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4650B1 - 농수산물 건조장치 - Google Patents
농수산물 건조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84650B1 KR101884650B1 KR1020180065208A KR20180065208A KR101884650B1 KR 101884650 B1 KR101884650 B1 KR 101884650B1 KR 1020180065208 A KR1020180065208 A KR 1020180065208A KR 20180065208 A KR20180065208 A KR 20180065208A KR 101884650 B1 KR101884650 B1 KR 10188465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drying
- suction fan
- chamber
- humidifier
- ai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7/0205—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by contact of the material with fluids, e.g. drying gas or extracting liquid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1—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 F26B21/002—Drying-air generating units, e.g. movable, independent of drying enclosure heating the drying air indirectly, i.e. using a heat exchanger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조실의 공기배출측에 형성된 측면격판에 흡입팬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건조실의 하측공간에 존재하는 습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실로 인입시키도록 한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농수산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110)이 형성되고, 상기 건조실(110)의 상측에는 상부격판(120)으로 구획되어 열교환실(130)이 마련되며, 상기 열교환실(130)의 일측에는 건조실(110) 내의 습공기를 열교환실(130)로 인입시키도록 습공기인입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실(130)의 타측에는 열교환된 건조공기를 건조실(110)로 공급하도록 건조공기공급구(122)가 형성된 건조기본체(100); 상기 건조기본체(100)의 내부 일측에 상기 습공기인입구(121)와 연통되는 습공기흡입실(250)을 형성하도록 상기 건조기본체(100)의 내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단부가 상기 상부격판(120)과 연결되게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격판(200); 상기 측면격판(200)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지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상기 습공기흡입실(250)로 돌출되어 경사지게 구비되고 표면에 흡입팬결합홀(311)이 형성된 흡입팬결합판(310)과, 상기 흡입팬결합판(310)의 하부에서부터 건조실(110)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측면격판(200)과 연결되는 하부경사판(320)으로 구성된 흡입팬설치부(300); 상기 흡입팬결합판(310)의 흡입팬결합홀(311)에 각각 결합되어 건조실(110)의 하측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건조실(110)내의 하측공간에 존재하는 습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습공기흡입실(250)로 내보내는 흡입팬(400); 상기 열교환실(130)의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습공기인입구(121)를 통해 열교환실(130)로 인입된 공기를 열교환시켜 주기 위한 열교환기(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건조실의 공기배출측에 형성된 측면격판에 흡입팬을 경사지게 설치하여 건조실의 하측공간에 존재하는 습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실로 인입시키도록 한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 각종 농산물(고추, 무우, 감, 건나물, 표고버섯, 인삼등) 또는 수산물(오징어, 멸치, 김 등)을 기계에 의하여 인위적으로 건조하는 방법으로는, 히터장치, 송풍기 등을 용하여 피건조물이 다단으로 배치된 건조실 내에 일정한 온도의 열풍을 불어넣고 이를 적절하게 공급 및 순환시키는 방법으로 이루어지는 열풍건조법이 널리 알려져 있다.
그러나 열풍건조기는 히터에서 발생된 고온의 열풍을 피건조물에 전달하는 매우 간단한 방법이기 때문에 비교적 저렴하고 매우 신속하게 건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 열에 의하여 품질에 이상(질감이나 색상이 변하는 등)이 발생할 수 있는 품목(해산물, 감말랭이 등)의 경우에는 이를 적용하기가 곤란한 단점이 존재한다.
물론, 고가의 저온 시스템(압축기, 응축기, 열교환기 등) 및 열교환기 등의 설비가 요구되기는 하지만, 피건조물에 대하여 열을 전달하지 않는 저온 및 제습분위기에서 건조를 실시함으로써 열풍건조기에서 적용하기 어려운 품목에 대하여 유효하게 건조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건조품질 또한 더욱 우수한 저온(냉풍) 건조기도 널리 알려져 있다.
최근에는 상기한 열풍건조기와 저온건조기의 기능이 함께 갖춰짐에 따라 필요에 따라서 열풍 또는 냉풍건조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냉온풍 겸용 건조기가 개발되어 사용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추세다.
대부분의 저온건조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실의 공기공급측에 송풍팬을 설치하여 건조공기를 공급하도록 된 구조로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건조실로 공급된 공기가 건조선반 중 공기공급측에 배치된 건조선반에만 집중적으로 전달되고 공기배출측에 배치된 건조선반에는 거의 공급되지 않음으로써 공기공급측 건조선반에 적재된 피건조물이 공기배출측 건조선반에 적재된 피건조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단시간내에 건조되었으며, 이에 따라 건조선반에 적재된 피건조물이 불균일하게 건조되어 품질이 우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열풍건조기와 같이 공기배출측에 흡입팬을 설치하여 흡입방식으로 습공기를 순환시키도록 한 기술이 게시된 바 있다.
그러나 흡입팬이 공기배출측의 측벽에 단순하게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구조임에 따라 건조실 하측에 배치된 건조선반을 통과하는 습공기를 흡입하는 것이 아니라 상대적으로 빈공간인 건조실의 상측공간에 존재하는 공기(상대적으로 습도가 낮거나 미비한 정도의 공기)가 흡입되어 배출되는 문제가 발생되었으며, 그로 인해 건조효율이 급격하게 낮아지는 문제가 있었다.
즉, 열풍건조기의 경우 건조실 내부로 공급된 가열공기가 건조선반을 통과하지 않고 배출되더라도 열풍임에 따라 건조실 내부를 일정 온도 유지시켜 줌으로써 건조효율이 좋지는 않더라도 건조선반에 적재된 피건조물의 건조가 어느정도 이루어지는 반면에, 저온건조기의 경우에는 건조실 하측공간에 습공기가 존재함에도 건조실의 상측공간에 존재하는 건조공기 및 상대적으로 습도가 낮은 공기가 단시간내에 빠져나가게 되면 피건조물의 건조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등 효율이 급격하게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의 저온건조기는 대부분 열교환실의 공기통로 상에 열교환기를 설치하도록 이루어져 있음에 따라 공기통로 전체구간에 열교환기를 설치하는 경우에는 그만큼의 큰 규격을 갖는 열교환기를 설치하여야 함에 따라 제습능력은 좋아지기는 하나 설치비용의 증가를 가져옴은 물론 공기통로 전체구간을 막고 있음에 따라 공기가 열교환기를 통과하여 제습되는 과정에서 부하가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으며, 공기통로의 중간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좌우양측으로 공기가 빠져나가게 되어 제습효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종래의 건조기는 피건조물을 건조하는데 있어 균일하고 우수한 건조품질을 얻는데 한계를 가질 수 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건조실의 공기배출측에 형성된 측면격판에 흡입팬을 경사지게 설치함으로써 건조실 상측공간의 공기 흡입은 최소화 또는 흡입되지 않도록 하면서 건조실의 하측공간에 존재하는 건조선반을 통과하는 습공기가 흡입되도록 하여 건조선반에 적재된 피건조물의 균일한 건조와 함께 건조효율을 높이도록 한 농수산물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열교환기를 건조장치의 상측에 형성된 열교환실의 공기유로 중간부분에 설치함으로써 열교환기의 설치부위를 제외한 양측공간을 통해 흡입된 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열교환기의 전방 양측에 공기방향변경판을 설치함으로써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공기방향변경판에 안내되어 열교환기로 유도될 수 있도록 하여 부하발생이 방지되면서 건조공기의 생산량을 높이도록 한 농수산물 건조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농수산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110)이 형성되고, 상기 건조실(110)의 상측에는 상부격판(120)으로 구획되어 열교환실(130)이 마련되며, 상기 열교환실(130)의 일측에는 건조실(110) 내의 습공기를 열교환실(130)로 인입시키도록 습공기인입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실(130)의 타측에는 열교환된 건조공기를 건조실(110)로 공급하도록 건조공기공급구(122)가 형성된 건조기본체(100); 상기 건조기본체(100)의 내부 일측에 상기 습공기인입구(121)와 연통되는 습공기흡입실(250)을 형성하도록 상기 건조기본체(100)의 내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단부가 상기 상부격판(120)과 연결되게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격판(200); 상기 측면격판(200)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지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상기 습공기흡입실(250)로 돌출되어 경사지게 구비되고 표면에 흡입팬결합홀(311)이 형성된 흡입팬결합판(310)과, 상기 흡입팬결합판(310)의 하부에서부터 건조실(110)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측면격판(200)과 연결되는 하부경사판(320)으로 구성된 흡입팬설치부(300); 상기 흡입팬결합판(310)의 흡입팬결합홀(311)에 각각 결합되어 건조실(110)의 하측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건조실(110)내의 하측공간에 존재하는 습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습공기흡입실(250)로 내보내는 흡입팬(400); 상기 열교환실(130)의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습공기인입구(121)를 통해 열교환실(130)로 인입된 공기를 열교환시켜 주기 위한 열교환기(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건조공기공급구(122)에는 열교환기(500)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분산되면서 상기 건조실(110)로 공급되도록 일정간격으로 홀이 형성된 타공판 또는 망체로 된 건조공기 분산체(600)가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열교환실(130)의 습공기 인입측 양쪽에는 습공기인입구(121)를 통해 열교환실로 인입되어 이동되는 습공기의 이동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열교환기(500)로 유도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공기방향변경판(700)이 설치되어 지되, 상기 공기방향변경판(700)의 타단이 상기 열교환기(500)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사이로 습공기가 일부 빠져나가도록 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농수산물 건조장치에 따르면, 경사지게 설치된 흡입팬이 건조실의 하측공간에 존재하는 습공기를 흡입해 줌으로써 건조실로 공급되는 건조공기가 흡입팬의 흡입력에 의해 건조선반을 통과하도록 하여 건조선반에 적재된 피건조물의 균일한 건조는 물론 건조시간 단축 등 건조효율을 높일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방향변경판이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습공기인입구를 통해 인입된 공기를 열교환기로 보다 효과적으로 유도시켜 줄 수 있어 건조공기의 생산량을 높일 수 있게 되고, 건조공기공급구에 건조공기 분산체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건조실로 공급되는 건조공기가 분산되면서 공급됨에 따라 건조효율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농수산물 건조장치를 보인 측단면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장치를 보인 측단면상태도,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평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에 따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팬설치부를 보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공기흐름상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장치를 보인 측단면상태도,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평단면도,
도 4는 도 2의 B-B에 따른 평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팬설치부를 보인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공기흐름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장치를 보인 측단면상태도이고, 도 3은 도 2의 A-A에 따른 평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에 따른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흡입팬설치부를 보인 상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장치의 공기흐름상태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농수산물 건조장치는 냉동사이클을 이용한 건조장치로서, 건조기본체(100), 측면격판(200), 흡입팬설치부(300), 흡입팬(400), 열교환기(5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흡입팬(400)과 열교환기(500)는 별도로 구비된 컨트롤러에 의해 제어됨은 당연하고, 상기 열교환기(500)는 냉동사이클(응축기, 증발기, 압축기)을 통해 열교환하도록 이루어져 있는 것으로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특허등록 제1570763호에 기재된 냉동사이클구조로 이루어져 제습, 저온저장을 위한 냉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구조와 동일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열교환기(500)는 실내기에 해당되는 것이고, 건조기본체(100)의 외부에는 열교환기와 연결되게 실외기(미부호)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열교환기(500)의 후방에는 열풍공급시 공기를 가열하도록 가열히터(미부호)가 더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열교환된 건조공기를 송풍팬을 이용하여 건조실로 송풍시키는 구조가 아니라, 흡입팬(400)을 이용하여 건조실 내의 습공기를 흡입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흡입팬(400)이 건조실의 하부를 바라보도록 경사지게 설치하여 건조실의 하측공간에 존재하는 습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것에 특징이 있다.
즉, 습공기는 건조공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게가 무거워 하측으로 하강하게 됨에 따라 건조실의 하측공간에는 상측공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은 습공기가 모여있게 되며, 이러한 습공기에 의해 건조선반의 상부에 위치한 피건조물에 비해 하부에 위치한 피건조물의 건조가 더 느리게 진행되어 진다.
따라서, 이러한 건조실의 하측공간에 존재하는 습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후 공급해줌으로써 피건조물의 건조가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면서도 단시간내에 건조될 수 있도록 하는 등 건조효율을 높여줄 수 있는 것이다.
상기 흡입팬(400)을 경사지게 설치하기 위해, 상기 측면격판(200)과 흡입팬설치부(300)가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건조기본체(100)는 본 출원인이 등록받은 특허등록 제1570763호와 같이, 농수산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110)이 형성되고, 상기 건조실(110)의 상측에는 상부격판(120)으로 구획되어 열교환실(130)이 마련되어 있으며, 상기 열교환실(130)의 일측에는 건조실(110) 내의 습공기를 열교환실(130)로 인입시키도록 습공기인입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실(130)의 타측에는 열교환된 건조공기를 건조실(110)로 공급하도록 건조공기공급구(122)가 형성된 박스체로 된 구조이다.
따라서, 습공기인입구(121)를 통해 인입된 건조실내의 습공기가 열교환실로 인입되어 열교환된 후 건조공기공급구(122)를 통해 다시 건조실내로 공급되는 순환구조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러한 공기의 순환은 상기 흡입팬(400)에 의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건조기본체(100)의 내부 일측에는 측면격판(200)이 형성되는데, 이 측면격판(200)은 상기 건조기본체(100)의 내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그 사이에 상기 습공기인입구(121)와 연통되는 습공기흡입실(250)을 형성하도록 구비되어 있으며, 상단부가 상기 상부격판(120)과 연결되고 하단부에 건조기본체(100)의 바닥 또는 지면과 접촉되도록 수직으로 형성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흡입팬(400)의 설치를 위해, 상기 측면격판(200)에는 일정 간격으로 흡입팬설치부(300)가 복수개 형성되어 진다. 상기 흡입팬설치부(300)는 2열 이상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기 흡입팬설치부(300)는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상기 습공기흡입실(250)로 돌출되어 경사지게 구비된 흡입팬결합판(310)과, 상기 흡입팬결합판(310)의 하부에서부터 건조실(110)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측면격판(200)과 연결되는 하부경사판(320)으로 구성된다.
즉, 상기 흡입팬결합판(310)은 건조기본체(100)의 도어가 설치된 입구를 기준으로 좌측면에서 바라본 경우에 건조실을 향해 대략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며, 흡입팬결합판(310)이 하부경사판(320)에 비해 더 넓은 면적으로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흡입팬결합판(310)의 표면에는 상기 흡입팬(400)의 결합을 위해 흡입팬결합홀(311)이 형성되어 있으며, 흡입팬결합홀(311)은 가능하면 하측에 위치되게 구비하여 상기 흡입팬이 결합된 경우에 건조실내의 하측공간에 존재하는 습공기를 흡입시켜 주도록 하여 피건조물의 효과적인 건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상기 흡입팬(400)은 상기 흡입팬결합판(310)의 흡입팬결합홀(311)에 결합되어 건조실(110)의 하측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상태로 작동되면서 건조실의 하측공간에 존재하는 습공기를 흡입하게 되는 것이며, 상기 건조실(110)내에 건조선반(115)이 배치되어 있음에 따라 결국 건조실 내로 공급되는 건조공기가 건조선반을 통과하면서 습해진 상태의 습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습공기흡입실(250)로 내보내게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공기순환과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흡입팬(400)을 작동시키면 건조실(110) 내의 하측공간에 존재하는 습공기가 흡입되고, 이렇게 흡입된 습공기는 습공기흡입실(250)로 내보내진 후 습공기인입구(121)를 통해 열교환실(130)로 인입되어 열교환기(500)를 통과하면서 제습된다.
열교환기(500)를 통과하여 제습된 건조공기는 건조공기공급구(122)를 통해 건조실(110)의 하측방향으로 공급되어 지고, 이렇게 공급된 건조공기는 흡입팬(400)의 흡입력에 의해 건조실(110) 내에 배치된 건조선반(115)을 골고루 통과하면서 흡입되어 진다.
상기 건조공기가 건조선반(115)을 통과하는 과정에서 건조선반(115)에 적재된 피건조물의 건조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며, 건조선반(115)을 모두 통과하여 흡입되어 짐에 따라 건조선반에 적재된 피건조물의 균일한 건조를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즉, 종래와 같이 상기 흡입팬(400)이 수직으로 설치된 경우, 건조실의 하측공간에 건조선반이 배치되고 상측공간에는 상대적으로 빈공간임에 따라 하측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보다는 상측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를 상대적으로 다량 흡입하게 되고, 이러한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게 될 뿐 하측공간에 배치되는 건조선반을 건조공기가 통과하지 못하게 되어 제대로 된 건조가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상대적으로 습도가 높은 습공기가 건조실의 하측공간으로 하강되어 정체되어 있는 상태로 있게 되어 건조선반의 하부에 위치한 피건조물은 상부에 위치한 피건조물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조가 늦거나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 반면에, 본 발명은 건조실의 하측공간에 존재하는 습공기를 흡입하는 구조임에 따라 건조공기가 효과적으로 건조선반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건조효율을 대폭 높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열교환실(130)의 배출측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열교환기(500)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유도되어 상기 건조공기공급구(122)로 원활히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건조공기유도판(131)이 형성된다.
상기 건조공기유도판(131)은 상기 공급구(122)의 형성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거나, 첨부된 도 2와 같이 굴곡되어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건조공기공급구(122)를 통해 건조실로 공급되는 건조공기는 건조실 하측방향으로 집중 공급되어 짐으로써 건조실의 앞쪽인 공기공급측에 위치한 건조선반의 상부에 적재된 피건조물에는 건조공기가 원활히 공급되지 않아 흡입팬의 작동시 공기공급측에 위치한 건조선반의 상부에 적재된 피건조물의 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상기 건조공기공급구(122)에는 열교환기(500)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분산되면서 상기 건조실(11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건조공기 분산체(600)가 설치된다.
상기 건조공기 분산체(600)는 일정간격으로 홀이 형성된 타공판으로 형성하거나 일정 크기의 눈이 형성된 망체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건조공기 분산체(600)의 형성으로 인해 상기 열교환기(500)에 의해 열교환된 건조공기가 건조실(110)의 하측방향으로 집중 공급되지 않고 분산되어 공급됨으로써 건조실(110) 내에 배치된 건조선반(115)을 균일하게 통과할 수 있는 것이며, 이에 따라 건조선반에 적재된 피건조물의 균일한 건조를 이룰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습공기흡입실(250)에는 상기 흡입팬(400)에 의해 흡입된 공기가 와류현상을 일으키면서 습공기인입구(121)로 제대로 인입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될 수 있는데, 이를 해결하기 위해 습공기흡입실(250)의 하부에는 흡입된 습공기를 유도하여 상기 습공기인입구(121)를 통해 열교환실(130)로 원활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습공기유도판(255)이 경사지게 또는 굴곡되게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습공기유도판(255)에 흡입팬에 의해 흡입된 습공기가 부딪히면서 이동방향이 상측방향으로 변경되어 습공기인입구(121)를 통해 열교환실(130)로 효과적으로 인입될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열교환실(130)로 인입된 습공기는 열교환실(130)의 중간부분에 설치된 열교환기(500)를 통과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열교환기(500)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효과적인 열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습공기의 이동방향을 변경시켜 주기 위한 공기방향변경판(700)이 설치된다.
즉, 본 발명에서 상기 열교환기(5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교환실(130)의 중간부분에 공기유로의 중앙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있고, 열교환기(500)의 양측을 통해서 습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공기방향변경판(700)이 설치됨으로써 상기 열교환기(500)의 양측을 통해 빠져나가는 공기를 최소화하도록 하면서도 열교환효율을 높여주어 작은 공간을 열교환할 수 있는 규격의 열교환기를 설치하더라도 목표하고자 하는 열교환효율을 달성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공기방향변경판(700)은 상기 열교환기(500)의 전방에 열교환기 방향으로 일정 각도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공기방향변경판(700)의 타단이 상기 열교환기(500)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사이로 습공기가 빠져나가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공기방향변경판(700)과 열교환기(500)의 사이를 일정 거리 이격시켜 습공기가 빠져나갈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하는 이유는, 열교환실(130)로 이동된 모든 습공기가 열교환기(500)를 통과하도록 구성하면 열교환기의 크기가 커져야 함은 물론 열교환과정에서 열교환기가 부하로 작용하여 공기가 원환하게 순환되지 않게 되는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부하 발생없이 원활한 공기의 순환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공기방향변경판(700)은 일단이 건조기본체(100)의 내벽면에 연결된 상태로 열교환기(500)의 설치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제1방향변경판(710)과, 상기 제1방향변경판(710)의 타단에 제1방향변경판(710)의 경사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방향변경판(7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방향변경판(720)을 형성한 이유는, 습공기가 공기방향변경판(700)의 일단에서부터 대략 중간지점에 부딪힌 경우에 방향이 변경되면서 열교환기로 인입될 수 있으나, 중간지점을 넘어선 부분에 부딪히는 경우에는 열교환기(500)로 인입되지 않고 빠져나가는 경우가 발생함에 따라 습공기가 제1방향변경판(710)의 중간지점을 넘어선 부분에 부딪히는 경우라도 제2방향변경판(720)에 재차 부딪히면서 방향이 한번 더 변경되어 상기 열교환기(500)로 인입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흡입팬설치부(300)는 상기와 같이 흡입팬결합판(310)이 경사지게 설치되어 있어 건조실의 하측공간에 존재하는 습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데, 인접되는 흡입팬설치부의 사이공간에 존재하는 습공기를 흡입하지 못함에 따라 순환없이 그대로 머물러 있게 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상기 흡입팬설치부(300)의 측벽에는 인접되는 흡입팬설치부(300)의 측벽과 연결되게 측면경사판(330)이 경사지게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서로 인접되게 설치된 흡입팬설치부(300) 사이의 공간에 존재하는 습공기가 상기 측면경사판(330)에 안내되면서 효과적으로 흡입됨으로써 건조실내에 존재하는 건조공기의 순환량을 높일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흡입팬(400)의 작동시 습공기의 원활한 흡입을 위해 상기 흡입팬(400)과 건조선반(115)의 사이 간격은 500 ~ 1000㎜ 사이만큼 서로 떨어지도록 구비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건조선반(115)을 건조실 내부로 인입시키는 경우에 흡입팬(400)과의 사이를 500㎜ 이내로 근접해서 위치시키면 너무 가까워 건조선반을 통과하는 습공기의 흡입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게 되어 건조효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고, 1000㎜를 넘어서게 되면 흡입팬의 작동시 습공기는 원활히 흡입되어 지나 너무 멀어 건조실의 상측공간에 존재하는 공기도 함께 흡입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흡입팬(400)의 경사각도는 10 ~ 25°사이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흡입팬의 경사각도가 10°이내이면 경사가 미비하여 상대적으로 상측공간에 존재하는 습도가 낮은 공기가 흡입되고, 경사각도가 25°를 넘어서게 되면 건조실의 하측방향으로 너무 경사지게 설치되어 하방을 바라보게 됨에 따라 습공기의 흡입시 그 흡입력에 의해 건조공기가 건조선반을 원활히 통과하지 못하여 건조효율이 낮아지게 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농수산물 건조장치는 건조실 내의 하측공간에 존재하는 습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실로 인입시켜 열교환되도록 이루어져 있음으로써 건조공기가 건조선반을 최대한 통과할 수 있도록 하여 균일한 건조는 물론 효과적인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상기 건조공기 분산체(600)에 의해 건조공기가 분산되면서 건조실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여 어느 일측으로 집중공급되는 것을 차단하여 피건조물의 균일한 건조가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며, 공기방향변경판(700)에 의해 작은 규격의 열교환기를 구비하더라도 목표하는 열교환효율을 달성할 수 있게 되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100: 건조기본체 110: 건조실
115: 건조선반 120: 상부격판
121: 습공기인입구 122: 건조공기공급구
130: 열교환실 131: 건조공기유도판
200: 측면격판 250: 습공기흡입실
255: 습공기유도판 300: 흡입팬설치부
310: 흡입팬결합판 311: 흡입팬결합홀
320: 하부경사판 330: 측면경사판
400: 흡입팬 500: 열교환기
600: 건조공기 분산체 700: 공기방향변경판
710: 제1방향변경판 720: 제2방향변경판
115: 건조선반 120: 상부격판
121: 습공기인입구 122: 건조공기공급구
130: 열교환실 131: 건조공기유도판
200: 측면격판 250: 습공기흡입실
255: 습공기유도판 300: 흡입팬설치부
310: 흡입팬결합판 311: 흡입팬결합홀
320: 하부경사판 330: 측면경사판
400: 흡입팬 500: 열교환기
600: 건조공기 분산체 700: 공기방향변경판
710: 제1방향변경판 720: 제2방향변경판
Claims (9)
- 농수산물을 건조하기 위한 건조실(110)이 형성되고, 상기 건조실(110)의 상측에는 상부격판(120)으로 구획되어 열교환실(130)이 마련되며, 상기 열교환실(130)의 일측에는 건조실(110) 내의 습공기를 열교환실(130)로 인입시키도록 습공기인입구(121)가 형성되고, 상기 열교환실(130)의 타측에는 열교환된 건조공기를 건조실(110)로 공급하도록 건조공기공급구(122)가 형성된 건조기본체(100);
상기 건조기본체(100)의 내부 일측에 상기 습공기인입구(121)와 연통되는 습공기흡입실(250)을 형성하도록 상기 건조기본체(100)의 내벽면으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되어 상단부가 상기 상부격판(120)과 연결되게 수직으로 형성된 측면격판(200);
상기 측면격판(200)에 일정 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지되, 상부에서부터 하부로 갈수록 상기 습공기흡입실(250)로 돌출되어 경사지게 구비되고 표면에 흡입팬결합홀(311)이 형성된 흡입팬결합판(310)과, 상기 흡입팬결합판(310)의 하부에서부터 건조실(110) 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측면격판(200)과 연결되는 하부경사판(320)으로 구성된 흡입팬설치부(300);
상기 흡입팬결합판(310)의 흡입팬결합홀(311)에 각각 결합되어 건조실(110)의 하측방향을 향해 경사지게 설치되고, 상기 건조실(110)내의 하측공간에 존재하는 습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습공기흡입실(250)로 내보내는 흡입팬(400);
상기 열교환실(130)의 중간부분에 설치되어 상기 습공기인입구(121)를 통해 열교환실(130)로 인입된 공기를 열교환시켜 주기 위한 열교환기(50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실(130)의 배출측 모서리부분에는 상기 열교환기(500)를 통과한 건조공기를 상기 건조공기공급구(122)로 유도하도록 건조공기유도판(131)이 굴곡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공기공급구(122)에는 열교환기(500)를 통과한 건조공기가 분산되면서 상기 건조실(110)로 공급되도록 일정간격으로 홀이 형성된 타공판 또는 망체로 된 건조공기 분산체(60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습공기흡입실(250)의 하부에는 흡입팬(400)에 의해 흡입된 공기를 유도하여 상기 습공기인입구(121)를 통해 열교환실(130)로 인입시키도록 경사지게 또는 굴곡되게 습공기유도판(255)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실(130)의 습공기 인입측 양쪽에는 습공기인입구(121)를 통해 열교환실로 인입되어 이동되는 습공기의 이동방향을 변경하여 상기 열교환기(500)로 유도하도록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공기방향변경판(700)이 설치되어 지되,
상기 공기방향변경판(700)의 타단이 상기 열교환기(500)와 일정 거리만큼 이격되게 설치되어 그 사이로 습공기가 일부 빠져나가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방향변경판(700)은 일단이 건조기본체(100)의 내벽면에 연결된 상태로 열교환기(500)의 설치방향으로 경사지게 설치된 제1방향변경판(710)과, 상기 제1방향변경판(710)의 타단에 제1방향변경판(710)의 경사각도보다 더 큰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제2방향변경판(72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설치부(300)의 측벽에는 인접되는 흡입팬설치부(300)의 측벽과 연결되게 구비되어 서로 인접되게 설치되는 흡입팬설치부(300)의 사이공간에 존재하는 습공기가 유도되어 흡입되도록 측면경사판(330)이 경사지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400)과 건조선반(115)의 사이 간격은 500 ~ 1000㎜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팬(400)의 경사각도는 10 ~ 25°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농수산물 건조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5208A KR101884650B1 (ko) | 2018-06-07 | 2018-06-07 | 농수산물 건조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80065208A KR101884650B1 (ko) | 2018-06-07 | 2018-06-07 | 농수산물 건조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84650B1 true KR101884650B1 (ko) | 2018-08-02 |
Family
ID=6325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80065208A KR101884650B1 (ko) | 2018-06-07 | 2018-06-07 | 농수산물 건조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8465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8048Y1 (ko) | 2018-11-02 | 2018-12-07 | 심우정 | 농수산물 건조장치 |
KR20220075776A (ko) | 2020-11-30 | 2022-06-08 | 조앤박씨푸드 주식회사 | 수산물 건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산물 건조방법 |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4775B1 (ko) | 2007-05-02 | 2008-03-19 | 한창진 | 냉동기를 이용한 내부공기순환식 농수산물건조장치 |
KR20100053340A (ko) * | 2008-11-12 | 2010-05-20 | 박종수 | 히트파이프와 송풍기와 냉각장치를 이용한 연속 다용도 건조장치. |
KR101105665B1 (ko) * | 2011-04-08 | 2012-01-18 | 신인백 | 기류형성부를 구비한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
KR20140037546A (ko) * | 2012-09-19 | 2014-03-27 | 백성기 | 농산물 건조기용 정역방향 송풍팬 |
KR101415966B1 (ko) | 2013-04-10 | 2014-07-04 | 최종민 | 농수산물 건조장치 |
KR101741205B1 (ko) | 2017-01-24 | 2017-05-29 |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 농수산물용 냉·온풍 제습건조장치 |
KR20170067100A (ko) | 2015-12-07 | 2017-06-15 | 백성기 |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 |
-
2018
- 2018-06-07 KR KR1020180065208A patent/KR10188465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814775B1 (ko) | 2007-05-02 | 2008-03-19 | 한창진 | 냉동기를 이용한 내부공기순환식 농수산물건조장치 |
KR20100053340A (ko) * | 2008-11-12 | 2010-05-20 | 박종수 | 히트파이프와 송풍기와 냉각장치를 이용한 연속 다용도 건조장치. |
KR101105665B1 (ko) * | 2011-04-08 | 2012-01-18 | 신인백 | 기류형성부를 구비한 농수산물 건조보관장치 |
KR20140037546A (ko) * | 2012-09-19 | 2014-03-27 | 백성기 | 농산물 건조기용 정역방향 송풍팬 |
KR101415966B1 (ko) | 2013-04-10 | 2014-07-04 | 최종민 | 농수산물 건조장치 |
KR20170067100A (ko) | 2015-12-07 | 2017-06-15 | 백성기 | 냉방 시스템을 적용한 농수산물 건조 장치 |
KR101741205B1 (ko) | 2017-01-24 | 2017-05-29 | 주식회사 대원지에스아이 | 농수산물용 냉·온풍 제습건조장치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88048Y1 (ko) | 2018-11-02 | 2018-12-07 | 심우정 | 농수산물 건조장치 |
KR20220075776A (ko) | 2020-11-30 | 2022-06-08 | 조앤박씨푸드 주식회사 | 수산물 건조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수산물 건조방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6754B1 (ko) | 옷 건조시스템 | |
KR101186151B1 (ko) | 에너지 절약형 건조기 | |
CN106661815B (zh) | 热泵式衣物干燥机 | |
KR20080098860A (ko) | 건조기 | |
KR101809130B1 (ko) | 의류건조기 | |
CN106716024A (zh) | 空调装置的室内机组 | |
KR101884650B1 (ko) | 농수산물 건조장치 | |
CN114753130A (zh) | 烘干设备及其控制方法 | |
KR100953198B1 (ko) | 공기조화기 | |
KR101953519B1 (ko) | 농수산물 건조장치 | |
KR101738070B1 (ko) | 결로현상을 이용한 초절전 건조기 | |
CN107702208A (zh) | 室内机 | |
KR200488048Y1 (ko) | 농수산물 건조장치 | |
CN112880068B (zh) | 除湿机 | |
JP3823810B2 (ja) | 空気調和機 | |
KR101861597B1 (ko) | 농산물 살균 건조기 | |
KR102436120B1 (ko) | 토출공기의 온도를 저감시킬 수 있는 제습기 | |
CN212457663U (zh) | 一种热泵烘干装置 | |
KR101373027B1 (ko) | 김 건조기 | |
CN112066455A (zh) | 一种均匀换热的风管机及其控制方法 | |
CN205482125U (zh) | 一种均热热泵烘干房 | |
CN220103680U (zh) | 一种顶置式开式热泵烘干机组及烘干房 | |
CN221122535U (zh) | 适用于平送风与环流风烤房的空气源热泵烘干机组 | |
CN218722992U (zh) | 一种烘干装置 | |
CN211739679U (zh) | 一种新型节能空气能烘干主机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