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15093B1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815093B1 KR101815093B1 KR1020150090143A KR20150090143A KR101815093B1 KR 101815093 B1 KR101815093 B1 KR 101815093B1 KR 1020150090143 A KR1020150090143 A KR 1020150090143A KR 20150090143 A KR20150090143 A KR 20150090143A KR 101815093 B1 KR101815093 B1 KR 10181509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wall
- connector
- lock
- housing
- plate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3
- 230000013011 mat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8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9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0000007704 transi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9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6073 displacement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76 sold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304 fi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717 retain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2777 electrically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810 insula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225 synapse Anatomy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1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operating with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or with a coupling device exclusively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 H01R12/716—Coupling device provided on the PCB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2—Printed circuits being in the same plan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1—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2—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73—Coupling devices for rigid printing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upling with the edge of the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onnecting to othe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0—Pins, blades, or sockets shaped, or provided with separate member, to retain co-operating parts togethe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1—Latching means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과제) 로크부의 손상이나 상대 커넥터의 의도하지 않은 빠짐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한 로크 금구를 갖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해결 수단) 로크 금구(30)는, 하우징의 측벽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당해 측벽에 보유지지되고 혹은 단부벽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당해 단부벽에 보유지지되는 로크 판부(35)와, 당해 로크 판부(35)에 대면하는 하우징의 돌출벽의 기립면을 따라 연장되어 당해 돌출벽에 보유지지되는 기립면 보강 판부(31)와, 저벽(底壁)을 따라 연장되어 로크 판부(35) 및 기립면 보강 판부(31)의 저벽측 단부끼리를 연접(連接)하는 연접 저부(34)를 갖고 있다.
(해결 수단) 로크 금구(30)는, 하우징의 측벽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당해 측벽에 보유지지되고 혹은 단부벽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당해 단부벽에 보유지지되는 로크 판부(35)와, 당해 로크 판부(35)에 대면하는 하우징의 돌출벽의 기립면을 따라 연장되어 당해 돌출벽에 보유지지되는 기립면 보강 판부(31)와, 저벽(底壁)을 따라 연장되어 로크 판부(35) 및 기립면 보강 판부(31)의 저벽측 단부끼리를 연접(連接)하는 연접 저부(34)를 갖고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고 당해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커넥터 삽입 및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가 삽입 및 발출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상대 커넥터에 대하여 커넥터 발출 방향에서 로크(lock) 가능한 로크 금구를 갖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이런 종류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리셉터클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는, 회로 기판 상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고 당해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일 방향을 긴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하우징과, 당해 긴 길이 방향을 단자 배열 방향으로 하여 하우징에 배열 보유지지되는 복수의 단자와, 단자 배열 방향에서의 단자 배열 범위 외의 하우징 양단부에서 당해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로크 금구를 갖고 있다.
하우징은, 상기 실장면에 대면하는 저벽(底壁)과, 당해 저벽의 중앙부에서 기립하여 상기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벽과, 당해 저벽의 주연(周緣)에서 기립하여 상기 돌출벽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갖고 있다. 당해 둘레벽은,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과, 이것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방향(하우징의 짧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단부벽을 갖고 있다. 상기 돌출벽과 상기 둘레벽과의 사이에서 상방으로 개구한 환상(環狀) 공간은,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부를 상방으로부터 수용하는 수용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로크 금구는, 금속판 부재를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커넥터 삽입 및 발출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대략 U자 형상을 이루는 기부(基部)와 함께, 당해 기부로부터 연장되는 피(被)보유지지부, 측벽측 로크 아암부 그리고 단부벽측 로크 아암부를 각각 두개씩 갖고 있다.
기부는,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부벽측 기부와, 당해 단부벽측 기부의 양단에서 굴곡되어 단자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측벽측 기부를 갖고 있다. 피보유지지부는, 단자 배열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측벽측 기부 하연(下緣)으로부터 대략 L자 형상을 이루어 하우징의 측벽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그 대략 L자 형상 중 커넥터 삽입 및 발출 방향으로 연장되는 압입 아암부가 하우징의 측벽의 대응홈으로 압입되어 보유지지되어 있다. 측벽측 로크 아암부는, 측벽측 기부로부터 단자 배열 방향 안쪽을 향하여 외팔보 형상으로 연출(延出)되어 있고, 그 판두께 방향(커넥터 폭방향)으로 탄성 휨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단부벽측 로크 아암부는, 하우징의 저벽 가까운 위치에서 단부벽측 기부 하연에서 U자 형상으로 되접혀 커넥터 발출 방향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그 판두께 방향(단자 배열 방향)에서 탄성 휨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측벽측 로크 아암부 및 단부벽측 로크 아암부의 각각의 판면에는, 하우징의 수용부측을 향하여 돌출된 로크부가 형성되어 있고,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대 커넥터로서의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대응 로크부와 걸림하여 로크하도록 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리셉터클 커넥터에서는, 로크 금구는, 피보유지지부가 하우징에 보유지지되어 있는 것, 측벽측 로크 아암부 및 단부벽측 로크 아암부 자체는 외팔보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어 하우징에 보유지지되어 있지 않고, 하우징과의 사이에 극간을 형성하고 있고, 기부와의 경계 위치를 지점으로 하여 판두께 방향에서 용이하게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형태에 있어서, 측벽측 로크 아암부 및 단부벽측 로크 아암부에 대하여 상방을 향한 큰 외력이 작용했을 때에는, 측벽측 로크 아암부 및 단부벽측 로크 아암부는, 상기 기부와의 경계 위치를 지점으로 하여 커넥터 발출 방향으로도 변위되어 버린다. 따라서,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 있는 플러그 커넥터에 대하여 과대한 발출력이 의도하지 않게 작용했을 때에는, 단부벽측 로크 아암부 및 측벽측 로크 아암부는, 로크부가 상대 커넥터의 대응 로크부를 걸림한 채로 커넥터 발출 방향으로 무리하게 들어올려짐으로써 변형하여 손상되고, 또한, 플러그 커넥터가 빠져 버릴 우려도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감안하여, 로크부의 손상이나 상대 커넥터의 의도하지 않은 빠짐을 확실하게 방지하기 위한 로크 금구를 갖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제1 발명>
제1 발명에 따른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고 당해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커넥터 삽입 및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가 삽입 및 발출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일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된 단자 및 로크 금구와, 당해 단자 및 로크 금구를 배열 보유지지하는 하우징을 갖고, 하우징은, 상기 실장면에 대면하는 저벽과, 당해 저벽으로부터 기립하여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벽과, 당해 저벽으로부터 기립하여 상기 돌출벽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갖고, 당해 둘레벽은,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측벽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부벽을 갖고 있고, 상기 돌출벽과 상기 둘레벽과의 사이의 환상 공간이, 당해 환상 공간의 개구측으로부터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로서 형성되고, 로크 금구는, 금속판 부재를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상기 단자보다도 외측의 위치에서 하우징에 보유지지되어 상대 커넥터에 대하여 커넥터 발출 방향에서 로크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제1 발명에서는, 로크 금구는, 하우징의 측벽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당해 측벽에 보유지지되고 혹은 단부벽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당해 단부벽에 보유지지되는 로크 판부와, 당해 로크 판부에 대면하는 하우징의 돌출벽의 기립면을 따라 연장되어 당해 돌출벽에 보유지지되는 기립면 보강 판부와, 저벽을 따라 연장되어 로크 판부 및 기립면 보강 판부의 저벽측 단부끼리를 연접(連接)하는 연접 저부를 갖고 있다.
제1 발명에서는, 로크 금구의 로크 판부는, 하우징의 측벽 혹은 단부벽에 보유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끼워맞춤 전후에 있어서 로크 판부가 탄성 변위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상대 커넥터에 대하여 커넥터 발출 방향에서의 과대한 발출력이 의도하지 않게 작용해도, 로크 판부가 변형하여 손상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로크 상태가 유지되어, 상대 커넥터의 의도하지 않은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제1 발명에서는, 로크 금구는, 하우징의 돌출벽에 보유지지되어 있는 기립면 보강 판부도 갖고 있기 때문에, 당해 기립면 보강 판부에 의해, 커넥터 삽입 및 발출 과정에서, 상대 커넥터와의 간섭에 의해 돌출벽의 기립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크 판부는, 하우징의 돌출벽에 보유지지되어 있는 기립면 보강 판부에 연접 저부를 개재하여 연접되어 있어, 기립면 보강 판부와 로크 판부가 서로 보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대 커넥터에 과대한 발출력이 의도하지 않게 작용해도, 로크 판부에서 상기 발출력에 대하여 보다 큰 힘으로 대항할 수 있어, 로크 판부의 변형 그리고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발명에 있어서, 로크 금구는, 기립면 보강 판부의 개구측 단부로부터 하우징의 돌출벽의 정부(頂部)를 따라 연장되어 당해 돌출벽에 보유지지되는 정부면 보강 판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로크 금구에 정부면 보강 판부를 형성함으로써, 정부면 보강 판부에 의해, 커넥터 삽입 및 발출 과정에서, 상대 커넥터와의 간섭에 의해 돌출벽의 정부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기립면 보강 판부뿐만이 아니라 정부면 보강 판부도 돌출벽에 의해 보유지지됨으로써, 로크 금구에 있어서 돌출벽으로 보유지지되는 부위가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연접 저부를 개재하여 정부면 보강 판부 그리고 기립면 보강 판부에 연접된 로크 판부에 있어서, 의도하지 않은 발출력에 대하여 더욱 큰 힘으로 대항할 수 있어, 로크 판부의 변형 그리고 손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1 발명에 있어서, 로크 금구는, 로크 판부의 개구측 단부로부터 이행(移行)부를 거쳐 하우징의 저벽측으로 연장되어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를 갖고 있어도 좋다. 이와 같이 로크 금구에 피보유지지부를 형성함으로써, 피보유지지부가 이행부를 개재하여 로크 판부와 연결된다. 그 결과, 로크 금구는, 하우징에서 보유지지되는 부위가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이행부를 개재하여 피보유지지부에 연결된 로크 판부에 있어서, 의도하지 않은 발출력에 대하여 더욱 큰 힘으로 대항할 수 있어, 로크 판부의 변형 그리고 손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1 발명에 있어서, 로크 금구는, 단부벽을 따라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갖고 있고, 로크 판부는, 두 개의 측벽의 각각 한 개씩 형성되어 있고, 두 개의 당해 로크 판부가 상기 연결부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제2 발명>
제2 발명에 따른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는,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고 당해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커넥터 삽입 및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가 삽입 및 발출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일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된 단자 및 로크 금구와, 당해 단자 및 로크 금구를 배열 보유지지하는 하우징을 갖고, 하우징은, 상기 실장면에 대면하는 저벽과, 당해 저벽으로부터 기립하여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벽과, 당해 저벽으로부터 기립하여 상기 돌출벽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갖고, 당해 둘레벽은,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측벽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부벽을 갖고 있고, 상기 돌출벽과 상기 둘레벽과의 사이의 환상 공간이, 당해 환상 공간의 개구측으로부터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로서 형성되고, 로크 금구는, 금속판 부재를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상기 단자보다도 외측의 위치에서 하우징에 보유지지되어 상대 커넥터에 대하여 커넥터 발출 방향에서 로크 가능하게 되어 있다.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는, 로크 금구는, 하우징의 두 개의 측벽의 각각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각 측벽에 한 개씩 보유지지되는 로크 판부와, 두 개의 측벽의 각각에서 보유지지된 로크 판부 중 한쪽의 로크 판부에 대면하는 하우징의 돌출벽의 기립면을 따라 연장되어 당해 돌출벽에 보유지지되는 기립면 보강 판부와, 저벽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한쪽의 로크 판부 및 기립면 보강 판부의 저벽측 단부끼리를 연접하는 연접 저부와, 다른 한쪽의 로크 판부의 저벽측 단부로부터 저벽을 따라 돌출벽측을 향하여 연출되는 연출부와, 당해 다른 한쪽의 로크 판부에 대면하는 하우징의 돌출벽의 기립면을 따라 상기 연출부로부터 연장됨과 함께, 커넥터 폭방향에서 탄성 변위하여 상대 커넥터에 설치된 상대 단자와 접압을 통해 접촉 가능한 접촉 아암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제2 발명에 있어서도, 이미 서술한 제1 발명과 동일하게, 로크 금구의 로크 판부는, 하우징의 측벽 혹은 단부벽에 보유지지되어 있음과 함께, 기립면 보강 판부에 연접 저부를 개재하여 연접되어 있기 때문에, 상대 커넥터에 과대한 발출력이 의도하지 않게 작용해도, 로크 판부의 변형 그리고 손상이 방지된다. 또한, 제1 발명과 동일하게, 기립면 보강 판부에 의해, 커넥터 삽입 및 발출 과정에서, 상대 커넥터와의 간섭에 의해 돌출벽의 기립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2 발명에서는, 접촉 아암부에 의해 상대 단자와 접압을 통해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기 때문에, 로크 금구를 단자로서 겸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서는, 로크 금구의 로크 판부는, 하우징의 측벽에 보유지지되어 있는 것에 더하여, 돌출벽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는 기립면 보강 판부와 연결되어 있어 서로 보강하기 때문에,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상대 로크 금구에 과대한 발출력이 의도하지 않게 작용한 경우라도, 로크 판부에서, 큰 대항력을 갖고 상기 발출력에 대항할 수 있기 때문에, 로크 판부의 변형 그리고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로크 기능을 확실하게 유지하여 상대 커넥터의 의도하지 않은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끼워맞춤되는 플러그 커넥터의 사시도이며, 커넥터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를, 하우징을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 로크 금구 및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로크 금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를 상하 반전시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을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C)는 도 4(A)의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로크 금구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斷面圖)이며, 상기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로크 금구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6(A)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로크 금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B)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로크 금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를, 하우징을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의 리셉터클 로크 금구 및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로크 금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를 상하 반전시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플러그 커넥터의 하우징을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C)는 도 4(A)의 플러그 커넥터의 플러그 로크 금구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 및 플러그 커넥터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斷面圖)이며, 상기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로크 금구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도 6(A)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로크 금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6(B)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로크 금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 도면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커넥터(1) 및 이에 대하여 상방으로부터 끼워맞춤되는 플러그 커넥터(2)의 사시도이며, 커넥터 끼워맞춤 전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커넥터(1) 및 플러그 커넥터(2)는, 각각 상이한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이며, 각 회로 기판의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도 1에서의 상하 방향)을 삽입 및 발출 방향으로 하는 커넥터 조립체를 구성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커넥터(1)에 대한 플러그 커넥터(2)의 끼워맞춤 방향, 즉 도 1에서 플러그 커넥터(2)를 하방을 향하여 이동시키는 방향을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으로 하고, 그 반대 방향, 즉 도 1에서의 상방을 향하는 방향을 「커넥터 발출 방향」으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에 대한 상대 커넥터인 리셉터클 커넥터(1)의 끼워맞춤 방향 및 발출 방향은, 각각 전술한 플러그 커넥터(2)의 「커넥터 끼워맞춤 방향」 및 「커넥터 발출 방향」의 반대 방향이 된다.
[리셉터클 커넥터(1)의 구성]
리셉터클 커넥터(1)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대략 직방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10)과,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는 하우징(10)의 긴 길이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당해 하우징(10)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배열 보유지지되는 복수의 리셉터클 신호 단자(20)(이하, 단순히 「리셉터클 단자(20)」라고 함) 및 리셉터클 로크 금구(30)를 갖고 있다. 상기 배열 방향의 「배열」이란, 리셉터클 커넥터(1)를 하우징(10)의 짧은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단순히 리셉터클 단자(20) 및 리셉터클 로크 금구(30)가 상기 긴 길이 방향에서 서로 상이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는 것을 의미하고 있고, 리셉터클 커넥터(1)를 상기 긴 길이 방향으로 보았을 때에, 리셉터클 단자(20) 및 리셉터클 로크 금구(30)가 동일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까지는 요구되지 않는다.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단자(20)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하우징(10)의 중앙에 가까운 범위에서, 커넥터 폭방향에서 대칭인 2열을 이루어 설치되어 있고, 각 열에 2개씩 배열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로크 금구(30)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리셉터클 단자(20)의 배열 범위에 대하여 양쪽의 외측 위치에서 하우징(10)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리셉터클 커넥터(1)는, 도 1에서 나타나는 자세로, 회로 기판 상에 배치 실장된다.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은, 수지 등의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고, 부착 대상면인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저면을 통해 상기 배열 방향을 긴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저벽(11)과, 저벽(11)으로부터 기립함과 함께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벽(12)과, 저벽(11)으로부터 기립하여 돌출벽(12)을 둘러싸는 둘레벽(13)을 갖고 있다. 당해 둘레벽(13)은, 서로 대향하여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측벽(14)과, 당해 두 개의 측벽(14)의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상기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방향(하우징(10)의 짧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단부벽(15)을 갖고 있다. 둘레벽(13)과 돌출벽(12)과의 사이에서 상방으로 개구한 사각 환상의 공간은, 플러그 커넥터(2)의 끼워맞춤부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16)를 형성하고 있다.
돌출벽(12)은,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리셉터클 단자(20)에 대응하는 위치에 신호용 홈부(12A)가, 그리고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에 형성된 후술하는 접촉 아암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전원용 홈부(12B)가, 돌출벽(12)의 측면(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으로부터 함몰됨과 함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관통 형성되어 있다(전원용 홈부(12B)에 관해서는 도 5를 참조).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신호용 홈부(12A)는 돌출벽(12)의 양측의 측면에 형성되고, 전원용 홈부(12B)는, 돌출벽(12)의 편측(片側)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돌출벽(12)의 일단측에 형성된 전원용 홈부(12B)와 타단측에 형성된 전원용 홈부(12B)는, 서로 반대측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신호용 홈부(12A)는 리셉터클 단자(20)의 후술하는 신호 접촉 아암부(22)를 수용하고, 전원용 홈부(12B)에는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의 후술하는 전원 접촉 아암부(43)를 수용한다.
둘레벽(13)의 내면(수용부(16)측에 위치하는 면)의 상부에는, 수용부(16)를 향함에 따라 하방으로 경사지는 안내면(17)이 형성되어 있다. 당해 안내면(17)은, 측벽(14)의 내면에 형성된 측방 안내면(17A)과, 단부벽(15)의 내면에 형성된 단부 안내면(17B)과, 측벽(14)과 단부벽(15)과의 경계 부분의 내면에 형성된 모퉁이 안내면(17C)을 갖고 있다.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측방 안내면(17A)은, 측벽(14)에 있어서의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복수 위치에 간헐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단부 안내면(17B)은, 단부벽(15)의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모퉁이 안내면(17C)은,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가장 바깥 위치의 측방 안내면(17A)과 상기 단부 안내면(17B)을 연결하고 있다.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1) 및 플러그 커넥터(2)를, 하우징(10)을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도 1 및 도 2에 기초하여, 리셉터클 단자(20)의 구성을 설명한다. 리셉터클 단자(20)는, 띠 형상의 금속판 스트립(strip)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하우징의 저벽(11)을 따라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기저부(21)와, 당해 기저부(21)의 돌출벽(12)측의 단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신호 접촉 아암부(22)와, 기저부(21)의 측벽(14)측의 단부에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고 나서 하방을 향하여 되접혀진 역U자 형상의 피보유지지부(23)와, 당해 피보유지지부(23)의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접속부(24)를 갖고 있다.
기저부(21)는, 커넥터 폭방향에서 수용부(16)를 포함하는 범위에 걸쳐 연장되어 있고, 당해 기저부(21)의 상면이 수용부(16) 내를 향하여 노출된 상태에서, 저벽(11)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다. 신호 접촉 아암부(22)는, 돌출벽(12)의 신호용 홈부(12A) 내에 수용되어 있고, 그 판두께 방향(커넥터 폭방향)에서 탄성 변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당해 신호 접촉 아암부(22)는, 그 자유단측인 상단측 부분이 측벽(14)을 향하여 볼록 만곡하고 있고, 그 볼록 만곡한 부분이 후술하는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단자(60)와 접촉하기 위한 신호 접촉 돌출부(22A)로서 형성되어 있다. 신호 접촉 아암부(22)는, 자유 상태에서, 신호 접촉 돌출부(22A)의 만곡 정부가 하우징(10)의 신호용 홈부(12A)로부터 돌출하여 수용부(16) 내에 위치하고 있다.
피보유지지부(23)는, 기저부(21)의 측벽(14)측의 단부로부터 당해 측벽(14)의 내면을 따라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측 아암부(23A)와, 당해 내측 아암부(23A)의 상단으로부터 연속하여 당해 내측 아암부(23A)보다도 커넥터 폭방향 외측 위치에서 하방을 향하여 되접혀지는 이행부(23B)와, 당해 이행부(23B)를 거쳐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외측 아암부(23C)를 갖고 있고, 측벽(14)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다.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당해 피보유지지부의 상단, 환언하면 이행부(23B)의 상단은, 상하 방향에서 측방 안내면(17A)의 하연과 거의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고 있다.
내측 아암부(23A)는, 수용부(16) 내를 향하여 판면이 노출되어 있고, 당해 판면으로부터 직사각형 형상으로 함몰된 로크 오목부(23A-1)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로크 오목부(23A-1)는, 예를 들면, 프레스 가공 등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그 폭 치수(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치수)는 내측 아암부(23A)의 폭 치수보다 작게 되어 있다. 당해 로크 오목부(23A-1)는, 후술하는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단자(60)의 피로크 단차부(61A-1)에 걸림으로써,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를 유지하여 커넥터끼리의 빠짐을 방지함과 함께, 당해 피로크 단차부(61A-1)와의 걸림시에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함으로써, 상기 신호 접촉 돌출부(22A)를 보조하는 역할도 한다.
이행부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상면의 일부가 측방 안내면(17A)끼리 사이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외측 아암부(23C)는, 측벽(14)으로부터 노출되는 일 없이 당해 측벽(14) 내에 매설 보유지지되어 있다. 또한, 당해 외측 아암부(23C)는, 도 2에 잘 보이는 바와 같이, 하부의 폭 치수(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치수)가 다른 부의 폭 치수보다도 작게 되어 있다.
접속부(24)는,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기저부(21)와 동일한 높이 위치에서, 외측 아암부(23C)의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측벽(14)의 외면과 거의 동일 위치에까지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우징(10)의 저벽(11)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당해 접속부(24)는, 회로 기판의 대응 신호 회로부에 땜납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3에 기초하여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1)의 리셉터클 로크 금구(30) 및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로크 금구(7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로크 금구(30)는, 로크 금구로서의 기능뿐만 아니라,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단,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에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리셉터클 로크 금구(30)는,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방으로부터 보아, 돌출벽(12)의 위치에 형성되는 부분과, 두 개의 측벽(14)의 각각의 위치에 형성되는 부분과, 단부벽(15)의 위치에 형성되는 부분과, 수용부(16)의 위치에 형성되는 부분으로 크게 나누어진다.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에 있어서의, 돌출벽(12)의 위치에 형성되는 부분은,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돌출벽(12)의 기립면으로서의 측면(커넥터 폭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을 따라 연장되는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31)와, 돌출벽(12)의 다른 기립면으로서의 단부면(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을 따라 연장되는 단부 기립면 보강 판부(32)와, 돌출벽(12)의 정부면(상면)을 따라 연장되는 정부면 보강 판부(33)와, 후술하는 연출부(42)로부터 돌출벽(12)의 전원용 홈부(12B) 내에서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전원 접촉 아암부(43)를 갖고 있다.
정부면 보강 판부(33)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돌출벽(12)의 단부의 정부면을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당해 정부면에 있어서의 전원용 홈부(12B) 이외의 영역에서 L자 형상으로 연장되어 있고, 도 1 및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31) 및 단부 기립면 보강 판부(32)의 상단끼리를 연결하고 있다.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31), 단부 기립면 보강 판부(32) 및 정부면 보강 판부(33)는, 각각 돌출벽(12)의 측면, 단부면 그리고 정부면으로부터 판면이 노출되어 있고, 당해 돌출벽(12)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31), 단부 기립면 보강 판부(32) 및 정부면 보강 판부(33)가 각각 돌출벽(12)의 측면, 단부면 그리고 정부면을 덮고 있기 때문에, 커넥터 삽입 및 발출 과정에서, 돌출벽(12)의 측면, 단부면 그리고 정부면이 플러그 커넥터와의 간섭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전원 접촉 아암부(43)는, 리셉터클 단자(20)의 신호 접촉 아암부(22)와 동일한 열을 이루어 위치하고, 판두께 방향(커넥터 폭방향)에서 탄성 변위하여, 후술하는 플러그 로크 금구(70)에 형성된 대응 전원 접촉부로서의 내측 판부(73A)(도 4(A) 내지 도 4(C) 참조)와 접압을 통해 접촉 가능하게 되어 있다. 당해 전원 접촉 아암부(43)는, 그 자유단측인 상단측 부분이 측벽(14)을 향하여 볼록 만곡하여, 그 볼록 만곡한 부분이 상기 내측 판부(73)와 접촉하기 위한 전원 접촉 돌출부(43A)로서 형성되어 있다. 전원 접촉 아암부(43)는, 자유 상태에서, 전원 접촉 돌출부(43A)의 만곡 정부가 하우징(10)의 전원용 홈부(12B)로부터 돌출되어 수용부(16) 내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에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는, 전원 접촉 아암부(43)는 생략된다.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에 있어서의, 측벽(14)의 위치에 형성되는 부분은, 당해 측벽(14)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는 로크 판부(35)와, 당해 로크 판부(35)의 상단으로부터 하방을 향하여 되접혀지는 이행부(36)와, 당해 이행부(36)를 거쳐 측벽(14)의 내부를 하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측방 피보유지지부(37)와, 당해 측방 피보유지지부(37)의 하연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측방 고정부(38)를 갖고 있다. 로크 판부(35)는, 수용부(16)측에 위치하는 판면이 측벽(14)의 내면으로부터 노출된 상태로 당해 측벽(14)에 보유지지되어 있고, 그 노출된 판면으로부터 직사각형 형상으로 함몰된 로크 오목부(35A)가 형성되어 있다.
이행부(36)는, 상방을 향하여 볼록 만곡하고 있고,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그 상면의 일부가 측방 안내면(17A)끼리 사이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측방 피보유지지부(37)는,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구멍부(37A)가 판두께 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10)과의 일체 몰드 성형시에, 당해 구멍부(37A) 내에 수지가 유입됨으로써 하우징(10)에 의한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의 보유지지를 보다 강고한 것으로 하고 있다. 측방 피보유지지부(37)는, 측벽(14)으로부터 노출되는 일 없이 당해 측벽(14)에 매설 보유지지되어 있다.
측방 고정부(38)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저벽(11)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 전원 회로부와 땜납 접속되어 고정된다. 당해 측방 고정부(38)는, 커넥터 폭방향에서 측벽(14)의 외면과 거의 동일 위치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에 있어서의, 단부벽(15)의 위치에 형성되는 부분은,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측방 피보유지지부(37)의 측연부(側緣部)(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39)와, 당해 연결부(39)의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중간 위치에서 당해 연결부(39)로부터 단부벽(15)의 외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단부 피보유지지부(40)와, 연결부(39)의 커넥터 폭방향 양단 가까운 위치에서 당해 연결부(39)로부터 배열 방향 바깥쪽으로 그리고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부 고정부(41)를 갖고 있다.
연결부(39)는, 상하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통해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기부(39A)와, 당해 연결 기부(39A)의 양단에서 굴곡되어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결 단부(39B)를 갖고 있다. 기부(39A)는, 저벽(11)을 따라 연장되어 있고 당해 저벽(11)에 보유지지되어 있다. 연결 단부(39B)는, 커넥터 폭방향에서 측방 피보유지지부(37)와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고, 측벽(14)으로부터 노출되는 일 없이 당해 측벽(14)에 매설 보유지지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연결부(39)에 의해 측방 피보유지지부(37)끼리가 연결되는 것으로 했지만, 이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로크 판부(35)끼리가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단부 피보유지지부(40)는, 연결 기부(39A)의 두 개의 측연부(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테두리부) 중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외측에 위치하는 측연부로부터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단부 피보유지지부(40)는, 단부벽(15)의 외면으로부터 판면이 노출되어 있고, 당해 단부벽(15)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다. 단부 고정부(41)는, 단부 피보유지지부(40)의 양측 위치에서, 연결 기부(39A)의 상기 배열 방향 외측의 측연부로부터 상기 배열 방향 바깥쪽 나아가서는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상방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L자 형상을 이루고 있다. 단부 고정부(41)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10)의 저벽(11)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그 하면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대하여 땜납 접속에 의해 고정된다. 당해 단부 고정부(41)는, 커넥터 폭방향에서 측벽(14)의 외면과 거의 동일 위치에까지 연장되어 있다.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에 있어서의, 수용부(16)의 위치에 형성되는 부분은,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31) 그리고 당해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31)에 대향하는 한쪽의 로크 판부(35)의 하단부끼리를 연접하는 연접 저부(34)와, 전원 접촉 아암부(43) 그리고 당해 전원 접촉 아암부(43)에 대향하는 다른 한쪽의 로크 판부(35)의 하단부끼리를 연접하는 연출부(42)를 갖고 있다. 연접 저부(34) 및 연출부(42)는, 저벽(11)을 따라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상면이 수용부(16)에 노출된 상태로 당해 저벽(11)에 보유지지되어 있다. 연출부(42)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돌출벽(12)의 전원용 홈부(12B)와 동일 위치에서, 로크 판부(35)의 하연으로부터 돌출벽(12)측을 향하여 연출되어 있다. 또한,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에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에는, 연출부(42)를 생략해도 좋다.
[플러그 커넥터(2)의 구성]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A)∼도 4(C)에 기초하여 플러그 커넥터(2)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A)는 도 1의 플러그 커넥터(2)를 상하 반전시켜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플러그 커넥터(2)의 하우징(50)을 생략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4(C)는 도 4(A)의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로크 금구(70)만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플러그 커넥터(2)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수용부(16)에 적합한 틀 형상의 끼워맞춤부(도 4(A) 참조)를 갖고 있고, 당해 끼워맞춤부가 수용부(16) 내에 끼워넣어짐으로써, 커넥터(1, 2)끼리가 끼워맞춤 접속되도록 되어 있다. 플러그 커넥터(2)는, 대략 직방체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50)과,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을 이루는 하우징(50)의 긴 길이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당해 하우징(50)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배열 보유지지되는 복수의 플러그 신호 단자(60)(이하, 단순히 「플러그 단자(60)」라고 함) 및 플러그 로크 금구(70)를 갖고 있다.
하우징(50)은, 수지 등의 전기 절연재로 만들어져 있고,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부착 대상면인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의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저면을 통해 상기 배열 방향을 긴 길이 방향으로 하여 연장되는 저벽(51)과, 당해 저벽(51)으로부터 하방(도 4(A)에서는 상방)으로 기립하는 끼워맞춤부로서의 둘레벽(53)을 갖고 있다. 당해 둘레벽(53)은, 서로 대향하여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측벽(54)과, 당해 두 개의 측벽(54)의 단부끼리를 연결하여 상기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방향(하우징(50)의 짧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두 개의 단부벽(55)을 갖고 있다. 둘레벽(53)에 의해 둘러싸여 도 1에서의 하방(도 4(A)에서는 상방)으로 개구한 공간은, 리셉터클 커넥터(1)의 돌출벽(12)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부(56)(도 4(A) 참조)를 형성하고 있다.
플러그 단자(60)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하우징(50)의 중앙에 가까운 범위에서, 커넥터 폭방향에서 대칭인 2열을 이루어 형성되어 있고, 각 열에 2개씩 배열되어 있다. 당해 플러그 단자(60)는, 띠 형상의 금속판 스트립을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2 및 도 4(B)에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측벽(54)에 보유지지되는 U자 형상의 U자 형상부(61)와, 당해 U자 형상부(61)의 두 개의 아암부 중 수용부(56)측에 위치하는 한쪽의 아암부(후술하는 내측 아암부(61C))의 도 2에서의 상단(도 4(B)에서의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되어 회로 기판의 대응 신호 회로부에 접속되는 접속부(62)를 갖고 있다. 플러그 단자(60)는, U자 형상부(61)에서, 하우징(50)과의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다.
U자 형상부(61)는,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리셉터클 커넥터(1)의 리셉터클 단자(20)의 신호 접촉 아암부(22)와 내측 아암부(23A)와의 사이에 돌입(突入)하는 부분이며, 측벽(54)을 하방(도 4(A), 도 4(B)에서의 상방)으로부터 걸치도록 하여 당해 측벽(54)에 매설되어 있다. 당해 U자 형상부(61)는, 도 1 및 도 2에 잘 보이는 바와 같이, 측벽(54)의 외면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는 외측 아암부(61A)와, 당해 외측 아암부(61A)의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내측 위치에서 상방을 향하여 되접혀지는 이행부(61B)와, 당해 이행부(61B)를 거쳐 상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내측 아암부(61C)를 갖고 있다.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U자 형상부(61)의 치수는, 리셉터클 단자(20)의 신호 접촉 돌출부(22A)와, 당해 신호 접촉 돌출부(22A)에 대향하는 내측 아암부(23A)의 판면과의 간격보다도 약간 크게 되어 있다.
U자 형상부(61)의 외측 아암부(61A)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측벽(54)의 외면으로부터 판면이 노출되어 있다. 그 노출된 판면에는, 당해 판면의 상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단차 형상을 이루고 당해 외측 아암부(61A)의 폭방향(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로크 단차부(61A-1)가 형성되어 있고, 당해 피로크 단차부(61A-1)가 리셉터클 단자(20)의 로크 오목부(23A-1)와 걸림하도록 되어 있다. 이행부(61B)는,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당해 이행부(61B)의 하면(도 4(A)에서는 상면)이 측벽(54)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내측 아암부(61C)는, 도 4(A)에 보이는 바와 같이, 수용부(56)측의 판면이 측벽(54)의 내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고, 그 노출된 판면이,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리셉터클 단자(20)의 신호 접촉 돌출부(22A)와 접압을 통해 접촉하는 대응 신호 접촉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접속부(62)는,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내측 아암부(61C)의 상단으로부터 저벽(51)의 저면을 따라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직선 형상으로 연장되고, 하우징(50) 밖으로 연출되어 있고(도 1을 참조), 회로 기판의 대응 신호 회로부에 땜납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플러그 로크 금구(70)는, 도 2 및 도 4(A)에 보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의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에 대응하여,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하우징(10)의 각 단부에 한 개씩 설치되어 있다. 당해 플러그 로크 금구(70)는,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와 로크하는 로크 기능에 더하여, 당해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의 전원 접촉 아암부(43)와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도통하는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단, 플러그 로크 금구(70)에 전원 단자로서의 기능을 구비하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플러그 로크 금구(70)는, 금속판 부재를 판두께 방향으로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도 1 및 도 2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측벽(54)의 외면을 따라 연장되는 외측 판부(71)와, 당해 외측 판부(71)의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안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이행부(72)와, 당해 이행부(72)를 거쳐 측벽(54)의 내면을 따라 상방으로 연장되는 내측 판부(73)와, 당해 내측 판부(73)의 상단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바깥쪽으로 연장되는 측방 고정부(74)와,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두 개의 내측 판부(73)끼리를 연결하는 연결부(75)와, 연결부(75)의 하연으로부터 배열 방향 안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부 피보유지지부(76)와, 연결부(75) 상연으로부터 배열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단부 고정부(77)를 갖고 있다.
외측 판부(71)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측벽(54)의 외면으로부터 판면이 노출되어 있고, 그 노출된 판면에는, 당해 판면의 상부가 함몰되어 형성된 단차 형상을 이루고 당해 외측 판부(71)의 폭방향(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피로크 단차부(71A)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피로크 단차부(71A)는, 플러그 단자(60)의 외측 아암부(61A)의 피로크 단차부(61A-1)와 동일한 높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당해 피로크 단차부(71A)는, 리셉터클 커넥터(1)와의 끼워맞춤 상태에서,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의 로크 오목부(35A)와 서로 로크하도록 되어 있다.
이행부(72)는, 측벽(54)의 하면(도 4(A)에서는 상면)을 따라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당해 이행부(72)의 하면(도 4(A)에서는 상면)이 측벽(54)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도 4(A) 참조). 내측 판부(73)는, 측벽(54)의 내면으로부터 판면이 노출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플러그 로크 금구(30)에 형성된 두 개의 내측 판부(73) 중,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의 전원 접촉 아암부(43)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내측 판부(73)는, 당해 전원 접촉 아암부(43)와 접압을 통해 접촉하는 대응 전원 접촉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측방 고정부(74)는,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내측 판부(73)의 상단(도 4(A) 내지 도 4(C)에서는 하단)으로부터 커넥터 폭방향 외측으로 연장되어,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50) 밖으로 연출되어 있고,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로 땜납 접속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당해 측방 고정부(74)는,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열 방향으로 내측 판부(73)보다도 외측 위치에까지 도달하게 연장되어 있고, 이에 따라, 상기 대응 회로부에 대하여 땜납 접속 가능한 실장 면적이 크게 확보되어 있다.
연결부(75)는, 도 2에 보이는 바와 같이, 상기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판면을 가지며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 기부(75A)와, 당해 연결 기부(75A)의 양단에서 굴곡되어 상기 배열 방향 안쪽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결 단부(75B)를 갖고 있다. 당해 연결부(75)는, 단부벽(55)에 보유지지되어 있고,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커넥터 폭방향 중앙영역의 판면은 단부벽(55)의 외면으로부터 노출되어 있다.
단부 피보유지지부(76)는, 단부벽(55)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고, 도 4(A)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단부벽(55)의 상면(도 1의 하면)으로부터 판면이 노출되어 있다. 단부 고정부(77)는, 도 1에 보이는 바와 같이, 하우징(50)의 저벽(51)으로부터 상기 배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그 상면(도 4(A)에서는 하면)에서 회로 기판의 대응부와 땜납 접속되어 고정된다.
[커넥터의 끼워맞춤 동작]
다음으로, 도 1 및 도 5에 기초하여, 커넥터(1, 2)의 끼워맞춤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5는, 도 1의 리셉터클 커넥터(1) 및 플러그 커넥터(2)의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면에서의 단면도이며, 상기 배열 방향에 있어서의 로크 금구(30, 70)의 위치에서의 단면을 나타내고 있다.
우선, 리셉터클 커넥터(1)의 리셉터클 단자(20)의 접속부(24) 및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의 측방 고정부(38)를 각각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로 땜납 접속함과 함께,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의 단부 고정부(41)를 회로 기판의 대응부로 땜납 접속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를 회로 기판에 실장한다. 또한,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단자(60)의 접속부(62) 및 플러그 로크 금구(70)의 측방 고정부(74)를 각각 다른 회로 기판의 대응 회로부에 땜납 접속함과 함께, 플러그 로크 금구(70)의 단부 고정부(77)를 상기 다른 회로 기판의 대응부에 땜납 접속하여, 플러그 커넥터(2)를 상기 다른 회로 기판에 실장한다.
다음으로, 도 1 및 도 5에 보이는 바와 같이, 리셉터클 커넥터(1)를 수용부(16)가 상방으로 개구한 자세로 함과 함께, 플러그 커넥터(2)를 수용부(56)가 하방으로 개구한 자세로 하여 당해 리셉터클 커넥터(1)의 상방 위치로 가져온다. 그리고, 도 1 및 도 5에서 화살표로 나타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를 하방으로 이동시키고, 당해 플러그 커넥터(2)의 끼워맞춤부를 리셉터클 커넥터(1)의 수용부(16) 내에 끼워넣는다.
이 결과, 플러그 커넥터(2)의 플러그 단자(60)의 U자 형상부(61)는, 리셉터클 커넥터(1)의 리셉터클 단자(20)의 신호 접촉 돌출부(22A) 및 로크 오목부(23A-1)와의 사이를 확장하여 돌입한다. 그리고, 신호 접촉 아암부(22)가 커넥터 폭방향에서 내측을 향하여 탄성 변위한다. 또한, U자 형상부(61)의 돌입이 진행되면,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신호 접촉 돌출부(22A)가 U자 형상부(61)의 내측 아암부(61C)(대응 신호 접촉부)와 접압을 통해 접촉함과 함께, U자 형상부(61)의 외측 아암부(61A)의 피로크 단차부(61A-1)가 로크 오목부(23A-1) 내에 돌입하고, 당해 로크 오목부(23A-1) 상연에 대하여 커넥터 발출 방향에서 걸림 가능하게 위치한다. 이 결과, 커넥터(1, 2)의 단자(20, 60)끼리가 전기적으로 도통함과 함께 서로 로크 된다.
또한, 전원 접촉 돌출부(43A)가, 당해 전원 접촉 아암부(43)에 대응하여 위치하는 플러그 로크 금구(70)의 내측 판부(73)(대응 전원 접촉부)와 접압을 통해 접촉한다. 또한,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플러그 로크 금구(70)의 피로크 단차부(71A)가,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의 로크 오목부(35A) 내에 돌입하고, 당해 로크 오목부(35A) 상연에 대하여 커넥터 발출 방향에서 걸림 가능하게 위치한다. 이 결과, 로크 금구(30, 70)끼리가 전기적으로 도통함과 함께 서로 로크된다. 이와 같이 하여, 커넥터(1, 2)끼리의 끼워맞춤 접속 동작이 완료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의 로크 판부(35)는, 하우징(10)의 측벽(14)에 보유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커넥터 끼워맞춤 전후에 있어서 로크 판부(35)가 탄성 변위하는 일은 없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2)에 대하여 커넥터 발출 방향에서의 과대한 발출력이 의도하지 않게 작용해도, 로크 판부(35)가 변형하여 손상되는 일이 없다. 그 결과, 로크 상태가 유지되어, 플러그 커넥터(2)의 의도하지 않은 빠짐이 방지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벽(14)에 보유지지되는 측방 피보유지지부(37)가 이행부(36)를 개재하여 로크 판부(35)와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 금구(30)는, 당해 측방 피보유지지부(37) 및 당해 이행부(36)의 분만큼, 측벽(14)에서 보유지지되는 부위가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발출력에 대하여 더욱 큰 힘으로 대항할 수 있어, 로크 판부(35)의 변형 그리고 손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로크 판부(35)는, 하우징(10)의 돌출벽(12)에 보유지지되어 있는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31)에 연접 저부(34)를 개재하여 연접되어 있고,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31)와 로크 판부(35)가 서로 보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2)에 과대한 발출력이 의도하지 않게 작용해도, 로크 판부(35)에서 상기 발출력에 대하여 보다 큰 힘으로 대항할 수 있어, 로크 판부(35)의 변형 그리고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31)뿐만 아니라, 당해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31)에 연결된 정부면 보강 판부(33), 그리고 당해 정부면 보강 판부(33)에 연결된 단부 기립면 보강 판부(32)도, 돌출벽(12)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로크 금구(30)는, 당해 정부면 보강 판부(33) 및 단부 기립면 보강 판부(32)의 분만큼, 돌출벽(12)에서 보유지지되는 부위가 증가하게 되기 때문에, 의도하지 않은 발출력에 대하여 더욱 큰 힘으로 대항할 수 있어, 로크 판부(35)의 변형 그리고 손상을 보다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로크 금구(30)는, 로크 판부(35)와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31)가 연접 저부(34)를 개재하여 연접되어 있었지만,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로크 판부와 단부 기립면 보강 판부가 연접 저부를 개재하여 연접되어 있고, 이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6(A)는, 제2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로크 금구(1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6(A)에 기초하여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부호에 각각 「100」을 더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도 6(A)에 보이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리셉터클 로크 금구(130)는, 하우징(도시하지 않음)의 측벽에서 보유지지되는 로크 판부(135)(이하, 「측방 로크 판부(135)」라고 함)에 더하여, 단부벽에서 보유지지되는 로크 판부(146)(이하, 「단부 로크 판부(146)」라고 함)도 갖고 있다.
단부 로크 판부(146)는, 연결부(139)의 연결 기부(139A)의 두 개의 측연부(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측연부) 중 배열 방향 외측의 측연부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판면이 단부벽의 내면으로부터 수용부를 향하여 노출된 상태로 당해 단부벽에 보유지지되어 있다. 당해 단 로크부(146)가 노출된 판면에는, 당해 판면으로부터 직사각형 형상으로 함몰된 로크 오목부(146A)가 형성되어 있다. 당해 로크 오목부(146A)는,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당해 로크 오목부(146A)에 대응하여 플러그 로크 금구에 형성된 피로크 단차부를 수용함으로써, 당해 피로크 단차부에 대하여 걸림 가능한 로크 상태가 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기술한 바와 같이, 단부 로크 판부(146)는 단부벽에 보유지지되는 단부 피보유지지부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다. 도 6(A)에 보이는 바와 같이, 연결부(139)의 연결 기부(139A)는, 커넥터 폭방향에서의 양단부(연결 단부(139B)와 연결되어 있는 부분)를 제외하고, 당해 연결 단부(139)보다도 배열 방향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연결 기부(139A)의 상기 배열 방향 외측의 측연부로부터 기립하는 단부 로크 판부(146)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 단부벽의 내면과 동일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당해 단부 로크 판부(146)는, 단부벽의 내면으로부터 판면이 노출되도록 보유지지되어 있고, 이 점에서, 단부벽의 외면으로부터 노출되도록 보유지지되는 제1 실시 형태의 단부 피보유지지부(40)와 상이하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A)에 보이는 바와 같이, 단부 기립면 보강 판부(132)의 하단이, 연결부(139)의 연결 기부(139A)의 상기 배열 방향 내측의 측연부에 연접되어 있다. 환언하면, 연결 기부(139A)는, 연접 저부로서의 기능도 갖고 있고, 단부 로크 판부(146) 및 단부 기립면 보강 판부(132)의 하단끼리를 연접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하여 단부 로크 판부(146)와 단부 기립면 보강 판부(132)가 연접됨으로써, 양자는 서로 보강하는 관계가 되고 있다. 따라서, 커넥터 끼워맞춤 상태에서, 플러그 커넥터에 과대한 발출력이 의도하지 않게 작용해도, 단부 로크 판부(146)에서 상기 발출력에 대하여 보다 큰 힘으로 대항할 수 있어, 단부 로크 판부(146)의 변형 그리고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리셉터클 로크 금구(130)는, 측방 로크 판부(135)에 더하여, 단부 로크 판부(146)도 갖고 있기 때문에, 제1 실시 형태의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와 비교하여, 단부 로크 판부(146)의 분만큼, 커넥터 전체의 로크 강도가 증대하고, 커넥터끼리의 의도하지 않은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단, 측방 로크 판부(135) 및 단부 로크 판부(146)의 양쪽을 갖고 있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예를 들면, 단부 로크 판부(146)만으로도 충분한 로크 강도를 얻을 수 있는 경우에는, 측방 로크 판부(135)로부터 측방 로크 오목부(135A)를 생략하여, 당해 측방 로크 판부(135)에 로크 기능을 갖지 않게 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제3 실시 형태>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의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31)는 돌출벽(12)의 한쪽의 측면측에만 형성되어 있고, 다른 한쪽의 측면측(전원 접촉 아암부(43)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당해 다른 한쪽의 측면과 대면하는 로크 판부는, 돌출벽(12)에서 보유지지되는 로크 금구 부분에 연접되어 있지 않았다. 이에 대하여,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돌출벽(12)의 상기 다른 한쪽의 측면측에도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가 형성되고, 당해 다른 한쪽의 측면과 대면하는 로크 판부가 당해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와 연접되어 있어, 이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하다.
도 6(B)는, 제3 실시 형태에 따른 리셉터클 로크 금구(230)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하, 도 6(B)에 기초하여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실시 형태와 상이한 부분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제1 실시 형태에서의 부호에 각각 「200」을 더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로크 금구(230)는, 배열 방향에서 전원 접촉 아암부(243)에 인접하여 위치하는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244)와, 당해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244) 및 로크 판부(235)끼리를 연접하는 연접 저부(245)를, 제1 실시 형태의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에 대하여 추가로 형성한 바와 같은 형태를 이루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요에 따라서, 전원 접촉 아암부(24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 위치하는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231), 연접 저부(234) 및 로크 판부(235)를 각각, 「제1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231)」, 「제1 연접 저부(234)」, 「제1 로크 판부(235)」라고 하고, 전원 접촉 아암부(243)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 위치하는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244), 연접 저부(245) 및 로크 판부(235)를 각각, 「제2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244)」, 「제2 연접 저부(245)」, 「제2 로크 판부(235)」라고 한다.
도 6(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제2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244)는, 제1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231)보다도 폭 치수(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치수)가 작게 형성되어 있다. 당해 제2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244)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 전원 접촉 아암부(243)보다도 외측 위치에서 하우징의 돌출벽(도시하지 않음)의 측면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그 상단이 정부면 보강 판부(233)와 연결되고, 하단이 후술하는 제2 연접 저부(245)와 연결되어 있다. 당해 제2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244)는, 상기 돌출벽의 측면으로부터 판면이 노출되어 있고 당해 돌출벽에 보유지지되어 있다.
제2 연접 저부(245)는,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제2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244)와 동일 위치에서, 당해 제2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244)와 동일한 폭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당해 제2 연접 저부(245)는, 하우징의 저벽을 따라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244) 및 제2 로크 판부(235)의 하단부끼리를 연접하고 있다. 당해 연접 저부(34)는, 상기 저벽의 상면으로부터 판면이 노출되어 있고 당해 저벽에 보유지지되어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 6(B)에 보이는 바와 같이, 연결부(239)의 연결 단부(239B)는, 제2 로크 판부(235)측의 단부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당해 연결부(239)가 제2 로크 판부(235)와 분리되어 있다. 단, 연결부(239)와 제2 로크 판부(235)가 분리되어 있는 것은 필수는 아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전원 접촉 아암부(243)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측에 있어서뿐만 아니라, 전원 접촉 아암부(243)가 형성되어 있는 측에 있어서도, 제2 로크 판부(235)가 제2 연접 저부(245)를 개재하여 제2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244)에 연접되어 있고, 제2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244)와 제2 로크 판부(235)가 서로 보강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로크 금구(30)의 두 개의 로크 판부(235)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플러그 커넥터에 작용할 수 있는 과대한 발출력에 대하여 대항할 수 있다. 즉, 한쪽의 로크 판부(35)에서 상기 발출력에 대항 가능한 제1 실시 형태와 비교하여, 보다 확실하게 플러그 커넥터의 의도하지 않은 빠짐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리셉터클 로크 금구는 하우징에 일체 몰드 성형에 의해 보유지지되어 있지만, 이에 대신하여, 예를 들면, 하우징에 보유지지홈부를 형성하여 당해 보유지지 홈부 내로 로크 금구를 압입함으로써 당해 로크 금구를 보유지지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1 : 리셉터클 커넥터
2 : 플러그 커넥터
10 : 하우징
11 : 저벽
12 : 돌출벽
13 : 둘레벽
14 : 측벽
15 : 단부벽
16 : 수용부
20 : 리셉터클 단자
30, 130, 230 : 리셉터클 로크 금구
31, 131, 231 :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
32, 132, 232 : 단부 기립면 보강 판부
33, 133, 233 : 정부면 보강 판부
34, 234 : 연접 저부
35, 135, 146, 235 : 로크 판부
36, 136, 236 : 이행부
37, 137, 237 : 측방 피보유지지부
39, 139, 239 : 연결부
42, 142, 242 : 연출부
43, 143, 243 : 전원 접촉 아암부
244 : 제2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
245 : 제2 연접 저부
2 : 플러그 커넥터
10 : 하우징
11 : 저벽
12 : 돌출벽
13 : 둘레벽
14 : 측벽
15 : 단부벽
16 : 수용부
20 : 리셉터클 단자
30, 130, 230 : 리셉터클 로크 금구
31, 131, 231 :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
32, 132, 232 : 단부 기립면 보강 판부
33, 133, 233 : 정부면 보강 판부
34, 234 : 연접 저부
35, 135, 146, 235 : 로크 판부
36, 136, 236 : 이행부
37, 137, 237 : 측방 피보유지지부
39, 139, 239 : 연결부
42, 142, 242 : 연출부
43, 143, 243 : 전원 접촉 아암부
244 : 제2 측방 기립면 보강 판부
245 : 제2 연접 저부
Claims (5)
-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고 당해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커넥터 삽입 및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가 삽입 및 발출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일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된 단자 및 로크 금구와,
당해 단자 및 로크 금구를 배열 보유지지하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실장면에 대면하는 저벽(底壁)과, 당해 저벽으로부터 기립하여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벽과, 당해 저벽으로부터 기립하여 상기 돌출벽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갖고, 당해 둘레벽은,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측벽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부벽을 갖고 있고, 상기 돌출벽과 상기 둘레벽과의 사이의 환상(環狀) 공간이, 당해 환상 공간의 개구측으로부터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로크 금구는, 금속판 부재를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상기 단자보다도 외측의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에 보유지지되어 상대 커넥터에 대하여 커넥터 발출 방향에서 로크 가능하게 되어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금구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내면으로부터 노출되어,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당해 측벽에 보유지지되는 로크 판부, 혹은, 단부벽의 내면으로부터 노출되어,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당해 단부벽에 보유지지되는 로크 판부와, 당해 로크 판부에 대면하는 하우징의 돌출벽의 기립면을 따라 연장되어 당해 돌출벽에 보유지지되는 기립면 보강 판부와, 상기 저벽을 따라 연장되어 로크 판부 및 기립면 보강 판부의 저벽측 단부끼리를 연접(連接)하는 연접 저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고 당해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커넥터 삽입 및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가 삽입 및 발출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일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된 단자 및 로크 금구와,
당해 단자 및 로크 금구를 배열 보유지지하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실장면에 대면하는 저벽(底壁)과, 당해 저벽으로부터 기립하여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벽과, 당해 저벽으로부터 기립하여 상기 돌출벽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갖고, 당해 둘레벽은,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측벽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부벽을 갖고 있고, 상기 돌출벽과 상기 둘레벽과의 사이의 환상(環狀) 공간이, 당해 환상 공간의 개구측으로부터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로크 금구는, 금속판 부재를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상기 단자보다도 외측의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에 보유지지되어 상대 커넥터에 대하여 커넥터 발출 방향에서 로크 가능하게 되어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금구는, 상기 하우징의 측벽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당해 측벽에 보유지지되고 혹은 단부벽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당해 단부벽에 보유지지되는 로크 판부와, 당해 로크 판부에 대면하는 하우징의 돌출벽의 기립면을 따라 연장되어 당해 돌출벽에 보유지지되는 기립면 보강 판부와, 상기 저벽을 따라 연장되어 로크 판부 및 기립면 보강 판부의 저벽측 단부끼리를 연접(連接)하는 연접 저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로크 금구는, 상기 기립면 보강 판부의 개구측 단부로부터 하우징의 돌출벽의 정부(頂部)를 따라 연장되어 당해 돌출벽에 보유지지되는 정부면 보강 판부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금구는, 상기 로크 판부의 개구측 단부로부터 이행부를 거쳐 상기 하우징의 저벽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하우징에 보유지지되는 피보유지지부를 갖고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금구는, 상기 단부벽을 따라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는 연결부를 갖고 있고,
상기 로크 판부는, 두 개의 측벽의 각각에 한 개씩 형성되어 있고, 두 개의 당해 로크 판부가 상기 연결부를 개재하여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회로 기판의 실장면 상에 배치되고 당해 실장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을 커넥터 삽입 및 발출 방향으로 하여 상대 커넥터가 삽입 및 발출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로서,
상기 실장면에 대하여 평행한 일 방향을 배열 방향으로 하여 배열된 단자 및 로크 금구와, 당해 단자 및 로크 금구를 배열 보유지지하는 하우징을 갖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실장면에 대면하는 저벽과, 당해 저벽으로부터 기립하여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벽과, 당해 저벽으로부터 기립하여 상기 돌출벽을 둘러싸는 둘레벽을 갖고, 당해 둘레벽은, 상기 배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벽과, 상기 배열 방향에 대하여 직각인 커넥터 폭방향으로 연장되어 한 쌍의 측벽의 단부끼리를 연결하는 한 쌍의 단부벽을 갖고 있고, 상기 돌출벽과 상기 둘레벽과의 사이의 환상 공간이, 당해 환상 공간의 개구측으로부터 상대 커넥터의 끼워맞춤부를 수용하는 수용부로서 형성되고,
상기 로크 금구는, 금속판 부재를 굴곡하여 만들어져 있고, 상기 배열 방향에서의 상기 단자보다도 외측의 위치에서 상기 하우징에 보유지지되어 상대 커넥터에 대하여 커넥터 발출 방향에서 로크 가능하게 되어 있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로크 금구는,
상기 하우징의 두 개의 측벽의 각각의 내면을 따라 연장되어 각 측벽에 한 개씩 보유지지되는 로크 판부와,
상기 두 개의 측벽의 각각에서 보유지지된 로크 판부 중 한쪽의 로크 판부에 대면하는 하우징의 돌출벽의 기립면을 따라 연장되어 당해 돌출벽에 보유지지되는 기립면 보강 판부와,
상기 저벽을 따라 연장되어 상기 한쪽의 로크 판부 및 상기 기립면 보강 판부의 저벽측 단부끼리를 연접하는 연접 저부와,
다른 한쪽의 로크 판부의 저벽측 단부로부터 저벽을 따라 돌출벽측을 향하여 연출(延出)되는 연출부와,
당해 다른 한쪽의 로크 판부에 대면하는 하우징의 돌출벽의 기립면을 따라 상기 연출부로부터 연장됨과 함께, 커넥터 폭방향에서 탄성 변위하여 상대 커넥터에 설치된 상대 단자와 접압을 통해 접촉 가능한 접촉 아암부를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2014153875A JP6034339B2 (ja) | 2014-07-29 | 2014-07-29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JPJP-P-2014-153875 | 2014-07-29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14521A KR20160014521A (ko) | 2016-02-11 |
KR101815093B1 true KR101815093B1 (ko) | 2018-01-04 |
Family
ID=551809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90143A KR101815093B1 (ko) | 2014-07-29 | 2015-06-25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362637B2 (ko) |
JP (1) | JP6034339B2 (ko) |
KR (1) | KR101815093B1 (ko) |
CN (1) | CN105322369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6259003B2 (ja) * | 2016-04-15 | 2018-01-10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プラグ電気コネクタ |
JP6399063B2 (ja) * | 2016-09-07 | 2018-10-03 | 第一精工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装置 |
CN107819221A (zh) | 2016-09-13 | 2018-03-20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及其组合 |
TWI758340B (zh) | 2016-10-21 | 2022-03-21 | 英屬開曼群島商鴻騰精密科技股份有限公司 | 插座連接器 |
JP6761736B2 (ja) * | 2016-11-11 | 2020-09-30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6512210B2 (ja) * | 2016-12-21 | 2019-05-15 | 第一精工株式会社 | コネクタ装置 |
JP6806593B2 (ja) | 2017-02-28 | 2021-01-0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106911024A (zh) * | 2017-03-30 | 2017-06-30 |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 板对板连接器及其插座 |
US10528092B2 (en) | 2017-04-05 | 2020-01-07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Midplane anti-codocking interlock system |
JP6842359B2 (ja) | 2017-05-10 | 2021-03-17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CN207069118U (zh) | 2017-06-08 | 2018-03-02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组合 |
KR101942811B1 (ko) * | 2017-11-27 | 2019-04-17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보강부재를 갖는 소켓커넥터 및 플러그커넥터 |
KR101990508B1 (ko) * | 2017-11-27 | 2019-06-18 | (주)우주일렉트로닉스 | 강도가 강화된 플러그커넥터 |
JP6975626B2 (ja) * | 2017-11-29 | 2021-12-01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アセンブリ |
KR102041368B1 (ko) | 2018-05-24 | 2019-11-07 | 몰렉스 엘엘씨 |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 |
KR102544425B1 (ko) * | 2018-07-06 | 2023-06-16 | 샘텍, 인코포레이티드 | 상부 및 저부 스티칭된 콘택트를 갖는 커넥터 |
JP7026025B2 (ja) * | 2018-08-24 | 2022-02-25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組立体及びコネクタ |
JP2020077490A (ja) | 2018-11-06 | 2020-05-21 | Smk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セット |
JP7309370B2 (ja) * | 2019-01-22 | 2023-07-18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回路基板用コネクタ装置 |
KR102718405B1 (ko) * | 2019-02-27 | 2024-10-16 |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 플러그 커넥터 |
KR102553861B1 (ko) * | 2019-02-27 | 2023-07-10 | 에이치알에스코리아 주식회사 | 플러그 커넥터 |
CN209571614U (zh) * | 2019-04-18 | 2019-11-01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及其对接连接器 |
JP7364363B2 (ja) * | 2019-04-25 | 2023-10-18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US11095059B2 (en) * | 2019-04-25 | 2021-08-17 | Molex, Llc | Connector |
JP2020184459A (ja) * | 2019-05-08 | 2020-11-12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組立体 |
JP7075912B2 (ja) * | 2019-06-11 | 2022-05-26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 |
WO2021000152A1 (zh) * | 2019-06-30 | 2021-01-07 | 瑞声声学科技(深圳)有限公司 | 多极连接器 |
CN112259990A (zh) * | 2019-07-02 | 2021-01-22 | 电连技术股份有限公司 | 多通道连接器及其组合件 |
JP7196028B2 (ja) * | 2019-07-04 | 2022-12-2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組立体 |
JP7206169B2 (ja) * | 2019-08-27 | 2023-01-17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視認部材を備えたコネクタ装置 |
JP7388901B2 (ja) * | 2019-12-10 | 2023-11-29 |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 コネクタ |
JP1663235S (ko) | 2020-02-13 | 2020-07-06 | ||
CN113451807A (zh) * | 2020-03-25 | 2021-09-28 | 岱炜科技股份有限公司 | 电连接器的传输导体固持结构 |
US20220393377A1 (en) * | 2020-06-08 | 2022-12-08 | FCI NANTONG Ltd. | Board-to-board connector terminal and connector |
JP7379309B2 (ja) * | 2020-10-27 | 2023-11-14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中央凸部を有するハウジングを備えたコネクタを保護するための保護部材、及び、保護部材を配置したコネクタ |
CN214254799U (zh) * | 2021-01-30 | 2021-09-21 |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 电连接器、对接连接器及其组合 |
JP1692460S (ja) * | 2021-02-22 | 2021-08-16 | コネクタ | |
JP1698702S (ja) * | 2021-04-09 | 2021-11-01 | コネクタ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526428B2 (ja) * | 2005-04-18 | 2010-08-18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 基板対基板コネクタ |
JP4478609B2 (ja) * | 2005-05-23 | 2010-06-09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プラグコネクタ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
JP4333884B2 (ja) * | 2007-03-01 | 2009-09-16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US7384274B1 (en) * | 2007-08-03 | 2008-06-10 | Cheng Uei Precision Industry Co., Ltd. | Board to board connector |
TWM330605U (en) * | 2007-08-24 | 2008-04-11 | Hon Hai Prec Ind Co Ltd | Electrical connector |
JP4555329B2 (ja) * | 2007-11-08 | 2010-09-29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 | 基板対基板コネクタ |
JP5623694B2 (ja) * | 2008-05-12 | 2014-11-12 | オムロン株式会社 | コネクタ |
JP5631074B2 (ja) * | 2010-06-28 | 2014-11-26 |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ドMolex Incorporated | 基板対基板コネクタ |
JP5945766B2 (ja) * | 2011-03-08 | 2016-07-05 |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 コネクタならびに当該コネクタに用いられるソケットおよびヘッダ |
JP5444283B2 (ja) * | 2011-05-20 | 2014-03-19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
JP5890117B2 (ja) * | 2011-07-07 | 2016-03-22 |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 コネクタ |
CN103050805B (zh) * | 2011-10-14 | 2014-12-10 | 莫列斯公司 | 连接器 |
JP2013101909A (ja) * | 2011-10-14 | 2013-05-23 | Molex Inc | コネクタ |
JP5685216B2 (ja) | 2012-03-29 | 2015-03-18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
JP5638026B2 (ja) * | 2012-05-01 | 2014-12-10 | ヒロセ電機株式会社 | 電気コネクタ組立体 |
CN104137344B (zh) * | 2013-02-27 | 2017-06-30 |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 连接器、及在该连接器中使用的插头件和插口件 |
-
2014
- 2014-07-29 JP JP2014153875A patent/JP6034339B2/ja active Active
-
2015
- 2015-06-25 KR KR1020150090143A patent/KR10181509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5-07-24 US US14/808,799 patent/US9362637B2/en active Active
- 2015-07-27 CN CN201510445456.3A patent/CN105322369B/zh active Acti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362637B2 (en) | 2016-06-07 |
CN105322369A (zh) | 2016-02-10 |
JP2016031842A (ja) | 2016-03-07 |
KR20160014521A (ko) | 2016-02-11 |
CN105322369B (zh) | 2017-11-10 |
US20160036145A1 (en) | 2016-02-04 |
JP6034339B2 (ja) | 2016-11-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15093B1 (ko)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
JP6407391B2 (ja)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
US8961215B2 (en) | Electrical connector assembled component, plug connector, and receptacle connector | |
JP6068405B2 (ja) | 電気コネクタ組立体 | |
KR101921117B1 (ko) | 회로 기판용 전기 커넥터 | |
JP5685216B2 (ja) |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 |
US10243288B2 (en) | Female-type electrical connector, male-type electrical connector, and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tilizing same | |
KR20140144137A (ko) | 가이드 금구 부착 전기 커넥터 | |
WO2012095934A1 (en) | Terminal locking structure in connector housing | |
KR20170042484A (ko) | 전기 커넥터 조립체 | |
US11031718B2 (en) | Connector with a housing having a locking lance with a restricting portion to restrict outward deformation of the locking lance | |
JP2020074343A (ja) | 回路基板用電気コネクタ | |
KR102701665B1 (ko) | 회로 기판용 커넥터 장치 | |
JP6352676B2 (ja) | コネクタ | |
JP6259003B2 (ja) | 回路基板用プラグ電気コネクタ | |
JP5444283B2 (ja) | 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 |
JP6117905B2 (ja) | レセプタクルコネクタ | |
CN112018535A (zh) | 电连接器组装体 | |
JP5805288B2 (ja) | プラグコネクタ | |
US20130295791A1 (en) | Connector | |
KR101754261B1 (ko) | 크랙 방지용 커넥터 장치 | |
JP7218718B2 (ja) | 端子金具およびコネクタ | |
JP2015170523A (ja) | 電気コネクタの嵌合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