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7452B1 -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7452B1 KR101887452B1 KR1020110135816A KR20110135816A KR101887452B1 KR 101887452 B1 KR101887452 B1 KR 101887452B1 KR 1020110135816 A KR1020110135816 A KR 1020110135816A KR 20110135816 A KR20110135816 A KR 20110135816A KR 101887452 B1 KR101887452 B1 KR 10188745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isplay unit
- flexible display
- folded
- mobile terminal
- lock mod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3811 finger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41001422033 Thestylu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91 arr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556 brain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125 cardiac resynchronization thera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849 de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72 electromagnet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387 muscular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50 progres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25 retin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96 rol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813 thumb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4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 H04M1/7246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 H04M1/724631—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adapting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according to specific conditions to restrict the functionality of the device by limiting the access to the user interface, e.g. locking a touch-screen or a keypa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41—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 H04M1/0243—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using relative motion of the body parts to change the operational status of the telephone set, e.g. switching on/off, answering incoming call using the relative angle between housing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 H04M1/0268—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display module assembly including a flexible display pane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sensor for measuring a physical value, e.g. temperature or mo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될 때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 해제 장치는, 이동 단말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잠금 모드일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된 위치를 검출하는 센싱부와; 상기 검출된 폴딩된 위치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명세서는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단말기는 다양한 형태의 디자인으로 진화하고 있으며, 그에 따라 가볍고 깨지지 않는 특성 때문에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가 주목 받고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는 기존의 유리 기판 기반의 디스플레이로는 적용이 제한적이거나 불가능했던 새로운 사용자 인터페이스 영역의 창출이 가능할 수 있다.
그러나 이동 단말기 분야에서 이러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이용한 사용자 친화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 제공 방법이 아직까지 다양하게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목적은,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될 때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 해제 장치는, 이동 단말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잠금 모드일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된 위치를 검출하는 센싱부와; 상기 검출된 폴딩된 위치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잠금 모드일 때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아이콘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아이콘이 선택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되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창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창에 비밀 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되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미리설정된 폴딩 동작으로 폴딩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며, 상기 미리설정된 폴딩 동작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폴딩되거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폴딩되거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뒤틀리는 동작 중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폴딩된 위치를 근거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미리설정된 크기로 폴딩되었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된 각도를 근거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미리설정된 각도로 폴딩되었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미리설정된 크기만큼 상기 미리설정된 각도로 폴딩되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잠금 모드일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미리설정된 시간 동안 폴딩되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 해제 방법은, 이동 단말기가 잠금 모드일 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된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폴딩된 위치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될 때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를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될 때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를 위한 아이콘 및/또는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미리설정된 크기만큼 상기 미리설정된 각도로 폴딩될 때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에 대한 보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를 위한 아이콘 및/또는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 폴딩될 때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에 대한 보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들을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아이콘을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모서리가 폴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세로로 폴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들을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아이콘을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모서리가 폴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세로로 폴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사용 환경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을 센싱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및 밴드 센서(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밴드 센서(145)는 터치 스크린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접히거나 구부러지는(또는 뒤틀되는(twisted)) 위치(방향 및 각도를 포함)에 대한 정보(폴딩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바꾸어 주는 소자이다. 또한 밴드 센서(14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접히거나 구부러지거나 뒤틀리는 정도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80)는 밴드센서(145)의 출력 신호를 이용하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접히거나 구부러지는 위치(방향 및 각도를 포함)뿐만 아니라 뒤틀리는 방향(예를 들면, 가로로 뒤틀림, 세로로 뒤틀림 등) 등을 알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밴드 센서(145)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와 밀착되어 있으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균일하게 분포된다. 상기 밴드 센서(145)는 한국 특허 출원 번호 10-2008-0086441에도 개시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3), 알람부(154) 및 햅틱 모듈(155)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또는 디스플레이 소자)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터치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이하, 감지객체라 한다)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근접 센서는 접촉식 센서보다는 그 수명이 길며 그 활용도 또한 높다.
상기 근접 센서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감지객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감지객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상기 터치스크린(터치 센서)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로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입체영상은 3차원 입체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을 나타내며, 3차원 입체 영상(3-dimensional stereoscopic image)은 모니터나 스크린 상에서 사물이 위치한 점진적 깊이(depth)와 실체(reality)를 현실 공간과 동일하게 느낄 수 있도록 한 영상이다. 3차원 입체 영상은 양안시차(binocular disparity)를 이용하여 구현된다. 양안 시차란 약 65 밀리미터 떨어져 있는 두 눈의 위치에 의하여 이루어지는 시차를 의미하는 것으로, 두 눈이 서로 다른 2차원 화상을 보고 그 화상들이 망막을 통하여 뇌로 전달되어 융합되면 입체 영상의 깊이 및 실제감을 느낄 수 있게 된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가정용 텔레비전 수신기 등에 많이 이용되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에는 휘스톤 스테레오스코프 방식 등이 있다.
상기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의 예로서, 패럴렉스 배리어(parallex barrier) 방식, 렌티큘러(lenticular) 방식, 집적영상(integral imaging) 방식 등이 있다. 프로젝션 방식에는 반사형 홀로그래픽 방식, 투과형 홀로그래픽 방식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3차원 입체 영상은 좌 영상(좌안용 영상)과 우 영상(우안용 영상)으로 구성된다. 좌 영상과 우 영상이 3차원 입체 영상으로 합쳐지는 방식에 따라,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상하로 배치하는 탑-다운(top-down)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한 프레임 내 좌우로 배치하는 L-to-R(left-to-right, side by side)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조각들을 타일 형태로 배치하는 체커 보드(checker board) 방식,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열 단위 또는 행 단위로 번갈아 배치하는 인터레이스드(interlaced) 방식, 그리고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시간 별로 번갈아 표시하는 시분할(time sequential, frame by frame) 방식 등으로 나뉜다.
또한, 3차원 썸네일 영상은 원본 영상 프레임의 좌 영상 및 우 영상으로부터 각각 좌 영상 썸네일 및 우 영상 썸네일을 생성하고, 이를 합쳐서 하나의 3차원 썸네일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썸네일(thumbnail)은 축소된 화상 또는 축소된 정지영상을 의미한다. 이렇게 생성된 좌 영상 썸네일과 우 영상 썸네일은 좌 영상과 우 영상의 시차에 대응하는 깊이감(depth)만큼 화면 상에서 좌우 거리차를 두고 표시됨으로써 입체적인 공간감을 나타낼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입체 처리부(152a)에 의하여 3차원 입체영상의 구현에 필요한 좌 영상과 우 영상이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에 표시된다. 입체 처리부(152a)는 3D 영상을 입력받아 이로부터 좌 영상과 우 영상을 추출하거나, 2D 영상을 입력받아 이를 좌 영상과 우 영상으로 전환하도록 이루어진다.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센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입체 터치스크린'이라 함)나, 입체 디스플레이부(152)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3차원 센서가 서로 조합되는 경우에는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152)는 3차원의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3차원 센서의 예로서,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141), 입체 터치센싱부(142), 초음파 센싱부(143), 카메라 센싱부(144)를 포함할 수 있다.
근접센서(141)는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터치를 가하는 감지객체(예를 들어, 사용자의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와 검출면과의 거리를 측정한다. 단말기는 이러한 거리를 이용하여 입체영상의 어느 부분이 터치되었는지를 인식하게 된다. 특히,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감지객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감지객체의 근접 정도를 검출하고, 이러한 근접 정도을 이용하여 3차원상의 터치를 인식하도록 구성된다.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 스크린상에 가해지는 터치의 세기나 지속시간을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예를 들어, 입체 터치센싱부(142)는 터치를 가하는 압력을 감지하고, 가압력이 강하면 이를 단말기의 내부를 향하여 터치 스크린과 보다 멀리 위치한 객체에 대한 터치로 인식한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객체의 위치정보를 인식하도록 이루어진다. 초음파 센싱부(143)는, 예를 들어 광 센서(121)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다.
광 센서는 광을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예를 들어, 상기 광은 적외선이 될 수 있고, 광 센서는 적외선 포트(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가 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복수의 초음파 센서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이를 통하여 복수의 초음파 센서는 동일하거나 인접한 지점으로부터 발생한 초음파를 감지하는 시간차를 가지게 된다.
초음파 및 광은 파동 발생원에서 발생한다. 이러한 파동 발생원은 감지객체, 예를 들어 스타일러스 펜 등에 구비된다.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르기 때문에,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은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르다. 따라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게 된다.
파동 발생원에서 발생한 초음파가 복수의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은 차이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스타일러스 펜이 이동하면, 상기 도달하는 시간의 차이에 변화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이용하여 스타일러스 펜의 이동 경로에 따라 위치 정보가 산출가능하게 된다.
카메라 센싱부(144)는 카메라, 포토 센서,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카메라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객체의 터치를 감지한다.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2차원 영상에 레이저 센서에 의하여 감지된 거리정보가 더해지면, 3차원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포토 센서가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객체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객체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객체의 위치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3)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4)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나 음성 출력 모듈(153)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151,153)은 알람부(154)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5)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5)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155)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5)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의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5)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메모리(16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6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170)에 포함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에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여기에 설명되는 실시예는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processors), 제어기(controllers), 마이크로 컨트롤러(micro-controllers),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s), 기타 기능 수행을 위한 전기적인 유닛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부의 경우에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이 제어부(180)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적절한 프로그램 언어로 쓰여진 소프트웨어 어플리케이션으로 소프트웨어 코드가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160)에 저장되고, 제어부(180)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이하, 이동 단말기에 대한 사용자 입력의 처리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으며, 3차원 입체영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됨으로써 키패드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키패드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과 입력창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출력창과 입력창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가 출력될 수 있다. 소프트키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에 표시된다. 조작 유닛이 조작되면 출력창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되거나 출력창에 표시된 텍스트가 애플리케이션에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는 스크롤(scroll)에 의해 터치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를 스크롤 함으로써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된 개체, 예를 들어 아이콘 등에 위치한 커서 또는 포인터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손가락을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 상에서 이동시키는 경우, 손가락이 움직이는 경로가 디스플레이부(151)에 시각적으로 표시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는 이미지를 편집함에 유용할 것이다.
디스플레이부(151)(터치스크린) 및 터치 패드가 일정 시간 범위 내에서 함께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여, 단말기의 일 기능이 실행될 수도 있다. 함께 터치되는 경우로는, 사용자가 엄지 및 검지를 이용하여 단말기 바디를 집는(clamping)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상기 일 기능은,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터치 패드에 대한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등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서 입체영상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다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는 메커니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2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2b는 도 2a에 도시된 휴대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200)는 바 형태의 휴대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바디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케이스는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로 구분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의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201)와 리어 케이스(2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 주로 프론트 케이스(201)에는 입체 디스플레이부(252), 감지부(240), 음향출력부(253), 카메라(221), 사용자 입력부(230/231,232), 마이크(222), 인터페이스(2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부(252)는 프론트 케이스(201)의 주면의 대부분을 차지한다. 입체 디스플레이부(252)의 양단부 중 일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음향출력부(253)와 카메라(221)가 배치되고, 다른 단부에 인접한 영역에는 사용자 입력부(231)와 마이크(222)가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232)와 인터페이스(270) 등은 프론트 케이스(201) 및 리어 케이스(202)의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30)는 휴대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들(231,232)을 포함할 수 있다. 조작 유닛들(231,232)은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제1 또는 제2조작 유닛들(231, 23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 유닛(231)은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고, 제2 조작 유닛(232)은 음향출력부(253)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입체 디스플레이부(252)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체 디스플레이부(252)는 감지부(240)와 함께 입체 터치 스크린을 형성하며, 입체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230)의 일 예가 될 수 있다.
감지부(240)는, 3차원 센서로서 터치를 가하는 감지객체의 3차원 위치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이러한 감지부(240)는 카메라(221)와 레이저 센서(244)로 이루어질 수 있다. 레이저 센서(244)는 단말기 바디에 장착되며, 레이저를 주사하고, 반사되는 레이저를 검출하며, 이를 통하여 단말기 바디와 감지객체의 이격 거리를 감지하도록 이루어진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근접 센서, 입체 터치센싱부, 초음파 센싱부 등의 형태도 가능하다.
도 2b를 참조하면, 단말기 바디의 후면, 다시 말해서 리어 케이스(202)에는 카메라(221')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카메라(221')는 카메라(221, 도 2a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카메라(221)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221)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 화소를 가지며, 카메라(221')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메라(221,221')는 회전 또는 팝업(pop-up) 가능하게 단말기 바디에 설치될 수도 있다.
카메라(221')에 인접하게는 플래쉬(223)와 거울(224)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223)는 카메라(221')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224)은 사용자가 카메라(221')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음향 출력부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후면의 음향 출력부는 전면의 음향 출력부(253, 도 2a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휴대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290)가 장착된다. 전원공급부(2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직접 탈착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가 장착될 뿐만 아니라,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 블루투스(Bluetooth) 안테나, 위성신호 수신 안테나, 무선 인터넷의 데이터 수신 안테나 등이 추가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 바디에는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을 구현하는 메커니즘이 내장된다.
단말기(100)는, 유무선 통신 시스템 및 위성 기반 통신 시스템을 포함하여, 프레임(frame) 또는 패킷(packet)을 통하여 데이터(data)를 전송할 수 있는 통신 시스템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에 대해 설명한다.
일반적으로 CRT, LCD 및 PDP는 모두 딱딱한 기판상에서 구현되는 것으로 곡면에서 디스플레이로 사용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유연하게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장치로서 플래시블 디스플레이가 개발되었다. 상기 구부러지는 특성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딱딱한 유리기판을 사용하는 대신에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한다. 따라서, 플랙시블 디스플레이는 폴딩(구부리기, 접기) 및 롤링(감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부(151)의 일종으로 FOLED(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및 Curved LCD 등이 있다.
상기 밴드 센서(145)는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의 폴링 위치(방향 및 각도 등을 포함)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상기 제어부(180)에 출력하고,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밴드 센서(145)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근거로 상기 플랙시블 디스플레이의 폴링(Folding) 위치(폴딩 방향 및 폴링 각도 등을 포함)를 검출할 수 있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좌우 또는 상하 가장자리면은 고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폴딩되고, 폴딩되지 않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안쪽 부분은 안전성을 보장하기 위하여 고정될 수 있다.
한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플라스틱 기판으로 구성되어 있어 곡면 폴딩(3a 및 도 3b) 뿐만 아니라 분할 폴딩(평면 폴딩)도 가능한다. 상기 분할 폴딩은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전면을 복수개의 면으로 분할하여 각 분할된 부분을 폴딩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분할 폴딩은 장지갑 형태의 폴딩, 병풍구조 폴딩 및 부채꼴 폴딩을 포함한다.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폴딩은 사용자의 입력(버튼 또는 키)에 따라 또는 폴딩하고자 하는 영역의 터치(터치, 터치 & 드래그 및 플리킹) 등에 의한 폴딩을 모두 포함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들을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장지갑 형태로 분할 폴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장지갑 형태의 폴딩은 분할된 다수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좌우측 날개(가장자리면)를 안쪽으로 일정 각도로 폴딩되거나, 여러번 폴딩되는 경우에는 장지갑 형태를 이루도록 하는 폴딩될 수 있다. 이때, 좌우측 날개를 폴딩하는 각도에 따라서 하드웨어적으로 로킹(locking)이 가능하며, 접혀지는 분할면 수에 따라 고정되는 면도 변경될 수 있다.
도 4c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병풍 구조로 분할 폴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를 다분할(N분할)하여 좌측 또는 우측 분말명의 가장자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병풍을 펼치듯이 분할면이 폴딩될 수 있다. 상기 병풍구조는 분할 영역을 선택하여 폴딩할 수 있는 구조로서,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분할영역을 선택하면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상에 접는 라인을 소정의 색 또는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병풍구조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의 폴딩(접히는) 각도에 따라 단말기(100)를 하드웨어적으로 로킹(locking)할 수도 있다.
도 4d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부채꼴 구조로 분할 폴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부채꼴 형태로 다분할 폴딩되어 좌우측으로 펼쳐지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구조에서 펼쳐지는 영역을 사용자 설정 또는 입력에 따라 조절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펼쳐지는 정도에 따라 단말기(100)를 하드웨어적으로 로킹할 수도 있다.
도 4e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는 단말기(100)의 외곽을 따라 폴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각 폴딩된 면을 통해 여러 방향에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상기 외곽 폴딩 구조는 한면은 고정한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면을 접었다 폈다 할 수 있는 구조로서, 접혀진 각 면을 선택하여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을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스크린이 잠금 상태(터치 스크린 잠금 모드 또는 이동 단말기 잠금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11).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이 잠금 모드일 때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아이콘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S12).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된 아이콘을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이 잠금 모드일 때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아이콘(6-1)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아이콘(6-1)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3).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아이콘(6-1)이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콘(6-1)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사용자에 의해 폴딩되었는지를 판단한다(S14). 예를 들면, 상기 센싱부(14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폴딩된 위치(폴딩된 방향 및 각도를 포함) 및/또는 뒤틀린(twisted)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밴드 센서(145)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밴드 센서(145)의 출력 신호를 근거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폴딩된 위치(방향 및 각도를 포함)뿐만 아니라 뒤틀리는 방향(예를 들면, 가로로 뒤틀림, 세로로 뒤틀림 등) 등을 알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콘(6-1)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됨과 동시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폴딩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한다(S15).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콘(6-1)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됨과 동시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미리설정된 폴딩 동작으로 폴딩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도 있다. 상기 미리설정된 폴딩 동작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가로 방향으로 폴딩되거나, 세로 방향으로 폴딩되거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4개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폴딩되거나 가로 방향으로 뒤틀리거나 세로 방향으로 뒤틀리는 동작 이외에도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콘(6-1)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됨과 동시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가로 방향으로 폴딩되거나, 세로 방향으로 폴딩되거나, 4개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폴딩되거나 가로 방향으로 뒤틀리거나 세로 방향으로 뒤틀리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콘(6-1)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폴딩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거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폴딩된 후 상기 아이콘(6-1)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모서리가 폴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콘(6-1)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됨과 동시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4개의 모서리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서리(7-1)가 사용자에 의해 폴딩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세로로 폴딩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나타낸 예시도 이다.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콘(6-1)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됨과 동시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사용자에 의해 가로 또는 세로로 폴딩(8-1)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될 때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원하지 않는 동작(사용자 실수 또는 타인이 잠금 해제를 위한 아이콘을 선택한 경우)에 의해 잠금이 해제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을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스크린이 잠금 상태(터치 스크린 잠금 모드 또는 이동 단말기 잠금 모드)인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이 잠금 모드일 때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아이콘(6-1)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아이콘(6-1)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아이콘(6-1)이 상기 터치 스크린상에서 사용자에 의해 터치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콘(6-1)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사용자에 의해 폴딩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센싱부(14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폴딩된 위치(폴딩된 방향 및 각도를 포함) 및/또는 뒤틀린(twisted)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밴드 센서(145)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밴드 센서(145)의 출력 신호를 근거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폴딩된 위치(방향 및 각도를 포함)뿐만 아니라 뒤틀리는 방향(예를 들면, 가로로 뒤틀림, 세로로 뒤틀림 등) 등을 알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콘(6-1)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됨과 동시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폴딩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콘(6-1)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됨과 동시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미리설정된 폴딩 동작으로 폴딩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도 있다. 상기 미리설정된 폴딩 동작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가로 방향으로 폴딩되거나, 세로 방향으로 폴딩되거나, 4개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폴딩되거나 가로 방향으로 뒤틀리거나 세로 방향으로 뒤틀리는 동작 이외에도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콘(6-1)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됨과 동시에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가로 방향으로 폴딩되거나, 세로 방향으로 폴딩되거나, 4개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폴딩되거나 가로 방향으로 뒤틀리거나 세로 방향으로 뒤틀리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콘(6-1)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폴딩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거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폴딩된 후 상기 아이콘(6-1)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 비밀번호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되었을 때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지 않고, 그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창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한다. 반면, 상기 제어부(180)는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가 잠금 모드일 때 사용자에 의해 터치 스크린이 터치되거나 특정 버튼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 활성화됨으로써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된 비밀번호(잠금 모드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창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할 수도 있다(S21).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비밀번호(잠금 모드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창에 비밀번호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면(S22),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사용자에 의해 폴딩되었는지를 판단한다(S23). 예를 들면, 상기 센싱부(14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폴딩된 위치(폴딩된 방향 및 각도를 포함) 및/또는 뒤틀린(twisted) 방향에 따라 서로 다른 신호를 출력하는 밴드 센서(145)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밴드 센서(145)의 출력 신호를 근거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폴딩된 위치(방향 및 각도를 포함)뿐만 아니라 뒤틀리는 방향(예를 들면, 가로로 뒤틀림, 세로로 뒤틀림 등) 등을 알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비밀번호(잠금 모드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창에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폴딩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한다(S24).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비밀번호(잠금 모드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창에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미리설정된 폴딩 동작으로 폴딩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도 있다. 상기 미리설정된 폴딩 동작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가로 방향으로 폴딩되거나, 세로 방향으로 폴딩되거나, 4개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폴딩되거나 가로 방향으로 뒤틀리거나 세로 방향으로 뒤틀리는 동작 이외에도 다양한 동작이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비밀번호(잠금 모드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창에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가로 방향으로 폴딩되거나, 세로 방향으로 폴딩되거나, 4개의 모서리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폴딩되거나 가로 방향으로 뒤틀리거나 세로 방향으로 뒤틀리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비밀번호(잠금 모드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창에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폴딩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거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폴딩된 후 상기 비밀번호(잠금 모드 해제를 위한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창에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상기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를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될 때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을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스크린이 잠금 상태(터치 스크린 잠금 모드 또는 이동 단말기 잠금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31).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이 잠금 상태(터치 스크린 잠금 모드 또는 이동 단말기 잠금 모드)일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폴딩된 위치 및 각도를 검출한다(S32).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폴딩된 위치를 근거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미리설정된 크기(예를 들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의 1/2, 1/3, 2/3 등으로 폴딩되었는지를 판단함)로 폴딩되었는지를 판단한다(S33).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콘(6-1) 및/또는 상기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미리설정된 크기로 폴딩될 때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미리설정된 크기로 폴딩되면, 상기 검출한 폴딩된 각도를 근거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미리설정된 각도(예를 들면, 35~90도 등)로 폴딩되었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S34).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콘(6-1) 및/또는 상기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미리설정된 각도로 폴딩될 때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상기 미리설정된 크기만큼 상기 미리설정된 각도로 폴딩되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한다(S35).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콘(6-1) 및/또는 상기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상기 미리설정된 크기만큼 상기 미리설정된 각도로 폴딩될 때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를 위한 아이콘 및/또는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미리설정된 크기만큼 상기 미리설정된 각도로 폴딩될 때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에 대한 보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을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먼저,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터치 스크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터치 스크린이 잠금 상태(터치 스크린 잠금 모드 또는 이동 단말기 잠금 모드)인지를 판단한다(S41).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이 잠금 상태(터치 스크린 잠금 모드 또는 이동 단말기 잠금 모드)일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폴딩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2). 예를 들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이 잠금 상태(터치 스크린 잠금 모드 또는 이동 단말기 잠금 모드)일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상기 미리설정된 폴딩 동작으로 폴딩되었는지를 판단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아이콘(6-1) 및/또는 상기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상기 미리설정된 크기만큼 상기 미리설정된 각도로 폴딩되었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폴딩되면,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미리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3~5초 등) 동안 폴딩되었는지를 판단한다(S43). 상기 미리설정된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다양한 시간으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미리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3~5초 등) 동안 폴딩되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한다(S44).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이 잠금 상태(터치 스크린 잠금 모드 또는 이동 단말기 잠금 모드)일 때 상기 아이콘(6-1) 및/또는 상기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상기 미리설정된 폴딩 동작으로 상기 미리설정된 시간 동안 폴딩되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 스크린이 잠금 상태(터치 스크린 잠금 모드 또는 이동 단말기 잠금 모드)일 때 상기 아이콘(6-1) 및/또는 상기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151)가 상기 미리설정된 크기만큼 상기 미리설정된 각도로 상기 미리설정된 시간 동안 폴딩되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를 위한 아이콘 및/또는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 폴딩될 때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에 대한 보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아이콘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될 때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를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될 때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에 대한 보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를 위한 아이콘 및/또는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미리설정된 크기만큼 상기 미리설정된 각도로 폴딩될 때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에 대한 보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은,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를 위한 아이콘 및/또는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설정된 시간 동안 폴딩될 때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함으로써 이동 단말기(또는 터치 스크린)의 잠금 해제에 대한 보안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10 : 무선통신부 111 : 방송수신모듈
112 : 이동통신모듈 113 : 무선인터넷모듈
115 : 위치정보 모듈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80 : 제어부
112 : 이동통신모듈 113 : 무선인터넷모듈
115 : 위치정보 모듈 150 : 출력부
151 : 디스플레이부 160 : 메모리
180 : 제어부
Claims (12)
- 이동 단말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잠금 모드일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된 위치를 검출하는 센싱부와;
상기 검출된 폴딩된 위치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잠금 모드일 때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아이콘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며, 상기 아이콘에 소정 터치입력이 가해지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되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 해제 장치.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창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고, 상기 창에 비밀 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되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 해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미리설정된 폴딩 동작으로 폴딩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며, 상기 미리설정된 폴딩 동작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폴딩되거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폴딩되거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뒤틀리는 동작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 해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검출된 폴딩된 위치를 근거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미리설정된 크기로 폴딩되었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된 각도를 근거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미리설정된 각도로 폴딩되었는지를 검출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미리설정된 크기만큼 상기 미리설정된 각도로 폴딩되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 해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잠금 모드일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미리설정된 시간 동안 폴딩되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 해제 장치. - 이동 단말기가 잠금 모드일 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된 위치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검출된 폴딩된 위치를 근거로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이동 단말기가 잠금 모드일 때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아이콘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아이콘에 소정 터치입력이 가해지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되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 해제 방법. - 삭제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기 위한 비밀번호를 요청하는 창을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단계와;
상기 창에 비밀 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되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 해제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미리설정된 폴딩 동작으로 폴딩되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미리설정된 폴딩 동작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폴딩되거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의 모서리들 중 어느 하나 이상이 폴딩되거나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 가로 또는 세로 방향으로 뒤틀리는 동작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 해제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검출된 폴딩된 위치를 근거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미리설정된 크기로 폴딩되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폴딩된 각도를 근거로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미리설정된 각도로 폴딩되었는지를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상기 미리설정된 크기만큼 상기 미리설정된 각도로 폴딩되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 해제 방법.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는,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잠금 모드일 때 상기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가 미리설정된 시간 동안 폴딩되면 상기 잠금 모드를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의 잠금 모드 해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5816A KR101887452B1 (ko) | 2011-12-15 | 2011-12-15 |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5816A KR101887452B1 (ko) | 2011-12-15 | 2011-12-15 |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5528A KR20130085528A (ko) | 2013-07-30 |
KR101887452B1 true KR101887452B1 (ko) | 2018-08-10 |
Family
ID=48995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5816A KR101887452B1 (ko) | 2011-12-15 | 2011-12-15 |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7452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510021B1 (ko) | 2013-12-19 | 2015-04-16 | 전자부품연구원 |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
WO2015093667A1 (ko) * | 2013-12-19 | 2015-06-25 | 전자부품연구원 | 전자기기 및 전자기기의 제어방법 |
US11054929B2 (en) | 2013-12-19 | 2021-07-06 | Korea Electronics Technology Institute | Electronic device and a control method thereof |
KR102160156B1 (ko) | 2013-12-30 | 2020-09-28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폴딩 정보를 디스플레이 하는 방법 및 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
US10263982B2 (en) | 2015-03-31 | 2019-04-16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Foldable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
CN110113474A (zh) * | 2019-04-29 | 2019-08-09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一种解锁方法及移动终端 |
CN110321680B (zh) * | 2019-06-26 | 2021-06-04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身份验证方法和终端设备 |
CN112243052B (zh) | 2019-07-17 | 2021-10-22 |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 移动终端、天线控制方法及存储介质 |
CN112671976B (zh) * | 2019-09-30 | 2023-01-13 | 华为技术有限公司 | 电子设备的控制方法、装置及电子设备、存储介质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011291A1 (en) * | 2008-07-10 | 2010-01-14 | Nokia Corporation | User interface, device and method for a physically flexible device |
KR101517082B1 (ko) * | 2008-11-10 | 2015-04-30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1521219B1 (ko) * | 2008-11-10 | 2015-05-18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이용하는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2011
- 2011-12-15 KR KR1020110135816A patent/KR101887452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85528A (ko) | 2013-07-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06891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
KR101887452B1 (ko) | 이동 단말기의 잠금 해제 장치 및 그 방법 | |
KR101846447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CN102857592B (zh) | 移动终端及其3d图像显示方法 | |
KR101781909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34388B1 (ko)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 방송 데이터를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 |
KR101549867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20140016495A (ko)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30071204A (ko) | 이동 단말기의 키보드 제어 장치 및 그 방법 | |
KR20150024199A (ko) | 두부 장착형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
KR20150055448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KR101883375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50064561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커버 | |
KR20180103866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50072940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
KR20130065235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
US8941648B2 (en)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KR20150068823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50041451A (ko) | 이동 단말기 | |
KR20140133083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20120109151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009488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KR20140102937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101850391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
KR20140122559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