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05205B1 - 커터가 달린 프린터 - Google Patents
커터가 달린 프린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05205B1 KR101505205B1 KR1020090037625A KR20090037625A KR101505205B1 KR 101505205 B1 KR101505205 B1 KR 101505205B1 KR 1020090037625 A KR1020090037625 A KR 1020090037625A KR 20090037625 A KR20090037625 A KR 20090037625A KR 101505205 B1 KR101505205 B1 KR 1015052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ovable blade
- blade
- unit
- rack
- gea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0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 B26D1/06—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 B26D1/08—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 B26D1/085—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linearly-movable cutting member wherein the cutting member reciprocates of the guillotine type for thin material, e.g. for sheets, strips or the lik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8—Means for actuating the cutting member to effect the cut
- B26D5/10—Hand or foot actuated mea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6—Means for mounting or adjusting the cutting member; Means for adjusting the stroke of the cutting member
- B26D7/2628—Mean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the cutting member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66—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 B41J11/70—Applications of cutting devices cutting perpendicular to the direction of paper feed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5/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continuous form, e.g. webs
- B41J15/04—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 B41J15/042—Supporting, feeding, or guiding devices; Mountings for web rolls or spindles for loading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into printers, e.g. for replacing a used-up paper roll; Point-of-sale printers with openable casings allowing access to the rolled-up continuous copy material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748—Tool displaceable to inactive position [e.g., for work loading]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83/00—Cutting
- Y10T83/869—Means to drive or to guide tool
- Y10T83/8748—Tool displaceable to inactive position [e.g., for work loading]
- Y10T83/8749—By pivotal mot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ling Of Sheets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Abstract
기록지의 종이 걸림의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고정날과 가동날의 맞물림을 확실하고 또한 신속하게 해제하는 것이다.
기록지에 인쇄를 행한 후, 절단 가능한 프린터로서, 고정날(11)과, 가동날(30)과, 그 가동날에 부착된 랙(40)과, 그 랙에 맞물려져,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에 연결된 구동 톱니바퀴(4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랙을 직선 이동시키는 랙용 톱니바퀴(42)를 가지는 가동날 구동계(31)와, 조작 가능한 레버부(32)와, 그 레버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고정날을 가동날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양날의 접촉압을 해제하는 압하부(12)를 가지는 연동 기구(13)와, 고정날 및 연동 기구가 주로 장착된 제1의 유닛과, 가동날 및 가동날 구동계가 주로 장착된 제2의 유닛(4)을 구비하여, 양유닛 중 한쪽의 유닛이, 다른쪽의 유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조합이 해제되는 커터가 달린 프린터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롤지로부터 인출된 기록지에 인쇄를 행한 후, 그 기록지를 적절히 절단할 수 있는 커터가 달린 프린터에 관한 것이다.
열을 가하면 변색되는 특수한 기록지에 가열한 서멀 헤드를 누름으로써 인쇄를 행하는 서멀 프린터는, 현재 다양한 종류의 것이 다수 제공되고 있다. 특히, 토너나 잉크 등을 사용하지 않고, 매끄러운 문자의 인쇄나 다채로운 그래픽 인자를 할 수 있기 때문에, 각종 라벨, 영수증이나 티켓의 인쇄 등에 적합하게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이 서멀 프린터로 대표되는 바와 같이, 인쇄된 기록지를 절단하는 커터 기구를 구비한 커터가 달린 프린터가 다수 알려져 있다. 통상, 이 커터 기구는, 인쇄가 종료되면 자동적으로 기록지를 절단하도록 설정(오토 커터)되어 있어, 절단한 기록지를,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영수증이나 티켓 등으로서 신속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커터가 달린 프린터는, 예를 들면 캐쉬 레지스터나, 휴대형 단말장치 등에 장착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커터 기구는, 고정날과 슬라이드 가능한 가동날로 일반적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기록지를 절단하는 경우에는, 고정날의 상면에 얹혀지도록 가동날을 슬라이드시킨다. 이것에 의해, 가위와 같이, 양날로 기록지를 사이에 끼워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고정날은, 근원측이 힌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있고, 날끝측이 요동하도록 구성되어 있음과 함께, 코일 스프링 등의 탄성 가압부에 의해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도록 탄성 가압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동날이 슬라이드되어 왔을 때, 양날은 적당한 접촉압으로 접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기록지를 깨끗이 절단할 수 있게 되어 있다.
그러나, 기록지를 절단할 때, 기록지의 종이 걸림이 원인으로 고정날과 가동날이 물려 들어가 버리는 경우가 많이 있었다. 예를 들면, 고정날과 가동날 사이에 기록지가 들어가 걸려 버려, 고정날의 요동을 규제하여 물려 들어감을 초래하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물려 들어감이 생겨 버린 경우에는, 인쇄를 중단하고 즉시 복구 작업할 필요가 있다. 특히, 신속하게 인쇄 작업으로 되돌아오기 위해서, 맞물림을 가능한 한 빨리 복구시킬 필요가 있다.
여기서, 일반적인 가동날 및 고정날의 구성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0(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날(100) 및 가동날(101)은, 기록지(P)를 송출하는 플래튼 롤러(102), 및, 그 플래튼 롤러(102)에 대향 배치되어, 기록 지(P)에 인쇄를 행하는 인자 헤드(103)에 대해서, 기록지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되어 있다. 가동날(101)은, 톱니바퀴 윤열(輪列) 기구(104)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연결되어 있으며, 모터의 구동에 의해 고정날(100)에 대해서 접근 이간하도록 슬라이드 이동하게 되어 있다. 톱니바퀴 윤열 기구(104)는, 모터의 축에 연결된 웜기어(104a)와, 그 웜기어(104a)에 맞물려진 복수의 톱니바퀴 등으로 구성되고, 그 기어의 회전에 따라 가동날(101)을 직선적으로 이동시키는 직선 이동 기구(104b)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 기록지(P)를 절단하려면, 도 30(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를 구동시켜 웜기어(104a)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직선 이동 기구(104b)가, 웜기어(104a)의 회전력을 직선 방향의 힘으로 변환하여 가동날(101)에 전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날(101)은, 고정날(100)측으로 이동하므로, 그 고정날(100)과의 사이에 기록지(P)를 끼우면서 절단할 수 있다. 또한, 가동날(101)은, 모터의 새로운 회전에 의해, 기록지(P)를 절단한 후, 원래의 위치(홈포지션)로 되돌아오도록 되어 있다.
또한 웜기어(104a)를 이용하여 가동날(101)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것으로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이 알려져 있다.
그런데, 사용중에 고정날(100)과 가동날(101)의 물려 들어감이 발생해 버린 경우에는, 모터를 구동시켜도 물려 들어가는 힘 쪽이 강하기 때문에, 웜기어(104a)를 회전시킬 수 없다. 그 때문에, 통상, 웜기어(104a)를 수동으로 강제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동날(101)의 홈포지션으로 되돌리고 있다. 즉, 물려 들어가는 힘에 저항하여 가동날(101)을 강제적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킴으로써, 맞물림을 풀고 있다.
한편, 특별한 수작업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고정날과 가동날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는 프린터도 알려져 있다(특허 문헌 2 참조).
이 프린터에 대해서, 도면을 참조하여 간단하게 설명한다.
도 31(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프린터는, 도시하지 않은 케이싱에 설치된 본체 유닛(110)과, 케이싱에 개폐 가능하게 고정된 도시하지 않은 개폐 커버에 설치된 플래튼 유닛(111)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본체 유닛(110)에는, 기록지(P)에 인쇄를 행하는 인자 헤드(112)와, 그 인자 헤드(112)에 대해서 기록지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된 고정날(113)과, 도시하지 않은 모터에 연결된 제1 톱니바퀴열(114)이 주로 장착되어 있다.
한편, 플래튼 유닛(111)에는, 기록지(P)를 송출하는 플래튼 롤러(115)와, 그 플래튼 롤러(115)에 대해서 기록지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된 가동날(116)과, 가동날(116)에 연결되어, 그 가동날(116)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제2 톱니바퀴열(117)이 주로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플래튼 유닛(111)은, 개폐 커버를 닫았을 때에 본체 유닛(110)과 조합됨과 함께, 개폐 커버를 열었을 때에 본체 유닛(110)으로부터 이간하도록 되어 있다.
또, 플래튼 유닛(111)과 본체 유닛(110)이 조합되었을 때, 도 31(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톱니바퀴열(114)과 제2 톱니바퀴열(117)이 맞물림과 함께, 플래튼 롤러(115)와 인자 헤드(112) 사이에 기록지(P)를 끼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래튼 롤러(115)로 기록지(P)를 송출하면서, 인자 헤드(112)로 인쇄를 행하거나, 모터의 구동에 의해 제1 톱니바퀴열(114) 및 제2 톱니바퀴열(117)을 통하여 가동날(116)을 고정날(113)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시켜, 기록지(P)를 절단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제2 톱니바퀴열(117)은, 제1 톱니바퀴열(114)에 맞물려지는 톱니바퀴(117a)와, 그 톱니바퀴(117a) 및 가동날(116)에 고정된 도시하지 않은 랙 기구에 맞물려지는 피니언(117b)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이 피니언(117b)에는, 도시하지 않은 가동날 반환 스프링에 의해, 가동날(116)을 원래의 포지션(홈포지션)으로 되돌리도록 탄성 가압력이 작용하고 있다. 그러나, 개폐 커버를 닫고 있는 경우에는, 피니언(117b)은 제1 톱니바퀴열(114)에 맞물려져 있으므로, 가동날 반환 스프링의 탄성 가압력에 의해 회전되는 일이 없다. 즉, 개폐 커버를 열어, 피니언(117b)과 제1 톱니바퀴열(114)의 맞물림 상태가 풀렸을 때에만, 피니온(117b)은 가동날 반환 스프링의 탄성 가압력으로 회전하여, 가동날(116)을 홈포지션으로 되돌리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프린터를 사용중에 고정날(113)과 가동날(116)이 물려 들어간 경우에는, 케이싱에 대해서 닫혀 있는 개폐 커버를 수동으로 연다. 그러면, 도 31(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 커버에 설치되어 있는 플래튼 유닛(111)이 케이싱측의 본체 유닛(110)으로부터 이간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날(116)을 고정날(113)로부터 떼어 놓을 수 있다. 따라서, 특별한 수작업을 필요로 하는 일 없이, 고정날(113)과 가동날(116)의 맞물림을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다. 게다가, 제1 톱 니바퀴열(114)과 제2 톱니바퀴열(117)이 이간하므로, 도 31(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날 반환 스프링에 의해 피니언(117b)이 역회전하여, 가동날(116)이 자동적으로 홈포지션으로 되돌아오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개폐 커버를 열기만 하면 되는 간단한 동작으로, 고정날(113)과 가동날(116)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다.
특허 문헌 1: 일본 공개특허 2006-075935호 공보
특허 문헌 2: 일본 공개특허 2004-237555호 공보
그러나, 종래의 맞물림의 해제에는, 아직 이하의 과제가 남아 있었다.
우선, 웜기어(104a)를 수동으로 강제적으로 회전시킴으로써, 가동날(101)을 홈포지션으로 되돌리는 방법은, 매우 수고스러운 일이었다. 통상, 모터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가동날(101)을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모터의 회전 속도를 그대로 전달할 수는 없기 때문에, 웜기어(104a)로 감속시키고 있다. 그 때문에, 웜기어(104a)를 1회전 시켜도, 모터는 조금 밖에 회전하지 않는다. 즉, 모터를 1회전 시키려면, 웜기어(104a)를 감속비 배만큼 회전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가동날(101)을 홈포지션까지 되돌리려면, 웜기어(104a)를 연속하여 몇십 회전이나 돌릴 필요가 있었다. 따라서, 매우 수고스럽고, 작업자에게 주는 부담이 컸다. 이에 더하여, 복구 작업에 시간이 걸려 버려, 인쇄 작업으로 신속하게 되돌아올 수 있는 것은 아니였다.
한편, 개폐 커버를 여는 것으로 맞물림을 해제하는 방법에 관해서는, 매우 간단한 방법이지만, 개폐 커버 자체를 열 수 없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즉, 기록지(P)의 종이 걸림에 따라서는, 플래튼 유닛(111)이 본체 유닛(110) 혹은 케이싱에 대해 로크되어 버릴 가능성이 있어, 이 경우에는 개폐 커버 자체를 열 수 없게 되어 버린다. 그 때문에, 당연히 가동날(116)을 고정날(113)로부터 떼어 놓지 못하여,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는 것은 아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기록지의 종이 걸림의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고정날과 가동날의 맞물림을 확실하고 또한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는 커터가 달린 프린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수단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커터가 달린 프린터는, 롤지로부터 인출된 기록지에 인쇄를 행한 후, 그 기록지를 절단하는 커터가 달린 프린터로서, 인출된 상기 기록지에 대향한 상태로 배치된 고정날과, 그 고정날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슬라이드시에 고정날의 상면에 얹혀져 인출된 상기 기록지를 고정날과의 사이에 끼워 절단하는 가동날과, 그 가동날에 부착된 랙과, 그 랙에 맞물려져,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에 연결된 구동 톱니바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랙을 직선 이동시키는 랙용 톱니바퀴를 가지는 가동날 구동계와, 조작 가능한 레버부와, 그 레버부의 조 작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날을 상기 가동날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날과 가동날의 접촉압을 해제시키는 압하부를 가지는 연동 기구와, 상기 고정날 및 상기 연동 기구가 장착된 제1의 유닛과, 상기 가동날 및 상기 가동날 구동계가 장착되어, 제1의 유닛에 대해서 조합되는 제2의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제1의 유닛과 상기 제2의 유닛 중 한쪽의 유닛이, 다른쪽의 유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상기 조합이 해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련된 커터가 달린 프린터에 있어서는, 롤지로부터 인출된 기록지에 인쇄를 행한 후, 가동날 구동계에 의해 가동날을 슬라이드 이동시켜 기록지를 절단한다. 상세하게는, 우선 모터를 구동하여 구동 톱니바퀴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구동 톱니바퀴의 회전에 따라 랙용 톱니바퀴가 회전하여, 가동날에 부착된 랙이 직선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날을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러면 가동날은, 고정날의 상면에 얹혀진 상태에서 겹쳐, 인출된 기록지를 고정날 사이에 끼워 절단한다. 그 결과, 절단한 기록지를 영수증이나 티켓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중에 기록지의 종이 걸림에 의해 고정날과 가동날이 물려 들어가 버린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우선 레버부를 조작한다. 그러면 압하부는, 레버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고정날을 가동날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즉, 상면에 얹혀져 있는 가동날로부터 떼어 놓도록, 고정날을 강제적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맞물림의 원인이 되고 있던 가동날과 고정날의 접촉압을 해제할 수 있다. 특히, 종이 걸림에 의해 접촉압이 비교적 높은 경우라도, 레버부 의 조작 상태로 고정날의 이동량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확실히 접촉압을 해제할 수 있다.
계속되어, 압하부로 고정날을 이동시키고 있는 상태일 때에 모터를 역회전시킨다. 이 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고정날과 가동날의 접촉압이 이미 해제되어 있는 상태이므로, 랙용 톱니바퀴가 회전하여, 가동날을 용이하게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이것에 의해, 고정날과 가동날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제1의 유닛과 제2의 유닛을 분리시켜, 양유닛의 조합을 해제한다. 이것에 의해, 맞물림의 원인이 되었던 기록지의 종이 걸림의 부분을 없애는 등의 적절한 대응을 행할 수 있다. 그 후, 재차 양유닛을 조합함으로써, 복구를 행할 수 있다.
특히, 레버부를 조작하기만 하면 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고정날과 가동날의 접촉압을 없애,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게 부담을 주는 일 없이 신속하게 복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개폐 커버를 여는 것으로 맞물림을 해제하는 종래의 것과는 달리, 고정날을 가동날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접촉압을 없애, 맞물림을 해제하고 있다. 그 때문에, 종이 걸림에 의해 만일 양유닛의 분리가 곤란한 경우라도, 맞물림을 확실히 해제할 수 있다. 즉, 종이 걸림의 상황에 의해, 서로 조합된 제1의 유닛과 제2의 유닛의 위치 관계가 변하지 않는 경우라도, 고정날과 가동날의 맞물림을 확실히 해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커터가 달린 프린터는, 상기 본 발명의 커터가 달린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유닛이, 케이싱에 설치되고, 상기 제1의 유닛이, 상 기 케이싱에 개폐 가능하게 고정된 개폐문에 설치되어, 상기 제2의 유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련된 커터가 달린 프린터에 있어서는, 가동날 및 가동날 구동계가 장착된 제2의 유닛이 케이싱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케이싱에 대해서 개폐 가능하게 된 개폐문에, 고정날 및 연동 기구가 장착된 제1의 유닛이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개폐문을 개폐 조작함으로써, 제2의 유닛으로부터 제1의 유닛을 분리시키거나, 제2의 유닛에 제1의 유닛을 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특히, 케이싱측에 가동날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기록지를 보다 안정된 상태로 절단할 수 있어, 기록지의 절단 개소를 깨끗한 상태로 마무리할 수 있다. 즉, 분리하는 측의 개폐문에 가동날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개폐문의 다소 덜컹거림 등에 의해 컷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게다가, 절단시에 개폐문에 대해서 외력이 가해져 버린 경우에는, 컷의 불안정함이 보다 현저하게 되어 버린다. 그러나, 케이싱측에 가동날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우려가 없어, 보다 안정된 상태로 절단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가동날을 구동하는 가동날 구동계가 장착된 제2의 유닛 쪽이 제1의 유닛에 비해 구조가 복잡화되어 버리는데, 제2의 유닛은 케이싱측에 설치되어 있다. 만일, 제2의 유닛이 개폐문측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개폐 기구에 더하여 제2의 유닛의 구조를 고려할 필요가 있으므로, 개폐문의 구조 자체가 복잡화되어 버려 설계의 곤란화를 초래해 버린다. 그러나, 케이싱측에 제2의 유닛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개폐문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커터가 달린 프린터는, 상기 본 발명의 커터가 달린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압하부가, 상기 고정날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양단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련된 커터가 달린 프린터에 있어서는, 레버부를 조작했을 때에, 압하부가 고정날의 양단을 동시에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고정날의 양단에 균등하게 힘을 전할 수 있으므로, 고정날을 기울이는 일 없이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맞물림의 원인이 되고 있던 가동날과 고정날의 접촉압을 보다 확실히 해제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커터가 달린 프린터는, 상기 본 발명의 커터가 달린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레버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랙과 상기 구동 톱니바퀴의 기계적인 연결을 끊어, 랙의 이동 규제를 해제하는 해제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련된 커터가 달린 프린터에 있어서는, 레버부를 조작하면,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연동 기구에 의해 고정날과 가동날의 접촉압을 해제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해제 기구가 작동하여 랙과 구동 톱니바퀴의 기계적인 연결을 끊는다. 즉, 레버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해제 기구가 랙을 프리한 상태, 즉 모터와의 연관을 없앤 상태로 한다. 이것에 의해, 랙의 이동 규제를 해제할 수 있어, 모터에 관계없이 움직이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게다가, 연동 기구에 의해, 고정날과 가동날의 접촉압이 이미 해제되어 있는 상태가 되어 있다. 이러한 점에서, 가동날을 수동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모터를 재차 작동시키는 일 없이, 가동날을 수동으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으므로, 보다 단시간에 복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관련된 커터가 달린 프린터는, 상기 본 발명의 커터가 달린 프린터에 있어서, 상기 랙의 이동 규제가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가동날이 소정의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그 가동날을 탄성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탄성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발명에 관련된 커터가 달린 프린터에 있어서는, 해제 기구에 의해 랙의 이동 규제가 해제되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는 상태가 되면, 탄성 가압 부재가 가동날을 탄성 가압하여, 가동날을 소정의 위치로 되돌린다. 즉 자동적으로 가동날을 소정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따라서, 더 단시간에 복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된 커터가 달린 프린터에 의하면, 기록지의 종이 걸림의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고, 간단한 조작으로 고정날과 가동날의 맞물림을 확실하고 또한 신속하게 해제할 수 있다. 특히, 제1의 유닛과 제2의 유닛이 조합된 상태인 채라도, 고정날과 가동날의 맞물림을 확실히 해제할 수 있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커터가 달린 프린터의 제1 실시 형태를, 도 1 내지 도 1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커터가 달린 프린터의 일례로서, 서멀 프린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의 서멀 프린터(1)는, 롤지(R)로부터 인출된 기록지(P)에 인쇄를 행한 후, 그 기록지(P)를 적절히 절단하여, 티켓이나 영수증 등으로서 이용할 수 있는 프린터로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2)과, 플래튼 유닛(제1의 유닛)(3)과, 본체 유닛(제2의 유닛)(4)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다.
케이싱(2)은, 플라스틱 혹은 금속 재료로 성형된 케이싱이며, 상면에 투입구(2a)가 빈 상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케이싱(2)의 내부에는, 투입구(2a)로부터 투입된 롤지(R)를 재치(載置)하기 위한 재치대(2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재치대(2b)는, 원호 형상으로 만곡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원통형상의 롤지(R)를 안정적으로 재치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케이싱(2)의 상면에는, 힌지부(5)를 통하여 개폐 가능하게 고정된 개폐문(6)이 부착되어 있다. 이 개폐문(6)은, 도 2에 나타내는 열린 상태로부터 도 3에 나타내는 닫힌 상태에 걸쳐 일정 각도의 범위내에서 개폐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문(6)을 열었을 때에 투입구(2a)가 나타나, 롤지(R)를 케이싱(2)의 내부에 투입하거나, 내부로부터 꺼낼 수 있게 되어 있다. 또, 개폐문(6)을 닫았을 때에, 개폐문(6)의 선단과 케이싱(2) 사이에 약간의 틈새가 생기도록 설계되어 있다. 그리고, 이 틈새를 이용하여, 케이싱(2)의 내부로부터 기록지(P)가 인출되게 되어 있다. 즉, 이 틈새는, 기록지(P)의 배출구(2c)로서 기능한다.
또한 개폐문(6)은, 닫았을 때에 도시하지 않은 로크 기구에 의해 자동적으로 케이싱(2)에 대해서 로크가 걸리게 되어 있다. 또, 이 로크 기구는 케이싱(2)의 외측으로부터 원터치로 해제할 수 있게 되어 있어, 개폐문(6)을 신속하게 열 수 있도 록 되어 있다.
상기 본체 유닛(4)은, 후술하는 가동날(30), 가동날 구동계(31), 레버부(32) 및 서멀 헤드(34)가 주로 장착된 유닛이며, 도 1 내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2)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롤지(R)가 재치되는 재치대(2b)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내부 플레이트(2d) 상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도 1 내지 도 3에서는, 가동날(30) 및 서멀 헤드(34)를 대표로 하여 도시하고 있다.
상기 플래튼 유닛(3)은, 후술하는 고정날(11), 연동 기구(13) 및 플래튼 롤러(10)가 주로 장착된 유닛이며, 부착판(15)을 통하여 개폐문(6)의 선단측의 내면에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플래튼 유닛(3)은, 개폐문(6)의 개폐 동작에 따라 이동하여, 본체 유닛(4)에 조합되거나, 본체 유닛(4)으로부터 분리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먼저 플래튼 유닛(3)의 구성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 및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유닛(3)은, 고무 등의 탄성체로 이루어지며 기록지(P)를 송출하는 플래튼 롤러(10)와, 플래튼 롤러(10)에 대해서 기록지(P)의 반송 방향 하류측에 배치된 고정날(11)과, 고정날(11)을 가동날(3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날(11)과 가동날(30)의 접촉압을 해제시키는 압하부(12)를 가지는 연동 기구(13)와, 플래튼 롤러(1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금속제의 플래튼 프레임(14)과, 플래튼 프레임(14)의 윗쪽을 덮는 금속성의 부착판(15)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5는, 도 4에서 부착판(15)을 떼어낸 상태의 도이다.
플래튼 롤러(10)는, 양단으로부터 도시하지 않은 축체(軸體)가 연장되어 있고, 그 축체에 원통형상의 베어링(10a)이 각각 씌워져 있다. 이것에 의해, 2개의 베어링(10a)을 눌렀다고 해도, 플래튼 롤러(10)를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플래튼 롤러(10)는, 이 베어링(10a)을 통하여 플래튼 프레임(14)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 플래튼 롤러(10)의 일단측에는, 베어링(10a)을 사이에 끼우고 종동 톱니바퀴(10b)가 축체에 연결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다.
특히 이 플래튼 롤러(10)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문(6)을 닫아 플래튼 유닛(3)과 본체 유닛(4)이 조합되었을 때에, 기록지(P)를 사이에 끼운 상태로 본체 유닛(4)측의 서멀 헤드(34)에 대해서 외주면이 접촉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이 때 종동 톱니바퀴(10b)는, 본체 유닛(4)측의 후술하는 플래튼용 톱니바퀴열(60)에 맞물려, 회전력이 전달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래튼 롤러(10)는, 개폐문(6)을 닫은 후, 본체 유닛(4)측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하여, 롤지(R)로부터 인출된 기록지(P)를 배출구(2c)로부터 케이싱(2)의 외부로 송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 4 및 도 5로 되돌아와, 고정날(11)은, 기록지(P)의 폭방향으로 연장된 판형상의 날이며, 개폐문(6)이 닫혔을 때에, 날끝(11a)이 송출된 기록지(P)에 대향하도록 고정날 홀더(16)에 지지되어 있다. 이 때, 고정날(11)은, 날끝(11a)측이 상하(가동날(30)의 슬라이드 방향으로 대략 직교하는 방향)로 움직이도록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고정날 홀더(16)와 고정날(11) 사이에는, 그 고정날(11)을 윗쪽으로 밀어 올리도록 탄성 가압하는 도시하지 않은 탄성 부재가 설치되어 있 다. 이것에 의해, 고정날(11)의 날끝(11a)은, 상시 들어 올려지도록 탄성 가압되어 있다. 또한, 고정날(11)의 들어 올림량은, 부착판(15)에 의해 규제되어 있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날(11)과 부착판(15) 사이에는, 회전 가능한 샤프트(17)가 고정날(11)의 근원측을 그 고정날(11)을 따라 배치되어 있다. 이 샤프트(17)는, 플래튼 프레임(14)에 고정된 베어링 부재(18)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샤프트(17)의 일단측에는, 압하부(12)와 선형(扇形) 톱니바퀴(19)가 연결되어 있으며, 타단측에는 압하부(12)만이 연결되어 있다.
선형 톱니바퀴(19)는, 개폐문(6)을 닫았을 때에, 본체 유닛(4)측에 설치된 후술하는 압하 조작 가능한 레버부(32)의 내부 톱니바퀴(32a)에 맞물리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레버부(32)의 조작에 연동, 즉, 압하 동작에 연동하여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선형 톱니바퀴(19)가 회전하면, 샤프트(17)도 마찬가지로 회전한다.
또한 이후, 「레버(32)의 조작에 연동」을 「레버부(32)의 압하 동작에 연동」으로 하여 적절히 설명하고 있다.
압하부(12)는, 플래튼 프레임(14)의 내측이며 또한 고정날(11)의 양단에 위치하도록 샤프트(17)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선형 톱니바퀴(19)의 회전에 따라 샤프트(17)와 함께 회전하여, 고정날(11)의 날끝(11a)측을 아래쪽을 향해 압하하는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고정날(11)은, 가동날(30)로부터 이간하도록 이동하여, 양날(11, 30)의 접촉압이 해제되게 되어 있다.
즉, 이들 2개의 압하부(12), 선형 톱니바퀴(19) 및 샤프트(17)는, 레버 부(32)의 조작에 연동하여 고정날(11)을 가동날(3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양날(11, 30)의 접촉압을 해제하는 연동 기구(13)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본체 유닛(4)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유닛(4)은, 고정날(11)에 대해서 슬라이드 이동하는 가동날(30)과, 그 가동날(30)을 구동시키는 가동날 구동계(31)와, 압하 조작 가능한 레버부(32)와, 레버부(32)의 압하 동작에 연동하여 후술하는 구동 톱니바퀴(41)와 랙(40)의 기계적인 연결을 끊는 해제 기구(33)와, 인출된 기록지(P)에 기록을 행하는 서멀 헤드(34)와, 이들 각 구성품을 지지하며, 내부 플레이트(2d) 상에 고정되는 금속성의 지지 프레임(35)과, 가동날(30)의 윗쪽을 덮는 금속제의 커버 플레이트(36)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도 7은, 도 6에서 커버 플레이트(36)를 떼어낸 상태의 도이다.
가동날(30)은, 고정날(11)과 협동하여 커터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개폐문(6)이 닫혀 본체 유닛(4)과 플래튼 유닛(3)이 조합되었을 때에, 고정날(11)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가동날(30)은,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근원으로부터 날끝(30a)까지의 길이가 양단으로부터 중앙을 향해 점차 짧아지도록 형성된 상면에서 보았을 때 대략 V자형의 판형상의 날이다. 그리고, 고정날(11)을 향해 슬라이드되었을 때에,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날(11)의 상면에 얹혀진 상태가 되어, 고정날(11)과의 사이에 기록지(P)를 끼워 절단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가동날(30)이 슬라이드되어 왔을 때, 고정날(11)은 가동날(30)에 의해 플래튼 롤러(10)측으로 압하된 상태가 된다. 그러나, 고정날(11)은, 탄성 부재에 의해 윗쪽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으므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날(11, 30)은 적당한 접촉압으로 접하게 되어 있다.
도 6 및 도 7로 되돌아와, 가동날 구동계(31)는, 가동날(30)에 부착된 랙(40)과, 그 랙(40)에 맞물려져,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에 연결된 구동 톱니바퀴(4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랙(40)을 직선 이동시키는 제1 톱니바퀴(랙용 톱니바퀴)(42) 및 제3 톱니바퀴(랙용 톱니바퀴)(43)(도 6 및 도 7에서는 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 유닛(4)에 상기 모터 및 구동 톱니바퀴(41)가 설치되어 있다.
구동 톱니바퀴(41)는, 도 7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의 구동축 M1에 연결되어 있으며, 본체 유닛(4)의 한쪽의 측면측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 구동 톱니바퀴(41)는, 원호형상의 보호 커버(43)에 의해 주위면의 일부가 보호되어 있다. 구동 톱니바퀴(41)의 윗쪽에는, 상기 제1 톱니바퀴(42)가 랙(40)에 맞물려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 제1 톱니바퀴(42)와 구동 톱니바퀴(41) 사이에는, 양 톱니바퀴(41, 42)에 맞물리는 제2 톱니바퀴(44)가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모터의 구동에 의해 구동 톱니바퀴(41)가 회전하면, 제2 톱니바퀴(44)를 통하여 제1 톱니바퀴(42)에 회전력이 전해져, 랙(40)이 직선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즉, 제1 톱니바퀴(42)는, 구동 톱니바퀴(4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랙(40)을 직선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또, 제1 톱니바퀴(42)는, 본체 유닛(4)의 다른쪽의 측면측까지 연장된 샤프 트(45)에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유닛(4)의 다른쪽의 측면측에 있어서, 랙(40)에 맞물려진 상기 제3 톱니바퀴(43)가 샤프트(45)에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제1 톱니바퀴(42)의 회전에 따라, 제3 톱니바퀴(43)도 회전하고, 랙(40)을 마찬가지로 직선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제1 톱니바퀴(42) 및 제3 톱니바퀴(43)에 각각 맞물려진 랙(40)은,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날(30)의 근원측에 고정된 평평한 지지 플레이트(46)의 양단에 부착되어 있다. 그 때문에, 제1 톱니바퀴(42) 및 제3 톱니바퀴(43)가 회전하면, 2개의 랙(40)이 같은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하여, 결과적으로 가동날(3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게 되어 있다.
제1 톱니바퀴(42)의 내측에는,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평면시 대략 C형으로 형성된 요동 플레이트(5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요동 플레이트(50)는, 도 13 및 도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톱니바퀴(42)에 연결되어 있는 샤프트(45)를 중심으로 좌우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요동 플레이트(50)에 제2 톱니바퀴(44)가 회전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요동 플레이트(50)가 요동한 경우에는, 제2 톱니바퀴(44)가 샤프트(45)를 중심으로 하여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또, 요동 플레이트(50)의 단부에는, 본체 유닛(4)의 바깥쪽을 향해 돌출된 핀(51)이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핀(51)을 구동 톱니바퀴(41)에 접근시키도록 요동 플레이트(50)를 움직이면 제2 톱니바퀴(44)가 구동 톱니바퀴(41)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핀(51)을 구동 톱니바퀴(41)로부터 이간하도록 요동 플레이트(50)를 움직이면 제2 톱니바퀴(44)가 구동 톱니바퀴(41)에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여기서, 구동 톱니바퀴(41)의 아래쪽에는, 도 7 및 도 1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보호 커버(43)에 인접하여 고정 핀(52)이 형성되어 있다. 이 고정 핀(52)에는, 비틀림 스프링(53)이 고정되어 있다. 비틀림 스프링(53)의 일단측은, 지지 프레임(35)에 고정되고, 타단측은 요동 플레이트(50)의 핀(51)을 구동 톱니바퀴(41)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상시 탄성 가압하고 있다. 그 때문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통상시에는 제2 톱니바퀴(44)와 구동 톱니바퀴(41)가 항상 맞물린 상태가 되어 있다.
또, 요동 플레이트(50)에 인접하여 상기 레버부(32)가 배치되어 있다. 이 레버부(32)는, 커버 플레이트(36)의 내측에 회전 지지되어 있으며, 아래쪽을 향해 압하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레버부(32)는, 도시하지 않은 연결 기구를 통하여 케이싱(2)의 외측으로부터 조작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레버부(32)의 내측에는 내부 톱니바퀴(32a)가 형성되어 있으며, 개폐문(6)을 닫아 본체 유닛(4)과 플래튼 유닛(3)을 조합했을 때에, 플래튼 유닛(3)측의 선형 톱니바퀴(19)에 일부가 맞물리게 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레버부(32)의 압하 동작에 연동하여 연동 기구(13)를 작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 레버부(32)와 요동 플레이트(50) 사이에는, 선형으로 형성된 해제 플레이트(55)가 배치되어 있으며, 지지 프레임(35)에 회전 지지되어 있다. 해제 플레이트(55)에는, 해제 톱니바퀴(56)가 부착되어 있으며, 레버부(32)의 내부 톱니바퀴(32a)의 일부에 맞물려져 있다. 그 때문에, 레버부(32)를 압하하면, 해제 플레이 트(55)는 구동 톱니바퀴(41)측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해제 플레이트(55)의 측면에는, 비틀림 스프링(53)으로 탄성 가압되어 있는 요동 플레이트(50)의 핀(51)이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다. 그 때문에, 해제 플레이트(55)가 구동 톱니바퀴(41)측으로 회전하면, 비틀림 스프링(53)의 탄성 가압력에 저항하여 핀(51)을 구동 톱니바퀴(41)측으로 눌러, 요동 플레이트(50)를 움직일 수 있게 되어 있다. 그 결과, 제2 톱니바퀴(44)를 구동 톱니바퀴(41)로부터 이간시켜 양자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제2 톱니바퀴(44), 제1 톱니바퀴(42) 및 랙(40)은 프리한 상태가 된다.
즉, 랙(40)과 구동 톱니바퀴(41)의 기계적인 연결을 끊어, 랙(40)의 이동 규제를 해제하여 프리한 상태로 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상기 서술한 요동 플레이트(50), 핀(51), 비틀림 스프링(53) 및 해제 플레이트(55)는, 상기 해제 기구(33)로서 기능한다.
또, 도 1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유닛(4)의 다른쪽의 측면에는, 제3 톱니바퀴(43)에 맞물리는 피니언(57)이 지지 프레임(35)에 회전 지지되어 있다. 이 피니언(57)에는, 도 12(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코일 스프링(58)이 장착되어 있다. 이 코일 스프링(58)은, 제3 톱니바퀴(43)가 회전하여 가동날(30)을 고정날(11)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시켰을 때에 압축되어, 제3 톱니바퀴(43)를 역회전시키도록 피니언(57)을 회전 탄성 가압하고 있다. 단, 통상시에는, 제3 톱니바퀴(43)는 구동 톱니바퀴(41)와 연관되어 있으므로, 코일 스프링(58)의 힘으로는 역회전하는 일은 없다.
그러나, 해제 기구(33)에 의해 랙(40) 이동 규제가 해제되어 프리한 상태가 되었을 때에는, 코일 스프링(58)의 힘에 의해 제3 톱니바퀴(43)는 역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 결과, 가동날(30)을 자동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이 코일 스프링(58)은, 랙(40)의 이동 규제가 해제되었을 때에, 가동날(30)을 소정의 위치로 되돌리도록 탄성 가압하여 자동적으로 가동날(30)을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탄성 가압 부재로서 기능한다.
또, 피니언(57)의 아래쪽에는, 본체 유닛(4)과 플래튼 유닛(3)을 조합했을 때에, 플래튼 유닛(3)측의 종동 톱니바퀴(10b)에 맞물리는 플래튼용 톱니바퀴열(60)과, 도시하지 않은 플래튼용 모터의 구동축 M2에 연결됨과 함께 플래튼용 톱니바퀴열(60)에 맞물려지는 플래튼용 구동 톱니바퀴(61)가 설치되어 있다.
플래튼용 톱니바퀴열(60)은, 플래튼용 구동 톱니바퀴(61)에 맞물리는 제4 톱니바퀴(62)와, 그 제 4톱니바퀴(62)에 맞물리는 제5 톱니바퀴(63)와, 그 제5 톱니바퀴(63) 및 종동 톱니바퀴(10b)에 맞물려지는 제6 톱니바퀴(64)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서멀 헤드(34)는, 도 6 및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록지(P)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음과 함께, 개폐문(6)이 닫혔을 때에 플래튼 롤러(10)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이 서멀 헤드(34)는, 다수의 도시하지 않은 발열 소자를 가지고 있음과 함께, 도시하지 않은 코일 스프링 등에 의해 플래튼 롤러(10)측에 탄성 가압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플래튼 롤러(10)에 의해 송출되는 기록지(P)에 대해서 서멀 헤드(34)를 확실히 누를 수 있 어, 양호한 인쇄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서멀 헤드(34)의 아래쪽은, 기록지(P)를 매끄럽게 넣을 수 있도록 만곡 형성된 가이드대(65)로 되어 있다. 또, 이 가이드대(65)의 윗쪽에는, 플래튼 롤러(10)의 축부에 씌워진 베어링(10a)이 감합되는 감합구멍(66)이 형성되어 있다. 즉, 개폐문(6)을 닫으면, 플래튼 롤러(10)의 베어링(10a)이 자연스럽게 이 감합구멍(66)에 끼워지도록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본체 유닛(4)과 플래튼 유닛(3)이 조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플래튼 유닛(3)에는, 감합구멍(66)의 아래쪽에 형성된 로크 홈(67)에 끼워지는 도시하지 않은 로크 샤프트가 부착되어 있다. 이 로크 샤프트는, 플래튼 롤러(10)의 근방에 그 플래튼 롤러(10)와 평행하게 배치된 샤프트이며, 양유닛을 조합했을 때에 로크 홈(67) 내에서 자동적으로 로크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로크를 풀지 않는 이상, 양유닛(3, 4)은 분리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이 로크의 해제는, 개폐문(6)의 로크를 해제하는 로크 기구에 연동하여 작동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서멀 프린터(1)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
우선,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폐문(6)을 연 상태로 롤지(R)를 투입구(2a)로부터 케이싱(2) 내에 투입한다. 이 때, 미리 기록지(P)를 케이싱(2)의 외측에, 어느 정도의 길이만큼 인출해 둔다. 그리고, 인출한 기록지(P)를 케이싱(2)의 외측으로 인출한 상태인 채로, 개폐문(6)을 닫아 로크 기구에 의해 개 폐문(6)을 로크한다. 개폐문(6)이 닫히면, 플래튼 롤러(10)의 베어링(10a)이 본체 유닛(4)측의 감합구멍(66)에 끼워져 감합됨과 함께, 로크 샤프트가 본체 유닛(4)측의 로크 홈(67)에 끼워져 자동적으로 로크된다. 이것에 의해, 본체 유닛(4)과 플래튼 유닛(3)이, 서로 조합된 상태가 된다.
그리고, 기록지(P)는,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롤러(10)와 서멀 헤드(34)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가 됨과 함께, 배출구(2c)로부터 케이싱(2)의 외측으로 인출된 상태가 된다.
상기 서술한 롤지(R)의 세트가 종료된 후, 기록지(P)에 대해서 각종 정보의 인쇄를 행한다.
우선,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용 모터를 구동하여 플래튼용 구동 톱니바퀴(61)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이 회전력은, 플래튼용 톱니바퀴열(60)을 통하여 종동 톱니바퀴(10b)에 전해지므로 플래튼 롤러(10)가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플래튼 롤러(10)의 외주면과 서멀 헤드(34) 사이에 끼워진 기록지(P)가 케이싱(2)의 윗쪽으로 송출됨과 함께, 재치대(2b) 상에 재치된 롤지(R)가 회전한다.
또, 이것과 함께 서멀 헤드(34)를 작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다수의 발열 소자가 적당한 열을 발한다. 이것에 의해, 송출된 기록지(P)에 대해서, 각종의 문자나 도형 등을 명료하게 인쇄할 수 있다. 그 후, 플래튼 롤러(10)에 의해 더 송출된 기록지(P)는, 고정날(11)과 가동날(30) 사이를 통과한다.
다음에, 인쇄가 종료되어 기록지(P)를 절단하는 경우에는, 모터를 구동시켜 구동 톱니바퀴(41)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도 1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이 회전력 은, 제2 톱니바퀴(44)를 통하여 제1 톱니바퀴(42)에 전해져, 그 제1 톱니바퀴(42)를 회전시킨다. 또, 이것과 동시에 샤프트(45)를 통하여 제1 톱니바퀴(42)에 연결되어 있는 제3 톱니바퀴(43)가 회전한다. 그리고, 제1 톱니바퀴(42) 및 제3 톱니바퀴(43)에 각각 맞물려져 있는 랙(40)이 직선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랙(40)이 고정되어 있는 지지 플레이트(46)를 통하여, 도 16 및 도 18(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17 및 도 18(b)에 나타내는 상태로 이행하도록, 가동날(30)을 고정날(11)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도 16 및 도 18(a)에 나타내는 상태는, 가동날(30)이 슬라이드 이동하기 전 상태이며, 가동날(30)이 소정의 위치에 수납되어 있는 상태이다. 또, 도 16 및 도 17에서는, 도면을 보기 쉽게 하기 위해서, 고정날(11) 및 가동날(30)을 해칭한 상태로 도시하고 있다.
슬라이드 이동한 가동날(30)은, 도 9 및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고정날(11)의 상면에 얹혀지므로, 서로의 날끝(11a, 30a)이 겹친다. 이것에 의해, 기록지(P)를 고정날(11)과 가동날(30) 사이에 끼워 절단할 수 있다. 그 결과, 롤지(R)에 감겨진 기록지(P)를 영수증이나 티켓 등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그런데 고정날(11)은, 날끝(11a)측이 가동날(30)의 슬라이드 방향에 대해서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요동하도록 되어 있다. 게다가, 고정날(11)은, 탄성 가압 부재에 의해 날끝(11a)측이 항상 들어 올려지도록 탄성 가압되어 있다. 그 때문에, 가동날(30)이 슬라이드 동작에 의해 고정날(11)의 상면에 얹혀지면, 고정날(11)은 가동날(30)에 대해서 적당한 접촉압으로 접촉한다. 따라서, 기록지(P)의 절단시에, 고정날(11)과 가동날(30)은 이 접촉압을 가지고 마찰되게 된다. 따라서, 고정날(11)의 날끝(11a)과 가동날(30)의 날끝(30a) 사이에 틈새가 생겨 버리는 일 없이, 기록지(P)를 양호한 절단감으로 절단할 수 있다.
다음에, 사용중에 기록지(P)의 종이 걸림에 의해 고정날(11)과 가동날(30)이 물려 들어가 버린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우선 케이싱(2)의 외측으로부터 본체 유닛(4)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부(32)를 압하 동작시킨다. 그러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부(32)의 내부 톱니바퀴(32a)가 회전하므로, 플래튼 유닛(3)측의 선형 톱니바퀴(19)가 회전한다. 선형 톱니바퀴(19)가 회전하면, 이것에 수반하여 샤프트(17) 및 2개의 압하부(12)가 회전한다. 즉, 2개의 압하부(12)는, 도 1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부(32)의 압하 동작에 연동하여 고정날(11)의 날끝(11a)측을 아래쪽을 향해 압하한다. 즉, 상면에 얹혀져 있는 가동날(30)로부터 떼어 놓도록, 고정날(11)을 가동날(3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맞물림의 원인이 되고 있던 가동날(30)과 고정날(11)의 접촉압을 해제할 수 있다.
특히, 종이 걸림에 의해 비교적 접촉압이 높은 경우라도, 레버부(32)의 압하 정도로 압하부(12)의 압하량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고정날(11)의 이동량을 조정할 수 있어 확실히 양날(11, 30)의 접촉압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압하부(12)는, 고정날(11)의 양단에 배치되어 있으므로, 고정날(11)의 양단을 아래쪽을 향해 동시에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고정날(11)의 양단에 균등하게 힘을 전할 수 있어, 고정날(11)을 기울이는 일 없이 압하 이동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접촉 압을 보다 확실히 해제할 수 있다.
그런데,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레버부(32)를 압하 조작하면,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내부 톱니바퀴(32a)의 회전에 의해 선형 톱니바퀴(19)가 회전함과 동시에, 해제 톱니바퀴(56)도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해제 플레이트(55)가 구동 톱니바퀴(41)측으로 회전하고, 요동 플레이트(50)의 핀(51)을 비틀림 스프링(53)에 저항하는 힘으로 구동 톱니바퀴(41)측으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요동 플레이트(50)가 회전하여 제2 톱니바퀴(44)를 구동 톱니바퀴(41)로부터 이간시킨다. 즉, 해제 기구(33)가 레버부(32)의 압하 동작에 연동하여, 구동 톱니바퀴(41)에 맞물려져 있는 제2 톱니바퀴(44)를 구동 톱니바퀴(41)로부터 이간시키도록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18(c) 및 도 1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랙(40)과 구동 톱니바퀴(41)의 기계적인 연결이 끊어져 랙(40)의 이동 규제가 해제되어, 프리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모터와의 연관이 없어지므로, 제1 톱니바퀴(42) 및 제3 톱니바퀴(43)를 모터에 관계없이 움직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코일 스프링(58)에 의한 회전 탄성 가압력에 의해 피니온(57)이 회전하고, 제3 톱니바퀴(43)가 역회전한다. 이 제3 톱니바퀴(43)는, 샤프트(45)를 통하여 제1 톱니바퀴(42)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결과적으로 제1 톱니바퀴(42)도 동시에 역회전시킨다. 이 때,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플래튼 유닛(3)측의 연동 기구(13)에 의해 고정날(11)과 가동날(30)의 접촉압이 이미 해제되어 있으므로, 도 18(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톱니바퀴(42) 및 제3 톱니바퀴(43)의 역회전에 의해 랙(40)이 이동하고, 가동날(30)이 소정의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슬라이드 이동한다. 즉, 자동적으로 가동 날(30)을 소정의 위치로 단시간에 되돌릴 수 있다.
이와 같이, 레버부(32)를 압하 조작함으로써, 고정날(11)과 가동날(30)의 접촉압을 해제할 수 있음과 함께, 가동날(30)을 원래의 위치로 단시간에 자동적으로 되돌릴 수 있다. 그리고, 마지막에 로크 기구를 해제하고 개폐문(6)을 연다. 이 때, 로크 기구의 해제에 의해, 본체 유닛(4)의 로크 홈(67)에 끼워져 로크되어 있던 로크 샤프트도 해제된다. 그 때문에, 개폐문(6)을 열면, 플래튼 롤러(10)의 베어링(10a)이 본체 유닛(4)의 감합구멍(66)으로부터 벗어나, 도 18(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유닛(3)이 본체 유닛(4)으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개폐문(6)을 여는 것으로, 맞물림의 원인이 되고 있던 기록지(P)의 종이 걸림의 부분을 없애거나 하여 적절한 대응을 행할 수 있다. 그 후, 재차 개폐문(6)을 닫는 것으로, 플래튼 유닛(3)과 본체 유닛(4)을 조합하여 복구할 수 있어, 인쇄 작업에 바로 이행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서멀 프린터(1)에 의하면, 레버부(32)를 압하 조작하기만 하면 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고정날(11)과 가동날(30)의 접촉압을 없애,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게 부담을 주는 일 없이 신속하게 복구 작업을 행할 수 있다. 게다가, 개폐 커버를 여는 것으로 맞물림을 해제하는 종래의 것과는 달리, 고정날(11)을 가동날(3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압하 이동시킴으로써 양날(11, 30)의 접촉압을 없애, 맞물림을 해제하고 있다. 그 때문에, 종이 걸림에 의해 양유닛(3, 4)의 분리가 곤란한 경우라도, 맞물림을 확실히 해제할 수 있다. 즉, 종이 걸림의 상황에 영향을 받지 않고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레버부(32)를 압하 조작하기만 하면 되는 간단한 방법으로, 랙(40)과 제1 톱니바퀴(42)의 맞물림 상태도 동시에 해제할 수 있어, 가동날(30)을 자동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릴 수 있다. 따라서, 종이 걸림이 생겨 버렸다고 해도 용이하게 복구 작업을 행할 수 있어, 편리성이 향상된 프린터로 할 수 있다. 특히, 개폐문(6)을 열지 않아도, 레버부(32)를 압하 조작하는 것뿐인 원터치 조작으로, 고정날(11)과 가동날(30)의 접촉압의 해제와, 가동날(30)의 자동적인 후퇴 동작을 동시에 달성할 수 있어, 종래에서는 이룰 수 없는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이 서멀 프린터(1)에 의하면, 또한 다음의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케이싱(2)측에 가동날(30)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기록지(P)를 보다 안정된 상태로 절단할 수 있어, 기록지(P)의 절단 개소를 깨끗한 상태로 마무리할 수 있다. 즉, 분리하는 측의 개폐문(6)에 가동날(30)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개폐문(6)의 다소 덜컹거림 등에 의해 컷이 불안정하게 될 우려가 있다. 게다가, 절단시에 개폐문(6)에 대해 외력이 가해져 버린 경우에는, 컷의 불안정함이 보다 현저하게 되어 버린다. 그러나, 케이싱(2)측에 가동날(30)이 배치되어 있으므로, 이러한 우려없이, 보다 안정된 상태로 절단을 행할 수 있다.
또한 가동날(30)을 구동하는 가동날 구동계(31)나 레버부(32)가 장착된 본체 유닛(4) 쪽이, 플래튼 유닛(3)에 비해 구조가 아무래도 복잡화되어 버리는데, 이 본체 유닛(4)은 케이싱(2)측에 설치되어 있다. 만일, 본체 유닛(4)이 개폐문(6)측에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는, 개폐 구조에 더하여 본체 유닛(4)의 구조를 고려할 필 요가 있으므로, 개폐문(6)의 구조 자체가 복잡화되어 버려 설계의 곤란화를 초래한다. 그러나, 케이싱(2)측에 본체 유닛(4)이 설치되어 있으므로, 구성의 간략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 개폐문(6)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도 있다.
(제2 실시 형태)
다음에, 본 발명에 관련된 제2 실시 형태를, 도 20 내지 도 2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 제2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구성 요소와 동일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제2 실시 형태와 제1 실시 형태의 다른 점은, 제1 실시 형태에서는 케이싱(2)측에 가동날(30) 및 가동날 구동계(31)가 설치되고, 개폐문(6)측에 고정날(11) 및 연동 기구(13)가 설치되어 있었지만, 제2 실시 형태에서는, 이것과는 반대로 케이싱(2)측에 고정날(11) 및 연동 기구(82)가 설치되고, 개폐문(6)측에 가동날(30) 및 가동날 구동계(31)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즉, 본 실시 형태의 서멀 프린터(70)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싱(2)측에 설치되어 있는 본체 유닛(제1의 유닛)(71)에 고정날(11) 및 연동 기구(82)가 장착되고, 개폐문(6)측에 설치되어 있는 플래튼 유닛(제2의 유닛)(72)에 가동날(30) 및 가동날 구동계(31)가 설치되어 있다.
우선, 본체 유닛(71)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유닛(71)의 최상부에는 고정날(11)이 설치되어 있으며, 본체 유닛(71)의 한쪽의 측면측에는 레버부(32), 플래튼용 모터(PM), 플래튼용 구동 톱니바퀴(61) 및 플래튼용 톱니바퀴열(75)이 설치되어 있 다.
플래튼용 모터(PM)는, 본체 유닛(71)의 최하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그 모터(PM)의 구동축 M2에 플래튼용 구동 톱니바퀴(61)가 연결되어 있다. 플래튼용 톱니바퀴열(75)은, 플래튼용 구동 톱니바퀴(61)에 맞물려지는 제10 톱니바퀴(76)와, 제10 톱니바퀴(76)에 맞물려지는 제11 톱니바퀴(77)와, 제11 톱니바퀴(77)에 맞물려지는 제12 톱니바퀴(78)와, 제12 톱니바퀴(78) 및 플래튼 유닛(72)측의 종동 톱니바퀴(10b)에 맞물려지는 제13 톱니바퀴(79)로 구성되어 있다.
도 2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부(32)에는, 압하 동작에 따라 회전하는 톱니바퀴 플레이트(80)가 부착되어 있다. 이 톱니바퀴 플레이트(80)에는, 해제 톱니바퀴(81)가 맞물려져 있다. 그리고, 이 해제 톱니바퀴(81)에, 샤프트(17)에 연결된 선형 톱니바퀴(19)가 맞물려져 있다. 그리고, 샤프트(17)에 고정날(11)의 양단에 위치하는 2개의 압하부(12)가 연결되어 있다. 또한, 톱니바퀴 플레이트(80), 해제 톱니바퀴(81) 및 선형 톱니바퀴(19)는, 플래튼용 톱니바퀴열(75)보다도 내측에 배치된 상태가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레버부(32)를 압하 조작하면, 톱니바퀴 플레이트(80) 및 해제 톱니바퀴(81)를 통하여 선형 톱니바퀴(19)가 회전하고, 2개의 압하부(12)가 고정날(11)을 가동날(3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압하 이동시켜, 양날(11, 30)의 접촉압을 해제하도록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톱니바퀴 플레이트(80), 해제 톱니바퀴(81), 2개의 압하부(12), 샤프트(17) 및 선형 톱니바퀴(19)가, 연동 기구(82)로서 기능한다.
도 2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본체 유닛(71)의 다른쪽의 측면측에는, 가동날(30)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기 위한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M)가 최하부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모터의 구동축 M1에 구동 톱니바퀴(41)가 연결되어 있다. 구동 톱니바퀴(41)의 윗쪽에는, 그 구동 톱니바퀴(41)와 플래튼 유닛(72)측의 랙용 톱니바퀴인 제3 톱니바퀴(43)에 각각 맞물리는 전달 톱니바퀴(83)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3 톱니바퀴(43)에는, 도 22(b)에 나타내는 코일 스프링(58)이 장착된 피니언(57)이 맞물려져 있다.
전달 톱니바퀴(83)는, 도 2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M)의 구동축 M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 요동 플레이트(84)에 회전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요동 플레이트(84)를 요동시키면, 전달 톱니바퀴(83)도 따라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요동 플레이트(84)의 내면에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돌출 핀(85)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 플레이트(84)의 내측에는, 도 2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형상으로 형성된 캠부(86a)를 가지는 캠 플레이트(8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캠 플레이트(86)는, 샤프트(87)를 통하여 반대측의 해제 톱니바퀴(81)에 연결되어 있으며, 해제 톱니바퀴(81)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즉, 레버부(32)의 압하 동작에 따라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캠 플레이트(86)의 캠부(86a)는, 도 2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플레이트(84)의 돌출 핀(85)에 접촉하고 있다. 이 때, 레버부(32)의 압하 조작에 의해 캠 플레이트(86)가 회전하면, 전달 톱니바퀴(83)가 플래튼 유닛(72)측의 제3 톱니바퀴(43)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요동 플 레이트(84)가 회전하도록, 돌출 핀(85)의 위치와 캠부(86a)의 위치가 조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레버부(32)의 압하 동작에 연동하여 전달 톱니바퀴(83)와 제3 톱니바퀴(43)를 이간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랙(40)과 구동 톱니바퀴(41)의 기계적인 연결을 끊어, 랙(40)의 이동 규제를 해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즉,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해제 톱니바퀴(81), 캠 플레이트(86), 요동 플레이트(84) 및 전달 톱니바퀴(83)가, 해제 기구(88)로서 기능한다.
다음에, 플래튼 유닛(72)에 대해 설명한다.
도 20 및 도 2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 유닛(72)의 최상부에는, 지지 플레이트(46)에 지지된 가동날(30) 및 랙(40)이 배치되어 있다. 랙(40)에는, 제1 톱니바퀴(42) 및 제3 톱니바퀴(43)가 각각 맞물려져 있다. 또한, 플래튼 유닛(72)과 본체 유닛(71)을 조합했을 때에, 제1 톱니바퀴(42)가 본체 유닛(71)의 한쪽의 측면측(레버부(32)측)에 배치되고, 제3 톱니바퀴(43)가 다른쪽의 측면측(전달 톱니바퀴(83)측)에 배치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제3 톱니바퀴(43)와 전달 톱니바퀴(83)는 맞물린 상태가 된다.
또, 플래튼 롤러(10)의 베어링(10a)에 연결된 종동 톱니바퀴(10b)는, 제1 톱니바퀴(42)와 동일한 회전축으로 회전하도록 제1 톱니바퀴(42)과 겹쳐진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1 톱니바퀴(42)와 종동 톱니바퀴 (10b)는, 각각 따로 따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플래튼 유닛(72)과 본체 유닛(71)을 조합했을 때에, 종동 톱니바퀴(10b)는 본체 유닛(71)측의 플래튼용 톱니바퀴열(75)의 제13 톱니바퀴(79)에 맞물리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서멀 프린터(70)에 의해, 플래튼 롤러(10)를 회전시키는 경우에는, 도 2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플래튼용 모터(PM)를 구동하여 플래튼용 구동 톱니바퀴(61)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이 회전력은, 플래튼용 톱니바퀴열(75)을 통하여 종동 톱니바퀴(10b)에 전해진다. 이것에 의해, 플래튼 롤러(1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 기록지(P)를 절단하는 경우에는, 도 22(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모터(M)를 구동하여 구동 톱니바퀴(41)를 회전시킨다. 그러면, 이 회전력은, 전달 톱니바퀴(83)를 통하여 제3 톱니바퀴(43)에 전해지므로, 그 제3 톱니바퀴(43)가 회전한다. 또 이것과 동시에 샤프트(45)를 통하여 제3 톱니바퀴(43)에 연결되어 있는 제1 톱니바퀴(42)가 회전한다. 그리고, 제1 톱니바퀴(42) 및 제3 톱니바퀴(43)에 각각 맞물려져 있는 랙(40)이 직선 이동한다. 이것에 의해, 가동날(30)을 고정날(11)을 향해 슬라이드 이동시킬 수 있어, 기록지(P)를 절단할 수 있다.
다음에, 사용중에 기록지(P)의 종이 걸림에 의해 고정날(11)과 가동날(30)이 물려 들어가 버린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이 경우에는, 도 26(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선 본체 유닛(71)에 설치되어 있는 레버부(32)를 압하 조작한다. 그러면, 레버부(32)에 부착되어 있는 톱니바퀴 플레이트(80) 및 해제 톱니바퀴(81)가 회전한다. 그리고, 해제 톱니바퀴(81)가 회전하면, 선형 톱니바퀴(19)가 회전한다. 선형 톱니바퀴(19)가 회전하면, 이것에 수반하여 샤프트(17) 및 2개의 압하부(12)가 회전한다. 즉, 2개의 압하부(12)는, 도 26(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부(32)의 압하 동작에 연동하여 고정날(11)의 날끝(11a)측을 아래쪽을 향해 압하한다. 이것에 의해, 상면에 얹혀져 있는 가동날(30)로부터 떼어 놓도록, 고정날(11)을 가동날(30)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압하 이동시킬 수 있어, 맞물림의 원인이 되고 있던 가동날(30)과 고정날(11)의 접촉압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해제 톱니바퀴(81)가 회전함과 동시에, 도 2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플레이트(86)가 회전한다. 그러면, 캠부(86a)가 회전하므로, 돌출 핀(85)을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도 2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요동 플레이트(84)가 회전하여, 전달 톱니바퀴(83)가 플래튼 유닛(72)측의 제3 톱니바퀴(43)로부터 이간한다. 그 때문에, 도 2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레버부(32)의 압하에 연동하여 전달 톱니바퀴(83)와 제3 톱니바퀴(43)를 이간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구동 톱니바퀴(41)와 랙(40)의 기계적인 연결을 끊을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랙(40)의 이동 규제가 해제되어 프리한 상태가 된다.
따라서, 모터(M)와의 연관이 없어지므로, 제1 톱니바퀴(42) 및 제3 톱니바퀴(43)를 모터(M)에 관계없이 움직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때문에, 코일 스프링(58)에 의한 회전 탄성 가압력에 의해 피니언(57)이 회전하고, 제1 톱니바퀴(42)가 역회전함과 동시에 제3 톱니바퀴(43)도 역회전한다. 그 결과, 가동날(30)을 소정의 위치로 되돌리도록 슬라이드 이동할 수 있어, 자동적으로 가동날(30)을 소정의 위치로 단시간에 되돌릴 수 있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서멀 프린터(70)여도, 제1 실시 형 태와 마찬가지로, 레버부(32)를 압하 조작함으로써, 고정날(11)과 가동날(30)의 접촉압을 해제할 수 있음과 함께, 가동날(30)을 원래의 위치로 단시간에 자동적으로 되돌릴 수 있다. 즉, 가동날(30)이 개폐문(6)측에 배치되고, 고정날(11)이 케이싱(2)측에 배치되어 있는 경우라도, 동일한 작용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 범위는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커터가 달린 프린터의 일례로서 서멀 프린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서멀 프린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서멀 헤드를 잉크젯 헤드로 하고, 잉크 방울을 이용하여 인출된 기록지를 인쇄하는 잉크젯 프린터여도 상관없다.
또, 케이싱의 상면에 개폐문이 설치된 서멀 프린터로 했지만, 케이싱의 전면(前面)에 개폐문을 설치하여, 인쇄된 기록지가 전면측으로부터 배출되도록 설계해도 상관없다. 또, 롤지를 투입하여 간단히 재치대 상에 두는 드롭인 방식의 서멀 프린터를 예로 들었지만, 이 방식이 아닌, 케이싱의 내부에 롤지를 축지(軸持)(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축지 기구를 설치한 축지식의 서멀 프린터로 해도 상관없다.
또, 상기 제1 실시 형태에서는, 랙(40)과 구동 톱니바퀴(41)의 기계적인 연결을 끊을 때에, 구동 톱니바퀴(41)와 제2 톱니바퀴(44)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달성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랙(40)과 구동 톱니바퀴(41)의 기계적인 연결을 끊을 수 있으면, 어떻게 구성해도 상관없다. 또, 마찬가지로, 상기 제2 실시 형태에서는, 랙(40)과 구동 톱니바퀴(41)의 기계적인 연결을 끊을 때에, 전달 톱니바퀴(83)와 제3 톱니바퀴(43)의 맞물림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달성하는 구성으로 했지만,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랙(40)과 구동 톱니바퀴(41)의 기계적인 연결을 끊을 수 있으면, 어떻게 구성해도 상관없다.
또,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랙용 톱니바퀴인 제3 톱니바퀴에 코일 스프링이 장착된 피니언을 맞물리게 하여, 코일 스프링의 힘을 이용하여 가동날을 자동적으로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구성했지만, 코일 스프링을 이용하지 않아도 상관없다. 즉, 제3 톱니바퀴와 구동 톱니바퀴의 기계적 연결이 해제 기구에 의해 끊어졌을 때에, 수동으로 가동날을 원래의 위치로 되돌리게 해도 상관없다.
또, 상기 각 실시 형태에서는, 본체 유닛과 플래튼 유닛이 개폐문의 개폐에 수반하여 분리되는 타입의 서멀 프린터를 예로 들어 설명했지만, 이 경우에 한정되지 않고, 본체 유닛과 플래튼 유닛이 분리되지 않는 타입(고정형의 슬라이드 커터)여도 상관없다. 이 경우라도, 양유닛의 위치 관계를 바꾸지 않고 고정날과 가동날의 맞물림을 해제할 수 있다는 본 발명의 주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련된 커터가 달린 프린터의 제1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로서, 개폐문이 열려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내는 커터가 달린 프린터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개폐문을 닫았을 때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4는 커터가 달린 프린터를 구성하는 플래튼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부착판을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6은 커터가 달린 프린터를 구성하는 본체 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커버 플레이트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인쇄중에서의 고정날과 가동날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도 8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가동날을 슬라이드시켜, 고정날과 가동날 사이에서 기록지를 절단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도 8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도 9에 나타내는 상태로 이행하는 동안에서의 고정날과 가동날의 움직임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7에 나타내는 본체 유닛을 화살표 A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다.
도 12의 (a)는 도 7에 나타내는 본체 유닛을 화살표 B방향에서 본 측면도이며, (b)는 (a)에 도시된 피니언에 장착되는 코일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1에 나타나는 요동 플레이트와 제1 톱니바퀴와 제2 톱니바퀴의 부착 상태를 나타내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에 나타나는 요동 플레이트를 정면에서 본 도이다.
도 15는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가동날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6은 도 5에 플래튼 유닛과 도 7에 나타내는 본체 유닛을 조합했을 때의 상태를 윗쪽에서 본 도이다.
도 17은 도 16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가동날을 슬라이드 이동시키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8은 도 1에 나타내는 커터가 달린 프린터의 각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로서, (a)는 기록지에 인쇄를 행하고 있는 상태, (b)는 기록지를 절단하고 있는 상태, (c)는 고정날과 가동날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있는 상태, (d)는 개폐문을 연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9는 도 1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레버부의 조작에 의해 고정날을 압하하여, 고정날과 가동날의 맞물림을 해제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0은 본 발명에 관련된 커터가 달린 프린터의 제2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로서, 본체 유닛과 플래튼 유닛이 조합되어 있는 상태의 측면도이다.
도 21은 도 20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일부의 톱니바퀴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2의 (a)는 도 20에 나타내는 본체 유닛을 반대측에서 본 측면도이며, (b)는 (a)에 도시된 피니언에 장착되는 코일 스프링의 사시도이다.
도 23은 도 22(a)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전달 톱니바퀴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4는 도 23에 나타낸 요동 플레이트 및 캠 플레이트를 이면에서 본 도이다.
도 25는 도 23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요동 플레이트를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6의 (a)는 도 21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레버부를 압하 조작한 상태를 나타낸 도이며, (b)는 레버부의 압하 조작에 의해, 압하부가 고정날을 압하하고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7은 도 25에 나타내는 상태로부터, 레버부를 압하 조작하는 것으로 캠 플레이트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8은 도 27에 나타내는 캠 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 요동 플레이트가 회전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29는 도 28에 나타내는 요동 플레이트의 회전에 의해, 전달 톱니바퀴와 제3 톱니바퀴의 맞물림 상태가 해제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0은 종래의 고정날과 가동날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31은 종래의 고정날과 가동날의 맞물림을 해제하는 다른 일례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M: 모터 P: 기록지
R: 롤지 1, 70: 서멀 프린터(커터가 달린 프린터)
2: 케이싱 3: 플래튼 유닛(제1의 유닛)
4: 본체 유닛(제2의 유닛) 6: 개폐문
11: 고정날 12: 압하부
13, 82: 연동 기구 30: 가동날
31: 가동날 구동계 32: 레버부
33, 88: 해제 기구 40: 랙
41: 구동 톱니바퀴 42: 제1 톱니바퀴(랙용 톱니바퀴)
43: 제3 톱니바퀴(랙용 톱니바퀴) 58: 코일 스프링(탄성 가압 부재)
71: 본체 유닛(제1의 유닛) 72: 플래튼 유닛(제2의 유닛)
Claims (5)
- 롤지로부터 인출된 기록지에 인쇄를 행한 후, 그 기록지를 절단하는 커터가 달린 프린터로서,인출된 상기 기록지에 대향한 상태로 배치된 고정날과,이 고정날에 대해서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되어, 슬라이드시에 고정날의 상면에 얹혀져 인출된 상기 기록지를 고정날과의 사이에 끼워 절단하는 가동날과,이 가동날에 부착된 랙과, 이 랙에 맞물려져,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에 연결된 구동 톱니바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여, 랙을 직선 이동시키는 랙용 톱니바퀴를 가지는 가동날 구동계와,조작 가능한 레버부와,이 레버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고정날을 상기 가동날로부터 이간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 고정날과 가동날의 접촉압을 해제시키는 압하부를 가지는 연동 기구와,상기 고정날 및 상기 연동 기구가 장착된 제1의 유닛과,상기 가동날 및 상기 가동날 구동계가 장착되어, 제1의 유닛에 대해서 조합되는 제2의 유닛을 구비하고,상기 제1의 유닛과 상기 제2의 유닛 중 한쪽의 유닛은, 다른쪽의 유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상기 조합이 해제되고,상기 레버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랙과 상기 구동 톱니바퀴의 기계적인 연결을 끊어, 랙의 이동 규제를 해제하는 해제 기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가 달린 프린터.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제2의 유닛은, 케이싱에 설치되고,상기 제1의 유닛은, 상기 케이싱에 개폐 가능하게 고정된 개폐문에 설치되어, 상기 제2의 유닛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가 달린 프린터.
-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상기 압하부는, 상기 고정날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양단을 동시에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가 달린 프린터.
- 삭제
- 청구항 1에 있어서,상기 랙의 이동 규제가 해제되었을 때에, 상기 가동날이 소정의 위치로 되돌아오도록 이 가동날을 탄성 가압하여 이동시키는 탄성 가압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터가 달린 프린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08-159548 | 2008-06-18 | ||
JP2008159548A JP5265972B2 (ja) | 2008-06-18 | 2008-06-18 | 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90131630A KR20090131630A (ko) | 2009-12-29 |
KR101505205B1 true KR101505205B1 (ko) | 2015-03-23 |
Family
ID=411105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090037625A KR101505205B1 (ko) | 2008-06-18 | 2009-04-29 | 커터가 달린 프린터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8152394B2 (ko) |
EP (1) | EP2135716B1 (ko) |
JP (1) | JP5265972B2 (ko) |
KR (1) | KR101505205B1 (ko) |
CN (1) | CN101607487B (ko) |
AT (1) | ATE532614T1 (ko) |
HK (1) | HK1139902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5230337B2 (ja) * | 2008-10-07 | 2013-07-10 |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 プリンタ |
JP5538778B2 (ja) * | 2009-08-27 | 2014-07-02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切断装置、記録装置 |
JP5467861B2 (ja) * | 2009-12-28 | 2014-04-09 | スター精密株式会社 | カッター機構付き印刷装置 |
JP5466514B2 (ja) * | 2010-01-08 | 2014-04-09 |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 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
JP5498802B2 (ja) * | 2010-01-08 | 2014-05-21 |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 カッター機構及びカッター付きプリンタ |
CN102991147B (zh) * | 2011-09-19 | 2015-04-22 | 深圳市证通电子股份有限公司 | 打印机及其退刀机构 |
KR101297646B1 (ko) * | 2012-05-03 | 2013-08-19 | 주식회사 신흥정밀 | 인쇄용지 절단장치와 잠금 및 해제수단이 구비된 프린터 |
JP5994535B2 (ja) * | 2012-09-28 | 2016-09-21 | スター精密株式会社 | 印刷装置の用紙搬送機構 |
GB2508583B (en) * | 2012-10-15 | 2019-11-20 | Sanford Lp | Printing apparatus |
KR101282299B1 (ko) | 2012-12-21 | 2013-07-10 | 이일복 | 프린터의 커터 |
KR101618599B1 (ko) | 2014-04-30 | 2016-05-10 | 주식회사 신흥정밀 | 프린터의 동력 전환장치 |
JP6593113B2 (ja) * | 2015-11-09 | 2019-10-23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プリンターの制御方法およびプリンター |
US9925806B2 (en) | 2015-12-23 | 2018-03-27 | Bixolon Co., Ltd. | Recording paper cutting device and printing device |
JP6812676B2 (ja) | 2016-06-29 | 2021-01-13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印刷装置及びカッター |
CN106926592B (zh) * | 2017-03-13 | 2023-01-10 | 厦门汉印电子技术有限公司 | 一种具有自动回退切刀结构的打印机及其自动回退的方法 |
CN106994840B (zh) * | 2017-04-13 | 2023-01-31 | 厦门汉印电子技术有限公司 | 一种带故障自动修复功能的打印机及其控制方法 |
KR200489986Y1 (ko) * | 2017-06-08 | 2019-09-06 | 하나시스 주식회사 | 프린터 구조체 및 이를 구비하는 셀프 키오스크 |
CN107175931B (zh) * | 2017-06-15 | 2023-02-28 | 厦门顶尖电子有限公司 | 带切刀热敏打印机的排卡结构 |
CN107248199B (zh) * | 2017-06-22 | 2024-01-02 | 深圳好彩互动科技有限公司 | 一种应用于硬质票卡的切票机构 |
KR102585600B1 (ko) * | 2017-07-31 | 2023-10-06 | 세이코 인스트루 가부시키가이샤 | 인자 유닛 및 서멀 프린터 |
CN107650519A (zh) * | 2017-10-23 | 2018-02-02 | 天津广大纸业股份有限公司 | 一种自动切割抚平机构 |
CN108032631A (zh) * | 2017-12-18 | 2018-05-15 | 厦门普瑞特科技有限公司 | 一种打印机 |
CN108058490B (zh) * | 2017-12-18 | 2023-11-07 | 厦门汉印电子技术有限公司 | 打印机 |
JP2020066143A (ja) * | 2018-10-22 | 2020-04-30 |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 サーマルプリンタ |
KR102009520B1 (ko) | 2018-12-14 | 2019-08-12 | 주식회사 신흥정밀 | 프린터 |
US11072192B2 (en) * | 2018-12-28 | 2021-07-27 | Seiko Instruments Inc. |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
JP7189052B2 (ja) * | 2018-12-28 | 2022-12-13 | セイコーインスツル株式会社 | 印字ユニット及びサーマルプリンタ |
KR102239191B1 (ko) | 2019-02-13 | 2021-04-30 | 주식회사 신흥정밀 | 프린터 케이스 조립구조 |
CN111002728A (zh) * | 2019-11-26 | 2020-04-14 | 苏州佳世达光电有限公司 | 保护机构及打印机 |
US11400735B2 (en) * | 2019-12-02 | 2022-08-02 | Seiko Instruments Inc. | Printing unit and thermal printer |
CN112609430B (zh) * | 2020-12-16 | 2021-12-17 | 泉州台商投资区嘉艺思新材料有限公司 | 一种纺织面料切割设备 |
JP2023005196A (ja) * | 2021-06-28 | 2023-01-18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プリンタ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72200A (ja) * | 1999-03-25 | 2000-10-03 | Seiko Epson Corp | プリンタ |
JP2006289574A (ja) * | 2005-04-13 | 2006-10-26 | Nec Infrontia Corp | カッタ装置及びカッタ装置を備えたプリンタ |
JP2008100530A (ja) | 2008-01-07 | 2008-05-01 | Fujitsu Component Ltd | 用紙カッタ |
JP4093876B2 (ja) | 2003-02-05 | 2008-06-04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カッタ部を備えたプリンタ |
Family Cites Families (8)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970293B2 (ja) * | 1993-03-17 | 1999-11-02 |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 切断装置 |
JPH11198469A (ja) * | 1998-01-14 | 1999-07-27 |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 カッター付印字装置 |
US6988843B2 (en) * | 2002-02-15 | 2006-01-24 | Bixolon Co., Ltd. | Lower cutter for compact printer and cut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
JP2004098625A (ja) * | 2002-09-12 | 2004-04-02 | Toshiba Tec Corp | プリンタ及び商品情報処理装置 |
JP4743828B2 (ja) | 2004-09-09 | 2011-08-10 | 株式会社安来製作所 | シート材切断装置 |
JP4815931B2 (ja) * | 2005-08-01 | 2011-11-16 |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 紙切断装置およびプリンタ |
JP2007038367A (ja) * | 2005-08-04 | 2007-02-15 | Seiko Instruments Inc | シート材切断ユニット、および印刷装置 |
JP2007196348A (ja) * | 2006-01-30 | 2007-08-09 | Seiko Instruments Inc | カッタ装置およびプリンタ |
-
2008
- 2008-06-18 JP JP2008159548A patent/JP5265972B2/ja active Active
-
2009
- 2009-04-29 KR KR1020090037625A patent/KR101505205B1/ko active IP Right Grant
- 2009-06-15 US US12/456,331 patent/US8152394B2/en active Active
- 2009-06-18 CN CN2009101505642A patent/CN101607487B/zh active Active
- 2009-06-18 EP EP20090163149 patent/EP2135716B1/en active Active
- 2009-06-18 AT AT09163149T patent/ATE532614T1/de active
-
2010
- 2010-06-15 HK HK10105987A patent/HK1139902A1/xx unknown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0272200A (ja) * | 1999-03-25 | 2000-10-03 | Seiko Epson Corp | プリンタ |
JP4093876B2 (ja) | 2003-02-05 | 2008-06-04 | 富士通コンポーネント株式会社 | カッタ部を備えたプリンタ |
JP2006289574A (ja) * | 2005-04-13 | 2006-10-26 | Nec Infrontia Corp | カッタ装置及びカッタ装置を備えたプリンタ |
JP2008100530A (ja) | 2008-01-07 | 2008-05-01 | Fujitsu Component Ltd | 用紙カッタ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HK1139902A1 (en) | 2010-09-30 |
JP2010000549A (ja) | 2010-01-07 |
US8152394B2 (en) | 2012-04-10 |
CN101607487A (zh) | 2009-12-23 |
EP2135716A2 (en) | 2009-12-23 |
JP5265972B2 (ja) | 2013-08-14 |
EP2135716B1 (en) | 2011-11-09 |
EP2135716A3 (en) | 2010-12-15 |
ATE532614T1 (de) | 2011-11-15 |
US20090317163A1 (en) | 2009-12-24 |
KR20090131630A (ko) | 2009-12-29 |
CN101607487B (zh) | 2013-03-1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505205B1 (ko) | 커터가 달린 프린터 | |
US6508600B1 (en) | Printer | |
KR101510908B1 (ko) | 커터가 달린 프린터 | |
KR101665714B1 (ko) | 커터 기구 및 커터가 달린 프린터 | |
US8469616B2 (en) | Printer with cutter | |
CN101722741B (zh) | 打印装置 | |
EP1955833B1 (en) | Sheet cutting device and printer | |
JP6262429B2 (ja) | プリンタ | |
EP1985456B1 (en) | Printer device | |
EP2343192B1 (en) | Printer with a cutter | |
CN101574864B (zh) | 打印装置 | |
KR101263651B1 (ko) | 인쇄용지 절단장치가 구비된 프린터 | |
US8287198B2 (en) | Printer | |
WO1999051443A1 (fr) | Imprimante | |
US8157461B2 (en) | Printer | |
US8550734B2 (en) | Transportation guide mechanism and recording device having the sam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0220 Year of fee payment: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219 Year of fee payment: 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200303 Year of fee payment: 6 |