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98252B1 - 고체 촬상 센서 및 카메라 - Google Patents

고체 촬상 센서 및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8252B1
KR101698252B1 KR1020147022126A KR20147022126A KR101698252B1 KR 101698252 B1 KR101698252 B1 KR 101698252B1 KR 1020147022126 A KR1020147022126 A KR 1020147022126A KR 20147022126 A KR20147022126 A KR 20147022126A KR 101698252 B1 KR101698252 B1 KR 1016982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miconductor region
portions
region
semiconducto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7022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21430A (ko
Inventor
아키라 오키타
마사히로 고바야시
Original Assignee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121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21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82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82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3Special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elements, address-lines or gate-electrodes
    • H01L27/14605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position of the pixel elements, e.g. smaller pixel elements in the center of the imager compared to pixel elements at the peripher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09Pixel-elements with integrated switching, control, storage or amplification elements
    • H01L27/1461Pixel-elements with integrated switching, control, storage or amplification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photosensitive a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25Optical elements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the device
    • H01L27/14627Micro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3Pixel isolation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38Structures specially adapted for transferring the charges across the imager perpendicular to the imaging pla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4Back illuminated imager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01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641Electronic components shared by two or more pixel-elements, e.g. one amplifier shared by two pixel elem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643Photodiode arrays; MOS imag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8Charge coupled imagers
    • H01L27/14806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 H01L27/144Devices controlled by radiation
    • H01L27/146Imager structures
    • H01L27/148Charge coupled imagers
    • H01L27/14806Structural or functional details thereof
    • H01L27/14812Special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elements, address lines or gate-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8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 H01L31/1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in which radiation controls flow of current through the device, e.g. photoresistors characterised by potential barriers, e.g. phototransistors
    • H01L31/101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radiation
    • H01L31/102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radiation characterised by only one potential barrier
    • H01L31/103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radiation characterised by only one potential barrier the potential barrier being of the PN homojunction typ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olid State Image Pick-Up Elements (AREA)
  • Transforming Light Signals Into Electric Signals (AREA)
  • Light Receiving Elements (AREA)

Abstract

촬상 장치는 기판 내에 배치된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 영역과, 제1 반도체 영역 내에 배치되어 전하 축적 영역을 구성하는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 영역을 포함한다. 제2 반도체 영역은 기판의 표면에 따른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부분을 포함한다. 전위 장벽이 복수의 부분의 사이에 형성된다. 제1 반도체 영역으로부터 제2 반도체 영역으로의 공핍 영역의 확대에 의해 제2 반도체 영역의 전체가 공핍화된다. 제2 반도체 영역 중 최후에 공핍화되는 최종 공핍화 부분이, 제1 반도체 영역 중 최종 공핍화 부분의 측방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공핍 영역의 확대에 의해 공핍화된다.

Description

고체 촬상 센서 및 카메라{SOLID-STATE IMAGE SENSOR AND CAMERA}
본 발명은 고체 촬상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고체 촬상 장치에서는, 화소의 수의 증가에 따라 화소 사이즈가 작아져, 이것에 의한 포화 전하의 수의 저하가 문제로 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114275호 공보에는, 포화 전하량을 증가시킨 고체 촬상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114275호 공보에 기재된 고체 촬상 장치는, 반도체 기판 내에 적층된 복수의 포토다이오드와, 그 복수의 포토다이오드로부터 전하를 읽어내기 위해서 반도체 기판 내에 배치된 세로형 트랜지스터를 포함한다.
일본 특허 출원 공개 제2010-114275호 공보에 기재된 고체 촬상 장치는, 복수의 포토다이오드 및 세로형 트랜지스터가 반도체 기판 내에 형성된 복잡한 구조를 가진다. 따라서, 제조를 위한 공정 수가 많고, 제조를 위한 프로세스 제어가 곤란하다.
본 발명은 제조가 용이하고, 포화 전하수를 증가시키는 데에 유리한 구성을 가지는 고체 촬상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는,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배치된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1 반도체 영역 내에 배치되어 전하 축적 영역을 구성하는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에 대하여 광을 집광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고체 촬상 장치이며,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따른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전하 축적 영역에 축적되는 전하에 대한 전위 장벽이 상기 복수의 부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으로의 공핍 영역의 확대에 의해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전체가 공핍화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일부이며, 상기 제2 반도체 영역 중 최후에 공핍화되는 최종 공핍화 부분이, 상기 제1 반도체 영역 중 상기 최종 공핍화 부분의 측방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최종 공핍화 부분으로의 공핍 영역의 확대에 의해 공핍화되도록 구성되는 고체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양태는,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배치된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1 반도체 영역 내에 배치되어 전하 축적 영역을 구성하는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에 대하여 광을 집광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고체 촬상 장치이며,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따른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전하 축적 영역에 축적되는 전하에 대한 전위 장벽이 상기 복수의 부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부분의 각각에서, 상기 반도체 기판의 깊이 방향에 따른 불순물 농도의 적분 N1과, 상기 복수의 부분이 배치되는 방향에 따른 불순물 농도의 적분 N2가, N1>N2의 관계를 충족하는 고체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 양태는,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배치된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1 반도체 영역 내에 배치되어 전하 축적 영역을 구성하는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에 대하여 광을 집광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고체 촬상 장치이며,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따른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의 파트가 상기 복수의 부분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제1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사이에 미리 결정된 크기의 역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으로 공핍 영역이 확대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전체가 공핍화되고,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일부이며, 상기 제2 반도체 영역 중 최후에 공핍화되는 최종 공핍화 부분이, 상기 제1 반도체 영역 중 상기 최종 공핍화 부분의 측방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최종 공핍화 부분으로의 공핍 영역의 확대에 의해 공핍화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사이에 상기 역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의 상기 파트로 공핍 영역이 확대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의 상기 파트의 전체가 공핍화되는 고체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4 양태는,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배치된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1 반도체 영역 내에 배치되어 전하 축적 영역을 구성하는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에 대하여 광을 집광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고체 촬상 장치이며,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에 따른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전하 축적 영역에 축적되는 전하에 대한 전위 장벽이 상기 복수의 부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으로의 공핍 영역의 확대에 의해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전체가 공핍화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일부이며, 상기 제2 반도체 영역 중 최후에 공핍화되는 최종 공핍화 부분이, 상기 제1 반도체 영역 중 상기 최종 공핍화 부분의 측방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최종 공핍화 부분으로의 공핍 영역의 확대에 의해 공핍화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부분 간의 간격은, 0.1㎛ 내지 1.0㎛의 범위 내에 있는 고체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5 양태는,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4 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고체 촬상 장치와, 상기 고체 촬상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의 예시적인 실시 형태의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의 1개의 화소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의 1개의 화소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도 1의 B-B' 선을 따른 단면에서의 캐리어 농도 프로파일 및 전위 프로파일을 예시하는 그래프.
도 4는 도 1의 C-C' 선을 따른 단면에서의 캐리어 농도 프로파일 및 전위 프로파일을 예시하는 그래프.
도 5는 비교예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6은 도 5의 D-D' 선을 따른 단면에서의 캐리어 농도 프로파일 및 전위 프로파일을 예시하는 그래프.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의 1개의 화소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의 1개의 화소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의 1개의 화소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의 1개의 화소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의 1개의 화소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의 1개의 화소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보다 구체적인 예를 제공하기 위해서, 제1 도전형이 p형, 제2 도전형이 n형인 예를 설명한다. 그러나, 제1 도전형을 n형, 제2 도전형을 p형으로 변경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1개 이상의 실시 형태는 제조가 용이하고, 포화 전하수를 증가시키는 데에 유리한 구성을 가지는 고체 촬상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카메라를 제공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100)의 1개의 화소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 및 평면도이다. 도 1은 도 2에서의 A-A'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고체 촬상 장치(100)는 반도체 기판 SB를 포함한다. 반도체 기판 SB는, 예를 들면, 제2 도전형(n형)의 반도체 영역(101)과, 반도체 영역(101) 위에 배치된 제1 도전형(p형)의 반도체 영역(웰 영역)(1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도전형(p형)의 제1 반도체 영역(102) 내에는, 전하 축적 영역을 구성하는 제2 도전형(n형)의 제2 반도체 영역(103)이 배치된다. 제2 반도체 영역(103)의 표면 측에는, 제1 도전형(p형)의 반도체 영역(104)이 배치될 수 있다. 반도체 기판 SB 상에는, 제2 반도체 영역(103)에 대하여 광을 집광하는 렌즈(122)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반도체 영역(103)은 반도체 기판 SB의 표면에 따른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부분(103A, 103B)을 포함한다. 제1 도전형(p형)의 제1 반도체 영역(102)과 제2 도전형(n형)의 제2 반도체 영역(103)에 의해 광전 변환 소자로서의 포토다이오드가 구성될 수 있다. 포토다이오드는 제2 반도체 영역(103) 위에 배치된 제1 도전형(p형)의 반도체 영역(104)을 더 포함해도 된다. 각 화소는 LOCOS(LOCal Oxidation of Silicon) 분리나 STI(Shallow Trench Isolation) 등의 소자 분리(105)에 의해 다른 화소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복수의 부분(103A, 103B)의 사이에 전위 장벽이 형성된다.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전위 장벽에 의해 복수의 부분(103A, 103B)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될 수 있다. 전위 장벽은, 전하 축적 영역에서 축적되는 신호 전하에 대한 전위가 전하 축적 영역보다 높은 영역이다. 예를 들면, 신호 전하가 전자인 경우에는, 전위 장벽은 전자에 대한 전위가 제2 반도체 영역(103)보다 높은 영역이다. 이 전위 장벽은, 제1 도전형의 반도체 영역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전위 장벽은 STI, LOCOS 분리 또는 메사형 분리 등의 절연체 분리부를 포함하여도 된다. 신호 전하가 정공인 경우에는, 전위 장벽은 정공에 대한 전위가 전하 축적 영역보다 높은 영역이다.
제1 도전형(p형)의 제1 반도체 영역(102) 중 제2 도전형(n형)의 제2 반도체 영역(103)(부분(103A, 103B))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공핍 영역(106A, 106B)이 형성된다. 제2 도전형(n형)의 제2 반도체 영역(103)(부분(103A, 103B))에는 공핍 영역(107A, 107B)이 형성된다. 공핍 영역(106A, 106B, 107A, 107B)은, 제1 반도체 영역(102)과 제2 반도체 영역(103)(부분(103A, 103B))의 사이에 인가되는 리셋 전압(역바이어스 전압)이 커질수록 커진다. 이 리셋 전압의 크기는, 제2 반도체 영역(103)(부분(103A, 103B))의 전체가 공핍화되도록, 즉 공핍화되지 않는 중성 영역(108A, 108B)이 없어지도록 설정된다.
제1 반도체 영역(102)과 제2 반도체 영역(103)(부분(103A, 103B))의 사이에 리셋 전압이 인가되면, 제1 반도체 영역(102)으로부터 제2 반도체 영역(103)으로 공핍 영역이 확대되어, 제2 반도체 영역(103)의 전체가 공핍화된다. 제2 반도체 영역(103)의 전체를 공핍화시키는 것은 포화 전하량의 향상에 기여한다.
제1 반도체 영역(102)으로부터 제2 반도체 영역(103)으로의 공핍 영역의 확대는, 수평 방향(반도체 기판 SB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에서의 확대와, 수직 방향(반도체 기판 SB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에서의 확대로 나누어서 생각할 수 있다. 제2 반도체 영역(103) 중 최후에 공핍화되는 부분을 최종 공핍화 부분이라고 정의한다. 최종 공핍화 부분은, 제1 반도체 영역(102) 중 해당 최종 공핍화 부분의 측방(수평 방향)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해당 최종 공핍화 부분을 향한 공핍 영역의 확대(즉, 수평 방향에서의 확대)에 의해 공핍화된다. 최종 공핍화 부분이 제1 반도체 영역(102) 중 해당 최종 공핍화 부분의 측방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의 공핍 영역의 수평 방향의 확대에 의해 공핍화되는 구성은, 제2 반도체 영역(103)을 복수의 부분(103A, 103B)으로 분할함으로써 얻어진다. 제2 반도체 영역(103)을 복수의 부분(103A, 103B)으로 분할하기 위해, 제2 반도체 영역(103)을 형성하기 위한 이온 주입 마스크에 의해 부분(103A, 103B)이 규정되고, 이것은 매우 단순한 공정에 의해 실현할 수 있다.
고체 촬상 장치(100)는 반도체 기판 SB의 제1 반도체 영역(102) 내에 형성된 제2 도전형(n형)의 제3 반도체 영역(121)을 더 포함한다. 제3 반도체 영역(121)은 플로팅 디퓨전(전하-전압 변환부)을 구성한다. 또한, 고체 촬상 장치(100)는 제2 반도체 영역(103)(부분(103A, 103B))으로부터 제3 반도체 영역(121)에 전하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제1 반도체 영역(102) 내에 형성하는 전송 게이트(120)를 반도체 기판 SB 위에 포함한다.
도 3은 도 1의 B-B' 선의 단면에서의 캐리어 농도 프로파일(불순물 농도 프로파일) 및 전위 프로파일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는 도 1의 C-C' 선의 단면에서의 캐리어 농도 프로파일(불순물 농도 프로파일) 및 전위 프로파일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위 프로파일을 도시하는 도면의 세로축은 양의 전위를 나타낸다. 즉, 세로축의 값이 클수록, 전자에 대한 전위는 낮고, 홀에 대한 전위는 높다. C-C' 선은 제2 반도체 영역(103)(영역(103A))에서의 최대 캐리어 농도를 가지는 부분을 반도체 기판 SB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으로 통과한다. 도 3 및 도 4에서, 음영이 첨부된 부분은 공핍화된 영역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에서, 수직 방향(반도체 기판 SB의 표면에 수직한 방향) 내의 공핍 영역의 확대에 의해 제2 반도체 영역(103A)의 중성 영역(108A)의 전체를 공핍화시키기 위한 전위(점선으로 나타내는 전위)는 공핍화 전압 Vdep_V이다.
도 4는 제2 반도체 영역(103)(부분(103A))에서의 최대 캐리어 농도를 가지는 부분을 반도체 기판 SB의 표면에 평행하게 지나는 C-C' 선을 따른 캐리어 농도 프로파일(불순물 농도 프로파일) 및 전위 프로파일을 예시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도 4에서, 수평 방향(반도체 기판 SB의 표면에 평행한 방향)에의 공핍 영역의 확대에 의해 제2 반도체 영역(103A)의 중성 영역(108A)의 전체를 공핍화시키기 위한 전위(점선으로 나타내는 전위)는 공핍화 전압 Vdep_H이다. 여기서, Vdep_V>Vdep_H인 것에 주의해야한다.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 영역(102) 내에 배치된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 영역(103)을 복수의 부분(103A, 103B)으로 분할함으로써, 제1 반도체 영역(102)과 제2 반도체 영역(103)의 사이에서의 제2 도전형의 캐리어 총량을 작게 할 수 있다. 제2 반도체 영역(103)의 분할은 Vdep_V>Vdep_H가 만족시켜지도록 행해진다. 부분(103A)의 측면과 그 반대 측의 측면으로부터 공핍 영역이 확대되어 서로 접촉하면, 제2 반도체 영역(103A)의 전체의 공핍화가 종료한다. 부분(103B)의 측면과 그 반대 측의 측면으로부터 공핍 영역이 확대되어 서로 접촉하면, 제2 반도체 영역(103B)의 전체의 공핍화가 종료한다.
여기서, 도 3에서의 제2 반도체 영역(103)의 캐리어 농도를 적분하여 얻어지는 값을 N1(개/cm2), 도 4에서의 제2 반도체 영역(103)의 캐리어 농도를 적분하여 얻어지는 값을 N2(개/cm2)라고 한다. 이 경우, N1>N2의 관계가 충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N1>N2는 제1 반도체 영역(102) 중 최종 공핍화 부분의 측방(수평 방향)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해당 최종 공핍화 부분으로 공핍 영역의 확대(즉, 수평 방향에서의 확대)에 의해 해당 최종 공핍화 부분이 공핍화되는 조건이다.
또한, 수평 방향에서의 공핍 영역의 확대와 병행되어서 수직 방향에서의 공핍 영역의 확대도 진행된다. 따라서,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 영역(102) 내에 배치된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 영역(103)을 복수의 부분(103A, 103B)으로 분할함으로써, Vdep_V를 작게 할 수 있다. 즉, Vdep_V>Vdep_H가 만족되지 않는 경우에도, 제2 반도체 영역(103)을 복수의 부분(103A, 103B)으로 분할함으로써 공핍화 전압을 작게 할 수 있다.
비교예로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반도체 영역(103)을 부분(103A, 103B)으로 분할하지 않을 경우, 즉, 전위 장벽이 배치되지 않을 경우의 공핍화 전압을 고려한다. 도 5의 E-E' 선의 단면에서의 캐리어 농도 프로파일(불순물 농도 프로파일) 및 전위 프로파일은 도 3과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도 5의 D-D' 선의 단면에서의 캐리어 농도 프로파일(불순물 농도 프로파일) 및 전위 프로파일은, 도 6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도 4에 도시된 것과는 상이한 것에 주목해야한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2 반도체 영역(103)을 부분(103A, 103B)으로 분할하지 않을 경우, 공핍 영역의 수평 방향에의 확대에 의해 제2 반도체 영역(103A)의 중성 영역(108A)의 전체를 공핍화시키기 위한 전위는 공핍화 전압 Vdep_H1이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2 반도체 영역(103) 중 최후에 공핍화되는 부분인 최종 공핍화 부분은, 제1 반도체 영역(102) 중 해당 최종 공핍화 부분의 하방(수직 방향)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해당 최종 공핍화 부분으로의 공핍 영역의 확대에 의해 공핍화된다. 도 5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Vdep_V<Vdep_H1이다. 도 5에 나타내는 비교예에서는, 제2 반도체 영역(103)의 상단 및 하단으로부터 공핍 영역이 확대되고, 상단으로부터 확대되는 공핍 영역과 하단으로부터 확대되는 공핍 영역이 서로 접촉하면, 제2 반도체 영역(103)의 전체의 공핍화가 종료한다.
이상과 같이,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 영역(102) 내에 배치된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 영역(103)이 복수의 부분(103A, 103B)을 포함함으로써, 공핍화 전압을 작게 할 수 있다. 제2 반도체 영역(103)의 리셋 전압은, 공핍화 전압보다도 커야 하므로, 공핍화 전압의 저하는 전원 전압을 저하시키는 데에 유리하다. 전원 전압을 저하시키지 않을 경우에는, 제2 반도체 영역(103)의 농도를 높게 해서 포화 전하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다이나믹 레인지가 넓은 고체 촬상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제2 반도체 영역(103)을 구성하는 부분(103A, 103B)의 A-A' 선을 따른 방향(부분(103A, 103B)에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폭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부분(103A, 103B)의 폭이 서로 상이하면, 그 중에 폭이 좁은 쪽이 먼저 공핍화되고, 폭이 넓은 쪽이 나중에 공핍화된다. 그 때문에, 폭이 넓은 부분의 공핍화 전압에 의해 리셋 전압 등이 규정된다.
제2 반도체 영역(103)을 구성하는 부분(103A, 103B)의 공핍화에 의해 형성되는 공핍 영역(106A, 106B)은, 부분(103A, 103B)의 전체가 공핍화(완전 공핍화)되는 때에 서로 접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축적 영역으로서의 제2 반도체 영역(103)을 분할하지 않을 경우와 마찬가지의 감도를 얻을 수 있다. 여기서, 부분(103A, 103B)의 간격이 작을수록, 그들의 공핍화에 의해 형성되는 공핍 영역(106A, 106B)을 서로 접촉시키기 쉽다. 그러나, 해당 간격을 지나치게 작게 하면, 부분(103A, 103B)의 사이의 제1 반도체 영역(102)으로부터 부분(103A, 103B)으로의 공핍 영역(107A, 107B)의 확대의 효과가 약해진다. 이것을 고려하면, 부분(103A, 103B)의 간격은, 0.1㎛ 내지 1.0㎛의 범위 내에 놓이고, 0.2㎛ 내지 0.5㎛의 범위 내에 놓이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제2 반도체 영역(103)의 경계는, 예를 들면, 인접하는 제1 반도체 영역(102)과의 p-n 접합면이다. 이렇게, 화소 사이즈와 독립하여 복수의 부분(103A, 103B) 간의 간격을 넓게 형성함으로써, 감도를 유지하면서 공핍화 전압을 작게 할 수 있다.
최종 공핍화 부분을 수평 방향에서의 공핍 영역의 확대에 의해 공핍화하는 데에 유리한 화소 사이즈는, 예를 들면, 2.0㎛ 내지 7.0㎛의 범위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화소 사이즈가 4.0㎛ 내지 6.0㎛의 범위이다. 이것은, 화소 사이즈가 2.0㎛보다 작아지면, 제2 반도체 영역(103)의 분할을 위한 프로세스가 어렵게 되고, 화소 사이즈가 7.0㎛을 초과하면, 포화 전하량의 확보가 용이하게 되기 때문에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100)의 1개의 화소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2에서의 A-A' 선의 단면도이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에서 언급하지 않는 사항은 제1 실시 형태를 따를 수 있다.
제2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100)에서는, 제2 도전형(n형)의 반도체 영역(101)과 제1 도전형(p형)의 제1 반도체 영역(102)의 사이에,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 영역(102)보다 농도가 높은 제1 도전형의 반도체 영역(701)이 배치된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100)에서는, 제1 도전형(p형)의 제1 반도체 영역(102)을 둘러싸도록,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 영역(102)보다 농도가 높은 제1 도전형의 반도체 영역(702)이 배치된다.
반도체 영역(701)은 제2 반도체 영역(103)의 수직 방향에서의 공핍화의 촉진에 기여할 수 있다. 반도체 영역(702)은, 화소간을 분리하는 분리 영역으로서 기능할 수 있고, 제2 반도체 영역(103)의 수직 방향에서의 공핍화의 촉진에 기여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반도체 영역(103)을 구성하는 부분(103A, 103B)과 반도체 영역(702)의 거리는 공핍 영역(106A, 106B)이 반도체 영역(702)과 접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분(103A, 103B)과 반도체 영역(702)의 거리는, 예를 들면 1㎛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 내지 0.4㎛의 범위 내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단, 제2 반도체 영역(103)(부분(103A, 103B))의 농도가 1×1017cm-3보다 높을 경우에는, 공핍 영역(106A, 106B)의 확대가 지나치게 작아서, 화이트 스팟(white spot)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거리는 0.2㎛ 근방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반도체 영역(701, 702)의 농도는 1×1017cm-3 내지 1×1019cm-3의 범위 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5×1017cm-3 내지 5×1018cm-3의 범위 내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반도체 영역(701)의 불순물 농도가 반도체 영역(702)의 불순물 농도보다 낮아도 된다. 반도체 영역(702)의 불순물 농도가 부분(103A)과 부분(103B)의 사이에 배치된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 영역(102)의 불순물 농도보다 높아도 된다.
[제3 실시 형태]
이하, 도 8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100)의 1개의 화소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제3 실시 형태에서 언급하지 않는 사항은, 제1 및 제2 실시 형태를 따를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 영역(103)이 3개의 부분(103A, 103B, 103C)으로 분할된다. 제2 반도체 영역(103)의 분할은, 제1 부분(103A)와 제3 부분(103C)의 사이에 제2 부분(103B)이 배치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제1 부분(103A), 제2 부분(103B) 및 제3 부분(103C)에 교차하는 방향에서의 제1 부분(103A) 및 제3 부분(103C)의 각각의 폭은 제2 부분(103B)의 폭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제1 부분(103A) 및 제3 부분(103C)은 제2 부분(103B)보다 수평 방향에서 공핍화되기 쉽기 때문이다.
제1 도전형(p형)의 제1 반도체 영역(102) 중 제2 도전형(n형)의 제2 반도체 영역(103)(부분(103A, 103B, 103C))에 인접하는 부분에는, 공핍 영역(106A, 106B, 106C)이 형성된다. 제2 도전형(n형)의 제2 반도체 영역(103)(부분(103A, 103B, 103C))에는, 공핍 영역(107A, 107B, 107C)이 형성된다.
또한, 전하 축적 영역을 구성하는 반도체 영역(103)의 분할수는 2 또는 3에 한정되지 않고, 4 이상이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
이하, 도 9a, 9b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100)의 1개의 화소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도 9b는, 도 9a에서의 반도체 영역(103)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제4 실시 형태에서 언급하지 않는 사항은 제1 실시 형태를 따를 수 있다. 또한, 제4 실시 형태는, 제2 및/또는 제3 실시 형태와 조합하여 실시되어도 된다.
제1 내지 제3 실시 형태에서는, 복수의 부분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다. 그러나, 이것은 본 발명에서 필수적이지 않다. 본 발명의 효과는, 제2 반도체 영역(103) 내의 최종 공핍화 부분과 제2 반도체 영역(103)의 측면의 거리를 작게 하는 것에 의해 얻을 수 있다. 효과가 실현될 수 있다면, 복수의 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있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에서는, 전하 축적 영역을 구성하는 반도체 영역(103)은, 복수의 부분(103A, 103B)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103D)를 포함한다.
고체 촬상 장치(100)는, 반도체 기판 SB의 제1 반도체 영역(102) 내에 형성된 제2 도전형의 제3 반도체 영역(121)을 플로팅 디퓨전으로서 포함하고 있다. 또한, 고체 촬상 장치(100)는 제2 반도체 영역(103)으로부터 제3 반도체 영역(121)으로 전하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제1 반도체 영역(102) 내에 형성하는 전송 게이트(120)를 반도체 기판 SB 위에 포함하고 있다. 제2 반도체 영역(103)은, 전송 게이트(120)와 복수의 부분(103A, 103B)의 사이에 연결부(103D)가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제2 반도체 영역(103)으로부터 제3 반도체 영역(121)으로 전하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의 폭을 크게 할 수가 있어, 전하의 전송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연결부(103D)가 복수의 부분(103A, 103B)의 사이에 배치된 제1 도전형의 반도체 영역 아래에 배치되어도 된다. 즉, 전위 장벽이 반도체 기판 SB의 표면 측에 형성되고, 복수의 부분(103A, 103B)이 반도체 기판 SB의 심부에서 연결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된다.
[제5 실시 형태]
이하, 도 10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100)의 1개의 화소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에서 언급하지 않는 사항은 제1 실시 형태를 따를 수 있다. 또한, 제5 실시 형태는 제2 내지 제4 실시 형태의 적어도 1개와 조합하여 실시되어도 된다.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 영역(102)은, 제2 반도체 영역(103)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103A, 103B)의 전체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1 부분(1001)과, 복수의 부분(103A, 103B)의 사이에 배치된 제2 부분(1002)을 포함한다. 제2 부분(1002)의 불순물 농도는 제1 부분(1001)의 불순물 농도보다 높고, 이에 의해 공핍 영역(106A, 106B)의 폭이 작아진다.
[제6 실시 형태]
이하, 도 11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100)의 1개의 화소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제6 실시 형태에서 언급하지 않는 사항은 제1 실시 형태를 따를 수 있다. 또한, 제6 실시 형태는 제2 내지 제5 실시 형태의 적어도 1개와 조합하여 실시되어도 된다.
제6 실시 형태에서는, 전하 축적 영역(103)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103A, 103B)에 각각 대응하도록 제2 도전형(n형)의 복수의 제3 반도체 영역(121A, 121B)이 반도체 기판 내에 형성된다. 복수의 제3 반도체 영역(121A, 121B)은 플로팅 디퓨전(전하-전압 변환부)을 구성한다. 반도체 기판 위에 배치된 전송 게이트(120)는, 부분(103A)으로부터 그것에 대응하는 제3 반도체 영역(121A)에 전하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제1 반도체 영역(102) 안에 형성한다. 전송 게이트(120)는 또한 부분(103B)으로부터 그것에 대응하는 제3 반도체 영역(121B)에 전하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제1 반도체 영역(102) 안에 형성한다.
고체 촬상 장치(100)는 복수의 제3 반도체 영역(121A, 121B)에 전송된 전하에 따른 신호를 개별적으로 판독하는 데에 사용되는 (도시되지 않은) 판독 회로를 포함한다. 부분(103A, 103B)에는, 공통 렌즈를 통해서 광이 입사한다. 부분(103A)에는, 촬상 렌즈의 동공의 제1 영역을 통과한 후에 공통 렌즈를 통과한 광이 입사할 수 있다. 부분(103B)에는, 그 촬상 렌즈의 동공의 제2 영역을 통과한 후에 공통 렌즈를 통과한 광이 입사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고체 촬상 장치(100)의 출력에 근거해서 위상차 검출법에 의한 초점 검출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제1 영역과 제2 영역은 서로 다른 영역이다.
[제7 실시 형태]
이하, 도 12를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의 고체 촬상 장치(100)의 1개의 화소의 구조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또한, 제7 실시 형태에서 언급하지 않는 사항은 제1 실시 형태를 따를 수 있다. 또한, 제7 실시 형태는 제2 내지 제5 실시 형태의 적어도 1개와 조합하여 실시되어도 된다.
제7 실시 형태에서는, 전하 축적 영역(103)을 구성하는 복수의 부분(103A, 103B)에 대하여 공통인, 제2 도전형(n형)의 제3 반도체 영역(121)이 반도체 기판 내에 형성된다. 제3 반도체 영역(121)은 플로팅 디퓨전(전하-전압 변환부)을 구성한다. 제7 실시 형태에서는, 전하 축적 영역(103)을 구성하는 부분(103A, 103B)의 각각에 대응하는 복수의 전송 게이트(120A, 120B)가 반도체 기판 위에 배치된다. 전송 게이트(120A)는 부분(103A)으로부터 공통 제3 반도체 영역(121)으로 전하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제1 반도체 영역(102) 내에 형성한다. 전송 게이트(120B)는 부분(103B)으로부터 공통 제3 반도체 영역(121)으로 전하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제1 반도체 영역(102) 내에 형성한다. 전송 게이트(120A)와 전송 게이트(120B)는 전기적으로 서로 분리되어 있고, 그들 사이의 부분의 하방에는 소자 분리부(1203)가 배치된다.
고체 촬상 장치(100)는 공통 제3 반도체 영역(121)에 전송된 전하에 따른 신호를 판독하는 데에 사용되는 (도시되지 않은) 판독 회로를 포함한다. 그 판독 회로는, 전송 게이트(120A)에 의해 부분(103A)으로부터 반도체 영역(121)으로 전송된 전하와 전송 게이트(120B)에 의해 부분(103B)으로부터 반도체 영역(121)으로 전송된 전하의 총량에 따른 신호를 읽어낼 수 있다.
판독 회로는 또한, 전송 게이트(120A)에 의해 부분(103A)으로부터 반도체 영역(121)으로 전송된 전하에 따른 신호와, 전송 게이트(120B)에 의해 부분(103B)으로부터 반도체 영역(121)으로 전송된 전하에 따른 신호를 개별적으로 읽어낼 수 있다. 예를 들면, 판독 회로는, 우선, 전송 게이트(120A)에 의해 부분(103A)으로부터 반도체 영역(121)으로 전송된 전하에 따른 신호를 읽어내고, 다음으로, 전송 게이트(120B)에 의해 부분(103B)으로부터 반도체 영역(121)으로 전송된 전하에 따른 신호를 읽어낸다.
부분(103A, 103B)에는, 공통 렌즈를 통해서 광이 입사한다. 부분(103A)에는, 촬상 렌즈의 동공의 제1 영역을 통과한 후에 공통 렌즈를 통과한 광이 입사할 수 있다. 부분(103B)에는, 촬상 렌즈의 동공의 제2 영역을 통과한 후에 공통 렌즈를 통과한 광이 입사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고체 촬상 장치(100)의 출력에 근거해서 위상차 검출법에 의한 초점 검출을 행할 수 있다.
[응용예]
이하, 상기의 각 실시 형태에 따른 고체 촬상 장치의 응용예로서, 고체 촬상 장치를 구비하는 카메라에 대해서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카메라의 개념에는, 촬영을 주목적으로 하는 장치뿐만 아니라, 촬영 기능을 보조적으로 구비하는 장치(예를 들면, 퍼스널 컴퓨터, 휴대 단말기)도 포함된다. 카메라는, 상기의 실시 형태로서 예시된 본 발명에 따른 고체 촬상 장치와, 그 고체 촬상 장치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한다. 처리 유닛은, 예를 들면, A/D 변환기 및 A/D 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디지털 데이터를 처리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예시적인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개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는 모든 변경과 등가 구조 및 기능을 포함하도록 가장 넓은 해석과 일치하여야 할 것이다.
본 출원은, 2012년 1월 18일에 출원되고, 본 명세서에서 그 전체가 참조로서 인용되는 일본 특허 출원 제2012-008448호를 우선권 주장한다.

Claims (16)

  1.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배치된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1 반도체 영역 내에 배치되어 전하 축적 영역을 구성하는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에 대하여 광을 집광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고체 촬상 센서이며,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을 따른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전하 축적 영역에 축적되는 전하에 대한 전위 장벽이 상기 복수의 부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으로의 공핍 영역의 확대에 의해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전체가 공핍화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일부이며, 상기 제2 반도체 영역 중 최후에 공핍화되는 최종 공핍화 부분이, 상기 제1 반도체 영역 중 상기 최종 공핍화 부분의 측방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최종 공핍화 부분으로의 공핍 영역의 확대에 의해 공핍화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은, 상기 복수의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1 일부와, 상기 복수의 부분의 사이에 배치된 제2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의 상기 제2 일부의 불순물 농도는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의 상기 제1 일부의 불순물 농도보다 낮은, 고체 촬상 센서.
  2.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배치된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1 반도체 영역 내에 배치되어 전하 축적 영역을 구성하는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에 대하여 광을 집광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고체 촬상 센서이며,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을 따른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전하 축적 영역에 축적되는 전하에 대한 전위 장벽이 상기 복수의 부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부분의 각각에서, 상기 반도체 기판의 깊이 방향에 따른 불순물 농도의 적분 N1 및 상기 복수의 부분이 배치되는 방향에 평행한 선을 따른 불순물 농도의 적분 N2가 N1>N2의 관계를 충족하고, 상기 선은, 상기 제2 반도체 영역 중 최대 농도를 갖는 부분을 통과하고,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은, 상기 복수의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1 일부와, 상기 복수의 부분의 사이에 배치된 제2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의 상기 제2 일부의 불순물 농도는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의 상기 제1 일부의 불순물 농도보다 낮은, 고체 촬상 센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분은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고체 촬상 센서.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제2 도전형의 복수의 제3 반도체 영역이 상기 복수의 부분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배치되고,
    각 부분으로부터, 상기 복수의 제3 반도체 영역 중 대응하는 하나에 전하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부분에 대하여 공통인 전송 게이트가 상기 반도체 기판 위에 배치되는 고체 촬상 센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분에 대하여 공통인 제2 도전형의 제3 반도체 영역이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부분으로부터 상기 제3 반도체 영역으로 전하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도록, 상기 복수의 부분에 대하여 공통인 전송 게이트가 상기 반도체 기판 위에 배치되는 고체 촬상 센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분에 대하여 공통인 제2 도전형의 제3 반도체 영역이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배치되고,
    상기 복수의 부분의 각각으로부터 상기 제3 반도체 영역으로 전하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도록, 복수의 전송 게이트가 상기 반도체 기판 위에 배치되는 고체 촬상 센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은 상기 복수의 부분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고체 촬상 센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배치된 제2 도전형의 제3 반도체 영역과,
    상기 반도체 기판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3 반도체 영역으로 전하를 전송하기 위한 채널을 형성하는 전송 게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송 게이트와 상기 복수의 부분의 사이에 상기 연결부가 배치되는 고체 촬상 센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분은 제1 부분, 제2 부분 및 제3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과,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상기 제3 부분의 사이에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상기 제2 부분이 배치되고,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상기 제2 부분 및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상기 제3 부분이 배치된 방향에서의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상기 제1 부분 및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상기 제3 부분의 각각의 폭이,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상기 제2 부분의 폭보다 큰 고체 촬상 센서.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의 측면을 둘러싸는 제1 도전형의 반도체 영역이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배치되는, 고체 촬상 센서.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분 간의 간격은 0.1㎛ 내지 1.0㎛의 범위 내이며,
    상기 복수의 부분이 배치된 방향에 따른 상기 복수의 부분의 전체의 길이는 2.0㎛ 내지 7.0㎛의 범위 내인 고체 촬상 센서.
  12.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배치된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1 반도체 영역 내에 배치되어 전하 축적 영역을 구성하는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에 대하여 광을 집광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고체 촬상 센서이며,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을 따른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은, 상기 복수의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1 일부와, 상기 복수의 부분의 사이에 배치된 제2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의 상기 제2 일부의 불순물 농도는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의 상기 제1 일부의 불순물 농도보다 낮고,
    상기 제1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사이에 미리 결정된 크기의 역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으로 공핍 영역이 확대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전체가 공핍화되고,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일부이며, 상기 제2 반도체 영역 중 최후에 공핍화되는 최종 공핍화 부분이, 상기 제1 반도체 영역 중 상기 최종 공핍화 부분의 측방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최종 공핍화 부분으로의 공핍 영역의 확대에 의해 공핍화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사이에 상기 역바이어스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의 상기 제2 일부로 공핍 영역이 확대되고, 이에 의해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의 상기 제2 일부의 전체가 공핍화되는 고체 촬상 센서.
  13. 반도체 기판과,
    상기 반도체 기판 내에 배치된 제1 도전형의 제1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1 반도체 영역 내에 배치되어 전하 축적 영역을 구성하는 제2 도전형의 제2 반도체 영역과,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에 대하여 광을 집광하는 렌즈를 포함하는 고체 촬상 센서이며,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은 상기 반도체 기판의 표면을 따른 방향으로 배치된 복수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전하 축적 영역에 축적되는 전하에 대한 전위 장벽이 상기 복수의 부분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으로의 공핍 영역의 확대에 의해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전체가 공핍화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반도체 영역의 일부이며, 상기 제2 반도체 영역 중 최후에 공핍화되는 최종 공핍화 부분이, 상기 제1 반도체 영역 중 상기 최종 공핍화 부분의 측방에 위치하는 부분으로부터 상기 최종 공핍화 부분으로의 공핍 영역의 확대에 의해 공핍화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복수의 부분 간의 간격은, 0.1㎛ 내지 1.0㎛의 범위 내에 있고,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은, 상기 복수의 부분을 둘러싸도록 배치된 제1 일부와, 상기 복수의 부분의 사이에 배치된 제2 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의 상기 제2 일부의 불순물 농도는 상기 제1 반도체 영역의 상기 제1 일부의 불순물 농도보다 낮은, 고체 촬상 센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부분이 배치된 방향에 따른, 상기 복수의 부분의 전체의 길이는 2.0㎛ 내지 7.0㎛의 범위 내에 있는 고체 촬상 센서.
  15. 제1항, 제2항, 제12항 및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고체 촬상 센서와,
    상기 고체 촬상 센서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처리하는 처리 유닛을 포함하는 카메라.
  16. 삭제
KR1020147022126A 2012-01-18 2013-01-09 고체 촬상 센서 및 카메라 KR1016982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008448 2012-01-18
JP2012008448A JP5967944B2 (ja) 2012-01-18 2012-01-18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PCT/JP2013/050704 WO2013108798A1 (en) 2012-01-18 2013-01-09 Solid-state image sensor and camera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566A Division KR20170008881A (ko) 2012-01-18 2013-01-09 고체 촬상 센서 및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21430A KR20140121430A (ko) 2014-10-15
KR101698252B1 true KR101698252B1 (ko) 2017-01-19

Family

ID=4879922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566A KR20170008881A (ko) 2012-01-18 2013-01-09 고체 촬상 센서 및 카메라
KR1020147022126A KR101698252B1 (ko) 2012-01-18 2013-01-09 고체 촬상 센서 및 카메라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566A KR20170008881A (ko) 2012-01-18 2013-01-09 고체 촬상 센서 및 카메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3) US9147708B2 (ko)
EP (1) EP2805353B1 (ko)
JP (1) JP5967944B2 (ko)
KR (2) KR20170008881A (ko)
CN (1) CN104054177B (ko)
WO (1) WO201310879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008669B2 (ja) * 2012-09-19 2016-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カメラ
JP6261361B2 (ja) 2014-02-04 2018-01-17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JP6595750B2 (ja) 2014-03-14 2019-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6274567B2 (ja) 2014-03-14 2018-02-07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6541347B2 (ja) 2014-03-27 2019-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2015216186A (ja) 2014-05-09 2015-12-03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電子機器
JP6109125B2 (ja) 2014-08-20 2017-04-05 キヤノン株式会社 半導体装置、固体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6417197B2 (ja) 2014-11-27 2018-10-31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6396775B2 (ja) * 2014-12-03 2018-09-26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撮像装置
US9768213B2 (en) 2015-06-03 2017-09-19 Canon Kabushiki Kaisha Solid-state image sensor and camera
JP6764234B2 (ja) * 2015-06-03 2020-09-30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カメラ
JP2017045873A (ja) * 2015-08-27 2017-03-02 ルネサスエレクトロニクス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半導体装置
JP6570384B2 (ja) 2015-09-11 2019-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6541523B2 (ja) 2015-09-11 2019-07-10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および、撮像装置の制御方法
US10205894B2 (en) 2015-09-11 2019-02-12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device and imaging system
JP6727830B2 (ja) * 2016-02-09 2020-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6738200B2 (ja) 2016-05-26 2020-08-1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2017220603A (ja) 2016-06-09 2017-12-14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および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
JP6688165B2 (ja) 2016-06-10 202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6776011B2 (ja) 2016-06-10 2020-10-2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6727938B2 (ja) 2016-06-10 2020-07-22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及び撮像システム
US10319765B2 (en) 2016-07-01 2019-06-11 Canon Kabushiki Kaisha Imaging device having an effective pixel region, an optical black region and a dummy region each with pixels including a photoelectric converter
JP7013119B2 (ja) 2016-07-21 2022-01-31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固体撮像素子の製造方法、及び撮像システム
JP2018092976A (ja) 2016-11-30 2018-06-14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JP6957157B2 (ja) 2017-01-26 2021-11-02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および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6701108B2 (ja) 2017-03-21 2020-05-27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6929114B2 (ja) 2017-04-24 2021-09-0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US10818715B2 (en) 2017-06-26 2020-10-27 Canon Kabushiki Kaisha Solid state imag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987562B2 (ja) 2017-07-28 2022-01-05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
US10418402B2 (en) * 2017-11-30 2019-09-17 Stmicroelectronics (Research & Development) Limited Near ultraviolet photocell
JP7091080B2 (ja) 2018-02-05 2022-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装置、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
JP7446061B2 (ja) 2018-04-06 2024-03-08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7161317B2 (ja) 2018-06-14 2022-10-2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撮像システム及び移動体
JP7245016B2 (ja) 2018-09-21 2023-03-2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7292868B2 (ja) 2018-12-18 202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検出器
JP7237622B2 (ja) 2019-02-05 2023-03-13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
JP2021068788A (ja) * 2019-10-21 2021-04-30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光電変換装置の製造方法、および撮像システム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2839A (ja) 1998-06-29 2000-03-21 Hyundai Electronics Ind Co Ltd フォトダイオ―ド、これを用いたイメ―ジセンサの単位画素及びこれからデ―タを得る方法
JP2002165126A (ja) * 2000-11-28 2002-06-07 Canon Inc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並びに撮像方法
JP2008193527A (ja) * 2007-02-06 2008-08-21 Nikon Corp 光電変換部の連結/分離構造、固体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Family Cites Families (6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8901629A (nl) 1989-06-28 1991-01-16 Philips Nv Stralingsgevoelige halfgeleiderinrichting en uitlees- of schrijfeenheid bevattende een dergelijke stralingsgevoelige halfgeleiderinrichting.
JP4131059B2 (ja) * 1999-08-23 2008-08-13 ソニー株式会社 受光素子を有する半導体装置、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および受光素子を有する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JP2002329853A (ja) * 2002-02-22 2002-11-15 Sharp Corp 回路内蔵受光素子
US6586789B1 (en) * 2002-10-07 2003-07-01 Lixin Zhao Pixel image sensor
JP2004264034A (ja) * 2003-01-24 2004-09-24 Hamamatsu Photonics Kk 光検出装置
JP3621400B2 (ja) 2003-03-03 2005-02-16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514188B2 (ja) 2003-11-10 2010-07-28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及び撮像装置
JP4508619B2 (ja) 2003-12-03 2010-07-21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の製造方法
JP3793202B2 (ja) 2004-02-02 2006-07-05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3890333B2 (ja) 2004-02-06 2007-03-07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4067054B2 (ja) 2004-02-13 2008-03-26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US7294818B2 (en) 2004-08-24 2007-11-13 Canon Kabushiki Kaisha Solid state image pickup device and image pickup system comprising it
JP2006073736A (ja) 2004-09-01 2006-03-16 Canon Inc 光電変換装置、固体撮像装置及び固体撮像システム
JP4916101B2 (ja) 2004-09-01 2012-04-1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固体撮像装置及び固体撮像システム
KR100634444B1 (ko) * 2004-12-20 2006-10-16 삼성전자주식회사 수광 소자 및 그 형성 방법
JP4459064B2 (ja) 2005-01-14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カメラ
JP4416668B2 (ja) 2005-01-14 2010-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カメラ
JP2006197392A (ja) 2005-01-14 2006-07-27 Canon Inc 固体撮像装置、カメラ、及び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4677258B2 (ja) 2005-03-18 2011-04-27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カメラ
JP4794877B2 (ja) 2005-03-18 2011-10-19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カメラ
JP4459099B2 (ja) 2005-03-18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カメラ
JP4459098B2 (ja) 2005-03-18 2010-04-28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カメラ
JP4835270B2 (ja) * 2006-06-03 2011-12-14 株式会社ニコン 固体撮像素子及びこれを用いた撮像装置
JP4800125B2 (ja) * 2006-06-28 2011-10-26 オンセミコンダクター・トレーディング・リミテッド 半導体集積回路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5132102B2 (ja) 2006-08-01 2013-01-30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および光電変換装置を用いた撮像システム
JP4818018B2 (ja) 2006-08-01 2011-11-16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システム
KR20080016259A (ko) 2006-08-18 2008-02-21 동부일렉트로닉스 주식회사 씨모스 이미지 센서 및 그 제조방법
JP4710017B2 (ja) 2006-10-20 2011-06-29 国立大学法人静岡大学 Cmosイメージセンサ
KR101030263B1 (ko) 2006-11-30 2011-04-22 고쿠리츠 다이가꾸 호우진 시즈오까 다이가꾸 반도체 거리 측정 소자 및 고체 촬상 장치
JP4110193B1 (ja) 2007-05-02 2008-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4991436B2 (ja) 2007-08-02 2012-08-01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2009088005A (ja) * 2007-09-27 2009-04-23 Sanyo Electric Co Ltd 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09141631A (ja) 2007-12-05 2009-06-25 Canon Inc 光電変換装置及び撮像装置
JP5156434B2 (ja) 2008-02-29 2013-03-0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撮像システム
JP4494492B2 (ja) 2008-04-09 2010-06-30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5213501B2 (ja) 2008-04-09 2013-06-19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4759590B2 (ja) 2008-05-09 2011-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光電変換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撮像システム
JP5279352B2 (ja) 2008-06-06 2013-09-04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EP2133918B1 (en) 2008-06-09 2015-01-28 Sony Corporation Solid-state imaging device, drive method thereof and electronic apparatus
JP5326507B2 (ja) 2008-11-06 2013-10-30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及び電子機器
JP5089514B2 (ja) 2008-07-11 2012-12-0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JP4617372B2 (ja) 2008-08-29 2011-01-26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
US20100230583A1 (en) 2008-11-06 2010-09-16 Sony Corporation Solid state image pickup devic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image pickup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4905468B2 (ja) 2009-01-09 2012-03-28 ソニー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
US8913166B2 (en) 2009-01-21 2014-12-16 Canon Kabushiki Kaisha Solid-state imaging apparatus
JP2010268080A (ja) 2009-05-12 2010-11-25 Canon Inc 固体撮像装置
JP5538876B2 (ja) 2009-12-25 2014-07-02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5660991B2 (ja) * 2010-09-16 2015-01-28 三菱電機株式会社 光電変換素子およびイメージセンサ
JP5825817B2 (ja) * 2011-04-01 2015-12-02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JP5864990B2 (ja) 2011-10-03 2016-02-17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JP2013093553A (ja) 2011-10-04 2013-05-16 Canon Inc 光電変換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光電変換システム
JP5959829B2 (ja) 2011-11-09 2016-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2013110548A (ja) * 2011-11-21 2013-06-06 Canon Inc 固体撮像素子、該固体撮像素子を備えた距離検出装置、該距離検出装置を備えたカメラ
JP5967915B2 (ja) 2011-12-09 2016-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の駆動方法
JP6053505B2 (ja) 2012-01-18 2016-12-27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
JP6023437B2 (ja) 2012-02-29 2016-11-09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カメラ
JP5968146B2 (ja) 2012-07-31 2016-08-10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JP2014049727A (ja) 2012-09-04 2014-03-17 Canon Inc 固体撮像装置
KR102007279B1 (ko) * 2013-02-08 2019-08-05 삼성전자주식회사 3차원 이미지 센서의 거리 픽셀, 이를 포함하는 3차원 이미지 센서 및 3차원 이미지 센서의 거리 픽셀의 구동 방법
JP6174901B2 (ja) 2013-05-10 2017-08-02 キヤノン株式会社 固体撮像装置及びカメラ
JP2014222863A (ja) 2013-05-14 2014-11-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2839A (ja) 1998-06-29 2000-03-21 Hyundai Electronics Ind Co Ltd フォトダイオ―ド、これを用いたイメ―ジセンサの単位画素及びこれからデ―タを得る方法
JP2002165126A (ja) * 2000-11-28 2002-06-07 Canon Inc 撮像装置及び撮像システム、並びに撮像方法
JP2008193527A (ja) * 2007-02-06 2008-08-21 Nikon Corp 光電変換部の連結/分離構造、固体撮像素子及び撮像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276027B2 (en) 2016-03-01
EP2805353A4 (en) 2015-12-23
KR20140121430A (ko) 2014-10-15
US9818794B2 (en) 2017-11-14
US20140300786A1 (en) 2014-10-09
CN104054177B (zh) 2017-05-31
JP2013149757A (ja) 2013-08-01
US20150357358A1 (en) 2015-12-10
US9147708B2 (en) 2015-09-29
JP5967944B2 (ja) 2016-08-10
EP2805353A1 (en) 2014-11-26
CN104054177A (zh) 2014-09-17
US20160071902A1 (en) 2016-03-10
EP2805353B1 (en) 2018-08-08
KR20170008881A (ko) 2017-01-24
WO2013108798A1 (en) 2013-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8252B1 (ko) 고체 촬상 센서 및 카메라
JP5539104B2 (ja) 光電変換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撮像システム
US9711558B2 (en) Imaging device with photoelectric converter
JP5230058B2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JP6406585B2 (ja) 撮像装置
US9466641B2 (en) Solid-state imaging device
JP2013080797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US10229944B2 (en) Solid-state imaging apparatus
JP2012182377A (ja) 固体撮像装置
JP2009510777A (ja) 改善された収集のための光検出器及びn型層構造
US9773833B2 (en) Photoelectric conversion apparatus and camera
KR101373905B1 (ko) 고체 촬상 장치
JP2015177034A (ja) 固体撮像装置、その製造方法、及びカメラ
JP2019145619A (ja) 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TWI692858B (zh) 固體攝像裝置
US9899444B2 (en) Solid-state image captur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US9923014B2 (en) Image sensor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10136703A (ko) 고체 촬상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촬상 장치
JP2011054596A (ja) Ccdイメージセンサ
RU2574310C1 (ru) Твердотельный датчик изображения и камера
JP5388939B2 (ja) 固体撮像素子
JP6178835B2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JP2007281344A (ja) 固体撮像装置とその製造方法
JP4779575B2 (ja) 固体撮像素子
JP2017212456A (ja) 固体撮像装置およびカメ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