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773463B1 -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 및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 및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3463B1
KR101773463B1 KR1020150167320A KR20150167320A KR101773463B1 KR 101773463 B1 KR101773463 B1 KR 101773463B1 KR 1020150167320 A KR1020150167320 A KR 1020150167320A KR 20150167320 A KR20150167320 A KR 20150167320A KR 101773463 B1 KR101773463 B1 KR 101773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button
classification
selecting
data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7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62013A (ko
Inventor
정동수
이준행
성웅찬
조영우
정명수
권대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온솔루션
(재)경북차량용임베디드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온솔루션, (재)경북차량용임베디드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온솔루션
Priority to KR10201501673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3463B1/ko
Publication of KR201700620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620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3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3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M1/7253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2Automatically-operated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220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 H04Q2209/4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using a wireless archite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디지털 기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버튼 중 미리 할당된 어느 하나의 버튼을 그 버튼의 기능이 동작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선택함으로써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의 첫 번째 분류를 선택하고, 첫 번째 분류를 선택한 이후, 복수의 버튼 중 미리 할당된 어느 하나의 버튼 - 첫 번째 분류의 버튼과 다른 버튼임 - 을 그 버튼의 기능이 동작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선택하여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의 두 번째 분류 - 상기 첫 번째 분류의 하위 분류임 - 를 선택함으로써,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의 분류를 점점 세분화하여 선택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 및 구동방법{Mobile Terminal Remote control application is Installed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는 휴대용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 및 그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가정의 가전기기들이 첨단화되고, 인터넷과 무선통신이 연계된 IT 융복합 제품들이 출시되면서 스마트 TV 및 인터넷 환경의 유저인터페이스 사용자가 급격하게 증가하면서 집안의 리모컨이 단순히 채널을 변경하는 개념에서 벗어나 TV 화면에 표시되는 인터넷 유저인터페이스 역할을 수행하므로, 지능형 홈 제어 단말기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전통적인 리모컨 시장이 새로운 스마트 홈 제어 단말기라는 유저 인터페이스의 편리성과 스마트폰 소프트웨어 개발환경의 편리성 및 개발자의 집중으로 이전과는 다른 양상으로 리모컨 시장상황이 변화해 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새로운 시장 트렌드에 맞추어서 해외에서 개발되어 국내로 수입 되는 제품의 대체와 국내/외 시장의 선점 및 주도권 확보를 위한 스마트폰으로 가전제품을 제어하는 단말기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한편, 종래의 리모컨 시스템의 경우, 적외선 리모컨 신호의 전송거리 한계로 인해서 조작범위가 제한되고, 새롭게 출시되는 다양한 디지털 기기를 범용적으로 조작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블루투스 통신 등을 이용한 리모컨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으나, 디지털 기기에서 블루투스 통신을 지원할 경우에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적외선 모듈만이 적용되어 있는 기존의 디지털 기기를 제어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복수의 디지털 기기를 하나의 리모컨으로 제어하기 위해서는, 하나의 리모컨 내부에 모든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가 탑재 되어야 한다.
즉,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에는 복수의 디지털 기기에 해당하는 리모컨 정보가 모두 포함되어 있어야 하는데, 디지털 기기의 제조회사 및 그 제조회사 제품의 종류에 따라 리모컨 버튼의 코드가 상이 하므로, 이를 효율적으로 선택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어야 한다.
종래의 만능 리모컨의 경우, 리모컨 버튼 옆에 복수 개의 기능에 대한 표식이 인쇄되어 있고, 선택된 디지털 기기에 따라 복수 개의 기능 중 어느 하나가 동작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하나의 버튼 옆에 복수 개의 기능에 대한 표식이 인쇄되어 있을 경우, 사용자가 혼란을 느낄 수 있으며, 사용되지 않는 버튼의 구분이 힘든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제1 내지 제3 선택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때마다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의 분류가 점점 세분화되어 선택됨으로써,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는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 및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디지털 기기를 제어함에 있어서,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버튼 중 미리 할당된 어느 하나의 버튼을 그 버튼의 기능이 동작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선택함으로써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의 첫 번째 분류를 선택하고, 첫 번째 분류를 선택한 이후, 복수의 버튼 중 미리 할당된 어느 하나의 버튼 - 첫 번째 분류의 버튼과 다른 버튼임 - 을 그 버튼의 기능이 동작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선택하여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의 두 번째 분류 - 상기 첫 번째 분류의 하위 분류임 - 를 선택함으로써,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의 분류를 점점 세분화하여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 애플리케이션 구동방법에 있어서,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버튼 중 미리 할당된 어느 하나의 버튼을 그 버튼의 기능이 동작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선택하여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의 첫 번째 분류를 선택하는 제1 선택단계; 및 상기 제1 선택단계 이후에, 복수의 버튼 중 미리 할당된 어느 하나의 버튼 - 제1 선택단계의 버튼과 다른 버튼임 - 을 그 버튼의 기능이 동작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선택하여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의 두 번째 분류 - 상기 첫 번째 분류의 하위 분류임 - 를 선택하는 제2 선택단계;를 포함하는 리모컨 애플리케이션 구동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 애플리케이션 구동방법에 있어서,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버튼 중 제1 버튼의 기능이 동작할 때까지 상기 제1 버튼을 반복적으로 선택하는 제1 선택단계; 상기 제1 선택단계 이후, 상기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버튼 중 제2 버튼의 기능이 동작할 때까지 상기 제2 버튼을 반복적으로 선택하는 제2 선택단계; 및 상기 제2 선택단계 이후, 상기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버튼 중 제3 버튼의 기능이 동작할 때까지 상기 제3 버튼을 반복적으로 선택하는 제3 선택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선택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때마다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의 분류가 점점 세분화되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애플리케이션 구동방법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제1 버튼은 파워키(Power Key)이고, 상기 제2 버튼은 볼륨키(Volume Key)이고, 상기 제3 버튼은 무음키(Mute Key)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상기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은, 외부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최신 디지털 기기의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자동으로 전송받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면 표시부에 표출된 디지털 기기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터치신호 및 디지털 기기의 조작 인터페이스인 번호 입력키나 조절키를 터치하거나 드래그하는 사용자의 조작신호를 인식하여 디지털 기기 조작을 위한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터치 인식부; 상기 터치 인식부에서 생성된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기기의 코드로 변환하여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된 코드를 전달받아서 무선 중계기에 전달할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전송 데이터로 변환하는 무선통신 패킷 생성부; 상기 전송 데이터를 무선 송출하는 무선통신 데이터 송신부; 및 상기 전송 데이터를 수신받아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하여 동기 시리얼 통신을 통해 상기 시리얼 데이터를 내부적으로 전송한 후,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는 적외선 리모컨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하는 상기 무선 중계기;를 포함하는 리모컨 시스템이 제공된다.
상기 무선통신 데이터 송신부 또는 상기 무선통신 패킷 생성부는, 송출할 전송 데이터가 256바이트가 넘을 경우, 256바이트씩 패킷을 구성하여 최소 전송 단위의 데이터로 분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외선 리모컨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상기 전송 데이터의 패킷구성은, 메인 패킷신호, 리핏 패킷 신호, 스탑 패킷신호로 구분되어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마트폰 적외선 신호 데이터 송출 장치는,
디지털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구동데이터를 생성하여 인터넷의 과부하나 잡음의 영향을 최소화 하는 스마트폰; 상기 스마트폰에서 송출된 적외선 신호 데이터를 수신하여 적외선 신호 발생부로 시러얼 통신으로 전달하는 WIFI 중계기 모듈; WIFI 중계기에서 전달 받은 신호 데이터를 적외선 신호로 생성 가전기기에 송출 하는 적외선 리모컨 신호 생성부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WIFI 중계기 모듈은 유무선 방식의 인터넷을 통하여 동시에 255개 까지의 스마트폰에서 접속이 가능하다.
송신받은 데이터를 우선순위에 따라서 적외선 신호를 혼선 없이 생성하여 가전 기기술 제어하는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외신 신호 발생부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 송출된 적외선 신호 데이터를 처리하고 데이터의 지연송신 및 잡음에 의한 데이터 손실시에도 정확하게 동작하기 위하여 동기 방식의 시리얼 통신을 사용하여 WiFI 중계기 모듈에서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를 범용적으로 처리할수 있는 신호 발생처리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스마트폰/테블릿에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전자기기의 리모컨을 선택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터치인식부에서 생성선 데이터를 표시하는 화면표시부와 상기 터치 인식부에서 생성된 구동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기기의 코드를 생성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서 변환된 코드를 무선중계기에 전달할 프로토콜로 변환하는 무선 통신 패킷 생성부,
생성 데이터를 프로토콜에 따라 무선 송출하는 무선통신 데이터 송신부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패킷화하여 무선통신 중계기로 송출하고 수신된 데이터를 적외선 생성부로 동기시리얼 통신을 통하여 전달하고 전달된 데이트를 리모컨 신호 발생부에서 리모컨 신호를 생성하여 전자기기를 제어하는 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스마트폰에서는 송출할 데이터가 256바이트가 넘을 경우 256바이트씩 패킷을 구성하여 최송 전송 단위를 데이터를 구성하여 송신할 데이터를 준비한다. 준비된 데이터는 무선 통신 데이터 송신부로 이동되어 무선중계기 겸용 적외선 중계기로 송출된다.
또한, 리모컨 신호 생성 데이터를 메인 데이터 패킷, 리핏 데이터 패킷, 스톱 데이터 패깃으로 분리하여 전송하는 기능 및 데이터 패킷 내에 데이터 순서를 가진다.
또한, 리모컨 무선 중계기에 전송된 패킷을 리모컨 신호 생성부로 전달할 때의 동기 시리얼 통신전 스타트 신호를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선호 방송사 채널을 텔레비전(TV)와 셋톱박스(Settop box) 전원 턴온(TURN ON)시 자동으로 초기 화면으로 설정하는 기능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 및 구동방법은, 버튼을 선택하여 제1 내지 제3 선택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때마다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의 분류가 점점 세분화되어 선택됨으로써,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에 해당하는 리모컨 버튼이 화면에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디지털 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최신 디지털 기기의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자동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리모컨 시스템의 좀 더 상세한 구성도.
도 4는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되어 전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300)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300)는 설치된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디지털 기기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복수의 디지털 기기 중 제어하고자 하는 디지털 기기에 해당하는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선택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버튼 중 미리 할당된 어느 하나의 버튼을 그 버튼의 기능이 동작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선택함으로써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의 첫 번째 분류를 선택한다. 여기에서 버튼의 기능이 동작한다는 것은 그 버튼의 선택에 의해 디지털 기기가 동작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첫 번째 분류를 선택한 이후, 복수의 버튼 중 미리 할당된 어느 하나의 버튼 - 첫 번째 분류의 버튼과 다른 버튼임 - 을 그 버튼의 기능이 동작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선택하여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의 두 번째 분류 - 상기 첫 번째 분류의 하위 분류임 - 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에 총 40개의 리모컨 정보가 있을 경우, 첫 번째 분류의 선택에 의해 10개의 리모컨 정보로 분류가 좁혀지며, 두 번째 분류의 선택에 의해 실제 동작하는 리모컨 정보가 선택된다. 즉,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의 분류를 점점 세분화하여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리모컨 애플리케이션 구동방법은,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버튼 중 미리 할당된 어느 하나의 버튼을 그 버튼의 기능이 동작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선택하여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의 첫 번째 분류를 선택하는 제1 선택단계와,
제1 선택단계 이후에, 복수의 버튼 중 미리 할당된 어느 하나의 버튼 - 제1 선택단계의 버튼과 다른 버튼임 - 을 그 버튼의 기능이 동작할 때까지 반복적으로 선택하여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의 두 번째 분류 - 상기 첫 번째 분류의 하위 분류임 - 를 선택하는 제2 선택단계를 통해서 이루어 질 수 있다.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선택하는 과정의 다른 예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리모컨 애플리케이션 구동방법은,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버튼 중 제1 버튼의 기능이 동작할 때까지 제1 버튼을 반복적으로 선택하는 제1 선택단계와,
제1 선택단계 이후,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버튼 중 제2 버튼의 기능이 동작할 때까지 제2 버튼을 반복적으로 선택하는 제2 선택단계와,
제2 선택단계 이후,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버튼 중 제3 버튼의 기능이 동작할 때까지 제3 버튼을 반복적으로 선택하는 제3 선택단계를 통해서 이루어지는데,
제1 내지 제3 선택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때마다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의 분류가 점점 세분화되어 선택된다. 참고적으로 선택단계의 횟수는 실시예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한편, 제1 버튼이 파워키(Power Key)이고, 제2 버튼이 볼륨키(Volume Key)이고, 제3 버튼이 무음키(Mute Key)로 정의된다고 가정하면,
파워키(Power Key)를 눌렀을 때 디지털 기기가 턴온(TURN ON) 된다면,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 중 그 파워키(Power Key)와 같은 리모컨 코드를 갖는 리모컨 데이터베이스가 첫 번째 분류로 선택된다.
다음으로 볼륨키(Volume Key)를 눌렀을 때 디지털 기기의 볼륨이 조절된다면, 첫 번째 분류된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 중에서 볼륨키(Volume Key)와 같은 리모컨 코드를 갖는 리모컨 데이터베이스가 두 번째 분류로 선택된다.
마지막으로 무음키(Mute Key)를 눌렀을 때 디지털 기기가 무음으로 조절된다면, 두 번째 분류된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 중에서 무음키(Mute Key)와 같은 리모컨 코드를 갖는 리모컨 데이터베이스가 세 번째 분류로 선택되면서 최종적인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가 선정된다.
즉,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 중 파워키(Power Key), 볼륨키(Volume Key) 및 무음키(Mute Key)가 동일한 리모컨 코드에 해당하는 리모컨 데이터베이스가 선정되어 그 리모컨에 해당하는 버튼이 표시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휴대용 단말기(300)에 설치된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은, 외부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최신 디지털 기기의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자동으로 전송받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가 업데이트 되었을 경우, 새롭게 업데이트된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에 따라 분류단계가 자동으로 변경될 수 있다.
즉, 가장 적은 수의 키(버튼)를 통해서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분류단계가 자동조절되며, 그 할당된 키(버튼)의 종류도 동시에 자동변경 될 수 있다. 이때, 변경된 키(버튼)의 갯수와 할당된 키(버튼)의 종류와, 변경사항은 디스플레이 되어 사용자에게 인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 및 구동방법은, 버튼을 선택하여 제1 내지 제3 선택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때마다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의 분류가 점점 세분화되어 선택됨으로써,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용이하게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에 해당하는 리모컨 버튼이 화면에 표시되므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디지털 기기를 조작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최신 디지털 기기의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자동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시스템(1)의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2의 리모컨 시스템(1)의 좀 더 상세한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 시스템(1)은 제안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사상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구성만을 포함하고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리모컨 시스템(1)은 휴대용 단말기(300)와, 무선 중계기(400)와, 디지털 기기(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리모컨 시스템(1)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휴대용 단말기(300)는 휴대폰, 스마트폰, 스마트 패드 등과 같이 사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할 수 있는 기기를 총칭하는 것이며, 본 실시예에서는 스마트폰으로 구성된 휴대용 단말기로 가정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휴대용 단말기(300)의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할 경우, 복수의 디지털 기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화면이 표시되어 사용자가 디지털 기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디지털 기기(500)는 텔레비전, 비디오, 셋톱박스, 에어컨 등과 같이 적외선 리모컨 신호에 의해 동작이 제어되는 기기를 총칭한다.
휴대용 단말기(300)에서 어느 하나의 디지털 기기가 선택되었을 경우, 예를 들면 텔레비전이 선택된 경우, 텔레비전을 조작하기 위한 리모컨 형태가 표시된다. 이때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300)에 표시된 리모컨 버튼을 조작할 경우, 휴대용 단말기(300)는 조작된 리모컨 버튼정보를 무선 통신방식으로 무선 중계기(400)에 전달한다. 이때 무선통신 방식은 와이파이, 지그비 통신 등과 같이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참고적으로 휴대용 단말기(300)는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후, 도 1의 실시예를 통해 설명된 휴대용 단말기(300)의 리모컨 애플리케이션 및 구동방법을 이용하여,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선택한 후, 선택된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에 해당하는 리모컨 버튼이 표시되어 디지털 기기(500)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한 무선통신 방식을 이용한 예시를 설명하기로 한다.
무선 중계기(400)는 와이파이 무선 중계기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데, 무선 중계기(400)는 무선통신 방식으로 전달된 리모컨 버튼정보를 수신한 후, 내부적으로 신호처리 및 신호변환을 수행한 후, 리모컨 버튼정보에 대응하는 적외선 리모컨 신호를 생성한다.
따라서 무선 중계기(400)에서 생성되어 출력되는 적외선 리모컨 신호에 의해 디지털 기기(500), 즉 텔레비전이 제어된다.
따라서 휴대용 단말기(300)와 디지털 기기(500) 사이의 이격거리가 매우 멀더라도,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300)를 조작할 때 무선 중계기(400)를 경유하면서 디지털 기기(5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중계기(400)가 와이파이 무선 중계기 기능을 수행하므로, 무선 중계기(400)에 접속된 복수의 휴대용 단말기는 동시에 무선 인터넷에 접속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하여 디지털 기기(500)를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리모컨 시스템(1)의 좀 더 상세한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휴대용 단말기(300)는 터치 인식부(303)와, 제어부(304)와, 화면 표시부(305)와, 무선통신 패킷 생성부(307)와, 무선통신 데이터 송신부(30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무선 중계기(400)는 무선통신 패킷 수신부(401)와, 시리얼 통신 데이터 처리부(402)와, 시리얼 통신 제어부(403)와, 적외선 리모컨 신호 생성부(40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리모컨 시스템(1)의 세부구성과 주요동작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휴대용 단말기(300)에서,
터치 인식부(303)는 사용자의 터치를 인식하여 디지털 기기(500)를 선택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즉, 사용자가 복수의 디지털 기기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터치를 할 경우, 터치 인식부(303)는 선택된 디지털 기기를 선택하는 신호를 생성한다.
즉, 터치 인식부(303)는 화면 표시부(305)에 표출된 디지털 기기를 선택하는 사용자의 터치신호, 또는 디지털 기기(500)의 조작 인터페이스인 번호 입력키나 조절키를 터치하거나 드래그하는 사용자의 조작신호 인식하여 디지털 기기(500) 조작을 위한 입력신호(터치신호, 조작신호)로 인식 하도록 구성된다.
화면 표시부(305)는 평판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디지털 기기를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하고, 선택된 디지털 기기의 리모컨 버튼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터치 인식부(303)의 인식여부를 표시한다. 이때, 원하는 디지털 기기가 표시되지 않을 경우, 사용자는 업데이트 아이콘을 선택하여 외부 서버로부터 최신 디지털 기기의 리모컨 정보를 자동으로 전송받을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화면 표시부(305)는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이 활성화된 후 디지털 기기들의 종류인 텔레비전, 셋톱박스, 에어컨 등의 리모컨키를 화면에 표출시킨다. 또한, 선택된 디지털 기기(500)의 파워(Power)키가 붉은 색으로 변하고 해당 디지털 기기(500)를 조작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로서 번호 입력키나 조절키 등 다양한 메뉴얼을 표시한다.
제어부(304)는 터치 인식부(303)에서 생성된 입력신호(터치신호,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디지털 기기(500)의 코드로 변환하여 생성한다.
무선통신 패킷 생성부(307)는 제어부(304)에서 변환된 코드를 전달받아서 무선 중계기(400)에 전달할 프로토콜을 적용하여 전송 데이터로 변환한다.
무선통신 데이터 송신부(306)는 전송 데이터를 패킷화 하여 무선 송출하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인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하여 전송 데이터를 무선 송출한다.
무선통신 데이터 송신부(306)는 송출할 전송 데이터가 256바이트가 넘을 경우, 256바이트씩 패킷을 구성하여 최소 전송 단위의 데이터로 분할한 후 전송한다. 이때, 무선통신 패킷 생성부(307)에서 256바이트씩 패킷을 구성하여 최소 전송 단위의 데이터로 분할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무선 중계기(400)의 무선통신 패킷 수신부(401)는 휴대용 단말기(300)의 무선통신 데이터 송신부(306)로부터 전송되는 전송 데이터를 수신한다.
시리얼 통신 데이터 처리부(402)는 무선통신 패킷 수신부(401)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시리얼 데이터로 변환한다.
시리얼 통신 제어부(403)는 변환된 시리얼 데이터를 적외선 리모컨 신호 생성부(404)로 전달한다.
적외선 리모컨 신호 생성부(404)는 디지털 기기(500)를 제어하는 적외선 리모컨 신호를 생성하여 출력한다.
도 4는 시리얼 데이터가 변환되어 전송되는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시리얼 통신 제어부(403)는 동기 통신을 실시하여 무선 통신상의 에러나 잡음에 의해 데이터가 손실되었을 손실된 패킷만 재전송을 받고, 이시간 동안의 지연은 동기통신에 의해 대기상태로 처리되고 완전한 데이터가 송신 되었을 때, 적외선 리모컨 신호 생성부(404)에 데이터를 전달하여 적외선 리모컨 신호가 생성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Figure 112015116062040-pat00001
Figure 112015116062040-pat00003
상기 표 1 내지 표 3 에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패킷의 구성이 나타나 있다.
표 1 내지 표 3을 참조하면, 패킷 인덱스(Packt Index)는 메인신호 패킷의 순서를 나타내고, 랭스(Length)는 패킷의 길이를 나타내어서 250 or 256 바이트까지의 데이터 길이를 제한하였다. 캐리어 프리퀀시(Carrier frequency)는 적외선 리모컨 신호에 실리는 주파수 값을 4바이트로 표시하였고 이후 실제 적외선 리모컨 신호가 패킷의 랭스(Length) 만큼 구성되고 마지막으로 전체 데이터값을 더한 책섬(Checksum)값이 표시되어 전달받은 데이터의 정확도를 확인한다.
또한 적외선 리모컨 신호가 길어질 경우 반복 신호가 리모컨의 종류에 따라서 달라지는데 이를 위하여 반복신호 패킷이 구성되어 있다.
반복신호 패킷은 적외선 리모컨 신호 생성부(404)가 스톱신호 패킷을 수신하기 전까지 계속해서 반복적으로 출력을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리모컨 시스템(1)은, 사용자 응답속도가 빠른 데이터 패킷(PACKET)의 구조를 개발하여 사용자가 일반 리모컨과의 기능적 차별성을 느끼지 않으면서 편리하게 사용 할 수 있다. 또한 적외선 리모컨 신호의 효율적인 생성이 달성되며, 에러보정을 위한 패킷(PACKET)의 전송방식이 적용된다.
또한, 리모컨 시스템(1)은 스마트폰/테블릿을 리모컨으로 사용하여 편리하게 텔레비전(TV)과 셋톱박스(Settop box)와 같은 디지털 기기를 제어할 수 있으며, 무선 중계기(400)를 통해 동시에 255명까지의 사용자 접속이 가능하다.
제품의 편의성을 및 정확한 구동을 위하여 적외선 리모컨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패킷구성을 메인 패킷신호, 리핏 패킷 신호, 스탑 패킷신호로 구분하고 각각의 패킷의 정보를 250 or 256바이트로 제한하여 무선통신의 부하를 줄이고 잡음에 대비하여 통신 에러를 최소하였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303 : 터치 인식부
304 : 제어부
305 : 화면 표시부
306 : 무선통신 데이터 송신부
307 : 무선통신 패킷 생성부
401 : 무선통신 패킷 수신부
402 : 시리얼 통신 데이터 처리부
403 : 시리얼 통신 제어부
404 : 적외선 리모컨 신호 생성부

Claims (7)

  1. 복수의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에 있어서,
    설치된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표시되는 복수의 버튼; 및
    상기 복수의 버튼에 의해 선택되며 상기 복수의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코드가 저장된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포함하고,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버튼 중 파워키(Power Key)로 정의되는 제1 버튼에 할당된 턴온(Turn on)기능이 동작할 때까지 상기 제1 버튼을 반복적으로 선택함으로써, 턴온(Turn on)기능이 동작할 때의 파워키(Power Key)와 같은 리모컨 코드를 갖는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첫 번째 분류로 선택하고,
    첫 번째 분류를 선택한 이후, 상기 복수의 버튼 중 제2 버튼에 할당된 기능이 동작할 때까지 상기 제2 버튼을 반복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2 버튼에 할당된 기능이 동작할 때의 상기 제2 버튼과 같은 리모컨 코드를 갖는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두 번째 분류 - 상기 첫 번째 분류의 하위 분류임 - 로 선택하여,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의 분류를 점점 세분화하여 선택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은, 외부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최신 디지털 기기의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자동으로 전송받으며,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가 업데이트 되었을 경우, 상기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분류단계가 자동조절됨에 있어서, 리모컨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기 위해 할당된 버튼의 종류도 동시에 자동변경되고, 변경된 버튼의 갯수 및 할당된 버튼의 종류는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
  2. 삭제
  3. 휴대용 단말기에 설치된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복수의 디지털 기기를 제어하는 리모컨 애플리케이션 구동방법에 있어서,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버튼 중 파워키(Power Key)로 정의되는 제1 버튼에 할당된 턴온(Turn on)기능이 동작할 때까지 상기 제1 버튼을 반복적으로 선택함으로써, 턴온(Turn on)기능이 동작할 때의 파워키(Power Key)와 같은 리모컨 코드를 갖는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첫 번째 분류로 선택하는 제1 선택단계;
    상기 제1 선택단계 이후, 상기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버튼 중 제2 버튼에 할당된 기능이 동작할 때까지 상기 제2 버튼을 반복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2 버튼에 할당된 기능이 동작할 때의 상기 제2 버튼과 같은 리모컨 코드를 갖는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두 번째 분류 - 상기 첫 번째 분류의 하위 분류임 - 로 선택하는 제2 선택단계; 및
    상기 제2 선택단계 이후, 상기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에 표시된 복수의 버튼 중 제3 버튼에 할당된 기능이 동작할 때까지 상기 제3 버튼을 반복적으로 선택함으로써, 상기 제3 버튼에 할당된 기능이 동작할 때의 상기 제3 버튼과 같은 리모컨 코드를 갖는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세 번째 분류 - 상기 두 번째 분류의 하위 분류임 - 로 선택하는 제3 선택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지 제3 선택단계를 순차적으로 진행할 때마다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의 분류가 점점 세분화되어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은, 외부 서버에 주기적으로 접속하여 최신 디지털 기기의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자동으로 전송받으며,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가 업데이트 되었을 경우, 상기 리모컨 데이터 베이스를 선택할 수 있도록 분류단계가 자동조절됨에 있어서, 리모컨 데이터베이스를 선택하기 위해 할당된 버튼의 종류도 동시에 자동변경되고, 변경된 버튼의 갯수 및 할당된 버튼의 종류는 디스플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애플리케이션 구동방법.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버튼은 볼륨키(Volume Ke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애플리케이션 구동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3 버튼은 무음키(Mute Key)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모컨 애플리케이션 구동방법.
  7. 삭제
KR1020150167320A 2015-11-27 2015-11-27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 및 구동방법 KR101773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320A KR101773463B1 (ko) 2015-11-27 2015-11-27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 및 구동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7320A KR101773463B1 (ko) 2015-11-27 2015-11-27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 및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013A KR20170062013A (ko) 2017-06-07
KR101773463B1 true KR101773463B1 (ko) 2017-08-31

Family

ID=59223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7320A KR101773463B1 (ko) 2015-11-27 2015-11-27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 및 구동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346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397B1 (ko) * 2010-09-17 2011-05-30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37397B1 (ko) * 2010-09-17 2011-05-30 주식회사 디지엔스 스마트폰을 이용한 디지털 기기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62013A (ko) 2017-06-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88595B1 (ko) 사물인터넷을 지원하는 통합리모컨 및 그 제어방법
EP3297265B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liance control via a personal communication or entertainment device
EP3174303B1 (en) Remote control method for multi-terminal device, and related apparatus and system
US20120295662A1 (en) Universal Remote
TW201324455A (zh) 遙控系統及遙控裝置
CN103686462B (zh) 控制终端与受控终端配对方法、系统及终端
US20140369231A1 (en) Smart home network system and method for registering home devices
KR20140135433A (ko) 통합 리모콘이 구비된 무선중계장치 및 그것의 운용방법
CN103997570A (zh) 一种移动终端的配对方法、系统和移动终端
US20120062468A1 (en) Method of modifying an interface of a handheld device and related multimedia system
CN103945235B (zh) 一种数字电视控制方法、机顶盒及系统
US9418539B2 (en) Remote control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remotely controlled by the same
CN103916690A (zh) 智能电视远程控制方法及相关装置
WO2017136998A1 (zh) 一种人机交互控制方法
KR101745654B1 (ko) 스마트폰에 내장된 적외선 리모컨 모듈의 인터페이스
KR20120005315A (ko) 가전기기 통합 제어시스템
KR101765821B1 (ko) 스마트폰으로부터 와이파이를 통해 전송된 전송 데이터를 처리하는 적외선 가전 제어 컨트롤러
EP3745375B1 (en) Method for transmitting signal via mesh network and remote control system thereof
KR101773463B1 (ko) 리모컨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된 휴대용 단말기 및 구동방법
CN102693624A (zh) 网络遥控器控制系统和网络遥控的控制方法
US20140213243A1 (en) Service equipment control method and user equipment for performing the same
KR101679306B1 (ko) 휴대용 단말기 및 무선 중계기로 구현되는 리모컨 시스템
CN104240487A (zh) 电子装置及实现通用遥控器功能的方法
CN105261201A (zh) 一种基于移动终端的遥控方法及装置和移动终端
JP2008311958A (ja) 携帯電話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74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412

Effective date: 20170724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