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3743B1 - 모래 여과재에 의한 수처리 여과장치 - Google Patents
모래 여과재에 의한 수처리 여과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3743B1 KR101603743B1 KR1020140136815A KR20140136815A KR101603743B1 KR 101603743 B1 KR101603743 B1 KR 101603743B1 KR 1020140136815 A KR1020140136815 A KR 1020140136815A KR 20140136815 A KR20140136815 A KR 20140136815A KR 101603743 B1 KR101603743 B1 KR 10160374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and
- water
- discharge
- purified water
- pip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46—Regenerating the filtering material in the filt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4/0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 B01D24/02—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 B01D24/10—Filters comprising loose filtering material, i.e. filtering material without any binder between the individual particles or fibres thereof with the filter bed stationary during the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held in a closed container
- B01D24/12—Downward filtration, the filtering material being supported by pervious surfa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래 여과재에 의한 수처리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정수탱크(10)의 상부에 불순물을 원심분리하여 정화된 모래 여과재(S)를 공급하는 사이클론(20)과, 정수탱크(10) 내의 상부에 정화된 모래 여과재(S)를 사방으로 분산 안내하는 안내구(16)를 두고 안내구(16)의 하부에 원수 유입관(50)을 위치되게 구성하고, 상기 원수 유입관(50) 하부의 정수탱크(10) 내에 상측에 쌓이는 불순물과 오염된 모래 여과재(S)를 흡입하도록 펌프(P)와 연결되어 분사수를 분사하는 분사관(34)과 분사관(34)를 통해 모래 여과재(S)를 이송하는 모래 배출관(32)이 사이클론(20)과 연결된 제1 배출부(30)를 구성하고, 상기 정수탱크(10) 내의 하단에는 모래 여과재(S)와 차단되게 메쉬망(12)이 설치된 정수 공간부(12a)을 형성하여 정수 공간부(12a)를 통해 정화된 물을 배출되게 정수 배출관(14)이 설치되게 구성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하면서 모래 여과재를 순환방식에 의해 정화시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면서 여과효율을 보다 높이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여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오염된 원수를 입자가 작은 모래 여과재를 이용하여 불순물 제거에 따른 정화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모래 여과재를 순환방식에 의해 정화시켜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여 사용수명을 연장하면서 여과효율을 보다 높이도록 한 모래 여과재에 의한 수처리 여과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과장치는 수중에 함유되어 있는 오염물질을 제거하는 장치로, 오수, 폐수, 하수 등의 오염수 처리뿐만 아니라 상수의 정수, 공정용수, 원료정제 및 회수 등 적용 분야에 매우 다양하게 이용된다.
여과장치는 크게 여과층의 상부에서 하부로 원수를 통과시키면서 정수시키는 하향류 여과방식과 이와 반대로 여과층의 하부에서 상부로 원수를 통과시키면서 정수시키는 상향류 여과방식으로 나눈다.
그리고 오염된 물에서 불순물을 제거하여 정화하기 위해서는 여과재를 통과시켜 여과되게 하는데, 여과재로서 여과필터와 모래나 작은 돌멩이 등을 사용함에 여과필터는 고가이기 때문에 경제적이지 못하다는 단점이 있어 여과장치의 여과재로서 비용이 싸면서 오염물을 효과적으로 정화하는 모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에 하향류식에 의한 모래를 이용한 여과장치는 정수탱크에 채워져 있는 모래에 오염된 물을 통과시키면 오염물에 있는 불순물이 모래 알갱이의 표면에 부착되어 여과되게 하고, 오염된 모래를 다시 정화된 물로 세척하여 사용하도록 하고 있는바, 이에 모래 여과재의 기능이 상실하게 되면 수시로 여과작동을 중단시키고 모래를 세척한 후 다시 가동해야하므로 정화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별도의 세척장비를 갖추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모래 여과장치의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해 국내공개특허 제2002-88201호 “하향류식 수처리장치”가 출원되어 공개된바 있다.
그러나 상기한 “하향류식 수처리장치”는 연속적으로 오폐수를 정화시키면서 모래인 여재를 세척하여 재사용하도록 하는 장점은 있으나, 구조가 복잡하여 제작하기가 어려움이 있으며 모래 여재를 압축공기로 반송함에 따른 제대로 이송이 원활하지 못하고, 여재를 여재세정부의 여재세정관에 형성된 지그재그형의 벽면에 부딪히어 표면에 묻어 있는 현탁물질이 분리하는 과정에서의 제대로 분리하지 못하여 이를 재사용할 경우 정화능력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오염된 원수를 입자가 작은 모래 여과재의 사용이 가능하여 불순물을 제거하는 정화효율이 뛰어나도록 하면서 오염된 모래 여과재를 간편하게 이송 순환시켜 사이클론에 의해 정화시켜 재사용에 따른 모래의 낭비를 방지하면서 항시 정화된 모래 여과재 사용에 따른 오염된 원수의 정화처리가 신속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모래 여과재에 의한 수처리 여과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에 따라 본 발명은, 수처리의 여과장치에 있어서, 정수탱크(10)의 상부에 불순물을 원심분리하여 정화된 모래 여과재(S)를 공급하는 사이클론(20)과, 정수탱크(10) 내의 상부에 정화된 모래 여과재(S)를 사방으로 분산 안내하는 안내구(16)를 두고 안내구(16)의 하부에 원수 유입관(50)을 위치되게 구성하고, 상기 원수 유입관(50) 하부의 정수탱크(10) 내에 상측에 쌓이는 불순물과 오염된 모래 여과재(S)를 흡입하도록 펌프(P)와 연결되어 분사수를 분사하는 분사관(34)과 분사관(34)를 통해 모래 여과재(S)를 이송하는 모래 배출관(32)이 사이클론(20)과 연결된 제1 배출부(30)를 구성하고, 상기 정수탱크(10) 내의 하단에는 모래 여과재(S)와 차단되게 메쉬망(12)이 설치된 정수 공간부(12a)을 형성하여 정수 공간부(12a)를 통해 정화된 물을 배출되게 정수 배출관(14)이 설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오염된 원수를 정화하는 하향류식 여과장치로서 모래 여과재를 정수탱크에 구비되는 상하 제1 배출부와 제2 배출부를 통해 순차적으로 흡입에 따른 순환방식에 의해 사이클론에서 정화시켜 정수탱크에 재공급하여 사용함으로써 모래 여과재의 낭비를 방지하면서 오염된 원수로부터 불순물을 걸러내는 정화효율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염된 모래 여과재의 교체에 따른 여과작동을 중지시키지 않고서도 이를 지속적은 사용할 수가 있어 수처리 작업이 신속하게 이루어지면서 모래 여과재를 순환시켜 정화처리에 따른 모래 입자가 작은 것을 사용할 할 수가 있어 처리용량을 높이면서 불순물 제거효율이 뛰어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 여과장치의 전체 단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처리 여과장치의 절단면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배출부의 확대 단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수처리 여과장치의 절단면 사시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배출부의 확대 단면구성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수처리 여과장치는 통상의 하향류식 방식으로서 정수탱크 내에 채워진 모래 여과재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통과하면서 오염된 원수를 정수하고 불순물이 흡착되어 오염된 모래 여과재를 흡입 순환시켜 이를 정화처리하여 다시 재사용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처리 여과장치의 전체 단면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수처리 여과장치의 절단면 사시구성도로서, 본 발명의 수처리 여과장치(A)는 크게 모래 여과재(S)를 수용하는 정수탱크(10)와 정수탱크(10)의 상부에 모래 여과재(S)를 공급받아 정화시키는 사이클론(20)과, 상기 정수탱크(10) 내에는 오염된 원수를 정수시켜주는 모래 여과재(S)를 유입하여 순환시키는 제1 배출부(30)와 제2 배출부(40)를 상하로 나란히 설치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수처리 여과장치(A)를 구성하는 정수탱크(10)는 외형이 원통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내측에는 모래 여과재(S)와 차단되게 메쉬망(12)이 설치된 정수 공간부(12a)를 형성하여 정수 배출관(14)을 정수 공간부(12a)와 연통시켜 정수 처리된 원수를 배출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정수탱크(10)의 상부에는 사이클론(20)이 장착되게 구성되고 사이클론(20)은 정수탱크(10) 내에 설치되는 제1 배출부(30)와 제2 배출부(40)의 각 모래 배출관(32)(42)과 연결되어 불순물이 흡착된 모래 여과재(S)을 공급받아 원심분리에 의해 정화된 모래는 낙하시키고 불순물과 오염된 수분 등을 외부로 배출하도록 한다.
한편 정수탱크(10) 내의 상부에는 사이클론(20)과 직하부에 위치하는 안내구(16)를 고정 설치하되, 안내구(16)는 상측의 융기된 원뿔형으로 형성되어 사이클론(20)을 통해 정화된 모래 여과재(S)를 받아 사방으로 분산시키는 안내역할을 하면서 낙화하는 모래 여과재(S)를 정수탱크(10)의 내측 둘레로 쌓이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모래 여과재(S)가 중앙으로 흘러 내려와 정수탱크(10)의 중앙에 설치되는 제1 배출부(30)의 상부에 모이도록 해준다.
그리고 상기 안내구(16)의 하부 내측에 오염된 원수를 정수탱크(10) 내에 공급하기 위한 원수 유입관(50)이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상기 원수 유입관(50)은 정수탱크(10)의 외부에 설치되는 펌프(P)와 연결되게 구성하도록 한다.
정수탱크(10) 내에 채워지는 모래 여과재(S)는 안내구(16)와 이격된 정도로 채워지도록 하면서 제1 배출부(30)를 완전히 덮을 수 있을 정도로 채워주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정수탱크(10) 내에 모래 여과재(S)를 채워 오염된 원수가 모래 여과재(S)를 하향류식에 의해 통과하면서 정화되게 함에 이때 오염된 원수에서 걸러진 불순물이 모래 여과재(S)에 흡착에 따른 정화능력이 점차 떨어지므로 이를 흡입하여 사이클론(20)으로 이송하기 위한 제1 배출부(30)와 제2 배출부(40)를 상하에 설치하여 오염된 모래 여과재(S)를 순차적으로 순환되도록 한다.
즉 제1 배출부(30)는 정수탱크(10)에 채워지는 모래 여과재(S) 내의 상부에 위치하도록 장착하고 제2 배출부(40)는 정수탱크(10)의 최하부에 위치하여 흡입되게 구성함에, 상기 제1,2 배출부(30)(40)는 각 모래 배출관(32)(42)을 상측에 두고 하측에 분사관(34)(44)을 위치토록 하되 분사관(34)(44)의 단부가 모래 배출관(32)(42) 내로 삽입되게 한다. 이때 모래 배출관(32)(42)의 단부에는 깔대기부(36a)(46a)와 긴 원통부(36b)(46b)로 형성된 유출구(36)(46)를 장착하여 오염된 모래 여과재(S)를 흡입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모래 여과재(S)를 흡입하는 유출구(36)(46)는 일측에 확개된 깔대기부(36a)(46a)를 두고 깔대기부(36a)(46a)와 일체로서 연장되며 직경이 작은 긴 원통부(36b)(46b)를 가지도록 형성하여 각 분사관(34)(44)의 단부가 원통부(36b)(46b) 내에 삽입 위치하여 줌으로써 분사수를 분사시 모래 배출관(32)(42)으로 모래 여과재(S)의 유입에 따른 유속을 상승시켜 압출로서 이송되게 한다.
상기 각 유출구(36)(46)는 모래 배출관(32)(42)에 조립되게 구성하여 교체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모래 배출관(32)(42)과 유출구(36)(46)을 일체로 성형하여 사용할 수가 있으므로 그 작용효과는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제1 배출부(30)와 제2 배출부(40)의 각 모래 배출관(32)(42)의 단부에 형성되는 유출구(36)(46) 내에 삽입되는 분사관(34)(44)들은 펌프(P)와 연결되어 모래 배출관(32)(43) 내로 분사수를 분사하여 오염된 모래 여과재(S)를 이송토록 함에, 이때 펌프(P)와 각 분사관(34)(44) 간에는 솔레노이드밸브(V1)(V2)를 장착하여 솔레노이드밸브(V1)(V2)의 개폐에 따른 모래 배출관(32)(42)으로 모래 여과재(S)의 이송을 제어하고 펌프(P)는 오염된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유입관(50)과 연결시켜 원수를 펌프(P)를 통해 각 분사관(34)(44)으로 보내어 분사수로서 활용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분사관(34)(44)들에 장착되는 각 솔레노이드밸브(V1)(V2)는 정수탱크(10)의 하부에 설치되어 정화된 원수를 배출하는 정수 배출관(14)에 장착된 유량센서(18)와 연결하여 정수 배출관(14)으로 배출되는 정수량을 감지하에 솔레노이드밸브(V1)(V2)들의 개폐작동을 제어되게 구성한다.
따라서 여과탱크(10)에서 여과되어 배출되는 정수량에 따른 적층된 모래 여과재(S)의 오염 여부에 따라서 제1 배출부(30)와 제2 배출부(40)를 작동시켜 모래 여과재(S)를 순차적으로 고루 흡입 이송시켜 이를 정화처리하여 다시 정수탱크(10)에 공급하여 사용함으로써 모래 여과재(S)의 정화능력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면서 모래 여과재(S)의 교체로 인한 가동을 중지하지 않고도 계속 순환시켜 사용하도록 한다.
즉 제1 배출부(30)의 모래 배출관(32)과 제2 배출부(40)의 모래 배출관(42)은 정수탱크(10)의 상부에 갖는 사이클론(20)과 연결되어 오염된 모래 여과재(S)가 사이클론(20)에 의해 원심분리되게 하여 정화 처리된 모래 여과재(S)는 비중이 무거워 아래로 낙하하여 정수탱크(10) 내로 유입되고 반면에 비중이 가벼운 오염된 수분이나 불순물 등은 사이클론(20)의 배출구를 통해 빠져나가 제거하도록 한다.
그리고 정수탱크(10)에 채워져 정화시키는 모래 여과재(S)는 종래 정수처리 용량을 늘리기 위해 주로 모래의 입자가 1㎜ 이상의 여과재를 사용함에 따른 불순물 제거 효율이 떨어지는 반면에 본 발명은 오염된 모래 여과재(S)를 순환시켜 필터링에 의해 정화능력이 항시 유지되게 할 수가 있으므로 모래 입자가 0.3㎜~0.7㎜의 가는 모래를 사용할 수 있어 불순물의 제거효율을 높이면서 정수처리 용량도 증가시켜 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수처리 여과장치(A)를 이용하여 오염된 원수를 정화처리하는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정수탱크(10) 내에 모래 입자가 0.3㎜~0.7㎜의 모래 여과재(S)를 넣어 채우도록 하되 정수탱크(10) 내의 상부에 장착된 안내구(16)의 바로 밑까지 채운 다음 안내구(16)의 내측 하부에 설치된 원수 유입관(50)으로 불순물로 오염된 원수가 공급되어 정수탱크(10) 내로 유입된다.
상기 정수탱크(10) 내로 유입된 오염 원수는 적층된 모래 여과재(S)를 상측에서 하측으로 내려오는 하향류 여과방식에 의해 오염 원수에 포함된 불순물의 입자가 큰 것은 상측에 쌓이면서 입자가 작은 불순물은 모래 여과재(S)의 알갱이 표면에 부착되어 여과되어 지고 이러한 과정은 연속적으로 이루어면서 정수탱크(10) 내의 하부에 메쉬망(12)으로 모래 여과재(S)와 차단된 정수 공간부(12a)에 정화된 원수가 모이도록 하여 정수 배출관(14)에 설치된 유량센서(18)가 정수량의 감지하에 외부로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오염된 원수가 적층된 모래 여과재(S)를 통과하는 과정의 초기상태에서는 위에 적층된 모래 여과재(S)에 가장 많이 불순물이 부착되어 걸러지고 점차 아래로 갈수록 불순물이 모래 여과재(S)에 덜 부착이 이루어지는데 이때 정수탱크(10) 내에 장착된 제1 배출부(30)가 작동하여 모래 여과재(S)의 상부에 입자가 커서 쌓이는 불순물과 상측에 오염된 모래 여과재(S)를 흡입하여 이를 사이클론(20)으로 이송시켜 정화한 후 다시 정수탱크(10) 내에 재공급하는 작동을 수행하게 된다.
즉 제1 배출부(30)는 적층된 모래 여과재(S)의 상부 내에 매설된 상태로서 위치하여 모래 배출관(32)의 단부에 형성된 유출구(36) 내에 분사관(34)을 삽입시켜 펌프(P)에 의해 분사수를 분사함에 따른 상부에 쌓인 불순물과 주위에 오염된 모래 여과재(S)를 흡입하여 모래 배출관(32)을 통해 이송하도록 한다. 이때 유출구(36)를 구성하는 긴 원통부(36b) 내에 분사관(34)의 단부가 위치하여 분사시 깔대기부(36a)를 통해 유입된 모래 여과재(S)가 직경이 좁아지는 원통부(36b) 내에서의 유속증가로 인한 압출 작용에 의해 모래 배출관(32)과 연결된 사이클론(20)으로 이송이 원활하도록 해준다.
따라서 제1 배출부(30)의 작동에 의해 상측에 오염된 모래 여과재(S)를 흡입하여 이를 사이클론(20)으로 이송시켜 원심분리에 의해 정화시켜 다시 정수탱크(10)에 공급하는 순환작동에 의해 항시 상측에는 정화된 모래 여과재(S)가 쌓이므로 오염된 원수를 신속하게 정화시켜 주는 연속반복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때 사이클론(20)을 통해 정화된 모래 여과재(S)는 정수탱크(10) 내의 상부에 갖는 원뿔형 안내구(16)의 안내를 받아 사방으로 분산되게 함으로써 항시 정수탱크(10) 내측 둘레에 정화된 모래 여과재(S)가 융기되게 쌓이면서 자연스럽게 제1 배출부(30)가 있는 중앙으로 흘러 내려오도록 하여 원수 유입관(50)을 통해 유입되는 오염된 원수가 정화된 모래 여과재(S)에 의해 신속하게 불순물이 여과되어 진다.
따라서 상기한 제1 배출부(30)에서는 항시 모래 여과재(S)의 상부에 쌓이는 입자가 큰 불순물과 상측에 오염된 모래 여과재(S)를 흡입하여 이를 사이클론(20)으로 이송한 후 정화시켜 재사용에 따른 오염된 원수로부터 불순물을 제거하는 여과효율이 뛰어나면서 정수탱크(10)의 하부에 설치된 정수 배출관(14)을 통해 정화된 원수를 신속하게 배출하도록 해준다.
이후 상기 여과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짐에 따른 오염된 원수가 상측 모래 여과재(S)에 의해 정화된 후 하측 모래 여과재(S)에서도 정화되어 정수 배출관(14)을 통하여 나오는 정수량을 유량센서(18)를 통해 상태를 점검하도록 하는바, 이때 유량센서(18)를 통해 정수 배출관(14)으로 배출되는 정수량이 적을 경우 이는 하측 모래 여과재(S) 층이 불순물로 인한 오염된 상태 임으로 이를 정화하도록 해준다.
즉 하측에 적층된 모래 여과재(S)를 정화하기 위해서는 정수 배출관(14)으로 배출되는 정수량을 유량센서(18)가 감지하게 되고 이때 작동 중이던 제1 배출부(30)의 분사관(34)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V1)를 차단시켜 펌프(P)로부터 분사수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한 후 정수탱크(10) 내의 하부에 설치된 제2 배출부(40)를 작동시켜 하측 오염된 모래 여과재(S)를 흡입하여 이를 사이클론(20)으로 이송시켜 정화하도록 해준다.
다시 설명드리면, 제1 배출부(30)의 하부에 제2 배출부(40)를 정수탱크(10) 내의 최하부에 설치되어 하측에 오염된 모래 여과재(S)를 흡입하도록 하는바, 이때 제2 배출부(40)를 구성하는 분사관(44)에 결합된 솔레노이드밸브(V2)가 유량센서(18)에 의해 개방되면 펌프(P)에 의해 공급되는 분사수가 분사관(44)을 통해 분사하여 주위의 모래 여과재(S)를 흡입하며 이때 흡입된 모래 여과재(S)는 모래 배출관(42)의 단부에 형성된 유출구(46)의 원통부(46b) 내에 분사관(44)의 단부가 위치함에 따른 분사수의 유속이 증가하면서 압출로서 모래 여과재(S)를 흡입시켜 모래 배출관(42)을 통해 사이클론(20)으로 이송시켜 주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제2 배출부(40)의 작동에 의해 정수탱크(10)의 하측에 적층된 모래 여과재(S)를 이송시켜 이를 사이클론(10)에서 정화시켜 다시 정수탱크(10) 내로 유입하여 줌으로써 모래 여과재(S) 전체를 순환시켜 정화시켜 줄 수가 있어 종래에 오염된 모래를 교체하기 위해 여과작동을 중단시키지 않고도 모래 여과재(S)를 순환방식에 의해 정화시켜 재사용하면서 오염된 원수를 지속적으로 공급하여 여과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제2 배출부(40)에 의해 모래 여과재(S) 전체를 간단히 순환시켜 정화시켜 줌으로써 정수 배출관(14)으로 배출되는 정수량이 정상적으로 돌아오면 유량센서(18)가 이를 감지하여 제2 배출부(40)에 의한 전체 모래 여과재(S)의 정화작동을 중단시키고 이에 제1 배출부(30)를 작동시켜 가장 불순물이 걸러지는 상측 모래 여과재(S)을 흡입하여 정화하는 여과작업을 수행하도록 하여 정화가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해준다.
상기한 제1 배출부(30)와 제2 배출부(40)의 작동은 미리 설정된 정수량에 따른 유량센서(18)의 감지하에 자동적으로 제어하도록 하면서 펌프(P)를 통해 공급되는 분사수는 가능한 원수 유입관(50)으로부터 공급되는 오염된 원수를 이용하여 분사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나, 필요에 따라서는 정수 배출관(14)을 통해 배출되는 정화된 물을 펌프(P)와 연결하여 분사수로 사용할 수도 있음을 밝혀둔다.
그리고 종래의 하향류식 여과장치는 처리용량을 늘리기 위해 입자가 1㎜이상의 비교적 굵은 모래를 사용하기 때문에 불순물 제거효율이 감소되는 문제점이 있으나, 본 발명의 여과장치는 모래 여과재(S)를 항시 순환시켜 정화된 상태로 사용이 가능함으로 모래 입자가 0.3㎜~0.7㎜의 가는 모래를 사용할 수 있어 불순물의 제거효율을 높이면서 정수처리 용량도 증가시켜 사용할 수가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본 발명은 각종 수처리 시설물의 여과장치로 이용될 수 있다.
(A)-- 수처리 여과장치 (S)-- 모래 여과재
(P)-- 펌프 (10)-- 정수탱크
(12)-- 메쉬망 (12a)-- 정수 공간부
(14)-- 정수 배출관 (16)-- 안내구
(18)-- 유량센서 (20)-- 사이클론
(30)-- 제1 배출부 (32)-- 모래 배출관
(34)-- 분사관 (36)-- 유출구
(36a)-- 깔대기부 (36b)-- 원통부
(40)-- 제2 배출부 (42)-- 모래 배출관
(44)-- 분사관 (46)-- 유출구
(46a)-- 깔대기부 (46b)-- 원통부
(50)-- 원수 유입관 (V1)(V2)-- 솔레노이드밸브
(P)-- 펌프 (10)-- 정수탱크
(12)-- 메쉬망 (12a)-- 정수 공간부
(14)-- 정수 배출관 (16)-- 안내구
(18)-- 유량센서 (20)-- 사이클론
(30)-- 제1 배출부 (32)-- 모래 배출관
(34)-- 분사관 (36)-- 유출구
(36a)-- 깔대기부 (36b)-- 원통부
(40)-- 제2 배출부 (42)-- 모래 배출관
(44)-- 분사관 (46)-- 유출구
(46a)-- 깔대기부 (46b)-- 원통부
(50)-- 원수 유입관 (V1)(V2)-- 솔레노이드밸브
Claims (6)
- 수처리의 여과장치에 있어서,
정수탱크(10)의 상부에 불순물을 원심분리하여 정화된 모래 여과재(S)를 공급하는 사이클론(20)과, 정수탱크(10) 내의 상부에 정화된 모래 여과재(S)를 사방으로 분산 안내하는 안내구(16)를 두고 안내구(16)의 하부에 오염된 원수를 공급하는 원수 유입관(50)을 위치되게 구성하고, 상기 원수 유입관(50) 하부의 정수탱크(10) 내에 불순물과 오염된 모래 여과재(S)를 흡입하도록 제1 배출부(30)와 제2 배출부(40)를 상하로 형성하되 제1,2 배출부(30)(40)의 각 분사관(34)(44)은 원수 유입관(50)과 연결된 펌프(P)를 통해 솔레노이드밸브(V1)(V2)의 제어하에 분사수를 분사토록 하면서 분사관(34)(44)이 삽입되는 모래 배출관(32)(42)은 정수탱크(10)의 상부에 장착된 사이클론(20)과 연결하여 오염된 모래 여과재(S)가 이송 공급되게 구성하고, 상기 정수탱크(10) 내의 하단에는 모래 여과재(S)와 차단되게 메쉬망(12)이 설치된 정수 공간부(12a)을 형성하여 정수 공간부(12a)를 통해 정화된 물을 배출되게 정수 배출관(14)이 설치되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재에 의한 수처리 여과장치.
- 삭제
- 삭제
- 제1항에 있어서,
제1 배출부(30)의 분사관(34)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V1)와 제2 배출부(40)의 분사관(44)에 설치된 솔레노이드밸브(V2)는 정수 배출관(14)에 장착된 유량센서(18)의 감지하에 작동이 제어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재에 의한 수처리 여과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정수탱크(10) 내의 상부에 장착되는 안내구(16)를 원뿔형으로 형성하여 사이클론(20)을 통해 정화된 모래 여과재(S)가 안내구(16)에 낙하하여 사방으로 분산되어 정수탱크(10) 내측 둘레로 적층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재에 의한 수처리 여과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제1 배출부(30)의 분사관(34)과 제2 배출부(40)의 분사관(44)를 각 모래 배출관(32)(42)의 단부에 형성된 깔대기부(36a)(46a)와 긴 원통부(36b)(46b)로 형성된 유출구(36)(46) 내에 삽입 위치토록 형성하여 분사수의 유속증가에 따른 오염된 모래 여과재(S)를 모래 배출관(32)(42)으로 흡입시켜 이송되도록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모래 여과재에 의한 수처리 여과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6815A KR101603743B1 (ko) | 2014-10-10 | 2014-10-10 | 모래 여과재에 의한 수처리 여과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136815A KR101603743B1 (ko) | 2014-10-10 | 2014-10-10 | 모래 여과재에 의한 수처리 여과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03743B1 true KR101603743B1 (ko) | 2016-03-15 |
Family
ID=555423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136815A KR101603743B1 (ko) | 2014-10-10 | 2014-10-10 | 모래 여과재에 의한 수처리 여과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3743B1 (ko)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4987B1 (ko) * | 2017-07-19 | 2018-01-04 | 주식회사 이피에스이앤이 | 수처리시스템 |
KR20210063852A (ko) * | 2019-11-25 | 2021-06-02 | 주식회사 포스코 | 여과 장치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8201A (ko) * | 2001-05-18 | 2002-11-27 | 장현영 | 하향류식 수처리장치 |
JP2003299910A (ja) * | 2002-02-07 | 2003-10-21 | Yamada Tetsuzo | 浮上濾材を用いた濾過装置 |
KR101446273B1 (ko) * | 2014-02-12 | 2014-10-02 | (주) 한국환경진단연구소 | 수두차를 이용한 상향류 모래 여과장치의 운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
-
2014
- 2014-10-10 KR KR1020140136815A patent/KR101603743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0088201A (ko) * | 2001-05-18 | 2002-11-27 | 장현영 | 하향류식 수처리장치 |
JP2003299910A (ja) * | 2002-02-07 | 2003-10-21 | Yamada Tetsuzo | 浮上濾材を用いた濾過装置 |
KR101446273B1 (ko) * | 2014-02-12 | 2014-10-02 | (주) 한국환경진단연구소 | 수두차를 이용한 상향류 모래 여과장치의 운영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 방법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14987B1 (ko) * | 2017-07-19 | 2018-01-04 | 주식회사 이피에스이앤이 | 수처리시스템 |
KR20210063852A (ko) * | 2019-11-25 | 2021-06-02 | 주식회사 포스코 | 여과 장치 |
KR102328967B1 (ko) | 2019-11-25 | 2021-11-22 | 주식회사 포스코 | 여과 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0849017B1 (ko) | 비점오염원 처리장치 | |
US5454959A (en) | Moving bed filters | |
JP4290221B2 (ja) | 工作機械用クーラント液浄化装置 | |
KR101436281B1 (ko) | 우수 처리 장치 | |
KR20130027439A (ko) | 연속 순환식 모래여과기 및 방법 | |
CN117482596A (zh) | 具有改进的反洗的多层介质床过滤器 | |
KR101603743B1 (ko) | 모래 여과재에 의한 수처리 여과장치 | |
KR101527005B1 (ko) | 오염수 정화장치 | |
EP0653952B1 (en) | Treatment device | |
KR20140121600A (ko) | 상향류 섬유볼 여과장치 | |
KR101784886B1 (ko) | 분배챔버를 이용한 연속여과장치 | |
CN107265568A (zh) | 一种可清洗的循环过滤污水处理方法 | |
JP2000202435A (ja) | 浄化システム | |
KR200406764Y1 (ko) | 일체형 스크린 및 원통형 모래제거기 | |
KR100397530B1 (ko) | 원심 상향류식 모래 여과기 | |
JP2003190713A (ja) | 夾雑物分離用除塵装置および夾雑物分離除塵システム | |
JP2003299910A (ja) | 浮上濾材を用いた濾過装置 | |
US6077426A (en) | Filter filled with loose bulk material | |
JP6241510B1 (ja) | 圧力式密閉型急速ろ過装置及び浄水器 | |
KR100429422B1 (ko) | 원심 혼합 모래 여과기 | |
KR101516726B1 (ko) | 상향 중력식 연속 여과장치 | |
KR101687380B1 (ko) | 여과사 재생 시스템 | |
KR200242448Y1 (ko) | 하향류식 수처리장치 | |
JP2001149716A (ja) | 作業液浄化方法 | |
KR101728897B1 (ko) | 여과사 재생 시스템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306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