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43706B1 -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 Google Patents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743706B1 KR101743706B1 KR1020130033765A KR20130033765A KR101743706B1 KR 101743706 B1 KR101743706 B1 KR 101743706B1 KR 1020130033765 A KR1020130033765 A KR 1020130033765A KR 20130033765 A KR20130033765 A KR 20130033765A KR 101743706 B1 KR101743706 B1 KR 10174370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igh frequency
- electrode
- handpiece
- unit
- ski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6—Electrodes for high-frequency therapy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61B18/14—Probes or electrodes therefor
- A61B18/1477—Needle-like prob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5—Electrodes for implantation or insertion into the body, e.g. heart electrode
- A61N1/0502—Skin piercing electro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2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improving the appearance of the skin, e.g. facial toning or wrinkle treatme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17—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with leads or electrodes penetrating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6—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stimulation
- A61N1/36014—External stimulators, e.g. with patch electrodes
- A61N1/3603—Control system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40—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 A61N1/403—Applying electric fields by inductive or capacitive coupling ; Applying radio-frequency signals for thermotherapy, e.g. hyperthermia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2018/00315—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for treatment of particular body parts
- A61B2018/00452—Sk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Cardiology (AREA)
- Plastic & Reconstructive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Otolaryng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내부에 고주파 발생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주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에너지를 피부 표면으로 제공하는 제 1 전극부를 구비하는 접촉식 핸드 피스, 상기 본체의 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주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에너지를 피부 내측으로 제공하는 제2 전극부를 구비하는 침습식 핸드피스 그리고, 상기 고주파 발생부로부터 상기 제1 전극부 또는 상기 제2 전극부로 제공되는 고주파 에너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시술 내용에 따라 적합한 피부의 위치에 고주파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어 시술 효과를 개선할 수 있고,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술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치료 장치를 구입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시술 내용에 따라 적합한 피부의 위치에 고주파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어 시술 효과를 개선할 수 있고,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술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치료 장치를 구입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주파 에너지를 이용하여 피부 조직을 치료할 수 있는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에너지원을 이용하여 피부에 에너지를 제공함으로써 피부 조직 상태를 변형시키거나, 조직 특성을 개선하여 피부를 치료하는 기술이 널리 적용되고 있다. 레이저 빔, 플래시 램프, 초음파 등의 다양한 에너지원을 이용한 피부 치료장치가 개발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RF 고주파(radio frequency wave) 에너지를 이용한 피부 치료 장치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다.
피부 표면으로 고주파 에너지가 제공되면, 고주파의 전류 방향이 바뀔 때마다 피부 조직을 구성하는 분자들이 진동하면서 서로 마찰하게 되어, 회전 운동, 뒤틀림 또는 충돌 운동에 의해 심부열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심부열은 피부 조직의 온도를 상승시켜 콜라겐층을 재조직하여 주름을 개선하고 피부 탄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또한, 피부 조직의 혈액 순환을 증진시켜 혈액 순환을 증진시킴으로써 피부 노화 방지를 비롯하여 피부의 전반적인 상태를 개선시키는 효과를 갖는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2010-0101420 (2010. 9. 17 공개)는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여기서,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는 고주파 에너지가 제공되는 피부의 위치에 따라 상이한 효과가 나타난다. 따라서, 치료 목적에 따라 고주파를 제공하는 위치를 시술에 따라 달리하는 것이 최적의 치료 효과를 볼 수 있으나, 종래의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하나의 장비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술을 진행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시술 내용에 따라 피부의 다양한 위치에 고주파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는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내부에 고주파 발생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주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에너지를 피부 표면으로 제공하는 제1 전극부를 구비하는 접촉식 핸드 피스, 상기 본체의 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주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에너지를 피부 내측으로 제공하는 제2 전극부를 구비하는 침습식 핸드피스 그리고, 상기 고주파 발생부로부터 상기 제1 전극부 또는 상기 제2 전극부로 제공되는 고주파 에너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상기 접촉식 핸드피스와 상기 침습식 핸드피스 중 상기 체결부에 연결되는 핸드피스의 종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동작 모드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핸드피스의 종류를 비교하고, 상기 체결부에 상기 설정된 동작 모드와 대응되는 핸드피스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체결부에 상기 설정된 동작모드와 대응되는 핸드피스가 연결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고주파 발생부로부터 상기 핸드피스로 고주파 에너지가 제공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핸드피스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한 모드로 상기 고주파 발생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접촉식 핸드피스는 상기 제1 전극부와 피부와의 접촉 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극부와 피부의 접촉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되면 접촉 불량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침습식 핸드피스는 상기 제2 전극부가 피부 내측으로 삽입되는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동작 모드가 상기 침습식 핸드피스에 대응되는 동작 모드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구동부로부터 상기 제2 전극부로 동력이 제공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전극부는 상기 침습식 핸드피스에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침습식 핸드피스는 설치된 상기 제2 전극부의 종류를 감지하는 제2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동작 모드와 상기 제2 센서에서 감지된 상기 제2 전극부의 종류를 비교하고, 상기 침습식 핸드피스에 설치된 상기 제2 전극부가 상기 설정된 동작 모드와 대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 센서로부터 감지된 상기 제2 전극부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한 모드로 상기 고주파 발생부를 제어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본체에 구비되는 고주파 발생부, 상기 본체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고주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에너지를 피부 표면으로 제공하는 제1 전극부를 구비하는 접촉식 핸드피스, 상기 본체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고주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에너지를 피부 내측으로 제공하는 제2 전극부를 구비하는 침습식 핸드피스 그리고, 상기 고주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에너지가 상기 제1 전극부 또는 상기 제2 전극부로 택일적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에 의해 달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상기 접촉식 핸드피스 및 상기 침습식 핸드피스 중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핸드피스의 종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동작 모드와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핸드피스의 종류를 비교하고, 상기 설정된 동작 모드와 대응되지 않은 핸드피스가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동작 모드와 대응되지 않는 핸드피스가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고주파 발생부로부터 상기 핸드피스로 고주파 에너지가 제공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핸드피스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한 모드로 상기 고주파 발생부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할 경우 시술 내용에 따라 적합한 피부의 위치에 고주파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어 시술 효과를 개선할 수 있고,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다양한 시술을 진행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사용자가 치료 장치를 구입하는데 필요한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본체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에서 본체에 접촉식 핸드피스가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접촉식 핸드피스의 단부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접촉식 핸드피스를 이용하여 피부를 치료하는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본체에 침습식 핸드피스가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도 6의 침습식 핸드피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도 2는 도 1의 본체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3은 도 1에서 본체에 접촉식 핸드피스가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4는 도 3의 접촉식 핸드피스의 단부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접촉식 핸드피스를 이용하여 피부를 치료하는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1의 본체에 침습식 핸드피스가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도 6의 침습식 핸드피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각 구성요소의 위치관계는 원칙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발명의 구조를 단순화하거나 필요할 경우 과장하여 표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외에도 각종 장치를 부가하거나, 변경 또는 생략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는 본체(100) 그리고 본체(1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접촉식 핸드피스(300) 및 침습식 핸드피스(400)를 포함한다.
본체(100)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전원 공급부(미도시)를 구비한다. 본체(100)의 외면에는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의 구동 내용을 조작하기 위한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140) 및 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display)(150)가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100)의 내측에는 전원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고주파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발생부(110)가 구비된다. 그리고 본체(100)의 외면에는 접촉식 핸드피스(300) 및 침습식 핸드피스(400)가 체결될 수 있는 체결부가 형성된다.
접촉식 핸드피스(300) 및 침습식 핸드피스(400)는 각각 몸체(310, 410) 및 전극부(320,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몸체(310, 410)는 핸드피스(300, 400)의 골격을 형성하며 사용자가 시술시 파지할 수 있는 구조로 구성된다. 몸체(310, 410)의 외면에는 사용자가 시술 중 핸드피스의 구동 내용을 간편하게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330, 430)가 형성될 수 있다.
접촉식 핸드피스(300) 및 침습식 핸드피스(400)의 단부에는 각각의 전극부(320,420)가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전극부(320,420)는 본체(100)의 고주파 발생부(110)로부터 제공되는 고주파 에너지를 피부에 제공할 수 있다. 접촉식 핸드피스(300)에 구비되는 제1 전극부(320)와 침습식 핸드피스(400)에 구비되는 제2 전극부(420)는 상이한 형상으로 구성되며, 각 전극부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이러한 접촉식 핸드피스(300) 및 침습식 핸드피스(400)는 케이블(200a, 200b)에 의해 본체(100)와 연결된다. 케이블(200a, 200b)의 내측에는 고주파 전달부(210a, 210b) 및 신호선(220a, 220b) 등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고주파 전달부는 본체(100)의 고주파 발생부(110)와 핸드피스(300, 400)에 구비되는 전극부(320, 42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고주파 에너지를 피부로 제공할 수 있는 고주파 회로를 형성한다. 신호선은 본체와 핸드피스(300, 400) 사이에서 각종 제어신호 또는 감지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신호선은 사용자가 핸드피스의 조작부를 통해 조작하는 제어 신호 및 핸드피스에 구비된 센서에서 감지된 감지 신호를 본체에 구비되는 제어부로 전송할 수 있다. 또는 본체의 제어부가 핸드피스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신호선을 통해 핸드피스로 전송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접촉식 핸드피스(300) 및 침습식 핸드피스(400)의 일단에 각각의 케이블(200a, 200b)이 연장 형성된다. 그리고 각각의 케이블(200a, 200b)의 단부에는 본체(100)의 체결부(160)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구가 각각 형성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접촉식 핸드피스(300) 및 침습식 핸드피스(400) 중 사용하고자 하는 핸드피스의 체결구를 체결부(160)에 체결하여 시술을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상이한 시술을 진행하기 위해 체결되어 있던 핸드피스를 분리하고, 나머지 핸드피스를 체결하여 교체 사용이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핸드피스가 별도의 케이블을 구비하고 체결부가 본체의 외면에 형성되는 구성을 일 예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 이외에도 케이블이 본체와 연결 설치되고 케이블의 단부에 체결부가 형성되어, 각각의 핸드피스가 본체의 케이블에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본체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본체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체(100)는 사용자가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의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컨트롤 패널(140), 치료장치의 동작 내용을 비롯한 각종 정보를 사용자에게 표시하는 디스플레이(150) 및 고주파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고주파 발생부(110)를 비롯한 각종 구성요소가 설치된다. 그리고, 이러한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20)를 구비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140)을 통하여 동작 모드를 설정하면, 해당 모드에 대한 정보가 제어부(120)로 전송된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설정된 동작 모드에 따라 해당 모드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고주파 발생부(110)를 비롯한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120)는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가 진행하는 운전 내용 및 각종 센서에서 감지된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본체(100)는 체결부(160)에 연결되는 핸드피스의 종류를 감지하는 감지부(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감지부(130)는 체결부(160)와 신호선 등에 의해 연결되어, 현재 본체(100)에 체결된 핸드피스가 접촉식 핸드피스(300)인지 침습식 핸드피스(400)인지를 식별한다. 그리고 감지부(130)에서 감지된 체결된 핸드피스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20)로 전송된다.
일반적으로 피부 표면에 고주파 에너지를 제공하는 접촉식 핸드피스(300)와 피부 내측으로 고주파 에너지를 제공하는 침습식 핸드피스(400)는 서로 상이한 구성으로 이루어 파 발생 모듈(111, 112, 113)을 모두 구동하도록 제어하고, 침습식 핸드피스(400)가 설치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120)는 다수개의 고주파 발생 모듈 중 일부만 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접촉식 핸드피스가 설치되는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고주파 발생부(110)가 제1 주파수의 고주파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하고, 침습식 핸드피스(400)가 설치된 것으로 감지된 경우에는 제2 주파수의 고주파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고주파 에너지가 전달되는 경로 상에 배치되는 릴레이 소자(170) 등의 회로 소자를 제어하여 고주파 에너지가 전달되는 각각의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거나 경로를 전환시키는 등 체결된 핸드피스의 정보에 근거하여 다양하게 차별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설정된 동작 모드와 대응하지 않는 핸드피스가 연결된 경우(예를 들어, 접촉식 핸드피스가 체결된 상태에서 침습용 핸드피스를 이용하는 모드를 설정한 경우) 원하는 시술을 진행하는 것이 어려울 뿐 아니라 본체 또는 핸드피스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설정된 동작 모드와 감지부(130)로부터 감지된 핸드피스의 종류를 비교하여, 대응되는 핸드피스가 체결부에 연결되지 않은 경우에는 이상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이상 신호는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화면에 표시될 수도 있고, 경고음 형태로 사용자에게 알려질 수도 있다.
나아가, 제어부(120)는 설정된 동작 모드와 대응되는 핸드피스가 체결부(160)에 연결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고주파 발생부(110)로부터 핸드피스로 고주파 에너지가 제공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주파 발생부(110)의 동작을 강제적으로 멈추거나, 고주파 발생부(110)로부터 고주파 에너지가 전달되는 경로를 강제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20)는 감지부에서 감지된 핸드피스의 정보에 근거하여 적합한 시술을 진행할 수 있도록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할 뿐 아니라,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서로 다른 두 종류의 핸드피스를 사용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오작동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5를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접촉식 핸드피스가 설치된 치료 장치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도 1에서 본체에 접촉식 핸드피스가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4는 도 3의 접촉식 핸드피스의 단부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접촉식 핸드피스를 이용하여 피부를 치료하는 형상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촉식 핸드피스(300)는 사용자가 시술 중 접촉식 핸드피스(300)의 동작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제1 조작부(330)가 형성된다. 그리고 접촉식 핸드피스(300)의 단부에는 피부 표면으로 고주파 에너지를 제공하는 제1 전극부(320)가 형성된다.
제1 전극부(320)는 다수개의 전극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각각의 전극 모듈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양전극 및 음전극으로 구성된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전극부(320)는 제1 전극 모듈(321)과 상기 제1 전극 모듈(321)의 외측에 위치하는 제2 전극 모듈(322) 및 제3 전극 모듈(323)을 포함한다. 이때 각각의 전극 모듈은 피부와 소정 면적에서 접촉할 수 있도록 단부가 평면 또는 라운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전극 모듈(321)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에 형상의 지지판에 다수개의 양 전극(321a) 및 다수개의 음 전극(321b)이 배치된 구조로 구성된다. 그리고, 제2 전극 모듈(322)과 제3 전극 모듈(323)은 각각 양 전극(322a, 323a) 및 음 전극(322b, 323b)이 제1 전극 모듈(321)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도록 양측에 배치된다. 이때, 제2 전극 모듈(322)의 양 전극(322a)과 음 전극(322b)이 배치된 방향은 제3 전극 모듈(323)의 양 전극(322a)과 음 전극(322b)이 배치된 방향과 직교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체(100)의 고주파 발생부(110)는 제1 고주파 발생모듈(111), 제2 고주파 발생모듈(112) 및 제3 고주파 발생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내지 제3 고주파 발생모듈은 제1 내지 제3 전극모듈과 각각 독립된 경로를 형성하도록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에서 각각의 전극 모듈로 고주파 에너지를 제공한다.
이때, 각각의 고주파 발생모듈은 서로 다른 주파수의 고주파 에너지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1 전극부(320)를 피부 표면에 접촉한 상태에서 고주파 발생부(110)로부터 고주파 에너지를 공급하면, 제1 고주파 발생모듈(111)에서 제공되는 고주파 에너지는 제1 전극모듈(321)의 양전극 및 음전극을 통해 독립된 회로를 구성하고, 제2 고주파 발생모듈(112)로부터 제공되는 고주파 에너지는 제2 전극 모듈(322)의 양전극 및 음전극과, 제3 고주파 발생모듈(113)로부터 제공되는 고주파 에너지는 제3 전극 모듈(323)의 양전극 및 음전극과 각각 독립된 회로를 구성한다(도 5 참조). 따라서, 치료가 이루어지는 피부의 위치에 다수개의 전극 모듈을 이용하여 중첩적으로 고주파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전극 모듈을 통해 피부로 제공되는 고주파 에너지의 침투 깊이는 각 전극 모듈의 양전극과 음전극 사이의 간격에 의해 결정된다. 따라서, 제2 전극 모듈의 양전극 및 음전극의 간격과 제3 전극 모듈의 양전극 및 음전극의 간격을 다르게 형성하여 각 전극 모듈로부터 제공되는 고주파 에너지의 침투 깊이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도 5 참조).
한편, 제어부(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140)로부터 동작 모드가 설정되면, 설정된 동작 모드를 감지부(130)에서 감지된 핸드피스 정보와 비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3의 경우, 침습식 핸드피스(400)를 이용하는 동작 모드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150) 또는 별도의 경고음을 통해 이상 발생 사실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고주파 발생부의 동작을 제한하거나 또는 고주파 발생부(110)로부터 고주파 에너지가 전달되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다만, 접촉식 핸드피스(300)를 이용하는 동작 모드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고주파 발생부를 비롯하여 각종 구성요소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여기서, 제어부(120)는 고주파 발생부(110)의 다수개의 고주파 발생모듈(111, 112, 113)을 각각 개별적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각각의 고주파 발생모듈에서 발생하는 고주파 에너지의 출력을 제어하여, 피부의 침투 깊이에 따라 제공되는 고주파 에너지의 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20)의 제어에 의해 보다 다양한 내용의 시술이 가능하다.
나아가, 접촉식 핸드피스(300)는 제1 전극부(320)와 피부의 접촉 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3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센서(340)는 접촉식 핸드피스의 단부에 설치되는 압력 센서 또는 임피던스 센서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센서(340)에서 감지된 접촉 상태 정보는 제어부(120)로 전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20)는 제1 센서(340)로부터 제1 전극부(320)의 피부 접촉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되면, 접촉 불량 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150) 또는 별도의 경고음을 통해 사용자에게 전달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실시예의 접촉식 핸드피스는 서로 다른 고주파 에너지를 제공하는 세 개의 전극 모듈 포함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는 일 예로서 본 발명이 전극 모듈의 개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의 고주파 에너지를 제공하는 접촉식 핸드피스를 구성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에서는 도 6 및 도 7을 이용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침습식 핸드피스가 설치된 치료장치의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본체에 침습식 핸드피스가 체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6의 침습식 핸드피스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침습식 핸드피스(400)는 사용자가 시술 중 핸드피스의 동작을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제2 조작부(430)를 구비한다. 그리고 침습식 핸드피스(400)의 단부에는 피부 내측으로 고주파 에너지를 제공하기 위한 제2 전극부(420)가 형성된다.
제2 전극부(420)는 플레이트(422)에 형성되는 단부가 뾰족한 다수개의 니들(needle)(4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니들(needle)은 시술시 피부 표면을 관통하여 피부 내측으로 삽입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환자의 통증을 최소화시킴과 동시에 피부를 용이하게 관통할 수 있도록 니들 단부의 두께를 100㎛ 이하로 구성할 수 있다. 니들(421)은 단부를 통해 고주파 에너지를 피부로 제공할 수 있도록, 니들의 단부를 제외한 외면은 절연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2 전극부(4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부(450)에 의해 동력을 제공받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따라서, 제2 전극부(420)를 피부에 접촉시킨 상태에서 제2 조작부(430)를 조작하여 구동부(450)를 구동하면, 다수개의 니들이 이동하면서 피부 내측으로 삽입된다.
이때, 다수개의 니들(421)이 일제히 피부에 삽입되는 경우 니들이 피부를 관통하는 것이 어렵고, 환자가 느끼는 통증이 클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다수개의 니들이 소정 각도(θ)만큼 경사진 상태로 피부 표면을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도록 별도의 틸트(tilt)부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틸트부는 다수개의 니들이 배치된 플레이트 후면에 배치되는 탄성체(460a, 460b)로 구성된다. 이때 탄성체(460a, 460b)는 제2 전극부(420)의 플레이트(422) 후면 중 적어도 한 위치에서의 탄성 계수가 인접한 위치의 탄성 계수와 상이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2 전극부(420)가 피부에 접촉한 상태에서 구동부(450)를 구동하게 되면 탄성체(460a, 460b)의 탄성 계수가 큰 위치에 배치되는 니들부터 피부 표면을 먼저 관통하고 나머지 니들이 순차적으로 관통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틸트부는 다수개의 탄성체(460)를 이용하며, 각각의 탄성체(460)의 탄성계수가 상이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 예로서 위치에 따라 탄성 계수가 상이한 하나의 탄성체를 이용하여 틸트부를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이외에도 다양한 구조를 이용하여 다수개의 니들이 기울어진 상태로 피부 표면을 관통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한편, 다수개의 니들이 형성된 플레이트로 이루어지는 제2 전극부(420)는 침습식 핸드피스(400)의 단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시술 위치 또는 시술의 목적에 따라 니들의 개수 또는 니들이 배치된 패턴이 각각 상이한 다수개의 모듈 중 적합한 것을 택일하여 제2 전극부(420)를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시술을 진행할 수 있다.
이때, 침습식 핸드피스(400)는 제2 전극부(420)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는 제2 센서(440)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전극부(420)를 교체할 때마다 또는 시술을 진행할 때마다 제2 센서(440)에서 감지되는 제2 전극부(420)에 대한 정보가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20)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트롤 패널(140)로부터 동작 모드가 설정되면, 감지부(130)에서 감지된 핸드피스 정보와 비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도 6의 경우, 접촉식 핸드피스(300)를 이용하는 동작 모드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디스플레이(150) 또는 별도의 경고음을 통해 이상 발생 사실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고주파 발생부(110)의 동작을 제한하거나 또는 고주파 발생부(110)로부터 고주파 에너지가 전달되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가 침습식 핸드피스(400)의 구동부(450)의 구동을 제한하거나 상기 구동부(450)로부터 제2 전극부로 동력이 전달되는 경로를 차단함으로써, 구동부(450)로부터 제2 전극부(420)로 동력이 제공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침습식 핸드피스(400)를 이용하는 동작 모드가 설정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고주파 발생부(110)를 비롯하여 각종 구성요소가 동작하도록 제어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고주파 발생부(110)의 다수개의 고주파 발생모듈 중 침습식 핸드피스(400)를 이용하는 경우 하나의 고주파 발생모듈만을 이용하도록 구성된다. 따라서, 제어부(120)는 하나의 고주파 발생모듈만을 구동하여 고주파 에너지를 발생시키고, 나머지 고주파 발생모듈을 제한하거나 이로부터 고주파 에너지가 전달되는 경로를 차단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만, 도 6에 도시된 고주파 발생부와 침습식 핸드피스가 연결되는 회로는 제2 전극부가 하나의 고주파 발생모듈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구성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며 이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할 수 있음을 밝혀둔다.
나아가, 제어부는 제2 센서에서 감지된 제2 전극부(420)에 대한 정보에 근거하여, 서로 상이한 모드로 상기 고주파 발생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는 넓은 간격으로 니들이 배치된 제2 전극부(420)가 체결된 경우에는 고주파 발생부(110)가 높은 출력의 에너지가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고, 제2 전극부(420)의 니들이 좁은 간격으로 배치된 제2 전극부(420)가 체결된 경우에는 고주파 발생부에서 낮은 출력의 에너지를 발생시키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제어부(120)는 설정된 동작 모드와 제2 전극부(420)에 대한 정보를 비교하여, 현재 설치된 제2 전극부(420)의 구조가 설정된 동작 모드와 대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 신호를 생성하여 제2 전극부(420)를 교체하도록 사용자에게 알리도록 제어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접촉식 핸드피스 및 침습식 핸드피스를 교체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제어부는 체결되는 핸드피스의 종류에 근거하여 본체의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함으로써 최적화된 시술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상이한 핸드피스를 선택적으로 사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전술한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제1 동작 모드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시술을 진행하기 위해 컨트롤 패널(140)을 통해 제1 동작모드로 운전할 것을 설정한다(S10). 이때, 제1 동작 모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접촉식 핸드피스를 이용하여 진행하는 동작 모드인 것으로 가정한다.
동작 모드가 설정되면, 체결부(160)에 체결된 핸드피스가 접촉식 핸드피스(300)인지 침습식 핸드피스(400)인를 감지하는 단계를 진행한다(S20). 이러한 단계는 감지부(130)에서 수행하며, 감지된 핸드피스의 종류에 대한 정보는 제어부(120)로 제공된다(S30).
제어부(120)는 감지된 핸드피스가 침습식 핸드피스(400)인 것으로 판단되면 이상신호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150) 또는 별도의 경고음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지한다(S31). 나아가, 체결된 침습식 핸드피스로 고주파 에너지가 제공되어 동작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S32). 이는, 고주파 발생부(110)가 동작하는 것을 제한하거나, 고주파 에너지가 전달되는 경로를 차단하거나 또는 침습식 핸드피스(400)의 구동부(450)의 동작을 제한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반면, 감지된 핸드피스가 접촉식 핸드피스(300)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는 시술을 위한 운전을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한다(S40).
한편, 시술이 진행되는 동안, 접촉식 핸드피스(300)에 구비된 제1 센서(340)는 제1 전극부(320)와 피부의 접촉 상태를 감지하여 시술이 양호하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파악한다(S50). 이때, 제1 센서(340)에서 제1 전극부(320)와 피부의 접촉상태가 양호하지 않은 것으로 파악되면, 제어부(120)는 접촉 불량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S51). 이러한 제1 센서(340)의 동작은 시술이 진행되는 동안 주기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후, 설정된 제1 동작 모드의 운전 종료시점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제어부는 각종 구성요소의 운전을 종료할 수 있다(S60).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 치료장치의 제2 동작 모드에 따른 제어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 경우, 사용자는 컨트롤 패널(140)을 통해 침습식 핸드피스를 이용하는 제2 동작모드로 운전할 것을 설정할 수 있다(S110).
운전모드가 설정되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감지부(130)는 체결부(160)에 체결된 핸드피스의 종류를 감지하고(S120), 감지된 정보를 제어부(120)에 전송한다(S130). 그리고, 체결부(160)에 제2 동작모드에 대응되지 않는 접촉식 핸드피스(300)가 설치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이상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할 수 있다(S131). 나아가 제어부(120)는 접촉식 핸드피스(300)로 고주파 에너지가 제공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S132).
한편, 감지된 핸드피스가 침습식 핸드피스(400)인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20)는 시술을 위한 운전을 정상적으로 진행할 수 있도록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한다(S160).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침습식 핸드피스(400)는 제2 전극부(420)가 교체 가능하게 설치되어, 시술 내용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성되는 다양한 제2 전극부 모듈 중 선택하여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침습식 핸드피스(400)의 단부에는 제2 전극부(420)의 종류를 감지할 수 있는 제2 센서(440)가 구비된다.
따라서, 침습식 핸드피스(400)는 시술 운전을 진행하기에 앞서 제2 센서(440)가 제2 전극부(420)의 종류를 감지하고(S140), 제어부(120)는 제2 센서(440)에서 감지된 제2 전극부의 종류가 제2 동작 모드와 대응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50).
그리고, 제어부(120)는 현재 설치된 제2 전극부(420)이 제2 동작 모드에 대응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되면, 교체 신호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이를 통지할 수 있다(ㄴ151). 반면, 제2 전극이 제2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것으로 판단된 상태에서 시술을 위한 정상 운전을 시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후, 설정된 제2 동작 모드의 운전 종료시점에 도달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제어부는 각종 구성요소의 운전을 종료할 수 있다(S170).
이하에서는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를 설명한다. 다만, 전술한 제1 실시예에서 설명한 구성요소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명칭으로 명명하되, 유사한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설명을 생략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의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도이다.
전술한 제1 실시예는 하나의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에 접촉식 핸드피스와 침습식 핸드피스를 택일적으로 체결하여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인 것에 비해, 본 실시예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에 접촉식 핸드피스(1300) 및 침습식 핸드피스(1400)가 각각 연결 설치되는 구성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100)는 접촉식 핸드피스(1300)의 제1 전극부(1320) 및 침습식 핸드피스(1400)의 제2 전극부(1420)로 고주파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는 고주파 발생부(1110)를 구비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동작 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컨트롤 패널(1140) 및 운전 내용 및 치료 장치의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1150)가 구비된다. 그리고, 제어부(1120)는 고주파 발생부(1110), 컨트롤 패널(1140), 디스플레이(1150) 및 고주파 에너지가 전달되는 경로상에 설치되는 릴레이 소자(1170) 등의 각종 회로 소자와 연결되어, 본체에 구비되는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한다.
접촉식 핸드피스(1300)는 제1 케이블(1200a)에 의해 본체(1100)와 연결 설치된다. 접촉식 핸드피스(1300)의 제1 전극부(1320)는 제1 케이블(1200a)에 구비되는 고주파 전달부(1210a)를 통해 본체(1100)의 고주파 발생부(1110)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1 조작부(1330) 및 제1 센서(1340)는 제1 케이블(1200a)에 구비되는 신호선(1220a)에 의해 제어부와 연결될 수 있다.
침습식 핸드피스(1400)는 제2 케이블(1200b)에 의해 본체(1100)와 연결 설치된다. 침습식 핸드피스(1400)의 제2 전극부(1420)는 제2 케이블(1200b)에 구비되는 고주파 전달부(1210b)를 통해 본체의 고주파 발생부(1110)와 연결된다. 그리고, 제2 조작부(1430), 구동부(1450) 및 제2 센서(1440)는 제2 케이블(1200b)에 구비되는 신호선(1220b)에 의해 제어부(1120)와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접촉식 핸드피스(1300)및 침습식 핸드피스(1400)의 구성 및 제어 방식은 전술한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시술자가 접촉식 핸드피스(1300) 또는 침습식 핸드피스(1400)를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시술을 진행한다. 따라서, 고주파 발생부(1110)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에너지가 접촉식 핸드피스(1300) 또는 침습식 핸드피스(1400) 중 택일적으로 제공되도록 제어부(1120)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의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는 사용자가 사용하는 핸드피스의 종류를 감지하는 감지부(미도시)를 더 포함한다. 이러한 감지부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일 예로서, 감지부는 접촉식 핸드피스(1300)와 침습식 핸드피스(1400)의 몸체 외면에 형성되는 센서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핸드피스를 사용하는 경우 가해지는 압력, 온도 또는 전기적인 변화를 감지하여 사용자가 사용하고자 하는 핸드피스의 종류를 판별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감지부는 접촉식 핸드피스 및 침습식 핸드피스가 거치되는 거치대에 설치되는 센서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접촉식 핸드피스와 침습식 핸드피스 중 하나를 선택하여 거치부로부터 탈거시키는 경우 발생하는 압력의 변화 등을 감지하여 이를 판별하도록 구성할 수 도 있다. 그리고, 전술한 두 가지 예 이외에도 다양한 방식으로 감지부를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제어부(1120)는 감지부에서 감지된 현재 사용중인 핸드피스의 정보를 따라, 상이한 모드로 고주파 발생부(1110)를 비롯한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접촉식 핸드피스(13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고주파 발생부(1110)로부터 침습식 핸드피스(1400)로 고주파 에너지를 제공하는 경로를 차단시킨다. 그리고 접촉식 핸드피스(1300)와 연결되는 신호선(1220a)을 활성화시키고, 침습식 핸드피스(1400)와 연결되는 신호선(1220b)은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침습식 핸드피스(1400)를 사용하고자 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침습식 핸드피스(1400)로 고주파 에너지를 제공하는데 사용되지 않는 고주파 발생 모듈(미도시)이 동작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고주파 발생부(1110)로부터 접촉식 핸드피스(1300)로 고주파 에너지를 제공하는 경로를 차단시킨다. 나아가, 침습식 핸드피스(1400)와 연결되는 신호선(1220b)을 활성화시키고, 접촉식 핸드피스(1300)와 연결되는 신호선(1220a)은 비활성화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120)는 컨트롤 패널(1140)로부터 동작 모드가 설정되면, 감지부에서 감지된 핸드피스 정보와 비교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따라서, 설정된 동작모드와 대응하지 않는 핸드피스를 사용자가 사용하려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20)는 디스플레이(1150) 또는 별도의 경고음을 통해 이상 발생 사실을 사용자에게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고주파 발생부(1110)의 동작을 제한하거나 또는 고주파 발생부로부터 고주파 에너지가 전달되는 경로를 차단할 수 있다. 반면, 설정된 동작모드와 대응되는 핸드피스를 사용자가 사용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1120)는 고주파 발생부(1110)를 비롯하여 각종 구성요소가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예와 같이 하나의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에 서로 다른 두 개의 핸드피스를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도, 제어부(1120)가 감지부에서 감지되는 핸드피스 사용정보에 근거하여 각종 구성요소를 제어함으로써, 최적화된 시술을 가능하게 할 뿐 아니라, 설정된 동작 모드와 대응되지 않는 핸드피스를 사용함으로써 발생할 수 있는 안전상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하게 변형하여 본 발명을 실시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10 : 고주파 발생부
120 : 제어부 130 : 감지부
160 : 체결부 200a, 200b : 케이블
300 : 접촉식 핸드피스 320 : 제1 전극부
400 : 침습식 핸드피스 420 : 제2 전극부
120 : 제어부 130 : 감지부
160 : 체결부 200a, 200b : 케이블
300 : 접촉식 핸드피스 320 : 제1 전극부
400 : 침습식 핸드피스 420 : 제2 전극부
Claims (6)
- 본체에 구비되는 고주파 발생부;
상기 본체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고주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에너지를 피부 표면으로 제공하는 제1 전극부를 구비하는 접촉식 핸드피스;
상기 본체에 연결 설치되고, 상기 고주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에너지를 피부 내측으로 제공하는 제2 전극부를 구비하는 침습식 핸드피스;
상기 고주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에너지가 상기 제1 전극부 또는 상기 제2 전극부로 택일적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식 핸드피스는 상기 제1 전극부와 피부와의 접촉 상태를 감지하는 제1 센서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센서에서 감지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전극부와 피부의 접촉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되면 접촉 불량 신호를 생성하고,
상기 접촉식 핸드피스의 상기 제1 전극부는 복수개의 전극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전극 모듈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극 모듈을 통해 서로 다른 주파수의 고주파 에너지가 피부 표면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발생부는 상기 복수개의 전극 모듈과 각각 대응되는 복수개의 고주파 발생모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설정된 동작 모드와 대응되지 않는 핸드피스가 사용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고주파 발생부로부터 상기 핸드피스로 고주파 에너지가 제공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핸드피스의 종류를 감지하는 감지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부로부터 감지된 핸드피스의 종류에 따라 서로 상이한 모드로 상기 고주파 발생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주파 발생부로부터 상기 제1 전극부 및 상기 제2 전극부로 고주파 에너지를 제공하는 경로 상에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소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릴레이 소자를 제어하여 고주파 에너지가 상기 제1 전극부 또는 상기 제2 전극부로 택일적으로 제공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 내부에 고주파 발생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의 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주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에너지를 피부 표면으로 제공하는 제1 전극부를 구비하는 접촉식 핸드 피스;
상기 본체의 체결부에 착탈 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고주파 발생부에서 발생되는 고주파 에너지를 피부 내측으로 제공하는 제2 전극부를 구비하는 침습식 핸드피스; 그리고,
상기 고주파 발생부로부터 상기 제1 전극부 또는 상기 제2 전극부로 제공되는 고주파 에너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접촉식 핸드피스의 상기 제1 전극부는 복수개의 전극 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개의 전극 모듈을 독립적으로 제어하여 상기 복수개의 전극 모듈을 통해 서로 다른 주파수의 고주파 에너지가 피부 표면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3765A KR101743706B1 (ko) | 2013-03-28 | 2013-03-28 |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33765A KR101743706B1 (ko) | 2013-03-28 | 2013-03-28 |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10070674A Division KR101324721B1 (ko) | 2011-07-15 | 2011-07-15 |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4268A KR20130044268A (ko) | 2013-05-02 |
KR101743706B1 true KR101743706B1 (ko) | 2017-06-07 |
Family
ID=486567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33765A KR101743706B1 (ko) | 2013-03-28 | 2013-03-28 |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74370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226018A1 (ko) * | 2018-05-25 | 2019-11-28 |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 피부 관리 장치에 장착되는 니들 팁 및 피부 관리 장치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401253B1 (ko) * | 2022-01-26 | 2022-05-23 | 서빛나 | 멍과 붓기를 줄이는 인모드 리프팅시스템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516666A (ja) | 2002-02-06 | 2005-06-09 | サーメイジ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Rfによる組織の治療のためのハンドピース |
-
2013
- 2013-03-28 KR KR1020130033765A patent/KR101743706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5516666A (ja) | 2002-02-06 | 2005-06-09 | サーメイジ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 Rfによる組織の治療のためのハンドピース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WO2019226018A1 (ko) * | 2018-05-25 | 2019-11-28 |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 피부 관리 장치에 장착되는 니들 팁 및 피부 관리 장치 |
KR20190134375A (ko) * | 2018-05-25 | 2019-12-04 |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 피부 관리 장치에 장착되는 니들 팁 및 피부 관리 장치 |
KR102206623B1 (ko) * | 2018-05-25 | 2021-01-22 | 주식회사 제이시스메디칼 | 피부 관리 장치에 장착되는 니들 팁 및 피부 관리 장치 |
US11097100B2 (en) | 2018-05-25 | 2021-08-24 | Jeisys Medical Inc. | Needle tip mounted on skin treatment apparatus, and skin treatment apparatu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44268A (ko) | 2013-05-02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324721B1 (ko) |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 |
KR101300123B1 (ko) |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 |
JP3218105U (ja) | カスタマイズ型複合刺激が加えられる肌の機能改善用の立体陰圧複合刺激器モジュール | |
KR101716345B1 (ko) | 고주파 피부치료장치 | |
JP3905482B2 (ja) | 手術システム | |
KR101811351B1 (ko) | 고강도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 |
US20090171253A1 (en) | System and method for dermatological treatment using ultrasound | |
US20100217160A1 (en) | Ultrasonic Wave Radiator for Treatment | |
JP4021049B2 (ja) | 焼灼止血装置 | |
KR20120119249A (ko) |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 |
US11241277B2 (en) | Skin treatment apparatus using RF energy and method for skin treatment using same | |
KR101743706B1 (ko) | 고주파를 이용한 치료장치 | |
KR101602820B1 (ko) | 초음파 치료용 카트리지, 초음파 발생 장치 및 이의 동작 방법 | |
KR20160144755A (ko) | 고강도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 |
CN116650095A (zh) | 可自动输出高频能量的皮肤治疗装置及其控制方法 | |
JP2007054665A (ja) | 外科手術用処置具 | |
JP7226865B2 (ja) | 美容器 | |
KR102168246B1 (ko) | 고강도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 | |
KR102105146B1 (ko) | 피부 미용 시술 장치 | |
JP2000254136A (ja) | 超音波処置具 | |
KR101894855B1 (ko) | 가이드 레이저를 구비한 초음파 일체형 모듈 | |
KR101742957B1 (ko) | 초음파 장치 | |
KR101648178B1 (ko) | 고주파 온열 치료기 및 그 방법 | |
KR102305540B1 (ko) | 분자 공진형 고주파와 석션 방식 니들 전극을 가진 치료 장치 및 방법 | |
KR20200102623A (ko) | 의료용 레이저 조사장치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107 |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