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970B1 - 골전도 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반지형 통화 장치 - Google Patents
골전도 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반지형 통화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9970B1 KR101759970B1 KR1020160168292A KR20160168292A KR101759970B1 KR 101759970 B1 KR101759970 B1 KR 101759970B1 KR 1020160168292 A KR1020160168292 A KR 1020160168292A KR 20160168292 A KR20160168292 A KR 20160168292A KR 101759970 B1 KR101759970 B1 KR 10175997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re
- plate
- yoke
- diaphragm spring
- magne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1/00—Transducers of moving-armature or moving-core type
- H04R11/02—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60/00—Details of hearing devices, i.e. of ear- or headphones covered by H04R1/10 or H04R5/033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their subgroups, or of hearing aids covered by H04R25/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460/13—Hearing devices using bone conduction transduc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Details Of Audible-Bandwidth Transducers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골전도 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반지형 통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적인 음향 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고 골전도 방식으로 전달하는 진동자와, 반지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 상기 진동자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휴대폰을 꺼내지 않고 손가락 끝을 한쪽 귀속에 삽입한 상태로 통화할 수 있는 반지형 통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골전도 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반지형 통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적인 음성 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고 골전도 방식으로 전달하는 진동자와, 반지 형태로 구성되며 내부에 상기 진동자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휴대폰을 꺼내지 않고 손가락 끝을 한쪽 귀속에 삽입한 상태로 통화할 수 있는 반지형 통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 사용중 전화가 걸려오면, 주머니속에 들어있는 휴대폰을 꺼내어 통화하거나, 별도의 이어폰 또는 헤드셋을 연결하여 통화를 해야만 한다. 휴대폰으로 직접 통화하는 경우 소음이 많은 환경에서는 통화시 상대방의 음성이 잘 들이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어폰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이어폰을 휴대폰에 연결해야 하는 귀찮음과 양쪽 귀에 이어폰을 꽂은 경우 외부 주변 소리가 유입되지 않아 차량이 돌진하는 경우 등의 위험에 대처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수단으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059222호에는 팔찌형 통화 장치가 공지되는바, 상기 팔찌형 통화 장치는 팔찌형 본체 내부에 골전도 진동자를 내장하여 사용자가 손가락 끝을 귀속에 삽입하여 통화할 수 있는 제품이다. 상기 공개특허는 휴대폰을 꺼낼 필요없이 간단한 동작으로 통화가 가능하고 외부 주변 소리를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안전 사고의 위험을 예방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갖는다. 그러나, 팔찌형 제품에 골전도 진동자를 내장하는 경우, 진동자의 위치와 사용자의 귀 사이 거리가 비교적 멀기 때문에 골전도 과정에서 진동이 감쇄 또는 소실됨에 따라 통화음이 잘 들리지 않는 문제가 발생하고, 특히, 일반적인 골전도 진동자의 경우, 저음역대의 소리가 주로 출력되기 때문에 목소리가 분명하게 구분되지 않으며, 3KHz 이상의 고음역대의 소리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여 통화 장치로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스마트 반지에 관한 것으로,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휴대폰 통화 방식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휴대폰을 주머니에서 꺼낼 필요없이 간단한 동작으로 전화 통화가 가능하고, 고음역대 소리를 원활하게 들을 수 있고, 주변 소음 여부에 관계없이 상대방의 음성을 잘 들을 수 있으며, 한쪽 귀로 외부 소음을 들을 수 있어 위험에 대처할 수 있는 진보된 휴대폰 통화 방식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진동자는,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요크와; 상기 요크의 중앙에 배치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음성신호 전류를 인가받는 코일과; 상기 요크의 상부에 결합되어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변화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진동되는 진동판스프링과; 상기 진동판스프링 상측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코어는 요크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특히, 상기 요크의 내측 저면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축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는 상기 축관의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코어가 축관내에서 나사작용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일의 외측 둘레에는 저음역대에서 공진을 일으켜 저음역대 주파수의 진동을 최대값으로 출력하는 가중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동판스프링과 마그네트 사이에는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되, 상기 플레이트는 하부가 진동판스프링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자석이 장착된 것이 바람직하며,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볼록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진동판스프링에는 중앙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볼록부가 상기 진동판스프링의 중앙홀에 끼움 결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반지형 통화 장치는,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반지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전달받아 진동으로 변환하는 골전도용 진동자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진동자는,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요크와; 상기 요크의 중앙에 배치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음성신호 전류를 인가받는 코일과; 상기 요크의 상부에 결합되어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변화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진동되는 진동판스프링과; 상기 진동판스프링 상측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코어는 요크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상기 요크의 내측 저면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축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는 상기 축관의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코어가 축관내에서 나사작용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코일의 외측 둘레에는 저음역대에서 공진을 일으켜 저음역대 주파수의 진동을 최대값으로 출력하는 가중 플레이트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진동판스프링과 마그네트 사이에는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되, 상기 플레이트는 하부가 진동판스프링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자석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볼록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진동판스프링에는 중앙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볼록부가 상기 진동판스프링의 중앙홀에 끼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되도록 일측면이 본체의 내주면 외측으로 노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는 외측 접선 방향으로 수평연장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평연장부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골전도를 이용하여 손가락으로 통화를 할 수 있기 때문에, 휴대폰을 꺼내거나 별도의 이어폰 등을 연결하여 통화하는 번거로움을 해결할 수 있고, 코일내 코어의 위치 조절을 통하여 음역대 조절이 가능하여 고음역대 소리를 원활하게 들을 수 있게 된다. 또한, 골전도를 이용하므로 외부 소음에 관계없이 통화가 가능하고, 한쪽 귀가 개방되어 있으므로 외부 위험을 인지할 수 있어 안정성면에서도 탁월한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반지형 통화 장치의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반지형 통화 장치의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반지형 통화 장치에 내장된 진동자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반지형 통화 장치에 내장된 진동자의 분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반지형 통화 장치에 내장된 진동자의 단면도,
도 6 은 진동자의 음역대 조절 작동 상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반지형 통화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에 따른 반지형 통화 장치의 측면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반지형 통화 장치에 내장된 진동자의 사시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반지형 통화 장치에 내장된 진동자의 분해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반지형 통화 장치에 내장된 진동자의 단면도,
도 6 은 진동자의 음역대 조절 작동 상태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반지형 통화 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반지형 통화 장치 및 골전도 진동자(100)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과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반지형 통화 장치는 반지 형태로 구성되어 사용자가 손가락에 끼운 상태에서 손가락 끝을 한쪽 귀속에 삽입하여 통화할 수 있는 제품으로서, 휴대폰과 블루투스 등으로 무선 연결되어 상대방의 음성신호를 전송받고, 전송받은 음성신호를 진동으로 변환하여 골전도 방식으로 전달함으로써 외부 소음 여부에 관계없이 음성을 들을 수 있으며, 한쪽 귀가 항시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외부 위험을 인지할 수 있어 안전성이 보장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지형 통화 장치는 본체(10), 디스플레이(13), 마이크(14) 및 진동자(10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도 1 및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손가락에 끼울 수 있도록 반지와 같은 링 형상으로 구성되고, 내부에는 후술하는 진동자(100), 휴대폰과 연결하기 위한 무선송수신부(미도시) 및 전체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회로부(미도시), 배터리(미도시) 등을 내장하기 위해 속이 빈 형태로 구성된다.
상기 본체(10)의 상부 일측에는 외측 접선 방향으로 수평연장부(12)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평연장부(12)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13)가 구비된다. 상기 디스플레이(13)에는 전화 수신 여부, 통화중 또는 통화종료 상태, 볼륨, 전원 상태 등 다양한 작동 상태가 표시된다. 그리고, 상기 수평연장부(12)의 하면은 착용감을 위하여 본체(10)가 끼워진 손가락의 인접한 손가락 상부 굴곡에 상응하게 오목하게 만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마이크(14)가 구비된다. 상기 마이크(14)는 사용자가 본체(10)를 손가락에 끼운 상태에서 손가락 끝을 귓속에 끼워 통화시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고 이를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여 후술하는 진동자(100)로 전달한다.
추가적으로, 상기 본체(10)의 일측에는 전원의 온오프, 볼륨조절 등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기능 스위치(16)와, 전원 충전을 위한 충전단자(18)가 각각 구비된다.
한편, 상기 마이크(14)로부터 감지된 사용자의 음성은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된 후 골전도 방식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을 따라 진동 형태로 전달된다. 이를 위해 상기 본체(10)에는 골전도용 진동자(100)가 구비된다. 상기 진동자(100)는 본체(10)의 내부,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상부 내측에 내장되되, 후술하는 마그네트(170) 부분이 본체(10)의 내주면 외측에 노출되어 착용시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됨에 따라 진동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 에는 상기 진동자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4 에는 상기 진동자의 분해도가 도시되며, 도 5 에는 상기 진동자의 단면도가 도시된다.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자(100)는 요크(110), 코어(120), 코일(130), 가중플레이트(140), 진동판스프링(150), 플레이트(160) 및 마그네트(17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요크(110)는 상부가 개구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구비되어 후술하는 코어(120), 코일(130) 및 가중플레이트(140)를 수용하여 외측에서 둘러싸는 일종의 외부 케이싱으로서, 그 형상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나,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구된 중공의 원통형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요크(110)의 저면에는 관통공(112)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공(112)이 형성된 요크(110)의 내측에는 축관(114)이 돌출 형성된다. 상기 축관(114)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코어(120)가 결합되되, 상기 코어(120)가 나사 작용에 의해 상하 이동될 수 있도록 축관(114)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요크(110)의 상단 둘레면에는 다수개의 단차부(116)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진동판스프링(150)의 날개부(152)가 안착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요크(110)의 축관(114)에는 코어(120)가 삽입 결합된다. 상기 코어(120)는 코일(130)에 흐르는 전류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키기 위한 철심으로서 도 4 및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이 원형인 봉 형상으로 구성되되 상부가 하부의 직경 보다 더 크도록 단차지게 형성되어 대체로 볼트와 유사한 형상으로 구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코어(120)는 축관(114)의 상방으로부터 삽입 결합된다.
한편,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코어(120)는 나사 작용에 의해 축관(114)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코어(120)의 외주면에는 상기 축관(114)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코어(120)의 하부 저면에는 동전이나 드라이버를 이용하여 회전시킬 수 있도록 일자형 또는 십자형 오목홈(122)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120)의 외측에는 코일(130)이 배치된다. 상기 코일(130)은 진동자(100)의 외부에 구비된 PCB(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자기장 발생을 위한 전류를 흐르게 하는 것으로,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수회 권선되어 중앙이 빈 원형의 링 형상으로 구성되며, 축관(114)에 코어(120)가 삽입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코어(120)와 축관(114) 외측에 삽입 결합된다. 상기 코일(130)에는 흐르는 전류의 극성 또는 세기가 변화함에 따라 코어(120) 주변의 자기장의 방향 또는 세기가 변화되고, 이에 따라 후술하는 마그네트(170)의 자기장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후술하는 진동판스프링(150)이 진동하게 된다.
상기 코일(130)의 외측에는 가중플레이트(140)가 배치된다. 상기 가중플레이트(140)는 50 ~ 100Hz의 저역대 고유주파수(공진주파수;FO)를 가짐에 따라 저음역대 주파수를 갖는 음성신호가 인가되는 경우 공진을 일으켜 저음역대 주파수의 진동을 최대값으로 출력한다. 상기 가중플레이트(140)는 중앙에 관통공(112)이 형성된 원형의 링 형상으로 구성되어 코일(130)의 외측에 삽입 배치되되, 비중7.1(Cr) ~ 19.29(Au)의 금속 재질로 제작될 수 있으며, 금속 재질 중 비중 8.73의 텅스텐으로 제작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코어(120), 코일(130) 및 가중플레이트(140)가 배치된 요크(110)의 상부 개구에는 진동판스프링(150)이 덮여진다. 상기 진동판스프링(150)은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코일(130)에 흐르는 전류의 변화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에 의해 진동되며, 발생된 진동을 요크(11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판스프링(150)은 대체로 원형의 판 형상으로 구성되되 표면에는 다수의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하로 진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외주면 가장자리에는 하방을 향하여 날개부(152)가 형성되며, 상기 날개부(152)는 도 5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요크(110)의 상단에 형성된 단차부(116)에 안착된 상태에서 스폿 용접에 의해 결합되어 요크(110)로 진동을 전달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진동판스프링(150)의 중앙부에는 후술하는 플레이트(160)의 결합을 위한 중앙홀(154)이 형성된다.
상기 진동판스프링(150)의 상측에는 금속재 플레이트(160)가 결합되고, 상기 플레이트(160)의 상측 중앙에는 마그네트(170)가 결합된다. 일반적으로 마그네트(170)의 자력은 중앙에서 측방으로 퍼지면서 나가기 때문에 양쪽 끝부분의 세기가 큰 것이 일반적인데, 상기 플레이트(160)는 자력이 중앙, 즉, 코어(120) 쪽으로 일정하게 모이도록 유도한다.
상기 플레이트(160)는 하면 중앙에 진동판스프링(150)의 중앙홀(154)에 끼움 결합되도록 볼록부(162)가 형성되고, 상면 중앙에는 마그네트(170)가 안착 결합되도록 오목부(164)가 형성된다. 상기 마그네트(170)는 상기 플레이트(160)의 오목부(164)에 끼움 결합되거나 접착제 또는 기타 결합수단에 의해 결합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지금까지 설명한 진동자(10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지형 통화 장치의 본체(10) 내측에 내장되되, 상측에서 사용자의 손가락과 마그네트(170)가 접촉되도록 뒤집어진 상태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요에 따라, 상기 마그네트의 상측에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되는 별도의 커버가 씌워질 수도 있다.
한편, 도 6 에는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진동자(100)의 음역대 조절 작동 상태도가 도시된다. 위에서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골전도 진동자(100)의 경우 주로 저음역대의 소리를 출력 전달하기 때문에 목소리의 구분이 잘 안되는 문제가 있었으며, 3KHz 이상의 고음역대의 소리를 제대로 전달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어 통화 장치에 사용하는데 한계가 있어 왔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코어(120)의 위치를 상하로 조절 가능하게 구성하여 음역대를 조절함으로써 고음역대 소리를 원활하게 출력 및 전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위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진동자(100)의 코어(120)가 요크(110)의 축관(114)에 나사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코어(120)를 회전시키면 나사작용에 의해 코어(120)가 상하로 이동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음역대의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 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상기 코어(120)는 요크(110)의 축관(114) 깊숙히 나사 결합된 상태에 있다. 이때 코어(120)와 플레이트(혹은 마그네트)와의 사이의 간격을 G1이라 한다. 현 상태에서 상기 코어(120)의 하부면에 형성된 오목홈(122)에 드라이버를 끼워 회전시키면 코어(120) 외주면의 나사산과 축관(114) 내주면의 나사산의 상호작용에 의해, 도 6 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코어(120)가 상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렇게 되면, 상기 코어(120)와 플레이트(혹은 마그네트) 사이의 간격은 G2로 줄어들게 된다. 이와 같이, 코어(120)가 상승하여 코어(120)와 플레이트(혹은 마그네트) 사이의 간격이 좁아지면 진동판스프링(150)에 가해지는 자력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커져서 진동이 세지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고음역대 소리의 출력 전달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코어(120)를 반대방향으로 돌리면 코어(120)와 플레이트(160) 사이의 간격이 커지기 때문에 진동판스프링(150)에 가해지는 자력의 세기가 상대적으로 작아져서 진동이 작아지고 이에 따라 상대적으로 저음역대 소리가 출력된다. 이와 같이, 상기 코어(120)의 위치 조절에 의해 음역대의 조절이 가능하므로 통화 장치에 사용시 고음역대의 음성 전달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코어(120)의 위치는 제품 출시시 미리 음성 통화용 음역대에 맞춰 미리 세팅되어 출시될 수도 있고, 개폐 가능한 홀 또는 조절노브(미도시)를 형성하거나, 본체(10)를 분리 조립할 수 있도록 구성하여 사용 중 필요에 따라 음역대 조절이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도 7 에는 이러한 진동자(100)가 구비된 본 발명에 따른 반지형 통화 장치를 손가락에 착용하고 통화하는 모습이 도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어느 한 손가락에 본체(10)를 끼운 상태에서 해당 손가락 끝은 귀속에 삽입한 상태로 통화한다. 휴대폰과 블루투스 등 무선에 의해 연결된 반지형 통화 장치는 휴대폰으로부터 음성신호를 전달받고, 전달된 음성신호는 코일(130)에 인가되어 코어(120) 주변에 자기장을 발생시키며, 음성신호의 변화에 따라 자기장의 극성과 세기가 변화하게 된다. 상측에 배치된 마그네트(170)는 항상 일정한 자기장의 방향과 세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코어(120)로부터 발생되는 자기장의 방향 및 세기 변화에 따라 진동판스프링(150)이 진동된다. 진동판스프링(150)의 진동은 요크(110)에 전달되어 진동자(100) 전체가 떨리게 되며, 해당 진동은 마그네트(170)와 접촉된 사용자의 손가락 뼈와 두개골을 통해 전달되어 사용자의 달팽이관까지 전달됨으로써 상대방의 음성을 들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반지형 통화 장치의 본체(10)에 구비된 마이크(14)를 통하여 사용자의 음성이 감지된 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되어 전송됨에 따라 쌍방간 전화 통화가 가능하게 된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골전도 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반지형 통화 장치의 구성 및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였는 바, 본 발명은 이러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범위가 갖는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본체 12 : 수평연장부
13 : 디스플레이 14 : 마이크
16 : 기능 스위치 18 : 충전단자
100 : 진동자 110 : 요크
112 : 관통공 114 : 축관
116 : 단차부 120 : 코어
122 : 오목홈 130 : 코일
140 : 가중플레이트 150 : 진동판스프링
152 : 날개부 154 : 중앙홀
160 : 플레이트 162 : 볼록부
164 : 오목부 170 : 마그네트
13 : 디스플레이 14 : 마이크
16 : 기능 스위치 18 : 충전단자
100 : 진동자 110 : 요크
112 : 관통공 114 : 축관
116 : 단차부 120 : 코어
122 : 오목홈 130 : 코일
140 : 가중플레이트 150 : 진동판스프링
152 : 날개부 154 : 중앙홀
160 : 플레이트 162 : 볼록부
164 : 오목부 170 : 마그네트
Claims (15)
-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요크와;
상기 요크의 중앙에 배치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음성신호 전류를 인가받는 코일과;
상기 요크의 상부에 결합되어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변화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진동되는 진동판스프링과;
상기 진동판스프링 상측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되,
상기 코어는 요크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코어가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진동자.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내측 저면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축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는 상기 축관의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코어가 축관내에서 나사작용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진동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외측 둘레에는 저음역대에서 공진을 일으켜 저음역대 주파수의 진동을 최대값으로 출력하는 가중 플레이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진동자.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스프링과 마그네트 사이에는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되, 상기 플레이트는 하부가 진동판스프링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자석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진동자.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볼록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진동판스프링에는 중앙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볼록부가 상기 진동판스프링의 중앙홀에 끼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전도 진동자. - 손가락에 끼울 수 있는 반지 형태의 본체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고 전기적인 음성신호를 전달받아 진동으로 변환하는 골전도용 진동자와;
상기 본체 일측에 구비되고 사용자의 음성을 감지하여 전기적인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마이크를 포함하고,
상기 골전도용 진동자는,
상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요크와;
상기 요크의 중앙에 배치되는 코어와;
상기 코어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음성신호 전류를 인가받는 코일과;
상기 요크의 상부에 결합되어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의 변화에 따른 자기장의 변화에 따라 진동되는 진동판스프링과;
상기 진동판스프링 상측에 배치되는 마그네트;를 포함하며,
상기 코어는 요크 내부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며, 상기 코어가 이동된 위치에 따라 상기 코일에 의해 발생되는 자력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통화 장치. - 삭제
- 삭제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요크의 내측 저면에는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된 축관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코어의 외주면에는 상기 축관의 나사산에 상응하는 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코어가 축관내에서 나사작용에 의해 상하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통화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의 외측 둘레에는 저음역대에서 공진을 일으켜 저음역대 주파수의 진동을 최대값으로 출력하는 가중 플레이트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통화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스프링과 마그네트 사이에는 플레이트가 더 구비되되, 상기 플레이트는 하부가 진동판스프링에 결합되고, 상부에는 자석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통화 장치.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하부에는 볼록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진동판스프링에는 중앙홀이 관통 형성되며, 상기 플레이트의 볼록부가 상기 진동판스프링의 중앙홀에 끼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통화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사용자의 손가락과 접촉되도록 일측면이 본체의 내주면 외측으로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통화 장치. -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부 일측에는 외측 접선 방향으로 수평연장부가 돌출 형성되고, 상기 수평연장부의 상면에는 디스플레이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지형 통화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8292A KR101759970B1 (ko) | 2016-12-12 | 2016-12-12 | 골전도 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반지형 통화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168292A KR101759970B1 (ko) | 2016-12-12 | 2016-12-12 | 골전도 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반지형 통화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759970B1 true KR101759970B1 (ko) | 2017-07-20 |
Family
ID=59443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168292A KR101759970B1 (ko) | 2016-12-12 | 2016-12-12 | 골전도 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반지형 통화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59970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0616B1 (ko) * | 2017-11-07 | 2019-01-22 | ㈜건융아이비씨 | 디지털 음성증폭시스템 |
KR20230018248A (ko) | 2021-07-29 | 2023-02-07 | 이형빈 | 손가락 착용형 송수화기 장치 |
-
2016
- 2016-12-12 KR KR1020160168292A patent/KR101759970B1/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40616B1 (ko) * | 2017-11-07 | 2019-01-22 | ㈜건융아이비씨 | 디지털 음성증폭시스템 |
KR20230018248A (ko) | 2021-07-29 | 2023-02-07 | 이형빈 | 손가락 착용형 송수화기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12876067U (zh) | 骨传导耳机 | |
CA1213349A (en) | Telephone hearing aid | |
US6483917B1 (en) | Telephone with a receiver arousing bone-conduction and air-conduction hearing | |
JP2004507951A (ja) | 骨導振動子 | |
WO2004066599A1 (ja) | 耳装着型の通話装置 | |
JP2004187031A (ja) | 骨伝導スピーカーを用いた携帯電話機 | |
US8903309B2 (en) | True stereo wireless headset and method | |
KR101389691B1 (ko) | 자성 유체로 노이즈를 감소시킨 골전도 스피커 유니트 | |
KR101759970B1 (ko) | 골전도 진동자 및 이를 이용한 반지형 통화 장치 | |
KR102127977B1 (ko) | 무선 헤드셋 | |
JP2000165972A (ja) | 骨伝導音声検出装置 | |
EP3509319B1 (en) | Sound output device | |
KR20010008806A (ko) | 접촉형 스피커 | |
KR20170030971A (ko) | 스피커와 마이크를 일체로 구비하는 패치형 음성전달장치 | |
KR100294622B1 (ko) | 골도기도겸용수화기및이를이용한전화기 | |
EP4175315A1 (en) | Sound output device | |
JP2019080338A (ja) | 音響装置 | |
JP2004229147A (ja) | 耳装着型の通話装置 | |
KR200333043Y1 (ko) | 진동 스피커 | |
KR200191799Y1 (ko) | 목걸이형 이어폰 | |
KR20080073074A (ko) | 헤드셋 | |
KR20100119470A (ko) | 감시기능과 이어폰 겸용 귓속형 마이크를 가지는 무선 헤드셋 장치 | |
KR20030028825A (ko) | 골도 진동자 | |
KR200296830Y1 (ko) | 이어폰용 스피커 장착커버의 구조 | |
KR100639315B1 (ko) | 접촉형 스피커를 적용한 통신기구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