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51279B1 -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용 전원공급장치 - Google Patents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용 전원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279B1
KR101651279B1 KR1020150027241A KR20150027241A KR101651279B1 KR 101651279 B1 KR101651279 B1 KR 101651279B1 KR 1020150027241 A KR1020150027241 A KR 1020150027241A KR 20150027241 A KR20150027241 A KR 20150027241A KR 101651279 B1 KR101651279 B1 KR 1016512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rechargeable battery
door lock
door
digital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천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로
Priority to KR10201500272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2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2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2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2J7/025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17/00Fire alarms; Alarms responsive to explosion
    • G08B17/12Actuation by presence of radiation or particles, e.g. of infrared radiation or of 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02J17/00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4B5/0037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48Circuits, feeding, monitoring
    • E05B2047/0057Feeding
    • E05B2047/0059Feeding by transfer between frame and wing
    • E05B2047/0061Feeding by transfer between frame and wing using indu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7/00Operating or controlling locks or other fastening devices by electric or magnetic means
    • E05B2047/0082Induction for charging or current transform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서,
상기 전기기기에 내장되어 외부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충전하면서 충전된 전원을 상기 전기기기에 제공하는 충전지; 및 상기 전기기기에 인접한 상태를 이루면서 문틀이나 벽체에 설치되어 외부전원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외부전원을 전자기유도 작용을 통해 무선으로 상기 충전지에 공급하여 상기 충전지를 충전시키는 무선충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기기는, 상기 출입문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지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출입문의 열림과 잠금 작동을 제어하는 디지털도어락;인 것을 특징으로 하여,
출입문에 설치된 전기기기에 별도의 건전지가 필요없이 문틀이나 벽체에 설치되는 전력송신부의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류를 공급받아 건전지의 교체없이 사용이 가능하고, 충전지와 연결되어 있는 수신코일은 전력송신부로부터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류를 공급받으므로 전송전력의 용량을 확장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디지털도어락 외에도 각종의 방범장치들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용 전원공급장치{POWER SUPPLY FOR THE ELECTRICAL EQUIPMENT TO BE INSTALLED ON THE DOOR}
본 발명은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문틀이나 벽체에 설치되어 무선으로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함으로써, 디지털 도어락과 방범카메라 등의 전기기기를 작동시키는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용 전원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선으로 전기에너지를 전력원에서 원하는 기기로 전달하는 무선전력전송 기술은, 이미 1800년대에 전자기유도 원리를 이용한 전기모터나 변압기가 사용되면서 태동하였고, 그 후로는 라디오파(radio wave)나 레이저(laser)와 같은 전자파를 방사해서 전기에너지를 전송하는 방법도 시도되었다.
이와 같은 무선충전분야의 종래기술로서, 하나의 코일에서 다른 쪽으로 자기장을 통해 전류를 유도하는 자기유도 방식이 있다. 그러나, 자기유도 방식은 양 코일의 상대적 위치와 거리에 의해 제한되고, 부하전력이 정확해야 하므로, 일부 제품에만 적용되었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자기유도 방식을 이용한 무선충전기술이 새롭게 발전되고 있다. 전자기유도 방식은, 수 밀리와트(mW)에서부터 수십 킬로와트(kW) 이상을 전송할 수 있으며, 전송용량에 따라 다르지만 수백 와트(W) 이하의 용량에 대해서는 수 센티미터(cm) 이하를 전송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주파수대역은 수백 kHz 이하이다.
이와 같은 전자기유도 방식은 다양한 응용분야에 적용되고 있으나, 전자기유도 방식에서는 낮은 품질계수를 가지는 공진코일을 사용하기 때문에, 전송효율을 높이기 위해 또는 송수신 코일의 결합계수를 높이기 위하여 전송거리를 작게 하고, 송수신 코일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배치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최근 무선전력컨소시엄(Wireless Power Consortium; WPC)에서는 전자기유도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소출력 무선기기 무선충전 제품의 상용화를 위한 상호호환성을 위하여 WPC 단체표준을 제정하여 발표하였고, 이를 계기로 무선충전 제품에 대한 시장이 매우 빠르게 형성되고 있으며, 시장규모도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 표준제정을 통하여 전자기유도 방식의 외부 금속물질에 의한 발열에 대한 위험성이 해결되었으며, 타 기기간의 상호 호환성 문제를 해결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자기유도 방식의 표준화로 인해 급속하게 새로운 제품이 출현하고 있으나, 수신기 코일의 물리적인 형상과 크기로 인해 소형 제품의 경우에는 소형화 개발에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선행기술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2-0134461호 `무선충전장치`에서 개시되었다.
종래기술의 무선충전장치는, 상기 전자기유도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를 출력하는 수신코일; 상기 수신코일에 의해 유도되는 전류로부터 전력을 픽업하는 픽업부; 및 상기 픽업부로부터 수신되는 전력을 충전하는 배터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신코일은, 사용자가 상기 무선 이어폰을 귀에 거는 귀걸이부 내부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신코일, 상기 픽업부 및 상기 배터리부가 배치되는 제1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귀걸이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일측에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변환부 및 상기 송신코일이 배치되는 제2하우징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하우징의 전면의 크기는 상기 송신코일의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은 지면과 소정 각도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전면에 제공되는 고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귀걸이부가 상기 고리부에 거치되는 경우, 상기 송신코일과 상기 수신코일간의 위치가 중첩되도록 상기 고리부의 위치가 상기 제2하우징의 상기 전면 상에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수신코일은, 상기 송신코일과의 공진주파수에 따라 그 턴수가 결정될 수 있어 소형 제품에 적용하기 어려운 무선충전 방식을 소형 디바이스에 확장할 수 있으며, 유사한 제품에 대한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한편, 근래에는 디지털도어락과 같은 사용이 편리한 방범장치들의 수요가 급증하고 있는데, 대부분의 디지털도어락과 같은 방범장치들이 건전지를 이용하므로 건전지의 방전시 교환해 주어야 하고, 또한 상기의 장치들이 수용할 수 있는 전력에는 한계가 있으므로 방범카메라를 달거나 기타 방범에 유용한 장치들을 추가설치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어서 다양한 활용에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14-0067341호(발명의 명칭: 무선충전장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출입문의 잠금장치 등에 별도의 건전지가 필요없이 무선충전기능을 구비한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무선충전기능으로 전송전력의 용량을 확장하여 건전지의 사용으로는 한계가 있는 각종의 방범장치들을 구비하여 사용하는데에도 무리없이 전력의 공급이 가능한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용 전원공급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매립형 무선충전장치는,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서, 상기 전기기기에 내장되어 외부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충전하면서 충전된 전원을 상기 전기기기에 제공하는 충전지; 및 상기 전기기기에 인접한 상태를 이루면서 문틀이나 벽체에 설치되어 외부전원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외부전원을 전자기유도 작용을 통해 무선으로 상기 충전지에 공급하여 상기 충전지를 충전시키는 무선충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기기는, 상기 출입문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지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출입문의 열림과 잠금 작동을 제어하는 디지털도어락;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무선충전기는, 문틀이나 벽체에 설치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되고 상기 출입문의 폐쇄상태에서 상기 전기기기와 인접된 상태를 이루면서, 외부전원에 의해 전자기유도를 일으키는 전송코일이 내장되어 유도되는 전류를 상기 전기기기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전력송신기; 상기 전기기기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전력송신기의 상기 전송 코일에 대면하면서 상기 충전지와 연결되며, 상기 전송코일에서 전송되는 전류를 수신하여 상기 충전지에 공급하는 수신코일; 및 상기 충전지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충전지의 충전량에 따라 상기 전력송신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충전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기기는, 상기 디지털도어락과 동일체를 이루거나 분리된 상태로 상기 출입문에 설치되고, 상기 충전지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범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전력송신기는, 상기 전기기기를 구성하는 상기 디지털도어락에 대응하면서 문틀이나 벽체에 설치되어 걸림부위를 이루는 잠금고리가 내장되고,
상기 수신코일 및 상기 충전콘트롤러는, 상기 디지털도어락에 내장되며,
상기 디지털도어락은, 상기 전력송신기와 상기 수신코일을 무선으로 연결하는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지털도어락은, 실외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잠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번호를 입력받는 번호입력패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무선태그부재와 비접촉식으로 통신하는 무선인식부,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입력받는 지문인식부 및 사용자의 홍채정보를 입력받는 홍채인식부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충전지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디지털도어락과 연결되어 상기 디지털도어락의 작동상태를 이동통신망이나 와이파이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통신부 및 상기 디지털도어락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디지털도어락으로 인가하여 상기 디지털도어락을 원격제어시키는 원격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기기기는, 열감지센서를 내재하여 상기 충전지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경보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용 전원공급장치는, 출입문에 설치된 전기기기에 별도의 건전지가 필요없이 문틀이나 벽체에 설치되는 전력송신부의 전자기 유도에 의해 전류를 공급받아 건전지의 교체없이 사용이 가능하므로 사용이 편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충전지와 연결되어 있는 수신코일은 전력송신부로부터 전자기 유도에 의한 전류를 공급받으므로 전송전력의 용량을 확장시키는 것이 가능하여 디지털도어락 외에도 각종의 방범장치들을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전기기기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제1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제2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제3 블록도.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전기기기를 나타낸 도면이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제1 블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제2 블록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원공급장치의 제3 블록도이다.
도 1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은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서 충전지(100), 전기기기(200) 및 무선충전기(30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전기기기(200)는 출입문(10)에 설치되어 출입문(10)의 열림과 잠금이나 방범 등의 기능을 담당하는 구성요소이다.
전기기기(200)는 디지털도어락(230)이거나 상기 디지털도어락(230)에 방범카메라(40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디지털도어락(230)은 출입문(10)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충전지(100)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출입문(10)의 열림과 잠금 작동을 제어하는 기능을 한다.
디지털도어락(230)의 작동원리는 미리 설정되어있는 비밀번호와 이를 해제하고 문을 열기위해 입력되는 키패트와의 비교를 통해 출입문(10)의 열림과 잠금 동작을 수행한다. 따라서, 입력된 숫자와 일치하면 디지털도어락(230)이 해제되어 출입문(10)이 열리고, 불일치하면 에러 메세지가 뜨고 출입문(10)은 열리지가 않는다.
상기 방범카메라(400)는 디지털도어락(230)과 동일체를 이루거나 분리된 상태로 출입문(10)에 설치되고, 충전지(100)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실내외의 영상을 실내나 스마트폰(700)을 통해서도 볼 수 있도록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또한, 전기기기(200)는 전원공급이 건전지 방식이 아닌 무선 충전방식이라 전력의 수급이 다소 자유로워지므로, 사용자는 방범카메라(400) 뿐만아니라 열감지센서를 이용하여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경보기, 무단침입경보기 등의 각 종의 방범장치들의 추가 설치하여 스마트폰(700)과 연동하여 각종의 신호들을 스마트폰(7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충전지(100)는 전원을 공급받아서 충전하여 자체 축적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충전지(100)는 후술할 전기기기(200)의 내부에 착탈 가능하게 삽입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반복적인 사용으로 충전지(100)의 수명이 다하는 경우 새것으로 교환하여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충전지(100)는 전기기기(200)에 내장되어 외부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충전하면서 충전된 전원을 전기기기(200)에 제공하여 전기기기(200)가 작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해준다.
충전지(100)는 니켈카드늄 배터리, 니켈수소 배터리, 리튬이온 배터리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커패시터를 사용하여 충전지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한데. 여기서 커패시터에 대해서 알아보면, 커패시터는 콘덴서라고도 하는데 성능 중 특히 전기 용량의 성능을 중점적으로 강화한 것으로서, 전지의 목적으로 사용하도록 한 부품. 전자 회로에 사용되는 충전지는 전기적으로 충전지와 같은 기능을 갖는다.
즉, 커패시터는 '전력을 모아서 필요에 따라 방출한다'는 것이 기본 취지이며, 전자 회로를 안정되게 동작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한 부품의 하나이다. 충ㅇ방전을 반복하는 환경에서 오랜 시간이 경과해도 안정되게 동작한다.
커패시터는 보통 교류 전원으로부터 공급받아 충전해 두고 전원이 끊어진 경우에 소전력을 공급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보통 기기 내부에 설치되어 있으며, 설정용 메모리에 전력을 일시적으로 공급하거나 정전 시에 동작하는 안전기기 등에 이용되고 있다.
상기 무선충전기(300)는 전기기기(200)에 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요소이다.
무선충전기(300)는 전력송신기(310), 수신코일(220) 및 충전콘트롤러(210)의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전력송신기(310)는 전기기기(200)에 무선으로 전류를 전송하는 구성요소이다.
전력송신기(310)는 문틀이나 벽체에 설치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된다.
전력송신기(310)은 출입문(10)의 폐쇄상태에서 전기기기(200)와 인접된 상태를 이루고 외부전원에 의해 전자기유도를 일으키는 전송코일(320)이 내장되어 유도되는 전류를 전기기기(200)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전력송신기(310)는 전기기기(200)를 구성하는 디지털도어락(230)에 대응하면서 문틀이나 벽체에 설치되어 걸림부위를 이루는 잠금고리가 내장되는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수신코일(220)은 전기기기(200)에 내장되어 전력송신기(310)로부터 전류를 수신받는 구성요소이다.
수신코일(220)은 전기기기(200)에 내장된 상태로 전력송신기(310)의 전송코일(320)에 대면하면서 충전지(100)와 연결된다.
출입문이 폐쇄된 상태에서 수신코일(220)은 충전지(100)와 연결되어 전송코일(320)에서 전송되는 전류를 수신하여 충전지(100)에 공급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무선충전기(300)가 무선으로 충전하는 원리로는 자기유도방식을 이용하는데, 상기 자기유도방식은 전류가 흐르면서 생긴 자기장이 새로운 전류를 만드는 원리로 즉, 전송코일(320)에 전류를 공급하여 자기장을 일으키면, 인접해 있는 수신코일(220)에서 상기 자기장에 의해 자기장이 유도되고 상기 유도된 자기장이 전류를 일으키는 방식으로 하여 충전지(100)에 충전이 가능하게 해주는 것이다.
상기 충전콘트롤러(210)는 충전지(100)의 충전량을 제어하는 구성요소이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충전콘트롤러(210)는 전력송신기(310), 전기기기(200) 및 충전지(100)를 제어하여 충전량을 조절할 수 있다.
충전콘트롤러(210)는 전기기기(200)에 내장되어 충전지(100)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충전지(100)의 충전량에 따라 전력송신기(310)의 작동을 제어하면서 충전지(100)의 충전량을 조절한다.
즉, 충전콘트롤러(210)는 출입문(10)이 패쇄된 상태에서만 전력송신기(310)와 전기기기(200)를 작동시켜서 불필요한 전력의 낭비를 방지하고, 또한, 충전지가 완충된 경우에는 이를 감지하여 과충전으로 인한 기기고장이나 오작동 등을 사전에 막기위해 충전을 차단시키는 기능 등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충전기의 원리를 잠시 살펴보면, 무선충전기 원리는 크게 3가지로 나누어 진다. 즉, 자기공명방식, 전자기파방식, 자기유도방식 등이 있다.
첫째로, 자기공명방식은 송신부 코일에서 공진주파수를 진동하는 자기장을 생성하여 동일한 공진 주파수를 설계된 수신부 코일에만 흐르도록 하는 방식이다. 송신부와 수신부 사이에 장애물이 있어도 전송이 가능하고 전자기파방식과 달리 인체에 거의 흡수되지 않아서 인체는 전혀 무해하다.
상기 방식은 파워스테이션을 집안곳곳에 설치하게 되면 방안의 휴대폰 및 노트북 등의 충전식 기기를 언제나 자동으로 충전하는 효과를 볼 수 있다.
둘째로, 전자기파방식은 마이크로파를 이용해서 안테나를 통해 마이크로파 신호를 공기중에 방사하여 전력을 전달하는 기술로 주로 원거리 주력전송에 활용하는 방법이다.
상기 방식은 매우 큰 송신안테나가 필요하고 전력이 대기중에 흡수되거나 수분에 의해서 방해받을 수 있으며 인체 유해한 고출력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것이 단점이다.
끝으로, 자기유도방식은 전류가 흐르면서 생긴 자기장이 새로운 전류를 만드는 원리로써 전력 전송효율이 90%이상으로 매우 높고 전송거리가 짧다. WPC 포준화가 이루어지면서 각종의 스마트단말기 등의 전기기기에 적용되고 있다.
상기의 방식들 중에서 최선의 방식을 채택하여 적용이 가능하며, 본 발명은 이미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의 방식들 중에서 자기유도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수신코일(220) 및 충전콘트롤러(210)는 디지털도어락(230)에 내장되며, 디지털도어락(230)은 전력송신기(310)와 수신코일(220)을 무선으로 연결하는 안테나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디지털도어락(230)은 실외측에 설치되어 출입문(10)의 잠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500)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입력부(500)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번호를 입력받는 번호입력패드(510),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스틱키 등과 같은 무선태그부재와 비접촉식으로 통신하는 무선인식부(520),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입력받는 지문인식부(530) 및 사용자의 홍채정보를 입력받는 홍채인식부(540) 중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구성되어 작동가능하다.
또한, 스마트폰(700)을 이용한 원격제어가 가능하도록 무선통신부(600)와 원격제어부(610)가 더 포함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600)는 충전지(100)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디지털도어락(230)과 연결되어 디지털도어락(230)의 작동상태를 이동통신망, 와이파이, 블루트스, 지그비 등의 방식을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700)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원격제어부(610)는 무선통신부(600) 및 디지털도어락(230)에 연결되고, 무선통신부(600)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700)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디지털도어락(230)으로 인가하여 디지털도어락(230)을 원격제어시키는 기능을 한다.
본 발명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용 전원공급장치의 작동방법은, 사용자가 전력송신기(310)의 전원코드를 외부 콘센트나 전원에 연결하여 전원을 공급받고, 전원을 공급받은 전력송신기(310)에 내장된 전송코일(320)에서 전자기유도를 일으켜서 전송코일(320)에 대면하는 전기기기(200)에 내장된 수신코일(220)에 전자기유도를 일으키고 전류를 수신하도록 하여 전기기기(200)에 내장되고 수신코일(220)과 연결된 충전지(100)에 전류를 공급하여 충전시킨다.
사용자는 충전지(100)의 전원을 이용하여 디지털도어락(230), 방범카메라(400)나 각종의 방범장치들을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스틱키나 지문, 홍채, 비밀번호입력 방식 등을 통해 디지털도어락(230)의 작동 제어가 가능하며, 디지털도어락(230)을 스마트폰9700)과 연동시켜서 원격으로도 제어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 : 출입문 100 : 충전지
200 : 전기기기 210 : 충전콘트롤러
220 : 수신코일 230 : 디지털도어락
300 : 무선충전기 310 : 전력송신기
320 : 전송코일 400 : 방범카메라
500 : 입력부 510 : 번호입력패드
520 : 무선인식부 530 : 지문인식부
540 : 홍채인식부 600 : 무선통신부
610 : 원격제어부 700 : 스마트폰

Claims (8)

  1.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장치로서,
    상기 전기기기에 내장되어 외부에서 공급받은 전원을 충전하면서 충전된 전원을 상기 전기기기에 제공하는 충전지; 및
    상기 전기기기에 인접한 상태를 이루면서 문틀이나 벽체에 설치되어 외부전원을 공급받으며, 공급된 외부전원을 전자기유도 작용을 통해 무선으로 상기 충전지에 공급하여 상기 충전지를 충전시키는 무선충전기;를 포함하며,
    상기 전기기기는,
    상기 출입문의 일측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충전지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출입문의 열림과 잠금 작동을 제어하는 디지털도어락;이며,
    상기 무선충전기는,
    문틀이나 벽체에 설치되어 외부전원과 연결되고 상기 출입문의 폐쇄상태에서 상기 전기기기와 인접된 상태를 이루면서, 외부전원에 의해 전자기유도를 일으키는 전송코일이 내장되어 유도되는 전류를 상기 전기기기에 무선으로 전송하는 전력송신기;
    상기 전기기기에 내장된 상태로 상기 전력송신기의 상기 전송코일에 대면하면서 상기 충전지와 연결되며, 상기 전송코일에서 전송되는 전류를 수신하여 상기 충전지에 공급하는 수신코일; 및
    상기 충전지의 충전상태를 감지하여 상기 충전지의 충전량에 따라 상기 전력송신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충전콘트롤러;를 포함하며,
    상기 전력송신기는,
    상기 전기기기를 구성하는 상기 디지털도어락에 대응하면서 문틀이나 벽체에 설치되어 걸림부위를 이루는 잠금고리가 내장되고,
    상기 수신코일 및 상기 충전콘트롤러는,
    상기 디지털도어락에 내장되며,
    상기 디지털도어락은,
    상기 전력송신기와 상기 수신코일을 무선으로 연결하는 안테나가 설치되며,
    상기 전기기기는,
    열감지센서를 내재하여 상기 충전지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화재를 감지하는 화재경보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용 전원공급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기기기는,
    상기 디지털도어락과 동일체를 이루거나 분리된 상태로 상기 출입문에 설치되고, 상기 충전지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영상을 제공하는 방범카메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용 전원공급장치.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도어락은,
    실외측에 설치되어 출입문의 잠금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는 입력부;를 포함하며,
    상기 입력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번호를 입력받는 번호입력패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는 무선태그부재와 비접촉식으로 통신하는 무선인식부, 사용자의 지문정보를 입력받는 지문인식부 및 사용자의 홍채정보를 입력받는 홍채인식부 중 적어도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용 전원공급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충전지의 전원에 의해 작동하면서 상기 디지털도어락과 연결되어 상기 디지털도어락의 작동상태를 이동통신망이나 와이파이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으로 전송하는 무선통신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용 전원공급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 및 상기 디지털도어락에 연결되고, 상기 무선통신부를 통해 사용자의 스마트폰에서 전송되는 제어신호를 상기 디지털도어락으로 인가하여 상기 디지털도어락을 원격제어시키는 원격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용 전원공급장치.
  8. 삭제
KR1020150027241A 2015-02-26 2015-02-26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용 전원공급장치 KR1016512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241A KR101651279B1 (ko) 2015-02-26 2015-02-26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용 전원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241A KR101651279B1 (ko) 2015-02-26 2015-02-26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용 전원공급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279B1 true KR101651279B1 (ko) 2016-08-25

Family

ID=568848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241A KR101651279B1 (ko) 2015-02-26 2015-02-26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용 전원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27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6318A1 (en) * 2016-12-08 2018-06-14 Google Inc. Non-invasive beam steering
CN109629922A (zh) * 2019-01-24 2019-04-16 广东雅仕格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门锁及智能门
CN111691757A (zh) * 2020-06-11 2020-09-22 苏州萃禾电子科技有限公司 一体式电子执手锁
KR102566684B1 (ko) 2023-07-14 2023-08-14 백강정보통신(주) 디지털 도어록 상시전원 공급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044B1 (ko) * 2007-02-05 2008-03-03 오리엔탈종합전자(주) 비접촉식 얼굴인증 도어락 시스템
KR20140001611U (ko) * 2012-09-10 2014-03-19 조봉미 통신을 겸용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무선충전장치
KR20140067341A (ko) 2012-11-26 2014-06-05 재단법인 씨윗코리아 무선충전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9044B1 (ko) * 2007-02-05 2008-03-03 오리엔탈종합전자(주) 비접촉식 얼굴인증 도어락 시스템
KR20140001611U (ko) * 2012-09-10 2014-03-19 조봉미 통신을 겸용하는 디지털 도어록용 무선충전장치
KR20140067341A (ko) 2012-11-26 2014-06-05 재단법인 씨윗코리아 무선충전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06318A1 (en) * 2016-12-08 2018-06-14 Google Inc. Non-invasive beam steering
CN109629922A (zh) * 2019-01-24 2019-04-16 广东雅仕格科技集团有限公司 一种智能门锁及智能门
CN111691757A (zh) * 2020-06-11 2020-09-22 苏州萃禾电子科技有限公司 一体式电子执手锁
KR102566684B1 (ko) 2023-07-14 2023-08-14 백강정보통신(주) 디지털 도어록 상시전원 공급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118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CN104428972B (zh) 用于小型设备无线充电模式的系统、方法和装置
KR101586524B1 (ko) 충전 배터리에 대한 무선 전력 디바이스의 최적화
EP2313957B1 (en) A mobile device to control a charge pad system
EP3072215B1 (en) Wireless charging apparatus and wireless charging method
EP2782210B1 (en) Wireless power transmitting unit, wireless power receiving unit, and control methods thereof
US9191075B2 (en) Wireless power control method, system, and apparatus utilizing a wakeup signal to prevent standby power consumption
EP3293856B1 (en) Wireless power charging system
KR102039375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2023548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KR102028455B1 (ko) 무선 전력 송신기, 무선 전력 수신기 및 각각의 제어 방법
US8044626B2 (en) Self-powered assembly for the actuation of a roller blind or awning
KR101110325B1 (ko) 공진 및 자기장 통신을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KR101651279B1 (ko) 출입문에 설치되는 전기기기용 전원공급장치
US20110248668A1 (en) Energy storage device security
US1087320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wireless charging of devices
CN104205901A (zh) 用于使用蓝牙低能量的无线电力控制通信的系统和方法
CN103248103A (zh) 电子装置及其控制方法
CN105103403A (zh) 用于扩展无线充电器的电力能力的系统和方法
CN106133857A (zh) 用于无线功率接收器线圈配置的系统、装置和方法
KR101479817B1 (ko) 무선충전장치
CN105264786A (zh) 用于无线电力发射系统中的延迟应用程序处理器初始化的系统和方法
KR20160128644A (ko) 디지털도어락 원격제어장치
US20170358952A1 (en) Method and Process for a Smart Door System
KR101375637B1 (ko)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능동형 에너지 중계기 및 이를 이용한 무선 전력 전송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