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58266B1 - 커넥터 - Google Patents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58266B1
KR101558266B1 KR1020150042379A KR20150042379A KR101558266B1 KR 101558266 B1 KR101558266 B1 KR 101558266B1 KR 1020150042379 A KR1020150042379 A KR 1020150042379A KR 20150042379 A KR20150042379 A KR 20150042379A KR 101558266 B1 KR101558266 B1 KR 101558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connector
contact portion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42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오구로
Original Assignee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이리소 일렉트로닉스 컴패니 리미티드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58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58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00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between two or more conductive members in direct contact, i.e. touching one another; Means for effecting or maintaining such contact; 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having two or more spaced connecting locations for conductors and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 H01R4/2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 H01R4/48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 H01R4/489Clamped connections, spring connections utilising a spring, clip, or other resilient member spring force increased by screw, cam, wedge, or other fastening mea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03B17/14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interchangeab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2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 H01R13/24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 H01R13/2442Contacts for co-operating by abutting resilient; resiliently-mounted with a single cantilevered b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70Coupling devices
    • H01R12/7076Coupling devices for connection between PCB and component, e.g. displa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장치간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해도 전기적인 도통 접속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접속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단자(5)의 탄성편부(5a)에, 접점 돌기부(5b)의 변위의 받침점이 되는 단부(5d)와, 하우징(4)의 내부에서 접점 돌기부(5b)의 변위에 의해 단부(5d)를 받침점으로 하여 렌즈의 FPC(2)에 힘이 가해져 누름 접촉하여 도통 접속하는 내부 접점부(5c)를 설치하는 것으로 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접점 돌기부(5b)가 카메라 몸체의 렌즈 접속부(3)에 눌렸을 때에 내부 접점부(5c)가 지레의 원리에 의해 렌즈의 FPC(2)에 대해 견고하게 누름 접촉하여 접점 돌기부(5b)와 내부 접점부(5c)에 있어서의 확실한 도통 접촉이 가능해진다.

Description

커넥터{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복수의 장치, 부품을 조립하여 사용하는 전기 기기에는 각각의 장치, 부품에 구비된 FPC(Flexible printed circuits) 등의 도체끼리를 접속하는 여러 가지 커넥터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커넥터의 일례로서 디지털 카메라에 있어서 자동초점 검출장치를 갖는 카메라 몸체와 교환 렌즈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이 커넥터는 판스프링 형상의 단자를 갖고 있고, 그 단자는 교환 렌즈의 원통 형상의 하우징의 두께 내에 설치된 단자 수용부에 배치되어 있다. 즉 단자는, 일단측이 하우징에 대해 부동 상태로 고정되어 있고, 거기에서부터 신장하는 외팔보 형상의 자유단측에 접점부가 설치되며, 그 접점부가 접속 대상물이 되는 카메라 몸체의 렌즈 접속부에 설치된 접점 부재와 접속하게 되어 있다.
접점부는 하우징에 설치한 단자 삽입통과 구멍으로부터 바깥쪽을 향해 돌출하고 있고, 거기에 카메라 몸체의 렌즈 접속부의 접점 부재가 접촉하면, 하우징에 대한 고정 개소를 받침점(支點)으로서 변위하여 누름 접촉한 상태로 도통 접속한다.
일본국 특개소 58-063929호
그런데, 상기와 같이 장치, 기기, 부품끼리(이하, 간략하게 「장치간」이라 한다.)를 기계적 및 전기적으로 접속하여 이용하는 전기 기기에 있어서는, 장치간의 기계적인 접속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여유분으로서 설치한 약간의 틈새나 여러해(經年) 사용으로 발생하는 덜거덕거림이 전기적인 접속에 있어서는 접속 불량의 원인이 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즉, 전기적인 접속을 실시하는 전술의 커넥터에서는 단자의 일단측이 하우징에 대해 고정되어 있고, 따라서 단자의 접점 위치는 부동이다. 이 때문에 틈새나 덜거덕거림에 의해서 카메라 몸체와 교환 렌즈가 정규의 기계적인 접속 상태에서 약간 위치가 어긋나는 것만으로 카메라 몸체의 렌즈 접속부의 접점 부재와 교환 렌즈의 단자와의 정규의 접점 위치에도 어긋남이 생겨 올바른 전기적인 접속을 얻을 수 없게 될 우려가 있다.
이와 같은 상태 불량은 카메라 사용시, 휴대시 등에 진동이나 충격을 받았을 때에도 발생할 수 있다. 즉,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서 카메라 몸체와 교환 렌즈와의 기계적인 접속 상태에 약간의 어긋남이 생겨 버려 정규의 접점 위치가 어긋나 버린다는 상태 불량이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은 종래 기술을 배경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기계적으로 접속하는 장치간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해도 전기적인 도통 접속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이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하우징과 하우징에 구비하는 단자를 갖고, 단자가 하우징의 외부에 있는 제 1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를 향해 변위하는 제 1 접점부와, 제 1 접점부로부터 신장하는 탄성편부를 갖는 커넥터에 대해서, 탄성편부가 제 1 접점부의 상기 변위의 받침점이 되는 받침점부와, 하우징의 내부에서 제 1 접점부의 변위에 의해 받침점부를 받침점으로 하여 제 2 접속 대상물에 힘이 가해져 누름 접촉하여 도통 접속하는 제 2 접점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접점부를 힘점(力點), 제 2 접점부를 작용점, 받침점부를 받침점으로 하는 지레의 원리가 작용하여, 제 1 접속 대상물과 접촉한 제 1 접점부가 받침점부를 받침점으로서 변위함으로써 탄성편부에 스프링력을 발생시키면서 제 2 접점부를 제 2 접속 대상물에 대해 견고하게 누름 접촉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 1 접촉부와 제 2 접촉부에 있어서의 확실한 도통 접촉이 가능해져 접속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대해서는 탄성편부를 평판 형상으로 할 수 있다.
탄성편부를 평판 형상으로 하는 본 발명에 의하면, 단자와 커넥터를 박형화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를 구비하는 장치, 기기, 부품을 소형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하우징은 단자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는 수용부를 구비한다.
단자가 하우징에 고정되어 있는 커넥터에서는, 전술과 같이 기계적인 접속을 위해 설치한 장치간의 틈새나 여러해가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덜거덕거림이 전기적인 접속에 있어서는 접속 불량의 원인이 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이 단자를 이동 가능하게 배치하는 수용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틈새나 덜거덕거림, 나아가 진동이나 충격에 의해 정규의 접점 위치에 어긋남이 발생해도 제 1 접속 대상물의 위치가 어긋날 때에 커넥터의 내부에서 단자가 이동 가능하게 함으로써 전기적인 도통 접속을 확실히 유지할 수 있다. 또, 커넥터에 제 1 접속 대상물을 끼워맞춤 접속할 때에 제 1 접속 대상물에 의해 눌려도 단자는 이동 가능하기 때문에, 제 1 접속 대상물과 커넥터와의 끼워맞춤 상태에 따라 적절한 도통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그리고, 단자를 이동 가능하게 하는 상기 본 발명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하우징이 탄성편부의 수용부를 갖고 있고, 탄성편부가 수용부의 내부에서 탄성편부의 판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홀딩되는 것으로서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제 1 접점부가 접점 돌기부로서 형성되어 있고, 하우징이 당해 접점 돌기부를 삽입 통과하는 접점 삽입통과 구멍을 갖고 있으며, 접점 돌기부와 접점 삽입통과 구멍과의 사이에는 접점 돌기부의 구멍 가장자리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가동 간극을 갖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 1 접점부를 접속 신뢰성이 높은 돌기 형상의 접점 돌기부로서 형성할 수 있고, 접점 삽입통과 구멍의 내부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이 복수의 단자를 병렬로 배치해 구비하고 있고, 접점 삽입통과 구멍은 복수의 단자를 병렬로 배치하는 단자의 피치 방향보다 당해 피치 방향에 대한 교차 방향에서 구멍 폭이 큰 형상인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복수의 단자를 구비하는 경우라도 가동 간극을 확보하면서 협피치로 단자를 병렬로 배치할 수 있다. 따라서, 커넥터를 단자의 배열 방향에서 소형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이 만곡 형상이며, 단자가 하우징의 만곡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우징이 만곡 형상인 커넥터를 실현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전술한 카메라 몸체의 렌즈 접속부나 교환 렌즈의 하우징과 같이 만곡 형상의 전기 기기의 하우징에 구비하는 커넥터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하우징이 적어도 제 1 판형상 부재와 제 2 판형상 부재를 서로 겹치고, 그들 판형상 부재의 사이에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것이며, 제 1 판형상 부재 또는 제 2 판형상 부재의 어느 한쪽에는 제 1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여 변위하는 제 1 접점부의 변위를 허용하는 개구부를 갖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개구부에 의해서 변위하는 제 1 접점부와 하우징이 간섭하지 않으므로 하우징이 박형인 커넥터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고, 따라서 전기 기기의 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변위하는 제 1 접점부가 하우징의 개구부의 판두께를 통과하여 외부로 돌출하지 않는 것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르면, 변위한 제 1 접점부가 커넥터의 외부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단자가 다른 주변 부재 등과 간섭하는 일이 없다.
본 발명의 커넥터에 의하면, 장치간의 기계적인 접속을 위해 설치한 약간의 틈새나 여러해가 지남에 따라 발생하는 덜거덕거림에 의해, 또 진동이나 충격의 발생에 의해 정규의 접점 위치가 어긋나도 확실한 도통 접속을 유지할 수 있으므로 기계적인 접속과 전기적인 접속을 양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장치, 기기, 부품끼리를 접속하여 사용하는 전기 기기의 동작 안정성에 공헌할 수 있다.
도 1은 제 1 실시 형태의 커넥터를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커넥터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의 하우징의 분해도이다.
도 10은 도 1의 커넥터의 화살표 SA-SA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이 접속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도 12는 제 2 실시 형태의 커넥터를 상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커넥터를 하측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2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배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7은 도 12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18은 도 12의 커넥터를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9는 도 12의 단자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2의 커넥터의 화살표 SB-SB선 단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커넥터에 접속 대상물이 접속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동작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이하의 각 실시 형태에서 공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생략한다.
본 명세서, 특허청구 범위, 도면에서는 도 1~도 21에서 나타내는 커넥터(1, 10)의 긴쪽 방향을 따르는 폭 방향을 X방향, 짧은쪽 방향을 따르는 전후 방향을 Y방향, 커넥터(1, 10)의 높이 방향을 Z방향으로 하고, 높이 방향(Z)에 있어서의 커넥터(1, 10)의 평면측을 「상측」, 커넥터(1)의 저면측을 「하측」으로서 설명한다. 또한 상하, 좌우, 전후 방향의 설명은 본 발명의 커넥터의 실장 방향, 사용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제 1 실시 형태〔도 1~도 11〕: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는, 예를 들면 도시하지 않은 디지털 카메라의 렌즈에 설치되고, 도 1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 대상물」로서의 카메라 몸체의 렌즈 접속부(3)의 접점부와 도통 접속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는 하우징(4)과, 하우징(4)에 설치하는 복수의 단자(5)를 구비한다.
〔하우징〕
하우징(4)은 도 1~도 7, 도 9~도 1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판형상 부재」로서의 상측 플레이트(6)와, 「제 2 판형상 부재」로서의 하측 플레이트(7)를 구비하고, 이들을 겹쳐 서로 고정한 상태로 단자(5)의 탄성편부(5a)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4a)가 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다. 플레이트(6, 7)는 각각 대략 직사각형이며 판형상의 수지로 이루어지고, 원호형상으로 만곡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 형상은 접속 대상이 되는 카메라 몸체의 렌즈 접속부(3)의 형상에 따라 형성된다.
상측 플레이트(6)는 렌즈 접속부(3)에의 장착부(6a)와, 단자(5)의 접점 돌기부(5b)를 삽입 통과하는 접점 삽입통과 구멍(6b)과, 인접하는 수용부(4a)를 나누는 격벽부(6c)를 갖는다. 장착부(6a)는 원호형상으로 만곡하는 상측 플레이트(6)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격벽부(6c)는 장착부(6a)와는 반대의 내측면(6d)에 형성되어 있다.
접점 삽입통과 구멍(6b)은 상측 플레이트(6)의 긴쪽 방향(X)을 따르는 가장자리와 인접하여 복수 병렬로 배치되고, 하우징(4)의 수용부(4a)의 내부와 외부를 연이어 통한다. 이 접점 삽입통과 구멍(6b)에서는 후술하는 단자(5)의 접점 돌기부(5b)가 수용부(4a)의 내부에서 외부로 돌출하고 있다.
단자(5)의 접점 돌기부(5b)와 접점 삽입통과 구멍(6b)의 사이에는, 접점 돌기부(5b)를 접점 삽입통과 구멍(6b)의 구멍폭 방향(긴쪽 방향(X) 및 짧은쪽 방향(Y))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는 가동 간극(6b1)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접점 삽입통과 구멍(6b)은 도 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자(5)의 피치 방향(긴쪽 방향(X))에서 좁고, 피치 방향의 교차 방향(짧은쪽 방향(Y))에서 넓은 대략 타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단자(5)는 X방향을 따르는 가동 간극의 길이(L1)와, Y방향을 따르는 가동 간극의 길이(L2) 만큼 접점 삽입통과 구멍(6b)의 내측을 이동 가능하다. 가동 간극(6b1)은 X방향을 따르는 길이(L1)보다 Y방향을 따르는 길이(L2) 쪽이 길게 형성되어 있어, 가동역이 크게 되어 있다. 또, 상측 플레이트(6)의 내측면(6d)에는 후술하는 하측 플레이트(7)에 설치한 부착부(7a)를 끼워 넣어 고정하는 고정부(6d1)가 형성되어 있다.
하측 플레이트(7)는 상측 플레이트(6)의 내측면(6d)과 대향하여 설치된다. 또, 하측 플레이트(7)는 짧은쪽 방향(Y)에서 상측 플레이트(6)의 대략 절반 정도의 크기로 형성된다. 하측 플레이트(7)의 긴쪽 방향(X)에 있어서의 양단측에서는 짧은쪽 방향(Y)을 따라 돌출하는 부착부(7a)가 형성되어 있다. 이 부착부(7a)는 후술과 같이 하측 플레이트(7)를 상측 플레이트(6)에 고정할 때에 이용된다.
하우징(4)에는 상측 플레이트(6)와 하측 플레이트(7)의 사이에 FPC(2)의 도입구(4c)가 형성되어 있다. FPC(2)는 하측 플레이트(7)에 접착제 등의 고정 수단에 의해 미리 고정되어 있고, 단자(5)를 하우징(4)에 배치한 상태에서 단자(5)와 FPC(2)는 이미 접촉하도록 되어 있다.
〔단자〕
단자(5)는 도전성 금속편으로 형성된다. 각 단자(5)는 도 1~도 8, 도 10, 도 1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 대상물」로서의 카메라 몸체의 렌즈 접속부(3)의 접점부(도시 생략)와 도통 접촉하는 「제 1 접점부」로서의 접점 돌기부(5b)와, 접점 돌기부(5b)로부터 신장하여 하우징(4)의 내부에서 「제 2 접속 대상물」로서의 FPC(2)와 도통 접촉하는 「제 2 접점부」로서의 내부 접점부(5c)를 갖는 탄성편부(5a)를 갖는다. 탄성편부(5a)의 자유단측이 되는 단부(5d)는 「받침점부」로서 기능한다.
접점 돌기부(5b)는 탄성편부(5a)의 일단측에 설치되고, 선단측이 산형상을 이루는 중공(中空)의 대략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산형 부분의 정수리부에는 접속부(3)와 도통 접촉하는 접점부(5b1)가 형성된다.
내부 접점부(5c)는 탄성편부(5a)에 있어서 접점 돌기부(5b)가 설치되는 측과는 반대의 단부(5d)측에 형성된다. 즉, 내부 접점부(5c)가 탄성편부(5a)의 긴쪽 중심보다 단부(5d)측에 있기 때문에 후술하는 지레의 원리에 의해 내부 접점부(5c)에 큰 접압이 발생할 수 있다. 또 내부 접점부(5c)는 단자(5)를 접어 구부려, 접점 돌기부(5b)가 돌출하는 측과는 반대측에 단면 V자 형상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내부 접점부(5c)는 접점 돌기부(5b)보다 큰 폭으로 하여 강성을 높이고 있다. 단자(5)가 지레의 원리로 큰 스프링력을 발휘하고, 내부 접점부(5c)에는 FPC(2)와의 접촉 시에 큰 응력이 걸리기 때문에, 큰 폭으로 하여 강성을 높임으로써 접어 구부린 내부 접점부(5c)가 찌그러져 접촉력이 저하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탄성편부(5a)는 접점 돌기부(5b)측을 향하여 끝이 가늘어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접점 돌기부(5b)가 접속부(3)측으로부터 누름 접촉된 경우에 탄성편부(5a)에 있어서의 접점 돌기부(5b)측의 스프링 탄성을 높여 변위에 있어서 유연성을 높이도록 하고 있다. 탄성편부(5a)는 하우징(4)의 수용부(4a)의 내부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편으로서 설치되어 있다.
탄성편부(5a)는 전체 길이에 걸쳐서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예를 들면 탄성편부(5a)에 U자 형상으로 되돌아오는 굴곡부를 설치하는 단자 구조로 하는 것보다 커넥터(1)를 높이 방향(Z)에서 소형화(박형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단자(5)는 하우징(4)에 대한 고정 개소가 없고, 하우징(4)에 배치된 상태로 변위 방향(Z방향) 뿐만 아니라, 변위 방향과 교차하는 탄성편부(5a)의 판면 방향(X-Y 평면 방향)에서 이동 가능하게 하여 홀딩되어 있지만, 내부 접점부(5c)가 수용부(4a)의 내부에서 FPC(2)의 접점부와 가볍게 누름 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커넥터(1)를 흔들면 단자(5)가 하우징(4)의 내부에서 돌아다녀 소리가 나버리는 것과 같은 상태 불량이 없다.
〔커넥터(1)의 조립 방법의 설명〕
커넥터(1)를 조립하려면, 우선 상측 플레이트(6)의 격벽부(6c)의 사이에 단자(5)를 한 개씩 배열한다. 그 후, 도 4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플레이트(7)의 부착부(7a)를 상측 플레이트(6)의 고정부(6d1)에 끼워 넣고, 그대로 하측 플레이트(7)를 상측 플레이트(6)에 서로 겹치도록 하여 마지막에 나사 고정(도시 생략)을 한다. 이에 따라, 하측 플레이트(7)가 상측 플레이트(6)로부터 벗어나는 일 없이 확실히 고정할 수 있다.
하측 플레이트(7)는 상측 플레이트(6)에 있어서 접점 삽입통과 구멍(6b)이 형성되어 있는 측과는 반대측의 가장자리와 단차가 없도록 겹쳐 부착한다. 이 상태에서, 양 플레이트(6, 7)의 사이에는 단자(5)의 수용부(4a)가 형성된다. 또, 하측 플레이트(7)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짧은쪽 방향(Y)에서 상측 플레이트(6)보다 짧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측 플레이트(7)가 상측 플레이트(6)에 적층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는 수용부(4a)와 외부를 연이어 통하는 개구부(4b)가 형성되어 있고, 이 개구부(4b)의 내부에는 단자(5)의 선단측이 노출되어 있다.
〔커넥터(1)의 사용 방법의 설명과 작용·효과〕
카메라 몸체에 교환 렌즈를 장착할 때에는 카메라 몸체의 둥근 고리 형상의 렌즈 접속부(3)의 내측에 원통 형상의 교환 렌즈에 있어서의 커넥터(1)를 짧은쪽 방향(Y)을 따라 꽂아 넣도록 한다. 따라서, 접점 돌기부(5b)는 그 선단측의 측면이 렌즈 접속부(3)의 선단측에 대해 부딪치게 접촉하는 경우가 있지만, 접점 돌기부(5b)의 선단측의 측면이 만곡하고 있으므로 걸리는 일 없이 부드럽게 꽂아 넣을 수 있다. 이 꽂아 넣음에 의해 렌즈 접속부(3)의 접점부가 접점 돌기부(5b)를 화살표(C) 방향으로 누름 접촉한다.
접점 돌기부(5b)가 그 누름 접촉에 의해 하우징(4)의 내부를 향하여 변위하면, 그 접점 돌기부(5b)를 힘점, 내부 접점부(5c)를 작용점, 단부(5d)를 받침점으로 하는 지레의 원리가 작용한다. 즉, 접점 돌기부(5b)의 변위에 의해 단부(5d)가 하우징(4)의 수용부(4a)의 내벽에 대해 눌려서 탄성편부(5a)가 전체적으로 휘어 스프링력을 발생시키면서, 내부 접점부(5c)는 니켈 등의 도금이 실시되어 있는 FPC(2)의 접점부에 대해 견고하게 누름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접점 돌기부(5b)와 내부 접점부(5c)에 있어서의 확실한 전기적 접속이 달성된다. 따라서, 카메라 몸체와 교환 렌즈의 사이에 틈새, 덜거덕거림,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한 약간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해도 접점 접속이 유지되어 접속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단자(5)의 탄성편부(5a)는 하우징(4)에 대해 고정되어 있지 않고, 수용부(4a)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한 가동편으로 되어 있다. 그에 따라 단자(5) 전체가 하우징(4)에 대해 이동 가능해지기 때문에, 접점 돌기부(5b)는 렌즈 접속부(3)와의 접촉 방향(높이 방향(Z)) 뿐만 아니라, 그 교차 방향(긴쪽 방향(X) 및 짧은쪽 방향(Y))으로도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접점 돌기부(5b)는 접속부(3)와 접속하고 있는 상태에서 카메라 몸체가 진동하거나 하우징(4)에 대해 이동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접속부(3)와의 접촉 방향(높이 방향(Z))으로 변위할 뿐만 아니라, 접점 돌기부(5b)가 가동 간극(6b1)을 이동하여 카메라 몸체의 렌즈 접속부(3)의 변위에 추종하여 접속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 상기와 같이 렌즈 접속부(3)가 접점 돌기부(5b)에 대해 누름 접촉하면, 탄성편부(5a)의 선단측인 접점 돌기부(5b)측은 렌즈 접속부(3)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한다. 그때, 하우징(4)에는 개구부(4b)가 있기 때문에 단자(5)는 하우징(4)과 간섭하지 않고 변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예를 들면 단자(5)의 변위를 허용하는 폐(閉) 공간을 설치하기 위해서 수용부(4a)를 높이 방향(Z)에서 크게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하우징(4)을 소형화할 수 있다.
하우징(4)의 소형화라는 점에서는, 탄성편부(5a)가 평판 형상이며 하우징(4)을 박형화할 수 있는 것이 소형화로 이어지고 있다. 또, 수용부(4a)에 있어서의 탄성편부(5a)의 수용 부분은 내부 접점부(5c)를 포함하는 탄성편부(5a)의 두께와 FPC(2)의 두께를 더한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도 하우징(4)의 박형화와 커넥터(1)의 소형화에 공헌하고 있다.
제 2 실시 형태〔도 12~도 21〕:
제 2 실시 형태의 커넥터(10)는 전기 기기(D)용 충전기에 구비할 수 있는 것이며, 도 12~2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접속 대상물」로서의 전기 기기(D)의 충전 단자(9)를 충전기의 회로에 접속하는 커넥터(10)이다.
〔하우징〕
하우징(11)은 도 12~18, 도 20, 도 2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측 커버(12)와 하측 커버(13)를 조합한 편평한 상자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내부에는 단자(14)의 탄성편부(14a)를 수용하는 복수의 수용부(11a)가 형성되어 있다. 각 커버(12, 13)는 각각 경질 수지제이다.
상측 커버(12)는 직사각형 형상의 상면부(11b)와, 그 인접하는 3변에 형성되는 측면부(11c)를 갖는다. 하측 커버(13)는 대략 직사각형의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측 커버(12)는 충전 단자(9)와의 접속면(12a)과, 단자(14)의 접점 돌기부(14b)를 삽입 통과하는 접점 삽입통과 구멍(12b)과, 각 수용부(11a)를 나누는 격벽부(12c)를 갖는다. 격벽부(12c)는 접속면(12a)과는 반대의 내측면(12d)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접점 삽입통과 구멍(12b)은 상측 커버(12)에 있어서 상면부(11b)의 긴쪽 방향(X)을 따르는 가장자리가에 복수 형성된다. 본 실시 형태의 커넥터(10)에서는 3개의 접점 삽입통과 구멍(12b)을 설치하고 있다. 이 접점 삽입통과 구멍(12b)에서는 단자(14)의 접점 돌기부(14b)가 수용부(11a)의 내부에서 외부를 향해 돌출하고 있다. 또, 커넥터(10)의 접점 삽입통과 구멍(12b)은 단자(14)의 피치 방향(긴쪽 방향(X))에서 좁고, 피치 방향의 교차 방향(짧은쪽 방향(Y))에서 넓은 대략 직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측 커버(12)의 측면부(11c)의 내측에는 하측 커버(13)를 꽂아 넣어 고정하기 위한 고정홈(12d1)이 설치되어 있다.
하측 커버(13)는 고정홈(12d1)에 고정된 상태로, 짧은쪽 방향(Y)에서는 상측 커버(12)의 상면부(11b)의 대략 절반 정도의 크기로 형성되고, 그에 따라 하우징(11)의 저면에는 개구부(11d)가 형성된다.
〔단자〕
단자(14)의 접점 돌기부(14b)는 제 1 실시 형태의 커넥터(1)의 단자(14)와는 달리, 도 19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판 형상의 금속판을 U자 형상으로 접어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또, 접점 돌기부(14b)의 정수리부 중앙에는 가늘고 긴 관통구멍(14b2)이 설치되어 있고, 이 관통구멍(14b2)을 사이에 둔 양측에 세판(細板) 형상의 접점부(14b1)가 한 쌍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관통구멍(14b2)을 설치하여 각 접점부(14b1)의 판 폭을 가늘게 함으로써 접점부(14b1)와 충전 단자(9)와의 접촉 면적을 줄여서 접점부(14b1)로부터 배터리의 접속부(9)에 걸리는 하중을 늘려 이들을 확실히 도통 접속시키고 있다.
〔커넥터(10)의 조립 방법의 설명〕
커넥터(10)의 조립 방법으로는, 우선 상측 커버(12)의 격벽부(12c)의 사이에 단자(14)를 한 개씩 배열한다. 그 후, 도 15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하측 커버(13)의 짧은쪽 방향(Y)을 따르는 단부를 상측 커버(12)의 고정홈(12d1)에 슬라이드시켜 삽입한다.
양 커버(12, 13)의 사이에는 단자(14)의 수용부(11a)가 형성된다. 또, 하측 커버(13)는 상술한 바와 같이 짧은쪽 방향(Y)에서 짧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용부(11a)와 외부를 연이어 통하는 개구부(11d)가 형성된다. 그리고, 이 개구부(11d)에서는 단자(14)의 선단측이 외부로 노출된다.
〔커넥터(10)의 사용 방법의 설명과 작용·효과〕
도시하지 않은 전기 기기(D)를 충전기에 설치하면, 도 20 및 도 2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기 기기(D)의 충전 단자(9)가 접점 돌기부(14b)와 누름 접촉하여 개구부(11d)를 향하여 변위한다. 이에 따라, 접점 돌기부(14b)를 힘점, 내부 접점부(14c)를 작용점, 단부(14d)를 받침점으로 하는 지레의 원리가 작용한다. 즉, 단부(14d)가 상측 커버(12)의 내측면에 대해 눌려 탄성편부(14a)가 전체적으로 휘어 스프링력을 발생시키면서, 내부 접점부(14c)는 니켈 등의 도금이 실시되어 있는 FPC(8)의 접점부에 대해 견고하게 누름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하여 접점 돌기부(14b)와 내부 접점부(14c)에 있어서의 확실한 전기적 접속이 달성된다. 따라서, 전기 기기(D)와 충전기의 사이에 틈새, 덜거덕거림, 진동이나 충격 등에 의한 약간의 위치 어긋남이 발생해도 접점 접속이 유지되어 접속 신뢰성이 높은 커넥터 접속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단자(14)가 이동 가능한 구성과 그 작용·효과에 대해서는 제 1 실시 형태의 커넥터(1), 단자(5)와 동일하다. 또한 하우징(11)의 박형화와 커넥터(10)의 소형화에 공헌할 수 있는 점도 제 1 실시 형태의 커넥터(1), 단자(5)와 동일하다.
제 1 실시 형태에서는 카메라 몸체와 교환 렌즈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1)를, 제 2 실시 형태에서는 전기 기기(D)와 그 충전기를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커넥터(10)를 예시했지만, 그 밖의 장치, 기기, 부품끼리를 접속하는 커넥터로서 구성하는 것은 물론 가능하다.
또, 이상의 실시 형태에서는 「제 2 접속 대상물」로서 FPC(2, 8)을 예시했지만, 경질의 회로 기판이나 다른 커넥터의 단자와 같이 전기적으로 접속하는 대상물이 되는 것이면, 그에 따라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1 : 커넥터(제 1 실시 형태) 2 : 렌즈의 FPC(제 2 접속 대상물)
3 : 카메라 몸체의 렌즈 접속부(제 1 접속 대상물)
4 : 하우징(제 1 실시 형태) 4a : 수용부
4b : 개구부 4c : 도입구
5 : 단자(제 1 실시 형태) 5a : 탄성편부
5b : 접점 돌기부(제 1 접점부) 5b1 : 접점부
5c : 내부 접점부(제 2 접점부) 5d : 단부(받침점부)
6 : 상측 플레이트(제 1 판형상 부재)
6a : 장착부 6b : 접점 삽입통과 구멍
6b1 : 가동 간극 6c : 격벽부
6d : 내측면 6d1 : 고정부
7 : 하측 플레이트(제 2 판형상 부재) 7a : 부착부
8 : 충전기의 FPC(제 2 접속 대상물)
9 : 전기 기기의 충전 단자(제 1 접속 대상물)
10 : 커넥터(제 2 실시 형태) 11 : 하우징(제 2 실시 형태)
11a : 수용부 11b : 상면부
11c : 측면부 11d : 개구부
12 : 상측 커버(제 1 판형상 부재) 12a : 접속면
12b : 접점 삽입통과 구멍 12c : 격벽부
12d : 내측면 12d1 : 고정홈
13 : 하측 커버(제 2 판형상 부재) 14 : 단자(제 2 실시 형태)
14a : 탄성편부 14b : 접점 돌기부(제 1 접점부)
14b1 : 접점부 14b2 : 관통구멍
14c : 내부 접점부(제 2 접점부) 14d : 단부(받침점부) 
L1 : 가동 간극의 X방향을 따르는 길이
L2 : 가동 간극의 Y방향을 따르는 길이
D : 전기 기기

Claims (7)

  1. 하우징과 하우징에 구비하는 단자를 갖고,
    단자가 하우징의 외부에 있는 제 1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변위하는 제 1 접점부와, 제 1 접점부로부터 신장하는 탄성편부를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 전체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탄성편부는
    제 1 접점부의 상기 변위의 받침점이 되는 받침점부와,
    하우징의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서, 제 1 접점부의 변위에 의해 받침점부를 받침점으로 하여 제 2 접속 대상물에 힘이 가해져 누름 접촉하여 도통 접속하는 제 2 접점부를 갖고 있으며,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 1 접점부를 삽입 통과하는 접점 삽입통과 구멍을 갖고 있고,
    상기 제 1 접점부는 상기 접점 삽입통과 구멍에서 돌출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접점부와 상기 접점 삽입통과 구멍의 사이에는 제 1 접점부의 구멍 가장자리 방향으로의 이동을 허용하는 가동 간극을 갖고 있고, 상기 제 1 접점부가 상기 가동 간극의 범위에서 이동함으로써 단자 전체가 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하우징과 하우징에 구비하는 단자를 갖고,
    단자가 하우징의 외부에 있는 제 1 접속 대상물과의 접촉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를 향하여 변위하는 제 1 접점부와, 제 1 접점부로부터 신장하는 탄성편부를 갖는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단자 전체가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는 수용부를 구비하고 있고,
    상기 탄성편부는 평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제 1 접점부의 상기 변위의 받침점이 되는 받침점부와,
    하우징의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서, 제 1 접점부의 변위에 의해 받침점부를 받침점으로 하여 제 2 접속 대상물에 힘이 가해져 누름 접촉하여 도통 접속하는 제 2 접점부를 갖고 있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탄성편부와 제 2 접속 대상물을 서로 겹친 두께에 상당하는 높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탄성편부가 상기 수용부의 내부에서 탄성편부의 판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홀딩되는 커넥터.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접점부가 접점 돌기부로서 형성되는 커넥터.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복수의 단자를 병렬로 배치하여 구비하고 있고,
    접점 삽입통과 구멍은 복수의 단자를 병렬로 배치하는 단자의 피치 방향보다 상기 피치 방향에 대한 교차 방향에서 구멍 폭이 큰 형상인 커넥터.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우징이 만곡 형상이며,
    단자가 하우징의 만곡 방향으로 병렬로 배치되어 있는 커넥터.
  7.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하우징은 적어도 제 1 판형상 부재와 제 2 판형상 부재를 서로 겹치고, 그들 판형상 부재의 사이에 상기 수용부를 형성하는 것이며,
    제 1 판형상 부재 또는 제 2 판형상 부재의 어느 한쪽에는 제 1 접속 대상물과 접촉하여 변위하는 제 1 접점부의 변위를 허용하는 개구부를 갖는 커넥터.
KR1020150042379A 2014-04-15 2015-03-26 커넥터 KR10155826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83628 2014-04-15
JP2014083628A JP5668160B1 (ja) 2014-04-15 2014-04-15 コネクタ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58266B1 true KR101558266B1 (ko) 2015-10-07

Family

ID=52569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42379A KR101558266B1 (ko) 2014-04-15 2015-03-26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50295329A1 (ko)
EP (1) EP2937944A1 (ko)
JP (1) JP5668160B1 (ko)
KR (1) KR101558266B1 (ko)
CN (1) CN105006675A (ko)
TW (1) TW20153783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3452B2 (en) * 2015-09-08 2018-02-13 Apple Inc. Low-profile spring-loaded contacts
US10522930B2 (en) * 2016-03-11 2019-12-31 Dell Products L.P. Systems and methods for frequency shifting resonance of connector stubs
RU2645916C1 (ru) * 2016-11-30 2018-02-28 Публичное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Красногорский завод им. С.А. Зверева" Электрический разъем для сменного объектива
CN109524822B (zh) * 2017-09-20 2024-09-17 泰科电子(上海)有限公司 导电端子和连接器
DE102018212119B4 (de) * 2018-07-20 2020-07-09 Carl Zeiss Ag Objektivgrundkörper für ein Objektiv, Außengehäuse für ein Objektiv, Objektivsystem und Objektivbaugruppe
EP3923421A1 (de) * 2020-06-09 2021-12-15 Afag Holding AG Elektrische verbindungseinrichtung mit einem grundkörper und einem verschiebekörper
US20230087891A1 (en) * 2021-09-23 2023-03-23 Apple Inc. Pass-through connectors for connector system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7170A (ja) 2001-07-03 2003-01-1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03297471A (ja) 2001-10-02 2003-10-17 Ngk Insulators Ltd コンタクトシート
JP2009288336A (ja) 2008-05-27 2009-12-10 Mitsui Seimitsu Kk 電気的コネクタ、カメラレンズ及びカメラ
JP2013182664A (ja) 2012-02-29 2013-09-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電気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63929A (ja) * 1981-10-13 1983-04-16 Nippon Kogaku Kk <Nikon> 電気的コネクタ−を有する交換写真レンズ
JPH0410582Y2 (ko) * 1986-02-26 1992-03-16
JP3151938B2 (ja) * 1992-06-22 2001-04-03 株式会社ニコン カメラ用電気的コネクター
US7918671B2 (en) * 2004-07-13 2011-04-05 Research In Motion Limited Mounting structure with springs biasing towards a latching edge
TWM312072U (en) * 2006-10-24 2007-05-11 Singim Internat Corp Card reader
JP5810659B2 (ja) * 2011-06-17 2015-11-11 リコーイメージング株式会社 カメラボディ、レンズ鏡筒、及び、レンズ交換式カメ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17170A (ja) 2001-07-03 2003-01-17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コネクタ
JP2003297471A (ja) 2001-10-02 2003-10-17 Ngk Insulators Ltd コンタクトシート
JP2009288336A (ja) 2008-05-27 2009-12-10 Mitsui Seimitsu Kk 電気的コネクタ、カメラレンズ及びカメラ
JP2013182664A (ja) 2012-02-29 2013-09-12 Japan Aviation Electronics Industry Ltd 電気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937944A1 (en) 2015-10-28
JP2015204225A (ja) 2015-11-16
TW201537836A (zh) 2015-10-01
US20150295329A1 (en) 2015-10-15
CN105006675A (zh) 2015-10-28
JP5668160B1 (ja) 2015-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266B1 (ko) 커넥터
US9502815B2 (en) Electrical connector
TWI322537B (en) Electrical connector
JP6325720B1 (ja) 多接点コネクタ
JP5080336B2 (ja) 基板実装用コネクタ
KR20140109226A (ko) 전기 커넥터
JP2006073206A (ja) Ffc用コネクタ
CN111193124A (zh) 电连接器
US7938651B2 (en) Substrate connector
US991208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female terminal with a holding protrusion
JP2008112682A (ja) カードエッジ型コネクタ
KR20050014680A (ko) 간단한 구조의 소형 커넥터
JP2007095371A (ja) 電気コネクタ
US9755339B2 (en) Connecting structure of connector and flat circuit body
US11799222B2 (en) Connector having a fitting, a housing, and a conductive component
US10122104B2 (en) Connector for a flexible printed circuit
CN115997322A (zh) 连接器
JP2007042384A (ja) 電気コネクタ
JP2021064535A (ja) 電気コネクタ及び電気コネクタ組立体
KR101438582B1 (ko) 고전류 전기 커넥터
JP5776894B2 (ja) コネクタ装置
JP2012156021A (ja) フローティングコネクタ
KR20170069126A (ko) 플랫 케이블용 커넥터
JP4133954B2 (ja) コネクタ
JP4053515B2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