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91836B1 -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 - Google Patents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836B1
KR101691836B1 KR1020127005017A KR20127005017A KR101691836B1 KR 101691836 B1 KR101691836 B1 KR 101691836B1 KR 1020127005017 A KR1020127005017 A KR 1020127005017A KR 20127005017 A KR20127005017 A KR 20127005017A KR 101691836 B1 KR101691836 B1 KR 101691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eld
event
information
group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7005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99208A (ko
Inventor
김관석
이현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200992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992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445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decrypting of additional data, reconstructing software from modules extracted from the transport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5Processing of additional data, e.g. scrambling of additional data or processin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20Server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distribution of content, e.g. VOD servers; Operations thereof
    • H04N21/2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lementary server operations; Server middleware
    • H04N21/236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transport stream, by combining a video stream with other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inserting a URL [Uniform Resource Locator] into a video stream, multiplexing software data into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Insertion of stuffing bits into the multiplex stream, e.g. to obtain a constant bit-rate; Assembling of a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2362Generation or processing of Service Information [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8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 H04N21/4349Demultiplexing of additional data and video streams by extracting from data carousels, e.g. extraction of software modules from a DVB carous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5Management operations performed by the client for facilitating the reception of or the interaction with the content or administrating data related to the end-user or to the client device itself, e.g. learning user preferences for recommending movies, resolving scheduling conflicts
    • H04N21/4508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 H04N21/4532Management of client data or end-user data involving end-user characteristics, e.g. viewer profile, prefere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0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content on demand, e.g. video on dema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1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pay-per-view cont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14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e.g. of sport results or stock mark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43Communicat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Generation or processing of descriptive data, e.g. content descript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04N21/8586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by using a UR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의 처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가 개시된다. 상기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은 서비스 가이드 화면에서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프로그램이 속한 그룹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그룹의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시그널링 테이블에 포함된 프로그램들의 그룹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METHOD FOR PROCESSING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AND BROADCAST RECEIVER}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과 관련된 정보의 처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텔레비전(DTV)은 텔레비전(TV)의 고유 기능인 영상, 음성과 더불어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예를 들어 방송 정보(Electronic Program Guide: EPG)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고, 2개 이상의 채널로부터 수신되는 방송 프로그램을 동시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수신 시스템이 대용량의 저장 장치를 구비하고,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인터넷이나 데이터 통신 채널과 연결되면서 방송 신호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는 서비스가 많아졌다.
본 발명의 목적은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과 연결된 다른 방송 프로그램의 정보를 시그널링하고 서비스하는 방법 및 방송 수신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나 이상의 방송 프로그램을 그룹핑하고,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하고 서비스하는 방법 및 방송 수신기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은 서비스 가이드 화면에서 특정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단계, 선택된 프로그램이 속한 그룹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확인된 그룹의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시그널링 테이블에 포함된 프로그램들로 구성된 그룹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그룹 확인 단계는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의 스케쥴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이벤트 정보 테이블(EIT)에 그룹 식별자가 시그널링되어 있으면,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은 상기 그룹 식별자에 해당하는 그룹에 속한다고 판단한다.
상기 그룹 식별자는 각 이벤트에 개별적으로 적용되는 이벤트 루프 내 디스크립터에 포함된다.
상기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시그널링 테이블은 이벤트 그룹 테이블(EGT)이며, 상기 이벤트 정보 테이블(EIT)에 포함된 그룹 식별자와 동일한 그룹 식별자를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 그룹 테이블(EGT)은 해당 그룹의 타이틀 정보를 더 포함한다.
상기 이벤트 그룹 테이블(EGT)은 상기 그룹 식별자에 해당하는 그룹에 속하는 프로그램들을 시그널링하며, 각 프로그램은 타이틀 정보와 하나 이상의 링크 정보를 포함한다.
각 링크 정보는 해당 링크의 종류, 해당 링크의 경로 정보, 및 해당 링크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상기 링크의 경로 정보가 EIT 이벤트를 지시하면, 상기 링크의 식별자는 ETM(Extended Text Message) 식별자를 지시한다.
상기 링크의 경로 정보가 비실시간 서비스를 지시하면, 상기 링크의 식별자는 서비스 식별자와 콘텐트 식별자를 지시한다.
상기 링크의 경로 정보가 웹 서비스를 지시하면, 상기 링크의 식별자는 인터넷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지시한다.
상기 그룹 리스트의 각 프로그램은 해당 링크 정보를 기반으로 시청가능, 시청예약가능, 녹화예약가능, 시청불가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갖는다.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은 시그널링되는 그룹 정보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이벤트 그룹 정보인지, 하나 이상의 이벤트 그룹을 포함하는 수퍼 그룹 정보인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지시 정보가 수퍼 그룹을 지시하면,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에 포함된 그룹 식별자는 해당 수퍼 그룹의 식별자이고, 상기 시그널링 테이블은 상기 그룹 식별자에 해당하는 수퍼 그룹에 속하는 이벤트 그룹들을 시그널링하며, 각 이벤트 그룹은 해당 이벤트 그룹의 타이틀 정보와 식별자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기는 튜너,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EPG 매니저, 및 서비스 매니저를 포함한다. 상기 튜너는 방송망을 통해 실시간이나 비실시간으로 프로그램을 수신한다.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는 인터넷 망을 통해 프로그램을 수신한다.
상기 EPG 매니저는 각 프로그램의 스케쥴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 가이드 화면을 구성하여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는 상기 서비스 가이드 화면에서 특정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선택된 프로그램이 속한 그룹을 확인하고, 확인된 그룹의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시그널링 테이블에 포함된 프로그램들로 구성된 그룹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특징 및 잇점들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한 실시예들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은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RT 서비스의 이벤트, 비실시간으로 수신되는 NRT 서비스의 이벤트, 인터넷을 통한 웹 서비스의 이벤트들 중 서로 연관이 있는 이벤트들을 그룹화하고, 이때의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함으로써, 유저에게 편리한 사용 환경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그룹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방송 중인 시리즈물의 이전/이후 편을 서비스하는 catch-up TV 기능을 제공하며, 하나의 프로그램에 대해 여러 개의 링크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다양한 방법으로 하나의 프로그램에 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간 서비스(real-time service RT)와 비실시간 서비스(non-real time service; NRT)를 제공하는 개념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RT 서비스를 전송하는 채널의 남는 대역폭을 이용하여 NRT 서비스를 전송하는 예를 보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NRT 서비스, 콘텐트 아이템, 파일과의 관계를 보인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Fixed NRT 서비스를 위한 프로토콜 스택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가상 채널 테이블의 비트 스트림 신택스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6은 도 5의 가상 채널 테이블 내 서비스 타입 필드 값 및 그 값의 의미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도 5의 가상 채널 테이블 내 서비스 타입 필드에 할당되는 값 및 그 값의 의미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 서비스 테이블의 비트 스트림 신택스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PSI/PSIP 테이블을 이용하여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을 전송하는 IP 스트림의 접속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NST섹션의 비트 스트림 신택스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component_descriptor()의 비트 스트림 신택스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3은 도 12의 component_descriptor()를 이용한 FLUTE 파일 딜리버리 데이터의 비트 스트림 신택스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4와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NRT-IT 섹션의 비트 스트림 신택스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6은 PSIP에 포함되는 테이블들의 계층적 관계를 보여준 도면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EIT 섹션에 대한 비트 스트림 신택스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EGT 섹션에 대한 비트 스트림 신택스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table_type 필드에 할당되는 값 및 그 값의 의미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table_type 필드에 할당되는 값 및 그 값의 의미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link_type 필드에 할당되는 값 및 그 값의 의미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link_media 필드 값의 정의 및 link_media 필드 값에 따른 link_byte 필드 값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그룹 디스크립터의 비트 스트림 신택스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EGT와 EIT, NST, NRT-IT와의 연결 관계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서 이벤트 그룹 테이블(EGT)을 수신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서 이벤트 그룹 테이블(EGT)을 수신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
도 27은 미리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EGT 내 이벤트를 수신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보인 본 발명의 흐름도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
도 29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EPG 화면 및 상기 EPG 화면에서 구현될 수 있는 UI 화면의 일 예를 보인 도면
도 30은 본 발명에 따른 UI 화면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 31 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EPG 화면 및 상기 EPG 화면에서 구현될 수 있는 UI 화면의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EPG 화면 및 상기 EPG 화면에서 구현될 수 있는 UI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도면
도 33 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따른 EPG 화면 및 상기 EPG 화면에서 구현될 수 있는 UI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보인 도면
이하 상기의 목적을 구체적으로 실현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때 도면에 도시되고 또 이것에 의해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구성과 작용은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로서 설명되는 것이며, 이것에 의해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핵심 구성 및 작용이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함을 밝혀두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방송 프로그램은 방송국으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고, 웹 서버로부터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웹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서비스를 웹 서비스라 하기로 한다. 일 예로, 방송국은 방송망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고, 웹 서버는 인터넷 망을 통해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방송 수신기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디코딩하기 위해서는 시그널링 정보가 필요하다. 상기 시그널링 정보는 시스템 정보 또는 서비스 정보라고도 불리운다.
본 발명에서는 시그널링 정보로서 PSI/PSIP(Program Specific Information/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테이블을 적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PSI는 채널 및 프로그램을 분류하기 위해 정의된 MPEG-2의 시스템 규격이고, 상기 PSIP는 채널 및 프로그램의 분류가 가능한 ATSC(Advanced Television Systems Committee) 규격이다.
상기 PSI는 일 실시예로서, PAT(Program Association Table), CAT(Conditional Access Table), PMT(Program Map Table), 및 NIT(Network Information Tabl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PAT는 PID가 '0'인 패킷에 의해 전송되는 특수 정보로서, 각 프로그램마다 해당 PMT의 PID 정보와 NIT의 PID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CAT는 송신측에서 사용하고 있는 유료 방송 시스템에 대한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PMT는 프로그램 식별 번호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비디오, 오디오 등의 개별 비트열이 전송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패킷의 PID 정보, 및 PCR이 전달되는 PID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NIT는 실제 전송망의 정보를 전송한다.
상기 PSIP은 일 실시예로서, VCT(Virtual Channel Table), STT(System Time Table), RRT(Rating Region Table), ETT(Extended Text Table), DCCT(Direct Channel Change Table), DCCSCT(Direct Channel Change Selection Code Table), EIT(Event Information Table), 및 MGT(Master Guide Table)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MGT는 다른 테이블의 버전 및 PID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STT는 상기 MGT에서 제외된다. 상기 VCT는 가상 채널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정보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의 수신을 위한 패킷 식별자(PID) 등의 정보를 전송한다. 즉, 상기 VCT를 파싱하면 채널 이름, 채널 번호 등과 함께 채널 내에 실려오는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와 비디오의 PID를 알 수 있다. 상기 ETT는 채널과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RRT는 각 지역별로 할당한 영상물에 대한 등급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STT는 현재 날짜와 사긴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EIT는 VCT내의 가상 채널을 통해 방영될 모든 프로그램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담고 있다. 한 개의 EIT는 3시간 분량의 이벤트 정보를 담을 수 있으며, 따라서 어떤 가상 채널에 대한 이벤트는 여러 개의 EIT를 이용하여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방송국으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프로그램은 실시간(real time)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비실시간(non real time)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용어 중 실시간 (RT) 서비스는, 말 그대로 실시간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시간에 구속받는 서비스이다. 이에 반해, 비실시간 (NRT) 서비스는 상기 RT 서비스 이외의 비실시간 서비스를 의미한다. 즉, 비실시간 서비스는 시간에 구속받지 않는 서비스이다. 그리고 NRT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를 NRT 서비스 데이터라 하기로 한다.
상기 NRT 서비스는 방송 수신기의 저장 매체에 저장된 후, 기 설정된 시간이나 유저의 요청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다. 상기 NRT 서비스는 파일 형태로 수신되어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저장 매체는 방송 수신기의 내부에 장착된 내장 HDD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 다른 예로, 상기 저장 매체는 방송 수신 시스템의 외부에 연결된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외장 HDD 등이 될 수도 있다.
상기 NRT서비스를 구성하는 파일들을 수신하여 저장 매체에 저장하고, 유저에게 서비스하려면, 이때에도 시그널링 정보가 필요하다. 본 발명은 NRT 서비스를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NRT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 또는 NRT 서비스 시그널링 데이터라 하기로 한다. 상기 NRT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는 NRT 서비스 맵 테이블(Service Map Table 또는 Service Table; NST)과 NRT 정보 테이블(NRT Information Table; NRT-IT)를 포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1은 방송국에서 RT 서비스와 NRT 서비스를 제공하는 개념을 개시한다.
방송국은 기존 방식에 따라 즉, 현재의 지상파 방송과 같이 RT 서비스를 송신한다. 이때, 방송국은 RT 서비스를 송신하고 그 과정에서 남는 대역폭(Band Width; BW)을 이용하거나 또는 전용 대역폭을 이용하여 NR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RT 서비스와 NRT 서비스는 동일 채널 또는 다른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예를 들어, ATSC 규격에 정의된 방송 채널은 6Mhz 대역의 VSB(Vestigial Side Band) 방식으로 변조되고, 이 변조파에 실리는 데이터의 대역폭(BW)는 약 19.3Mbps이다. 그런데 RT 서비스로 제공되는 HD(High Definition) 방송 스트림의 대역폭은 통상적으로 12~3 Mbps 정도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도 2에서와 같이 남는 대역폭 즉, 6~7 Mbps를 이용하여 방송 채널 스트림 이외의 데이타 예를 들어, NRT 서비스를 전송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따라서 방송 수신기에서 RT 서비스와 NRT 서비스를 구분하고, 구분된 NRT 서비스를 저장한 후 필요시에 유저에게 제공하기 위해 NRT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또는 NRT 서비스 시그널링 데이터)가 요구된다.
예를 들어 방송국에서는 방송 프로그램을 실시간으로 송신하고, 뉴스 클립, 날씨 정보, 광고, Push VOD 등을 비실시간으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NRT 서비스는 뉴스 클립, 날씨 정보, 광고, Push VOD 뿐만 아니라, 실시간 방송 스트림 중 특정 장면들, 특정 프로그램의 상세 정보 등이 될 수도 있다.
종래의 방송 수신기(즉, legacy device)는 실시간 서비스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는 있으나, 비실시간 서비스를 수신하여 처리할 수는 없다. 즉, 종래의 방송 수신기(즉, legacy device)는 실시간 서비스를 전송하는 채널에 포함된 NRT 스트림에 의해 그 동작이 영향을 받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다시 말해, 종래의 방송 수신기는 NRT 서비스를 수신하여도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되지 않아 상기 수신된 NRT 서비스를 처리할 수 없다.
반면,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즉, NRT device)는 RT 서비스와 결합된 NRT 서비스를 수신하여 적절하게 처리할 수 있으므로, 시청자에게 종래 방송 수신기에 비해 다양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NRT 서비스는 도 3에서와 같이 하나 이상의 콘텐트 아이템(또는 콘텐트 또는 NRT 콘텐트라 함)를 포함하고, 하나의 콘텐트 아이템은 하나 이상의 파일을 포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에서 파일과 오브젝트는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상기 콘텐트 아이템은 독립적으로 재생이 가능한 최소 단위이다. 예를 들어, 비실시간으로 제공되는 뉴스가 있고, 상기 뉴스에는 경제 뉴스, 정치 뉴스, 생활 뉴스가 포함된다고 할 때, 상기 뉴스는 NRT 서비스라 할 수 있고, 경제 뉴스, 정치 뉴스, 생활 뉴스 각각은 콘텐트 아이템이라 할 수 있다. 그리고, 경제 뉴스, 정치 뉴스, 생활 뉴스 각각은 하나 이상의 파일로 구성된다.
이때 NRT 서비스는 RT 서비스와 동일한 방송 채널 또는 전용 방송 채널을 통해 MPEG-2 트랜스포트 스트림(TS) 패킷 형태로 전송될 수 있다. 이 경우 NRT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하여 유니크한 PID가 상기 NRT 서비스 데이터의 TS 패킷에 할당되어 전송된다. 본 발명은 IP 기반의 NRT 서비스 데이터가 MPEG-2 TS 패킷화되어 전송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때 상기 NRT 서비스 데이터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NRT 서비스 시그널링 데이터는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상기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은 IP 계층 상에서 특정 IP 스트림을 통하여 전송되는데, 이때 상기 IP 스트림도 MPEG-2 TS 패킷화되어 전송된다. 상기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로 전송되는 NRT 서비스 시그널링 데이터는 NST와 NRT-IT를 포함한다. 상기 NST는 IP 계층에서 구동하는 적어도 하나의 NRT 서비스, 상기 NRT 서비스를 구성하는 콘텐트 아이템/파일들의 접속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NRT-IT는 NRT 서비스를 구성하는 콘텐트 아이템/파일들의 상세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NST와 NRT-IT를 시그널링 정보 테이블이라 하기도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구성한 NRT 서비스에 대한 프로토콜 스택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파일 형태의 NRT 서비스를 IP 계층에서 IP 패킷화한 후 특정 가상 채널을 통해 MPEG-2 TS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PSI/PSIP 테이블 예를 들어, 가상 채널 테이블(VCT)를 통하여 가상 채널(Virtual channel) 내, NRT 서비스의 존재 여부를 시그널링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은 NST와 NRT-IT를 전송하는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을 IP 계층에서 특정 IP 스트림으로 IP 패킷화한 후 MPEG-2 TS 형태로 전송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즉, 방송국에서는 도 4에서와 같이 파일 전송 프로토콜(File Transfer Protocol) 방식에 따라 NRT 콘텐트 아이템/파일들을 패킷화하고, 이를 다시 ALC/LCT(Asynchronous Layered Coding/Layered Coding Transport) 방식에 따라 패킷화한다. 상기 패킷화된 ALC/LCT 데이터는 다시 UDP 방식에 따라 패킷화되며, 상기 패킷화된 ALC/LCT/UDP 데이터는 다시 IP 방식에 따라 패킷화되어 ALC/LCT/UDP/IP 데이터가 된다. 여기서, 상기 ALC/LCT/UDP/IP 데이터는 FLUTE 세션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FDT(File Description Table)을 포함한다. 상기 패킷화된 ALC/LCT/UDP/IP 데이터를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IP 데이터그램이라 한다.
또한 상기 NRT 콘텐트/파일들을 수신하기 위해 필요한 NRT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또는 NRT 서비스 시그널링 데이터)는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데, 상기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은 UDP(User Datagram protocol) 방식에 따라 패킷화되고, 상기 패킷화된 UDP 데이터는 다시 IP 방식에 따라 패킷화되어 UDP/IP 데이터가 된다. 상기 UDP/IP 데이터도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IP 데이터그램이라 한다. 이때 상기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은 Well-known IP desination address와 well-known desination UDP port number를 가지는 IP 데이터그램에 인캡슐레이션되어 멀티캐스트(Multicast)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NRT 서비스 및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의 IP 데이터그램들을 어드레서블 섹션 구조로 인캡슐레이션하고, 다시 MPEG-2 TS 포맷으로 패킷화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즉, 하나의 어드레서블 섹션 구조는 하나의 IP 데이터그램에 섹션 헤더와 CRC 첵섬(checksum)이 추가적으로 더해지는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러한 어드레서블 섹션 구조의 형태는 프라이빗 데이터(private data) 전송을?위한 DSM-CC(Digital Storage Media Command and Control) 섹션 포맷에 부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어드레서블 섹션은 DSM-CC 어드레서블 섹션이라 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어드레서블 섹션 데이터를 184 바이트 단위로 분할한 후, 각 184 바이트에 4바이트의 MPEG 헤더를 부가하면, 188 바이트의 MPEG-2 TS 패킷을 만들 수 있다. 이때, 상기 MPEG 헤더의 PID에 할당되는 값은 상기 NRT 서비스와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을 전송하는 TS 패킷을 식별할 수 있는 유니크한 값이다.
또한, PSI/PSIP 테이블 데이터도 MPEG-2 TS 패킷화된다.
상기 MPEG-2 TS 패킷들은 물리 계층(physical layer)에서 기 정해진 전송 방식 예를 들면, VSB 전송 방식으로 변조되어 수신 시스템으로 전송된다.
본 발명에서는 NRT 서비스의 전송 여부를 PSI/PSIP 테이블을 통해 시그널링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일 예로, 상기 NRT 서비스의 전송 여부를 가상 채널 테이블(VCT)에 시그널링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5는 상기 가상 채널 테이블(VCT) 섹션의 신택스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VCT 섹션은 가상 채널에 대한 정보 예를 들어, 채널 선택을 위한 채널 정보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의 수신을 위한 패킷 식별자(PID) 등의 정보를 전송한다. 즉, 상기 VCT 섹션을 파싱하면 채널 이름, 채널 번호 등과 함께 채널 내에 실려오는 방송 프로그램의 오디오와 비디오의 PID를 알 수 있다.
상기 VCT 섹션의 신택스는 table_id 필드, section_syntax_indicator 필드, private_indicator 필드, section_length 필드, transport_stream_id 필드, version_number 필드, current_next_indicator 필드, section_number 필드, last_section_number 필드, protocol_version 필드, num_channels_in_section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VCT 섹션의 신택스는 상기 num_channels_in_section 필드 값만큼 반복되는 'for' 루프(즉, 가상 채널 루프)의 제1 반복문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제1 반복문 내에는 short_name 필드, major_channel_number 필드, minor_channel_number 필드, modulation_mode 필드, carrier_frequency 필드, channel_TSID 필드, program_number 필드, ETM_location 필드, access_controlled 필드, hidden 필드, service_type 필드, source_id 필드, descriptor_length 필드, 및 이 제1 반복문 내에 포함되는 디스크립터 수만큼 반복되는 'for' 루프로 된 제2 반복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2 반복문을 제1 디스크립터 루프라 한다. 상기 제1 디스크립터 루프에 포함되는 디스크립터 descriptors()는 가상 채널 각각에 개별적으로 적용되는 디스크립터이다.
또한 상기 VCT 섹션 신택스는 additional_descriptor_length 필드와, 상기 VCT섹션에 추가되는 디스크립터 수만큼 반복되는 'for' 루프로 된 제3 반복문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제3 반복문을 제2 디스크립터 루프라 한다. 상기 제2 디스크립터 루프에 포함되는 디스크립터 additional_descriptors()는 VCT섹션에서 기술되는 모든 가상 채널에 공통적으로 적용되는 디스크립터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 5에서, 상기 table_id 필드는 상기 테이블로 전송되는 정보가 VCT임을 인식할 수 있는 고유 식별자(ID)를 표시한다. 즉, 상기 table_id 필드는 이 섹션(section)이 속해 있는 테이블이 VCT라는 것을 알려주는 값을 나타내며, 일 예로 0xC8이 할당될 수 있다.
상기 version_number 필드는 VCT의 버전 값을 나타내고, 상기 section_number 필드는 이 섹션의 번호를, 상기 last_section_number 필드는 완전한 VCT의 마지막 섹션의 번호를 나타낸다. 상기 num_channels_in_section 필드는 상기 VCT 섹션 내에 존재하는 전체 가상 채널의 개수를 지정한다.
그리고, 상기 'for' 루프의 제1 반복문 내에 있는 short_name 필드는 가상 채널 이름을 나타내고, 상기 major_channel_number 필드는 상기 제1 반복문 안에서 정의되는 가상 채널과 관련된 '메이저' 채널 번호를 나타내고, 상기 minor_channel_number 필드는 '마이너' 채널 번호를 나타낸다. 즉, 각각의 가상 채널 번호는 메이저와 마이너 채널 번호에 연결되어 있어야 하며, 메이저, 마이너 채널 번호는 해당 가상 채널에 대한 사용자 참조 번호로 작용한다.
상기 program_number 필드는 MPEG-2 PAT(Program Association Table)와 PMT(Program Map Table)가 정의되어 있는 가상 채널을 연결하기 위해 나타내며, 상기 PAT/PMT안에 있는 프로그램 번호와 일치한다. 여기서, PAT는 각 프로그램 번호마다 그 프로그램의 구성 요소를 기술하는데, PMT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PID를 가리킨다. 상기 PMT는 프로그램 식별 번호와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비디오, 오디오 등의 개별 비트열이 전송되고 있는 트랜스포트 패킷의 PID 리스트와 부속 정보를 기술하고 있다.
상기 service_type 필드는 해당 virtual channel 내의 서비스 타입을 알려주는 필드이다.
일 실시예로, 상기 가상 채널은 오디오 및/또는 비디오가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RT 서비스와 적어도 하나의 NRT 서비스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6과 같이 서비스 타입 값이 할당될 수 있으며, ATSC 데이터 온리(only) 서비스를 나타내는 0x04를 이용하여 상기 가상 채널로 NRT서비스가 전송됨을 지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가상 채널은 하나 이상의 NRT 서비스만을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7과 같이 service_type 필드 값으로 0x08을 새로이 정의하고 상기 가상 채널로 NRT 서비스가 전송됨을 지시할 수 있다.
상기 source_id 필드는 해당 가상 채널에 연결된 프로그램 소스를 나타낸다.
여기서, 소스란 영상, 텍스트, 데이터 또는 음향과 같은 하나의 특정 소스를 말한다. 상기 source_id 필드값은 VCT를 전송하는 트랜스포트 스트림 내에서는 유일한 값을 가진다.
한편, 상기 VCT의 service_location_descriptor에 포함된 PID를 통해 DST를 수신할 수 있으며, 데이터 서비스 테이블(DST)을 통해 어플리케이션의 종류 및 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방송 스트림의 상세 정보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DST를 이용하여 NRT 어플리케이션(즉, NRT 서비스)를 식별하도록 한다.
도 8은 상기 DST 섹션의 신택스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sdf_protocol_version 필드 (8비트)는, Service Description Framework 프로토콜의 버전을 설명한다.
application_count_in_section 필드 (8비트)는, DST 섹션 내 리스트 된 어플리케이션들의 수를 설명한다.
compatibility_descriptor() 필드는, 해당 구조가 DSM-CC 호환성 디스크립터를 포함함을 나타낸다. 그 목적은 해당 데이터 서비스를 사용하기 위해 그 능력을 판단하기 위해 수신 플랫폼에서 어플리케이션의 호환성 요구사항들을 시그널링하기 위함이다.
app_id_byte_length 필드 (16비트)는,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는데 사용되는 바이트들의 개수를 설명한다.
app_id_description 필드 (16비트)는, 다음에 위치한 app_id_byte 필드(즉, application identification bytes)의 포맷과 시맨틱스를 설명한다. 본 발명은 ‘0x0003’을 새롭게 할당하여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NRT 어플리케이션임을 식별하는데 이용한다. 상기 예시한 수치는 일 예에 불과하며, 상기 수치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app_id_byte 필드 (8비트)는, 어플리케이션 식별자의 바이트를 표현한다.
tap_count 필드 (8비트)는, 해당 어플리케이션에 의한 사용되는 Tap() 구조들의 개수를 설명한다.
protocol_encapsulation 필드 (8비트)는, Tap() 필드에 의해 참조되는 특정 데이터 엘리먼트를 전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프로토콜 인캡슐레이션의 타입을 설명한다.
action_type 필드 (7비트)는, Tap() 필드에 의해 참조되는 데이터의 본성을 지시한다.
resource_location 필드 (1비트)는, 다음 Tap 구조 내 리스트 된 association_tag 값과 매칭되는 association_tag 필드의 위치를 설명한다. 해당 필드가 ‘0’으로 설정되면 매칭되는 association_tag는 현재 MPEG-2 프로그램의 PMT 내 존재한다. 이와 달리, ‘1’로 설정되면 매칭되는 association_tag는 해당 데이터 서비스의 Network Resources Table 내 DSM-CC Resource Descriptor에 존재한다.
Tap() 필드는,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은 필드들을 포함한 특정 구조로 정의된다. tap_id 필드 (16비트)는 데이터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기 위해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사용된다. tap_id의 값은 DST 내 Tap()와 관련된 app_id_byte 필드들의 값에 의해 범위가 정해진다. tap_id 값은 데이터 서비스 프로바이더에 의해 선택된다. 또한, 그것은 데이터 엘리먼트를 다루기 위한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된다.
Use 필드 (16비트)는, association_tag에 의해 참조되는 통신 채널을 특정하기 위해 사용된다.
association_tag 필드 (16비트)는, Network Resource Table 내 리스트 된 DSM-CC 리소스 디스크립터나 또는 PMT 내에 리스트 된 데이터 엘리먼트리 스트림 중 어느 하나를 유일하게 식별한다. 해당 필드의 값은 데이터 서비스의 PMT 내 association_tag_descriptor의 association_tag 값과 일치할 것이다.
Selector() 필드는, association_tag 필드에 의해 참조되는 통신 채널 또는 데이터 엘리먼트리 스트림 내에 이용 가능한 특정 데이터 엘리먼트를 설명한다. 게다가, 상기 selector 구조는 해당 데이터 엘리먼트를 위해 요구되는 프로토콜을 지시할 수 있다.
tap_info_length 필드 (16비트)는, 해당 필드 다음 필드의 디스크립터들의 바이트의 수를 설명한다.
descriptor() 필드는, 디스크립터 포맷을 따른다.
app_info_length 필드 (8비트)는, 해당 필드 다음의 디스크립터들의 바이트 수를 설명한다.
descriptor() 필드는, 디스크립터 포맷을 따른다.
app_data_length 필드 (16비트)는, app_data_byte 필드들의 바이트 단위의 길이를 설명한다.
app_data_byte (8비트)는,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입력 파라미터들과 다른 프라이빗 데이터 필드들을 1바이트로 표현한다.
service_info_length 필드 (8비트)는, 다음 디스크립터들의 바이트 단위의 수를 설명한다.
descriptor() 필드는, 디스크립터 포맷을 따른다.
service_private_data_length 필드 (16비트)는, 프라이빗 필드들의 바이트 단위의 길이를 설명한다.
service_private_data_byte 필드 (8비트)는, 프라이빗 필드를 1바이트로 표현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수신 시스템에서, 데이터 방송 스트림을 전달하기 위한 ATSC A/90 규격과 IP 멀티캐스트 스트림(Multicast stream)을 전송하는 ATSC A/92 규격을 활용하여 NRT 서비스를 수신하여 서비스하는 방법을 설명하고 있다.
즉, 각 가상 채널을 구성하는 스트림의 정보는 VCT의 Service location descriptor나 PMT의 ES_loop에 시그널링 된다. 예를 들어, 도 6이나 도 7에서와 같이 VCT의 서비스 타입(service type)이 0x02(즉, 디지털 A/V/Data)이거나 0x04(즉, Data only)인 경우, 또는 0x08(즉, NRT Only service)인 경우, 상기 가상 채널로 NRT 서비스 스트림이 전송될 수 있다. 이때 VCT의 service location descriptor(또는 PMT의 ES loop)에 포함된 stream_type 필드 값에 0x95(즉, DST 전송)가 할당되어 있으면 데이터 방송이 전송됨을 의미한다. 만일 stream_type 필드 값이 없거나, 0x95가 아니면 일반 A/V만 전송된다. 즉, 상기 service location desciptor에 포함된 stream_type 필드 값이 0x95를 나타내면, 이때의 Elementary_PID 필드 값은 DST(Data Service Table)의 PID 값이 된다. 따라서 상기 Elementary_PID를 통해 DST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DST를 통해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의 종류 및 이 채널을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 방송 스트림의 상세 정보를 알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DST를 이용하여 NRT 어플리케이션(즉, NRT 서비스)를 식별하도록 한다.
즉, DST의 App_id_descrption 필드는 뒤이어 오는 application identification bytes의 포맷 및 해석을 규정한다. 본 발명은 NRT 어플리케이션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App_id_descrption 필드에 '0x0003'를 할당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만일, 상기 App_id_descrption 필드 값이 '0x0003'이면, 그 다음에 오는 Application_id_byte 값은 NRT 어플리케이션의 Service ID값이 된다. 상기 NRT 어플리케이션을 위한 서비스 아이디는 해당 서비스를 Gloablly unique하게 식별하는 URI 값을 가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 NRT 어플리케이션임을 식별한 이후에는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의 IP 데이터그램으로부터 분할된 MPEG-2 TS 패킷의 PID를 Tap 정보를 통해 찾는다. 그러면, 상기 tap 정보를 통해 찾은 PID를 갖는 MPEG-2 TS 패킷들로부터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을 전송하는IP 데이터그램을 획득할 수 있으며, 상기 획득된 IP 데이터그램으로부터 NRT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의 IP 접속 정보는 잘 알려진 IP 접속 정보 즉, well-known IP address와 well-known UDP port number가 사용될 수 있다.
즉, 상기 DST에서 Protocol_encapsulation 필드 값이 0x04이면 비동기 IP 스트림이 전송되고, Selector_type필드 값이 0x0102이면 selector_bytes를 통해 destination address를 가리키는 device_id 값이 전달된다. 상기 selector_bytes값을 정확히 해석하기 위해서 multiprotocol_encaplsulation_descriptor가 사용되며, device_id 값 중에서 유효(valid)한 바이트의 개수를 시그널링해준다. 결국 Tap 정보를 통하여 해당 PID로 전송되는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의 IP Multicast address (혹은 address range)를 알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IP Multicast address (혹은 address range)에 접속하여 IP 스트림 즉, IP 패킷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IP 패킷으로부터 NRT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를 추출한다.
상기 추출된 NRT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를 기초로, NRT 서비스 데이터 즉, NRT 콘텐트 아이템/파일들을 수신하여 저장 매체에 저장하거나,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이때 상기 NRT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를 전송하는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의 IP 데이터그램들은 동일한 well-known IP 어드레스와 well-known UDP 포트 번호를 갖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러므로, 상기 NRT 서비스 시그널링 정보에 포함된 NST와 NRT-IT의 구분은 테이블 식별자에 의해 이루어진다. 즉, 상기 테이블 식별자는 해당 테이블 또는 해당 테이블 섹션의 헤더에 존재하는 table_id가 될 수 있으며, 필요한 경우 table_id_extension을 더 참조하여 구분할 수 있다.
  
NRT 서비스 맵 테이블( NST )
상기 NST는 NRT 서비스의 접속(access)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NST는 MPEG-2 Private section 형태와 유사한 테이블 형태를 가지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NST는 하나의 가상 채널에 포함되는 IP 기반의 NRT 서비스들의 접속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NST는 하나의 NRT 서비스를 구성하는 각 FLUTE 세션들의 접속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하나의 NST가 하나의 섹션으로 구성되는지 복수개의 섹션으로 구성되는지는 NST 섹션 내 table_id 필드, section_number 필드, last_section_number 필드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의 IP 데이터그램들의 IP 헤더와 UDP 헤더를 제거한 후 동일한 테이블 식별자를 갖는 섹션들을 모으면 해당하는 테이블을 완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ST에 할당된 테이블 식별자를 갖는 섹션들을 모으면 NST를 완성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NST섹션에 대한 비트 스트림 신택스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상기 NST 섹션의 각 필드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여기서, 해당 신택스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MPEG-2 프라이빗 섹션(Private section) 형태로 작성되었으나, 해당 데이터의 포맷은 어떠한 형태가 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의 형태로 표현하여 SAP(Session Announcement Protocol)을 통하여 시그널링하는 등의 다른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도 10과 도 11에서 table_id 필드(8비트)는 해당 테이블 섹션의 타입 식별을 위한 필드로서, 본 필드를 통해 해당 테이블 섹션이 NST를 구성하는 테이블 섹션임을 알 수 있다.
section_syntax_indicator 필드(1비트)는 NST의 섹션 형식을 정의하는 지시자로서, 섹션 형식은 예를 들어, MPEG의 short-form 신택스('0') 등이 될 수 있다.
private_indicator 필드(1비트)는 해당 섹션의 형태가 프라이빗 섹션 형태를 따르는지 여부를 나타낸다.
section_length 필드(12비트)는 해당 필드 이후의 나머지 테이블 섹션 길이를 나타낸다.
table_id_extension 필드(16비트)는 테이블에 종속적이고, 남은 필드들의 범위를 제공하는 table_id 필드의 논리적인 부분이 된다. 여기서, 상기 table_id_extension 필드는 NST_protocol_version 필드를 포함한다.
상기 NST_protocol_version 필드(8비트)는 현재 프로토콜 내에서 정의된 것들과 다른 구조를 가지는 파라미터들이 전송하는 NST를 허락하기 위한 프로토콜 버전을 알려준다.
version_number 필드(5비트)는 NST의 버전 넘버를 나타낸다.
current_next_indicator 필드(1비트)는 전송된 NST 섹션이 현재 적용 가능한지 여부를 지시한다.
section_number 필드(8비트)는 현재 NST 섹션의 번호를 표시한다..
last_section_number 필드(8비트)는 NST 테이블을 구성하는 마지막 섹션 번호를 나타낸다.
num_NRT_services 필드(8비트)는 NST 섹션 내의 NRT 서비스의 수를 지시한다.
이후 상기 num_NRT_services필드 값에 해당하는 NRT 서비스 개수만큼‘for’ 루프(또는 NRT 서비스 루프라 함)가 수행되어 복수의 NRT 서비스에 대한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한다. 즉, 상기 NST 섹션에 포함되는 NRT 서비스별로 해당 NRT 서비스의 시그널링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각 NRT 서비스에 대해 다음과 같은 필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NRT_service_id 필드(16 비트)는 해당 NRT 서비스를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값을 표시한다. 하나의 서비스의 NRT_service_id 필드 값은 그 서비스가 유지되는 동안 변하지 않는다. 이때 혼란을 피하기 위해서, 만일 어떤 서비스가 종료되면 그 서비스의 NRT_service_id 필드 값은 일정 시간이 경과할 때까지 사용하지 않을 수 있다.
NRT_service_status 필드(2비트)는 해당 NRT 서비스의 상태를 식별한다. 여기서, MSB는 해당 NRT 서비스가 액티브('1')인지 아니면 인액티브('0')인지 지시하고, LSB는 해당 NRT 서비스가 히든('1')인지 아닌지('0')를 지시한다..
SP_indicator 필드(1비트)는 해당 NRT 서비스의 서비스 보호(service protection) 여부를 나타낸다. 만일 SP_indicator 필드 값이 1이면, 서비스 보호가 해당 NRT 서비스의 의미 있는 프리젠테이션을 제공하기 위해 요구되는 콤포넌트들 중 적어도 하나에 적용된다.
Short_NRT_service_name_length 필드(3비트)는 Short_NRT_service_name 필드 내 바이트 쌍들의 번호를 지시한다.
Short_NRT_service_name 필드(16*m비트)는 상기 NRT 서비스의 short name 을 표시한다. 상기 NRT 서비스의 short name이 없으면, 상기 필드는 널 값(예, 0x00)으로 채워질 수 있다.
NRT_service_category 필드(6비트)는 해당 NRT 서비스 내에 전송되는 서비스의 타입을 식별한다.
num_components 필드(5비트)는 상기 NRT서비스에 포함되는 IP 스트림 콤포넌트들의 개수를 표시한다.
IP_version_flag 필드(1비트)는 '0'로 설정된 경우에는 source_IP_address 필드, NRT_service_destination_IP_address 필드 및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 필드가 IPv4 어드레스임을 지시하고, '1'로 설정된 경우에는 source_IP_address 필드, NRT_service_destination_IP_address 필드,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 필드가 IPv6 어드레스임을 지시한다.
source_IP_address_flag 필드(1비트)는 플래그가 설정되면, 해당 NRT 서비스를 위한 소스 IP 어드레스 값이 소스 특정 멀티캐스트를 지시하기 위해 존재함을 지시한다.
NRT_service_destination_IP_address_flag 필드(1비트)는 플래그가 ‘1’로 설정되면, 해당 NRT 서비스의 콤포넌트들을 위한 디폴트 IP 어드레스를 제공하기 위해 NRT_service_destination_IP_address 필드가 존재한다.
source_IP_address 필드(32 or 128비트)는 source_IP_address_flag가 '1'로 설정되면 해당 필드는 존재하지만, source_IP_address_flag가 '0'으로 설정되면 해당 필드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만약 해당 필드가 존재한다면, 해당 필드는 해당 NRT 서비스의 콤포넌트들을 전송하는 모든 IP 데이터그램들의 소스 IP 어드레스를 포함할 것이다. 해당 필드의 128 비트의 롱 어드레스의 제한적인 사용은 비록 현재 IPv6의 사용이 정의되지 않았지만 향후 IPv6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Source_IP_address는 FLUTE 세션의 모든 채널을 전송하는 동일한 서버의 소스 IP 어드레스(source IP address)가 된다.
NRT_service_destination_IP_address 필드(32 or 128비트)의 경우, NRT_service_destination_IP_address_flag필드가 '1'로 설정되면 해당 필드는 존재하지만, NRT_service_destination_IP_address_flag필드가 '0'으로 설정되면 해당 필드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만약 해당 NRT_service_destination_IP_address 필드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 필드가 num_components 루프 내에 각 콤포넌트를 위해 존재할 것이다. 해당 NRT_service_destination_IP_address 필드의 128비트의 롱 어드레스의 제한적인 사용은 비록 현재 IPv6의 사용이 정의되지 않았지만 향후 IPv6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NRT_service_destination_IP_Address는 이 FLUTE 세션의 세션 레벨의 데스트네이션 IP 어드레스(destination IP address)가 있으면 시그널링 된다.
이후 상기 num_components 필드 값에 해당하는 콤포넌트 개수만큼‘for’ 루프(또는 콤포넌트 루프라 함)가 수행되어 복수의 콤포넌트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제공한다. 즉, 상기 NRT 서비스에 포함되는 각 콤포넌트의 접속 정보를 제공한다. 이때 각 콤포넌트에 대해 다음과 같은 필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하나의 콤포넌트는 하나의 FLUTE 세션에 대응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essential_component_indicator 필드(1비트)는, 해당 필드의 값이 ‘1’로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콤포넌트는 NRT 서비스를 위한 필수 콤포넌트 임을 지시한다. 그렇지 않으면, 해당 콤포넌트는 선택적인 콤포넌트임을 지시한다.
port_num_count 필드(6비트)는 해당 UDP/IP 스트림 콤포넌트와 관련된 UDP 포트들의 넘버를 지시한다. 데스티네이션 UDP 포트 넘버들의 값은 component_destination_UDP_port_num 필드 값으로부터 시작해서 1씩 증가한다.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_flag 필드(1비트)는 ‘1’로 설정되어 있으면 해당 콤포넌트를 위해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 필드가 존재함을 지시하는 플래그이다.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 필드(32 or 128비트)는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_flag가 '1'로 설정되면 해당 필드는 존재하지만, component_destination_IP_address_flag가 '0'으로 설정되면 해당 필드는 존재하지 않을 것이다. 만약 해당 필드가 존재한다면, 해당 필드는 해당 NRT 서비스의 콤포넌트들을 전송하는 모든 IP 데이터그램들의 소스 IP 어드레스를 포함할 것이다. 해당 필드의 128비트의 롱 어드레스의 제한적인 사용은 비록 현재 IPv6의 사용이 정의되지 않았지만 향후 IPv6의 사용을 가능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component_destination_UDP_port_num 필드(16비트)는 해당 UDP/IP 스트림 콤포넌트를 위한 데스트네이션 UDP 포트 넘버를 나타낸다.
num_component_level_descriptors 필드(4비트)는 콤포넌트 레벨의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크립터의 개수를 표시한다.
상기 num_component_level_descriptors 필드 값에 해당하는 개수만큼 상기 콤포넌트 루프에 component_level_descriptor()들이 포함되어, 상기 콤포넌트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num_NRT_service_level_descriptors 필드(4비트)는 NRT 서비스 레벨의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크립터의 개수를 표시한다.
상기 num_NRT_service_level_descriptors 필드 값에 해당하는 개수만큼 상기 NRT서비스 루프에 NRT_service_level_descriptor()들이 포함되어, 상기 NRT 서비스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num_virtual_channel_level_descriptors 필드(4비트)는 가상 채널 레벨의 추가 정보를 제공하는 디스크립터의 개수이다.
상기 num_virtual_channel_level_descriptors 필드 값에 해당하는 개수만큼 상기 가상 채널 루프에 virtual_channel_level_descriptor()들이 포함되어, 상기 가상 채널에 대한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도 12는 component_level_descriptors()로서 제공되는 component_descriptor()의 비트 스트림 신택스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즉, component_descriptor()는 NST의 콤포넌트 레벨 디스크립터component_level_descriptors()의 하나로서 사용되며, 해당 콤포넌트의 부가적인 시그널링 정보를 서술한다.
상기 component_descriptor()의 각 필드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12에서, descriptor_tag 필드(8비트)는 디스크립터 식별자로서, component_descriptor()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or_length 필드(8비트)는 상기 descriptor_length 필드 이후부터 이 descriptor의 끝까지, 디스크립터의 나머지 길이를 byte 단위로 나타낸다.
component_type 필드(7비트)는 콤포넌트의 인코딩 포맷을 식별하는 값을 표시한다. 상기 식별 값은 RTP/AVP 스트림의 payload_type을 위해 할당된 값들 중의 하나일 수 있다. 또는 송/수신측의 약속에 의해 미리 정해진 값들 중 하나일 수도 있고, 또는 96-127 사이의 다이나믹 값일 수도 있다. RTP를 거쳐 전송되는 미디어를 구성하는 콤포넌트들을 위해 component_type 필드의 값은 해당 콤포넌트를 전송하는 IP 스트림의 RTP 헤더 내 payload_type 내 값과 일치해야 한다.
component_encryption_flag 필드(1비트)는 해당 콤포넌트의 암호화 유무를 지시한다.
Num_STKM_streams 필드(8비트)는 상기 component_encryption_flag 필드가 암호화를 지시하면, 해당 콤포넌트와 관련된 STKM 스트림들의 개수를 나타낸다.
STKM_stream_id 필드(8비트)는 상기 Num_STKM_streams 필드 값만큼 반복되어 디크립션에 필요한 키를 얻을 수 있는 SKTM 스트림을 식별하는 값을 표시한다.
NRT_component_data(component_type) 필드는, 해당 콤포넌트를 렌더링하기 위해 필요한 인코딩 파라미터들 및/또는 다른 파라미터들을 제공한다. 여기서, component_data 엘리먼트의 구조는 component_type 필드의 값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상기 component_type 필드 값이 35이면 component_data(component_type) 필드는 H.264/AVC 비디오 스트림을 위한 콤포넌트 데이터를 제공한다.
다른 예로, 상기 component_type 필드 값이 38이면 component_data(component_type) 필드는 도 13과 같은 FLUTE 파일 딜리버리를 위한 데이터를 제공한다.
하나의 NRT 서비스는 멀티플 FLUTE 세션들에 포함될 수 있다. 즉, 하나의 NRT 서비스는 복수개의 FLUTE 세션으로 구성될 수 있다. 각 FLUTE 세션은 도 13의 NRT_component_data()를 이용하여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FLUTE 파일 딜리버리를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NRT_component_data()의 비트 스트림 신택스 구조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NRT_component_data()의 각 필드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TSI 필드(16비트)는 FLUTE 세션의 TSI를 표시한다. 즉, 상기 TSI는 FLUTE 세션을 유일하게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이다.
session_start_time 필드(16비트)는 FLUTE 세션이 시작하는 시각을 지시한다. 만약 해당 필드의 값이 모두 '0'이면, 상기 FLUTE 세션은 이미 시작된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session_end_time 필드(16비트)는 FLUTE 세션이 종료되는 시각을 지시한다. 만약 해당 필드의 값이 모두 '0'이면, 상기 FLUTE 세션은 무한정 계속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tias_bandwidth_indicator 필드(1비트)는 TIAS(Transport Independent Application Specific) 대역폭 정보의 포함 여부를 지시한다. 만약 TIAS 대역폭 필드가 존재하는 것으로 지시하려면 해당 비트는 '1'로 설정되고, TIAS 대역폭 필드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지시하려면 해당 비트는 '0'으로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as_bandwidth_indicator 필드(1비트)는 AS(Application Specific) 대역폭 정보의 포함 여부를 지시한다. 만약 AS 대역폭 필드가 존재하는 것으로 지시하려면 해당 비트는 '1'로 설정되어야 하고, AS 대역폭 필드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지시하려면 해당 비트는 '0'으로 설정되어야 할 것이다.
FEC_OTI_indicator 필드(1비트)는 FEC 오브젝트 트랜스미션 정보(OTI)가 제공되는지 여부를 지시한다.
tias_bandwidth 필드(16비트)는 상기 as_bandwidth_indicator 필드가 ‘1’로 설정되었을 때 존재하며, TIAS 최대 대역폭을 표시한다.
as_bandwidth 필드(16비트)는 상기 as_bandwidth_indicator 필드가 ‘1’로 설정되었을 때 존재하며, AS 최대 대역폭을 표시한다.
FEC_encoding_id 필드는 상기 FEC_OTI_indicator 필드가 ‘1’로 설정되었을 때 존재하며, 해당 FLUTE 세션 내에서 사용된 FEC 인코딩 ID를 표시한다.
FEC_instance_id 필드는 상기 FEC_OTI_indicator 필드가 ‘1’로 설정되었을 때 존재하며, 해당 FLUTE 세션 내에서 사용된 FEC 인스턴스 ID를 표시한다.
상기와 같은 파라미터들을 콤포넌트 루프 내 component_descriptor()의 NRT_component_data()를 통해 시그널링함으로써, 상기 FULTE 세션을 수신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들은 모두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session_start_time 필드와 session_end_time 필드에 의해 설정된 시간 정보에 따라 해당 FLUTE 세션을 오픈하여 NRT 서비스를 구성하는 파일들, 및 상기 파일들의 시그널링 정보를 서술하는 FDT(File Description Table)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FDT는 모든 콘텐트 아이템들의 리스트들을 전달하는데 사용되고, 또한 콘텐트 아이템 및 콘텐트 아이템에 포함된 파일들을 획득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제공한다.
  
NRT 정보 테이블( NRT - IT )
도 14와 도 15은 본 발명에 따른 NRT-IT 섹션에 대한 비트 스트림 신택스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NRT-IT 섹션의 비트 스트림 신택스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MPEG-2 프라이빗 섹션(Private section) 형태로 작성되었으나, 해당 데이터의 포맷은 어떠한 형태가 되어도 무방하다. 예를 들어, SDP(Session Description Protocol)의 형태로 표현하여 SAP(Session Announcement Protocol)을 통하여 시그널링하는 등의 다른 방법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NRT 서비스 시그널링 데이터 중 NRT-IT는 콘텐트 아이템을 방송 수신기에 저장하기 위해, 다운로드 가능한 콘텐트 아이템을 기술하는 정보를 포함한다.
이때, 하나의 NRT-IT 가 하나의 섹션으로 구성되는지 복수개의 섹션으로 구성되는지는 NRT-IT 섹션 내 table_id 필드, section_number 필드, last_section_number 필드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의 IP 데이터그램들의 IP 헤더와 UDP 헤더를 제거한 후 동일한 테이블 식별자를 갖는 섹션들을 모으면 해당하는 테이블을 완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RT-IT 에 할당된 테이블 식별자를 갖는 섹션들을 모으면 NRT-IT 를 완성할 수 있다.
도 14와 도 15에 도시된 NRT-IT 섹션의 각 필드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table_id 필드 (8 비트)는 0xTBD로 설정되며, 이 테이블 섹션이 NRT-IT에 속하는지를 식별한다.
service_id 필드 (16 비트)는 이 섹션에서 설명되는 콘텐트 아이템들을 제공하는 상기 NRT 서비스와 관련된 service_id 필드를 명시한다.
NRT_IT_version_number 필드 (5 비트)는 상기 NRT-IT 인스턴스의 버전 넘버를 지시한다. 여기서 NRT-IT 인스턴스는 service_id 필드, current_next_indicator 필드, protocol_version 필드, 그리고 time_span_start 필드에 대한 공통 값(common values)를 갖는 하나 이상의 NRT_information_table_section()의 셋트로서 정의된다. 상기 버전 넘버는 상기 NRT-IT 인스턴스 내 어느 필드가 변경되면 1씩 증가하는 모듈로 32의 값이다.
current_next_indicator 필드 (1 비트)는 NRT-IT 섹션들에 대해 항상 '1'로 설정된다. 상기 NRT-IT 센트(sent)는 항상 현재 적용 가능하다.
protocol_version 필드 (8 비트)는 '0'으로 설정된다. 상기 protocol_version 필드의 기능은 미래에 현재 프로토콜에서 정의된 것과 다른 구조를 가지는 파라미터들을 전송하기 위하여 이 테이블 타입을 허용하는 것이다. 현재, protocol_version 필드를 위한 유일한 유효 값은 '0'이다. protocol_version 필드의 0이 아닌 값들은 구조적으로 다른 테이블들을 지시하기 위해 이 표준의 미래 버전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time_span_start 필드 (32 비트)는 이 NRT-IT 인스턴스에 의해 커버되며, 1980년 1월 6일, 00:00:00 UTC 이후부터 GPS 초(seconds)의 숫자(number)로서 표현되는 타임 스팬(time span)의 시작을 나타낸다. time_span_start 필드의 하루 시간은 그 시간의 00분에 맞춘다. time_span_start 필드의 '0' 값은 정해지지 않은 과거(indefinite past)에서 시작되는 그 자신의 NRT-IT 인스턴스에 의해 커버되는 타임 주기를 지시한다. time_span_start 필드의 값은 다수개로 섹션화된 NRT-IT 인스턴스의 각 섹션에서 동일하다. time_span_start 필드와 time_span_length 필드의 값은 지정된(specified) 타임 스팬이 이 IP 서브넷에서 다른 NRT-IT 인스턴스와 오버랩되지 않도록 설정된다.
time_span_length 필드 (11 비트)는 time_span_start 필드에 의해 지시되는 시간에서 시작하며 분(minutes)의 숫자를 지시하고, 이 NRT-IT 인스턴스에 의해 커버된다. 일단 설정되면, time_span_start 필드의 주어진 값을 위한 time_span_length 필드의 값은 변경되지 않는다. time_span_length 필드의 값이 '0'인 것은 이 NRT-IT 인스턴스가 time_span_start 필드에서 시작하는 모든 시간을 정해지지 않은 미래까지 커버함을 의미한다. 만일 time_span_start 필드의 값이 '0'이면 time_span_length 필드는 아무것도 의미하지 않는다. time_span_ length 필드의 값은 다수개로 섹션화된 NRT-IT 인스턴스의 각 섹션에서 동일하다. time_span_start 필드와 time_span_length 필드의 값은 지정된(specified) 타임 스팬이 이 IP 서브넷에서 다른 NRT-IT 인스턴스와 오버랩되지 않도록 설정된다.
num_items_in_section 필드 (8 비트)는 이 NRT-IT 섹션에서 설명되는 콘텐트 아이템들의 개수를 지시한다.
이후 상기 num_items_in_section 필드 값에 해당하는 콘텐트 아이템의 개수만큼 'for' 루프(또는 콘텐트 아이템 루프라 함)가 수행되어 복수의 콘텐트 아이템에 대한 시그널링 정보를 제공한다. 즉, 상기 service_id 필드 값에 대응하는 NRT 서비스에 포함되는 콘텐트 아이템별로 해당 콘텐트 아이템의 시그널링 정보를 표시한다. 이때 각 콘텐트 아이템에 대해 다음과 같은 필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content_linkage 필드 (32 비트)는 설명되는 콘텐트(또는 콘텐트 아이템)의 식별 번호(identification number)를 표시하며, 0x0001에서 0xFFFF까지의 값을 가진다. 0x0000는 사용되지 않는다. content_linkage 필드는 2가지 링키지(linkage) 기능들을 수행한다. 하나는 NRT-IT 내 메타 데이터와 이 NRT 서비스와 관련된 FLUTE FDT에 포함된 하나 이상의 파일을 링크한다. 다른 하나는 TF_id 필드 (텍스트 프래그먼트 테이블 내 텍스트 프래그먼트를 위한 식별자)를 형성한다. content_linkage 필드의 값은 적어도 FDT-Content-Linkage elements 중 하나의 값 또는 상기 콘텐트 아이템과 관련된 각 파일을 위한 FLUTE FDT 내 File-Content-Linkage elements 중 하나의 값에 해당한다. 우선 순위의 규칙은 각 content_linkage 필드 값을 FLUTE FDT 내 해당 콘텐트 링키지 엘레먼트에 매칭할 때 적용될 수 있다.
updates_available 필드 (1비트)는 해당 콘텐트 아이템이 업데이트되는 콘텐트 아이템인지를 지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콘텐트 아이템이 한번 서비스되고 종료되는 NRT 서비스에 포함된 콘텐트 아이템이라면, updates_available field 값은 '0'으로 설정된다. 만일 상기 콘텐트 아이템이 한번 이상 업데이트되는 콘텐트 아이템이라면, 상기 updates_available field 값은 '1'로 설정된다.
TF_available 필드는 연산자 플래그(Boolean flag)이다. 이 필드가 '1'로 설정되면, 이 필드는 텍스트 프래그먼트가 상기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 내 텍스트 프래그먼트 테이블에 존재한다는 것을 지정한다. 만일 이 필드가 '0'으로 설정되면, 이 콘텐트 아이템을 위한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에 포함된 텍스트 프래그먼트는 없다.
low_latency 필드는 연산자 플래그이다. 이 필드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면, 이 콘텐트는 그것의 복구(retrieval)가 유저가 기다리는 동안 시도되어야 하는 로우 이너프 레이턴시와 함께 현재 디지털 전송 내에서 유효하다는 것을 지정한다. 만일 이 필드가 '0'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복구 레이턴시는 더 길어지며, 유저 인터페이스는 시청을 위해 나중에 돌아오도록 유저에게 제안해야 한다.
playback_length_in_seconds 필드 (20 비트)는 상기 콘텐트의 재생 기간(playback duration)을 초 단위로 지정한다. 텍스트 및/또는 정지 영상으로만 구성되는 콘텐트에 대해, 제로 값이 사용된다. 오디오 또는 오디오/비디오 콘텐트를 포함하는 콘텐트에 대해, playback_length_in_seconds 필드는 오디오 또는 오디오/비디오 콘텐트의 재생 길이를 지시한다.
content_length_included 필드는 연산자 플래그이다. 이 필드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면, 이 필드는 content_length 필드가 'for' 루프의 반복에 존재한다는 것을 지정한다. 만일 이 필드가 '0'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이 필드는 content_length 필드가 'for' 루프의 반복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정한다.
playback_delay_included 필드는 연산자 플래그이다. 이 필드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면, 이 필드는 playback_delay 필드가 'for' 루프의 반복에 존재한다는 것을 지정한다. 만일 이 필드가 '0'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이 필드는 playback_delay 필드가 'for' 루프의 반복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정한다.
expiration_included 필드는 연산자 플래그이다. 이 필드가 '1'로 설정되어 있으면 이 필드는 expiration 필드가 'for' 루프의 반복에 존재한다는 것을 지정한다. 만일 이 필드가 '0'으로 설정되어 있으면, 이 필드는 expiration 필드가 'for'루프의 반복에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지정한다
duration 필드 (12 비트)는 1에서 2880 사이의 값을 가지며, 참조되는 콘텐트 아이템을 포함하는 캐로셀(carousel)의 예상 사이클 시간(expected cycle time)을 분 단위로 표시한다. 방송 수신기는 참조되는 콘텐트를 캡쳐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시간의 양을 결정하기 위하여 듀레이션 파라미터(duration parameter)을 사용할 예정이다.
content_length 필드 (40 비트)는, 이 필드가 존재하면, 콘텐트 아이템 또는 콘텐트의 전체 사이즈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한다. 이 아이템은 다운로드가 시도되기 전에 그것을 저장할 충분한 메모리가 유효한지를 결정하기 위하여 방송 수신기에 의해 사용된다.
playback_delay 필드 (20 비트)는 관련된 콘텐트의 첫번째 바이트의 다음 수신을 초의 개수로 카운트하며, 방송 수신기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버퍼링하는 동안, 재생을 시작하기 전 기다린다. 제로 값은 재생이 즉시 시작될 수 있음을 지시한다. playback_delay 필드가 제공되지 않으면, 방송 수신기는 재생 전에 완전한 파일 또는 파일 셋트를 복구할 예정이다.
expiration 필드 (32 비트)는 콘텐트의 만료(expiration) 시간을 표시한다. 이 필드는 1980년 1월 6일, 00:00:00 UTC 이후부터 GPS 초(seconds)의 숫자(number)로서 표현된다. 만료 다음에 이 콘텐트는 메모리로부터 삭제된다. 만일 만료 시간이 지정되지 않으면, 방송 수신기들은 메모리 리소스들을 관리하기 위하여 그들 자신이 선택하는 방법을 사용할 예정이다.
content_name_length 필드 (8 비트)는 content_name_text()의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한다.
content_name_text() 필드는 멀티 스트링 구조의 포맷으로 콘텐트 아이템 타이틀을 표시한다.
content_descriptors_length 필드 (12 비트)는 content_descriptor ()의 전체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한다.
content_descriptor()는 각 콘텐트 아이템에 개별적으로 적용된다.
descriptors_length 필드 (10 비트)는 descriptor ()의 전체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표시한다.
descriptor()는 현재 NRT-IT 섹션에서 설명되는 모든 콘텐트 아이템들에 공통으로 적용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NRT 서비스의 시그널링 정보는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에 시그널링되고, RT 서비스의 시그널링 정보는 PSI/PSIP 테이블에 시그널링된다. 이때 상기 NRT 서비스는 NRT-IT에 시그널링된 스케쥴 정보에 따라 해당 시간에 다운로드되고, 상기 RT 서비스는 EIT에 시그널링된 스케쥴 정보에 따라 즉시 수신될 수도 있고, 미래의 해당 시간에 수신될 수도 있다.
상기 PSIP테이블은 전술한 바와 같이 VCT(Virtual Channel Table), STT(System Time Table), RRT(Rating Region Table), ETT(Extended Text Table), DCCT(Direct Channel Change Table), DCCSCT(Direct Channel Change Selection Code Table), EIT(Event Information Table), 및 MGT(Master Guide Tabl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6은 PSIP에 포함되는 테이블들의 계층적 관계를 보여준다.
즉, 방송 수신기가 다중화된 전송 스트림을 수신하여 올바르게 해석하려면 Base_PID(0x1FFB)를 갖는 패킷들을 찾아 모아야 한다. 여기서, Base_PID에 해당하는 패킷들에는 STT, RRT, DCCT, DCCSCT, MGT, VCT가 있으며, 각 테이블(Table)에 대한 Table_id는 ATSC에서 미리 정의하고 있다.
먼저, MGT는 다른 테이블 예를 들어, EIT와 ETT의 PID와 버전 번호등을 정의하고 있다. 상기 ETT는 채널과 프로그램에 대한 상세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EIT는 VCT내의 가상 채널을 통해 방영될 모든 프로그램에 대한 이벤트 정보를 제공한다. 즉, EIT는 해당 이벤트의 타이틀, 시작 시간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한 개의 EIT는 3시간 분량의 이벤트 정보를 담을 수 있으며, 따라서 어떤 가상 채널에 대한 이벤트 정보는 여러 개의 EIT를 이용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이벤트는 프로그램 단위를 의미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드라마1과 뉴스1이 존재하는 경우, 드라마1과 뉴스 1은 각각 이벤트가 된다.
EIT는 EIT-0부터 EIT-127까지 번호를 연속적으로 가지게 되며, 각 EIT-x는 중첩되지 않도록 연결된 3시간 분량의 이벤트에 대한 타이틀, 시작 시간 등을 포함한다.
또한, ETT는 상기 각 이벤트에 대한 상세 정보가 기록된 event ETT와 상기 각 가상 채널에 대한 상세 정보가 기록된 channel ETT가 있다.
상기 event ETT는 상기 각 EIT와 서로 매핑(mapping)된다. 즉, 상기 EIT-0에 속한 이벤트들에 관한 상세 정보는 ETT-0에, 상기 EIT-1에 속한 이벤트들에 대한 상세 정보는 ETT-1에, 상기 EIT-127의 이벤트들에 관한 상세 정보는 ETT-127에 기록된다.
상기 channel ETT는 하나의 RF 채널(Radio Frequency Channel) 또는 피지컬 채널(Physical Channel)에 포함되는 n개의 가상채널에 대하여, 보다 확장된 의미의 채널 정보가 필요할 때 정의되는 테이블이다.
이때, 상기 VCT에 정의된 n개의 가상채널들은 각각의 채널 소스(source)를 구분하기 위해 소스 식별자(source_id)를 사용한다. 즉, 하나의 피지컬 채널에 n개의 가상채널이 있다면, 상기 각 가상채널은 각각 source_id를 가진다. 이때, 상기 각 source_id는 서로 다른(unique) 값을 가져야 한다.
또한, 상기 각 가상채널에 channel ETT 정보가 있는지 여부는 VCT에 정의된 ETM_location에 의해서 정해진다. 이는 상기 event ETT와 동일하다.
상술한 channel 및 event ETT는 하나의 섹션으로 구성되고, 상기 각 섹션은 하나의 대상이 되는 상기 이벤트나 가상 채널을 표시하는 ETM_id와 그에 관한 상세 텍스트 정보(extended_text_message; ETM)를 포함하고 있다. 이때, 상기 ETM_id는 event ETT 섹션인 경우에는 해당 이벤트의 event_id를, channel ETT 섹션인 경우에는 해당 채널 소스의 source_id를 포함한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EIT 섹션에 대한 비트 스트림 신택스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17에 도시된 EIT 섹션의 각 필드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table_id 필드(8 비트)는 테이블의 고유 식별자로서, 이 섹션이 속해있는 테이블이 EIT라는 것을 알려주는 값을 나타낸다.
section_syntax_indicator 필드(1 비트)는 EIT의 섹션 형식을 정의하는 지시자이다.
private_indicator 필드(1 비트)는 해당 EIT가 private section을 따르는지 여부를 나타내낸다.
section_length 필드(12 비트)는 해당 EIT 섹션 길이를 나타낸다.
source_id 필드(16 비트)는 해당 EIT 섹션 내에 기술된 이벤트들을 전송하는 가상 채널의 소스 식별자를 표시한다. 일 예로, EIT-x(x=0,1,…,127)는 table_id 필드값과 source_id 필드 값의 조합으로 구분할 수 있다.
version_number 필드(5 비트)는 EIT의 버전 번호를 나타낸다.
current_next_indicator 필드(1 비트)는 해당 EIT 섹션이 포함하는 정보가 현재 적용 가능한 정보인지, 미래 적용 가능한 정보인지를 나타낸다.
section_number 필드(8 비트)는 현재 EIT 섹션의 섹션 번호를 나타낸다.
last_section_number 필드(8 비트)는 EIT의 마지막 섹션 번호를 나타낸다.
protocol_version 필드(8 비트)는 현재 프로토콜 내에서 정의된 것들과 다른 구조를 가지는 파라미터들을 전송하는 EIT를 허용하기 위한 프로토콜 버전을 알려준다.
num_events_in_section 필드(8 비트)는 해당 EIT 세션에서 서술되는 이벤트의 개수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num_events_in_section 필드 값에 해당하는 이벤트의 개수만큼‘for’ 루프(또는 이벤트 루프라 함)가 수행되어 각 이벤트에 대한 스케쥴 정보, 타이틀 정보 등을 제공한다. 이때 각 이벤트에 대해 다음과 같은 필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event_id 필드(14 비트)는 해당 이벤트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를 표시한다.
stsrt_time 필드(32 비트)는 해당 이벤트의 시작 시간을 표시한다.
ETM_location 필드(2 비트)는 해당 이벤트에 대한 상세 정보가 기록된 ETT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표시한다. 즉, ETM의 존재와 위치를 나타낸다.
length_in_seconds 필드(20 비트)는 해당 이벤트의 지속 시간을 초 단위로 나타낸다.
title_length 필드(8 비트)는 다음에 오는 title_text()의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낸다. 0 이면 해당 이벤트에 타이틀이 없음을 의미한다.
title_text()는 다중 문자열 구조의 이벤트 제목(event title)을 나타낸다.
descriptors_length 필드(12 비트)는 다음에 오는 이벤트 디스크립터(descriptor)의 전체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낸다.
descriptor()는 이벤트 단위로 해당 이벤트의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CRC_32 필드(32 비트)는 오류 정정용 32 비트 CRC 값을 표시한다.
한편, 방송 수신기에서는 상기 EIT, ETT와 같은 PSIP 테이블을 이용하여 EPG(Electronic Program Guide)와 같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한다. 상기 EPG 서비스는 EIT와 ETT에 포함된 각 채널의 시간대별 프로그램 정보와 그의 시작 시간 등을 토대로 구성이 된다. 즉, 상기 EPG 서비스는 각 채널별로 프로그램 및 요약이 포함된 프로그램 일정표를 표시한다.
그리고 실제 방송 시스템에서 하나의 방송 프로그램은 과거 혹은 미래의 방송 프로그램과 밀접한 연계를 가질 수 있으며, 방송 이외에 다른 매체에도 해당 방송 프로그램과 연계가 있을 개연성이 있다. 특히 방송 프로그램이 시리즈물인 경우, 사용자는 이전 방송 프로그램이나 이후 방송 프로그램을 예약하거나 시청하기 원할 수 있다. 또한 NRT 서비스를 이용할 경우, 시청 예약을 통한 push VOD로 이전 방송분을 녹화하여 시청이 가능하며,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Internet 망을 이용한다면, VOD 서비스도 이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 상호간의 연계성을 명시적으로 표시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방송 프로그램에 연계된 다른 서비스(예, NRT 서비스 또는 웹 서비스)를 명시적으로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서로 관련이 있는 복수개의 방송 프로그램들을 묶어 이벤트 그룹을 생성하고, 서로 관련이 있는 복수개의 이벤트 그룹을 묶어 수퍼 그룹을 생성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여기서 방송 프로그램은 EIT에 존재하는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NRT 서비스 또는 웹 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히어로즈 시즌 1, 히어로즈 시즌 2가 있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히어로즈 시즌 1은 에피소드 12로 구성되고, 히어로즈 시즌 2도 에피스도 12로 구성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이때 각 에피소드는 방송망을 통해 RT 서비스로 제공될 수도 있고, NRT 서비스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각 에피소드는 인터넷 망을 통해 웹 서비스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히어로즈 시즌 1의 에피소드 1~12를 묶어 하나의 제1 이벤트 그룹을 생성하고, 히어로즈 시즌 2의 에피소드 1~12를 묶어 제2 이벤트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이벤트 그룹과 제2 이벤트 그룹을 묶어 수퍼 그룹을 생성할 수 있다. 즉, ‘히어로즈’라는 수퍼 그룹은 두개의 이벤트 그룹 즉, 시즌 1과 시즌 2를 포함한다. 그리고 시즌 1에 해당하는 이벤트 그룹은 12개의 이벤트 즉, 에피소드1~12를 포함하고, 시즌 2에 해당하는 이벤트 그룹도 12개의 이벤트 즉, 에피소드 1~12를 포함한다.
다시 말해, 하나의 이벤트 그룹은 복수개의 방송 프로그램을 포함하고, 하나의 수퍼 그룹은 복수개의 이벤트 그룹을 포함한다.
그리고 이벤트 그룹에 관련된 정보를 이벤트 그룹 정보라 하고, 수퍼 그룹에 관련된 정보를 수퍼 그룹 정보라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벤트 그룹 정보와 수퍼 그룹 정보를 포함하여 그룹 정보라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하는데 있다. 일 예로, 상기 그룹 정보는 기존 테이블에 필드나 디스크립터를 추가하여 시그널링할 수도 있고, 새로운 테이블을 정의하여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하기 위하여 새로이 테이블을 정의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새로이 정의되는 테이블을 설명의 편의를 위해 이벤트 그룹 테이블(Event Group Table; EGT)이라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EGT를 이용하여 하나의 이벤트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할 수도 있고, 또는 하나의 수퍼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즉, 하나의 EGT를 이용하여 이벤트 그룹 정보와 수퍼 그룹 정보를 동시에 시그널링하지 않는다.
  
이벤트 그룹 테이블( EGT )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벤트 그룹 테이블(EGT) 섹션에 대한 비트 스트림 신택스 구조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EGT 섹션의 비트 스트림 신택스는 이해를 돕기 위하여 MPEG-2 프라이빗 섹션(Private section) 형태로 작성되었으나, 해당 데이터의 포맷은 어떠한 형태가 되어도 무방하다.
이때, 하나의 EGT가 하나의 섹션으로 구성되는지 복수개의 섹션으로 구성되는지는 EGT 섹션 내 table_id 필드, section_number 필드, last_section_number 필드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도 18에 도시된 EGT 섹션의 각 필드의 상세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table_id 필드(8비트)는 테이블의 고유 식별자로서, 이 섹션이 속해있는 테이블이 EGT라는 것을 알려주는 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EGT의 테이블 식별자는 미리 정해지며, 상기 EGT의 PID는 MGT에서 정의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MGT 내 테이블의 종류를 지시하는 table_type 필드 값에 해당 테이블이 EGT임을 지시하는 값을 할당한다.
도 19와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table_type 필드에 할당되는 값 및 그 값의 의미의 예를 보이고 있다.
도 19는 EGT를 하나의 테이블 타입으로 추가하는 예이고, 도 20은 EGT0~EGT255까지 256개의 EGT를 각각 테이블 타입으로 추가하는 예이다.
도 19의 경우, EGT로 전달되는 각각의 그룹 정보는 같은 테이블 타입(table type)을 가지며, 동일한 PID를 사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때 각 그룹은 해당 EGT 내 event_group_id로 구분이 가능해진다. 도 19에서는 EGT의 table_type 필드 값으로 0x0006를 할당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19는 table type을 하나만 할당하여 이후에 사용될 영역을 많이 남겨두며, 모두 같은 PID와 table type을 갖기 때문에, 사용할 수 있는 group의 개수에 제한이 없는 장점이 있다.
도 20의 경우에는 EGT로 전달되는 각각의 그룹 정보는 서로 다른 테이블 타입(table type)을 가지며, 서로 다른 PID를 사용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20에서는 EGT0~EGT255까지의 table_type 필드 값으로 0x1000~0x10FF를 할당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20은 EIT의 Event Group Descriptor를 통하여 수신할 EGT의 event_group_id를 읽을 필요없이 MGT에 서술된 EGT의 table type을 보고 그룹의 존재 여부 등을 미리 인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도 19와 도 20에서, 상기 table_type 필드에 할당되는 값 및 그 값의 의미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들이며, 상기 table_type 필드에 포함되는 테이블의 추가 및 삭제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section_syntax_indicator 필드(1비트)는 EGT의 섹션 형식을 정의하는 지시자이다.
private_indicator 필드(1비트)는 해당 EGT가 MPEG2 private section을 따르는지 여부를 나타내낸다.
section_length 필드(12비트)는 해당 EGT 의 섹션 길이를 나타낸다.
event_group_id 필드(16 비트)는 해당 이벤트 그룹을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 또는 해당 수퍼 그룹을 식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해당 EGT가 이벤트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한다면 상기 필드는 이벤트 그룹의 식별자를 표시하고, 해당 EGT가 수퍼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한다면 상기 필드는 수퍼 그룹의 식별자를 표시한다.
version_number 필드(5비트)는 EGT의 버전 번호를 나타낸다. 상기 필드는 해당 EGT 섹션의 내용이 갱신될 때마다 1씩 증가하는 모듈로 32의 값이다.
current_next_indicator 필드(1비트)는 해당 EGT 섹션이 포함하는 정보가 현재 적용 가능한 정보인지, 미래 적용 가능한 정보인지를 나타낸다.
section_number 필드(8비트)는 현재 EGT 섹션의 섹션 번호를 나타낸다.
last_section_number 필드(8비트)는 EGT의 마지막 섹션 번호를 나타낸다.
protocol_version 필드(8비트)는 현재 프로토콜 내에서 정의된 것들과 다른 구조를 가지는 파라미터들을 전송하는 EGT를 허용하기 위한 프로토콜 버전을 알려준다. 본 발명에서 protocol_version 필드 값은 항상 ‘0’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event_title_length 필드(8 비트)는 다음에 오는 event_title_text()의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낸다. 0 이면 해당 이벤트 그룹(또는 수퍼 그룹)에 타이틀이 없음을 의미한다.
event_title_text()는 다중 문자열 구조의 이벤트 그룹의 이름(event title) 또는 수퍼 그룹의 이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해당 EGT가 이벤트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한다면 상기 필드는 이벤트 그룹의 이름을 표시하고, 해당 EGT가 수퍼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한다면 상기 필드는 수퍼 그룹의 이름을 표시한다.
super_group 필드(1 비트)는 해당 EGT가 이벤트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하고 있는지, 수퍼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하고 있는지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super_group 필드 값이 ‘1’이면 해당 EGT는 수퍼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하고, ‘0’이면 이벤트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num_events_in_section 필드(8비트)는 해당 EGT 섹션에 포함되는 이벤트(즉, 방송 프로그램)의 개수 또는 이벤트 그룹의 개수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해당 EGT가 이벤트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한다면 상기 필드는 이벤트의 개수를 표시하고, 해당 EGT가 수퍼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한다면 상기 필드는 이벤트 그룹의 개수를 표시한다. 따라서 상기 num_events_in_section 필드를 이용하면 하나의 수퍼 그룹에 포함되는 이벤트 그룹의 개수 또는 하나의 이벤트 그룹에 포함되는 이벤트의 개수를 알 수 있다. 즉, 서로 관련이 있는 이벤트 그룹의 개수를 알 수도 있고, 서로 관련이 있는 이벤트의 개수를 알 수도 있다.
이후 상기 num_events_in_section 필드 값에 해당하는 이벤트(또는 이벤트 그룹)의 개수만큼‘for’ 루프(이하, 이벤트 루프라 함)가 수행되어 복수의 이벤트(또는 이벤트 그룹)에 대한 타이틀, 링크 정보 등을 제공한다. 이때 각 이벤트(또는 이벤트 그룹)에 대해 다음과 같은 필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title_length 필드(8 비트)는 다음에 오는 title_text()의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낸다. 0 이면 해당 이벤트(또는 이벤트 그룹)에 타이틀이 없음을 의미한다.
title_text()는 다중 문자열 구조의 이벤트(또는 이벤트 그룹)의 이름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해당 EGT가 이벤트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한다면 상기 필드는 해당 이벤트의 이름을 표시하고, 해당 EGT가 수퍼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한다면 상기 필드는 해당 이벤트 그룹의 이름을 표시한다.
num_links_in_event 필드(8 비트)는 해당 이벤트(또는 이벤트 그룹)에서 접속 가능한 링크의 개수를 표시한다. 이후 상기 num_links_in_section 필드 값에 해당하는 링크의 개수만큼‘for’ 루프(이하, 링크 루프라 함)가 수행되어 해당 이벤트(또는 이벤트 그룹)에 대한 링크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벤트(또는 이벤트 그룹)에는 임의의 개수만큼 링크가 존재할 수 있다. 만일 상기 이벤트(또는 이벤트 그룹)에 여러 개의 링크가 있는 경우에는 접근성이나 활용도에 맞추어 각 링크에 우선 순위를 부여한 후, 우선 순위에 따라 접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이벤트(또는 이벤트 그룹)는 방송망을 통해 RT 서비스로 제공될 수도 있고, NRT 서비스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인터넷 망을 통해 웹 서비스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이벤트(또는 이벤트 그룹)는 실제 방송 프로그램인 A/V 신호가 될 수도 있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부가정보인 예고편, 썸네일, 웹 문서등이 될 수도 있다. 이때 각 링크에 대해 다음과 같은 필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link_type 필드(8 비트)는 해당 링크의 타입을 표시한다. 즉, 해당 이벤트(또는 이벤트 그룹)의 종류를 표시한다.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link_type 필드 값에 따라 정의되는 의미들의 예를 보인 도면이다.
예를 들어, 상기 link_type 필드 값이 0x00이면, 해당 링크는 이벤트 그룹임을 의미한다. 이 경우는 해당 EGT가 수퍼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하고 있을 때의 링크 타입 중 하나이다.
상기 link_type 필드 값이 0x01이면, 해당 링크는 HTML 포털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벤트(또는 이벤트 그룹)의 홈페이지, 게시판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link_type 필드 값이 0x02이면, 해당 링크는 썸네일임을 의미한다.
상기 link_type 필드 값이 0x03이면, 해당 링크는 예고편(preview)임을 의미한다.
상기 link_type 필드 값이 0x04이면, 해당 링크는 실제 방송 프로그램(일반 A/V 신호)임을 의미한다.
도 21에서, link_type 필드에 할당되는 값 및 그 값의 의미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들이며, 상기 link_type 필드에 포함되는 정보들의 추가 및 삭제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link_media 필드(8 비트)는 상기 link_type 필드 값에 해당하는 링크의 타입이 어떠한 경로로 접근이 가능한지를 표시한다.
link_length 필드(8비트)는 다음에 오는 link_byte 필드의 길이를 표시한다. 이는 각 매체별로 접근하기 위한 링크의 id가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link_byte 필드(가변)는 해당 링크의 식별자(id)를 표시한다.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link_media 필드 값의 정의 및 link_media 필드 값에 따른 link_byte 필드 값의 예를 보인 테이블이다.
도 22에서 link_media 필드 값이 0x04이면 해당 EGT가 수퍼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하고 있음을 지시한다. 이 경우 이벤트 루프에는 num_events_in_section 필드 값에 해당하는 이벤트 그룹이 이벤트 대신 포함된다. 따라서 link_media 필드 값이 0x04이면, link_byte 필드는 해당 이벤트 그룹의 식별자(event_group_id)를 표시한다.
상기 link_media 필드 값이 0x01이면, 해당 이벤트(또는 이벤트 그룹)는 EIT에 존재하는 프로그램으로서 방송망을 통해 RT 서비스로 제공됨을 의미한다. 이 경우 link_byte 필드는 ETM 식별자(ETM_id)를 표시한다. 상기 ETM 식별자(ETM_id)는 해당 가상 채널의 소스 식별자(source_id)를 포함한다. 그러므로 상기 ETM_id에 포함된 소스 식별자를 기반으로 link_type 필드가 지시하는 링크를 수신할 수 있게 된다.
상기 link_media 필드 값이 0x02이면, 해당 이벤트(또는 이벤트 그룹)는 NRT 서비스로 제공됨을 의미한다. 이 경우 link_byte 필드는 서비스 식별자(service_id)와 콘텐트 식별자(content_id)를 표시한다.
상기 link_media 필드 값이 0x03이면, 해당 이벤트(또는 이벤트 그룹)는 웹 서비스로 제공됨을 의미한다. 이 경우 link_byte 필드는 인터넷 URL(Uniform Resource Locator)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해당 EGT가 이벤트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하고, 히어로즈 시즌 1의 에피소드 1이라는 이벤트에 2개의 링크가 존재한다고 가정하자. 그리고 하나의 링크 타입은 실제 방송 프로그램(즉, 일반 A/V 신호)이고 방송망을 통해RT 서비스로 제공되고, 다른 하나의 링크 타입은 예고편이고 방송망을 통해 NRT 서비스로 제공된다고 가정하자. 이 경우 num_links_in_event 필드 값은 2이고, 첫번째 링크 루프에서 link_type 필드 값은 0x04, link_medai 필드 값은 0x01, link_byte 필드 값은 ETM_id를 표시한다. 그리고 두번째 링크 루프에서 link_type 필드 값은 0x03, link_medai 필드 값은 0x03, link_byte 필드 값은 서비스 식별자(service_id)와 콘텐트 식별자(content_id)를 표시한다.
그리고 상기 link_type 필드 값이 0x00이면, 즉 해당 EGT가 수퍼 그룹의 정보를 시그널링하고 있는 경우, 해당 EGT의 헤더 부분에 있는 event_group_id 필드 값은 수퍼 그룹의 식별자를 표시하고, 상기 link_byte 필드 값은 이벤트 그룹의 식별자를 표시한다.
도 22에서, link_media 필드와 link_byte 필드에 할당되는 값 및 그 값의 의미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들이며, 상기 link_media 필드와 link_byte 필드에 포함되는 정보들의 추가 및 삭제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즉, 본원 발명은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실제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상기 프로그램과 관련된 부가 정보를 시그널링할 수도 있다.
이때 부가 정보는 상기 프로그램의 예고편(또는 미리 보기), 썸네일 이외에도 배우/감독 정보, 뮤직 비디오, 주제곡, 상기 프로그램의 그룹에 속한 프로그램들의 재방송/미래방송 스케쥴, 광고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상기 link_media 필드 는 이러한 부가 정보가 어떤 경로로 접근이 가능한지를 지시하고, link_byte 필드는 상기 부가 정보를 구분하기 위한 식별자를 표시한다.
그리고 대용량의 부가 정보는 다운로드 시간이 많이 소요될 수 있으므로, 이러한 부가 정보는 NRT 서비스나 웹 서비스로 제공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프로그램 또는 부가 정보는 무료로 제공될 수도 있고, 유료로 제공될 수도 있다. 이때 유료로 제공되는 프로그램 또는 부가 정보의 과금 방식은 선불식일 수도 있고, 후불식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선불식인 경우, 미리 일정액을 충전한 후 유료 프로그램 또는 유료 부가 정보를 다운로드하게 할 수도 있고, 카드나 현금 이체 등을 이용하여 결재한 후 유료 프로그램 또는 유료 부가 정보를 다운로드하게 할 수도 있다. 후불제인 경우, 먼저 유료 프로그램 또는 유료 부가 정보를 다운로드받게 한 후 나중에 시청료나 통신료 등을 청구할 때 함께 청구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유료 프로그램 또는 유료 부가 정보의 경우에는 다운로드받기 전에 결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event_descriptors_length 필드(8 비트)는 다음에 오는 이벤트 디스크립터(event_descriptor)의 전체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낸다.
event_descriptor()는 이벤트(또는 이벤트 그룹) 단위로 해당 이벤트(또는 이벤트 그룹)의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즉, 해당 EGT가 수퍼 그룹의 정보를 시그널링하고 있다면, 상기 event_descriptor()는 해당 이벤트 그룹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EGT가 이벤트 그룹의 정보를 시그널링하고 있다면 상기 event_descriptor()는 해당 이벤트의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이벤트 디스크립터로서 장르 디스크립터(genre descriptor)를 포함하여 해당 프로그램의 장르가 무엇인지 기술할 수 있다. 또한 캡션 서비스 디스크립터(caption service descriptor)나 콘텐트 어드비저리 디스크립터(content advisory descriptor)를 포함하여 해당 프로그램의 시청 등급이나 캡션 정보를 기술할 수도 있다.
group_descriptors_length 필드(8 비트)는 다음에 오는 그룹 디스크립터(group_descriptor)의 전체 길이를 바이트 단위로 나타낸다.
group_descriptor()는 그룹(예, 수퍼 그룹 또는 이벤트 그룹) 단위로 해당 그룹의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즉, 해당 EGT가 수퍼 그룹의 정보를 시그널링하고 있다면, 상기 group_descriptor()는 수퍼 그룹의 부가 정보를 제공하고, 해당 EGT가 이벤트 그룹의 정보를 시그널링하고 있다면 상기 group_descriptor()는 이벤트 그룹의 부가 정보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그룹 디스크립터로서 장르 디스크립터(genre descriptor)를 포함하여 해당 그룹의 장르가 무엇인지 기술할 수 있다. 또한 캡션 서비스 디스크립터(caption service descriptor)나 콘텐트 어드비저리 디스크립터(content advisory descriptor)를 포함하여 해당 그룹의 시청 등급이나 캡션 정보를 기술할 수도 있다.
그룹 디스크립터(group descriptor)에 포함되는 디스크립터는 그 내용이 해당 그룹에 속한 모든 프로그램에 공통으로 적용된다. 만일 그룹에 속한 일부 프로그램의 내용이 해당 이벤트 디스크립터에 기술된 내용과 상이한 경우, 그 프로그램에 대해서는 해당 이벤트 디스크립터에 기술된 내용에 우선권을 부여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예를 들어, 하나의 그룹 내의 모든 프로그램이 동일한 장르를 갖는다면, 장르 디스크립터를 그룹 디스크립터에 포함하여 그 그룹의 장르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그룹에 포함되는 각 프로그램의 장르를 EIT에 따로 기술하지 않아도 되므로, 전송하는 정보량을 줄이는 장점이 있다.
CRC_32 필드(32 비트)는 오류 정정용 32 비트 CRC 값을 표시한다.
한편, 본 발명은 EIT에서 시그널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또는 NST에서 시그널링되는 적어도 하나의 NRT 서비스 또는 NRT-IT에서 시그널링되고 있는 적어도 하나의 콘텐트가 특정 이벤트 그룹에 포함될 수 있다. 이때는 해당 테이블의 해당 루프에 디스크립터를 추가하여, 해당 이벤트 또는 NRT 서비스 또는 콘텐트가 속한 이벤트 그룹의 식별자를 제공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예를 들어, 이벤트 1이 25라는 이벤트 그룹 식별자를 갖는 이벤트 그룹에 속한다면, 상기 이벤트 1을 시그널링하는 EIT의 이벤트 루프에 디스크립터를 추가하고, 이 디스크립터에 상기 이벤트 1이 속한 이벤트 그룹 식별자인 25를 시그널링한다. 다른 예로, 콘텐트 3도 25라는 이벤트 그룹 식별자를 갖는 이벤트 그룹에 속한다면, 상기 콘텐트 3을 시그널링하는 NRT-IT의 콘텐트 루프에 디스크립터를 추가하고, 이 디스크립터에 상기 콘텐트 3이 속한 이벤트 그룹 식별자인 25를 시그널링한다. 이때 이벤트 1과 콘텐트 3의 이벤트 그룹 정보는 25라는 이벤트 그룹 식별자를 갖는 EGT에서 시그널링된다.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EIT, NST, NRT-IT 중 적어도 하나에 포함될 수 있는 이벤트 그룹 디스크립터 event_group_descriptor()의 비트 스트림 신택스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이벤트 그룹 디스크립터 event_group_descriptor()의 각 필드에 대한 설명은 다음과 같다.
도 23에서, descriptor_tag 필드(8비트)는 디스크립터 식별자로서, 이벤트 그룹 디스크립터 event_group_descriptor()를 식별하는 식별자가 설정될 수 있다.
descriptor_length 필드(8비트)는 상기 descriptor_length 필드 이후부터 이 descriptor의 끝까지, 디스크립터의 나머지 길이를 byte 단위로 나타낸다.
event_group_id 필드(16 비트)는 해당 이벤트 그룹을 구분할 수 있는 식별자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벤트 그룹 디스크립터 event_group_descriptor()가 이벤트 1을 시그널링하는 EIT의 이벤트 루프에 포함되었다면, 상기 event_group_id 필드는 상기 이벤트 1이 속한 이벤트 그룹의 식별자를 표시한다.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EGT와 EIT,NST,NRT-IT와의 연결 관계의 일 실시예를 보인 도면이다.
도 24에서, VCT는 두개의 가상 채널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하며, 이때 하나의 가상 채널의 소스 식별자(source_id)는 VCH0이고, 다른 하나의 가상 채널의 소스 식별자(source_id)는 VCH1이다.
EIT0는 소스 식별자가 VCH0인 가상 채널로 전송되는 두개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하며, 이때 하나의 이벤트의 이벤트 식별자(event_id)는 EVENT0이고, 다른 하나의 이벤트의 이벤트 식별자는 EVENT1이다. 그리고 이벤트 식별자가 EVENT0인 이벤트 루프에 도 23과 같은 이벤트 그룹 디스크립터가 포함되며, 이때의 이벤트 그룹 식별자(event_group_id)는 EGO이다. 이때 상기 EIT0에 대응하는 ETT0를 파싱하면, EVENT0와 EVENT1에 해당하는 이벤트의 상세 한 텍스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EIT1도 소스 식별자가 VCH0인 가상 채널로 전송되는 두개의 이벤트에 대한 정보를 시그널링하며, 이때 하나의 이벤트의 이벤트 식별자(event_id)는 EVENT2이고, 다른 하나의 이벤트의 이벤트 식별자는 EVENT3이다. 그리고 이벤트 식별자가 EVENT2인 이벤트 루프에 도 23과 같은 이벤트 그룹 디스크립터가 포함되며, 이때의 이벤트 그룹 식별자(event_group_id)도 EGO이다. 이때 상기 EIT1에 대응하는 ETT1를 파싱하면, EVENT2와 EVENT3에 해당하는 이벤트의 상세 한 텍스트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방송 수신기에서는 소스 식별자가 VCH0인 EIT0, EIT1를 수신하여 파싱하면, VCH0에 해당하는 가상 채널로 4개의 이벤트 EVENT0~EVENT3가 수신됨을 알 수 있다. 또한 4개의 이벤트 EVENT0~EVENT3의 스케쥴 정보(즉, 방송 시간)도 얻을 수 있다. 그리고 EVENT0, EVENT2에 해당하는 이벤트는 EGO라는 이벤트 그룹 식별자를 갖는 이벤트 그룹에 속해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NRT-IT는 서비스 식별자(service_id)가 service0인 NRT 서비스에 포함된 두개의 콘텐트를 시그널링하며, 이때 하나의 콘텐트의 콘텐트 식별자(content_id)는 content0이고, 다른 하나의 콘텐트의 콘텐트 식별자(content_id)는 content1이다. 그리고 콘텐트 식별자가 content0인 콘텐트 루프에 도 23과 같은 이벤트 그룹 디스크립터가 포함되며, 이때의 이벤트 그룹 식별자(event_group_id)도 EGO이다.
따라서 방송 수신기는 EIT0의 EVENT0에 대응하는 이벤트, EIT1의 EVENT2에 대응하는 이벤트, NRT-IT의 content0에 대응하는 콘텐트가 EGO라는 이벤트 그룹 식별자를 갖는 이벤트 그룹에 속해있음을 알 수 있다.
이때 이벤트 그룹 식별자가 EGO인 EGT는 3개의 이벤트(Ev0, Ev1, Ev2)를 포함하고 있으며, Ev0는 EIT0의 EVENT0와 관련되고, Ev1은 EIT1의 EVENT2 또는 NRT-IT의 content0와 관련되며, Ev2는 인터넷을 통해 다운로드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또한 Ev0는 방송 프로그램이며, 가상채널 VCH0의 EVENT0를 통하여 시청이 가능하고, Ev1은 방송 프로그램이며, 가상채널 VCH0의 EVENT2와 NRT 서비스 중 콘텐트(content0)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하여 시청이 가능하며, Ev2는 예고편이며, Internet URL http://xxx/yyy.avi 로 접근이 가능하다고 가정한다.
그러면 도 18과 같은 EGO에서, event_group_id 필드 값은 EG0, super_group 필드 값은 0, num_events_in_section 필드 값은 3이다.
그리고 상기 EGO에서 Ev0의 num_links_in_event 필드 값은 1이고, link_type 필드 값은 0x04, link_media 필드 값은 0x01, link_byte 필드 값은 ETM_id를 표시한다.
Ev1의 num_links_in_event 필드 값은 2이고, 첫번째 링크 루프의 link_type 필드 값은 0x04, link_media 필드 값은 0x01, link_byte 필드 값은 ETM_id를 표시하고, 두번째 링크 루프의 link_type 필드 값은 0x04, link_media 필드 값은 0x02, link_byte 필드 값은 service_id와 content_id를 표시한다. 즉, Ev1에 해당하는 방송 프로그램은 방송망을 통해 RT 서비스로 제공받을 수도 있고, NRT 서비스로 제공받을 수도 있다. 만일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RT 서비스로 제공받는 경우,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디코딩하는데 필요한 시그널링 정보는 PSI/PSIP 테이블에 시그널링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NRT 서비스로 제공받는 경우,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여 디코딩하는데 필요한 시그널링 정보는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에 시그널링되어 있다. 이 경우, 동일한 방송 프로그램이 RT 서비스와 NRT 서비스로 제공되고 있으므로, 유저에게 둘 중 하나를 선택하게 할 수도 있고, 또는 시스템에서 우선 순위를 부여하고, 우선 순위에 따라 자동으로 하나를 선택하게 할 수도 있다.
Ev2의 num_links_in_event 필드 값은 1이고, link_type 필드 값은 0x03, link_media 필드 값은 0x03, link_byte 필드 값은 인터넷 URL을 표시한다.
예를 들어, EGT를 이용하여 생성된 EPG 화면에서 유저가 Ev0에 해당하는 방송 프로그램을 선택하였다고 가정하자. 그러면, 방송 수신기는 link_byte 필드에 표시된 ETM_id에 포함된 소스 식별자(source_id)를 기반으로 VCT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전송하는 가상 채널 정보를 얻을 수 있고, EIT0에서 상기 방송 프로그램의 스케쥴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상 채널 정보와 스케쥴 정보를 기반으로 해당 시간에 상기 방송 프로그램을 수신하게 된다.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서 이벤트 그룹 테이블(EGT)를 수신하는 방법의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즉, 파워 온이나 채널 전환이 발생하면, 해당 채널로 수신되는 데이타 스트림으로부터 MGT를 추출하여 VCT와 EIT의 PID를 확인한다(S201). 그리고 MGT에서 확인된 PID와 VCT의 테이블 식별자를 기반으로 상기 데이터 스트림에 포함된 VCT를 수신하여 소스 식별자(source_id)를 포함하는 가상 채널 정보를 얻는다(S202). 이어 상기 VCT로부터 얻은 소스 식별자(source_id)와 EIT의 PID, EIT의 테이블 식별자를 기반으로 EIT를 수신한다(S203).
이때 상기 EIT에 이벤트 그룹 디스크립터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확인한다(S204). 만일, 이벤트 그룹 디스크립터가 포함되어 있다면, EGT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205).
도 19를 예로 들 경우, 상기 S201에서 수신된 MGT의 table_type 필드 값이 0x0006이면 즉, 상기 MGT에 EGT의 PID가 시그널링되어 있으면, EGT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은 MGT에서 획득한 EGT의 PID는 0x80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EGT의 테이블 식별자, 상기 MGT로부터 획득한 EGT의 PID(=0x80), EGT 내 이벤트 그룹 식별자를 기반으로 데이터 스트림에 포함된 해당 EGT를 수신한다(S206). 즉, 상기 EGT를 수신하기 위한 필터 조건은 EGT의 PID(=0x80), EGT의 테이블 식별자, 이벤트 그룹 식별자이다.
도 26은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기에서 이벤트 그룹 테이블(EGT)를 수신하는 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즉, 파워 온이나 채널 전환이 발생하면, 해당 채널로 수신되는 데이타 스트림으로부터 MGT를 추출하여(S301), EGT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302).
도 20을 예로 들 경우, 상기 S301에서 수신된 MGT의 table_type 필드 값이 0x1000~0x10FF 중 하나이면 즉, 상기 MGT에 EGT의 PID가 시그널링되어있으면, EGT가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은 MGT에서 획득한 EGT0의 PID는 0x80이고, EGT1의 PID는 0x81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EGT의 테이블 식별자, 상기 MGT에서 획득한 EGT0~EGT255의 PID를 이용하여 해당 EGT를 수신한다(S303~S305). 즉, 도 26에서는 MGT에서 사용되는 table type으로 EGT0~EGT255까지 256개의 EGT를 할당하며, MGT만 수신하게 되면 EGT를 수신하기 위한 조건은 모두 만족된다. 이때 MGT에서 서술되는 EGT 리스트들을 보고, 첫번째 EGT부터 차례대로 수신하게 된다. 이때 EGT를 수신하기 위한 필터 조건은 EGT의 PID가 0x80, 0x81인 경우, PID=0x80으로 첫번째 EGT를 수신하고, 두번째 EGT는 PID=0x81로 수신한다.
도 27은 EGT에 시그널링된 이벤트 그룹에 포함된 이벤트 중 복수개의 링크를 포함하는 이벤트가 존재하는 경우, 미리 부여된 우선 순위에 따라 해당 링크를 수신하는 과정의 일 실시예를 보인 흐름도이다. 즉, EGT에서 num_links_in_event 필드 값이 2 이상일 때 적용된다. 또는 특정 이벤트가 RT 서비스, NRT 서비스, 웹 서비스 등으로 수신될 때에도 적용할 수 있다. 도 27에서는 웹 서비스 > NRT 서비스 > RT 서비스 순으로 우선 순위가 부여된 예이다. 또한 도 27에서 우선 순위는 현재 화면에서 보여주는 것을 최우선으로 한 예이다.
먼저, URL이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401). 상기 URL은 link_media 필드, link_length 필드, link_byte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만일, URL이 존재한다고 확인되면 해당 방송 수신기가 가능한지를 확인한다(S402). 상기 방송 수신기가 인터넷이 가능한지 여부는 IP 연결을 확인하면 알 수 있다.
상기 S402에서 인터넷이 가능하다고 확인되면, 상기 link_byte 필드로부터 획득한 인터넷 URL에 해당하는 웹 페이지를 억세스한다(S403). 이 경우 상기 웹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웹 서비스가 바로 재생될 수 있다(S404). 예를 들어, link_type 필드 값이 0x03 즉, 예고편이라면, 상기 웹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예고편이 즉시 재생된다.
한편, 상기 S401에서 URL이 없다고 확인되면, NRT 서비스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405). 상기 NRT 서비스는 link_media 필드, link_length 필드, link_byte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만일, NRT 서비스가 존재한다고 확인되면, 상기 NRT 서비스를 바로 다운로드할 수 있는지를 확인한다(S406). 이것은 NRT-IT에서 상기 NRT 서비스에 포함되는 콘텐트들의 스케쥴 정보를 확인하면 알 수 있다.
상기 S406에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하다면, 해당 FLUTE 세션을 통해 상기 NRT 서비스를 다운로드한다. 여기서 상기 FLUTE 세션의 접속 정보는 NST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NRT 서비스는 바로 재생될 수 있다(S404). 예를 들어, link_type 필드 값이 0x03 즉, 예고편이라면, 상기 NRT 서비스로 제공되는 예고편이 즉시 재생된다. 상기 S406에서 바로 다운로드 가능하지 않다고 확인되면, 해당 시간에 상기 예고편을 다운로드하여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S407). 즉, 예약 녹화가 수행된다.
상기 S405에서 NRT 서비스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확인되면, 이벤트가 존재하는지를 확인한다(S408). 상기 이벤트는 link_media 필드, link_length 필드, link_byte 필드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408에서 이벤트가 존재한다고 확인되면, 상기 EIT로부터 상기 이벤트를 찾는다(S409). 이는 상기 link_byte 필드 값에 표시된 ETM_id 값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409에서 이벤트가 있다고 확인되면(S410), 상기 이벤트가 현재 수신 가능한 이벤트인지를 확인한다(S411). 이는 상기 EIT의 start_time 필드 값을 이용하여 확인할 수 있다.
상기 S411에서 현재 수신 가능한 이벤트라고 확인되면, 상기 이벤트는 튜너를 통해 즉시 수신할 수 있다(S412). 상기 S411에서 현재 수신 가능한 이벤트가 아니라고 확인되면, 해당 시간에 튜너를 통해 상기 이벤트를 수신하여 저장 매체에 저장한다(S407). 즉, 예약 녹화가 수행된다.
상기 S408에서 이벤트가 존재하지 않는다고 확인되면, 현재 시점에서 할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다(S413).
즉, EGT의 링크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이벤트(즉, 프로그램)을 인터넷을 통해서 다운받을지, NRT를 통하여 녹화 예약을 할지, 또한 이미 녹화가 되어있으면 시청이 가능한지, 마지막으로 해당 프로그램의 링크가 유효하지 않아 모든 동작이 불가능한지 결정할 수 있다. 이렇게 결정된 프로그램의 속성은 UI 등을 통하여 화면에 표시가 가능하다. 화질 등 다른 요소가 최우선이 된다면 다른 형태의 우선 순위 결정 트리가 존재할 수 있다.
도 28은 본 발명에 따른 EGT를 수신하여 처리하기 위한 방송 수신기의 일 실시예를 보인 구성 블록도이다.
도 28의 방송 수신기는 오퍼레이션 제어기(100), 베이스밴드 처리부(110), 서비스 역다중화기(120), 스트림 콤포넌트 핸들러(130), 미디어 핸들러(140), 파일 핸들러(150), 서비스 매니저(160), PVR 매니저(170), 제1 저장부(180), SG 핸들러(190), EPG 핸들러(200), NRT 서비스 매니저(210),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20), 미들웨어 엔진(230), 프리젠테이션 매니저(240), 및 UI(User Interface) 매니저(250), 인터넷 네트워크 인터페이스(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베이스밴드 처리부(110)는 튜너(111)와 복조기(1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서비스 역다중화기(120)는 MPEG-2 TP 핸들러(121), PSI/PSIP 핸들러(122), MPEG-2 TP 역다중화기(123), 디스크램블러(124), 및 제2 저장부(1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트림 콤포넌트 핸들러(130)는 PES(Packetized Elementary Stream) 복호기(131), ES(Elementary Stream) 복호기(132), PCR 핸들러(133), STC 핸들러(134), DSM-CC 어드레서블 섹션 핸들러(135), IP 데이터그램 핸들러(136), 디스크램블러(137), UDP 핸들러(138), 서비스 시그널링 섹션 핸들러(138-1), 및 CAS(Conditional Access System(139)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미디어 핸들러(140)는 A/V 복호기(14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파일 핸들러(150)는 ALC/LCT 스트림 핸들러(151), 파일 재건(reconstruction) 버퍼(152), XML 파서(153), FDT 핸들러(154), 디콤프레서(155), 및 제3 저장부(156), 및 파일 디코더(157)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 28에서, 튜너(111)는 예를 들면, 지상파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원하는 채널의 방송 신호를 서비스 매니저(160)의 제어에 의해 튜닝하여 중간주파수(IF : Intermediate Frequency) 신호로 다운 컨버전하여 복조기(112)로 출력한다. 상기 튜너(111)는 실시간 스트림과 비실시간 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비실시간 스트림은 NRT 스트림이라 하기로 한다.
상기 복조기(112)는 튜너(111)로부터 입력되는 통과대역의 디지털 IF 신호에 대해 자동 이득 제어, 반송파 복구 및 타이밍 복구 등을 수행하여 기저대역 신호로 변환하고, 채널 등화를 수행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방송 신호가 VSB 변조 신호인 경우 VSB 복조 과정을 수행하여 자동 이득 제어, 반송파 복구 및 타이밍 복구 등을 수행한다. 상기 복조기(112)에서 복조 및 채널 등화된 데이터는 MPEG-2 TS(Transport Stream) 패킷 형태로 상기 MPEG-2 TP 핸들러(121)로 출력된다.
상기 MPEG-2 TP(Transport Stream Packet) 핸들러(121)는 MPEG-2 TP 버퍼와 MPEG-2 TP 파서로 구성되며, 상기 복조기(112)의 출력을 일시 저장한 후 TS 헤더를 분석하여, 상기 복조기(112)의 출력이 실시간용 A/V TS 패킷이거나, NRT TS 패킷이면 역다중화기(123)로 출력하고, PSI/PSIP 테이블용 TS 패킷이면 PSI/PSIP 핸들러(122)로 출력한다.
상기 PSI/PSIP 핸들러(122)는 PSI/PSIP 섹션 버퍼와 PSI/PSIP 파서로 구성되며, 상기 MPEG-2 TP 핸들러(121)에서 출력되는 TS 패킷을 일시 저장한 후 테이블 식별자 등을 참조하여 상기 TS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된 PSI/PSIP 섹션 데이터로부터 해당 테이블을 복원하여 파싱한다. 이때 하나의 테이블이 하나의 섹션으로 구성되는지 복수개의 섹션으로 구성되는지는 해당 섹션 내 table_id 필드, section_number 필드, last_section_number 필드 등을 통해 알 수 있다. 그리고 동일한 테이블 식별자를 갖는 섹션들을 모으면 해당하는 테이블을 완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VCT에 할당된 테이블 식별자를 갖는 섹션들을 모으면 VCT를 완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싱된 각 테이블의 정보는 서비스 매니저(160)에 의해 수집되어 제1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본 발명에 따른 MGT, VCT, PAT, PMT, DST, EIT, ETT, EGT 등의 테이블 정보가 상기 과정을 거쳐 제1 저장부(180)에 저장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160)는 상기 테이블 정보를 서비스 맵 및 가이드 데이터 형태로 상기 제1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즉, 상기 PSI/PSIP 핸들러(122)와 서비스 매니저(160)는 도 25 또는 도 26과 같은 이벤트 그룹 테이블(EGT) 수신 방법을 참조하여 EGT를 수신하여 복원하고 파싱한다. 그리고 파싱된 EGT 정보는 제1 저장부(180)에 저장된 후 EPG를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EGT에 포함된 정보는 도 18 내지 도 22를 참조하면 되므로 여기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매니저(160)는 EPG(또는 서비스 가이드) 화면에서 특정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선택된 프로그램이 속한 그룹을 EIT로부터 확인하고, 확인된 그룹의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EGT에 포함된 프로그램들로 구성된 그룹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필요한 경우 이벤트 그룹들로 구성된 수퍼 그룹 리스트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역다중화기(123)는 입력되는 TS 패킷이 리얼 타임의 A/V TS 패킷이면 오디오 TS 패킷과 비디오 TS 패킷으로 분리한 후 PES 디코더(131)로 출력하고, NRT TS 패킷이면 DSM-CC 핸들러(135)로 출력한다. 또한 상기 역다중화기(123)는 PCR(Program Clock Reference)가 포함된 TS 패킷이면 PCR 핸들러(133)로 출력하고, CA(Conditional Access) 정보가 포함된 TS 패킷이면 CAS(139)로 출력한다. 상기 NRT TS 패킷은 NRT 서비스 데이터를 포함하는 TS 패킷과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을 포함하는 TS 패킷으로 구분된다. 상기 NRT 서비스 데이타의 TS 패킷에는 상기 NRT 서비스를 식별하기 위하여 유니크한 PID가 할당되며, 상기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을 포함하는 TS 패킷의 PID는 DST와 PMT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상기 역다중화기(123)는 입력되는 TS 패킷의 페이로드가 스크램블되어 있으면, 디스크램블러(124)로 출력하고, 상기 디스크램블러(124)는 상기 CAS(139)로부터 디스크램블에 필요한 정보(예, 스크램블에 이용된 제어 단어 등)를 입력받아 상기 TS 패킷에 대해 디스크램블을 수행한다.
상기 역다중화기(123)는 일시 녹화, 예약 녹화, 타임시프트 중 어느 하나의 요청에 의해 입력되는 리얼 타임의 A/V 패킷을 제2 저장부(125)에 저장한다. 상기 제2 저장부(125)는 대용량 저장 매체로서, 일 예로 HDD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제2 저장부(125)에서의 다운로드(즉, 저장) 및 업로드(즉, 재생)는 PVR 매니저(170)의 제어에 의해 이루어진다.
상기 역다중화기(123)는 재생 요청에 따라 상기 제2 저장부(125)로부터 업로드된 A/V TS 패킷으로부터 오디오 TS 패킷과 비디오 TS 패킷으로 분리하여 PES 디코더(131)로 출력한다.
상기 역다중화기(123)는 전술한 처리를 위해 서비스 매니저(160) 또는/및 PVR(Personal Vedeo Recorder) 매니저(170)의 제어를 받는다.
즉, 상기 서비스 매니저(160)는 VCT 내 service_type 필드 값이 NRT 서비스가 전송됨을 지시하면, 상기 VCT의 service location descriptor(또는 PMT의 ES loop)로부터 DST의 PID를 추출하여 DST를 수신한다.
그리고, 상기 수신된 DST로부터 NRT 서비스를 식별하고, 식별된 NRT 서비스를 수신하기 위해 상기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을 포함하는 MPEG-2 TS 패킷의 PID를 DST와 PMT를 이용하여 추출한다. 상기 추출된 PID는 역다중화기(123)로 출력한다. 상기 역다중화기(123)는 상기 서비스 매니저(160)에서 출력하는 PID에 해당하는 MPEG-2 TS 패킷들을 어드레서블 섹션 핸들러(135)로 출력한다.
상기 PCR은 A/V 디코더(141)에서 오디오 ES 및 비디오 ES의 타임 동기 등을 위해 사용되는 시간 기준값이다. 상기 PCR 핸들러(133)는 입력되는 TS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된 PCR을 복원하여 STC 핸들러(134)로 출력한다. 상기 STC 핸들러(134)는 상기 PCR로부터 시스템의 기준 클럭이 되는 STC(System Time Clock)를 복원하여 A/V 디코더(141)로 출력한다.
상기 PES 디코더(131)는 PES 버퍼와 PES 핸들러로 구성되며, 오디오 TS 패킷과 비디오 TS 패킷을 일시 저장한 후 각 TS 패킷으로부터 TS 헤더를 제거하여 오디오 PES와 비디오 PES로 복원한다. 상기 복원된 오디오 PES와 비디오 PES는 ES 디코더(132)로 출력된다. 상기 ES 디코더(132)는 ES 버퍼와 ES 핸들러로 구성되며, 오디오 PES와 비디오 PES로부터 각 PES 헤더를 제거하여 순수한 데이타인 오디오 ES와 비디오 ES로 복원한다. 상기 복원된 오디오 ES와 비디오 ES는 상기 A/V 디코더(141)로 출력된다.
상기 A/V 디코더(141)는 각각의 디코딩 알고리즘으로 상기 오디오 ES와 비디오 ES를 디코딩하여 압축 이전의 상태로 복원한 후 프리젠테이션 매니저(240)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STC에 따라 오디오 ES와 비디오 ES의 디코딩시 타임 동기가 이루어진다. 일 예로, 오디오 디코딩 알고리즘은 AC-3 디코딩 알고리즘, MPEG 2 audio 디코딩 알고리즘, MPEG 4 audio 디코딩 알고리즘, AAC 디코딩 알고리즘, AAC+ 디코딩 알고리즘, HE AAC 디코딩 알고리즘, AAC SBR 디코딩 알고리즘, MPEG surround 디코딩 알고리즘, BSAC 디코딩 알고리즘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하고, 비디오 디코딩 알고리즘은 MPEG 2 video 디코딩 알고리즘, MPEG 4 video 디코딩 알고리즘, H.264 디코딩 알고리즘, SVC 디코딩 알고리즘, VC-1 디코딩 알고리즘 중 적어도 하나를 적용할 수 있다.
상기 CAS(139)는 CA 스트림 버퍼와 CA 스트림 핸들러로 구성되며, 상기 MPEG-2 TP 핸들러(121)에서 출력되는 TS 패킷 또는 UDP 데이터그램 핸들러(138)에서 복원되어 출력되는 서비스 보호 데이터를 일시 저장한 후 상기 저장된 TS 패킷 또는 서비스 보호 데이터로부터 디스크램블에 필요한 정보(예를 들어, 스크램블에 사용된 제어 단어 등)를 복원한다. 즉, 상기 TS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된 EMM(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 ECM(Entitlement Control Message) 등을 추출하고, 추출된 EMM, ECM 등을 분석하여 디스크램블에 필요한 정보를 획득한다. 상기 ECM은 스크램블에 사용된 제어 단어(CW)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 단어는 인증키로 암호화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EMM은 해당 데이터의 인증키와 자격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CAS(139)에서 획득한 디스크램블에 필요한 정보는 디스크램블러(124,137)로 출력된다.
상기 DSM-CC 섹션 핸들러(135)는 DSM-CC 섹션 버퍼와 DSM-CC 섹션 파서로 구성되며, 상기 역다중화기(123)에서 출력되는 TS 패킷을 일시 저장한 후 상기 TS 패킷의 페이로드에 포함된 어드레서블 섹션을 복원하고, 상기 어드레서블 섹션의 헤더와 CRC 첵섬을 제거하여 IP 데이터그램을 복원한 후 IP 데이터그램 핸들러(136)로 출력한다. 상기 IP 데이터그램 핸들러(136)는 IP 데이터그램 버퍼와 IP 데이터그램 파서로 구성되며, 상기 DSM-CC 섹션 핸들러(135)로부터 전달받은 IP 데이터그램을 버퍼링한 후, 버퍼링된 IP 데이터그램의 헤더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상기 IP 데이터그램의 페이로드로부터 UDP 데이터그램을 복원한 후 UDP 데이터그램 핸들러(138)로 출력한다.
이때 상기 IP 데이터그램이 스크램블되어 있다면, 상기 스크램블된 UDP 데이터그램은 디스크램블러(137)에서 디스크램블된 후 UDP 데이터그램 핸들러(138)로 출력된다. 일 예로, 상기 디스크램블러(137)는 상기 CAS(139)로부터 디스크램블에 필요한 정보(예, 스크램블에 이용된 제어 단어 등)를 입력받아 상기 UDP 데이터그램에 대해 디스크램블을 수행한 후 UDP 데이터그램 핸들러(138)로 출력한다.
상기 UDP 데이터그램 핸들러(138)는 UDP 데이터그램 버퍼와 UDP 데이터그램 파서로 구성되며, 상기 IP 데이터그램 핸들러(136) 또는 디스크램블러(137)로부터 출력되는 UDP 데이터그램을 버퍼링한 후, 버퍼링된 UDP 데이터그램의 헤더를 추출하고 분석하여 상기 UDP 데이터그램의 페이로드에 포함된 데이터를 복원한다. 이때 복원된 데이터가 서비스 프로텍션 데이터이면 CAS(139)로 출력하고, NRT 서비스 시그널링 데이터이면 서비스 시그널링 섹션 핸들러(138-1)로 출력하며, NRT 서비스 데이터이면 ALC/LCT 스트림 핸들러(151)로 출력한다.
즉, 상기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을 전송하는 IP 데이터그램의 접속 정보는 well-known 데스티네이션(destination) IP 어드레스와 well-known 데스티네이션 (destination) UDP 포트 번호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따라서, 상기 IP 데이터그램 핸들러(136)와 UDP 데이터그램 핸들러(138)는 well-known 데스티네이션 IP 멀티캐스트 어드레스와 well-known 데스티네이션 UDP 포트 번호를 가지면서,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을 전송하는 IP 멀티캐스트 스트림 즉, NRT 서비스 시그널링 데이터를 추출하여 서비스 시그널링 섹션 핸들러(138-1)로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서비스 시그널링 섹션 핸들러(138-1)는 서비스 시그널링 섹션 버퍼와 서비스 시그널링 섹션 파서로 구성되며, 상기 NRT 서비스 시그널링 데이터로부터 도 10, 도 11과 같은 NST, 도 14, 도 15와 같은 NRT-IT를 복원하고 파싱하여 서비스 매니저(160)로 출력한다. 상기 NST를 파싱하면 NRT 서비스를 구성하는 콘텐트/파일들을 전송하는 FLUTE 세션의 접속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상기 NST와 NRT-IT 로부터 파싱된 정보는 서비스 매니저(160)에 의해 수집되어 제1 저장부(180)에 저장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160)는 상기 NST와 NRT-IT에서 추출된 정보를 서비스 맵 및 서비스 가이드 형태로 상기 제1 저장부(180)에 저장한다. 다른 실시예로, 상기 서비스 매니저(160)의 역할을 NRT 서비스 매니저(210)에서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NST와 NRT-IT로부터 파싱된 정보는 NRT 서비스 매니저(210)에 의해 수집되어 제1 저장부(180)에 저장될 수도 있다.
상기 ALC/LCT 스트림 핸들러(151)는 ALC/LCT 스트림 버퍼와 ALC/LCT 스트림 파서로 구성되며, 상기 UDP 데이터그램 핸들러(138)로부터 출력되는 ALC/LCT 구조의 데이터를 버퍼링한 후, 버퍼링된 데이터로부터 ALC/LCT 세션의 헤더 및 헤더 확장(header extension)을 분석한다. 상기 ALC/LCT 세션의 헤더 및 헤더 확장을 분석한 결과, 상기 ALC/LCT 세션으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XML 구조이면 XML 파서(153)로 출력하고, 파일 구조이면 파일 재건(File Reconstruction) 버퍼(152)에 일시 저장한 후 파일 디코더(157)로 출력하거나, 제3 저장부(156)에 저장한다. 상기 ALC/LCT 스트림 핸들러(151)는 상기 ALC/LCT 세션으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NRT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이면 NRT 서비스 매니저(210)의 제어를 받는다. 이때 상기 ALC/LCT 세션으로 전송되는 데이터가 압축되어 있으면, 디콤프레서(155)에서 해제된 후 XML 파서(153), 파일 디코더(157), 제3 저장부(156)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된다.
상기 XML 파서(153)는 상기 ALC/LCT session을 통하여 전송되는 XML 데이터를 분석하고, 분석된 데이터가 파일 기반 서비스를 위한 데이터이면 FDT 핸들러(154)로 출력하고, 서비스 가이드를 위한 데이터이면 SG 핸들러(190)로 출력한다.
상기 FDT 핸들러(154)는 ALC/LCT session을 통하여 FLUTE 프로토콜의 파일 디스크립션 테이블(File Description Table)을 분석하고 처리한다. 상기 FDT 핸들러(154)는 수신된 파일이 NRT 서비스를 위한 파일이면 NRT 서비스 매니저(210)의 제어를 받는다.
상기 SG 핸들러(190)는 XML 구조로 전송되는 서비스 가이드를 위한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EPG 매니저(200)로 출력한다.
상기 파일 디코더(157)는 상기 파일 재건 버퍼(152)로부터 출력되는 파일 또는 디콤프레서(155)로부터 출력되는 파일 또는 제3 저장부(156)로부터 업로드된 파일을 기 설정된 알고리즘으로 디코딩하여 미들웨어 엔진(230)으로 출력하거나, A/V 디코더(141)로 출력한다.
상기 미들웨어 엔진(230)은 파일 구조의 데이터 즉, 어플리케이션을 해석하여 실행시킨다. 그리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프리젠테이션 매니저(240)를 통해 화면이나 스피커와 같은 출력 장치로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미들웨어 엔진(230)은 자바(JAVA) 기반의 미들웨어 엔진인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EPG 매니저(200)는 유저의 입력에 따라 SG 핸들러(190) 또는 제1 저장부(180)로부터 서비스 가이드를 데이터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포맷으로 변환한 후 프리젠테이션 매니저(240)로 출력한다.
즉, 유저가 UI 매니저(250)를 통해 EPG 화면을 요청하면, 오퍼레이션 제어기(100)의 제어에 의해 EPG 매니저(200)는 제1 저장부(180)에 저장된 정보 및/또는 SG 핸들러(190)의 서비스 가이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RT 서비스와 NRT 서비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EPG를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프리젠테이션 매니저(240)를 통해 상기 EPG를 기 정해진 디스플레이 포맷에 따라 화면에 디스플레이한다.
본 발명에 따른 EPG 화면 및 상기 EPG 화면에서 구현될 수 있는 UI(User Interface)의 일 예는 뒤에서 도 29 내지 도 3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20)는 상기 파일 등의 형태로 수신되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의 처리에 관한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한다.
상기 서비스 매니저(160)는 PSI/PSIP 테이블 데이터 또는 NRT 서비스 시그널링 채널로 전송되는 NRT 서비스 시그널링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여 서비스 맵을 만든 후 제1 저장부(125)에 저장한다. 또한 상기 서비스 매니저(160)는 사용자가 원하는 NRT 서비스에 대한 접속 정보를 제어하며, 튜너(111), 복조기(112), IP 데이터그램 핸들러(136) 등에 대한 제어를 수행한다.
상기 오퍼레이션 제어기(100)는 UI 매니저(250)를 통해 입력되는 유저의 명령에 따라 상기 서비스 매니저(160), PVR 매니저(170), EPG 매니저(200), NRT 서비스 매니저(210), 어플리케이션 매니저(220), 프리젠테이션 매니저(24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여, 상기 유저의 명령에 따른 기능이 수행되도록 한다.
상기 NRT 서비스 매니저(210)는 IP 계층 상에서 FLUTE 세션을 통하여 콘텐트/파일 형태로 전송되는 NRT 서비스에 대한 전반적인 관리를 수행한다.
상기 UI 매니저(250)는 UI를 통해 유저의 입력을 오퍼레이션 제어기(100)로 전달한다.
상기 프리젠테이션 매니저(240)는 A/V 디코더(141)에서 출력되는 오디오 및 비디오 데이터, 미들웨어 엔진(230)에서 출력되는 파일 데이터, EPG 매니저(210)에서 출력되는 서비스 가이드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스피커 및/또는 화면을 통해 유저에게 제공한다.
상기 인터넷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260)는 EGT 내 link_type 필드 값이 0x01일 때, link_byte 필드로부터 획득한 인터넷 URL 값에 해당하는 웹 서버를 억세스한다. 그리고 상기 웹 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웹 서비스를 프리젠테이션 매니저(240)를 통해 유저에게 제공한다.
도 29의 (a),(b)는 본 발명에 따른 EPG 화면 및 상기 EPG 화면에서 구현될 수 있는 UI 화면의 일 예를 보인 것이다.
도 29의 (a)는 EIT를 기반으로 구현된 EPG 화면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상기 EPG 화면에서 특정 이벤트 그룹에 속한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특정한 형태의 아이콘(기호)을 붙여 특정 이벤트 그룹에 속하지 않는 프로그램과 구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서로 다른 이벤트 그룹에 속한 프로그램들은 서로 다른 형태의 아이콘으로 표시하거나 다른 색깔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29의 (a)에서 동일한 형태의 아이콘을 가진 Program3, Program4, Heroes season 1[Episode 1]은 적어도 하나의 이벤트 그룹에 속한 프로그램을 의미하고, 이 중에 같은 색깔을 가진 program4와 Heroes season 1[Episode 1]는 같은 이벤트 그룹에 속함을 의미한다.
도 29의 (b)는 도 29의 (a)의 EPG 화면에서 특정 프로그램을 선택하였을 때, 선택된 프로그램의 이벤트 그룹이 존재하고, 상기 이벤트 그룹의 수퍼 그룹이 존재할 때의 UI 화면의 일 예이다.
도 29의 (b)에서, 왼쪽 박스는 수퍼 그룹 리스트 화면의 일 예를, 오른쪽 박스는 이벤트 그룹 리스트 화면의 일 예를 보인다. 상기 수퍼 그룹 리스트에는 상기 수퍼 그룹에 포함되는 이벤트 그룹들의 항목이 표시되고, 상기 이벤트 그룹 리스트에는 상기 수퍼 그룹 내 어느 하나의 이벤트 그룹에 포함된 이벤트(즉, 프로그램)들의 항목이 표시된다.
즉, 상기 수퍼 그룹 리스트에는 도 29의 (a)의 EPG 화면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의 이벤트 그룹이 포함되고, 상기 이벤트 그룹 리스트에는 도 29의 (a)의 EPG 화면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이 포함된다.
도 29의 (b)는 도 29의 (a)의 EPG 화면에서 히어로즈 시즌 1의 에피소드 1이라는 프로그램이 선택되었을 때의 수퍼 그룹 리스트 화면과 이벤트 그룹 리스트 화면의 일 예를 보이고 있다.
이때 수퍼 그룹 리스트는 해당 수퍼 그룹을 시그널링하는 EGT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EGT의 super_group 필드 값은 ‘1’이다. 즉, 상기 수퍼 그룹의 EGT의 group_title_text 필드를 이용하여 해당 수퍼 그룹의 타이틀을 얻고, num_events_in_section 필드 값으로부터 상기 수퍼 그룹에 포함되는 이벤트 그룹의 개수를 얻으며, 상기 num_events_in_section 필드 값만큼 반복 수행되는 이벤트 루프 내 title_text 필드로부터 상기 수퍼 그룹에 포함되는 각 이벤트 그룹의 타이틀을 얻는다.
또한 상기 이벤트 그룹 리스트는 해당 이벤트 그룹을 시그널링하는 EGT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상기 EGT의 super_group 필드 값은 ‘0’이다. 즉, 상기 이벤트 그룹의 EGT의 group_title_text 필드를 이용하여 해당 이벤트 그룹의 타이틀을 얻고, num_events_in_section 필드 값으로부터 상기 이벤트 그룹에 포함되는 이벤트(또는 프로그램)의 개수를 얻으며, 상기 num_events_in_section 필드 값만큼 반복 수행되는 이벤트 루프 내 title_text 필드로부터 상기 이벤트 그룹에 포함되는 각 이벤트(또는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얻는다.
만일, 도 29의 (a)의 EPG 화면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의 이벤트 그룹이 존재하지 않으면, 도 29의 (b)의 UI 화면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EIT 내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에 해당하는 이벤트 루프에 이벤트 그룹 디스크립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의 이벤트 그룹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그룹이 포함되는 수퍼 그룹이 존재하지 않으면, 도 29의 (b)의 왼쪽 박스에서 수퍼 그룹 리스트는 표시되지 않는다. 대신에, 도 29의 (b)의 왼쪽 박스에는 ETT로부터 획득한 해당 프로그램의 상세 텍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즉, 상기 도 29의 (a)의 EPG 화면에서 선택한 프로그램의 상세 텍스트 정보를 ETT로부터 추출하여 도 29의 (b)의 화면 내 왼쪽 박스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의 이벤트 그룹을 위한 EGT를 이용하여 수퍼 그룹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도 29의 (a)의 EPG 화면에서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도 29의 (b)의 화면 내 왼쪽 박스에 수퍼 그룹의 리스트 대신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이 포함되는 수퍼 그룹의 상세 텍스트 정보 또는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이 포함되는 이벤트 그룹의 상세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선택된 프로그램의 상세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도 29의 (b)의 오른쪽 박스의 이벤트 그룹 리스트 화면에서 각 프로그램 항목 옆에 복수개의 실행 버튼을 표시하고, 해당 프로그램을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실행 버튼은 그 실행 버튼에 부여된 의미를 유저가 알 수 있도록 아이콘화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일 예로, 특정 실행 버튼이 선택되면, 해당 프로그램은 즉시 재생, 녹화(또는 다운로드), 구매, 전송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Figure 112012015643477-pct00001
로 표시된 실행 버튼은 해당 프로그램의 즉시 재생을 의미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즉시 재생 버튼이라 하기로 한다.
Figure 112012015643477-pct00002
로 표시된 실행 버튼은 해당 프로그램의 녹화나 다운로드를 의미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녹화 버튼이라 하기로 한다.
Figure 112012015643477-pct00003
 로 표시된 실행 버튼은 해당 프로그램을 다른 매체로 전송할 수 있음을 의미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송 버튼이라 하기로 한다.
Figure 112012015643477-pct00004
로 표시된 실행 버튼은 해당 프로그램의 구매를 의미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구매 버튼이라 하기로 한다.
Figure 112012015643477-pct00005
로 표시된 실행 버튼은 각 실행 버튼의 도움말 제공이나, 각 실행 버튼의 처리 결과를 알려줌을 의미하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리포트 버튼이라 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미리 보기(preview)를 위한 실행 버튼, 재방송 스케쥴을 위한 실행 버튼 등을 각 프로그램 항목에 추가할 수도 있다.
상기 실행 버튼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실시예들이며, 상기 실행 버튼의 추가 및 삭제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을 것이다.
본 발명에서 각 실행 버튼은 해당 프로그램이 그 기능을 실행할 수 있을때만 활성화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즉, 해당 프로그램이 실행할 수 없는 실행 버튼은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때 비활성화된 실행 버튼은 유저가 그 실행 버튼을 선택하더라도 아무런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다. 즉, 이벤트 그룹 리스트 내 각 프로그램은 현재 상태에 따라서 시청가능/시청예약가능/녹화예약가능/시청불가 등의 속성을 가지게 되므로, 해당 프로그램 내 각 실행 버튼의 활성화, 비활성화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각 프로그램의 시청가능/시청예약가능/녹화예약가능/시청불가 등의 속성은 해당 프로그램의 시그널링 정보를 기술하는 EIT, NRT-IT, NST, EGT 등으로부터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히어로즈 시즌 1이라는 이벤트 그룹 리스트 내 에피소드 2 항목에서 녹화 버튼이 활성화되어 있고, 이 녹화 버튼이 유저에 의해 선택되었으며, 현재 시간이 12월 22일 10시라고 가정하자. 그러면 상기 히어로즈 시즌 1의 에피소드 2가 방송되는 시간에 녹화가 자동으로 이루어진다. 만일, 상기 히어로즈 시즌 1의 에피소드 2가 RT 서비스로 제공되고, EIT 내 상기 히어로즈 시즌 1의 에피소드 2의 이벤트 루프에서 시작 시간이 12월 24일 21시를 지시한다면, 서비스 매니저(160)는 튜너(111)를 제어하여 12월 24일 21시에 히어로즈 시즌 1의 에피소드 2를 수신하고, PVR 매니저(170)는 수신된 히어로즈 시즌 1의 에피소드 2를 제2 저장부(125)에 저장한다. 다른 예로, 상기 히어로즈 시즌 1의 에피소드 2가 NRT 서비스로 제공되고, NRT-IT 내 상기 히어로즈 시즌 1의 에피소드 2의 콘텐트 루프에서 시작 시간이 12월 24일 21시를 지시한다면, NRT 서비스 매니저(210)는 FLUTE 세션을 제어하여 12월 24일 21시에 히어로즈 시즌 1의 에피소드 2를 다운로드한 후 제3 저장부(156)에 저장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 29의 (b)의 이벤트 그룹 리스트 내 특정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선택하면, 선택된 프로그램의 상세 텍스트 정보를 왼쪽 박스에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로, 도 29의 (b)의 이벤트 그룹 리스트 내 특정 프로그램의 타이틀을 선택하면, 도 30과 같이 별도의 화면에 선택된 프로그램의 상세 텍스트 정보와 수신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도 29의 (a)의 EPG 화면에서 특정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도 30과 같이 별도의 화면에 선택된 프로그램의 상세 텍스트 정보와 수신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30은 히어로즈 시즌 1의 에피소드 2가 선택되었을 때의 UI 화면의 일 예이다.
도 30에서 히어로즈 시즌 1의 에피소드 2는 현재 또는 미래에 세가지 방식으로 수신이 가능하고 유저는 네 가지 선택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히어로즈 시즌 1의 에피소드 2의 수신 시점, 속성 등은 해당 EGT의 링크 정보로부터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첫번째 항목은 히어로즈 시즌 1의 에피소드 2를 현재 인터넷 접속을 통하여 480i 화질로 시청이 가능함을 의미한다.
두번째 항목은 히어로즈 시즌 1의 에피소드 2를 10월 20일 AM2시부터 2시간 동안 NRT 서비스를 통하여 720p 화질로 다운로드 가능함을 의미한다.
세번째 항목은 히어로즈 시즌 1의 에피소드 2를 10월 22일 PM10시부터 1시간 동안 정규 방송을 통하여 1080i 화질로 녹화 가능함을 의미한다.
네번째 항목은 히어로즈 시즌 1의 에피소드 2를 10월 22일 PM10시부터 1시간 동안 정규 방송을 통하여 1080i 화질로 시청 가능함을 의미한다.
한편, 도 29의 (b)의 왼쪽 박스의 수퍼 그룹 리스트 화면에서 유저가 특정 이벤트 그룹을 선택한다면, 오른쪽 박스의 이벤트 그룹 리스트는 유저가 선택한 이벤트 그룹 리스트로 바뀌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예를 들어, 도 29의 (b)에서 유저가 히어로즈 시즌 2를 선택하면, 도 31과 같이 이벤트 그룹 리스트에 포함되는 프로그램 항목이 달라진다. 즉, 이벤트 그룹 리스트의 타이틀은 시즌 2로 바뀌고, 시즌 2에 포함되는 에피소드 항목들이 표시된다.
이후의 처리 과정은 전술한 히어로즈 시즌 1의 처리 과정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이벤트 그룹 리스트에 포함된 프로그램 항목들을 주어진 화면에서 모두 디스플레이할 수 없다면, 그 중 일부만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때 스크롤 기능을 이용하여 각 프로그램 항목을 볼 수 있다.
도 32는 본 발명에 따른 EPG 화면 및 상기 EPG 화면에서 구현될 수 있는 UI 화면의 다른 예를 보인 것이다. 도 32는 EPG 화면에서 커서가 이동하면서 하이라이트된 프로그램이 달라질 때마다 자동으로 하이라이트된 프로그램의 수퍼 그룹 리스트와 이벤트 그룹 리스트를 상기 EPG 화면의 하단에 디스플레이하는 예를 보이고 있다.
도 32에서도, EPG 화면 상에서, 특정 이벤트 그룹에 속한 프로그램의 경우에는 특정한 형태의 아이콘(기호)을 붙여 특정 이벤트 그룹에 속하지 않는 프로그램과 구별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이벤트 그룹에 속한 프로그램들은 서로 다른 형태의 아이콘으로 표시하거나 다른 색깔을 이용하여 표시할 수 있다.
도 32에서, EPG 화면 하단의 왼쪽 박스는 수퍼 그룹 리스트 화면의 일 예를, 오른쪽 박스는 이벤트 그룹 리스트 화면의 일 예를 보인다.
만일, EPG 화면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의 이벤트 그룹이 존재하지 않으면, 이벤트 그룹 리스트 화면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EIT 내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의 이벤트 루프에 이벤트 그룹 디스크립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의 이벤트 그룹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상기 이벤트 그룹이 포함되는 수퍼 그룹이 존재하지 않으면, 수퍼 그룹 리스트 화면은 디스플레이되지 않는다. 이때 수퍼 그룹 리스트 대신 ETT로부터 획득한 해당 프로그램의 상세 텍스트 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도 32의 EPG 화면에서 하이라이트된 프로그램의 상세 텍스트 정보를 ETT로부터 추출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의 이벤트 그룹을 위한 EGT를 이용하여 수퍼 그룹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예로, 도 32의 EPG 화면에서 하이라이트되는 프로그램이 포함되는 수퍼 그룹의 상세 텍스트 정보 또는 상기 하이라이트되는 프로그램이 포함되는 이벤트 그룹의 상세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도 32의 EPG 화면의 하단 왼쪽 박스의 수퍼 그룹 리스트에서 유저가 특정 이벤트 그룹을 선택하거나, 커서의 이동에 따라 하이라이트되는 이벤트 그룹 항목이 바뀌면, 오른쪽 박스의 이벤트 그룹 리스트는 유저가 선택한 이벤트 그룹 리스트 또는 하이라이트되는 이벤트 그룹 리스트로 바뀌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그리고 이벤트 그룹 리스트 내 특정 프로그램 항목의 타이틀을 선택하면, 도 30과 같이 별도의 화면에 선택된 프로그램의 상세 텍스트 정보와 수신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EPG 화면에서 특정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도 30과 같이 별도의 화면에 선택된 프로그램의 상세 텍스트 정보와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의 수신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2의 EPG 화면의 하단 오른쪽 박스의 이벤트 그룹 리스트 화면에서 각 프로그램 항목 옆에는 복수개의 실행 버튼을 표시하고, 해당 프로그램을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실행 버튼은 그 실행 버튼에 부여된 의미를 유저가 알 수 있도록 아이콘화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실행 버튼의 의미, 각 실행 버튼의 선택에 따른 해당 프로그램의 실행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되므로, 여기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3의 (a) 내지 (c)는 본 발명에 따른 EPG 화면 및 상기 EPG 화면에서 구현될 수 있는 UI 화면의 또 다른 예를 보인 것이다. 도 33의 (a) 내지 (d)는 EPG 화면에서 특정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선택된 프로그램의 상세 정보 화면에 관련된 다른 프로그램을 보기 위한 실행 버튼을 표시하고, 상기 실행 버튼이 선택될 때에만 EPG 화면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의 수퍼 그룹 리스트 또는 이벤트 그룹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예이다. 본 발명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상기 실행 버튼을 “관련 프로그램 보기” 버튼이라 하기로 한다.
도 33의 (a)의 EPG 화면의 설명은 도 29의 (a)의 EPG 화면의 설명을 그대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33의 (b)는 도 33의 (a)의 EPG 화면에서 선택된 프로그램의 상세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화면의 일 예이다. 상기 상세 정보는 ETT로부터 추출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33의 (b)의 상세 정보 화면 일부에 “관련 프로그램 보기” 버튼이 디스플레이되는 예를 보이고 있다.
본 발명은 선택된 프로그램이 특정 이벤트 그룹에 속하는 경우에만 상기 “관련 프로그램 보기” 버튼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상기 “관련 프로그램 보기”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에서 유저가 상기 “관련 프로그램 보기” 버튼을 선택하면 도 33의 (c)의 수퍼 그룹 리스트 또는 도 33의 (d)와 같은 이벤트 그룹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즉,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의 수퍼 그룹이 존재하면 도 33의 (c)와 같은 수퍼 그룹 리스트 화면이 디스플레이되고, 수퍼 그룹이 존재하지 않으면 도 33의 (c)의 수퍼 그룹 리스트 화면은 디스플레이되지 않고, 바로 도 33의 (d)와 같은 이벤트 그룹 리스트 화면이 디스플레이된다.
본 발명은 EIT 내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의 이벤트 루프에 이벤트 그룹 디스크립터가 포함되어 있으면,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의 이벤트 그룹이 존재한다고 판단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의 이벤트 그룹을 위한 EGT를 이용하여 수퍼 그룹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도 33의 (c)의 수퍼 그룹 리스트 화면에서 유저가 특정 이벤트 그룹을 선택하면, 도 33의 (d)의 이벤트 그룹 리스트는 유저가 선택한 이벤트 그룹 리스트로 바뀌는 것을 일 실시예로 한다.
이때 상기 수퍼 그룹 리스트 화면과 이벤트 그룹 리스트 화면은 상기와 같이 별도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도 29의 (b)와 같이 같은 화면 내에서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그리고 이벤트 그룹 리스트 내 특정 프로그램 항목의 타이틀을 선택하면, 도 30과 같이 별도의 화면에 선택된 프로그램의 상세 텍스트 정보와 수신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는 EPG 화면에서 특정 프로그램이 선택되면, 도 30과 같이 별도의 화면에 선택된 프로그램의 상세 텍스트 정보와 수신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다.
또한 도 33의 (a)의 EPG 화면의 하단 오른쪽 박스의 이벤트 그룹 리스트 화면에서 각 프로그램 항목 옆에는 복수개의 실행 버튼을 표시하고, 해당 프로그램을 다양한 방법으로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실행 버튼은 그 실행 버튼에 부여된 의미를 유저가 알 수 있도록 아이콘화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상기 실행 버튼의 의미, 각 실행 버튼의 선택에 따른 해당 프로그램의 실행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도 29 내지 도 31을 참조하면 되므로, 여기서는 상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지금까지 설명한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 자에 의해 변형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15)

  1. 서비스 가이드 화면에서 프로그램을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의 스케쥴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이벤트 정보 테이블(E IT)에 그룹 식별자가 시그널링되어 있으면, 상기 선택된 프로그램은 상기 그룹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그룹에 속한다고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그룹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그룹에 속한다고 판단된 그룹의 그룹 정보를 시그널링하는 이벤트 그룹 테이블(EGT)에 포함된 프로그램들의 그룹 리스트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이벤트 그룹 테이블은 상기 그룹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그룹에 속하는 프로그램들을 시그널링하고, 각 프로그램은 타이틀 정보와 하나 이상의 링크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정보가 EIT 이벤트, 비실시간 서비스, 웹 서비스 중 어느 하나를 지시하면, 지시된 대상에 대응하는 식별자를 지시하는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식별자는 각 이벤트에 개별적으로 적용되는 이벤트 루프 내 디스크립터에 포함되는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그룹 테이블은 상기 이벤트 정보 테이블에 포함된 그룹 식별자와 동일한 그룹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정보는 해당 링크의 타입 정보, 해당 링크의 경로 정보, 및 해당 링크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정보가 상기 EIT 이벤트를 지시하면, 상기 링크 정보에 포함된 링크의 식별자는 ETM(Extended Text Message) 식별자를 지시하는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정보가 상기 비실시간 서비스를 지시하면, 상기 링크 정보에 포함된 링크의 식별자는 서비스 식별자와 콘텐트 식별자를 지시하는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 정보가 상기 웹 서비스를 지시하면, 상기 링크 정보에 포함된 링크의 식별자는 인터넷 URL(Uniform Resource Locator)을 지시하는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그룹 리스트의 각 프로그램은 해당 링크 정보를 기반으로 시청가능, 시청예약가능, 녹화예약가능, 시청불가 중 적어도 하나의 속성을 갖는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벤트 그룹 테이블은 시그널링되는 그룹 정보가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이벤트 그룹 정보인지, 하나 이상의 이벤트 그룹을 포함하는 수퍼 그룹 정보인지를 지시하는 정보를 더 포함하는 방송 수신기의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27005017A 2009-10-25 2010-04-06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 KR101691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5474209P 2009-10-25 2009-10-25
US61/254,742 2009-10-25
PCT/KR2010/002108 WO2011049278A1 (en) 2009-10-25 2010-04-06 Method for processing broadcast program information and broadcast receive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99208A KR20120099208A (ko) 2012-09-07
KR101691836B1 true KR101691836B1 (ko) 2017-01-02

Family

ID=43899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7005017A KR101691836B1 (ko) 2009-10-25 2010-04-06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8316401B2 (ko)
EP (1) EP2460347A4 (ko)
KR (1) KR101691836B1 (ko)
CN (1) CN102668581A (ko)
WO (2) WO201104927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5614B1 (ko) 2003-09-17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션 송수신 방법
KR101691836B1 (ko) * 2009-10-25 201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
JP2011254410A (ja) * 2010-06-04 2011-12-15 Ntt Docomo Inc 放送コンテンツ送信装置及び放送コンテンツ受信装置
US20130212621A1 (en) * 2010-11-18 2013-08-15 Mark T. Corl Broadcast-enabled media hub
US20120151535A1 (en) * 2010-12-02 2012-06-14 Pradeep Ramdeo Internet television system
GB2486025B (en) * 2010-12-03 2014-09-17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searching
KR20120083820A (ko) * 2011-01-18 2012-07-26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전송 시스템에서 컨텐츠 전송 방법 및 장치
US20120204215A1 (en) * 2011-02-08 2012-08-09 Hayashi Michael T Digital video recorder (dvr) methods and apparatus
EP2684119A4 (en) * 2011-03-08 2014-10-22 Tivo Inc DISCOVERY AND MULTIMEDIA MANAGEMENT PLATFORM WITH SOURCES AND MULTIPLE DESTINATIONS
KR101804916B1 (ko) * 2011-05-04 2017-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인핸스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기능을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24991B1 (ko) * 2011-05-20 2018-0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복수개의 소스와 연결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874433B1 (ko) * 2011-06-16 2018-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시스템에서 방송 서비스 수신을 위한 시그널링 정보를 송수신하는 방법 및 장치
WO2012173387A2 (en) * 2011-06-16 2012-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ing information for reception of broadcast services in a digital broadcasting system
BR112013033318A2 (pt) * 2011-06-24 2019-09-24 Directv Group Inc método e sistema para obter dados de visualização e fornecer recomendações de conteúdo em um receptor
US9788069B1 (en) 2011-06-24 2017-10-10 The Directv Group, Inc. Method and system for recording recommended content within a user device
US8595756B2 (en) * 2011-07-15 2013-11-26 Voxlibertum S.A. System and method for selling or licensing image files
US8850492B2 (en) * 2011-07-15 2014-09-30 Blackberry Limited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livering data to a mobile electronic device
EP2993814B1 (en) * 2011-08-29 2020-04-22 Sony Corporation Ait transmission apparatus and method, reception apparatus and receiving method
EP3518442B1 (en) 2011-10-13 2021-08-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multimedia service
US9118965B1 (en) * 2011-10-26 2015-08-25 Cox Communications, Inc. Virtual video channels
US9313546B2 (en) * 2011-12-02 2016-04-12 Sony Corporatio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CN104081759B (zh) * 2012-02-07 2018-01-16 索尼公司 接收设备和接收方法
US20130276046A1 (en) * 2012-04-13 2013-10-17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eceiving apparatus for receiving a plurality of signals through different paths and method for processing signals thereof
US8949909B2 (en) * 2012-08-24 2015-02-03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Resolution of tuner conflicts
US9264648B2 (en) * 2012-10-09 2016-02-16 Sony Corporation Receiving device, receiving method,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 method
US8799957B2 (en) * 2012-11-08 2014-08-05 Motorola Mobility Llc Electronic program guide with display of alternative-source multimedia program options and estimated availability parameters
US8719891B1 (en) * 2012-12-31 2014-05-06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Methods and systems for providing promotional content based on a migration of a user account from a first digital video recording (“DVR”) system to a second DVR system
US9715902B2 (en) * 2013-06-06 2017-07-25 Amazon Technologies, Inc. Audio-based annotation of video
USD757028S1 (en) 2013-08-01 2016-05-24 Palantir Technologies In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graphical user interface
CN103677541A (zh) * 2013-12-25 2014-03-26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对含链接的显示页面中移动光标位置设置的方法和系统
JP6724782B2 (ja) * 2014-09-04 2020-07-15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送信方法、受信装置および受信方法
CN113921020A (zh) * 2014-09-30 2022-01-11 索尼公司 发送装置、发送方法、接收装置和接收方法
US10200415B2 (en) 2014-11-12 2019-02-05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pparatus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method for transmitting broadcast signal and method for receiving broadcast signal
US9654755B2 (en) * 2015-01-09 2017-05-16 Vixs Systems, Inc. Dynamic range converter with logarithmic convers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9589313B2 (en) * 2015-01-09 2017-03-07 Vixs Systems, Inc. Dynamic range converter with pipelined architecture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US9860504B2 (en) 2015-01-09 2018-01-02 Vixs Systems, Inc. Color gamut mapper for dynamic range conversion and methods for use therewith
EP3255895B1 (en) * 2015-02-02 2023-05-31 Maxell, Lt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content outputting method
WO2016129868A1 (ko) 2015-02-10 2016-08-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신 장치, 방송 신호 수신 장치, 방송 신호 송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방법
CN105704577A (zh) * 2015-05-08 2016-06-22 深圳Tcl数字技术有限公司 终端功能的配置方法及装置
US10003420B2 (en) * 2015-06-18 2018-06-19 Rovi Guides, Inc. Methods and systems for suggesting additional content
TW201731853A (zh) 2015-10-23 2017-09-16 艾斯提夫博士實驗股份有限公司 具有抗疼痛活性之氧雜-二氮雜螺環化合物
US9894396B1 (en) * 2017-03-06 2018-02-13 Tribune Broadcasting Company, Llc Media production system with dynamic modification of multiple media items
US11647178B2 (en) * 2020-02-07 2023-05-09 Sony Corporation Digital television rendering verific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317A (ja) * 2000-04-25 2001-11-02 Jisedai Joho Hoso System Kenkyusho:Kk 番組配列情報記述方法、及び番組配列情報受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18441A (en) * 1995-06-15 1998-10-06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imulating two-way connectivity for one way data streams
JP3698273B2 (ja) * 1995-07-20 2005-09-21 ソニー株式会社 電子番組ガイド伝送装置および方法、電子番組ガイド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電子番組ガイド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
US5918039A (en) * 1995-12-29 1999-06-29 Wyse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isplay of windowing application programs on a terminal
US6035304A (en) * 1996-06-25 2000-03-0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System for storing and playing a multimedia application adding variety of services specific thereto
US20030066085A1 (en) * 1996-12-10 2003-04-0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A Corporation Of Delaware Internet television program guide system
US6256785B1 (en) * 1996-12-23 2001-07-03 Corporate Media Patner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interactive look-and-feel in a digital broadcast via an X-Y protocol
US6031577A (en) * 1997-07-10 2000-02-2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Inc. System for forming and processing program specific information containing text data for terrestrial, cable or satellite broadcast
US6111611A (en) * 1997-07-10 2000-08-29 Thomson Consumer Electronics System for forming and processing program specific information suitable for terrestrial, cable or satellite broadcast
EP0899955A3 (en) * 1997-08-27 2001-01-3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Control information generating apparatus for broadcast system
US6459427B1 (en) * 1998-04-01 2002-10-01 Liberate Technologies Apparatus and method for web-casting over digital broadcast TV network
AU761964B2 (en) 1998-05-11 2003-06-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Broadcasting transmitter and receiver
US7536706B1 (en) * 1998-08-24 2009-05-19 Sharp Laboratories Of America, Inc. Information enhanced audio video encoding system
KR20070022885A (ko) * 1999-10-26 2007-02-27 마쯔시다덴기산교 가부시키가이샤 저장형 디지털 방송의 송신 장치 및 송신 방법
JP3929224B2 (ja) * 1999-12-21 2007-06-13 株式会社日清製粉グループ本社 微粉体精密分散供給装置
US20060064716A1 (en) * 2000-07-24 2006-03-23 Vivcom, Inc. Techniques for navigating multiple video streams
US20040205698A1 (en) * 2000-12-29 2004-10-14 Schliesmann Barry Edward System and method for event driven programming
US7743397B2 (en) * 2001-01-17 2010-06-22 Lg Electronics Inc. Digital television signal, digital television receiver, and method of processing digital television signal
GB0108355D0 (en) * 2001-04-03 2001-05-23 Gemstar Dev Ltd Retrospective electronic program guide
US7073189B2 (en) * 2002-05-03 2006-07-04 Time Warner Interactive Video Group, Inc. Program guide and reservation system for network based digital information and entertainment storage and delivery system
KR100468163B1 (ko) * 2002-06-22 2005-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수신기 및 그 스트림 생성방법
JP4047124B2 (ja) * 2002-10-08 2008-02-13 キヤノン株式会社 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WO2004047440A2 (en) * 2002-11-18 2004-06-03 United Video Propert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real-time services in an interactive television program guide application
US7895337B2 (en) * 2002-12-26 2011-02-22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of generating a content aware interface
US8418202B2 (en) * 2004-04-14 2013-04-09 Comcast Cable Holdings, Llc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on-demand viewing
US20050240963A1 (en) * 2004-04-21 2005-10-27 Showtime Networks, Inc. Interactive gateway
GB0420531D0 (en) * 2004-09-15 2004-10-20 Nokia Corp File delivery session handling
KR100689479B1 (ko) * 2005-02-15 2007-03-0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방송을 위한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 제공 방법
KR20060091575A (ko) * 2005-02-16 2006-08-21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방송 프로그램 녹화 장치 및 방법
JP4003233B2 (ja) * 2005-02-22 2007-11-07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KR20080039520A (ko) * 2005-09-07 2008-05-07 노키아 코포레이션 지역화 된 방송을 위한 디지털 모바일 방송 서비스가이드에서 셀의 시그널링
KR100745251B1 (ko) 2005-10-11 2007-08-01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채널 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KR20070064871A (ko) * 2005-12-19 2007-06-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케이블 방송의 소프트웨어 수신 방법 및 소프트웨어 전송방법
US8561109B2 (en) * 2006-04-03 2013-10-15 Alcatel Lucent Method and system for aggregating TV program information from different live TV feeds
KR101227499B1 (ko) * 2006-04-28 2013-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장치
KR20070115121A (ko) 2006-05-30 2007-1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Psip에서 방송 프로그램의 실시간 정보에 관한 방송신호, 상기 방송 신호를 제어하는 방법 및 이를 처리하는방송 수신기
JP4886032B2 (ja) * 2006-06-02 2012-02-29 テレフオンアクチーボラゲット エル エム エリクソン(パブル) マルチキャスト配信
KR100956825B1 (ko) * 2007-01-04 2010-05-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리뷰 컨텐츠 수신방법 및 iptv 수신기
US20080268829A1 (en) * 2007-04-24 2008-10-3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user personalized mobile video program list population
KR101486357B1 (ko) * 2007-07-12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송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JP2009033618A (ja) * 2007-07-30 2009-02-12 Victor Co Of Japan Ltd 映像インデックス生成装置、映像インデックス生成方法、及び映像インデックス生成プログラム
US20110225609A1 (en) * 2007-08-08 2011-09-15 Thomson Licensing, LLC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program availability
US20090064224A1 (en) * 2007-08-29 2009-03-05 Himax Technologies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 program guide
US8107977B2 (en) * 2007-09-07 2012-01-31 United Video Properties, Inc. Cross-platform messaging
KR100936237B1 (ko) 2007-12-10 2010-01-1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디지털 방송 시스템 및 그의 방송 서비스 방법
KR20090069689A (ko) * 2007-12-26 2009-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비스 가이드 정보 처리 방법 및 서비스 가이드 정보 처리장치
KR101581354B1 (ko) * 2008-03-07 2015-12-30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KR101580516B1 (ko) * 2008-04-07 2015-12-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방송 신호 수신 방법 및 방송 신호 수신 장치
JP2010041492A (ja) * 2008-08-06 2010-02-18 Renesas Technology Corp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およびそれに使用される半導体集積回路
US8572651B2 (en) * 2008-09-22 2013-10-29 EchoStar Technologies,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esenting supplemental information in an electronic programming guide
US8099752B2 (en) * 2008-12-03 2012-01-17 Sony Corporation Non-real time services
US9043829B2 (en) * 2009-10-07 2015-05-26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Synchronization of user interactive events with on-screen events during playback of multimedia stream
KR101691836B1 (ko) * 2009-10-25 2017-0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09317A (ja) * 2000-04-25 2001-11-02 Jisedai Joho Hoso System Kenkyusho:Kk 番組配列情報記述方法、及び番組配列情報受信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1049337A2 (ko) 2011-04-28
US20120284749A1 (en) 2012-11-08
US8316401B2 (en) 2012-11-20
EP2460347A4 (en) 2014-03-12
US20110099579A1 (en) 2011-04-28
WO2011049337A3 (ko) 2011-11-03
KR20120099208A (ko) 2012-09-07
CN102668581A (zh) 2012-09-12
EP2460347A1 (en) 2012-06-06
WO2011049278A1 (en) 2011-04-28
US20150229988A1 (en) 2015-08-13
US9143822B2 (en) 2015-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836B1 (ko) 프로그램 정보 처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
KR101695820B1 (ko) 비실시간 서비스 처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
KR101706956B1 (ko) 비실시간 서비스 처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
KR101759958B1 (ko) 비실시간 서비스 처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
KR101781889B1 (ko) 비실시간 서비스 처리 방법 및 방송 수신기
US10070188B2 (en) Method of processing non-real time service and broadcast receiv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1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