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8646B1 - 오매 고추장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오매 고추장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48646B1 KR101848646B1 KR1020160105333A KR20160105333A KR101848646B1 KR 101848646 B1 KR101848646 B1 KR 101848646B1 KR 1020160105333 A KR1020160105333 A KR 1020160105333A KR 20160105333 A KR20160105333 A KR 20160105333A KR 101848646 B1 KR101848646 B1 KR 1018486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der
- weight
- parts
- kochujang
- glutinous rice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5000002568 Capsicum frutescens Nutrition 0.000 title description 5
- 240000008574 Capsicum frutescens Species 0.000 title description 4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9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0
- 240000004160 Capsicum annuum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5000008534 Capsicum annuum var annu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5000007862 Capsicum baccatum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39000001728 capsicum frutescens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9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5000013312 flou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5000000346 sugar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0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
- 244000075850 Avena orientalis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35000007319 Avena orientalis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6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8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5000019614 sour tas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5000019640 tas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5000019764 Soybean Mea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4321 preserv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4455 soybean me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025 steaming Methods 0.000 claims 2
- 240000008042 Zea mays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5824 Zea mays ssp. parviglumis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02017 Zea mays subsp mays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05822 corn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12054 meals Nutrition 0.000 claims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abstract description 8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1
- 235000002639 sodium chlor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5000019634 flavor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9
- 238000007602 hot air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5000019654 spic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7
- 238000009835 boi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5000019643 salty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44000005700 microbiome Species 0.000 description 4
- 235000020660 omega-3 fatty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5000007558 Avena sp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40000009088 Fragaria x ananass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3522 chel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269 microbial metabolism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SUBDBMMJDZJVOS-UHFFFAOYSA-N 5-methoxy-2-{[(4-methoxy-3,5-dimethylpyridin-2-yl)methyl]sulfinyl}-1H-benzimidazole Chemical compound N=1C2=CC(OC)=CC=C2NC=1S(=O)CC1=NC=C(C)C(OC)=C1C SUBDBMMJDZJVO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01674 Agaricus brunnesc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193830 Bacillus <bacteri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2
- FMMWHPNWAFZXNH-UHFFFAOYSA-N Benz[a]pyrene Chemical compound C1=C2C3=CC=CC=C3C=C(C=C3)C2=C2C3=CC=CC2=C1 FMMWHPNWAFZXN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KYNSBQPICQTCGU-UHFFFAOYSA-N Benzopyrane Chemical compound C1=CC=C2C=CCOC2=C1 KYNSBQPICQTCG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6623 Fragaria vesc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363 Fragaria x ananassa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41000233866 Fungi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37536 Mytilus edulis Species 0.000 description 2
- GXCLVBGFBYZDAG-UHFFFAOYSA-N N-[2-(1H-indol-3-yl)ethyl]-N-methylprop-2-en-1-amine Chemical compound CN(CCC1=CNC2=C1C=CC=C2)CC=C GXCLVBGFBYZDA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YKPUWZUDDOIDPM-SOFGYWHQSA-N capsaicin Chemical compound COC1=CC(CNC(=O)CCCC\C=C\C(C)C)=CC=C1O YKPUWZUDDOIDPM-SOFGYWHQSA-N 0.000 description 2
- 229940112822 chewing gum Drug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218 chewing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29087 diges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855 fer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151 fermen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107 ferment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306 harve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638 mussel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60000381 omeprazole Drug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04 osmo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110 pick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9991 rice w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070 ripen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53 sens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922 thirs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04998 Abdominal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972773 Aulopiform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06326 Breath odou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22120 Candida <Saccharomycetal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566 Caps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08469 Chest discomfor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7667 Chronic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61 Corn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1224 Cough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244 Cucurbita moscha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4 Cucurbita mosch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852 Cucurbita pepo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735 Diarrhoe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15 Fru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30091371 Fruct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RFSUNEUAIZKAJO-ARQDHWQXSA-N Fructose Chemical compound OC[C@H]1O[C@](O)(CO)[C@@H](O)[C@@H]1O RFSUNEUAIZKAJO-ARQDHWQXSA-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527 Glyco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0772 Hypertens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4000017020 Ipomoea batata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678 Ipomoea batata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0186660 Lactobacill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MBBZMMPHUWSWHV-BDVNFPICSA-N N-methylglucamine Chemical compound CNC[C@H](O)[C@@H](O)[C@H](O)[C@H](O)CO MBBZMMPHUWSWHV-BDVNFPIC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44206 Nematod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9216 Nervous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502 Ostre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02193 Pai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002 Pe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6761 Piper adun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0000003889 Piper guineens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804 Piper guineen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8184 Piper nigr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06010037660 Pyrexia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5070 Saccharomyce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4808 Saccharomyces cerevisi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108010073771 Soybean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1940 Staphylococ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194017 Streptococc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7700 Vomiting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844 anti-bacter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28 ber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80 bloo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369 bloo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01000011510 cancer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7663 capsaic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504 capsaic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55 chew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362 coarse partic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0 corn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9112 cornstarch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03 cultur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84 detox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12601 diabetes mellitu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11 die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378 dieta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389 fruit/vegetable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58 fumi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030 glucose lower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40096919 glycoge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3597 hemosta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41000411851 herbal medicin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907 hone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003 human carcinogen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062 hydroly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0 hydroly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GPRLSGONYQIRFK-UHFFFAOYSA-N hydron Chemical compound [H+] GPRLSGONYQIRF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737 immune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338 in vitro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9696 lactobacillus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86 leac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 malt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194 meglumine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542 oligo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482 oligosacchar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20 orchar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36 oys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8 plum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672 process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98 pulveriz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33 pungent tas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246 remed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15 salmo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00 saltines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9000000000 sodium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40001941 soy prote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99 spi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96 spiri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4 squa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012 strawberri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587 textur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2 vinega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419 vinega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673 vomit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383 yell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23L11/20—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10—Natural 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Extracts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05—Mashed or comminuted pulses or legumes; Products made therefrom
- A23L11/07—Soya beans, e.g. oil-extracted soya bean flak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50—Fermented pulses or legumes; Fermentation of pulses or legumes based on the addition of microorg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09—Mashed or comminuted products, e.g. pulp, purée, sauce, or products made therefrom, e.g. snack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30—Artificial sweetening agents
- A23L27/33—Artificial sweetening agents containing sugars or derivatives
- A23L27/35—Starch hydrolysat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40—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3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carbohydrate syrups; containing sugars; containing sugar alcohols, e.g. xylitol; containing starch hydrolysates, e.g. dextrin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7/00—Cereal-derived products; Malt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7/10—Cereal-derived products
- A23L7/104—Fermentation of farinaceous cereal or cereal material; Addition of enzymes or microorganism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Season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매 고추장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매 분말, 오매 추출물, 찹쌀가루, 고춧가루, 메줏가루, 당원 및 소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매 고추장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매 고추장 및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오매 분말, 오매 추출물, 찹쌀가루, 고춧가루, 메줏가루, 당원 및 소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매 고추장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고추장은 우리의 음식문화에 없어서는 안 될 우리 고유의 발효식품으로, 단백질, 지방, 비타민 등을 함유한 복합 발효 식품이다. 고추장은 분말상태의 메주와 고춧가루, 엿기름, 찹쌀가루 및 소금 등을 혼합한 후 숙성시켜 만드는 것으로, 탄수화물이 가수분해가 되어 생긴 단맛과 콩단백질에서 추출되는 아미노산의 감칠맛, 고추의 매운맛, 소금의 짠맛 등이 조화를 이룬 조미료인 동시에 기호식품이다.
고추장에는 분포하는 미생물은 크게 바실러스, 산생성 세균(Lactobacillus속 Streptococcus속, Staphylococcus속 등) 및 효모(Candida속, Saccharomyces속 등)로 구분할 수 있는데, 바실러스는 내열성 및 내약품성이 커서 살균이 어렵고, 효모와 산생성 세균은 대부분 내염성 미생물이어서 고염 상태에서도 생장이 가능하므로 이를 효과적으로 제어하기가 어렵다. 일반적으로 고추장은 10% 이하의 소금을 함유하고 있으며, 높은 당의 함량으로 가스가 발생하여 부풀거나, 유기산의 생성에 의하여 신맛이 발생하는 등 보존성을 유지하기 어려웠다. 따라서 대부분의 식품 산업에서는 고추장과 그 가공제품에 화학보존료나 발효주정을 첨가하거나, 열처리, 냉장유통, 수분활성도의 조절 등의 부가적인 보존 방법으로 병용하고 있다.
최근, 고추장에 포함된 미생물이 정장작용 효과를 발휘하고, 고추의 매운맛 성분인 캡사이신은 체외로 열과 땀을 발산하도록 하여 노폐물의 배설을 촉진하며 감기 등 각종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좋다는 연구결과가 나온 바 있다.
그러나, 전통적인 제조방법으로는 제조된 고추장은 메주로 인한 특유의 냄새, 거친 입자와 식감, 짜고 매운맛 등의 특징을 갖고 있어 수요자 기호의 다양성 및 고급화에 따른 욕구를 만족시키기에는 부족하고, 고추장의 맛을 내는 재료인 소금과 엿기름, 조청, 물엿 등은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 질환자에게는 고추장을 섭취하는데 한계가 된다. 또한, 식품의 품질과 함께 기능성을 중시하는 경향으로 식생활 문화가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를 반영하여 고추장에 다양한 식품을 첨가하여 풍미와 기능성을 향상시키고, 고추장의 보존성을 높이려는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매실은 수확 시기와 가공 방법에 따라 이름과 효능이 다르며, 수확 시기별로 청매, 황매로 나뉘며, 가공 방법별로 오매, 금매, 백매로 나뉜다. 이중 청매가 신맛이 가장 강하고, 오매는 해독작용뿐 아니라, 해열, 지혈, 진통, 갈증 방지 등의 효능이 있다. 청매는 6월 중순∼7월 초순에 딴 매실로, 과육이 단단하며 색깔이 파랗고 신맛이 강하며, 황매는 청매가 익은 것으로, 7월 중순에 수확한다. 백매는 청매를 소금물에 하룻밤 절인 뒤 햇볕에 말린 것으로, 입 냄새 제거에 유용하며, 금매는 청매를 한차례 찐 뒤 말린 것으로, 술 담그는 데 주로 이용한다.
오매는 청매를 훈증한 후 말린 것으로, 대한약전 외 한약 규격집에는 훈증법에 대한 별다른 규정이 없다. 시중에는 훈증법으로 제조된 오매가 유통되고 있는데, 2009년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 국내 유통 한약재에 대한 벤조피렌 함유량을 검사한 결과, 오매 4개 시료에서 벤조피렌이 5 ppb 이상으로 검출된 바가 있다. 벤조피렌은 불완전 연소시 발생하는 물질로, 국제암연구소에서 인체발암물질로 지정한 인체에 유해한 물질이다. 최근, 벤조피렌이 함유되지 않는 오매의 제조방법으로 청매를 수차례 증숙 및 건조하는 방법을 이용하기도 한다. 오매는 폐기를 수렴하여 기침과 해수를 멎게 하고, 설사를 그치게 하며, 진액 부족으로 인한 갈증을 해소하는데 좋으며, 회충으로 인한 구토와 복통을 낳게 한다. 또한, 오매는 신경과민으로 가슴이 답답하거나, 소화불량 및 식용부진에 사용하면 좋다고 알려져 있으며, 면역기능 향상, 항균작용, 혈당강하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오매의 살만 물에 불려 발라낸 것을 오매육이라 하며, 식초에 절여 말린 것을 초오매라고 한다. 오매육과 초오매는 오매와 같은 효과가 있다.
매실을 이용한 고추장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44583호가 있는데, 상기 선행기술은 매실을 세척한 후 매실 대 설탕 60:40 중량비로 당 절임하고 1 내지 15℃에서 6개월에 한 번씩 혼합시키며, 최종적으로 2년 내지 3년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a)와 상기 숙성된 매실을 끓여서 씨를 분리하고, 매실 과육과 과즙으로 분리하는 단계(b)와 상기 분리된 매실 과육을 파쇄하고 수분함량 40% 이하로 농축하고, -3℃의 저온저장고에서 20일 이상 1차 숙성하는 단계(c) 및 상기 1차 숙성된 매실 과육에 고추장 원료를 첨가하여 2차 숙성시키는 단계(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실 고추장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매실 고추장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매실을 고추장에 혼합하여 고추장의 풍미를 향상시켰으나, 매실을 당절임하여 고추장에 당류가 과다하게 함유되는 단점이 있다.
상기 매실 외의 식물을 함유한 고추장에 관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13065호가 있는데, 상기 선행기술은 전분질 재료와 엿기름 추출물, 고춧가루, 메줏가루 및 소금을 이용하여 고추장을 제조하는 전통식 고추장 제조 방법에 있어서, 전분질 재료를 당화시킨 후 가열중인 상태에서 딸기 자체를 전분질 재료와 동등 함량으로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딸기 고추장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선행기술은 딸기를 함유하여 딸기의 맛과 향을 더했으나, 고추장 특유의 냄새, 염도를 낮추는데 에는 한계가 있고, 기능성 고추장으로서의 효과가 부족하다.
따라서, 고추장의 짜고 매운맛을 줄이면서 고추장의 기능성을 높여, 수요자의 건강에 도움을 주고, 보존성이 향상된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오매 분말, 오매 추출물, 찹쌀가루, 고춧가루, 메줏가루, 당원 및 소금을 포함하는 오매 고추장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매 분말, 오매추출물, 찹쌀가루, 고춧가루, 메줏가루, 당원 및 소금을 포함하는 오매 고추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오매 분말, 오매 추출물, 찹쌀가루, 고춧가루, 메줏가루, 당원 및 소금을 포함하는 오매 고추장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청매를 깨끗이 세척하여 증숙 후 자연건조하여 1차 증숙 매실을 제조하는 단계(A1)와 상기 단계(A1)의 1차 증숙 매실을 증숙 후 자연건조하여 2차 증숙 매실을 제조하는 단계(A2)와 상기 단계(A2)의 2차 증숙 매실을 증숙 후 열풍건조하여 오매를 제조하는 단계(A3)와 상기 단계(A3)의 오매에서 오매육만 분리 및 분쇄하여 오매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A4)와 상기 단계(A3)의 증숙과 열풍건조 과정에서 생성된 침출수를 원심분리기로 상등액과 고형분을 분리한 후, 상등액을 회전증발농축기로 농축하여 오매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A5)와 찹쌀가루와 오매 추출물을 혼합 후 가열하여 찹쌀풀을 제조하는 단계(B1) 및 상기 단계(B1)의 찹쌀풀에 고춧가루, 메줏가루, 소금, 당원 및 오매 분말을 혼합하여 오매 고추장을 제조하는 단계(B2)로 이루어진 오매 고추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오매 분말, 오매 추출물, 찹쌀가루, 고춧가루, 메줏가루, 당원 및 소금을 포함하는 오매 고추장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청매를 깨끗이 세척하여 증숙 후 자연건조하여 1차 증숙 매실을 제조하는 단계(A1)와 상기 단계(A1)의 1차 증숙 매실을 증숙 후 자연건조하여 2차 증숙 매실을 제조하는 단계(A2)와 상기 단계(A2)의 2차 증숙 매실을 증숙 후 열풍건조하여 오매를 제조하는 단계(A3)와 상기 단계(A3)의 오매에서 오매육만 분리 및 분쇄하여 오매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A4)와 상기 단계(A3)의 증숙과 열풍건조 과정에서 생성된 침출수를 원심분리기로 상등액과 고형분을 분리한 후, 상등액을 회전증발농축기로 농축하여 오매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A5)와 찹쌀가루와 오매 추출물을 혼합 후 가열하여 찹쌀풀을 제조하는 단계(B1) 및 상기 단계(B1)의 찹쌀풀에 고춧가루, 메줏가루, 소금, 당원 및 오매 분말을 혼합하여 오매 고추장을 제조하는 단계(B2)로 이루어진 오매 고추장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매 분말 및 오매 추출물을 포함하여 오매 고추장의 풍미와 보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매 고추장은 오매 분말, 오매 추출물, 찹쌀가루, 고춧가루, 메줏가루, 당원 및 소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고춧가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오매 분말 5 내지 15 중량부, 오매 추출물 100 내지 150 중량부, 찹쌀가루 20 내지 60 중량부, 고춧가루 100 중량부, 메줏가루 40 내지 60 중량부, 당원 30 내지 60 중량부 및 소금 15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오매 분말은 청매를 깨끗이 세척하여 증숙 후 자연건조하여 1차 증숙 매실을 제조하는 단계(A1)와 상기 단계(A1)의 1차 증숙 매실을 증숙 후 자연건조하여 2차 증숙 매실을 제조하는 단계(A2)와 상기 단계(A2)의 2차 증숙 매실을 증숙 후 열풍건조하여 오매를 제조하는 단계(A3)와 상기 단계(A3)의 오매에서 오매육만 분리 및 분쇄하여 오매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A4)로 이루어진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매 분말은 고춧가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5 내지 15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오매 분말의 함량이 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대적으로 함량이 낮아 고추장의 보존성을 높이는 오매 분말의 효과가 미비하며, 15 중량부 초과일 경우, 고추장의 건강 기능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나, 고추장 고유의 색감을 떨어지고, 오매 분말의 신맛이 고추장의 감칠맛을 저해할 수 있다.
상기 오매 추출물은 청매를 깨끗이 세척하여 증숙 후 자연건조하여 1차 증숙 매실을 제조하는 단계(A1)와 상기 단계(A1)의 1차 증숙 매실을 증숙 후 자연건조하여 2차 증숙 매실을 제조하는 단계(A2)와 상기 단계(A2)의 2차 증숙 매실을 증숙 후 열풍건조하여 오매를 제조하는 단계(A3)와 상기 단계(A3)의 오매에서 오매육만 분리 및 분쇄하여 오매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A4)와 상기 단계(A3)의 증숙과 열풍건조 과정에서 생성된 침출수를 원심분리기로 상등액과 고형분을 분리한 후, 상등액을 회전증발농축기로 농축하여 오매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A5)로 이루어진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매 추출물은 고춧가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오매 추출물 100 내지 15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오매 추출물의 함량이 10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대적으로 함량이 낮아 원료들이 혼합되지 않아 고추장의 제형이 형성되지 않고, 150 중량부 초과일 경우, 오매 추출물의 신맛이 고추장의 감칠맛을 저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찹쌀가루, 고춧가루, 메줏가루, 당원 및 소금은 시중에서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상기 찹쌀가루는 고춧가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찹쌀가루 2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찹쌀가루의 함량이 2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대적으로 함량이 낮아 고추장의 점도가 낮아져 고추장의 제형이 형성되지 않고, 60 중량부 초과일 경우, 고추장의 점도가 높아져 원료들이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메줏가루는 고춧가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4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메줏가루의 함량이 40 중량부 미만일 경우, ㄴ메줏가루에 의한 고추장의 숙성이 용이하지 않고 고추장의 감칠맛이 떨어질 수 있고, 60 중량부 초과일 경우, 메줏가루의 특이취가 강해질 수 있다.
상기 당원은 고춧가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30 내지 6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당원의 함량이 3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대적으로 오매 분말과 오매 추출물의 함량이 높아 고추장의 신맛이 강해질 수 있고, 60 중량부 초과일 경우, 상대적으로 높은 함량으로 단맛이 강해져 고추장의 감칠맛을 저해할 수 있다.
상기 당원은 조청, 물엿, 올리고당, 꿀, 액상과당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당원은 조청일 수 있다.
상기 소금은 고춧가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15 내지 30 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소금의 함량이 1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상대적으로 함량이 낮아져 짠맛과 오매 분말 및 오매 추출물의 신맛이 조화를 이루지 못해 고추장의 감칠맛이 저해될 수 있고, 30 중량부 초과인 경우, 짠맛이 강하여 고추장의 풍미를 저해할 수 있다.
상기 소금은 천일염, 정제염, 암염, 재제염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소금은 천일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오매 고추장의 제조방법은 청매를 깨끗이 세척하여 증숙 후 자연건조하여 1차 증숙 매실을 제조하는 단계(A1)와 상기 단계(A1)의 1차 증숙 매실을 증숙 후 자연건조하여 2차 증숙 매실을 제조하는 단계(A2)와 상기 단계(A2)의 2차 증숙 매실을 증숙 후 열풍건조하여 오매를 제조하는 단계(A3)와 상기 단계(A3)의 오매에서 오매육만 분리 및 분쇄하여 오매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A4)와 상기 단계(A3)의 증숙과 열풍건조 과정에서 생성된 침출수를 원심분리기로 상등액과 고형분을 분리한 후, 상등액을 회전증발농축기로 농축하여 오매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A5)와 찹쌀가루와 오매 추출물을 혼합 후 가열하여 찹쌀풀을 제조하는 단계(B1) 및 상기 단계(B1)의 찹쌀풀에 고춧가루, 메줏가루, 소금, 당원 및 오매 분말을 혼합하여 오매 고추장을 제조하는 단계(B2)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오매 고추장의 제조방법은, 보다 상세하게는
(A1) 청매를 깨끗이 세척하여 80 내지 100 ℃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찐 후, 자연건조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1차 증숙 매실을 제조하는 단계;
(A2) 상기 단계(A1)의 1차 증숙 매실을 80 내지 100 ℃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찐 후, 자연건조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2차 증숙 매실을 제조하는 단계;
(A3) 상기 단계(A2)의 2차 증숙 매실을 상기 단계(A2)의 2차 증숙 매실을 80 내지 100 ℃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찐 후, 40 내지 60 ℃의 열풍으로 10 내지 12시간 동안 건조하여 오매를 제조하는 단계;
(A4) 상기 단계(A3)의 오매를 오매육과 씨로 분리하고, 분리한 오매육을 분쇄하여 오매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
(A5) 상기 단계(A3)의 증숙과 열풍건조 과정에서 생성된 침출수를 원심분리기(5000 내지 10000 rpm의 회전 수)로 상등액과 고형분을 분리한 후, 상등액을 회전증발농축기(50 내지 60℃의 온도)로 고형분의 함량이 25 내지 30 중량%이 되도록 농축하여 오매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
(B1) 고춧가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단계(A5)의 오매 추출물 100 내지 150 중량부와 찹쌀가루 20 내지 60 중량부를 혼합한 후, 65 내지 75 ℃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가열하여 찹쌀풀을 제조하는 단계(B1); 및
(B2) 상기 단계(B1)의 찹쌀풀에 고춧가루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오매 분말 5 내지 15 중량부, 고춧가루 100 중량부, 메줏가루 40 내지 60 중량부, 당원 30 내지 60 중량부 및 소금 15 내지 30 중량부를 혼합하여 오매 고추장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 내지 5> 오매 고추장의 제조
(A1) 청매를 깨끗이 세척하여 80 내지 100 ℃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찐 후, 자연건조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1차 증숙 매실을 제조하였다.
(A2) 상기 단계(A1)의 1차 증숙 매실을 80 내지 100 ℃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찐 후, 자연건조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2차 증숙 매실을 제조하였다.
(A3) 상기 단계(A2)의 2차 증숙 매실을 상기 단계(A2)의 2차 증숙 매실을 80 내지 100 ℃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찐 후, 40 내지 60 ℃의 열풍으로 10 내지 12시간 동안 건조하여 오매를 제조하였다.
(A4) 상기 단계(A3)의 오매를 오매육과 씨로 분리하고, 분리한 오매육을 분쇄하여 오매 분말을 제조하였다.
(A5) 상기 단계(A3)의 증숙과 열풍건조 과정에서 생성된 침출수를 원심분리기(5000 내지 10000 rpm의 회전 수)로 상등액과 고형분을 분리한 후, 상등액을 회전증발농축기(50 내지 60℃의 온도)로 고형분의 함량이 25 내지 30 중량%이 되도록 농축하여 오매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B1) 상기 단계(A5)의 오매 추출물, 찹쌀가루를 하기 표 1의 함량으로 혼합한 후, 65 내지 75 ℃에서 20 내지 40분 동안 가열하여 찹쌀풀을 제조하였다.
(B2) 상기 단계(B1)의 찹쌀풀에 오매 분말, 고춧가루, 메줏가루, 조청 및 소금을 하기 표 1의 함량으로 혼합하여 오매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
오매분말 | 10 g | 50 g | 90 g | 50 g | 50 g | 50 g | ||
오매추출물 | 600 g | 600 g | 600 g | 400 g | 900 g | 600 g | ||
물 | 600 g | 600 g | ||||||
찹쌀가루 | 200 g | 200 g | 200 g | 200 g | 200 g | 200 g | 200 g | 200 g |
고춧가루 | 500 g | 500 g | 500 g | 500 g | 500 g | 500 g | 500 g | 500 g |
메줏가루 | 250 g | 250 g | 250 g | 250 g | 250 g | 250 g | 250 g | 250 g |
조청 | 200 g | 200 g | 200 g | 200 g | 200 g | 200 g | 200 g | 200 g |
소금 | 100 g | 100 g | 100 g | 100 g | 100 g | 100 g | 100 g | 100 g |
<
비교예
1 내지 3> 고추장의 제조
비교예 1은 오매 추출물 대신 물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표1의 재료를 혼합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2은 오매 분말을 첨가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표1의 재료를 혼합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3은 오매 분말을 첨가하지 않고, 오매 추출물 대신 물을 첨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상기 표1의 재료를 혼합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다.
<
시험예
1> 고추장의 맛, 냄새, 기호도 검사
상기 실시예 1 내지 5에서 제조된 오매 고추장 및 비교예 1 내지 3에서 제조된 고추장에 대해 관능검사를 수행하였다. 남녀 각각 20명, 총 40명의 실험대상자에게 고추장을 직접 찍어 먹어보도록 한 다음, 하기 표 2의 평가항목에 대해 기호도 검사를 실시하여 그 평균을 구하였다.
평가항목에 대해, 매운 맛은 점수가 낮을수록 매운 맛이 강하며, 감칠 맛은 점수가 낮을수록 짠맛과 신맛이 조화를 이루지 못한 것이며, 색은 점수가 낮을수록 어두운 색을 띄며, 냄새는 점수가 낮을수록 고추장에 함유된 메주의 냄새가 강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평가기준; 1점: 매우 나쁨, 2점: 나쁨, 3점: 보통, 4점: 좋음 5점: 아주 좋음)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
매운맛 | 3.5 | 4.5 | 4.8 | 4.4 | 4.8 | 4.1 | 3.7 | 2.9 |
감칠맛 | 4.3 | 4.8 | 4.1 | 4.4 | 4.0 | 4.2 | 4.0 | 3.1 |
색 | 4.7 | 4.4 | 4.1 | 4.2 | 4.6 | 4.5 | 4.7 | 4.9 |
냄새 | 3.9 | 4.5 | 4.8 | 3.8 | 4.7 | 3.9 | 3.7 | 2.5 |
전반적인 기호도 | 3.9 | 4.8 | 4.3 | 4.3 | 4.1 | 3.5 | 3.4 | 2.9 |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오매 고추장이 비교예 1 내지 3의 고추장보다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고, 메주의 냄새가 약하게 느껴졌으며, 감칠맛이 증가하고, 매운 맛이 줄어듬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1 내지 3을 비교해보면, 오매 분말의 함량이 커질수록 오매 고추장의 색이 어두워지고, 매운 맛은 줄어들고, 메주의 냄새가 약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 내지 3을 비교해보면, 오매 분말의 함량이 고춧가루 100 중량부 기준으로 18 중량부일 때, 오매 분말의 신맛이 강하여 소금의 짠맛과 오매 분말의 신맛이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감칠맛이 줄어들어 전반적인 기호도가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 4 및 5를 비교해보면, 오매 추출물의 함량이 커질수록 한편, 매운맛은 줄어들고, 매주의 냄새가 약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 및 4를 비교해보면, 오매 추출물의 함량이 높은 실시예 2의 감칠맛 점수가 높았으나, 실시예 2 및 4를 비교해보면, 오매 추출물의 함량이 높은 실시예 5의 감칠맛 점수가 낮았아. 즉, 오매 추출물의 함량이 고춧가루 100 중량부 기준으로 900 중량부이상이면, 오매 추출물의 신맛과 소금의 짠맛이 조화를 이루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비교예 1 내지 3을 비교해보면, 비교예 3의 고추장이 가장 밝은 색을 띄나, 매운 맛, 감칠 맛, 냄새, 전반적인 기호도에서 비교예 1 및 2 보다 낮은 평가를 받았다. 즉, 오매 분말 또는 오매 추출물을 함유한 고추장이 오매 분말 또는 오매 추출물로 인해 고춧가루의 매운맛과 메주의 냄새가 줄어들고, 감칠맛이 증가하여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와 비교예 1을 비교해보면, 실시예 2의 오매 고추장이 비교예 1의 고추장보다 매운맛이 약하게 느껴지고, 감칠맛이 증가하며, 메주의 냄새가 줄어들어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실시예 2와 비교예 2를 비교해보면, 실시예 2의 오매 고추장이 비교예 2의 고추장보다 매운 맛이 약하게 느껴지고, 감칠맛이 증가하여 전반적인 기호도가 높아진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의 오매 고추장은 오매 분말과 오매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고추장의 풍미를 향상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시험예
2> 숙성기간에 따른 고추장의
pH
및 보존성 검사
pH의 변화는 고추장이 숙성되는 과정 중에 미생물에 의하여 생성되는 유기산에 의한 것이고, 이는 고추장의 풍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가 된다. 따라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고추장의 pH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3에 나타내었다.
pH는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고추장 10 g을 증류수 90 g에 혼합 및 교반한 후, 상온에서 수소이온농도 측정기(Orion pH meter, U.S.A.)를 이용하여 3회 반복 측정하였다. 3회 측정값은 평균값을 구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보존성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른 고추장을 숙성기간 동안 그늘진 상온에서 보관한 뒤, 고추장의 제조 직후를 기준으로 고추장의 색 변화 및 곰팡이 발생 정도를 관능평가하였다. (◎: 색의 변화가 없으며, 곰팡이의 발생 없음, ○: 색이 변하고 곰팡이의 발생 없음, △: 색이 변하고 곰팡이가 약간 발생, X: 색이 변하고 곰팡이가 전체에 발생)
실시예 1 | 실시예 2 | 실시예 3 | 실시예 4 | 실시예 5 | 비교예 1 |
비교예 2 |
비교예 3 |
|||
pH | 제조직후 | 5.15 | 5.03 | 4.81 | 5.09 | 4.78 | 5.26 | 5.38 | 5.74 | |
14일 후 | 5.01 | 4.87 | 4.63 | 4.93 | 4.56 | 5.08 | 5.24 | 5.57 | ||
30일 후 | 4.82 | 4.63 | 4.52 | 4.76 | 4.32 | 4.89 | 4.92 | 5.35 | ||
60일 후 | 4.49 | 4.31 | 4.24 | 4.46 | 4.05 | 4.61 | 4.76 | 5.14 | ||
보 존 성 |
제조직후 | ◎ | ◎ | ◎ | ◎ | ◎ | ◎ | ◎ | ◎ | |
14일 후 | ◎ | ◎ | ◎ | ◎ | ◎ | ○ | ○ | ○ | ||
30일 후 | ○ | ◎ | ◎ | ◎ | ◎ | ○ | ○ | △ | ||
60일 후 | ○ | ○ | ◎ | ○ | ◎ | ○ | △ | X |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5의 오매 고추장이 비교예 1 내지 3의 고추장보다 제조직후부터 숙성기간에 따른 pH가 낮게 나타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교예 1 및 2의 고추장이 비교예 3의 고추장보다 낮은 pH를 나타냄을 알 수 있다. 즉, 오매 분말 및 오매 추출물이 함유된 고추장이 낮은 pH를 나타내고, 이는 오매 분말과 오매 추출물이 고추장의 미생물 대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보존성에 있어서, 실시예 1 내지 5의 오매 고추장, 비교예 1의 고추장은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색은 변하나, 곰팡이의 발생이 없었고, 비교예 3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색이 변하면서 곰팡이가 발생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1 내지 3을 비교해보면, 오매 분말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고추장의 pH는 낮아지고 보존성을 향상되는데, 오매 분말이 고추장의 미생물 대사에 영향을 미쳐 고추장의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실시예 2, 4 및 5를 비교해보면, 오매 추출물의 함량이 커질수록 고추장의 pH는 낮아지고 보존성을 향상되는데, 오매 분말이 고추장의 미생물 대사에 영향을 미쳐 고추장의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오매 고추장은 오매 분말과 오매 추출물을 함유함으로써, 고추장의 곰팡이 발생을 억제하여 보존성을 향상시킨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5)
- 오매 분말, 오매 추출물, 찹쌀가루, 고춧가루, 메줏가루, 조청 및 소금을 포함하되,
상기 고춧가루 100 중량부 기준, 고추장 고유의 색감을 떨어뜨리지 않고 오매 분말의 신맛이 고추장의 감칠맛을 저해하지 않도록 오매 분말 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매 추출물은 100 내지 150 중량부, 찹쌀가루는 20 내지 60 중량부, 메줏가루는 40 내지 60 중량부, 조청은 30 내지 60 중량부 및 소금은 15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며,
보존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매 고추장.
- 삭제
- 삭제
- 청매를 깨끗이 세척하여 80 내지 100 ℃에서 1 내지 2시간 동안 찐 후, 자연건조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1차 증숙 매실을 제조하는 단계(A1);
상기 단계(A1)의 1차 증숙 매실을 80 내지 100 ℃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찐 후, 자연건조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2차 증숙 매실을 제조하는 단계 (A2);
상기 단계(A2)의 2차 증숙 매실을 80 내지 100 ℃에서 2 내지 4시간 동안 찐 후, 40 내지 60 ℃의 열풍으로 10 내지 12시간 동안 건조하여 오매를 제조하는 단계 (A3);
상기 단계(A3)의 오매에서 오매육만 분리 및 분쇄하여 오매 분말을 제조하는 단계(A4);
상기 단계(A3)의 증숙과 건조 두 과정에서 수득된 침출수를 원심분리기로 상등액과 고형분을 분리한 후, 상등액을 회전증발농축기로 농축하여 오매 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A5);
찹쌀가루와 오매 추출물을 혼합 후 가열하여 찹쌀풀을 제조하는 단계(B1); 및
상기 단계(B1)의 찹쌀풀에 고춧가루, 메줏가루, 소금, 당원 및 오매 분말을 혼합하여 오매 고추장을 제조하는 단계(B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매 고추장의 제조방법.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5333A KR101848646B1 (ko) | 2016-08-19 | 2016-08-19 | 오매 고추장 및 그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05333A KR101848646B1 (ko) | 2016-08-19 | 2016-08-19 | 오매 고추장 및 그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0651A KR20180020651A (ko) | 2018-02-28 |
KR101848646B1 true KR101848646B1 (ko) | 2018-05-28 |
Family
ID=614012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05333A KR101848646B1 (ko) | 2016-08-19 | 2016-08-19 | 오매 고추장 및 그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848646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6686970A (zh) * | 2022-09-07 | 2023-09-05 | 临沂园源食品有限公司 | 一种辣根酱加工方法 |
-
2016
- 2016-08-19 KR KR1020160105333A patent/KR101848646B1/ko active IP Right Grant
Non-Patent Citations (1)
Title |
---|
네이버 블로그. ‘오매의 효능과 오매(오매차)만드는 법’(2016.04.22.).*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80020651A (ko) | 2018-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260466B1 (ko) | 감국식초의 제조방법 | |
KR102051623B1 (ko) | 홍삼분말을 포함하는 홍삼스낵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370359B1 (ko) | 쑥을 함유하는 장류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장류 | |
CN105410568A (zh) | 一种果味青稞健康饮品及其制备方法 | |
KR101848646B1 (ko) | 오매 고추장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2219335B1 (ko) | 식이섬유가 함유된 양념 및 그 제조 방법 | |
KR102005796B1 (ko) | 녹차와 국내산 곡물을 이용한 녹차 크리스피롤의 제조방법 | |
KR102346415B1 (ko) | 천연물질을 이용한 막걸리의 제조방법 | |
KR20200111838A (ko) | 빵 과자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빵 과자 | |
KR100924446B1 (ko) | 홍삼 죽염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 |
KR100744583B1 (ko) | 매실 고추장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349790B1 (ko) | 대나무잎 추출물을 함유한 빵 및 그의 제조방법 | |
KR101662150B1 (ko) | 오디 식초를 이용한 초고추장 | |
KR101341966B1 (ko) | 갈색 가바쌀 분말을 함유하는 기호성이 증대된 한과 및 그 제조방법 | |
KR102001204B1 (ko) | 곤약 함유 고추장의 제조방법 | |
KR20170114387A (ko) | 산양삼 연잎밥의 제조방법 | |
KR102712799B1 (ko) | 비건 파래 쌈장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비건 파래 쌈장 | |
KR20160136575A (ko) | 천연 소재를 이용한 혼합 반죽의 제조방법 및 상기 혼합 반죽으로 제조된 핫도그 | |
KR101755119B1 (ko) | 발효쌀 모시잎떡의 제조방법 및 그로부터 제조된 발효쌀 모시잎떡 | |
KR20200114277A (ko) | 쌀메주를 이용한 살구 고추장의 제조 방법 | |
KR102619236B1 (ko) | 쌀메주와 한약재를 이용한 보리 된장의 제조 방법 | |
KR101695927B1 (ko) | 조청이 첨가된 막걸리의 제조방법 | |
KR102705688B1 (ko) | 매운맛과 이취가 제거된 마늘 음료의 제조방법 | |
KR101662147B1 (ko) | 오디 식초를 이용한 초간장 | |
KR20200074355A (ko) | 백수오를 함유하는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조청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