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7354B1 -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7354B1 KR101557354B1 KR1020090011577A KR20090011577A KR101557354B1 KR 101557354 B1 KR101557354 B1 KR 101557354B1 KR 1020090011577 A KR1020090011577 A KR 1020090011577A KR 20090011577 A KR20090011577 A KR 20090011577A KR 101557354 B1 KR101557354 B1 KR 10155735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unit
- delete delete
- mode
- control unit
- electronic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81—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 H04N1/0030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telecommunication apparatus, e.g. a switched network of teleprinters for the distribution of text-based information, a selective call terminal with a mobile telephone apparatu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and to details thereof
- H04N2201/0098—User interven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placing documents, responding to an ala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유닛, 그리고 카메라 유닛을 구비하며, 상기 통신 유닛의 제1 모드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모드는 비활성화된 일 상태에서, 상기 카메라 유닛이 활성화 되도록 구성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무선통신 기능과 관련된 환경이 전부 실행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촬영 기능에 접근할 수 있게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기기는 사용자가 휴대할 수 있는 정도의 무게 및 사이즈를 가지며 전자적으로 각종 기능이 제어되는 기기이다. 예를 들어, 휴대용 단말기, 휴대용 카메라, 엠피쓰리피(MP3P), 피엠피(PMP), 전자사전,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피디에이(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s), 네비게이션 등이 휴대용 전자기기의 예가 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위와 같은 다양한 기능들과 무선통신 기능을 함께 구현하는 경우에, 이들의 실행 시에 사용자의 편의성을 높이기 위해 구조적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종래와 다른 방식으로 촬영 기능에 접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무선 통신을 위한 유닛의 전 기능이 구현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촬영을 위한 유닛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촬영을 위한 유닛과 무선 통신을 위한 유닛이 독립적으로 동작하면서도, 공통적으로 연결된 유저 인터페이스에 대한 제어권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의 작동 모드에 따라 변경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전자기기는 본체와, 카메라 유닛과, 통신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디스플레이부와 사용자 입력부를 구비한다. 상기 카메라 유닛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배치되는 면의 반대되는 면을 통해 노출되는 카메라 모듈을 구비한다.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본체에 무선 통신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통신 유닛은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한 정보 수신만 가능한 제1 모드 또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상기 무선 통신을 통한 정보 송신을 위한 화면을 출력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통신 유닛의 제1 모드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모드는 비활성화된 일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이 활성화되어 획득한 이미지 정보에 관한 화면을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는 촬영 블록, 통신 블록, 중 개 유닛, 및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촬영 블록은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1 제어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제1 전원부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 블록은 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제2 전원부를 구비한다. 상기 통신 블록은 정보 수신만 가능한 제1 모드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한 정보 송신을 위한 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한다. 상기 중개 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제어부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및 제2 제어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는 상기 중개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제어부에 의해 제어된다. 상기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에 포함된다. 상기 제2 전원부에 의한 전원 공급에 의해 제1 모드가 활성화되고 제2 모드는 비활성화된 일 상태에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부를 작동시켜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는 (a) 통신 블록이 이벤트를 수신 가능한 제1 모드 및 상기 수신된 이벤트에 대한 응답 및 열람 중 적어도 하나가 가능한 제2 모드들 중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단계와, (b) 상기 통신 블록의 제어부가 촬영 블록을 활성화시키고 상기 촬영 블록의 제어부는 카메라 모듈이 동작하여 획득한 이미지 정보에 관한 화면이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하는 단계와, (c) 상기 촬영 블록의 활성화 중에, 상기 제1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블록은 수신한 이벤트에 관한 정보를 상기 촬영 블록에 전달하는 단계와, (d) 상기 촬영 블록은 선택적으로 상기 통신 블록이 상기 제2 모드로 동작하게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휴대용 전자기기는 통신 유닛(통신 블록)의 제1 모드만 활성화된 상태에서 그의 제2 모드가 아닌 카메라 유닛(촬영 블록)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카메라 유닛을 빨리 실행시키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의 의도에 부합되게 동작 가능하다. 나아가, 위 경우에는 사용자가 선택하지 않은 제2 모드가 불필요하게 실행되지 않게 된다.
통신 블록과 촬영 블록이 각각 별도의 전원부를 구비하고, 그들이 중개 유닛을 통해 통신 가능하게 구성됨에 따라, 두 개의 블록이 독립적으로 담당하는 기능을 수행함과 동시에 서로 간에 대등한 위치에서 협력이 가능해 진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용 전자기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고, 도 2는 도 1의 중개 유닛(300)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0)는 통신 유닛(100), 카메라 유닛(200), 중개 유닛(300), 유저 인터페이스(400), 인터페이스부(500), 센싱부(600), 및 전원 공급부(7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휴대용 전자기기가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통신 유닛(100) 및 카메라 유닛(200)은 각각 기능적인 관점에서 통신 블록 또는 촬영 블록이라 칭해지기도 한다.
먼저, 통신 유닛(100)은 제어부(110), 무선통신 모듈(120), 전원부(130), 및 메모리(140)를 포함한다. 제어부(110)는 무선통신 모듈(120) 등의 작동을 제어한다. 무선통신 모듈(120)은 휴대용 전자기기(10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1000)와 휴대용 전자기기(10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무선통신 모듈(120)은, 예를 들어, 방송 수신 모듈,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또는 위치정보확인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원부(130)는 중개 유닛(300)을 거쳐서 전원공급부(700)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이 무선통신 모듈(120) 등에 제공되게 할지 등을 결정하게 된다. 이와 달리, 전원공급부(700)를 구비하지 않아서, 휴대용 전자기기(1000)를 온(ON)시키기 위한 조작 시에 전원부(130)가 바로 작동되게 할 수도 있다. 메모리(140)에는 무선통신 모듈(120)을 통해 수신된 정보나 제어부(11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다음으로, 카메라 유닛(200)은 제어부(210), 카메라 모듈(220), 전원부(230), 및 메모리(240)를 포함한다. 제어부(210)는 카메라 모듈(220)의 활성화 등을 제어한다. 제어부(210)는 통신 유닛(100)의 제어부(110)와는 독립적으로 작동한다. 카메라 모듈(220)은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카메라 모듈(220)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메모리(240)에 저장되거나 중개 유닛(300)을 개입시킨 무선통신 모듈(120)의 작동에 의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전원부(230)는 중개 유닛(300)을 거쳐서 전원공급부(700)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카메라 모듈(220) 등이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되게 한다. 메모리(240){및 메모리(14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일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메모리(140, 240)의 기능은 인터넷(internet) 상에서 데이터 저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로 대체될 수도 있다.
중개 유닛(300)은 통신 유닛(100)과 카메라 유닛(200)을 회로적으로 연결하여, 그들 서로 간의 통신이 가능하게 한다. 예를 들어, 카메라 유닛(200)의 제어부(210)에 의해 카메라 모듈(220)이 작동 중에 통신 유닛(100)의 제어부(110)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120)이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그에 관한 사항은 중개 유닛(300)을 거쳐서 제어부(210)에 전달된다.
도 2를 참조하면, 중개 유닛(300)에는 위 통신을 위한 레벨 변환부(310)가 구비될 수 있다. 레벨 변환부(310)는 통신 유닛(100)과 카메라 유닛(200)이 동작하는 전력 레벨에 차이가 있는 경우에, 그 차이를 제거하기 위한 회로이다. 중개 유닛(300)은 디스플레이부(411), 메모리 소켓(510), 사용자 입력부(420), 알람부(413) 등을 통신 유닛(100)과 카메라 유닛(20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도록 스위 칭하기 위한 연결 모듈(321 내지 324)을 구비한다. 연결 모듈(321 내지 324)는 예시적인 일부이며, 음향 출력 모듈(412)을 위한 연결 모듈 등이 추가로 구비된다. 연결 모듈(321 내지 324)은 모드 조정부(330)에 의해 스위칭 신호를 입력받고, 모드 조정부(330)는 제어부(110 또는 220)로부터 위 스위칭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모드 조정 신호를 입력받는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유저 인터페이스(400)는 중개 유닛(300), 구체적으로는 연결 모듈(321 내지 324, 도 2 참조)을 통해서 통신 유닛(100) 또는 카메라 유닛(200)과 연관되게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유저 인터페이스(400)는 통신 유닛(100)과 카메라 유닛(200) 중 주도권을 가진 유닛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카메라 유닛(200)의 제어부(210)에 의해 카메라 모듈(220)이 작동 중에 통신 유닛(100)의 제어부(110)에 의해 무선통신 모듈(120)이 정보를 수신한 경우에, 그 정보는 제어부(110)가 아닌 제어부(210)의 제어 하에 유저 인터페이스(400)가 출력하게 된다.
유저 인터페이스(40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출력부(410)와,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정보(명령,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사용자 입력부(420)와, 소리를 입력받기 위한 마이크(430) 등을 포함한다.
출력부(410)는 디스플레이부(411), 음향 출력 모듈(412), 알람부(413), 및 햅틱 모듈(414)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11)는 휴대용 전자기기(10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디스플레이부(41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41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1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전자기기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1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41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사용자 입력부(420)}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412)은 무선통신 모듈(120)로부터 수신되거나 메모리(140, 240)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41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알람부(413)는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한다. 휴대용 전자기기(1000)에서 발생 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호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터치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413)는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 예를 들어 진동이나 발광 등으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상기 비디오 신호나 오디오 신호는 디스플레이부(411)나 음성 출력 모듈(412)을 통해서도 출력될 수 있어서, 그들(411,412)은 알람부(413)의 일부로 분류될 수도 있다.
햅틱 모듈(haptic module)(414)은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 를 발생시킨다. 햅틱 모듈(414)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햅택 모듈(414)이 발생하는 진동의 세기와 패턴 등은 제어가능하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진동을 합성하여 출력하거나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햅틱 모듈(414)은, 진동 외에도, 접촉 피부 면에 대해 수직 운동하는 핀 배열, 분사구나 흡입구를 통한 공기의 분사력이나 흡입력, 피부 표면에 대한 스침, 전극(eletrode)의 접촉에 의한 효과 등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20)는 사용자가 전자기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명령(신호, 정보)의 입력을 가능하게 한다. 사용자 입력부(42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마이크(430)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통신 모듈(120)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500)는 휴대용 전자기기(10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통로 역할을 한다. 인터페이스부(500)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용 전자기기(1000)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용 전자기기(1000)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기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memory card)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 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 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인터페이스부(500)에 포함될 수 있다. 인터페이스부(500)는 메모리 카드(520)를 수용하기 위한 메모리 소켓(510, 이상 도 3c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은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User Identify Module, UIM), 가입자 인증 모듈(Subscriber Identify Module, SIM)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이하 '식별 장치')는, 스마트 카드(smart card)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식별 장치는 포트를 통하여 휴대용 전자기기(1000)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부(500)는 휴대용 전자기기(1000)가 외부 크래들(cradle)과 연결될 때 상기 크래들로부터의 전원이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0)에 공급되는 통로가 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상기 크래들에서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0)로 전달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상기 크래들로부터 입력되는 각종 명령 신호 또는 상기 전원은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1000)가 상기 크래들에 정확히 장착되었음을 인지하기 위한 신호가 될 수도 있다.
센싱부(600)는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개폐 상태,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방위,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감지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전원 공급부(70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500)의 외부 기기와의 결합 여부 등을 감지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700)는 중개 유닛(30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앞설 설명한 바와 같이, 전원 공급부(700)는 별도로 구비되지 않고 그의 기능이 전원부(130)에 통합될 수도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400) 및 인터페이스부(500), 그리고 센싱부(600)는 중개 유닛(300)을 거쳐 통신 유닛(100)과 카메라 유닛(200)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어 그에 의해 제어된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11)가 카메라 유닛(200)의 제어부(210)와 관련되어 촬영될 화면을 출력하고 있는 경우에, 통신 유닛(100)의 제어부(110)는 중개 유닛(300)을 통해 디스플레이부(411)를 통해 출력할 내용이 있음을 통지하게 된다. 이를 통지받은 제어부(210)는 디스플레이부(411)를 제어하여 위 내용이 출력되게 한다.
각각 통신 유닛(100)과 카메라 유닛(200)에 의해 독립적으로 사용되는 메모리(140,240)와 달리, 메모리 소켓(510)에 장착되는 메모리 카드(520, 도 3c)는 그들 모두에 의해 접근(acess)이 가능하게 구성된다. 예를 들어, 제어부(210)에 의해 메모리 카드(520)에 저장된 이미지 정보는 제어부(110)에 의해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a는 도 1의 통신 유닛(100)과 카메라 유닛(200)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기기(1000)를 활성화시키기 위하 여 사용자 입력부(420)를 조작하게 되면, 전원공급부(700) 또는 전원부(130)는 통신 유닛(100)의 제어부(110)를 활성화시킨다. 제어부(110)는 무선통신 모듈(120)이 이벤트(콜 신호, 방송 신호, 문자 메세지 등)를 수신할 수 있는 상태인 제1 모드로 작동하게 한다.
위 제1 모드에서 휴대용 전자기기(1000)가 제2 모드로 진행할지, 또는 카메라 유닛(200)이 활성화되는 상태로 진행할지 여부가 결정 또는 선택된다.
제2 모드에서는 이벤트 수신뿐만 아니라, 수신된 이벤트에 대한 응답 또는 열람(예를 들어, 콜 신호에 대한 응답에 의한 통화, 방송 신호에 대한 응답에 의한 방송 출력, 문자 메세지 내용에 대한 열람 등)이 가능하다. 나아가, 제2 모드에서는 이벤트를 송신(예를 들어, 전화 걸기, 문자 메세지 전송 등)도 가능하다. 전화를 거는 경우,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11)는 콜 번호 송신을 위한 화면을 제공한다. 또한, 제2 모드에서는, 예를 들어 스케쥴 관리, 화면 설정, 벨소리 설정 등의 기능과 같이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기능들이 추가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2 모드의 실행 중에 카메라 유닛(200)이 활성화되도록 전환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도 가능하다. 이러한 전환은 사용자 입력부(420)를 통한 사용자의 선택이나, 이벤트 수신과 관련되어 위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설정 등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 유닛(200)이 활성화된 경우라도, 제1 모드는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3b는 도 3a의 선택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411)의 출력화면 을 예시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휴대용 전자기기(1000)는 제1 모드가 실행됨을 사용자에게 알리면서 다음 단계로서 제2 모드로 진행할지, 아니면 카메라 유닛(200)의 활성화로 진행할지 여부를 물을 수 있다. 사용자는 해당 아이콘을 터치하는 등의 방식으로 둘 중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선택은 휴대용 전자기기(1000)에 사전에 입력한 설정에 의해 추가적인 조작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전원공급부(700)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할당된 사용자 입력부(420)를 재차 조작하거나 일정 시간 이상 연속적으로 조작하면, 위 결정 단계가 제2 모드의 활성화로 확정되게 할 수 있다. 또는,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전원을 온 시킴과 동시에 카메라 유닛(200)의 활성화로 선택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된 전용 키를 사용자 입력부(420) 중 하나로 할당할 수도 있다.
도 4a는 도 3a에서 카메라 유닛(200)에서 통신 유닛(100)으로의 모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알람 단계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4c는 도 4a의 통신 유닛(100)의 제2 모드가 종료된 후의 일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카메라 유닛(200)이 활성화된 상태에서 통신 유닛(100)은 제1 모드로 동작한다. 제1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유닛(100)의 무선통신모듈(120)이 이벤트를 수신한 경우에, 통신 유닛(100)의 제어부(110)는 카메라 유닛(200)의 제어부(210)에 이벤트를 수신했다는 정보를 전달한다.
이벤트 수신정보를 전달받은 제어부(210)는 알람부(413)를 통해 이를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알린다.
본 실시예에서는, 위의 알람의 한 형태로서 도 4b에 예시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11)를 통해 수신정보가 통지된다. 디스플레이부(411)에는 카메라 모듈(220)에서 얻어지는 이미지에 대하여 오버랩된 상태로 위 상황을 출력되거나, 화면을 분할하여 위 상황이 출력될 수 있다. 화면 분할 시에 이미지는 사이즈가 작아지면서, 분할된 일 영역에 맞추어진 채로 출력될 수 있다. 나아가, 수신정보를 강조하기 위하여, 배경을 이루는 이미지 정보는 수신정보보다 흐릿하게 출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11)에는 카메라 유닛(200)의 활성화 상태에서 전화를 수신하는 상태(제2 모드)로 변경 여부를 묻는 내용 및 그를 선택하기 위한 아이콘이 출력될 수 있다.
이상과 달리, 이벤트의 수신은 진동이나 발광을 통해서 사용자에게 알려질 수도 있다. 발광을 위해서는,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조작 유닛(423)이 설치된 면 등에 엘이디(LED) 등의 발광요소와 연계된 발광부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4a를 참조하면, 제어부(210)는 이벤트에 대한 응답 여부[통신 유닛(100)이 제2 모드로 동작하게 할지 여부]를 판단한다. 이러한 판단은 사전 설정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도 4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입력부(420)를 통해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질 수 있다.
제2 모드로의 전환으로 판단되면, 제어부(210)는 중개 모듈(300)을 거쳐서 제어부(110)에 제2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신호를 전달한다. 위 신호에 의해, 제1 모드로 동작하던 통신 유닛(100)은 제2 모드로 동작하여 수신된 이벤트에 대한 응답이 이루어지게 된다. 제어부(210)는 또한 중개 모듈(300), 구체적으로는 모드 조정부(330, 도 2)에 디스플레이부(411)나 음향출력모듈(412) 등이 제어부(110)와 연결되게 하는 모드 조정 신호를 보낸다. 위의 동작 후에 제어부(210)는 전원부(230)에 명령하여 카메라 유닛(200)이 오프(OFF)되게 한다.
제2모드로 전환하지 않는 것을 판단되면, 제어부(210)는 제어부(110)에 이를 통지한다. 그 결과, 제어부(110)는 무선통신모듈(120)이 이벤트를 수신하는 상태가 종료되게 한다. 통신 유닛(100)이 제2 모드로 전환되지 않음에 따라, 카메라 유닛(200)은 기존의 동작 상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도 4c를 참조하면, 카메라 유닛(200)은 활성화 중에 이벤트 수신 등으로 비활성화될 때, 비활성화 시점 전후의 일정 구간에서의 작동에 관한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카메라 모듈(220)에 의한 이미지 촬영 중에 전화 수신으로 통신유닛(100)의 제2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전환되는 경우라면, 전환 전에 카메라 모듈(220)이 임의로 이미지를 촬영하여 저장되도록 구성된다. 전화가 수신되었다는 알람 시에 위와 같은 촬영 및 저장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러한 기능에 의하면, 갑작스러운 방해로 인해, 사용자가 중요한 순간을 놓치는 것을 보완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전화 수신 상태가 종료되고 카메라 유닛(200)이 다시 활성화되는 경우에, 자 동으로 촬영되어 저장되었던 이미지는 사용자에게 알려진다. 본 도면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11)에 위 사실이 출력되고, 저장된 이미지를 볼지 여부를 묻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411)를 터치하거나 다른 조작 유닛(421 내지 423)을 통해 선택을 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휴대용 전자기기(1000)에 대한 설정을 통해 위 선택이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3a에서 통신유닛(100)에서 카메라 유닛(200)의 모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통신유닛(100)이 제2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설정이나 사용자 입력부(420)에 대한 조작에 의해 카메라 유닛(200)을 활성화하라는 명령이 제어부(110)에 수신된다.
제어부(110)는 위 명령을 카메라 유닛(200)의 전원부(230)에 전달한다. 전원부(230)는 카메라 유닛(200)에 전원을 공급하여 제어부(210)가 카메라 모듈(220)을 구동하게 한다.
제어부(110)가 중개 모듈(300)에 모드 조정 신호를 전달함에 의해, 중개 모듈(300)은 디스플레이부(411)나 사용자 입력부(420) 등이 카메라 유닛(200)의 제어부(210)에 의해 제어되게 한다. 이에 의해, 카메라 모듈(220)이 획득한 이미지 정보는 디스플레이부(411)에 출력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420)에 대한 조작을 통해서는 카메라 모듈(220)의 구동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게 된다.
카메라 유닛(200)을 활성화시킨 제어부(110)는, 통신유닛(100)이 제2 모드를 종료하고 제1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1000)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이다.
도 6a 및 6b를 참조하면,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일 면에는 디스플레이부(411)와 사용자 입력부(420/421 내지 424)가 순차로 배치된다. 사용자 입력부(420)는 링 형태의 키(421)와, 개별적으로 작동되는 키(422), 그리고 회전 타입의 키(42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타입의 키(423)는 앞서서 제2 모드와 카메라 유닛(200)의 활성화들 간의 전환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슬라이딩 이동시킬 수 있는 슬라이딩 타입의 키(424)가 구비되고, 이 키(424)에 대한 조작에 의해 상기 전환을 위해 사용될 수도 있다.
위 일면의 반대되는 면에는 카메라 모듈(220)과 배터리 커버(730)가 순차로 배치된다. 카메라 모듈(220)은 디스플레이부(411)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카메라 모듈(220)은 줌 기능의 실행을 위해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두께 방향으로 길이가 변하도록 구동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11)에는 다양한 종류의 시각 정보들이 표시될 수 있다. 이들 정보들은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 등의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의 입력을 위하여 ,상기 문자, 숫자, 기호, 그래픽 또는 아이콘들 중 적어도 하나는 일정한 배열을 이루어 표시될 수 있다. 이는 소위 '소프트키'라 불릴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11)는 전체 영역으로 작동되거나, 복수의 영역들로 나뉘어져 작동될 수 있다. 후자의 경우, 상기 복수의 영역들은 서로 연관되게 작동되도록 구 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11)의 상부와 하부에는 출력창(411a)과 입력창(411b)이 각각 표시된다. 출력창(411a)과 입력창(411b)은 각각 정보의 출력 또는 입력을 위해 할당되는 영역이다. 입력창(411b)에는 전화 번호 등의 입력을 위한 숫자가 표시된 소프트키(411c)가 출력된다. 소프트키(411c)가 터치되면, 터치된 소프트키에 대응되는 숫자 등이 출력창(411a)에 표시된다. 조작 유닛(421)이 조작되면, 출력창(411a)에 표시된 전화번호에 대한 호 연결이 시도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전화번호를 구성하도록 출력창(411a)에 출력되는 숫자를 한 종류의 개체라고 한다면, 소프트키(411c)는 상기 숫자를 입력하기 위한 다른 종류의 개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11)의 일 모서리 측에는 무선 신호 수신 상태, 현재 시각, 메세지 수신 상태 등과 같이 통신유닛(100)의 동작과 관련된 정보들이 추가로 표시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411) 외에 추가적인 디스플레이부(411')가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작 유닛(423)이 설치된 면에 디스플레이부(411')가 배치되는 경우, 위 디스플레이부(411')는 디스플레이부(411)에서 표시되는 정보와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411)가 전화번호를 출력하고 있는 경우라면, 디스플레이부(411')는 카메라 유닛(200)을 통해 촬영된 이미지(I)를 볼 수 있는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11')를 통해 제공된 화면에서 일 이미지(I)를 터치하게 되면, 해당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411)를 통해 출력되면서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카메라 유닛(200)이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별도의 키(423) 를 조작함이 없이 보이는 이미지(I)를 터치하는 직관적인 동작에 의해 카메라 유닛(200)이 활성화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c를 참조하면, 배터리 커버(730)에 의해 감싸지며 리세스되게(recessed) 형성된 영역은 배터리(72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실(710)을 이룬다. 수용실(710)에는 외장 메모리(520)를 수용하기 위한 메모리 소켓(510)이 배치될 수 있다.
본 도면에 예시된 바와 달리, 배터리 커버(730)가 카메라 모듈(220)이 배치되는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주면이 아니라, 마이크(430, 도 6d)가 결합되는 측면에 결합 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터리 커버(730)는 배터리(720)의 측면에 맞게 직 사각형 형태를 가질 것이다. 나아가, 메모리 소켓(510)은 배터리(720)와 별개의 공간에 수용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배터리(720)는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본체에 내장형으로 설치되어, 본체를 분해하지 않고는 외부로 인출되지 않게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본체에 배터리(720)와 연결된 소켓이 노출되고, 소켓에 연결된 충전기를 이용하여 배터리(720)를 충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d를 참조하면,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조작 유닛(423)이 설치된 면의 반대 면에는 음향 출력 모듈(412)과 마이크(430)가 배치될 수 있다. 휴대용 전자기기(1000)를 이용하여 통화를 하는 경우에는, 위 마이크(430) 등이 배치된 면이 사용자의 볼에 닿게 되고, 디스플레이부(411)가 설치되는 면은 외부를 향하게 될 것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411)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카메라 유닛(200)의 활성화 시에 디스플레이부(411)에는 카메라 모듈(220)을 통해 획득되는 이미지 정보가 출력된다. 카메라 모듈(220)의 작동과 관련된 제어를 위한 입력은 조작 유닛(421 내지 424)을 통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조작 유닛(421 내지 424)과 별도로 또는 그들을 대신하여, 디스플레이부(411)에 대한 터치 시에 이미지 촬영과 관련된 메뉴가 출력될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411)에 대한 터치에 의해 출력되는 메뉴(801)는 디스플레이부(411)의 코너 부분에 출력될 수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411)의 중앙에 촬영을 위한 이미지가 크게 방해받지 않고 출력되게 한다.
위 메뉴(801)들은 촬영을 위한 이미지에 오버랩되어 표시되거나 화면을 분할하여 표시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411)에 표시된 메뉴(801)는 그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에 의해 실행된다.
도 8은 카메라 유닛(200)과 관련한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부(411)에는 촬영을 위한 이미지 정보가 출력된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11)에는, 예를 들어 카메라를 표시하는 아이콘(802)이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를 표시하는 아이콘(802)은 휴대용 전자기기(1000)가 카메라 촬영에 전용된 상태로 작동하고 있음을 표시한다. 이와 달리, 앞서 설명한 발광요소가 발 광하는 등의 방식으로 위 상태가 표시될 수 있다. 이러한 촬영 전용 상태는 사용자의 선택이나 설정에 의해 카메라 유닛(200)의 활성화된 상태로 잠금 등의 설정이 되어 결정될 것이다.
위 잠금 상태에서도, 통신 유닛(100)이 수신한 이벤트에 관한 정보는 카메라 유닛(200)의 제어부(210)에 통보되지 않거나, 통보되더라도 제어부(210)가 알람부(413)를 통해 이를 사용자에게 알리지 않게 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전화나 문자 수신 등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서 오직 이미지 촬영에만 몰두할 수 있게 하는 환경이 마련된다.
통신 유닛(100)은 수신한 정보를 저장하고(하거나) 상대방에게 사용자가 응답할 수 없는 상황임을 알리기 위한 답신을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재차 전화가 걸려오는 등의 경우에는 통화가 긴급할 수 있음을 고려하여, 카메라 유닛(200)이 전화 등이 수신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서는 두 번의 전화가 아닌, 세 번 이상의 전화에 의해 위 촬영 전용 상태가 해제될 수 있다.
이상에서 이벤트 수신을 알람하지 않는 방식과 달리, 제어부(210)는 사진 촬영에 대한 방해가 최소화되는 특정한 방식으로만 위 알람을 제공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발광수단을 통해 빛을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부(411)가 아닌 다른 디스플레이부(411', 도 6a)에만 시각적으로 출력할 수도 있다.
도 9a 및 9b는 통신유닛(100)의 제1 모드 및 카메라 유닛(200)과 관련된 정보들을 디스플레이부(411)에 표시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9a를 참조하면, 카메라 유닛(200)을 통한 이미지 촬영 중에 문자 메세지가 수신된 경우에, 문자 메세지의 내용과 촬영을 위한 이미지는 디스플레이부(411) 내에서 각각 분할된 영역들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9b에 예시된 바와 같이, 촬영을 위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411) 전체에 표시되는 중에, 문자 메세지의 내용을 보기 위해서 터치될 전환 아이콘(803)이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전환 아이콘(803)이 터치 되면, 디스플레이부(411)는 문자 내용을 표시하도록 전환된다. 다시 한번, 전환 아이콘(803)이 터치 되면, 디스플레이부(411)는 촬영할 이미지를 표시하는 상태로 복귀한다.
이상의 경우와 달리, 사용자는 발광요소의 발광으로 인해 문자 메세지 수신을 인식한 후에, 조작 유닛(421 내지 424)을 조작하여 위와 같은 전환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10a 및 도 10b는 카메라 유닛(200)의 활성화와 관련된 휴대용 전자기기(1000)의 작동 상태의 일 보인 개념도들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카메라 유닛(200)이 활성화되어 디스플레이부(411)에 촬영할 이미지가 출력되는 상태에서, 통신 유닛(100)을 통해 수신된 음악 정보는 디스플레이부(411)와 다른 음향 출력 모듈(412)을 통해 청각적으로 출력된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서버나 기지국을 통해 음악을 청취하면서 사진 촬영을 병행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경우에, 카메라 유닛(200)의 제어부(210)는 카메라 모듈(220)과 디스 플레이부(411)를 제어하고, 통신 유닛(100)의 제어부(110)는 무선통신 모듈(120)과 음향 출력 모듈(412)을 각각 제어하게 된다. 다시 말해서, 유저 인터페이스(400)에 대한 제어권이 제어부(210)에 전부 주어지지 않고, 제어부(110)도 유저 인터페이스(400) 중 일부에 대한 제어권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0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교습 프로그램을 따라서 사진 촬영 기술을 연마할 수 있게 된다. 사용자가 통신 유닛(100)을 통해 교습 프로그램에 실시간으로 접속한 상태에서, 디스플레이부(411)에는 교습 프로그램에 의한 교습 정보가 출력된다. 물론, 음향 출력 모듈(412)을 통해서도 교습 정보가 함께 출력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출력되는 교습 정보를 인지한 후에, 실습 시점에서 이미지 촬영을 시도하게 된다. 이와 같은 실습 시점에 있어서, 디스플레이부(411)를 교습 정보가 아닌 촬영할 이미지를 출력하게 된다.
이 경우에는 통신 유닛(100)의 제어부(110)가 디스플레이부(411)를 제어한 후에 카메라 유닛(200)의 제어부(210)에 디스플레이부(411)에 대한 제어권을 넘겨서, 위와 같은 상태가 되게 한다. 다시 교습 화면이 필요한 경우에는, 제어부(110)에게로 디스플레이부(411)에 대한 제어권이 옮겨갈 수 있다.
교습 프로그램에 설정된 시점에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는 경우와 달리, 도 9b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화면 전환 아이콘(803)을 통해 사용자 임의로 전환 시점을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1a 및 도 11b는 카메라 유닛(200)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의 전송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카메라 유닛(200)의 작동 중에 획득된 이미지는 카메라 유닛(200)의 메모리(240)에 저장된다. 사용자가 카메라 유닛(200)의 사용을 중지하고 통신 유닛(100)의 제2 모드로 전환하려는 경우에, 제어부(210)는 위 저장된 사진들 전체가 메모리 카드(520)에도 저장되거나 그에 옮겨지게 한다.
이와 달리, 저장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부(411)에 순차로 표시됨에 따라, 사용자가 메모리 카드(520)에 저장할지 여부를 선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선택이나 설정에 의해 구분된 이미지들은 제2 모드로의 전환에 따라 이메일 등에 첨부되어 전송 가능한 상태가 된다.
사용자는 필요한 메세지를 작성하여 첨부된 이미지와 함께 다른 사람에게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는 이와 달리 위 전송 가능한 상태가 취소되도록 사용자 입력부(420)를 조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휴대용 전자기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2는 도 1의 중개 유닛의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a는 도 1의 통신 유닛과 카메라 유닛을 구비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3b는 도 3a의 선택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의 출력화면을 예시한 개념도.
도 4a는 도 3a에서 카메라 유닛에서 통신 유닛으로의 모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
도 4b는 도 4a의 알람 단계의 일 예를 보인 개념도.
도 4c는 도 4a의 통신 유닛의 제2 모드가 종료된 후의 일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5는 도 3a에서 통신유닛에서 카메라 유닛의 모드 전환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순서도.
도 6a 내지 도 6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부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8은 카메라 유닛과 관련한 휴대용 전자기기의 일 작동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a 및 9b는 제1 모드 및 카메라 유닛과 관련된 정보들을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하는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도 10a 및 도 10b는 카메라 유닛의 활성화와 관련된 휴대용 전자기기의 작동 상태의 일 보인 개념도들.
도 11a 및 도 11b는 카메라 유닛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의 전송에 관해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들.
Claims (28)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카메라 모듈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와, 상기 제1 제어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제1 전원부를 구비하는 촬영 블록;무선 통신 모듈을 제어하는 제2 제어부와, 상기 제2 제어부에 전원을 제공하는 제2 전원부를 구비하며, 정보 수신만 가능한 제1 모드 또는 상기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한 정보 송신을 위한 화면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2 모드로 동작하는 통신 블록;상기 제1 및 제2 제어부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제어부들이 서로 통신하게 하는 중개 유닛; 및상기 중개 유닛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1 또는 제2 제어부에 의해 제어되며, 상기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상기 제2 전원부에 의한 전원 공급에 의해 제1 모드가 활성화되고 제2 모드는 비활성화된 일 상태에서, 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제1 전원부를 작동시켜 상기 제1 제어부가 상기 카메라 모듈을 활성화하도록 구성되고,상기 중개 유닛은,상기 제1 및 제2 제어부들이 서로 다른 전력 레벨에서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제어부들 사이의 통신을 위해 상기 다른 전력 레벨을 일치시키는 레벨 변환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제2 제어부는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를 통한 입력에 의해 상기 제1 전원부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삭제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중개 유닛에 연결되는 메모리 소켓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17항에 있어서,상기 중개 유닛은 상기 유저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 소켓을 상기 제1 및 제2 제어부들 중 어느 하나와 연결되게 하는 연결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휴대 용 전자기기.
- 제18항에 있어서,상기 중개 유닛은,상기 제1 또는 제2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모드 신호에 따라 상기 연결 모듈이 상기 연결을 위해 작동하게 하는 모드 조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제1 제어부는 상기 제2 모드가 활성화되도록 하는 입력을 상기 중개 유닛을 통해 받은 경우에, 상기 제1 전원부가 오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1577A KR101557354B1 (ko) | 2009-02-12 | 2009-02-12 |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
EP10153098A EP2219360A1 (en) | 2009-02-12 | 2010-02-09 | Portable electronic device |
US12/705,531 US20100203861A1 (en) | 2009-02-12 | 2010-02-12 |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perational mode thereof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11577A KR101557354B1 (ko) | 2009-02-12 | 2009-02-12 |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2281A KR20100092281A (ko) | 2010-08-20 |
KR101557354B1 true KR101557354B1 (ko) | 2015-10-06 |
Family
ID=421019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11577A KR101557354B1 (ko) | 2009-02-12 | 2009-02-12 |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US (1) | US20100203861A1 (ko) |
EP (1) | EP2219360A1 (ko) |
KR (1) | KR101557354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9247525B2 (en) | 2012-03-16 | 2016-01-26 | Qualcomm Incorporated |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notifications |
KR102101818B1 (ko) * | 2012-07-30 | 2020-04-17 | 삼성전자주식회사 | 단말기의 데이터전송 제어장치 및 방법 |
KR102013443B1 (ko) | 2012-09-25 | 2019-08-22 | 삼성전자주식회사 | 이미지를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
KR101946368B1 (ko) | 2012-11-29 | 2019-02-11 | 엘지전자 주식회사 | 모바일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KR20150009186A (ko) * | 2013-07-16 | 2015-01-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메신저 기반의 대화 서비스 기능 운용 방법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KR102120764B1 (ko) | 2013-09-16 | 2020-06-09 | 엘지전자 주식회사 | 포터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
WO2015037784A1 (en) * | 2013-09-16 | 2015-03-19 | Lg Electronics Inc. | Portable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82777A (ja) * | 2000-04-28 | 2002-03-22 | Smartdisk Corp | 携帯式デジタルデータ転送および格納装置ならびに携帯式手持型データ転送および格納装置の動作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2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870149A (en) * | 1993-03-12 | 1999-02-09 | Motorola, Inc. | Video/integrated land mobile dispatch radio and video unit |
JP3639730B2 (ja) * | 1997-09-30 | 2005-04-20 | キヤノン株式会社 |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装置及び記憶媒体 |
US6192257B1 (en) * | 1998-03-31 | 2001-02-20 | Lucent Technologies Inc. | 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having video image capability |
US6657654B2 (en) * | 1998-04-29 | 2003-12-02 |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 Camera for use with personal digital assistants with high speed communication link |
US6775361B1 (en) * | 1998-05-01 | 2004-08-10 | Canon Kabushiki Kaisha | Recording/playback apparatus with telephone and its control method, video camera with telephone and its control method, imag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
US7689898B2 (en) * | 1998-05-07 | 2010-03-30 | Astute Technology, Llc | Enhanced capture, management and distribution of live presentations |
US6950126B1 (en) * | 1998-11-19 | 2005-09-27 | Nikon Corporation | Camera capable of communicating with other communication device |
JP2000253140A (ja) * | 1999-03-01 | 2000-09-14 | Sony Corp | 電子機器 |
KR100350607B1 (ko) * | 1999-03-31 | 2002-08-28 | 삼성전자 주식회사 | 음성 및 화상 송수신을 위한 휴대용 복합 통신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과 통신시스템 |
US6788332B1 (en) * | 1999-12-29 | 2004-09-07 | Qwest Communications International Inc. | Wireless imaging device and system |
US6982747B2 (en) * | 2000-05-18 | 2006-01-03 | Canon Kabushiki Kaisha | Notification of operating status in image sensing system |
JP2001345899A (ja) * | 2000-05-30 | 2001-12-14 | Olympus Optical Co Ltd | 携帯型無線電話機 |
JP4258098B2 (ja) * | 2000-05-31 | 2009-04-30 |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 電子カメラ |
US6731952B2 (en) * | 2000-07-27 | 2004-05-04 | Eastman Kodak Company | Mobile telephone system having a detachable camera / battery module |
GB2369754B (en) * | 2000-08-25 | 2003-02-12 | Nec Corp | Portable telephone |
JP2002094848A (ja) * | 2000-09-12 | 2002-03-29 | Canon Inc | 画像通信装置、画像入力装置および画像出力装置 |
JP3487280B2 (ja) * | 2000-10-12 | 2004-01-13 | 日本電気株式会社 | 画像送信機能付き携帯電話端末 |
US7356351B1 (en) * | 2000-12-22 | 2008-04-08 | Durham Logistics, Llc | Method and apparatus for disabling the RF functionality of a multi-function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hile maintaining local functionality |
JP3644388B2 (ja) * | 2001-01-17 | 2005-04-27 | 株式会社デンソー | 携帯端末およびプログラム |
JP3787760B2 (ja) * | 2001-07-31 | 2006-06-21 |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 カメラ付き携帯電話装置 |
EP1301036A3 (en) * | 2001-10-03 | 2004-01-14 | Konica Corporation | Communication apparatus |
KR101042796B1 (ko) * | 2003-12-22 | 2011-06-21 | 삼성전자주식회사 | 카메라를 구비하는 휴대단말기의 착신호 처리 방법 |
US20050177661A1 (en) * | 2004-02-10 | 2005-08-11 | Loo Fok K. | Multimedia playback device with a USB controller |
JP4189349B2 (ja) * | 2004-04-27 | 2008-12-03 | Hoya株式会社 | カメラ付き携帯電話と着信報知方法 |
KR100653893B1 (ko) * | 2004-07-21 | 2006-12-05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단말기의 카메라모드 제어방법 |
CN1741643A (zh) * | 2004-08-26 | 2006-03-01 |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 多功能手机 |
JP2006067488A (ja) * | 2004-08-30 | 2006-03-09 | Mitsubishi Electric Corp | 携帯通信端末 |
TWI352909B (en) * | 2007-09-05 | 2011-11-21 | Htc Corp | Method and system for supporting network sharing a |
-
2009
- 2009-02-12 KR KR1020090011577A patent/KR101557354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
- 2010-02-09 EP EP10153098A patent/EP2219360A1/en not_active Ceased
- 2010-02-12 US US12/705,531 patent/US20100203861A1/en not_active Abandoned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82777A (ja) * | 2000-04-28 | 2002-03-22 | Smartdisk Corp | 携帯式デジタルデータ転送および格納装置ならびに携帯式手持型データ転送および格納装置の動作方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00092281A (ko) | 2010-08-20 |
US20100203861A1 (en) | 2010-08-12 |
EP2219360A1 (en) | 2010-08-1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579175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of the same | |
KR101591835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EP3742711A1 (en) | Electronic device with a slidable flexible display for exposing sensors hidden behind the display | |
KR101557354B1 (ko) | 휴대용 전자기기 및 그의 동작 모드 제어 방법 | |
KR101537692B1 (ko) | 휴대 단말기 | |
EP2560352B1 (en) | Mobile terminal and vibration method thereof | |
KR20160131720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CN103491225A (zh) | 移动终端及其控制方法 | |
US8390666B2 (en) |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 |
CN109068008B (zh) | 铃声设置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 |
KR101679420B1 (ko) | 이동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 |
KR20160127614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것의 제어방법 | |
EP3849049A1 (en) | Wireless charging method and device, foldable-screen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 |
KR101752417B1 (ko) | 이동 단말기 및 디바이스 제어방법 | |
CN109901703B (zh) | 一种终端、终端的振动方法及存储介质 | |
KR20110027478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101539466B1 (ko) | 이동 통신 단말기에서의 메뉴얼 표시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 |
CN107181855A (zh) | 信息处理装置、信息处理方法和计算机程序 | |
US11064307B2 (en) |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utputting audio | |
KR101958666B1 (ko) | 이동 단말기 | |
KR101761614B1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101583802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 |
KR20160120567A (ko) |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
KR20160073038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
KR20160087307A (ko) |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