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91104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1104B1
KR101691104B1 KR1020100072602A KR20100072602A KR101691104B1 KR 101691104 B1 KR101691104 B1 KR 101691104B1 KR 1020100072602 A KR1020100072602 A KR 1020100072602A KR 20100072602 A KR20100072602 A KR 20100072602A KR 101691104 B1 KR101691104 B1 KR 101691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opening
state
cover
sl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72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10922A (ko
Inventor
이연주
김재철
지형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72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1104B1/ko
Priority to US13/088,115 priority patent/US8537528B2/en
Priority to TW100113562A priority patent/TWI469721B/zh
Priority to EP11003565.6A priority patent/EP2413573B1/en
Priority to CN201110197238.4A priority patent/CN102348001B/zh
Publication of KR201200109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109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1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1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16Mechanical arrangements for accommodating identification devices, e.g. cards or chips; with connectors for programming identification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06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 H04M1/0208Portable telephones comprising a plurality of mechanically joined movable body parts, e.g. hinged housings characterized by the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5Slidable or telescopic telephones, i.e. with a relative translation movement of the body parts; Telephones using a combination of translation and other relative motions of the body parts
    • H04M1/0237Sliding mechanism with one degree of freedo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battery compart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1Locks; La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30Batteries in portable systems, e.g. mobile phone, lapto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일단에 상기 내부공간을 개방하는 제1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배터리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된 제1 상태와 외부로 노출된 제2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1 개구를 관통하여 슬라이드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개구를 막도록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본 발명은 배터리가 분리가능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의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하드웨어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후면에는 배터리의 교체 등을 위하여 배터리 커버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기도 한다. 그러나 이러한 배터리 커버의 형상 또는 구조는 단말기의 미관을 저해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한 것으로서, 케이스들의 경계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면서도, 케이스의 구성을 심플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데 그 기술적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일단에 상기 내부공간을 개방하는 제1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배터리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된 제1 상태와 외부로 노출된 제2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1 개구를 관통하여 슬라이드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개구를 막도록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슬라이드부는, 윈도우가 배치되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부재와,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양측면에서 상기 케이스의 후면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한정하는 돌출부재, 및 상기 돌출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일단에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전면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와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수직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개구를 덮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연장부는 장착실 및 덮개를 포함한다. 장착실은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케이스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리세스되며, 장착실에는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제1 상태에서 록킹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되는 록킹유닛이 장착된다. 덮개는 상기 장착실을 덮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돌출부재에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되는 스토퍼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제1 개구에는 상기 스토퍼 돌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걸림 부재가 장착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개구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는 상기 제1 개구를 한정하는 폐루프가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는 압출성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폐루프가 일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타단에는 상기 제1 개구를 마주보는 제2 개구가 형성된다. 상기 제2 개구에는 상기 제2 개구를 막도록 형성되는 커버 케이스가 장착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커버부의 전면, 측면 및 후면은 각각 상기 케이스의 전면, 측면 및 후면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다. 상기 케이스의 전면, 측면 및 후면이 서로 경계없이 연속되도록 상기 케이스는 단일체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슬라이더는 록킹모듈을 포함한다. 록킹모듈은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제1 상태에서 록킹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되는 록킹유닛을 구비한다. 상기 록킹모듈은,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며 상기 록킹유닛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부와, 상기 록킹유닛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림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후크부, 및 상기 록킹유닛이 회전하여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홈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상기 커버부의 일면에 상기 록킹유닛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커버부의 측면상에 배치되며 상기 후크부가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의 측면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조작버튼, 및 상기 록킹유닛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록킹유닛을 가압하도록 상기 조작버튼에서 상기 커버부의 내부로 돌출되는 조작돌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다른 일 예로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윈도우가 장착되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상기 윈도우와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적층된다.
또한, 본 발명은,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양단에 상기 내부공간을 개방하는 제1 개구 및 제2 개구가 각각 형성되는 케이스와, 상기 제1 개구를 막도록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서 상기 제1 개구를 관통하도록 연장되고 배터리를 수용하며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드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개구를 막도록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보조 케이스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개시한다. 상기 커버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1 개구를 덮도록 형성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에서 상기 케이스와 멀어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록킹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에 걸림되는 록킹유닛이 장착되는 연장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의하면, 케이스의 개구를 관통하는 슬라이더를 통하여, 면상에 파팅 라인(케이스간의 경계)이 형성되지 않는 단말기의 케이스가 구현된다.
또한, 본 발명은 양단에 개구들이 형성되고, 폐루프가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케이스 형상을 통하여, 압출에 의한 케이스 성형을 가능하게 한다. 이를 통하여, 케이스의 제조비가 보다 저렴하게 되며, 알루미늄 케이스가 대량 생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슬라이더의 슬라이딩에 의하여 배터리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배터리의 장착 및 탈착을 보다 용이하게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단말기가 보다 슬림화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모습을 보인 전면 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
도 4는 도 3의 이동 단말기에서 슬라이더가 슬라이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5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분리도.
도 6은 도 4의 슬라이더의 후면 사시도.
도 7은 도 2의 라인 Ⅶ-Ⅶ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8은 도 2의 라인 Ⅷ-Ⅷ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9는 도 8의 이동 단말기에서 슬라이더가 슬라이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10a, 도 10b 및 도 10c는 각각 도 8의 A 부분의 확대도, 조작부의 동작도 및 로킹모듈의 확대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술사상은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A/V(Audio/Video) 입력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싱부(140), 출력부(150), 메모리부(160), 인터페이스부(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기를 나타내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고, 그 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서도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요소들에 대해 차례로 살펴본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간의 무선 통신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웍간의 무선 통신을 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및 위치정보 모듈(115)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방송 관련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각종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데, 특히, DMB-T(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Terrestrial), DMB-S(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Satellite), MediaFLO(Media Forward Link Only),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 ISDB-T(Integrated Services Digital Broadcast-Terrestrial) 등의 디지털 방송 시스템을 이용하여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술한 디지털 방송 시스템뿐만 아니라 방송 신호를 제공하는 모든 방송 시스템에 적합하도록 구성된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부(160)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얻기 위한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모듈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현재 기술에 의하면, 상기 GPS모듈(115)은 3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떨어진 거리 정보와 정확한 시간 정보를 산출한 다음 상기 산출된 정보에 삼각법을 적용함으로써, 위도, 경도, 및 고도에 따른 3차원의 현 위치 정보를 정확히 산출할 수 있다. 현재, 3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위치 및 시간 정보를 산출하고, 또다른 1개의 위성을 이용하여 상기 산출된 위치 및 시간 정보의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GPS 모듈(115)은 현 위치를 실시간으로 계속 산출함으로써 속도 정보를 산출할 수 있다.
한편, A/V(Audio/Video) 입력부(12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카메라(121)와 마이크(12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카메라(121)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121)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부(160)에 저장되거나 무선 통신부(11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121)는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도 있다.
마이크(122)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이동통신 모듈(112)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마이크(122)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151)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기(1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기의 방위, 이동 단말기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기(1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19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17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한편, 상기 센싱부(140)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나중에 터치스크린과 관련되어 후술된다.
인터페이스부(17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에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부(17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또한, 인터페이스부는 이동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단말기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도 있다.
출력부(15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alarm)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 모듈(152), 및 알람 ㅊ출력 모듈(15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그리고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터치스크린의 내부 또는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근접 센서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상기 근접 센서가 굳이 장착되지 않더라도, 상기 터치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는 상기 포인터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포인터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부(16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153)는 이동 단말기(1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153)은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호 신호가 수신되거나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이를 알리기 위해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키 신호가 입력된 경우, 키 신호 입력에 대한 피드백으로 알람부(153)은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진동 출력을 통해 사용자는 이벤트 발생을 인지할 수 있다. 물론 이벤트 발생 알림을 위한 신호는 디스플레이부(151)이나 음성 출력 모듈(15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제어부(18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메모리부(160)에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부(1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부(1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80)는 멀티 미디어 재생을 위한 멀티미디어 모듈(181)을 구비할 수도 있다. 멀티미디어 모듈(181)은 제어부(180) 내에 구현될 수도 있고, 제어부(180)와 별도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2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전면 모습을 보인 전면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개시된 이동 단말기(200)는 바 형태의 단말기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단말기바디는 단말기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케이스(201)는 프론트 케이스와 리어 케이스의 구분없이 일체로 이루어진다. 케이스(201)에 의하여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케이스(201)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케이스(201)는 압출, 인발 또는 드로잉에 의하여 성형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케이스(201)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251) 및 음향출력부(211)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이페이퍼(e-paper) 등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51)는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할 수 있게 터치감지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부(251) 상의 어느 한 곳에 대하여 터치가 있으면 그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내용이 입력된다. 터치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터치감지수단은 디스플레이부(251)가 보일 수 있도록 투광성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밝은 곳에서 터치스크린의 시인성(visibility)을 높이기 위한 구조가 포함될 수 있다.
음향출력부(211)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 또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음향출력부(211)와 반대되는 위치에 음향입력부(217)가 배치된다. 음향입력부(217)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케이스(201)의 측면에는 사이드키(212) 및 인터페이스부(221)등이 배치된다.
사이드키(212)는 조작유닛으로 통칭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기(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게 되어 있다. 사이드키(212)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키(212)에 의하여, 영상입력부(218)의 제어, 음향출력부(211)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또는 디스플레이부(2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단말기바디의 측면에는 인터페이스부(221)가 배치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221)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2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단말기바디의 상단면 또는 하단면에는 인터페이스부(221)의 일종으로서 이어셋을 연결하기 위한 잭(미도시) 및 적외선 통신을 위한 적외선 포트(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단말기바디의 전면 또는 후면에는 영상입력부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의하면 영상입력부(218)가 케이스(201)의 후면에 배치된 것을 보이고 있다. 케이스(201)의 전면에 영상입력부(218)가 별도로 배치될 수 있으며, 이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기 위한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영상입력부(218)는, 예를 들어 카메라가 될 수 있다.
영상입력부(21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미도시)와 거울(미도시)이 추가로 배치된다. 플래쉬는 카메라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은 사용자가 영상입력부(21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단말기바디에는 이동 단말기(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가 형성된다. 전원 공급부는 케이스(201)에 내장되며, 일 예로 이동 단말기(200)의 내부에는 장착되어 적어도 일 구성요소에 전기를 공급하는 배터리(291, 도 4 참조)가 될 수 있다.
배터리(291)는 케이스(201)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 상태(도 4 참조)에 각각 놓여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하여 배터리의 배치 상태를 변화시키는 메커니즘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도 3의 이동 단말기에서 슬라이더가 슬라이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4과 같이, 배터리(291)가 외부로 노출된 상태는 제2 상태라 칭해질 수 있으며, 배터리(291)가 케이스(201)의 내부공간에 배치된 상태(도 3 참조)는 제1 상태라 칭해질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케이스(201)는 일단에 내부공간을 개방하는 제1 개구(202)가 형성되며, 제1 개구(202)에는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슬라이더(300)가 삽입된다. 슬라이더(300)는 케이스(201)에 장착되고, 배터리(291)를 수용하도록 이루어지며, 제1 및 제2 상태 사이에서 제1 개구(202)를 관통하여 슬라이드하도록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더(300)의 배터리를 수용하는 부분은 제1 상태에서 케이스(201)의 내부공간에 위치하다가, 슬라이더(300)와 함께 이동하여 제2 상태에서 외부로 노출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말기바디에 대한 슬라이더(300)의 '이동'으로서 슬라이딩을 예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않는다. 예를 들어, 슬라이더(300)는 단말기바디에 대해 스윙(swing) 또는 스위블(swivel)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제2 상태에서 주로 대기 모드로 작동하지만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도 5는 도 2의 이동 단말기의 분리도이고, 도 6은 도 4의 슬라이더의 후면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2의 라인 Ⅶ-Ⅶ 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케이스(201)는 동일 단면이 일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형성된다. 예를 들어, 케이스(201)는, 알루미늄으로 이루어지며 압출성형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케이스(201)의 일단에는 제1 개구(202)를 한정하는 폐루프(202a, 도 4 참조)가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201)의 타단에는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개방하는 제2 개구(203)가 형성될 수 있다. 즉, 케이스(201)는 압출성형이 가능하도록 폐루프(202a)가 일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형성되며, 제1 및 제2 개구(202, 203)는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다. 또한, 케이스(201)는 압출성형에 적합하도록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케이스(201)의 전면, 측면 및 후면이 서로 경계없이 연속되도록 상기 케이스(201)는 단일체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면상에 파팅 라인(케이스간의 경계)이 형성되지 않는 단말기의 케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케이스(201)에는 제2 개구(203)를 막도록 보조 케이스(204)가 장착된다. 보조 케이스(204)는 외관이 케이스(201)의 타단의 단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를 통하여 제2 개구(203)를 덮은 상태에서 케이스(201)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형성된다.
도시에 의하면, 케이스(201)의 전면에는 윈도우(251b)가 장착된다. 예를 들어, 케이스(201)에는 윈도우홀(251a)이 형성되고, 윈도우(251b)가 윈도우홀(251a)에 대응하도록 배치된다.
윈도우(251b)는 빛이 투과할 수 있는 소재, 예를 들어 광투과성 합성수지, 강화 유리 등으로 구성된다. 다만 윈도우(251b)는 빛이 투과할 수 없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은 빛이 투과할 수 없는 소재이거나 빛이 투과할 수 없도록 표면 처리된 영역이다. 윈도우(251b)에는 음향출력부(211)에 대응하는 음향홀(211a)이 형성될 수 있다. 음향홀(211a)을 마주보도록 스피커 또는 리시버 등이 배치된다.
도시에 의하면, 케이스(201)의 내부공간에는 윈도우(251b)와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251c)가 배치된다. 디스플레이(251c)는 시각 정보를 표시하도록 이루어지며,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등이 될 수 있다. 윈도우(251b) 및 디스플레이(251c)는 서로 조합되어 디스플레이부(251, 도 2 참조)를 구성할 수 있다.
도시에 의하면, 슬라이더(300)가 디스플레이(251c)와 적층되도록 배치되며, 케이스(201)의 내부에 슬라이딩하도록 장착된다. 슬라이더(300)는 제1 상태와 제2 상태 사이에서 제1 개구(202)를 관통하여 슬라이드하도록 형성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슬라이더(300)는 슬라이드부(310) 및 커버부(320)를 포함한다.
커버부(320)는 제1 개구(202)를 막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드부(310)는 커버부(320)에서 제1 개구(202)를 관통하도록 연장되며 케이스(201)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슬라이드부(320)는 배터리(291, 도 4 참조)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슬라이딩을 통하여 케이스(201)의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되도록 형성된다. 즉, 슬라이드부(320)는 제1 상태에서 디스플레이(251c)와 적층되며, 제2 상태에서 케이스(201)의 길이방향을 따라 디스플레이(251c)로부터 벗어나게 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슬라이드부(310)는 슬라이드 부재(311), 돌출부재(312) 및 가이드부재(313)를 포함한다.
슬라이드 부재(311)는 케이스(201)의 전면 및 후면과 평행하게 형성된다. 예를 들어, 슬라이드 부재(311)는 판 부재로 이루어지며, 제1 상태에서 디스플레이(251c)에 적층되도록 제1 개구(202)를 통하여 케이스(201)의 내부공간으로 삽입된다.
돌출부재(312)는 슬라이드 부재(311)의 양측면에서 케이스(201)의 후면을 향하여 돌출된다. 돌출부재(312)는 상기 돌출에 의하여 배터리(291, 도 4 참조)를 수용하는 수용실(291a)을 한정한다. 수용실(291a)은 배터리가 안착되도록 리세스된 형태를 이루며, 수용실(291a)에는 배터리(291)와 접속되는 접속단자가 설치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313)는 돌출부재(312)에 형성되며, 케이스(201)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205)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케이스(201)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레일(205)이 형성되며,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가이드 레일(205)은 케이스(201)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이어진다. 이를 통하여 압출성형으로 간단하게 가이드 레일(205)이 구현될 수 있다.
가이드부재(313)는 가이드 레일(205)에 삽입되며, 가이드 레일(205)을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돌출부재(312)의 면상에서 돌출되어 슬라이딩방향으로 연장된다.
다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커버부(320)는 제1 상태에서 케이스(201)의 내부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제1 개구(202)에 걸리도록 형성된다. 즉, 커버부(320)가 슬라이드 부재(311)의 스토퍼 역할을 하게 된다.
도시에 의하면, 커버부(320)는 수직부(321) 및 연장부(322)를 포함한다.
수직부(321)는 제1 개구(202)를 덮도록 슬라이드부(310)의 일단에서 슬라이딩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수직부(321)는 슬라이드 부재(311)의 일단에서 슬라이드 부재(311)의 전면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며, 제1 상태에서 제1 개구(202)를 덮도록 배치된다. 또한, 수직부(321)는 폐루프(202a)의 외주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를 통하여 수직부(321)의 외면은 제1 개구(202)를 덮은 상태에서 케이스(201)의 전면, 측면 또는 후면으로 돌출되지 않게 된다.
연장부(322)는 수직부(321)에서 슬라이더(30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케이스(201)와 멀어지도록 연장된다. 연장부(322)는 부품이 배치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을 구비하며, 외면이 케이스(201)의 전면, 측면 및 후면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된다. 이를 통하여, 커버부(320)의 전면, 측면 및 후면은 각각 케이스(201)의 전면, 측면 및 후면으로부터 동일한 높이로 이어질 수 있다.
연장부(322)는 장착실(322a) 및 덮개(322b)로 이루어진다.
장착실(322a)은 부품이 장착될 있는 내장공간을 의미하여, 연장부(322)의 단부에서 케이스(201)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리세스되도록 이루어지며, 덮개(322b)는 장착실(322a)을 덮도록 형성된다.
슬라이더(300)는 커버부(320)에 장착되는 록킹모듈(330)을 구비하고, 록킹모듈(330)은 장착실(322a)에 장착되며 슬라이더(300)를 제1 상태에서 록킹시키도록 케이스(201)의 적어도 일부 걸림되는 록킹유닛(331)을 포함한다. 또한, 슬라이더(300)는 제2 상태에서 슬라이딩이 멈춤되도록 걸림부재(341)를 구비한다. 이하, 상기 록킹모듈(330) 및 걸림부재(341)의 구조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도 2의 라인 Ⅷ-Ⅷ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8의 이동 단말기에서 슬라이더가 슬라이딩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며, 도 10a는 도 8의 A 부분의 확대도이고, 도 10b는 도 10a의 조작부의 동작도이며, 도 10c는 록킹모듈의 확대도이다.
도 8, 도 10a 내지 10c를 참조하면, 록킹모듈(330)은 베이스부(332), 후크부(333) 및 조작부(334)를 포함한다.
베이스부(332)는 커버부(320)에 장착되며, 록킹모듈(330)의 각 요소들이 결합되는 브래킷을 형성한다. 예를 들어, 베이스부(332)는 장착실(322a)에 삽입되도록 이루어지며, 베이스부(332)에는 록킹유닛(331)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록킹유닛(331)은 커버부(320)의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도록 복수로 구비되며, 베이스부(332)의 양단에 각각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록킹유닛(331)은 일단이 힌지결합에 의하여 베이스부(332)에 장착된다.
후크부(333)는 록킹유닛(331)의 타단에 형성되며, 커버부(320)의 수직부(321)에 구비된 관통홀(321a)을 관통하고 커버부(320)에서 연장되어, 케이스(201)에 형성되는 걸림홈(206)에 걸림가능하도록 이루어진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걸림홈(206)은 가이드 레일(205)의 단부에 장착되는 걸림부재(341)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어 걸림홈(206)은 케이스(201)의 내측면에서 케이스(202)의 외측면을 향하는 방향으로 리세스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조작부(334)는 록킹유닛(331)이 회전하여 후크부(333)가 걸림홈(206)에 걸림 또는 걸림 해제되도록 커버부(320)의 일면에 상기 록킹유닛(331)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작부(334)는 조작버튼(334a) 및 조작돌기(334b)를 포함한다.
조작버튼(334a)은 커버부(320)의 측면상에 배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조작버튼(334a)은 복수로 구비되어 커버부(320)의 양측면에 각각 장착되며, 후크부(333)가 걸림된 상태에서 커버부(320)의 측면과 동일평면을 형성한다. 이를 통하여 제1 상태에서 케이스(201)와 일체적인 외관을 형성하게 된다.
조작돌기(334b)는 록킹유닛(331)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록킹유닛(331)을 가압하도록 조작버튼(334a)에서 커버부(320)의 내부로 돌출된다. 예를 들어, 스프링(334c)의 내부에 조작돌기(334b)가 삽입되며, 스프링(334c)이 록킹유닛(331)을 지지함에 따라, 조작버튼(334a)은 사용자의 조작 후에 원래의 위치로 복원될 수 있다.
도 9를 도 6과 함께 참조하면, 슬라이더(300)는 걸림부재(341) 및 스토퍼 돌기(342)에 의하여 제2 상태에서 슬라이딩이 멈춤된다.
슬라이드부(310)의 돌출부재(312)에는 제2 상태에서 케이스(201)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되는 스토퍼 돌기(342)가 형성된다. 스토퍼 돌기(342)는 돌출부재(312)의 면상에서 케이스(201)의 내부공간을 향하여 돌출된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케이스(201)의 제1 개구(202)에는 스토퍼 돌기(342)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걸림부재(341)가 장착된다. 걸림부재(341)는 적어도 일부가 슬라이딩방향으로 스토퍼 돌기(342)와 오버랩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도시에 의하면, 록킹유닛(331)이 걸림되는 걸림홈(206)은 걸림부재(341)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에 의하면, 파팅 라인이 없는 케이스에서 배터리의 장탈착 메커니즘이 보다 간단하게 구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0)

  1.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일단에 상기 내부공간을 개방하는 제1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배터리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된 제1 상태와 외부로 노출된 제2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1 개구를 관통하여 슬라이드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부; 및
    상기 슬라이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개구를 막도록 형성되는 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드부는,
    윈도우가 배치되는 상기 케이스의 전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슬라이드 부재;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양측면에서 상기 케이스의 후면을 향하여 돌출되며,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는 수용실을 한정하는 돌출부재; 및
    상기 돌출부재에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는 가이드 레일에 슬라이드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일단에서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전면과 수직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에서 상기 슬라이더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상기 케이스와 멀어지도록 연장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개구를 덮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장부는,
    상기 연장부의 단부에서 상기 케이스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리세스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제1 상태에서 록킹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되는 록킹유닛이 장착되는 장착실; 및
    상기 장착실을 덮도록 형성되는 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재에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되는 스토퍼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개구에는 상기 스토퍼 돌기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걸림 부재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슬라이드 부재의 일단과 연결되며,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는 방향으로 상기 제1 개구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레일은 상기 케이스의 내측면을 따라 상기 케이스의 일단으로부터 타단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0. 청구항 10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일단에는 상기 제1 개구를 한정하는 폐루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1. 청구항 11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압출성형이 가능하도록 상기 폐루프가 일방향으로 연장됨에 따라 형성되며, 상기 케이스의 타단에는 상기 제1 개구를 마주보는 제2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2. 청구항 12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개구에는 상기 제2 개구를 막도록 형성되는 커버 케이스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3. 청구항 13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의 전면, 측면 및 후면은 각각 상기 케이스의 전면, 측면 및 후면과 동일 평면상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4. 청구항 14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 측면 및 후면이 서로 경계없이 연속되도록 상기 케이스는 단일체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5. 청구항 15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일단에 상기 내부공간을 개방하는 제1 개구가 형성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며, 배터리가 상기 내부공간에 배치된 제1 상태와 외부로 노출된 제2 상태 사이에서 상기 제1 개구를 관통하여 슬라이드하도록 형성되는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는,
    상기 배터리를 수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내부공간으로부터 인출되도록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되는 슬라이드부;
    상기 슬라이드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개구를 막도록 형성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제1 상태에서 록킹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의 적어도 일부에 걸림되는 록킹유닛을 구비하는 록킹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록킹모듈은,
    상기 커버부에 장착되며, 상기 록킹유닛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베이스부;
    상기 록킹유닛의 타단에 형성되며, 상기 커버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케이스에 형성되는 걸림홈에 걸림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후크부; 및
    상기 록킹유닛이 회전하여 상기 후크부가 상기 걸림홈에 걸림 또는 걸림해제되도록 상기 커버부의 일면에 상기 록킹유닛을 가압하는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장착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6. 삭제
  17. 청구항 17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는,
    상기 커버부의 측면상에 배치되며, 상기 후크부가 걸림된 상태에서 상기 커버부의 측면과 동일평면을 이루는 조작버튼; 및
    상기 록킹유닛의 양단 사이에서 상기 록킹유닛을 가압하도록 상기 조작버튼에서 상기 커버부의 내부로 돌출되는 조작돌기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18. 청구항 18은(는) 설정등록료 납부시 포기되었습니다.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전면에는 윈도우가 장착되고, 상기 내부공간에는 상기 윈도우와 대응하도록 디스플레이가 배치되며,
    상기 슬라이드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19. 내부공간을 구비하고, 양단에 상기 내부공간을 개방하는 제1 개구 및 제2 개구가 각각 형성되는 케이스;
    상기 제1 개구를 막도록 형성되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에서 상기 제1 개구를 관통하도록 연장되고 배터리를 수용하며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딩가능하도록 장착되는 슬라이드부를 구비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제2 개구를 막도록 상기 케이스에 장착되는 보조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커버부는,
    상기 슬라이드부의 일단에서 상기 제1 개구를 덮도록 형성되는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에서 상기 케이스와 멀어지도록 연장되며, 상기 슬라이더를 록킹시키도록 상기 케이스에 걸림되는 록킹유닛이 장착되는 연장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0. 삭제
KR1020100072602A 2010-07-27 2010-07-27 이동 단말기 KR1016911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602A KR101691104B1 (ko) 2010-07-27 2010-07-27 이동 단말기
US13/088,115 US8537528B2 (en) 2010-07-27 2011-04-15 Mobile terminal
TW100113562A TWI469721B (zh) 2010-07-27 2011-04-19 行動終端機
EP11003565.6A EP2413573B1 (en) 2010-07-27 2011-05-02 Mobile terminal with sliding battery compartment
CN201110197238.4A CN102348001B (zh) 2010-07-27 2011-07-14 移动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72602A KR101691104B1 (ko) 2010-07-27 2010-07-27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10922A KR20120010922A (ko) 2012-02-06
KR101691104B1 true KR101691104B1 (ko) 2016-12-30

Family

ID=447726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72602A KR101691104B1 (ko) 2010-07-27 2010-07-27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37528B2 (ko)
EP (1) EP2413573B1 (ko)
KR (1) KR101691104B1 (ko)
CN (1) CN102348001B (ko)
TW (1) TWI4697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774716B2 (en) * 2012-03-29 2014-07-08 Auden Techno Corp. Mobile terminal extension case
KR200469643Y1 (ko) * 2012-04-13 2013-10-25 오세민 거치 및 배터리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CN103376824B (zh) * 2012-04-23 2016-05-18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储存装置组装模块及电子装置
CN103491738B (zh) 2012-06-11 2016-07-13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壳体结构及采用该壳体结构的电子装置
CN103579844A (zh) * 2012-07-24 2014-02-12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芯片卡固持结构及具有该芯片卡固持结构的电子装置
TWM456008U (zh) * 2013-02-01 2013-06-21 Cho-Yi Lin 電子裝置及其防塵蓋
USD747301S1 (en) * 2013-06-14 2016-01-12 Lg Electronics Inc. Mobile phone
KR20160031363A (ko) * 2014-09-12 201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연성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CN105722348B (zh) * 2014-12-02 2020-03-17 国基电子(上海)有限公司 电子产品及其外壳
EP3244282B1 (en) * 2015-01-23 2019-07-03 Zhejiang Geely Holding Group Co., Ltd. Mobile terminals and combined terminal equipment
KR101649664B1 (ko) 2015-03-20 2016-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2376981B1 (ko) * 2015-04-22 2022-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방열 구조를 갖는 전자 장치
KR101649668B1 (ko) * 2015-12-08 2016-08-3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667737B1 (ko) * 2015-12-08 2016-10-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649667B1 (ko) * 2015-12-08 2016-08-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EP3188458B1 (en) 2015-12-29 2018-09-12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KR101622731B1 (ko) * 2016-01-11 2016-05-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10061367B2 (en) 2016-01-22 2018-08-28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O2017126736A1 (ko) 2016-01-22 2017-07-27 엘지전자(주) 이동 단말기
KR20170123789A (ko) * 2016-04-29 2017-11-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KR101759950B1 (ko) 2016-06-24 2017-07-20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WO2018066735A1 (ko) * 2016-10-07 2018-04-1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6658272B (zh) * 2016-12-07 2020-01-07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模块化装置及终端
KR102373875B1 (ko) * 2017-05-22 2022-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404880B1 (ko) 2018-01-09 2022-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및 그것에 적용되는 키 버튼 배치 구조
US11382221B2 (en) * 2019-11-19 2022-07-05 Ricoh Company, Ltd. Information display device
WO2021132744A1 (ko) * 2019-12-23 2021-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213816304U (zh) * 2020-11-09 2021-07-27 深圳市大疆创新科技有限公司 电池连接组件、电池单元、电动装置及电动装置套件
EP4155864A4 (en) * 2020-12-02 2023-12-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WITH FLEXIBLE DISPLAY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85894B1 (en) 1994-06-03 1997-10-22 Kokusai Electric Co., Ltd. A splashproof electronic device
US6529714B1 (en) * 1998-05-20 2003-03-04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o communication equipment
KR100664168B1 (ko) * 2004-11-03 2007-01-04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터리 트레이를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
KR20060095662A (ko) * 2005-02-28 2006-09-01 주식회사 팬택앤큐리텔 슬라이드 방식의 내부 배터리를 구비한 이동통신단말기
KR101162215B1 (ko) * 2006-08-22 2012-07-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
US7798831B2 (en) 2007-01-06 2010-09-21 Apple Inc. Connector assemblies
CN201123013Y (zh) 2007-12-07 2008-09-24 上海晨兴电子科技有限公司 抽屉式音乐手机
CN201260162Y (zh) 2008-08-14 2009-06-17 宇龙计算机通信科技(深圳)有限公司 移动电子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348001A (zh) 2012-02-08
EP2413573A1 (en) 2012-02-01
EP2413573B1 (en) 2019-03-13
TW201206320A (en) 2012-02-01
TWI469721B (zh) 2015-01-11
US20120026656A1 (en) 2012-02-02
CN102348001B (zh) 2014-06-04
US8537528B2 (en) 2013-09-17
KR20120010922A (ko) 201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1104B1 (ko) 이동 단말기
KR101613928B1 (ko) 이동 단말기
KR101649636B1 (ko) 이동 단말기
KR101978956B1 (ko) 이동 단말기
KR102031092B1 (ko) 이동단말기
US8965466B2 (en) Pouch and mobile terminal having the same
KR101649627B1 (ko) 이동 단말기
KR101978215B1 (ko) 이동단말기
US9258393B2 (en) Mobile terminal
KR101602229B1 (ko) 이동 단말기
US20120121117A1 (en) Mobile terminal
US9049279B2 (en) Mobile terminal
KR20140099005A (ko) 착탈식 듀얼 이동 단말기
KR101629262B1 (ko) 이동 단말기
KR101659020B1 (ko) 이동 단말기
KR101760747B1 (ko) 이동 단말기
KR101829835B1 (ko) 이동 단말기
KR101587143B1 (ko) 이동 단말기
KR101667709B1 (ko) 이동 단말기
KR101718017B1 (ko) 이동 단말기
KR101622653B1 (ko) 이동 단말기
KR101999733B1 (ko) 이동 단말기에 연결되는 전자기기
KR20130078378A (ko) 이동 단말기
KR101595353B1 (ko) 휴대 단말기
KR101938243B1 (ko) 이동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