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828832B1 -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28832B1
KR101828832B1 KR1020160029493A KR20160029493A KR101828832B1 KR 101828832 B1 KR101828832 B1 KR 101828832B1 KR 1020160029493 A KR1020160029493 A KR 1020160029493A KR 20160029493 A KR20160029493 A KR 20160029493A KR 101828832 B1 KR101828832 B1 KR 1018288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nner
plan
container
information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4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0395A (ko
Inventor
이훈
김태헌
이채민
채지헌
Original Assignee
(주)토탈소프트뱅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토탈소프트뱅크 filed Critical (주)토탈소프트뱅크
Priority to US16/063,147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00167726A1/en
Priority to PCT/KR2016/014622 priority patent/WO2017105069A1/ko
Priority to SG11201805194UA priority patent/SG11201805194UA/en
Publication of KR20170080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0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88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88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5Relationships between shipper or supplier and carri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5/00Digital computers in general; Data processing equipment in general
    • G06F15/16Combinations of two or more digital computers each having at least an arithmetic unit, a program unit and a register, e.g. for a simultaneous processing of several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1Overseas transa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3Shipping
    • G06Q10/0832Special goods or special handling procedures, e.g. handling of hazardous or fragile go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7/00Loading or unloading vehicles
    • B65G67/60Loading or unloading ship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Fina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200) 및 다수개의 플래너측 단말기(140,140')를 포함하는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 시스템을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으로서, (a)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하역계획 대상 선사, 항로 및 선박을 지정하는 단계(S61); (b)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적재 대상 화물 속성을 감안하여 편집 속성을 지정하는 단계(S62); (c)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베이 프로파일의 셀 단위로 앞서 지정한 화물 속성 기준으로 표시하는 단계(S63); (d)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베이 프로파일의 셀 단위로 상세 정보 입력이 필요한 경우, 상세 정보를 입력 처리하는 단계(S64); (e)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셀 단위 작업시 선내 이적이 필요한 경우, 해당 셀에 이적계획을 지정하는 단계(S65); (f)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셀 단위 계획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6); (g) (f) 단계에서 미 완료시에는, S62 단계부터 반복하여 수행하고, (f) 단계에서 완료시에는,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하역계획 정보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S67); (h) 검사에서 문제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8); 및 (i) (h) 단계에서 문제가 있는 경우에는, S62 단계부터 반복하여 수행하고, (h) 단계에서 문제가 없는 경우에는,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계획 작업 진행 결과를 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S69);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integratively unloading plan using cloud service}
본 발명은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플래너들이 선박의 컨테이너 하역을 위해 필요한 하역계획을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상호 공유하면서,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컨테이너의 하역과 관련된 플래너측 단말기들이 소정의 하역계획을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사 소속의 선박은 여러 항구를 경유하는 항로를 기준으로 운항하여 컨테이너를 이송하고, 경유지 항구별로 소정의 주기로 운항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도록 복수의 선박을 선대로 구성하여 컨테이너 이송 서비스를 제공한다.
또한, 하나의 컨테이너 선박을 대상으로 하여, 선박이 경유하는 항구별로 컨테이너에 대한 선적예약, 입항신고, 선적계획, 화물신고, 검수, 하역 계획 및 실행 및 운송 등의 관련 서비스들이 제공된다.
즉,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반적인 컨테이너 터미널에서, 선사는 컨테이너 선박 대상으로 각 항구별 하역작업을 고려하여 적하계획을 수립하고, 검수사는 하역 계획 및 하역 작업에 대한 검수 활동을 수행하며, 운영사는 컨테이너 선박 대상에 대한 하역 작업계획을 수립한 후 하역 장비를 이용하여 해당 적하작업을 수행 및 관리하고, 하역된 컨테이너는 하주의 요청에 따라 운송사를 통해 배송된다.
예를 들어, 컨테이너 터미널을 이용하는 선사 및 운영사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운영되는 별도의 시스템을 구성하여 적하계획을 운영하고, 검수사는 별도의 시스템을 운영하거나 선사 또는 운영사 시스템을 통해 출력한 문서를 기준으로 적하 작업을 수행하게 된다.
즉, 선사 소속의 '플래너'를 통해 각 항구별 수출입 화물을 고려하여 하역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정보를 일등항해사 및 운영사에게 전달한다.
'일등항해사'는 선박의 안전을 고려한 화물의 적.양하계획을 수립한다.
검수사의 '수석검수원'은 작업 전 선박회사가 세관에 신고한 목록과 본선 적부도와 상호 대조하여 상이한 경우 선박회사에 연락조치하고, 특수 화물에 대한 조치 계획을 수립하여 일등항해사의 검토를 통해 작업 계획을 확정한다.
해당 결과가 운영사 소속의 플래너에게 전달되고, 운영사/플래너가 하역장비 배정 및 하역작업 실행 순서를 계획한다.
해당 계획은 운영사소속의 하역 담당자 및 장비기사와 검수사 소속의 검수원에게 전달되어 하역 작업을 수행하고, 수행 결과는 운영사 및 검수사 담당자를 통해 작업 결과가 선사 및 관련 기관에 보고된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적하계획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선사, 검수사 및 운영사가 각각 개별적으로 적하계획 시스템을 구성하고, 개별적으로 정보 생성 및 관리활동이 이루어졌으며, 상호 간에는 EDI(Electronic Data Interchange: 전자문서교환) 또는 기록매체를 적하계획 데이터를 교환하는 방식으로서, 각 적하계획 시스템 상호간 데이터 교환 및 작업중 계획변경과 같은 예외상황 발생시에는 실시간으로 조치가 이루어지지 않게 됨과 동시에 적하계획에 대한 작업의 지연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하역 계획은 복잡하고 어려운 일이므로 수동으로 행할 경우 엄청난 인력과 시간이 필요로 하며, 이는 선박 스케줄 및 화물 배달 등 운영 효율성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적재 계획작업 관점에서 중요한바, 통합된 자동 적재 계획의 솔루션으로 설계 시간을 절약하고 운영 개념과 실천을 기반으로 선박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해 적재 계획을 최적화하도록 개발될 필요가 있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컨테이너 선박의 하역작업 계획 작성을 지원하는 컴퓨터 소프트웨어로서, 기존의 'stand alone' 방식의 경우에는, 사용자 컴퓨터에 소프트웨어를 설치하여 사용하는 독립형이었으므로, 사용자 환경이 윈도우 O/S로 제한됨은 물론, 소프트웨어 사용을 위해 사전 설치 과정이 필요하고, 소프트웨어 변경시 재 설치 과정이 필요하였다.
추가적으로, 플래너가 계획 대상과 연관된 표준 코드 존재 여부 확인 후, 플래너가 계획 대상 선박의 항로 정보 존재 여부 확인 후, 및 플래너가 계획 대상 선박의 규격 정보 존재 여부 확인 후, 각각,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일일이 등록 관리를 행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아울러, 플래너가 하역계획 대상에 대한 EDI 파일 (예: BAPLIE, 등) 을, 예를들어 e-mail 또는 FTP, 등을 통해 전자문서 수신하는 등, 일일이 확보하여야만 하였고, 플래너가 기존 하역계획 정보(BAPLIE, 등) 읽기 또는 신규 생성하여 작업 준비하여야 하였으며, 플래너가 계획 작업 진행 이후에는, 일일이 결과를 저장하고, 플래너가 하역계획 결과를 EDI 파일 (예: BAPLIE, 등) 로 전달하여야만 하였다.

아울러,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845707호(컨테이너 터미널의 다중분산 작업계획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다중분산 작업계획 방법)의 기술 및 공개특허 제10-2013-0093253호(컨테이너 선적 위치 결정 시스템, 그 시스템을 이용한 컨테이너 선적 위치 결정 방법 및 그 방법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기록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의 기술이 공개되어 있으나, 이들 역시, 복수의 운영사측 단말기들이 상호 공유하여야 할 정보(선박의 컨테이너 하역을 위해 필요한 적하계획 목록, 등)의 전달에 한계가 있으며, 특히 복수의 운영사측 단말기들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여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의 실행 작업을 표준화된 입력창에서 표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개별적, 동시적으로 하역계획 수립이 가능하지는 않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선박의 컨테이너 하역을 위해 필요한 적하계획 목록을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선사, 검수사 및 운영사측 단말기가 상호 공유하게 하여, 컨테이너의 적하와 관련된 사용자측 단말기들이 소정의 적하계획을 통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더욱이,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은, 웹 서비스 방식의 하역계획 서비스 방식으로서, 표준 웹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온라인 가입을 통한 온라인 서비스형 방식을 지향한다.
이상의 목적 및 다른 추가적인 목적들이, 첨부되는 청구항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들에게 명백히 인식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은, 표준 코드 정보, 선박의 항로 정보, 선박의 규격 정보, 및 EDI 송수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하역 계획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200); 상기 서버(200)로 웹을 통해 접속되는 제1 플래너측 단말기(140); 및 상기 서버(200)로 웹을 통해 접속되는 상기 제1 플래너측 단말기(140)와 상이한 제2 플래너측 단말기(140'); 를 포함하는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 시스템을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의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 시스템의 서버(200)가, 상기 제1 플래너측 단말기(140)와 상기 제2 플래너측 단말기(140')를 포함하는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140,140')의 관여 없이도 자체적으로 표준 코드 정보, 선박의 항로 정보, 선박의 규격 정보, 및 EDI 송수신 서비스를 수행한 상태에서, (a) 상기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140,140')가 하역계획 대상 선사, 항로 및 선박을 지정하는 단계(S61); (b) 상기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적재 대상 화물 속성을 감안하여 편집 속성을 지정하는 단계(S62); (c) 상기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베이 프로파일(Bay Profile)의 셀 단위로 앞서 지정한 화물 속성 기준으로 표시하는 단계(S63); (d) 상기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베이 프로파일(Bay Profile)의 셀 단위로 상세 정보 입력이 필요한 경우, 상세 정보를 입력 처리하는 단계(S64); (e) 상기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셀 단위 작업시 선내 이적이 필요한 경우, 해당 셀에 이적계획을 지정하는 단계(S65); (f) 상기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셀 단위 계획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6); (g) 상기 (f) 단계에서 미 완료시에는, 상기 S62 단계부터 반복하여 수행하고, 상기 (f) 단계에서 완료시에는, 상기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하역계획 정보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S67); (h) 상기 검사에서 문제가 있는지 (하역계획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8); 및 (i) 상기 (h) 단계에서 문제가 있는 경우 (하역계획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S62 단계부터 반복하여 수행하고, 상기 (h) 단계에서 문제가 없는 경우 (하역계획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계획 작업 진행 결과를 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S69); 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140,140')가 '선박-항차' 기준으로 상기 (a) 내지 (i) 단계의 각각의 단계를 동시 작업으로 실행가능하며, 상기 (b) 단계(S62)는, 제너럴베이뷰(General Bay View: GBV)(1000) 선택 입력창(101,102,103,104)에서, (b1) 컨테이너 선적지(POL)를 선택하고 (S71), (b2) 컨테이너 양하지(POD)를 선택하고 (S72), (b3) 컨테이너 2차 양하지(POD2)를 선택하며 (S73), (b4) 선사(OPR)를 선택함으로써 (S74), 행하여지며, 상기 (c) 단계(S63)는, 제너럴베이뷰(General Bay View: GBV)(1000) 선택 입력창(105,106,107)에서, (c1) 계획용 또는 조회용 워크 모드(105)를 선택하고 (S75), (c2) 컨테이너의 사이즈(106)를 선택하며 (S76), (c3) 슬롯 정보 지우기(107) (S77) 를 통하여,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c1) 단계는, 계획(Plan) 모드와 조회(View) 모드간 베이뷰(Bay View) 영역의 용도 전환을 지원하고(S75-1), 베이뷰(Bay View) 기준 셀(Cell) 단위로 계획을 지원하며(S75-2), 조회모드에서는 베이뷰(Bay View) 기준 셀(Cell) 단위로 정보 조회를 지원하며, ‘Cell Information View’에 표시함으로써(S75-3),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d) 단계(S64)는, 셀인포메이션뷰(Cell Information View: CIV)(2000) 선택 입력창(131,132,133,134)에서, (d1) 위험화물의 세부 정보를 입력하고 (S81), (d2) 컨테이너 표준 치수를 초과하는 정보를 입력하고 (S82), (d3) 컨테이너 취급과 관련된 특별한 주의사항을 입력하며 (S83), (d4) 번들 컨테이너 및 비규격 화물 정보를 입력하여 (S84),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d2) 단계는, 컨테이너 표준 치수를 초과하는 화물의 초과된 치수값에 대한 입력을 지원하며(S82-1), ‘Dimension‘ 항목에서 컨테이너의 표준 치수를 초과한 항목의 초과된 치수를 입력하고(S82-2), ‘Slot (Units)’ 항목에서는 초과한 치수만큼 점유되는 선내 Cell(Slot)의 개수를 자동 표시 및 정정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S82-3),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e) 단계(S65)는, 쉬프트컨테이너리스트(Shift Container List: SCL)(3000) 입력창에서, (e1) 컨테이너 이적 계획 정보화면(Shift Container List)을 호출하고 (S91), (e2) Collect Shift Container 버튼을 선택하여 이적 대상 컨테이너를 선택하고 (S92), (e3) Shift Container List에서 이적 대상 컨테이너를 선택하며 (S93), (e4) Set New Position 버튼을 선택하여 이적할 위치를 선택하여 (S94),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에 따르면, 선박의 컨테이너 하역을 위해 필요한 적하계획 목록을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선사, 검수사 및 운영사측 단말기가 상호 공유하게 하여, 컨테이너의 적하와 관련된 사용자측 단말기들이 소정의 적하계획을 통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적하계획 수행에 따른 작업지연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 환경의 O/S에 대한 제한이 없으며, 소프트웨어에 대한 설치 과정이 필요 없이 웹 접속으로 가능하고, 소프트웨어 변경시 재 설치 과정이 필요 없다는 장점이 있다.
즉, 서비스 사업자가 ‘하역계획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이하 'SPCS')을 통해 사용자(플래너)가 이용할 ‘표준 코드 정보 제공 서비스’, ‘선박의 항로 정보 제공 서비스', ‘선박의 규격 정보 제공 서비스', 및 ‘EDI 송수신 서비스’를 자체적으로 관리하고, 사용자(플래너)가 별도 프로그램 설치 및 유지에 대해서 관여하지 않고, 웹 브라우저를 통해 온라인 접속으로 관련 서비스 이용할 수 있으며, 사용자(플래너)는 ‘표준 코드', ‘선박의 항로', ‘선박의 규격', 및 ‘EDI 송수신', 등 정보 관리 및 EDI 송수신에 관여하지 않아도 되며, 사용자(플래너)는 계획 활동인 ‘Cell 단위 화물속성 표시하기', ‘Cell 단위 이적계획 지정', ‘하역계획 결과에 대한 사전 검사' 활동만 수행하면 된다는 등, 여러가지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 및 장점들은 이하의 설명을 통해 더욱 명확히 될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컨테이너 터미널의 적하 작업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상기 도 1의 시스템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선출원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선출원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에 따른 적하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에 따른 하역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3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선출원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에도 적용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선출원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의 통합 운영에 대한 일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기존 시스템과 본 발명과 관련된 선출원발명의 시스템의 차이점을 대비하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에 따른 하역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
도 7b는 도 7a의 화물 속성 지정 단계(S62)의 상세 흐름도.
도 7c는 도 7a의 화물 속성 표시 단계(S63)의 상세 흐름도.
도 7d는 도 7a의 상세 정보 입력 단계(S64)의 상세 흐름도.
도 7e는 도 7a의 이적 계획 지정 단계(S65)의 상세 흐름도.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의 실제 화면 구성 중 사전 준비 단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에 따른 하역 계획에 대한 윈도우별 기능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에 따른 하역 계획에 대한 윈도우별 모듈 계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1a 내지 도 11d는 도 10의 GBV에 대한 각 단계의 설명을 돕는 상세 도면.
도 12a 내지 도 12e는 도 10의 CIV에 대한 각 단계의 설명을 돕는 상세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을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도면들 중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며,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후술하는 실시예 및 실시 형태들은 예시로서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고려되어야 하며, 본 발명은 여기에 주어진 상세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항의 범위 및 동등물 내에서 치환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로 변경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과 관련된 본 출원인의 선출원발명(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 및 방법)(출원번호: 10-2015-0180857)에 대해, 도 3a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선출원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선출원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에 따른 적하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에 따른 하역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선출원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서비스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도 적용되는 본 발명과 관련된 선출원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의 통합 운영에 대한 일예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5는 기존 시스템과 본 발명과 관련된 선출원발명의 시스템의 차이점을 대비하는 도면이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선출원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은, 선사측 단말기(110), 일등항해사측 단말기(120), 검수사측 단말기(130), 운영사 플래너측 단말기(140), 하역담당자측 단말기(150), 장비기사측 단말기(160), 운영사 검수원측 단말기(170) 및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선사측 단말기(110)는 선사 소속의 플래너를 통해 각 항구별 수출입 화물을 고려하여 적하계획을 수립하고, 관련 정보를 일등항해사측 단말기(120) 및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에 전달한다.
상기 일등항해사측 단말기(120)는 선박의 안전을 고려한 화물의 양적하 계획을 수립하여 검수사측 단말기(130) 및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에 전달한다.
상기 검수사측 단말기(130)는 양적하 작업 전 선박회사가 세관에 신고한 목록과 본선 적부도와 상호 대조하여 상이한 경우 선박회사에 연락조치하고, 특수 화물에 대한 작업 계획을 수립하여 운영사 플래너측 단말기(140) 및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에 전달한다.
상기 운영사 플래너측 단말기(140)는 하역장비 배정 및 하역작업 실행 순서에 대한 계획을 수립하여 하역담당자측 단말기(150) 및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에 전달한다.
상기 하역담당자측 단말기(150)는 상기 운영사 플래너측 단말기(140)로부터 전달되는 계획에 따라 적하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적하 작업 수행에 따른 정보를 장비기사측 단말기(160) 및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에 전달한다.
상기 장비기사측 단말기(160)는 상기 하역담당자측 단말기(150)로부터 전달되는 적하작업을 수행하고, 그 수행 결과를 운영사 검수원측 단말기(170) 및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에 전달한다.
상기 운영사 검수원측 단말기(170)는 상기 장비기사측 단말기(160)로부터 전달되는 적하작업의 일치 여부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고, 수행된 검사 결과를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에 전달하여, 선사 및 관련 기관이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는 상술한 선사측 단말기(110), 일등항해사측 단말기(120), 검수사측 단말기(130), 운영사 플래너측 단말기(140), 하역담당자측 단말기(150), 장비기사측 단말기(160) 및 운영사 검수원측 단말기(170)로부터 전달되는 적하계획을 취합하고, 컨테이너의 적하와 관련된 단말기들이 소정의 하역계획을 통합적으로 제공받을 수 있도록 하여, 각 항구별로 수행된 적하작업 계획 및 수행에 따른 데이터를 상호 공유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술한 선사측 단말기(110), 일등항해사측 단말기(120), 검수사측 단말기(130), 운영사 플래너측 단말기(140), 하역담당자측 단말기(150), 장비기사측 단말기(160) 및 운영사 검수원측 단말기(170)를 제 1 하역계획 수행 그룹(101)으로 구성하면, 상기 제 1 적하계획 수행 그룹(101)과 동일한 적하작업 계획을 수행하는 복수개의 다른 적하계획 수행 그룹(102, 103, 104, 105)을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200)가 통합적으로 관리할 수 있게 된다.
참고로, 본 명세서에서는, 상술한 선사측 단말기(110), 일등항해사측 단말기(120), 검수사측 단말기(130), 운영사 플래너측 단말기(140), 하역담당자측 단말기(150), 장비기사측 단말기(160) 및 운영사 검수원측 단말기(170)가 각각, 선사 플래너, 일등항해사, 수석 검수원, 터미널 플래너, 하역담당자, 장비기사 및 검수원과 동일한 의미로 혼용되어 사용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과 관련된 선출원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을 도 3b 및 도 3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과 관련된 선출원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 및 방법은, 기존의 터미널운영시스템(TOS)을 그대로 포함하면서, 하역계획시스템(SPS)을 확대발전시킨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 시스템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를 이용한 ‘하역계획' 작성/검토로부터 ‘하역작업계획’ 작성/이행/보고 절차까지를 설명하면, 1) 선사 플래너가 ‘하역계획’을 수립하고, SPCS에 등록(저장)하고, 2) 수석 검수원이 SPCS로부터 ‘하역계획’ 확인하여, 특수 화물에 대한 검토 및 수정 보완을 행하며, 3) 수석 검수원이 일등 항해사로부터 온라인 상으로, ‘하역계획' 검토를 받고, 이를 확정하고, 4) 수석 검수원이 확정된 ‘하역계획’을 등록(저장)하고, 5) 터미널 플래너가 ‘하역계획’을 토대로 ‘하역작업계획’을 수립하고 SPCS에 등록(저장)하고, 6) ‘하역작업계획’을 기준으로 하역 담당자들과 장비 기사들이 하역작업(양하, 적하, 환적, 이적, 등)을 수행하고, 검수원들이 검수 활동을 이행 (단, 터미널 내 자체 보고, 등 설명 생략)하고, 7) 개별 검수원들이 현장에서 확인한 ‘하역작업결과’를 등록(저장)을 통해 수석 검수원에게 보고(통지)하고, 8) 수석 검수원은 ‘하역작업결과’를 취합하여 등록(저장), 일등 항해사 및 선사 플래너에게 보고(통지) 한다.
그리고, 위 작업은 선박이 입항하는 항구(예: 오사카항 - 부산항 - 카우슝항 - …, 등)에서 입항 전부터 출항 후까지 반복 수행되는 활동이다.
계속해서, 도 3c를 참조하면, 이러한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를 이용한 ‘하역계획‘ 작성, 검토, 검수 및 보고 절차를 다시 설명하면, 1) 선사 플래너가 컨테이너 운반 예약을 토대로 수립한 ‘하역계획’을 SPCS에 등록(저장)하여 두었을 때(S1), 이를 토대로, 2) 수석 검수원으로부터, SPCS에서의 하역 대상 특수 화물에 대한 검토, 수정을 입력받고(S2), 3) 일등 항해사로부터, SPCS에서 선박의 운항 안정성 및 선적 위치 검토, 일등 항해사의 검토 결과를 입력받아(S3), 이에 따라, 적재 위치 조정, 선적 취소, 등의 조치를 취하는바, 먼저, 적재 위치 조정이 필요한지 여부를 검토하여(S4), 조정이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상기 S2 단계로 리턴하며, 그렇지 않다고 판단되면, 선적 불가 화물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5), 있다고 판단되면, 상기 S1 단계로 리턴하며, 그렇지 않다고 판단되면, 4) 수석 검수원에 의해 확정된 ‘하역계획’을 SPCS에 등록(저장) 한다(S6). 5) 이후, 터미널 플래너에 의한 SPCS 내 ‘하역계획’으로 부터, ‘하역작업계획’을 수립하고 등록(저장)하고(S7), 6) 하역 담당자들과 장비 기사들로 하여금, TOS를 이용하여 ‘하역작업계획’을 기준으로 하역 작업 수행하도록 지원한다(S8). 7) 이때, 검수원들에 의해, 하역되는 개별 컨테이너에 대해 검수 활동 수행, 개별 ‘하역작업결과’를 SPCS에 등록(저장) 하게 되며(S9), 8) 수석 검수원에 의해, ‘하역작업결과’를 취합, 정리한 결과를 SPCS에 등록(저장) 하게 된다(S10).
물론, 위 작업 역시, 선박이 입항하는 항구(예: 오사카항-부산항-카우슝항- …, 등)에서 입항 전부터 출항 후까지 반복 수행되는 활동이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선출원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 및 방법 (이하, '관련 시스템 및 방법')의 특징을 기존의 방식과 대비하여 설명하면, 기존 방식은 선사, 검수사 및 운영사 개별적으로 시스템이 구성되어 개별적으로 정보 생성 및 관리 활동이 이뤄 졌고, 상호 간에는 EDI 또는 기록매체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하였는바, 상호간 데이터 교환 및 작업 중 계획 변경과 같은 예외사항 발생 시 즉각적으로 조치되지 않고 작업 지연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었으나, 관련 시스템 및 방법은, 개별 시스템을 단일 시스템으로 구성하여, 각 항구의 하역작업에 초점을 두고 관련 시스템을 구성하며, 또한, 각 항구별로 필요한 시스템을 통합하여 글로벌 서비스로 구성하여 각 항구별로 수행하여 하역작업 계획 및 수행에 따른 경험을 상호 공유하여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하역계획 수립 과정에 있어서, 1) 종래 시스템은, 경유지마다 플래너들이 별도 하역 작업 계획 수립하여야 하나, '관련 시스템 및 방법'은, 공통적인 작업 계획 활용 및 특수한 계획만 수립하면 된다. 2) 실시간 정보 공유에 있어서는, 종래기술은 EDI, 메일 형태로 전달되나, '관련 시스템 및 방법'은, 선박 구조 정보, 하역작업 계획 정보 등 공유한다. 3) 서비스 형태에 있어서, 종래기술은, Stand alone 솔루션 방식이나. '관련 시스템 및 방법'은 클라우드 서비스 + 솔루션 방식이다. 4) 더욱이, '관련 시스템 및 방법'은, 정보 전달 행위가 없어지면서, 실시간 정보 갱신 및 공유 가능하게 되고, 계획수립 경험 공유 및 일괄적인 작업 품질 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관련 시스템 및 방법'에 의하면, 개별 선사, 운영사, 검수사가 필요한 적하계획 시스템 통합 서비스를 통해 작업 효율성 향상 기대할 수 상호간 데이터 교환 및 작업 중 계획 변경과 같은 예외사항 발생시 즉각적으로 조치가 용이하고, 각 항구별로 필요한 시스템을 통합하여 글로벌 서비스로 구성하고, 각 항구별로 수행하여 하역작업 계획 및 수행에 따른 경험을 상호 공유에 의해, 선박의 입항 직전 항구에서 하역작업 수행 중 발생된 예외사항에 대해서 확인하고 사전에 대응할 수 있어 작업 생산성 향상 기대할 수 있으며, 컨테이너 선박 대상 "입항신고, 선적계획, 화물신고, 검수, 하역 계획"을 단일 플랫폼으로 구성하여 부가 서비스 제공이 용이하다.
참고로,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 나오는 용어에 대하여 간략히 정리해 보면, '본선적부도(Stowage Plan)'란, 본선의 선창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을 말하며, '적하목록(cargo manifest)'란, 선박 또는 항공기에 적재한 화물의 목록을 말한다.
한편, '선사/플래너'란, 선박 운항사 소속의 하역계획 담당자이다.
'선박 항해사'란, '항해사' 및 '일등 항해사'를 포함하는바, '항해사'는, 선박의 안전을 고려한 화물의 적·양하 계획을 수립하고 충분한 복원력 및 선체강도의 확보를 고려한 적·양하 작업 및 이와 관련한 밸러스트(ballast: 배의 중심(重心)을 낮추어 복원력을 증대시키기 위하여 배 밑에 싣는 돌, 모래, 해수 등)작업을 감독하고, 화물의 고정상태를 점검한다. 유조선의 경우 오일기록부의 기록을 하기도 한다. 아울러, '일등 항해사'(Chief officer, C/O)는 갑판부의 책임자로 항해사 및 갑판부원의 지휘, 감독 및 선장을 보좌하고, 선장 부재시 그 직무를 대행하고, 선박에 승선한 선원 가운데 선장 다음으로 높은 지위의 간부선원. 선장을 보좌하고 선장의 명을 받아 선원을 지휘·통솔하며 갑판의 모든 업무를 관장하는 책임을 지며, 특히 화물의 인수·적재·보관 및 관리 등의 책임자인바, ⑴ 선박의 안전과 규율 및 위생관리 업무, ⑵ 화물의 적재계획 작성 및 하역감독, 화물의 안전 관리, ⑶ 갑판부원의 일과 지시 및 인사관리, ⑷ 선체 각부의 보존 정비 및 관리 감독, ⑸ 갑판부 서류의 작성 관리, ⑹ 식수, 밸러스트, 빌지의 운용 및 관리, ⑺ 출.입항시 선수부 작업 담당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수석 검수원'은, 컨테이너검사반장을 말하는바, '컨테이너 검사 반장 (수석 검수원)'은, 본선작업(선박을 접안시킨 상태에서 선박으로부터 직접 화물을 내리거나, 선박에 싣는 작업)을 위해 본선적부도(Stowage Plan : 본선의 선창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와 적하목록(Cargo Manifest, 積荷目錄 : 선박 또는 항공기가 적재하고 있는 화물의 목록)을 대조·확인하고, 작업일지를 작성하고 검수원들에게 검수작업을 지시하며, 컨테이너검수원이 작성한 검수표와 적하목록을 대조하여, 상이할 경우 하선·적재결과 이상보고서를 작성하고, 검사결과 이상보고서를 세관 및 선사에 송부하며, 컨테이너 파손보고서(Container Damage Report)를 작성하여 항해사와 협의하여 서명을 받는다. 혹은, 냉동컨테이너의 리스트를 작성하기도 한다.
'운영사 플래너'는 '양적화 플래너' 또는 '컨테이너플래너' 를 말하는바, 먼저, '양적화 플래너'는, "양화 및 적화 정보를 화주나 선사로부터 메일 또는 전자문서교환 등으로 접수, 양화 및 적화 프로파일을 검토하여 선사나 화주와 일정을 협의 조정, 양적화 컨테이너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입력, 양화플래닝시스템에서 본선작업의 양화플래닝을 실시, 양화순서를 확인하고 특별사항이 있는지 확인 후 수정, 양하순서 내역을 출력하여 냉동, 특수화물, 위험물, 환적화물, 라인별 컨테이너 개수 등을 검토하여 수정, 양화 베이플랜을 작성, 최종 검토 확인된 양화 베이플랜, 작업순서, 작업내역을 출력, 양화작업서류를 정리하여 통제센터의 터미널운영요원에게 전달, 적화플래닝시스템에서 본선작업의 적화플래닝을 실시, 적화순서를 확인하고 특별사항이 있는지 확인후 수정, 적화순서 내역을 출력하여 냉동, 특수화물, 위험물, 환적화물의 개수 등을 검토하여 수정, 적화 베이플랜을 작성, 최종 검토 확인된 적화 베이플랜, 작업순서, 작업내역을 출력, 적하작업서류를 정리하여 통제센터의 터미널운영요원에게 전달, 및 본선작업이 시행되고 작업현장에서 병목현상이나 작업애로 등이 나타나면 선사 등과 협의하여 베이플랜을 수정 후 통제센터의 터미널운영요원에게 다시 전달"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아울러, '컨테이너 플래너'는, "크레인 가동상황 등을 파악하여 선적 배정표를 작성, 선석을 배정하고 컨테이너기중기 배정시간을 조정, 선박의 입항시간 또는 작업예정물량의 변동 등이 발생되면 선석 배정 스케줄을 재조정, 양·적하작업계획을 수립, 모선 입항계획을 확인하고 선석이 확정된 선박에 대하여 선석 예정 물량표를 작성. 야드 상황을 감안한 본선하역작업이 될 수 있도록 모선별 세부장치계획을 수립, 및 선박점유율 및 체선 관련자료에 대한 통계를 관리"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하역담당자'는, '포맨', '언더맨', '신호수', '컨테이너장비배차원', '컨테이너부두상황실통제원', 등이 포함되는바, '포맨 (Fore man)'은, "화물의 양·적하 서류 내용을 검토하고 컨테이너화물 및 각종 특수화물에 대한 작업계획을 수립, 사고 예방을 위하여 언더맨 및 장비조작원에 대한 안전사항을 확인·교육, 해당 모선의 작업상태를 파악하고 본선 선체 및 각종 선상설비, 특수화물의 손상 여부를 확인, 본선작업 설정에 맞도록 인원을 배치하여 작업을 진행·통제하고 관련 종사자들의 작업을 총괄 지휘"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하고, 작업 중에 발생하는 사고에 대하여 조치를 취한다.
'언더맨 (Under man)'은, "본선 작업내용을 검토·확인한 후 작업장의 안전사항을 점검, 화물을 일반화물, 특수화물을 분류하여 양·적하하도록 장비조작원들에게 작업을 지시, 손상된 화물은 조치를 취한 후 작업을 진행, 해당 장비조작원 및 터미널상황실통제원과 무선으로 연락을 취하며 작업상황을 주고받으며 작업, 포맨에게 작업상황에 대해 보고하고, 작업 종료 후 작업내용을 확인하고 작업일지를 작성" 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장비기사'는, '갠트리크레인조종원' 또는 '컨테이너기중기조작원'을 말하는바, '갠트리크레인조종원 (장비 기사)'은, "선적·하역할 컨테이너의 수량 및 규격을 확인, 컨테이너를 이동시키기 위해 갠트리크레인의 조종장치를 조작, 신호수의 신호에 따라 기중기의 조정레버와 스위치를 조작하여 컨테이너를 선박에 선적하거나 차량에 적재, 사고예방을 위해 크레인을 점검하고 정비'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컨테이너기중기조작원'은, 선적·하역할 컨테이너의 수량 및 규격을 확인하고 조정장치를 조작하여 기중기를 선박의 갑판이나 차량 위로 내리고, "조정레버와 패널을 조작하여 선박으로부터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갑판 위나 차량으로 운반하고, 신호원의 신호에 따라 선적·하역할 장소에 기중기를 내리고 조정장치를 조작하여 컨테이너를 선박에 선적하거나 차량에 적재하며, 컨테이너를 부두에서 야적장으로 이동하는 차량인 리치스태커(Reach stacker)를 운전하기도 한다.
'검수원'은, '컨테이너검수원' 및 '본선컨테이너관리원'이 있으며, '컨테이너 검수원'은, "본선적부도(Stowage Plan)를 가지고 실제 컨테이너 적양하 위치를 확인, 양화 화물 위에 타 화물 적재 유무를 확인, 냉동화물에 플러그가 꽂혀 있는지 확인하고 온도측정기를 확인, 적부도상의 화물이 틀릴 경우 수석 검수원에게 보고, 육상의 야드 근무 시에는 컨테이너 번호, 봉인번호를 확인하여 검수표에 기록, 미봉인 발견 시 터미널과 화주 등에 보고하여 세관직원 입회 하에 재 봉인, 컨테이너 파손상태를 확인, 수입화물의 경우 적화목록에 따라 하역회사 입회 하에 봉인을 개봉하고 확인 절차에 따라 화물 상태의 이상 유무를 파악하여 검수표를 작성하며 손상이나 수량부족 등 이상이 있을 경우 세관과 선박회사에 보고, 수출화물의 경우 수출화물의 수량과 포장상태 및 이상 유무 또는 혼적화물을 파악하여 보고하고 사실증명을 검수표로 작성하여 보관"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본선 컨테이너 관리원 (하역 담당자)'은, 모선별 작업내용을 검토하고 운영계획원으로부터 각종 본선적부도(Stowage Plan : 본선의 선창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와 작업지시서 등 양하서류를 접수하고 서류의 내용을 검토하고 복사하여 배부, 작업 서류 내용과 실작업 컨테이너 수를 확인, 화물의 본선 위치변경, 규격 등 작업 내용이 상이한 사항을 정정, 양·적하된 컨테이너 수, 규격, 내용을 점검하고 위치를 전산입력, 추가 또는 선적 취소를 전산처리, 작업 상황 보고서 및 컨테이너 리스트를 작성, 선사와 작업 변경 및 선박스케줄 변경 등 필요사항을 협의, 작업종료 후 언더맨이 제출하는 서류 및 작업 수량의 내용을 확인하고 작업현황보고서를 작성"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이외에도, '신호수', '컨테이너장비배차원', '컨테이너부두상황실통제원' 등이 있는바, '신호수'는, 작업지시서 및 현장 공정(물류)을 숙지하여 작업순서 목록을 만들고, 이동할 화물의 종류와 무게, 위치, 이동경로, 이동 간 장애물의 유무를 확인, 화물의 구속을 확인하고, 장비와 화물의 종류에 따라 각종 장비운전원(언더맨, 신호수, 포맨, 컨테이너크레인 기사, 야드트랙터 기사)에게 무전과 깃발신호를 전달하여 화물의 이동을 돕기도 하며, 컨테이너크레인 주행시 레일선상의 장애물을 확인하여 주행신호를 보내고, 컨테이너크레인 밑의 차량정리를 하고 속도를 제한하기도 하며, 야드트랙터 기사에게 상하차 위치를 지정하고 출발신호를 전달하기도 한다.
'컨테이너장비배차원'은, 갠트리크레인, 트랜스퍼크레인, 리치스태커, 야드트랙터, 엠티핸들러 등의 컨테이너터미널 장비의 사용 요청에 따른 계획을 수립, 배차지시서를 작성하고 운전기록부를 관리, 장비의 사용 현황을 정리하고 장비 점검 및 예방 정비, 장비 배차 및 작업 통계를 유지하고, 장비 조작원의 업무상황을 파악, 장비조작원의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컨테이너부두상황실통제원(C/C:Control Center)'은, 당일 작업해야 할 작업량을 파악하고 반입컨테이너의 목록을 접수, 야드의 상황에 따라 운송업자, 선사와 협의하여 게이트 반출입을 통제, 컨테이너 작업현황을 컴퓨터를 통해 모니터링, 계획된 업무의 수행여부를 파악하고 차질이 있을 경우 대안을 마련, 포맨, 언더맨, 게이트관리원과 유·무선으로 연락하며 작업을 지시하고 상황을 전달, 장비 배차를 의뢰하고 작업변동 상황을 확인하여 장치위치를 수정"하는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이제, 본 발명에 따른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에 대하여, 도 6 내지 도 12e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에 따른 하역 흐름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a는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화물 속성 지정 단계(S62)의 상세 흐름도이고, 도 7c는 도 7a의 화물 속성 표시 단계(S63)의 상세 흐름도이고, 도 7d는 도 7a의 상세 정보 입력 단계(S64)의 상세 흐름도이며, 도 7e는 도 7a의 이적 계획 지정 단계(S65)의 상세 흐름도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의 실제 화면 구성 중 사전 준비 단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에 따른 하역 계획에 대한 윈도우별 기능 구성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에 따른 하역 계획에 대한 윈도우별 모듈 계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1a 내지 도 11d는 도 10의 GBV에 대한 각 단계의 설명을 돕는 상세 도면이며, 도 12a 내지 도 12e는 도 10의 CIV에 대한 각 단계의 설명을 돕는 상세 도면이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200)에 따른 하역 흐름을 플래너측 단말기 관점에서 설명하면, 이는 복수의 플래너측 단말기(140, 140')가 ‘선박-항차’ 기준으로 동시 작업이 허용되는 구조이다. 즉,
1. 상기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 시스템에서, 서버(200)가, "표준 코드 정보 제공 서비스",
2. 상기 시스템에서, 서버(200)가, "선박의 항로 정보 제공 서비스",
3. 상기 시스템에서, 서버(200)가, "선박의 규격 정보 제공 서비스", 및
4. 상기 시스템에서, 서버(200)가, "EDI 송수신 서비스"를 행하고,
5. 각 플래너측 단말기 (플래너#1 (140), 플래너#2 (140')) 가, 하역계획 대상 선사, 항로 및 선박을 지정하고,
6. 각 플래너측 단말기(140, 140')가, 적재 대상 화물 속성(예: POD, Cntr Size, Cargo Type, 등)을 감안하여 편집 속성을 지정하며,
7. 각 플래너측 단말기(140, 140')가, 베이 프로파일(Bay Profile)의 셀 단위로 앞서 지정한 화물 속성 기준으로 ('지정'/'미지정'으로) 표시하며,
8. 각 플래너측 단말기(140, 140')가, 베이 프로파일(Bay Profile)의 셀 단위로 상세 정보를 입력하며, (예: AK, RF, DG, BB, 등으로)
9. 각 플래너측 단말기(140, 140')가, 셀 단위 작업시 선내 이적이 필요한 경우, 해당 셀에 이적 계획을 지정하고,
10. 각 플래너측 단말기(140, 140')가, 셀 단위 계획이 미 완료시, 위 6번 항목부터 반복하여 수행하며,
11. 각 플래너측 단말기(140, 140')가, 하역계획 정보에 대한 검사(예: 적재위치, 화물속성, 운항성, 등)를 행하여, 상기 검사에서 문제가 있는 경우, 위 6번 항목부터 반복하여 수행하고,
12. 각 플래너측 단말기(140, 140')가, 계획 작업 진행 이후, 결과를 저장(등록)한다.
상기 '하역계획 클라우드 서비스'에서 제공하는 서비스 시스템 서버(200) 및 사용자(플래너)측 단말기(140,140')의 하역계획 절차를, 도 7a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상기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 시스템이 표준 코드 정보, 선박의 항로 정보, 선박의 규격 정보, 및 EDI 송수신 서비스를 수행한 상태에서, 이후 S61 내지 S69 단계가 진행되는바,
(a)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하역계획 대상 선사, 항로 및 선박을 지정하고(S61),
(b) 플래너측 단말기가 적재 대상 화물 속성(예: POD, Cntr Size, Cargo Type, 등)을 감안하여 편집 속성을 지정하고(S62),
(c) 플래너측 단말기가 베이 프로파일(Bay Profile)의 셀 단위로 앞서 지정한 화물 속성 기준으로 표시하기(지정/미지정)를 행하고(S63),
(d) 플래너측 단말기가 베이 프로파일(Bay Profile)의 셀 단위로 상세 정보 입력이 필요한 경우, 상세 정보를 입력 처리(예: AK, RF, DG, BB, 등) 한다(S64).
(e) 필요시, 플래너측 단말기가 셀 단위 작업시 선내 이적이 필요한 경우, 해당 셀에 이적계획을 지정하고(S65),
(f) 플래너측 단말기가 셀 단위 계획 완료 여부를 판단하여(S66), 미 완료시에는, 상기 S62 단계부터 반복하여 수행하고,
(g) 완료시에는, 플래너측 단말기가 하역계획 정보에 대한 검사(예: 적재위치, 화물속성, 운항성, 등)를 수행하는바(S67),
(h) 상기 검사에서 문제가 있는지 (하역계획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S68), 상기 검사에서 문제가 있는 경우 (하역계획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S62 단계부터 반복하여 수행하고,
(i) 마지막으로, 문제가 없는 경우 (하역계획이 완료된 경우)에는, 플래너측 단말기가 계획 작업 진행 결과를 저장하면, 이는 곧 바로 등록되어 진다(S69).
도 8a 내지 도 8c는 본 발명의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의 실제 화면 구성 중 사전 준비 단계의 일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인바, 도 8a는, 웹 접속 후 로그인하는 화면 구성이고, 도 8b는, 상단 메뉴를 통해 추가적으로 모선 및 항로를 등록하는 화면인바, 위로부터, 상단 메뉴에서 항로 모선 항차 및 데이터 선택 화면, 선박의 모선 명 정보 사전 등록 화면, 및 선박의 입항 항구 및 정보 사전 등록 화면이며, 도 8c는, 'Load/Save Stowage Plan’에 대응하는 기능으로 'EDI Import' 및 'EDI Export'가 있다.
한편, 상기 (b) 단계 내지 (e) 단계를, 도 7b 내지 도 7e, 및 도 11a 내지 도 12e를 참조하여 상술한다.
먼저, 상기 (b) 단계인 적재 대상 화물 속성 지정 단계(S62)를 도 7a 및 7b와 도 9, 도 10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상술하면, 제너럴베이뷰(General Bay View: GBV)(도 9의 '1000') 선택 입력창(도 11b의 101,102,103,104의 툴바)에서, (b1) 컨테이너 선적지(POL)를 선택하고 (도 7b의 S71), (b2) 컨테이너 양하지(POD)를 선택하고 (도 7b의 S72), (b3) 컨테이너 2차 양하지(POD2)를 선택하며 (도 7b의 S73), (b4) 선사(OPR)를 선택함으로써 (도 7b의 S74), 행하여진다 (도 11b의 101 ~ 104 참조).
다음, 상기 (c) 단계인 셀 단위 화물 속성 표시 단계(S63)를 도 7a 내지 7c와 도 9, 도 10 및 도 11b를 참조하여 상술하면, 제너럴베이뷰(General Bay View: GBV)(도 9의 '1000') 선택 입력창(도 11b의 105,106,107의 툴바)에서, (c1) 계획용 또는 조회용 워크 모드(105)를 선택하고 (도 7c의 S75), (c2) 일례로 20ft 또는 40ft 짜리 컨테이너의 사이즈(106)를 선택하며 (도 7c의 S76), (c3) 슬롯 정보 지우기(107) (도 7c의 S77) 를 통하여, 행하여진다 (도 11b의 105 ~ 107 참조). 이때, 상기 (c1) 단계는 다시, 계획(Plan) 모드와 조회(View) 모드간 베이뷰(Bay View) 영역의 용도 전환을 지원하고(S75-1), 베이뷰(Bay View) 기준 셀(Cell) 단위로 계획을 지원하며(S75-2), 조회모드에서는 베이뷰(Bay View) 기준 셀(Cell) 단위로 정보 조회를 지원하며, ‘Cell Information View’에 표시함으로써(S75-3), 행하여진다 (도 11 참조).
이후, 상기 (d) 단계인 셀 단위 상세 정보 입력 단계(S64)를 도 7a 및 7d와 도 9, 도 10 및 도 12a를 참조하여 상술하면, 셀인포메이션뷰(Cell Information View: CIV)(도 9의 '2000') 선택 입력창(도 12a의 131,132,133,134의 툴바)에서, (d1) 위험화물의 세부 정보를 입력하고 (도 7d의 S81), (d2) 컨테이너 표준 치수를 초과하는 정보를 입력하고 (도 7d의 S82), (d3) 컨테이너 취급과 관련된 특별한 주의사항을 입력하며 (도 7d의 S83), (d4) 번들 컨테이너 및 비규격 화물 정보를 입력하여 (도 7d의 S84), 이루어진다 (도 12a의 131 ~ 134 참조). 이때, 상기 (d1) 단계는, 컨테이너 화물 중 위험화물에 대한 IMDG/UNNO 기준의 세부 정보 입력을 지원하고, ‘Add’, ‘Delete’, ‘Update’ 버턴을 통해서 컨테이너 내부 개별 위험 화물에 대한 정보 추가/삭제/수정 기능을 지원한다 (도 12b 참조). 아울러, 상기 (d2) 단계는 다시, 컨테이너 표준 치수를 초과하는 화물의 초과된 치수값에 대한 입력을 지원하며(S82-1), ‘Dimension‘ 항목에서 컨테이너의 표준 치수를 초과한 항목의 초과된 치수를 입력하고(S82-2), ‘Slot (Units)’ 항목에서는 초과한 치수만큼 점유되는 선내 Cell(Slot)의 개수를 자동 표시 및 정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S82-3) (도 12c 참조). 상기 (d3) 단계인 ‘Special Remark’ 메뉴는 컨테이너 취급과 관련된 특별한 주의사항에 대한 입력을 지원하며 (도 12d 참조), 상기 (d4) 단계인 ‘Flat Rack & Break Bulk’ 메뉴는 번들(Bundle) 컨테이너의 복수 컨테이너 명 입력 또는 화물의 외형 치수에 대한 입력을 지원한다 (도 12e 참조).
마지막으로, 상기 (e) 단계인 셀 단위 이적 계획 지정 단계(S65)를 도 7a 및 7e와 도 11d를 참조하여 상술하면, 쉬프트컨테이너리스트(Shift Container List: SCL)(도 9의 '3000') 입력창에서, (e1) 컨테이너 이적 계획 정보화면(Shift Container List)을 호출하고 (도 7e의 S91), (e2) Collect Shift Container 버튼을 선택하여 이적 대상 컨테이너를 선택하고 (도 7e의 S92), (e3) Shift Container List에서 이적 대상 컨테이너를 선택하며 (도 7e의 S93), (e4) Set New Position 버튼을 선택하여 이적할 위치를 선택하여 (도 7e의 S94), 이루어진다 (도 11d 참조).
이를 도 9 내지 도 11d를 참조하여 더 상술하면, 먼저 본 발명의 하역 계획 중에서 윈도우별 전체 기능 구성은, 제너럴베이뷰(General Bay View: GBV)(1000), 셀인포메이션뷰(Cell Information View: CIV)(2000), 쉬프트컨테이너리스트(Shift Container List: SCL)(3000) 및 해치베이뷰(Hatch Bay View: HBV)(4000)를 포함한다 (도 9 참조).
다시, 상기 GBV(1000)는, 각각의 베이부('Bay View 1' ~ 'Bay View n') (1110 ~ 1120)와 각종 툴바(1200: 1210~1260)를 포함하는바, 다시 일례로 제1 베이뷰(Bay View 1)(1110)는 여러 개의 셀('Cell 1' ~ 'Cell n')(1111~1112)에 대응된다 (도 10 참조). 아울러, 상기 툴바(1200)는, 계획 모드 선택용 워크 모드 툴바( 1210), 조회 모드 선택용 워크 모드 툴바(1230), 각종 선택 표시용 툴바(1220), 슬롯의 칼라, 적하가능 표시, 블링킹 표시 등의 툴바(1240), 이레귤러 체크(Irregular check) 툴바(1250) 및 쉬프트 선택 툴바(1260)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제, GBV(1000) 만을 좀더 상술하면, 도 11a 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각종 툴바(1200)와 각종 베이뷰(1110)가 표시되며, 각 베이뷰 내에는 여러 개의 셀(1111~1212)이 구획되어 표시되어 있다.
도 11b는 이러한 각종 툴바의 집합을 표시하고 있는바, 도 7b에서의 서브루틴의 동작은, 컨테이너 선적지 선택(POL)(101), 컨테이너 양하지 선택(POD)(102), 컨테이너 2차 양하지 선택(2nd POD)(103) 및 선사 선택(OPR)(104) 툴바를 통해 이루어지며, 도 7c에서의 서브루틴의 동작은, 계획/조회 모드 선택(105), 20ft 또는 40ft 컨테이너 사이즈 선택(106) 및 슬롯 정보 지우기(107) 툴바를 통해 이루어진다.
참고로, 도 11b에서, 부재번호 '108'은 Zoom(정보화면 확대 및 축소 지원) 툴바이고, '110'은 Cell Color(Cell 내 (이분할) 색상 표시 기준 툴바이고, '111'은 Loadable Mark(특정 컨테이너의 선적 가능한 위치 표시)용 툴바이고, '112'는 Blinking Mark(특정 컨테이너에 대해 식별이 용이하도록 하는 표시)용 툴바이며, '113'은 Irregular Check(선박의 Cell 기준 수용할 수 없는 컨테이너/화물 목록 조회)용 툴바이며, '114'는 Print(프린터를 통해 정보 출력 지원)용 툴바이며, '115'는 Grouping(Bay 간 그룹 지정 지원)용 툴바, '116'은 Configuration(Bay 정보 표시 기준 설정)용 툴바이다.
참고로, ‘Zoom’ 메뉴는 -20%, 100%, +20% 옵션을 제공하며, 옵션 중 ‘-20%’ 또는 ‘+20%’ 항목을 선택시, 해당 비율만큼 축소 또는 확대되는 화면 정보를 표시하고, ‘100%’ 항목 선택시, 원래 크기의 비율만큼 화면 정보를 표시한다. ‘Cell Color’ 메뉴는 POD, POL, OPR, POD+POL, 옵션을 제공하며, 옵션 항목을 선택 시, 선택된 항목을 기준으로 각 Cell의 정보를 토대로 색상으로 구분할 수 있도록 표시한다. Port 별 색상정보는 Port Rotation에서 설정된 색상 정보를 참조 한다. ‘Loadable Mark’ 메뉴는 Clear Mark, 45ft size, 48ft size, 53ft size, Reefer Receptacle, 옵션을 제공하는바, 옵션 항목을 선택 시, 컨테이너 속성 기준으로 선택된 항목의 조건에 포함되어 적재 가능한 Cell에 대해서 ‘O’을 표시하여, 적재 가능한 Cell 임을 표시하며, ‘Clear Mark’를 선택하면 표시되어 있는 Loadable Mark 가 사라진다. ‘Blinking Mark’ 메뉴는 Clear Blinking, Special Remark, Re-stowing Containers, BB and AK Cargo, 옵션을 제공하는바, 옵션 항목 선택 시, 컨테이너 속성 중 선택된 항목의 조건에 포함되는 Cell은 파란색으로 표시되어 Blinking되며, ‘Clear Blinking’ 옵션을 선택하면 Blinking되는 정보가 모두 지워진다. ‘Irregular Check’ 메뉴는 Reefer Receptacle, Duplicated Container No, Incorrect Container No, Container SzTp, Incorrect Position, 옵션을 제공하는바, 옵션 항목 선택 시 해당 항목 포함되는 Irregular 데이터들이 별도 Grid에 표시하고, 'Clear Mark'를 선택하면 표시되어 있는 Loadable Mark 가 Clear 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및 변형한 것도 본 발명에 속함은 당연하다.
101 ~ 105 : 제 1 ~ 제 5 적하계획 수행 그룹
110 : 선사측 단말기 120 : 일등항해사측 단말기
130 : 검수사측 단말기 140 : 제1 플래너측 단말기
140' : 제2 플래너측 단말기
150 : 하역담당자측 단말기 160 : 장비기사측 단말기
170 : 운영사 검수원측 단말기 200 : 클라우드 서비스 서버

Claims (8)

  1. 삭제
  2. 표준 코드 정보, 선박의 항로 정보, 선박의 규격 정보, 및 EDI 송수신 서비스를 수행하는 하역 계획 클라우드 서비스 시스템의 서버(200); 상기 서버(200)로 웹을 통해 접속되는 제1 플래너측 단말기(140); 및 상기 서버(200)로 웹을 통해 접속되는 상기 제1 플래너측 단말기(140)와 상이한 제2 플래너측 단말기(140'); 를 포함하는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 시스템을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의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하역계획클라우드서비스(SPCS) 시스템의 서버(200)가, 상기 제1 플래너측 단말기(140)와 상기 제2 플래너측 단말기(140')를 포함하는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140,140')의 관여 없이도 자체적으로 표준 코드 정보, 선박의 항로 정보, 선박의 규격 정보, 및 EDI 송수신 서비스를 수행한 상태에서,
    (a) 상기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140,140')가 하역계획 대상 선사, 항로 및 선박을 지정하는 단계(S61);
    (b) 상기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적재 대상 화물 속성을 감안하여 편집 속성을 지정하는 단계(S62);
    (c) 상기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베이 프로파일(Bay Profile)의 셀 단위로 앞서 지정한 화물 속성 기준으로 표시하는 단계(S63);
    (d) 상기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베이 프로파일(Bay Profile)의 셀 단위로 상세 정보 입력이 필요한 경우, 상세 정보를 입력 처리하는 단계(S64);
    (e) 상기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셀 단위 작업시 선내 이적이 필요한 경우, 해당 셀에 이적계획을 지정하는 단계(S65);
    (f) 상기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셀 단위 계획 완료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6);
    (g) 상기 (f) 단계에서 미 완료시에는, 상기 S62 단계부터 반복하여 수행하고, 상기 (f) 단계에서 완료시에는, 상기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하역계획 정보에 대한 검사를 수행하는 단계(S67);
    (h) 상기 검사에서 문제가 있는지 (하역계획이 완료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68); 및
    (i) 상기 (h) 단계에서 문제가 있는 경우 (하역계획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S62 단계부터 반복하여 수행하고, 상기 (h) 단계에서 문제가 없는 경우 (하역계획이 완료된 경우)에는, 상기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가 계획 작업 진행 결과를 저장하여 등록하는 단계(S69);
    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플래너측 단말기(140,140')가 '선박-항차' 기준으로 상기 (a) 내지 (i) 단계의 각각의 단계를 동시 작업으로 실행가능하며,
    상기 (b) 단계(S62)는, 제너럴베이뷰(General Bay View: GBV)(1000) 선택 입력창(101,102,103,104)에서,
    (b1) 컨테이너 선적지(POL)를 선택하고 (S71),
    (b2) 컨테이너 양하지(POD)를 선택하고 (S72),
    (b3) 컨테이너 2차 양하지(POD2)를 선택하며 (S73),
    (b4) 선사(OPR)를 선택함으로써 (S74), 행하여지며,
    상기 (c) 단계(S63)는, 제너럴베이뷰(General Bay View: GBV)(1000) 선택 입력창(105,106,107)에서,
    (c1) 계획용 또는 조회용 워크 모드(105)를 선택하고 (S75),
    (c2) 컨테이너의 사이즈(106)를 선택하며 (S76),
    (c3) 슬롯 정보 지우기(107) (S77) 를 통하여,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c1) 단계는, 계획(Plan) 모드와 조회(View) 모드간 베이뷰(Bay View) 영역의 용도 전환을 지원하고(S75-1), 베이뷰(Bay View) 기준 셀(Cell) 단위로 계획을 지원하며(S75-2), 조회모드에서는 베이뷰(Bay View) 기준 셀(Cell) 단위로 정보 조회를 지원하며, ‘Cell Information View’에 표시함으로써(S75-3),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
  5. 삭제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S64)는, 셀인포메이션뷰(Cell Information View: CIV)(2000) 선택 입력창(131,132,133,134)에서,
    (d1) 위험화물의 세부 정보를 입력하고 (S81),
    (d2) 컨테이너 표준 치수를 초과하는 정보를 입력하고 (S82),
    (d3) 컨테이너 취급과 관련된 특별한 주의사항을 입력하며 (S83),
    (d4) 번들 컨테이너 및 비규격 화물 정보를 입력하여 (S84),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d2) 단계는, 컨테이너 표준 치수를 초과하는 화물의 초과된 치수값에 대한 입력을 지원하며(S82-1), ‘Dimension‘ 항목에서 컨테이너의 표준 치수를 초과한 항목의 초과된 치수를 입력하고(S82-2), ‘Slot (Units)’ 항목에서는 초과한 치수만큼 점유되는 선내 Cell(Slot)의 개수를 자동 표시 및 정정할 수 있도록 지원함으로써(S82-3),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S65)는, 쉬프트컨테이너리스트(Shift Container List: SCL)(3000) 입력창에서,
    (e1) 컨테이너 이적 계획 정보화면(Shift Container List)을 호출하고 (S91),
    (e2) 'Collect Shift Container' 버튼을 선택하여 이적 대상 컨테이너를 선택하고 (S92),
    (e3) 'Shift Container List'에서 이적 대상 컨테이너를 선택하며 (S93),
    (e4) 'Set New Position' 버튼을 선택하여 이적할 위치를 선택하여 (S94),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
KR1020160029493A 2015-12-17 2016-03-11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 KR1018288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6/063,147 US20200167726A1 (en) 2015-12-17 2016-12-14 System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unloading and loading plans using cloud service
PCT/KR2016/014622 WO2017105069A1 (ko) 2015-12-17 2016-12-14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및 적하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 및 방법
SG11201805194UA SG11201805194UA (en) 2015-12-17 2016-12-14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ntegrated unloading and loading plans using cloud ser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90069 2015-12-30
KR20150190069 2015-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0395A KR20170080395A (ko) 2017-07-10
KR101828832B1 true KR101828832B1 (ko) 2018-02-13

Family

ID=593555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493A KR101828832B1 (ko) 2015-12-17 2016-03-11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00167726A1 (ko)
KR (1) KR101828832B1 (ko)
SG (1) SG11201805194U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80211202A1 (en) * 2017-01-26 2018-07-26 Eugenio S. YNION, JR. Method, system, apparatus, and program for real-time and online freight management
US10956994B2 (en) * 2017-07-13 2021-03-23 Thulisha Reddy Technologies Llc Method and system for facilitating processing of an order at a facility
US11281850B2 (en) * 2017-12-28 2022-03-22 A9.Com, Inc. System and method for self-filing customs entry forms
CN109726969B (zh) * 2018-11-07 2023-12-12 北京图森智途科技有限公司 港口智能控制系统及相关系统和装置
US20210319528A1 (en) * 2020-04-14 2021-10-14 Fujitsu Limite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optimization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for storing optimization program
KR102514002B1 (ko) * 2020-06-15 2023-03-27 주식회사 트레드링스 통합 물류 관리 시스템
JP2022066017A (ja) * 2020-10-16 2022-04-28 富士通株式会社 求解プログラム、求解方法および情報処理装置
CN113705842B (zh) * 2021-08-04 2023-08-18 重庆超体科技有限公司 一种不同船公司之间智能换舱方法
WO2024014566A1 (ko) * 2022-07-11 2024-01-18 주식회사 아이웍스 선적 작업의 효율성과 안정성 확보를 위한 선적 관리 프로그램
CN118378861B (zh) * 2024-06-24 2024-09-17 山东港口日照港集团有限公司 一种船舶智能配载方法及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707B1 (ko) * 2007-12-21 2008-07-10 주식회사 케이엘넷 컨테이너 터미널의 다중분산 작업계획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다중분산 작업계획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5707B1 (ko) * 2007-12-21 2008-07-10 주식회사 케이엘넷 컨테이너 터미널의 다중분산 작업계획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다중분산 작업계획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67726A1 (en) 2020-05-28
KR20170080395A (ko) 2017-07-10
SG11201805194UA (en) 2018-07-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28832B1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통합 제공 방법
US11416794B2 (en) Equipment control system
CN110598987A (zh) 一种基于无人驾驶的港口调度系统及方法
US7155406B2 (en) Scheduling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containers at the terminal and a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recorded a computer programming of the same
US20140089032A1 (e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06779355A (zh) 一种集装箱码头自动化信息管理系统和方法
Dotoli et al. A decision support system for optimizing operations at intermodal railroad terminals
CN112707178B (zh) 一种智能装卸平台和装卸方法
WO2017105069A1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및 적하계획 통합 제공 시스템 및 방법
AU2013101248A4 (e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KR100297095B1 (ko) 컨테이너 터미널의 설계시 시뮬레이션 방법
KR20210083889A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하역계획 및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
KR20180101308A (ko)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한 적하계획 통합 제공 방법
Hoff-Hoffmeyer-Zlotnik et al. Interactive planning and control for finished vehicle logistics
Safaeian et al. A vehicle routing problem with two types of ships in container terminals
Edfors et al. Potential improvements in a container terminal through information sharing
Thomas et al. Operations planning in ports
Oya Abajo Analysis of ICT solutions integration for tracking purposes in container terminal management and operation
Al-Rikabi Optimization Models for Seaport Operations and Empty Container Management
Zhao et al. Management of Vessel Loading Operations in the Container Terminal
Li et al. Survey on planning problems in inland waterway transport: current status and future perspectives
Wang Port system analysis
Zhao et al. Management of Container Collection Operations in the Container Terminal
Bhaskar et al. Digitalisation of Port Centric Supply Chains: Issues and Challenges
JP2002063449A (ja) コンビナートにおける設備利用システムおよび記録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