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66510B1 -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66510B1
KR101866510B1 KR1020110109110A KR20110109110A KR101866510B1 KR 101866510 B1 KR101866510 B1 KR 101866510B1 KR 1020110109110 A KR1020110109110 A KR 1020110109110A KR 20110109110 A KR20110109110 A KR 20110109110A KR 101866510 B1 KR101866510 B1 KR 101866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unit
switch
image forming
power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091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57510A (ko
Inventor
이상규
권구달
Original Assignee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이치피프린팅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091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6510B1/ko
Publication of KR20120057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57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6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6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0Machine control of 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e.g. regulating differents parts of the machine, multimode copiers, microprocessor control
    • G03G15/5004Power supply control, e.g. power-saving mode, automatic power turn-of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화상형성장치는,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입력되는 AC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의 동작을 위한 소정 레벨의 DC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와; 상기 AC전원을 입력 또는 차단하기 위한 기계적파워스위치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상태가 되는 소프트파워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파워스위치의 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회로부와;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DC전원을 상기 화상형성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제어부와; 상기 기계적파워스위치에 의해 상기 AC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전원부의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방전회로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가 파워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 온/오프를 신속하게 할 수 있으며, 오동작의 오인을 불식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전원을 온/오프하기 위하여 기계적파워스위치와, 소프트파워스위치를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프린터, 팩스, 복합기 등과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와 같은 전원부를 구비한다. 이러한 전원부는 AC전원을 입력받아 이를 변환하여 소정 레벨의 DC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화상형성장치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전원을 온/오프시키기 위하여, AC전원의 입력을 온/오프하는 기계적인 파워스위치(이하, "기계적파워스위치(mechanical power switch)"라 함)뿐만 아니라, DC전원의 공급을 온/오프하는 소프트 방식의 파워스위치(이하, "소프트파워스위치(soft power switch)"라 함)를 구비한다.
전원부의 DC전원의 출력단에는 출력전압의 안정화를 위하여 상당한 용량의 캐패시터가 마련된다. 그런데, 사용자가 소프트파워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을 오프시킨 후, 곧바로 기계적인 파워스위치를 이용하여 다시 전원을 온시키는 경우, 전원부의 캐패시터에 충전된 잔류전원에 의해 화상형성장치가 제대로 파워온되지 않을 수가 있다. 이 경우, 제대로 파워온되기 위해서는, 전원부의 캐패시터가 방전될 때까지(예컨대, 수분 내지 10분 정도) 기다려야 하는데, 이는 사용자로서는 매우 불편한 것이며, 만일 사용자가 이러한 상황을 잘 알지 못한다면, 장치의 고장으로 오인될 우려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파워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 온/오프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파워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 온/오프할 때 오동작의 오인을 불식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입력되는 AC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의 동작을 위한 소정 레벨의 DC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와; 상기 AC전원을 입력 또는 차단하기 위한 기계적파워스위치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상태가 되는 소프트파워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파워스위치의 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회로부와;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DC전원을 상기 화상형성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제어부와; 상기 기계적파워스위치에 의해 상기 AC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전원부의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방전회로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AC전원이 차단되기 전에,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부에 공급되는 상기 DC전원을 차단하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잔류전원이 방전된 후에, 상기 기계적파워스위치에 의해 상기 AC전원을 다시 입력받아, 상기 DC전원의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AC전원의 파형의 제로점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로크로싱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전회로부는,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의 잔류전원을 방전시킬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는, 상기 제로크로싱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소정 지연시켜 상기 상기 방전회로부에 출력하는 지연회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전회로부는, 상기 전원부의 상기 DC전원의 출력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저항부와; 상기 저항부의 타단 및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신호의 레벨에 따라 온/오프하는 스위칭소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입력되는 AC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의 동작을 위한 소정 레벨의 DC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와, 상기 AC전원을 입력 또는 차단하기 위한 기계적파워스위치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상태가 되는 소프트파워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파워스위치의 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회로부와,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DC전원을 상기 화상형성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제어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에 상기 DC전원을 공급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계적파워스위치에 의해 상기 AC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전원부의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AC전원이 차단되기 전에,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부에 공급되는 상기 DC전원을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잔류전원이 방전된 후에, 상기 기계적파워스위치에 의해 상기 AC전원의 입력 및 상기 DC전원의 공급을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AC전원의 파형의 제로점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의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은, 상기 감지신호를 소정 지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연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의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장치의 화상형성부를 구동시키는 전원제어시스템에 있어서, AC전원의 공급 및 차단을 스위칭하는 기계적파워스위치와; 턴온상태 및 턴오프상태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턴온상태에 대응하여 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제어부와; 상기 AC전원이 공급 또는 차단되는지 여부를 감지하고, 상기 스위치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에 DC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는 상기 전원제어부와; 상기 AC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방전부를 포함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화상형성부를 포함하고, 소프트파워오프상태 및 파워온상태로 동작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제1전원을 입력하여 상기 제1전원을 제2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전원을 상기 화상형성부에 출력하는 전원부와;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로부터 상기 파워온상태가 되면, 상기 제1전원이 입력되는 때 상기 전원부가 상기 제2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전원부가 상기 제2전원을 상기 화상형성부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방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전부는 상기 전원부에 남아 있는 잔류전원을 선택적으로 방전할 수 있다.
상기 방전부는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로부터 상기 파워온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제1전원의 입력이 차단되는 때 상기 전원부에 남아 있는 잔류전원을 방전할 수 있다.
상기 방전부는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로부터 상기 파워온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제1전원의 입력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전원부에 남아 있는 잔류전원을 방전하지 아니할 수 있다.
전원제어시스템은, 상기 제1전원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전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상기 잔류전원을 선택적으로 방전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전원의 제로크로싱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전원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는 제로크로싱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로부터 상기 파워온상태가 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전원부가 상기 제2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워온상태에서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로 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가 상기 화상형성부에 상기 제2전원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전원은 AC전원이며, 상기 제2전원은 DC전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소프트파워오프상태 및 파워온상태로 동작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에서 상기 파워온상태로 되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에서 상기 파워온상태로 되는 경우 AC전원이 상기 화상형성장치에 입력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화상형성장치가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에서 상기 파워온상태로 되고 상기 AC전원의 입력이 차단되는 때 상기 화상형성장치의 전원부에 남아 있는 잔류전원을 방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제어방법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파워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 온/오프를 신속하고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가 파워스위치를 이용하여 전원 온/오프할 때 오동작의 오인을 불식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부의 구성의 일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며,
도 3a 및 3b는 도 1에 도시된 전원제어부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스위치회로부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원제어부의 다른 예를 도시하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로크로싱감지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감지신호의 파형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전회로부의 구성을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지연회로의 출력신호의 일례를 도시하며,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화상형성장치(1)는 용지와 같은 프린팅매체에 화상을 형성하는 프린터, 팩스, 복합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형성장치(1)는 화상형성부(11), 전원부(12), 기계적파워스위치(13), 스위치회로부(19), 전원제어부(14) 및 방전회로부(15)를 포함한다. 화상형성부(11)는 프린팅매체에 화상을 형성한다. 화상형성부(11)가 화상을 형성하는 방식은 레이저방식, 잉크젯 방식 등 다양할 수 있다. 전원부(12)는 AC전원을 입력으로 하여, 입력되는 AC전원을 변환하여 화상형성부(11) 등의 구성의 동작에 필요한 소정 전압레벨의 DC전원을 출력한다. 전원부(12)에 의해 출력되는 DC전원은 편의상 "제1DC전원"이라 하며, 제1DC전원의 레벨은 5V, 3.3V, 24V 등 다양할 수 있으며, 하나는 물론 복수의 출력을 가질 수도 있다. 기계적파워스위치(13)는, 온 또는 오프 상태를 가지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AC전원이 전원부(12)에 선택적으로 입력될 수 있도록 한다. 스위치회로부(19)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온상태 또는 오프상태가 되는 소프트파워스위치(191)를 포함하고, 소프트파워스위치(191)의 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신호(nPOWER_SW)를 출력한다. 스위치신호(nPOWER_SW)는 Low신호 또는 High신호이다. 예를 들면, 스위치신호(nPOWER_SW)는 Low신호인 때 OV, High신호인 때 약5V일 수 있다.
전원제어부(14)는, 상기 스위치회로부(19)의 스위치신호(nPOWER_SW)에 따라 전원부(12)로부터 출력되는 제1DC전원이 화상형성부(11)에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소프트파워스위치(191)로부터의 스위치신호(nPOWER_SW)를 감지한다. 전원제어부(14)에 의해 화상형성부(11)로 출력되는 DC전원을 편의상 "제2DC전원"이라 한다. 방전회로부(15)는, AC전원이 차단되는 경우, 예컨대, 기계적파워스위치(13)에 의해 AC전원이 입력되지 않는 경우, 전원부(12)에 남아 있는 잔류전원을 방전시킨다.
또한, 화상형성장치(1)는, 화상형성부(11) 등을 전반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도 3의 18 참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주제어부(18)는 CPU와, 입출력 제어부(I/O controller) 등이 구비된 ASIC으로 구현될 수 있다. 그 밖에, 화상형성장치(1)는, 도시되지 않은 구성으로서, 키패드 등을 통해 프린팅에 관한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 받기 위한 패널부, 화상형성장치(1)의 동작상태 등을 표시하는 LCD와 같은 표시부, 제어부(18)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이 저장되는 ROM, 플래시메모리 등과 같은 비휘발성의 프로그램메모리, 프로그램 메모리에 저장된 프로그램이 제어부(18)에 의해 실행될 수 있도록 일시 로드되는 RAM과 같은 휘발성의 메인메모리, 전화번호, 사용자 ID 등 백업용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한 백업메모리, 백업메모리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배터리, 용지 등의 프린팅매체 상의 화상을 스캔할 수 있는 CCD 혹은 CIS 소자를 구비하는 스캐닝부, 스캐닝부에 의해 출력되는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FE(Analog Front End), AFE로부터 전달된 데이터에 대하여 화상처리를 수행하는 화상처리부, PSTN 망과의 인터페이스 기능을 수행하는 LIU(Line Interface Unit) 및 LIU를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에 대하여 변조 혹은 복조를 수행하는 모뎀부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전원부(12)의 구성의 일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전원부(12)는 입력되는 AC전원을 변환하여 DC전원을 출력하는 SMPS(Switched mode power supply)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전원부(12)는 출력되는 DC전원으로서 5V의 전압(5V_SMPS)을 예로 들고 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며, 다른 레벨의 전압일 수도 있고, 혹은 이에 더하여 3.3V 및/또는 24V의 전압을 추가로 출력하는 구성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원부(12)는, 출력전압의 안정화를 위하여 DC전원의 출력단(5V_SMPS)에 마련되는 소정 용량(예컨대, 3300uF)을 가진 캐패시터(C21)를 구비한다.
도 3a는 도 1에 도시된 전원제어부(14)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전원제어부(14)는 제1전원제어모듈(14A), 제2전원제어모듈(14B) 및 제3전원제어모듈(14C)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전원제어모듈(14A)은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DC전원을 수신한다. 제1DC전원에 기초하여, 제1전원제어모듈(14A)은 출력단(5V)으로부터의 제2DC전원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또한, 제1전원제어모듈(14A)은 선택제어신호를 수신하는 선택제어단을 포함한다. 선택제어신호에 기초하여 제1전원제어모듈(14A)은 제2DC전원을 선택적으로 출력한다. 선택제어신호는 제2전원제어모듈(14B) 및 제3전원제어모듈(14C)로부터 각각 출력되는 제1선택제어신호 및 제2선택제어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전원제어모듈(14B)는 제1전원제어모듈(14A)의 출력단(5V)으로부터의 제2DC전원에 따라 전원을 공급받는다. 따라서, 제1전원제어모듈(14A)의 출력단(5V)으로부터의 제2DC전원은 제2전원제어모듈(14B)에 피드백된다. 또한, 제2전원제어모듈(14B)는 스위치회로부(19)로부터 스위치신호(nPOWER_SW)를 입력할 수 있다. 제2DC전원 및 스위치신호(nPOWER_SW)에 기초하여, 제2전원제어모듈(14B)는 제1선택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1선택제어신호는 제2DC전원의 출력 여부를 선택적으로 제어하기 위하여 제1전원제어모듈(14A)로 입력될 수 있다.
제3전원제어모듈(14C)은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으로부터 출력되는 제1DC전원을 수신한다. 또한, 제3전원제어모듈(14C)은 스위치회로부(19)로부터 스위치신호(nPOWER_SW)를 입력할 수 있다. 스위치신호(nPOWER_SW)와, 전원부(12)에 의해 제1DC전원이 출력되는지 여부에 따라, 제3전원제어모듈(14C)은 제2DC전원의 출력 여부를 또한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제2선택제어신호를 생성한다.
도 3b는 도 3a에 도시된 전원제어부(14)의 구체적인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전원제어부(14)는, 입력단(5V_SMPS)에 인가되는 전원부(12)로부터 출력되는 DC전원이, 출력단(FET(U31) 측의 5V)을 통해 화상형성부(11) 등에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전원제어부(14)는, 노이즈제거 등을 위하여, 제2DC전원(5V)의 출력측에 마련되는 저항(R37)과, 복수의 캐패시터(C34, C35 및 C3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제어부(14)는, 입력단(5V_SMPS)에 마련되는 캐패시터(C31) 및 저항(R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원제어부(14)는, 입력단(5V_SMPS)에 연결되는 소오스(S)와, 출력단(FET(U31) 측의 5V)에 연결되는 드레인(D1, D2, D3 및 D4)을 구비하며, 게이트전압(Vg)에 따라 출력단(FET(U31) 측의 5V)에 제2DC전원이 선택적으로 출력되도록 스위칭하는 FET(U31)를 포함한다. FET(U31)는 n채널의 타입으로서, 게이트전압(Vg)이 High이면 턴오프, Low이면 턴온된다. FET(U31)가 턴오프되면 출력단(FET(U31) 측의 5V)을 통해 제2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고, 턴온되면 제2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된다.
전원제어부(14)는, 입력단(5V_SMPS)과, FET(U31)의 게이트(G)를 연결하는 캐패시터(C32) 및 저항(R3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FET(U31)의 게이트(G)에는, 저항(R35)을 사이에 두고 트랜지스터(Q31)의 컬렉터(C)가, 저항(R36)을 사이에 두고 스위치회로부(19)의 출력단(nPOWER_SW)이 각각 연결된다. 게이트전압(Vg)의 레벨은, 트랜지스터(Q31)의 턴온 여부 및 스위치회로부(19)의 출력단(nPOWER_SW)의 레벨(이하, "스위치신호"라고도 함)에 의해 결정된다. 트랜지스터(Q31)의 이미터(E)는 접지되며, 베이스(B)는 저항(R33 및 R34), 캐패시터(C33) 및 다이오드(D31)를 사이에 두고, 제어부(18)의 제어신호의 출력단(Vc)에 연결된다.
도 4는 스위치회로부(19)의 구성의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스위치회로부(19)는 앞서 언급한, 사용자의 조작을 위한 패널부에 마련될 수 있다. 소프트파워스위치(191)는, 소프트 방식의 스위치로서, 사용자가 누르는 경우에 턴온상태가 되고, 사용자가 손을 떼면 턴오프상태로 복귀한다. 소프트파워스위치(191)의 일단은, 다이오드(D41) 및 저항(R41)을 사이에 두고 동작전원(3.3V)에 연결되며, 타단은 접지된다. 동작전원(3.3V)은 도시되지는 않으나, 전원부(12) 혹은 다른 전원수단으로부터 공급될 수 있다. 스위치회로부(19)는, 소프트파워스위치(191)의 양단에 연결된 캐패시터(C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이오드(D5) 및 저항(R4)의 연결지점(nPOWER_SW)이 스위치회로부(19)의 스위치신호의 출력단이 된다. 스위치회로부(19)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른 소프트파워스위치(191)의 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신호(nPOWER_SW)를 출력한다. 스위치신호(nPOWER_SW)는 소프트파워스위치(191)가 턴오프상태이면 High, 턴온상태이면 Low가 된다.
먼저,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는, 기계적파워스위치(13)는 턴온되어, 전원제어부(14)의 입력단(5V_SMPS)에 전원부(12)로부터의 제1DC전원이 인가되는 상태이다. 다만, 제어부(18)가 턴오프되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는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제어부(18)의 제어신호(Vc)는 Low이며, 트랜지스터(Q31)는 턴오프된다. 또한, 스위치회로부(19)의 소프트파워스위치(191)는 턴오프상태이며, 스위치신호(nPOWER_SW)는 High이다. FET(U31)의 게이트전압(Vg)은 High가 되고, FET(U31)는 턴오프된다. 이에 따라, 전원제어부(14)의 출력단(FET(U31) 측의 5V)을 통해 제2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파워 온 상태는 제어부(18)가 턴온되어 화상형성부(11) 등을 정상적으로 제어하는 상태이다.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에서, 전원을 켜기 위하여, 사용자가 스위치회로부(19)의 소프트파워스위치(191)를 소정 시간 동안 누른다. 소프트파워스위치(191)가 눌러진 동안 스위치신호(nPOWER_SW)는 Low가 된다. 스위치신호(nPOWER_SW)가 Low가 되면, FET(U31)의 게이트전압(Vg)이 Low가 된다. 이에 따라, FET(U31)는 턴온되며, 전원제어부(14)의 출력단(FET(U31) 측의 5V)을 통해 제2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제어부(14)의 출력단(FET(U31) 측의 5V)은 제어부(18)의 전원입력단(제어부(18) 측의 5V)과 연결된다. 전원제어부(14)의 출력단(FET(U31) 측의 5V)을 통해 제2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제어부(18)가 턴온되어 동작하기 시작하며, High인 제어신호(Vc)를 출력한다. 제어신호(Vc)가 High가 되면, 트랜지스터(Q31)는 턴온된다. 트랜지스터(Q31)가 턴온되면 트랜지스터(Q31)의 컬렉터(C)가 Low가 되어, FET(U31)의 게이트전압(Vg)이 Low로 유지된다. 이에 따라, 전원제어부(14)의 출력단(FET(U31) 측의 5V)을 통해 제2DC전원이 계속적으로 공급된다. 즉, 사용자가 스위치회로부(19)의 소프트파워스위치(191)로부터 손을 떼서 스위치신호(nPOWER_SW)가 Low에서 High로 전환되더라도, 트랜지스터(Q31)에 의해 게이트전압(Vg)이 계속하여 Low인 상태가 유지된다. 본 실시예에서, 저항(R35)과, 저항(R36) 각각의 저항값은, 스위치신호(nPOWER_SW)가 High이고, 트랜지스터(Q31)의 컬렉터(C)가 Low인 경우, 게이트전압(Vg)이 FET(U31)가 충분히 턴온될 정도의 낮은 레벨이 되도록 설계된다.
다음으로, 파워 온 상태에서, 소프트오프 상태로 전환되는 상태를 설명한다. 파워 온 상태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어부(18)가 출력하는 제어신호(Vc)는 High, 트랜지스터(Q31)는 턴온, FET(U31)의 게이트전압(Vg)은 Low, FET(U31)는 턴온되며, 전원제어부(14)의 출력단(FET(U31) 측의 5V)을 통해 제2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상태이다. 파워 온 상태에서, 전원을 끄기 위하여, 사용자가 스위치회로부(19)의 소프트파워스위치(191)를 소정 시간 동안 누른 뒤 손을 뗀다. 이 때, 소프트파워스위치(191)는 소정 시간 동안 턴온상태였다가, 턴오프상태로 복귀한다. 소프트파워스위치(191)가 턴온상태로부터 턴오프상태로 복귀되는 시점에서 스위치신호(nPOWER_SW)는 Low에서 High로 전환된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스위치신호(nPOWER_SW)는 제어부(18)에 전달된다(제어부(18) 측의 nPOWER_SW 참조). 제어부(18)는, 스위치신호(nPOWER_SW)가 Low에서 High로 전환되면, 파워 온 상태에서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로의 전환을 명령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제어부(18)는, 처리 중이던 동작을 마무리하는 한편, Low인 제어신호(Vc)를 출력한다. 제어신호(Vc)가 Low가 되면, 트랜지스터(Q31)는 턴오프된다. 트랜지스터(Q31)는 턴오프되면, 트랜지스터(Q31)의 컬렉터(C)는 High가 된다. 이에 따라, FET(U31)의 게이트전압(Vg)은 High가 되고, FET(U31)는 턴오프된다. 그 결과, 전원제어부(14)의 출력단(FET(U31) 측의 5V)을 통해 제2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로 전환된다.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 및 파워 온 상태 간 전환은, 소프트파워스위치(191)에 의한 경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컨대, 제어부(18)는, 소프트파워스위치(191)의 조작이 없더라도, 파워 온 상태에서 어떠한 판단 결과에 따라, 제어신호(Vc)를 High에서 Low로 전환시킬 수가 있다. 이를테면, 사용자가 화상형성장치(1)를 소정 시간 동안 조작하지 않아서 대기모드로 진입하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그 결과, 파워 온 상태에서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역으로, 소프트파워스위치(191)에 의하지 않고,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대기모드에서, 사용자의 조작이 있거나, 다른 웨이크업이벤트가 발생한 경우를 들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8)는 제어신호(Vc)를 Low에서 High로 전환하고, 그 결과,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하, 하드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하드 파워 오프 상태는, AC전원이 전원부(12)에 정상적으로 입력되지 않는 경우를 말한다. 그 결과, 전원부(12)로부터 제1DC전원(5V_SMPS)이 정상적으로 출력되지 않는다. 하드 파워 오프 상태의 원인으로는, 정전, 전원코드가 빠진 경우 등과 같이 외부로부터 AC전원이 입력되는 않는 경우, 사용자의 조작 등에 의해 기계적파워스위치(13)가 턴오프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전원제어부(14)는, 하드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하기 위하여, 저항(R36)을 사이에 두고 컬렉터(C)가 FET(U31)의 게이트(G)에 연결되는 트랜지스터(Q32)를 더 포함한다. 트랜지스터(Q32)의 이미터(E)는 접지되며, 베이스(B)는 저항(R39) 및 캐패시터(C37)을 통해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Q32)의 이미터(E)와, 베이스(B)는 저항(R38)로 연결된다. 다이오드(D32)는 캐패시터(C37)와 접지를 연결한다.
하드 파워 오프 상태에서는,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으로부터 제1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으므로, 트랜지스터(Q32)의 베이스(B)는 Low가 되고, 트랜지스터(Q32)는 턴오프된다.
하드 파워 오프 상태에서, AC전원이 다시 입력되는 등의 원인에 의해,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으로부터 제1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캐패시터(C37)를 통해 순간적으로 전류가 흐른다.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32)의 베이스(B)는 일시적으로 High가 되며, 트랜지스터(Q32)는 턴온된다. 트랜지스터(Q32)는 턴온되면, 컬렉터(C)가 Low가 되어, FET(U31)의 게이트전압(Vg)이 Low가 된다. 이에 따라, FET(U31)이 턴온되고, 전원제어부(14)의 출력단(FET(U31) 측의 5V)을 통해 제2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는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된다. 트랜지스터(Q32)가 턴온된 후, 캐패시터(C37)가 충분히 충전될 정도의 시간이 경과하면, 트랜지스터(Q32)의 베이스(B)는 Low로 전환되며, 그 결과 트랜지스터(Q32)는 턴오프된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2DC전원(5V)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트랜지스터(Q32)는 턴오프되기 전에, 제어부(18)에 의해 트랜지스터(Q31)가 턴온되어, FET(U31)의 턴온이 계속 유지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원제어부(14)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된 전원제어부(14)는, 스위칭부(142)와, 마이컴(142)을 포함한다. 스위칭부(142)는, 도 3에 도시된 FET(U31)과 마찬가지로, 입력단(5V_SMPS)에 인가되는 전원부(12)로부터 출력되는 DC전원이, 출력단(5V)을 통해 화상형성부(11) 등에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한다. 마이컴(142)은 제어부(18)와는 별도로 마련되는 제어IC로서, 스위치제어신호(EN_5V)를 스위칭부(142)에 출력하여, 스위칭부(142)의 턴온/오프를 제어한다. 마이컴(142)은 스위치회로부(19)로부터의 스위치신호(nPOWER_SW)에 기초하여 스위칭부(142)를 제어한다. 마이컴(142)은 전원부(12)로부터 출력되는 DC전원(5V_SMPS)을 입력받아 동작한다.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에서는 스위치신호(nPOWER_SW)는 High, 스위칭부(142)는 턴오프되어, 출력단(5V)을 통해 DC전원이 공급되지 않는다. 마이컴(142)은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에서, 스위치신호(nPOWER_SW)가 High에서 Low로 전환되면, 마이컴(142)은 스위칭부(142)가 턴온되도록 스위치제어신호(EN_5V)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출력단(5V)을 통해 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된다. 동시에, 마이컴(142)은 제어부(18)에 리셋신호(RST_CPU)를 출력하여, 제어부(18)가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반대로, 파워 온 상태에서, 스위치신호(nPOWER_SW)가 Low에서 High로 전환되면(소프트파워스위치(191)가 눌러졌다가 떨어진 때), 스위칭부(142)가 턴오프되도록 스위치제어신호(EN_5V)를 출력한다. 이에 따라, 출력단(5V)을 통해 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다. 동시에, 마이컴(142)은 제어부(18)에 리셋신호(RST_CPU)를 출력하여, 제어부(18)가 처리 중이던 동작을 마무리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하드 파워 오프 상태에서는, 마이컴(142)에 전원부(12)의 DC전원(5V_SMPS)이 입력되지 않으므로, 마이컴(142)은 턴오프상태가 된다. 하드 파워 오프 상태에서, AC전원이 다시 입력되는 등의 원인에 의해,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으로부터 DC전원이 정상적으로 공급되면, 마이컴(142)은 턴온되어 동작을 개시한다. 이어, 마이컴(142)은 마이컴(142)은 스위칭부(142)가 턴온되도록 스위치제어신호(EN_5V)를 출력하는 한편, 제어부(18)에 리셋신호(RST_CPU)를 출력하여, 제어부(18)가 정상적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하드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의 전환이 이루어진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전회로부(15)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제어부(14)는, 하드 파워 오프 상태에서 파워 온 상태로 전환함에 있어서,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으로부터 DC전원이 정상적으로 출력되는지에 따라 전환 동작을 개시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3 및 5에 도시된 전원제어부(14)는 어느 실시예의 경우든지, 전원부(12)로부터 DC전원(5V_SMPS)이 출력되지 않다가 정상적으로 출력되어야, 즉, DC전원(5V_SMPS)의 레벨이 Low에서 High로 전환되어야 비로소 전환 동작을 개시한다.
그런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에는 상당한 용량의 캐패시터(C21)이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캐패시터(C21)가 충분히 방전될 때까지 하드 파워 오프 상태가 상당 시간 지속된 경우에는,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이 Low까지 떨어질 수 있다. 이 상태에서, 기계적파워스위치(13)가 턴온되는 등 AC전원이 다시 입력되면,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은 Low에서 High로 전환될 수 있으므로, 전원제어부(14)가 정상적으로 전환 동작 수행한다. 그러나, 만일, 하드 파워 오프 상태로 진입한지 얼마되지 않아 곧바로 파워 온 상태로 전환되는 경우에는, 캐패시터(C21)에 잔류하는 잔류전원으로 인해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이 Low로 떨어지지 않기 때문에, 전원제어부(14)가 정상적으로 파워 온 상태로 전환할 수가 없는 상태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예를 들면, 소프트파워스위치(191) 등에 의해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로 된 상황에서, 사용자가 전원을 켜기 위하여 사전 조작으로서 기계적파워스위치(13)를 턴오프시킨 다음, 곧바로 턴온시키는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기계적파워스위치(13)가 턴오프된 시점부터 캐패시터(C21)가 방전을 시작하는데, 기계적파워스위치(13)가 다시 턴온된 때까지 캐패시터(C21)가 충분히 방전하지 못하여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이 High를 계속 유지하고 있다면, 전원제어부(14)는 하드 파워 오프 상태로부터 파워 온 상태로의 전환 동작을 할 수가 없게 된다.
이러한 우려를 막기 위하여, 방전회로부(15)는, 하드 파워 오프 상태가 되면, 즉, AC전원이 차단되는 경우에는,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에 마련된 캐패시터(C21)에 잔류하는 잔류전원을 신속하게 방전시킨다. 이에 따라,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로 된 상황에서, 기계적파워스위치(13)가 턴오프되었다가 곧바로 턴온되더라도, 방전회로부(15)에 의해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이 신속하게 Low가 되었다가 High로 전환되므로, 전원제어부(14)는 하드 파워 오프 상태로부터 파워 온 상태로의 전환 동작을 정상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화상형성장치(1)는, 방전회로부(15)가 AC전원이 차단되는지 여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도록, AC전원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는 제로크로싱감지부(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의한 제로크로싱감지부(16)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제로크로싱감지부(16)는 전류에 흐름에 따라 발광하는 포토다이오드(PD)와, 포토다이오드(PD)의 발광에 따라 스위칭하는 트랜지스터(Q61)로 구성되는 포토커플러를 포함한다. 포토다이오드(PD)는 저항(R61)을 통해 기계적파워스위치(13)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Q61)는 npn타입으로서, 이미터는 접지되고, 컬렉터는 저항(R62)에 연결된다.
만일, AC전원이 입력되고, 기계적파워스위치(13)가 턴온 상태이면, 포토다이오드(PD)에 사인파형으로 크기가 변동하는 전류가 흐른다. 포토다이오드(PD)에 전류가 흐르면 포토다이오드(PD)는 발광하고, 포토다이오드(PD)에 전류가 흐르지 않으면 포토다이오드(PD)는 발광하지 않는다. 즉, AC전원이 (+) 또는 (-) 구간인 경우에는, 포토다이오드(PD)가 발광하고, AC전원이 0가 되는 지점, 즉 AC전원의 파형의 제로점에서는 포토다이오드(PD)가 발광하지 않는다. 포토다이오드(PD)가 발광하면, 트랜지스터(Q61)가 턴온되어 High인 감지신호(Zerocross)가 출력된다. 포토다이오드(PD)가 발광하지 않으면, 트랜지스터(Q61)가 턴오프되어 Low인 감지신호(Zerocross)가 출력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의한 감지신호(Zerocross)의 파형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7의 부호 71은 감지신호(Zerocross)가 High인 구간을, 부호 72는 감지신호(Zerocross)가 Low인 지점을 각각 나타낸다. 만일, 외부로부터 AC전원이 입력되지 않거나, 기계적파워스위치(13)가 턴오프되면, 포토다이오드(PD)에 전류가 흐르지 않아, 소정 시간 이상 감지신호(Zerocross)가 Low인 구간(도 7의 부호 73 참조)이 존재한다. 방전회로부(15)는 감지신호(Zerocross)가 소정 시간 이상 Low인 경우, AC전원이 차단된 것으로 판단하고,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에 마련된 캐패시터(C21)에 잔류하는 잔류전원을 신속하게 방전시킨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방전회로부(15)의 구성을 일례를 도시하는 회로도이다. 방전회로부(15)는 감지신호(Zerocross)에 기초하여 스위칭하는 pnp타입의 트랜지스터(Q81)를 포함한다. 트랜지스터(Q81)의 이미터는 저항(R84)를 통해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Q81)의 컬렉터는 다이오드(D81)을 통해 접지된다. 트랜지스터(Q81)의 베이스가 High이면, 트랜지스터(Q81)는 턴오프되고, 베이스가 Low이면, 트랜지스터(Q81)가 턴오프되어, 캐패시터(C21)에 잔류하는 잔류전원이 방전된다.
화상형성장치(1)는, 감지신호(Zerocross)를 입력받아 소정 시간 지연시켜 출력하는 지연회로(1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연회로(17)는 로우패스필터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저항(R81 및 R82)과, 캐패시터(C81 및 C82)를 포함할 수 있다. 지연회로(17)와, 트랜지스터(Q81)의 베이스 사이에는 저항(R83)이 마련될 수 있다. 지연회로(17)의 지연시간(Tdelay)는 아래와 같이 결정될 수 있다.
[수학식 1]
Tdelay=R*C
(여기에서, R은 저항(R81 및 R82)의 직렬저항값, C는 캐패시터(C81 및 C82)의 병렬캐패시턴스값이다.)
지연회로(17)를 통과한 신호는, AC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계속하여 High를 유지하고(도 9의 부호 91 참조), AC전원이 차단되는 순간 Low가 된다(도 9의 부호 92 참조).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Q81)는 AC전원이 입력되는 경우에는 턴오프된 상태를 유지하고, AC전원이 차단되면, 트랜지스터(Q81)가 즉시 턴오프되어, 캐패시터(C21)에 잔류하는 잔류전원이 방전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화상형성장치(1)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먼저, 동작 1001에서, AC전원을 변환한 소정 레벨의 DC전원을 공급받아 화상을 형성한다. 이 경우는 파워 온 상태가 된다. 다음으로, 동작 1002에서, 파워 온 상태에서 사용자가 전원을 끄기 위하여 소프트파워스위치(191)를 누르면, DC전원의 공급을 차단하여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로 전환한다. 다음으로, 동작 1003에서, 소프트 파워 오프 상태에서, AC전원이 차단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사용자가 기계적파워스위치(13)를 이용하여 전원을 켜기 위한 사전동작으로서 기계적파워스위치(13)의 턴오프하면, AC전원이 차단된다. 다음으로, 동작 1004에서, AC전원이 차단되면, 전원부(12)의 출력단(5V_SMPS)에 마련된 캐패시터(C21)에 잔류하는 잔류전원을 방전시킨다. 다음으로, 동작 1005에서, 사용자가 기계적파워스위치(13)를 이용하여 전원을 켜기 위한 후속 동작으로서 기계적파워스위치(13)를 턴온시키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동작 1006에서, 기계적파워스위치(13)가 턴온되면, AC전원의 입력이 재개되고, 이를 변환하여 DC전원의 공급을 재개한다.
이상,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다.
1: 화상형성장치
11: 화상형성부
12: 전원부
13: 기계적파워스위치
14: 전원제어부
19: 스위치회로부
191: 소프트파워스위치

Claims (21)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입력되는 AC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의 동작을 위한 소정 레벨의 DC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와;
    상기 AC전원을 입력 또는 차단하기 위한 기계적파워스위치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상태가 되는 소프트파워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파워스위치의 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회로부와;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DC전원을 상기 화상형성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제어부와;
    상기 기계적파워스위치에 의해 상기 AC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전원부의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방전회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제어부는, 상기 AC전원이 차단되기 전에,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부에 공급되는 상기 DC전원을 차단하며,
    상기 전원부는, 상기 잔류전원이 방전된 후에, 상기 기계적파워스위치에 의해 상기 AC전원을 다시 입력받아, 상기 DC전원의 공급을 재개하는 화상형성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AC전원의 파형의 제로점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제로크로싱감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전회로부는,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의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화상형성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로크로싱감지부의 감지신호를 소정 지연시켜 상기 상기 방전회로부에 출력하는 지연회로부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회로부는,
    상기 전원부의 상기 DC전원의 출력단에 일단이 연결되는 저항부와;
    상기 저항부의 타단 및 접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신호의 레벨에 따라 온/오프하는 스위칭소자부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
  6.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부와, 입력되는 AC전원을 변환하여 상기 화상형성부의 동작을 위한 소정 레벨의 DC전원을 출력하는 전원부와, 상기 AC전원을 입력 또는 차단하기 위한 기계적파워스위치와,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턴온 또는 턴오프상태가 되는 소프트파워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소프트파워스위치의 상태에 대응하는 스위치신호를 출력하는 스위치회로부와,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전원부로부터 출력되는 상기 DC전원을 상기 화상형성부에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제어부를 구비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형성부에 상기 DC전원을 공급하여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기계적파워스위치에 의해 상기 AC전원이 차단되면, 상기 전원부의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AC전원이 차단되기 전에, 상기 스위치신호에 따라 상기 화상형성부에 공급되는 상기 DC전원을 차단하는 단계와;
    상기 잔류전원이 방전된 후에, 상기 기계적파워스위치에 의해 상기 AC전원의 입력 및 상기 DC전원의 공급을 재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7. 삭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AC전원의 파형의 제로점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의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신호를 소정 지연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전시키는 단계는, 상기 지연된 감지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전원부의 잔류전원을 방전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형성장치의 제어방법.
  10. 삭제
  11. 화상형성부를 포함하고, 소프트파워오프상태 및 파워온상태로 동작 가능한 화상형성장치의 전원을 제어하는 전원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제1전원을 입력하여 상기 제1전원을 제2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제2전원을 상기 화상형성부에 출력하는 전원부와;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로부터 상기 파워온상태가 되면, 상기 제1전원이 입력되는 때 상기 전원부가 상기 제2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전원부가 상기 제2전원을 상기 화상형성부에 선택적으로 출력하도록 하는 방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전부는 상기 전원부에 남아 있는 잔류전원을 선택적으로 방전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파워온상태에서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로 되는 경우 상기 전원부가 상기 화상형성부에 상기 제2전원을 출력하지 않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시스템.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로부터 상기 파워온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제1전원의 입력이 차단되는 때 상기 전원부에 남아 있는 잔류전원을 방전하는 전원제어시스템.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로부터 상기 파워온상태가 되는 경우 상기 제1전원의 입력되고 소정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전원부에 남아 있는 잔류전원을 방전하지 아니하는 전원제어시스템.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원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방전부는 상기 감지부의 감지 결과에 따라 잔류전원을 선택적으로 방전하는 전원제어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상기 제1전원의 제로크로싱에 기초하여 상기 제1전원의 차단 여부를 감지하는 제로크로싱감지부를 포함하는 전원제어시스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소프트파워오프상태로부터 상기 파워온상태가 되는지 여부를 감지하여 상기 전원부가 상기 제2전원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전원제어시스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KR1020110109110A 2010-11-26 2011-10-25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866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09110A KR101866510B1 (ko) 2010-11-26 2011-10-25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18843 2010-11-26
KR20100118843 2010-11-26
KR1020110109110A KR101866510B1 (ko) 2010-11-26 2011-10-25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510A KR20120057510A (ko) 2012-06-05
KR101866510B1 true KR101866510B1 (ko) 2018-06-12

Family

ID=466093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09110A KR101866510B1 (ko) 2010-11-26 2011-10-25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6510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4442A (ja) * 1996-10-11 1998-06-26 Daikin Ind Ltd コンバータ
JP2000184718A (ja) * 1998-12-10 2000-06-30 Sharp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20060125904A1 (en) * 2004-12-15 2006-06-15 Kabushiki Kaisha Toshiba Safety circui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295469A1 (en) * 2008-05-29 2009-12-03 Igo, Inc. Primary side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ultra-low idle power operation
US20100166449A1 (en) * 2008-09-03 2010-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174442A (ja) * 1996-10-11 1998-06-26 Daikin Ind Ltd コンバータ
JP2000184718A (ja) * 1998-12-10 2000-06-30 Sharp Corp スイッチング電源装置
US20060125904A1 (en) * 2004-12-15 2006-06-15 Kabushiki Kaisha Toshiba Safety circuit for image forming apparatus
US20090295469A1 (en) * 2008-05-29 2009-12-03 Igo, Inc. Primary side control circuit and method for ultra-low idle power operation
US20100166449A1 (en) * 2008-09-03 2010-07-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Power supply device and method for image forming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57510A (ko) 2012-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1501439A (ja) バーストモード動作を有するスイッチト―モード電源回路用の機能on/offスイッチ
US20120080947A1 (en) Power supply apparatus
JPH05207313A (ja) 故障保護回路
JP2000224775A (ja) 外部充放電装置
US20120134190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20080070617A1 (en) Reset circuit and method of mobile phone
US7071933B2 (en) Power controlling system
US20090080131A1 (en) Device for protecting electronic circuits against faults
KR101866510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2302467B1 (en) Image Forming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101722473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EP1204015A2 (en) Power supply device and electronic equipment
US5621632A (en) Switch mode power supply circuit
KR101643140B1 (ko) 화상형성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709316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memory cartridge system
JPH1042491A (ja) 電気機器の電源電圧を遮断するための装置
KR101789936B1 (ko) 대기 전력 제어 기능을 구비한 전원 공급 장치 및 그 전원 공급 방법
JP2010239786A (ja) 通信装置
KR100703211B1 (ko) 교류 전압 검출 회로
JPH0870477A (ja) テレビジョン受像機の保護回路
KR100449104B1 (ko) 잉크젯프린터의 전원 제어장치
JP2008250853A (ja) 火災検知器
KR20050119255A (ko) 전원 스위치의 자동 오프 제어 장치
JP2730112B2 (ja) 直流2線式センサにおける電源リセット回路
JP2013233057A (ja) 二次電池の充放電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