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5131B1 -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contents which was uploaded by a user - Google Patents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contents which was uploaded by a user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65131B1 KR101665131B1 KR1020090129086A KR20090129086A KR101665131B1 KR 101665131 B1 KR101665131 B1 KR 101665131B1 KR 1020090129086 A KR1020090129086 A KR 1020090129086A KR 20090129086 A KR20090129086 A KR 20090129086A KR 101665131 B1 KR101665131 B1 KR 101665131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ent
- user
- network
- information
- uploaded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2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3500 data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2—Systems in which the television signal is transmitted via one channel or a plurality of parallel channels, the bandwidth of each channel being less than the bandwidth of the television signal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6—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 H04N7/173—Analogue secrecy systems; Analogue subscription systems with two-way working, e.g. subscriber sending a programme selection sign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네트워크 TV에서 사용자가 컨텐츠를 업로드할 때마다, 업로드된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원할 때 자신이 업로드한 컨텐츠 정보에 쉽게 액세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of storing uploaded content information every time a user uploads content on a network TV and easily accessing the content information uploaded by the user when the user desires.
네트워크 TV, 브로드밴드 TV, 동영상, 아이콘, 컨텐츠, 업로드 Network TV, Broadband TV, Video, Icon, Content, Upload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터넷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통해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는 네트워크 TV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네트워크 TV에서 사용자가 컨텐츠를 업로드할 때마다, 업로드된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고, 사용자가 원할 때 자신이 업로드한 컨텐츠 정보에 쉽게 액세스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storing uploaded content information every time a user uploads content on a network TV and easily accessing the content information uploaded by the user when the user desires.
기존의 아날로그 방송에서 디지털 기반의 디지털TV 기술이 개발되고 상용화되면서, 기존의 전파 매체 외에도 각 가정에 연결되어 있는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실시간 방송, COD(Contents on Demand), 게임, 뉴스 등 다양한 종류의 컨텐츠 서비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As digital-based digital TV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and commercialized in existing analog broadcasting, it is possible to use various types of digital media such as real-time broadcast, COD (Contents on Demand), game Content services can be provided to users.
상기 인터넷 망을 이용한 컨텐츠 서비스 제공의 예로서 IPTV(Internet Protocol TV)를 들 수 있다. 상기 IPTV는 초고속 인터넷 망을 이용하여 각종 정보 서비스, 동영상 컨텐츠 및 방송 등을 전송하여 사용자의 텔레비전에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An example of content service provision using the Internet network is IPTV (Internet Protocol TV). The IPTV refers to transmitting various information services, moving picture contents, broadcasting, and the like to a user's television using a high-speed Internet network.
최근에는 이러한 IPTV에서 한 단계 더 발전한 네트워크 TV 형태로서, 브로드밴드(Broadband) TV, 웹 TV 등의 개념이 제안되었다. 브로드밴드 TV 또는 웹 TV는 종래의 IPTV와는 달리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가 존재하고, 사용자는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에게 개별접속하여,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다양한 VOD, 게임, 화상전화 서비스 등의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recent years, the concept of broadband TV, web TV, etc. has been suggested as a form of network TV that has advanced further in IPTV. Unlike the conventional IPTV, a broadband TV or a web TV has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ers, and a user accesses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ers individually to receive contents such as various VODs, games, and video phone services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have.
이러한 네트워크 TV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 자신이 갖고 있는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자신이 촬영한 UCC 동영상 또는 사진 이미지 등을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 In such a network TV system, a user can not only receive contents from a contents provider, but also upload his or her own contents to a contents provider serv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upload a UCC video or a photo image taken by the user to the content provider server.
그러나, 사용자가 여러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 컨텐츠를 업로드한 경우에, 자신이 업로드한 컨텐츠임에도 불구하고 언제, 어느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 어느 컨텐츠를 업로드했는지 알 수가 없게 된다. However, when a user uploads content to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er servers, it is impossible to know when and which content provider server has uploaded contents, regardless of the content that the user has uploaded.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이 요구된다. There is a need for a method that can solve these problems.
본 발명은 여러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 사용자가 컨텐츠를 업로드한 경우에, 사용자가 자신이 업로드한 컨텐츠에 쉽게 액세스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by which a user can easily access contents uploaded by a user when content is uploaded to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er server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와 연결되어 컨텐츠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 사용자가 송신한 컨텐츠를 나타내는 사용자 컨텐츠 아이콘을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상기 송신된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가 컨텐츠를 송신할 때마다, 상기 송신된 컨텐츠 정보를 상기 저장부에 기록하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컨텐츠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사용자 컨텐츠 아이콘을 표시하고, 사용자가 상기 사용자 컨텐츠 아이콘을 선택하면 상기 컨텐츠의 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한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display device connectable to a network is provided. The display device includes: a network interface unit connected to a server of at least one content provider through a network to transmit or receive content; A user interface unit for receiving a user input for selecting a user content icon representing a content transmitted by a user; A storage unit for storing the transmitted content information; A control unit for recording the transmitted content information in the storage unit whenever the user transmits the content and controlling the display of the content information when the user selects the user content icon; And a display unit displaying the user content icon and displaying information of the content when the user selects the user content icon.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사용자가 컨텐츠를 송신할 때마다, 상기 송신되는 컨텐츠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가 송신한 컨텐츠를 나타내는 사용자 컨텐츠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컨텐츠 아이콘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송신한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 다.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ntent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of a display device connectable to a network is provided. The method includes: storing the transmitted content information each time a user transmits the content; Displaying a user content icon representing content transmitted by a user; Receiving a selection of the user content icon; And displaying the content information transmitted by the user.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여러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 사용자가 컨텐츠를 업로드한 경우에, 사용자가 자신이 업로드한 컨텐츠에 쉽게 액세스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user uploads content to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er servers, the user can easily access content uploaded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는 컨텐츠를 업로드한 장치가 아닌, 다른 장치에서도 자신이 업로드한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user can receive content information uploaded by another device, not the device that uploaded the content.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TV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낸다.1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a network TV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TV의 시스템은 네트워크 운영자(10), 적어도 하나의 컨텐츠 제공자(CP : Contents Provider)(20),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TV(3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들은 네트워크 예컨대, 인터넷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Referring to FIG. 1, a network TV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네트워크 운영자(10)는 네트워크 TV(30)에 컨텐츠 제공자(20)가 제공하는 컨텐츠들이 네트워크 TV(30)에서 정상적으로 동작하기 위해 필요한 기반 소프트웨어또는 네트워크 TV(30)가 동작하는데 필요한 소프트웨어를 제공한다. 또한, 컨텐츠 제공자(20)에게 네트워크 TV(30)에서 컨텐츠가 정상적으로 실행되기 위해 필요한 네트워크 TV(30)의 하드웨어 정보도 제공한다.The
예컨대, 네트워크 운영자(10)는 컨텐츠 제공자들이 제공한 컨텐츠들을 네트 워크 TV(30)에 제공할 때 필요한 기본 화면 프레임을 제공하고, 사용자가 컨텐츠를 선택하거나, 다양한 명령을 입력하거나, 그에 따른 출력을 표시하기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또한, 네트워크 운영자(10)는 네트워크 TV(30)의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데이터를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네트워크 운영자(10)는 네트워크 TV(30)의 제조자와 동일 주체일 수 있다.For example, the
컨텐츠 제공자(20)는 네트워크 상에서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컨텐츠를 생성하여 네트워크 TV(30)에서 재생가능한 포맷으로 구성하여, 네트워크 TV(30)의 요청에 따라 컨텐츠들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컨텐츠는 네트워크를 통해 서비스될 수 있는 임의의 멀티미디어 컨텐츠일 수 있다. The
실시예에 따라서는, 컨텐츠 제공자(20)가 제공하는 컨텐츠는 컨텐츠 제공자(20)가 인터넷을 통해 직접 네트워크 TV(30)에 제공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운영자(10)를 거쳐 네트워크 TV(30)로 제공될 수도 있다.The
네트워크 TV(30)에는 컨텐츠 제공자(20) 별로 컨텐츠의 재생, 검색, 목록의 표시 등을 하기 위한 전용 펌웨어가 장착될 수 있다. 펌웨어는 네트워크 TV(30)의 제조 과정 중에 네트워크 TV(3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사용자가 사용 중에 컨텐츠 제공자(20)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10)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도 있다. The network TV 30 may be equipped with dedicated firmware for playing, searching, and displaying a list of contents for each
네트워크 TV(30)의 펌웨어는 컨텐츠 제공자(20)가 제공하는 컨텐츠를 재생 또는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라 할 수 있다. 펌웨어는 컨텐츠 제공자(20)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종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컨대, 컨텐츠 제공자(20)가 VOD 사업자인 경우는 펌웨어는 VOD 재생 프로그램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20)가 AOD, MOD 사업자인 경우에는 AOD, MOD 재생 프로그램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20)가 화상 전화 사업자인 경우에는 화상 전화 프로그램일 수 있다. The firmware of the network TV 30 may be referred to as a program for reproducing or executing the content provided by the
네트워크 TV(30)는 컨텐츠 제공자(2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재생 또는 실행한다. 본 발명의 네트워크 TV(30)는 네트워크 모듈이 장착된 TV, 셋톱박스 등의 방송 수신 장치, 네트워크용 전화기 등 네트워크 모듈이 장착된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는 방송 수신 기능이 있는 방송 수신 장치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네트워크 접속이 가능한 임의의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될 수 있으며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The network TV 30 receives the content from the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컨텐츠 제공자(20)는 네트워크 TV(30)에 제공될 각종 컨텐츠를 만들거나 또는 배포하는 사업자일 수 있다. 컨텐츠 제공자(20)는 TV 방송국, 라디오 방송국, VOD 사업자, AOD 사업자, 게임 사업자, 화상 전화 서비스 제공자, 날씨 정보 제공자, 사진 관련 서비스 제공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TV 방송국은 기존의 지상파나 케이블 방송국을 의미하며, 이러한 방송국은 사용자들이 시청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만들어 저장하고 이를 디지털로 바꾸어서 전송할 수 있다. A TV station refers to a conventional terrestrial or cable broadcasting station, which can create and store a program that users can watch and convert the digital signal into a digital broadcasting signal.
라디오 방송국은 오디오 컨텐츠를 제공하며, 비디오 컨텐츠와 함께 또는 비디오 컨텐츠 없이 오디오 컨텐츠 만을 제공할 수 있다.A radio station provides audio content and can only provide audio content with or without video content.
VOD 사업자 및 AOD 사업자는 TV 방송국이나 라디오 방송국과는 다른 특성을 가진다. 즉, VOD나 AOD의 경우에는 내가 원하는 방송 프로그램 혹은 영화, 음악 들 을 저장해 놓고 나서 재생하여 볼 수 있도록 서비스해준다. 예를 들어 현재 방송 프로그램을 시청할 수 있는 시간이 없어서 제대로 보지 못했던 방송 프로그램이 있는 경우, 이러한 방송 서비스를 제공하는 사이트에 접속해서 해당 파일을 다운로드 받거나 바로 재생을 해서 볼 수 있다. VOD operators and AOD operators have different characteristics from TV stations and radio stations. In other words, in the case of VOD or AOD, a service is provided so that a desired program, movie, or music can be stored and played back. For example, if there is a broadcast program that is not properly watched because there is no time for viewing the current broadcast program, the user can access the site providing the broadcast service and download the file or play the program immediately.
AOD 사업자는 오디오 컨텐츠의 스트리밍 서비스를 제공한다. The AOD provider provides a streaming service of audio contents.
MOD(Music On Demand) 서비스 제공자는 내가 원하는 음악을 다운로드 받아서 들을 수 있도록 해준다. The MOD (Music On Demand) service provider allows me to download and listen to the music I want.
화상 전화 사업자는 네트워크를 통해 다른 네트워크 TV의 사용자와 화상 통화를 할 수 있도록 중계 서비스를 제공한다. 날씨 정보 제공자는 여러 지역의 날씨 정보를 제공해주며, 사진 관련 서비스 제공자는 사진을 편집 및 저장하는 툴을 제공해 준다.The video phone service provider provides a relay service to allow a video call with a user of another network TV through the network. Weather providers provide weather information for multiple locations, while photo-related service providers provide tools for editing and storing photos.
이 외에도, 컨텐츠 제공자(20)는 PF(Packet Filter) 서버, EPG 서비스 제공자, ECG(Electronic Content Guide) 서비스 업자, 포털 서버(Portal Server) 운영자 등 인터넷을 통해 네트워크 TV에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임의의 서버 운영자일 수 있다.In addition, the
PF 서버는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모든 방송 정보와 로케이션 정보 등을 대신 관리해주는 업체가 서비스를 한다. 이 서비스는 주로 해당 방송국의 방송 시간이나 방송에 필요한 위치 정보 및 사용자가 접속을 할 수 있는 정보를 담고 있다. The PF server is provided by a company that manages all broadcasting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content provider instead. This service mainly contains the broadcasting time of the broadcasting station, location information necessary for broadcasting, and information that the user can access.
EPG 서비스는 방송 프로그램을 사용자가 시간대 별로 조회하고, 채널별로 파 악할 수 있도록 EPG 정보를 제공한다.The EPG service provides the EPG information so that the user can view the broadcast program by time zone and analyze it by channel.
ECG 서비스는 컨텐츠 제공자가 가지고 있는 컨텐츠의 정보와 접속 서버의 위치 및 접근 권한 등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즉, 컨텐츠를 가지고 있는 서버들을 쉽게 접속하도록 하는 기능과 컨텐츠의 정보를 상세하게 알려 주는 전자 프로그램 가이드이다. The ECG service provides the user with contents information of the contents provider, location and access authority of the connection server, and the like. That is, it is an electronic program guide that gives detailed information about contents and the function to easily connect servers having contents.
포털 서버는 각 방송국에서 제공하는 웹서비스로서,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요청을 수신하면 방송국이나 컨텐츠를 서비스하는 업체의 웹서버로 연결한다. 포털 서버의 역할은 각 방송국이나 컨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들이 제공하는 프로그램 리스트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A portal server is a web service provided by each broadcasting station. When a request is received from a user terminal, the portal server connects to a web server of a broadcasting company or a service provider. The role of the portal server is to be able to retrieve a list of programs provided by each broadcasting station or content providers providing content services.
네트워크 TV(30)는 기본적으로 네트워크에 접속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를 갖고, IP 어드레스를 할당받아서 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터 패킷을 받아 처리하며, 데이터 패킷이 비디오, 오디오 등의 멀티미디어 데이터인 경우에는 저장하거나 재생할 수 있다. The network TV 30 basically has a network interface that can be connected to a network, receives an IP address and receives a data packet through the network, and when the data packet is multimedia data such as video and audio, have.
네트워크 TV(30)는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처리하면서 양방향으로 사용자의 요구사항을 전송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TV(3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 또는 조작 버튼 등의 사용자 입력부에는 네트워크 TV를 제어하기 위한 버튼들, 즉 다양한 메뉴를 선택하기 위한 버튼들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network TV 30 may operate to transmit the user's requests in both directions while processing the multimedia data. Also, it is preferable that buttons for controlling the network TV, that is, buttons for selecting various menus, are provided in a user input portion of a remote controller or an operation button for controlling the
이하, 전술한 네트워크 TV(30)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TV(30)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above-described
네트워크 TV(30)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 외에, 방송 수신부(41)를 통해 무선 또는 케이블을 통해 RF 신호 형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을 수 있다. Th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TV(3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부(41), 역다중화부(42), 영상신호 처리부(43), 디스플레이부(4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5), OSD 생성부(46),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7), 저장 인터페이스부(48), 저장장치(49), 외부신호 입력부(39)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2, the
위 구성요소들 중 방송 수신부(41), 역다중화부(42), 영상신호 처리부(43)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다양한 처리를 통해 디스플레이부(44)로 출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는 하나의 방송 처리부를 구성할 수 있다. Among the above components, the
컨텐츠가 디지털 방송인 경우에, 디지털 방송신호는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 및 부가 데이터를 시분할 다중화하여 패킷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형태로 전송된다.In the case where the content is digital broadcasting, the digital broadcasting signal is transmitted in the form of a packetized transport stream by time division multiplexing the video signal, the audio signal and the additional data.
방송수신부(41)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할 제어부(50)의 튜닝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튜너와, 튜닝된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VSB(Vestigial Sideband)복조과정 및 오류정정과정 등을 거쳐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하는 디모듈레이터(복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그리고, 방송수신부(4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는 역다중화부(42)에 의해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 및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 등으로 정의되는 각종 부가 데이터로 분리되어 비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된다.The broadcast signal received through the
역다중화부(42)를 통해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는 영상신호 처리부(43)에 의해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44)에 표시된다. The video data separated through the
이때, 영상신호 처리부(43)는 MPEG-2 디코더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이부(44)의 출력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한다.At this time, the
여기서, 디스플레이부(44)로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를 사용할 수 있다.Here, various types of displays such as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LCD (Liquid Crystal Display), and PDP (Plasma Display Panel) may be used as the
그리고, 오디오 신호는 음성신호 처리부(미도시)에 의해 처리되어 스피커로 출력되는데, 음성신호 처리부는 AC-3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audio signal is processed by a voice signal processor (not shown) and output to a speaker. The voice signal processor may include an AC-3 decoder.
한편, 역다중화부(42)를 통해 분리된 부가 데이터에 포함된 부가 데이터는 후술할 저장 인터페이스부(48)를 통해 저장장치(49)에 저장된다.The additional data included in the additional data separated through the
저장장치(49)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The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7)는 사용자로부터 요구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써, 일반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나 패널 일측에 구비된 로컬 키 입력부가 이에 포함된다.The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5)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자(20)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10)로부터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한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5)를 통해 네트워크 운영자(10)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도 수신한다.The
OSD 생성부(46)는 사용자의 판단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메뉴화면을 OSD(On Screen Display) 형태로 생성한다.The
즉, 상기 OSD 생성부(46)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5)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That is, the
외부신호 입력부(39)는 다른 재생 장치, 예컨대 DVD 플레이어, 게임기 등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외부신호 입력부(39)에 다른 재생 장치를 접속하여 그 재생 장치에 저장된 멀티 미디어를 디스플레이부(44)로 출력할 수 있다.The external
제어부(5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7)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50)는 네트워크 운영자(1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제공자(20)의 소프트웨어, 즉 펌웨어의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하여 실행한다.The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40)는 3D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40)의 메뉴 화면은 3D로 제공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20)가 제공하는 컨텐츠가 3D 컨텐츠인 경우도 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4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output a 3D image. The menu screen of the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40 may be provided in 3D, and when the content provided by the
3D 이미지를 출력하기 위해서는 추가 구성요소가 필요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를 처리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다. 3D 포맷터(38)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 요소들의 동작은 도 2와 동일하다.Additional components are required to output 3D images. FIG. 3 shows a configuration of a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capable of processing a 3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peration of the remaining components except th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신호 처리부(48)의 출력단에 3D 포맷터(38)가 배치된다. 3D 포맷터(38)는 영상 신호 처리부(48)에 의해 처리된 영상을 3D 이미지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44)로 전달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OSD 생성부(46) 내에 OSD 출력을 3D로 변환하는 별도의 3D 포맷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As shown in FIG. 3, a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3D 이미지 처리를 위해 다양한 공지된 기술을 사용할 수 있다. The configuration shown in Fig. 3 is only an embodiment, and various known techniques can be used for 3D image processing.
도 4 및 도 5는 도 2 또는 도 3의 네트워크 TV(30)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의 일예를 나타낸다. 리모컨은 네트워크 TV(3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47)에 포함될 수 있는 RF 신호, 적외선 신호 등의 무선 신호 수신부를 통해 제어부(50)로 제어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설명하는 리모콘은 사용자의 버튼입력 뿐 아니라 사용자의 제스쳐에 반응하는 리모컨으로서 이하 동작인식 리모콘(51)이라 하기로 한다.Figs. 4 and 5 show an example of 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본 실시예에서, 동작인식 리모콘(51)은 네트워크 TV(30)와 RF 통신규격에 따라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트워크 TV(30)에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이 포인팅하는 지점에 포인터(53)가 표시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recognition
사용자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을 상하, 좌우, 앞뒤로 움직이거나 회전할 수 있다. 네트워크 TV(30)에 표시된 포인터(53)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움직임에 대응한다. 도 5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움직임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TV(30)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움직이는 바를 도시하고 있다.The user can move or rotate the motion recognizing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동작인식 리모콘(51)을 왼쪽으로 이동시키면, 네트워크 TV(30)에 표시된 포인터도 이에 대응하여 왼쪽으로 이동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작인식 리모콘(51)은 움직임을 판별할 수 있는 센서를 구비할 수 있다.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센서를 통하여 감지된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를 네트워크 TV(30)로 전송된다. 네트워크 TV(30)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움직임에 관한 정보로부터 동작인식 리모콘(51)의 동작을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는 포인터(53)의 좌표값을 산출한다. As shown in FIG. 4, when the user moves the operation recognition
움직임을 판별할 수 있는 센서로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또는 지자기 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An acceleration sensor, a gyro sensor or a geomagnetic sensor can be used as the sensor for discriminating the movement.
도 4 및 도 5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상하, 좌우 또는 회전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49)에 표시된 포인터(53)가 이동하는 예를 도시한다. 포인터(53)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은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이동속도나 이동방향에 대응할 수 있다.Figs. 4 and 5 show an example in which the
본 실시예에서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의 동작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TV(30)에 표시되는 포인터가 이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 다른 예로, 동작인식 리모콘(51)의 동작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TV(30)로 소정 명령이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앞뒤로 움직일 경우 네트워크 TV(30)에 표시되는 영상의 크기가 확대되거나 축소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pointer displayed on the
도 6은 도 1의 네트워크 TV(30)의 인터페이스부(47)와 도 4의 동작인식 리모콘(51)의 내부 블록도이다. FIG. 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도면을 참조하면, 전술한 네트워크 TV(30)는 좌표값 산출부(115) 및 무선 통 신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좌표값 산출부(115)는 전술한 제어부(50)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1)는 전술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7)에 포함될 수 있다. 무선 통신부(111)는 RF 모듈(112) 또는 IR 모듈(113)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above-described
한편, 동작인식 리모콘(51)은, 무선 통신부(120), 사용자 입력부(130), 센서부(140), 출력부(150), 전원공급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operation recognition
무선 통신부(120)는 네트워크 TV(30)와 신호를 송수신한다. 본 실시예에서, 동작인식 리모콘(51)은 RF 통신 규격에 따라 네트워크 TV(30)의 인터페이스부(4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RF 모듈(121)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동작인식 리모콘(51)은 IR 통신 규격에 따라 네트워크 TV(30)의 인터페이스부(40)와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IR 모듈(123)을 구비할 수 있다. The
본 실시예에서, 동작인식 리모콘(51)은 네트워크 TV(30)로 동작인식 리모콘(51)의 동작에 관한 정보가 담긴 신호를 RF 모듈(121)을 통하여 전송한다. 또한, 동작인식 리모콘(51)은 네트워크 TV(30)가 전송한 신호를 RF 모듈(121)을 통하여 수신할 수 있다. 또한, 동작인식 리모콘(51)은 필요에 따라 IR 모듈(123)을 통하여 네트워크 TV(30)로 전원 온/오프, 채널 변경, 볼륨 변경 등에 관한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In this embodiment, the operation recognition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패드나 버튼으로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를 조작하여 동작인식 리모콘(51)으로 네트워크 TV(3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가 하드키 버튼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하 드키 버튼의 푸쉬 동작을 통하여 동작인식 리모콘(51)으로 네트워크 TV(3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가 터치스크린을 구비할 경우 사용자는 터치스크린의 소프트키를 터치하여 동작인식 리모콘(51)으로 네트워크 TV(30)와 관련된 명령을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입력부(130)는 스크롤 키나, 조그 키 등 사용자가 조작할 수 있는 다양한 종류의 입력수단을 구비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The
센서부(140)는 움직임 센서로서 자이로 센서(141) 또는 가속도 센서(143)를 포함할 수 있다. 자이로 센서(141)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일예로, 자이로 센서(141)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의 동작에 관한 정보를 x,y,z 축을 기준으로 센싱할 수 있다. 가속도 센서(141)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이동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센싱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사용자 입력부(130)에 조작에 대응하거나 네트워크 TV(30)에서 전송한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 또는 음성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출력부(150)를 통하여 사용자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조작 여부 또는 네트워크 TV(30)의 제어 여부를 인지할 수 있다. The
일예로, 출력부(150)는 사용자 입력부(130)가 조작되거나 무선 통신부(120)을 통하여 네트워크 TV(30)와 신호가 송수신되면 점등되는 LED 모듈(151), 진동을 발생하는 진동 모듈(153), 음성을 출력하는 음성 출력 모듈(155), 또는 영상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357)을 구비할 수 있다. For example, the
전원공급부(160)는 동작인식 리모콘(51)으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60)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이 소정 시간 동안 움직이지 않은 경우 전원 공급을 중단함으로서 전원 낭비를 줄일 수 있다. 전원공급부(160)는 동작인식 리모콘(51)에 구비된 소정 키가 조작된 경우에 전원 공급을 재개할 수 있다.The power supply unit 160 supplies power to the operation recognition
메모리(170)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제어 또는 동작에 필요한 여러 종류의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만일 동작인식 리모콘(51)이 네트워크 TV(30)와 RF 모듈(121)을 통하여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경우 동작인식 리모콘(51)과 네트워크 TV(30)는 소정 주파수 대역을 통하여 신호를 송수신한다.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제어부(180)는 동작인식 리모콘(51)과 페어링(pairing)된 네트워크 TV(30)와 신호를 무선으로 송수신할 수 있는 주파수 대역 등에 관한 정보를 메모리(170)에 저장하고 참조할 수 있다.The
제어부(180)는 동작인식 리모콘(51)의 제어에 관련된 제반사항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사용자 입력부(130)의 소정 키 조작에 대응하는 신호 또는 센서부(140)에서 센싱한 동작인식 리모콘(5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를 무선 통신부(120)을 통하여 네트워크 TV(30)의 무선 통신부(111)로 전송할 수 있다. The
전술한 바와 같이, 네트워크 TV(30)는 동작인식 리모콘(5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는 무선 통신부(120)와, 동작인식 리모콘(51)의 동작에 대응하는 포인터의 좌표값을 산출할 수 있는 좌표값 산출부(115)를 구비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무선 통신부(111)는 RF 모듈(112)을 통하여 동작인식 리모콘(51)과 무선으로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또한 RF 모듈(112)을 통하여 동작인식 리모콘(51)이 IR 통신 규격에 따라 전송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The wireless communication unit 111 can wirelessly transmit / receive signals to / from the operation recognition
좌표값 산출부(115)는 무선 통신부(111)를 통하여 수신된 동작인식 리모 콘(51)의 동작에 대응하는 신호로부터 손떨림이나 오차를 수정하여 디스플레이(49)에 표시할 포인터(53)의 좌표값(x,y)을 산출할 수 있다.The coordinate
또한, 인터페이스부(40)를 통하여 네트워크 TV(30)로 입력된 동작인식 리모콘(51) 전송 신호는 네트워크 TV(30)의 제어부(47)로 전송된다. 제어부(47)는 동작인식 리모콘(51)에서 전송한 신호로부터 동작인식 리모콘(51)의 동작 및 키 조작에 관한 정보를 판별하고, 그에 대응하여 네트워크 TV(30)를 제어할 수 있다.The transmission signal of the motion recognition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TV(30)의 메뉴 화면 및 그 조작 조작 방법을 설명한다. Hereinafter, a menu screen of the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TV(30)의 '메뉴 화면'은 네트워크 TV(30)가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CP : Content Provider) 중 하나를 선택해서 접속할 수 있도록 메뉴를 제공하는 동작 모드(이하, 넷캐스트 모드라 함)에 진입했을 때의 초기 화면 또는 메인 화면이다. 상기 메뉴 화면은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아이콘들(21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특정 주제를 갖는 배경 이미지(201)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TV(30)의 메뉴 화면을 나타낸다.The 'menu screen' of the
아이콘들(212)은 다수의 컨텐츠 제공자 서버들에 접속하기 위한 버튼들로써, 사용자는 아이콘들(212) 중 하나를 선택함으로써 선택된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에 접속하여 원하는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아이콘(212)도 배경 이미지(201)와 관련될 수 있다. 즉, 아이콘(212)은 배경 이미지(212)의 주제에 맞는 그래픽 오브젝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아이콘들(212)은 도시의 거리에 세워진 구조물 또는 광고판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아이콘(212) 상에 표시되는 이미지는 각 컨텐츠 제공자에 의해 제공될 수 있다. The
아이콘들(212)을 선택할 때, 사용자는 도 4 내지 6을 참조하여 전술한 동작 인식 리모컨(51)을 사용할 수 있다. When selecting the
도 7에는 컨텐츠 제공자들의 실시예로서, 내츄럴 지오그래픽(202), 날씨 인포메이션(203), 넷플라이(204), 페카사(205), 요튜브(206)라는 컨텐츠 제공자들의 아이콘이 표시되어 있다. 7, icons of content providers such as
내츄럴 지오그래픽(202)은 자연과학과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공급자이고, 날씨 인포메이션(203)은 날씨 정보를 제공하는 컨텐츠 공급자이고, 넷플라이(204)는 영화 관련 컨텐츠를 제공하고, 페카사(205)는 사진과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이고, 요튜브(206)는 VOD(Video on Demand)와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컨텐츠 제공자라고 가정한다. The
실시예에 따라, 메뉴 화면에는 위와 같은 아이콘 외에도 다양한 종류와 수의 아이콘들을 추가로 표시할 수 있다. 아이콘들(212)의 좌우에는 스크롤바(207a,207b)를 배치하여, 사용자가 스크롤바(207a,207b)를 선택하면 추가적인 아이콘들을 표시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icons, various types and numbers of icons may be additionally displayed on the menu screen.
사용자가 아이콘(212) 중 하나, 예컨대 넷플라이 아이콘(204)을 선택하면 선택된 아이콘(204)은 다른 아이콘들과 구분되도록 하이라이트된다. 선택된 아이 콘(204)이 하이라이트된 상태에서 동작 인식 리모콘의 화살표 버튼을 조작하거나, 다른 아이콘을 선택하면 하이라이트가 선택된 아이콘으로 이동될 수 있다. 아이콘이 선택된 상태에서 동작 인식 리모콘의 ENTER 버튼 또는 그에 대응하는 기능을 하는 버튼을 누르면 선택된 아이콘에 해당하는 컨텐츠 제공자의 서버로 접속하고, 컨텐츠 제공자 서버의 초기 화면이 표시된다.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한 화면에 표시되는 아이콘의 수, 크기, 위치 및 배열 방법은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number, size, position and arrangement of the icons displayed on one screen may vary depending on the embodiment.
아이콘들(212)은 각 컨텐츠 제공자를 식별하기 위한 명칭이나 이미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TV(30)의 제조자가 판매하는 네트워크 TV(30)에 내장되어 판매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사용자가 네트워크 TV(30)를 구매하여 사용하는 중에 도 1의 네트워크 운영자(10)가 컨텐츠 제공자(20)로부터 아이콘으로 사용될 이미지를 제공받아 네트워크 TV(30)로 전송해 주거나 업데이트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TV(30)가 직접 컨텐츠 제공자(20)의 서버에 접속하여 다운로드받을 수도 있다.The
사용자가 아이콘들(212) 중 하나를 선택하면, 해당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 접속하고, 해당 컨텐츠 제공자가 제공하는 초기 화면이 표시된다. When the user selects one of the
도 1의 네트워크 시스템에서, 사용자는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 자신이 갖고 있는 컨텐츠를 업로드할 수도 있다. 예컨대, 자신이 촬영한 UCC 동영상 또는 사진 이미지 등을 컨텐 츠 제공자 서버에 업로드할 수 있다. In the network system of FIG. 1, a user can not only receive content from a content provider, but also upload content owned by the user to the content provider server. For example, it is possible to upload a UCC video or a photo image taken by the user to the content provider server.
그러나, 사용자가 여러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 컨텐츠를 업로드한 경우에, 언제, 어느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 어느 컨텐츠를 업로드했는지 알 수가 없게 된다. However, when a user uploads content to a plurality of content provider servers, it is impossible to know when and which content provider server has uploaded which conten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네트워크 TV(30)의 제어부는 사용자가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 컨텐츠를 업로드할 때마다, 그 컨텐츠 정보, 즉 업로드한 날짜, 시간, 컨텐츠 제목, 컨텐츠 제공자 서버 정보, 액세스할 수 있는 URL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ach time the user uploads content to the content provider server, the control unit of the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업로드된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이하, 사용자 컨텐츠 아이콘이라 함)을 생성하여 메뉴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컨텐츠 아이콘을 다른 컨텐츠 제공자를 나타내는 아이콘과 동일한 형태로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컨텐츠 아이콘을 선택하여 자신이 업로드한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브라우징할 수 있다. In addi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icon representing an uploaded conte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a user content icon) may be generated and displayed on a menu screen. At this time, the user content icon can be displayed in the same form as the icon representing another content provider. The user can browse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s uploaded by the user by selecting the user content ic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컨텐츠 아이콘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나타낸다.FIG. 8 illustrates a menu screen including a user content ic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뉴 화면에 다른 컨텐츠 제공자들을 나타내는 아이콘들(212)과 동일한 포맷으로 사용자 컨텐츠 아이콘(211)이 표시되어 있다. 도 8에는 '마이 컨텐츠'라고 표기되어 있으나,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구별할 수 있다면 어떤 이름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As shown in FIG. 8, a
도 8과 같은 메뉴 화면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컨텐츠 아이콘(211)을 선택하 면 도 9와 같이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들이 폴더별(221,222,223)로 표시될 수 있다. 도 9에서 사용자가 동영상 폴더(221)를 선택하면, 도 10과 같이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들의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In the menu screen shown in FIG. 8, when the user selects the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들의 정보는 즉시 액세스할 수 있는 URL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YOTUBE라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에 업로드하였다면, YOTUBE 서버는 업로드된 컨텐츠에 URL을 부여하게 된다. 도 10에 표시된 URL은 컨텐츠 제공자 서버로부터 부여받은 URL이다. As shown in FIG. 10, the information of contents uploaded by the user can be provided in the form of a URL that can be immediately accessed. For example, if a user uploads to a content provider server called YOTUBE, the YOTUBE server will assign a URL to the uploaded content. The URL shown in FIG. 10 is a URL given from the content provider server.
사용자는 도 10과 같이 컨텐츠 정보가 표시된 상태에서, URL을 선택하면 그 URL에 접속하여 즉시 자신이 업로드했던 컨텐츠를 다운받아 재생할 수 있다.When the user selects a URL in the state in which the content information is displayed as shown in FIG. 10, the user can access the URL and immediately download and reproduce the content he has uploaded.
실시예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형태 외에, 컨텐츠 정보로서, 업로드한 날짜, 시간, 컨텐츠 제목 등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embodiment, in addition to the form shown in FIG. 10, the upload date, time, content title, and the like can be displayed together as the content informatio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 정보를 도 1의 네트워크 운영자(10)에게 전송하여 저장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가 다른 네트워크 TV 또는 네트워크 장치로 네트워크 운영자(10)에 액세스하여, 업로드한 컨텐츠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제공받은 컨텐츠 정보를 사용하여 다른 장치를 통해서 자신이 업로드한 컨텐츠에 액세스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tent information uploaded by the user may be transmitted to the
예컨대, 집에 있는 네트워크 TV를 통해 업로드한 컨텐츠들에 대한 정보를 다른 장소, 예컨대 직장이나, 친구 집에 있는 장치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장치에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메뉴 화면을 제공받거나, 또는 다른 형태 로 자신이 업로드한 컨텐츠에 대한 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자신이 한번 업로드한 컨텐츠는 단말기를 가리지 않고, 언제 어디서든 접속하여 액세스할 수 있다. For example, information about contents uploaded via a home network TV can be received at another place, such as a place at work or at a friend's house. Therefore, the other apparatus may receive the menu screen as shown in FIG. 8, or may receive the information about the content that the user himself or herself has uploaded in another form. As a result, the user can access and access the content once uploaded, regardless of the terminal.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컨텐츠 아이콘을 선택하였을 때 요약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11 illustrates a method of displaying summary information when a user selects a user content ic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과 같이, 메뉴 화면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컨텐츠 아이콘(211)을 선택하면, 사용자가 현재까지 업로드한 컨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를 도움말 풍선(231) 등으로 표시할 수 있다. 도움말 풍선(231) 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 컨텐츠 정보를 도 9 또는 도 10과 같이 브라우징하지 않고, 그 요약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11, when the user selects the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단계(S11)에서, 사용자가 컨텐츠를 업로드할 때마다, 그 컨텐츠 정보를 저장한다. 컨텐츠 정보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업로드한 날짜, 시간, 컨텐츠 제목, 컨텐츠 제공자 서버 정보, 액세스할 수 있는 URL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In step S11, every time the user uploads the content, the content information is stored. The content information may include the upload date, time, content title, content provider server information, and URL information that can be accessed, as described above.
단계(S12)에서, 도 8과 같이, 메뉴 화면에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를 나타내는 아이콘, 즉 사용자 컨텐츠 아이콘을 표시한다. In step S12, as shown in FIG. 8, an icon representing the content uploaded by the user, that is, a user content icon, is displayed on the menu screen.
단계(S13)에서, 사용자가 사용자 컨텐츠 아이콘을 선택하면, 단계(S14)에서 사용자가 송신한 컨텐츠들의 정보를 표시한다. In step S13, when the user selects the user content icon, information on the contents transmitted by the user is displayed in step S14.
단계(S15)에서 표시된 정보 중 하나를 선택하면, 단계(S16)에서 그 컨텐츠에 액세스하여 재생한다. If one of the information displayed in step S15 is selected, the content is accessed and reproduced in step S16.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와 같은 범용 프로세서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플래쉬 어플리케이션 또는 3D 플래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구현된 프로그램은 되어 네트워크 TV 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The methods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can be implemented as a program for execution in a general purpose processor such as a computer, and in particular, can be implemented using a flash application or a 3D flash application. The implemented program may be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 the network TV. Examples of the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include a ROM, a RAM, a CD-ROM, a magnetic tape, a floppy disk, an optical data storage device, and the like, and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carrier wave (for example, transmission via the Internet) .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The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may be distributed over a networked computer system so that computer readable code can be stored and executed in a distributed manner. And, functional programs, codes, and code segments for implementing the broadcast receiving method can be easily inferred by programmers of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전술한 실시예들 외에도, 본 발명에 따라 사용자가 업로드한 컨텐츠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 또는 기타 실시예들은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으며, 이들 변형된 실시예들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 method or other embodiments for displaying content information uploaded by a us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modified, and all these modified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TV 시스템의 네트워크 구성도를 나타낸다.1 is a network configuration diagram of a network TV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TV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2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network T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3D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네트워크 TV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3 is a block diagram illustrating a configuration of a network TV capable of implementing a 3D imag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 및 도 5는 도 2의 네트워크 TV를 제어하기 위한 리모컨의 일예를 나타낸다.4 and 5 show an example of a remote controller for controlling the network TV of FIG.
도 6은 도 1의 네트워크 TV의 인터페이스부와 도 3의 동작인식 리모콘의 내부 블록도이다. FIG. 6 is an internal block diagram of the interface part of the network TV of FIG. 1 and the operation recognition remote controller of FIG. 3;
도 7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TV의 메뉴 화면을 나타낸다.7 shows a menu screen of a network TV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컨텐츠 아이콘을 포함하는 메뉴 화면을 나타낸다.FIG. 8 illustrates a menu screen including a user content icon according to an exemplary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 및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송신한 컨텐츠의 정보 표시 화면을 나타낸다.9 and 10 show an information display screen of content transmitted by a us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가 사용자 컨텐츠 아이콘을 선택하였을 때 요약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나타낸다.11 illustrates a method of displaying summary information when a user selects a user content ic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2 is a flowchart illustrating a method of providing content informa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0)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9086A KR101665131B1 (en) | 2009-12-22 | 2009-12-22 |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contents which was uploaded by a user |
US12/907,305 US9329746B2 (en) | 2009-11-27 | 2010-10-19 |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129086A KR101665131B1 (en) | 2009-12-22 | 2009-12-22 |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contents which was uploaded by a user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2236A KR20110072236A (en) | 2011-06-29 |
KR101665131B1 true KR101665131B1 (en) | 2016-10-11 |
Family
ID=44403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129086A KR101665131B1 (en) | 2009-11-27 | 2009-12-22 |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contents which was uploaded by a user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65131B1 (e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1361759A1 (en) * | 2002-05-10 | 2003-11-12 | Canal+ Technologies Société Anonyme | System and method of providing media content |
KR20090019094A (en) * | 2007-08-20 | 2009-02-25 | 주식회사 케이티 | Personalized Wake-up Service System and Method |
KR20090120547A (en) * | 2008-05-20 | 2009-11-25 | 주식회사 케이티 | Remote disk service system using IPTV and its method |
KR20090128730A (en) * | 2008-06-11 | 2009-12-16 |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 Method and System Structure of Personalization Service in IPTV |
-
2009
- 2009-12-22 KR KR1020090129086A patent/KR101665131B1/en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72236A (en) | 2011-06-29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17638B1 (en) |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 |
US9329746B2 (en) |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 |
US9219946B2 (en) | Method of providing contents information for a network television | |
US20110119621A1 (en) | Providing contents information for network television | |
KR20110054245A (en) | Advertising method using TV that can connect to network | |
KR20160013888A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displaying a program guide | |
KR20110057527A (en) | How to edit menu screen of network TV | |
KR101645474B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 |
KR101621547B1 (en) | Provinding contents information for network television | |
KR20110049239A (en) | How to provide content in network TV | |
US20160044382A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 |
KR101613160B1 (en) |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recommending contents theteof | |
KR20160012030A (en) | Video displ110y device 110nd oper110ting method thereof | |
KR101539199B1 (en) | Method for providing content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 |
KR20110051437A (en) | Network TV and integrated search method for integrated search for multiple content providers | |
KR101633108B1 (en) | Providng contents information for a network television | |
KR101665131B1 (en) | A method for providing information for contents which was uploaded by a user | |
KR101697775B1 (en) | Method for managing contents and display apparatus thereof | |
KR20110060505A (en) | How to provide content-adaptive screensaver | |
KR20110059423A (en) | Content purchase method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 |
KR101636574B1 (en) | Providing initial screen for contents provider server with common format | |
KR20120004674A (en) | Clip content creation method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 |
KR20120001928A (en) | Method of displaying channel information and display device using same | |
KR20110061096A (en) | How to provide a screensaver with shortcuts | |
KR20110061097A (en) | How to restrict access to content on network TV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122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11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1222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25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60830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1005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6100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24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24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24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1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