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70649B1 -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70649B1 KR101670649B1 KR1020130163711A KR20130163711A KR101670649B1 KR 101670649 B1 KR101670649 B1 KR 101670649B1 KR 1020130163711 A KR1020130163711 A KR 1020130163711A KR 20130163711 A KR20130163711 A KR 20130163711A KR 101670649 B1 KR101670649 B1 KR 101670649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inseng
- extract
- weight
- hwanggi
- mixing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02—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containing fruit or vegetable juices
- A23L2/08—Concentrating or drying of ju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길경, 당귀, 생지황, 오미자, 인삼, 하수오 및 황기를 세척, 건조 및 절단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한약재와 침출용 당액을 1:1 내지 1.5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옹기에 투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한약재 발효액을 고형분과 분리하는 여과단계 및 상기 여과액을 옹기에 담고 밀봉한 후 25±3℃에서 6개월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 및 숙성액을 혼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정 배합 비율로 추출물을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단일 약재를 음용하는 것보다 관능적 기호도가 높을 뿐 아니라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함으로써 기혈보강 또는 보혈미용의 한의학적 효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혼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길경, 당귀, 생지황, 숙지황, 오미자, 인삼, 하수오 및 황기를 이용한 발효 추출물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 추출물을 일정 비율로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삼은 식물 분류학상으로 오갈피나무과(Araliaceae)의 인삼 속(Panax)에 속하는 다년생 음지성 초본식물로서 오래전부터 한방에서 중요한 약재로 사용되어 왔다. 인삼은 신농본초경에 상품으로 수재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예로부터 귀중한 보약으로 사용되어오고 있다. 인삼은 주로 한국, 중국, 일본 등의 아시아 국가에서 생약의 형태로 정신 의학적 질병, 신경계의 질병 및 당뇨병 등 여러 가지 질병에 대해 사용되어 왔으며, 인삼의 주요 성분인 사포닌은 강장, 강정, 진정, 조혈 및 항고혈압 등에 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和漢藥百科圖鑑, 1권 1-8쪽, 남바쯔네히끼, 호이꾸사, 1980년). 최근의 많은 약리연구에서 인삼은 큰 부작용없이 생체의 전반적인 저항력(면역력)을 증진시켜줄 뿐만 아니라 생체의 기능을 강화시켜주고 에너지를 증진시켜 피로, 무력감, 식욕부진을 개선하는 효능이 있음이 밝혀졌다. 또한, 항암작용, 항당뇨작용, 두뇌활동의 촉진 및 중추신경계의 흥분과 억제 작용, 혈압조절작용, 간기능 회복작용, 항산화 활성 및 노화억제작용, 알코올 해독 촉진 작용, 부신 피질 자극 호르몬 분비 촉진을 통한 항스트레스 효과 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인삼은 재배하여 채취한 상태 그대로의 수삼을 상온에서 건조시킨 백삼 또는 수삼을 98∼100℃에서 가열 처리하여 제조되는 홍삼, 또는 120∼180℃에서 가열 처리하여 제조되는 선삼의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당귀(當歸)는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참당귀 및 일당귀(승검초)의 뿌리로 금산 당귀는 일당귀이다. 모든 혈병을 치료하는 대표적인 약재로 순환되지 않고 뭉친 어혈을 순환시켜 제거하고, 새로운 혈을 생성시키는 보혈의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대하, 생리통, 생리불순, 불임 등 다양한 부인과 질환뿐만 아니라 혈액순환 장애로 인한 손발냉증, 혈이 부족해서 오는 탈모, 두통 및 어지럼증, 변비 등 혈과 관련된 질환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최근 당귀의 약리효능에 대한 연구들을 통해 관상동맥혈류량 증가, 심박률조정, 혈압강하, 항혈전작용, 혈소판응집억제, 혈관 신생 촉진, 신경세포 독성 억제, 진정작용, 고지혈억제, 항암작용, 항산화작용 등이 밝혀졌다. <동의보감>에는 당귀는 성질이 따뜻하며, 맛이 달고 매우며 독이 없는 것으로, <방약합편>에는 당귀는 성질이 따뜻하며 주로 혈을 생성시키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숙지황(熟地黃)은 현삼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인 지황의 뿌리를 황주(막걸리)에 섞어 구증구포한 것으로 혈액순환을 개선시켜 여러 만성 질환의 말초미세 순환을 개선시키는 효과, 항산화효과, 혈당강하, 혈중 지질과산화의 억제, 혈중 및 간장의 지질 함량 정상화, 면역증가효과, 항암작용 등이 밝혀졌다. 성장기 아이 및 노인의 보약, 제반 허약한 증상을 치료하는 보약에 많이 활용되는 약재이다. <동의보감>에는 숙지황은 성질이 따뜻하고 맛이 달며 약간 쓰고 독이 없으며 부족한 혈을 크게 보하고, 수염과 머리털을 검게 하며, 골수를 보충해주고, 살찌게 하며, 힘줄과 뼈를 튼튼하게 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생지황(生地黃)은 성질이 차고 맛은 달지만 쓰다고도 하며, 독이 없다. 모든 열을 풀어주고 혈을 강하게 순환시켜 어혈을 제거하여 월경을 잘 통하게 하고, 부인의 부정기출혈이 멈추지 않는 것을 치료하며 유산 징후인 태동으로 하혈하는 것과 코피, 피를 토하는 것을 치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길경(桔梗)은 길경과(도라지과)에 속한 다년생 초본으로 도라지의 뿌리를 말하며,급성 인후 질환을 치료하는 대표적인 약으로 기운을 아래로 내려 숨이 차오르는 것을 치료하고, 가래를 제거하고, 기침을 멈추게 하며, 폐질환으로 인한 농을 제거하는 효능이 있다. 따라서 감기와 비염, 급성인후염, 편도선염 등 호흡기 질병에 많이 활용된다. 길경의 주 사포닌 성분인 Platycodin은 담을 제거하여 기침을 멈추게 하는 작용, 진정, 진통, 항염증, 항궤양, 말초혈관 확장 작용 등의 효능이 있다. <동의보감>에는 길경은 성질이 약간 따뜻하고 맛이 맵고 쓰며 폐의 질병으로 숨이 찬 것을 치료하고 모든 기를 내리며 목구멍(인후)이 아픈 것과 가슴, 옆구리가 아픈 것을 낫게 하고 고독을 없애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다.
하수오(何首烏)는 마디풀과(Polygonaceae)의 다년생 초본인 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의 덩이뿌리를 건조한 것으로 정의하고 있으며(전국한의과대학 본초학교수공편, 본초학, 서울, 영림출판사), 백수오는 박주과리과(Asclepiadaceae)의 큰조롱(Cynanchum wilfordii Max. Hemsl.)의 덩이뿌리로 규정하고 있다(신민교, 임상본초학, 서울, 영림출판사, 1986). 하수오는 붉은색을 띄는 적하수오와 담황색의 백하수오로 나뉘는데 이 두 가지 약초는 그 근원이 다르다. 적하수오는 중국이 원산이며 뿌리줄기가 땅속으로 벋으면서 군데군데 고구마같이 굵은 덩이뿌리가 생긴다. 원줄기는 가지가 갈라지면서 길게 벋어가고 털이 없다. 잎은 어긋나고 달걀 모양심장형이며 끝이 뾰족하다. 잎 가장자리는 밋밋하고 턱잎은 원통 모양으로 짧다. 잎자루 밑부분에는 짧은 잎집이 있다. 붉은빛을 띤 갈색 덩이뿌리를 한방에서 적하수오라고 하며 강장제·강정제·완하제로 사용한다. 백하수오는 박주가리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로 우리나라가 원산지이며, 전국 각지에 분포되어 양지의 산악이나 바닷가의 경사지 등에 자생하는 식물로 덩굴은 담록색을 띄우고 시계방향으로 감아 올라가며 3m 정도 뻗는 식물이다. 줄기나 잎 등을 자르면 백색 유액이 나오며, 뿌리는 마(산약)와 같이 주근이 비대하여 잘라보면 절단면 바깥 부분은 유백색이고 중앙부분은 담황색을 띤다. 영문 명칭은 적하수오(Polygonum multiflorum Thunberg), 백하수오(Cynanchum wilfordii Max. Hemsl.)이다. 식물학상 백하수오와 적하수오는 과(科)가 완전히 다른 식물로 재배, 수확, 가공방법이 전혀 다르며 약효 성분과 한약재로 쓰이는 용도도 완전히 다르다. 백하수오는 독성이 없어서 생으로 먹어도 되지만, 적하수오의 경우 독성이 있기 때문에 꼭 법제를 해서 먹어야 하고, 과량 복용 시 간 독성 등의 부작용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백하수오는 덩이뿌리를 약재로 사용한다.
황기는 콩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으로 주피를 거의 벗긴 뿌리는 인삼과 더불어 기(氣)를 보하는 대표 약재로 기혈이 허해서 생기는 여러 가지 허약 증상들을 치료하는 데 두루 활용된다. 황기는 인체의 외부를 강화하여 기가 허하여 나는 땀을 그치게 하고, 산후 또는 심각한 출혈 후 기혈을 보충하는 효능이 있다. 또한, 배뇨를 촉진하여 부종을 줄이고, 새살을 돋게 하며, 특히 당뇨성 궤양의 회복을 촉진시키는 효능이 있다. 현대적인 약리작용으로서 자연살해세포(Natural Killer Cells) 활성화 등 면역계와 관계되고 있는 요소들의 활성을 증가시킨다는 보고가 있다. 한방에서는 이수퇴종(利水退腫)을 황기의 주요 기능이라 하고, 몸이 허약하고 기운이 없고, 저절로 땀이 날 때, 잠잘 때 식은땀이 흐를 때, 만성 위염, 위궤양 등의 증상에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위하수, 자궁하수, 탈항 등 중기하함의 병증에 응용한다. 폐농양, 심장기능저하, 관상혈관 확장, 당뇨병, 부종, 피부화농성 질병, 만성 피부궤양, 모세혈관 출혈, 습진 등에도 쓴다.
오미자(五味子)는 목련과에 속하는 낙엽덩굴성 관목의 열매로 이 열매는 달고, 시고, 쓰고, 맵고, 짠 다섯 가지의 맛을 고루 갖추고 있다고 하여 오미자라 하는데, 그 가운데에서도 신맛이 가장 강하다. 신맛의 성분으로서는 말산(malic acid), 타르타르산(tartaric acid) 등이 알려지고 있다. 한방에서는 약재로 이용되고 있으며, 동물실험에서는 대뇌신경을 흥분시키고 강장작용이 나타났으며 호흡중독에도 직접 작용하고 있다. 또한, 심장활동을 도와서 혈압을 조절하고 간장에 들어가서는 간장의 대사를 촉진시키는 효과가 알려져 있다. 신맛의 주성분인 유기산은 신진대사를 활발하게 하고 피로회복을 돕는 작용이 있다.
일반적으로 한약재는 단독으로 쓰기보다는 여러 약재를 비율에 맞추어 사용하는 것이 부작용을 막아줌은 물론 시너지 효과가 나게 된다. 따라서 한약재 각각의 효능만 가지고 그 약을 무리하게 사용하게 되면 효과도 덜할 뿐 아니라 부작용의 위험이 있으며 약물 상호간의 작용에 의해 독성이 줄어들기도 하고 약리작용이 상승하기도 한다.
종래 알려진 한약재 추출물이 혼합된 조성물 제조방법으로써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13931호에는 홍삼액을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발효 홍삼액과, 홍삼, 상엽, 상백피, 당귀, 백복령, 총목피 각각의 추출액에 유산균을 첨가, 발효시킨 한약재 혼합 발효 홍삼 농축액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당뇨 효능이 있는 발효 홍삼 음료 조성물이 공지되어 있으나, 상기 종래기술은 항당뇨 효능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기를 보하는 건강식품 조성물로 활용하기에는 부적절한 점이 있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이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이점은 하기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 청구범위 및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하게 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한약재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발효액을 제조하고 이를 일정비율로 혼합하여 혼합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생물 또는 건조 한약재를 세척, 건조 및 절단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한약재와 침출용 당액을 1:1 내지 1.5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옹기에 투입하여 발효시키는 단계, 상기 한약재 발효액을 고형분과 분리하는 여과단계 및 상기 여과액을 옹기에 담고 밀봉한 후 25±3℃에서 6개월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조된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혼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을 제공한다.
1. 약초 세척 및 전처리 단계
본 발명에서 길경, 당귀, 생지황, 오미자, 인삼, 하수오 및 황기는 생물 약초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필요에 따라 상기 길경, 당귀, 생지황, 숙지황, 오미자, 인삼, 하수오 및 황기는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숙지황은 생지황을 구중구포하여 가공한 다음 건조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숙지황의 경우에는 생지황과 구분하여 열수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으로 한다.
(1) 생물 약초 전처리
약초를 수확 후 하루 정도 그늘에 두었다가 흙을 털고 2시간 정도 물에 담근 다음 흐르는 물에 약초를 세척한 후 건조하여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다. 이때 약초를 흐르는 물에 2~5회 깨끗이 수세하고, 체반을 이용하여 자연건조시키거나 40℃ 이하에서 열풍건조기로 8시간 이내에 건조시킬 수 있다. 오미자를 제외한 뿌리 부분을 사용하는 약초인 길경, 당귀, 지황, 인삼, 하수오, 황기는 3~5cm의 크기가 되도록 절단하는데, 수분이 많고 연한 부분은 다소 크게 썰고 단단한 부분은 작게 썰도록 한다. 껍질 부분이 너무 벗겨지지 않도록 세척하여 물기를 제거한다. 생물 약초 전처리는 약초 수확 후 48시간 이내에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 건물 약초 전처리
수확시기와 본 발명의 조성물 제조시기가 맞지 않는 경우에는 생물 대신 건물을 활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건조물의 경우에는 일광에서 건조하여 소독을 대신한다. 건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생물 대비 30~40%의 중량을 사용한다.
(3) 숙지황의 열수 추출
숙지황은 잘게 썬 다음 숙지황 무게의 4배의 설탕시럽(설탕과 물을 1: 1.5의 비율로 제조)을 가하여 100℃의 열수로 숙지황을 달여 물의 부피가 1/2로 줄어들 때까지 추출한다.
2. 침출용
당액
준비단계
본 발명에서 침출용 당액은 일실시예로 물 1000ml를 기준으로 백설탕 1500g에 올리고당 500g, 천일염 5g을 넣어 열을 가하지 않고 상온에서 고형 성분이 액상 안에 모두 녹도록 잘 섞어준다.
이때 고형성분의 설탕만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제조할 경우 초기 약초의 유효성분이 조직 밖으로 나오는데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설탕보다는 시럽의 형태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본 발명에서 설탕은 상기 약초의 유효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매체로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삼투압 현상을 일으킬 수 있는 당분이라면 꿀, 물엿, 올리고당 등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천일염을 첨가함으로써 본 발명의 조성물의 추출 시간을 줄이고, 부패균을 방지하며, 조성물의 기호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3. 개별 약초의 유효성분 추출단계 (1차 호기 발효 공정)
본 발명에서 유효성분 추출단계는 1차 숙성과정을 통해 약초의 다양한 유효성분을 삼투압에 의하여 추출하는 단계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개별 약초를 담글 발효 효소 옹기는 열수로 소독하여 건조시킨 후에 사용한다. 옹기는 미세한 기공을 통해 내부의 독성을 외부로 배출시키며 내용물의 긍정적인 발효를 도울 뿐만 아니라 그 약성을 지켜준다. 발효 효소 옹기는 뚜껑 상단부위에 가스를 배출할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으며 뚜껑 안쪽에 턱이 형성되어 있어 외부에 두어도 빗물이 스며들지 않는 구조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발효 효소 옹기는 충북 청원군 문곡리에 위치한 부강토기의 발효 효소 옹기 항아리를 사용하였다.
상기 옹기에 생물 또는 건조시킨 길경, 당귀, 생지황, 오미자, 인삼, 하수오 및 황기를 각각 투입하고 상기 침출용 당액을 투입한다.
본 발명에서 생물을 기준으로 할 때에는 생물과 침출용 당액의 부피를 1:1로 준비하고, 건물의 경우에는 1:1.5의 비율로 침출용 당액을 준비한다. 이러한 농도로 추출액을 만들면 당의 농도가 높아 수분활성도가 낮아져 자연방부 효과로 인한 장기간 보관이 가능하며 부패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옹기에 담겨진 약초는 하루 이틀 지나면서 설탕의 삼투압 작용에 의해 수분과 생리활성성분이 추출되게 된다. 옹기는 햇볕이 들지 않는 서늘한 음지로 가져가 매일 한 번씩 뒤집으면서 25℃가 유지되는 장소에서 약 10~20일 정도 추출한다. 약초의 생리활성 성분과 수분이 빠져나오면 약초는 가벼워져서 남아 있는 섬유질에 의해 떠오르게 된다. 보관 온도에 따라 1차 숙성에 소요되는 시간이 달라지는데 일반적인 상온온도인 22~24℃에서는 10~12일을, 20℃ 정도에서는 12~19일, 12~14℃에서는 35일 정도가 소요된다. 25~28℃에서는 8~10일 정도 후에 1차 숙성이 완료된다. 그러나 보관온도가 28℃를 넘을 경우 이상 발효될 수 있으므로 최고 온도가 28℃를 넘어가지 않도록 해야 한다.
4. 개별 약초 추출액 분리 및 여과 단계
상기 1차 숙성과정을 통해 추출된 액을 고형분과 분리하여 여과하는 단계이다. 이때 추출된 액을 걸러 낼 때는 거름망(200~500 mesh) 또는 실크스크린샤(여과망사)를 이용한다. 이때 200mesh 미만의 거름망을 이용하여 여과할 경우에는 분해되지 않은 섬유질을 제거하지 못하여 최종생산물인 본 발명의 조성물 섭취시 이물감을 느끼게 되어 관능미가 저하될 수 있으며, 500mesh 초과의 거름망을 이용하여 여과할 경우에는 200~500mesh의 거름망을 이용하여 분해되지 않은 섬유질을 충분히 제거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여과하는 과정에서 필요 이상의 시간 및 경제적 비용이 소요될 수 있다.
5. 개별 약초 추출액 숙성단계 (2차
혐기
발효공정)
본 발명에서 상기 개별 약초의 여과된 추출액을 다시 옹기에 부어 25±3℃에서 약 180일(6개월) 동안 숙성시킬 수 있다. 이때 옹기의 입구는 한지로 막고 뚜껑을 덮어 밀봉할 수 있다. 이 과정을 통해 혐기 발효가 진행되며, 발효온도는 혐기성 미생물의 활동에 최적온도인 25~30℃ 정도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추출액 여과 후 2차 숙성을 위해 옹기에 추출액을 담을 시에는 옹기 전체 부피의 70% 정도만 담아야 한다. 추출액이 너무 많으면 2차 발효에 의해 거품이 덮개를 밀고 올라올 수 있으며, 반면 추출액의 양이 너무 적으면 2차 발효에 의한 탄산가스가 항아리의 내부를 채우지 못하고 또한 발효균들의 세력이 너무 약해 다른 균들의 침입을 받을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밀봉상태에서 6개월의 발효기간을 거치는 것은 상기 발효시간 내에서 추출원액이 충분히 혐기 발효될 수 있도록 최적의 시간 조건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추출액 숙성과정이 끝나면 저장고에 보관하여 여러 가지 가공식품의 원재료로 이용할 수 있다.
6. 개별 약재 발효액 혼합단계
상기 혐기 발효가 충분히 안정된 각 개별 약재의 발효액을 일정비율로 블랜딩하여 혼합된 조성물을 만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주원료로 사용되는 하수오, 황기, 숙지황, 당귀와 보조적으로 사용되는 길경, 오미자, 생지황의 배합비는 대략 10:1 정도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황기 50중량%, 하수오 40중량%, 길경 5중량%, 오미자 4중량%, 인삼 1중량%를 혼합하여 식품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 숙지황 열수 추출물 50중량%, 당귀 40중량%, 생지황 5중량%, 길경 4중량%, 인삼 1중량%를 혼합하여 식품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7. 가열단계
본 발명에서 가열단계는 상기 블랜딩한 혼합 조성물을 가열하는 공정으로, 본 발명에서는 55~65℃에서 25~35분 동안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55~65℃에서 25~35분 동안 가열하는 것은 상기 혼합 조성물에 함유되어 있는 기능성 성분 및 고유한 맛, 향, 색은 유지하면서 숙성시킨 혼합 조성물에 포함되어 있을지 모를 유해균 및 미생물을 제거함과 동시에 혼합 조성물에 있는 유해균 및 미생물에 의해 변성된 알코올 성분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에서 가열 시 상기 블랜딩한 혼합 조성물을 55℃ 미만에서 25분 미만으로 가열할 경우에는 혼합 조성물의 기능성 성분 및 고유한 맛, 향, 색은 유지되나 2차 숙성시킨 개별 약초 추출액에 있을지 모르는 유해균 및 미생물을 제거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유해균 및 미생물에 의해 변성된 알코올 성분을 제거하지 못하며, 블랜딩한 혼합 조성물을 65℃를 초과한 온도에서 가열하거나 35분 이상 초과하여 가열할 경우에는 블랜딩한 혼합 조성물의 유해균 및 미생물과 변성 알코올 성분을 제거할 수 있으나 블랜딩한 혼합 조성물에 함유되어 있는 기능성 성분 및 고유한 맛, 향, 색이 파괴되거나 저하될 수 있으므로 가열 시 온도와 시간을 정확하게 지켜야 기능성과 안전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뿐 아니라 유통 및 장기보관이 가능한 혼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식물 발효액 산업의 가장 취약한 부분이 생산환경의 위생 및 잘못된 재료보관으로 인한 식품의 안전성 문제이다. 2012년 한해 동안 식품의약품 안전처를 통해서 회수 및 판매 중지된 식물 발효액의 유사제품의 주요 회수사유는 세균수 부적합판정과 식품으로서 사용할 수 없는 원료의 사용이었다. 따라서 식물 발효액의 경우 제품이 완성된 상태에서 제품을 살균처리하는 가열 공정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한 방법에 의해 제조된 혼합 조성물을 함유한 음료를 비롯하여 다양한 식품에 첨가할 수 있는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하는 혼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한약재 발효액을 약효의 효능을 증강시키는 배합의 원리에 근거하여 특정 배합 비율로 혼합하여 조성물을 제조함으로써 단일 약재를 음용하는 것보다 관능적 기호도가 높을 뿐 아니라 건강기능식품으로 사용함으로써 기혈보강 또는 보혈미용의 한의학적 효능을 높이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포함하는 혼합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개략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total phenolic content를 측정하기 위해 gallic acid를 기준 물질로 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실시예 2는 기력충전으로, 실시예 3은 보혈미용으로 표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를 나타낸 것이다(실시예 2는 기력충전으로, 실시예 3은 보혈미용으로 표기).
도 2는 total phenolic content를 측정하기 위해 gallic acid를 기준 물질로 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을 나타낸 것이다(실시예 2는 기력충전으로, 실시예 3은 보혈미용으로 표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를 나타낸 것이다(실시예 2는 기력충전으로, 실시예 3은 보혈미용으로 표기).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충남 금산군에서 재배한 길경, 당귀, 생지황, 오미자, 인삼, 하수오 및 황기를 수확한 후 하루 정도 그늘에 두었다가 흙을 털고 2시간 정도 물에 담근 다음 흐르는 물에 3회 세척한 후 체반에 건져 자연건조하여 물기를 완전히 제거하였다. 상기 길경, 당귀, 지황, 인삼, 하수오, 황기는 3~5cm의 크기로 썰었다. 물 1000ml에 설탕 시럽 1500g, 올리고당 500g 및 천일염 5g을 넣고 상온에서 고형 성분이 모두 녹도록 잘 섞어 침출용 당액을 제조하였다. 부강토기(충북 청원군 문곡리에 위치)의 발효 효소 옹기 항아리에 상기 썰어서 준비해 둔 길경, 당귀, 생지황, 오미자, 인삼, 하수오 및 황기를 각각 넣고 각 생물 대비 침출용 당액을 부피비 1:1로 투입하였다. 상기 발효 효소 옹기 항아리를 서늘한 음지로 가져가 매일 한 번씩 뒤집으면서 25℃에서 10일 동안 유효성분을 추출하였다. 상기 각 개별 약재의 추출액을 거름망(200~500 mesh)으로 여과하여 고형분과 분리하였다. 상기 각 개별 약재의 여과액을 옹기에 담고 입구는 한지로 막고 뚜껑을 덮어 밀봉한 상태에서 25℃에서 6개월 동안 숙성시켜 각 개별 약재의 발효액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각 개별 약재 발효액으로 황기 50중량%, 하수오 40중량%, 길경 5중량%, 오미자 4중량%, 인삼 1중량%를 혼합하여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기를 보하는 대표적인 약재인 황기와 정수(精髓)를 보하여 머리를 검게 하고 늙지 않게 하는 효능이 있는 하수오를 주 약재로 배합하여 활용하였다. 정혈을 보하는 하수오는 인삼이나 황기와 같이 기를 보하는 약재와 배합하면, 인삼과 황기의 기를 보하는 효능을 증강시킬 수 있어 하수오와 황기, 하수오와 인삼의 배합은 예로부터 많이 활용되었다. 특히 하수오와 황기, 인삼은 소음인 약재로 승양익기탕(升陽益氣湯), 승양익기부자탕(升陽益氣附子湯), 황기계지탕(黃.桂枝湯)과 같은 대표적인 소음인 처방에 주된 배합으로 활용되어왔다. 이와 함께 활용된 길경은 다른 약재들의 약효가 폐로 작용할 수 있도록 끌고 가는 작용(引經)을 한다. 한의학에서 폐는 기를 주관하는 가장 중요한 장기이기 때문에 기를 보하는 보약에 길경을 배합함으로써 다른 약재들의 기를 보하는 효능이 폐로 작용하여 폐에서 온몸으로 잘 퍼져나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오미자는 폐와 신을 보하는 약으로 폐의 기를 수렴하고, 신의 음혈을 보하여 진액과 음혈을 보하면서 수렴시키는 효능이 있으므로 다른 약재들이 기와 음혈을 보한 것을 몸에 온전하게 수렴하는 작용을 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
3
숙지황은 잘게 썬 다음 숙지황 무게의 4배의 설탕시럽(설탕과 물을 1: 1.5의 비율로 제조)을 가하여 100℃의 열수로 숙지황을 달여 물의 부피가 1/2로 줄어들 때까지 추출하였다. 상기 숙지황 열수 추출물 50중량%,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각 개별 약재 발효액으로 당귀 40중량%, 생지황 5중량%, 길경 4중량%, 인삼 1중량%를 혼합하여 건강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혈을 보하는 대표적인 약재인 숙지황과 당귀가 주요 약재로 배합되었다. 숙지황은 신장의 음액을 보하고 혈을 보할 수 있으며, 당귀는 혈을 보하면서 동시에 혈액의 순환을 돕는 작용이 있어 두 약재의 배합은 혈을 보하는 처방에서 많이 활용되어 왔다. 생지황은 숙지황과 달리 혈을 보하는 효능보다는 열을 식히고 진액을 보하는 효능이 있어 열병이나 진액을 보충해야 할 경우에 많이 활용되는 약재이다. 본 발명에서는 숙지황, 당귀와 함께 생지황을 배합하여 혈과 진액을 보하는 효능을 도모하였다. 숙지황, 당귀의 배합이 인삼과 함께 활용되면, 인삼의 기를 보하는 효능이 결합되어 기와 혈을 보할 수 있다. 따라서 숙지황, 당귀, 인삼은 보약에서 무난하게 많이 활용되고 있는 배합이다. 마지막으로 길경은 상기 실시예 2의 조성물에서와 같은 원리로 배합되었다.
상기 실시예 2 및 실시예 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건강식품 조성물을 이용하여 하기와 같이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1. 품질특성 실험
(1) 실험방법
- pH : 실온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pH meter(pH meter F-51, HORIBA. Japan)로 3회 반복 측정하여 그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 당도 : 샘플은 0~53% 범위의 당도계(Pocket PAL-1, ATAGO, Tokyo, Japan)를 이용하여 3회 반복 측정하였으며 그 평균값을 나타내었다.
- 색도 : 색차계(Colormeter CR-300, Minolta Co. Osaka, Japan)를 사용하여 L(Lightness, 명도), a(Redness, 적색도), b(Yellowness, 황색도)의 색채 값을 3회 반복 측정한 후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이때 사용한 표준 백색판(Standard plate)의 L, a, b 값은 각각 97.26, -0.07, +1.86이었다.
- 점도 : 점도를 측정하기 위해 샘플을 250 mL비커에 200 mL를 넣어 40℃ 진탕 항온 수조에서 2시간 동안 유지시킨 다음 꺼내어 곧바로 점도를 측정하였다. 이때 40℃로 유지시킨 시료를 Brookfield viscometer (DV-Ⅱ+Pro, Brookfield Engineering Inc., Khenifra, MA, USA)로 spindle 1을 사용하여 60 rpm에서 정확히 1분간 회전시켜 측정하였다.
(2) 결과
상기 실시예 2 및 실시예 3의 품질특성으로 pH, 당도, 색도, 점도를 측정하였다.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pH는 4.9이며 실시예 3은 4.16으로 나타났으며 미나리 발효 추출액의 pH는 숙성기간이 경과함에 따라 3.74에서 3.60으로 떨어지는 경향을 보이는데, 발효 추출액이 pH 4.0 이하의 경향을 보이는 것은 발효 및 숙성 과정이 진행되면서 유기산이 생성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색도에서 명도를 나타내는 L값은 100에 가까울수록 white를 나타내며 적색도를 나타내는 a값은 +값의 경우 red를 나타내고 -값을 나타낼수록 green을 나타내며 b값은 +값의 경우 yellow를 나타내고 -값을 나타낼수록 blue를 나타낸다. 색도를 측정한 결과로 L값(명도)은 실시예 2는 23.2, 실시예 3은 19.38으로 실시예 2의 명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실시예 2와 실시예 3의 각 a값은 0.43, 1.3이며 b값은 2.17, 0.61로 나타났다. 산야초 발효액 색도 분석에서 L값은 80.36으로 나타났으며 a값과 b값은 각각 11.47과 44.53으로 측정되었다. 실시예 2와 실시예 3의 당도는 각 49.66°Bx, 52.43°Bx로 나타났으며 미나리 발효액의 당도(°Bx) 경우 발효 및 숙성기간에 따라 40.0~41.2로 거의 유사한 값을 보였으며, 이는 원료와 당의 비율을 1:1로 첨가하는 경우에 삼투압에 의하여 식물체 중의 수분이 발효액으로 유입되면서 전형적인 야채 발효조건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된다. 실시예 2와 실시예 3의 점도는 각각 126.8, 193.2로 나타났으며 실시예 3의 점도가 높게 나타났다.
|
pH | 당도 | 색도 | 점도 | ||
L | a | b | ||||
실시예 2 | 4.90±0.01 | 49.66±0.012 | 23.20±0.14 | 0.43±0.19 | 2.17±0.53 | 126.8 |
실시예 3 | 4.16±0.01 | 52.43±0.012 | 19.38±0.35 | 1.3±0.22 | 0.61±0.26 | 193.2 |
점도(centipoise; cP) = value of dial reading X factor
2.
ABTS
ABTS를 7 mM 농도로 증류수에 용해한 다음 2.45 mM의 potassium persulfate를 가하여 ABTS+ 라디칼을 생성시켜 실온의 암소에서 12∼16시간 동안 방치 후 사용하였다. 라디칼이 생성된 ABTS 용액을 99.5% ethanol로 희석하여 734 nm에서 흡광도가 0.70±0.02가 되도록 조정하였다. 소거능은 ABTS 용액 0.9 mL와 시료 0.1 mL를 혼합하여 6분간 반응시킨 후 734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계산식 scavenging activity(%)=100-[(OD of sample/OD of control)×100]에 의하여 활성도를 산출하였다. 라디칼 소거 활성의 결과는 대조군에 대한 50% 흡광도의 감소를 나타내는 검체의 농도(IC50)로 나타내었다.
ABTS법은 potassium persulfate와의 반응에 의해 생성된 ABTS+이 시료 중의항산화성 물질에 의해 제거되어 라디칼 특유의 청록색이 탈색되는 것을 이용하여 항산화력을 측정하는 방법으로, DPPH assay의 경우 자유 라디칼을 소거하는 반면, ABTS는 양이온 라디칼을 소거하는 차이를 가지며, 두 기질과 반응물과의 결합 정도가 달라져 라디칼 제거 능력의 차이를 보인다.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효액의 10 mg/ml 농도에서 실시예 2는 30.19%, 실시예 3은 41.47%로 나타났다. 산야초 발효액의 10, 50 및 100 ㎎/㎖의 농도에서 ABTS 라디칼 소거활성은 각각 21.5, 55.51 및 81.07%로 유의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실시예 2와 실시예 3이 산야초 발효액보다 높은 항산화 능력을 보였다. 대조구로 사용한 Ascorbic acid은 28.95 ug/ml에서 IC50을 나타났으며 실시예 2와 실시예 3은 그보다 낮은 활성을 보였다.
ABTS | |
실시예 2 | 30.19±2.88% |
실시예 3 | 41.47±9.52% |
Ascorbic acid IC50 | 28.95 ug/ml |
3.
Total
phenolic
content
총 페놀 함량은 Singleton 등(1999)의 Folin-Ciocalteu 방법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추출물 10μL, 증류수 600 μL, 2 N Folin-Ciocalteu 시약 50 μL을 vortex로 혼합하여 8분이 넘지 않게 반응시켰다. 혼합물에 20% Na2CO3 150 μL와 증류수 1190 μL를 가하여 2 시간 동안 상온 암소에 방치한 후 UV/VIS spectrophotometer(V-530, Jasco, Tokyo, Japan)로 765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Gallic acid(Sigma Chemical Co. St. Louis, MO, USA)의 검량선으로부터 총 폴리페놀 함량을 gallic acid equivalents(GAE; GA mg/g extract)로 3회 반
복하여 얻은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식물에 널리 분포되어 있는 페놀성 물질은 항산화, 항염, 항균 등 다양한 생리활성을 나타내므로 페놀성 물질과 항산화 활성 간의 상관관계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나오고 있다. 페놀은 식물성 식품에서 주로 산소포용을 담당하는 물질이다. 지질류 식품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첨가하는 합성 첨가물인 BHT, BHA 도 페놀성 물질이다. 항산화력은 산소를 경쟁적으로 소모하여 체내 세포가 산화되는 것을 막는 효과이다. 본 실험에서는 total phenolic content를 측정하기 위해 gallic acid를 기준 물질로 하여 검량선을 작성한 후 mg gallic acid(mg GAE/g)으로 3회 반복하여 얻은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와 실시예 3의 페놀성 화합물 함량은 각각 13.87, 28.33 mg GAE/g으로 나타났다.
Total phenolic content mg GAE/g |
|
실시예 2 | 13.87±1.35 |
실시예 3 | 28.33±3.05 |
4.
DPPH
free
radical
소거 활성
1,1-diphenyl-2-picrylhydrazyl(DPPH) free radical에 대한 소거 효과는 추출물 0.8 mL에 DPPH solution (1.5×10-4M) 0.2 mL를 가하여 교반한 다음 실온의 암소에서 30분간 방치 후 517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료를 첨가하지 않은 대조구의 흡광도를 이용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으며, 3회 반복 실험하여 얻은 결과를 평균한 값으로 나타내었다.
자유 라디칼은 노화와 질병의 원인 중의 하나이며, 생체 내에서 활성 산소종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활성 산소종은 각종 성인병과 노화, 특히 피부노화의 원인으로 큰 관심을 끌고 있으며, 피부 면역 기능을 억제시켜 피부 염증을 유발시키고, 탄력감소, 주름살 및 기미, 주근깨 등의 피부노화를 가속화시킨다. 인체 내의 자유 라디칼은 지질, 단백질 등과 반응하여 생체의 노화를 촉진할 수 있는 물질로, 이러한 자유 라디칼을 제거할 수 있는 천연물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특히 DPPH(1,1-diphenyl-2-picrylhydrazyl) 라디칼 소거법은 항산화물질의 전자공여능을 이용한 항산화 측정법으로 주로 phenolic 구조와 aromatic amine 화합물에서 많이 사용되는 방법이다. DPPH 라디칼은 항산화 물질로 잘 알려진 아스코르빈산 및 토코페롤, polyhydroxy 방향족 화합물에 의해 전자나 수소를 받아 환원되어 안정한 분자를 형성하게 될 때, 보라색이 탈색되는 원리를 이용하여 하는 실험이다.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발효액을 희석한 결과 실시예 3이 실시예 2에 비해 높은 항산화력를 보였다. 낮은 농도인 0.05%농도에서 실시예 3은 70% 이상의 DPPH 저해력을 보여주었다. 이와 비슷한 실험으로 산야초 발효액의 DPPH는 높은 농도인 1%에서 34.9%의 저해력을 보였다. 약용식물 발효액에 대한 DPPH 라디칼 소거능은 쑥, 민들레, 아카시아, 솔싹, 쇄뜨기, 감잎 발효액에 대한 것으로 각각 16.4, 17.1, 10.7, 18.5, 19.2, 22.6%의 낮은 항산화력을 나타내었다. 이들 보고와 본 연구 결과를 비교해 볼 때 실시예 2와 실시예 3 발효액의 높은 DPPH 라디칼 소거능을 예상할 수 있다.
5.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erric Reducing Antioxidant Power (FRAP) 분석은 300 mM sodium acetate buffer(pH 3.6)와 40 mM HCl로 용해시킨 10 mM TPTZ 용액 그리고 20 mM FeCl3 용액을 사용하였다. 미리 제조된 sodium acetate buffer, TPTZ 용액 및 FeCl3 용액을 10 : 1 : 1(v/v/v)의 비율로 혼합하여 37℃에서 15분간 반응시켜 FRAP 시약을 준비하였다. FRAP 시약 1.5 mL를 추출물 50 μL에 혼합하여 섞고, 37℃에서 15분간 반응시키고 분광광도계(V-530, Jasco, Tokyo, Japan)를 사용하여 593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비타민 E 유사물질인 Trolox로 표준곡선을 작성하여 환원력을 나타내었다. 음성 대조구 실험은 시료 대신에 에탄올 50 μL를 취하여 실험하였으며 FRAP 활성은 흡광도 값으로 표시하였다.
FRAP 방법은 상기 DPPH 라디칼 소거활성 측정과는 메커니즘이 다른 항산화 검증법으로 DPPH 방법의 경우 자유 라디칼을 직접적으로 소거하는 것을 이용한 항산화 활성을 평가하는 방법인 반면, FRAP 방법은 산화 및 환원 반응을 이용한 측정방법이다. 본 실험은 혈청의 환원력을 측정하기 위해 시작됐지만 현재는 식물의 라디칼 연쇄 반응을 중단시키는 능력을 측정하기 위해 널리 쓰이고 있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FRAP 방법으로 측정한 실시예 2와 실시예 3은 각각 530.16 mg/100g, 711.84 mg/100g으로 나타났다. 산야초 발효액의 결과는 10, 50 및 100 ㎎/㎖의 농도에서 FRAP 활성은 각각 0.112, 0.289 및 0.473으로 나타났다.
6. 유리당
유리당 분석은 시료 10 mL에 75% 에탄올 150 mL를 가하여 80℃에서 2시간 동안 환류냉각 추출하여 여과한 후 45℃에서 회전식 감압농축기로 감압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농축액에 증류수를 가하여 전량을 100 mL로 보정하고 Sep-pak plus C18 Cartridges로 처리한 후 HPLC로 분석하였다.
하기 표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2은 fructose 14.33%, glucose 19.01%로 나타났으며 실시예 3은 fructose 11.86%, glucose 23.3%, sucrose 3.14%로 측정되었다. 오미자 발효액 실험에서 주요 유리당으로써 fructose, glucose, 그리고 sucrose를 대상으로 측정하였는데 발효 전 오미자와 발효 후 오미자의 유리당 함량을 비교분석하였다. 오미자 발효액의 유리당 함량은 fructose 21.5±0.2%, glucose 22.9±0.4%로 나타내었으며, sucrose는 발효 시 첨가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검출되지 않았다. 이에 반해, 발효 전 오미자의 유리당 함량은 fructose 0.9±0.06%, glucose 1.3±0.04%, sucrose 50.3±1.4%로 관찰되었다. 이로써, 오미자 발효액의 주요 맛 성분인 유리당은 glucose와 fructose였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오미자의 glucose와 fructose함량보다 오미자 발효액에서 많이 검출되는데 이는 발효 시 첨가된 sucrose가 발효 동안 분해된 것으로 판단된다. 프락토올리고당 미나리 발효 추출액의 경우 검출된 유리당은 과당과 포도당 2가지로 나타났으며, 발효 및 숙성이 진행되면서 과당과 포도당이 4.6%, 4.8%에서 각각 15.2%와 16.6%로 크게 증가하여 총 유리당 함량이 발효기간 3년 경과한 시료에서 31.8%로 최대 함량을 나타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발효 및 숙성 중 발효 미생물의 효소 작용에 의한 당의 성분변화에 기인한 것이라 생각된다.
실시예 2 | 실시예 3 | |
Fructose | 14.33 | 11.86 |
Glucose | 19.01 | 23.3 |
Lactose | - | - |
Maltose | - | - |
Sucrose | - | 3.14 |
7. 대장균 유무 측정
무균 상태인 멸균백에 시료를 취한 뒤, 취해진 시료를 blender로 갈아서 멸균 생리식염수로 단계적으로 희석하여 균질화한 후 clony의 수가 30~300개가 되도록 측정하였다. 대장균의 측정을 위해 3M KIT를 이용하여 실시예 2 및 실시예 3에 대장균군의 함유 여부를 측정하였다.
E.coli /Coliform CountPlates를 사용하여 대장균과 대장균군의 수를 측정하
였으며 킷트의 붉은색 지시약은 모든 콜로니를 붉은색으로 만들고 대장균군의 경우 대장균군에 의해 생성되는 가스는 필름 상부에 포집하게 되어 기포가 나타난다. 대장균은 여기에 더해 glucuronidase 지시약이 첨가되어있어 대장균을 파란색으로 나타나게 한다. 하지만 본 실험결과에서 푸른색 콜로니와 기포가 형성되는 것을 관찰하지 못하였다.
8. 일반성분 분석
조단백질, 조지방, 탄수화물, 열량은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KFDA)의 방법[KFDA, 2005]에 따라 분석하였다. 조단백질과 조지방은 세미마이크로킬달법을 적용한 분석기기인 auto kjeldahl system(K-370/424/414, Buchi, Switzerland)과 에테르 추출법을 적용한 분석기기, auto soxhlet system(B-811/B-411, Buchi, Switzerland)을 각각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탄수화물은 시료 100 mL에서 수분, 조단백질, 조지방, 식이섬유 및 회분의 양을 감하여 얻은 양으로서 표시하고 일반성분의 시험결과는 백분율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2와 실시예 3의 일반성분을 측정한 결과 실시예 2의 경우 열량 182.6kcal, 당류 33.34%, 조단백질 1.56%, 조지방 0.08%, 탄수화물 43.91%로 나타났으며, 실시예 3은 열량 204.93kcal, 당류 38.3%, 조단백질 0.76%, 조지방 0.21%, 탄수화물 50%로 나타났다. 오미자 발효액의 일반성분을 발효 전 오미자와 비교분석한 결과 오미자 발효액의 경우 수분 53.1%, 조단백질 0.1%, 조지방 0.2%, 회분 0.1%, 탄수화물 2.1%(유리당 미포함), 식이섬유 2.0%로 나타났으며, 발효 전 오미자는 수분 57.5%, 조단백질 11.1%, 조지방 18.8%, 회분 4.9%, 탄수화물 12.6%, 식이섬유 5.4%였다. 이는 오미자 성분이 발효 후 감소하였음을 의미한다.
실시예 2 | 실시예 3 | |
열량(kcal/100g) | 182.6 | 204.93 |
탄수화물(g/100g) | 43.91 | 50 |
당류(g/100g) | 33.34 | 38.3 |
조단백질(g/100g) | 1.56 | 0.76 |
조지방(g/100g) | 0.08 | 0.21 |
포화지방(g/100g) | 0.08 | - |
트랜스지방(g/100g) | - | - |
콜레스테롤(mg/100g) | - | - |
나트륨(mg/100g) | 5.99 | 9.65 |
Claims (5)
- 삭제
- 삭제
- 황기 추출물 50중량%, 하수오 추출물 40중량%, 길경 추출물 5중량%, 오미자 추출물 4중량% 및 인삼 추출물 1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혼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황기 추출물, 하수오 추출물, 길경 추출물, 오미자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은 황기, 하수오, 길경, 오미자 및 인삼의 생물 또는 건조 한약재를 세척, 건조 및 절단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황기, 하수오, 길경, 오미자 및 인삼의 유효성분을 침출하기 위해서, 물 1000ml를 기준으로 백설탕 1500g, 올리고당 500g 및 천일염 5g을 넣어 열을 가하지 않고 상온에서 고형 성분이 액상 안에 모두 녹을 때까지 혼합하여 침출용 당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황기, 하수오, 길경, 오미자 및 인삼과 상기 침출용 당액을 1:1 내지 1.5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옹기에 투입한 후 25℃에서 10일 동안 발효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황기, 하수오, 길경, 오미자 및 인삼 발효추출액을 200~500 mesh의 거름망을 이용하여 고형분과 분리하는 여과단계; 및
상기 여과액을 옹기에 담고 밀봉한 후 25±3℃에서 6개월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황기, 하수오, 길경, 오미자 및 인삼의 유효성분을 함유하여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한약재 음료 조성물. - 숙지황 열수 추출물 50중량%와 당귀 추출물 40중량%, 생지황 추출물 5중량%, 길경 추출물 4중량% 및 인삼 추출물 1중량%를 혼합하여 제조되는 혼합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당귀 추출물, 생지황 추출물, 길경 추출물 및 인삼 추출물은 당귀, 생지황, 길경 및 인삼의 생물 또는 건조 한약재를 세척, 건조 및 절단하여 전처리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당귀, 생지황, 길경 및 인삼의 유효성분을 침출하기 위해서, 물 1000ml를 기준으로 백설탕 1500g, 올리고당 500g 및 천일염 5g을 넣어 열을 가하지 않고 상온에서 고형 성분이 액상 안에 모두 녹을 때까지 혼합하여 침출용 당액을 제조하는 단계:
상기 전처리된 당귀, 생지황, 길경 및 인삼과 상기 침출용 당액을 1:1 내지 1.5의 부피비로 혼합하여 옹기에 투입한 후 25℃에서 10일 동안 발효시켜 유효성분을 추출하는 단계:
상기 당귀, 생지황, 길경 및 인삼 발효추출액을 200~500 mesh의 거름망을 이용하여 고형분과 분리하는 여과단계; 및
상기 여과액을 옹기에 담고 밀봉한 후 25±3℃에서 6개월 동안 숙성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며 숙지황, 당귀, 생지황, 길경 및 인삼의 유효성분을 함유하여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한약재 음료 조성물.
-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발효 한약재 음료 조성물을 온도범위 55~65℃에서 25~35분 동안 가열하여 제조하는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발효 한약재 음료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3711A KR101670649B1 (ko) | 2013-12-26 | 2013-12-26 |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163711A KR101670649B1 (ko) | 2013-12-26 | 2013-12-26 |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5598A KR20150075598A (ko) | 2015-07-06 |
KR101670649B1 true KR101670649B1 (ko) | 2016-10-31 |
Family
ID=53788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163711A KR101670649B1 (ko) | 2013-12-26 | 2013-12-26 |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70649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8158A (ko) * | 2018-06-04 | 2019-12-12 | 강윤석 | 초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구 세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00022818A (ko) * | 2018-08-24 | 2020-03-04 | 장영숙 | 수용성 한련초와 천일염을 원료로 한 소금 제조방법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652104B1 (ko) * | 2016-04-16 | 2016-08-29 | 이성우 | 하수오 발효음료 및 그의 제조방법 |
CN107485698A (zh) * | 2017-08-22 | 2017-12-19 | 臧星 | 一种具有养血通络、美容养颜功效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
KR102158593B1 (ko) * | 2018-11-16 | 2020-09-22 | 농업회사법인(주)가고파힐링푸드 | 저당 저온가압 한방액상청 제조방법 |
KR102251380B1 (ko) * | 2020-11-30 | 2021-05-14 | 주식회사 더원푸드 | 새싹삼 및 식물 추출액을 이용한 장아찌용 소스의 제조방법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5140B1 (ko) | 2008-06-26 | 2010-08-11 | 박세준 | 한약재 또는 곡류 발효방법 |
KR101133688B1 (ko) * | 2010-01-06 | 2012-07-11 | 박국문 | 당귀꽃봉오리 효소음료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효소음료 |
KR101166884B1 (ko) | 2009-11-23 | 2012-07-18 | 주식회사 티제이네츄럴 | 당귀, 천궁, 작약, 숙지황, 홍삼, 감초 및 대추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2013
- 2013-12-26 KR KR1020130163711A patent/KR101670649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975140B1 (ko) | 2008-06-26 | 2010-08-11 | 박세준 | 한약재 또는 곡류 발효방법 |
KR101166884B1 (ko) | 2009-11-23 | 2012-07-18 | 주식회사 티제이네츄럴 | 당귀, 천궁, 작약, 숙지황, 홍삼, 감초 및 대추로 이루어진 한방 혼합 침출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KR101133688B1 (ko) * | 2010-01-06 | 2012-07-11 | 박국문 | 당귀꽃봉오리 효소음료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한 효소음료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90138158A (ko) * | 2018-06-04 | 2019-12-12 | 강윤석 | 초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구 세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102067435B1 (ko) | 2018-06-04 | 2020-01-17 | 강윤석 | 초란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안구 세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KR20200022818A (ko) * | 2018-08-24 | 2020-03-04 | 장영숙 | 수용성 한련초와 천일염을 원료로 한 소금 제조방법 |
KR102104572B1 (ko) * | 2018-08-24 | 2020-05-29 | 장영숙 | 수용성 한련초와 천일염을 원료로 한 소금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75598A (ko) | 2015-07-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33188B1 (ko) | 아미노산, 활성종합비타민 및 한방생약재를 함유하는 숙취해소용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541516B1 (ko) | 누에와 뽕나무잎과 상지(桑枝)를 주원료로한 이온미네랄 건강음료의 제조방법 | |
KR101670649B1 (ko) | 한약재 발효 추출물을 함유한 혼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120014712A (ko) | 여주를 주원료로 한 혈당강하용 기능성 음료와 차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136052B1 (ko) | 허브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보호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음료 | |
KR101018065B1 (ko) | 대추를 사용한 건강음료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건강음료 | |
KR101312491B1 (ko) | 혈당강하용 기능성 여주음료의 제조방법 | |
CN106497723A (zh) | 一种由核桃花、核桃叶、分心木和核桃壳混合酿制的果酒 | |
KR20090098024A (ko) | 약주의 제조방법 | |
CN106617049A (zh) | 一种含辣木叶提取物的蜂胶类保健品及其制备方法 | |
CN107557204B (zh) | 一种混酿荔枝玫瑰酒及其制备方法 | |
CN105029553A (zh) | 一种果汁蛋钙中药保健饮料及其制备方法 | |
CN107557254B (zh) | 一种荔枝玫瑰酒和制备方法及补益气血与抗氧化应用 | |
KR20100104331A (ko) | 고장초 추출물을 주성분으로 한 건강 약차 및 그 제조 방법 | |
CN107384680B (zh) | 一种百香果龙眼果酒及其酿造方法 | |
CN106497722B (zh) | 一种核桃花石榴果酒及其制备方法 | |
KR101015025B1 (ko) | 오가피진액이 함유된 사과음료 및 그 제조방법 | |
CN105176773A (zh) | 一种调节血糖的南瓜酒及其制作方法 | |
KR100853838B1 (ko) | 새콤달콤한 콜라겐 감귤(柑橘) 비타 침출 녹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CN102787048A (zh) | 一种龙葵果保健型酒的酿制方法 | |
KR20220000658A (ko) | 면역력 증진을 위한 리큐르주의 제조방법 | |
KR20050080501A (ko) | 고혈압, 비만, 당뇨병환자를 위한 건강보조식품의 제조방법 | |
CN105087284A (zh) | 一种复方树莓养生酒及其制备方法 | |
CN104938730A (zh) | 一种百香果甜茶 | |
KR20200142768A (ko) | 한방 추출물을 포함하는 숙취 해소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125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