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hing Special   »   [go: up one dir, main page]

KR101513281B1 -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3281B1
KR101513281B1 KR1020140043739A KR20140043739A KR101513281B1 KR 101513281 B1 KR101513281 B1 KR 101513281B1 KR 1020140043739 A KR1020140043739 A KR 1020140043739A KR 20140043739 A KR20140043739 A KR 20140043739A KR 101513281 B1 KR101513281 B1 KR 1015132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l
housing
terminal
support
tab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43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경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경신
Priority to KR10201400437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32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32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32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Sealing between contact members and housing, e.g. sealing inse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201/00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R2201/26Connectors or connectio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for vehicle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는: 수용공간부에 다수 개의 메일탭단자가 구비되는 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에 결합되고, 메일탭단자에 접속되는 피메일단자가 구비되는 피메일하우징과, 수용공간부에 삽입되어 평상시 메일탭단자를 보호하고, 결합시 수용공간부에서 이동하여 메일탭단자를 안내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TERMINAL PROTECTED DEVICE OF CONNECTOR}
본 발명은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졍션블록에 설치된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 결합시 메일하우징에 노출부위에 보호부재를 설치하여 이물질 유입을 방지하고 메일탭단자의 변형을 방지하며, 피메일하우징의 진입에 따라 구속부의 걸림을 해제하여 보호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엔진룸 내에는 각종 센서류를 비롯한 많은 전장 구성품이 있다. 이 엔진룸 내에 있는 대부분의 센서류는 엔진이나 트랜스미션에 부착되어져 있어서 와이어링이 각각의 위치에 도달하기까지는 각종의 밴드케이블, 커넥터등을 사용하여 와이어를 고정하거나 연결하도록 한다.
이러한 커넥터(Connector)는 전기배선을 서로 연결해주거나 배선과 유닛(Unit) 사이를 연결하는 배선장치이다. 이때, 다수 개의 단독커넥터와 멀티커넥터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 졍션블록(Junctioon block)이 이용되고 있다.
이 졍션블록에 커넥터가 연결되는 조립구조는 졍션블록에 일체로 구비되고, 메일탭단자(Male tap terminal)를 수용하는 메일하우징과, 메일하우징에 결합되고, 피메일단자를 수용하는 피메일하우징과, 피메일하우징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고, 메일단자 및 피메일단자의 결합 유지력을 높여주는 리테이너;를 포함한다.
기존의 졍션블록에서 메일하우징의 메일탭단자는 외부로 노출됨에 따라 단자 변형이나 외부 이물질 유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메일탭단자가 변형되는 경우, 피메일하우징과의 결합이 어려워지고, 외부 이물질이 단자에 묻을 경우, 도통이 이루어지 않아 접속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대한 배경기술은 대란민국 등록특허 제0796028호(발명의 명칭: 커넥터 록킹구조, 2008.01.11: 공개)가 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졍션블록에 설치된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 결합시 메일하우징에 노출부위에 보호부재를 설치하여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고, 메일탭단자의 변형을 방지하며, 피메일하우징의 진입에 따라 구속부의 걸림을 해제하여 보호부재를 이동시킬 수 있는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는, 수용공간부에 다수 개의 메일탭단자가 구비되는 메일하우징; 상기 메일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메일탭단자에 접속되는 피메일단자가 구비되는 피메일하우징; 및 상기 수용공간부에 삽입되어 평상시 상기 메일탭단자를 보호하고, 결합시 상기 수용공간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메일탭단자를 안내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수용공간부에서 삽입되고, 상기 메일탭단자의 진입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부의 노출부위를 차단하는 무빙플레이트: 및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고, 결합시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메일탭단자의 삽입을 안내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부재는 구속부에 의해 상기 메일하우징에 구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부는,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입구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가 이동하도록 상기 메일하우징에 양측으로 개방되는 개방부;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걸림부; 및 상기 제1걸림부에 걸려지도록 상기 개방부에 형성되는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서 상하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으로 너비가 넓어지도록 돌출되며,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개방부의 단부에서 상하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한측으로 너비가 넓어지도록 단턱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속부는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진입시 걸림해제부에 의해 구속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해제부는 상기 지지대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하우징 접촉시 상기 지지대를 상기 개방부에서 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걸림해제부는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진입에 따라 상기 지지대를 점차 벌려주도록 상기 지지대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걸림부에는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단부에 상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방부 외측에 걸려지는 이동제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는, 졍션블록에 설치된 메일하우징에 피메일하우징 결합시 메일하우징에 노출부위에 무빙플레이트 설치하여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고, 메일탭단자의 변형을 방지하며, 피메일하우징의 진입에 따라 구속부의 걸림을 해제하여 무빙플레이트를 이동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를 졍션블록에 구비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굿속부의 걸림해제 과정을 보인 평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부의 걸림해제 과정을 보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의 결합 전 평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의 결합 후 평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를 졍션블록에 구비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의 요부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부의 걸림해제 과정을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속부의 걸림해제 과정을 보인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의 결합 전 평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의 결합 후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100)는, 메일하우징(10), 피메일하우징(20) 및 보호부재(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100)는 졍션블록(2)에 메일하우질(10)이 설치되면서 피메일하우징(20)이 슬라이드 결합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서, 메일하우징(10)과 피메일허우징(20)이 상호 결합됨에 따라 메일하우징(10)에 구비된 다수 개의 메일탭단자(14)가 피메일하우징(20)의 끼움홈부(24)에 끼워진 피메일단자(22)에 탄성 삽입되면서 접속이 이루어진다.
메일하우징(10)은 일측으로 개방 형성된 수용공간부(12) 내에 다수 개의 메일탭단자(14)가 구비된다. 메일탭단자(14)는 수용공간부(12)에 설정 간격으로 배치된다. 즉, 메일탭단자(14)는 상하측으로 2층으로 배열되고, 좌우측으로 설정간격으로 다수 개 배치된다. 메일탭단자(14)는 피메일단자(22)에 삽입이 용이하도록 단부가 뾰족하게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100)는 졍션블록(2)에 구비되는 것으로 도시하지만, 필요에 따라 다양한 다른 접속장치에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다.
메일하우징(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졍션블록(2)의 하측부위에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한다.
피메일하우징(20)은 메일하우징(10)에 결합되고, 메일탭단자(14)에 접속되는 피메일단자(22)가 구비된다. 피메일단자(22)는 사각형 구멍이 형성되고, 사각형 구멍 내측으로 돌출된 탄성편에 의해 메일탭단자(14)가 삽입되는 경우, 탄성적으로 가압되어 접속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피메일하우징의 하부 일측에는 메일탭단자(14) 및 피메일단자922)의 결합 유지력을 높여주는 리테이너가 구비될 수 있다.
메일탭단자(14)는 졍션블록(2)에 구비된 상태에서 일측으로 개방되는 수용공간부(12)에 설치되므로, 메일하우징(10)에 피메일하우징(20)이 결합되기 전 수용공간부(12)에서 외부로 설정구간이 노출된 상태로 구비되어 이물질이 묻거나 변형되기 쉽다.
이때, 메일탭단자(14)는 수용공간부(12)에 이물질이 유입되는 경우, 피메일단자(22)와 도통이 어려워 집속 불량이 발생하고, 단자가 변형되는 경우, 피메일단자(22)와 결합이 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메일탭단자(14)의 변형이나 이물질 부착을 방지하기 위해 수용공간부(12)의 노출부위를 차단하여 보호할 수 있는 보호부재(30)가 필요하다.
보호부재(30)는 수용공간부(12)에 삽입되어 평상시 메일탭단자(14)를 보호하고, 결합시 수용공간부(12)에서 이동하여 메일탭단자(14)를 안내하는 구성이다.
보호부재(30)는 메일탭단자(14)의 전측에 배치되어 이물질이 메입탭단자(14) 측으로 유입되는 것과, 소정의 물체에 의해 부딪쳐 메일탭단자(14)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호부재(30)는, 수용공간부(12)에서 삽입되고, 메일탭단자(14)의 진입 전측에 배치되어 수용공간부(12)의 노출부위를 차단하는 무빙플레이트(32)와, 무빙플레이트(32)에 관통 형성되고, 결합시 무빙플레이트(32)의 이동에 의해 메일탭단자(14)의 삽입을 안내하는 삽입부(34)를 포함한다.
무빙플레이트(32)는 메일하우징(10)의 수용공간부(12) 크기에 일치하는 사각형 판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무빙플레이트(32)는 다양한 크기, 형상 및 재질을 갖도록 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삽입부(34)는 메일탭단자(14)가 관통하여 삽입할 수 있도록 메일탭단자(14)의 단면 형상괴 일치하면서 약간 더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삽입부(3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도면에서 사각형 구명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 다양한 다른 형상으로 구성할 수 있다
보호부재(30)는 구속부(40)에 의해 메일하우징(10)에 구속될 수 있다.
구속부(40)는 보호부재(30)가 메일탭단자(14)의 전측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동되거나 진입되지 않도록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속부(40)는, 무빙플레이트(32)의 양측에서 입구측 즉, 피메일하우징(20) 진입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42)와, 지지대(42)가 이동하도록 메일하우징(10)에 양측으로 개방되는 개방부(44)와, 지지대(42)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걸림부(46)와, 제1걸림부(46)에 걸려지도록 개방부(44)에 형성되는 제2걸림부(48)를 포함한다.
제1걸림부(46)는 지지대(42)의 단부에서 상하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으로 너비가 넓어지도록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걸림부(46)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양측으로 돌출된 걸림돌기 형상으로 도시하도록 한다.
제2걸림부(48)는 개방부(44)의 단부에서 상하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한측으로 너비가 넓어지도록 단턱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제2걸림부(48)는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양측으로 함몰된 걸림턱 형상으로 도시하도록 한다.
구속부(40)는 피메일하우징(20)의 진입시 걸림해제부(50)에 의해 구속 해제된다. 즉, 메일하우징(10)의 수용공간부(12)에 피메일하우징(20)이 진입함에 따라 걸림해제부(50)에 의해 구속부(40)가 구속 해제되어 무빙플레이트(32)가 이동하여 메일탭단자(14)가 삽입부(34)에 삽입되면서 보호부재(30)의 진입이 이루 어진다.
걸림해제부(50)는 페메일하우징(20)의 측면에 접촉되도록 구속부(40)의 지지대(42) 내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걸림해제부(50)는 지지대(52)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피메일하우징(20) 접촉시 지지대(42)를 개방부(44)에서 벌려줄 수 있다.
걸림해제부(50)는 피메일하우징(20)의 진입에 따라 지지대(42)를 점차 벌려주도록 지지대(42)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부(52)를 구비한다. 경사면부(52)는 직각삼각형의 빗변에 해당하도록 경사지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걸림부(46)에는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단부에 상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측으로 돌출되어 개방부(44) 외측에 걸려지는 이동제한부(5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동제한부(54)는 도 4의 첫 번째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걸림부(46)의 상하 양측으로 돌출된 상태로 도시하도록 한다. 이동제한부(20)는 피메일하우징(20)이 진입하기 전 제1걸림부(46)가 길이방향으로 구속된 상태에서 개방부(4)의 외측에 걸려져 수용홈부(12)의 내측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 해준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의 작용을 살펴보도록 한다.
한편, 보호부재(30)의 진입 상태를 살펴 보면, 도 4의 첫 번째 도면, 도 5의 첫 번쌔 도면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일하우징(10)의 수용공간부(12)에 피메일하우징(20)에 삽입되어 보호부재(30)의 무빙플레이트(32) 전면부위까지 진입한다.
연이어, 도 4의 두 번째 도면, 도 5의 두 번쌔 도면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메일하우징(20)이 보호부재(30)의 무빙플레이트(32)를 밀어줌과 동시에 피메일하우징(20)의 측면에 걸림해제부(50)가 접촉되어 경사면부(52)를 따라 이동하면서 점차 벌려지게 되고, 지지대(42)에 구비된 제1걸림부(46)가 제2걸림부(48)에서 벗어나면서 걸림이 해제된다.
그 다음, 구속부(40)의 걸림이 해제된 상태에서, 피메일하우징(20)이 보호부재(30)의 무빙플레이트(32)를 더 밀어 주게 되면, 메일탭단자(14)가 무빙플레이트(32)의 삽입부(34)에 삽입되면서 이동하게 되면서 조립이 완료된다. 이때 메일탭단자(14)는 피메일하우징(20)의 끼움홈부(24)에 장착된 피메일단자(22)에 탄성 삽입되면서 접속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100)는, 졍션블록(2)에 설치된 메일하우징(10)에 피메일하우징(20) 결합시 메일하우징(10)의 수용홈부912)의 노출부위에 보호부재(30)를 설치하여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고, 메일탭단자(14)의 변형을 방지하며, 피메일하우징(20)의 진입에 따라 구속부(40)의 걸림을 해제하여 보호부재(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2 : 졍션블록 10 : 메일하우징
12 : 수용공간부 14 : 메일탭단자
2- : 피메일하우징 22 : 피메일단자
24 : 끼움홈부 30 : 보호부재
32 : 무빙플레이트 34 : 삽입부 :
40 : 구속부 42 : 지지대
44 : 개방부 46 : 제1걸림부
48 : 제2걸림부 50 : 걸림해제부
52 : 경사면부 54 : 이동제한부
100 : 단자 보호장치

Claims (9)

  1. 수용공간부에 다수 개의 메일탭단자가 구비되는 메일하우징;
    상기 메일하우징에 결합되고, 상기 메일탭단자에 접속되는 피메일단자가 구비되는 피메일하우징; 및
    상기 수용공간부에 삽입되어 평상시 상기 메일탭단자를 보호하고, 결합시 수용공간부에서 이동하여 상기 메일탭단자를 안내하는 보호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재는, 상기 수용공간부에서 삽입되고, 상기 메일탭단자의 진입 전측에 배치되어 상기 수용공간부의 노출부위를 차단하는 무빙플레이트: 및
    상기 무빙플레이트에 관통 형성되고, 결합시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이동에 의해 상기 메일탭단자의 삽입을 안내하는 삽입부;를 포함하며,
    상기 보호부재는 구속부에 의해 상기 메일하우징에 구속되며,
    상기 구속부는, 상기 무빙플레이트의 양측에서 입구 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지지대;
    상기 지지대가 이동하도록 상기 메일하우징에 양측으로 개방되는 개방부;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제1걸림부; 및
    상기 제1걸림부에 걸려지도록 상기 개방부에 형성되는 제2걸림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는 상기 지지대의 단부에서 상하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한 측으로 너비가 넓어지도록 돌출되며,
    상기 제2걸림부는 상기 개방부의 단부에서 상하양측 중 적어도 어느 한측으로 너비가 넓어지도록 단턱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구속부는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진입시 걸림해제부에 의해 구속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해제부는 상기 지지대의 내측에 돌출 형성되어 상기 피메일하우징 접촉시 상기 지지대를 상기 개방부에서 벌려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걸림해제부는 상기 피메일하우징의 진입에 따라 상기 지지대를 점차 벌려주도록 상기 지지대의 내측으로 경사지게 형성된 경사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에는 외측으로 절곡 형성된 단부에 상하측 중 적어도 어느 한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개방부 외측에 걸려지는 이동제한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단자 보호장치.
KR1020140043739A 2014-04-11 2014-04-11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 KR1015132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739A KR101513281B1 (ko) 2014-04-11 2014-04-11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43739A KR101513281B1 (ko) 2014-04-11 2014-04-11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3281B1 true KR101513281B1 (ko) 2015-04-20

Family

ID=530535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43739A KR101513281B1 (ko) 2014-04-11 2014-04-11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32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594B1 (ko) 2016-07-22 2017-10-18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KR101830415B1 (ko) 2017-09-18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KR101921426B1 (ko) * 2017-08-28 2018-11-22 케이유엠 유한회사 레버 타입 컨넥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3483A (ja) * 2001-05-11 2002-11-29 Yazaki Corp ホルダ付きコネクタ
JP2003017174A (ja) * 2001-07-04 2003-01-17 Yazaki Corp ホルダ付コネクタ
JP2007026943A (ja) * 2005-07-19 2007-02-01 Yazaki Corp 二重係止コネクタ
JP2010097911A (ja) * 2008-10-20 2010-04-30 Yazaki Corp コネクタ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343483A (ja) * 2001-05-11 2002-11-29 Yazaki Corp ホルダ付きコネクタ
JP2003017174A (ja) * 2001-07-04 2003-01-17 Yazaki Corp ホルダ付コネクタ
JP2007026943A (ja) * 2005-07-19 2007-02-01 Yazaki Corp 二重係止コネクタ
JP2010097911A (ja) * 2008-10-20 2010-04-30 Yazaki Corp コネクタ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6594B1 (ko) 2016-07-22 2017-10-18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KR101921426B1 (ko) * 2017-08-28 2018-11-22 케이유엠 유한회사 레버 타입 컨넥터
KR101830415B1 (ko) 2017-09-18 2018-02-20 주식회사 경신 커넥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37680B (zh) 用于连接两个电气平面触头的连接笼
US20180212340A1 (en) Terminal fitting
US8968016B1 (en) Bus structure, terminal block, and terminal block assembly formed therefrom
KR20140024391A (ko) 에어백 커넥터 시스템
KR20130121644A (ko) 보호판을 구비한 커넥터
JP6665117B2 (ja) ケーブルの緊張緩和装置
JP5754380B2 (ja) コネクタの電線保護部材
KR101513281B1 (ko) 커넥터의 단자 보호장치
KR101850445B1 (ko) 방수 커넥터
JP5933697B2 (ja) 基準状態における接触バネの位置決めするための保持手段を備えた電気接続デバイス
US9698526B2 (en) Connector with aligning plate
US9496629B2 (en) Structure of socket contact
GB2525482A (en) Electrical connector
JP2014096227A (ja) 電気コネクタ
JPWO2016194579A1 (ja) コネクタ
KR102591645B1 (ko) 커넥터 어셈블리
KR101869545B1 (ko) 방수 커넥터
JP5805313B2 (ja) 保護されたダイレクトコンタクトを備えたダイレクトプラグエレメント
CN110383595B (zh) 连接器
KR101869546B1 (ko) 방수 커넥터
US20180301846A1 (en) Plug connector
KR101533807B1 (ko) 커넥터
KR101869544B1 (ko) 방수 커넥터
KR101869543B1 (ko) 방수 커넥터
KR101820142B1 (ko) 커넥터 분리 방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