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9568B1 - 축광체가 포함된 도광판을 사용한 led 조명장치 - Google Patents
축광체가 포함된 도광판을 사용한 led 조명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9568B1 KR101859568B1 KR1020170005869A KR20170005869A KR101859568B1 KR 101859568 B1 KR101859568 B1 KR 101859568B1 KR 1020170005869 A KR1020170005869 A KR 1020170005869A KR 20170005869 A KR20170005869 A KR 20170005869A KR 101859568 B1 KR101859568 B1 KR 10185956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uide plate
- light guide
- light
- pattern
- led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4—Scattering dots or dot-like elements, e.g. microbeads, scattering particles, nanopartic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36—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 G02B5/024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the diffusion taking place within the volume of the element by means of dispersed particl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02B5/0205—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 G02B5/0263—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diffusing properties with positional variation of the diffusing properties, e.g. gradient or patterned diffuser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73—Light emitting diode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측면에 위치하는 LED 발광소자에서 발생하는 광원을 축광체와 패턴 또는 도트형태가 포함된 도광판에 투과시켜 빛을 발광하는 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도광판을 형성하는 모재와 입사되는 광원의 난반사를 유도하기 위한 v자형으로 파여진 라인들의 격자패턴을 갖거나 반사기능을 갖는 잉크를 통해 특정 형태나 도트형태가 인쇄된 시트가 부착된 형태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을 확산시키는 축광체가 포함되고 광원의 도광을 위한 v자형으로 파여진(v-cut)패턴 또는 반사 도트형태가 형성된 도광판을 제작하여 LED 조명장치에 사용함으로써, 상기 도광판에 광원이 조사될 경우, LED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원이 매질로 유도되어 산란되지 않고 패턴 또는 도트형태로 난반사를 유도하는 광자수의 증가로 인해 광휘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광원을 확산시키는 축광체가 포함되고 광원의 도광을 위한 v자형으로 파여진(v-cut)패턴 또는 반사 도트형태가 형성된 도광판을 제작하여 LED 조명장치에 사용함으로써, 상기 도광판에 광원이 조사될 경우, LED 광원으로부터 입사되는 광원이 매질로 유도되어 산란되지 않고 패턴 또는 도트형태로 난반사를 유도하는 광자수의 증가로 인해 광휘도를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양한 패턴을 포함하는 도광판을 사용한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도광판을 형성하는 모재에 축광체가 포함되어 형성되고, 상기 도광판은 V-커팅을 통해 격자패턴을 형성하거나 도트형태가 인쇄된 필름이 부착되고 프리즘시트 또는 확산시트가 상부에 부착되어 빛을 투과시켜 발광되는 것이 가능한 축광체가 포함된 도광판을 사용한 LED 조명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광판은 휴대폰, 네비게이션, 노트북 PC, 모니터, TV에 이르기까지 액정표시장치를 채택하는 모든 전자기기에 각각의 용도에 맞게 모양을 달리하며 그 기능을 다하고 있다. 각각의 모양은 도광판의 본래 용도인 광원으로부터 유입되는 빛의 형태에 따라 달리 적용되고 있으나, 그 본래의 기능은 크게 다르지 않다. 도광판은 측면에 위치한 광원으로부터 유입되는 빛을 원하는 면적에 균일하게 분배해 주는 역할을 한다.
LED 광원이 가지고 있는 직진성은 이러한 난반사를 유도한 도광판을 통해 고른 면광원을 구성시킬 수 있어 조명이나 디스플레이에 크게 사용되어지고 있으나, 직하방식에 비해 효율이 떨어지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원인으로써는 LED 광원으로 나오는 입자들이 난반사를 유도하기 위해 제작된 산란패턴에 전량 입사하지 않고 도광판의 모체가 되는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매질을 통해 흡수되는 광자들이 발생하기 때문이다. 매질을 통해 흡수된 광자들은 도광판 내부로 난반사하지 않고 외곽을 따라 이동하며 에너지를 잃게 된다.
이에 따라 빛의 효율적이고 균일한 분배가 가능한 도광판의 제작은 디스플레이 기기의 품질 향상에 선행되는 요구조건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광판의 한면으로부터 입사되는 LED 광원의 빛이 균일하도록 입사되기 위해서는 도광판에서 광원에 가까운 쪽은 광량이 많으므로 산란패턴 밀도를 적게하며 광원으로부터 이격거리가 넓은 곳은 입사되어 진행하는 광량수가 적으므로 산란패턴 밀도를 크게 설계하여야 한다.
이러한 난반사를 일으키는 패턴 방식은 크게 세가지 방법이 있으며 첫번째로는 난반사 잉크를 도트형태로 도광판 하부에 인쇄 또는 도포한 후 도광판 후면의 산란 패턴이 보이지 않도록 확산시트를 추가하는 방식과 두 번째로는 도광판 하부에 요철 형태를 만들어 빛의 하부로부터 난반사 되도록 하는 방법이 있으며 세 번째로는 도광판 하부에 'v'자형으로 파여진(v-cut) 가공기를 이용하여 v-자형 격자패턴을 만드는 방법이 있다.
최근에는 폴리카보네이트(pc)에 도트인쇄방식과 패턴을 이용한 확산시트를 적용하여 슬림구조를 갖는 도광판이 개발되고 있으며 종래에는 아크릴에 'v'자형으로 파여진(v-cut) 방식을 이용한 도광기술이 일반적이였다.
이러한 종래 도광판은 수 마이크로미터(㎛) 수준 이상의 크기를 갖는 패턴을 가져 이러한 패턴이 형성되는 기판 자체의 두께가 1㎜ 수준 이상으로 두꺼워야 패턴의 제작이 가능하였으며, 이러한 패턴의 두께로 인하여 디스플레이 기기의 두께도 두꺼워지고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제작이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56682호를 참조하면, 수백 나노미터 크기의 패턴을 갖는 도광판의 제작이 시도된 바 있으나 도광판의 패턴이 음각 반구 또는 음각 타원체 형상의 점형 패턴을 가져 광원으로부터 유입되는 빛의 균일한 분배 능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LED 조명장치에 형성된 LED 발광소자로부터 발생하는 광원을 투과시켜 빛을 발광시키는 도광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되, 상기 도광판은 입사되는 광자들이 아크릴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매질로 흡수되어 외부로 방출되지 않고 산란패턴으로 유입이 용이하도록 축광체를 포함하여 광손실율을 줄이고, 소정 크기의 피치를 갖는 격자패턴 또는 도트인쇄를 형성시킴으로써 점광원이 고효율의 면광원으로 조사되어 광휘도가 증대되는 것이 가능한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에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측면에 위치하는 LED 발광소자에서 발생하는 광원을 축광체와 패턴이 포함된 도광판에 투과시켜 빛을 발광하는 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도광판을 형성하는 모재와 상기 도광판의 하부면에 임의의 모양(예:v자형)으로 파여진 라인이 격자패턴을 형성하거나 도트 또는 일정형태를 갖는 반사잉크가 형성되거나 요철을 갖는 구조를 형성하여 하부로부터 난반사를 유도하는 형태를 갖는다.
또한, 상기 패턴은 동일한 피치값이 연속적으로 분포되어 나타나거나, 서로 다른 피치값을 갖는 두 개 이상의 구간에 분포되어 나타난다.
상기 도광판을 형성하는 모재는 고분자 수지로 구성된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투명에이비에스, 투명수지 중 하나 이상의 소재로 형성된다.
더불어, 상기 도광판은 상기 도광판으로 입사되는 광원을 난반사가 유도되도록 제작된 패턴 또는 도트형식으로 입사가 용이하도록 축광체가 첨가되어 산란되는 광자수를 증가시켜 발광효율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축광체는 모체에 도펀트가 여기되어 들뜬 상태에서 준안정화 또는 안정화상태까지 걸리는 시간에 따라 축광, 인광, 형광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LED 또는 UV LED 모듈로부터 입사되는 광원에 의해 여기될 수 있도록 Ⅱ-Ⅵ족의 이원분계 또는 삼상분계의 화합물이나 Ⅲ-Ⅴ족의 이원분계 또는 삼상분계인 화합물로 구성된 모체와 여기원으로 한 개 또는 복수의 도펀트가 첨가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은 상기 도광판의 측면에 상기 LED 발광소자가 하나 이상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의 하면에 상기 패턴이 형성된다.
'v'자 형태로 파여진(v-cut) 도광판의 경우, 상기 축광체가 첨가된 본 발명의 도광판에 광을 입사시키는 LED광원의 파워를 H1, 상기 본 발명의 도광판이 길이 두께 높이가 동일하면서 상기 축광체가 첨가되지 않은 종래의 도광판에 광을 입사시키는 LED광원의 파워를 H 라 할때, 상기 종래의 도광판에 형성된 패턴의 피치는 P이고, 본 발명의 도광판에 형성된 패턴의 피치는 P1이며, 종래의 도광판에 형성된 패턴의 깊이는 T이고, 본 발명의 도광판에 형성된 패턴의 깊이는 T1이며, 상기 종래의 도광판을 투과하여 발광되는 빛의 강도는 I이고, 본 발명의 도광판을 투과하여 발광되는 빛의 강도는 I1 이라한다.
이때, 상기 P = P1 이고, T = T1 인경우, 상기 H1 은 상기 H 보다 낮은 파워에서도 상기 I와 상기 I1이 동일한 빛의 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도광판에 상기 축광체를 첨가한다.
또한, 상기 P = P1이고, T = T1 이며, H = H1 인 경우, 상기 I < I1이다.
더불어, 상기 P > P1이고, T > T1 이며, H > H1 인 경우, 상기 I = I1이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을 사용하는 경우, 효율이 더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광원을 확산시키는 축광체가 포함되고, 반사를 위한 일정 형태를 갖는 패턴 또는 도트형태를 갖거나 v자형으로 파여진 라인들의 격자패턴이 형성된 도광판을 제작하여 LED 조명장치에 사용함으로써, 상기 도광판에 광원이 조사될 경우, 축광체가 포함되지 않은 도광판보다 점광원을 고효율의 면광원으로 전환시켜 광휘도를 증대시키는 것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이 설치된 LED 조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광체가 포함된 도광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형성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간이 나누어진 도광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광체가 포함된 도광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형성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턴이 형성된 도광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구간이 나누어진 도광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아울러, 아래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인 사항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사상에 포함되고 청구범위의 구성요소에서 균등물로서 치환 가능한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축광체가 포함된 도광판을 사용한 LED 조명장치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이 설치된 LED 조명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축광체가 포함된 도광판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의 형성순서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측면에 위치하는 LED 발광소자(200)에서 발생하는 광원을 축광체와 패턴이 포함된 도광판(100)에 투과시켜 빛을 발광하는 LED 조명장치(10)에 관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도광판(100)은 상기 도광판(100)을 형성하는 모재(110)와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소정 크기의 피치를 갖는 패턴(130)을 포함하거나 특정형태나 도트형태가 인쇄된 면을 포함한 형태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피치(pitch)란 인접한 두 선형 패턴 사이의 간격을 의미한다.
상기 도 1에서는 일 실시예로 사각형 형태의 선형 패턴이 반복되어 분포되어있는 도광판이 제작되어 있다.
상기 주기적인 선형 패턴은 동일한 피치값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선형 패턴 분포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에 따라, 상기 패턴은 동일한 피치값이 연속적으로 분포되어 나타나거나, 서로 다른 피치값을 갖는 두 개 이상의 구간에 분포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피치값은 피치폭과 깊이를 의미한다.
이때, LED 조명장치에서 빛을 내는 LED 발광소자는 측면에 위치하여 광원을 발생시키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측면에서 발광되는 경우, 상기 LED 발광소자에서 멀어질수록 빛의 세기가 약해져 흐리게 발광된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에 투과되어 발광되는 빛의 면 균일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도광판에 형성되는 패턴의 피치 폭과 깊이를 조정하되, 상기 LED 발광소자에서 멀어질수록 패턴의 피치폭과 깊이 또는 패턴의 수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LED 발광소자에서 멀어질수록 패턴 피치의 폭 또는 깊이 또는 패턴의 수가 증가되어 형성됨으로써, 서로 다른 피치값을 갖는 두 개 이상의 구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두 개 이상 구간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도광판에 형성되는 패턴은 각각의 구간이 나누어지는 부분에서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도광판(100)을 형성하는 모재(110)는 고분자 수지로 구성된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투명에이비에스, 투명수지 중 하나 이상의 소재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도광판(100)은 상기 도광판으로 입사되는 광원을 투과시키는 축광체(1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상기 축광체(120)는 20㎛ 이내의 입자크기를 갖거나 그 이상일 수 있으며, 모체에 도펀트가 여기되어 들뜬 상태에서 준안정화 또는 안정화상태까지 걸리는 시간에 따라 축광, 인광, 형광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LED 또는 UV LED 모듈로부터 입사되는 광원에 의해 여기될 수 있도록 Ⅱ-Ⅵ족의 이원분계 또는 삼상분계의 화합물이나 Ⅲ-Ⅴ족의 이원분계 또는 삼상분계인 화합물로 구성된 모체와 여기원으로 한 개 또는 복수의 도펀트가 첨가된 것을 포함한다.
상기 도광판(100)은 상기 도광판(100)의 측면에 상기 LED 발광소자(200)가 하나 이상 배치되고, 상기 도광판(100)의 하면에 상기 패턴(130)이 형성된다.
상기 축광체가 첨가된 본 발명의 도광판에 광을 입사시키는 LED광원의 파워를 H1, 상기 본 발명의 도광판이 길이 두께 높이가 동일하면서 상기 축광체가 첨가되지 않은 종래의 도광판에 광을 입사시키는 LED광원의 파워를 H 라 할때, 상기 종래의 도광판에 형성된 패턴의 피치는 P이고, 본 발명의 도광판에 형성된 패턴의 피치는 P1이며, 종래의 도광판에 형성된 패턴의 깊이는 T이고, 본 발명의 도광판에 형성된 패턴의 깊이는 T1이며, 상기 종래의 도광판을 투과하여 발광되는 빛의 강도는 I이고, 본 발명의 도광판을 투과하여 발광되는 빛의 강도는 I1 이라 가정한다.
상기 빛의 강도 I와 I1은 사람의 눈에 보이는 도광판을 투과하는 전체 빛의 평균 강도를 뜻한다.
이때, 상기 P = P1 이고, T = T1 인경우, 상기 H1은 상기 H 보다 낮은 파워에서도 상기 I와 상기 I1이 동일한 빛의 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도광판에 상기 축광체를 첨가한다.
일 예로, 상기 P = P1이고, T = T1 이며, H = H1 인 경우, 도광판을 투과하여 발광되는 빛의 강도 I < I1이다.
두 번째 예로, 상기 P > P1이고, T > T1 이며, H > H1 인 경우, 도광판을 투과하여 발광되는 빛의 강도 I = I1이다.
이에 따라 종래의 도광판과 본 발명에 따른 도광판의 휘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상기 실험은 도광판의 피치를 고정한 후, 축광체의 혼합량을 0%, 1%, 3% 첨가한 후, 전압을 20V 에서 48V까지 증가하면서 휘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상기 0%는 축광체가 포함되지 않은 종래의 도광판을 말한다.
표 1을 참조하면, 축광체를 혼합하지 않은 제품과 축광체를 혼합한 제품의 휘도는 혼합한 제품의 휘도(광량)이 더 많았으며 첨가량이 증가함에 따라 휘도는 점점 증가한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도광판의 피치를 고정한 후, 축광체를 혼합할 경우 혼합량이 증가하면 증가할수록 밝기는 증가하나 균일도가 떨어지게 된다.
위 표 1에서처럼 기존 피치에 축광체만 혼합하여 휘도가 증가할 경우, 광분포도의 균일도가 낮아 LED 발광소자가 접촉되는 부분에 광량이 집중되어지는 부분이 크게 분포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기존 피치 폭과 깊이를 각각 10 내지 30%까지 증대시킴으로써 광 균일도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LED 조명장치(10)에서 빛을 내는 LED 발광소자(200)는 측면에 위치하여 광원을 발생시키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쪽 측면에서 발광되는 경우, 도광판에 축광체의 첨가로 인하여 빛이 LED 발광소자 부근에서 확산이 많이 이루어져 상기 LED 발광소자(200)에서 멀어질수록 빛의 세기가 약해져 흐리게 발광된다.
따라서, 상기 도광판(100)에 투과되어 발광되는 빛의 면 균일도를 높이기 위해 상기 도광판에 형성되는 패턴의 피치 폭과 깊이를 조정하되, 상기 LED 발광소자(200)에서 멀어질수록 패턴(130)의 피치폭과 깊이 또는 패턴의 수를 증가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LED 발광소자에서 멀어질수록 패턴 피치의 폭 또는 깊이 또는 패턴의 수가 증가 되어 형성됨으로써, 서로 다른 피치 값을 갖는 두 개 이상의 구간이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피치의 폭 또는 깊이가 다른 구간은 도광판의 크기 및 두께에 따라 다르게 결정되며, 이렇게 여러 구간에 걸쳐 피치의 폭 또는 깊이를 다르게 함으로써, 도광판 전 면적에 걸쳐 발광 되는 빛의 면 균일도를 높일 수 있다.
이때, 상기 LED 발광소자에서 멀어질수록 도광판 표면에 형성되는 패턴의 피치 폭을 작게함으로써 빛의 균일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LED 발광소자로부터 멀어질수록 도광판의 표면에 형성되는 도트 패턴의 크기를 줄이고 서로를 가까이 배치하여 도트의 밀도를 높임으로써 상기 도광판 전체 영역에 대한 빛의 균일도를 상승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두 개 이상 구간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도광판(100)에 형성되는 패턴(130)은 각각의 구간이 나누어지는 부분에서 겹쳐지도록 형성된다.
표 2는 축광체를 첨가한 Sample B에 피치의 폭과 깊이를 15% 증가시킨 경우에 면 균일도가 향상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광판(100)에 축광체와 패턴이 함께 포함되어 형성됨에 따라, 종래의 도광판보다 상기 LED 발광소자로부터 발광되는 빛의 광손실을 최소화시켜 광효율이 높아지고, 면 균일도가 상승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10 : LED 조명장치 100 : 도광판
110 : 모재 120 : 축광체
130 : 패턴 140 : 도트
200 : LED 발광소자
110 : 모재 120 : 축광체
130 : 패턴 140 : 도트
200 : LED 발광소자
Claims (8)
- 측면에 위치하는 LED 발광소자에서 발생하는 광원을 축광체와 패턴이 포함된 도광판에 투과시켜 빛을 발광하는 LED 조명장치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도광판을 형성하는 모재; 와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소정 깊이와 피치를 갖는 패턴 또는 반사를 위한 도트 또는 특정형태가 인쇄되며 확산구조를 갖는 필름이 상부에 부착된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가 포함된 도광판이되,
상기 도광판에 광을 입사시키는 LED광원의 파워를 H1,
상기 도광판과 길이 두께 높이가 동일하면서 상기 축광체가 첨가되지 않은 종래의 도광판에 광을 입사시키는 LED광원의 파워를 H 라 할 때,
상기 종래의 도광판에 형성된 패턴의 피치는 P이고, 상기 도광판에 형성된 패턴의 피치는 P1이며,
종래의 도광판에 형성된 패턴의 깊이는 T이고, 상기 도광판에 형성된 패턴의 깊이는 T1이며,
상기 종래의 도광판을 투과하여 발광되는 빛의 강도는 I이고, 상기 도광판을 투과하여 발광되는 빛의 강도는 I1이며,
상기 P = P1 이고, T = T1 인경우,
상기 H1 은 상기 H 보다 낮은 파워에서도 상기 I와 상기 I1이 동일한 빛의 강도를 얻을 수 있도록 도광판에 상기 축광체를 첨가하며
상기 도광판의 일면에 반사를 위한 도트패턴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도트패턴은 도광판의 하면에 형성되고, 상기 LED광원에서 멀어질수록 도광판의 하면에 형성되는 도트 패턴의 크기를 줄이고 도트패턴간의 거리를 가까이 배치하여 도트의 밀도를 높임으로써 상기 도광판 전체 영역에 대한 빛의 균일도를 상승시키고
상기 축광체는,
모체에 도펀트가 여기되어 들뜬 상태에서 준안정화 또는 안정화상태까지 걸리는 시간에 따라 축광, 인광, 형광체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되,
LED 또는 UV LED 모듈로부터 입사되는 광원에 의해 여기될 수 있도록 Ⅱ-Ⅵ족의 이원분계 또는 다원분계의 화합물이나 Ⅲ-Ⅴ족의 이원분계 또는 다원분계인 화합물로 구성된 모체와 여기원으로 한 개 또는 복수의 도펀트가 첨가되며
상기 P = P1이고, T = T1 이며, H = H1 인 경우,
도광판을 투과하여 발광되는 빛의 강도는 I < I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가 포함된 도광판을 사용한 LED 조명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을 형성하는 모재는,
고분자 수지로 구성된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수지, 폴리비닐알코올, 폴리염화비닐, 폴리메타크릴산메틸, 투명에이비에스, 투명수지 중 하나 이상의 소재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광체가 포함된 도광판을 사용한 LED 조명장치.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5869A KR101859568B1 (ko) | 2017-01-13 | 2017-01-13 | 축광체가 포함된 도광판을 사용한 led 조명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05869A KR101859568B1 (ko) | 2017-01-13 | 2017-01-13 | 축광체가 포함된 도광판을 사용한 led 조명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859568B1 true KR101859568B1 (ko) | 2018-05-18 |
Family
ID=62453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05869A KR101859568B1 (ko) | 2017-01-13 | 2017-01-13 | 축광체가 포함된 도광판을 사용한 led 조명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9568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294922A (zh) * | 2022-08-26 | 2022-11-04 | 京东方智慧物联科技有限公司 | 显示装置及显示控制方法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84280A (ja) * | 1999-03-29 | 2000-10-13 | Rohm Co Ltd | 面状光源 |
JP3983166B2 (ja) * | 2002-12-26 | 2007-09-26 | 日東電工株式会社 | 光学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偏光面光源並びに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
-
2017
- 2017-01-13 KR KR1020170005869A patent/KR101859568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84280A (ja) * | 1999-03-29 | 2000-10-13 | Rohm Co Ltd | 面状光源 |
JP3983166B2 (ja) * | 2002-12-26 | 2007-09-26 | 日東電工株式会社 | 光学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偏光面光源並びにこれを用いた表示装置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5294922A (zh) * | 2022-08-26 | 2022-11-04 | 京东方智慧物联科技有限公司 | 显示装置及显示控制方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463706B1 (en) | Back 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using the same | |
JP5085645B2 (ja) | 発光素子および液晶表示装置 | |
TWI282446B (en) | Light guide plate and backlight device using the same | |
KR101775260B1 (ko) | 색도 좌표와 색 영역 조절이 가능한 형광 필름 | |
CN1991237A (zh) | 面状光源装置及使用了该装置的显示装置 | |
EP3043110A1 (en) | Light bar and display device | |
CN102980105A (zh) | 一种背光模组及显示装置 | |
KR20080100451A (ko) | 면 광원장치 | |
KR101227287B1 (ko) | 도광판, 면광원 장치, 및 투과형 화상 표시 장치 | |
EP2531007A1 (en) | Back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US9110211B2 (en) | Light guide plate for plane light source,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and plane light source unit using the same | |
KR101859568B1 (ko) | 축광체가 포함된 도광판을 사용한 led 조명장치 | |
JPH0829624A (ja) | 面光源装置 | |
JP2004228018A (ja) | 面状照明装置 | |
JP2005038643A (ja) | 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 |
KR101070694B1 (ko) | 도광판 제작용 시트 | |
KR20130025744A (ko) | 도광판 제작용 시트 | |
US9169995B2 (en) | Lighting system | |
KR100983923B1 (ko) |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는 표시 장치 | |
KR102071472B1 (ko) | 미니 led 또는 마이크로 led 백라이트 유닛용 광학 필름 | |
TWI677996B (zh) | 量子結構發光模組 | |
CN216209999U (zh) | 扩散板及光源模块 | |
US20140198523A1 (en) | Light diffusion plate and backlight module using same | |
JP2001202812A (ja) |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 |
US20080037248A1 (en) | Optical member, back light assembly and display apparatus hav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backlight assembly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