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07477B1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Google Patents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07477B1 KR101607477B1 KR1020140086984A KR20140086984A KR101607477B1 KR 101607477 B1 KR101607477 B1 KR 101607477B1 KR 1020140086984 A KR1020140086984 A KR 1020140086984A KR 20140086984 A KR20140086984 A KR 20140086984A KR 101607477 B1 KR101607477 B1 KR 10160747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rtable terminal
- fluid
- support cover
- present
- body port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5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 G06F1/166—Details related to functional adaptations of the enclosure, e.g. to provide protection against EMI, shock, water, or to host detachable peripherals like a mouse or removable expansions units like PCMCIA cards, or to provide access to internal components for maintenance or to removable storage supports like CDs or DVDs, or to mechanically mount accessories related to integrated arrangement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main body with respect to the supporting surface, e.g. legs for adjusting the tilt ang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때에는 몸체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팽창시키고, 보관 또는 휴대시에는 몸체부에서 유체를 빼내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휴대성 및 보관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태블릿 등 휴대용 단말기의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면서,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이제 거의 대부분의 사람들이 휴대 및 사용하는 장치로 대중화되었다.
한편,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는 휴대하면서 통신이 가능한 기본 기능 이외, 메모리에 동영상 파일 등을 저장하여 휴대하면서 시청할 수 있거나, TV 시청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 등이 거의 필수적인 기능으로 탑재되어 있다.
따라서, 종래에는 주로 상대방과 전화 통화를 위해 사용되던 휴대용 단말기가 근래에는 많은 시간동안 시각을 통해 활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이러한 휴대용 단말기의 사용자는 장시간 이동할 때에 보다 편하게 휴대용 단말기의 화면을 보기 위해 휴대기기용 거치대를 구입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종래의 휴대기기용 거치대로써,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66929호에는 사용자의 목 등 피지지체에 걸어서 거치대 전체를 지지하는 걸이형 지지체; 상부가 걸이형 지지체와 연결되고, 하부가 외본체와 피봇으로 결합된 내본체; 시각장치 거치부재를 구비한 외본체; 내본체와 외본체 중 어느 하나에 구비된 이동통로와, 이동통로에 구비된 피고정부; 이동통로를 이동하면서 피고정부와 결합되는 고정부가 한 쪽 끝단에 구비되어 있고, 다른 쪽 끝단은 내본체와 외본체 중 이동통로가 없는 본체에 고정되어 있는 이동식 지지체를 포함하는 휴대용 시각장치 거치대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개시된 휴대용 시각장치 거치대는 부피를 줄여 휴대성을 높이기에 한계가 있고, 구조가 복잡하며, 제조단가가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배경에서 안출된 것으로,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때에는 몸체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팽창시키고, 보관 또는 휴대시에는 몸체부에서 유체를 빼내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휴대성 및 보관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몸체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팽창시킨 상태에서 대중 교통수단 등에 마련된 의자의 등판 뒷면 손잡이에 몸체부를 간편하게 끼우고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시간 휴대용 단말기를 손으로 잡고 있음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근골격계 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휴대용 단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여기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유체주입부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로 팽창되는 몸체부; 및 몸체부에 구비되며, 휴대용 단말기를 감싸서 지지하는 지지커버부;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때에는 몸체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팽창시키고, 보관 또는 휴대시에는 몸체부에서 유체를 빼내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휴대성 및 보관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몸체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팽창시킨 상태에서 대중 교통수단 등에 마련된 의자의 등판 뒷면 손잡이에 몸체부를 간편하게 끼우고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시간 휴대용 단말기를 손으로 잡고 있음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근골격계 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말려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손잡이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손잡이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손잡이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말려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손잡이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손잡이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손잡이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말려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손잡이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손잡이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가 손잡이부에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과 도 7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들 도면들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는, 유체주입부(101)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로 팽창되는 몸체부(103); 및 몸체부(103)에 구비되며, 휴대용 단말기(303)를 감싸서 지지하는 지지커버부(10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가 특히 버스, 기차 등의 교통수단에 구비된 좌석의 등받이(305)에 형성된 손잡이부(301)에 끼워져 고정되는 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먼저 몸체부(103)은 일예로 플렉시블한 재질의 튜브 형상으로 제공될 수 있는데, 몸체부(103)에는 유체를 주입할 수 있도록 유체주입부(101)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몸체부(103) 내에 주입되는 유체는 일예로 에어가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유체주입부(101)를 통해 숨을 불어넣어 몸체부(103)를 팽창시킬 수도 있다.
물론, 유체주입부(101)에는, 몸체부(103) 내로 에어가 주입된 상태에서 유체주입부(101)를 폐쇄할 수 있도록 마개(미도시)가 구비된다.
한편, 이러한 유체주입부(101)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3) 중 후술할 지지커버부(105)가 형성된 면에서 지지커버부(105)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는데, 이처럼 유체주입부(101)가 몸체부(103) 중 지지커버부(105)가 형성된 면에서 지지커버부(105)의 상측에 형성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의 몸체부(103) 상단을 손잡이부(301)에 끼워넣었을 때, 유체주입부(101)가 손잡이부(301)에 걸리게 되어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가 손잡이부(301)로부터 쉽게 빠지지 않게 된다.
물론, 몸체부(103) 내에는 유체가 주입된 상태이므로, 몸체부(103) 상단을 손잡이부(301)에 끼워넣을 때에는, 유체주입부(101)가 몸체부(103) 내측으로 밀려들어갈 수 있게 되므로,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의 몸체부(103) 상단을 손잡이부(301)에 끼워넣을 때, 유체주입부(101)가 방해되지는 않는다.
또한, 몸체부(103)의 후면 하부에는, 유체주입부(101)를 통해 유체가 주입시 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돌출지지부(401)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처럼 몸체부(103)의 후면 하부에 돌출지지부(401)가 형성됨으로써,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를 손잡이부(301)에 끼워 고정했을 때, 돌출지지부(401)로 인해 몸체부(103)의 하부가 사용자를 향해 들려 올려지게 되어서, 사용자가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100)에 거치한 휴대용 단말기(303)의 표시창(603)을 좀 더 편안히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몸체부(103)의 전면(즉, 지지커버부(105)가 형성된 면)에는, 유체주입부(101)를 통해 유체가 주입될 때, 몸체부(103)의 하부가 전방을 향해 휘어질 수 있도록, 봉제부(601)가 형성될 수 있는데, 이러한 봉제부(601)는 몸체부(103)의 전면 일부를 중첩하여 고정한 부분으로써, 이처럼 몸체부(103)의 전면에 봉제부(601)가 형성됨으로써, 몸체부(103) 내에 유체가 주입될 때, 몸체부(103)의 전면보다 후면의 팽창량이 더 커져, 자연스럽게 몸체부(103)의 하부가 전방을 향해 휘어질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봉제부(601)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103)의 가로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고, 이와 달리 몸체부(103)의 세로방향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어서, 지지커버부(105)는 몸체부(103)에 구비되며, 휴대용 단말기(303)를 감싸서 지지하게 되는데, 이러한 지지커버부(105)는 일예로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몸체부(103)의 재질과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커버부(105)는, 휴대용 단말기(303)을 끼워넣을 수 있도록, 상,하 가장자리 또는 좌,우 가장자리가 몸체부(103)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지지커버부(105)의 상,하 가장자리가 몸체부(103)에 일체로 결합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303)을 가로방향으로 몸체부(103)과 지지커버부(105) 사이에 끼워넣어 거치할 수 있고, 지지커버부(105)의 좌,우 가장자리가 몸체부(103)에 일체로 결합되는 경우,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303)를 세로방향으로 몸체부(103)와 지지커버부(105) 사이에 끼워넣어 거치할 수 있다.
한편, 지지커버부(105)에는, 휴대용 단말기(303)의 표시창(603)이 노출되도록, 중공의 창(801)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처럼 지지커버부(105)에 중공의 창(801)이 형성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303)의 표시창(603)을 좀 더 깨끗한 상태로 볼 수 있게 된다.
또한, 지지커버부(105)가 몸체부(103)에 탈착가능하도록, 지지커버부(105)의 가장자리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결합부재(901)가 구비될 수 있는데, 일예로 결합부재(901)는 똑딱단추가 될 수 있으며, 이처럼 지지커버부(105)에 결합부재(901)가 구비됨으로써, 사용자는 휴대용 단말기(303)를 좀 더 쉽게 거치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구조와 형상을 갖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때에는 몸체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팽창시키고, 보관 또는 휴대시에는 몸체부에서 유체를 빼내어 부피를 최소화할 수 있어서, 휴대성 및 보관성을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또한, 몸체부에 유체를 주입하여 팽창시킨 상태에서 대중 교통수단 등에 마련된 의자의 등판 뒷면 손잡이에 몸체부를 간편하게 끼우고 휴대용 단말기를 거치할 수 있어서, 휴대용 단말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장시간 휴대용 단말기를 손으로 잡고 있음으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근골격계 질환 등을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되거나 결합되어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101 : 유체주입부
103 : 몸체부
105 : 지지커버부
301 : 손잡이부
303 : 휴대용 단말기
305 : 등받이
401 : 돌출지지부
601 : 봉제부
603 : 표시창
801 : 창
901 : 결합부재
101 : 유체주입부
103 : 몸체부
105 : 지지커버부
301 : 손잡이부
303 : 휴대용 단말기
305 : 등받이
401 : 돌출지지부
601 : 봉제부
603 : 표시창
801 : 창
901 : 결합부재
Claims (6)
- 좌석의 등받이에 형성된 손잡이부에 끼워져 고정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에 있어서,
유체주입부를 통해 주입되는 유체로 팽창되는 몸체부; 및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에 결합되되, 내측면과 이에 마주하는 상기 몸체부의 외주면 사이로 삽입된 휴대용 단말기의 일면을 감싸서 지지하는 지지커버부;
를 포함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주입부를 통해 상기 유체가 주입시 후방으로 더 돌출되도록, 상기 몸체부의 후면 하부에 돌출지지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주입부는, 상기 몸체부 중 상기 지지커버부가 형성된 면에서 상기 지지커버부의 상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단말기의 표시창이 노출되도록, 상기 지지커버부에 중공의 창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커버부가 상기 몸체부에 탈착가능하도록, 상기 지지커버부의 가장자리 부분 중 적어도 어느 한쪽에 결합부재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주입부를 통해 유체가 주입될 때, 상기 몸체부의 하부가 전방을 향해 휘어질 수 있도록, 상기 몸체부의 전면에 봉제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6984A KR101607477B1 (ko) | 2014-07-10 | 2014-07-10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86984A KR101607477B1 (ko) | 2014-07-10 | 2014-07-10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7050A KR20160007050A (ko) | 2016-01-20 |
KR101607477B1 true KR101607477B1 (ko) | 2016-03-30 |
Family
ID=553077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86984A KR101607477B1 (ko) | 2014-07-10 | 2014-07-10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07477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71809B1 (ko) * | 2019-11-07 | 2021-06-30 | 이시백 | 스마트기기 거치장치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4555Y1 (ko) * | 2000-08-19 | 2001-02-15 | 김병식 | 휴대용 핸드폰 튜브 주머니 |
KR200367962Y1 (ko) * | 2004-08-31 | 2004-11-16 | 노상완 | 건강 독서대 |
-
2014
- 2014-07-10 KR KR1020140086984A patent/KR101607477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214555Y1 (ko) * | 2000-08-19 | 2001-02-15 | 김병식 | 휴대용 핸드폰 튜브 주머니 |
KR200367962Y1 (ko) * | 2004-08-31 | 2004-11-16 | 노상완 | 건강 독서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60007050A (ko) | 2016-01-2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D930609S1 (en) | Mobile phone | |
USD826203S1 (en) | Mobile phone | |
CN104980544B (zh) | 一种两端可折弯的柔性屏移动终端 | |
USD704181S1 (en) | Slap-on type earphone storage case | |
KR200458313Y1 (ko) | 거치대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 | |
KR200470742Y1 (ko) | 카드식 스마트폰 거치대 | |
USD865753S1 (en) | Stand for a mobile telephone | |
KR200464283Y1 (ko) | 휴대폰 케이스용 손가락 거치구 | |
USD831006S1 (en) | Antenna insulator for a mobile phone | |
KR101607477B1 (ko) | 휴대용 단말기 거치대 | |
KR101246081B1 (ko) | 휴대폰 케이스 | |
KR20120035810A (ko) | 틸트 기능이 구비된 휴대용 단말기 보호 케이스 클립 및 스탠드장치 | |
USD827623S1 (en) | Mobile phone | |
CN205179153U (zh) | 散热手机座 | |
KR200477277Y1 (ko) | 거치기능을 갖는 휴대단말기용 케이스 | |
KR200479401Y1 (ko) | 스마트폰 보조배터리 | |
JP3194225U (ja) | 携帯通信端末機器ケース | |
KR101602320B1 (ko) | 휴대폰 거치수단을 구비한 휴대폰 케이스 | |
KR200488289Y1 (ko) | 휴대 단말기 거치수단 | |
CN210694049U (zh) | 一种打火机滑套支架 | |
KR200476284Y1 (ko) | 회전 케이스 | |
CN204859276U (zh) | 一种带支架手机套 | |
KR20130086799A (ko) | 컴팩트형 단말기 거치대 | |
CN102657420B (zh) | 一种手机保护套 | |
CN202287230U (zh) | 一种托盘及折叠躺椅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