 휠체어 탑승장치는 차량의 운전석 바닥면에 구비되는 승강공간;
상기 승강공간 상에서 승강수단에 의해 도로 또는 지면으로부터 승강되는 승강 프레임; 및
상기 승강 프레임의 상면에 회전수단에 의해 휠체어가 탑승한 상태에서 운전대 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는 턴테이블;을 포함하되,
상기 승강 프레임과 턴테이블에는 턴테이블을 운전대 측으로 전후 이동하기 위한 이동수단을 더 포함하되, 상기 이동수단은 턴테이블의 전방 승강 프레임에 형성되는 이동공간홈, 상기 턴테이블과 승강 프레임 사이에 구비되는 가이드부재 및 상기 턴테이블과 일단이 연결되고 타단은 승강 프레임 또는 차량의 바닥면에 고정되는 이동부재를 포함하는 차량 운전석용 휠체어 탑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수단은 기어 구동방식, 실린더 구동방식, 스프로킷과 체인 구동방식 중의 어느 하나인 차량 운전석용 휠체어 탑승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수단은 기어 구동방식, 스프로킷과 체인 구동방식, 풀리와 벨트 구동방식 중의 어느 하나인 차량 운전석용 휠체어 탑승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턴테이블에는 휠체어의 바퀴 움직임을 방지하기 위한 유동방지부를 더 포함하는 차량 운전석용 휠체어 탑승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방지부는 턴테이블에 휠체어 각 바퀴가 안내되는 각각 안내홈, 상기 안내홈 상에서 승강되는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차량 운전석용 휠체어 탑승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홈은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 개로 마련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차량 운전석용 휠체어 탑승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9120A KR101889754B1 (ko) | 2016-11-28 | 2016-11-28 | 차량 운전석용 휠체어 탑승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59120A KR101889754B1 (ko) | 2016-11-28 | 2016-11-28 | 차량 운전석용 휠체어 탑승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0068A KR20180060068A (ko) | 2018-06-07 |
KR101889754B1 true KR101889754B1 (ko) | 2018-08-20 |
Family
ID=62916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59120A KR101889754B1 (ko) | 2016-11-28 | 2016-11-28 | 차량 운전석용 휠체어 탑승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975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7259337B2 (ja) * | 2019-01-11 | 2023-04-18 |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 車両 |
CN116549227B (zh) * | 2023-07-10 | 2023-09-26 | 成都四海万联智能电子设备有限公司 | 一种自动驾驶方舱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86639B2 (ja) * | 2002-12-02 | 2008-05-14 |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 車両の安定構造 |
KR101291249B1 (ko) * | 2012-03-26 | 2013-07-30 | 덕원이엔티 주식회사 |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휠체어 고정장치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559615B1 (ko) | 2004-05-07 | 2006-03-10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장애인차량용 리프트장치 |
KR100727536B1 (ko) | 2005-11-18 | 2007-06-14 | 창림정공(주) | 차량용 휠체어 리프트 |
KR20140060611A (ko) * | 2012-11-12 | 2014-05-21 |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 장애인용 차량의 시트 이송장치 |
-
2016
- 2016-11-28 KR KR1020160159120A patent/KR101889754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086639B2 (ja) * | 2002-12-02 | 2008-05-14 |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 車両の安定構造 |
KR101291249B1 (ko) * | 2012-03-26 | 2013-07-30 | 덕원이엔티 주식회사 | 장애인용 전기자동차의 휠체어 고정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60068A (ko) | 2018-06-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8109554B2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a wheelchair in a vehicle | |
SI25659A (sl) | Dvigalo za teleskopsko potniško stopnišče za letala, ki omogoča vkrcanje potnikov na invalidskem vozičku | |
WO2008127089A1 (en) | Transport aiding device for descending or climbing a staircase | |
KR101889754B1 (ko) | 차량 운전석용 휠체어 탑승장치 | |
KR101372262B1 (ko) | 휠체어용 승강장치 | |
KR102235701B1 (ko) | 탑승기능을 가지는 휠체어 | |
ITTO980781A1 (it) | Dispositivo per mobilita' disabili. | |
US8783403B1 (en) | Transfer accessible vehicle for disabled person | |
JP6410121B1 (ja) | 手動用車輪付移動体 | |
KR20090014717A (ko) | 저상식 휠체어 리프트 | |
KR20200069528A (ko) | 휠체어 이용자용 탑승장치 | |
JP2002178930A (ja) | 階段走行可能な運搬車 | |
KR101007311B1 (ko) | 휠체어 운반기 | |
CN210114585U (zh) | 一种战地伤员转运车 | |
KR101729774B1 (ko) | 장애인 승ㆍ하차 도움 시스템 및 장애인 운송방법 | |
JP5033436B2 (ja) | 車椅子入浴装置 | |
JP4393901B2 (ja) | 担架 | |
JP3443749B2 (ja) | 車両用乗用座席付昇降装置 | |
RU2268695C1 (ru) |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инвалидного кресла-коляски по рампам лестницы | |
KR102536900B1 (ko) | 장애인 픽업유닛을 구비한 휠체어 시스템 | |
JP2004181040A (ja) | 階段走行可能な運搬車 | |
NL2016490B1 (nl) | Voertuig, zoals een auto, camper of bestelbus, en drager met aandrijving. | |
JP2005008408A (ja) | 昇降装置 | |
JP2015104655A (ja) | 段差乗り越え用補助具及び車椅子 | |
JP3113250U (ja) | 段差解消補助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R401 | Registration of resto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