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71847B1 -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 Google Patents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71847B1
KR101571847B1 KR1020130163997A KR20130163997A KR101571847B1 KR 101571847 B1 KR101571847 B1 KR 101571847B1 KR 1020130163997 A KR1020130163997 A KR 1020130163997A KR 20130163997 A KR20130163997 A KR 20130163997A KR 101571847 B1 KR101571847 B1 KR 10157184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ttom plate
refractory
modular unit
concrete
colum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639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76344A (ko
Inventor
김갑득
Original Assignee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1301639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71847B1/ko
Publication of KR20150076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7634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71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71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348Structures composed of units comprising at least considerable parts of two sides of a room, e.g. box-like or cell-like units closed or in skeleton form
    • E04B1/34815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 E04B1/34853Elements not integrated in a skeleton the supporting structure being composed of two or more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02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 E04B5/04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formed substantially of prefabricated units with beams or slabs of concrete or other stone-like material, e.g. asbestos cement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82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sound only
    • E04B1/84Sound-absorbing elements
    • E04B1/86Sound-absorbing elements slab-shap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5Load-supporting structur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는 천장보와, 상기 기둥부재의 하측에 설치되는 바닥보를 구비하는 모듈러유닛에 사용되는 바닥판 구조체로서, 상기 모듈러유닛의 바닥판을 형성하는 바닥판부재; 및, 상기 바닥판부재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내화바닥보;를 포함하고, 상기 내화바닥보는, 상기 내화바닥보의 길이방향으로 매립형성되는 프레임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의 양단에 구비되고, 접합공간부로 노출형성되어 상기 기둥부재와의 접합부를 제공하는 엔드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부재와 상기 내화바닥보는 콘크리트부재가 일체로 타설되고, 상기 콘크리트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를 둘러싸는 형태로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콘크리트부재로 피복되는 내화바닥보의 구성과, 바닥판부재와 상기 내화바닥보는 콘크리트부재가 일체로 타설되는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바닥판 구조체의 내화성능을 확보하면서도 내화바닥보를 바닥판부재와 견고하게 일체화시켜 구조적 성능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러유닛{FLOOR STRUCTURE OF MODULAR UNIT AND MODULAR UNIT OF USING IT}
본 발명은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러유닛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듈러유닛의 바닥판구조체의 내화피복 방법을 개선하여, 공기를 단축하고 비용 절감이 가능한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러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듈러 공법(Modular Construction)은 공장에서 제작 및 조립된 3차원적인 상자형의 모듈 유닛을 현장으로 운반하여 조립하는 공법이다. 상기 모듈 유닛은 전기 및 기계설비, 창호를 포함한 내외장재, 바닥재, 천장재 등을 포함한다. 이에 건축물의 90% 이상이 공장에서 완성된다.
모듈러 공법을 적용한 모듈러 건축물은 공장에서 제작된 각 모듈 유닛을 현장에서 상하, 전후, 좌우로 조립하여 완성된다. 또한, 상기 모듈 유닛은 동일한 형태와 크기로 제작되어 조립 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상기 모듈러 건축물은 공장생산을 통한 품질의 향상과 조립 및 해체가 용이하여 현장시공시 공기 단축을 통한 비용 절감의 효과가 있어 최근 들어 다양한 유형의 건축물에 폭넓게 적용되고 있다.
모듈러 건축물이란 구조부재, 바닥판, 천장재, 내외부 마감재 및 설비 등을 포함하는 박스형의 단위모듈을 공장에서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송하여 적층 설치하는 공법으로 공사기간의 획기적인 단축을 통한 비용감소 및 공장생산을 통한 효과적인 품질관리를 그 목적으로 한다.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하는 시스템에는 구조시스템, 바닥판 시스템과, 벽체시스템, 천장시스템, 화장실시스템, 전기 및 설비시스템 등이 포함될 수 있으며, 가장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는 것이 바닥판 시스템이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바닥판 시스템은 골조를 먼저 구성하고 그 위에 콘크리트로 바닥판을 타설하거나 또는 조이스트를 설치하고 그 위에 합판 등을 깔아 조립한다.
모듈러 건축은 크게 바닥 슬래브와 기둥, 그리고 바닥판을 구성하는 보와 천장보, 천장 패널 등으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바닥판은 바닥 슬래브를 지지하는 보와 그 내부에 콘크리트 슬래브를 설치하여 구성한다.
모듈러 건축을 구성하는 바닥판 구조체의 경우 내화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바닥판을 구성하는 바닥보에 내화성능을 확보하도록 내화피복을 하여야 한다.
바닥보는 내화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4층 이하의 구조물인 경우에는 1시간 내화피복, 5층에서 12층까지는 2시간 내화피복, 13층이상의 경우에는 3시간 내화피복을 하여야 한다.
일반적으로 철골 구조물에서는 내화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내화피복을 암면스프레이와 같은 비교적 비용이 저렴한 뿜칠재를 뿜칠을 하여 시공하고 있으나, 모듈러건축의 경우 공장에서 모듈유닛단위로 제작하여 현장에서 조립을 하여야하므로 뿜칠을 하여 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경우 내화 페인트를 칠하여 내화시간을 확보하고 있는데 내화페인트의 경우 수차례에 걸쳐 페인트를 도포하여 일정 두께의 피막을 형성하여야 하므로 내화페인트의 도포와 건조를 반복하는 작업에 의해 시공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시공작업이 곤란하여 시공성이 악화될 수 있으며, 내화시간 길어짐에 따라 내화피복의 형성을 위한 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내화피복의 정도에 대한 기준이 강화되어 내화피복의 형성을 위한 내화페인트를 활용한 내화피복이 형성에 대한 시공비용이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국내 건축 기준법에는 바닥충격음을 저감하기 위한 표준바닥구조를 제안하고 있는데, 따라서, 일반적으로는 150 ~ 180 mm 두께의 콘크리트 슬래브 사용한다. 이 경우, 콘크리트 사용량의 증가로 바닥판의 중량이 과중해짐에 따라 모듈유닛 전체의 중량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이로 인해서 모듈의 운반 및 설치에 어려움이 있으며, 또한 슬래브를 지지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물의 크키가 커져서 시공성이 나빠지고, 시공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에서 발생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하는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의 내화를 콘크리트를 일체로 타설하는 방식에 의해 구성함으로써 공기를 단축하고 비용 절감이 가능한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콘크리트부재에 의해 내화피복을 일체로 시공하여 시공현장에서 환경오염을 줄이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내화바닥보의 프레임부재를 콘크리트부재 내부에 매립시켜 내화성능을 확보하면서, 모듈러유닛을 구성하는 기둥부재 등과의 접합이 용이한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일 측면으로서, 모듈러유닛의 바닥판구조체의 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키면서도 바닥판구조체의 중량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는 천장보와, 상기 기둥부재의 하측에 설치되는 바닥보를 구비하는 모듈러유닛에 사용되는 바닥판 구조체로서, 상기 모듈러유닛의 바닥판을 형성하는 바닥판부재; 및, 상기 바닥판부재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내화바닥보;를 포함하고, 상기 내화바닥보는, 상기 내화바닥보의 길이방향으로 매립형성되는 프레임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의 양단에 구비되고, 접합공간부로 노출형성되어 상기 기둥부재와의 접합부를 제공하는 엔드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부재와 상기 내화바닥보는 콘크리트부재가 일체로 타설되고, 상기 콘크리트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를 둘러싸는 형태로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를 제공한다.
바람직하게, 내화바닥보의 양단부에는 상기 기둥부재의 접합을 위해 구비되는 접합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콘크리트부재는 내화콘크리트로 구비되고, 상기 내화콘크리트는 물, 시멘트, 플라이애쉬, 잔골재, 굵은골재, 내화혼화재가 혼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프레임부재는 H형강 또는 I형강으로 구비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는 인접하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ㄴ자형 앵글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합공간부에는 구비되고, 상기 내화바닥보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인접하는 상기 모듈러유닛의 기둥부재를 연결하는 접합연결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접합연결부재는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및 웨브를 포함하는 H형강형의 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에는 상기 기둥부재와 연결을 위한 체결공이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바닥판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닥충격음을 흡수하는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는 상면에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는 철부의 하부보다 상부의 면적을 넓게 구비하여 상기 콘크리트부재와의 일체성을 향상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는 다수의 단위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단위부재에는 인접한 단위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단턱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다른 일 측면으로서, 본 발명은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는 천장보 및, 상기 기둥부재의 하측에 설치되는 상기 바닥판 구조체를 포함하는 모듈러유닛을 제공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콘크리트부재로 피복되는 내화바닥보의 구성과, 바닥판부재와 상기 내화바닥보는 콘크리트부재가 일체로 타설되는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바닥판 구조체의 내화성능을 확보하면서도 내화바닥보를 바닥판부재와 견고하게 일체화시켜 구조적 성능을 향상시키고,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바닥판부재와 상기 내화바닥보를 콘크리트부재로 일체로 타설하여 내화바닥보의 프레임부재를 콘크리트부재 내부에 매립시키는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종래의 내화뿜칠 등을 통한 내화피복과 비교하여 내화성능을 충분히 확보하고, 시공기간이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콘크리트부재에 의해 내화피복을 일체로 시공함으로써, 현장에서의 내화뿜칠 공정이 생략되므로 뿜칠재 등의 사용으로 인한 분진 등의 비산으로 인한 작업환경의 악화를 방지하고, 시공현장에서 환경오염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기둥부재와의 접합부를 제공하는 엔드플레이트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내화바닥보가 엔드플레이트를 통하여 모듈러유닛을 구성하는 기둥부재 등과의 설치가 용이하여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접합공간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인접하는 상기 모듈러유닛의 기둥부재를 연결하는 접합연결부재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인접하는 모듈러유닛이 간이한 체결방식에 의해 용이하게 접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바닥판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닥충격음을 흡수하는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의 구성을 포함함으로써, 바닥충격음을 저감시키면서도 바닥판구조체의 중량이 과도하게 증가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의 요철부를 철부의 하부보다 상부의 면적을 넓게 구성함으로써, 콘크리트부재와의 일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를 다수의 단위부재를 결합시켜 구성함으로써, 다양한 종류의 크기를 가지는 바닥판 구조체에 활용이 가능한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적층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바닥판 구조체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A-A' 부분의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접합공간부의 상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들을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하 설명하는 실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10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100)는 바닥판부재(110), 내화바닥보(120)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접합연결부재(130),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1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100)가 적용되는 모듈러유닛(10)은 기둥부재(11)와, 상기 기둥부재(11)의 상측에 설치되는 천장보(13)와, 상기 기둥부재(11)의 하측에 설치되는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100)의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100)는 모듈러유닛(10)의 바닥판을 형성하는 바닥판부재(110) 및,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내화바닥보(120)를 포함하고, 상기 바닥판부재(110)와 상기 내화바닥보(120)는 콘크리트부재가 일체로 타설될 수 있다.
이때, 콘크리트부재는 내화콘크리트로 구성될 수 있는데, 내화콘크리트는 물, 시멘트, 플라이애쉬, 잔골재, 굵은골재, 내화혼화재를 혼합하여 형성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100)의 접합공간부에 구비되고, 상기 내화바닥보(120)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인접하는 상기 모듈러유닛(10)의 기둥부재(11)를 연결하는 접합연결부재(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내화바닥보(120)의 양단부에는 상기 기둥부재(11)의 접합을 위한 접합공간부가 형성될 수 있고, 접합공간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인접하는 상기 모듈러유닛(10)의 기둥부재(11)를 연결하는 접합연결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연결부재(130)는 상기 내화바닥보(120)의 프레임부재(121)의 양단에 설치된 엔드플레이드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연결부재(130)는 내화바닥보(120)의 양단부에 설치될 수 있고,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100)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화바닥보(120)는 상기 내화바닥보(120)의 길이방향으로 매립형성되는 프레임부재(121) 및, 상기 프레임부재(121)의 양단에 구비되고, 상기 접합공간부로 노출형성되어 상기 기둥부재(11)와의 접합부를 제공하는 엔드플레이트(123)가 구비될 수 있다.
프레임부재(121)는 바닥판부재(110)의 테두리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로프레임과, 상기 가로프레임의 양단부에 마주보게 배치되는 한 쌍의 세로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플레이트(123)에는 프레임부재(121)가 접합된 상태로 콘크리트부재가 타설될 수 있다. 프레임부재(121)는 콘크리트의 내부에 매립될 수 있고, 엔드플레이트(123)는 접합공간부에 노출되어 접합연결부재(130)와 용접 접합되어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내화바닥보(120)는 접합공간부에 설치된 접합연결부재(130)를 통하여 기둥부재(11)와 연결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121)는 H형강 또는 I형강으로 구비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123)는 인접하는 상기 프레임부재(121)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ㄴ자형 앵글부재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공간부에는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인접하는 상기 모듈러유닛(10)의 기둥부재(11)를 연결하는 접합연결부재(130)가 구비될 수 있다. 접합연결부재(130)는 상기 내화바닥보(120)의 엔드플레이드에 용접 접합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연결부재(130)는 내화바닥보(120)의 양단부에 설치될 수 있고,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100)의 모서리 부분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3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연결부재(130)는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및 웨브를 포함하는 H형강형의 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에는 상기 기둥부재(11)와 연결을 위한 체결공이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연결부재(130)의 상부플랜지에 형성되는 체결공은 상측에 설치되는 기둥부재(11)의 하단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고, 하부플랜지에 형성된 체결공은 하측에 설치되는 기둥부재(11)의 상단부에 형성된 체결공과 볼트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100)는 바닥판부재(11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닥충격음을 흡수하는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부재(110)는 상기 내화바닥보(120)보다 낮은 두께로 형성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140)는 상기 바닥판부재(110)의 하면과 상기 내화바닥보(120)의 내측 측면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에 설치되어 바닥충격음을 흡수할 수 있다.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140)는 흡음부재로서의 역할과 콘크리트부재를 형성하기 위한 거푸집으로서의 역할을 겸하는 부재이다. 그리고,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140)의 재질은 통상적으로 거푸집 또는 흡음부재로 사용되는 압축스티로폼, 압축발포 폴리스티렌, 방진고무 등의 소재로 제작될 수 있으며, 공지되어 있는 여러 종류의 흡음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140)는 다수의 요철부(141)를 구비할 수 있는데, 요철부(141)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돌출된 철부(145)와 철부(145)에서 내려간 형태의 요부(143)를 포함한다.
그리고, 요철부(141)는 소정의 간격을 이격하여 구비될 수 있다. 거푸집 겸용 흠음부재에 요철부(141)를 구비함으로써, 콘크리트부재와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140)가 서로 견고하게 밀착결합되어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100)가 효과적으로 일체화될 수 있다.
또한, 거푸집 겸용 흠음부재에 요철부(141)를 구비함으로써, 요부(143)와 철부(145)의 종단면적이 상이하여 단일 소재로 구성되었음에도 복합소재에 의한 소음저감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140)는 상면에 다수의 요철부(141)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141)는 철부(145)의 하부보다 상부의 면적을 넓게 구비하여 상기 콘크리트부재와의 일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140)는 다공성의 재질로 구비되어 상기 콘크리트부재와의 일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140)의 재질은 압축스티로폼 또는 방진고무로 구비될 수 있다.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140)는 다수의 단위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단위부재에는 인접한 단위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단턱이 구비될 수 있다.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140)는 다수의 단위부재를 결합시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부재의 요부(143)의 말단에는 인접한 단위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단턱이 구비될 수 있다. 다만, 인접한 단위부재 간의 결합이 결합단턱에 의한 결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결합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렇게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140)를 단일의 부재가 아닌 다수의 단위부재를 조립하여 구성함으로써,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100)의 크기가 변경되는 경우 단위부재를 추가 설치하거나, 일부를 제거하여 다양한 크기의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100)에 사용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대형의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140) 자체를 이송하는 것이 아니라 적재 및 운송이 용이한 소형의 단위부재를 시공현장으로 이송 후 현장에서 조립함으로써,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140)의 이송 및 설치가 용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모듈러유닛(10)에 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듈러유닛(10)은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100), 기둥부재(11) 및 천장보(13)를 포함하고, 추가적으로 벽체패널, 천장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듈러유닛(10)은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100)와, 상기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100)의 접합공간부에 구비되는 기둥부재(11) 및, 상기 기둥부재(11)의 상측에 설치되는 천장보(13)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듈러유닛(10)은 기둥부재(11)와, 천장보(13)와,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100)로 구성되며, 공장에서 사전 제작되어 현장으로 이송되어 상하방향,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으로 조립설치되어 모듈러 건축물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모듈러유닛(10)은 상기 기둥부재(11), 천장보(13) 및 바닥판 구조체(100)에 의해 모듈러유닛(10)의 측면공간에 설치되는 벽체판넬을 포함할 수 있고, 모듈러유닛(10)의 상부 공간에는 천장보(13)에는 천장패널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듈러유닛(10)에는 앞서 설명한바 있는 바닥판 구조체(100)의 상기한 다양한 실시형태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따라서, 모듈러유닛(10)에서 활용되는 바닥판부재(110), 내화바닥보(120), 접합연결부재(130) 및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140)의 구성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바닥판 구조체의 구성과 동일한바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중복을 피하기 위해 생략한다.
먼저,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할 것이다.
10: 모듈러유닛 11: 기둥부재
13: 천장보 100: 바닥판 구조체
110: 바닥판부재 120: 내화바닥보
121: 프레임부재 123: 엔드플레이트
130: 접합연결부재 140: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
141: 요철부 143: 요부
145: 철부 C: 접합공간부

Claims (10)

  1. 기둥부재와, 상기 기둥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는 천장보와, 상기 기둥부재의 하측에 설치되는 바닥보를 구비하는 모듈러유닛에 사용되는 바닥판 구조체로서,
    상기 모듈러유닛의 바닥판을 형성하는 바닥판부재; 및,
    상기 바닥판부재의 테두리에 배치되는 내화바닥보;를 포함하고,
    상기 내화바닥보는,
    상기 내화바닥보의 길이방향으로 매립형성되는 프레임부재; 및,
    상기 프레임부재의 양단에 구비되고, 접합공간부로 노출형성되어 상기 기둥부재와의 접합부를 제공하는 엔드플레이트;를 구비하고,
    상기 바닥판부재와 상기 내화바닥보는 콘크리트부재가 일체로 타설되고,
    상기 콘크리트부재는 상기 프레임부재를 둘러싸는 형태로 타설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바닥보의 양단부에는 상기 기둥부재의 접합을 위해 구비되는 접합공간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크리트부재는 내화콘크리트로 구비되고, 상기 내화콘크리트는 물, 시멘트, 플라이애쉬, 잔골재, 굵은골재, 내화혼화재가 혼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는 H형강 또는 I형강으로 구비되고,
    상기 엔드플레이트는 인접하는 상기 프레임부재의 양단부를 연결하는 ㄴ자형 앵글부재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공간부에 구비되고, 상기 내화바닥보와 상하방향으로 적층되는 인접하는 상기 모듈러유닛의 기둥부재를 연결하는 접합연결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연결부재는,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 및 웨브를 포함하는 H형강형의 부재로 구비되고,
    상기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에는 상기 기둥부재와 연결을 위한 체결공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부재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닥충격음을 흡수하는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는 상면에 다수의 요철부가 형성되고,
    상기 요철부는 철부의 하부보다 상부의 면적을 넓게 구비하여 상기 콘크리트부재와의 일체성을 향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거푸집 겸용 흡음부재는 다수의 단위부재가 결합되어 구성되고,
    상기 단위부재에는 인접한 단위부재와의 결합을 위한 결합단턱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10. 기둥부재;
    상기 기둥부재의 상측에 설치되는 천장보; 및,
    상기 기둥부재의 하측에 설치되는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바닥판 구조체;를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KR1020130163997A 2013-12-26 2013-12-26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KR101571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997A KR101571847B1 (ko) 2013-12-26 2013-12-26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63997A KR101571847B1 (ko) 2013-12-26 2013-12-26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344A KR20150076344A (ko) 2015-07-07
KR101571847B1 true KR101571847B1 (ko) 2015-11-26

Family

ID=53789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63997A KR101571847B1 (ko) 2013-12-26 2013-12-26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7184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1807B1 (ko) * 2023-11-16 2024-08-05 주식회사 엔알비 콘크리트 건축모듈 및 그의 제작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5816B1 (ko) * 2022-12-19 2023-10-31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오폐수 유지관리 기능을 갖는 모듈러 건축물 및 그 시공 방법
KR102699253B1 (ko) * 2023-08-25 2024-08-27 현대엔지니어링 주식회사 주택 모듈러 유닛의 결합 구조 및 시공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91807B1 (ko) * 2023-11-16 2024-08-05 주식회사 엔알비 콘크리트 건축모듈 및 그의 제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76344A (ko) 2015-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51864A (en) Interstitial space frame system
US8607523B2 (en) Building that uses composite light-weight panels for structure and a construction method therefor
JP2014508237A (ja) 複合壁パネル、壁システムおよびそれらの構成部品、ならびにそれらの構築方法
US10934711B1 (en) Build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integrated insulation
KR20180121570A (ko) 건물의 슬래브가 없는 바닥 시스템을 위한 바닥 및 천장 패널
US12129652B2 (en) Building system and method utilizing integrated insulation, method to construct wall panel
US20190100917A1 (en) Panelized Building System Utilizing Integrated Insulation
RU2656260C2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здания с улучшенной теплоизоляцией и здание, построенное при помощи этого способа
KR101571847B1 (ko) 모듈러유닛의 바닥판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모듈러유닛
JP7348363B2 (ja) 断熱構造及び建物
KR101679666B1 (ko) 중고층 모듈러 건축물용 코아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KR101459575B1 (ko) 부재 접합부 미진동 방진성을 갖는 병행 시공구조의 건축물 시공방법
KR101407502B1 (ko) 모듈러 건축물의 접합구조 및 그 접합시공방법
KR101173688B1 (ko)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을 사용한 모듈러 유닛 시스템
KR20130024101A (ko) 큐브구조 건축물의 조립식 시공 방법
KR100622018B1 (ko) 건축물의 구축방법 및 이로부터 구축된 건축물
KR20130034386A (ko) 4면 오픈형 기둥 인서트 연결구 및 난방배관 일체형 경량합성바닥판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
JP4247482B2 (ja) 床の構造
KR20220096819A (ko) 중고층 모듈러 건축을 위한 모듈러 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4412731B2 (ja) 浮き床工法及び浮き床構造
KR102511945B1 (ko) 내화성능이 확보된 건축용 모듈 및 이를 이용한 모듈러 건축물의 시공방법
JP7572110B1 (ja) 木鋼耐火柱とその施工方法
KR102703611B1 (ko) 복합 내화 피복이 구비된 모듈러 유닛의 시공 방법
JP7178730B2 (ja) 躯体ユニット及び簡易構造物
JP5934124B2 (ja) ユニット式建物およびその構築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0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