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5957B1 - 이동 단말기 및 제어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및 제어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95957B1 KR101595957B1 KR1020140071631A KR20140071631A KR101595957B1 KR 101595957 B1 KR101595957 B1 KR 101595957B1 KR 1020140071631 A KR1020140071631 A KR 1020140071631A KR 20140071631 A KR20140071631 A KR 20140071631A KR 101595957 B1 KR101595957 B1 KR 101595957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rol
- mobile terminal
- external device
- signal
- request signal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5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3
- 238000002604 ultrasonography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11664 signaling Effects 0.000 claims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3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1521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128 head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984 smart glas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364 calcul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0408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159 matrix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236 sound signal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973 liquid crystal related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6 titan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UIMIQQOPSSXEZ-UHFFFAOYSA-N Silicon Chemical compound [Si] XUIMIQQOPSSXE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RTAQQCXQSZGOHL-UHFFFAOYSA-N Titanium Chemical compound [Ti] RTAQQCXQSZGOH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90 augment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020 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84 electric field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84 extra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60 hair shin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86 illu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646 magnetic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205 musc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55 oscil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909 pattern recogn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74 resonance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625 skull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54 sl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58 subs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502 supplemen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093 suppor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409 thin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9 tita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2—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wav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3/00—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 G08C23/04—Non-electrical signal transmission systems, e.g. optical systems using light waves, e.g. infrare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1—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image capture or setting capture paramet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04N23/635—Region indicators; Field of view indicato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20—Binding and programming of remote control devices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30—User interface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50—Receiving or transmitting feedback, e.g. replies, status updates, acknowledgements, from the controlled devices
- G08C2201/51—Remote controlling of devices based on replies, status thereof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70—Device selection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1—Remote control based on location and proximity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2201/00—Transmission systems of control signals via wireless link
- G08C2201/90—Additional features
- G08C2201/93—Remote control using other portable devices, e.g. mobile phone, PDA, laptop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본체, 기 설정된 거리 내의 제어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외부 기기를 대기 상태로 전환시키는 탐지대기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본체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대기상태로 전환된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 중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일부 외부 기기에 선택적으로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부 및 상기 초음파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일부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상기 본체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대기상태로 전환된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 중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일부 외부 기기에 선택적으로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부 및 상기 초음파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일부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외부 기기를 지정 및 제어 가능한 이동 단말기에 관한 발명이다.
단말기(terminal)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에는 장치와의 연동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면서, 이동 단말기에 의하여 가전기기들을 제어하는 기술이 구현되고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에 의하여 가전기기들이 미리 설정(예를 들어, 가전기기에 일련번호가 부여)되어 무선신호로 제어명령을 송신하거나, 각 가전기기에만 적용되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동되는 방식이 적용되고 있다.
다만, 상기와 같은 방법은 사용자에 의하여 차후 제어할 가전기기들이 미리 설정되어야 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설정된 가전기기들의 종류 및 제어방식을 사용자 스스로 기억해두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인지한 기기의 제어가 가능한 이동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본체, 기 설정된 거리 내의 제어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외부 기기를 대기 상태로 전환시키는 탐지대기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본체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대기상태로 전환된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 중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일부 외부 기기에 선택적으로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부 및 상기 초음파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일부 전자 기기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지대기신호를 송신한 뒤 상기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신호 및 상기 제어요청신호가 상기 일부 외부 기기에 도달된 시간차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들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는 바, 상기 이미지 상에 출력되는 외부 기기를 특정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일 예로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지대기신호가 송신된 뒤, 상기 제어영역 외의 주변기기에, 상기 제어요청신호의 송신명령을 포함하는 비콘요청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어요청신호를 송신한 뒤 즉각적으로 초음파 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므로, 제어요청신호 및 초음파 신호를 연속적으로 출력하는데 발생하는 버퍼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거리의 산출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가 카메라 및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바라보는 시야에 위치하는 외부 기기를 특정하고,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특정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전에 외부 기기를 특정하여 저장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외부 기기를 바라보고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외부 기기의 이미지 등에 터치입력을 인가하여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보다 직관적으로 외부 기기에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a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c는 카메라 및 무선통신부의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d는 한 쌍의 송신부재를 포함하는 글래스 타입 이동 단말기의 개념도.
도 3e는 글래스 타입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a는 복수의 외부 기기를 탐지대기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b는 도 4a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a는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특정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b는 외부 기기에 대응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a는 비콘(beacon) 모드에서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b 및 도 6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6a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a은 탐지노드의 위치 변화에 따른 외부 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b는 도 7a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a 내지 도 8c는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a 및 도 9b는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은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은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를 이미지와 함께 획득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흐름도.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a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c는 카메라 및 무선통신부의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3d는 한 쌍의 송신부재를 포함하는 글래스 타입 이동 단말기의 개념도.
도 3e는 글래스 타입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4a는 복수의 외부 기기를 탐지대기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4b는 도 4a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a는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특정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5b는 외부 기기에 대응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6a는 비콘(beacon) 모드에서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6b 및 도 6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6a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7a은 탐지노드의 위치 변화에 따른 외부 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7b는 도 7a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a 내지 도 8c는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a 및 도 9b는 디스플레이부 상에 출력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은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은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를 이미지와 함께 획득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디지털 사이니지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a 내지 도 1c를 참조하면, 도 1a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1b 및 1c는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일 예를 서로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입력부(120), 감지부(140), 출력부(150), 인터페이스부(160), 메모리(17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은 이동 단말기를 구현하는데 있어서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본 명세서 상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는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 보다 많거나, 또는 적은 구성요소들을 가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성요소들 중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외부서버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를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통신부(110)는, 방송 수신 모듈(111), 이동통신 모듈(112), 무선 인터넷 모듈(113), 근거리 통신 모듈(114), 위치정보 모듈(115)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영상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121) 또는 영상 입력부,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또는 오디오 입력부,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123, 예를 들어, 터치키(touch key), 푸시키(mechanical key)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에서 수집한 음성 데이터나 이미지 데이터는 분석되어 사용자의 제어명령으로 처리될 수 있다.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140)는 근접센서(141, proximity sensor), 조도 센서(142, illumination sensor), 터치 센서(touch sensor), 가속도 센서(acceleration sensor), 자기 센서(magnetic sensor), 중력 센서(G-sensor), 자이로스코프 센서(gyroscope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RGB 센서, 적외선 센서(IR 센서: infrared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초음파 센서(ultrasonic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예를 들어, 카메라(121 참조)), 마이크로폰(microphone, 122 참조), 배터리 게이지(battery gauge),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 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이동 단말기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디스플레이부(151), 음향 출력부(152), 햅팁 모듈(153), 광 출력부(154)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센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거나 일체형으로 형성됨으로써, 터치 스크린을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스크린은,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사용자 입력부(123)로써 기능함과 동시에, 이동 단말기(100)와 사용자 사이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다양한 종류의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서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에 외부 기기가 연결되는 것에 대응하여, 연결된 외부 기기와 관련된 적절할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의 다양한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를 저장한다. 메모리(170)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 또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기본적인 기능(예를 들어, 전화 착신, 발신 기능, 메시지 수신, 발신 기능)을 위하여 출고 당시부터 이동 단말기(100)상에 존재할 수 있다. 한편, 응용 프로그램은, 메모리(170)에 저장되고, 이동 단말기(100) 상에 설치되어, 제어부(180)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또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 외에도,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제어부(180)는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통해 입력 또는 출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정보 또는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기 위하여, 도 1a와 함께 살펴본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를 제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을 서로 조합하여 동작시킬 수 있다.
전원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 하에서,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이동 단말기(100)에 포함된 각 구성요소들에 전원을 공급한다. 이러한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상기 배터리는 내장형 배터리 또는 교체가능한 형태의 배터리가 될 수 있다.
상기 각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일부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을 구현하기 위하여 서로 협력하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의 동작, 제어, 또는 제어방법은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의 구동에 의하여 이동 단말기 상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위에서 살펴본 이동 단말기(100)를 통하여 구현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에 앞서, 위에서 열거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도 1a를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무선 통신부(110)에 대하여 살펴보면, 무선 통신부(110)의 방송 수신 모듈(111)은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의 방송 관리 서버로부터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방송 채널은 위성 채널, 지상파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두 개의 방송 채널들에 대한 동시 방송 수신 또는 방송 채널 스위칭을 위해 둘 이상의 상기 방송 수신 모듈이 상기 이동단말기(100)에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리 서버는,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생성하여 송신하는 서버 또는 기 생성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제공받아 단말기에 송신하는 서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TV 방송 신호, 라디오 방송 신호, 데이터 방송 신호를 포함할 뿐만 아니라, TV 방송 신호 또는 라디오 방송 신호에 데이터 방송 신호가 결합한 형태의 방송 신호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송 신호는 디지털 방송 신호의 송수신을 위한 기술표준들(또는 방송방식, 예를 들어, ISO, IEC, DVB, ATSC 등)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 부호화될 수 있으며, 방송 수신 모듈(111)은 상기 기술표준들에서 정한 기술규격에 적합한 방식을 이용하여 상기 디지털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방송 채널, 방송 프로그램 또는 방송 서비스 제공자에 관련된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이동통신망을 통하여도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에 의해 수신될 수 있다.
상기 방송 관련 정보는 예를 들어,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의 EPG(Electronic Program Guide) 또는 DVB-H(Digital Video Broadcast-Handheld)의 ESG(Electronic Service Guide) 등의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방송 수신 모듈(111)을 통해 수신된 방송 신호 및/또는 방송 관련 정보는 메모리(160)에 저장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112)은, 이동통신을 위한 기술표준들 또는 통신방식(예를 들어,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에 따라 구축된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이동 단말기(100)에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무선 인터넷 기술들에 따른 통신망에서 무선 신호를 송수신하도록 이루어진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예를 들어 WLAN(Wireless LAN), Wi-Fi(Wireless-Fidelity), Wi-Fi(Wireless Fidelity) Direct,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등이 있으며,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에서 나열되지 않은 인터넷 기술까지 포함한 범위에서 적어도 하나의 무선 인터넷 기술에 따라 데이터를 송수신하게 된다.
WiBro, HSDPA, HSUPA, GSM, CDMA, WCDMA, LTE, LTE-A 등에 의한 무선인터넷 접속은 이동통신망을 통해 이루어진다는 관점에서 본다면, 상기 이동통신망을 통해 무선인터넷 접속을 수행하는 상기 무선 인터넷 모듈(113)은 상기 이동통신 모듈(112)의 일종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통신(Short range communication)을 위한 것으로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nfrared Data Association; IrDA),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Wi-Fi(Wireless-Fidelity), Wi-Fi Direct, Wireless USB(Wireless Universal Serial Bus) 기술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근거리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근거리 무선 통신망(Wireless Area Networks)을 통해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다른 이동 단말기(100, 또는 외부서버)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상기 근거리 무선 통신망은 근거리 무선 개인 통신망(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s)일 수 있다.
여기에서,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하는 것이 가능한(또는 연동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스마트워치(smart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가 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상기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상기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해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에 따르면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위치정보 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한 모듈로서, 그의 대표적인 예로는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또는 WiFi(Wireless Fidelity) 모듈이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는 GPS모듈을 활용하면, GPS 위성에서 보내는 신호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이동 단말기는 Wi-Fi모듈을 활용하면, Wi-Fi모듈과 무선신호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 무선 AP(Wireless Access Point)의 정보에 기반하여,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획득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서, 위치정보모듈(115)은 치환 또는 부가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에 관한 데이터를 얻기 위해 무선 통신부(110)의 다른 모듈 중 어느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위치정보모듈(115)은 이동 단말기의 위치(또는 현재 위치)를 획득하기 위해 이용되는 모듈로, 이동 단말기의 위치를 직접적으로 계산하거나 획득하는 모듈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다음으로, 입력부(120)는 영상 정보(또는 신호), 오디오 정보(또는 신호), 데이터, 또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정보의 입력을 위한 것으로서, 영상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이동 단말기(100) 는 하나 또는 복수의 카메라(121)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21)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 구비되는 복수의 카메라(121)는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매트릭스 구조를 이루는 카메라(121)를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는 다양한 각도 또는 초점을 갖는 복수의 영상정보가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카메라(121)는 입체영상을 구현하기 위한 좌 영상 및 우 영상을 획득하도록, 스트레오 구조로 배치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외부의 음향 신호를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 중인 기능(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폰(122)에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23)는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받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 입력부(123)를 통해 정보가 입력되면, 제어부(180)는 입력된 정보에 대응되도록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123)는 기계식 (mechanical) 입력수단(또는, 메커니컬 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의 전·후면 또는 측면에 위치하는 버튼, 돔 스위치 (dome switch),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 및 터치식 입력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터치식 입력수단은, 소프트웨어적인 처리를 통해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가상 키(virtual key), 소프트 키(soft key) 또는 비주얼 키(visual key)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터치스크린 이외의 부분에 배치되는 터치 키(touch key)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가상키 또는 비주얼 키는, 다양한 형태를 가지면서 터치스크린 상에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며, 예를 들어, 그래픽(graphic), 텍스트(text), 아이콘(icon), 비디오(video)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센싱부(140)는 이동 단말기 내 정보, 이동 단말기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고, 이에 대응하는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제어부(180)는 이러한 센싱 신호에 기초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구동 또는 동작을 제어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데이터 처리, 기능 또는 동작을 수행 할 수 있다. 센싱부(140)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센서 중 대표적인 센서들의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먼저, 근접 센서(141)는 소정의 검출면에 접근하는 물체, 혹은 근방에 존재하는 물체의 유무를 전자계의 힘 또는 적외선 등을 이용하여 기계적 접촉이 없이 검출하는 센서를 말한다. 이러한 근접 센서(141)는 위에서 살펴본 터치 스크린에 의해 감싸지는 이동 단말기의 내부 영역 또는 상기 터치 스크린의 근처에 근접 센서(141)가 배치될 수 있다.
근접 센서(141)의 예로는 투과형 광전 센서, 직접 반사형 광전 센서, 미러 반사형 광전 센서, 고주파 발진형 근접 센서, 정전 용량형 근접 센서, 자기형 근접 센서, 적외선 근접 센서 등이 있다. 터치 스크린이 정전식인 경우에, 근접 센서(141)는 전도성을 갖는 물체의 근접에 따른 전계의 변화로 상기 물체의 근접을 검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센서) 자체가 근접 센서로 분류될 수 있다.
한편, 설명의 편의를 위해,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접촉되지 않으면서 근접되어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위치함이 인식되도록 하는 행위를 "근접 터치(proximity touch)"라고 명명하고,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 물체가 실제로 접촉되는 행위를 "접촉 터치(contact touch)"라고 명명한다. 상기 터치 스크린 상에서 물체가 근접 터치 되는 위치라 함은, 상기 물체가 근접 터치될 때 상기 물체가 상기 터치 스크린에 대해 수직으로 대응되는 위치를 의미한다. 상기 근접 센서(141)는, 근접 터치와, 근접 터치 패턴(예를 들어, 근접 터치 거리, 근접 터치 방향, 근접 터치 속도, 근접 터치 시간, 근접 터치 위치, 근접 터치 이동 상태 등)을 감지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위와 같이, 근접 센서(141)를 통해 감지된 근접 터치 동작 및 근접 터치 패턴에 상응하는 데이터(또는 정보)를 처리하며, 나아가, 처리된 데이터에 대응하는 시각적인 정보를 터치 스크린상에 출력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 상의 동일한 지점에 대한 터치가, 근접 터치인지 또는 접촉 터치인지에 따라, 서로 다른 동작 또는 데이터(또는 정보)가 처리되도록 이동 단말기(100)를 제어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저항막 방식, 정전용량 방식, 적외선 방식, 초음파 방식, 자기장 방식 등 여러가지 터치방식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터치 스크린(또는 디스플레이부(151))에 가해지는 터치(또는 터치입력)을 감지한다.
일 예로서,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스크린 상에 터치를 가하는 터치 대상체가 터치 센서 상에 터치 되는 위치, 면적, 터치 시의 압력, 터치 시의 정전 용량 등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터치 대상체는 상기 터치 센서에 터치를 인가하는 물체로서, 예를 들어, 손가락, 터치펜 또는 스타일러스 펜(Stylus pen), 포인터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터치 제어기는, 제어부(180)와 별도의 구성요소일 수 있고, 제어부(180) 자체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터치 스크린(또는 터치 스크린 이외에 구비된 터치키)을 터치하는,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하거나,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터치 대상체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제어를 수행할지 또는 동일한 제어를 수행할 지는, 현재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상태 또는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위에서 살펴본 터치 센서 및 근접 센서는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되어, 터치 스크린에 대한 숏(또는 탭) 터치(short touch), 롱 터치(long touch), 멀티 터치(multi touch), 드래그 터치(drag touch), 플리크 터치(flick touch), 핀치-인 터치(pinch-in touch), 핀치-아웃 터치(pinch-out 터치), 스와이프(swype) 터치, 호버링(hovering) 터치 등과 같은, 다양한 방식의 터치를 센싱할 수 있다.
초음파 센서는 초음파를 이용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광 센서와 복수의 초음파 센서로부터 감지되는 정보를 통해, 파동 발생원의 위치를 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파동 발생원의 위치는, 광이 초음파보다 매우 빠른 성질, 즉, 광이 광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이 초음파가 초음파 센서에 도달하는 시간보다 매우 빠름을 이용하여, 산출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광을 기준 신호로 초음파가 도달하는 시간과의 시간차를 이용하여 파동 발생원의 위치가 산출될 수 있다.
한편, 입력부(120)의 구성으로 살펴본, 카메라(121)는 카메라 센서(예를 들어, CCD, CMOS 등), 포토 센서(또는 이미지 센서) 및 레이저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카메라(121)와 레이저 센서는 서로 조합되어, 3차원 입체영상에 대한 감지대상의 터치를 감지할 수 있다. 포토 센서는 디스플레이 소자에 적층될 수 있는데, 이러한 포토 센서는 터치 스크린에 근접한 감지대상의 움직임을 스캐닝하도록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포토 센서는 행/열에 Photo Diode와 TR(Transistor)를 실장하여 Photo Diode에 인가되는 빛의 양에 따라 변화되는 전기적 신호를 이용하여 포토 센서 위에 올려지는 내용물을 스캔한다. 즉, 포토 센서는 빛의 변화량에 따른 감지대상의 좌표 계산을 수행하며, 이를 통하여 감지대상의 위치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입체영상을 표시하는 입체 디스플레이부로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입체 디스플레이부에는 스테레오스코픽 방식(안경 방식), 오토 스테레오스코픽 방식(무안경 방식), 프로젝션 방식(홀로그래픽 방식) 등의 3차원 디스플레이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7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52)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153)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153)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될 수 있다. 햅틱 모듈(153)에서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사용자의 선택 또는 제어부(180)의 설정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햅틱 모듈(153)은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ctrode)의 접촉, 정전기력 등의 자극에 의한 효과와, 흡열이나 발열 가능한 소자를 이용한 냉온감 재현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햅틱 모듈(153)은 직접적인 접촉을 통해 촉각 효과를 전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손가락이나 팔 등의 근 감각을 통해 촉각 효과를 느낄 수 있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153)은 이동 단말기(100)의 구성 태양에 따라 2개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는 이동 단말기(100)의 광원의 빛을 이용하여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이동 단말기(1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이 될 수 있다.
광출력부(154)가 출력하는 신호는 이동 단말기가 전면이나 후면으로 단색이나 복수색의 빛을 발광함에 따라 구현된다. 상기 신호 출력은 이동 단말기가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을 감지함에 의하여 종료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 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각 구성요소에 전달하거나, 이동 단말기(1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port), 외부 충전기 포트(port), 유/무선 데이터 포트(port),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port),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port),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port), 이어폰 포트(port) 등이 인터페이스부(160)에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기(1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ty module; SIM),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universal subscriber identity module; U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를 통하여 단말기(1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이동 단말기(1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이동 단말기(1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로 동작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제어부(180)의 동작을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을 임시 저장할 수도 있다. 상기 메모리(170)는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터치 입력시 출력되는 다양한 패턴의 진동 및 음향에 관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SSD 타입(Solid State Disk type), SDD 타입(Silicon Disk Drive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및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상기 메모리(17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와 관련되어 동작될 수도 있다.
한편, 앞서 살펴본 것과 같이, 제어부(180)는 응용 프로그램과 관련된 동작과,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상태가 설정된 조건을 만족하면,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한 사용자의 제어 명령의 입력을 제한하는 잠금 상태를 실행하거나, 해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과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하거나, 터치 스크린 상에서 행해지는 필기 입력 또는 그림 그리기 입력을 각각 문자 및 이미지로 인식할 수 있는 패턴 인식 처리를 행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이하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 예들을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 상에서 구현하기 위하여,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을 중 어느 하나 또는 복수를 조합하여 제어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 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전원공급부(190)는 배터리를 포함하며, 배터리는 충전 가능하도록 이루어지는 내장형 배터리가 될 수 있으며, 충전 등을 위하여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190)는 연결포트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결포트는 배터리의 충전을 위하여 전원을 공급하는 외부 충전기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인터페이스(160)의 일 예로서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전원공급부(190)는 상기 연결포트를 이용하지 않고 무선방식으로 배터리를 충전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전원공급부(190)는 외부의 무선 전력 전송장치로부터 자기 유도 현상에 기초한 유도 결합(Inductive Coupling) 방식이나 전자기적 공진 현상에 기초한 공진 결합(Magnetic Resonance Coupling) 방식 중 하나 이상을 이용하여 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 예는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된 것을 이용하여 컴퓨터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도 1 b 및 1c를 참조하면, 개시된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단말기 바디를 구비하고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와치 타입, 클립 타입, 글래스 타입 또는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폴더 타입, 플립 타입, 슬라이드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의 특정 유형에 관련될 것이나, 이동 단말기의 특정유형에 관한 설명은 다른 타입의 이동 단말기에 일반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여기에서, 단말기 바디는 이동 단말기(100)를 적어도 하나의 집합체로 보아 이를 지칭하는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예를 들면, 프레임, 하우징, 커버 등)를 포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100)는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내부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배치된다.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미들 케이스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부(151)가 배치되어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는 프론트 케이스(101)에 장착되어 프론트 케이스(101)와 함께 단말기 바디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리어 케이스(102)에도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 가능한 전자부품은 착탈 가능한 배터리, 식별 모듈, 메모리 카드 등이 있다. 이 경우, 리어 케이스(102)에는 장착된 전자부품을 덮기 위한 후면커버(103)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후면 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로부터 분리되면, 리어 케이스(102)에 장착된 전자부품은 외부로 노출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커버(103)가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면, 리어 케이스(102)의 측면 일부가 노출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결합시 리어 케이스(102)는 후면커버(103)에 의해 완전히 가려질 수도 있다. 한편, 후면커버(103)에는 카메라(121b)나 음향 출력부(152b)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개구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케이스들(101, 102, 103)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알루미늄(Al), 티타늄(Ti) 등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의 케이스가 각종 전자부품들을 수용하는 내부 공간을 마련하는 위의 예와 달리, 하나의 케이스가 상기 내부 공간을 마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합성수지 또는 금속이 측면에서 후면으로 이어지는 유니 바디의 이동 단말기(100)가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는 단말기 바디 내부로 물이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방수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수부는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사이, 프론트 케이스(101)와 리어 케이스(102) 사이 또는 리어 케이스(102)와 후면 커버(103) 사이에 구비되어, 이들의 결합 시 내부 공간을 밀폐하는 방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디스플레이부(151),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및 제2 카메라(121a, 121b),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 마이크로폰(122), 인터페이스부(160)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디스플레이부(151), 제1 음향 출력부(152a), 근접 센서(141), 조도 센서(142), 광 출력부(154), 제1 카메라(121a) 및 제1 조작유닛(123a)이 배치되고,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제2 조작유닛(123b), 마이크로폰(122) 및 인터페이스부(160)이 배치되며,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제2 음향 출력부(152b) 및 제2 카메라(121b)가 배치된 이동 단말기(100)를 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다만, 이들 구성은 이러한 배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구성은 필요에 따라 제외 또는 대체되거나, 다른 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는 제1 조작유닛(123a)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이 아닌 단말기 바디의 측면에 구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구동되는 응용 프로그램의 실행화면 정보, 또는 이러한 실행화면 정보에 따른 UI(User Interface), GUI(Graphic User Interface)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전자잉크 디스플레이(e-ink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 방식에 의하여 제어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한 터치를 감지하는 터치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부(151)에 대하여 터치가 이루어지면, 터치센서는 상기 터치를 감지하고, 제어부(180)는 이에 근거하여 상기 터치에 대응하는 제어명령을 발생시키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터치 방식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문자 또는 숫자이거나, 각종 모드에서의 지시 또는 지정 가능한 메뉴항목 등일 수 있다.
한편, 터치센서는, 터치패턴을 구비하는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윈도우(151a)와 윈도우(151a)의 배면 상의 디스플레이(미도시) 사이에 배치되거나, 윈도우(151a)의 배면에 직접 패터닝되는 메탈 와이어가 될 수도 있다. 또는,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센서는, 디스플레이의 기판 상에 배치되거나, 디스플레이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151)는 터치센서와 함께 터치 스크린을 형성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터치 스크린은 사용자 입력부(123, 도 1a 참조)로 기능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터치 스크린은 제1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할 수 있다.
제1 음향 출력부(152a)는 통화음을 사용자의 귀에 전달시키는 리시버(receiver)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각종 알람음이나 멀티미디어의 재생음을 출력하는 라우드 스피커(loud 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윈도우(151a)에는 제1 음향 출력부(152a)로부터 발생되는 사운드의 방출을 위한 음향홀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상기 사운드는 구조물 간의 조립틈(예를 들어, 윈도우(151a)와 프론트 케이스(101) 간의 틈)을 따라 방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외관상 음향 출력을 위하여 독립적으로 형성되는 홀이 보이지 않거나 숨겨져 이동 단말기(100)의 외관이 보다 심플해질 수 있다.
광 출력부(154)는 이벤트의 발생시 이를 알리기 위한 빛을 출력하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이벤트의 예로는 메시지 수신, 호 신호 수신, 부재중 전화, 알람, 일정 알림, 이메일 수신,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정보 수신 등을 들 수 있다.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이벤트 확인이 감지되면, 빛의 출력이 종료되도록 광 출력부(154)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카메라(121a)는 촬영 모드 또는 화상통화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51)에 표시될 수 있으며, 메모리(170)에 저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일 예로서,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터치, 푸시, 스크롤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받으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은 근접 터치(proximity touch), 호버링(hovering) 터치 등을 통해서 사용자의 촉각적인 느낌이 없이 조작하게 되는 방식으로도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1 조작유닛(123a)이 터치키(touch key)인 것으로 예시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푸시키(mechanical key)가 되거나, 터치키와 푸시키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조작유닛(123a, 123b)에 의하여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조작유닛(123a)은 메뉴, 홈키, 취소, 검색 등의 명령을 입력 받고, 제2 조작유닛(123b)은 제1 또는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의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한편,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사용자 입력부(123)의 다른 일 예로서, 후면 입력부(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후면 입력부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 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입력되는 내용은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원의 온/오프,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 제1 및 제2 음향 출력부(152a, 152b)에서 출력되는 음향의 크기 조절, 디스플레이부(151)의 터치 인식 모드로의 전환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 받을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터치입력, 푸시입력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한 입력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두께방향으로 전면의 디스플레이부(151)와 중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가 단말기 바디를 한 손으로 쥐었을 때 검지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조작 가능하도록, 후면 입력부는 단말기 바디의 후면 상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후면 입력부의 위치는 변경될 수 있다.
이처럼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 후면 입력부가 구비되는 경우, 이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유저 인터페이스가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앞서 설명한 터치 스크린 또는 후면 입력부가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구비되는 제1 조작유닛(123a)의 적어도 일부 기능을 대체하여, 단말기 바디의 전면에 제1 조작유닛(123a)이 미배치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151)가 보다 대화면(大畵面)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100)에는 사용자의 지문을 인식하는 지문인식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제어부(180)는 지문인식센서를 통하여 감지되는 지문정보를 인증수단으로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지문인식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 또는 사용자 입력부(123)에 내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폰(122)은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 받도록 이루어진다. 마이크로폰(122)은 복수의 개소에 구비되어 스테레오 음향을 입력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160)는 이동 단말기(100)를 외부 기기와 연결시킬 수 있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인터페이스부(160)는 다른 장치(예를 들어, 이어폰, 외장 스피커)와의 연결을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 등], 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단자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이러한 인터페이스부(160)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소켓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의 후면에는 제2카메라(121b)가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카메라(121b)는 제1카메라(121a)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게 된다.
제2카메라(121b)는 적어도 하나의 라인을 따라 배열되는 복수의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렌즈는 행렬(matrix) 형식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이러한 카메라는, '어레이(array) 카메라'로 명명될 수 있다. 제2카메라(121b)가 어레이 카메라로 구성되는 경우, 복수의 렌즈를 이용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영상을 촬영할 수 있으며, 보다 나은 품질의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플래시(124)는 제2카메라(121b)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피사체를 향하여 빛을 비추게 된다.
단말기 바디에는 제2 음향 출력부(152b)가 추가로 배치될 수 있다. 제2 음향 출력부(152b)는 제1 음향 출력부(152a)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통화시 스피커폰 모드의 구현을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케이스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111, 도 1a 참조)의 일부를 이루는 안테나는 단말기 바디에서 인출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안테나는 필름 타입으로 형성되어 후면 커버(103)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도 있고, 도전성 재질을 포함하는 케이스가 안테나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단말기 바디에는 이동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공급부(190, 도 1a 참조)가 구비된다. 전원 공급부(190)는 단말기 바디에 내장되거나, 단말기 바디의 외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191)를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91)는 인터페이스부(160)에 연결되는 전원 케이블을 통하여 전원을 공급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191)는 무선충전기기를 통하여 무선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무선충전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공진방식(자기공명방식)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서는 후면 커버(103)가 배터리(191)를 덮도록 리어 케이스(102)에 결합되어 배터리(191)의 이탈을 제한하고, 배터리(191)를 외부 충격과 이물질로부터 보호하도록 구성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배터리(191)가 단말기 바디에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는 경우, 후면 커버(103)는 리어 케이스(102)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에는 외관을 보호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보조 또는 확장시키는 액세서리가 추가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일 예로, 이동 단말기(100)의 적어도 일면을 덮거나 수용하는 커버 또는 파우치를 들 수 있다. 커버 또는 파우치는 디스플레이부(151)와 연동되어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확장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액세서리의 다른 일 예로, 터치 스크린에 대한 터치입력을 보조 또는 확장하기 위한 터치펜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사용자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의 일 영역에 터치입력을 인가하여 문자를 입력하는 동안, 상기 터치입력을 인가하는 특정 영역과 인접하게 입력되는 문자의 편집상태를 표시한다. 이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편집상태바(510)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한편,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가 주로 손에 쥐고 사용하는 차원을 넘어서, 신체에 착용할 수 있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로 확장될 수 있다. 이러한 웨어러블 디바이스에는 스마트 워치(smart watch), 스마트 글래스(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이 있다. 이하,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확장된 이동 단말기의 예들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다른 이동 단말기(100)와 데이터를 상호 교환(또는 연동) 가능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114)은, 이동 단말기(100) 주변에 통신 가능한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감지(또는 인식)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80)는 감지된 웨어러블 디바이스가 이동 단말기(100)와 통신하도록 인증된 디바이스인 경우,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의 적어도 일부를, 근거리 통신 모듈(114)을 통하여 웨어러블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데이터를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 전화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화 통화를 수행하거나, 이동 단말기(100)에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상기 수신된 메시지를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 예와 관련된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400)의 일 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400)는 인체의 두부에 착용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를 위한 프레임부(케이스, 하우징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프레임부는 착용이 용이하도록 플렉서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프레임부가 서로 다른 재질의 제1 프레임(401)과 제2 프레임(402)을 포함하는 것을 예시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400)는 도1a 내지 도 1c의 이동 단말기(100)의 특징 또는 그와 유사한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는 두부에 지지되며, 각종 부품들이 장착되는 공간을 마련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에는 제어 모듈(480), 음향 출력 모듈(452) 등과 같은 전자부품이 장착될 수 있다. 또한, 프레임부에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를 덮는 렌즈(403)가 착탈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제어 모듈(480)은 이동 단말기(400)에 구비되는 각종 전자부품을 제어하도록 이루어진다. 제어 모듈(480)은 앞서 설명한 제어부(180)에 대응되는 구성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제어 모듈(480)이 일측 두부 상의 프레임부에 설치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하지만, 제어 모듈(480)의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디스플레이부(451)는 헤드 마운티드 디스플레이(Head Mounted Display, HMD)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HMD 형태란, 두부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보여주는 디스플레이 방식을 말한다. 사용자가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400)를 착용하였을 때, 사용자의 눈 앞에 직접 영상을 제공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451)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대응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사용자의 우안을 향하여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451)가 우안에 대응되는 부분에 위치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디스플레이부(451)는 프리즘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눈으로 이미지를 투사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투사된 이미지와 전방의 일반 시야(사용자가 눈을 통하여 바라보는 범위)를 함께 볼 수 있도록, 프리즘은 투광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디스플레이부(451)를 통하여 출력되는 영상은, 일반 시야와 오버랩(overlap)되어 보여질 수 있다. 이동 단말기(400)는 이러한 디스플레이의 특성을 이용하여 현실의 이미지나 배경에 가상 이미지를 겹쳐서 하나의 영상으로 보여주는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을 제공할 수 있다.
카메라(421)는 좌안 및 우안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전방의 영상을 촬영하도록 형성된다. 카메라(421)가 눈에 인접하여 위치하므로, 카메라(421)는 사용자가 바라보는 장면을 영상으로 획득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카메라(421)가 제어 모듈(480)에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카메라(421)는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될 수도 있으며, 복수 개로 구비되어 입체 영상을 획득하도록 이루어질 수도 있다.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400)는 제어명령을 입력 받기 위하여 조작되는 사용자 입력부(423a, 423b)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23a, 423b)는 터치, 푸시 등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본 도면에서는, 프레임부와 제어 모듈(480)에 각각 푸시 및 터치 입력 방식의 사용자 입력부(423a, 423b)가 구비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400)에는 사운드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하는 마이크로폰(미도시) 및 음향을 출력하는 음향 출력 모듈(452)이 구비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452)은 일반적인 음향 출력 방식 또는 골전도 방식으로 음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452)이 골전도 방식으로 구현되는 경우,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400)를 착용시, 음향 출력 모듈(452)은 두부에 밀착되며, 두개골을 진동시켜 음향을 전달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무선통신이 가능한 외부 장치에 신호를 송신하거나 수신하여, 외부 장치의 위치를 파악하고 외부 기기를 제어하도록 제어명령을 송신한다. 이하,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의 흐름도이고, 도 3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3a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c는 카메라 및 무선통신부의 배치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3a 및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기 설정된 거리내의 제어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외부 기기에 탐지대기요청신호(DPR, detection prepare request)를 송신한다(S510). 여기에서 외부 기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송신되는 탐지대기요청신호(DPR)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대응하는 다른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도 구비한다.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는 RF 신호(radio frequency signal)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RF 신호는 무선 등에 사용하는 고주파 신호에 해당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 구체적으로 상기 무선통신부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상기 외부 기기의 송신부로 고주파 신호를 송신한다. 즉,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는 상기 이동 단말기를 중심으로 방향성이 없이 송신된다.
즉, 상기 기 설정된 거리(R) 내의 제어영역(CA)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상기 RF 신호가 송신 가능한 영역으로 설정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영역(CA)은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의 기 설정된 세기에 의하여 결정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에 의하여, 상기 카메라의 촬영거리, 사용자 눈의 초점거리 등에 의하여 특정 거리로 정의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외부 기기(A, B, C, D, E) 중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를 수신하지 못하는 기기(E)가 존재할 수 있다.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는 상기 외부 기기가 탐지대기상태로 전환되도록 요청한다.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를 수신한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는 탐지대기응답신호(DPS)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한다. 상기 탐지대기응답신호(DPS)는 승인정보 또는 오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를 수신하고 탐지대기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승인정보를 포함하는 탐지대기응답신호(DPS)를 송신하고, 상기 탐지대기상태로 전환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오류정보를 포함하는 탐지대기응답신호(DPS)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오류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가 탐지대기상태로 전환되지 못하는 경우에 해당되며, 외부 기기가 이미 다른 신호를 처리 중이 거나, 다른 신호와 수신된 탐지대기요청신호(DPR)의 충돌이 발생한 경우 등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탐지대기응답신호(DPS)에 의하여 상기 외부 기기는 기 설정된 시간 동안 탐지대기상태를 유지한다.
송신된 탐지대기요청신호(DPR)에 의하여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를 상기 외부 기기에 재전송하기 위한 옵션을 형성한다.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가 재전송되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의 재전송 옵션이 형성되는 유효시간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기기에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를 기 설정된 횟수만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탐지대기상태로 전환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S)를 송신한 이동 단말기부로부터의 무선신호를 최우선으로 처리하고, 기타 요청은 차후 처리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카메라(121)는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A, B, C, D, E) 중 적어도 일부(A, B)를 포함하는 외부 환경의 이미지를 획득한다(S520). 구체적으로 상기 후면카메라(121b)에 의하여 상기 외부 환경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도 1c 및 도를 참조하면 상기 후면 카메라(121b)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와 배치되는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형성된다. 상기 카메라(121)는 기 설정된 시야각을 갖는다. 상기 후면 카메라(121)의 시야각에 의하여 상기 탐지대기상태로 전환된 복수의 외부 기기(A, B, C, D) 중 일부의 외부 기기(A, B)만 이미지화 될 수 있다.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외부 기기(A, B)에 제어요청신호(rs) 및 초음파 신호(us)를 송신한다(S530). 즉, 상기 탐지대기상태로 전환된 외부 기기는 상기 제어요청신호(rs)를 수신하기 위하여 대기한다. 상기 무선통신부(110)는 상기 제어요청신호(rs)를 송신한 뒤 바로 상기 초음파 신호(us)를 송신한다. 상기 제어요청신호(rs)는 RF신호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요청신호(rs)의 전달세기는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제어요청신호(rs)는 상기 탐지대기상태로 전환된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로 송신된다.
상기 초음파 신호(us)는 방향성을 갖고 상기 외부 기기 중 일부에 전달된다. 도 3c를 참조하면, 상기 초음파 송신부는 상기 후면 카메라(121)가 형성된 상기 단말기 본체의 후면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초음파 송신부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확장된 영역으로 상기 초음파가 송신되도록, 서로 이격 되어 배치되는 한 쌍의 송신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c의 (a)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송신부재는 상기 후면 카메라(121b)를 사이에 두고, 상기 이동 단말기의 너비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를 A방향으로 바라보면, 상기 후면 카메라(121b)의 시야각에 따라 이미지화되는 범위와 상기 한 쌍의 송신부재에 의하여 형성되는 송신영역이 실질적으로 동일하도록, 상기 한 쌍의 송신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도 3c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한 쌍의 송신부재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후면 카메라(121b)를 사이에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후면 카메라(121b)의 시야각에 근거하여 상기 한 쌍의 송신부재 사이의 거리는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한 쌍의 송신부재는 각각 사익 이동 단말기의 모서리와 인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후면 카메라(121b)에 의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일부 외부 기기(A, B)로 상기 초음파 신호(us)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각 단계는 매우 짧은 시간동안 순차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를 송신하는 단계와 동시에 상기 이미지(200)를 획득하는 단계가 수행되거나, 상기 이미지(200)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를 송신하는 단계보다 앞서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을 송신한 뒤 즉각적으로 상기 제어요청신호(rs)를 송신할 수 있는 바,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과 상기 제어요청신호(rs)는 실질적으로 동시에 외부 기기를 향하여 송신될 수 있다.
도 3a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미지(200) 상에 복수의 그래픽 이미지(201)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응답신호(RS)에 근거하여 상기 이미지(200)에 포함된 외부기가와 상기 응답신호(RS)를 대응시킨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응답신호(RS)에 포함된 정보를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201)를 상기 이미지(200) 상에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그래픽 이미지(201)는 상기 외부 기기가 표시되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일 영역에 출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응답신호(RS)를 외부 기기와 대응시키는 제어방법 및 그래픽 이미지의 출력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에어컨 및 상기 TV로부터 수신된 응답신호(RS_)에 의하여 상기 에어컨 및 상기 TV의 제품정보 및 제어정보(OFF된 상태)를 수집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정보에 근거하여 현재 전원이 꺼져있다는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그래픽 이미지(OFF, 201)를 상기 이미지(200)의 상기 에어컨 및 상기 TV에 오버랩되도록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cc)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일 영역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으로 인가되는 상기 제어명령(cc)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그래픽 이미지(201)는 대응되는 외부 장치를 제어하기 위한 터치입력을 수신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미지(200) 중 상기 TV와 오버랩되도록 표시되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201) 상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TV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명령(cc)에 의하여 형성된 상기 제어신호를 해당 외부 기기에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명령(cc)에 근거하여 상기 그래픽 이미지(201)에 표시되는 정보를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FF 상태를 나타내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201)에 터치입력이 수신되면, 상기 그래픽 이미지(201)를 ON 상태로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201)에 대응되는 상기 외부 기기로 상기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제어신호에 의하여 변경된 제어상태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신호(RS)를 수신할 수 있다. 변경된 데이터를 포함하는 응답신호(RS)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201)를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카메라 및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바라보는 시야에 위치하는 외부 기기를 특정하고,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특정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사전에 외부 기기를 특정하여 저장할 필요가 없다.
사용자가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외부 기기를 바라보고 있는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는 외부 기기의 이미지 등에 터치입력을 인가하여 제어할 수 있으므로, 보다 직관적으로 외부 기기에 제어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는 이동 단말기를 통하여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외부 기기의 정보만을 수신하여, 제어명령을 형성하므로 불필요한 정보의 수신을 배제하여 보다 정확한 기기의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도 3d는 한 쌍의 송신부재를 포함하는 글래스 타입 이동 단말기의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는 양 안에 대응되는 위치에 배치되는 한 쌍의 송신부재(116')를 포함한다. 상기 한 쌍의 송신부재(116')는 사용자의 얼굴의 중앙으로부터 실질적으로 동일한 거리만큼 이격 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한 쌍의 송신부재(116')는 상기 제어요청신호(rs)를 기 설정된 방향으로 송신한다. 즉, 상기 한 쌍의 송신부재(116')는 상기 양 안을 통하여 인식하는 외부환경에 배치되는 외부 기기에 상기 제어요청신호(rs)를 송신한다. 상기 탐지대기상태로 전환된 복수의 외부 기기 중, 사용자가 바라보는 방향에 위치하는 일부 외부 기기만 상기 제어요청신호(rs)를 송신할 수 있다.
도 3e는 글래스 타입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송신부재(116')는 기 설정된 각도로 상기 제어요청신호(rs)를 송신하므로, 사용자의 시야 안에 포함되는 외부 기기에 상기 제어요청신호(rs)가 송신된다. 상기 제어요청신호(rs)를 송신한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 중 일부는 상기 응답신호(RS)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상기 응답신호(RS)를 이용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451) 상에 상기 그래픽 이미지(201)를 출력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451)은 상기 외부 기기와 오버랩 되는 위치에 상기 그래픽 이미지(201)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즉, 사용자는 상기 외부 기기와 상기 그래픽 이미지(201)가 오버랩되도록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201)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여 제어신호를 형성하도록 상기 이동 단말기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201)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을 감지하도록 상기 카메라(421)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래픽 이미지(201)가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손이 상기 외부 기기와 중첩하게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중첩된 외부 기기에 대한 제어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201)와 중첩된 위치에 상기 사용자의 손이 위치하는 것으로 감지하여 제어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명령(cc)는 음성으로 입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응답신호(RS) 및 상기 마이크로폰으로 감지되는 사용자의 음성명령에 근거하여, 제어할 외부 기기를 특정하고 외부 기기의 제어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글래스 타입 이동 단말기를 이용하여 카메라를 통하여 외부 환경을 촬영하지 아니하여도, 사용자가 육안으로 파악되는 외부 기기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스처나 음성을 통하여 시야 내에 위치하는 외부 기기를 보다 편리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4a는 복수의 외부 기기를 탐지대기상태로 전환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기 설정된 거리 내(제어영역(CA))에 위치하는 복수의 외부 기기에 탐지대기요청신호(DPR)을 송신한다(S510).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을 수신한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는, 외부 신호의 송수신이 차단되는 탐지대기상태로 전환된다. 즉,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이동 단말기에서 송신하는 무선신호를 우선적으로 수신하거나, 상기 이동 단말기에 무선신호를 우선적으로 송신하도록 제어된다.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에 의하여 상기 제어영역(CA) 외에 위치하는 주변기기(E, G)로 대기신호가 전달된다(S512). 즉,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을 수신한 외부 장치는, 해당 외부 장치와 인접한 외부 기기에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을 전달한다. 이에 따라 상기 주변기기(E, F, G)는 탐지대기상태로 전환된다. 이에 따라, 상기 주변기기(E, F, G)는 상기 외부 기기(A, B, C, D)로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것이 제한되므로, 상기 탐지대기상태로 전환된 외부 기기(A. B, C, D)에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상기 외부 기기(A, B, C, D)에 상기 제어요청신호(rs)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요청신호(rs)는 상기 주변기기(E, F, G)에 송신되지 아니한다. 따라서, 상기 주변기기(E, F, G)가 사용자의 시야에 존재하거나, 상기 후면 카메라(121b)에 의하여 감지되는 경우, 상기 주변기기(E, F, G)는 탐지대기상태로 전환되지만 제어는 불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응답신호(RS)에 포함된 시간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응답신호(RS)에 포함된 정보를 상기 외부 기기와 대응시킨다. 이하, 상기 시간차 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특정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5a는 응답신호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특정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고, 도 5b는 외부 기기에 대응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을 수신한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탐지대기상태로 전환되면, 상기 제어요청신호(rs)를 수신한다(S530). 상기 제어요청신호(rs)는 상기 탐지대기상태로 전환된 상태의 복수의 외부 기기에 모두 송신될 수 있다.
상기 외부 기기 중 일부는 상기 초음파 신호(us)를 수신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무선통신부(110)는 상기 제어요청신호(rs)를 송신하고 바로 상기 초음파 신호(us)를 송신한다. 여기에서 상기 초음파 신호(us)를 수신하는 상기 외부 기기의 일부는, 글래서 타입 이동 단말기(400)인 경우 사용자의 시선방향에 의하여 결정되고, 카메라(121)를 구비하는 이동 단말기(100)의 경우에는 상기 카메라(121)의 촬영방향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후면 카메라(121b)가 활성화되는 동안, 상기 전면 카메라(121a)를 함께 활성화 시켜 사용자의 눈동자의 이동을 감지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면 카메라(121a)를 통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위치하는 곳을 파악하고,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따라 상기 초음파(us)신호를 송신하는 방향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전면 카메라(121a) 및 상기 후면 카메라(121b)가 함께 활성화 되는 경우, 사용자의 시선의 이동까지 파악하여 사용자가 바라보고 있는 외부 기기로 보다 정확하게 초음파 신호(us)를 송신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신호(us)를 수신한 상기 외부 기기 중 일부는 상기 초음파 신호(us) 및 상기 제어요청신호(rs)가 수신된 시간차(timestamp)를 추정한다(S560). 상기 초음파 신호(us)와 상기 제어요청신호(rs)는 서로 다른 종류의 무선신호로 이루어지므로, 서로 다른 속도를 가지고 상기 외부 기기로 전달된다.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초음파 신호(us)와 상기 제어요청신호(rs)의 도달신호의 차이에 의한 시간차(timestamp) 정보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신호(us)와 상기 제어요청신호(rs)가 외부 기기에 도달하는 시간차에 의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까지의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서로 다른 거리로 떨어져 있는 복수의 외부 기기들 각각의 시간차는 서로 다르게 측정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복수의 외부 기기에서 수신된 시간차 정보를 이용하여, 각 외부 기기가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의 상대적인 거리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들 사이의 거리를 상기 시간차 정보를 이용하여 산출 할 수 있다.
상기 초음파 신호(us)를 수신한 상기 외부 기기(A, B)는 상기 응답신호(RS)를 송신한다(S541). 상기 응답신호(RS)는 상기 시간차(timestamp)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외부 기기의 종류, 제어상태(예를 들어, 외부 기기가 TV에 해당되는 경우 TV의 전원 켜짐/꺼짐 상태, 수신된 채널의 종류, 출력 중인 화면정보에 관한 정보, 소리의 크기, 소리의 출력효과 등), 제어종류(예를 들어, 외부 기기가 TV인 경우, 전원, 채널의 변경, 볼륨의 변경 등)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대적인 거리 및 상기 응답신호(RS)에 포함된 외부 기기의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후면 카메라(121b)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200)에 포함된 복수의 외부 기기를 구별한다. 상기 초음파 신호(us)는 상기 이미지(200)를 촬영하기 위한 촬영영역과 중첩되는 영역으로 송신되었는바,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수신된 응답신호(RS)는 상기 이미지 상에 포함되는 외부 기기로부터 수신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간차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응답신호(RS)와 상기 이미지 상의 외부 기기를 대응시킨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응답신호(RS)에 근거하여 각 외부 기기에 대응되는 그래픽 이미지를 형성하고, 제어부(180)상기 제어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와 함께 상기 이미지(20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후면 카메라(121b)에 의하여 에어컨(A)와 TV(B)가 감지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후면 카메라(121b)에 의하여 획득된 이미지(200)를 출력하며, 상기 이미지(200)는 촬영을 위한 프리뷰(preview) 이미지에 해당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촬영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상기 외부환경이 이미지로 저장된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201)와 함께 상기 이미지(20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5b의 (a)를 참조하면 제1 그래픽 이미지(211)는 외부 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문자에 해당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문자는 에어컨(A/C), TV 등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는 외부 기기가 생산될 때 부여되는 고유 번호(예를 들어, 시리얼 넘버)에 해당될 수 있다. 같은 종류의 복수의 외부 기기가 이미지에 포함되는 경우, 상기 고유번호를 이용하여 복수의 외부 기기를 구별할 수 있다.
도 5b의 (b)를 참조하면, 제2 그래픽 이미지(212)는 상기 이미지의 변형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그래픽 이미지(212)는 외부 기기가 표시된 디스플레이부(151) 상의 영역의 색깔, 밝기 등을 조절하거나, 상기 외부 기기의 가장자리를 변형시킬 수 있다.
또는 상기 제2 그래픽 이미지(212)는 상기 제어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정보에 근거하여 전원이 켜져 있는 외부 기기의 밝기는 밝게, 전원이 꺼져있는 외부 기기의 밝기는 어둡게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문자를 읽지 않고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도 5b의 (c)를 참조하면, 제3 그래픽 이미지(213)는 상기 제어정보 중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아이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콘은 사용자의 터치입력을 수신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구체적인 기능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컨의 온도 조절, 방향 조절에 대응되는 아이콘, TV의 채널변경, 볼륨 조절에 대응되는 아이콘 등에 해당될 수 있다.
도 5b에 도시된 상기 제1 내지 제3 그래픽 이미지(211, 212, 213)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각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형성한다. 상기 그래픽 이미지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의 다양한 방식(롱 터치, 드래깅 터치, 멀티 터치 등)에 의하여 상기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서로 다른 제어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내지 제3 그래픽 이미지(211, 212, 213)은 상기 이미지 상에 특정된 외부 기기를 표시하고, 상기 특정된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명령(cc)를 수신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기 응답신호(RS)에 의하여 사용자는 제어가능한 외부 기기를 인식하고, 상기 외부 기기에 간편하게 제어명령을 인가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하지는 아니하였으나, 상기 제어명령(cc)에 근거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제어상태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변경된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응답신호(RS)를 추가적으로 수신한다. 상기 응답신호(RS)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를 변경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그래픽 이미지는, 상기 글래스 타입 이동 단말기(400)의 상기 디스플레이부(415)에 의하여 출력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상기 이동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 및 상기 제어요청신호(rs)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였다. 이하, 하나의 외부 기기로부터 제어요청신호(rs)가 송신되는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에서 상기 외부 기기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으며, 다른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다른 이동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는 비콘(beacon) 모드에서 시스템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6b 및 도 6c는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도 6a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A, B, C, D)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을 송신하면,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A, B, C, D)는 탐지대기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A, B, C, D)는 주변기기(E, G)에 탐지대기요청신호(DPR)을 송신하고, 상기 주변기기(G)도 탐지대기상태로 전환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상기 탐지대기상태인 복수의 주변 기기중 지정기기(E)에 비콘요청신호(BRS)를 송신한다(S610). 상기 비콘요청신호(BRS)를 수신한 상기 지정기기(E)는 상기 외부 기기(A, B, C, D, F, G) 및 상기 이동 단말기에 상기 제어요청신호(rs)를 송신하고(S630), 상기 제어요청신호(rs)를 수신한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초음파 신호(us)를 일부 기기(A, B)에 송신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제어요청신호(rs)에 근거하여 즉각적으로 초음파 신호(us)를 송신한다. 따라서, 제어요청신호(rs)를 송신한 후 순차적으로 초음파 신호(us)를 송신하는데 걸리는 버퍼(buffer) 등에 의한 시간지연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초음파 신호(us)를 수신한 상기 외부 기기의 일부가 상기 시간차 정보를 형성할 때, 상기 이동 단말기의 버버퍼(buffer) 등에 의한 시간 지연에 따른 오차를 방지할 수 있는 바, 상기 외부 기기의 상기 이동 단말기에 대한 상대적인 위치를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초음파(us)를 수신한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응답신호(RS)를 수신하고(S540), 상기 제어정보를 나타내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와 함께 상기 이미지(200)를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한다(S550).
도 6c는 탐지대기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복수의 탐지노드가 형성되는 경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c의 (a)는 복수의 외부 기기(A, B, C, D, E, F, G)가 존재하고, 이동 단말기(100) 및 다른 단말기(100')이 존재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 및 상기 다른 단말기(100')는 각각 탐지노드로 정의된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와 상기 다른 단말기(100')는 모두 신호의 송신부 및 수신부를 포함하므로, 서로가 탐지대상이 될 수 있다.
즉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상기 다른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송신된 탐지대기요청신호(DPR)을 수신할 수 있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을 수신하면, 상기 외부 기기로 송신하고자 예정되어 있던 무선신호의 송신을 지연시키도록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제어부(180)는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을 수신한 시각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외부 기기로의 무선신호 송신을 제한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로 송신되는 중복되는 탐지대기요청신호(DPR)를 방지함으로써, 복수의 탐지노트가 존재하는 경우에도 탐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6c의 (b)는 외부 기기가 탐지대기 상태인 경우, 복수의 탐지노드가 형성된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 6c의 (b)를 참조하면,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를 수신한 복수의 외부 기기(A, B, C, D)는 탐지대기상태로 전환된다. 이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100)로부터 탐지대기요청신호(DPR)가 다시 수신되면, 상기 외부 기기는 오류정보(ER)를 포함하는 응답신호(RS)를 송신한다. 즉, 상기 이동 단말기의 사용자는 상기 오류정보(ER)를 포함하는 응답신호(RS)를 통하여, 외부 기기가 다른 탐지노드(다른 이동 단말기 또는 제어장치)에 의하여 제어되고 있음을 인식할 수 있다.
도 7a은 탐지노드의 위치 변화에 따른 외부 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7b는 도 7a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기가 움직이는 경우 상기 외부 기기의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제어방법에 해당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이동 단말기의 후면 카메라(121b)에 의하여 동영상이 촬영되고 있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이동에 따라 기 설정된 연속기간 동안에는 제어요청신호(rs)의 송신을 차단하고 상기 초음파 신호(us)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이동 단말기는 복수의 외부 기기가 탐지대기 상태인 경우, 제어요청신호(rs)를 상기 외부 기기로 송신한다(S530).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요청신호(rs)를 송신한 뒤 기 설정된 리셋타임(T) 이상의 시간(t)이 흐른 경우, 상기 초음파 신호(us)를 송신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리셋타임(T)이 경과할 때 까지 초음파 신호(us)의 송신을 대기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리셋타임(T)이 상기 지연된 시간(t)보다 크거나 같은 경우, 송신횟수(m, m은 0을 포함하는 자연수)를 증가시키고, m+1을 기준 횟수(N)과 비교한다. 상기 리셋타임(T)이 경과한 횟수가 기준 횟수(N)보다 작은 경우, 상기 초음파 신호(us)를 송신한다.
상기 초음파 신호(us)를 송신한 후, 상기 제어부(180)는 초음파 신호(us)의 송신후 경과한 시간(t)을 다시 상기 리셋타임(T)과 비교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초음파 신호(us)에 근거한 응답신호(RS)를 수신한다(S540).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리셋타임(T)이 경과할 때 마다 상기 초음파 신호(us)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110)를 제어한다. 상기 리셋타임(T)이 기준 횟수(N)번 경과할 때까지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요청신호(rs)의 송신을 제한한다.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초음파 신호(us)를 수신하면, 상기 리셋타임(T)으로부터 상기 초음파 신호(us)가 수신되는 시간의 시간차를 산출하고, 상기 시간차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한다. 상기 이동 단말기의 시간차 정보가 변하는 경우,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으로 파악하고 상기 시간차의 변화에 따른 상기 외부 기기의 위치를 계속적으로 추적한다. 즉,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초음파 신호(us)에 근거하여 제어정보를 연속적으로 송신하지 아니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리셋타임(T)이 상기 기준횟수(N) 이상 지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요청신호(rs)를 다시 상기 외부 기기에 송신하도록 제어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요청신호(rs)를 상기 움직이는 이동 단말기에 의한 상기 외부 기기 위치 추적을 해지하는 명령으로 설정한다. 이에 따라, 상기 외부 기기는 상기 제어요청신호(rs)가 재수신 되면, 연속적인 초음파 신호의 수신 및 이에 대한 시간차 정보의 송신단계의 수행이 중단되었음을 인지할 수 있다.
즉, 연속적으로 송신되는 초음파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외부 기기의 시간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동하는 이동 단말기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의 변화하는 상대위치를 추적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후면 카메라(121b)가 활성화되는 동안, 상기 전면 카메라(121a)가 사용자의 시선을 감지하는 경우에는 상기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과 동일하게 판단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전면 카메라(121a)에 의하여 사용자의 시선이 이동하는 것으로 감지되면, 상기 초음파 신호(us)를 연속적으로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 구체적으로 도시되지 아니하였으나,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DPR)을 송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요청신호(rs)를 송신하는 단계는 도 6a의 실시예의 해당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중복되는 설명은 도 6a의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a를 참조하여, 이미지에 포함되는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를 메모리에 저장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8a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후면 카메라(121b)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현재 카메라(121)를 통하여 획득된 프리뷰 이미지를 출력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명령이 수신되면, 상기 프리뷰 이미지를 이미지 파일로 저장하도록 상기 메모리(170)를 제어한다.
도 8a의 (a)는 상기 메모리(170)에 저장된 제1 이미지 파일(200)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151)를 도시한 도면이다. 상기 제1 이미지 파일(200)은 상기 외부 환경을 촬영한 이미지, 예를 들어, 특정 각도에서 획득된 에어컨. TV, 창문, 벽 등의 이미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200)은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외부 기기에 대응되는 제1 그래픽 이미지(201)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그래픽 이미지(201)는 상기 외부 기기의 전원 상태, 상기 외부 기기의 특정 기능에 대한 정보(에어컨의 운행 온도, 풍량, TV의 채널정보, 볼륨 등)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그래픽 이미지(201)은 상기 이미지(200) 상에서 상기 외부 기기가 표시되는 영역에 오버랩되도록 출력될 수 있다.
도 8a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제1 이미지 파일(200)은 다른 이미지들과 함께 저장될 수 있으며, 상기 제1 이미지 파일(200)을 확대 출력하기 위한 아이콘(200')은 상기 제1 그래픽 이미지(201)에 포함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이콘(200')은 상기 제1 그래픽 이미지(201)와 대응되는 외부 기기의 종류 및 상기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를 나타내는 텍스트 등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아이콘(200')에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200)을 출력할 수 있다.
도 8b는 이미지 파일을 전송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8b의 (a)는 외부 환경을 촬영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상기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제어명령에 근거하여 촬영된 제1 이미지 파일을 외부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메신저 애플리케이션, 메시지 애플리케이션, 메일 전송 애플리케이션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200)과 함께 저장된 상기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를 사익 외부장치에 전송하도록 상기 무선 통신부(110)를 제어한다.
도 8b의 (c)를 참조하면, 상기 외부장치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200) 및 상기 제1 이미지 파일(200)에 포함된 외부 기기(에어컨, TV)의 제어정보를 함께 수신한다. 또한, 상기 제1 이미지 파일(200)이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전체적으로 출력된 경우, 상기 외부장치의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제1 이미지 파일(200)에 포함된 제1 그래픽 이미지(201)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이미지와 함께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를 함께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제어정보를 포함한 상기 이미지 파일을 외부장치에 전달 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외부 환경이 촬영되는 단계 또는 상기 제어명령이 포함된 이미지 파일을 외부로 송신하는 단계에서, 사용자의 설정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정보의 저장 또는 송신 여부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카메라에 의하여 본인이 바라보는 외부 기기의 사진 및 제어정보를 함께 획득할 수 있을 뿐 만 아니라, 상기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를 한번에 획득할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을 이용한 외부 기기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외부장치로 전송하고자 하는 이미지 파일에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가 포함된 경우에, 상기 이미지 파일에 포함된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데이터를 함께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한다.
즉, 상기 이미지 파일을 수신한 상대방 기기는 상기 이미지 파일 및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함께 실행하여, 상기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는 이미지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9a를 참조하여, 촬영된 이미지가 출력되는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터치입력을 인가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도 9a의 (a)를 참조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되는 이미지는 제1 내지 제3 외부 기기(221, 222, 223)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내지 데3 외부 기기(221, 222, 223)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카테고리의 장치에 해당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내지 제3 외부 기기(221, 222, 223)은 조명에 해당되며, 상기 제1 외부 기기(221)는 전원이 켜진(ON)상태이고, 상기 제2 및 제3 외부 기기(222, 223)은 전원이 꺼진(OFF) 상태에 해당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미지 상에 연속적인 터치입력으로 이루어지는 제어명령(cc)에 근거하여 상기 제1 내지 제3 외부 기기(221, 222, 223)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명령(cc)은 상기 제1 외부 기기(221)에 최초 인가되어 상기 제2 외부 기기(222)에서 해지되는 드래그(drag)방식의 터치입력에 해당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1 외부 기기(221)에 최초 터치입력이 인가되면 상기 제1 외부 기기(221)의 제어정보를 기억하고, 상기 제2 외부 기기(222)에서 터치입력이 해지되면 상기 제1 외부 기기(221)의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제2 외부 기기(222)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1 외부 기기(221)의 제어정보는 밝기 10으로 켜짐 상태의 데이터가 포함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명령(cc)에 근거하여 상기 제2 외부 기기(222)가 밝기 10으로 켜짐 상태로 구동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형성하고, 상기 제2 외부기기(222)로 송신한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제1 외부 기기(221)에 터치입력이 인가된 경우, 상기 제1 외부 기기(221)의 복수의 제어정보를 출력하고,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제어정보 중 일부를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외부 기기(222)에 적용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여, 이미지 파일을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도 9b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이미지 파일(230)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이미지 파일(230)을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출력하고, 상기 카메라(121b)를 활성화시켜 프리뷰 이미지(220)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예를 들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분할된 두 영역에 상기 이미지 파일(230) 및 상기 프리뷰 이미지(220)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프리뷰 이미지(220)는 상기 제1 내지 제3 외부 기기(221, 222, 223)이 포함되고, 상기 이미지 파일(230)에는 외부 기기의 이미지(321)가 포함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카메라(121b)에 의하여 획득되는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이미지 파일(230)에 최초로 인가되어 상기 프리뷰 이미지(220)에서 해지되는 연속적인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외부 기기의 이미지(231)에 최초 인가되어 이동하는 연속적인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외부 기기 이미지(231)의 제어정보를 기억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연속적이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이미지(231)을 상기 프리뷰 이미지(220)에 오버랩하여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외부 기기의 이미지(231)가 상기 프리뷰 이미지(220) 상의 외부 기기에 오버랩 된 상태로 해지되면, 상기 터치입력이 해지된 위치의 외부 기기를 상기 제어정보에 근거하여 제어하도록 제어신호를 형성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저장되어 있던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에 따른 기능을 수행하도록 상기 프리뷰 이미지에 포함된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어정보에 따른 기능이 상기 외부 기기에 의하여 실행되지 못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제어의 불가능함을 알리는 경고메시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서로 다른 외부기기를 제어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같은 외부 기기에 대하여 과거에 저장해두었던 제어정보에 근거하여 실질적으로 동일한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원격으로 제어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이미지와 함께 저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저장된 제어정보를 다른 외부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기존에 사용하였던 외부 기기의 설정상태, 기능 등을 기억할 필요 없이 저장 및 재구동시킬 수 있고, 다른 기기에 적용된 설정상태, 기능 등을 현재 사용자가 위치하는 공간의 외부 기기에 적용시킬 수 있다.
도 10은 제어정보를 이용하여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0의 (a) 및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촬영명령에 근거하여 외부 환경을 촬영한다. 저장된 이미지(240)가 상기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와 함께 저장된 경우,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상기 이미지(240)와 함께 제어정보에 대응되는 그래픽 이미지(241)를 출력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정보와 함께 저장된 이미지(240)가 출력되는 경우, 외부 기기를 제어하기 위하여 실행될 애플리케이션에 대응되는 아이콘(C)를 함께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를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241) 및 상기 아이콘(C)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애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킬 수 있다.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에 근거하여,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후면 카메라(121b)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디스플레이부(151)는 분할된 영역에 상기 카메라에 의한 프리뷰 이미지(200') 및 상기 이미지(240)를 출력한다. 상기 그래픽 이미지(241)는 상기 이미지(24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241) 및 상기 프리뷰 이미지(200') 상에 인가되는 연속적인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프리뷰 이미지(200')에 포함되는 외부 기기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그래픽 이미지(241)는 라디오의 음원 재생정보에 대응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241)에 인가되는 연속적인 터치입력이 상기 TV가 표시되는 영역에서 해지되는 경우 상기 TV가 상기 음원 재생정보에 근거하여 구동되도록 하는 제어신호를 형성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서버를 통하여 상기 음원에 대한 파일을 검색 및 다운로드(download)하여 상기 TV를 통하여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11은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를 이미지와 함께 획득하기 위한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11의 (a)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아이콘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외부 환경의 이미지를 획득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 없이 상기 외부환경을 촬영한다.
한편 도 11의 (b)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프리뷰 이미지상에서 외부 기기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을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1) 상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프리뷰 이미지 상에 포함된 외부 기기를 특정한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특정된 외부 기기에 관한 제어정보를 상기 응답신호(RS)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이미지와 함께 저장한다. 즉, 상기 제어부(180)는 프리뷰 이미지가 출력되는 동안 디스플레이부(151)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프리뷰 이미지 상에서 선택된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만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80)는 상기 제어정보가 저장된 경우, 획득된 이미지(200)와 함께 상기 제어정보의 대상이 되는 외부 기기의 정보(TV)를 포함하는 그래픽 이미지(201)를 함께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외부 기기가 포함되는 경우에도 제어정보 없이 이미지만을 저장할 수 있고, 복수의 외부 기기가 프리뷰 이미지에 포함되는 경우 선택적으로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21)
- 본체;
기 설정된 거리 내의 제어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외부 기기를 대기상태로 전환시키는 탐지대기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본체의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대기상태로 전환된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이미지를 획득하는 카메라;
상기 이미지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일면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 중 상기 이미지에 포함된 일부 외부 기기에 선택적으로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부; 및
상기 초음파 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일부 외부 기기로부터 상기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정보를 포함하는 그래픽 이미지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그래픽 이미지에 인가되는 터치입력에 근거하여 상기 그래픽 이미지에 대응되는 외부 기기를 제어하는 제어신호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픽 이미지는 상기 외부 기기의 종류, 제어상태, 고유번호,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상태 및 기능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시키기 위한 복수의 아이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는, 상기 외부 기기로부터 송신되는 무선신호를 최우선적으로 수신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명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가 송신된 뒤,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로 제어요청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를 송신한 뒤 상기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신호 및 상기 제어요청신호가 상기 일부 외부 기기에 도달된 시간차 정보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차 정보는 상기 제어정보와 함께 수신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시간차 정보를 근거로 상기 본체와 상기 일부 외부 기기와의 거리를 산출하고, 상기 시간차 정보 근거하여 상기 제어정보와 상기 이미지 상에서 상기 외부 기기를 매칭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가 송신된 뒤, 상기 제어영역 외의 주변기기에, 제어요청신호의 송신명령을 포함하는 비콘요청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주변기기로부터 상기 제어요청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초음파 신호를 상기 일부 외부 기기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정보는, 상기 대기상태로 전환된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에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를 송신한 경우 오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오류정보에 근거하여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제어요청신호의 송신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기 설정된 리셋타임 간격으로 기 설정된 기준횟수 번 반복하여 상기 초음파 신호를 송신하도록 상기 초음파 송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초음파 신호가 반복하여 송신되는 동안,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요청신호의 송신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초음파 신호에 따른 시간차 정보에 근거하여 상기 본체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타면에 장착되어 사용자의 시선의 이동을 감지하는 전면 카메라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시선에 근거하여 상기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방향을 변경하도록 상기 초음파 송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타 단말기로부터 송신된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를 수신한 경우,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의 송신을 차단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와 함께 상기 제어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복수의 외부 기기; 및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 사이에 배치되는 이동 단말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동 단말기는,
본체;
상기 복수의 외부기기 중 상기 이동 단말기 본체로부터 기 설정된 거리 내로 정의되는 제어영역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어 기기로 탐지대기요청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본체로부터 기 설정된 각도 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어 기기 중 일부 제어기기에 초음파를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부; 및
상기 일부 제어기기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형성하는 제어명령을 감지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시스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제어 기기는, 상기 제어영역 외의 외부 기기로 상기 탐지대기요청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시스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통신부는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 중 상기 제어영역 외에 배치되는 지정기기에 비콘요청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지정기기는 상기 비콘요청신호에 근거하여 제어요청신호를 나머지 외부 기기 및 상기 이동 단말기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어시스템. - 사용자의 제어명령을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구비하는 본체;
상기 본체를 기준으로 기 설정된 거리 내에 위치하는 복수의 외부 기기를 대기상태로 전환시키는 대기신호를 송신하는 무선통신부;
상기 본체의 일 영역에 장착되어, 상기 복수의 외부 기기 중 기 설정된 각도 내의 위치하는 일부 외부 기기에 요청신호를 송신하는 초음파 송신부;
상기 요청신호에 대응되는 응답신호를 수신하도록 상기 무선통신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명령을 수신하도록 상기 사용자 입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사용자의 두부에 고정가능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상기 본체에 고정되어 상기 외부 기기 및 사용자의 제스쳐를 함께 감지하는 카메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신호에 근거하여 상기 외부 기기의 제어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1631A KR101595957B1 (ko) | 2014-06-12 | 2014-06-12 | 이동 단말기 및 제어 시스템 |
PCT/KR2014/012364 WO2015190662A1 (en) | 2014-06-12 | 2014-12-15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system |
EP14894456.4A EP3155865B1 (en) | 2014-06-12 | 2014-12-15 | Mobile terminal |
US14/622,573 US9886848B2 (en) | 2014-06-12 | 2015-02-13 | Mobile terminal and control system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40071631A KR101595957B1 (ko) | 2014-06-12 | 2014-06-12 | 이동 단말기 및 제어 시스템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142524A KR20150142524A (ko) | 2015-12-22 |
KR101595957B1 true KR101595957B1 (ko) | 2016-02-18 |
Family
ID=54833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40071631A KR101595957B1 (ko) | 2014-06-12 | 2014-06-12 | 이동 단말기 및 제어 시스템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9886848B2 (ko) |
EP (1) | EP3155865B1 (ko) |
KR (1) | KR101595957B1 (ko) |
WO (1) | WO201519066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619036B2 (en) * | 2012-05-11 | 2017-04-11 | Comcast Cable Communications, Llc | System and methods for controlling a user experience |
CN108604404A (zh) * | 2016-03-29 | 2018-09-28 | 华为技术有限公司 | 红外遥控方法、终端及装置 |
KR102552936B1 (ko) * | 2016-04-12 | 2023-07-10 |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JP6699342B2 (ja) * | 2016-05-18 | 2020-05-27 | 富士通株式会社 |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
US10303118B2 (en) | 2017-01-16 | 2019-05-28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Holographic representations of digital object transfers |
FR3078576A1 (fr) * | 2018-03-02 | 2019-09-06 | Orange | Dispositif pour telecommander un appareil |
CN110365936B (zh) * | 2018-04-11 | 2021-03-16 | 杭州海康威视系统技术有限公司 | 码流获取方法、装置及系统 |
US20200004489A1 (en) * | 2018-06-29 | 2020-01-02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Ultrasonic discovery protocol for display devices |
US10803336B2 (en) * | 2018-08-08 | 2020-10-13 | Google Llc | Multi-angle object recognition |
US11328692B2 (en) | 2019-08-06 | 2022-05-10 | Alexandra Cartier | Head-mounted situational awareness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
CN115997388A (zh) * | 2020-07-08 | 2023-04-21 | 麦克赛尔株式会社 | 信息处理终端、远程控制方法以及程序 |
US20220066223A1 (en) * | 2020-09-01 | 2022-03-03 | XRSpace CO., LTD. | Head mounted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
EP3970817A1 (en) * | 2020-09-17 | 2022-03-23 | XRSpace CO., LTD. | Head mounted display and control method thereof |
US20230021589A1 (en) * | 2022-09-30 | 2023-01-26 | Intel Corporation | Determining external display orientation using ultrasound time of flight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085190A1 (en) | 2012-09-26 | 2014-03-27 |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 Display, Imaging System and Controller for Eyewear Display Device |
US20140146124A1 (en) | 2012-11-23 | 2014-05-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glass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glasses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434424B2 (ja) * | 2000-04-18 | 2010-03-17 | 株式会社ルネサステクノロジ | ホームエレクトロニクスシステム、ホームサーバ装置およびコンピュータをホームサーバ装置として機能させるため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取可能な記録媒体 |
US8323106B2 (en) * | 2008-05-30 | 2012-12-04 | Sony Computer Entertainment America Llc | Determination of controller three-dimensional location using image analysis and ultrasonic communication |
CN101030321B (zh) * | 2006-03-01 | 2011-05-11 | 松下电器产业株式会社 | 遥控器、影像设备、遥控方法及系统 |
US8406162B2 (en) * | 2008-05-16 | 2013-03-26 | La Crosse Technology, Ltd. |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receiving, displaying and playing weather data |
DE102011101387A1 (de) * | 2011-05-12 | 2012-11-15 | Abb Ag | Tragbares Anzeige- und Bediengerät |
WO2013093906A1 (en) * | 2011-09-19 | 2013-06-27 | Eyesight Mobile Technologies Ltd. | Touch free interface for augmented reality systems |
US20130187766A1 (en) * | 2012-01-20 | 2013-07-25 | Benjamin Mathews | Systems and Methods for Remotely Locating and Optionally Adjusting Fixtures |
US9389690B2 (en) * | 2012-03-01 | 2016-07-12 | Qualcomm Incorporated | Gesture detection based on information from multiple types of sensors |
KR102080743B1 (ko) * | 2013-03-08 | 2020-02-2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
2014
- 2014-06-12 KR KR1020140071631A patent/KR101595957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4-12-15 WO PCT/KR2014/012364 patent/WO2015190662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4-12-15 EP EP14894456.4A patent/EP3155865B1/en not_active Not-in-force
-
2015
- 2015-02-13 US US14/622,573 patent/US9886848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140085190A1 (en) | 2012-09-26 | 2014-03-27 | Dolby Laboratories Licensing Corporation | Display, Imaging System and Controller for Eyewear Display Device |
US20140146124A1 (en) | 2012-11-23 | 2014-05-29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Display apparatus, method for controlling the display apparatus, glasse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glasses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3155865A4 (en) | 2018-02-21 |
EP3155865B1 (en) | 2019-02-06 |
WO2015190662A1 (en) | 2015-12-17 |
US9886848B2 (en) | 2018-02-06 |
KR20150142524A (ko) | 2015-12-22 |
EP3155865A1 (en) | 2017-04-19 |
US20150364037A1 (en) | 2015-12-1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95957B1 (ko) | 이동 단말기 및 제어 시스템 | |
KR101751347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20160131720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80023310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21159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14609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20150142516A (ko) | 글래스 타입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
KR20170020069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영상촬영 방법 | |
KR20150105845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146091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50131837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 방법 | |
KR20180000255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20170055867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04706A (ko) | 이동 단말기의 홍채 인식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60001229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53691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612863B1 (ko) | 이동 단말기 및 제어 시스템 | |
KR20180037370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70023648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의 제어방법 | |
KR20160029348A (ko) | 글래스형 이동 단말기 | |
KR101591329B1 (ko) | 이동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 |
KR20160041710A (ko) | 글래스 타입의 이동 단말기 | |
KR101641565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77907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60076273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114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