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55063B1 - 이동단말기의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이동단말기의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55063B1 KR101555063B1 KR1020090061504A KR20090061504A KR101555063B1 KR 101555063 B1 KR101555063 B1 KR 101555063B1 KR 1020090061504 A KR1020090061504 A KR 1020090061504A KR 20090061504 A KR20090061504 A KR 20090061504A KR 101555063 B1 KR101555063 B1 KR 101555063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bile terminal
- display device
- cradle
- remote control
- external display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00—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92/16—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 H04W92/18—Interfaces between hierarchically similar devices between terminal devi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4—Supports for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50/00—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 H04M2250/16—Details of telephonic subscriber devices including more than one display unit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이동단말기의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가 거치대와 연결되어 2차 표시장치의 정보를 요청하고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기와 주변 기기의 연결을 위하여 망 관리자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여 상기 주변 기기를 검색하는 과정과,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가 검색되어 상기 이동단말기와 연결되면, 상호 작용 관리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간의 연동을 관리하는 과정과, 상기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에서 상기 이동단말기로 서비스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전시 관리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의 고유 화면 정보를 상기 2차 표시장치의 특성에 맞게 변경하여 상기 2차 표시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다중 화면 서비스, 다기능 원격 제어, 원격 조정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의 편의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선 또는 무선 통신 기술, 멀티미디어 기술, CPU 및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 제작 기술, 전력 충전 기술 등의 제반 기술들이 발달함에 따라서 이동단말기의 소형화 및 고성능화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이동단말기에 관한 기술의 발전으로 인하여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랩탑(Laptop) 등의 기존 제품들뿐만 아니라 스마트폰(Smart Phone), 넷북(Netbook), 휴대 인터넷 장치(Mobile Internet Device : MID), 울트라 모바일 PC(Ultra Mobile PC : UMPC) 등 새로운 개념의 제품들이 속속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제반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과거 데스크탑 PC에서만 사용이 가능했던 기능들이 이동단말기에서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가능한 상황이며, 이에 따라서 이동단말기와 데스크탑 PC 사이의 경계가 모호해지고 있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동단말기의 기능을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동단말기는 단순히 상대방과 음성 통화 기능만을 수행하는 것이 아닌 사용자에게 즐거움과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양한 기능들이 추가가 되어 제공되고 있다. 도 1에서는 인터넷 검색, 멀티미디어 재생, 외부 기기 및 망과의 통신, 게임과 같은 그래픽 컨텐츠 활용, 문서 편집 등을 일 예로 들었으나 이 외에도 많은 기능들이 제공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기능들은 이동단말기의 화면 크기, 해상도, 입력 방식, 전력 소모, 연산 기능에 의해 선택적으로 부가기능으로 결정되어 제공되어 질 수 있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사용자에게 즐거움과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기능들은 실제로 스마트폰이나 PDA와 같은 그 크기가 제한되어 있는 이동단말기 내에서 수행되므로 실제로 이동단말기를 활용하여 상기와 같은 기능들을 활용할 경우 여러 가지 제약들이 따를 수 밖에 없다. 일 예로 이동단말기의 표시부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으므로 인터넷 브라우징, 동영상 등의 컨텐츠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데 불편함이 있고, 제한된 입력부로 인하여 문서 편집을 수행하는 경우에도 어려움이 따른다. 또한 이동단말기의 배터리 용량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상기 기능들의 장시간 사용이 불가능하다. 이 외에도 PC와 같은 외부 기기와의 호환성 또한 높지 않다는 한계점이 있다. 이는 근본적인 문제를 이동단말기의 휴대성을 위해서는 이동단말기의 크기가 작을수록 좋으나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는 표시부 및 호환성이 필요한 모순 상황이라고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집이나 사무실과 같이 이동 환경이 아닌 공간에서 이동단말기의 사용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단말기의 작은 화면에서 즐기기 어려웠던 여러 가지 서비스를 쉽고 편리하게 사용하여 화면 크기에 따른 사용성 문제를 해결하고, 주변 기기들과 유무선 연결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견지에 따르면, 이동단말기의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상태 망 연결 상황에 따라서 다른 장치와 연결되고 상호 작용을 수행하는 이동단말기와, 상기 이동단말기가 연결되면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되는 화면 정보를 송신하는 거치대와, 상기 거치대로부터 수신되는 상기 이동단말기의 화면 정보를 자신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2차 표시장치와, 상기 이동단말기의 기본 기능 및 부가 기능을 제어하고, 자신 또는 상기 이동단말기와 연결된 다른 장치의 기능을 제어하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견지에 따르면, 이동단말기의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가 거치대와 연결되어 2차 표시장치의 정보를 요청하고 획득하는 과정과, 상기 이동단말기와 주변 기기의 연결을 위하여 망 관리자를 이용하여 기 설정된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여 상기 주변 기기를 검색하는 과정과,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가 검색되어 상기 이동단말기와 연결되면, 상호 작용 관리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 간의 연동을 관리하는 과정과, 상기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에서 상기 이동단말기로 서비스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전시 관리자를 이용하여 상기 이동단말기의 고유 화면 정보를 상기 2차 표시장치의 특성에 맞게 변경하여 상기 2차 표시장치의 표시부에 표시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 및 주변 기기의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여 사용자가 불편함이 없이 여러 기기를 제어할 수 있고, 그 내용을 디지털 TV 또는 PC 모니터에 출력하여 작은 화면에서 즐기기 어려웠던 기능들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소자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이러한 특정 사항들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소정의 변형이나 혹은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이동단말기의 원격 제어를 위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에 관한 것으로 기본적으로 이동단말기의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가 구성 요소로 포함된 서비스 환경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와 연결된 다른 장치를 제어하는 서비스 환경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서 서비스 환경은 기본적으로 제1 이동단말기(201), 거치대(203), 2차 표시장치(205), 제2 이동단말기(207), 외부기기(209),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211)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제1 이동단말기(201)는 다중 화면 융합 환경이 중심이 되는 장치로써 스마트폰이나 PDA와 같은 휴대가 가능한 이동단말기를 의미한다. 제1 이동단말기를 중심으로 모든 장치와의 연결이 이루어지며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211)와 연결이 이루어지면 제1 이동단말기(201)의 핵심 기능 및 부가 기능이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에 의해 제어된다. 2차 표시장치(205)는 제1 이동단말기(201)의 기능을 대형 화면을 통해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하여 연결되는 디지털 TV, PC 모니터, 프로젝터와 같은 장치를 의미하며, 제1 이동단말기(201)의 컨텐츠를 그대로 전시하거나 해당 화면에 적합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나 해상도 등이 변환되어 전시될 수 있다.
거치대(203)는 제1 이동단말기(201)와 디지털 TV, PC 모니터 등과 같은 2차 표시장치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며, 동시에 제1 이동단말기(201)의 충전을 제공하는 역할도 담당한다. 제2 이동단말기(207)는 제1 이동단말기(201) 또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211)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는 또 다른 이동단말기를 의미하며 파일 공유 전송과 같은 정보 공유 및 전화 대기 교환과 같은 다자간 통신 등을 목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외부기기는 2차 표시장치(205)와 제2 이동단말기(207) 이외에 연결될 수 있는 모든 장치를 의미하며 일 예로 PC나 인터넷 전화 등이 될 수 있다.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211)는 제1 이동단말기(201)의 핵심 기능 및 부가 기능을 원격으로 제어하는 역할을 하며, 제1 이동단말기(201)가 거치대(203)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 제어가 가능하다. 또한 자신과 직간접적으로 연결된 2차 표시장치(205), 제2 이동단말기(207) 및 외부기기(209)를 제어하는 역할 또한 담당한다.
도 2에서 도시한 서비스 환경 구성 요소들을 이용하여 다중 화면 서비스 환경을 설정하는 과정에 대해서 자세하게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화면 서비스 환경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301단계에서 이동단말기(33)는 거치대(35)와 연결이 되면 2차 표시장치(37)의 정보를 거치대(35)를 통하여 거치대(35)와 연결되어 있는 2차 표시장치(37)로 요청한다. 303단계에서 2차 표시장치(37)는 요청한 정보에 대한 응답을 거치대(35)를 통하여 이동단말기(33)로 전송한다. 이렇게 이동단말기(33)와 거치대의 연결이 인식되고, 2차 표시장치(37)의 정보를 수신하면 다중 화면 서비스의 실행을 위한 환경 설정이 진행되며, 305단계에서 이동단말기(33)와 주변 기기의 연결을 위하여 망 관리자가 동작한다. 망 관리자가 동작하면 이동단말기(33)는 307단계에서 자신의 제어를 담당하게 될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31)를 탐색하기 위하여 정지되어 있던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하고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31) 및 주변 기기를 탐색한다. 309단계에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31)는 자신을 찾는 신호를 수신하면 이에 대한 응답 신호를 이동단말기(33)로 송신하여 연결 과정을 수행한다. 연결 과정은 미리 등록된 방법으로 수행된다.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31)와 이동단말 기(33)가 연결되면 311단계에서 각 기기 간의 연동을 관리하는 상호 작용 관리자가 동작되고, 이러한 동작은 이동단말기(33)의 착신 발신 기능을 포함한 모든 기능을 활성화하기 위한 초기 설정이 시작된다. 초기 설정이 완료되면 313단계에서 이동단말기(33)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31)로 다중 화면 서비스에 대한 요청을 처리할 수 있는 준비 상태를 의미하는 서비스 준비 신호를 송신한다.
315단계에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31)가 이동단말기(33)로 사용자가 원하는 서비스를 요청한 경우, 317단계로 진행하여 이동단말기(33)에서 수행되는 동작 및 기능을 2차 표시장치(37)로 표시하기 위한 전시 관리자가 동작한다. 전시 관리자가 동작되면 319단계에서 이동단말기(33)는 수신된 2차 표시장치(37)의 정보를 이용하여 2차 표시장치(37)의 특성에 맞도록 환면 전시 모드로 변환하여 거치대(35)를 거쳐 2차 표시장치(37)로 송신한다. 312단계에서 이를 수신한 2차 표시장치(37)는 이동단말기(33)의 해당 동작 및 기능을 자신의 표시부에 표시하고 323단계로 진행하여 변환된 화면 전시 모드에 대한 응답을 거치대(35)를 거쳐 이동단말기(33)로 송신한다.
325단계에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31)차 이동단말기(33)로 수행되고 있는 서비스의 중지를 요청한 경우, 327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전시 모드를 거치대(35)를 거쳐 2차 표시장치(37)로 송신한다. 329단계에서 이를 수신한 2차 표시장치(37)는 원래의 화면으로 복귀하게 되고, 331단계로 진행하여 일반 전시 모드 수신에 대한 응답을 이동단말기(33)로 송신한다. 만약 거치대(35)와 이동단말기(33)가 분리되는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 이동단말기는 자동으로 일반적인 모드로 전환되며, 2차 표 시장치에 표시 및 충전 기능 또한 종료된다. 또한 이동단말기(33)와 연결되어 있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31) 및 외부 기기와의 연결 또한 종료되며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설정도 기존에 사용했던 초기 상태로 자동으로 전환된다. 결과적으로 최초 거치대(35)와 연결이 되지 않았을 당시의 이동단말기(33)로 되돌아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수행되는 서비스로는 인터넷 검색, 무서 작업, 미디어 파일 재생, 게임과 같은 컨텐츠가 있으며 이러한 동작 수행의 과정은 모두 2차 표시장치를 통하여 표시가 가능하다. 다음으로 이동단말기의 핵심 기능인 전화 착신과 발신 기능을 수행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하기와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화면 서비스에서 전화 착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화 착신 과정은 망 관리자, 상호 작용 관리자, 전시 관리자가 동작하고 있는 상황에서 진행이 된다.
이동단말기(43)가 외부로부터 착신 전화가 걸려 왔을 경우, 401단계에서 착신 전화가 걸려 왔다는 신호를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41)에 송신함과 동시에 2차 표시장치(45)에 전화가 걸려 왔음을 나타내는 화면을 2차 표시장치(45)의 특성에 맞게 변환하여 송신한다. 전화 착신 신호를 수신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41)는 405단계에서 이동단말기(43)와 음성 신호 전달을 위한 동기 채널을 맞추는 과정을 수행한다. 407단계에서 이동단말기(43) 또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41)에 의해 동기 채널을 맞추는 과정을 수행한다. 한편, 409단계에서 착신 전화가 왔음을 1차 표시장치를 통해 알리기 위해서 이동단말기(43)로부터 수신된 착신 전화 정보가 2차 표시장치(45)의 표시부를 통해서 표시된다. 2차 표시장치(45)는 착신 전화 번호 정 보를 수신에 대한 응답을 이동단말기(43)로 송신한다. 이렇게 동기 채널이 맞추어지면 413단계에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41)는 이동단말기(43)를 대신하여 전화 통화를 수행하게 된다. 이 때에 영상 통화와 같은 통화 중 정보가 2차 표시장치(45)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 후 전화 통화가 종료되면, 415단계로 진행하여 동기 채널이 닫히게 되고, 417단계에서 이동단말기(43)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41)와의 동기 채널이 닫히면 이전에 전시하였던 전시 모드를 2차 표시장치(45)의 특성에 맞게 변환하여 송신한다. 419단계에서 2차 표시장치(45)는 이를 수신하여 원래 화면으로 복귀하고, 421단계에서 전시 모드 수신에 대한 응답을 이동단말기(43)로 송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화면 서비스에서 전화 발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와 같이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전화 착신 과정은 망 관리자, 상호 작용 관리자, 전시 관리자가 동작하고 있는 상황에서 진행이 된다.
501단계에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51)는 전화 발신을 위해서 이동단말기(53)에서 원하는 주소 서비스를 요청한다. 503단계에서 이를 수신한 이동단말기는 원하는 주소 정보를 2차 표시장치(55)의 특성에 맞게 변환하여 송신한다. 505단계에서 주소 정보를 수신한 2차 표시장치(55)는 이를 자신의 표신부에 표시하고, 507단계에서 주소 정보 수신에 대한 응답을 이동단말기(53)로 송신한다.
509단계에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51)는 2차 표시장치(55)의 표시부에 표시된 주소 정보를 이용하여 주소를 선택하고 511단계에서 주소 선택을 나타내는 정보를 변환하여 2차 표시장치로 송신한다. 517단계에서 2차 표시장치는 자신의 표시부 에 주소 선택에 관한 정보를 표시하고, 519단계에서 2차 표시장치는 주소 선택 정보에 대한 응답을 이동단말기(53)에 송신한다. 한편, 513단계에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는 이동단말기(53)와 음성 신호 전달을 위한 동기 채널을 맞추는 과정을 수행한다. 515단계에서 이동단말기(43) 또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41)에 의해 동기 채널을 맞추는 과정을 수행한다. 512단계에서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는 선택한 주소에 해당하는 번호로 통화를 수행한다. 이 때에 영상 통화와 같은 통화 중 정보가 2차 표시장치(55)의 표시부에 표시될 수도 있다.
이 후 전화 통화가 종료되면, 523단계로 진행하여 동기 채널이 닫히게 되고, 525단계에서 이동단말기(53)는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51)와의 동기 채널이 닫히면 이전에 전시하였던 전시 모드를 2차 표시장치(55)의 특성에 맞게 변환하여 송신한다. 527단계에서 2차 표시장치(55)는 이를 수신하여 원래 화면으로 복귀하고, 529단계에서 전시 모드 수신에 대한 응답을 이동단말기(53)로 송신한다.
도 4 및 도 5의 전화 착신 발신 기능은 이동단말기가 다른 기능을 수행하고 있는 도중에 발생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는 기존에 수행되고 있는 이동단말기의 기능은 그대로 유지 또는 일시적으로 정지된 상태에서 전화 기능이 수행되며 전화 기능이 종료되면 일시적으로 정지되었던 기능은 다시 수행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되었던 망 관리자, 상호 작용 관리자, 전시 관리자 각각의 기능 및 동작 절차를 설명하는 다음과 같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망 관리자의 동작 수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601단계에서 망 관리자가 실행된다. 603단계에서 현재 이동단말기 주위 의 통신 상태 및 연결 상황에 대한 기본 정보를 수집하기 위하여 연결이 가능한 모든 무선 인터페이스에 대한 기능을 동작시킨다. 605단계에서 연결대상이 누구인가를 판단한다. 연결대상이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라면 607단계로 진행하여 사전에 등록된 무선 인터페이스로 접속하고, 다른 이동단말기라면 609단계로 진행하여 P2P 연결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망 연결을 수행하고, PC라면 611단계로 진행하여 PC 연결 알고리즘을 실행하여 망 연결을 수행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시 관리자의 동작 수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전시 관리자는 이동단말기의 서비스를 거치대와 연결된 2차 표시장치를 통해 사용할 때에 고른 화면 전시와 사용자 측면에서 효율적이고 친밀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701단계에서 전시 관리자가 실행된다. 703단계에서 전시 관리자는 2차 표시장치의 해상도, 연결 방식과 같은 기본 정보를 수집 또는 갱신하고 2차 표시장치의 표시부에 전시하기 위항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현재 이동단말기 사용 상황에 맞추어 구동한다. 705단계에서 이렇게 구동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연결된 2차 표시장치의 표시부 규격에 맞추어 조정한다. 표시부 규격에 맞추는 과정은 해당 이미지를 코딩하거나 해상도를 스캔하는 방법 등이 있다. 707단계에서 표시부 규격에 맞추어진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전시한다. 이 때에 전력 절감을 위하여 이동단말기의 표시부는 오프(Off)하고 2차 표시장치의 표시부만을 이용할 수도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호 작용 관리자의 동작 수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상호 작용 관리자는 이동단말기와 원격 조정기간에 동작을 관리 하는 관리자이다.
801단계에서 상호 작용 관리자가 실행되면 다음과 같은 기능들을 제어한다. 먼저 803단계의 전화 기능을 제어한다. 전화 기능은 전화 착신과 발신, 번호 검색, 메시지 관리와 같은 기능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805단계의 이동단말기의 입력 기능을 제어한다. 입력 기능은 유무선 키보드와 마우스와 같은 포인팅 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내용을 입력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이러한 기능은 입력을 위한 공간이 매우 제한되어 있는 이동단말기의 사용성을 보완할 수 있다. 다음으로 807단계의 센서 제어 기능을 제어한다. 센서 제어 기능은 위치 이동과 같은 움직임에 대한 인식을 제어하고 이러한 센서를 이용한 게임을 제어하는 기능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809단계의 부가 기능을 제어한다. 부가 기능은 다가간 통화 기능, 전화 교환 기능 등 서비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공할 수 있는 각종 부가 기능을 의미한다. 즉 거치대에 연결된 이동단말기 뿐만 아니라 다른 가족의 이동단말기를 제어하여 통화를 수행하거나 다자간 통화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형 교환기의 기능이 대표적인 부가 기능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이동단말기의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의 구성 및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편 상기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와 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하여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동단말기의 기능을 도시한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기능 원격 제어 장치를 이용하여 이동단말기 및 이동단말기와 연결된 다른 장치를 제어하는 서비스 환경을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화면 서비스 환경을 설정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화면 서비스에서 전화 착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다중 화면 서비스에서 전화 발신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망 관리자의 동작 수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시 관리자의 동작 수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호 작용 관리자의 동작 수행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
Claims (27)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삭제
- 이동단말기의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에 있어서,이동단말기와,상기 이동단말기와 연결되고, 상기 이동단말기가 거치대를 통해 외부 표시장치와 통신 가능한 동안에는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수신한 화면 정보를 외부 표시 장치로 전송하는 상기 거치대와,상기 화면 정보를 상기 거치대를 통해 상기 외부 표시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이동단말기를 제어하는 원격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상기 이동단말기, 상기 거치대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서로 별개의 장치들이고, 상기 이동단말기는 전화 통화를 위한 휴대용 전화로서 사용될 수 있으며,상기 화면 정보는,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상기 거치대를 통해 상기 외부 표시장치로 직접 전달되고,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의하여 표시됨을특징으로 하는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정보는,상기 외부 표시장치의 특성에 따라 변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 제14항에 있어서,상기 이동단말기는 적어도 두 종류의 무선 인터페이스를 사용하는 모듈을 탑재하여 통신을 수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외부 표시장치의 특성에 따라 이동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변경하고, 상기 외부 표시장치로 변경된 화면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상기 이동단말기가 연결되면, 상기 이동단말기를 충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거치대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이동단말기의 기능들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상기 이동단말기 또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외부 기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말기는,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상기 화면 정보를 전송하도록 상기 거치대를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 이동단말기의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방법에 있어서,상기 이동단말기와 거치대가 연결되는 과정과,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외부 표시장치에 화면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지시를 수신하는 과정과,상기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상기 화면 정보를 상기 거치대를 통해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하고,상기 이동단말기, 상기 거치대 및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 서로 별개의 장치들이고,상기 화면 정보는, 상기 이동단말기로부터 상기 거치대를 통해 상기 외부 표시장치로 직접 전달되고,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의하여 표시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 정보는,상기 외부 표시장치의 특성에 따라 변환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외부 표시장치의 특성에 따라 상기 이동단말기의 표시부에 표시되는 화면을 변경하는 과정과,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상기 변경된 화면에 대응하는 신호를 전송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대는상기 이동단말기가 연결되면, 상기 이동단말기를 충전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제어 장치는상기 이동단말기와 상기 거치대가 연결되어 있는 경우에만 상기 이동단말기의 기능들을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상기 이동단말기 또는 상기 원격 제어 장치와 연결되어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외부 기기를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방법.
-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지시에 기초하여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상기 화면 정보를 상기 거치대를 통해 전송하는 과정은,상기 이동단말기가 상기 화면 정보를 상기 거치대에 전송하는 과정과,상기 거치대가 상기 화면 정보를 상기 외부 표시장치에 전송하는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방법.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1504A KR101555063B1 (ko) | 2009-07-07 | 2009-07-07 | 이동단말기의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US12/831,649 US8406807B2 (en) | 2009-07-07 | 2010-07-07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screen service of mobile terminal |
US13/789,187 US8818454B2 (en) | 2009-07-07 | 2013-03-07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screen service of mobile terminal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090061504A KR101555063B1 (ko) | 2009-07-07 | 2009-07-07 | 이동단말기의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10003964A KR20110003964A (ko) | 2011-01-13 |
KR101555063B1 true KR101555063B1 (ko) | 2015-09-23 |
Family
ID=43427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61504A KR101555063B1 (ko) | 2009-07-07 | 2009-07-07 | 이동단말기의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2) | US8406807B2 (ko) |
KR (1) | KR101555063B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922023B1 (ko) | 2012-02-20 | 2018-11-26 | 삼성전자주식회사 |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N102638716A (zh) * | 2012-03-21 | 2012-08-15 | 华为技术有限公司 | 实现移动终端遥控电视的方法、装置和系统 |
KR101522621B1 (ko) * | 2012-07-31 | 2015-05-26 | 최윤혁 | 스마트폰 보조 디바이스 및 이를 포함하는 스마트폰 |
US9213515B2 (en) | 2012-09-24 | 2015-12-15 |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 On-demand multi-screen computing |
KR101959820B1 (ko) | 2012-10-12 | 2019-03-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멀티미디어 통신 시스템에서 구성 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
CN102999163A (zh) * | 2012-11-23 | 2013-03-27 | 周万荣 | 一种支持多种人机交互模式的移动终端和系统 |
KR20140079537A (ko) * | 2012-12-14 | 2014-06-27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 통신 장치 및 통신 장치들의 통신 연결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 |
KR20140138224A (ko) * | 2013-01-06 | 2014-12-03 | 인텔 코오퍼레이션 | 터치 데이터의 분산된 전처리와 디스플레이 영역 제어를 위한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CN103491409B (zh) * | 2013-09-17 | 2017-03-15 | 深圳市宇恒互动科技开发有限公司 | 一种多屏控制系统、多屏控制系统的实现方法和遥控器 |
CN104918131A (zh) * | 2014-03-10 | 2015-09-16 | 海尔集团公司 | 一种用于建立镜像传屏的方法、终端及接收设备 |
CN104639694A (zh) * | 2015-03-13 | 2015-05-20 | 陈蔼珊 | 一种可拉伸智能移动终端屏幕 |
US10853471B2 (en) * | 2017-01-15 | 2020-12-01 | Apple Inc. | Managing permissions for different wireless devices to control a common host device |
CN109831691A (zh) * | 2019-03-12 | 2019-05-31 | 刘耕 | 一种多屏互动方法 |
CN115413061A (zh) * | 2022-07-24 | 2022-11-29 | 武汉蓝星科技股份有限公司 | 一种多芯多屏手机互联的方法及系统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407831Y1 (ko) | 2005-10-31 | 2006-02-03 | 정우창 | 원격 제어가 가능한 간이 디엠비 셋톱박스 |
JP2007504732A (ja) | 2003-09-05 | 2007-03-01 | ソニー エリクソ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 無線電話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リモコンデバイス |
KR100737332B1 (ko) | 2006-01-04 | 2007-07-10 | 이담정보통신(주) | 휴대폰과 결합되어 방송을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1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3744375B2 (ja) * | 2001-04-03 | 2006-02-08 | オムロン株式会社 | クレードル、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携帯電話機、および監視方法 |
US7477919B2 (en) * | 2002-09-19 | 2009-01-13 | Peter Warren | Handheld input/output device providing enhanced user interface for a mobile telephone |
CN1926865A (zh) * | 2004-02-06 | 2007-03-07 | 索福帮Bb股份有限公司 | 电视电话系统、商用基站装置、机顶盒及电视电话方法 |
US20050202810A1 (en) * | 2004-03-11 | 2005-09-15 | Lapallo George | Mobile and landline connection |
JP4331138B2 (ja) * | 2005-04-04 | 2009-09-16 | アルパイン株式会社 | ハンズフリー通話装置 |
US8610675B2 (en) * | 2007-03-14 | 2013-12-17 | Power2B, Inc. | Interactive devices |
US7330737B2 (en) * | 2005-07-19 | 2008-02-12 |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 Mobile phone multi-media cradle |
US7499704B1 (en) * | 2005-10-21 | 2009-03-03 | Cingular Wireless Ii, Llc | Display caller ID on IPTV screen |
JP4788411B2 (ja) * | 2006-03-09 | 2011-10-05 | ソニー株式会社 | 検索キーワード入力装置、検索キーワード入力方法及び検索キーワード入力プログラム |
JP2007243715A (ja) * | 2006-03-09 | 2007-09-20 | Sony Corp | データ出力システム及びデータ出力方法 |
US20080138028A1 (en) * | 2006-10-13 | 2008-06-12 | Jeff Grady | Interface systems for portable digital media storage and playback devices |
KR100858328B1 (ko) * | 2007-09-18 | 2008-09-11 | 주식회사 브이에스에스티 | 다기능 이동통신 단말기 크래들 |
JP4691741B2 (ja) * | 2008-04-04 | 2011-06-01 | 健治 吉田 | 携帯電話用クレードル、tv電話システム、カラオケシステム、カーナビゲ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緊急情報通知システム |
US8077846B2 (en) * | 2008-11-24 | 2011-12-13 | David Luis Gonzales | Combination universal telephone and remote control device |
US8538324B2 (en) * | 2009-02-03 | 2013-09-17 | Sony Corporation | Mobile phone dock for TV |
CN102893312B (zh) * | 2010-05-19 | 2014-03-12 | 夏普株式会社 | 信源设备、信宿设备、系统、程序以及记录介质 |
-
2009
- 2009-07-07 KR KR1020090061504A patent/KR101555063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10
- 2010-07-07 US US12/831,649 patent/US8406807B2/en active Active
-
2013
- 2013-03-07 US US13/789,187 patent/US8818454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7504732A (ja) | 2003-09-05 | 2007-03-01 | ソニー エリクソン モバイル 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 エービー | 無線電話インターフェースを有するリモコンデバイス |
KR200407831Y1 (ko) | 2005-10-31 | 2006-02-03 | 정우창 | 원격 제어가 가능한 간이 디엠비 셋톱박스 |
KR100737332B1 (ko) | 2006-01-04 | 2007-07-10 | 이담정보통신(주) | 휴대폰과 결합되어 방송을 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8818454B2 (en) | 2014-08-26 |
US20110009166A1 (en) | 2011-01-13 |
US20130190046A1 (en) | 2013-07-25 |
KR20110003964A (ko) | 2011-01-13 |
US8406807B2 (en) | 2013-03-2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55063B1 (ko) | 이동단말기의 다중 화면 서비스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 |
JP5575216B2 (ja) | 表示システム | |
RU2670603C9 (ru) | Мобильный терминал, устройство отображения 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ми | |
WO2012088801A1 (zh) | 移动终端控制显示终端播放视频的方法、装置和系统 | |
CN105573609A (zh) | 内容分享方法与装置 | |
WO2002056168A1 (fr) | Dispositif de traitement d'informations | |
CN105187871A (zh) | 一种基于nfc的移动终端数据传输电视终端的方法及系统 | |
EP2019538A2 (en) | Control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 |
WO2012088800A1 (zh) | 显示终端显示图片的方法、装置和系统 | |
JP2013516901A (ja) | 通信の途切れることのない転送 | |
WO2012079319A1 (zh) | 一种移动终端控制数字电视接收终端方法、装置和系统 | |
US20100291913A1 (en) | Remote control method between mobile phones | |
US9392063B2 (en) |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that controls transfer of image, control method therefor, and storage medium | |
US20110009112A1 (en) | Multifunction remote control device for mobile terminal and method using the same | |
US20120134420A1 (en) | Apparatus and method for transmitting video data in video device | |
JP2005135346A (ja) |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 |
CN114765580B (zh) | 域外网络资源的网络加速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 |
US20060109354A1 (en) |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for controlling a zoom function and a method thereof | |
JP2005215158A (ja) | 画像表示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 |
JP2011239286A (ja) | 表示装置、表示装置の制御方法、制御プログラム、記録媒体、端末装置、および、表示システム | |
JP2016143954A (ja) | 無線通信装置及び無線通信方法 | |
KR100686086B1 (ko) | 휴대용 무선 단말을 이용한 인터넷 전화 시스템 및 그 방법 | |
TW201306519A (zh) | 遠端控制方法以及實現此方法之系統、接收裝置、行動上網裝置以及記錄媒體 | |
JP4657801B2 (ja) | テレビ電話中継システム | |
JP2012123508A (ja) | 画面転送型サーバ・クライアントシステム、画面転送方法、及びクライアント端末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830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