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98263B1 -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98263B1
KR101798263B1 KR1020130024800A KR20130024800A KR101798263B1 KR 101798263 B1 KR101798263 B1 KR 101798263B1 KR 1020130024800 A KR1020130024800 A KR 1020130024800A KR 20130024800 A KR20130024800 A KR 20130024800A KR 101798263 B1 KR101798263 B1 KR 101798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inner plate
disposed
pressing members
pr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4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10459A (ko
Inventor
박성헌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만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만도
Priority to KR1020130024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263B1/ko
Publication of KR201401104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104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4Mechanisms for locking columns at selected posi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압부재에 길이조절부재가 장착되어 핸들이 고정된 상부칼럼의 고정력을 조절할 수 있는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는 양측면부가 힌지결합축의 양단에 결합되는 브라켓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힌지결합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칼럼; 상기 브라켓의 양측면부와 상기 상부칼럼 간에 배치되는 연장편; 상기 상부칼럼과 연장편 간에 배치되는 내측판; 상기 브라켓, 연장편, 내측판을 관통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장편과 내측판이 선형이동되는 볼트; 상기 내측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볼트에 결합되되, 양측 끝단 중 어느 하나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2가압부재; 상기 제1,2가압부재의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제1,2가압부재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1,2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지렛대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내측판과 연장편을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는 로드; 및 상기 나사산과의 체결량 조절을 통해 상기 제1,2가압부재와 내측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APPARATUS FOR TILTING OF HANDLE}
본 발명은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핸들이 연결되는 상부 컬럼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잠금을 해제시키는 가압부재의 길이를 자체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하여 잠금성능을 향상시키는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조향 핸들이 고정되는 상부 컬럼이 브라켓에 의해 차체에 상향 경사지게 고정설치되는 관계로 운전자의 신체조건 즉, 뚱뚱하거나 홀쭉한 사람의 체격조건에 따라 운전자가 임의로 조향 핸들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핸들이 결합되는 상부칼럼(1)은 브라켓(2)에 힌지결합되는 힌지결합축(3)을 기준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된다. 상부칼럼(1)에서는 연장편(1a)이 형성된다. 브라켓(2)에는 공압으로 작동되는 공압실린더(4)가 장착되고, 공압실린더(4)에 의해 인출 및 인입되는 피스톤에는 로드(5)가 연결되고, 로드(5)는 지렛대 기능을 수행한다. 로드(5)의 끝단은 브라켓(2)에 장착되는 볼트(6)에 장착되는 각각의 가압부재(8a, 8b) 사이에 끼워진다.
가압부재(8a, 8b)가 장착되는 볼트(6)는 브라켓(2)의 양측면부를 관통하여 체결되고, 브라켓(2)과 가압부재(8a, 8b) 사이에는 내측판(7)과 연장편(1a)이 끼워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 구조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드(5)가 풀림 위치에 위치하여 가압부재(8a, 8b)가 접촉되는 내측판(7)과 브라켓(2) 사이에 충분한 간격이 유지되면, 연장편(1a)이 그 틈새에서 자유롭게 위치이동이 가능하므로 상부칼럼(1)을 회동시킬 수 있다.
상부칼럼(1)을 회동시켜 운전자에게 적합한 핸들의 각도를 설정한 상태에서는 공압실린더(4)를 작동시켜 로드(5)를 잠금 위치로 이동시키면, 가압부재(8a)와 가압부재(8b)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면서, 각각의 가압부재(8a, 8b)가 내측판(7)을 가압한다. 가압된 내측판(7)은 브라켓(2) 측으로 위치가 이동되고, 이때 내측판(7)과 브라켓(2) 사이의 간격이 축소되면서 그 틈새에 연장편(1a)이 밀착된다. 내측판(7)과 브라켓(2) 사이에 밀착된 연장편(1a)은 그 위치 이동이 제한되므로, 핸들의 각도가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구조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에 사용되는 가압부재(8a, 8b)의 경우 그 길이가 고정된 구조이므로, 장착되는 공압실린더의 피스톤 스트로크 길이 변화에 따라 축력을 제어하는 것이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볼트(6)의 체결량을 조절하면 브라켓(2)의 변형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실용신안 공개공고 20-1995-0009025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압부재의 길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핸들 각도조절장치의 각도조절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는 양측면부가 힌지결합축의 양단에 결합되는 브라켓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힌지결합축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칼럼; 상기 브라켓의 양측면부와 상기 상부칼럼 간에 배치되는 연장편; 상기 상부칼럼과 연장편 간에 배치되는 내측판; 상기 브라켓, 연장편, 내측판을 관통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장편과 내측판이 선형이동되는 볼트; 상기 내측판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볼트에 결합되되, 양측 끝단 중 어느 하나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2가압부재; 상기 제1,2가압부재의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제1,2가압부재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1,2가압부재를 가압하는 지렛대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내측판과 연장편을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는 로드; 및 상기 나사산과의 체결량 조절을 통해 상기 제1,2가압부재와 내측판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측판은 상기 브라켓의 일측면부 측에 배치된 제1내측판과, 타측면부 측에 배치된 제2내측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재는 상기 제1가압부재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수나사; 및 상기 수나사가 체결되는 암나사가 내측면에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제2내측판에 접촉되는 가동부재;를 포함한다.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가압부재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수나사; 및 상기 수나사가 체결되는 암나사가 내측면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1내측판에 접촉되는 가동부재;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는 가압부재에 길이조절부재가 장착됨으로써, 자체적으로 간격조절이 가능하므로 핸들의 각도를 고정시키는 고정력을 보정해줄 수 있어 작동 성능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구조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상태도,
도 2은 도 1에 도시된 'A-A' 부분을 단면하여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인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고, 종래 구조와 동일한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도 1 및 도 2를 인용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이하 "조절장치"라 함)는 양측면부가 힌지결합축(3)의 양단에 결합되는 브라켓(2)의 내측에 배치되어 힌지결합축(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고, 차량의 핸들이 장착되는 상부칼럼(1)과, 브라켓(2)의 양측면부와 상부칼럼(1) 간에 배치되는 연장편(1a)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연장편(1a)은 브라켓(2)의 일측면부와 상부칼럼(1)간에 배치되는 제1연장편(1b)과, 브라켓(2)의 타측면부와 상부칼럼(1) 간에 배치되는 제2연장편(1c)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조절장치는 상부칼럼(1)과 연장편(1a) 간에 배치되는 내측판(7)을 더 포함하며, 보다 구체적으로, 내측판(7)은 브라켓(2)의 일측면부 측인 상부칼럼(1)과 제1연장편(1b) 간에 배치되는 제1내측판(7a)과, 브라켓(2)의 타측면부 측인 상부칼럼(1)과 제2연장편(1c)간에 배치되는 제2내측판(7b)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조절장치는 브라켓(2)의 양측면부, 연장편(1a), 내측판(7)을 관통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편(1a)과 내측판(7)이 선형이동되는 볼트(6)와, 제1,2내측판(7a,b)의 사이인 볼트(6)의 중간영역에 일정 간격을 두고 배치되어 볼트(6)에 결합되되, 양측 끝단 중 어느 하나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2가압부재(10,20)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조절장치는 제1,2가압부재(10,20)의 사이에 끼워지고, 제1,2가압부재(10,20)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제1,2가압부재(10,20)를 가압하는 지렛대 역할을 수행하여 내측판(7)과 연장편(1a)을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는 로드(5)를 더 포함한다.
그리고 조절장치는 제1가압부재(10) 또는 제2가압부재(20)에 형성된 나사산에 체결되고, 나사산과의 체결량 조절을 통해 제1,2가압부재(10,20)와 내측판(7)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30)를 더 포함한다.
제1,2가압부재(10, 20) 사이에는 로드(5)의 일측 끝단이 삽입되고, 로드(5)의 타측 끝단은 공압실린더(4)에 연결된다. 로드(5)는 공압실린더(4)의 힘을 제1,2가압부재(10, 20)에 전달하는 지렛대 역할을 수행한다.
내측판(7)은 브라켓(2)에 장착되는 판재로서, 전술된 바와 같이 제1,2가압부재(10, 20)에 의해 가압되고, 브라켓(2)의 양측면부 사이에 끼워지는 연장편(1a)과 선택적으로 접촉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2가압부재(10, 20) 중 제1가압부재(10)에 길이조절부재(30)가 위치이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재(30)는 제1가압부재(1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수나사(31)와, 수나사(31)가 체결되는 암나사(32)가 내측면에 형성되고 타측 끝단이 제2내측판(7b)에 접촉되는 가동부재(33)로 구성될 수 있다. 가동부재(33)는 제1가압부재(10)와 마찬가지로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인 차량 핸들 각도 조절장치는 제1가압부재(10)에 형성된 수나사(31)가 가동부재(33)의 암나사(32)에 체결되는 체결량을 조절하여 전체 간격 조절이 가능하므로, 장착되는 공압실린더(4)의 피스톤 스트로크 길이 변화에 따라 축력 제어가 가능하다. 즉, 볼트(6)의 체결량을 고정시켜 브라켓(2)의 변형을 방지한 상태에서도 로드(5)에 의해 발생되는 축력을 조절할 수 있는 것이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가압부재(10, 20) 중 제2가압부재(20)에 길이조절부재(30)가 위치이동 가능하게 체결될 수 있다. 길이조절부재(30)는 제2가압부재(2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수나사(31)와, 수나사(31)가 체결되는 암나사(32)가 내측면에 형성되고, 일측 끝단이 제1내측판(7a)에 접촉되는 가동부재(33)로 구성될 수 있다. 가동부재(33)는 제2가압부재(20)와 마찬가지로 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인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는 길이조절부재(30)가 제1가압부재(10) 대신 제2가압부재(20)에 형성되는 구조 이외의 구조 및 작동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의 구조 및 작동과 동일하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내에 있게 된다.
1 : 상부칼럼 1a : 연장편
2 : 브라켓 5 : 로드
6 : 볼트 10, 20 : 제1,2가압부재
30 : 길이조절부재 31 : 수나사
32 : 암나사 33 : 가동부재

Claims (3)

  1. 양측면부가 힌지결합축(3)의 양단에 결합되는 브라켓(2)의 내측에 배치되어 상기 힌지결합축(3)에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상부칼럼(1);
    상기 브라켓(2)의 양측면부와 상기 상부칼럼(1) 간에 배치되는 연장편(1a);
    상기 상부칼럼(1)과 연장편(1a) 간에 배치되는 내측판(7);
    상기 브라켓(2), 연장편(1a), 내측판(7)을 관통하고,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연장편(1a)과 내측판(7)이 선형이동되는 볼트(6);
    상기 내측판(7)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볼트(6)에 결합되되, 양측 끝단 중 어느 하나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제1,2가압부재(10,20);
    상기 제1,2가압부재(10,20)의 사이에 끼워지고, 상기 제1,2가압부재(10,20)의 측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1,2가압부재(10,20)를 가압하는 지렛대 역할을 수행하여 상기 내측판(7)과 연장편(1a)을 선택적으로 접촉시키는 로드(5); 및
    상기 나사산과의 체결량 조절을 통해 상기 제1,2가압부재(10,20)와 내측판(7)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길이조절부재(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판(7)은
    상기 브라켓(2)의 일측면부 측에 배치된 제1내측판(7a)과, 타측면부 측에 배치된 제2내측판(7b)으로 구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재(30)는
    상기 제1가압부재(10)의 타측 끝단에 형성되는 수나사(31); 및
    상기 수나사(31)가 체결되는 암나사(32)가 내측면에 형성되고 타측이 상기 제2내측판(7b)에 접촉되는 가동부재(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판(7)은
    상기 브라켓(2)의 일측면부 측에 배치된 제1내측판(7a)과, 타측면부 측에 배치된 제2내측판(7b)으로 구성되고,
    상기 길이조절부재(30)는
    상기 제2가압부재(20)의 일측 끝단에 형성되는 수나사(31); 및
    상기 수나사(31)가 체결되는 암나사(32)가 내측면에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제1내측판(7a)에 접촉되는 가동부재(3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KR1020130024800A 2013-03-08 2013-03-08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KR101798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800A KR101798263B1 (ko) 2013-03-08 2013-03-08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4800A KR101798263B1 (ko) 2013-03-08 2013-03-08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459A KR20140110459A (ko) 2014-09-17
KR101798263B1 true KR101798263B1 (ko) 2017-11-15

Family

ID=51756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4800A KR101798263B1 (ko) 2013-03-08 2013-03-08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9826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1490B2 (ja) * 1988-10-31 1998-10-15 フジ アウトテク アーベー 車両用ハンドルロッド支持装置
JP2966392B2 (ja) * 1997-09-11 1999-10-25 萬都機械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チルトとテレスコピック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11490B2 (ja) * 1988-10-31 1998-10-15 フジ アウトテク アーベー 車両用ハンドルロッド支持装置
JP2966392B2 (ja) * 1997-09-11 1999-10-25 萬都機械株式会社 ステアリングコラムのチルトとテレスコピック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0459A (ko) 2014-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52509B2 (en) Hinge buffer device
WO2018085345A3 (en) Linear actuator mechanism and use in a vehicle axle disconnect/connect system
TWI582005B (zh) 用於自行車之刹車系統的可變比率總成
US10807630B2 (en) Steering column having an energy absorption assembly
CN203743273U (zh) 双耦合弹簧预紧力调整装置
JP2006290203A (ja) ブレーキペダル装置
KR102036870B1 (ko) 차량용 스티어링 컬럼의 래치 장치
KR101798263B1 (ko) 차량의 핸들 각도 조절장치
KR20150003675U (ko) 배관용 지그
US20050081674A1 (en) Steering column apparatus
US20170136606A1 (en) Clamp
WO2014024457A1 (ja) クランプ装置
US7338079B2 (en) Extendable and contractable steering column apparatus
CN103511415A (zh) 伸缩臂
EP2987714B1 (de) Handbetätigte gebereinheit
US20160201787A1 (en) Rack guide mechanism
DE102010004316A1 (de) Linear betätigter Schalter für eine Roboter-Unfallschutzvorrichtung
JP5928950B2 (ja) スイッチアジャスタ
RU2011129806A (ru) Аппарат фиксирующий для ходовой тележки с переменной колеей
JP2004148996A (ja) 伸縮式ステアリングコラム装置
JP5009397B2 (ja) スイッチアジャスタ
US20190301961A1 (en) Load frame with a staged biasing element
KR101868359B1 (ko) 차량용 액추에이터의 스트로크 제어 구조
CN210579731U (zh) 压紧模块和电控装置
WO2008152536A3 (en) Device for locking of dies on press brak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