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78416B1 - Recliner device for automotive seat - Google Patents

Recliner device for automotive sea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78416B1
KR101678416B1 KR1020150092202A KR20150092202A KR101678416B1 KR 101678416 B1 KR101678416 B1 KR 101678416B1 KR 1020150092202 A KR1020150092202 A KR 1020150092202A KR 20150092202 A KR20150092202 A KR 20150092202A KR 101678416 B1 KR101678416 B1 KR 101678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bossment
emboss
braking
holder plate
toot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Activ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9220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기홍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다스
Priority to KR10201500922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7841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78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78416B1/en
Active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 투스와 홀더 플레이트의 가이드 엠보 사이의 접촉부위에 브레이킹 엠보를 부가하고 가이드 엠보의 배면에 이중 구조의 챔퍼부를 적용하여 리클라이너의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보다 콤팩트한 초경량의 고강도 내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를 개시한다.
전술한 리클라이너 장치는 쿠션 브래킷에 고정되고 방사상으로 이격된 위치에 가이드 엠보(100)를 갖춘 홀더 플레이트(10), 백 브래킷에 고정되는 섹터 투스(20),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에 대해 상기 가이드 엠보(100)를 매개로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섹터 투스(20)와 치결합되는 폴 투스(30), 및 상기 폴 투스(30)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작동 캠(40)을 구비하고, 상기 폴 투스(30)는 하나 또는 다수로 구성되며 상기 홀더 플레이트(10)를 향해 돌출되는 브레이킹 엠보(300)가 형성되며,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에는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수용을 위한 대응 엠보(140)가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양측부위는 상기 대응 엠보(140)에 접촉되며,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저면 양측부위는 상기 대응 엠보(140)의 양측부위와 틈새(G)를 두도록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adds a braking emboss to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ole tooth and the guide emboss of the holder plate, and by applying the double-structured chamfer portion to the backside of the guide embossing, the rigidity of the recliner is reinforced, thereby achieving a more compact and ultra- A reclin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seat which can be used for a vehicle is disclosed.
The recliner apparatus described above includes a holder plate 10 having a guide emboss 100 at a radially spaced position fixed to a cushion bracket, a sector tooth 20 fixed to the back bracket, A pole tooth 30 which is radially movable through the guide emboss 100 and is engaged with the sector tooth 20 and an operating cam 40 The braking embossment 300 is formed on the holder plate 10. The braking embossment 300 is formed of one or more of the pivot teeth 30 and protruded toward the holder plate 10, Both sides of the braking embossment 300 are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embossment 140 and both sides of the bending embossment 300 are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embossment 140, The gap (G) between both sides of the It is configured to.

Description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Recliner device for automotive seat}Recliner device for automotive seat < RTI ID = 0.0 >

본 발명은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폴 투스와 홀더 플레이트의 가이드 엠보 사이의 접촉부위에 대한 강성 보강을 통해 보다 콤팩트하고 초경량을 구현하면서 고강도의 내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lin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seat, and more particularly, to a reclin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seat, which is capable of securing a durability with high strength while realizing a compact and lightweight structure through reinforcement of rigidity against a contact portion between a pole tooth and a guide emboss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clin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seat.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는 탑승자의 하중을 지지하고 실내의 바닥면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하체부위를 지지하는 시트 쿠션과, 이 시트 쿠션에 대하여 일정각도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탑승자의 상체부위를 지지하는 시트 백으로 구성된다.Generally, a seat of an automobile is provided with a seat cushion which supports a load of a passenger and is movable in a front-rear direction with respect to a floor of a room to support a lower body portion of a passenger, and a seat cushion And a seat back supporting the upper body portion of the passenger.

이러한 시트에는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춰 시트 쿠션을 전후방으로 당기거나 밀어 시트의 전후방 위치를 조절하는 슬라이딩 장치와, 시트 쿠션에 대하여 시트 백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여 시트에 앉았을 때 가장 쾌적한 자세가 되도록 시트 쿠션에 대하여 시트 백의 각도를 가변적으로 조절하기 위한 수동식 리클라이너 장치가 구비된다. Such a seat is provided with a sliding device for the driver or the occupant to adjust the front and rear positions of the seat by pulling or pushing the seat cushion forward and backward in accordance with the body shape of the driver or the occupant, and a sliding device for adjust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at back with respect to the seat cushion, A manual recliner device for variably controlling the angle of the seat back with respect to the seat cushion is provided.

종래 리클라이너 장치로는 등록특허 제10-1422419호에 개시된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를 일례로 들 수 있는 데, 상기와 같은 종래 리클라이너 장치는 조작 레버에 대한 선회 조작에 따라 폴 투스와 섹터 투스 사이의 치합이 해제되어 시트 쿠션에 대한 시트 백의 경사 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 경우, 조작 레버에 제공된 회전력은 회전축을 통해 캠으로 전달되고, 캠으로 전달된 회전력은 폴 투스를 작동시켜 섹터 투스와의 치합을 해제하게 된다.As a conventional recliner device, there is an example of a recliner for an automobile seat disclosed in Japanese Patent No. 10-1422419. In the conventional recliner device as described above, when the operation lever is pivoted,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at back with respect to the seat cushion can be freely adjusted. In this case, the rotational force provided to the operation lever is transmitted to the cam through the rotation shaft, and the rotational force transmitted to the cam actuates the pole tooth to release the engagement with the sector tooth.

또한, 종래 리클라이너 장치의 세부적 구성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제10-1422419호의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조립체를 구성하는 홀더 플레이트(200)와 섹터투스(300)가 작동 캠(400)과 폴 투스(500)를 내장하도록 구성되고, 홀더 플레이트(200)와 섹터투스(300) 사이의 결합부위 외주면의 전 둘레부위가 가이드 링(700)에 의해 감싸인 형태로 이루어진다. 2, the holder plate 200 and the sector tooth 300 constituting the core assembly are connected to the operation cams 400 and 400,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2 of Patent Document 10-1422419, And the front periphery of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holder plate 200 and the sector tooth 300 is enclosed by the guide ring 700. [

또한, 홀더 플레이트(200)는 가이드 블록에 해당하는 가이드 엠보(210)를 방사상으로 배치하는 구조로 형성되어 있어, 폴 투스(500)의 측면부를 가이드함과 더불어, 후방 충돌과 같은 외력의 작용시 가이드 엠보(210)는 폴 투스(500)와의 긴밀한 접촉을 통해 시트 백의 경사각도를 유지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In addition, the holder plate 200 is configured to radially arrange the guide embosses 210 corresponding to the guide blocks, and guides the side portions of the pole teeth 500, The guide emboss 210 maintains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at back through intimate contact with the pole tooth 500, thereby enhancing the safety of the passenger.

그런데 상기와 같은 구조의 종래 리클라이너 장치는 부품의 경량화 추세에 부응하여 보다 콤팩트한 구조로 제작되는 바, 예컨대 코어 조립체의 전체 직경이 축소됨과 더불어 코어 조립체를 구성하는 각 부품의 두께도 얇게 설정되어 중량의 저감과 함께 부품이 점유하는 공간까지도 축소하고 있다.However, the conventional recliner device having the above-described structure is manufactured in a more compact structure in response to the weight reduction of parts. For example, the overall diameter of the core assembly is reduced and the thickness of each component constituting the core assembly is also set to be thin The space occupied by the parts is reduced as well as the weight is reduced.

그러나 이와 같은 경량화 추세에 따라 제작되는 종래 리클라이너 장치에서는 후방 충돌과 같은 외력이 작용할 경우를 대비하여, 폴 투스(500)와 홀더 플레이트(200)의 가이드 엠보(210) 사이에 적정한 구조적 강성이 확보되어야 하는 데, 부품의 부피와 중량 및 소재의 변경없이는 초경량의 고강도 내구 성능이 보장될 수 있는 리클라이너 장치를 제작하는데 기술적 한계가 있다.However, in the case of the conventional recliner device manufactured in accordance with such a lightweight trend, the proper structural rigidity is ensured between the pole tooth 500 and the guide embossment 210 of the holder plate 200 in case of an external force such as a rear impact, There is a technical limitation in manufacturing a recliner device in which the ultra-lightweight, high-strength durability performance can be guaranteed without changing the volume, weight and material of the parts.

특히, 홀더 플레이트(200)에 형성되는 가이드 엠보(210)가 후방 충돌과 같은 외력의 작용시 폴 투스(500)와의 접촉을 통해 시트 백의 경사각도를 유지하는 데 크게 기여한다는 점을 고려하여, 홀더 플레이트(200)에 있어 가이드 엠보(210)가 형성되는 수량을 다수로 확보하기 위해서는 리클라이너 장치의 전체 부피가 크게 설정될 수밖에 없으므로 부품의 경량화 추세에 부응할 수 없는 결과를 낳게 되므로, 부품의 부피와 중량 및 소재의 변경없이도 리클라이너 장치의 내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새로운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In consideration of the fact that the guide embossment 210 formed on the holder plate 200 greatly contributes to maintaining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at back through contact with the pawl 500 when an external force such as a rear impact is applied, Since the total volume of the recliner device is inevitably set to be large in order to secure a large number of the guide embosses 210 formed on the plate 200, the result is that the parts can not meet the weight reduction trend, And development of a new technology capable of securing the durability of the recliner device without changing the weight and the material has been demanded.

등록특허 제10-1422419호의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Recliner for automobile seat of Japanese Patent No. 10-142241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제반 사안들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폴 투스와 홀더 플레이트의 가이드 엠보 사이의 접촉부위에 브레이킹 엠보를 부가하고 가이드 엠보의 배면에 이중 구조의 챔퍼부를 적용하여 리클라이너의 강성을 보강함으로써 보다 콤팩트하고 초경량을 구현하면서 고강도의 내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accomplished in view of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folding embossing device, So that it is possible to secure a durability with high strength while realizing a more compact and light-weight reclin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sea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쿠션 브래킷에 고정되고 방사상으로 이격된 위치에 가이드 엠보를 갖춘 홀더 플레이트; 백 브래킷에 고정되는 섹터 투스;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 대해 상기 가이드 엠보를 매개로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섹터 투스와 치결합되는 폴 투스; 및 상기 폴 투스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작동 캠을 구비하고, 상기 폴 투스에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를 향해 돌출되는 브레이킹 엠보가 형성되며, 상기 홀더 플레이트에는 상기 브레이킹 엠보의 수용을 위한 대응 엠보가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킹 엠보의 양측부위는 상기 대응 엠보에 접촉되며, 상기 브레이킹 엠보의 저면 양측부위는 상기 대응 엠보의 양측부위와 틈새를 두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ushion bracket comprising: a holder plate fixed to a cushion bracket and having a guide emboss at a radially spaced position; Sector toes fixed to the back bracket; A pole tooth which is movable in a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lder plate via the guide embossment and is in a tooth-to-tooth connection with the sector tooth; And an operating cam for providing a pressing force to the pole tooth in a radially outward direction, wherein a braking emboss protruding toward the holder plate is formed on the pole tooth, and a corresponding embossing for receiving the braking emboss is formed on the holder plate, Wherein both side portions of the braking embossment are in contact with the corresponding embossing portion and both sides of the bending embossing portion are spaced from both sides of the corresponding embossing portion.

본 발명에 있어, 상기 가이드 엠보에는 상기 폴 투스를 향한 양측부위에 돌출단부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 플레이트의 배면에 오목한 저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폴 투스를 향한 양측부위에 상기 돌출단부 보다 돌출거리는 짧게 설정하는 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단부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측면부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guide emboss has protruding ends formed on both sides toward the pole tooth, a concave bottom surface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holder plate, and a protruding distance shorter than the protruding end on both sides toward the pole tooth, And the protruding end portion is located radially outward of the side portion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lder plate.

본 발명에 있어, 상기 저면부로부터 상기 돌출단부와 상기 측면부에 이르는 양측 모서리부위에 챔퍼부가 형성되고, 상기 챔퍼부 중 상기 측면부 중에서 상기 돌출단부와 인접한 부위에 상기 챔퍼부 보다 외부로 더 돌출된 이중 챔퍼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hamfered portion is formed at both side edges from the bottom surface portion to the protruding end portion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and a portion of the chamfered portion, which is adjacent to the protruding end portion, And the chamfer portion is integrally formed.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폴 투스의 양측부위에는 상기 돌출단부와 대응하는 수용단부, 및 상기 측면부와 대응하는 측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단부의 하부에는 상기 대응 엠보를 향해 돌출된 단차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both end portions of the pole tooth are formed with a receiving end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projecting end portion and a side surface portion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portion, and a stepped portion protruding toward the corresponding embossed portion is formed below the receiving end portion .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대응 엠보에는 상기 브레이킹 엠보의 수용을 위한 저면부가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의 양측부위에 상기 브레이킹 엠보의 단차부와 마주보는 측면부가 형성되며, 상기 저면부와 상기 측면부 사이의 모서리부위에 챔퍼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rresponding emboss has a bottom portion for receiving the bending embosses, and both side portions of the bottom portion are formed with side portions facing the stepped portions of the bending embosses, and corners between the bottom portion and the side portions And a chamfered portion is formed in the region.

본 발명에 있어, 상기 틈새는 상기 브레이킹 엠보의 양측 단차부와 상기 대응 엠보의 양측 측면부 사이에 각각 동일한 거리 또는 미세한 차이로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learance may be formed between the stepped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bending embossed portion and the side portions on both sides of the corresponding embossed portion.

본 발명에 있어, 상기 브레이킹 엠보는 상기 폴 투스의 중앙부위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장방형 또는 원주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king emboss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rectangular or columnar structure arranged transversely on the central portion of the pole tooth.

본 발명은 후방 충돌과 같은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를 대비하여 폴 투스와 홀더 플레이트의 가이드 엠보 사이의 접촉부위에 구조적 강성을 보강할 수 있는 브레이킹 엠보를 부가하고 가이드 엠보의 배면에도 구조적 강성의 보강을 위한 이중 구조의 챔퍼부를 적용함으로써, 동일한 부피를 유지하면서도 초경량의 고강도 내구 성능을 확보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braking emboss capable of reinforcing the structural rigidity is provided at the contact portion between the pivot tooth and the guide emboss of the holder plate in case of an external force such as a rear impact,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automobile seat recliner device capable of securing an ultra-lightweight high-strength durability performance while maintaining the same volume.

또한, 본 발명은 폴 투스의 치형부와 섹터투스의 내치부 사이의 치결합부위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응력의 집중부위를 향해 가이드 엠보의 측면부에 폴 투스를 향한 돌출단부를 형성함으로써, 후방 충돌과 같은 외력이 작용하는 상황에서도 가이드 엠보는 폴 투스에 적정의 지지 강성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시트 백의 경사각도는 그대로 유지하게 되고, 이를 통해 탑승자의 안전이 확보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forming a protruding end portion toward the pole tooth on the side portion of the guide emboss toward the concentrated portion of the stress due to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tooth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teeth portion of the pole teeth and the tooth portion of the sector tooth, The guide emboss can provide an appropriate support rigidity to the pole tooth, so that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seat back can be maintained as it is, and the safety of the occupant can be secured through the same.

특히, 본 발명은 홀더 플레이트에 있어 가이드 엠보의 형성부위 배면에 이중 구조의 챔퍼부를 형성함으로써 폴 투스의 측면부와 직접적으로 맞닿는 가이드 엠보의 돌출단부를 포함한 측면부 전체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한층 더 강화하여 후방 충돌과 같은 외력이 작용하는 경우에도 크랙의 생성을 지연시키고 넥킹 현상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할 수 있으므로, 초경량이면서 고강도의 내구 성능을 보장할 수 있는 자동차 시트용 리클라이너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Particularly, in the holder plat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ouble stiffness chamfer portion is formed on the back side of the guide embossing portion to further strengthen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entire side portion including the protruding end portion of the guide emboss, It is possible to provide a recliner device for a seat for an automobile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generation of cracks and preventing the occurrence of a necking phenomenon even when an external force such as a collision is applied, thereby ensuring light weight and high durability.

아울러, 본 발명은 홀더 플레이트에 대해 폴 투스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폴 투스의 조립방향이 홀더 플레이트의 중심부위에서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진입하도록 설정될 수 있으므로, 폴 투스가 가이드 엠보의 사이의 공간을 향해 상부에서 하부로 진입하여 이루어지는 기존의 조립방식에 비해 끼임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지 않을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Further, 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pole tooth to the holder plate, since the assembling direction of the pole tooth can be set to enter in a direction inclined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lder plate, So that it does not cause the problem of pincushion compared with the conventional assembling method in which the upper part is lowered toward the space between the upper part and the lower part.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에 대한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클라이너 장치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부위로서, 폴 투스와 홀더 플레이트 사이의 조립부위를 분해하여 국부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폴 투스와 홀더 플레이트 사이의 조립부위에 대한 배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1의 Ⅴ-Ⅴ선 단면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부위로서, 도 3에 도시된 홀더 플레이트에서 가이드 엠보의 형성부위에 대한 배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주요 구성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부위로서, 도 1과 도 3, 도 4, 및 도 5에서 가이드 엠보에 구비되는 돌출단부의 형성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lin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recliner apparatus shown in Fig. 1. Fig.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main constituen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locally showing the assembly part between the pole tooth and the holder plate. FIG.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ck surface configuration of an assembly part between the pole tooth and the holder plate shown in FIG. 3.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V-V in FIG.
FIG.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ack surface configuration of the holder plate shown in FIG. 3 as a main constituen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spect to a formation site of a guide emboss.
Fig. 7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main components of Fig. 6. Fig.
FIG. 8 is a view for explaining a forming portion of a protruding end portion provided in the guide embossment in FIGS. 1, 3, 4, and 5 as a main constituen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차량용 시트의 수동식 리클라이너 장치는 시트 쿠션에 고정되는 쿠션 브래킷, 시트 백에 고정되는 백 브래킷, 쿠션 브래킷과 백 브래킷 사이에 설치되어 리클라이닝 기능을 구현하는 수동식 코어 조립체, 쿠션 브래킷을 관통하여 코어 조립체의 작동에 필요로 하는 조작력을 전달하도록 설치되는 회전축, 및 쿠션 브래킷의 외부에서 상기 회전축의 일단부와 결합되어 사용자에 의해 선회 조작되는 조작 레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manual recliner device of the vehicle seat includes a cushion bracket fixed to the seat cushion, a back bracket fixed to the seat back, a passive core assembly installed between the cushion bracket and the back bracket for realizing a reclining function, A rotation shaft installed to transmit an operation force required for operation, and an operation lever coupled to one end of the rotation shaft from the outside of the cushion bracket to be turned by a user.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에 대한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리클라이너 장치의 조립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FIG.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reclining apparatus for an automobile sea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front view showing an assembled state of the reclining apparatus shown in FIG.

도 1과 도 2를 참조로 하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에 있어, 코어 조립체는 쿠션 브래킷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홀더 플레이트(10), 백 브래킷에 고정되도록 결합되는 섹터 투스(20),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에 대해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다수의 폴 투스(30), 상기 폴 투스(30)에 대해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가압력을 제공하는 작동 캠(40), 상기 작동 캠(40)에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설치되는 리턴 스프링(50), 및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와 상기 섹터 투스(20)의 전 둘레부위를 감싸도록 설치되는 가이드 링(6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Referring to FIGS. 1 and 2, in a recliner apparatus for an automobi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core assembly includes a holder plate 10 coupled to be fixed to a cushion bracket, a sector tooth 20 A plurality of pole teeth 30 dispos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holder plate 10 so as to be movable in a radial direction, an operation cam (not shown) which provides a pressing force toward the radially outward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pole teeth 30 A return spring 50 installed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to the operation cam 40 and a guide ring 60 installed to surround the entire circumference of the holder plate 10 and the sector toot 20, .

도 3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부위로서, 폴 투스와 홀더 플레이트 사이의 조립부위를 분해하여 국부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폴 투스와 홀더 플레이트 사이의 조립부위에 대한 배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Ⅴ-Ⅴ선 단면부위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부위로서, 도 3에 도시된 홀더 플레이트에서 가이드 엠보의 형성부위에 대한 배면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주요 구성부위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주요 구성부위로서, 도 1과 도 3, 도 4, 및 도 5에서 가이드 엠보에 구비되는 돌출단부의 형성부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폴 투스의 치형부와 섹터투스의 내치부 사이의 치결합부위로부터 가이드 엠보에 전달되는 하중에 의한 응력의 집중부위를 도시한 도면이다.FIG.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main constituen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by locally separating the assembly part between the pole tooth and the holder plate, FIG.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rear part of the assembly part between the pole tooth and the holder plate,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a line V-V in FIG. 1, FIG. 6 is a main constitu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And FIG. FIG.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nlarged main configuration of FIG. 6, FIG. 8 is a main constituent par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S. 1, 3, 4 and 5 show the formation Fig. 5 is a view for explaining a portion of a stress concentrated due to a load transmitted to a guide embossed portion from a tooth mating portion between a tooth portion of a polyt tooth and an inner tooth portion of a sector tooth; Fig.

도 3 내지 도 8을 참조로 하면, 상기 홀더 플레이트(10)는 중앙부위에 회전축(미도시)의 설치를 위한 관통구멍(1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홀더 플레이트(10)는 상기 폴 투스(30)를 향한 일측면에 폴 투스(30)의 반경방향 움직임을 안내하기 위한 돌기 형태로 이루어진 다수의 가이드 엠보(100)를 형성하는 바, 상기 가이드 엠보(100)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의 일측면에서 상기 관통구멍(1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호 마주보는 형태로 배치되어 있어, 리클라이닝 기능 작동시 상기 폴 투스(30)는 상호 마주보는 한 쌍의 가이드 엠보(100) 사이에 마련된 공간을 따라 반경방향 내측 또는 외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Referring to FIGS. 3 to 8, the holder plate 10 has a through hole 12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for installing a rotation shaft (not shown). The holder plate 10 is formed with a plurality of guide embosses 100 having a protrusion shape for guiding the radial movement of the pawl tooth 30 on one side of the pole tooth 30, The guide emboss 100 is arranged in a manner to face each other at a position radially distant from the one side of the holder plate 10 about the through hole 12 so that when the reclining function is operated, Are moved radially inward or outward along a space provided between a pair of guide embosses 100 facing each other.

상기 섹터 투스(20)는 중앙부위에 회전축(미도시)의 설치를 위한 관통구멍(22)을 형성하고, 상기 폴 투스(30)의 치형부(32)와의 치 결합을 위해 일측 내주면의 전 둘레부위를 따라 내치부(24)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섹터 투스(20)는 타측면에 백 브라켓(미도시)과의 결합을 위해 두께 방향의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단부(26)를 일체로 형성하는 바, 상기 돌출단부(26)는 관통구멍(22)을 중심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구조물 형태로서 각각 백 브라켓과의 견고한 결합을 구현할 수 있는 외형을 가지도록 구성된다. The sector tooth 20 has a through hole 22 formed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for installing a rotary shaft (not shown), and is engaged with the tooth portion 32 of the pole tooth 30, Thereby forming an indentation 24 along the region. In addition, the sector tooth 20 integrally has a protruding end portion 26 protruding outward in the thickness direction for coupling with the back bracket (not shown) on the other side. The protruding end portion 26 is integrally formed with the protruding end portion 26, Are configured in a plurality of structures arranged in a radial pattern around the through hole 22, each having an outer shape capable of realizing a strong coupling with the back bracket.

상기 폴 투스(30)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의 일측면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상기 가이드 엠보(100) 사이에서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외주면에 상기 섹터 투스(20)의 내치부(24)와의 치 결합을 위한 치형부(32)를 형성한다. 또한, 상기 폴 투스(30)는 반경방향 내주면에 상기 작동 캠(40)의 회전에 따른 연동을 위해 오목한 형태의 삽입홈(34)을 일체로 형성하고, 상기 삽입홈(34)의 입구 양측부위에는 상기 작동 캠(40)과의 접촉에 따른 연동을 위한 소정 형상의 캠 프로파일(36)을 함께 형성한다.The pole teeth 30 are radially movably provided between the guide embosses 100 radially disposed on one side of the holder plate 10. The pole teeth 30 are formed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pole teeth 30, (32) for tooth-coupling with the base (24). The pole tooth 30 is integrally formed with a radially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sertion groove 34 in a concave shape for interlocking with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cam 40, A cam profile 36 having a predetermined shape for interlocking with the operation cam 40 is formed.

상기 작동 캠(40)은 중앙부위에 회전축(미도시)과의 축 결합을 위한 관통구멍(42)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작동 캠(40)은 외주면에 상기 폴 투스(30)의 삽입홈(34)으로 조립되어 반경방향 위치를 구속하도록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의 걸림돌기(44)를 전 둘레부위에 걸쳐 다수로 형성하고, 상기 걸림돌기(44) 사이에는 상기 폴 투스(30)의 캠 프로파일(36)과의 접촉을 통해 가압력을 제공하기 위해 대응하는 형상의 캠 프로파일(46)을 함께 형성한다.The operation cam 40 has a through hole 42 for axial coupling with a rotation shaft (not shown) at a central portion thereof. The operation cam 40 is assembled with the insertion groove 34 of the pole tooth 30 on the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and has a locking protrusion 44 protruding outwardly to restrain the radial position of the locking protrusion 44 And a cam profile 46 of a corresponding shape is formed between the engaging projections 44 so as to provide a pressing force through contact with the cam profile 36 of the pawl tooth 30.

상기 리턴 스프링(50)은 일단부가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에 고정 지지되고, 타단부가 상기 폴 투스(30)에 고정 지지되어 있어, 상기 작동 캠(40)에 대해 회전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리턴 스프링(50)은 코일 스프링의 형태로 구성된다.One end of the return spring 50 is fixed to the holder plate 10 and the other end of the return spring 50 is fixedly supported on the pole tooth 30 to provide a restoring force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rotation of the operation cam 40 . To this end, the return spring 5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가이드 엠보(100)에는 도 3과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폴 투스(30)를 향한 양쪽 측면부위에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돌출단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의 배면에 오목한 형태의 저면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폴 투스(30)를 향한 양쪽 측면부위에서 외부로 돌출되면서 상기 돌출단부(120) 보다 돌출거리를 상대적으로 짧게 설정하는 측면부(124)가 형성된다. 이 경우, 상기 돌출단부(120)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의 관통구멍(12)의 중심을 기준으로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측면부(124)는 반경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설정된다. 3, 5 and 6, the guide emboss 100 is formed with protruding end portions 120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sides of the pole tooth 30 toward the pole tooth 30, A bottom surface portion 122 of a concave shape is formed on the back surface of the plate 10 and a side surface portion 122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side portions toward the pole tooth 30, (124) is formed. In this case, the protruding end portion 120 is positioned radially outward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through hole 12 of the holder plate 10, and the side portion 124 is positioned radially inward.

또한, 상기 가이드 엠보(100)에는 양쪽 측면부위에 위치한 한 쌍의 돌출단부(120) 사이를 연결하여 상기 섹터 투스(20)의 내치부(24)와 마주보는 위치에 원호형태의 호형부(125)가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122)로부터 상기 돌출단부(120)와 상기 측면부(124)에 이르는 양측 모서리부위에 경사진 형태의 챔퍼부(126)가 형성되며, 상기 챔퍼부(126)의 형성부위 중 상기 측면부(124)에서 상기 돌출단부(120)를 향해 인접한 부위에는 상기 챔퍼부(126) 보다 외부로 더 돌출된 형태의 이중 챔퍼부(128, 도 6에 도시됨)가 일체로 형성된다.The guide emboss 100 is connected to a pair of protruding end portions 120 located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guide emboss 100 so that a circular arc shaped portion 125 And a chamfered portion 126 is formed at both side edges from the bottom surface portion 122 to the protruding end portion 120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124. The chamfered portion 126 (Shown in FIG. 6) protruding outwardly from the chamfered portion 126 is formed integrally with the protruding end portion 120 in the vicinity of the protruding end portion 120 from the side surface portion 124 do.

이 경우, 상기 이중 챔퍼부(128)는 후방 충돌에 의한 외력의 작용시 상기 섹터 투스(20)의 내치부(24)와 치합된 치형부(32)를 갖춘 상기 폴 투스(30)를 통해 상기 가이드 엠보(100)의 돌출단부(120)로 전달되는 하중에 대해 상기 가이드 엠보(100)의 측면부(124)가 충분히 견딜 수 있게 하는 일종의 강성 구조물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상기 가이드 엠보(100)의 양쪽 측면부위에 위치한 돌출단부(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섹터 투스(20)의 내치부(24)와 상기 폴 투스(30)의 치형부(32) 사이의 치결합부위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에 의해 발생하는 응력의 집중부위를 향해 원주방향 외측으로 더 돌출되는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폴 투스(30)의 수용단부(320)와 거의 맞닿은 상태를 이루게 된다. In this case, the double-chamber portion 128 is provided with the tooth portion 32 having the tooth portion 32 engaged with the internal tooth portion 24 of the sector tooth 20 when the external force is applied by the rear impact, And serves as a kind of rigid structure that allows the side portion 124 of the guide emboss 100 to sufficiently withstand the load transmitted to the protruding end portion 120 of the guide emboss 100. 8, the protruding end portions 120 located on both side surfaces of the guide emboss 100 are inserted into the teeth portion 24 of the sector tooth 20 and the teeth portion 24 of the pole tooth 30, (30) in a circumferential direction toward a concentrated portion of stress generated by a load transmitted from a tooth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teeth (32) .

부연하자면, 상기 가이드 엠보(100)에 있어, 상기 돌출단부(120)의 형성위치는 후방 충돌과 같은 외력의 작용시 상기 섹터 투스(20)의 내치부(24)와 상기 폴 투스(30)의 치형부(32) 사이의 치결합부위에서 각 치형별로 발생하는 응력의 작용선(S)이 집중되는 부위에 해당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이중 챔퍼부(128)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의 프레스 성형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엠보(100)와 함께 단일의 공정을 거쳐 형성된다.The position of the protruding end portion 120 of the guide emboss 100 may be determined such that the protruding end portion 120 of the guide tooth embossed portion 100 of the protruding end portion 120 of the guide tooth embossment 100 is in contact with the inner tooth portion 24 of the sector tooth 20, And corresponds to a region where the action line S of the stress generated for each tooth type at the tooth coupling portion between the teeth 32 is concentrated. In addition, the double-chamber portion 128 is formed through a single process together with the guide emboss 100 during the press forming process of the holder plate 10.

상기 폴 투스(30)의 중앙부위에는 도 3과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 플레이트(10)를 향해 저면이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브레이킹 엠보(30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폴 투스(30)에 있어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형성부위의 양쪽 외측에 위치한 측면부위에는 상기 가이드 엠보(100)의 돌출단부(120)와 매칭되도록 수용단부(320)가 형성되며, 상기 수용단부(320)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에 상기 가이드 엠보(100)의 측면부(124)와 매칭되도록 상기 수용단부(320) 보다 상대적으로 외부로 더 돌출되는 형태의 측면부(340)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형성부위의 양쪽 외측에 위치한 측면부위에서 상기 수용단부(320)의 하부에는 상기 폴 투스(30)의 저면을 향해 외부로 돌출된 형태의 단차부(360)가 형성되는 데, 상기 단차부(360)는 후술되는 대응 엠보(140)의 측면부(144)와 매칭되는 부위를 설정하게 된다. 특히,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는 상기 폴 투스(30)의 중앙부위에서 횡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배치되는 장방형 구조로 이루어져, 후방 충돌과 같은 외력의 작용시 상기 가이드 엠보(100)와 후술되는 대응 엠보(140)를 향한 하중의 전이를 돕도록 구성된다.3, 4 and 5, a braking emboss 300 having a bottom surface protruding toward the holder plate 10 is integrally formed on a central portion of the pole tooth 30, The receiving end 320 is form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ole tooth 30 on both sides of the braking emboss 300 to match the protruding end 120 of the guide emboss 100, A lateral side portion 340 protruding from the receiving end 320 in a radially inward direction and relatively more protruded from the receiving end portion 320 so as to match the side surface portion 124 of the guide emboss 100 is formed, A stepped portion 360 protruding outward toward the bottom surface of the pole tooth 30 is formed in a lower portion of the receiving end 320 on both sides of the forming portion of the breaking emboss 300, The stepped portion 360 may be formed by the following correspondence A portion matching the side portion 144 of the emboss 140 is set. In particular, the braking embossment 300 has a rectangular structure arranged transversely or circumferentially on a central portion of the pole tooth 30, and when the external impact such as a rear impact is applied, the guide emboss 100 and a corresponding emboss Lt; RTI ID = 0.0 > 140 < / RTI >

이 경우, 상기 폴 투스(30)의 양측 수용단부(320)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한 쌍의 마주보는 홀더 플레이트(10)의 돌출단부(120)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거나 또는 거의 밀착되는 상태로 설정되고, 상기 폴 투스(30)의 양측 측면부(340) 사이의 거리는 상기 한 쌍의 마주보는 홀더 플레이트(10)의 측면부(124) 사이의 거리보다 약간 작게 설정되거나 또는 거의 밀착되는 상태로 설정된다. 이에 따라, 상기 폴 투스(30)는 상기 한 쌍의 마주보는 상기 가이드 엠보(100) 사이의 공간을 향해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의 축 중심부위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삽입되는 구조로 조립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는 상기 폴 투스(30)의 프레스 성형 과정에서 일체로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는 상기 가이드 엠보(100)의 사이에 위치한 4개의 폴 투스(30) 중에서 상호 대향되는 2개의 부위에 한정하여 형성된 것을 예시하였으나, 상기 폴 투스(30)의 부분적 또는 전체에 모두 형성되어도 무방함을 밝혀둔다. In this case, the distance between the receiving ends 320 of the pole teeth 30 is set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protruding ends 120 of the pair of facing holder plates 10,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both side portions 340 of the pole tooth 30 is set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ide portions 124 of the pair of facing holder plates 10 . Accordingly, the pole tooth 30 can be assembled in a structure that is inserted radially outward from the axial center portion of the holder plate 10 toward the space between the pair of facing guide embosses 100 do. In addition, the braking emboss 300 is integrally formed in the press forming process of the pawl tooth 30. In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raking emboss 300 is formed to be limited to two mutually opposed portions of the four pole teeth 30 located between the guide embosses 100, It may be formed partially or entirely of the first electrode 30.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단차부(360)를 수용하기 위해 상기 폴 투스(30)가 조립되는 부위에 저면이 외부를 향해 돌출되어 상면이 외부를 향해 오목하게 파인 형태를 형성하는 대응 엠보(140)가 구비되는 바, 상기 대응 엠보(140)는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를 수용하기 위한 저면부(142)를 형성하고, 상기 저면부(142)의 양측에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양쪽 단차부(360)와 마주보는 측면부(144)를 형성하며, 상기 저면부(142)와 상기 측면부(144) 사이의 모서리부위에는 경사진 형태의 챔퍼부(146)를 형성한다. 5, a bottom surface of the holder plate 10 protrudes outward at a portion where the pole teeth 30 are assembled to accommodate the stepped portion 360 of the braking emboss 300, The corresponding embossment 140 forms a bottom surface portion 142 for receiving the bending embossment 300. The bottom surface portion 142 of the bottom embossing surface 130 is formed in the bottom surface portion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142, And a side surface portion 144 facing both step portions 360 of the braking embossment 30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142 of the bending embossment 300. An edge portion between the bottom surface portion 142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144 is inclined Thereby forming a chamfered portion 146 of the semiconductor wafer.

이 경우,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양쪽 단차부(360)와 상기 대응 엠보(140)의 양쪽 측면부(144) 사이에는 소정 거리의 틈새(G; 도 5에 도시)가 형성되어 있어, 후방 충돌에 의한 외력(F)의 작용시 상기 폴 투스(30)의 측면에 위치한 수용단부(320)와 상기 가이드 엠보(100)의 돌출단부(120) 사이의 충돌에 의해 상기 돌출단부(120)가 붕괴될 때,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단차부(360)와 상기 대응 엠보(140)의 측면부(144) 사이의 접촉부위는 이들 사이에 형성된 틈새(G)를 지나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가 더 이상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동시에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즉, 상기 가이드 엠보(100)의 양쪽 측면부위에 위치한 돌출단부(120)는 외력(F)의 작용시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수용단부(320)에 대해 1차 반력(1R)을 제공하게 되고, 상기 대응 엠보(140)의 양쪽 측면부위에 위치한 측면부(144)는 외력(F)의 작용시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단차부(360)에 대해 2차 반력(2R)을 동시에 제공하게 됨으로써,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가 더 이상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의 원주방향을 따라 후방으로 밀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제지할 수 있게 된다.5) is formed between both stepped portions 360 of the braking embossment 300 and both side portions 144 of the corresponding embossment 140 to form a gap G The projecting end 120 collapses due to collision between the receiving end 320 located on the side of the pole tooth 30 and the protruding end 120 of the guide emboss 100 when the external force F is applied by the external force F,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stepped portion 360 of the braking emboss 300 and the side portion 144 of the corresponding emboss 140 passes through the gap G formed therebetween so that the braking emboss 300 It is possible to suppress simultaneous pushed backward. That is, the protruding end portions 120 located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guide emboss 100 provide a first-order reaction force 1R with respect to the receiving end 320 of the braking emboss 300 in the action of the external force F And the side portions 144 located on both side portions of the corresponding embossment 140 simultaneously provide the secondary reaction force 2R to the stepped portion 360 of the bending emboss 300 when the external force F acts So that the braking embossment 300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from being pushed backward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holder plate 10.

또한, 상기 대응 엠보(140)의 저면부(142)와 양쪽 측면부(144) 사이에 각각 위치한 상기 챔퍼부(146)는 상기 대응 엠보(140)의 내부 공간으로 상기 폴 투스(30)가 삽입되어 조립될 때,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단차부(360)와의 접촉을 통해 상기 대응 엠보(140)의 내부 공간의 중간부위에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가 위치될 수 있게 함으로써,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양쪽 단차부(360)와 상기 대응 엠보(140)의 양쪽 측면부(144) 사이에 각각 동일한 거리의 틈새(G)가 조성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틈새(G)는 편측으로만 브레이킹 엠보(300)를 구성할 경우에 양측이 다르게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일반적인 작동을 하는 상태에서는 원활히 원주방향으로 습동이 되는 것을 보증하기 위함이다.The chamfered portion 146 positioned between the bottom surface portion 142 and the side surface portions 144 of the corresponding embossment 140 is inserted into the inner space of the corresponding embossed surface 140, The braking embossment 300 can be positioned at an intermediate portion of the inner space of the corresponding embossment 140 through contact with the stepped portion 360 of the bending embossment 300, A gap G of the same distance can be formed between the stepped portions 360 of the corresponding embossed portions 300 and the side surfaces 144 of the corresponding embossed portions 140. In addition, the gap G can be configured differently on both sides when the braking emboss 300 is formed only on one side. And to assure that the user will smoothly move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under normal operating conditions.

즉, 상기 챔퍼부(146)는 정상상태에서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양측 단차부(360)와 상기 대응 엠보(140)의 양측 측면부(144) 사이에 항상 일정한 거리의 틈새(G)가 유지될 수 있게 함으로써 후방 충돌시 발생하는 외력(F)에 대해 상기 가이드 엠보(100)의 측면부(144)가 2차 반력(2R)을 제공할 수 있게 하는 준비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아울러, 상기 대응 엠보(140)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의 프레스 성형 과정에서 상기 가이드 엠보(100) 및 상기 이중 챔퍼부(128)와 함께 단일의 공정을 거쳐 동시에 형성된다.That is, the chamfer portion 146 always maintains a gap G between the side step portions 360 of the braking embossment 300 and both side portions 144 of the corresponding embossment 140 in a steady state. So that the side portion 144 of the guide emboss 100 maintains the ready state to allow the secondary reaction force 2R to be provided to the external force F generated in the rear collision. In addition, the corresponding embossment 140 is formed simultaneously with the guide emboss 100 and the double-chamber portion 128 through a single process in the press molding process of the holder plate 10.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는 후방 충돌과 같이 외력(F)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폴 투스(30)와 가이드 엠보(100) 사이의 접촉부위에 해당하는 위치에 브레이킹 엠보(300)와 대응 엠보(140)를 각각 형성함으로써 이들 사이의 구조적 강성을 보강함과 동시에, 상기 폴 투스(30)의 측면에 위치한 수용단부(320)와 상기 가이드 엠보(100)의 돌출단부(120) 사이에서 먼저 이루어지는 충돌에 의해 기인하는 상기 돌출단부(120)의 소성 변형에 의한 붕괴 현상을 통해 상기 가이드 엠보(100)의 호형부(125)가 상기 섹터 투스(20)의 내치부(24)에 압착변형으로 구속되어 상기 폴 투스(30)의 이동을 제지하는 브레이킹 작용이 수반되므로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이 과정에서 가이드 엠보(100)의 돌출단부(120)로부터 상기 폴 투스(30)의 수용단부(320)에 제공되는 1차 반력(1R)은 상기 폴 투스(30)의 이동을 구속하는 데 기여하게 된다.Therefore, in the reclining apparatus of the automobile sea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hen the external force F occurs such as a rear impact, the braking is per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contact area between the pawl tooth 30 and the guide emboss 100 The embossed portion 300 and the corresponding embossment 140 are formed to reinforce the structural rigidity therebetween and the receiving end portion 320 positioned on the side surface of the pole tooth 30 and the projecting end portion 320 of the guide emboss 100, The arcuate portion 125 of the guide emboss 100 is deformed by the plastic deformation of the protruding end portion 120 caused by the collision that occurs first between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120 and the inner circumferential portion 120 of the sector tooth 20 24 are constrained by the crimping deformation and are accompanied by a braking action for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pole tooth 30, so that the safety of the passenger can be achieved. The primary reaction force 1R provided from the projecting end 120 of the guide emboss 100 to the receiving end 320 of the pole tooth 30 contributes to restricting the movement of the pole tooth 30 .

이어,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수용단부(320)의 하부에서 양쪽 측면부위에 위치한 단차부(360)가 틈새(G)를 지나 상기 대응 엠보(140)의 측면부(144)에 부딪치게 될 때, 상기 대응 엠보(140)의 측면부(144)로부터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단차부(360)에 제공되는 2차 반력(2R)은 상기 폴 투스(30)의 이동을 더 이상 허용하지 않게 하는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탑승자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기여할 수 있게 된다.When a stepped portion 360 located at both side portions of the lower end of the receiving end portion 320 of the bending embossment 300 is caused to hit the side surface portion 144 of the corresponding embossed portion 140 through the gap G, The secondary reaction force 2R provided from the side portion 144 of the corresponding emboss 140 to the step 360 of the bending emboss 300 does not allow the movement of the pole tooth 30 any longer Thereby contributing to securing the safety of the occupant.

또한, 이와 같은 전 과정에 있어, 상기 가이드 엠보(100)의 배면부위에서 저면부(122)와 양쪽 측면부(124) 사이의 챔퍼부(126) 전 구간중, 상기 돌출단부(120)에 인접한 상기 측면부(124)에서 상기 챔퍼부(126) 보다 외부로 더 돌출된 형태의 상기 이중 챔퍼부(128)는 상기 가이드 엠보(100)의 측면부(124)에 대한 구조적 강성을 한층 더 강화시켜 주는 기능을 구현하게 되므로, 후방 충돌과 같이 외력의 작용하는 경우에 상기 폴 투스(30)의 이동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함과 동시에 상기 가이드 엠보(100)가 전단 변형에 의해 손상되는 크랙의 생성을 지연하고 넥킹 현상의 발생을 원천적으로 차단하여 부품의 내구 성능을 보장할 수 있게 한다.In the entire course of the above process, the portion of the chamfered portion 126 between the bottom surface portion 122 and the both side surface portions 124 on the backside of the guide emboss 100, The double chamfered portion 128 protruding further outward than the chamfered portion 126 of the guide embossed member 124 further strengthens the structural rigidity of the side surface portion 124 of the guide embossed body 100 The movement of the pawl tooth 30 is more effectively suppressed when an external force acts such as a rear impact, and the generation of cracks caused by the deformation of the guide emboss 100 due to the shearing deformation is delayed, It is possible to prevent occurrence of the components from occurring and to assure endurance performance of the components.

또한,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에 대해 상기 폴 투스(30)를 조립하는 과정에서, 상기 폴 투스(30)의 조립방향은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의 중심부위에서 반경방향 외측을 향해 경사진 방향으로 진입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므로, 상기 폴 투스(30)가 상기 가이드 엠보(100)의 사이의 공간을 향해 상부에서 하부로 진입하여 이루어지는 조립방식에 비해 끼임과 같은 문제를 야기하지 않을 수 있게 된다.In the process of assembling the pole tooth 30 with respect to the holder plate 10, the assembling direction of the pole tooth 30 is set in a direction inclined radially outward from the central portion of the holder plate 10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pawl tooth 30 is pinched as compared with an assembling method in which the pawl tooth 30 enters the space between the guide embosses 100 from the upper part to the lower part.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이하에서 기재되는 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의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clearly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particular details of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10-홀더 플레이트 20-섹터 투스
30-폴 투스 40-작동 캠
50-리턴 스프링 60-가이드 링
100-가이드 엠보 120-돌출단부
122-저면부 124-측면부
125-호형부 126-챔퍼부
128-이중 챔퍼부 140-대응 엠보
142-저면부 144-측면부
146-챔퍼부 300-브레이킹 엠보
320-수용단부 340-측면부
360-단차부
10-Holder Plate 20-Sector Tooth
30-pole to 40-actuated cam
50-return spring 60-guide ring
100-guide emboss 120-protruding end
122-bottom portion 124-side portion
125-arc portion 126-chamber portion
128-double-chambered part 140-compliant emboss
142-bottom portion 144-side portion
146-Chamferbu 300-Braking Emboss
320-receiving end 340-side portion
The 360-

Claims (7)

쿠션 브래킷에 고정되고 방사상으로 이격된 위치에 가이드 엠보(100)를 갖춘 홀더 플레이트(10);
백 브래킷에 고정되는 섹터 투스(20);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에 대해 상기 가이드 엠보(100)를 매개로 반경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고 상기 섹터 투스(20)와 치결합되는 폴 투스(30); 및
상기 폴 투스(30)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가압력을 제공하는 작동 캠(40)을 구비하고,
상기 폴 투스(30)에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10)를 향해 돌출되는 브레이킹 엠보(300)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에는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수용을 위한 대응 엠보(140)가 형성되며,
상기 가이드 엠보(100)에는 상기 폴 투스(30)를 향한 양측부위에 돌출단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의 배면에 오목한 저면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폴 투스(30)를 향한 양측부위에 상기 돌출단부(120) 보다 돌출거리는 짧게 설정하는 측면부(124)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단부(120)는 상기 홀더 플레이트(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기 측면부(124) 보다 반경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저면부(122)로부터 상기 돌출단부(120)와 상기 측면부(124)에 이르는 양측 모서리부위에 챔퍼부(126)가 형성되고, 상기 챔퍼부(126)의 형성부위 중 상기 측면부(124)에서 상기 돌출단부(120)와 인접한 부위에 상기 챔퍼부(126) 보다 외부로 더 돌출된 이중 챔퍼부(128)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폴 투스(30)의 양측부위에는 상기 돌출단부(120)와 대응하는 수용단부(320), 및 상기 측면부(124)와 대응하는 측면부(340)가 형성되고, 상기 수용단부(320)의 하부에는 상기 대응 엠보(140)를 향해 돌출된 단차부(360)가 형성되며,
상기 대응 엠보(140)에는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수용을 위한 저면부(142)가 형성되고, 상기 저면부(142)의 양측부위에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단차부(360)와 마주보는 측면부(144)가 형성되며, 상기 저면부(142)와 상기 측면부(144) 사이의 모서리부위에 챔퍼부(146)가 형성되고,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양측부위에 위치한 수용단부(320)는 상기 가이드 엠보(100)의 돌출단부(120)에 각각 접촉되고,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저면 양측부위에 위치한 단차부(360)는 상기 대응 엠보(140)의 측면부(144)와 각각 틈새(G)를 두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A holder plate (10) secured to the cushion bracket and having a guide emboss (100) at a radially spaced apart position;
A sector tooth (20) fixed to the back bracket;
A pole tooth (30) movable in a rad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holder plate (10) via the guide embossment (100) and to be engaged with the sector tooth (20); And
And an operating cam (40) for providing a pressing force to the pole tooth (30) radially outward,
A braking embossment 300 protruding toward the holder plate 10 is formed on the pole tooth 30 and a corresponding embossment 140 for receiving the braking embossment 300 is formed on the holder plate 10 And,
The guide emboss 100 is formed with protruding ends 120 at both sides toward the pole teeth 30 and a concave bottom surface 122 formed at the back surface of the holder plate 10, The protruding end portion 12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ide plate 124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lder plate 10. The protruding end portion 12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side plate 124, Radially outer side,
A chamfered portion 126 is formed at both side edges from the bottom surface portion 122 to the protruding end portion 120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124. A portion of the chamfered portion 126, And a double chamber portion 128 projecting further outward than the chamfer portion 126 is integrally formed at a portion adjacent to the protruding end portion 120,
At both sides of the pole tooth 30, a receiving end portion 320 corresponding to the protruding end portion 120 and a side surface portion 340 corresponding to the side surface portion 124 are formed, A stepped portion 360 protruding toward the corresponding embossment 140 is formed,
A bottom surface portion 142 for receiving the braking embossment 300 is formed on the corresponding embossment 140 and a step portion 360 of the bending embossment 300 is form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surface portion 142, A chamfered portion 146 is formed at an edge portion between the bottom surface portion 142 and the side surface portion 144,
The receiving end 320 located at both sides of the braking emboss 300 is in contact with the protruding end 120 of the guide emboss 100 and the stepped portion 360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braking emboss 300 Is configured to have a gap (G) with a side surface (144) of the corresponding embossment (140).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틈새(G)는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의 양측 단차부(360)와 상기 대응 엠보(140)의 양측 측면부(144) 사이에 각각 동일한 거리 또는 다르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gap G is formed between the side step portions 360 of the braking embossment 300 and the lateral side portions 144 of the corresponding embossment 140 to b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Devic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킹 엠보(300)는 상기 폴 투스(30)의 중앙부위에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장방형 또는 원주형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시트의 리클라이너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braking embossment (300) is formed in a rectangular or columnar structure arranged transversely on a central portion of the pole tooth (30).
KR1020150092202A 2015-06-29 2015-06-29 Recliner device for automotive seat Active KR101678416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202A KR101678416B1 (en) 2015-06-29 2015-06-29 Recliner device for automotive sea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92202A KR101678416B1 (en) 2015-06-29 2015-06-29 Recliner device for automotive sea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78416B1 true KR101678416B1 (en) 2016-11-22

Family

ID=575402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92202A Active KR101678416B1 (en) 2015-06-29 2015-06-29 Recliner device for automotive sea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78416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0581A (en) * 2018-07-04 2018-12-18 南京铁道职业技术学院 A kind of pantograph carbon slide surface damage detection charge converter of composite construction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993A (en) * 2000-09-29 2002-04-09 Delta Kogyo Co Ltd Seat recliner structure
KR20050007914A (en) * 2003-07-12 2005-01-21 주식회사다스 Reclin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KR20090109680A (en) * 2008-04-16 2009-10-21 주식회사다스 Seat reclining device
KR20100120770A (en) * 2009-05-07 2010-11-17 주식회사다스 Reclining device for vehicle seat
KR101422419B1 (en) 2013-10-31 2014-07-22 주식회사다스 Recliner of seat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01993A (en) * 2000-09-29 2002-04-09 Delta Kogyo Co Ltd Seat recliner structure
KR20050007914A (en) * 2003-07-12 2005-01-21 주식회사다스 Reclining device of seat for vehicle
KR20090109680A (en) * 2008-04-16 2009-10-21 주식회사다스 Seat reclining device
KR20100120770A (en) * 2009-05-07 2010-11-17 주식회사다스 Reclining device for vehicle seat
KR101422419B1 (en) 2013-10-31 2014-07-22 주식회사다스 Recliner of seat for vehicl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30581A (en) * 2018-07-04 2018-12-18 南京铁道职业技术学院 A kind of pantograph carbon slide surface damage detection charge converter of composite construction
CN109030581B (en) * 2018-07-04 2024-04-16 南京铁道职业技术学院 Composite construction's pantograph carbon slide surface damage detects and uses charge conver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84086B2 (en) Vehicle seat reclining device
JP5694569B2 (en) Fitting for vehicle seat
EP2415630B1 (en) Lifting mechanism of vehicle seat
JP5821654B2 (en) Vehicle seat reclining device
KR101427567B1 (en) Recliner for Motor Vehicle having Wedge
US7021715B2 (en) Recliner adjuster for a seat
US20160009201A1 (en) Recliner of vehicle seat
US20080093903A1 (en) Reclining Device
JP5673571B2 (en) Vehicle seat reclining device
KR101678416B1 (en) Recliner device for automotive seat
US11872915B2 (en) Vehicle seat reclining device
WO2015012287A1 (en) Reclining mechanism
US11772527B2 (en) Seat reclining device for vehicle
KR101977064B1 (en) Recliner Of Vehicle Seat
JP5156576B2 (en) Rear impact shock absorbing unit, reclining device, and vehicle seat frame structure
JP5556441B2 (en) Reclining device
KR102070022B1 (en) Seat recliner for vehicle
KR101417505B1 (en) Recliner of vehicle seet
JP2005152148A (en) Seat reclining device
KR101039965B1 (en) High Rigidity Round Recliner
KR101251839B1 (en) Recliner device of vehicle seat
JP2008154992A (en) Vehicle seat reclining device
KR20160083161A (en) Recliner for seat
JP6154238B2 (en) Reclining mechanism
JP7524818B2 (en) Reclining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62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81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111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116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1117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0050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101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210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