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9058B1 - 촬영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촬영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59058B1 KR101759058B1 KR1020150015569A KR20150015569A KR101759058B1 KR 101759058 B1 KR101759058 B1 KR 101759058B1 KR 1020150015569 A KR1020150015569 A KR 1020150015569A KR 20150015569 A KR20150015569 A KR 20150015569A KR 101759058 B1 KR101759058 B1 KR 101759058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ns
- refractive power
- photographing
- photographing lens
- positive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4
- 238000003384 imaging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5
- 230000004075 alt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8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01000009310 astigmati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585 weight reduc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44991 metal oxid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4706 metal oxid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059 cover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99 meniscu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7 optim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9/00—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 G02B9/62—Optical objectives characterised both by the number of the components and their arrangements according to their sign, i.e. + or - having six components only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001—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 G02B13/001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 G02B13/002—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 G02B13/0045—Miniaturised objectives for electronic devices, e.g. portable telephones, webcams, PDAs, small digital cameras characterised by the lens design having at least one aspherical surface having five or more lenses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3/00—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 G02B13/18—Optical objectives specially designed for the purposes specified below with lenses having one or more non-spherical faces, e.g. for reducing geometrical aberration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3/02—Simple or compound lenses with non-spherical fa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3/00—Simple or compound lenses
- G02B2003/0093—Simple or compound lens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Lenses (AREA)
Abstract
촬영 렌즈는 물체측에서 상면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6렌즈;를 포함하며,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90° < FOV < 160°
0.5 < D1/D6 < 1.0
여기서, FOV는 상기 촬영 렌즈의 화각이고, D1은 상기 제1렌즈의 유효경, D6은 상기 제6렌즈의 유효경이다.
90° < FOV < 160°
0.5 < D1/D6 < 1.0
여기서, FOV는 상기 촬영 렌즈의 화각이고, D1은 상기 제1렌즈의 유효경, D6은 상기 제6렌즈의 유효경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촬영 렌즈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휴대폰 카메라 등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소형화 및 광학 성능을 구현하는 촬영 렌즈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하 결합 소자(charge coupled device)(CCD)와 씨모스 이미지센서(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CMOS 이미지센서)와 같은 고체 촬상 소자를 이용한 카메라의 보급이 급속하게 확대되고 있다.
카메라의 해상도를 높이기 위해 고체 촬상 소자의 화소 집적도는 높아지고 있다. 이와 함께 카메라에 내장되는 촬영 렌즈의 성능 개선을 통해서 카메라의 소형화 및 경량화도 진행되고 있다. 고체 촬상 소자를 이용한 촬상 장치는 소형화에 적합하므로 최근에는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기기에도 적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광학 성능 확보를 위해, 많은 수의 렌즈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지만, 이 경우, 카메라의 소형화, 경량화, 가격 경쟁력에는 불리해진다. 렌즈 매수가 작을 경우, 소형화, 가경 경쟁력 측면에서는 유리하지만, 수차 보정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최근에는 카메라에 대한 소비자의 전문성이 지속적으로 높아져 감에 따라, 소형화와 함께, 용도에 알맞은 광학 성능을 구현하는 설계안이 요구되고 있다. 따라서, 원하는 성능 확보와 함께, 소형화, 경량화, 저비용화를 도모할 수 있는 촬영 렌즈의 설계가 필요하다.
본 개시는 소형화/경량화에 유리하고 우수한 성능을 갖는 촬영 렌즈를 제공하고자 한다.
일 유형에 따르는 촬영 렌즈는 물체측에서 상면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6렌즈;를 포함하며,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90° < FOV < 160°
0.5 < D1/D6 < 1.0
여기서, FOV는 상기 촬영 렌즈의 화각이고, D1은 상기 제1렌즈의 유효경, D6은 상기 제6렌즈의 유효경이다.
상기 촬영 렌즈는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0.0 <|F1/F2|< 10.0
여기서, F1, F2는 각각 제1렌즈의 초점거리, 제2렌즈의 초점거리이다.
상기 촬영 렌즈는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1.5 < Ind2 < 1.7
여기서, Ind2는 제2렌즈의 굴절률이다.
상기 촬영 렌즈는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125° < FOV < 160°
여기서, FOV는 상기 촬영 렌즈의 화각이다.
상기 제1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촬영 렌즈는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0 <|F1/F2|< 1.5
여기서, F1, F2는 각각 제1렌즈의 초점거리, 제2렌즈의 초점거리이다.
또는, 상기 제1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촬영 렌즈는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3.5 <|F1/F2|< 8.5
여기서, F1, F2는 각각 제1렌즈의 초점거리, 제2렌즈의 초점거리이다.
또한, 일 유형에 따른 촬영 렌즈는 물체측에서 상면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출사면이 상면측으로 볼록한 형상인 제3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입사면이 물체측으로 오목한 형상인 제4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출사면이 상면측으로 볼록한 형상인 제5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출사면이 변곡점이 하나 이상인 비구면 형상인 제6렌즈;를 포함하며, 다음 조건을 만족한다.
125°< FOV < 160°
여기서, FOV는 상기 촬영 렌즈의 화각이다.
상기 촬영 렌즈는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0.5 < D1/D6 < 1.0
여기서, D1은 상기 제1렌즈의 유효경, D6은 상기 제6렌즈의 유효경이다.
상기 촬영 렌즈는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0.0 <|F1/F2|< 10.0
여기서, F1, F2는 각각 제1렌즈의 초점거리, 제2렌즈의 초점거리이다.
상기 제1렌즈는 부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촬영 렌즈는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0 <|F1/F2|< 1.5
여기서, F1, F2는 각각 제1렌즈의 초점거리, 제2렌즈의 초점거리이다.
상기 제1렌즈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상기 촬영 렌즈는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3.5 <|F1/F2|< 8.5
여기서, F1, F2는 각각 제1렌즈의 초점거리, 제2렌즈의 초점거리이다.
상기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는 모두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일 수 있다.
상기 촬영 렌즈는 6매 렌즈를 사용하여 수차 보정이 용이하며, 또한, 소형, 경량화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촬영 렌즈는 플라스틱 재질을 사용하여 비구면 렌즈를 구성함으로써 저비용으로 성능이 우수한 광학계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촬영 렌즈는 소형이면서도 초광각을 구현하므로, 휴대폰 카메라에 적용되었을 때, 셀프 카메라 모드를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차도이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차도이다.
도 5는 제3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3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차도이다.
도 7은 제4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제4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차도이다.
도 9는 제5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5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차도이다.
도 11은 제6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6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차도이다.
도 13은 제7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7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차도이다.
도 15는 제8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8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차도이다.
도 17은 제9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9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차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비교예의 촬영 렌즈가 휴대폰 카메라에 적용되었을 때 및 실시예의 촬영 렌즈가 휴대폰 카메라에 적용되었을 때, 셀프 카메라 모드로 촬영하는 모습을 비교하여 보인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차도이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차도이다.
도 5는 제3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제3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차도이다.
도 7은 제4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제4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차도이다.
도 9는 제5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5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차도이다.
도 11은 제6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6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차도이다.
도 13은 제7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7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차도이다.
도 15는 제8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제8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차도이다.
도 17은 제9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제9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 비점수차 및 왜곡을 보여주는 수차도이다.
도 19 및 도 20은 비교예의 촬영 렌즈가 휴대폰 카메라에 적용되었을 때 및 실시예의 촬영 렌즈가 휴대폰 카메라에 적용되었을 때, 셀프 카메라 모드로 촬영하는 모습을 비교하여 보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의 도면들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도면상에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1000)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다.
도 1을 참조하면, 촬영 렌즈(1000)는 물체(OBJ)측에서 상면(IMG)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101),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201),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301),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401),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렌즈(501),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6렌즈(601)를 포함한다.
촬영 렌즈(1000)를 구성하는 각 렌즈들은 소형, 경량화와 광각을 구현하며, 수차 보정이 양호하도록 세부적인 렌즈 형상이 설계되어 있다.
촬영 렌즈(1000)는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90° < FOV < 160° (1)
여기서, FOV는 촬영 렌즈(1000)의 화각이다.
조건 (1)에 따라, 초광각의 화각이 구현된다.
조건 (1)은 다음과 같이 변형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125°< FOV < 160° (1-1)
촬영 렌즈(1000)는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0.5 < D1/D6 < 1.0 (2)
여기서, D1은 제1렌즈(101)의 유효경, D6은 제6렌즈(601)의 유효경이다.
조건 (2)는 제1렌즈(101)와 제6렌즈(601)의 유효경 비율을 한정한 것이다. 보편적으로 광각을 구현하는 광학계의 경우 가장 물체측에 배치되는 렌즈의 유효경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경우가 많으며, 이에 따라 광학계가 커지게 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렌즈(101)의 유효경이 제6렌즈(106)의 유효경보다 작게 설정되어 소형화에 보다 유리한 구조를 제시하고 있다.
조건(2)의 하한을 벗어나는 경우, 컴팩트한 광학계 구현이 가능하지만 광각의 성능구현이 어려워진다. 또한, 조건(2)의 상한을 벗어나는 경우, 광각 성능 구현에 용이하지만 컴팩트한 광학계 구현이 어려워진다.
촬영 렌즈(1000)는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0.0 <|F1/F2|< 10.0 (3)
여기서, F1, F2는 각각 제1렌즈(101)의 초점거리, 제2렌즈(201)의 초점거리이다.
조건 (3)은 제1렌즈(191)와 제2렌즈(201)의 초점거리 비율을 한정, 즉, 굴절력 분배를 한정하고 있다.
조건 (3)의 범위 내에서, 광각 구현과 수차 보정이 최적 요건을 만족할 수 있다. 그러나, 조건 (3)의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수차 제어가 어렵고 광학계의 최적화가 어려워진다.
조건 (3)은 다음과 같이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0 <|F1/F2|< 1.5 (3-1)
한편, 후술하는 다른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제6실시예(도 11)의 제1렌즈(106), 제7실시예(도 13)의 제1렌즈(107)는 정의 굴절력을 가질 수 있고, 이 경우, 조건 (3)은 다음과 같이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3.5 <|F1/F2|< 8.5 (3-2)
촬영 렌즈(101)는 다음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1.5 < Ind2 < 1.7 (4)
여기서, Ind2는 제2렌즈(201)의 굴절률이다.
조건 (4)는 제2렌즈(201)의 굴절률을 한정한 것으로, 저가의 플라스틱 재질로 구현하기 용이한 수치 범위이다. 통상, 글래스 재질의 경우 플라스틱 재질에 비해 굴절률이 큰 값을 나타내지만, 글래스 재질은 플라스틱 재질에 비해, 상대적으로 무겁고 비용이 높다. 또한, 렌즈 성형 조건도 글래스의 경우 더 까다롭다. 조건 (4)의 조건을 만족하는 재질로 원하는 굴절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여, 경량화, 제조 용이성 및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나머지 렌즈들, 즉, 제1렌즈(101) 내지 제6렌즈(601)가 모두 상기 조건을 만족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다 효과적으로 경량화와 비용 절감이 가능해진다.
촬영 렌즈(1000)에 포함된 각 렌즈의 세부 형상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각 렌즈의 물체측 면은 입사면, 상면 측의 면은 출사면이라 칭한다.
제1렌즈(101)는 부의 굴절력의 렌즈로서, 양면이 오목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렌즈(201)는 정의 굴절력의 렌즈로서, 입사면이 물체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3렌즈(301)는 정의 굴절력의 렌즈로서, 출사면이 상면측으로 볼록한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예를 들어, 양볼록 형상일 수 있다.
제4렌즈(401)는 부의 굴절력의 렌즈로서, 입사면이 물체측으로 오목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오목 렌즈일 수 있다.
제5렌즈(501)는 정의 굴절력의 렌즈로서, 출사면이 상면 측으로 볼록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면측으로 볼록한 메니스커스 렌즈일 수 있다.
제6렌즈(601)는 부의 굴절력의 렌즈로서, 출사면이 하나 이상의 변곡점을 가지는 비구면 형상일 수 있다.
제2렌즈(201)와 제3렌즈(301) 사이에 조리개(ST)가 배치될 수 있으며, 다만, 그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6렌즈(106)와 상면(IMG) 사이에는 적외선 차단 필터(700)가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외선 차단 필터(700)는 생략될 수도 있다. 또는, 적외선 차단 필터(700)와 함께, 또는 선택적으로, 커버 글래스가 배치될 수도 있다.
상면(IMG)에는 CCD (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와 같은 이미지 센서(미도시)가 놓이게 된다.
제1렌즈(101) 내지 제6렌즈(601)는 글래스 재질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질 수는 있으며, 적어도 1매의 렌즈를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여,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수차 보정을 위해, 제1렌즈(101) 내지 제6렌즈(601) 중 적어도 하나는 적어도 한 면에 비구면을 채용할 수 있는데, 이 때, 비구면을 채용하는 렌즈를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하여 공정 용이성을 도모할 수 있다. 제1렌즈(101) 내지 제6렌즈(601)는 수차 보정, 경량화, 비용 절감을 위해, 모두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에 따른 구체적인 렌즈 데이터들을 기술한다. 렌즈 데이터에서, ST는 조리개, 면 번호 뒤의 * 표시는 그 면이 비구면임을 의미한다. R, T, Nd, Vd는 각각 곡률 반경, 두께 또는 간격, 굴절률, 아베수를 의미한다. 또한, Fno는 F수, f는 초점거리를 나타낸다. 초점거리, 곡률 반경, 두께 또는 간격의 단위는 mm이다.
비구면의 정의는 다음과 같다.
여기서, Z는 렌즈의 정점으로부터 광축 방향으로의 거리이고, Y는 광축에 대해 수직한 방향으로의 거리이며, K는 코닉상수(conic constant), A, B, C, D는 비구면계수, R은 렌즈의 정점에서의 곡률반경이다.
<제1실시예>
도 1은 제1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1000)의 광학적 배치를 보이며, 제1실시예의 렌즈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면 | R | T | Nd | Vd |
1* | -1.5216 | 0.3 | 1.546 | 56.093 |
2* | 8.7162 | 0.0792 | ||
3* | 1.6455 | 0.2905 | 1.646 | 23.517 |
4* | 4.6824 | 0.1766 | ||
ST | Infinity | -0.0192 | ||
6* | 1.8654 | 0.468 | 1.546 | 56.093 |
7* | -1.0598 | 0.0325 | ||
8* | -4.1417 | 0.2 | 1.646 | 23.517 |
9* | 2.213 | 0.1888 | ||
10* | -2.1632 | 0.575 | 1.546 | 56.093 |
11* | -0.5954 | 0.1265 | ||
12* | 1.2898 | 0.3 | 1.546 | 56.093 |
13 | 0.4952 | 0.29 | ||
14 | Infinity | 0.11 | ||
15 | Infinity | 0.5503 | ||
IMG | Infinity | -0.0123 |
다음 표는 비구면 계수를 보인다.
면 | K | A | B | C | D |
1 | -16.6006 | 0.1524 | -0.1195 | 0.0867 | -0.0437 |
2 | 0 | 0.3432 | -0.4669 | 0.5604 | 1.9329 |
3 | -14.0741 | -0.14 | -0.9501 | 3.3987 | -3.2752 |
4 | 0 | -0.3024 | 0.4438 | -4.0996 | 18.3521 |
5 | 12.7658 | -0.1237 | -3.4767 | 15.0715 | -68.0161 |
6 | -4.8752 | -0.9096 | -0.9708 | 4.8801 | -11.9516 |
7 | 52.0933 | -0.9756 | -2.4862 | 11.815 | -6.7214 |
8 | 2.2417 | -0.4969 | -0.6014 | 3.315 | -4.4648 |
9 | -11.7298 | 0.1865 | -0.1371 | -0.3945 | 0.0112 |
10 | -0.8105 | 0.6092 | -0.733 | 1.0616 | -0.3284 |
11 | -34.4079 | -0.2414 | 0.0168 | 0.0552 | -0.0013 |
12 | -4.6207 | -0.2609 | 0.1947 | -0.125 | 0.0443 |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 광학계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ERICAL ABE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DISTORTION)을 보이는 수차도이다. 종방향 구면수차는 파장이 656.2725(nm), 587.5618(nm), 546.0740(nm), 486.1327(nm), 435.8343(nm)인 광에 대해 각각 나타내며, 비점수차, 왜곡은 파장 546.0740(nm)인 광에 대해 나타낸다. 또한, 비점수차 그래프에서, 구결상면(sagittal field curvature)과 자오상면(tangential field curvature)에서의 만곡을 각각 S, T로 나타내고 있다.
<제2실시예>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2000)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다.
촬영 렌즈(2000)는 물체(OBJ)측에서 상면(IMG)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102),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202),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302),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402),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렌즈(502),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6렌즈(602)를 포함한다.
제2실시예의 렌즈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면 | R | T | Nd | Vd |
1* | -1.8902 | 0.3500 | 1.547 | 56.071 |
2* | -3.2311 | 0.1065 | ||
3* | 3.6296 | 0.3000 | 1.547 | 56.071 |
4* | 11.7903 | 0.1521 | ||
ST | Infinity | 0.0474 | ||
6* | 5.2431 | 0.4551 | 1.547 | 56.071 |
7* | -1.4250 | 0.1157 | ||
8* | -5.0445 | 0.2000 | 1.658 | 21.521 |
9* | 3.1008 | 0.2026 | ||
10* | -3.5340 | 0.7306 | 1.547 | 56.071 |
11* | -0.6906 | 0.0400 | ||
12* | 1.1653 | 0.3500 | 1.538 | 55.801 |
13* | 0.4909 | 0.5000 | ||
14 | Infinity | 0.1100 | ||
15 | Infinity | 0.6235 | ||
IMG | Infinity | 0.0165 |
다음 표는 비구면 계수를 보인다.
면 | K | A | B | C | D |
1 | -12.8272 | 0.0742 | -0.0643 | 0.0345 | -0.0106 |
2 | -84.1796 | 0.0974 | -0.1284 | 0.0126 | 0.1046 |
3 | -9.0801 | -0.1158 | -0.6669 | 0.9187 | -0.2433 |
4 | -179.0765 | -0.2835 | -0.0043 | -0.6189 | 3.4027 |
5 | 69.1942 | -0.2313 | -0.5747 | 0.0524 | -3.1112 |
6 | -10.1624 | -0.5547 | -0.4204 | 1.1669 | -1.608 |
7 | 36.2071 | -0.3239 | -1.3277 | 3.5441 | -1.6502 |
8 | 4.7388 | -0.2442 | -0.351 | 1.1065 | -1.3174 |
9 | -4.5079 | 0.1278 | -0.0744 | -0.0766 | 0.066 |
10 | -0.7919 | 0.461 | -0.4836 | 0.4223 | -0.0614 |
11 | -15.5311 | -0.1663 | 0.0434 | 0.0056 | -0.0017 |
12 | -3.83 | -0.177 | 0.1048 | -0.0458 | 0.011 |
도 4는 제2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ERICAL ABE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DISTORTION)을 보이는 수차도이다.
<제3실시예>
도 5은 제3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3000)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다.
촬영 렌즈(3000)는 물체(OBJ)측에서 상면(IMG)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103),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203),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303),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403),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렌즈(503),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6렌즈(603)를 포함한다.
제3실시예의 렌즈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면 | R | T | Nd | Vd |
1* | -1.8542 | 0.35 | 1.547 | 56.071 |
2* | -4.2334 | 0.1226 | ||
3* | 2.9153 | 0.3 | 1.587 | 35.09 |
4* | 14.155 | 0.1572 | ||
ST | Infinity | 0.0462 | ||
6* | 5.273 | 0.4215 | 1.547 | 56.071 |
7* | -1.4293 | 0.1009 | ||
8* | -4.7357 | 0.2 | 1.658 | 21.521 |
9* | 3.3134 | 0.2216 | ||
10* | -3.1376 | 0.7333 | 1.547 | 56.071 |
11* | -0.6929 | 0.0467 | ||
12* | 1.1899 | 0.35 | 1.538 | 55.801 |
13* | 0.5012 | 0.5 | ||
14 | Infinity | 0.11 | ||
15 | Infinity | 0.6266 | ||
Image | Infinity | 0.0134 |
다음 표는 비구면 계수를 보인다.
면 | K | A | B | C | D |
1 | -13.8794 | 0.0734 | -0.0621 | 0.0356 | -0.0106 |
2 | -161.055 | 0.1084 | -0.1299 | 0.022 | 0.1211 |
3 | -18.0329 | -0.1281 | -0.6616 | 0.9176 | -0.2615 |
4 | -364.6797 | -0.3015 | -0.0627 | -0.3804 | 3.0666 |
5 | 69.6713 | -0.209 | -0.5693 | 0.197 | -3.6454 |
6 | -11.2462 | -0.5651 | -0.437 | 1.2403 | -1.9586 |
7 | 34.8331 | -0.3289 | -1.3568 | 3.5877 | -1.4823 |
8 | 4.774 | -0.2502 | -0.3407 | 1.1122 | -1.3084 |
9 | -4.9483 | 0.1285 | -0.0779 | 0.0795 | 0.0648 |
10 | -0.7923 | 0.4626 | -0.4761 | 0.4229 | -0.0632 |
11 | -15.6051 | -0.1581 | 0.0404 | 0.006 | -0.0017 |
12 | -3.8756 | -0.1732 | 0.1036 | -0.0457 | 0.011 |
도 6은 제3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ERICAL ABE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DISTORTION)을 보이는 수차도이다.
<제4실시예>
도 7은 제4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4000)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다.
촬영 렌즈(4000)는 물체(OBJ)측에서 상면(IMG)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104),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204),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304),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404),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렌즈(504),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6렌즈(604)를 포함한다.
제4실시예의 렌즈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면 | R | T | Nd | Vd |
1* | -1.7361 | 0.2372 | 1.546 | 56.093 |
2* | 3.0957 | 0.1573 | ||
3* | 2.3547 | 0.2437 | 1.646 | 23.517 |
4* | -29.4371 | 0.2641 | ||
ST | Infinity | -0.0364 | ||
6* | 1.7218 | 0.4963 | 1.546 | 56.093 |
7* | -0.8807 | 0.0301 | ||
8* | -3.728 | 0.2436 | 1.646 | 23.517 |
9* | 1.7673 | 0.1615 | ||
10* | -2.0365 | 0.5945 | 1.546 | 56.093 |
11* | -0.5536 | 0.0915 | ||
12* | 1.1104 | 0.3085 | 1.546 | 56.093 |
13* | 0.4474 | 0.4193 | ||
14 | Infinity | 0.11 | ||
15 | Infinity | 0.216 | ||
Image | Infinity | -0.001 |
다음 표는 비구면 계수를 보인다.
면 | K | A | B | C | D |
1 | -20.5778 | 0.1449 | -0.1383 | 0.1236 | -0.0572 |
2 | 0 | 0.39 | -0.708 | 0.4942 | 1.7795 |
3 | -43.6643 | -0.1427 | -1.6768 | 1.89 | -3.1022 |
4 | 0 | -0.291 | -0.4522 | -4.0749 | 21.5867 |
5 | 9.4174 | -0.1078 | -2.5715 | 10.7553 | -74.3918 |
6 | -4.9768 | -1.0748 | -1.4022 | 8.3297 | -27.2625 |
7 | 37.7309 | -1.1886 | -3.4624 | 13.3929 | -17.1744 |
8 | 2.0801 | -0.6105 | -0.5799 | 3.8843 | -6.8727 |
9 | -14.6766 | 0.2191 | -0.2248 | -0.4944 | 0.4128 |
10 | -0.7903 | 0.674 | -1.0125 | 1.3161 | -0.3817 |
11 | -15.9941 | -0.2793 | 0.0695 | 0.0656 | -0.0108 |
12 | -3.7691 | -0.2643 | 0.2409 | -0.156 | 0.0574 |
도 8은 제4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ERICAL ABE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DISTORTION)을 보이는 수차도이다.
<제5실시예>
도 9는 제5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5000)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다.
촬영 렌즈(5000)는 물체(OBJ)측에서 상면(IMG)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105),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205),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305),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405),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렌즈(505),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6렌즈(605)를 포함한다.
제5실시예의 렌즈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면 | R | T | Nd | Vd |
1* | -3.4951 | 0.22 | 1.546 | 56.093 |
2* | 3.1615 | 0.2183 | ||
3* | 10.4374 | 0.23 | 1.646 | 23.517 |
4* | 7.8188 | 0.2636 | ||
ST | Infinity | -0.0354 | ||
6* | 1.253 | 0.5519 | 1.546 | 56.093 |
7* | -0.8153 | 0.1382 | ||
8* | -3.9162 | 0.2358 | 1.646 | 23.517 |
9* | 1.518 | 0.1387 | ||
10* | -2.902 | 0.5683 | 1.546 | 56.093 |
11* | -0.597 | 0.122 | ||
12* | 1.5638 | 0.3 | 1.546 | 56.093 |
13* | 0.4951 | 0.4193 | ||
14 | Infinity | 0.11 | ||
15 | Infinity | 0.1417 | ||
Image | Infinity | 0.0025 |
다음 표는 비구면 계수를 보인다.
면 | K | A | B | C | D |
1 | -80.3668 | 0.1529 | -0.1862 | 0.1169 | -0.0261 |
2 | 0 | 0.5533 | -0.6192 | 0.2104 | 0.6734 |
3 | -1503.7848 | -0.053 | -1.3219 | 1.371 | -6.9362 |
4 | 0 | -0.3563 | -0.545 | -3.4706 | 17.979 |
5 | 5.0649 | -0.7239 | -2.4972 | 2.8555 | -82.7358 |
6 | -4.5786 | -0.9866 | -1.4118 | 6.3387 | -27.6194 |
7 | -36.4266 | -1.0096 | -3.3123 | 10.56 | -16.9176 |
8 | 1.828 | -0.596 | -0.5814 | 3.7862 | -7.0667 |
9 | -11.1589 | 0.3032 | -0.1209 | -0.4477 | 0.4078 |
10 | -0.7773 | 0.6512 | -1.0378 | 1.3466 | -0.2961 |
11 | -41.4454 | -0.3791 | 0.1379 | 0.0871 | -0.0153 |
12 | -4.291 | -0.3004 | 0.279 | -0.1859 | 0.0688 |
도 10은 제5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ERICAL ABE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DISTORTION)을 보이는 수차도이다.
<제6실시예>
도 11은 제6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6000)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다.
촬영 렌즈(6000)는 물체(OBJ)측에서 상면(IMG)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106),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206),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306),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406),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렌즈(506),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6렌즈(606)를 포함한다.
제6실시예의 렌즈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면 | R | T | Nd | Vd |
1* | -2.6252 | 0.4 | 1.546 | 56.093 |
2* | -2.7016 | 0.1186 | ||
3* | -2.7661 | 0.3607 | 1.646 | 23.517 |
4* | -3.1802 | 0.2277 | ||
ST | Infinity | -0.0031 | ||
6* | 4.4697 | 0.4459 | 1.546 | 56.093 |
7* | -0.7361 | 0.0945 | ||
8* | -2.3625 | 0.2 | 1.646 | 23.517 |
9* | 2.1239 | 0.1033 | ||
10* | -3.4574 | 0.6175 | 1.546 | 56.093 |
11* | -0.6047 | 0.2117 | ||
12* | 3.7499 | 0.3 | 1.546 | 56.093 |
13* | 0.5505 | 0.4193 | ||
14 | Infinity | 0.11 | ||
15 | Infinity | 0.1032 | ||
IMG | Infinity | -0.0032 |
다음 표는 비구면 계수를 보인다.
면 | K | A | B | C | D |
1 | -6.933 | 0.2002 | -0.1784 | 0.0983 | -0.0426 |
2 | 0 | 0.645 | -0.8527 | 0.2562 | 0.9672 |
3 | -44.4863 | 0.0631 | -0.9253 | 1.9367 | -5.0807 |
4 | 0 | 0.0243 | -0.6872 | -0.9938 | 11.8539 |
5 | 11.4742 | -0.4645 | -3.1967 | 3.0955 | -103.7954 |
6 | -3.5765 | -1.1887 | -2.264 | 7.8103 | -29.9318 |
7 | -36.4849 | -1.1675 | -3.0201 | 15.2337 | -17.0418 |
8 | 3.4886 | -0.5031 | -0.4428 | 3.6697 | -7.2684 |
9 | -19.3034 | 0.304 | -0.1485 | -0.4623 | 0.4043 |
10 | -0.7539 | 0.6023 | -1.0562 | 1.4622 | -0.1755 |
11 | -462.7808 | -0.6904 | 0.3342 | 0.1408 | -0.0281 |
12 | -4.7282 | -0.3502 | 0.3336 | -0.2132 | 0.0686 |
도 12는 제6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ERICAL ABE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DISTORTION)을 보이는 수차도이다.
<제7실시예>
도 13은 제7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7000)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다.
촬영 렌즈(7000)는 물체(OBJ)측에서 상면(IMG)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107),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207),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307),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407),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렌즈(507),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6렌즈(607)를 포함한다.
제7실시예의 렌즈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면 | R | T | Nd | Vd |
1* | -2.5179 | 0.3988 | 1.546 | 56.093 |
2* | -2.5908 | 0.1145 | ||
3* | -2.801 | 0.3836 | 1.646 | 23.517 |
4* | -2.4875 | 0.1816 | ||
5* | Infinity | 0.0013 | ||
6* | 9.3373 | 0.4253 | 1.546 | 56.093 |
7* | -0.7325 | 0.072 | ||
8* | -2.4338 | 0.2 | 1.646 | 23.517 |
9* | 2.1339 | 0.1092 | ||
10* | -3.4147 | 0.6172 | 1.546 | 56.093 |
11* | -0.6012 | 0.2223 | ||
12* | 4.168 | 0.3 | 1.546 | 56.093 |
13* | 0.5587 | 0.4193 | ||
14 | Infinity | 0.11 | ||
15 | Infinity | 0.1038 | ||
IMG | Infinity | -0.0038 |
다음 표는 비구면 계수를 보인다.
면 | K | A | B | C | D |
1 | -6.8266 | 0.2004 | -0.1786 | 0.0993 | -0.0428 |
2 | 0 | 0.6432 | -0.8519 | 0.2531 | 0.9648 |
3 | -40.3463 | 0.0465 | -0.9299 | 1.9843 | -5.0733 |
4 | 0 | 0.0396 | -0.6868 | -1.0132 | 12.3089 |
5 | 151.8627 | -0.3788 | -3.2427 | 1.8658 | -93.5713 |
6 | -3.6099 | -1.1804 | -2.3365 | 6.9893 | -26.0123 |
7 | -42.154 | -1.1843 | -3.0898 | 15.1871 | -16.0047 |
8 | 3.4183 | -0.5029 | -0.4524 | 3.6536 | -7.3001 |
9 | -22.2619 | 0.3007 | -0.1581 | -0.4698 | 0.4086 |
10 | -0.7563 | 0.6022 | -1.0588 | 1.4543 | -0.1796 |
11 | -597.1241 | -0.6791 | 0.3277 | 0.1399 | -0.0269 |
12 | -4.7166 | -0.3463 | 0.3328 | -0.213 | 0.0674 |
도 14는 제7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ERICAL ABE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DISTORTION)을 보이는 수차도이다.
<제8실시예>
도 15은 제8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8000)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다.
촬영 렌즈(8000)는 물체(OBJ)측에서 상면(IMG)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108),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208),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308),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408),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렌즈(508),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6렌즈(608)를 포함한다.
제8실시예의 렌즈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면 | R | T | Nd | Vd |
1* | 50 | 0.2272 | 1.546 | 56.093 |
2* | 1.144 | 0.1979 | ||
3* | 2.3889 | 0.3069 | 1.646 | 23.517 |
4* | 27.7675 | 0.0279 | ||
ST | Infinity | -0.0183 | ||
6* | 2.1245 | 0.3927 | 1.546 | 56.093 |
7* | -0.7271 | 0.0307 | ||
8* | -2.4003 | 0.2568 | 1.646 | 23.517 |
9* | 1.9471 | 0.1419 | ||
10* | -2.0675 | 0.6406 | 1.546 | 56.093 |
11* | -0.5381 | 0.0827 | ||
12* | 1.1327 | 0.3326 | 1.546 | 56.093 |
13* | 0.4342 | 0.4193 | ||
14 | Infinity | 0.11 | ||
15 | Infinity | 0.2459 | ||
IMG | Infinity | 0.0032 |
다음 표는 비구면 계수를 보인다.
면 | K | A | B | C | D |
1 | -33.2683 | 0.1538 | -0.2121 | 0.2073 | -0.0561 |
2 | 0 | 0.3919 | -0.144 | 1.7372 | -4.0464 |
3 | -31.5579 | -0.1439 | -1.0791 | -5.913 | 21.9926 |
4 | 0 | -0.476 | -2.372 | 18.6861 | 133.1698 |
5 | 8.3871 | -0.1646 | -3.623 | 23.1098 | -47.5225 |
6 | -2.5851 | -1.5921 | -2.9112 | 17.2962 | -90.6614 |
7 | 21.7123 | -1.7799 | -3.8691 | 8.4358 | -13.7596 |
8 | 2.6973 | -0.5757 | -0.5142 | 3.7063 | -7.4891 |
9 | -4.5849 | 0.2988 | -0.0471 | -0.6381 | -0.1107 |
10 | -0.7736 | 0.6361 | -1.0071 | 1.2052 | -0.4517 |
11 | -15.8182 | -0.2454 | -0.0015 | 0.0981 | -0.0115 |
12 | -3.5103 | -0.254 | 0.2249 | -0.1458 | 0.0567 |
도 16은 제8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ERICAL ABE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DISTORTION)을 보이는 수차도이다.
<제9실시예>
도 17은 제9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9000)의 광학적 배치를 보인다.
촬영 렌즈(9000)는 물체(OBJ)측에서 상면(IMG)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109),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209),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309),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409),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렌즈(509),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6렌즈(609)를 포함한다.
제9실시예의 렌즈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면 | R | T | Nd | Vd |
1* | -2.7887 | 0.22 | 1.546 | 56.093 |
2* | 2.7759 | 0.2097 | ||
3* | 3.214 | 0.23 | 1.546 | 56.093 |
4* | -4.5054 | 0.2882 | ||
ST | Infinity | -0.0147 | ||
6* | 2.8729 | 0.3639 | 1.546 | 56.093 |
7* | -1.0569 | 0.0306 | ||
8* | -12.2447 | 0.2 | 1.546 | 56.093 |
9* | 1.9365 | 0.1795 | ||
10* | -1.782 | 0.4401 | 1.546 | 56.093 |
11* | -0.5535 | 0.0342 | ||
12* | 1.041 | 0.3072 | 1.546 | 56.093 |
13* | 0.4406 | 0.4193 | ||
14 | Infinity | 0.11 | ||
15 | Infinity | 0.2983 | ||
IMG | Infinity | 0.006 |
다음 표는 비구면 계수를 보인다.
면 | K | A | B | C | D |
1 | -71.8375 | 0.1463 | -0.1474 | 0.126 | -0.0489 |
2 | 0 | 0.4212 | -0.7785 | 0.2985 | 1.679 |
3 | -121.0671 | -0.2503 | -1.8791 | 1.7935 | -2.4983 |
4 | 0 | -0.4184 | -0.3765 | -4.1617 | 21.1524 |
5 | 8.0349 | -0.1487 | -2.6378 | 11.045 | -87.2303 |
6 | -5.9514 | -1.0143 | -1.7942 | 6.1175 | -28.5796 |
7 | 1.1476 | -1.1172 | -3.2707 | 14.7793 | -15.9398 |
8 | 0.9191 | -0.6565 | -0.6668 | 3.6968 | -6.6846 |
9 | -7.6207 | 0.2199 | -0.2808 | -0.6346 | 0.1135 |
10 | -0.8516 | 0.7165 | -0.86841 | 1.4862 | -0.2551 |
11 | -17.2936 | -0.4021 | 0.0912 | 0.0907 | -0.0028 |
12 | -4.1791 | -0.3262 | 0.2779 | -0.1775 | 0.0597 |
도 18은 제9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의 종방향 구면수차(LONGITUDINAL SPERICAL ABERATION), 비점수차(ASTIGMATIC FIELD CURVES), 왜곡(DISTORTION)을 보이는 수차도이다.
다음 표는 제1 내지 제9실시예에 따른 촬영 렌즈가 상기 조건 (1)(2)(3)(4) 에 부합하는 것을 보인다.
구분 | 조건 (1) | 조건 (2) | 조건 (3) | 조건 (4) | ||||
FOV | D1 | D6 | D1/D6 | F1 | F2 | |F1/F2| | Ind2 | |
제1실시예 | 131.47 | 1.84 | 3.06 | 0.6 | -2.35 | 3.79 | 0.62 | 1.65 |
제2실시예 | 128.96 | 2.1 | 3.7 | 0.57 | -9.17 | 9.46 | 0.97 | 1.55 |
제3실시예 | 128.81 | 2.12 | 3.73 | 0.57 | -6.36 | 6.19 | 1.03 | 1.59 |
제4실시예 | 156 | 1.79 | 2.91 | 0.62 | -2 | 3.39 | 0.59 | 1.65 |
제5실시예 | 138 | 1.78 | 2.78 | 0.64 | -3 | -50 | 0.06 | 1.65 |
제6실시예 | 138 | 2.16 | 2.82 | 0.77 | 200 | -50 | 4 | 1.65 |
제7실시예 | 138 | 2.09 | 2.8 | 0.75 | 175.6 | 23.26 | 7.55 | 1.65 |
제8실시예 | 132 | 1.61 | 2.92 | 0.55 | -2.14 | 4.02 | 0.53 | 1.65 |
제9실시예 | 138 | 1.95 | 2.71 | 0.72 | -2.51 | 3.47 | 0.72 | 1.55 |
상술한 실시예들은 소형, 경량화된 구조로서, 수차 보정이 양호하며, 초광각을 구현하는 촬영렌즈를 제공한다.
실시예들에 따른 촬영 렌즈는 이러한 촬영 렌즈를 통해 형성된 광학 상(optical image)을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와 함께 다양한 종류의 촬영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촬영 장치는 다양한 전자기기, 예를 들어, 휴대 단말 기기, 도어폰, 자동차 등에 채용될 수 있다.
도 19 및 도 20은 비교예의 촬영 렌즈가 휴대폰 카메라에 적용되었을 때 및 실시예의 촬영 렌즈가 휴대폰 카메라에 적용되었을 때, 셀프 카메라 모드로 촬영하는 모습을 비교하여 보인다.
도 19에서, 휴대폰 카메라(80)는 일반적인 촬영 렌즈를 적용한 것이다. 여기서, 일반적인 촬영 렌즈라 함은, 통상 휴대폰에 장착되는 화각 60도 내지 90도 범위의 광학 성능을 나타내는 촬영렌즈를 의미한다. 이러한 휴대폰 카메라(80)를 사용하여 여러 사람들이 셀프 카메라 촬영 모드로 촬영하고자 할 때, 소위 셀카봉이라는 셀프 카메라용 보조 기구(90)를 사용하게 된다. 셀프 카메라용 보조 기구(90) 없이는, 셀프 카메라 모드에서 여러 사람의 영상을 한 화면에 다 담기 어렵기 때문이다.
도 20에서, 휴대폰 카메라(10000)는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제시하는 요건에 따라, 초광각을 구현하는 촬영 렌즈를 적용한 것이다. 이 경우, 도시된 바와 같이, 셀프 카메라용 보조기구를 사용하지 않고도, 다수의 사람들이 셀프 카메라 모드로 촬영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본원 발명은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7000, 8000, 9000 - 촬영 렌즈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제1렌즈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제2렌즈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제3렌즈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제4렌즈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제5렌즈
601, 602, 603, 104, 105, 106, 107, 108, 109 -제6렌즈
10000 -휴대폰 카메라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제1렌즈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제2렌즈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제3렌즈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제4렌즈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제5렌즈
601, 602, 603, 104, 105, 106, 107, 108, 109 -제6렌즈
10000 -휴대폰 카메라
Claims (17)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물체측에서 상면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
정 또는 부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3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4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5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6렌즈;를 포함하며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
90° < FOV < 160°
0.5 < D1/D6 < 1
여기서, FOV는 상기 촬영 렌즈의 화각이고, D1은 상기 제1렌즈의 유효경, D6은 상기 제6렌즈의 유효경이다. - 제7항에 있어서,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
3.5 <|F1/F2|< 8.5
여기서, F1, F2는 각각 제1렌즈의 초점거리, 제2렌즈의 초점거리이다. - 물체측에서 상면측으로 순서대로 배열된 것으로,
정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1렌즈;
정 또는 부의 굴절력을 가지는 제2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출사면이 상면측으로 볼록한 형상인 제3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입사면이 물체측으로 오목한 형상인 제4렌즈;
정의 굴절력을 가지며, 출사면이 상면측으로 볼록한 형상인 제5렌즈;
부의 굴절력을 가지며, 출사면이 변곡점이 하나 이상인 비구면 형상인 제6렌즈;를 포함하며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
125°< FOV < 160°
여기서, FOV는 상기 촬영 렌즈의 화각이다. - 제9항에 있어서,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
0.5 < D1/D6 < 1.0
여기서, D1은 상기 제1렌즈의 유효경, D6은 상기 제6렌즈의 유효경이다. - 제10항에 있어서,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
0.0 <|F1/F2|< 10.0
여기서, F1, F2는 각각 제1렌즈의 초점거리, 제2렌즈의 초점거리이다. - 삭제
- 삭제
- 삭제
- 제9항에 있어서,
다음 조건을 만족하는 촬영 렌즈.
3.5 <|F1/F2|< 8.5
여기서, F1, F2는 각각 제1렌즈의 초점거리, 제2렌즈의 초점거리이다. - 제11항에 있어서,
제1렌즈 내지 제6렌즈는 모두 비구면 플라스틱 렌즈인 촬영 렌즈. - 제7항 내지 제11항, 제15항, 제16항 중 어느 한 항의 촬영 렌즈;
상기 촬영 렌즈에서 형성한 광학 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5569A KR101759058B1 (ko) | 2015-01-30 | 2015-01-30 | 촬영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
US15/009,382 US9927597B2 (en) | 2015-01-30 | 2016-01-28 | Photographic lens and photographic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
CN201610064849.4A CN105842823A (zh) | 2015-01-30 | 2016-01-29 | 照相透镜以及包含照相透镜的照相设备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15569A KR101759058B1 (ko) | 2015-01-30 | 2015-01-30 | 촬영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45355A Division KR20170054335A (ko) | 2017-04-07 | 2017-04-07 | 촬영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94215A KR20160094215A (ko) | 2016-08-09 |
KR101759058B1 true KR101759058B1 (ko) | 2017-07-31 |
Family
ID=565530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15569A KR101759058B1 (ko) | 2015-01-30 | 2015-01-30 | 촬영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9927597B2 (ko) |
KR (1) | KR101759058B1 (ko) |
CN (1) | CN105842823A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572892B (zh) | 2015-02-26 | 2017-03-0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透鏡系統、取像裝置及電子裝置 |
TWI585450B (zh) * | 2015-05-22 | 2017-06-01 |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 光學成像系統 |
TWI592685B (zh) * | 2015-08-12 | 2017-07-21 |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 光學成像系統 |
WO2017064752A1 (ja) * | 2015-10-13 | 2017-04-20 | オリンパス株式会社 | 撮像装置及びそれを備えた光学装置 |
KR101792345B1 (ko) * | 2015-10-19 | 2017-11-01 | 삼성전기주식회사 | 촬상 광학계 |
TWI588526B (zh) | 2016-01-22 | 2017-06-2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成像用光學鏡頭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
KR101690482B1 (ko) * | 2016-03-07 | 2016-12-28 | 주식회사 세코닉스 | 소형 광각 렌즈 시스템 |
KR101834551B1 (ko) | 2016-03-18 | 2018-04-19 | 주식회사 에이스솔루텍 | 초광각 렌즈 및 이를 포함한 촬상 장치 |
TWI582458B (zh) | 2016-04-22 | 2017-05-1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成像光學系統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
TWI617831B (zh) | 2016-05-20 | 2018-03-1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光學影像鏡頭、取像裝置及電子裝置 |
TWI580999B (zh) | 2016-05-20 | 2017-05-0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影像擷取鏡頭、取像裝置及電子裝置 |
TWI594010B (zh) | 2016-07-05 | 2017-08-0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光學成像系統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
CN106646835B (zh) * | 2016-08-08 | 2018-12-04 |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 广角镜头 |
JP6753749B2 (ja) * | 2016-09-23 | 2020-09-09 | 天津欧菲光電有限公司Tianjin Ofilm Opto Electronics Co., Ltd |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
TWI625566B (zh) | 2016-10-05 | 2018-06-0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光學攝影系統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
TWI644141B (zh) * | 2016-10-14 | 2018-12-1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光學取像系統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
JP6440173B2 (ja) * | 2016-11-02 | 2018-12-19 | カンタツ株式会社 | 撮像レンズ |
CN107065126A (zh) * | 2016-12-23 | 2017-08-18 | 捷西迪(广州)光学科技有限公司 | 一种透镜装置 |
KR20180076164A (ko) | 2016-12-27 | 2018-07-05 | 삼성전기주식회사 | 촬상 광학계 |
TWI610110B (zh) * | 2017-04-14 | 2018-01-0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攝影系統鏡頭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
CN108873245B (zh) * | 2017-05-09 | 2021-04-20 | 信泰光学(深圳)有限公司 | 广角镜头 |
JP6587293B2 (ja) | 2017-06-15 | 2019-10-09 | カンタツ株式会社 | 撮像レンズ |
TWI641864B (zh) * | 2018-01-24 | 2018-11-2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攝像透鏡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
CN109507787A (zh) | 2018-03-07 | 2019-03-22 |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 光学成像镜头 |
CN108469669B (zh) * | 2018-05-25 | 2023-06-30 |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 摄像镜头 |
KR20200009980A (ko) | 2018-07-20 | 2020-01-30 | 삼성전기주식회사 | 촬상 광학계 |
US10642000B2 (en) * | 2018-07-20 | 2020-05-05 | Aac Acoustic Technologies (Shenzhen) Co., Ltd. | Camera lens |
US11320632B2 (en) | 2018-07-20 | 2022-05-03 |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 Optical imaging system and mobile electronic device |
US10641999B2 (en) * | 2018-07-20 | 2020-05-05 | Aac Acoustic Technologies (Shenzhen) Co., Ltd. | Camera lens |
TWI663442B (zh) * | 2018-08-15 | 2019-06-2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攝影光學鏡片組、取像裝置及電子裝置 |
US11442251B2 (en) * | 2018-11-28 | 2022-09-13 | Ningbo Sunny Automotive Optech Co., Ltd. | Optical lens assembly and imaging device |
CN114815149A (zh) * | 2018-11-28 | 2022-07-29 | 宁波舜宇车载光学技术有限公司 | 光学镜头及成像设备 |
JP7285091B2 (ja) * | 2019-02-27 | 2023-06-01 | 株式会社タムロン | 結像光学系及び撮像装置 |
TWI698673B (zh) | 2019-04-10 | 2020-07-11 | 大立光電股份有限公司 | 光學鏡頭、取像裝置及電子裝置 |
CN110286472B (zh) * | 2019-06-30 | 2021-09-21 | 瑞声光学解决方案私人有限公司 | 摄像光学镜头 |
JP6738470B1 (ja) * | 2019-08-07 | 2020-08-12 | エーエーシー コミュニケーション テクノロジーズ(ジョウシュウ)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撮像レンズ |
US11668902B2 (en) * | 2019-09-27 | 2023-06-06 | Sintai Optical (Shenzhen) Co., Ltd. | Lens assembly |
JP2021086075A (ja) * | 2019-11-29 | 2021-06-03 |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 撮像光学系、撮像装置及び携帯端末 |
CN111007649B (zh) * | 2019-12-27 | 2021-09-24 |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 摄像光学镜头 |
CN111025584B (zh) * | 2019-12-27 | 2021-09-24 |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 摄像光学镜头 |
CN111198433B (zh) * | 2020-02-24 | 2021-09-24 | 诚瑞光学(常州)股份有限公司 | 摄像光学镜头 |
CN115480366A (zh) * | 2020-03-31 | 2022-12-16 |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 光学成像镜头 |
TWI784273B (zh) * | 2020-05-20 | 2022-11-21 | 先進光電科技股份有限公司 | 光學成像系統 |
CN113484973B (zh) * | 2020-05-20 | 2024-09-27 | 浙江舜宇光学有限公司 | 光学成像镜头 |
JP7519849B2 (ja) * | 2020-09-09 | 2024-07-22 | 東京晨美光学電子株式会社 | 撮像レンズ |
CN111929873B (zh) * | 2020-09-21 | 2020-12-15 | 瑞泰光学(常州)有限公司 | 摄像光学镜头 |
CN111929871B (zh) * | 2020-09-21 | 2020-12-18 | 常州市瑞泰光电有限公司 | 摄像光学镜头 |
CN112285886A (zh) * | 2020-10-30 | 2021-01-29 | 江西晶超光学有限公司 | 光学成像系统、取像装置及电子装置 |
JP6902174B1 (ja) * | 2021-03-05 | 2021-07-14 | ジョウシュウシ レイテック オプトロニクス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 ズームレンズ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38074A (zh) * | 2014-05-29 | 2014-12-24 |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 可携式电子装置与其光学成像镜头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485464B (zh) | 2010-12-30 | 2015-05-21 | Largan Precision Co Ltd | 成像用光學鏡片組 |
TWI414841B (zh) | 2011-02-18 | 2013-11-11 | Largan Precision Co Ltd | 廣視角光學系統 |
TWI443409B (zh) | 2011-06-01 | 2014-07-01 | Largan Precision Co Ltd | 影像拾取光學鏡頭 |
-
2015
- 2015-01-30 KR KR1020150015569A patent/KR101759058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6
- 2016-01-28 US US15/009,382 patent/US9927597B2/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2016-01-29 CN CN201610064849.4A patent/CN105842823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4238074A (zh) * | 2014-05-29 | 2014-12-24 | 玉晶光电(厦门)有限公司 | 可携式电子装置与其光学成像镜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9927597B2 (en) | 2018-03-27 |
CN105842823A (zh) | 2016-08-10 |
US20160223796A1 (en) | 2016-08-04 |
KR20160094215A (ko) | 2016-08-0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759058B1 (ko) | 촬영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 |
KR101558139B1 (ko) | 촬영 렌즈 광학계 | |
KR101834728B1 (ko) | 촬영 렌즈 광학계 | |
JP4737776B2 (ja) | 超小型撮像光学系 | |
KR101736709B1 (ko) | 촬영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 |
JP5043710B2 (ja) | 撮像レンズおよび撮像装置 | |
KR100973290B1 (ko) | 카메라용 결상 광학계 | |
KR101734037B1 (ko) | 촬영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 |
KR101425793B1 (ko) | 촬영 렌즈 광학계 | |
KR101364974B1 (ko) | 촬영 렌즈 광학계 | |
KR101802036B1 (ko) | 렌즈계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 기기 | |
KR101364975B1 (ko) | 촬영 렌즈 광학계 | |
US10422982B2 (en) | Super-wide angle lens and photographing lens having the same | |
KR101425791B1 (ko) | 촬상 렌즈 시스템 | |
KR20170054335A (ko) | 촬영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 |
KR101570030B1 (ko) | 촬영 렌즈 광학계 | |
KR101383900B1 (ko) | 줌 렌즈 시스템 | |
KR101729470B1 (ko) | 촬영 렌즈 광학계 | |
KR20160103421A (ko) | 촬영 렌즈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장치 | |
KR101623450B1 (ko) | 와이드 컨버터 렌즈 | |
KR101536556B1 (ko) | 촬영 렌즈 광학계 | |
KR101710320B1 (ko) | 촬영 렌즈 광학계 | |
KR101691350B1 (ko) | 촬영 렌즈 광학계 | |
KR20150012571A (ko) | 촬상 렌즈 시스템 및 이를 채용한 촬상 장치 | |
KR20090079635A (ko) | 카메라용 결상 광학계 및 이를 채용한 화상 통신용 카메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AMND | Amendment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 ||
AMND | Amendment | ||
X701 |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