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6546B1 - 패널 고정구 및 패널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패널 고정구 및 패널 시공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6546B1 KR101556546B1 KR1020130087834A KR20130087834A KR101556546B1 KR 101556546 B1 KR101556546 B1 KR 101556546B1 KR 1020130087834 A KR1020130087834 A KR 1020130087834A KR 20130087834 A KR20130087834 A KR 20130087834A KR 101556546 B1 KR101556546 B1 KR 101556546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anel
- fixing
- fixture
- fastener
- present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35—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the fastening elements extending into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32—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3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out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not adjustable
- E04F13/0851—Hooking means on the back side of the covering eleme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널 고정구 및 패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패널에 상부패널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패널을 부착하되, 각 패널에 설치된 제1, 2고정구가 서로 암수 결합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패널 간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제1, 2고정구는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벽체에 고정된 하부 패널 상에 상부 패널을 결합시 정밀하게 정렬할 수 있는 패널 고정구 및 패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패널 고정구 및 패널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하부 패널에 상부패널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패널을 부착하되, 각 패널에 설치된 제1, 2고정구가 서로 암수 결합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패널 간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며, 제1, 2고정구는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벽체에 고정된 하부 패널 상에 상부 패널을 결합시 정밀하게 정렬할 수 있는 패널 고정구 및 패널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 벽체에 대해 패널을 부착하는 방법으로는 건축물 표면과 패널 사이에 접착용 케미컬을 개재하여 접착에 의해 부착하는 공법과, 별도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결합 고정하는 공법이 있다.
그 중, 접착에 의한 공법은 시공이 간편한 이점은 있으나, 접착용 케미컬의 고형화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겨울철에는 접착용 케미컬이 바로 굳어서 원활한 시공을 기할 수 없으며, 접착이 불균일하거나 불완전하게 실시될 가능성이 항시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즉, 접착용 케미컬을 이용하는 습식 공법으로는 완벽한 시공 품질을 얻을 수 없는 것이 주지된 사실이다.
한편, 건식 공법은 별도의 고정구를 이용하여 단열 패널을 물리적으로 결합 고정하는 공법으로, 먼저 고정구를 건축물 표면에 밀착시켜 그들 간을 피스(즉, 나사못)로 박아 고정시킨 다음, 고정된 고정구에서 전방으로 돌출되는 부분에 대해 단열 패널을 박아 결합하는 것에 의해 실시된다.
그러나, 건식 공법은 고정구를 건축물 표면에 고정시키는 작업성이 난이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패널을 보다 안정되게 부착하면서도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는 시공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974922호 (공고일 : 2010. 08. 0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부 패널에 상부패널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패널을 부착하되, 각 패널에 설치된 제1, 2고정구가 서로 암수 결합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패널 간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패널 고정구 및 패널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제1, 2고정구는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벽체에 고정된 하부 패널 상에 상부 패널을 결합할 경우 정밀하게 정렬할 수 있는 패널 고정구 및 패널 시공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구는 서로 끼움 결합하는 제1고정구 및 제2고정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1고정구는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고정구는 상기 제1결합부가 수용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패널 고정구의 홈부 및 삽입홀은 각각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가 결합한 상태에서 좌우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조정폭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패널 고정구의 제2고정구에는 상기 홈부에서 상기 제2결합부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와 리브 사이에는 상기 제1결합부에 체결되는 피스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수용홈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시공방법은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고정구와; 상기 제1결합부가 수용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고정구;를 마련하는 S1단계와; 상기 제1고정구를 하부패널의 일면 상부에 고정시키되, 상기 제1결합부가 하부패널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하는 S2단계와; 상기 제1고정구를 피스로 시공대상 벽체에 고정하는 S3단계와; 상기 제1고정구를 상부패널의 일면 상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2고정구를 상기 상부패널의 일면 하부에 고정시키는 S4단계와; 상기 상부패널을 상기 하부 패널에 적층한 후 고정시키되, 상기 하부패널에 고정된 제1고정구에 상기 상부패널의 제2고정구를 끼운 후, 상기 상부패널의 제1고정구를 피스로 시공대상 벽체에 고정하는 S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시공방법의 홈부 및 삽입홀에는 각각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보다 큰 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S5단계는 상기 제2결합부를 상기 삽입홀에 끼운 상태에서 좌우로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하부패널과 상부패널을 정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구 및 패널 시공방법에 의하면, 하부 패널에 상부패널을 적층하는 방식으로 패널을 부착하되, 각 패널에 설치된 제1, 2고정구가 서로 암수 결합함으로써 시공이 간편하고 패널 간 결합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구 및 패널 시공방법에 의하면, 제1, 2고정구는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지므로, 벽체에 고정된 하부 패널 상에 상부 패널을 결합할 경우 정밀하게 정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구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시공방법에 따라 건축용 내외장 패널이 벽체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시공방법에 따라 하부패널에 상부패널이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구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시공방법에 따라 건축용 내외장 패널이 벽체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시공방법에 따라 하부패널에 상부패널이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고안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유사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그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구가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구가 분리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구의 일실시예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구(10)는 패널, 예를 들어 건축용 패널에 고정 설치되며, 건축용 패널들을 서로 결합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패널 고정구(10)는 다양한 방식으로 상기 건축용 패널에 고정될 수 있으며, 실리콘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그 외에도 패널에 프레임을 설치하여 패널 고정구를 결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건축용 패널은 내장패널은 물론 외장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구(10)는 크게 제1고정구(30)와, 제2고정구(5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1고정구(30)와, 제2고정구(50)는 서로 이웃하는 건축용 패널들을 연결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암수 결합 방식으로 결합되는 것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1고정구(30)는 크게 제1몸체부(31)와, 제1결합부(3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몸체부(31)는 삽입홀(32)이 관통형성되는 사각 통 형상인 것을 예시할 수 있으며, 상기 삽입홀(32)에는 후술할 제2결합부(55)가 삽입된다.
상기 제1결합부(35)는 상기 제1몸체부(31)의 사각 단면 중에서 일면(도 2 참조)에서 연장형성될 수 있으며, 후술할 홈부(52)에 수용된다.
상기 제2고정구(50)는 크게 제2몸체부(51)와, 제2결합부(5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몸체부(51)는 상기 제1결합부(35)가 수용되는 홈부(52)가 형성되는 사각 통 형상인 것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제2결합부(55)는 상기 삽입홀(32)에 삽입되며 상기 제2몸체부(51)의 일단부에서 연장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제2고정구(50)에는 상기 홈부(52)에서 상기 제2결합부(55)까지 연장되는 복수의 리브(53)가 형성되고, 상기 리브 사이에는 상기 제1결합부(35)에 체결되는 피스가 이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피스수용홈(5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고정구(30)와, 제2고정구(50)가 결합하면, 상기 제1결합부(35)는 상기 복수의 리브(53) 상에 놓이게 되며, 상기 리브들 사이에 형성된 상기 피스수용홈(54)에는 상기 피스가 수용된다.
한편, 상기 홈부(52) 및 삽입홀(32)은 각각 상기 제1결합부(35) 및 제2결합부(55)가 결합한 상태에서 좌우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조정폭(T)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조정폭(T)은 예를 들어, 상기 제2결합부의 폭보다 상기 삽입홀의 폭을 크게 하여 상기 제2결합부가 좌우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의미하며, 마찬가지로 상기 제1결합부의 폭보다 상기 홈부의 폭이 더 크게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패널 고정구는 상기 조정폭을 형성함으로써, 상하로 적층되는 패널들을 수직방향으로 정렬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조정폭은 패널의 크기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시공방법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시공방법에 따라 건축용 내외장 패널이 벽체에 결합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시공방법에 따라 하부패널에 상부패널이 고정되는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패널 시공방법은 크게 제1고정구(30)와 제2고정구(50)를 마련하는 S1단계와, 제1고정구(30)를 하부패널(1)에 고정시키는 S2단계와, 제1고정구(30)를 시공대상 벽체(W)에 고정하는 S3단계와, 제2고정구(50)를 상부패널(2)에 고정시키는 S4단계와, 제1고정구(30)와 제2고정구(50)를 결합하는 S5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S1단계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해 상술한 바와 같이 삽입홀(32)이 형성되는 제1몸체부(31)와 상기 제1몸체부(31)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1결합부(35)를 포함하는 제1고정구(30)와, 상기 제1결합부(35)가 수용되는 홈부(52)가 형성되는 제2몸체부(51)와 상기 제2몸체부(51)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홀(32)에 끼워지는 제2결합부(55)를 포함하는 제2고정구(50)를 마련하는 것이다.
상기 S2단계는 상기 제1고정구(30)를 하부패널(1)의 후면 상부에 고정시키되, 상기 제1결합부(35)가 하부패널(1)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하는 것이다. 이때, 하부패널(1)은 시공벽체의 최하단 영역에 설치되는 패널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부에만 복수 개의 제1고정구(30)가 소정 간격으로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제1고정구(30)는 다양한 방식으로 하부패널에 고정될 수 있으며, 실리콘과 같은 접착부재(S)로 결합하는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상기 S3단계는 상기 하부패널(1)에 고정된 제1고정구(30), 구체적으로 제1결합부(35)에 피스와 같은 고정부재(P)를 박아 시공대상 벽체(W)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S4단계는 제1고정구(30a)를 상부패널(2)의 후면 상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2고정구(50)를 상기 상부패널(2)의 후면 하부에 고정시키는 것이다.
상기 상부패널(2)은 상기 하부패널(1)의 상측으로 적층되는 패널들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각 상부패널(2)은 하부에는 제2고정구(50)가 설치되고, 상부에는 제1고정구(30a)가 설치된다.
상기 상부패널(2)에 설치된 제1고정구(30a) 및 제2고정구(50)는 상기 하부패널(1)에 설치된 제1고정구(30)와 대응되는 개수 및 위치에 설치된다.
상기 하부패널(1) 내지 상부패널(2) 각각에 설치되는 제1고정구(30,30a) 또는 제2고정구(50)는 패널의 크기 및 무게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개수를 설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되는 패널, 구체적으로 하부패널과 상부패널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다양한 소재와 다양한 용도의 패널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S5단계는 상기 상부패널(2)을 상기 하부패널(1)에 적층한 후 고정시키되, 상기 하부패널(1)에 고정된 제1고정구(30)에 상기 상부패널(2)의 제2고정구(50)를 끼운 후, 상기 상부패널(2)의 제1고정구(30a)를 피스(P)로 시공대상 벽체에 고정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하부패널(1)에 고정된 제1고정구(30)의 제1결합부(35)는 상부패널(2)의 홈부(52)에 수용되고, 상부패널(2)의 고정된 제2고정구(50)의 제2결합부(55)는 하부패널(1)의 삽입홀(32)에 삽입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제2고정구(50)의 홈부(52) 및 제1고정구(30)의 삽입홀(32)은 각각 상기 제1결합부(35) 및 제2결합부(55)가 결합한 상태에서 좌우로 위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조정폭(T)이 형성된다.
따라서 S5단계에서는 상기 제2결합부(55)를 상기 삽입홀(32)에 끼운 상태에서 시공자가 상부패널(2)을 좌우로 이동하여 하부패널(1)과 정밀하게 정렬시킨 상태에서 고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고정구와 제2고정구가 암수 결합 내지 끼움 결합을 함으로써, 벽체 시공을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하부 패널 내지 복수의 상부 패널이 서로 결합되어 벽체에서 떨어지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하부 패널 2 : 상부 패널
10 : 패널 고정구 30 : 제1고정구
31 : 제1몸체부 32 : 삽입홀
35 : 제1결합부 50 : 제2고정구
51 : 제2몸체부 52 : 홈부
53 : 리브 54 : 피스수용홈
55 : 제2결합부 W : 시공 벽체
P : 고정부재, 피스
10 : 패널 고정구 30 : 제1고정구
31 : 제1몸체부 32 : 삽입홀
35 : 제1결합부 50 : 제2고정구
51 : 제2몸체부 52 : 홈부
53 : 리브 54 : 피스수용홈
55 : 제2결합부 W : 시공 벽체
P : 고정부재, 피스
Claims (5)
- 삭제
- 삭제
- 삭제
- 삽입홀이 형성되는 제1몸체부와 상기 제1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는 제1결합부를 포함하는 제1고정구와; 상기 제1결합부가 수용되는 홈부가 형성되는 제2몸체부와; 상기 제2몸체부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상기 삽입홀에 끼워지는 제2결합부를 포함하는 제2고정구;를 마련하는 S1단계와;
상기 제1고정구를 하부패널의 일면 상부에 고정시키되, 상기 제1결합부가 하부패널에서 상측으로 돌출되도록 고정하는 S2단계와;
상기 제1고정구를 고정부재로 시공대상 벽체에 고정하는 S3단계와;
상기 제1고정구를 상부패널의 일면 상부에 고정시키고, 상기 제2고정구를 상기 상부패널의 일면 하부에 고정시키는 S4단계와;
상기 상부패널을 상기 하부 패널 상에 적층한 후 고정시키되, 상기 하부패널에 고정된 제1고정구에 상기 상부패널의 제2고정구를 끼워 가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상부패널의 제1고정구를 고정부재로 시공대상 벽체에 고정하는 S5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시공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 및 삽입홀은 각각 상기 제1결합부 및 제2결합부보다 큰 폭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S5단계는 상기 제2결합부를 상기 삽입홀에 끼운 상태에서 좌우로 위치를 조정하여 상기 하부패널과 상부패널을 정렬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패널 시공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7834A KR101556546B1 (ko) | 2013-07-25 | 2013-07-25 | 패널 고정구 및 패널 시공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30087834A KR101556546B1 (ko) | 2013-07-25 | 2013-07-25 | 패널 고정구 및 패널 시공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2391A KR20150012391A (ko) | 2015-02-04 |
KR101556546B1 true KR101556546B1 (ko) | 2015-10-02 |
Family
ID=52488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30087834A KR101556546B1 (ko) | 2013-07-25 | 2013-07-25 | 패널 고정구 및 패널 시공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56546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3927A (ko) * | 2021-06-30 | 2023-01-06 | 이현배쓰(주) |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정렬 조립체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3572677B1 (en) * | 2018-05-25 | 2024-10-02 | FennoMIL Oy | Fastener, fastening system and method for the installation of building board or interior panel on wall or ceiling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1208B1 (ko) * | 2006-04-21 | 2007-04-02 | 이철행 | 건물의 외장 단열구조 |
-
2013
- 2013-07-25 KR KR1020130087834A patent/KR101556546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701208B1 (ko) * | 2006-04-21 | 2007-04-02 | 이철행 | 건물의 외장 단열구조 |
Cited By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30003927A (ko) * | 2021-06-30 | 2023-01-06 | 이현배쓰(주) |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정렬 조립체 |
KR102619873B1 (ko) * | 2021-06-30 | 2024-01-04 | 이현배쓰(주) | 조립식 욕실의 벽판넬 정렬 조립체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50012391A (ko) | 2015-02-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492463B2 (en) | Kit for modular housing for cats | |
US9140440B2 (en) | Display apparatus having a honeycomb core | |
US20160265218A1 (en) | Panel and wall module connection apparatus, methods, and systems | |
KR101556546B1 (ko) | 패널 고정구 및 패널 시공방법 | |
KR101099373B1 (ko) | 건축용 조립식 판넬의 연결구조 | |
JP5783762B2 (ja) | 外断熱壁の構築方法 | |
JP6966911B2 (ja) | 建物の壁構造 | |
KR101414825B1 (ko) | 건물일체형 태양전지창호의 프레임 | |
KR101263349B1 (ko) | 외장패널 조립구 | |
KR20130131153A (ko) | 천정재 고정 시스템 | |
KR101187944B1 (ko) | 태양전지 모듈용 정션박스 체결장치 | |
KR101021663B1 (ko) | 클린룸용 프로파일 | |
KR200475076Y1 (ko) | 베란다의 세대간 칸막이 | |
KR101417479B1 (ko) | 조립식 책상 구조체 | |
KR200242604Y1 (ko) | 창틀 | |
JP4549319B2 (ja) | パネルの接合構造及び間仕切壁 | |
KR101297456B1 (ko) | 복합형 칸막이 프레임 | |
KR20140028217A (ko) | 건물일체형 태양전지창호의 프레임 | |
CN219931307U (zh) | 装配墙 | |
JP4808576B2 (ja) | サッシ | |
JP2011202403A (ja) | サッシ | |
KR102111802B1 (ko) | 칸막이 조립체 | |
KR20080098312A (ko) | 복층 유리용 스페이서 구조물 | |
KR200378475Y1 (ko) | 조립식 벽체의 벽면 고정장치 | |
TW201743025A (zh) | 支撐連接裝置及其與浪板的組合體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