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45588B1 -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 Google Patents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5588B1
KR101545588B1 KR1020090007223A KR20090007223A KR101545588B1 KR 101545588 B1 KR101545588 B1 KR 101545588B1 KR 1020090007223 A KR1020090007223 A KR 1020090007223A KR 20090007223 A KR20090007223 A KR 20090007223A KR 101545588 B1 KR101545588 B1 KR 1015455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projector
state
unit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072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88184A (ko
Inventor
이주호
정덕용
양현석
홍봉국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072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5588B1/ko
Priority to US12/649,211 priority patent/US8725221B2/en
Priority to EP10150500.6A priority patent/EP2214384B1/en
Priority to CN201010108534A priority patent/CN101795376A/zh
Publication of KR201000881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881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55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55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64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camera module assembl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04M1/026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 H04M1/0272Details of the structure or mounting of specific components for a projector or beamer module assembl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프로젝터를 제1 상태로 수용하는 본체와,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닫힌 상태에서 감싸진 상기 프로젝터를 노출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열려지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가 열려 진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이루는 면은 상기 도어의 주면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HAVING PROJECTING FUNCTION}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부와 별도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프로젝팅 수단을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가 가능하면서 음성 및 영상 통화 기능, 정보를 입·출력하는 기능 및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기능 등을 하나 이상 갖춘 휴대용 전자기기이다.
휴대 단말기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잡한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멀티 미디어 기기에는 복잡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의 면에서 새로운 다양한 시도들이 적용되고 있다. 일 실시예로 사용자가 쉽고 편리하게 기능을 검색하거나 선택하기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환경이 제공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종래와 다른 형태의 영상 출력이 가능한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프로젝팅을 위한 수단이 선택적으로 외부에 노출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목적은 프로젝팅 중에 휴대 단말기가 거치되도록 하여 프로젝팅 수단의 방열 능력이 향상되게 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는 본체와 도어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프로젝터를 제1 상태로 수용한다. 상기 도어는 닫힌 상태에서 감싸진 상기 프로젝터를 노출하도록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된다.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로부터 열려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도어가 열려 진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이루는 면은 상기 도어의 주면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휴대 단말기의 거치가 이루어지게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는 제1 및 제2 바디들, 및 프로젝팅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바디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2 바디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2 바디에는 사용자 입력부가 구비된다. 상기 프로젝팅 유닛은 상기 제2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 된다. 상기 프로젝팅 유닛은,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프로젝터와, 상기 프로젝터를 제1 상태로 수용하며 상기 제2 바디에 탈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열려지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는 본체, 도어, 및 센싱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프로젝터를 수용한다. 상기 도어는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프로젝터가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이루는 면과 교차하는 방향을 지향하도록 노출된 채로 상기 본체에 대해 열려지게 한다. 상기 센싱 유닛은 상기 도어와 상기 본체에 상호 연관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의 열린 또는 닫힘 상태를 감지한다. 상기 센싱 유닛이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로 전환됨을 감지하면, 상기 프로젝터가 동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는 도어에 의해 프로젝터가 선택적으로 노출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프로젝터가 동작되는 경우 외에는 도어에 의해 외부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도어가 열린 상태로 유지되면서 디스플레이부와는 교차하는 면을 이루도록 구성됨에 따라, 디스플레이부는 사용자를 향한 채로 휴대 단말기가 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프로젝터에 의해 출력되는 영상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부에서 출력되는 영상에 대해서는 시청에 적합한 자세를 취할 수 있게 된다.
위와 같이 도어가 열려서 거치되면서 프로젝터가 외부 공기에 노출됨에 따라 서는, 프로젝터에서 발생하는 열을 소산(dissipation) 시키기에 적합한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100)의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제1 바디(110)와, 상기 제1 바디(110)에 적어도 일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성된 제2 바디(12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방향은 제1 및 제2 바디들(110 및 120)의 폭 방향이 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은 개시된 것에 한정되지 않고 바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형태의 휴대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와 중첩되게 배치된 상태를 닫힌 상태(closed configuration, 도 3 참조)라 칭할 수 있으며, 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바디(110)가 제2 바디(120)의 적어도 일 부분을 노출한 상태를 열린 상태(open configuration)라 칭할 수 있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닫힌 상태에서 대기 모드로 작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대기 모드가 해제되기도 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100)는 열린 상태에서 통화 모드 등으로 작동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조작 또는 소정 시간의 경과에 의해 대기 모드로 전환되기도 한다.
상기 제1바디(110)의 외관을 이루는 케이스(케이싱, 하우징, 커버 등)는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에 의해 형성된 공간에는 각종 전자부품들이 내장된다. 프론트 케이스(111)와 리어 케이스(112) 사이에는 적어도 하나의 중간 케이스들이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케이스들은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바디(110), 구체적으로 프론트 케이스(111)에는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 제1 영상 입력부(115) 또는 제1 조작부(11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모듈,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모듈, TOLED(Transparant OLED) 모듈 등을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센서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 또한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터치 시에 사용자가 느낄 수 있는 다양한 촉각 효과를 발생시키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는 디스플레이부(113)와 연동하는 햅틱 모듈(haptic module)에 의하여 구현될 수 있다. 햅틱 모듈이 발생시키는 촉각 효과의 대표적인 예로는 진동이 있다. 이러한 햅틱 모듈은 디스플레이부(113) 뿐만 아니라 휴대 단말기의 구성 태양에 따라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음향 출력부(114)는 리시버(Receiver) 또는 스피커(speaker)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입력부(115)는 사용자 등에 대한 이미지 또는 동영상을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제1 조작부(116)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는다.
제1바디(110)와 마찬가지로, 프론트 케이스(121)와 리어 케이스(122)가 제2 바디(120)의 케이스를 형성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21)의 전면(front face)에는 제2 조작부(123)가 배치될 수 있다. 프론트 케이스(121) 또는 리어 케이스(122) 중 적어도 하나에는 제3 조작부(124), 제1 음향 입력부(125), 인터페이스(12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지 제3 조작부(116,123,124)는 사용자 입력부 통칭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적인 느낌을 가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이라면 어떤 방식이든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 입력부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돔 스위치 또는 터치 스크린, 터치 패드로 구현되거나, 키를 회전시키는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 등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기능적인 면에서, 제1 조작부(116)는 시작, 종료, 스크롤 등과 같은 명령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고, 제2 조작부(123)는 숫자 또는 문자, 심볼(symbol) 등을 입력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또한, 제3 조작부(124)는 제1 영상 입력부(115)의 활성화 등과 같은 특수한 기능을 수행하는 핫 키(hot-key)로서 작동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가 터치 입력 가능하게 구성되면, 디스플레이부(113)도 사 용자 입력부를 구성하는 추가적인 조작부가 될 수 있다. 터치 입력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3)가 다양한 형태의 입력이 가능하게 하는 경우에, 제2 조작부(123)는 터치 입력과는 다른 형태의 입력이 이루어지게 하는 돔 스위치 방식의 키들로 구성될 수 있다. 위의 키들은 프론트 커버(12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열되며, 쿼티(QWERTY) 배열을 따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조작부(123)는 터치 입력에 비하여 정형화된 입력만을 가능하게 하지만, 위 입력이 보다 신속하게 처리될 수 있게 한다. 또한, 위 돔 스위치 방식의 입력은 조작 시 발생하는 느낌에 있어서도 터치 입력과는 다른 느낌을 제공하여, 터치 입력과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게 한다.
상기 제1 음향 입력부(125)는 사용자의 음성, 기타 소리 등을 입력받기 위해, 예를 들어 마이크로폰(Microphone)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가 외부 기기와 데이터 교환 등을 할 수 있게 하는 통로가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이어폰과 연결하기 위한 접속단자, 근거리 통신을 위한 포트{예를 들어 적외선 포트(IrDA port), 블루투스 포트(Bluetooth port), 무선 랜 포트(wireless Lan port)등}, 또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 단자들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인터페이스(126)는 SIM(subscriber identification module) 또는 UIM(user identity module), 정보 저장을 위한 메모리 카드 등의 외장형 카드를 수용하는 카드 소켓일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22) 측에는 상기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127)가 장착된다. 상기 전원공급부(127)는, 예를 들어 충전 가능한 배터리로서 충전 등을 위하여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100)의 후면을 보이는 일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원공급부(127)는 배터리 커버(127a)와, 배터리(127b)와, 장착부(127c)를 포함한다. 배터리(127b)는 리어 케이스(122)의 리세스된 부분(수용실)에 수용되고, 배터리 커버(127a)에 의해 감싸진다. 배터리 커버(127a)는 장착부(127c)와 탈착 가능하게 결합 되어, 리어 케이스(122)에 장착된다. 배터리 커버(127a)를 분리함에 따라 노출되는 영역에는 프로젝터 단자(135)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바디(120)의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 영상 입력부(128)가 추가로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제1 영상 입력부(115, 도 1 참조)와 실질적으로 반대되는 촬영 방향을 가지며, 제1 영상 입력부와 서로 다른 화소를 가지는 카메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상 입력부(115)는 화상 통화 등의 경우에 사용자의 얼굴을 촬영하여 상대방에 전송함에 무리가 없도록 저화소를 가지며, 제2 영상 입력부(128)는 일반적인 피사체를 촬영하고 바로 전송하지는 않는 경우가 많기에 고 화소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영상 입력부(128)에 인접하게는 플래쉬(129)와 거울부(130)가 추가로 배치된다. 상기 플래쉬(129)는 제2 영상 입력부(128)로 피사체를 촬영하는 경우에 상 기 피사체를 향해 빛을 비추게 된다. 거울부(130)는 사용자가 제2 영상 입력부(128)를 이용하여 자신을 촬영(셀프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 자신의 얼굴 등을 비춰볼 수 있게 한다.
리어 케이스(122)에는 제2 음향 출력부(131)가 추가로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제2 음향 출력부(131)는 제1 음향 출력부(114, 도1 참조)와 함께 스테레오 기능을 구현할 수 있으며, 스피커폰 모드로 통화를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리어 케이스(122)의 일 측에는 통화 등을 위한 안테나 외에 방송신호 수신용 안테나(13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132)는 제2 바디(120)에서 인출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바디(110)의 리어 케이스(112) 측에는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하는 슬라이드 모듈(133)의 일 부분이 배치된다. 슬라이드 모듈(133)의 다른 부분은 제2 바디(120)의 프론트 케이스(121) 측에 배치되어, 본 도면에서와 같이 외부로 드러나지 않는 형태일 수 있다.
이상에서는 제2 영상 입력부(128) 등이 제2 바디(1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2 영상 입력부(128) 등과 같이 리어 케이스(122)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 구성들(128 내지 13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이 제1 바디(110), 주로는 리어 케이스(112)에 장착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라면, 상기 닫힌 상태에서 리어 케이스(112)에 배치되는 구성(들)이 제2 바디(120)에 의해 보호되는 이점이 있다. 나아가, 제2 영상 입력부(128)가 별도로 구비되지 않더라도, 제1 영상 입력부(115)가 회전 가능하게 형성 되어 제2 영상 입력부(128)의 촬영 방향까지 촬영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100)에 프로젝팅 유닛(200)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로젝팅 유닛(200)은 리어 케이스(122)에 탈착 가능하게 장착된다. 구체적으로, 배터리 커버(127a)가 제거된 상태에서 장착부(127c)에 결합 된다. 장착부(127c)에 대한 프로젝팅 유닛(200)의 탈착은 장착부(127c)에 대한 배커리 커버(127a)의 탈착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의하면, 프로젝팅 유닛(200)의 결합을 위해 장착부(127c)를 사용함에 따라, 장착부(127c) 외에 결합을 위한 구성을 추가하지 않아도 되는 이점이 있다. 프로젝팅 유닛(200)은 배터리 커버(127a) 제거 시에 외부로 노출되는 프로젝터 단자(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이상, 도 2 참조).
프로젝팅 유닛(200)은 리어 케이스(122)의 중앙에 위치한 채로 리어 케이스(122)의 다른 부분에 비하여 돌출된 형태가 된다. 제2 음향 출력부(131)나 제2 영상 입력부(128)과 같이 리어 케이스(122)와 관련되게 장착되는 다른 구성들은 프로젝팅 유닛(200)이 설치되지 않은 영역에 위치하게 된다.
도 4a는 도 3의 프로젝팅 유닛(200)의 도어(230)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가 대상체(O)에 거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프로젝팅 유닛(200)은 하우징(210)과, 프로젝터(220)와, 도어(230)를 포함한다. 하우징(210)은 리어 케이스(122)에 장착되는 부분으로서, 프로젝터(220)를 수용한다. 프로젝터(220)는 영상을 다른 대상체, 예를 들어 벽이 나 가구 등에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도어(230)는 도 3과 같은 닫힌 상태에서는 프로젝터(220)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하고, 본 도면과 같은 열린 상태에서는 프로젝터(220)가 외부로 노출되게 하도록 하우징(210)에 결합 된다. 도어(230)는 열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젝터(220)는 사용자의 관여 없이도 노출된 상태로 동작하게 된다.
도어(230)는 그의 일 모서리를 따라 배치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여 열린 상태와 닫힌 상태 간에 전환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어(230)가 회전과 슬라이딩이 조합된 형태로 이동될 수도 있다.
도어(230)와 더불어, 프로젝터(220)도 회전 가능하게 하우징(2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젝터(220)와 도어(230)의 회전축은 동일하거나 평행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어(230)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230)와 프로젝터(220) 사이에는 일정한 간격(gap, G)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위 간격(G)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가 프로젝터(220)에서 발생한 열을 제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닫힌 상태에서 프로젝터(220)와 도어(230)가 평행한 상태였다면, 도어(230)의 회전각이 프로젝터(220)의 회전각보다 크게 함으로써 위와 같은 간격(G)을 확보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간격(G)에 의해, 프로젝터(220)가 노출된 제2 상태에서 프로젝터(220)의 일 부분 또는 전체는 프로젝터(220)가 하우징(210)에 수용된 제1 상태에서 보다 도어(230)로부터 더 이격된 배치를 이룬다. 주로, 프로젝터(220)의 렌즈가 배치되는 부분이 도어(230)로 부터 더 이격되게 될 것이다.
도어(230)의 외면에는 방진부(232)가 형성될 수 있다. 방진부(232)는 도어(230)에 일체로 형성되며 위 외면에서 돌출되는 돌기 형태이거나, 흡진 능력이 좋은 재질로 이루어진 패드일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도어(230)가 이루는 면은 디스플레이부(113)가 이루는 면에 대하여 교차하는 면을 이루도록 배치된다. 이에 의해, 도어(230)의 주면은 테이블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100)가 거치될 대상체(O)의 주면에 놓이게 되고, 디스플레이부(113)는 사용자를 향하여 경사진 배치 상태를 이룰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에 대하여 프로젝터(220)에서 영상이 투사되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에 자리를 잡게 된다.
도어(230)의 주면은 방진부(232)에 의하여 대상체(O)의 주면과는 다소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방진부(232)는 휴대 단말기(100)가 진동을 발생시키는 경우에 그 진동을 흡수하거나 완화한다.
프로젝터(220)을 벗어난 영역에 있는 제2 음향 출력부(131)는 위와 같은 거치 구조에 의해 대상체(O)의 주면으로부터 이격되어 그의 간섭없이 소리를 출력하게 된다.
도 5는 도 3의 프로젝터(220)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하우징(210)은 장착커버(211)와 수용커버(212)로 분리된 형태일 수 있다. 장착커버(211)는 리어 케이스(122)의 장착부(127c)에 장착된다. 수용커버(212)는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프로젝터(220)가 수용되게 하며, 도어(230)가 장착되기 위한 개구부(212a)가 형성된 형태를 이룬다. 장착커버(211)와 수용커버(212) 사이에는 프로젝터(220)를 제어하기 위한 회로기판(240)이 배치될 수 있다. 회로기판(240)은 리어 케이스(122)를 통해 노출되는 프로젝터 단자(13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프로젝터(220)가 휴대 단말기(100)의 제어부(170, 도 14 참조)에 의해 제어되게 한다.
수용커버(212)와 도어(23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시키기 위해서는 캠유닛(250)이 채용될 수 있다. 캠유닛(250)은 위 회전 결합을 가능하게 하면서, 도어(23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므로 유지부라고 칭해지기도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6 및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수용커버(212)에는 개구부(212a) 외에 다른 개구부(212b)가 형성된다. 개구부(212b)를 통해서는 도어(230)가 수용커버(212)에 대한 닫힌 상태로 잠금하기 위한 잠금 유닛(29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된다. 잠금 유닛(290)은 상기 유지부에 더하여 도어(230)가 수용커버(212)에 대하여 열린 상태로 유지하기 위한 잠금을 수행하기도 한다.
잠금 유닛(290)을 이루는 노브-래치 조립체(291)은 개구부(212b)를 통해 일부가 노출되게 형성된다. 노브-래치 조립체(291)는 도어(230)의 측면에 형성된 지지부(295)와 상호 작용하여 위와 같은 잠금을 구현한다.
도 6은 도 5의 프로젝팅 유닛(200)이 조립된 상태에서 외부를 향한 방향으로 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캠유닛(250)의 일부는 수용커버(212)에 삽입되고 다른 부분은 도어(230)에 삽입된다. 캠유닛(250)은 도어(230)의 회전축을 이루게 된다. 도어(230)의 캠유닛(250)과 연결된 부분의 반대 부분 역시 다른 캠 유닛이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라면, 한 쌍의 캠유닛(250)에 의해 도어(230)를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로) 유지하는 힘이 강해질 것이다. 이와 달리, 본 도면과 같이 축(257)에 의해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축(257)이 도어(230)의 반대 부분뿐만 아니라 프로젝터(220)의 일 부분에도 삽입되도록 구성되면, 프로젝터(220)의 회전축은 도어(230)의 회전축과 동일할 수 있다. 프로젝터(220)는 축(257)에 의해 수용커버(212)에 상대 회전하나, 이와 달리 슬라이딩 레일을 통해 프로젝터(220)가 수용커버(212)에 대해 평행 이동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프로젝터(220)는 휴대 단말기(100)의 본체의 두께 방향으로 평해 이동될 수 있을 것이다.
도어(230)의 회전과 프로젝터(220)의 회전은 연동부(260)에 의해 서로 연동 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프로젝터(220)를 감싸는 도어(230)가 열린 상태로 회전됨에 따라, 프로젝터(220)가 연동한다. 이에 의하여, 프로젝터(220)는 수용커버(212)에 수용된 제1 상태에서와 다른 투사 방향을 갖는 제2 상태에 위치하도록 회전된다.
연동부(260)의 일 예로서, 프로젝터(220)의 측면{도어(230)의 측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가이드부(261)가 형성된다. 가이드부(261)는 도어(230)의 측면에서 내측으로 돌출된 돌출부(262, 도 5 참조)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한다. 이를 위하여, 가이드부(261)는 프로젝터(220)의 측면이 곡선 형태로 리세스되어(recessed) 형성되거나, 위 측면의 일 부분이 돌출되어 위 돌출부(262)를 수용하는 등의 형태가 될 수 있다.
도어(230)의 돌출부(262)가 프로젝터(220)의 가이드부(261)의 일 단부에 걸리게 됨에 따라, 프로젝터(220)가 도어(230)에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위 일 단부의 위치에 따라 도어(230)와 프로젝터(220) 사이의 간격이 결정된다. 프로젝터(220)가 중력에 의해 도어(230)가 열린 상태로 회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라면, 돌출부(262)는 가이드부(261)의 반대 단부에 걸려서 더 이상 회전하지 못하게 된다. 이 경우에도 도어(230)와 프로젝터(220) 사이의 간격은 필요한 수준으로 설정될 수 있다.
잠금 유닛(290)으로서, 본 도면에서는 노브-래치 조립체(291)가 보이고 있다. 노브-래치 조립체(291)는 수용커버(212)의 도어(230)와 인접한 부분에 설치되어, 도어(230)에 설치되는 지지주(295, 도 11)와 상호 작용하여 도어(230)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로 잠궈지게 한다. 이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7은 도 6의 캠유닛(250)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캠유닛(250)은 서로 맞물리는 고정부(251)와 이동부(252)를 포함한다. 고정부(251)와 이동부(252)의 마주하는 면들에는 요철이 형성된다. 고정부(251)와 이동부(252)는 그들을 관통하여 삽입되는 지지축(254)에 의해 정렬되고, 수용체(255)에 수용되는 탄성체(253)에 의해 서로를 향해 탄성적으로 압착된다. 지지축(254)의 일 단부는 수용체(255)를 관통한 채로 클립(256)과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수용체(255)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수용체(255)에 결합 된다.
고정부(251)와 탄성체(253)는 수용체(255)의 내부에 수용된 채로 수용커 버(212)에 삽입되어 회전하지 않도록 고정된다. 이동부(252)는 도어(230)에 삽입되어 도어(230)의 회전에 의해 고정부(25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하게 된다.
고정부(251)와 이동부(252)의 상대 회전 중에, 각각의 돌출된 부분들이 접촉하게 되면, 고정부(251)와 이동부(252)는 서로를 향해 멀어지게 이동된다. 이러한 이동은 지지축(254)의 축 방향을 따른다. 고정부(251)와 이동부(252) 중 어느 하나의 돌출된 부분이 다른 하나의 오목한 부분에 수용되면, 고정부(251)와 이동부(252)는 서로를 향해 가까워지도록 이동한다. 탄성체(253)의 지지에 의하여 이러한 수용된 상태는 위의 돌출된 부분이 접촉하는 경우보다 안정적이므로, 그 상태가 유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어(230)가 열린 상태 또는 닫힌 상태에서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는 것이다.
도어(230)가 열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유지부는, 캠 유닛(250)과 다른 형태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어(230)에 홈이 형성되고 하우징(210)에 상기 홈에 삽입 가능하며 탄성체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돌기가 형성되는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도어(230)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에서 상기 돌기는 상기 홈에 탄성적으로 삽입되어, 위의 열림 또는 닫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들로부터, 유지부는 서로 계합되는 제1 및 제2 부재와, 그들이 계합된 상태를 탄성적으로 유지하도록 서로 밀착되게 가압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파악할 수 도 있다.
도 8a는 도 6의 연동부(260)의 일 변형예에 따른 연동부(27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앞선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도어(230)의 일 부분은 캠 유닛(250)에 의해 수용커버(212)와 결합 된다. 도어(230)의 반대 부분 및 프로젝터(220)는 축(257)에 의해 수용커버(2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 된다.
도어(230)의 일 부분과 그와 마주하는 프로젝터(220)의 일 부분에 관련해서는 복수의 기어들이 연동부(270)로서 설치된다.
연동부(270)로서, 3개의 외접 기어들(271 내지 273)이 배치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기어들(271 내지 273) 중 하나는 도어(230)에 설치되고, 다른 두 개는 프로젝터(220)에 설치될 수 있다. 기어들(271 내지 273)은 인접한 기어에 대하여 차례로 맞물리도록 배치된다. 중간의 기어(273)은 두 개의 기어들(271 및 272)이 직접 맞물리는 경우에 도어(230)와 프로젝터(220)의 회전 방향이 달라지는 것을 바로 잡아 그들의 회전 방향이 일치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기어들(271 내지 273) 중 서로 맞물리는 적어도 한 쌍의 서로 다른 직경을 가진다. 기어(217)의 직경이 기어(272)의 직경 보다 크다면, 도어(230)가 프로젝터(220) 보다 더 큰 회전각을 가지게 된다.
도 8b는 도 8a의 연동부(270)의 일 변형예에 따른 연동부(27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프로젝터(220)에 설치되는 기어(271')는 링 형태의 몸체의 내주면에 기어이가 형성된 내접 기어이다. 도어(230)에 설치되는 기어(272')는 외주면에 기어이가 형성되어 있어서, 기어(271')의 내부로 삽입된 상태에서 그와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기어들(271' 및 272')은 추가적인 수단 없이도 서로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는 도어(230)의 회전이 기어(272')를 통해 기어(271')에 전달되어 프로젝터(220)도 도어(230)와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을 의미한다.
도 9는 도 6의 연동부(260)에 대한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연동부(280)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연동부(280)는 프로젝터(220)에 설치되는 슬롯(281)과, 도어(230)에 일 단부가 설치되는 링크(282)를 포함한다. 링크(282)의 일 단부는 위 다른 하나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링크(282)의 타 단부는 슬롯(28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된다.
도어(230)가 회전하게 되면, 링크(282)의 타 단부는 슬롯(281)의 일 단부에 걸릴 때까지 슬라이딩 된 후에, 프로젝터(220)를 도어(230)의 회전 방향과 같은 방향으로 견인하게 된다.
이상의 경우와 반대로, 슬롯(281)과 링크(282)는 각각 도어(230) 또는 프로젝터(220)에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0은 도어(230)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230)와 프로젝터(220)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도어(230)의 프로젝터(220)를 마주하는 면에는 스페이서(231)가 돌출 형성된다.
일반적으로 도어(230)가 대상체(O, 도 4b)의 표면에 놓이게 되면, 프로젝터(220)가 도어(230)를 향해 접근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중력이 작용한다. 이 경우에는, 중력이 앞서 설명한 연동부(260, 270, 270', 280)와 유사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중력에 의해 프로젝터(220)가 도어(230)를 향해 접근하도록 이동함에 있어서, 스페이서(231)는 프로젝터(220)의 이동을 제한한다. 이에 의해, 프로젝터(220)와 도어(230) 사이에는 공기의 유동을 위한 간격(G)이 확보된다.
도 11은 도 6의 잠금 유닛(290)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파단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노브-래치 조립체(291)는 수직 방향(V)으로 움직이도록 배치되는 노브(291a)와, 수평 방향(H)으로 움직이도록 배치되는 래치(291b)를 포함한다. 노브(291a)와 래치(291b)는 각각의 이동 방향에 대해 탄성체들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 된다.
노브(291a)와 래치(291b)는 각각 경사면들(291c 및 291d)을 가진다. 경사면들(291c 및 291d)은 서로 맞물리는 각도를 가져서, 노브(291a)가 수직 방향(V)으로 이동시에 래치(291b)가 수평 방향(H)으로 이동하게 한다.
래치(291b)의 도어(230)를 향해 돌출한 부분은 도어(230)에 형성된 지지부(295)에 맞물린다. 지지부(295)는 상면(295a)과 하면(295b)를 가진다. 본 도면과 같이, 노브(291a)가 눌려서 래치(291b)가 도어(230)로부터 후퇴하면서 지지부(295)의 상면(295a)에서 이탈하여 하면(295b)에 걸린 상태가 되면, 도어(230)는 열린 상태로 유지된다. 다시 말해서, 닫힌 상태로 회전하는 것은 래치(291b)와 하면(295b)의 맞물림에 의해 제한된다.
도어(230)를 닫힌 상태로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노브(291a)를 조작하여 래 치(291b)가 위 상태에서 벗어나서 지지부(295)의 상면(295a)과 맞물리도록 하여야 한다.
도 12 및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300)를 보인 사시도들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300)의 본체에 구비되는 디스플레이부(313), 음향 출력부(314) 등은 앞선 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앞선 실시예와 달리, 프로젝팅 유닛(400)은 휴대 단말기(300)의 본체에 고정적으로 결합 된다.
프로젝팅 유닛(400)은 본체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일 단부에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본체의 대략 서로 수직한 외면들이 만나는 코너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3을 참조하면, 프로젝팅 유닛(400)은 본체에 결합된 프로젝터(410)와, 본체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된 도어(420)를 포함한다. 도어(420)가 열린 상태로 이동하게 되면, 프로젝터(410)의 렌즈가 배치된 면뿐만 아니라 그에 인접한 다른 면까지 외부로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는 프로젝터(410)의 노출되는 면적을 가능한 한 늘리기 위함이다.
도어(420)는 힌지에 의해 본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된 도어(420)의 일 부분이 대상체의 표면(S)에 지지 되면, 본체의 일 부분도 위 표면(S)에 함께 지지 되면서 휴대 단말기(300)가 거치 되게 한다.
이러한 거치 구조에 의해, 휴대 단말기(300)의 길이 방향의 전방에 놓인 벽(W)에는 프로젝터(410)가 투사하는 영상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위 영상과 함께, 표면(S)에 경사지게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313)를 시청할 수도 있다.
도어(420)의 힌지부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은 캠유닛(250, 도 7 참조)이 설치되어, 위 열린 상태가 유지되게 할 수 있다. 그렇지 않더라도, 도어(420)의 회전 각도가 90도를 넘으면 본체의 다른 부분과 함께 표면(S)에 지지되므로, 열린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앞선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들(100 및 300)의 작동 방식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설명은 앞선 휴대 단말기들(100 및 300) 중 앞선 휴대 단말기(100) 만을 기준으로 이루어질 것이나, 이는 뒤의 휴대 단말기(300)에도 그의 구성과 반하지 않는다면 당연히 적용되는 것임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는 무선통신 모듈(161), 사용자 입력부(116,123,124), 영상 입력부(115,128), 음향 입력부(125), 디스플레이부(113), 음향 출력부(114,131), 센싱유닛(166), 인터페이스(126), 방송 수신 모듈(165), 메모리(164), 전원공급부(127), 프로젝터(220), 및 제어부(1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어부(170)는 통상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제어부(170)는 통상적인 기능 제어 이외에 추가적으로 본 발명과 관련 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통신 모듈(161)은 안테나를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과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의 제어 하에 음성 데이터, 문자 데이터, 영상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의 송수신을 담당하며 이를 위해 송신할 신호를 변조하여 송신하는 송신부(162)와, 수신되는 신호를 복조하는 수신부(163)을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116,123,124)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제어부(170)에 제공한다.
영상 입력부(115,128)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한다. 그리고,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 가능한 영상 데이터로 변환되어 디스플레이부(113)로 출력된다. 영상 입력부(115,128)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메모리(164)에 저장되거나 무선 송수신부(161)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된다.
음향 입력부(125)는 통화모드 또는 녹음모드, 음성인식 모드 등에서 마이크로폰(Microphone)에 의해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한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통화 모드인 경우 무선 통신 모듈(161)을 통하여 이동통신 기지국으로 송신 가능한 형태로 변환되어 무선 통신 모듈로 출력된다. 녹음 모드인 경우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메모리(164)에 저장되도록 출력된다.
음향 입력부(125)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받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잡음(noise)를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잡음 제거 알고리즘이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는 휴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 출력한다. 프로젝터(220)는 디스플레이부(113)와 동일한 정보를 표시허가나, 그와 다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음향 출력부(114,131)는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무선 통신 모듈(161)로부터 수신된 음향 데이터 또는 메모리(164)에 저장된 음향 데이터를 변환하여 외부로 출력한다. 음향 출력부(114,131)는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부(114,131)는 스피커(speaker), 리시버(Receiver), 버저(Buzzer) 등으로 포함한다.
센싱 유닛(166)은 휴대 단말기(100)의 개폐 상태, 휴대 단말기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센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기가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하여 제어부(170)로 센싱 결과를 출력하여 단말기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한다. 또한 전원 공급부(127)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 페이스(126)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126)는 휴대 단말기 이외 유/무선 헤드셋, 외부 충전기, 유/무선 데이터 포트, 카드 소켓(예를 들어, 메모리 카드(Memory card), SIM/UIM card) 등 을 휴대 단말기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126)는 외부 기기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전원을 공급받아 휴대 단말기 내부의 각 구성 요소에 전달하거나 휴대 단말기 내부의 데이터가 외부 기기로 전송되도록 한다.
메모리(164)는 제어부(1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예를 들어, 폰북, 메시지, 정지영상, 동영상 등)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164)에는 본 발명과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이러한 메모리(164)는 일반적으로 알려진 하드 디스크,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플래시 메모리, 램, 롬 등의 개념을 포함한다.
방송수신 모듈(165)은 위성 또는 지상파 등을 통하여 전송된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 출력부(114,131),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 가능한 방송 데이터 형태로 변환하여 제어부(170)에 출력한다. 또한 방송 수신 모듈(165)은 방송과 관련된 부가 데이터(예를 들면, EPG(Electric Program Guide), 채널 리스트 등)를 수신한다. 방송 수신 모듈(165)에서 변환된 방송 데이터 및 부가 데이터는 메모리(164)에 저장될 수도 있다.
전원 공급부(127)는 제어부(1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도 15a는 프로젝팅 유닛(200)의 탈착에 따른 휴대 단말기(100)의 일 작동예를 보인 순서도이고, 도 15b는 위 순서도의 일 단계를 휴대 단말기(100)에 보인 개 념도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의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센싱 유닛(166)은 프로젝팅 유닛(200)이 휴대 단말기(100)의 본체에 장착되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프로젝팅 유닛(200)이 장착된 것으로 감지되면, 이 결과는 제어부(170)에 통보된다. 제어부(170)는 위 감지 결과를 근거로 디스플레이부(113)에 프로젝팅 유닛(200)이 장착되었음을 알리는 아이콘(113a)을 표시하게 한다. 아이콘(113a)은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된 기존 영상에 오버랩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센싱 유닛(166)에 의해 프로젝팅 유닛(200)이 장착되지 않은 것으로 감지되면(본체로부터 분리된 것으로 감지되면),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된 아이콘(113a)이 사라지게 한다.
이러한 아이콘(113a)에 의한 알림에 의해, 사용자는 휴대 단말기(100)의 본체에 프로젝팅 유닛(200)이 장착되었는지 여부에 대해 보다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아이콘(113a)을 통한 알람 방식과 달리, 본체의 일 부분에 설치된 발광 요소, 예를 들어 엘이디(LED)를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시켜서 위 탈착을 알리는 방식을 고려할 수도 있다.
도 16a는 도어(230)의 열린에 따라 프로젝터(220)를 제어하는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고, 도 16b는 도 16a의 일 단계를 디스플레이부(113)에 표시한 휴대 단말기(100)를 보인 개념도이다.
이들 도면들을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에 전원이 켜진 상태에서, 도 어(230)가 열린 상태로 전환됨은 센싱 유닛(166)에 의해 감지된다. 도어(230)가 열린 상태임을 통지받은 제어부(170)는 프로젝터(220)를 통해 영상을 출력할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묻는 단계를 구현한다.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부(113)에는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을 프로젝터(220)로 출력할지 여부를 묻은 화면이 출력된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13)를 터치하여 출력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13)가 터치 센서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라면, 제1 조작 유닛(116) 등을 조작하여 위 결정을 입력할 수 있다.
현재 영상을 프로젝터(220)로 출력하는 것으로 결정된다면, 프로젝터(220)는 위 영상을 외부로 투사하도록 동작한다. 반대의 결정이 이루어지면, 제어부(170)는 도어(230)가 다시 닫힌 상태로 전환된 것인지 판단한다. 닫힌 상태로 전환되었다면, 도어(230)의 열린과 관련된 제어는 종료된다. 도어(230)가 닫히지 않았다면, 제어부(170)는 재차 프로젝터(220)로 출력할지 여부를 물을 수 있다.
이와 달리, 설정에 따라서는, 프로젝터(220)로 영상을 출력할지 여부를 묻지않고, 도어(230)가 열린 상태로 전환되면 프로젝터(220)로 영상이 출력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7a는 휴대 단말기(100)의 일 작동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고, 도 17b는 도 17의 변형예에 따른 작동 상태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17a를 참조하면, 휴대 단말기(100)를 거치 한 상태에서, 프로젝터(220)는 제1 정보를 벽(W)에 대하여 출력하게 된다. 이러한 제1 정보는 휴대 단말기(100)의 사용자뿐만 아니라, 주변에 모인 사람들도 시청 가능할 것이다.
사용자는 프로젝터(220)에 의해 투사된 제1 정보를 볼 수도 있고, 아울러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 제1 정보와 다른 제2 정보를 시청하거나 다룰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젝터(220)를 통해 영화를 시청하면서, 디스플레이부(113)를 통해서는 문자 메세지를 작성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려하여, 디스플레이부(113)의 일 부분에는 표시 영역(113b)이 형성된다. 표시 영역(113b)에는 프로젝터(220)를 통해 투사되는 제1 정보와 관련한 안내 부분과, 디스플레이부(113)의 나머지 영역에 표시되는 제2 정보와 관련한 안내 부분이 각각 표시될 수 있다. 표시 영역(113b)에 출력되는 전환 아이콘(113c)을 통해서는 디스플레이부(113)의 출력이 제1 정보와 제2 정보 사이에서 전환되도록 하는 입력을 받을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13)의 표시 영역(113b)을 제외한 나머지 영역에서 문자 메세지 전송 작업이 이루어지는 경우에, 위 나머지 영역은 한글, 영문 등의 입력을 위한 키가 표시되는 입력창(113d)와 위 키에 의해 입력되는 내용이 출력되는 출력창(113e)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7b를 참조하면, 프로젝터(220)를 통해 외부로 투사되는 제1 정보는 제2 정보와 함께 디스플레이부(113)에 출력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디스플레이부(113)는 위 두 가지 정보들을 화면을 분할하여 동시에 출력한다.
상기와 같은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 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휴대 단말기의 후면을 보이는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휴대 단말기에 프로젝팅 유닛이 장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a는 도 3의 프로젝팅 유닛의 도어가 열린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4b는 도 4a가 대상체에 거치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도 3의 프로젝터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5의 프로젝팅 유닛이 조립된 상태에서 외부를 향한 방향으로 내부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캠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분해 사시도.
도 8a는 도 6의 연동부의 일 변형예에 따른 연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8b는 도 8a의 연동부의 일 변형예에 따른 연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9는 도 6의 연동부에 대한 또 다른 변형예에 따른 연동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0은 도어가 열린 상태에서 도어와 프로젝터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
도 11은 도 6의 잠금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파단 사시도.
도 12 및 1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를 보인 사시도들.
도 14는 본 발명에 관련된 휴대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
도 15a는 프로젝팅 유닛의 탈착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예를 보인 순서도.
도 15b는 위 순서도의 일 단계를 휴대 단말기에 보인 개념도.
도 16a는 도어의 열린에 따라 프로젝터를 제어하는 작동예를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 16b는 도 16a의 일 단계를 디스플레이부에 표시한 휴대 단말기를 보인 개념도.
도 17a는 휴대 단말기의 일 작동 상태를 보인 개념도.
도 17b는 도 17의 변형예에 따른 작동 상태를 보인 개념도.

Claims (28)

  1.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프로젝터를 제1 상태로 수용하는 본체; 및
    상기 본체에 개폐 가능하게 장착되어, 닫힌 상태에서 감싸진 상기 프로젝터를 노출하도록 상기 본체로부터 열려지도록 구성되는 도어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는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이루는 면의 반대 면에 장착되어, 상기 도어가 열려 진 상태에서, 상기 디스플레이부가 이루는 면은 상기 도어의 주면에 대하여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며,
    상기 도어 및 프로젝터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에는 상기 프로젝터의 회전시에 상기 도어와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한 스페이서가 돌출 형성되는 휴대 단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및 본체와 관련되게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열려진 상태를 유지하는 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부는,
    상기 도어와 본체에 걸쳐서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되며, 마주하는 면들에 각각 요철이 형성되는 고정부와 이동부; 및
    상기 도어의 열려 진 상태가 유지되도록, 상기 고정부와 이동부가 서로를 향해 가압 되게 하는 탄성체를 포함하는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는 상기 본체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및 프로젝터에 연관되게 설치되어, 상기 도어가 열린 상태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프로젝터가 상기 제1 상태에서와 다른 투사 방향을 갖는 제2 상태에 위치되게 하는 연동부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프로젝터의 적어도 일 부분은 상기 제1 상태에서보다 상기 도어로부터 더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및 프로젝터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열린 상태로의 회전 시에 상기 도어의 회전각이 상기 프로젝터의 회전각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 및 프로젝터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도어와 상기 프로젝터의 마주하는 면들 중 어느 하나에서 돌출 형성되는 돌출부; 및
    상기 마주하는 면들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가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와 본체에 연관되게 형성되어, 상기 도어를 닫힌 상태 또는 열린 상태로 잠금하는 잠금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유닛은,
    상기 본체에 제1 방향을 따라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노브;
    상기 노브의 이동에 의해 제2 방향으로 탄성적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래치; 및
    상기 도어에 설치되어, 상기 래치의 일 단부가 지지되는 복수의 면을 가지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의 외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상기 도어에서 일체로 돌출하는 돌기이거나, 상기 도어에 부착되며 상기 도어 보다 흡진 능력이 큰 재질의 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상기 도어가 형성된 면 중에서 상기 도어가 형성된 영역에서 벗어나서 배치되는 스피커를 더 포함하는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터가 제1 시각 정보를 출력하는 중에,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제1 시각 정보와 다른 제2 시각 정보를 단독으로 또는 상기 제1 시각 정보와 함께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KR1020090007223A 2009-01-30 2009-01-30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KR1015455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223A KR101545588B1 (ko) 2009-01-30 2009-01-30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US12/649,211 US8725221B2 (en) 2009-01-30 2009-12-29 Portable terminal having projection function
EP10150500.6A EP2214384B1 (en) 2009-01-30 2010-01-12 Portable terminal having projecting function
CN201010108534A CN101795376A (zh) 2009-01-30 2010-01-29 具有投影功能的便携式终端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07223A KR101545588B1 (ko) 2009-01-30 2009-01-30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88184A KR20100088184A (ko) 2010-08-09
KR101545588B1 true KR101545588B1 (ko) 2015-08-19

Family

ID=421947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07223A KR101545588B1 (ko) 2009-01-30 2009-01-30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8725221B2 (ko)
EP (1) EP2214384B1 (ko)
KR (1) KR101545588B1 (ko)
CN (1) CN101795376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58329B2 (en) * 2010-03-22 2014-10-14 Christine Hana Kim Apparatus and method for using a dedicated game interface on a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 with projector capability
KR101663015B1 (ko) * 2010-04-09 2016-10-07 삼성전자 주식회사 프로젝션 디바이스의 프로젝션 모드 운용 방법 및 장치
JP5601083B2 (ja) * 2010-08-16 2014-10-0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076633A1 (en) * 2011-09-27 2013-03-28 Ctx Virtual Technologies Integrated, portable computing and entertainment device
US9298219B2 (en) 2012-05-09 2016-03-29 Scorpion Security Products, Inc. Security device for functional display, security, and charging of handheld electronic devices
USD760209S1 (en) * 2013-04-11 2016-06-28 Huizhou Tcl Mobile Communication Co., Ltd. Mobile phone sheath embedded with projection device
KR101539362B1 (ko) * 2013-09-10 2015-07-28 주식회사 아이티엠반도체 빔 프로젝터를 갖는 보조 배터리 장치
CN104657028B (zh) * 2013-11-18 2018-04-27 联想(北京)有限公司 信息处理方法及电子设备
KR101483605B1 (ko) * 2014-01-03 2015-01-16 주식회사 큐브전자 빔프로젝터를 갖는 태블릿컴퓨터
USD766070S1 (en) * 2014-12-17 2016-09-13 Sphinx Electronics Gmbh & Co Kg Door terminal
CN105262969A (zh) * 2015-11-20 2016-01-20 广景视睿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组合投影的方法以及系统
JP6719240B2 (ja) * 2016-03-22 2020-07-08 株式会社五藤光学研究所 映像投映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プラネタリウム装置
CN207099124U (zh) * 2017-02-17 2018-03-13 全普光电科技(上海)有限公司 一种智能便携式电话
TWI692741B (zh) * 2018-01-18 2020-05-01 鈺立微電子股份有限公司 校正相機的系統
CN108303843B (zh) * 2018-02-09 2020-11-06 山东劳动职业技术学院(山东劳动技师学院) 一种市场营销用便携式投影装置
CN111988589B (zh) * 2019-05-23 2022-08-09 中强光电股份有限公司 投影设备、投影方法以及投影系统
CN112099334A (zh) * 2020-10-13 2020-12-18 湖南中易顺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可旋转式投影组件的穿戴式智能手表
CN112445290B (zh) * 2020-12-07 2024-11-01 北京信升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分布式云计算机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17393A2 (en) 1996-07-01 1998-01-07 Motorola Inc. Portable power source with visual image display
US20080014995A1 (en) 2006-03-30 2008-01-17 Citizen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47071A (ja) 1994-11-15 1996-06-07 Nippon Chemicon Corp 台座兼カバー構造
US7184796B2 (en) * 2000-12-04 2007-02-2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Personal communication device having a built in projection display
AU2002951208A0 (en) 2002-09-05 2002-09-19 Digislide International Pty Ltd A portable image projection device
US20020180694A1 (en) * 2001-06-05 2002-12-05 Isaacson Dennis R. Cover and stand for portable display device
CN101287020A (zh) 2007-04-13 2008-10-15 李伟高 一种屏幕扩展手机
KR101390082B1 (ko) * 2007-08-01 2014-05-28 삼성전자주식회사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817393A2 (en) 1996-07-01 1998-01-07 Motorola Inc. Portable power source with visual image display
US20080014995A1 (en) 2006-03-30 2008-01-17 Citizen Electronics Co., Ltd. Mobile ph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00197354A1 (en) 2010-08-05
EP2214384B1 (en) 2013-04-17
KR20100088184A (ko) 2010-08-09
CN101795376A (zh) 2010-08-04
US8725221B2 (en) 2014-05-13
EP2214384A1 (en) 2010-08-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5588B1 (ko) 프로젝팅 기능을 가지는 휴대 단말기
KR101427264B1 (ko) 휴대 단말기
KR101641229B1 (ko) 확장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휴대 전자기기
KR101366859B1 (ko) 휴대 단말기
KR101483029B1 (ko) 프로젝터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및 이의 제어 방법
US8159592B2 (en) Portable terminal
KR101728387B1 (ko) 휴대 단말기
US20080176605A1 (en) Mobile terminal
EP2665240B1 (en) Mobile terminal including a sliding door for a socket
TWI384843B (zh) 可攜式終端
KR20090102242A (ko) 슬라이드 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
KR101587141B1 (ko) 이동 단말기
KR101529917B1 (ko) 휴대 단말기
KR101454238B1 (ko) 확장 모듈 및 그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KR101474446B1 (ko) 휴대 단말기 및 그에 사용되는 배터리
KR101474436B1 (ko) 휴대 단말기
KR101595358B1 (ko) 휴대 단말기
KR101622594B1 (ko) 휴대 단말기
KR101631900B1 (ko) 휴대 단말기
KR101484536B1 (ko) 휴대 단말기
KR101517239B1 (ko) 휴대 단말기용 커넥터 장치
KR100930564B1 (ko) 휴대 단말기
KR101587136B1 (ko) 휴대 단말기
KR101587134B1 (ko) 휴대 단말기
KR101437977B1 (ko) 휴대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