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28303B1 -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28303B1 KR101828303B1 KR1020110118789A KR20110118789A KR101828303B1 KR 101828303 B1 KR101828303 B1 KR 101828303B1 KR 1020110118789 A KR1020110118789 A KR 1020110118789A KR 20110118789 A KR20110118789 A KR 20110118789A KR 101828303 B1 KR101828303 B1 KR 10182830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formation
- information editing
- area
- editing area
- imag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2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a touch pad, a touch sensor or a touch detector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52—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functional features of a camera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을 지원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피사체의 프리뷰 이미지가 출력되는 시점,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이 완료된 시점, 동영상 촬영 중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정보 기입 기능을 가지는 정보 편집 영역을 상기 프리뷰 이미지 출력을 위한 프리뷰 영역, 촬영 완료에 따른 촬영 이미지 영역, 촬영 중 상태에 따른 촬영 중 영역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프리뷰 영역, 촬영 중 영역, 촬영 이미지 영역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정보 편집 영역을 동시 출력하고 상기 정보 편집 영역의 정보 기입을 지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운용 중 정보 기입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및 이의 운용 방법 구성을 개시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카메라 운용에 관한 것으로, 특히 카메라 운용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형태의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특정 사용자 기능을 지원하면서도 그 크기가 휴대할 수 있을 정도로 작아 많은 산업 및 생활 분야에서 각광받고 있다. 그리고 최근 들어 다양한 사용자 기능을 통합적으로 지원하는 휴대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 휴대 단말기는 카메라 모듈이 장착되어 사용자 제어에 따라 피사체에 대한 영상을 수집하는 기능과, 수집된 영상을 저장하는 기능과, 저장된 영상을 바로 검색할 수 있는 기능을 지원한다. 이러한 휴대 단말기는 정지 영상뿐만 아니라 동영상 촬영 기능도 지원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 카메라 모듈을 장착한 휴대 단말기가 지원하는 영상 수집 기능은 단순히 피사체에 대한 영상 정보와 해당 영상이 촬영되는 시간 정보만을 자동으로 기입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종래 카메라 모듈을 장착한 휴대 단말기 사용자는 저장된 사진들을 검색하는 과정에서 날짜 정보를 기반으로 어떠한 시점에 어떠한 상황에서 촬영하였는지를 회상하여 왔다. 그런데 날짜 정보만으로 검색된 사진에 대한 추억을 회상하기에는 그 정보가 부족한 면이 있다. 이에 따라 오래된 사진들의 경우 그리고 특정 피사체 예를 들면 산이나 강 등의 자연을 촬영한 영상에서는 해당 영상이 어떠한 상황과 환경에서 촬영되었는지를 정확히 기억하지 못하는 오류가 발생하곤 한다. 이에 따라 수집된 영상을 보다 명확히 인지하거나 수집된 영상에 관한 추가적인 정보 첨가를 보다 손쉽고 편리하게 할 수 있는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카메라 모듈 운용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정보 기입을 보다 손쉽고 빠르고 수행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운용 방법은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하는 과정, 활성화된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피사체의 프리뷰 이미지가 출력되는 시점,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이 완료된 시점, 동영상 촬영 중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정보 기입 기능을 가지는 정보 편집 영역을 상기 프리뷰 이미지 출력을 위한 프리뷰 영역, 촬영 완료에 따른 촬영 이미지 영역, 촬영 중 상태에 따른 촬영 중 영역 중 어느 하나와 함께 표시부에 출력하는 출력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을 지원하는 카메라 모듈, 상기 활성화된 카메라 모듈에 의하여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피사체의 프리뷰 이미지가 출력되는 시점,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이 완료된 시점, 동영상 촬영 중 시점 중 적어도 하나의 시점에 정보 기입 기능을 가지는 정보 편집 영역을 상기 프리뷰 이미지 출력을 위한 프리뷰 영역, 촬영 완료에 따른 촬영 이미지 영역, 촬영 중 상태에 따른 촬영 중 영역 중 어느 하나와 함께 출력하는 표시부, 상기 프리뷰 영역, 촬영 중 영역, 촬영 이미지 영역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정보 편집 영역을 동시 출력하고 상기 정보 편집 영역의 정보 기입을 지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운용 중 정보 기입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시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에 따르면, 본 발명은 카메라 운용 중에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형태의 정보 기입을 보다 손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정보 기입된 영상을 검색하는 과정에서 기입된 정보 확인을 용이하고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는 1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기입 기능 지원의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기입 기능 지원의 화면 인터페이스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기입 기능 지원의 화면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정보 기입 기능 지원을 위한 단말기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정보가 기입된 데이터의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2는 1의 제어부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기입 기능 지원의 화면 인터페이스의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기입 기능 지원의 화면 인터페이스의 다른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기입 기능 지원의 화면 인터페이스의 또 다른 일예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정보 기입 기능 지원을 위한 단말기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정보가 기입된 데이터의 검색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과 기능을 가진 구성 요소들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마찬가지의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기입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100)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통신부(110), 입력부(120), 표시부(140), 저장부(150), 카메라 모듈(170) 및 제어부(16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로 상기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의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상태 검출을 위한 센서 예를 들면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등이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카메라 모듈(170)이 운용 중에 입력부(120) 및 입력 기능도 함께 지원하는 표시부(14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입력되는 입력 신호에 따라 정보 기입 기능에 해당하는 화면을 카메라 모듈(170) 운용 화면과 함께 출력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카메라 모듈(170)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특정 영상 촬영 전후 또는 특정 영상 촬영 중에 다양한 정보 기입을 보다 손쉽고 빠르게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카메라 모듈(170) 운용 기능만을 지원하도록 사용되는 경우, 통신부(110)의 구성이 생략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카메라 모듈(170) 운용 기능은 통신부(110)가 추가되더라도 해당 통신부(110)의 구성을 기반으로 하는 데이터 송수신 기능과 연계되어 특정 사용자 기능을 지원할 수 도 있다.
통신부(110)는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형태로 제작되는 경우 추가될 수 있는 구성이다. 따라서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단말기(100)가 통신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경우 통신부(110)는 단말기(100) 구성에서 생략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10)는 단말기(100)의 통신 기능 특히 이동통신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이동통신 모듈의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통신 채널을 형성하여 단말기(100)의 이동통신 기능 수행을 위한 신호 송수신을 지원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이동통신 시스템과 음성 서비스 채널, 영상 서비스 채널, 데이터 서비스 채널 중 적어도 하나를 형성하고, 해당 서비스 채널에 따른 특정 신호의 송수신을 지원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통신부(110)는 카메라 모듈(170) 운용에 따른 신호 송수신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170)은 영상 서비스 채널 운용을 위해 활성화될 수 있으며, 이때 통신부(110)는 카메라 모듈(170)이 수집한 영상을 타 단말기 등으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10)는 카메라 모듈(170)이 수집한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데이터 서비스 채널을 통하여 타 장치에 전송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통신부(110)는 본 발명의 정보 기입 기능에 따라 특정 정보가 기입된 정지 영상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의 데이터를 타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상기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입력부(120)는 단말기(100)의 호환 가능 여부에 따라 키보드나 키패드, 키버튼 등의 다양한 입력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표시부(140)가 터치스크린으로 제공되는 경우 터치스크린에 출력되는 터치 맵의 형태로 구성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입력부(120)는 정보 기입 기능 지원을 위한 다양한 입력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부(120)는 카메라 모듈(170)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 카메라 모듈(170) 활성화 상태에서 정보 기입 기능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 정보 기입 기능 호출에 따라 정보 편집기 상에 특정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입력 신호, 정보 기입 기능 완료를 위한 입력 신호를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정보 기입된 영상의 검색, 삭제, 수정, 전송 등을 수행하기 위한 입력 신호 등을 사용자 제어에 따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된 각 입력 신호들을 제어부(160)에 전달되어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사용자 기능 지원을 위한 명령어로 전환되어 이용될 수 있다.
오디오 처리부(130)는 단말기(100)의 운용과정에서 설정된 다양한 오디오 데이터 및 저장부(150)에 저장된 오디오 파일 재생에 따른 오디오 데이터, 외부로부터 수신된 오디오 데이터 등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오디오 데이터 수집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오디오 처리부(130)는 스피커(SPK)와 마이크(MIC)를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오디오 처리부(130)는 정보 기입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운용 과정에서 설정된 효과음이나 안내음 출력을 지원한다. 또한 오디오 처리부(130)는 정보가 기입된 영상 검색, 삭제, 수정, 전송 등의 과정에서 설정된 효과음이나 안내음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효과음이나 안내음 출력 기능은 사용자 설정이나 설계자의 의도에 따라 생략될 수 도 있다.
상기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화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구성이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부(14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대기 화면, 메뉴 화면 등을 지원한다. 특히 본 발명의 표시부(140)는 카메라 모듈(170) 운용에 따른 화면, 카메라 모듈(170) 운용 화면 중 정보 기입 기능 지원을 위한 화면, 정보가 기입된 영상을 검색, 수정, 삭제 및 전송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표시부(140)는 표시 패널과 터치 패널이 중첩된 형태인 터치스크린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표시 패널에는 상술한 다양한 화면에 대응하는 이미지와 텍스트 등이 출력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표시 패널에 출력되는 화면 특성에 따라 터치 유효 영역과 터치 무효 영역을 설정하고, 터치 유효 영역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를 제어부(160)에 전달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널은 카메라 모듈(170) 운용에 따라 피사체에 대한 프리뷰 화면 영역은 터치 무효 영역으로 설정하고, 정보 기입 기능을 지원하는 정보 편집기 영역은 터치 유효 영역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피사체에 대한 프리뷰 영상을 확인하면서 정보 편집기 영역 상에 일정 정보를 기입하기 위한 터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표시부(140)를 통하여 출력되는 카메라 모듈(170) 운용 화면과 정보 기입 기능 지원 화면들에 대하여 후술하는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저장부(150)는 단말기(100) 운용에 필요한 다양한 기본 운영체제 및 다양한 응용 프로그램과 알고리즘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저장부(150)는 본 발명의 정보 기입 기능을 가지는 카메라 모듈(170) 운용을 위하여 카메라 지원 프로그램(151)을 저장할 수 있으며, 카메라 지원 프로그램(151) 운용에 따라 수집된 다양한 영상들을 포함하는 카메라 DB(153)를 저장할 수 있다.
카메라 지원 프로그램(151)은 본 발명의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170) 운용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다. 이러한 카메라 지원 프로그램(151)은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170)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제어부(160)에 로드되어 정보 기입 기능의 영상 촬영 동작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카메라 지원 프로그램(151)은 피사체에 대한 프리뷰 영상을 제공하는 루틴, 정보 기입 기능 지원을 위한 정보 편집기 지원 루틴, 프리뷰 영상과 정보 편집기 화면을 조정하여 하나의 표시부(140) 상에 출력하는 루틴, 입력 신호 발생에 따라 정보 편집기 화면 및 프리뷰 영상의 크기를 조절하는 루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지원 프로그램(151)은 카메라 DB(153)에 저장된 영상 검색과 수정 및 삭제 등을 지원하는 루틴, 저장된 영상 중 정보가 기입된 영상을 다른 영상들과 구분하여 제공하는 루틴, 정보가 기입된 영상 선택 시 기입된 정보 및 수집된 영상을 촬영 당시 화면으로 제공하는 루틴, 입력 신호에 따라 기입된 정보 및 수집된 영상 중 어느 하나를 풀 스크린으로 제공하는 루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메라 지원 프로그램(151)은 상술한 각 루틴들을 기반으로 정보 기입된 영상을 수집하는 기능과 정보가 기입된 영상을 검색과 수정 및 삭제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카메라 DB(153)는 카메라 모듈(170) 운용에 따라 수집되는 다양한 영상을 저장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카메라 DB(153)는 별도의 정보가 기입되지 않은 정지 영상 타입 및 동영상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영상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카메라 DB(153)는 별도로 정보가 기입된 정지 영상 타입 및 동영상 타입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이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정보 기입 기능 지원을 위한 정보 편집기는 카메라 모듈(170)이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을 촬영하기 전에 사용자 호출에 따라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정보 편집기는 카메라 모듈(170)이 정지 영상이나 동영상을 촬영한 후에 해당 영상을 저장하기 전에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의 경우에는 동영상 촬영 중에 정보 편집기가 출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메라 DB(153)에는 정지 영상의 경우 정보가 영상과 함께 통합된 형태로 저장될 수 있지만, 동영상의 경우에는 기입된 정보가 출력되는 시간 정보가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진 및 동영상 촬영 전 또는 촬영 완료 후 정보 편집기 호출에 따라 정보가 기입되어 카메라 DB(153)에 저장된 경우, 해당 사진 및 동영상 검색 시 사진 출력 및 동영상 재생 전에 또는 출력 및 재생 완료 후에 기입된 정보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동영상 촬영 중에 정보가 기입되어 카메라 DB(153)에 저장된 경우, 해당 동영상 검색 시 동영상 재생 중 정보가 기입된 시점에 기입된 정보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이때 기입된 정보 화면은 동영상 재생 화면과 화면 분할을 통하여 일정 영역에 출력되거나 설정이나 사용자 제어에 따라 풀 스크린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는 기입된 정보 화면은 동영상 재생 화면의 적어도 일측에 일정 영역을 할당받아 오버레이 되어 출력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영상의 정보 기입 기능을 지원하기 위하여 다양한 신호 흐름 제어와 정보 수집 및 출력 등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제어부(160)는 영상의 정보 기입 기능 지원을 위하여 영상 수집 기능과 정보 편집 기능을 지원하며, 두 가지 기능을 복합적으로 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60)의 구성을 보다 상세히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어부(160)는 영상 수집 지원부(161), 정보 편집 지원부(163), 데이터 관리부(165)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수집 지원부(161)는 카메라 모듈(170) 운용 및 카메라 모듈(170) 운용에 따른 영상 수집을 지원하는 구성이다. 이러한 영상 수집 지원부(161)는 입력부(120) 및 터치 기능 지원의 표시부(140)로부터 카메라 모듈(170)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카메라 모듈(170)에 전원을 공급하고, 카메라 모듈(170) 운용을 위한 초기화 과정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수집 지원부(161)는 카메라 모듈(170) 초기화가 완료되면 렌즈를 통하여 입사되는 피사체에 대한 프리뷰 영상을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 수집 지원부(161)는 본 발명의 정보 기입 기능이 호출되면 이를 정보 편집 지원부(163)에 전달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영상 수집 지원부(161)는 정보 기입 기능 호출을 위한 메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정보 기입 기능이 디폴트 기능으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메뉴는 생략될 수 있다.
정보 편집 지원부(163)는 영상 수집 지원부(161) 활성화 및 정보 기입 기능 호출에 따라 정보 기입을 위한 정보 편집기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구성이다. 즉 정보 편집 지원부(163)는 영상 수집 지원부(161) 요청에 따라 활성화되어 정보 편집기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정보 편집 지원부(163)는 영상 수집 지원부(161)와 협상하여 표시부(140) 화면 분할 처리 또는 오버레이를 위한 일정 영역 할당 처리와, 분할된 또는 할당된 화면 상에 정보 편집기를 출력할 수 있다. 영상 수집 지원부(161) 또한 정보 편집기가 표시부(140)에 출력되는 동안 화면 분할 또는 영역 할당에 대하여 정보 편집 지원부(163)와 협상하고, 분할된 화면 또는 할당된 영역에 프리뷰 영상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부(120) 및 터치 기능의 표시부(140)로부터 정보 편집기를 풀 스크린 형태로 출력하도록 하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정보 편집 지원부(163)는 정보 편집기에 대응하는 화면을 표시부(140) 전체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 편집기는 기본적으로 드로잉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즉 정보 편집기는 화면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른 선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편집기는 특정 형태로 출력되는 선에 대해서 문자 인식을 수행한 후, 해당 선에 대응하는 문자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편집 지원부(163)는 디폴트로 또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문자 편집을 위한 키맵으로 구성된 문자 편집기 형태의 정보 편집기를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문자 편집기를 운용하여 특정 문자 입력을 수행할 수 도 있다. 추가로 정보 편집 지원부(163)는 정보 편집 시점의 시간 정보를 단말기(100)에 내장된 카운터를 이용하여 수집하고, 해당 시간 정보를 해당 정보 기입 영상에 자동으로 기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정보 편집 화면에 대하여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데이터 관리부(165)는 영상 수집 지원부(161) 및 정보 편집 지원부(163)로부터 입력되는 정보를 통합 관리하는 구성이다. 즉 데이터 관리부(165)는 영상 수집 지원부(161)로부터 영상이 전달되면, 해당 영상을 카메라 DB(153)에 저장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영상 수집 지원부(161)로부터 영상이 전달되고 정보 편집 지원부(163)로부터 기입된 정보가 전달되면, 데이터 관리부(165)는 해당 정보와 영상을 통합하여 하나의 파일로 구성한 후 이를 카메라 DB(153)에 저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정보와 영상을 통합하는 과정에서 데이터 관리부(165)는 정보 수집 시점 및 영상의 타입에 따라 다른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관리부(165)는 전달된 영상이 동영상인 경우 전달된 정보를 동영상의 일정 시점 예를 들면 동영상 재생 직전 시점, 동영상 재생 완료 직후 시점 및 동영상 재생 중 일정 시점 등에 매칭하여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데이터 관리부(165)는 정보와 영상이 통합된 파일 검색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정보 검색 지원을 위한 파일명 할당과, 영상 검색 지원을 위한 파일명 할당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추후 카메라 DB(153)에 저장된 파일 검색 시 정보가 기입된 파일을 정보 검색 방식으로 또는 영상 검색 방식으로 검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정보 검색 지원을 위한 파일명 할당을 위해 데이터 관리부(165)는 해당 정보에 텍스트 정보가 포함된 경우 텍스트 정보 중 일정 부분을 추출하고, 추출된 부분을 파일명으로 자동 할당하도록 제어할 수 도 있다. 영상 검색 지원을 위한 파일명 할당을 위해 데이터 관리부(165)는 영상 저장 시 파일명을 입력할지 여부를 묻는 팝업창 출력을 수행하며, 별도의 입력이 없는 경우 정보 검색을 위한 파일명과 동일한 파일명을 가지도록 처리할 수 있다. 또는 데이터 관리부(165)는 디폴트로 정의된 일정 정보 예를 들면 시간 정보를 파일명으로 자동 기입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운용 화면의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단말기(100)를 활성화하고 카메라 모듈(170) 운용을 위한 입력 신호를 생성한 후 정보 기입 기능을 함께 호출하거나 또는 단말기(100)가 정보 기입 기능을 디폴트로 제공하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은 화면이 표시부(140)에 출력될 수 있다. 단말기(100)를 가로 모드로 배치한 상태에서 좌측에 배치된 프리뷰 영역(41)은 카메라 모듈(170)의 렌즈를 통하여 수집되는 프리뷰 이미지가 출력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우측에 배치된 정보 편집 영역(43)은 사용자의 정보 기입 기능 호출 또는 단말기(100)의 정보 기입 기능 디폴트 제공에 따라 정보 편집기가 출력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도 3에서 정보 편집 영역(43)은 정보 편집기의 기능 중 드로잉 기능 지원에 따른 정보 편집 화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정보 편집 영역(43) 상에서 스타일러스 팬이나 손가락 등의 터치 가능 도구를 이용하여 글자나 이미지 등을 그릴 수 있다. 여기서 단말기(100)는 드로잉 기능을 지원하는 정보 편집 화면에서 특정 글자에 해당하는 선들이 입력되면 해당 선들을 스캔하여 선들에 대응하는 글자에 매핑하여 기 설정된 특정 문자로서 정보 편집 영역(43)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선을 글자로 인식하는 인식 알고리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인식 알고리즘은 정보 편집 영역(43)에 출력된 선들과 사전 정의된 문자들과의 형태 비교를 통하여 모서리의 개수, 꺽임 각도, 선의 연속된 굴곡도 등이 일정 비율 이내로 일치하는 글자와 매핑하는 알고리즘이 될 수 있다.
한편 정보 편집 영역(43)에 일정한 정보가 입력되고 프리뷰 이미지에 대한 영상 촬영 신호가 발생하면, 단말기(100)는 정보 편집 영역(43)에 기입된 정보 유무에 따라 영상 수집 형태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즉 단말기(100)는 정보 편집 영역(43)이 출력되었으나, 별도의 정보 기입이 없는 상태에서 영상 촬영 신호가 발생하면, 정보 편집 영역(43)이 출력되어 있더라도 프리뷰 영역(41)에 출력된 영상만을 수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촬영 이미지 영역 및 촬영 중 영역과 함께 출력되는 정보 편집 영역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영상 저장 시점에 정보 편집 영역(43)에 기입된 정보의 존재 유무를 확인하고, 기입된 정보가 없는 경우, 프리뷰 영역, 촬영 중 영역, 촬영 이미지 영역의 영상만을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정보 편집 영역(43)에 일정 정보 기입이 있는 상태에서 영상 촬영 신호가 발생하면, 프리뷰 영역(41)의 영상 수집과 함께 정보 편집 영역(43)에 출력된 정보도 함께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프리뷰 영역(41)의 영상과 정보 편집 영역(43)의 정보가 하나의 화면에 출력된 형태대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100)는 프리뷰 영역(41) 영상과 정보 편집 영역(43)의 정보가 출력된 표시부(140) 화면을 캡처하여 이미지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말기(100)는 프리뷰 영역(41) 영상과 정보 편집 영역(43)의 정보를 별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편집 영역(43)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드로잉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터치 이벤트에 따라 선이나 이미지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정보 편집 영역(43)의 정보를 이미지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편집 영역(43)은 문자 입력 기능을 수행하는 경우 키맵을 출력하고 일정 문자나 숫자 선택을 위한 터치 이벤트에 대응하는 특정 문자나 숫자 등이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단말기(100)는 정보 편집 영역(43)에 출력된 정보를 텍스트 등의 정보로서 저장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운용 화면의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세로 모드로 배치된 상태에서 화면의 상단에는 촬영 이미지 영역(42)을 출력하고 화면 하단에는 정보 편집 영역(43)을 출력한다. 이를 위하여 단말기(100)는 카메라 모듈(170) 운용 중 피사체 촬영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단말기(100)는 피사체 촬영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프리뷰 화면에 출력된 이미지를 촬영하여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단말기(100)는 정보 기입 기능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거나, 또는 정보 기입 기능이 디폴트 기능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 이미지 영역(42)과 정보 편집 영역(43)을 각각 위아래로 배치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여기서 촬영 이미지 영역(42)은 정보 편집 영역(43)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정보 편집 영역(43)은 문자 입력 기능 지원을 위한 키맵 영역과 키맵 영역 상단에 배치되어 키맵 영역에서 선택된 문자들이 출력되는 출력 영역이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피사체의 촬영 이후에 정보 기입 기능을 운용하여 특정 정보를 기입하도록 지원할 수 도 있다.
한편 상술한 도 3 및 도 4의 설명에서 프리뷰 영역(41) 및 촬영 이미지 영역(42)을 정보 편집 영역(4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넓게 표시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프리뷰 영역(41) 및 촬영 이미지 영역(42)과 정보 편집 영역(43)은 표시부(140)를 이등분하여 각각 동일한 영역을 가지도록 설정될 수 도 있다. 또는 프리뷰 영역(41) 및 촬영 이미지 영역(42)이 정보 편집 영역(43)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적은 영역으로 설정될 수 도 있다.
또한 상기 도 3 및 도 4에서는 각각 프리뷰 영역(41)과 촬영 이미지 영역(42) 설명을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에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도 3에서 단말기(100)가 가로 모드 상태에서 세로 모드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도 4의 배치 구조와 유사하게 프리뷰 영역(41)이 상단에 정보 편집 영역(43)이 하단에 배치될 수 도 있다. 또한 도 4에서 단말기(100)가 세로 모드 상태에서 가로 모드 상태로 변경되는 경우 촬영 이미지 영역(42) 및 정보 편집 영역(43)의 배치 구조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로 배치되는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추가로 본 발명의 정보 편집 영역(43)은 가로 모드 및 세로 모드에 따라 입력되는 방식이 변경될 수 있다. 즉 정보 편집 영역(43)은 가로 모드 상태에서는 드로잉 기능 지원을 수행하며, 세로 모드 상태에서는 키맵 기반의 문자 입력 기능 및 문자 출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정보 편집 영역(43)은 사용자 설정 등에 따라 반대로 설정될 수 도 있다. 즉 정보 편집 영역(43)은 세로 모드 상태에서 드로잉 기능 지원을 수행하며, 가로 모드 상태에서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 지원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편집 영역(43)은 가로 모드에서 세로 모드로 또는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정보 기입 기능이 드로잉 기능에서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으로 또는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에서 드로잉 기능으로 전환될 수 도 있다.
또한 프리뷰 영역(41)과 정보 편집 영역(43) 또는 촬영 이미지 영역(42)과 정보 편집 영역(43)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 요청에 따라 특정 영역을 표시부(140)에서 제거하고, 제거되지 않은 영역이 표시부(140) 전체에 풀 스크린 형태로 출력될 수 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운용 화면의 또 다른 일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기(1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카메라 모듈(170)을 활성화하여 영상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단말기(100)는 사용자 요청에 따라 카메라 모듈(170)을 기반으로 동영상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동영상 촬영 중 단말기(100)는 촬영 중인 동영상 촬영 중 영역(51)을 501 화면에서와 같이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단말기(100)는 화면 일측에 정보 기입 기능 호출을 위한 메뉴나 기능 버튼(55)을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화면 우측 하단에 해당 기능 버튼(55)이 출력되는 것을 일예로서 나타내었다. 그러나 상기 기능 버튼(55)은 제거될 수 있으며, 정보 기입 기능 호출을 위한 핫 키나 특정 메뉴 형태로 제공될 수 도 있다.
한편 동영상 촬영 중 영역(51)이 표시부(140)에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가 정보 기입 기능 호출 예를 들면 기능 버튼(55) 선택 또는 그에 대응하는 입력 신호를 생성하면 단말기(100)는 503 화면에서와 같이 동영상 촬영 중 영역(51)을 리사이징 하여 일정 크기로 줄이고 줄여진 영역에 정보 편집 영역(53)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정보 편집 영역(53)에 일정 정보를 기입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드로잉 기능 지원으로 설정된 정보 편집 영역(53)에 터치 동작을 수행하여 일정 글자를 기입할 수 있다.
한편 단말기(100)는 정보 편집 영역(53)이 출력되는 경우, 자동으로 현재 시간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현재 시간 정보를 화면 일측에 마련된 시간 정보 영역(57)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시간 정보 영역(57)은 정보 편집 영역(53)이 출력된 후 완료되는 시점까지의 시간 정보가 기록될 수 있다. 기록된 시간 정보는 정보 편집 영역(53)에 정보가 기입되어 저장되는 과정에서 함께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시간 정보는 해당 영상 재생 시 기록된 시간에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도 5의 설명에서는 동영상 촬영 중 정보 기입 기능 호출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동영상 촬영 전에 동영상 프리뷰 영역과 정보 편집 영역(53)을 출력하여 동영상 촬영 전 정보 기입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동영상 촬영 후 촬영된 동영상의 특정 프레임 영역에 대응하는 촬영 이미지 영역과 정보 편집 영역(53)을 출력하여 동영상 촬영 완료 후에 정보 기입 기능을 지원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기입 기능을 지원하는 카메라 운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카메라 운용 방법은 먼저 601 단계에서 단말기(100)의 제어부(160)는 공급된 전원을 각 구성들에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603 단계에서 해당 입력 신호가 카메라 모듈(170)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카메라 모듈(170)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가 아닌 경우 제어부(160)는 605 단계로 분기하여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 예를 들면, 파일 재생 기능, 웹 접속 기능, 통화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 모듈(170) 활성화를 위한 입력 신호인 경우, 제어부(160)는 607 단계로 분기하여 모드 입력 신호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제어부(160)는 정지 영상 촬영을 위한 사진 촬영 모드인 경우 609 단계로 분기하여 정보 편집 기능 예를 들면 드로잉 기능 호출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드로잉 기능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611 단계로 분기하여 드로잉 기능 수행을 지원한다. 즉 제어부(160)는 터치 기능을 지원하는 표시부(140)에서 발생하는 터치 이벤트에 따른 선이나 이미지 입력 및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한편 609 단계에서 드로잉 기능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가 없거나 디폴트로 지원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611 단계를 스킵(Skip)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613 단계에서 사진 촬영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사진 촬영이 완료되면 제어부(160)는 615 단계에서 드로잉 기능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나 디폴트 설정이 있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드로잉 기능 호출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나 디폴트 설정이 있는 경우 제어부(160)는 617 단계로 분기하여 드로잉 기능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615 단계에서 드로잉 기능 호출이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617 단계를 스킵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619 단계에서 영상 또는 정보가 기입된 영상 저장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여부를 확인한다. 이 단계에서 영상 저장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621 단계로 분기하여 저장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별도의 저장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621 단계를 스킵하고 623 단계로 분기할 수 있다. 623 단계에서는 단말기(100) 카메라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별도의 카메라 기능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이 없는 경우 607 단계로 분기할 수 있다.
한편 607 단계에서 모드 선택 신호로서 동영상 촬영 기능이 선택되면, 제어부(160)는 동영상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170) 운용을 준비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동영상 촬영 준비가 완료되면, 610 단계에서 동영상 촬영 전 드로잉 기능 호출을 위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드로잉 기능 호출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612 단계로 분기하여 드로잉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드로잉 기능 호출을 위한 이벤트 발생이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612 단계를 스킵하고 614 단계로 분기할 수 있다.
제어부(160)는 614 단계에서 동영상 촬영 시작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여부를 확인하고, 이 단계에서 동영상 촬영 시작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616 단계에서 드로잉 기능 호출을 위한 이벤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드로잉 기능 호출을 위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618 단계로 분기하여 드로잉 기능 호출에 따른 정보 편집 기능을 지원한다. 한편 제어부(160)는 614 단계에서 동영상 촬영 시작 이후 616 단계 및 618 단계를 스킵하고 620 단계로 진입하여 동영상 촬영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616 단계에서 드로잉 기능 호출 이벤트 발생이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618 단계를 스킵하고 620 단계로 분기할 수 있다.
620 단계에서 동영상 촬영 종료를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622 단계로 분기하여 저장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여부를 확인한다. 그리고 저장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624 단계에서 촬영된 동영상 또는 정보가 기입된 동영상을 저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623 단계로 분기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정보 편집 기능을 드로잉 기능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카메라 운용 방법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드로잉 기능은 사용자 선택에 따라, 단말기(100) 배치 상태에 따라, 디폴트 설정에 따라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으로 대체되거나 전환될 수 도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의 상태를 확인하고,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가로 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드로잉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 또는 상기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상기 단말기(100)의 상태가 세로 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 또는 드로잉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을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단말기(100)의 상태 변경을 확인하고,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가로 모드 상태에서 세로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드로잉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을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으로 변경하거나,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세로 모드 상태에서 가로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드로잉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을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단말기(100)는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가로 모드 상태에서 세로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을 드로잉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으로 변경하거나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세로 모드 상태에서 가로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을 드로잉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으로 변경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가 기입된 영상을 검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단말기(100) 제어부(160)는 701 단계에서 전원부로부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단말기(100)의 각 구성들의 운용에 필요한 전원을 생성하고 이를 각 구성들에 공급할 수 있다.
이후 제어부(160)는 703 단계에서 카메라 DB(153) 검색을 위한 입력 신호 발생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입력된 입력 신호가 카메라 DB(153) 검색을 위한 입력 신호가 아닌 경우 제어부(160)는 705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기능 예를 들면 단말기(100) 지원 여부에 따라 통화 기능, 파일 재생 기능, 웹 접속 기능, 방송 수신 기능 등을 수행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703 단계에서 카메라 DB(153) 검색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제어부(160)는 707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입력 신호가 드로잉 연동 데이터 검색을 위한 입력 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드로잉 연동 데이터는 특정 영상에 정보가 기입된 데이터 중 드로잉 정보가 기입된 특정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정보 편집기는 드로잉 기능을 지원할 수 있으므로, 카메라 DB(153)에는 드로잉 정보가 기입된 영상 데이터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영상 검색 방법에서 카메라 DB(153)에 저장된 데이터가 드로잉 연동 데이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정보가 기입된 영상에서 정보는 텍스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앞서 도 4 등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키맵으로 구성된 문자 입출력 기능의 문자 편집기가 정보 편집기로서 제공될 수 있다.
한편 707 단계에서 입력 신호가 일반 데이터 즉 별도의 정보 기입이 없는 사진이나 동영상 검색을 위한 입력 신호인 경우 제어부(160)는 709 단계로 분기하여 해당 입력 신호에 따른 사진 또는 동영상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그리고 707 단계에서 입력 신호가 연동 데이터 검색을 위한 입력 신호인 경우 제어부(160)는 711 단계로 분기하여 드로잉 연동 데이터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160)는 드로잉 연동 데이터의 출력 시 해당 데이터 특성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출력을 지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60)는 정보가 기입된 사진 검색 시 사진과 정보를 각각 하나의 표시부(140) 화면에 동시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60)는 표시부(140) 화면을 분할하거나 일정 영역을 할당하고, 분할된 화면 또는 할당에 따라 구분된 화면들에 정보와 사진 이미지를 각각 구분하여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사진 촬영 완료 후 저장 직전에 정보가 기입된 경우 사진 이미지와 정보를 각각 풀 스크린 화면으로 출력하되, 일정 시간 간격으로 토글되는 방식에 따라 표시부(140)에 출력하도록 지원할 수 도 있다.
한편 제어부(160)는 동영상 촬영 중 정보가 기입된 데이터에 대해서는 해당 데이터 검색을 위한 입력 신호가 발생하면, 동영상 촬영 중 기입된 정보의 시간 정보를 수집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수집된 시간 정보에 맞추어 동영상 재생 중에 해당 정보가 출력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데이터 검색 시 특정 동영상을 검색하면서 어떠한 정보가 어떠한 시점에 기입되었는지를 보다 면밀히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그에 따른 데이터 검색을 보다 용이하고 쉽게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는 사용자가 카메라 모듈을 운용하여 사진이나 동영상을 촬영하는 과정에서 다양한 형태의 정보 편집을 영상 촬영 전, 촬영 중, 촬영 후 중 적어도 한 시점에 사용자가 원하는 특정 정보를 기입하도록 지원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단순히 영상만을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사용자가 첨가하고자 하는 정보를 카메라 운용 중에 추가할 수 있도록 지원하되, 보다 다양하고 편리한 방식으로 기입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다양한 추가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단말기(100)는 근거리 통신을 위한 근거리통신모듈, 상기 단말기(100)의 유선통신방식 또는 무선통신방식에 의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인터페이스, 인터넷 네트워크와 통신하여 인터넷 기능을 수행하는 인터넷통신모듈 및 디지털 방송 수신과 재생 기능을 수행하는 디지털방송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들은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상기 언급된 구성 요소들과 동등한 수준의 구성 요소가 상기 디바이스에 추가로 더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단말기(1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에서 특정 구성들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는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겐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단말기(100)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communication protocols)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들(mobile communication terminals)을 비롯하여,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디지털방송 플레이어,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음악 재생기(예컨대, MP3 플레이어), 휴대게임단말,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Notebook) 및 핸드헬드 PC 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을 통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며, 비록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 : 단말기 110 : 통신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51 : 카메라 지원 프로그램 153 : 카메라 DB
160 : 제어부 161 : 영상 수집 지원부
163 : 정보 편집 지원부
120 : 입력부 130 : 오디오 처리부
140 : 표시부 150 : 저장부
151 : 카메라 지원 프로그램 153 : 카메라 DB
160 : 제어부 161 : 영상 수집 지원부
163 : 정보 편집 지원부
Claims (20)
-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하는 과정;
정보 기입 기능을 가지는 정보 편집 영역을 이미지 영역과 함께 출력하는 출력 과정으로, 상기 이미지 영역은 프리뷰 이미지 출력을 위한 프리뷰 영역, 촬영 완료에 따른 촬영 이미지 영역, 및 촬영 중 상태에 따른 촬영 중 영역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력 과정;
상기 정보 편집 영역 상의 정보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
상기 정보 편집 영역 상에 입력된 정보를 상기 이미지 영역에 표시된 사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와 통합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는 과정; 및
상기 저장된 데이터 중 출력 데이터를 검색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출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출력 아이템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운용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편집 영역을 상기 이미지 영역과 함께 출력하는 출력 과정은
표시부를 화면 분할하는 과정;
분할된 화면 일측에 상기 이미지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분할된 나머지 화면에 상기 정보 편집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운용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편집 영역을 상기 이미지 영역과 함께 출력하는 출력 과정은
상기 이미지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출력되는 이미지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영역에 상기 정보 편집 영역을 오버레이시켜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운용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편집 영역을 상기 이미지 영역과 함께 출력하는 출력 과정은
터치 이벤트에 따른 선이나 이미지 기입이 가능한 드로잉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
키맵 기반으로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를 출력하는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운용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단말기의 상태를 확인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가로 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드로잉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 또는 상기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세로 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 또는 드로잉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을 출력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운용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단말기의 상태 변경을 확인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가로 모드 상태에서 세로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드로잉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을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으로 변경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세로 모드 상태에서 가로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드로잉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을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으로 변경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가로 모드 상태에서 세로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을 드로잉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으로 변경하는 과정;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세로 모드 상태에서 가로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을 드로잉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으로 변경하는 과정; 중 어느 하나의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운용 방법.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로 저장하는 과정은
동영상 내 상기 정보가 입력된 시점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함께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운용 방법.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 아이템을 출력하는 과정은
상기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동영상 재생 중 출력되는 상기 출력 아이템의 출력 시점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운용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편집 영역에 기입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
정보 기입이 없는 경우 상기 이미지 영역 상의 사진 또는 동영상만을 저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운용 방법. - 사진 또는 동영상 촬영을 지원하는 카메라 모듈;
정보 기입 기능을 가지는 정보 편집 영역을 이미지 영역과 함께 출력하는 표시부로, 상기 이미지 영역은 프리뷰 이미지 출력을 위한 프리뷰 영역, 촬영 완료에 따른 촬영 이미지 영역, 및 촬영 중 상태에 따른 촬영 중 영역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부;
메모리; 및
상기 이미지 영역과 상기 정보 편집 영역을 동시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정보 편집 영역 상의 정보 입력을 감지하고, 상기 정보 편집 영역 상에 입력된 정보를 상기 이미지 영역에 표시된 사진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와 통합하여 데이터로 저장하도록 상기 메모리를 제어하고, 상기 저장된 데이터 중 출력 데이터를 검색하는 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출력 데이터에 대응하는 출력 아이템을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운용 중 정보 기입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표시부를 화면 분할하고, 분할된 화면 일측에 상기 이미지 영역을 출력하며, 상기 분할된 나머지 화면에 상기 정보 편집 영역을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거나,
상기 이미지 영역을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출력되는 이미지 영역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할당한 후 상기 할당된 영역에 상기 정보 편집 영역을 오버레이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운용 중 정보 기입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 편집 영역은
터치 이벤트에 따른 선이나 이미지 기입이 가능한 드로잉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
키맵 기반으로 선택된 키에 대응하는 문자를 출력하는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 중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운용 중 정보 기입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 제13항에 있어서,
단말기의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 검출을 위한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운용 중 정보 기입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가로 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드로잉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 또는 상기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세로 모드 상태인 경우 상기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 또는 드로잉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을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운용 중 정보 기입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가로 모드 상태에서 세로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드로잉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을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으로 변경하고,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세로 모드 상태에서 가로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드로잉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을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으로 변경하며,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가로 모드 상태에서 세로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을 드로잉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으로 변경하고,
상기 단말기의 상태가 세로 모드 상태에서 가로 모드로 변경되는 경우 상기 키맵 기반의 문자 입출력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을 드로잉 기능 지원의 정보 편집 영역으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운용 중 정보 기입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 삭제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동영상 내 상기 정보가 입력된 시점에 대응하는 시간 정보를 함께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운용 중 정보 기입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동영상 재생 중 출력되는 상기 출력 아이템의 출력 시점이 조절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운용 중 정보 기입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저장 시 상기 정보 편집 영역에 기입된 정보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정보 기입이 없는 경우 상기 이미지 영역 상의 사진 또는 동영상만을 저장하도록 제어하며,
상기 데이터 저장 시 상기 정보 편집 영역이 드로잉 기능 지원인 경우 상기 사진 또는 동영상과 함께 상기 정보 편집 영역의 정보를 이미지 형태로 저장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운용 중 정보 기입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8789A KR101828303B1 (ko) | 2011-11-15 | 2011-11-15 |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US13/667,514 US9357049B2 (en) | 2011-11-15 | 2012-11-02 | Method of operating camera including information supplement function and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10118789A KR101828303B1 (ko) | 2011-11-15 | 2011-11-15 |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53176A KR20130053176A (ko) | 2013-05-23 |
KR101828303B1 true KR101828303B1 (ko) | 2018-03-22 |
Family
ID=48280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118789A KR101828303B1 (ko) | 2011-11-15 | 2011-11-15 |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9357049B2 (ko) |
KR (1) | KR10182830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50420B1 (ko) * | 2013-06-20 | 2020-01-08 |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 영상신호 저장 방법 |
CN105959550A (zh) * | 2016-05-27 | 2016-09-21 |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 照相机智能搜拍实时显示方法及系统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053342A1 (en) * | 2008-09-04 | 2010-03-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mage edit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
Family Cites Familie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17809B1 (ko) | 2007-12-06 | 2014-07-09 | 삼성전자주식회사 | 스티커 합성이 수행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제어방법 및 이 방법을 채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
KR101538381B1 (ko) | 2008-01-09 | 2015-07-2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휴대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2011
- 2011-11-15 KR KR1020110118789A patent/KR10182830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2
- 2012-11-02 US US13/667,514 patent/US9357049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00053342A1 (en) * | 2008-09-04 | 2010-03-04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Image edit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terminal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357049B2 (en) | 2016-05-31 |
KR20130053176A (ko) | 2013-05-23 |
US20130120631A1 (en) | 2013-05-1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022444B1 (ko) | 복수의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에서 유효한 영상들을 합성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위한 휴대 단말 | |
KR102076773B1 (ko) | 영상 데이터 획득 방법 및 그 방법을 처리하는 전자 장치 | |
EP3226537B1 (en) |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 |
CN104346099B (zh) |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 |
KR101735302B1 (ko) | 카메라의 빠른 연계 기능 실행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 단말기 | |
EP2783507B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photographing an image in a user device | |
JP7508529B2 (ja) | スマートフォン、スマートフォン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 | |
CN101997945A (zh) | 移动终端中的显示设备和控制该显示设备的方法 | |
KR20170112497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335325B1 (ko) | 표시제어장치 및 표시제어 방법 | |
CN104813322A (zh) |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 |
CN101674409A (zh) | 具有全景摄影功能的移动终端及控制其操作的方法 | |
CN102281349A (zh) |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 |
KR20080028069A (ko) | 휴대용 단말기의 멀티미디어 컨텐트 관리 장치 및 방법 | |
KR20180133743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US9491401B2 (en) | Video call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method | |
US20130100329A1 (en) | Image pickup apparatus | |
KR101828303B1 (ko) | 정보 기입 기능을 포함하는 카메라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
US11681487B2 (en) |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and storage medium | |
CN108108098B (zh) | 一种图像选取方法及移动终端 | |
CN106354357A (zh) | 信息显示方法及装置 | |
KR20050116699A (ko) | 휴대용단말을 이용한 멀티분할 촬영 장치 및 방법 | |
KR101631436B1 (ko) | 휴대 단말기의 동작방법 | |
KR20130132189A (ko) | 인물 사진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단말기 | |
EP2642384B1 (en) | Methods and devices for providing a wallpaper viewfind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