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65583B1 - A measuring equipment for data acquisition on the vertical profile in underwater environment - Google Patents
A measuring equipment for data acquisition on the vertical profile in underwater environment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65583B1 KR101565583B1 KR1020150070173A KR20150070173A KR101565583B1 KR 101565583 B1 KR101565583 B1 KR 101565583B1 KR 1020150070173 A KR1020150070173 A KR 1020150070173A KR 20150070173 A KR20150070173 A KR 20150070173A KR 101565583 B1 KR101565583 B1 KR 10156558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easurement
- module
- information
- sensor module
- measurement senso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Active
Links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37
- 239000013535 sea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2
- 230000001174 ascend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6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05 fresh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2 seaso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2 sediment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352 surface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0—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21/02—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by mea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30—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n instrument;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a set of instrumen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7/00—Indicating measured values
- G01D7/02—Indicating value of two or more variables simultaneousl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rrangements For Transmission Of Measured Signal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해수층별 수중환경정보 취득을 위한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환경정보를 해수층별로 측정하는 장치를 해저계류형(TRBM, Trawl Resistant Bottom Mount)으로 제작함으로써,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하구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이 발명은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해수층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방식의 정보수집뿐만 아니라 원격지의 제어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수중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더불어, 이 발명은 설정수심별로 계측한 해수층별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여, 하구역에 대한 종합적인 관리 및 개발의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해양과학 분야 및 해양탐사장비 분야와 더불어, 해양 종합관리시스템 분야, 특히 하구연의 통합 모니터링 및 개발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asurement device for acquiring underwa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by a seawater la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measuring aquatic environment information by a seawater layer by using a TRWM (Trawl Resistant Bottom Mount) This enables real-time monitoring of estuaries.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measurements on a plurality of seawater layers using a single apparatus, collect information on aquatic environments in various ways by controlling remote sites as well as collecting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manner .
In addition, this invention can greatly improve the reliability of comprehensive management and development of the estuaries by monitor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seawater layer measured by the set water depth in real time.
Thus, in addition to marine scientific and marine exploration equipm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reliability and competitiveness in the field of marine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s, particularly in integrated monitoring and development of estuaries, as well as in similar or related fields.
Description
이 발명은 해수층별 수중환경정보 취득을 위한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수중환경정보를 해수층별로 측정하는 장치를 해저계류형(TRBM, Trawl Resistant Bottom Mount)으로 제작함으로써,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하구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asurement device for acquiring underwa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by seawater layer,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measuring underwa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by a seawater layer by using a TRBM (Trawl Resistant Bottom Mount) This enables real-time monitoring of estuaries.
특히, 이 발명은 수중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해저계류형 측정장치의 내부에 구비한 상태에서, 필요시에만 부상시켜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해상작업이나 어업활동에 의해 측정장치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해수층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한 해수층별 수중환경정보 취득을 위한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measurement device from being damaged by marine work or fishery activity by providing a sensor for measuring under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in a submarine mooring type measuring device,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measurement apparatus for acquiring underwa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seawater layers using a single apparatus.
해양자원의 이용 및 개발로 인해 해양에 대한 중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계측장치나 구조물 등을 이용하여 해양에서 일어나는 여러 가지 현상들(예를 들어, 조석, 조류의 흐름, 수온, 염분변화, 탁도변화 등)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있다.The importance of the oceans is increasing due to the use and development of marine resources, and various phenomena occurring in the ocean (eg tide, flow of birds, temperature of water, change of salinity, Turbidity change, etc.) are scientifically studied.
특히, 담수와 해수가 만나는 하구에서는, 지역적 특성으로 인해 다양한 해양생물들이 공존함에 따라 다양한 어장이 형성되어 있어, 연안지역 중에서도 해양자원의 이용 및 개발이 더욱 중요한 지역이 되고 있다.Especially, in the estuaries where fresh water and sea water meet, various fisheries are formed due to the coexistence of various marine organisms due to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utilization and development of marine resources are becoming more important in coastal areas.
이에, 하구 지역(하구역)에 대한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수중환경정보를 취합하여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면서 하구역의 건강성 및 가치평가를 지속적으로 수행하고, 효율적인 개발방향을 제시할 수 있도록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ntegrate physical, chemical, and biological underwa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estuary area (estuary) in real time to monitor the health and value of estuaries continuously and to provide efficient development direction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한편, 하구역은 연안지역 중에서 담수에 의한 영향이 큰 지역이므로, 하구역의 수중환경정보는, 해수층별로 측정하여, 계절별 담수와 해수의 이동, 물성 및 분포특성을 분석하는 것이 중요하다.On the other hand, it is important to analyze the seasonal water movement, physical properties and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seawater by measuring the underwa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of the estuaries by the seawater layer.
또한, 하구역이 연안지역임을 고려하여 표층수의 이동과 유속특성, 계류유속, 파랑분석, 해류분석 등의 물리적 특성과, 해저면의 퇴적, 수질변화, 부유 및 저서(조하대) 생태계 등의 종합적인 정보의 취합과 관리가 요구된다.Considering that the estuary is a coastal area,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such as surface water movement, flow characteristics, mooring velocity, wave analysis, ocean current analysis, and sedimentation, water quality change, flood and benthic ecosystem Information gathering and management is required.
이와 같이, 해양과학분야에서 해양탐사를 위하여 해저면에 설치되는 다양한 계류장비들은, 표식부이(부표)가 연결된 상태에서 해저면에 설치된 후 원하는 데이터의 수집이 완료되면 부표를 통해 위치를 파악하고 부표와 연결된 로프를 이용하여 회수하는 방식이 이용되어 왔다.In this way, various marine equipment installed on the sea floor for ocean exploration in the marine science field is installed on the sea floor with the tag buoy (buoy) connected, and after the collection of desired data is completed, And a method of collecting by using a rope connected to the robot has been used.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은 계류장비가 설치된 해역을 통과하는 선박이나 어선 등에 의해 로프가 절단되거나 기상악화로 인해 부표가 유실되는 경우, 계류장비를 수색하기 위해 상당한 비용이 추가로 소요될 뿐만 아니라, 최악의 경우 계류장비를 회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such a scheme would require a significant additional cost to search for mooring equipment if the rope is cut or the buoy is lost due to weather deterioration due to a ship or fishing boat passing through a watershed where the mooring area is installed, The mooring equipment could not be recovered.
그럼에도 불구하고, 해수층별로 다양한 정보를 취합하기 위해서는, 수면에서 해저면까지 연결되는 로프 등을 이용하여 해수층별로 센서를 설치하는 방식에서 크게 벗어날 수 없다는 한계가 있었다.Nevertheless, in order to collect various information by seawater stratum, there was a limitation in that it can not be largely deviated from the method of installing the sensor by the seawater stratum using the rope connected from the water surface to the sea floor.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223551호 '해양의 수직 구조 연속 연직 관측을 위한 수중 측정장치'(이하 '선행기술'이라 한다)는, 부력을 이용하여 관측 센서부를 승하강시킴으로써, 어업활동 등에 의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고자 하였다.Korean Unexamined Patent Publication No. 10-1223551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escribes an apparatus for measuring water in a vertical vertical continuous structure of the ocean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 And fishing activities.
그러나, 선행기술의 경우, 단순히 관측 센서부의 위치를 상하부로 이동시킬 뿐이며, 관측 센서부가 연결줄에 의해 연결되어 있고 관측 센서부가 노출된 상태이기 때문에, 관측 센서부가 해저면으로 하강하더라도 저인망 어선 등의 어업활동에 영향을 주고받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prior art, since the position of the observation sensor unit is merely mov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and the observation sensor unit is connected by the connecting line and the observation sensor unit is exposed, the fishing sensor such as a fishing boat, There is a problem that it affects and receives activity.
결과적으로, 연안지역, 특히 하구역에서의 해수층별 수중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장치는 아래와 같은 점들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As a result, the following points are indispensable for a device for measuring underwa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by seawater layer in a coastal area, especially in an estuary.
첫째, 평상시 저인망 어선 등의 어업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장비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First, it should be able to prevent equipment from being damaged without hindering fishing activities such as fishing boats.
둘째, 계측시 해당 지역의 해수층별로 수중환경정보를 측정할 수 있어야 한다.Second, it should be possible to measure underwa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by the seawater layer in the area.
셋째, 하구역에 대한 통합관리를 위하여, 측정된 정보를 원격지로 전송할 수 있어야 한다.Third, for integrated management of the estuary, the measured information should be able to be transmitted to the remote site.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요구를 해결한 것으로, 수중환경정보를 해수층별로 측정하는 장치를 해저계류형(TRBM, Trawl Resistant Bottom Mount)으로 제작함으로써, 어업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해수층별 수중환경정보 취득을 위한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solves the above-mentioned problem, and a device for measuring the under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by the seawater layer can be manufactured as a TRBM (Trawl Resistant Bottom Mount), so that stable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interfering with fishing activities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asurement device for acquiring underwa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per se.
특히, 이 발명은 수중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해저계류형 측정장치의 내부에 구비한 상태에서, 필요시에만 부상시켜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해상작업이나 어업활동에 의해 측정장치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해수층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는 해수층별 수중환경정보 취득을 위한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measurement device from being damaged by marine work or fishery activity by providing a sensor for measuring under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in a submarine mooring type measuring device,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asurement device for acquiring underwa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for each of a plurality of seawater layers using a single device.
또한, 이 발명은 설정수심별로 계측한 해수층별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함으로써, 원격지에서 하구역에 대한 실시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하며 향후 하구역의 통합 관리 및 개발이 가능하도록 한 해수층별 수중환경정보 취득을 위한 측정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real-time monitoring of estuaries from a remote location by providing real-tim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seawater layer measured according to the set water depth, and for acquiring the underwa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per se And to provide a measuring device.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이 발명에 따른 해수층별 수중환경정보 취득을 위한 측정장치는, 해저면에 계류되는 해저계류장비(110); 계측대상 설정수심, 계측대상 관측항목, 계측시간 및 계측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측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수중환경에 대한 정보를 설정수심별로 계측하여 해수층별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측정센서모듈(120); 해수면 도달시 상기 측정센서모듈(120)에서 생성된 해수층별 측정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부이형 통신모듈(130); 상기 부이형 통신모듈(130) 및 측정센서모듈(120)을 동시에 승하강하여 상기 해저계류장비(100)의 내부와 해수면 사이를 왕복이동시키는 승하강모듈(140); 및 상기 계측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승하강모듈(140)을 제어하여, 평상시 상기 부이형 통신모듈(130) 및 측정센서모듈(120)을 상기 해저계류장비(110) 내부에 보관하고, 수중환경정보의 측정시 상기 부이형 통신모듈(130) 및 측정센서모듈(120)을 해수면으로 이동시키며,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측정센서모듈(120)을 상기 해저계류장비(110) 내부로 재보관하는 제어모듈(150);을 포함하는 하고, 상기 측정센서모듈(120)은, 상기 승하강모듈(140)에 의해 상승되는 과정에서, 계측대상이 되는 설정수심에서의 수중환경에 대한 정보를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각 수심별로 측정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해수층별 측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부이형 통신모듈(130)은, 상기 측정센서모듈(120)과 연동되며, 상기 승하강모듈(140)에 의해 상승되어 해수면에 부상하면, 상기 측정센서모듈(120)에 의해 생성된 해수층별 측정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며, 해수면 부상시 외부기기로부터 새로운 계측제어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계측제어정보를 상기 제어모듈(15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모듈(150)은,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계측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승하강모듈(140)을 제어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a measuring apparatus for acquiring underwa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by a seawater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또한, 상기 측정센서모듈(120)은, 현재의 수심을 측정하는 수심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50)은, 상기 측정센서모듈(120)과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심센서에서 측정된 수심과 상기 설정수심을 비교하여 상기 측정센서모듈(120)이 설정수심에 도달하면, 일정시간동안 현재 수심에서 머무르도록 상기 승하강모듈(140)을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또한, 상기 승하강모듈(140)은, 회동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드럼에 감겨진 스트랜드(Strand)형 와이어로프(Wire rope, W)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센서모듈(120) 및 부이형 통신모듈(130)을 승하강하고, 상기 와이어로프(W)는, 상기 측정센서모듈(120) 및 부이형 통신모듈(130)과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데이터와이어가 코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모듈(150)은, 상기 드럼의 회전수에 따라 상기 해저계류장비(110)가 계류되는 해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산출하여 상기 측정센서모듈(120)의 수심을 확인한 후, 상기 측정센서모듈(120)이 상기 설정수심에 도달하면, 상기 데이터와이어를 통해 상기 측정센서모듈(120) 및 부이형 통신모듈(130)을 제어할 수 있다.The lifting and
삭제delete
삭제delete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이 발명은 수중환경정보를 해수층별로 측정하는 장치를 해저계류형(TRBM, Trawl Resistant Bottom Mount)으로 제작함으로써, 어업활동에 지장을 주지 않으면서 안정적인 운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olu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rovide an apparatus for measuring underwa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by a seawater layer by using a TRBM (Trawl Resistant Bottom Mount) so that stable operation can be performed without interfering with fishing activities There is an advantage to be able to do.
이를 통해, 측정장치의 성능 및 신뢰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이를 이용하여 하구역의 환경정보에 대한 통합적인 모니터링과 관리 및 개발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enhance the performance and reliability of the measuring apparatus, and to use the same to integrally monitor, manage and develop environment information of the estuary.
특히, 이 발명은 수중환경정보를 측정하는 센서를 해저계류형 측정장치의 내부에 구비한 상태에서, 필요시에만 부상시켜 측정하도록 함으로써, 해상작업이나 어업활동에 의해 측정장치가 훼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prevents the measurement device from being damaged by marine work or fishery activity by providing a sensor for measuring under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in a submarine mooring type measuring device, There are advantages to be able to.
더불어, 이 발명은 설정수심별로 계측한 해수층별 측정정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함과 동시에, 모델링을 통해 향후 하구역의 변화를 예측하여 효율적인 관리 및 개발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ha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monitor real-tim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seawater layer measured by the set water depth, predict the change of the future estuary through modeling, and perform efficient management and development.
또한, 이 발명은 하나의 장치를 이용하여 복수의 해수층에 대한 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미리 설정된 방식의 정보수집뿐만 아니라 원격지의 제어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수중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이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measurements on a plurality of seawater layers using a single apparatus, collect information on aquatic environments in various ways by controlling remote sites as well as collecting information in a predetermined manner, There are advantages.
따라서, 해양과학 분야 및 해양탐사장비 분야와 더불어, 해양 종합관리시스템 분야, 특히 하구연의 통합 모니터링 및 개발 분야는 물론, 이와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Thus, in addition to marine scientific and marine exploration equipment, it is possible to improve reliability and competitiveness in the field of marine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s, particularly in integrated monitoring and development of estuaries, as well as in similar or related fields.
도 1은 이 발명에 의한 해수층별 수중환경정보 취득을 위한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난 각 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나타난 각 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1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asuring device for acquiring underwa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by sea water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each configuration shown in FIG.
FIG. 3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each configuration shown in FIG.
이 발명에 따른 해수층별 수중환경정보 취득을 위한 측정장치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Examples of the measuring apparatus for acquiring the underwa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per s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variously applied, and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이 발명에 의한 해수층별 수중환경정보 취득을 위한 측정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용상태도이다.1 is a use state diagram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asuring apparatus for acquiring underwa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by sea water lay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해수층별 수중환경정보 취득을 위한 측정장치(100)는 해저계류장비(110), 측정센서모듈(120), 통신모듈(130), 승하강모듈(140) 및 제어모듈(150)을 포함한다.1, a
해저계류장비(110)는 'TRBM(Trawl Resistant Bottom Mount)'형으로 제작되어 해저면에 계류되는 것으로, 측정센서모듈(120) 및 통신모듈(130)이 이탈가능하도록 탑재되는 공간부(미부호)가 상부에 형성되어 있다.The
측정센서모듈(120)은 평상시 해저계류장비(110)의 내부 공간부에 위치하고, 계측시 해저계류장비(110)로부터 이탈하여 상승하면서, 원하는 해수층에 대한 계측을 수행하는 것으로, 계측대상 설정수심, 계측대상 관측항목, 계측시간 및 계측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측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수중환경에 대한 정보를 설정수심별로 계측하여 해수층별 측정정보를 생성한다.The
통신모듈(130)은 측정센서모듈(120)에서 생성된 해수층별 측정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것으로, 해수면에 도달한 상태에서 원격지와 무선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외부기기는 원격지에서 관리하는 서버, 관리자가 휴대하는 휴대단말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PDA 등)를 포함할 수 있다.The
또한, 통신모듈(130)은 부력에 의해 상승되는 구조를 적용하여, 부이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Also, the
예를 들어, 부이의 하부에 통신모듈(130)과 더불어 측정센서모듈(120)을 구성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승하강모듈(140)은 부이형 통신모듈(130) 및 측정센서모듈(120)을 해저계류장비(100)의 내부와 해수면 사이를 왕복이동시키는 것으로, 해저계류장비(100)의 내부에서 해수면으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상기한 부력에 의해 상승하도록 하고, 해수면에서 해저계류장비(100)의 내부로 이동하는 경우에는 동력을 이용할 수 있다.The ascending and descending
예를 들어, 승하강모듈(140)은 윈치(Winch)구조를 적용하여, 부이형 통신모듈(130) 및 측정센서모듈(120)의 상승시에는 스트랜드(Strand)형 와이어로프(Wire rope, W)가 자연스럽게 풀리도록 하고, 부이형 통신모듈(130) 및 측정센서모듈(120)의 하강시에는 와이어로프가 감겨지는 드럼을 회동시키도록 한다.For example, the ascending / descending
또한, 와이어로프(W)는, 스트랜드(Strand)구조에서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데이터와이어가 코어로 구성되어, 측정센서모듈(120) 및 부이형 통신모듈(130)과 제어모듈(150)이 상호간에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할 수 있다.The wire rope W has a structure in which a data wire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in a strand structure is constituted by a core and the
제어모듈(150)은 계측제어정보에 따라 승하강모듈(140)을 제어(예를 들어, 윈치구조에서 드럼의 회동방향 및 회전수 제어)하여, 평상시 부이형 통신모듈(130) 및 측정센서모듈(120)을 상기 해저계류장비(110) 내부에 보관하고, 수중환경정보의 측정시 부이형 통신모듈(130) 및 측정센서모듈(120)을 해수면으로 이동시킨다.The
이하에서는, 도 1에 나타난 제어모듈(150)의 동작에 대해여 보다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도 2는 도 1에 나타난 각 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2 is a flowchart showing an embodiment of a method of controlling each configuration shown in FIG.
먼저, 제어모듈(150)은 기 설정되어 저장된 계측제어정보를 확인하고(단계 S101), 승하강모듈(140)을 제어하여 측정센서모듈(120)을 해저계류장비(110)로부터 이탈 및 상승시킬 수 있다(단계 S102). 여기서, 측정센서모듈(120)은 통신모듈(130)과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 측정센서모듈(120)에 별도의 부력발생장치(부이) 및 승하강모듈(140)이 구성됨은 당연하다.First, the
측정센서모듈(120)이 설정수심에 도달하면(단계 S103), 제어모듈(150)은 측정센서모듈(120)이 설정된 계측대상을 측정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단계 S104). 여기서, 측정센서모듈(120)에는 수심을 확인할 수 있는 수심센서를 포함하여, 다양한 센서들이 구성될 수 있으며, 제어모듈(150)은 해수층별로 필요한 정보에 따라 측정센서모듈(120)에 구성된 센서들 중 일부만을 동작시킬 수 있다.When the
한편, 계측제어정보에는 해수층별 측정정보의 송신시간 및 송신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the measurement control informa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of a transmission time and a transmission interval of the measurement information by seawater layer.
이에, 제어모듈(150)은 측정센서모듈(120)를 이용하여 해수층별로 다양한 정보를 측정하고(단계 S106), 송신시간 및 송신간격 중 적어도 하나에 따라(단계 S105), 위치(수심)별 및 시간별로 누적저장된 측정정보를 취합하여(단계 S107) 해수층별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단계 S108).The
이후, 제어모듈(150)은 승하강모듈을 제어하여(단계 S109), 통신모듈(130)이 해수면으로 부상하도록 한 후(단계 S110), 생성된 해수층별 측정정보를 원격지의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111).Thereafter, the
상기와 같이, 해수층별 측정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제어모듈(150)은 승하강모듈(140)을 제어하여 통신모듈(130)을 해저계류장비(110)의 내부에 위치시킬 수 있다(단계 S112).When the transmission of the measurement information for each seawater layer is completed, the
도 3은 도 1에 나타난 각 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대한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순서도이다.FIG. 3 is a flowchart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method for controlling each configuration shown in FIG.
제어모듈(150)은 수중환경정보의 계측과 해수층별 측정정보의 전송이 한번의 주기(Cycle)로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실시간으로 측정정보가 수집되도록 할 수 있다.The
이에,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측정센서모듈(120) 및 부이형 통신모듈(130)은 상기 승하강모듈(140)에 의해 동시에 승하강되도록 하고, 제어모듈(150)은 저장된 계측제어정보를 확인하여(단계 S201), 측정센서모듈(120) 및 부이형 통신모듈(130)이 상승되도록 승하강모듈(140)을 제어할 수 있다.1, the
측정센서모듈(120)은, 승하강모듈(140)에 의해 상승되는 과정에서, 계측대상이 되는 설정수심에서의 수중환경에 대한 정보를 연속적으로 측정하고(단계 S202), 각 수심별로 측정정보를 취합하여 해수층별 측정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The
또한, 부이형 통신모듈(130)은, 측정센서모듈(120)과 연동되면서, 승하강모듈(140)에 의해 상승되어 해수면에 부상하면, 측정센서모듈(120)에 의해 연속적으로 측정되어 생성된 해수층별 측정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단계 S203).The
이때, 제어모듈(150)은 측정센서모듈(120)과 데이터통신을 수행하면서, 측정센서모듈(120)의 수심센서에서 측정된 수심과 설정수심을 비교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측정센서모듈(120)이 설정수심에 도달하면, 측정센서모듈(120)이 다양한 정보를 충분히 획득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어모듈(150)은 측정센서모듈(120)이 일정시간동안 현재 수심에서 머무르도록 승하강모듈(140)을 제어할 수 있다.In order to allow the
만약, 측정센서모듈(120)에 수심센서가 구성되지 않은 경우, 제어모듈(150)은, 승하강모듈(140)의 드럼 회전수에 따라 해저계류장비(110)가 계류되는 해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산출하여 측정센서모듈(120)의 수심을 확인할 수 있다.If the depth sensor is not configured in the
이와 같이 해수층별 측정정보의 전송이 완료되면, 제어모듈(150)은 부이형 통신모듈(130)을 일정시간 동안 해수면에 대기시킬 수 있다(단계 S204).When the transmission of the measurement information for each seawater layer is completed, the
이때, 부이형 통신모듈(130)을 통해 원격지의 외부기기로부터 새로운 계측제어정보가 수신되면(단계 S205), 제어모듈(150)은 기 저장된 계측제어정보를 수신된 계측제어정보로 갱신할 수 있다(단계 S206).At this time, when new measurement contro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at a remote place via the sub-type communication module 130 (step S205), the
제어모듈(150)은 상기와 같이 계측제어정보가 갱신되거나(단계 S206), 일정시간(대기시간) 동안 새로운 계측제어정보가 수신되지 않은 경우(단계 S208), 측정센서모듈(120) 및 부이형 통신모듈(130)을 해저계류장비(110)의 내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단계 S207).If the measurement control information is updated as described above (step S206), and the new measurement control information is not received for a predetermined time (waiting time) (step S208), the
이후, 제어모듈(150)은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되어 갱신된 계측제어정보 또는 기 저장된 계측정보에 기초하여 승하강모듈(140)을 제어할 수 있다.Thereafter, the
이상에서 이 발명에 의한 해수층별 수중환경정보 취득을 위한 측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이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이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The measuring apparatus for obtaining the underwa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hat various changes in form and details may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invention a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It is to be understood, therefore,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in all respect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100 : 해수층별 수중환경정보 취득을 위한 측정장치
110 : 해저계류장비 120 : 측정센서모듈
130 : 통신모듈 140 : 승하강모듈
150 : 제어모듈100: Measuring device for acquiring underwa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by seawater layer
110: Subsea mooring equipment 120: Measuring sensor module
130: Communication module 140: Up / down module
150: Control module
Claims (8)
계측대상 설정수심, 계측대상 관측항목, 계측시간 및 계측간격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계측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수중환경에 대한 정보를 설정수심별로 계측하여 해수층별 측정정보를 생성하는 측정센서모듈(120);
해수면 도달시 상기 측정센서모듈(120)에서 생성된 해수층별 측정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는 부이형 통신모듈(130);
상기 부이형 통신모듈(130) 및 측정센서모듈(120)을 동시에 승하강하여 상기 해저계류장비(110)의 내부와 해수면 사이를 왕복이동시키는 승하강모듈(140); 및
상기 계측제어정보에 따라 상기 승하강모듈(140)을 제어하여, 평상시 상기 부이형 통신모듈(130) 및 측정센서모듈(120)을 상기 해저계류장비(110) 내부에 보관하고, 수중환경정보의 측정시 상기 부이형 통신모듈(130) 및 측정센서모듈(120)을 해수면으로 이동시키며, 측정이 완료되면, 상기 측정센서모듈(120)을 상기 해저계류장비(110) 내부로 재보관하는 제어모듈(150);을 포함하는 하고,
상기 측정센서모듈(120)은,
상기 승하강모듈(140)에 의해 상승되는 과정에서, 계측대상이 되는 설정수심에서의 수중환경에 대한 정보를 연속적으로 측정하고, 각 수심별로 측정정보를 취합하여 상기 해수층별 측정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부이형 통신모듈(130)은,
상기 측정센서모듈(120)과 연동되며, 상기 승하강모듈(140)에 의해 상승되어 해수면에 부상하면, 상기 측정센서모듈(120)에 의해 생성된 해수층별 측정정보를 외부기기로 전송하며,
해수면 부상시 외부기기로부터 새로운 계측제어정보가 수신되면, 수신된 상기 계측제어정보를 상기 제어모듈(150)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모듈(150)은,
외부기기로부터 수신된 계측제어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승하강모듈(140)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층별 수중환경정보 취득을 위한 측정장치.
Submarine mooring equipment 110 moored to the sea floor;
A measurement sensor module 120 for measuring the information on the underwater environment on the basis of the set water depth based on the measurement control informatio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measurement object set depth, the measurement object item, the measurement time and the measurement interval, );
A subdivision communication module (130) for transmitting th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seawater layer generated by the measurement sensor module (120) to an external device when the sea surface arrives;
A lifting / lowering module 140 for lifting and lowering the sub-idle communication module 130 and the measurement sensor module 120 at the same time to reciprocate between the inside of the submarine mooring equipment 110 and sea level; And
The submergible communication module 130 and the measurement sensor module 120 are normally stored in the submarine mooring equipment 110 by controlling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odule 140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control information, The control module 120 moves the submobile communication module 130 and the measurement sensor module 120 to the sea level during measurement and stores the measurement sensor module 120 in the submarine mooring equipment 110 when the measurement is completed (150)
The measurement sensor module (120)
In the process of ascending by the ascending / descending module 140, the information about the underwater environment at the set water depth to be measured is continuously measured, the measurement information is collected for each water depth, the measurement information for each sea water layer is generated,
The sub-type communication module (130)
And transmits the measurement information of the seawater layer generated by the measurement sensor module 120 to the external device when the measurement sensor module 120 is interlocked with the measurement sensor module 120 and is raised by the ascending and descending module 140 and floated on the sea surface,
When new measurement control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n external device when the sea surface is floated, the measurement control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module 150,
The control module (150)
And controls the ascending / descending module (140) based on the measurement control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external device.
상기 측정센서모듈(120)은,
현재의 수심을 측정하는 수심센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모듈(150)은,
상기 측정센서모듈(120)과 데이터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수심센서에서 측정된 수심과 상기 설정수심을 비교하여 상기 측정센서모듈(120)이 설정수심에 도달하면, 일정시간동안 현재 수심에서 머무르도록 상기 승하강모듈(140)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층별 수중환경정보 취득을 위한 측정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measurement sensor module (120)
And a water depth sensor for measuring a current water depth,
The control module (150)
And is configured to be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easurement sensor module 120,
When the measurement sensor module 120 reaches the set water depth, the up / down module 140 is controlled to stay at the current water depth for a predetermined time by comparing the water depth measured by the water depth sensor with the set water depth. Measuring device for acquisition of underwater environmental information by sea water layer.
상기 승하강모듈(140)은,
회동모터에 의해 회동되는 드럼에 감겨진 스트랜드(Strand)형 와이어로프(Wire rope, W)를 이용하여 상기 측정센서모듈(120) 및 부이형 통신모듈(130)을 승하강하고,
상기 와이어로프(W)는,
상기 측정센서모듈(120) 및 부이형 통신모듈(130)과 데이터통신이 가능한 데이터와이어가 코어로 구성되며,
상기 제어모듈(150)은,
상기 드럼의 회전수에 따라 상기 해저계류장비(110)가 계류되는 해저면으로부터의 높이를 산출하여 상기 측정센서모듈(120)의 수심을 확인한 후, 상기 측정센서모듈(120)이 상기 설정수심에 도달하면, 상기 데이터와이어를 통해 상기 측정센서모듈(120) 및 부이형 통신모듈(130)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수층별 수중환경정보 취득을 위한 측정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The ascending / descending module 140,
The measurement sensor module 120 and the secondary communication module 130 are lifted and lowered using a strand type wire rope W wound on a drum rotated by a rotation motor,
The wire rope (W)
A data wire capable of data communication with the measurement sensor module 120 and the sub-type communication module 130 is composed of a core,
The control module (150)
The height of the submarine mooring equipment 110 from the seabed surface where the submarine mooring equipment 110 is moored is calculat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evolutions of the drum to check the depth of the measurement sensor module 120, , The control unit controls the measurement sensor module (120) and the sub-type communication module (130) through the data wire.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0173A KR101565583B1 (en) | 2015-05-20 | 2015-05-20 | A measuring equipment for data acquisition on the vertical profile in underwater environment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70173A KR101565583B1 (en) | 2015-05-20 | 2015-05-20 | A measuring equipment for data acquisition on the vertical profile in underwater environmen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65583B1 true KR101565583B1 (en) | 2015-11-13 |
Family
ID=546102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70173A Active KR101565583B1 (en) | 2015-05-20 | 2015-05-20 | A measuring equipment for data acquisition on the vertical profile in underwater environment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65583B1 (en) |
Cited B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39251B1 (en) | 2019-12-30 | 2020-07-29 | (주)지오시스템리서치 | Intelligent submarine surface mooring apparatus for protecting trawl da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10133762A (en) | 2020-04-29 | 2021-11-08 | (주)지오시스템리서치 | Profiling trawl-resistant bottom mount |
KR20220086036A (en) * | 2020-12-16 | 2022-06-23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Equipment detachable apparatus, equipment system with same, and equipment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method |
CN115437031A (en) * | 2022-09-01 | 2022-12-06 | 国家深海基地管理中心 | A geophysical equipment and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ep sea exploration |
CN117007763A (en) * | 2023-10-07 | 2023-11-07 | 山东深海海洋科技有限公司 | Environment-friendly seawater quality monitoring device |
US11976955B2 (en) | 2018-09-21 | 2024-05-07 | Ecolab Usa Inc. | Portable fluid level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
CN118640978A (en) * | 2024-08-16 | 2024-09-13 | 青岛海洋地质研究所 | Data acquisition method for different depths of seawater based on pressure sensing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40281B1 (en) * | 2014-07-28 | 2014-09-18 | (주)지오시스템리서치 | Dual type abnormal condition notification device for seebed mooring apparatus |
KR101487232B1 (en) | 2014-07-22 | 2015-02-03 | (주)지오시스템리서치 | Sampler of each seawater class |
-
2015
- 2015-05-20 KR KR1020150070173A patent/KR101565583B1/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487232B1 (en) | 2014-07-22 | 2015-02-03 | (주)지오시스템리서치 | Sampler of each seawater class |
KR101440281B1 (en) * | 2014-07-28 | 2014-09-18 | (주)지오시스템리서치 | Dual type abnormal condition notification device for seebed mooring apparatus |
Cited By (10)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1976955B2 (en) | 2018-09-21 | 2024-05-07 | Ecolab Usa Inc. | Portable fluid level monitoring device and method |
KR102139251B1 (en) | 2019-12-30 | 2020-07-29 | (주)지오시스템리서치 | Intelligent submarine surface mooring apparatus for protecting trawl damag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KR20210133762A (en) | 2020-04-29 | 2021-11-08 | (주)지오시스템리서치 | Profiling trawl-resistant bottom mount |
KR20220086036A (en) * | 2020-12-16 | 2022-06-23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Equipment detachable apparatus, equipment system with same, and equipment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method |
KR102563957B1 (en) * | 2020-12-16 | 2023-08-04 |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 Equipment detachable apparatus, equipment system with same, and equipment assembling and disassembling method |
CN115437031A (en) * | 2022-09-01 | 2022-12-06 | 国家深海基地管理中心 | A geophysical equipment and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ep sea exploration |
CN115437031B (en) * | 2022-09-01 | 2025-05-30 | 国家深海基地管理中心 | A geophysical device and data processing method for deep sea exploration |
CN117007763A (en) * | 2023-10-07 | 2023-11-07 | 山东深海海洋科技有限公司 | Environment-friendly seawater quality monitoring device |
CN117007763B (en) * | 2023-10-07 | 2023-12-15 | 山东深海海洋科技有限公司 | Environment-friendly seawater quality monitoring device |
CN118640978A (en) * | 2024-08-16 | 2024-09-13 | 青岛海洋地质研究所 | Data acquisition method for different depths of seawater based on pressure sensing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65583B1 (en) | A measuring equipment for data acquisition on the vertical profile in underwater environment | |
Le Reste et al. | “Deep-Arvor”: A new profiling float to extend the Argo observations down to 4000-m depth | |
CN201907635U (en) | Self-heaving detecting buoy capable of reaching to bottom for marine environment | |
Detweiler et al. | Autonomous depth adjustment for underwater sensor networks: Design and applications | |
Benoit‐Bird et al. | Equipping an underwater glider with a new echosounder to explore ocean ecosystems | |
CN103759717B (en) | A kind of optical fiber temperature deep diving mark continuous measurement system | |
CN201397138Y (en) | Real-time monitoring system for offshore marine environment in polar region | |
KR101200895B1 (en) | Ocean observing bouy system and method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modem | |
KR20140058877A (en) | Water transportation type multiful apparatus for collecting sediment and sampling water using unmanned surface vehicle | |
CN205246073U (en) | Fixed point is from going up and down marine environment measuring platform | |
US20180162501A1 (en) | Autonomous water column profiler | |
CN108306692A (en) | Underwater moving body | |
KR102351787B1 (en) | Underwater environment information provision system using underwater drone | |
CN106965905A (en) | Marine acoustics measures buoyage | |
Berkenpas et al. | A buoyancy-controlled lagrangian camera platform for in situ imaging of marine organisms in midwater scattering layers | |
JP2005300393A (en) | Remote control automatic water quality measuring device | |
KR101025872B1 (en) | Seawater Vertical Structure Observation Device at Buoy | |
Francisco et al. | Use of multibeam imaging sonar for observation of marine mammals and fish on a marine renewable energy site | |
CN106394836B (en) | tiny submarine | |
CN103543747A (en) | Topography matching control method for autonomous profiling drifter | |
KR102487360B1 (en) | Method for applying a coating to an external surface of a man-made object to be at least partly immersed in water | |
Dunne et al. | The oceanic remote chemical/optical analyzer (ORCA)—an autonomous moored profiler | |
Jin et al. | Intelligent buoy system (inbus): Automatic lifting observation system for macrotidal coastal waters | |
RU2642677C1 (en) | Underwater winch probe | |
KR102433896B1 (en) | Unmanned marine observa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0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52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520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7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01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0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0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29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1028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1028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1109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101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1030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1028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