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58693B1 - 세탁기 - Google Patents
세탁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58693B1 KR101858693B1 KR1020110130458A KR20110130458A KR101858693B1 KR 101858693 B1 KR101858693 B1 KR 101858693B1 KR 1020110130458 A KR1020110130458 A KR 1020110130458A KR 20110130458 A KR20110130458 A KR 20110130458A KR 101858693 B1 KR101858693 B1 KR 1018586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low path
- water
- washing water
- dispenser
- rib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2—Devices for adding soap or other washing agents
- D06F39/028—Arrangements for selectively supplying water to detergent compart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08—Liquid supply or discharge arrangements
- D06F39/088—Liquid supply arrangement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9/00—Details of washing machines not specific to a single type of machines covered by groups D06F9/00 - D06F27/00
- D06F39/12—Casings; Tub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박스; 및 세탁수를 안내하는 소정 패턴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를 따라 복수의 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세제박스로 세탁수를 분사시키는 디스펜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세탁기는 물과 세제 및 기계적 작용을 이용하여 의복, 침구 등(이하, '포'라고 함.)에 묻은 오염을 떼어 내도록 세탁, 헹굼, 탈수 등의 과정을 수행하는 장치이다.
세탁기는 포가 투입되는 방식에 따라 탑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탑로딩 방식의 세탁기는 세탁조가 수직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상측으로부터 포가 투입되는 방식으로, 이는 다시 세탁조의 중앙에 솟은 세탁봉이 회전되는 교반식(agitator type)과, 세탁조 하부에 구비된 세탁날개가 회전되는 와류식(pulsator type)으로 구분된다.
프론트로딩 방식은 세탁조가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비되어 전방으로부터 포가 투입되는 방식으로, 통상, 수평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드럼에 의해 세탁물이 들어올려졌다가 떨어뜨려지며 세탁이 진행되는 드럼식 세탁기를 예로 들 수 있다.
세탁기에는 급수를 위한 급수장치와, 세제 공급을 위한 세제박스가 구비되며, 상기 급수장치에 의해 공급된 물이 상기 세제박스를 경유하며, 세제와 혼합된 후 세탁조 내로 급수되는데, 종래의 세탁기는 상기 세제박스 내로 급수되는 세탁수류의 세기가 낮아 급수가 완료된 이후에도 상기 세제박스 내에 세제가 잔존함으로써, 이를 방치할 경우 세제 응고로 인한 위생상의 문제가 발생하였다.
한편, 상기 세제박스 내로 급수되는 수류의 세기를 무작정 강화시킨 경우, 수류가 세제박스에 부딪히며 발생하는 소음도 커지기 때문에, 세제박스 내에 세제가 잔존하지 않도록 수류를 개선시키면서도 동시에 소음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고도의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첫째, 급수 이후 세제박스 내에 세제가 잔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급수 소음을 저감시킨 세탁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세제가 고르게 용해된 세탁수가 세탁조 내로 급수되는 세탁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박스; 및 세탁수를 안내하는 소정 패턴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를 따라 복수의 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세제박스로 세탁수를 분사시키는 디스펜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세탁기는 급수 후 세제박스 내에 세제가 잔존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탁기는 세제박스 내에 공급되는 수류의 세기를 개선시키면서도, 그에 따른 소음 발생은 억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세제가 고르게 용해된 세탁수가 급수됨으로써, 세탁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제박스를 확대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디스펜서와 세제박스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펜서에서 세제박스 내로 세탁수가 급수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급수 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디스펜서를 따라 유동되는 세탁수류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노즐들의 위치에 따른 소음 발생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a 내지 8d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노즐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급수장치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제박스를 확대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디스펜서와 세제박스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펜서에서 세제박스 내로 세탁수가 급수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급수 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디스펜서를 따라 유동되는 세탁수류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노즐들의 위치에 따른 소음 발생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8a 내지 8d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노즐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급수장치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세제박스를 확대한 것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세탁기의 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외관을 형성하고 포가 투입되는 포 투입홀이 형성된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포 투입홀을 개폐하는 도어(26)와, 상기 케이싱에 구비되어 세제 및/또는 섬유 유연제 등을 수용하는 세제박스(120)를 포함한다.
세제박스(120) 내부는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되어, 구획된 각 공간에 의해 섬유 유연제 수용을 위한 섬유 유연제 수용부(121)와, 세제를 수용하기 위한 세제 수용부(124)가 형성될 수 있고, 특히, 도 2와 같이 상기 세제 수용부가 다시 분말 세제 투입을 위한 수용부(123)과 액체 세제 투입을 위한 수용부(125)으로 구분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에도 저수조(13) 또는 세탁조(14) 내로 세제를 공급하기 위한 급수는 상기 분말 세제가 투입되는 수용부(123)와, 액체 세제가 투입되는 수용부(125)로 동시에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하, 디스펜서(110)를 통한 급수를 설명함에 있어서는, 분말 세제가 투입되는 수용부(123)와, 액체 세제가 투입되는 수용부(125)를 구분하지 않고, 세제 수용부(124)로 급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케이싱은 상부가 개구된 캐비닛(11)과, 상기 캐비닛의 개방된 상부를 덮고 포가 투입될 수 있도록 대략 중앙부에 포 투입홀이 형성되고 도어(26)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탑커버(12)를 포함하고, 상기 탑커버에 세제박스(120)가 인출 가능하게 구비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탑커버(12)에는 표백제를 수용하기 위한 표백제 수용부(12a)가 형성될 수 있고, 급수유로(23)로부터 상기 표백제 수용부측으로 세탁수가 급수되면, 세탁수의 의해 용해된 표백제가 저수조(13) 내로 투입된다.
캐비닛(11) 내에는 급수된 세탁수가 담기는 저수조(13)와, 상기 외조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포를 수용하는 세탁조(14)가 구비되고, 탑커버(12)에는 상기 세탁조 내의 포를 향해 세탁수를 분사하는 분사노즐(27)이 구비될 수 있다. 분사노즐(27)은 후술하는 급수유로(23)와 연결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25)은 사용자로부터 세탁기 작동과 관련된 각종 제어명령, 예를들어, 코스설정, 운전시간설정, 예약설정 등을 입력받는 입력부와, 세탁기의 작동상태에 대한 각종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제공한다. 상기 입력부는 다이얼(dial), 터치식/푸시식 버튼(touch/push button) 등의 입력장치를 예로들 수 있고,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LCD, LED 등의 표시장치를 예로 들 수 있다. 또한, 최근에 적응되고 있는 터치패드(touch pad)를 구비하는 컨트롤 패널의 경우, 터치패드가 입력부와 표시부의 역할을 겸할 수 있다.
저수조(13)를 케이싱 내에 매달기 위한 현가장치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현가장치는 일단이 탑커버(12)에 피봇(pivot) 결합되는 지지로드(15)와, 상기 지지로드의 타단과 상기 저수조를 연결하는 댐퍼(16)를 포함할 수 있고, 댐퍼(16)에 의해 상기 저수조의 진동이 완충된다.
세탁조(14)는 저수조(13) 내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세탁조의 하부에는 펄세이터(17)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 구동부(18)는 상기 세탁조(14) 및/또는 펄세이터(17)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회전력을 세탁조(14) 및/또는 펄세이터(17)로 선택적으로 전달하기 위한 클러치기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러치기구의 적절한 전환동작에 의해 세탁조(14)와 펄세이터(17)가 일체로 회전되거나, 상기 세탁조 만이 회전되거나, 상기 펄세이터 만이 회전될 수 있다.
한편, 저수조(13)와 세탁조(14) 간에 세탁수가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저수조(13)에는 복수의 수공(14a)이 형성될 수 있다.
세탁기(1)는 저수조(13) 내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급수부와, 상기 저수조 내의 세탁수를 배수시키기 위한 배수부를 포함한다. 상기 급수부는 수도꼭지 등의 외부수원과 연결되는 급수유로(23)와, 상기 급수유로를 단속하는 급수밸브(24)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배수부는 상기 저수조와 연통된 배수유로(20)와, 상기 배수유로를 단속하는 배수밸브(19)와, 상기 배수유로 상에 구비되는 펌프(21)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디스펜서와 세제박스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디스펜서에서 세제박스 내로 세탁수가 급수되는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급수 시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디스펜서를 따라 유동되는 세탁수류의 형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도 5에 도시된 노즐들의 위치에 따른 소음 발생량을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1)는 급수유로(23)를 통해 공급된 세탁수에 의해 세제를 용해시켜 저수조(13) 또는 세탁조(14)로 공급하는 세제 공급부(100)를 포함하고, 상기 세제 공급부는 세제박스(120)와, 상기 세제박스가 장착되는 세제박스 하우징(140)과, 급수유로(23)를 따라 안내된 세탁수를 상기 세제박스로 공급하는 디스펜서(110)를 포함한다.
디스펜서(110)에는 세탁수를 안내하는 소정 패턴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를 따라 복수의 노즐(130)이 구비되어, 세탁수가 상기 유로를 따라 안내되는 중에 상기 노즐을 지나면서 세제박스(120)로 분사된다.
디스펜서(110)에는 급수유로(23)와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연결구(112)가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는 상기 디스펜서의 상면(110a)과 연통되어, 상기 연결구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상기 디스펜서의 상면을 따라 유동한다. 디스펜서(110)의 상면(110a)에는 연결구(120)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일정한 경로를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소정 패턴의 세탁수 유동 경로를 형성하는 리브가 형성된다.
보다 상세하게, 디스펜서(110)의 상면(110a)에는 세탁수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동하도록 그 경계를 정하는 경계설정리브(111)가 디스펜서(11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경계설정리브에 의해 둘러 쌓인 범위 내에서 다시 세척수가 일정한 경로를 따라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유로형성리브(115)가 형성된다.
유로형성리브(115)에 의해 형성된 유로는, 연결구(112)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1차적으로 통과하는 제 1 유로(116)와, 상기 제 1 유로를 따라 안내된 세탁수의 유동 방향을 전환시켜 안내하는 제 2 유로(118)를 포함한다. 세탁수가 제 1 유로(116)를 따라 안내된 세탁수는 경계설정리브(111)에 부딪히며 유동 방향이 전환되고, 이후의 제 2 유로(118)를 따라 유동한다. 특히, 제 2 유로(118)를 따라 유동되는 세탁수의 경로는, 제 1 유로(116)를 따라 유동될 때와 반대 방향으로 유동되는 구간을 포함한다. 즉, 연결구(112)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제 1 유로(116)의 하류에서 경계설정리브(111)와 부딪치며 유동 방향이 전환된 후, 제 2 유로(118)를 따라 안내되되, 상기 제 2 유로(118)를 따라 안내되며 소정 구간을 지나는 중에는 세탁수의 유동방향이 상기 제 1 유로를 통과할 때와는 반대, 즉, 제 1 유로의 하류측에서 상류측을 향하는 방향이 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유로(116)는 서로 대향하며 형성된 제 1 리브들(113) 사이에 형성되고, 제 2 유로(118)는 제 1 리브(113)로부터 절곡된 제 2 리브(115)와 경계설정리브(111) 사이에 형성되었으며, 또한,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제 1 유로를 기준으로 양쪽으로 상호 대칭구조를 이루며 형성되었다.
특히, 급수유로(23)는 냉수를 급수하는 냉수 급수유로와, 온수를 급수하는 온수 급수유로를 포함하여 둘 이상의 급수유로로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각각의 급수유로를 독립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둘 이상의 급수밸브(54, 55)가 구비될 수 있다.
디스펜서(110)에는 상기 냉수 급수유로와 연결되는 냉수 연결구(112a)와, 상기 온수 급수유로와 연결되는 온수 연결구(112b)가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냉수 연결구 또는 온수 연결구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는 어느 경우나 제 1 유로(116)를 따라 안내된 후 그 유동 방향이 절곡되며 제 2 유로(118)를 따라 유동된다. 특히, 제 2 유로(118)는 제 1 유로(116)의 양쪽에 각각 형성되는 바, 제 1 유로(116)의 하류 측에서 세탁수의 일부는 제 2 리브(118a)를 따라 안내되고(유동경로 I 참조), 나머지 일부는 제 2 리브(118b)를 따라 유동된다(유동경로 II 참조).
한편, 디스펜서(110)에 형성된 소정 패턴의 유로 상에는, 즉, 제 1 유로(116)와 제 2 유로(118)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적어도 하나의 노즐(130)이 형성되어, 세탁수가 상기 노즐을 통해 세제박스(120) 내로 분사된다. 노즐(130)은 세탁수 유입되는 유입구의 면적보다 세탁수를 분사시키는 분사구의 면적이 작게 형성되어, 상기 노즐을 지나며 세탁수의 유속이 증가되고, 상기 분사구를 통한 분사가 이루어진다.
특히, 노즐(130)은 디스펜서(110)의 배면에서 세제박스(120)를 향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경우, 노즐(130)의 유입구는 디스펜서(110)의 상면(110a) 상에 위치하고, 노즐(130)의 분사구는 상기 디스펜서의 배면보다 낮은 곳에 위치하게 된다.
노즐(130)은 디스펜서(11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고, 다르게는 상기 디스펜서와 결합 가능한 별개의 요소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노즐(130)은 세탁수의 분사방향이 세제 수용부(124)의 내측벽을 향하도록 설정될 수 있고, 이 경우 세제 수용부(124)의 바닥을 향해 세탁수를 분사하는 경우에 비해 세탁수에 의한 세제박스(120)의 타격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세제 수용부(124)의 내측벽을 따라 세탁수가 흘러 내리며 상기 내측벽에 묻은 세제를 깨끗이 씻어낼 뿐만 아니라, 세탁수가 상기 내측벽으로부터 상기 세제 수용부 내로 고르게 분산됨으로써 상기 세제 수용부 내의 모든 세제가 세탁수에 의해 용해될 수 있고, 따라서, 그만큼 상기 세제 수용부 내에 세제가 잔료할 가능성이 줄어든다.
세제박스 하우징(140)은 캐비닛(11) 내에 고정된 것으로, 내측에 세제박스(120)가 인출 가능하게 결합된다. 또한, 세제박스 하우징(140)에는 세제박스(120)를 통과한 세탁수를 세탁조(14) 또는 저수조(13)로 안내하는 안내판(124)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안내판은 세탁수 유동 방향이 일방향으로 제한될 수 있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디스펜서(110)에는 복수의 소공(114)이 형성될 수 있고, 이 경우, 노즐(130)뿐만 아니라 상기 소공을 통해서도 세제박스(120) 내로 세탁수가 분사된다. 특히, 복수의 소공(114)은 제 2 유로(118) 상에서 세탁수의 유동 방향이 제 1 유로(116)의 상류에서 하류를 향하는 구간에 형성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리브(113)와 제 2 리브(115) 사이에 위치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노즐(130)은 디스펜서(110)의 둘레를 따라 연장된 경계설정리브(111)와 인접하여 복수가 형성될 수 있고, 이때, 각 노즐(130)의 위치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특히, 경계설정리브(111)가 형성된 구간 중 제 1 유로(116)를 통과한 세탁수가 부딪히며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구간, 즉 제 1 유로(116)의 하류측에 형성되어 세탁수의 반향 전환이 유도되는 구간에 형성된 노즐(h4, h5, h6)은, 제 2 유로(118) 상에서 세탁수의 유동 방향이 상기 제 1 유로의 하류측에서 상류측을 향하는 구간에 형성된 노즐(h1, h2, h3, h7, h8, h9)에 비해 상대적으로 경계설정리브(111)와 가까운 거리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D2<D1) 이러한 방식으로 노즐(130)을 배치하는 이유는 각 노즐(130)을 통해 분사되는 세탁수의 유량(mass flow)간의 편차를 줄이는데 효과적이다.
도 7에서 그래프(a)는 경계설정리브(111)가 형성된 구간 중 제 1 유로(116)를 통과한 세탁수가 부딪히며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는 구간에 위치한 노즐(h4, h5, h6)이, 제 2 유로(118) 상에서 세탁수의 유동 방향이 상기 제 1 유로의 하류측에서 상류측을 향하는 구간에 형성된 노즐(h1, h2, h3, h7, h8, h9)에 비해 상대적으로 상기 경계설정리브와 가깝게 위치한 경우에 각 노즐(130)을 통해 분사되는 세탁수의 유량을 측정한 것이다. (D2<D1) 이에 반해, 그래프(b)는 모든 노즐(h1 내지 h8)과 경계설정리브(111) 간의 간격이 D2로 동일한 경우, 그래프(c)는 모든 노즐(h1 내지 h8)과 경계설정리브(111) 간의 간격이 D1으로 동일한 경우이다. 그래프들의 비교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그래프(a)가 그래프(b) 또는 그래프(c)에 비해, 각 노즐(130)을 통해 분사되는 세탁수의 유량 편차가 적고, 특히, 노즐(h5)에서의 유량은 그래프(b)와 그래프(c)를 비교하면 상기 노즐과 경계설정리브(111) 사이의 거리에 따라 노즐(h5)가 다른 노즐들 간에 상당한 편차를 보이나, 그래프(a)의 경우 그래프(b)와 그래프(c)의 중간 정도의 값으로 다른 노즐들과 그 차이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도 8a 내지 8d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디스펜서에 구비되는 노즐의 실시예들을 도시한 것이다. 이하, 도 8a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노즐의 구체적인 실시예들을 설명한다.
도 8a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 따른 노즐(130)은 디스펜서(110)의 배면에서 세제박스(120)를 향해 돌출된 돌출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를 가로질러 슬릿(slit) 형태의 분사구(133)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구조는 세탁수가 슬릿(133)을 통과하면서 수막을 형성하며 펼쳐지면서 분사되어 더 넓은 면적에 분사가 이루어질 수 있고, 세제박스(120)를 타격 소음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8b에 도시된 제 2 실시예에 따른 노즐(230)은 돌출부(231)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분사구(233)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구의 폭이 일정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개구 방향이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된다. 특히, 분사구(233)의 폭은 돌출부(231)의 최하단, 즉, 세제박스(120)와 가장 인접한 부분에서 최대가 되며, 상기 분사구의 양측 경계 중 어느 하나(234)가 다른 하나(235)에 비해 상대적으로 좀 더 세제 수용부(124)의 내측벽을 향하도록 형성됨으로써, 세탁수의 분사방향이 상기 세제 수용부의 내측벽을 향한다. 이때, 분사구(233)의 양측 경계가 이루는 각도는 대략 30도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8c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노즐(330)은 돌출부(331)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원형의 분사구(333)를 포함하되, 상기 분사구가 상기 돌출부(331)의 정중앙에서 일측으로 치우치게 형성되어, 세제 수용부(124) 내측벽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실시예에서의 돌출부(331)는 전술한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서의 것 보다 세제박스(120)를 향해 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8d에 도시된 제 4 실시예에 따른 노즐(430)은 돌출부(431)와, 상기 돌출부에 형성된 슬릿(433)를 포함하되,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는 다르게, 상기 슬릿의 길이가 제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슬릿(433)의 길이는 세탁수의 분사폭을 고려하여, 세제 수용부(124)의 내측벽에 세탁수가 분사될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의 돌출부(431)는 전술한 제 1 실시예 또는 제 2 실시예에서의 것 보다 세제박스(120)를 향해 덜 돌출되도록 형성되어도 무방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의 급수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급수장치의 제어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급수장치(200)는 세제박스(120)로 세탁수를 급수하는 것으로, 급수유로(23)와 연결된 급수 연결부(150)와, 상기 급수 연결부를 통해 세탁수를 공급받는 디스펜서(110)를 포함한다.
급수 연결부(150)는 냉수가 유입되는 냉수 유입구(151), 온수가 유입되는 온수 유입구(152)와, 상기 냉수 유입구 및/또는 온수 유입구를 통해 유입된 세탁수가 토출되는 복수의 토출구(153 내지 157)가 형성된다. 이러한 토출구들(153 내지 157)은 표백제 수용부(12a)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토출구(153)와, 유연제 수용부(121)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토출구(154)와, 분사노즐(27)로 세탁수를 공급하는 토출구(155)와, 세제 수용부(124)로 냉수를 공급하는 냉수 토출구(156)과, 온수를 공급하는 온수 토출구(157)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164)는 유연제 수용부(121)로 세탁수를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급수장치(200)는 냉수 토출구(156)와 연통된 냉수 유로(166)와 온수 토출구(157)와 연통된 온수 유로(167)가 합류되는 합류 유로(168)를 포함한다. 이하, 상기 온수 유로, 냉수 유로 및 합류 유로는 디스펜서(100')에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디스펜서(100')와 별개로 상기 합류 유로가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세제 수용부(124)로의 공급되는 세탁수가 상기 합류 유로를 통해 디스펜서(100')로 급수된다.
따라서, 디스펜서(100')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디스펜서(100)와 비교 시, 상기와 같이 합류 유로(168)를 통해 세제 수용부(124)로의 급수를 위한 세탁수가 유입되는 점을 제외하고는 타 구성은 동일하여도 무방하며, 전술한 디스펜서(100)에 적용되는 노즐(130)의 구성 및 디스펜서로 공급된 세탁수를 안내하기 위한 소정 패턴의 유로를 형성하는 리브 구성 등은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00')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명시한다. 한편, 유로(164)는 유연제 수용부(121)로 세탁수를 급수하기 위한 것이다.
급수장치(200)는 합류 유로(168)를 따라 유동하는 세탁수량을 측정하기 위한 유량센서(53)와, 상기 합류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세탁수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온도센서(52)를 포함한다. 종래의 세탁기에는 온수량과 냉수량을 각각 측정하기 위해 둘 이상의 유량센서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세탁기는 온수량과 냉수량을 따로 측정하는 것이 아니라, 유량센서(53)를 통해 합류 유로(168)를 유동하는 세탁수량을 측정하고, 마찬가지로 온도센서(52)를 통해 합류 유로(168)를 따라 유동하는 세탁수의 온도를 측정하고, 제어부(51)는 상기 측정된 세탁수량과 세탁수의 온도를 바탕으로 냉수밸브(54)와 온수밸브(55)를 단속하여, 급수 온도가 기 설정된 온도에 이르도록 제어한다.
보다 상세하게, 냉수밸브(54) 만이 개방된 상태에서 온도센서(52)에 의해 감지된 온도, 즉 냉수 유로(166)를 통해 유입되는 냉수의 온도를 Tc라고 하고, 반대로, 온수밸브(55)만이 개방된 상태에서 온도센서(52)에 의해 감지된 온도, 즉 온수 유로(167)를 통해 유입된 온수의 온도를 Th라고 하고, 각각의 경우에 유량센서(53)를 통해서 감지된 냉수 급수량을 Mc, 온수 급수량을 Mh라고 하고, 급수장치(200)를 통해 급수된 세탁수 전체의 열량을 Q라고 하면, 저수조(13) 내의 세탁수의 온도(T)는 다음과 같은 연산을 통해서 구해질 수 있다.
식 (1) Q=Mh*C*Th+Mc*C*Tc =(Mh+Mc)*C*T, C=물의 비열
식 (2) T=(Mh*Th+Mc*Tc)/(Mh+Mc)
상기 식(2)를 통해 알 수 있듯이, 제어부(51)는 유량센서(53)의 감지값(Mh, Mc) 및 온도센서(52)의 감지값(Tc, Th)를 바탕으로 현재 저수조(13) 내의 수온을 추정할 수 있으며, 저수조(13) 내의 수위가 기 설정된 수위에 도달할 때까지 급수가 이루어지는 중에 T가 설정온도(Ts)가 되도록 냉수밸브(54)와 온수밸브(55)의 단속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어부(51)는 급수장치(200)를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는 중에 추정된 T가 Ts 보다 작은 값인 경우에는, 온수밸브(55)를 개방시켜 온수가 급수되도록 하고, 반대로 T가 Ts보다 큰 값인 경우에는, 냉수밸브(54)를 개방시켜 냉수가 급수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급수장치(200)를 통해 급수가 이루어지는 중에는 냉수밸브(54)와 온수밸브(55)가 동시에 개방되는 구간도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냉수밸브와 온수밸브가 동시에 개방되는 구간에서 합류 유로(168)를 통해 공급되는 수량을 Mhc, 그때의 수온을 Thc라고 하면, 상기 식 (2)는 다음과 같이 변형된다.
식 (3) Q=Mh*C*Th+Mc*C*Tc+Mhc*C*Thc =(Mh+Mc+Mhc)*C*T
식 (4) T=(Mh*Th+Mc*Tc+Mhc*Thc)/(Mh+Mc+Mhc)
이 경우에도 제어부(51)는 급수 진행 중에 추정된 T값을 바탕으로, 냉수밸브(54)와 온수밸브(55)의 단속동작을 제어하되, 이러한 제어과정 중에 냉수와 온수가 동시에 공급되는 구간이 설정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6)
- 세제를 수용하는 세제박스; 및
세탁수를 안내하는 소정 패턴의 유로가 형성되고, 상기 유로를 따라 복수의 노즐이 구비되어, 상기 노즐을 통해 상기 세제박스로 세탁수를 분사시키는 디스펜서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패턴의 유로는,
상기 디스펜서의 상면에서 돌출된 리브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리브는,
상기 디스펜서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세탁수가 일정한 범위 내에서 유동하도록 경계를 설정하는 경계설정리브; 및
상기 경계설정리브에 의해 둘러 쌓인 범위 내에서 세척수가 일정한 경로를 따라 유동되도록 안내하는 유로형성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경계설정리브를 따라 복수가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노즐 중, 상기 유로형성리브를 따라 안내되는 세탁수가 상기 경계설정리브와 부닺히며 유동 방향이 전환되는 구간에 형성된 것은 다른 것들에 비해 더 상기 경계설정리브와 근접하게 위치되는 세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세탁수가 분사되는 분사구의 면적이, 세탁수가 유입되는 유입구의 면적보다 좁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 패턴의 유로는 상기 디스펜서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노즐은,
상기 디스펜서의 배면에서 상기 세제박스를 향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디스펜서의 배면에서 상기 세제박스를 향해 돌출 형성되고, 상기 돌출 형성된 돌출부에 분사구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세탁수가 수막을 형성하며 분사될 수 있도록, 슬릿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의 길이는,
상기 슬릿을 통해 분사된 세탁수가 상기 세제박스의 내측벽에 닿을 수 있도록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슬릿을 형성하는 양측 경계 중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에 비해 상기 세제박스의 내측벽 측으로 더 치우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는 상기 세제박스의 내측벽 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형성리브는,
서로 대향하는 한 쌍의 제 1 리브; 및
상기 제 1 리브로부터 절곡 형성된 제 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 패턴의 유로는,
상기 한 쌍의 제 1 리브들 사이에 형성된 제 1 유로; 및
상기 경계설정리브와 상기 제 2 리브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유로를 따라 안내되어 상기 경계설정리브와 부딪히며 유동 방향이 전환된 세탁수를 안내하는 제 2 유로를 포함하고,
상기 노즐은,
상기 제 2 유로를 따라 복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유로는,
상기 제 1 유로와 세탁수의 유동방향이 반대가 되는 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노즐 중, 상기 제 1 유로를 통과한 세탁수가 상기 경계설정리브와 부딪히는 구간에 형성된 것은, 상기 제 1 유로와 세탁수의 유동방향이 반대가 되는 구간에 형성된 것에 비해 더 상기 경계설정리브와 근접하게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디스펜서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은,
상기 디스펜서와 별개의 요소로 형성되어, 상기 디스펜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세탁기.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0458A KR101858693B1 (ko) | 2011-12-07 | 2011-12-07 | 세탁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30458A KR101858693B1 (ko) | 2011-12-07 | 2011-12-07 | 세탁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3858A KR20130063858A (ko) | 2013-06-17 |
KR101858693B1 true KR101858693B1 (ko) | 2018-05-16 |
Family
ID=48861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30458A KR101858693B1 (ko) | 2011-12-07 | 2011-12-07 | 세탁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5869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260593B1 (en) | 2013-07-03 | 2021-01-20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utomatic detergent supply apparatus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
JP7222832B2 (ja) * | 2019-07-01 | 2023-02-15 |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 洗濯機 |
-
2011
- 2011-12-07 KR KR1020110130458A patent/KR101858693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63858A (ko) | 2013-06-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994565B1 (en) | Washing machine | |
EP2735635B1 (en) | Washing machine and method for supplying wash water of washing machine | |
US7805964B2 (en) | Detergent supply apparatus of washing machine | |
KR101467882B1 (ko) | 세탁기 | |
US20120125055A1 (en) | Detergent supply device and washing machine having the same | |
KR20160049366A (ko) | 세탁기 | |
US20090019896A1 (en) | Washing machine | |
JP2018518995A (ja) | 衣類処理装置 | |
KR20140129781A (ko) | 세탁기 | |
KR100873681B1 (ko) | 탑 로드형 세탁기 | |
JP2012170693A (ja) | ドラム式洗濯機 | |
WO2021213533A1 (zh) | 一种洗衣机的控制盘座及洗衣机 | |
KR20130125198A (ko) | 세탁기 | |
KR20130125199A (ko) | 세탁기 | |
KR101858693B1 (ko) | 세탁기 | |
JP2018518993A (ja) | 衣類処理装置 | |
AU2020223652A1 (en) | Detergent supply device and laundry tre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
KR20110086421A (ko) | 세탁물 처리기기 | |
KR102448494B1 (ko) | 세탁기 | |
KR20170039995A (ko) | 세탁기 | |
KR20170049213A (ko) |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
EP3540112A1 (en) | Detergent box and clothing processing device including same | |
JP6936880B2 (ja) | 洗濯機 | |
JP6656838B2 (ja) | 洗濯機 | |
KR101959312B1 (ko) | 세탁물 처리기기의 세제공급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