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68058B1 -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를 위한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의 신규한 용도 - Google Patents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를 위한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의 신규한 용도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68058B1 KR101868058B1 KR1020160034323A KR20160034323A KR101868058B1 KR 101868058 B1 KR101868058 B1 KR 101868058B1 KR 1020160034323 A KR1020160034323 A KR 1020160034323A KR 20160034323 A KR20160034323 A KR 20160034323A KR 101868058 B1 KR101868058 B1 KR 1018680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up
- present
- polypeptide
- wound
- wound heal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17—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 A61K38/1703—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 A61K38/1709—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from animals; from humans from vertebrates from mammal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genetic material which is inserted into cells of the living body to treat genetic diseases; Gene therap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mammals or bir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를 위한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 (Erythroid differentiation regulator 1)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처리함으로써, 상피세포 또는 섬유아세포의 이동능 및 콜라겐 생성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급성창상 동물모델에서의 우수한 상처 치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바, 기존의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제제를 대체할 수 있는 유효 물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를 위한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 (Erythroid differentiation regulator 1)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인체의 일차 방어막으로서 체내의 기관을 온도, 습도 변화, 자외선, 공해물질 등 외부환경에 의한 자극으로부터 보호해 주며, 체온 조절 등의 생체 항상성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피부의 가장 외측에 존재하는 각질은 피부의 세포가 변화되어 생긴 조직이며, 완전히 죽은 세포로 구성되어 있다. 진피층의 피부 결합조직 안에 성기게 형성된 세포층은 표피층으로 올라가면서 세포의 생명력이 없어지며, 견고하고 규칙적인 세포층으로 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피부는 가장 외부에서 우리 몸의 수분을 지켜주고 밖에서 들어오는 여러 가지 물질들을 방어하는 방어선과 같은 역할을 한다. 즉, 피부의 표면에 상처가 생길 경우, 표피의 빠른 재생 능력은 상처의 회복을 촉진하여 상처를 통한 추가 감염을 방지하며, 피부 표면의 흉터를 줄여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처받은 피부 조직이 재구성되는 경우, 여러 가지 반응들이 관여하며 구체적으로, 각질세포의 이동, 증식, 분화, 손상세포의 탈락, 외피조직의 생산이 관여되어 있다. 상처치유의 과정은 각종 세포와 인자가 관여하여 매우 복잡한 반응으로서, 먼저 상처부위에 혈소판이 응집하고 형질전환 증식인자, 혈소판 유래 증식인자, 상피세포 증식인자 등의 여러 가지 세포증식인자가 유리됨에 따라 혈관내피, 탐식세포, 섬유아세포, 상피세포 등에 자극을 주어 세포 증식을 촉진하게 되며, 이와 동시에 이들 세포 자신도 자기 분비적으로 섬유아세포 증식, 형질전환 증식인자, 인터류킨 등의 물질을 생산, 방출하면서 상처치유 기전이 진행된다.
현재, 다양한 활성을 가지고 있어 상처 치료 제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는 EGF (표피성장인자, Epidermal growth factor)는 정제하여 얻거나 또는 박테리아에서 과량 발현하여 얻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다. 직접 정제하여 얻을 경우 시간, 돈, 그리고 노동력이 많이 소요되고, 또한 박테리아에서 과량 발현 방법은 세포 내에서의 낮은 발현량과 박테리아의 단백질 분해 효소 등에 의하여 회수 수율이 매우 낮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EGF는 만성의 상처 부위에는 낮은 치료 효과를 나타낸다는 보고가 있으며, 온도 및 단백질 분해 효소에 의한 짧은 반감기로 인하여 효율 대비 가격이 비싸다는 문제로 인해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 하에서, 종래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제제의 문제점을 최소화시키면서 유효한 치료효과를 갖는 새로운 치료제의 개발이 요구되는 실정으로,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나 (한국 공개특허 제2015-0135743호), 아직은 미비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자들은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제제에 대해서 예의 연구한 결과,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 (Erythroid differentiation regulator 1)을 처리한 경우, 상피세포 또는 섬유아세포의 이동능 및 콜라겐 생성량이 현저하게 증가함을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이에, 본 발명의 목적은,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또는 상처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또는 상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 (Erythroid differentiation regulator 1)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폴리펩타이드의 N- 또는 C- 말단은 아세틸기, 플루오레닐 메톡시 카르보닐기, 포르밀기, 팔미토일기, 미리스틸기, 스테아릴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PE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호기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100 내지 3000ng/mL 농도로 함유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상처는 창상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또는 상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상기 폴리펩타이드의 N- 또는 C- 말단은 아세틸기, 플루오레닐 메톡시 카르보닐기, 포르밀기, 팔미토일기, 미리스틸기, 스테아릴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PE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호기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로서, 상기 조성물은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왁스 또는 스프레이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 폴리펩타이드의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 (Erythroid differentiation regulator 1)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며,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처리한 경우, 상피세포 또는 섬유아세포의 이동능 및 콜라겐 생성량이 현저하게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급성창상 동물모델에서의 우수한 상처 치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바, 기존의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제제를 대체할 수 있는 유효 물질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도 1a는, ERDR1 처리에 따른 HaCaT 세포주의 이동능을 Scratch assay를 통해 평가한 결과이다.
도 1b는, ERDR1 처리에 따른 HaCaT 세포주의 이동능을 수치화하여 평가한 결과이다.
도 2a는, ERDR1 처리에 따른 인간 섬유아세포의 이동능을 Transwell migration assay를 통해 평가한 결과이다.
도 2b는, ERDR1 처리에 따른 인간 섬유아세포의 이동능을 수치화하여 평가한 결과이다.
도 3a는, ERDR1 처리에 따른 인간 섬유아세포의 collagen 1A1, 1A2, 3A1 mRNA 발현을 real time PCR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3b는, ERDR1 처리에 따른 인간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단백질 생성을 sircol assay를 통해 평가한 결과이다.
도 4a는, 급성창상 동물모델에서, ERDR1 처리에 따른 창상 부위의 크기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b는, 급성창상 동물모델에서, ERDR1 처리에 따는 피부 재생 효과를 조직염색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도 1b는, ERDR1 처리에 따른 HaCaT 세포주의 이동능을 수치화하여 평가한 결과이다.
도 2a는, ERDR1 처리에 따른 인간 섬유아세포의 이동능을 Transwell migration assay를 통해 평가한 결과이다.
도 2b는, ERDR1 처리에 따른 인간 섬유아세포의 이동능을 수치화하여 평가한 결과이다.
도 3a는, ERDR1 처리에 따른 인간 섬유아세포의 collagen 1A1, 1A2, 3A1 mRNA 발현을 real time PCR로 확인한 결과이다.
도 3b는, ERDR1 처리에 따른 인간 섬유아세포의 콜라겐 단백질 생성을 sircol assay를 통해 평가한 결과이다.
도 4a는, 급성창상 동물모델에서, ERDR1 처리에 따른 창상 부위의 크기 변화를 확인한 결과이다.
도 4b는, 급성창상 동물모델에서, ERDR1 처리에 따는 피부 재생 효과를 조직염색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 (Erythroid differentiation regulator 1)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를 위한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 폴리펩타이드의 용도; 및 치료상 유효량의 상기 폴리펩타이드를 개체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 (Erythroid differentiation regulator 1) 폴리펩타이드는 마우스 백혈병 세포주에서 최초로 발견된 단백질로서, 스트레스 조건 하의 세포에서 분출된다고 알려져 있으나,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유와 관련하여 알려진 바는 없는 실정이다.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서열번호 1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서열과 각각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아미노산 서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표적화 서열, 태그 (tag), 표지된 잔기, 반감기 또는 폴리펩타이드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한 특정 목적으로 제조된 아미노산 서열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 (Erythroid differentiation regulator 1) 폴리펩타이드의 기능성 변이체도 포함 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변이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 서열의 생물학적 균등물들을 포함한다. 예를 들면, 폴리펩타이드의 결합 친화도 및/또는 기타 생물학적 특성을 보다 개선시키기 위하여 폴리펩타이드의 아미노산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 서열에 추가적인 변화를 줄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항체의 아미노산 서열 잔기의 결실. 삽입, 및/또는 치환을 포함하며, 아미노산 곁사슬 치환체의 상대적인 유사성, 예컨대, 소수성, 친수성, 전하 크기 등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아미노산 곁사슬 치환체의 크기, 모양 및 종류에 대한 분석에 의하여, 아르기닌, 라이신과 히스티딘은 모두 양전하를 띤 잔기이고; 알라닌, 글라이신과 세린은 유사한 크기를 갖으며; 페닐알라닌, 트립토판과 타이로신은 유사한 모양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고려 사항에 기초하여, 아르기닌, 라이신과 히스티딘; 알라닌, 글라이신과 세린; 그리고 페닐알라닌, 트립토판과 타이로신 등은 생물학적으로 기능 균등물이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는 당해 분야에서 널리 공지된 다양한 방법으로 획득할 수 있다. 일례로서,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재조합과 단백질 발현 시스템을 이용하여 제조하거나 폴리펩타이드 합성과 같은 화학적 합성을 통하여 시험관 내에서 합성하는 방법, 및 무세포 단백질 합성법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보다 나은 화학적 안정성, 강화된 약리 특성 (반감기, 흡수성, 역가, 효능 등), 변경된 특이성 (예를 들어, 광범위한 생물학적 활성 스펙트럼), 감소된 항원성을 획득하기 위하여, 폴리펩타이드의 N- 또는 C-말단에 보호기가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 상기 보호기는 아세틸기, 플루오레닐 메톡시 카르보닐기, 포르밀기, 팔미토일기, 미리스틸기, 스테아릴기 또는 폴리에틸렌글리콜 (PEG)일 수 있으나, 폴리펩타이드의 개질, 특히 폴리펩타이드의 안정성 증진시킬 수 있는 성분이라면, 제한없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안정성"은 생체 내 단백질 절단효소의 공격으로부터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를 보호하는 인 비보 안정성 뿐만 아니라, 저장 안정성 (예컨대, 상온 저장 안정성)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폴리뉴클레오타이드 (polynucleotide)”는 뉴클레오티드가 결합된 중합체로서, 유전 정보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의 목적상, 서열번호 1의 폴리펩타이드를 코딩하며, 서열번호 2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서열번호 2로 표시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서열과 각각 75% 이상, 바람직하게는 8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5% 이상 서열 상동성을 가지는 서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동성"은 야생형 아미노산 서열 또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 서열과의 유사한 정도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서, 이러한 상동성의 비교는 당업계에서 널리 알려진 비교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2개 이상의 서열간 상동성을 백분율 (%)로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는 콜로이드 현탁액, 분말, 식염수, 지질, 리포좀, 미소구체 microspheres), 또는 나노 구형입자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 담체에 운반될 수 있다. 이들은 운반 수단과 복합체를 형성하거나 관련될 수 있고, 지질, 리포좀, 미세입자, 금, 나노입자, 폴리머, 축합 반응제, 다당류, 폴리아미노산, 덴드리머, 사포닌, 흡착 증진 물질 또는 지방산과 같은 당업계에 공지된 운반 시스템을 사용하여 생체 내 운반될 수 있다.
이 외에도,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 결정성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로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상처에 대한 증세가 호전되거나 이롭게 변경되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개체"는 상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을 의미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인간 또는 비-인간인 영장류, 생쥐 (mouse), 개, 고양이, 말 및 소 등의 포유류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피부 재생"은 전반적인 피부 노화 및 피부에 유발된 상처 등에 대응하여 피부 조직이 재구성되는 일련의 반응을 일컫는 것으로서, 이에 따라 피부 탄력 증진, 주름 개선 효과를 나타낸다. 한편, 상기 상처는 바람직하게 창상에 의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 폴리펩타이드를 처리함으로써, 상처의 치유에 필수적인 단계인 인간 상피세포주 및 섬유아세포주의 이동능을 향상시킬 뿐만 아니라, 콜라겐 생성량을 증진시켜 상처 치유를 촉진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실시예 2 내지 3 참조), 급성창상 동물모델을 이용하여 우수한 상처 치유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는바 (실시예 4 참조), 기존의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제제를 대체할 수 있는 유효 물질로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본 발명의 목적상, 피부 재생 효과를 위하여 바람직하게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 폴리펩타이드를 100 내지 3000ng/mL 농도로 함유할 수 있으나, 세포 독성이 없이 유효한 치료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 농도라면,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 (예를 들어, 근육 내, 정맥 내, 복강 내, 피하, 피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을 피부 외용제로 사용하는 경우,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유화제,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활성제, 친유성 활성제 또는 지질 소낭 등 피부 외용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은 피부 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적 조성물이 피부 외용제로 제공될 경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고, 패취, 겔, 크림 또는 분무제 등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 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약학적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는 동시에, 별도로,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배설 속도, 질병 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 증감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상기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노화 또는 상처 개선용 건강기능식품/화장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 "개선"이란 치료되는 상태와 관련된 파라미터, 예를 들면, 증상의 정도를 적어도 감소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이때, 상기 건강기능식품/화장품 조성물은 피부 노화 또는 상처의 예방 또는 개선을 위하여 해당 질환의 발병 단계 이전 또는 발병 후, 치료를 위한 약제와 동시에 또는 별개로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서, 유효성분을 식품에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 성분의 혼합량은 그의 사용 목적 (예방 또는 개선용)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식품 또는 음료의 제조시에 본 발명의 조성물은 원료에 대하여 바람직하게 15 중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의 양으로 첨가될 수 있다. 그러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양은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을 함유하는 것 외에 특별한 제한없이 다른 성분들을 필수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의 예는 모노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포도당, 과당 등; 디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말토스, 슈크로스 등; 및 폴리사카라이드, 예를 들어 덱스트린, 시클로덱스트린 등과 같은 통상적인 당, 및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 알코올일 수 있다. 상술한 것 이외의 향미제로서 천연 향미제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 (예를 들어, 레바우디오시드 A, 글리시르히진등)) 및 합성 향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 등)를 유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당업자의 선택에 의해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외에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광물 (전해질), 합성 풍미제 및 천연 풍미제 등의 풍미제, 착색제 및 중진제 (치즈, 초콜릿 등),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탄산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 또한 당업자에 의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제조되는 어떠한 제형으로도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용액,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활성제-함유 클린싱,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및 스프레이 등으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보다 상세하게는,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 영양 크림, 마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 크림,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포옴, 클렌징 워터, 팩, 스프레이 또는 파우더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함유된 유효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담체가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유, 식물성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되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형이 계면-활성제 함유 클린징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리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유, 라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품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 성분과 담체 성분 이외에, 화장품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하며, 예컨대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실시예
1. 인간
상피세포주의
이동능
평가
상피세포의 이동은 상처의 치유를 위한 필수적인 과정 중 하나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ERDR1 처리에 따른 인간 상피 세포주인 HaCaT의 이동능을 Scratch assay를 통해 평가하였다. Scratch를 생성한 후, 시간의 경과 (6, 12, 18h)에 따른 Scratch 부위로의 세포 이동을 관찰하고, 이를 정량화하여 평가하였다. 한편, 대조군으로 Scratch 생성 후, 별도의 처리를 가하지 않은 군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는 시간의 경과에도 불구하고, Scratch 부위로 세포가 거의 이동하지 않은 반면, ERDR1을 처리한 군에서는 Scratch 부위에 다수의 세포가 이동하였으며 (도 1a 참조), 특히, ERDR1 처리 18시간 경과 후에는 Scratch 전체 부위의 약 85%에 세포가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도 1b 참조). 상기 결과로부터, ERDR1은 상처의 치유의 과정 중 하나인 상피세포의 이동을 촉진시킴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인간 섬유아세포의
이동능
및 콜라겐
생성능
평가
섬유아세포의 이동은 상처의 치유를 위한 필수적인 과정 중 하나이며, 이러한 과정에서 세포외 기질 (Extracellular matrix, ECM) 및 콜라겐의 생성은 상처의 치유를 촉진하는 환경 조성에 매우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이에, 본 실시예에서는, Transwell migration assay를 실시하여 ERDR1 처리 (500, 1000, 2000ng/ml)에 따른 인간 섬유아세포 (Human dermal fibroblast, HDF)의 이동능을 평가하였으며, real time PCR 및 sircol assay를 실시하여 ERDR1 처리 (100, 500, 1000, 2000ng/ml)에 따른 인간 섬유아세포의 collagen 1A1, 1A2, 3A1 mRNA 및 콜라겐 단백질 생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ERDR1을 처리한 군은 세포의 이동이 촉진되어 다수의 세포가 관찰되었으며 (도 2a 참조), 상기 세포이동 촉진 효과는 ERDR1 농도 의존적인 경향을 보였다 (도 2b 참조). 또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ERDR1을 처리한 군, 특히, 500ng/ml 이상 처리한 군에서 collagen 1A1, 1A2, 및 3A1 mRNA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며 (도 3a 참조), 이와 마찬가지로 콜라겐 단백질의 생성도 ERDR1의 처리에 의해 크게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b 참조). 상기 결과로부터, ERDR1은 섬유아세포의 이동 및 콜라겐 생성을 유도하여 상처 치유의 촉진에 기여함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3.
급성창상
동물모델에서의 상처치유 효과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2의 결과에 기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급성창상 동물 모델을 이용하여 ERDR1의 상처치유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6주령 BALB/c nude 마우스 (오리엔트 바이오)를 1주간 적응시키고, 7주령 Balb/c nude 마우스 등에 약 12mm wound를 내어 급성창상 모델을 확립하였다. 이후, 상처 생성일 (D0)로부터 5일마다 ERDR1을 창상 부위에 도포하였으며, 2일 간격으로 창상 부위의 사이즈 측정 및 사진 촬영을 진행하고, 6일째 조직염색을 시행함으로써, 약 2주 동안 상처 치유 효과를 관찰하였다. 한편, 대조군으로 PBS를 처리한 군 (Vehicle control)을 이용하였다.
그 결과,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조군에서는 자연적인 wound closure가 상처 생성일로부터 12일째 관찰된 반면, ERDR1을 처리한 군은 대조군에 비해 상처의 치유가 빠르게 진행되어 wound closure가 10일째 관찰되었으며 (도 4a 참조), 이와 마찬가지로 조직염색 결과에서도, 창상 부위의 샘 조직 및 모낭 등이 다수 형성되어 피부재생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도 4b 참조).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Industry-Academic Cooperation Foundation, Sookmyoung Woman's University
<120> Novel use of erythroid differentiation regulator 1 for skin
regenerating or wound healing
<130> P16U10C0629
<160> 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177
<212> PRT
<213> Erythroid differentiation regulator 1 polypeptide
<400> 1
Met Pro Thr Gly Arg Thr Asp Gly Arg Thr His Gly Arg Thr Pro Gln
1 5 10 15
Gly Arg Lys Pro Ala Pro Thr Ala Pro Leu His Pro Pro Gln His Thr
20 25 30
Gly His Thr Arg Ala Pro Arg Pro Pro Arg His Thr Arg His Thr Arg
35 40 45
His Thr Arg Gln Ala Gly Gln Ala His Ala Ser Ala Gly Pro Ala Ala
50 55 60
Pro Ala Thr Gln Thr Arg Thr Ser Arg Arg Gly Gln Asp Val His Pro
65 70 75 80
Pro Arg Ser Arg Cys Met Cys His Arg Pro Ser Pro Arg Trp Thr Asp
85 90 95
Gly Arg Thr His Ala Arg Arg Gln Arg Pro Pro Val Thr Ala Ala Ala
100 105 110
His Ser Asp Val Thr His Glu Ser Thr His Val Glu Ala Asp Ala Val
115 120 125
Val Lys Met Ser Leu Pro Ser Pro Gln Asp Gly Arg Thr Asp Ser Thr
130 135 140
Arg Cys Ala Cys Arg Arg Gly Arg Gln Asp Gly Ala Ile Leu Thr Glu
145 150 155 160
Glu Gly Ala Arg Gln Gln Gly Leu Thr Ala Tyr Arg Asn Ala Pro Pro
165 170 175
Gln
<210> 2
<211> 801
<212> DNA
<213> Erythroid differentiation regulator 1 polynucleotide
<400> 2
gtccgttctc ttttagccgc agctatggtt tctgccctaa ttattcttgt ccttatttgt 60
aatttaattc ttaatttaat ttaatttata attttgttgt aagtttctct gtgggcgtga 120
atggaaagtc taacccgtgt ttctctgttc agcgtccgcc ggtcacggcc gccgccccca 180
gcgacgtcac ccacacgcgc agaagcggac gccgcggtca agatgtctct gccatgccca 240
cgggacgcac ggacggacgg acgcacggac ggactccaca aggtaggaag cctgcgccga 300
ccgcaccgct gcacccacca cagcacacag gacacacgcg ggccccgcgc ccgcccaggc 360
acacgcggca cacacggcac acacggcagg caggccaggc acacgcatcc gcaggacccg 420
ccgcacccgc cacgcagaca cggacgagcc gccgcggtca agatgttcac ccgccgcggt 480
caagatgtat gtgccaccga ccctcgcccc gctggacgga cggacggacg cacgcacgcc 540
gtcagcgtcc accggtcact gccgccgccc acagtgatgt cacccacgaa agcacacacg 600
tagaagcgga cgccgtggtc aagatgtctc tgccatcccc acaggacgga cggacggact 660
ccacaaggtg cgcgtgtcgc cgaggccgcc aggacggagc gattctcacg gaggaaggag 720
cacgccaaca gggcctgact gcgtacagaa atgccccccc tcaataaaat tgcagttgaa 780
atggaaaaaa aaaaaaaaaa a 801
Claims (8)
-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 (Erythroid differentiation regulator 1) 폴리펩타이드 또는 이를 코딩하는 폴리뉴클레오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타이드의 N- 또는 C- 말단은 아세틸기, 플루오레닐 메톡시 카르보닐기, 포르밀기, 팔미토일기, 미리스틸기, 스테아릴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PE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호기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타이드는 100 내지 3000ng/mL 농도로 함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처는 창상에 의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약학적 조성물.
-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 (Erythroid differentiation regulator 1) 폴리펩타이드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상처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펩타이드의 N- 또는 C- 말단은 아세틸기, 플루오레닐 메톡시 카르보닐기, 포르밀기, 팔미토일기, 미리스틸기, 스테아릴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 (PEG)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호기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크림, 로션, 파우더, 왁스 또는 스프레이 형태임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4323A KR101868058B1 (ko) | 2016-03-23 | 2016-03-23 |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를 위한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의 신규한 용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34323A KR101868058B1 (ko) | 2016-03-23 | 2016-03-23 |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를 위한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의 신규한 용도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0745A KR20170110745A (ko) | 2017-10-12 |
KR101868058B1 true KR101868058B1 (ko) | 2018-06-18 |
Family
ID=60141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34323A KR101868058B1 (ko) | 2016-03-23 | 2016-03-23 |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를 위한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의 신규한 용도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68058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67153B1 (ko) * | 2018-04-04 | 2019-04-09 | 윤성준 | 주름과 피부 결손 및 위축성 흉터 개선을 위한 필러 배합 조성물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87576B1 (ko) * | 2010-03-25 | 2012-10-08 |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 암치료제로서의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의 신규한 용도 |
-
2016
- 2016-03-23 KR KR1020160034323A patent/KR101868058B1/ko active IP Right Grant
Non-Patent Citations (8)
Title |
---|
Exp. Dermatol. 2011 Nov; 20(11): 920-5 * |
HEE JUNG KIM ET AL. EXPERIMENTAL DERMATOLOGY, 20, 920_925 * |
HEIKO KAMPFER ET AL. THE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1999) VOL.113, NO.3, 369_374 * |
Int. J. Mol. Sci. 2016 Feb, 17;17(2): 244 * |
J. Invest. Dermatol. 1999 Sep;113(3): 369-74 * |
J. Invest. Dermatol. 2011 Oct;131(10): 2096-2104 * |
MIN KYUNG JUNG ET AL. JOURNAL OF INVESTIGATIVE DERMATOLOGY (2011) VOL.131, 2096_2104 * |
YOUN KYUNG HOUH ET AL. INT. J. SCI. 2016, 17, 2059 (10 PAGES) *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0745A (ko) | 2017-10-1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9904B1 (ko) |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 |
JP5913117B2 (ja) | 孵化液酵素およびその使用 | |
CN114206905A (zh) | 一种具有改善皮肤状况活性的肽及其用途 | |
US20040162232A1 (en) | Elastin digest compositions and methods utilizing same | |
KR101848887B1 (ko) | 피부 미백 활성을 가지는 트라넥삼산-펩타이드 및 그 용도 | |
KR102261105B1 (ko) |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펩타이드 aesis-1p3 및 이의 용도 | |
US10995117B2 (en) | Peptide for skin regeneration or wound treatment and use thereof | |
KR101868058B1 (ko) |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를 위한 적혈구 분화 조절인자 1의 신규한 용도 | |
US20220062381A1 (en) | Methods for promoting wound healing and hair growth | |
KR102233647B1 (ko) |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펩타이드 aec1d 및 이의 용도 | |
JP2025003624A (ja) | エクソソーム分泌促進剤、エクソソーム取り込み促進剤、エクソソーム分泌促進用美容組成物、及びエクソソーム分泌促進方法 | |
KR102371420B1 (ko) | Tnfsf14 단백질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 |
JP2018145106A (ja) | 皮膚外用組成物 | |
KR20210123838A (ko) |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펩티드 및 이의 이용 | |
KR102274658B1 (ko) | 염증성 피부질환 치료용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 |
KR102233646B1 (ko) | 피부 재생 또는 상처 치료용 펩타이드 aes11-1 및 이의 용도 | |
KR101903461B1 (ko) | 신규한 피부상태 개선 및 피부재생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 |
KR102515644B1 (ko) | Clasp2 폴리펩티드를 포함하는 상처 치유 또는 피부 재생용 조성물 | |
KR20240154157A (ko) | 히알루론산 분해 지연 활성을 갖는 신규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 |
CN115701979A (zh) | 包含regentide-034及regentide-041的皮肤保护或皱纹改善用组合物 | |
KR20230099481A (ko) | 피부 상태 개선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 |
KR20190056106A (ko) | 창상 치료제로서의 펩타이드의 용도 | |
KR20190056110A (ko) | 창상 치료제로서의 펩타이드의 용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