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59957B1 -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957B1
KR101659957B1 KR1020150060250A KR20150060250A KR101659957B1 KR 101659957 B1 KR101659957 B1 KR 101659957B1 KR 1020150060250 A KR1020150060250 A KR 1020150060250A KR 20150060250 A KR20150060250 A KR 20150060250A KR 101659957 B1 KR101659957 B1 KR 1016599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rail
door portion
refrigerator
storag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02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세연
유지연
현정훈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동부문화재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동부문화재단 filed Critical 재단법인 동부문화재단
Priority to KR10201500602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9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9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9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1Sliding doo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65/00Locks or fastenings for special use
    • E05B65/0042For refrigerators or cold 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8Parts formed wholly or mainly of plastics materials
    • F25D23/082Strips
    • F25D23/087Sealing stri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frigerator Housings (AREA)

Abstract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저장실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제1도어부 및 제2도어부 및 상기 제1도어부 또는 상기 제2도어부를 각각 서로를 향해 슬라이딩시키며, 이동되는 어느 하나의 도어부가 정지된 다른 도어부 앞으로 돌출되어 두 개의 도어부가 서로 겹쳐지는 구조로 상기 제1도어부 및 상기 제2도어부에 각각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도어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REFRIGERATOR HAVING SLIDING DOOR}
본 발명은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및 그 냉장고의 개폐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상하 또는 좌우로 분할된 적어도 2개 이상의 저장실을 구비하며, 상기 저장실 중 하나는 대략 -7℃ 이하의 온도를 유지하는 고내 환경에 따라 식료품을 냉동 보관하는 냉동실로 활용될 수 있고, 상기 저장실 중 다른 하나는 대략 -4℃ ~ 2℃ 정도로 유지되는 고내 환경에 따라 식료품을 냉장 보관하는 냉장실로 활용될 수 있다.
냉장고에는 상기 냉동실 및 냉장실로 각각의 식료품을 넣고 꺼낼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냉동실과 냉장실의 냉기가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하는 냉동실 도어와 냉장실 도어(이하, "냉장고 도어"로 통칭할 수 있다)가 각각 구비될 수 있다.
종래 냉장고는 각각의 냉장고 도어가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구조(여닫이 구조)를 가지기 때문에 냉장고의 개폐는 도어가 여닫히는 동작을 통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종래 냉장고는 냉장고 도어가 전방으로 열린 후 일정한 회전 반경을 갖고 측방으로 회전되기 때문에, 냉장고 도어의 회전 반경 이내의 공간은 냉장고 도어의 개폐에 방해가 되는 물건을 놓을 수 없는 이른바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가 될 수 밖에 없고, 이 데드 스페이스 때문에 공간 활용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최근의 냉장고 대형화 추세에 따라 냉장고 도어의 크기 또한 점차 증대되고 있는바, 이에 따라 냉장고 도어에 의한 데드 스페이스 역시 점점 증대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이는 공간이 협소한 곳에서 냉장고 도어를 자유롭게 개폐할 수 없는 문제와 함께 공간 활용성을 더욱 악화시키는 문제를 초래하게 된다.
또한, 여닫이 구조를 갖는 종래 냉장고 도어는 도어 개폐시 냉기의 외부 유출 정도가 매우 큰데, 냉장고 저장실의 냉기 유출이 증가하면 소비전력에 악영향을 미쳐 전기세 증가 및 냉장고의 사용연한을 단축시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은 여닫이 구조를 갖는 종래 냉장고 도어를 개폐하는 것이 불편하여 냉장고 이용에 제한이 있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4-92150호 (2004.11.03. 공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고 도어의 개폐 구조를 개선하여 데드 스페이스를 줄임으로써 궁극적으로 냉장고 도어 주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협소한 공간에 냉장고를 설치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냉장고 저장실의 냉기 유출을 줄일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도 쉽게 열고 닫을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데드 스페이스를 줄여 냉장고 도어 주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협소한 공간에 냉장고를 설치할 수 있는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의 개폐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저장실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제1도어부 및 제2도어부 및 상기 제1도어부 또는 상기 제2도어부를 각각 서로를 향해 슬라이딩시키며, 이동되는 어느 하나의 도어부가 정지된 다른 도어부 앞으로 돌출되어 두 개의 도어부가 서로 겹쳐지는 구조로 상기 제1도어부 및 상기 제2도어부에 각각의 이동 경로를 제공하는 도어이동수단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이동수단은, 상기 제1도어부 또는 상기 제2도어부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메인레일부 상기 메인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1도어부 또는 상기 제2도어부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브래킷 및 일단은 상기 제1도어부 또는 상기 제2도어부와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가이드홈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상기 제1도어부 또는 상기 제2도어부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되기 시작할 때 이동되는 도어부를 정지된 도어부보다 돌출시키는 커넥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이동수단은, 상기 메인레일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레일부 상기 제1레일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이동구간과, 상기 이동구간과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돌출구간이 일체로 형성된 제2레일부 및 상기 커넥팅부와 힌지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제1레일부를 따라 이동하고, 타단은 상기 제2레일부에 끼워져 상기 돌출구간 및 상기 이동구간을 따라 이동하는 피봇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어부 및 상기 제2도어부의 각 경계 부위의 내측부에는 각 도어부가 부드럽게 슬라이딩되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테이퍼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 및 상기 본체와 마주보는 상기 제1,2도어부의 내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상기 저장실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밀폐수단이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밀폐수단은 가스켓 또는 고무자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실은, 상기 제1도어부 및 제2도어부가 열리는 방향을 따라 먼저 개방되는 부위의 순서대로 단기저장부, 중기저장부, 장기저장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도어부 및 상기 제2도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본체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재질의 윈도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냉장고 도어가 서로 겹쳐지는 미닫이 형태로 슬라이딩되도록 하여 데드 스페이스를 줄임으로써 냉장고 도어 주변의 공간 활용도를 높이고 협소한 공간에도 쉽고 편리하게 냉장고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저장실의 냉기 유출을 줄임으로써 냉장고의 소비전력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휠체어를 사용하는 장애인도 냉장고 도어를 옆으로 밀어 간단하게 개폐할 수 있으므로 냉장고의 사용 편의성이 증대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도2는 도1의 냉장고에서 하나의 도어부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3은 도1의 냉장고에서 도어부가 생략된 본체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에적용된 도어이동수단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1의 A-A선에 대한 평단면도,
도5는 도4에서 일측 도어부가 열리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6은 도5에서 일측 도어부가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7은 본체 내부를 투시할 수 있는 재질의 도어부가 구비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은 특허 청구 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측면(aspects) 중 하나이며, 하기의 설명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의 일부를 이룰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된 구성 또는 기능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을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포함할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를 나타낸 외관 사시도이고, 도2는 도1의 냉장고에서 하나의 도어부가 일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3은 도1의 냉장고에서 도어부가 생략된 본체 내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10)는, 본체(100)와, 제1도어부(200) 및 제2도어부(300)와, 도어이동수단(400)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가 위에서 나열된 구성들을 포함한다는 의미는 이들 구성으로만 이루어진다는 뜻이 아니라 이들 구성을 기본적으로 포함한다는 뜻으로, 이외에도 다른 구성(예컨대, 냉장고에서 널리 알려진 공지기술)을 포함할 수 있다는 의미이지만, 공지기술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본체(100)는 냉장고(10)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는 구성으로서, 상기 본체(100)에는 내부에 음식물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실(11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저장실(110)은 필요에 따라 2개 이상 구획 분리되어 제공될 수 있으며, 저장되는 음식물의 특성에 따라 냉동실, 냉장실, 야채 저장고 등으로 분류될 수 있다.
상기 각 저장실(110)에는 음식물을 상하 방향으로 구획 분리하면서 많은 양의 음식물을 보관할 수 있도록 선반(101)이 설치될 수 있으며, 음식물을 좌우 방향으로 구획 분리하기 위하여 칸막이(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선반(101) 및 칸막이는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치하거나 제거할 수 있도록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제공된다. 상기 선반(101) 및 칸막이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본체(100)는 일 방향(예컨대, 본체를 정면에서 볼 때 좌우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2개의 저장실을 포함하고, 다수 개의 구획된 음식물 저장공간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도어부(200) 및 상기 제2도어부(300)는 상기 본체(100)의 전방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본체(100)에 형성된 저장실(110)을 개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저장실(110)이 좌우로 구획되어 냉동실과 냉장실로 사용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본체(100)를 정면에서 바라볼 때 냉동실이 본체(100) 좌측에 형성되고 냉장실이 본체(100) 우측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때 상기 제1도어부(200)는 냉동실을 개폐하는 냉동실 도어가 될 수 있고 상기 제2도어부(300)는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 도어가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이해를 돕기 위해 예를 들어 설명한 것인바,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의 위치는 서로 바뀔 수도 있고, 상기 저장실은 냉동실이 2개 또는 냉장실이 2개로 제공될 수도 있는바, 이는 실시자의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할 수 있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어부(200)와 제2도어부(300)가 모두 닫혀 있을 때에는 상기 냉동실과 냉장실이 모두 밀폐되어 냉기가 보존되며, 상기 냉동실에 저장된 음식물을 꺼낼 때에는 상기 제1도어부(200)를 상기 제2도어부(300) 쪽으로 슬라이딩시켜 냉동실을 개방하고,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장실에 저장된 음식물을 꺼낼 때에는 상기 제2도어부(300)를 상기 제1도어부(200) 쪽으로 슬라이딩시켜 냉장실을 개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이동수단(400)은 상기 제1도어부(200) 또는 상기 제2도어부(300)가 각각 서로(다른 하나의 도어부)를 향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구성으로서, 상기 도어이동수단(400)은 상기 제1도어부(200), 상기 제2도어부(300)와 상기 본체(100)를 각각 연결하도록 적어도 1개씩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상기 도어이동수단(400)이 각 도어부(200,300)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1개씩 총 4개가 설치된 것으로 나타내었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 상기 도어이동수단(400)의 개수는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증감 가능하다.
상기 도어이동수단(400)은 상기 제1도어부(200) 또는 상기 제2도어부(300)가 슬라이딩될 때 이동되는 어느 하나의 도어부(도면 내용에 따르면 300)가 정지된 다른 도어부(도면 내용에 따르면 200) 앞으로 돌출되도록 하여 두 개의 도어부(200,300)가 서로 겹쳐지는 구조가 되도록 상기 제1도어부(200) 및 상기 제2도어부(300)에 각각의 이동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도어부(200) 또는 상기 제2도어부(300)는 개방시 정지되어 있는 다른 하나의 도어부 쪽으로 슬라이딩되고 본체(100)의 바깥쪽 측방으로 돌출되지 않기 때문에, 냉장고(10)의 데드 스페이스(Dead Space)를 줄여 공간 활용도를 높일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도어이동수단(400)은 도4 내지 도6를 참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의 도어이동수단(400)을 나타낸 것으로서, 도어부(200,300)가 모두 닫혀 있는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고, 도5는 도4에서 일측 도어부(300)가 열리기 시작하는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며, 도6은 도5에서 일측 도어부(300)가 슬라이딩되는 상태를 나타낸 평단면도이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이동수단(400)은, 메인레일부(410)와 브래킷(420) 및 커넥팅부(430)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에다 제1레일부(440)와, 제2레일부(450) 및 피봇암(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이동수단(400)은 제1레일부(440)와, 제2레일부(450) 및 피봇암(460)을 기본 구성으로 포함할 수도 있다.
먼저, 상기 메인레일부(410)는 상기 상기 제1도어부(200) 또는 상기 제2도어부(300)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길게 배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메인레일부(410)는 상기 제1도어부(200) 또는 제2도어부(300)의 하중을 감당할 수 있을 정도의 강도 및 강성을 보유하여 도어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도어부(200) 및 상기 제2도어부(300)는 본체(100)를 정면으로 바라볼 때 본체(100)의 좌우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므로 상기 메인레일부(410) 역시 본체(100)의 상부 또는 하부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 본체(100)의 좌우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브래킷(420)은 일단이 상기 메인레일부(410)에 결합되어 메인레일부(410)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브래킷(420)의 타단에는 상기 제1도어부(200) 또는 제2도어부(300)의 돌출방향(예컨대, 본체(100)의 전방)과 동일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가이드홈(421)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넥팅부(430)는 상기 제1도어부(200) 또는 상기 제2도어부(300)를 상기 브래킷(420)과 연결하여 제1도어부(200) 또는 제2도어부(300)가 슬라이딩될 때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측방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팅부(430)의 일단은 상기 제1도어부(200) 또는 상기 제2도어부(300)와 연결되며, 상기 커넥팅부(430)의 타단은 상기 가이드홈(42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어 제1도어부(200) 또는 제2도어부(300)가 개방 방향으로 이동되기 시작할 때 두 개의 도어부(200,300)가 서로 충돌하지 않도록 이동되는 도어부(도면 내용에 따르면 300)를 정지된 도어부(도면 내용에 따르면 200)보다 돌출시킬 수 있다.(도5 참조)
상기 도어이동수단(400)이 상기 브래킷(420)의 가이드홈(421)과 상기 커넥팅부(430)의 슬라이딩 작용에 의해서 동작되는 경우, 상기 제1도어부(200) 또는 상기 제2도어부(300)를 개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제1도어부(200) 또는 제2도어부(300)를 본체(100) 전방으로 당겨서 도어부를 인출한 후 인출된 도어부가 다른 도어부보다 더 돌출되면 인출된 도어부가 다른 도어부 앞으로 겹쳐지도록 측방으로 밀어야 한다.
이런 일련의 과정에서 도어부가 좀 더 쉽고 간편하게 열릴 수 있도록 상기 도어이동수단(400)은 상기한 제1레일부(440)와, 제2레일부(450) 및 피봇암(4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레일부(440)는 상기 본체(100) 전방에서 상기 메인레일부(410)와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레일부(450)는 이동구간(451) 및 돌출구간(452)으로 구분되는 2개의 구간으로 형성되며, 대략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이동구간(451)은 상기 제1레일부(440)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레일부(450)의 일부분이며, 상기 돌출구간(452)은 상기 이동구간(451)과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제2레일부(450)의 또 다른 일부분일 수 있다. 상기 제2레일부(450)에서 상기 이동구간(451)과 돌출구간(452)은 서로 통하도록 연결되며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피봇암(460)은 상기 커넥팅부(430)와 힌지(h) 결합되어 커넥팅부(430)의 힌지점을 중심으로 피봇될 수 있으며, 상기 피봇암(460)의 일단은 상기 제1레일부(440)에 끼워져 제1레일부(440)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상기 피봇암(460)의 타단은 상기 제2레일부(450)에 끼워져 상기 제1도어부(200) 또는 상기 제2도어부(300)의 개방시 상기 돌출구간(452) 및 상기 이동구간(451)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피봇암(460)은 상기 제1레일부(440)와 제2레일부(450)가 서로 이격 배치되고 피봇암(460)의 일단과 타단이 각각 제1레일부(440)와 제2레일부(450)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가 닫혀 있는 상태에서 상기 커넥팅부(430)에 대하여 직각으로 배치되지 않고 경사지게 배치되는바, 이에 따라 제1도어부(200) 또는 제2도어부(300)에 별도의 인출력을 가하지 않고 측방으로 미는 힘만 가하더라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봇암(460)의 타단이 제2레일부(450)의 돌출구간(452)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커넥팅부(430)를 상기 브래킷(420)의 가이드홈(421)으로부터 돌출시켜 상기 제1도어부(200) 또는 제2도어부(300)가 돌출되도록 하면서 측방으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5의 상태에서 계속해서 제1도어부(200) 또는 제2도어부(300)를 옆으로 밀면, 상기 피봇암(460)의 타단이 상기 돌출구간(452)을 따라 끝까지 이동하는 동안에는 도어부(도면 내용에 따르면 300)가 돌출되다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봇암(460)의 타단이 상기 이동구간(451)을 따라 이동하는 동안에는 도어부는 더 이상 돌출되지 않고 측방으로만 이동하게 된다.
또한, 도4의 원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레일부(440)의 끝단 측면에는 상기 제1도어부(200) 또는 상기 제2도어부(300)가 외력 없이 자유롭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피봇암(460)의 일단이 걸리는 록킹돌기부(44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록킹돌기부(441)는 상기 제1도어부(200) 또는 상기 제2도어부(300)가 상기 저장실(110)을 완벽하게 밀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도어부가 닫힌 상태에서 스스로 개방되지 않도록 상기 록킹돌기부(441)는 상기 피봇암(460)의 일단을 탄력적으로 구속할 수 있다.
도4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도어이동수단(400)은 상기 록킹돌기부(441) 이외에도 상기 제1도어부(200) 또는 상기 제2도어부(300)가 외력 없이 자유롭게 개방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하기 위해 도어록킹수단(4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록킹수단(470)은 상기 브래킷(420) 일단에 돌출 형성된 걸림부(471)와, 상기 본체(100)에 상기 걸림부(471)와 마주보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부(471)와의 접촉을 통해 회전되면서 상기 브래킷(420)을 록킹시키거나 록킹 해제시키는 힌지부(472) 및 상기 힌지부(472)에 탄성 설치되어 상기 브래킷(420)에 구속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47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어부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저장실(110)을 밀폐하며 도어부가 외력 없이는 자유롭게 열리지 않도록 상기 힌지부(472)가 상기 걸림부(471)를 구속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구속력은 상기 탄성부재(473)가 제공한다. 상기 탄성부재(473)는 상기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토션스프링일 수 있으며 상기 힌지부(472)의 회전축에 설치될 수 있다.
도4의 상태에서 사용자가 도어부를 개방하게 되면 도5에서 보듯이 상기 브래킷(420)이 도면상 좌측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걸림부(471)가 상기 탄성부재(473)의 구속력을 이기고 상기 힌지부(472)를 강제로 회전시키면서 도어부의 개방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걸림부(471)가 상기 힌지부(472)를 지나치게 되면 상기 힌지부(472)는 탄성부재(473)의 복원력에 의해 원위치로 회전될 수 있는데, 이 상태에서 도어부가 다시 닫히는 방향으로 이동하면 상기 걸림부(471)와 힌지부(472)에 각각 형성된 경사면에 의해 상기 힌지부(472)가 도면상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서 상기 걸림부(471)를 구속하여 도어부가 자유롭게 개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도어부(200) 또는 상기 제2도어부(300)가 측방으로 슬라이딩될 때 해당 도어부가 쉽고 부드럽게 슬라이딩되도록 상기 제1도어부(200) 및 상기 제2도어부(300)의 각 경계 부위의 내측부에는 도어부의 외측으로 확장되는 구조의 테이퍼부(t)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테이퍼부(t)는 해당 도어부가 개방 초기 슬라이딩되기 시작할 때 본체(100)에 걸리지 않고 부드럽게 미끄러지면서 측방으로 이동되도록 한다.
또한, 도5 및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00) 및 상기 본체(100)와 마주보는 상기 제1,2도어부의 내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상기 저장실(110)의 기밀을 유지하여 냉기가 본체(100) 외부로 누출되지 않도록 하는 밀폐수단(s)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밀폐수단(s)은 도5 및 도6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도어부(200,300)와 마주보는 본체(100)에만 설치될 수도 있지만, 이와 다르게 제1,2도어부(200,300)에 설치될 수도 있고, 상기 본체(100) 및 제1,2도어부(200,300)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상기 밀폐수단(s)에는 기밀 유지를 위한 가스켓 또는 고무자석이 사용될 수 있는바, 상기 고무자석은 기밀 유지뿐만 아니라 도어부를 닫을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할 수도 있고 도어부가 닫힌 상태에서의 자석에 의한 인력 작용에 의해 도어가 자유롭게 개방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저장실(110)은 제1도어부(200) 및 제2도어부(300)가 열리는 방향을 따라 먼저 개방되는 부위의 순서대로 단기저장부(111), 중기저장부(112), 장기저장부(113)가 순차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단기저장부(111)는 보관기간이 상대적으로 가장 짧은 음식을 보관하기 위한 저장 영역으로서, 상기 제1도어부(200) 또는 제2도어부(300)를 처음 열기 시작할 때 개방되는 영역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기간이 짧거나 실생활에서 자주 사용하는 음식물은 상기 단기저장부(111)에 보관함으로써 도어부 전체를 열지 않고 조금만 열어 단기저장부(111)에 보관된 음식물을 꺼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중기저장부(112)나 장기저장부(113)에 저장된 음식물은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냉기 유출을 줄일 수 있어 상대적으로 더 오랫동안 저장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냉장고의 소비전력도 줄일 수 있다.
또한, 도3의 원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레일부(440)에서 단기저장부(111)와 중기저장부(112)의 경계부(A-A'), 중기저장부(112)와 장기저장부(113)의 경계부(B-B')에 해당하는 각각의 지점에는, 이동하는 도어부의 걸림감을 통해 해당 저장부의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걸림턱(44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걸림턱(442)은 좌우로 슬라이딩되는 도어부가 일단 정지하도록 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걸림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상기 제1레일부(440)를 따라 이동하는 피봇암(460)이 상기 걸림턱(442)에 걸려 도어부를 통해 사용자에게 걸림감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걸림턱(442)에 의하여 걸림감을 느낌으로써 상기 단기저장부(111), 중기저장부(112), 장기저장부(113)의 영역을 보다 확실하게 알 수 있다.
또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10')에는 제1도어부(200') 및 제2도어부(30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상기 본체(100)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재질의 윈도우부(w)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부(w)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합성수지나 강화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내부를 볼 수 있기 때문에 냉장고(10')에서 음식물을 꺼내기 전 해당 음식물의 위치를 미리 확인한 후 신속하게 꺼낼 수 있도록 하여 냉기 유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의 개폐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개폐방법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크게 다르지 않으나 주요 내용을 단계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돌출구간(452)과 이동구간(451)이 서로 연결되어 "L"자 형상을 이루는 상기 제2레일부(450)의 상기 돌출구간(452)에 제1도어부(200) 또는 제2도어부(300)의 일측이 위치하여 해당 도어부가 냉장고의 저장실(110)을 폐쇄하는 단계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도어부 일측이 상기 돌출구간(452)을 따라 상기 이동구간(451) 쪽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 상기 도어부가 냉장고 전방으로 돌출되면서 상기 저장실(110)을 개방하기 시작한다.
저장실(110)을 개방하기 시작하는 도어부 일측이 돌출구간(452)에서 상기 이동구간(451)으로 접어들면 상기 도어부는 더 이상 돌출되지 않고 상기 이동구간(451)을 따라 슬라이딩되고, 이에 따라 상기 냉장고 전방으로 돌출된 상기 도어부가 다른 도어부와 겹쳐지면서 상기 저장실(110)을 완전히 개방하게 된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얼마든지 구성요소의 치환과 변경이 가능한 바,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에 속하게 된다.
10, 10' : 냉장고
100 : 본체 110 : 저장실
111 : 단기저장부 112 : 중기저장부
113 : 장기저장부 200, 200' : 제1도어부
300, 300' : 제2도어부 400 : 도어이동수단
410 : 메인레일부 420 : 브래킷
421 : 가이드홈 430 : 커넥팅부
440 : 제1레일부 450 : 제2레일부
451 : 이동구간 452 : 돌출구간
460 : 피봇암 t : 테이퍼부
s : 밀폐수단 w : 윈도우부

Claims (15)

  1. 하나 이상의 저장실을 구비한 본체;
    상기 본체의 전방에 각각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제1도어부 및 제2도어부; 및
    상기 제1도어부 또는 상기 제2도어부가각각 서로를 향해 슬라이딩되도록 하는 도어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이동수단은,
    상기 제1도어부 또는 상기 제2도어부의 슬라이딩 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메인레일부;
    상기 메인레일부를 따라 이동되며, 상기 제1도어부 또는 상기 제2도어부의 돌출 방향과 동일 방향으로 가이드홈이 형성된 브래킷;
    상기 제1도어부 또는 상기 제2도어부와 상기 브래킷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도어부 또는 상기 제2도어부를전방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커넥팅부;
    상기 메인레일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레일부;
    상기 제1레일부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이동구간과, 상기 이동구간과 교차방향으로 배치되는 돌출구간이 일체로 형성된 제2레일부; 및
    상기 커넥팅부와 힌지 결합되며, 일단은 상기 제1레일부를 따라 이동하고, 타단은 상기 제2레일부에 끼워져 상기 돌출구간 및 상기 이동구간을 따라 이동하는 피봇암을 포함하는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부의 끝단 측면에는 상기 제1도어부 또는 상기 제2도어부가 외력 없이 자유롭게개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피봇암의 일단이 걸리는 록킹돌기부가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이동수단은, 상기 제1도어부 또는 상기 제2도어부가 외력 없이 자유롭게 개방되는 것을 이중으로 방지하기 위해 도어록킹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록킹수단은,
    상기 브래킷 일단에 형성된 걸림부;
    상기 본체에 걸림부와 마주보게 설치되며, 상기 걸림부와의 접촉을 통해 회전되면서 상기 브래킷을 록킹 또는 록킹해제하는 힌지부; 및
    상기 힌지부에 탄성 설치되어 상기 브래킷에 구속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부 및 상기 제2도어부의 각 경계 부위의 내측부에는 각 도어부가 부드럽게 슬라이딩되도록 외측으로 갈수록 확장되는 구조의 테이퍼부가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및 상기 본체와 마주보는 상기 제1,2도어부의 내측 중 적어도 어느 한 곳에는 상기 저장실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밀폐수단이 설치된,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수단은 가스켓 또는 고무자석인,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실은, 상기 제1도어부 및 제2도어부가 열리는 방향을 따라 먼저 개방되는 영역 순서대로단기저장부, 중기저장부, 장기저장부가 순차적으로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레일부에서 상기 단기저장부와 중기저장부의 경계부 및 상기 중기저장부와 장기저장부의 경계부에 해당하는 각각의 지점에는, 이동하고 있는 도어부의 걸림감을 통해 각각의 상기 저장부 위치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걸림턱이 형성된,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부 및 상기 제2도어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본체 내부를 볼 수 있도록 투시 가능한 재질의 윈도우부가 구비된,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11.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배치된 2개 이상의 저장실을 포함하고 다수 개의 구획된 음식물 저장공간을 갖는 본체;
    상기 본체를 따라 상기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저장실 중 어느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1도어부;
    상기 본체를 따라 상기 일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상기 저장실중 다른 하나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제2도어부;
    상기 제1도어부 및 상기 제2도어부 중 어느 하나를 다른 하나의 전방으로 이동시키는 도어이동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도어이동수단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레일부;
    상기 제1레일부의 전방에 배치되는 제2레일부; 및
    상기 제1도어부와 상기 제2도어부에 각각 연결되고, 일측은 상기 제1레일부를 따라 이동하고, 타측은 상기 제2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피봇암을 포함하고,
    상기 제2레일부는,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이동구간; 및
    상기 일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돌출구간을 포함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12. 삭제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어부 또는 상기 제2도어부는 상기 피봇암에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14. 삭제
  15. 삭제
KR1020150060250A 2015-04-29 2015-04-29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KR1016599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50A KR101659957B1 (ko) 2015-04-29 2015-04-29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0250A KR101659957B1 (ko) 2015-04-29 2015-04-29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957B1 true KR101659957B1 (ko) 2016-09-27

Family

ID=57100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0250A KR101659957B1 (ko) 2015-04-29 2015-04-29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95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322A (ko) * 2018-10-05 2020-04-16 울산과학기술원 미닫이형 냉장고
KR20200039323A (ko) * 2018-10-05 2020-04-16 울산과학기술원 미닫이형 냉장고의 제어방법
CN112923646A (zh) * 2021-03-31 2021-06-08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制冷设备、控制方法和可读存储介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150A (ko) 2003-04-25 200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슬라이딩 도어
JP2007309063A (ja) * 2006-04-19 2007-11-29 Dia Kensetsu Co Ltd ドア構造
JP2009002152A (ja) * 2008-08-11 2009-01-08 Gac Corp 収納庫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92150A (ko) 2003-04-25 2004-11-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의 슬라이딩 도어
JP2007309063A (ja) * 2006-04-19 2007-11-29 Dia Kensetsu Co Ltd ドア構造
JP2009002152A (ja) * 2008-08-11 2009-01-08 Gac Corp 収納庫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9322A (ko) * 2018-10-05 2020-04-16 울산과학기술원 미닫이형 냉장고
KR20200039323A (ko) * 2018-10-05 2020-04-16 울산과학기술원 미닫이형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165257B1 (ko) * 2018-10-05 2020-10-13 울산과학기술원 미닫이형 냉장고의 제어방법
KR102165256B1 (ko) * 2018-10-05 2020-10-13 울산과학기술원 미닫이형 냉장고
CN112923646A (zh) * 2021-03-31 2021-06-08 合肥美的电冰箱有限公司 制冷设备、控制方法和可读存储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054360B2 (en) Refrigerator
US20220090847A1 (en) Refrigerator
US9976794B2 (en) Chest with access doors
EP3034973B1 (en) Refrigerator
US9845628B2 (en) Refrigerator
US20160153700A1 (en) Refrigerator
US9581381B2 (en) Refrigerator
US10267554B2 (en) Mullion for a refrigerator appliance
KR20210046859A (ko) 고정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US10400490B2 (en) Refrigerator
KR100602218B1 (ko) 플렌치도어 타입 냉장고의 냉장실도어 실링장치
KR101659957B1 (ko) 슬라이딩 도어를 갖는 냉장고
US10174990B2 (en) Refrigerator
KR100781601B1 (ko) 냉장고 도어의 자동닫힘 장치
EP2982918B1 (en) Door holding apparatus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2557949B1 (ko) 냉장고
KR20200021823A (ko) 프렌치 도어 타입 냉장고 및 도어 실링 장치
EP3167237B1 (en) Refrigerator
KR20110006604U (ko) 냉장고
JP2008039295A (ja) 冷凍冷蔵庫
CN116294367B (zh) 冰箱
KR20070041002A (ko) 밀폐 기구용 도어의 개방 장치
KR100686097B1 (ko) 냉장고의 도어 어셈블리와 이를 이용한 냉장고
KR20120126402A (ko) 냉장고 도어의 밀폐장치
KR20200039322A (ko) 미닫이형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