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643602B1 - 구도 가이드 방법 및 장치, 및 디지털 촬영 장치 - Google Patents

구도 가이드 방법 및 장치, 및 디지털 촬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602B1
KR101643602B1 KR1020090056532A KR20090056532A KR101643602B1 KR 101643602 B1 KR101643602 B1 KR 101643602B1 KR 1020090056532 A KR1020090056532 A KR 1020090056532A KR 20090056532 A KR20090056532 A KR 20090056532A KR 101643602 B1 KR101643602 B1 KR 1016436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information
scene
input image
imag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565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38141A (ko
Inventor
임현옥
김웅식
강태훈
고지현
송원석
안은선
최명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565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602B1/ko
Priority to US12/822,344 priority patent/US8582891B2/en
Publication of KR20100138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38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6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602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21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 H04N1/2104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 H04N1/2112Intermediate information storage for one or a few pictures using still video camer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13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using menus, i.e. presenting the user with a plurality of selectable options
    • H04N1/00416Multi-level menus
    • H04N1/00419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 H04N1/00424Arrangements for navigating between pages or parts of the menu using a list of graphical elements, e.g. icons or icon ba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405Output means
    • H04N1/00408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 H04N1/0044Display of information to the user, e.g. menus for image preview or review, e.g. to help the user position a sheet
    • H04N1/00442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 H04N1/00456Simultaneous viewing of a plurality of images, e.g. using a mosaic display arrangement of thumbnails for layout preview, e.g. page layou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2Control of parameters via user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1/00Still video camera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77Types of the still picture apparatus
    • H04N2201/0084Digital still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도 가이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도 가이드 방법은 입력 영상으로부터 장면 정보를 검출하고, 검출한 장면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의 장면 타입을 인식하고, 인식한 장면 타입에 상응하는 구도 정보를 추출하여 표시함으로써, 디지털 촬영 장치가 자동으로 장면을 인식하여 현재 장면에 적합한 구도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빠르고 쉽게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장면, 인식, 구도

Description

구도 가이드 방법 및 장치, 및 디지털 촬영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composi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은 촬영 제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촬영하고자 하는 이미지의 구도를 가이드해 줄 수 있는 구도 가이드 방법 및 장치, 및 디지털 촬영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도란 화면을 어떻게 구사할 것인가에 대한 촬영자의 선택이다. 올바른 구도의 의미에 부합되기 위해서는 선과 형태, 색채, 명암, 질감, 주 피사체와 주변요소의 비중, 원근감, 방향, 운동상태 등이 종합된 화면 구성이 이루어져야 한다.
일본 공개특허 2007-174548호는 씬 모드에서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씬을 선택하면, 씬에 따른 주 피사체를 판별한다. 판별한 주 피사체의 윤곽을 추출하여 구도 DB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하고, 구도 DB의 정보를 기반으로 주피사체의 변경할 위치를 표시 장치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전술한 구도 가이드 기술은 사용자가 씬을 선택해야만 하기 때문에 사용자가 모드를 변경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특히 사용자가 바로 촬영을 하고자 할 때, 현재 촬영 상황과 다른 모드로 선택되어 있는 경우 사용자가 미처 모드 변경을 하지 않고 촬영하고자 한다면, 현재 카메라에 설정되어 있는 모드와 촬영 상황이 다르기 때문에 잘못된 피사체를 주 피사체로 인식할 수 있다. 이럴 경우 다시 사용자가 모드를 변경해야 하고, 결국 촬영 순간을 놓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그리고 주 피사체만으로 구도 설정을 하기 때문에 다수의 피사체가 있을 경우 적절한 구도 설정이 어렵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서 분석 정보들을 추출하고, 장면 인식 정보와 피사체 정보에 가장 적합한 구도를 자동으로 제시하여, 입력된 장면과 구도를 오버랩하여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기록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배치를 제시된 구도를 활용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의도와 구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구도 가이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구도 가이드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도 가이드 방법은 입력 영상으로부터 장면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장면 정보는 상기 입력 영상의 피사체의 얼굴, 휘도, 조도 및 초점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검출한 장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장면 타입을 인식하는 단계 - 상기 장면 타입은 풍경, 인물, 야경 및 역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상기 인식한 장면 타입에 상응하는 구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구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추출 단계는 소정의 구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도들 중 상기 인식한 장면 타입에 맞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도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도 가이드 방법은 상기 입력 영상의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출 단계는 상기 분석한 영상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식한 장면 타입에 따른 구도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도 가이드 방법은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도 정보에 상응하는 구도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표시한 구도 메뉴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구도를 상기 입력 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선택한 구도에 대한 설명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도 가이드 방법은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구도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인식한 장면에 따른 구도 및/또는 격자(Grid)를 상기 입력 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도 가이드 방법은 상기 인식한 장면 타입에 상응하는 장면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입력 영상을 캡쳐 및 기록하는 경우, 상기 입력 영상의 Exif(Exchangable Image File)에 해당 구도 정보을 메타데이터로서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기록된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구도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 특성 정보는, 밝기, 노출, AF 초점거리, 히스토그램, 시간별 색정보, 피사체 정보, 장면 인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도 가이드 장치는 입력 영상으로부터 장면 정보를 검출하는 장면 정보 검출부 - 상기 장면 정보는 상기 입력 영상의 피사체의 얼굴, 휘도, 조도 및 초점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검출한 장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장면 타입을 인식하는 장면 인식부 - 상기 장면 타입은 풍경, 인물, 야경 및 역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인식한 장면 타입에 따른 구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구도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구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도들 중 상기 인식한 장면 타입에 맞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도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구도 가이드 장치는 상기 입력 영상의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영상 정보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한 영상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식한 장면 타입에 따른 구도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도 정보에 상응하는 구도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한 구도 메뉴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구도를 상기 입력 영상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구도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인식한 장면 타입에 따른 구도 및/또는 격자(Grid)를 상기 입력 영상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을 캡쳐 및 기록하는 경우, 상기 입력 영상의 Exif(Exchangable Image File)에 해당 구도 정보을 메타데이터로서 추가하고, 상기 기록된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구도 정보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영상 특성 정보는, 밝기, 노출, AF 초점거리, 히스토그램, 시간별 색정보, 피사체 정보, 장면 인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장면 정보 표시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장면 정보 표시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구도 가이드 방법은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서 분석 정보들을 추출하고, 장면 인식 정보와 피사체 정보에 가장 적합한 구도를 자동으로 제시하여, 입력된 장면과 구도를 오버랩하여 화면에 표시함으로써 사용자는 기록하고자 하는 피사체의 배치를 제시된 구도를 활용하여 촬영하고자 하는 의도와 구성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또한, 디지털 촬영 장치가 자동으로 장면을 인식하여 현재 장면에 적합한 구 도를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빠르고 쉽게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동작을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흩트리지 않도록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을 가장 적절하게 표현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 장치의 일 실시 예로서, 디지털 카메라의 블록도이다. 또한, 도 1과 함께 설명할 도 2는 디지털 촬영 장치의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디지털 카메라(100)는 광학부(10), 광학 구동부(11), 촬상소자(15), 촬상소자 제어부(16), 조작부(20), 프로그램 저장부(30), 버퍼 저장부(40), 데이터 저장부(50), 표시 제어부(60), 데이터 구동부(61), 주사 구동부(63), 표시부(65)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DSP, 70)를 포함한다.
광학부(10)는 피사체로부터의 광학 신호가 입력되어 촬상 소자(13)로 제공한다. 광학부(1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 적어도 하나 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학부(10)는 광량을 조절하는 조리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학 구동부(11)는 렌즈의 위치, 조리개의 개폐 등을 조절한다. 렌즈의 위치를 이동시켜 초점을 맞출 수 있다. 또한, 조리개의 개폐를 조절하여 광량을 조절할 수 있다.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광학 구동부(11)가 광학부(10)를 제어할 수 있다.
광학부(1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촬상 소자(15)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촬상 소자(15)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촬상소자(15)는 촬상소자 제어부(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촬상소자 제어부(16)도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에 의해 자동으로 생성되는 제어 신호 또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입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촬상소자(15)를 제어할 수 있다.
조작부(20)는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이다. 조작부(20)는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즈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즈 버튼,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 이 있다. 조작부(20)는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 스크린, 리모트 컨트롤러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디지털 카메라(100)는 디지털 카메라를 구동하는 운영 시스템, 응용 시스템 등의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저장부(30), 연산 수행 중에 필요한 데이터 또는 결과 데이터들을 임시로 저장하는 버퍼 저장부(40),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이미지 파일을 비롯하여 프로그램에 필요한 다양한 정보들을 저장하는 데이터 저장부(50)를 포함한다.
아울러, 디지털 카메라(100)는 이의 동작 상태 또는 상기 디지털 카메라(100)에서 촬영한 이미지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 제어부(60), 표시 제어부(60)로부터 입력되어 표시 데이터를 전달하는 데이터 구동부(61)와 주사 구동부(63), 데이터 구동부(61)와 주사 구동부(63)로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소정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부(65)를 포함한다. 표시부(65)는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CD),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LED), 전기 영동 디스플레이 패널(EPD)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표시부(65)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의 제어에 따라 입력 영상, 예를 들면 프리뷰 영상이 어떠한 장면에 해당하는지를 특정 장면 아이콘을 통해 표시해 준다. 또한, 입력 영상에 적합한 구도들에 상응하는 구도 아이콘들로 표시해준다. 또한, 대표 구도, 격자, 또는 대표 구도와 격자를 입력 영상과 함께 표시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구도를 가이드해 줄 수 있다.
그리고 디지털 촬영 장치(100)는 입력되는 영상 신호를 처리하고, 이에 따라 또는 외부 입력 신호에 따라 각 구성부들을 제어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를 포함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에 관하여 도 2를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부(70)는 제어부(71), 영상 신호 처리부(72), 장면 정보 검출부(73), 장면 인식부(74), 영상 정보 분석부(75) 및 구도 데이터베이스(76)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와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구도 가이드 장치는 동일한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
제어부(71)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촬상 소자(15)로부터 입력된 영상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사람의 시각에 맞게 영상 신호를 변환하도록 감마 컬렉션(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그 기능이 설정된 경우 오토화이트밸런스(Auto White Balance)나 오토익스포저(Auto Exposure) 알고리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데이터를 스케일러를 이용하여 그 크기를 조절하며, 압축하여 소정 형식의 이미지 파일을 형성한다. 반대로 이미지 파일의 압축을 해제하기도 한다. 영상 신호 처리부(72)는 사진 촬영 전 라이브-뷰 모드에서 실시간으로 입력되는 영상 신호와 셔터-릴리즈 신호에 의해 입력된 영상 신호에 대해 상기와 같은 영상 신호 처리들을 행할 수 있다. 이때, 영상 신호들 각각에 대 해 다른 영상 신호 처리가 행해질 수 있다.
장면 정보 검출부(73)는 입력 영상의 장면 정보를 검출한다. 여기서, 입력 영상은 디지털 촬영 장치(100)를 통해 입력된 영상을 의미하며, 사진 촬영을 하기 전의 프리뷰 영상을 의미한다. 또한, 장면 정보는 입력 영상으로부터 해당 장면의 특징을 나타내는 정보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장면 정보는 입력 영상에 존재하는 사람의 얼굴, 입력 영상의 밝기, 피사체의 조도, 피사체와의 거리일 수 있으며, 장면 정보 검출부(73)는 얼굴 검출 모듈(미도시)을 통해 사람의 얼굴을 검출하거나, 피사체의 조도를 측정함으로써 장면 정보를 검출한다. 또한, 종래의 장면 검출 또는 해석 기술들을 사용하여 장면 정보를 검출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장면 인식부(74)는 검출한 장면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의 장면을 판별한다. 장면 인식부(74)는 장면을 판별함으로써 현재 입력 영상이, 예를 들면 인물 영상인지, 풍경 영상인지, 야경 인물인지, 야경 풍경인지, 역광인지 등을 판별한다. 즉, 장면 인식부(74)는 입력 영상에서 사람의 얼굴이라는 장면 정보를 검출한 경우에는 인물이라고 판단하고, 피사체의 조도값으로부터 역광인지를 판단하고, 입력 영상의 밝기값으로부터 야경인지 아닌지를 판단한다.
제어부(71)는 장면 인식부(74)가 인식한 장면, 예를 들면 풍경, 야경, 역광 등의 장면에 따른 구도 정보를 구도 데이터베이스(76)로부터 추출한다. 여기서, 구도 정보는 일반적으로 영상 피사체들의 배치 구성에 관한 정보를 의미하고, 원 구도, 삼각 구도, 대각선 구도, 황금 분할 구도, 방사선 구도, S자 구도, 평행선 구도, 삼등분 구도, 바둑판 구도, 수직 및 수평 구도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가 설 정한 추가 구도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71)는 구도 데이터베이스(76)에 저장되어 있는 전술한 구도들 중 현재 입력 영상의 장면에 적합한 구도를 추출하고, 표시제어부(65)를 통해 표시부(60)에 구도를 표시한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도를 표시하며, 복수의 구도를 추천하여 표시하는 경우, 선호하는 구도 순서로 표시해 줄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촬영하고자 하는 구도를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영상 정보 분석부(75)는 입력 영상의 특성 정보를 분석한다. 여기서, 특성 정보는 밝기, 노출, AF 초점거리, 히스토그램, 시간별 색정보, 피사체 정보, 장면 인식 정보를 포함한다.
제어부(71)는 영상 정보 분석부(75)로부터 입력된 특성 정보를 기초로 해당 장면에 최적의 구도를 구도 데이터베이스(76)로부터 추출하여 표시한다.
구도 데이터베이스(76)는 사진 촬영에 필요한 구도들, 예를 들면 원 구도, 삼각 구도, 대각선 구도, 황금 분할 구도, 방사선 구도, S자 구도, 평행선 구도, 삼등분 구도, 바둑판 구도, 수직 및 수평 구도, 사용자 구도 등을 저장하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도 데이터베이스(76)에 저장된 구도 정보들이 도시되어 있다. 구도 데이터베이스(76)에는 장면별로, 풍경 구도, 야경 구도, 역광 구도 등의 구도들이 저장되어 있다. 도시된 것처럼, 풍경 장면에는 대각선 구도, 삼각 구도, 평행선 구도가 저장되어 있고, 야경 장면에는 역삼각형 구도, 원 구도가 저장되어 있고, 역광 장면에는 평행선 구도, 역광 구도가 저장되어 있다. 또한, 구도 데이터베이스(76)는 각각의 장면별로 적합한 구도를 저장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하고 있으며, 각각의 구도에 대한 간략한 설명, 예를 들면 해당 구도가 주는 느낌을 텍스트로 저장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구도 데이터베이스(76)가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에 포함되어 있는 것으로 설명하고 있지만, 도 1에 도시된 데이터 저장부(50)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도 가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장면 인식부(74)가 현재 입력 영상을 풍경 장면으로 인식하고, 제어부(71)는 풍경 장면을 나타내는 장면 아이콘을 화면 좌측 상단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도 3 및 4b를 참조하면, 제어부(71)는 영상 정보 분석부(75)로부터 입력 영상의 특성 정보와 장면 인식부(74)가 인식한 장면 정보를 이용하여 구도 데이터베이스(76)에 저장된 풍경 구도를 추출한다. 여기서, 풍경 구도안에 저장되어 있는 여러가지 구도들 중 대각선 구도, 삼각형 구도, 평행선 구도를 추출하고, 순서대로 표시한다. 또한, 선택적으로 현재 조건, 즉 입력 영상의 특성 정보와 장면 정보에 최적의 구도, 예를 들면 대각선 구도만을 추출하여 화면에 표시해 줄 수도 있다.
도 4c 및 4d를 참조하면, 제어부(71)는 화면 상단에 해당 장면에 포함된 구도들을 특정 구도 아이콘으로 생성하여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표시된 구도들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구도, 즉 대각선 구도를 선택한 경우, 해당 구도를 입력 영상 과 함께 화면에 표시한다. 또한, 도 4d에 도시된 것처럼, 선택한 구도에 대한 간략한 설명, "대각선 구도: 역동적인 느낌을 살릴 수 있습니다"라는 텍스트를 표시한다. 이러한 텍스트는 소정 시간 경과 후 자동으로 없어지고, 해당 구도와 입력 영상만을 화면에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현재 입력 영상의 특성 정보와 장면 정보에 따라 최적의 구도 하나만을 제공하거나 또는 적합한 여러가지 구도들을 사용자로 하여금 선택하게 할 수 있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도 가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5c를 참조하면, 가이드 방식을 선택할 수 있는 메뉴를 제공한다. 여기서, 가이드 방식은 가이드 1은 대표구도, 즉 최적인 것으로 추출된 구도 또는 추천된 구도들 중 사용자가 선택한 구도만을 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것이고, 가이드 2는 격자 또는 그리드를 표시하는 것이고, 가이드 3은 대표 구도와 격자를 함께 표시하는 것이다.
제어부(71)는 표시된 구도에 따라 촬영이 이루어진 경우, 해당 영상의 Exif에 구도 정보를 메타데이터로서 추가하도록 제어한다. 즉, 촬영 시 현재 촬영된 영상의 구도 상태를 Exif에 저장하고, 나중에 재생(Playback) 모드에서 촬영한 영상을 볼 때, Exif에 저장된 구도 정보를 이용하여 도 6a 및 6b와 같이 표시해 줄 수 있다. 즉, 재생 모드에서 구도 정보를 이용하여 촬영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Exif에 저장된 구도 정보를 추가하여 사용자가 어떤 구도로 촬영하였는지 바 로 파악할 수 있다. 또한, 구도 별로 이미지 편집 기능의 디스플레이 순서를 정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촬영된 구도에 따라 편집 시 많이 사용하는 편집 기능 우선으로 표시하여 빠르고 쉽게 사용자가 편집 기능을 이용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초보자는 기본 모드, 즉 추천된 하나의 구도를 통해서 피사체와 영상 의도를 명확하고 쉽게 표현할 수 있고, 전문가는 확장 모드, 다수의 추천 구도들 중에서 선택함으로써 세밀한 영상 표현을 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사용자가 새로운 구도 등록을 함으로써 촬영 의도 표현 향상에 도움을 줄 수 있고, 영상을 취득할 때 해당 구도 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촬영 패턴 분석 및 영상 결과물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도 가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단계 700에서, 입력 영상에서 장면 정보를 검출한다. 단계 702에서, 장면 정보를 이용하여 장면을 인식한다. 즉, 현재 입력 영상이 풍경 장면인지, 인물 장면인지, 야경 장면인지를 인식한다. 단계 704에서, 인식한 장면에 상응하는 구도 정보를 추출한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현재 장면에 맞는 하나의 구도만을 추출하거나, 해당 장면에 맞는 여러 구도들을 특정 순서, 예를 들면 사용자 선호도, 촬영 빈도수에 따른 순서대로 추출할 수 있다. 단계 706에서, 입력 영상과 함께 구도 정보를 표시한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도 가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단계 800에서, 구도 가이드를 설정한다. 단계 802에서, 입력 영상에서 장면 정보를 추출한다. 단계 804에서, 장면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입력 영상의 장면을 인식한다. 단계 806에서, 장면 아이콘을 표시한다.
단계 808에서, 입력 영상의 특성 정보를 분석한다. 단계 810에서, 영상 특성 정보를 기초로 인식한 장면에 상응하는 구도 정보를 추출한다. 단계 812에서, 구도 정보를 포함하는 구도 메뉴를 표시한다. 단계 814에서, 사용자 선택이 있는지 판단한다. 단계 814에서, 사용자가 특정 구도를 선택한 경우, 단계 816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구도를 입력 영상과 함께 표시한다.
도 8b를 참조하면, 단계 818에서, 구도 가이드 정보를 제공한다. 단계 820에서, 사용자 선택이 있는지 판단한다. 단계 820에서, 사용자가 특정 구도 가이드를 선택한 경우, 단계 822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구도 가이드 정보를 표시한다.
단계 824에서, 사용자가 S1 및 S2를 누름으로써 촬영이 된 경우, 단계 826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구도 정보를 입력 영상의 Exif에 추가한다. 단계 828에서, 촬영된 영상을 기록한다.
전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촬영장치의 일예로서 디지털 카메라를 중심으로 기술하였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이 카메라 기능이 부가된 카메라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에도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컴퓨터 시스 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본 발명을 구현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장치(100)의 개략적인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신호 처리부(70)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구도 데이터베이스(76)에 저장된 구도 정보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 내지 4d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도 가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a 내지 5c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도 가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a 및 6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도 가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도 가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도 가이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촬영 장치 70: 디지털 신호 처리부
71: 제어부 72: 영상 신호 처리부
73: 장면 정보 검출부 74: 장면 인식부
75: 영상 정보 분석부 76: 구도 데이터베이스

Claims (20)

  1. 입력 영상으로부터 장면 정보를 검출하는 단계 - 상기 장면 정보는 상기 입력 영상의 피사체의 얼굴, 휘도, 조도 및 초점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
    검출한 장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장면 타입을 인식하는 단계 - 상기 장면 타입은 풍경, 인물, 야경 및 역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상기 인식한 장면 타입에 상응하는 구도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추출한 구도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 단계는,
    소정의 구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도들 - 상기 구도들은 상기 장면타입 별로 매칭되어 상기 구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됨 - 중 상기 인식한 장면 타입에 맞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도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 가이드 방법.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의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출 단계는,
    상기 분석한 영상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식한 장면 타입에 따른 구도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 가이드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도 정보에 상응하는 구도 메뉴를 표시하는 단계는 더 포함하고,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표시한 구도 메뉴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구도를 상기 입력 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 가이드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선택한 구도에 대한 설명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 가이드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구도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 가이드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단계는,
    상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인식한 장면 타입에 따른 구도 및/또는 격자(Grid)를 상기 입력 영상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 가이드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인식한 장면 타입에 상응하는 장면 아이콘을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 가이드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을 캡쳐 및 기록하는 경우, 상기 입력 영상의 Exif(Exchangable Image File)에 해당 구도 정보을 메타데이터로서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 가이드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된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구도 정보를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 가이드 방법.
  11.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특성 정보는,
    밝기, 노출, AF 초점거리, 히스토그램, 시간별 색정보, 피사체 정보, 장면 인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 가이드 방법.
  12. 제 1 항, 제 3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매체.
  13. 입력 영상으로부터 장면 정보를 검출하는 장면 정보 검출부 - 상기 장면 정보는 상기 입력 영상의 피사체의 얼굴, 휘도, 조도 및 초점 거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검출한 장면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의 장면 타입을 인식하는 장면 인식부 - 상기 장면 타입은 풍경, 인물, 야경 및 역광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함 -; 및
    상기 인식한 장면 타입에 따른 구도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추출한 구도 정보를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소정의 구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구도들 - 상기 구도들은 상기 장면타입 별로 매칭되어 상기 구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됨 - 중 상기 인식한 장면 타입에 맞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도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 가이드 장치.
  14. 삭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의 특성 정보를 분석하는 영상 정보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분석한 영상 특성 정보를 기초로 상기 인식한 장면 타입에 따른 구도 정보를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 가이드 장치.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추출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구도 정보에 상응하는 구도 메뉴를 표시하고, 상기 표시한 구도 메뉴 중에서 사용자가 선택한 구도를 상기 입력 영상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 가이드 장치.
  17.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구도 가이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인식한 장면 타입에 따른 구도 및/또는 격자(Grid)를 상기 입력 영상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 가이드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을 캡쳐 및 기록하는 경우, 상기 입력 영상의 Exif(Exchangable Image File)에 해당 구도 정보을 메타데이터로서 추가하고, 상기 기록된 영상을 재생하는 경우, 상기 구도 정보를 함께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 가이드 장치.
  19.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특성 정보는,
    밝기, 노출, AF 초점거리, 히스토그램, 시간별 색정보, 피사체 정보, 장면 인식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도 가이드 장치.
  20. 제 13 항, 제 15 항 내지 제 19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구도 가이드 장치를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
KR1020090056532A 2009-06-24 2009-06-24 구도 가이드 방법 및 장치, 및 디지털 촬영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6436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532A KR101643602B1 (ko) 2009-06-24 2009-06-24 구도 가이드 방법 및 장치, 및 디지털 촬영 장치
US12/822,344 US8582891B2 (en) 2009-06-24 2010-06-24 Method and apparatus for guiding user with suitable composition, and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56532A KR101643602B1 (ko) 2009-06-24 2009-06-24 구도 가이드 방법 및 장치, 및 디지털 촬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38141A KR20100138141A (ko) 2010-12-31
KR101643602B1 true KR101643602B1 (ko) 2016-07-29

Family

ID=433807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56532A Expired - Fee Related KR101643602B1 (ko) 2009-06-24 2009-06-24 구도 가이드 방법 및 장치, 및 디지털 촬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8582891B2 (ko)
KR (1) KR1016436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46669B1 (ko) * 2009-06-24 2016-08-0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패턴을 이용한 구도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및 디지털 촬영 장치
US8675089B2 (en) * 2009-12-25 2014-03-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assisting composition of photographic image
JP5962674B2 (ja) * 2012-02-06 2016-08-03 ソニー株式会社 撮像制御装置、画像処理装置、撮像制御方法及び画像処理方法
JP6076168B2 (ja) * 2013-03-27 2017-02-0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撮像装置、構図アシスト装置、構図アシスト方法、及び構図アシストプログラム
WO2015129801A1 (ja) 2014-02-26 2015-09-03 株式会社ニコン 撮像装置
KR101898888B1 (ko) * 2016-12-05 2018-09-14 조선대학교 산학협력단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의 자동 구도 인식 및 최적구도 가이드를 제공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102438201B1 (ko) 2017-12-01 2022-08-30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진 촬영과 관련된 추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CN108810418B (zh) 2018-07-16 2020-09-11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图像处理方法、装置、移动终端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KR102683362B1 (ko) * 2018-12-07 2024-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503206B2 (en) * 2020-07-15 2022-11-15 Sony Corporation Techniques for providing photographic context assistance
US11877052B2 (en) * 2020-12-08 2024-01-16 Cortica Ltd. Filming an event by an autonomous robotic system
CN114466133B (zh) * 2021-04-26 2023-02-10 荣耀终端有限公司 拍照方法及装置
CN113704526B (zh) * 2021-07-29 2023-08-04 福建榕基软件工程有限公司 一种拍摄构图引导方法与终端
JP7190594B1 (ja) * 2022-01-01 2022-12-15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画像処理装置および画像処理システム
CN116996761A (zh) * 2022-04-14 2023-11-03 北京字跳网络技术有限公司 拍照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KR102708435B1 (ko) * 2023-09-26 2024-09-23 주식회사 룰루랩 얼굴 촬영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8009A (ja) * 2004-04-26 2005-11-10 Nikon Corp 電子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9521134A (ja) * 2005-12-22 2009-05-2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シーン認識撮影システム及びシーン認識撮影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8804B2 (ja) * 1992-05-28 1995-08-23 日本アイ・ビー・エム株式会社 シーン情報入力システムおよび方法
JPH08138053A (ja) * 1994-11-08 1996-05-31 Canon Inc 被写体情報処理装置及び遠隔装置
US5644386A (en) * 1995-01-11 1997-07-01 Loral Vought Systems Corp. Visual recognition system for LADAR sensors
US6295380B1 (en) * 1997-02-27 2001-09-25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Object data processing apparatus, object data recording apparatus, data storage media, data structure for transmission
US7904813B1 (en) * 1998-12-28 2011-03-08 Sony Corporation Method for editing video information and editing device
CN1215718C (zh) * 2000-01-31 2005-08-17 佳能株式会社 数据处理装置、数据处理系统、数据处理方法以及存储媒体
EP1133190A1 (en) * 2000-03-06 2001-09-12 Canon Kabushiki Kaisha Moving image generation apparatus, moving image playback apparatus, their control method, and storage medium
WO2003100703A2 (en) * 2002-05-28 2003-12-04 Casio Computer Co., Ltd. Composite image output apparatus and composite image delivery apparatus
JP4578948B2 (ja) * 2003-11-27 2010-11-10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画像編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20060125928A1 (en) * 2004-12-10 2006-06-15 Eastman Kodak Company Scene and user image capture device and method
ITRM20050192A1 (it) * 2005-04-20 2006-10-21 Consiglio Nazionale Ricerche Sistema per la rilevazione e la classificazione di eventi durante azioni in movimento.
JP5164327B2 (ja) 2005-12-26 2013-03-21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撮影装置及びプログラム
JP4826333B2 (ja) * 2006-05-11 2011-11-30 ソニー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JP4482829B2 (ja) * 2006-11-08 2010-06-16 ソニー株式会社 嗜好抽出装置、嗜好抽出方法及び嗜好抽出プログラム
KR101412772B1 (ko) * 2008-04-29 2014-07-02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및 촬영 안내 정보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18009A (ja) * 2004-04-26 2005-11-10 Nikon Corp 電子カメラ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JP2009521134A (ja) * 2005-12-22 2009-05-28 オリンパス株式会社 シーン認識撮影システム及びシーン認識撮影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8582891B2 (en) 2013-11-12
KR20100138141A (ko) 2010-12-31
US20100329552A1 (en) 2010-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602B1 (ko) 구도 가이드 방법 및 장치, 및 디지털 촬영 장치
US10091421B2 (en)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program
KR101589501B1 (ko) 터치 스크린을 이용한 줌 제어 방법 및 장치
KR101795601B1 (ko) 영상 처리 장치, 영상 처리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매체
CN1901625B (zh) 捕捉图像作为数字数据的电子摄像装置
KR101495079B1 (ko) 장면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장치
JP4980982B2 (ja) 撮像装置、撮像方法、合焦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4787180B2 (ja) 撮影装置及び撮影方法
JP4340806B2 (ja)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712207B2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ecording medium for the method
KR101739379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7295183A (ja) 画像再生装置、画像再生方法、画像再生プログラム及び撮像装置
KR101737086B1 (ko)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2007310813A (ja) 画像検索装置およびカメラ
KR20130046174A (ko) 비전 인식 장치 및 방법
JP5849389B2 (ja) 撮像装置および撮像方法
US823780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shaken image by using auto focusing
KR101646669B1 (ko) 사용자 패턴을 이용한 구도 데이터베이스 업데이트 방법 및 장치, 및 디지털 촬영 장치
KR20100018334A (ko) 사용자가 원하는 메뉴 컨텐츠를 적용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 방법, 상기 방법을 기록한 기록 매체 및 상기방법에 의해 동작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US8149317B2 (en) Display device, photographing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KR101613617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2008172395A (ja) 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71331B1 (ko) 휘도 표시 방법 및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US8073319B2 (en) Photographing method and photographing apparatus based on face detection and photography conditions
KR101477535B1 (ko) 이미지 검색 방법 및 장치, 이를 이용한 디지털 촬영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090624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20100423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4062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0906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90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602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50904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PJ0201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Patent event date: 20160328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code: PJ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6022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J02011S01I

Appeal kind category: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Appeal identifier: 2016101001884

Request date: 20160328

AMND Amendment
PB0901 Examination by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60427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Comment text: Request for Trial against Decision on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60328

Patent event code: PB09011R01I

Comment text: Amendment to Specification, etc.

Patent event date: 20151102

Patent event code: PB09011R02I

B701 Decision to grant
PB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date: 2016051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B07012S01D

Patent event date: 20160504

Comment text: Transfer of Trial File fo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Patent event code: PB07011S01I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60722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60725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7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9062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205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